KR20080074747A - 실끊기 장치를 갖춘 재봉틀 - Google Patents

실끊기 장치를 갖춘 재봉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4747A
KR20080074747A KR1020080010674A KR20080010674A KR20080074747A KR 20080074747 A KR20080074747 A KR 20080074747A KR 1020080010674 A KR1020080010674 A KR 1020080010674A KR 20080010674 A KR20080010674 A KR 20080010674A KR 20080074747 A KR20080074747 A KR 200800747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lpel
thread
needle
movable
sew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0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2158B1 (ko
Inventor
다카유키 하야시다
다카시 이바
Original Assignee
야마토 미싱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토 미싱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토 미싱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74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47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2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21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5/00Devices for severing the needle or lower thread
    • D05B65/02Devices for severing the needle or lower thread controlled by the sewing mechanism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7/00Devices incorporated in sewing machines for slitting, grooving, or cutting
    • D05B37/04Cutting devices
    • D05B37/06Cutting devices with oscillating tool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3/00Devices associated with the loop-taker thread, e.g. for tensioning
    • D05B63/02Loop-taker thread take-up lever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5/00Devices for severing the needle or lower thread
    • D05B65/06Devices for severing the needle or lower thread and for disposing of the severed thread end ; Catching or wiping devices for the severed 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가동 메스의 왕복 구동 요동 운동 경로에서 바늘판의 이면에 대하여 고정 메스의 절단 칼날선보다 가까운 위치에 가동 메스의 두께와 같거나 대략 같은 상하폭을 갖는 슬릿을 형성하고, 이 슬릿 내에 가동 메스를 통과 이동 안내시킴으로써 고정 메스와의 사이의 전단 작용에 의한 실 절단시에는 가동 메스의 선단부를 고정 메스의 절단 칼날선에 탄성적으로 가압 가능하게 하여 부품수의 삭감, 비용의 저감 및 조립의 용이화, 합리화를 도모할 뿐만 아니라, 양호한 예리함을 확보하고, 그 양호한 예리함을 장기간에 걸쳐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Figure P1020080010674
재봉틀, 실끊기 장치, 가동 메스, 고정 메스, 절단 칼날선, 메스 누름판

Description

실끊기 장치를 갖춘 재봉틀{SEWING MACHINE WITH THREAD CUTTER}
본 발명은 주로 예컨대 티셔츠의 목둘레나 소매의 봉합이나 커버링 등 통형상 부위의 봉제에 사용되는 다침 통형 타입의 재봉틀에 적용되는 실끊기 장치를 갖춘 재봉틀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통형상 부위의 봉제에 적합한 통형 베드를 가지며, 이 통형 베드의 자유단부에 통축 방향으로 직교시켜 복수의 바늘 낙하공 및 이 바늘 낙하공 전후에 배치되며 통축 방향으로의 천 이송을 행하는 천 이송용 홈을 갖는 바늘판이 고정되고, 이 바늘판 하부에 루퍼가 설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바늘판의 측부에는 봉제후에 바늘판과 루퍼 사이에 위치하는 침사 및 루퍼사를 측방으로 끌어당겨 절단하는 실끊기 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다침 통형 타입 등의 재봉틀에 관한 것이다.
상기 다침 통형 타입의 재봉틀 등에 장비되어 있는 실끊기 장치의 기본적인 구성은 선단부에 실걸이부를 가지며, 그 실걸이부가 바늘판에 형성된 바늘 낙하공을 횡단하도록 수평면을 따라 왕복 구동 이동되는 가동 메스와, 이 가동 메스가 왕행 구동 이동할 때, 상기 실걸이부에 걸려 상기 바늘판의 바늘 낙하공의 측방으로 이송되는 침사를 상기 가동 메스와의 전단 작용에 의해 절단하는 고정 메스와, 절 단된 실끝부를 상기 가동 메스의 선단부와의 사이에서 탄성 협지하는 실끼움판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각 구성 요소로 이루어지는 실끊기 장치를 갖춘 재봉틀에서는, 왕복 구동 이동하는 가동 메스와 고정 메스의 절단 칼날선과의 전단 작용에 의해 침사 또는 침사 및 루퍼사를 절단하는 것이므로 전단력, 결국은 예리함이 양호하고, 그 양호한 예리함이 경시적으로 저하하지 않도록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기술 사항이다. 이러한 중요한 기술 사항을 달성하는 수단으로서 종래의 실끊기 장치에서는,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2006-75552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가동 메스를 고정 메스측에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스프링판 등의 탄성 누름 부재를 고정 메스의 이면에 부착하고, 또한 예리함의 경시적 저하를 보충하기 위하여 상기 탄성 누름 부재에 의한 가동 메스에 대한 탄성 가압력을 조정 가능하도록 구성한 가동 메스 가압 기구가 채용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의 가동 메스 가압 기구를 채용한 종래의 실끊기 장치를 갖춘 재봉틀에서는 가동 메스 가압 기구 자체가 스프링판 등의 탄성 누름 부재, 이것을 고정 메스의 이면에 부착하는 부착 부재, 및 장공이나 나사 등의 탄성 가압력 조정용 부품과 같이 매우 많은 부품수를 필요로 한다. 게다가, 해당 가압 기구가 부착되는 고정 메스 이면의 좁은 곳에 실끼움판도 마찬가지로 부착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그들 많은 부품의 부착이 서로 착종하여 부착(조립) 작업 자체가 매우 어려워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더하여, 부품수가 많기 때문에 각 부품의 제작 오차나 조립 오차가 집적하고, 그것에 기인하여 가동 메스에 대한 탄성 가압력에 불균일을 발생시키기가 쉬우며, 그 결과 소기의 양호, 균일한 예리함을 확보하기가 어렵고, 나아가 탄성 가압력의 조정시에도 불균일을 발생시키기가 쉬워 경시적인 예리함의 저하는 피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부품수를 삭감하여 비용의 저감 및 조립의 용이화, 합리화를 도모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소기의 양호한 예리함을 확보할 수 있고, 그 양호한 예리함을 장기간에 걸쳐 유지할 수 있는 실끊기 장치를 갖춘 재봉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따른 실끊기 장치를 갖춘 재봉틀은, 선단부에 실걸이부를 가지며, 그 실걸이부가 바늘판에 형성된 바늘 낙하공을 횡단하도록 수평면을 따라 왕복 구동 이동되는 가동 메스와, 이 가동 메스가 왕행 구동 이동할 때, 상기 실걸이부에 걸려 상기 바늘판의 바늘 낙하공의 측방으로 이송되는 침사 및/또는 루퍼사를 상기 가동 메스와의 전단 작용에 의해 절단하는 고정 메스와, 절단된 실끝부를 상기 가동 메스의 선단부와의 사이에서 탄성 협지하는 실끼움판을 구비하여 된 실끊기 장치를 갖춘 재봉틀에 있어서, 상기 가동 메스의 왕복 구동 이동 경로에서 상기 바늘판의 이면에 대하여 상기 고정 메스의 절단 칼날선보다 가까운 위치에 가동 메스의 두께와 같거나 대략 같은 상하폭을 가지며, 적어도 상기 고정 메스와의 사이의 전단 작용에 의한 실 절단 시에는 상기 가동 메스의 표리 양면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이 가동 메스의 선단부를 상기 고정 메스측에 가압하여 안내하는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침 통형 타입의 재봉틀을 대상으로 하여, 상기와 동일한 목적을 달 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청구항 6에 따른 실끊기 장치를 갖춘 재봉틀은, 통형 베드의 자유단부에 그 통축 방향에 대하여 직교시켜 복수의 바늘 낙하공 및 이 바늘 낙하공 전후에 배치되어 통축 방향으로의 천 이송을 행하는 천 이송 톱니 홈을 갖는 바늘판이 고정되고, 이 바늘판 하부의 통형 베드 내에 천 이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왕복 요동 운동하는 루퍼가 설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선단부측이 갈고리형으로 만곡하고 그 만곡 선단부 내주에 실걸이부를 가지며, 상기 바늘판의 이면측에 설치한 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선단 실걸이부가 상기 복수의 바늘 낙하공을 횡단하도록 상기 루퍼의 왕복 요동 운동 경로와 상기 바늘판의 이면 사이의 수평면을 따라 왕복 구동 요동되는 가동 메스와, 이 가동 메스가 왕행 구동 이동할 때 상기 실걸이부에 걸려 상기 바늘 낙하공의 측방으로 이송되는 복수 개의 침사 및 루퍼사를 상기 가동 메스와의 전단 작용에 의해 절단하는 고정 메스와, 절단된 실끝부를 상기 가동 메스의 선단부와의 사이에서 탄성 협지하는 실끼움판을 구비하여 된 실끊기 장치를 갖춘 재봉틀에 있어서, 상기 가동 메스의 왕복 구동 요동 운동 경로에서 상기 바늘판의 이면에 대하여 고정 메스의 절단 칼날선보다 가까운 위치에 가동 메스의 두께와 같거나 대략 같은 상하폭을 가짐과 아울러 적어도 상기 고정 메스와의 사이의 전단 작용에 의한 실 절단시에는 상기 가동 메스의 표리 양면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이 가동 메스의 선단부를 상기 고정 메스측에 가압하여 안내하는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청구항 1 및 청구항 6에 따른 실끊 기 장치를 갖춘 재봉틀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이룬다.
즉, 가동 메스의 왕복 구동 이동(요동 운동) 경로가 바늘판의 이면에 대하여 고정 메스의 절단 칼날선보다 가까운 위치, 즉 고정 메스의 절단 칼날선에 대하여 상방에 단차가 있는 위치에 형성된 슬릿으로 고정적으로 규제되어 있으므로, 고정 메스와의 전단 작용에 의한 실 절단시에 있어서는 가동 메스의 선단부를 고정 메스의 절단 칼날선에 대하여 상기 단차분만큼 탄성 변위시키고, 그 탄성 복귀력에 해당하는 힘으로 가동 메스의 선단부를 고정 메스의 절단 칼날선에 탄성 접촉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슬릿이 가동 메스를 고정 메스측에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역할을 하게 되어, 종래의 실끊기 장치에서의 가동 메스 가압 기구와 같이 스프링판 등의 탄성 누름 부재, 그것을 고정 메스의 이면에 부착하는 부착 부재, 및 장공이나 나사 등의 탄성 누름력 조정용 부품이라는 많은 부품수를 필요로 하지 않고, 예컨대 바늘판의 이면과 이 바늘판의 이면보다 하방으로 돌출하는 부분 사이에 띠형의 메스 누름판을 가교 고정하는 등의 간단한 가공 및 매우 적은 부품을 이용하여 예리함을 양호하게 하기 위한 가동 메스 가압 기능을 발휘시킬 수 있다. 또한, 그 가동 메스 가압 기능을 발휘하기 위한 메스 누름판은 바늘판 이면의 실끼움판 부착 개소에 집약하지 않고 그 실끼움판 부착 개소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 설치하면 되므로 그들 메스 누름판과 실끼움판의 부착이 좁은 스페이스에서 서로 착종하여 부착 작업이 복잡화해지지도 않는다.
게다가, 가동 메스가 침사 및/또는 루퍼사를 포착하기 위하여 진출할 때, 이 가동 메스는 슬릿에서 빠져나와 고정 메스의 절단 칼날선에 대한 탄성 접촉력이 해 제되게 되기 때문에 종래의 가동 메스 가압 기구와 같이 스프링판 등의 탄성 누름 부재를 이용하여 가동 메스의 선단부를 항상 고정 메스측에 탄성적으로 누르는 경우에 비하여 가동 메스로서는 그것의 주요한 실걸이 기능이 확실하게 발휘되는 것에 중점을 두고, 고정 메스에의 탄성 누름 기능을 중시할 필요가 없어진다. 그러므로, 가동 메스의 선단 실걸이부의 고정 메스에의 누름력의 경감을 도모할 수 있어 가동 및 고정 메스의 슬라이딩에 의한 마모를 감소하여 예리함을 장기에 걸쳐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부품수의 삭감에 의한 비용의 저감과 함께, 조립의 용이화, 합리화를 도모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부품의 제작 오차나 조립 오차의 집적에 기인하여 가동 메스에 대한 탄성 가압력에 불균일이 발생하는 것도 매우 적어 소기의 양호한 예리함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가압력의 조정 기구를 특별히 설치하지 않아도, 상하폭 등 항상 일정한 크기의 슬릿을 고정적으로 형성하는 것만으로 예리함의 경시적인 저하를 최대한 억제하여 장기간 사용에 있어서도 항상 양호한 예리함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1 및 청구항 6에 따른 실끊기 장치를 갖춘 재봉틀에 있어서 상기 슬릿으로는, 청구항 2 및 청구항 7에 기재한 바와 같이, 바늘판의 이면과 천 이송 방향의 전후 위치에서 바늘판의 이면보다 하방으로 돌출하는 두 개의 돌출 부분 사이에 가교 고정된 띠형의 메스 누름판과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도, 또한 청구항 4 및 청구항 9에 기재한 바와 같이 바늘판 자체에 관통 상태로 형성된 것일 수도 있다. 이 중, 후자와 같이 바늘판 자체에 관통 상태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띠형의 메스 누름판이 불필요하여 부품수를 보다 적게 하는 것이 가능한 반면, 비교적 두께가 얇은 바늘판에 슬릿을 관통 형성하고, 여기에 가동 메스를 그 일단측에서 꽂아넣어 삽입 통과시키는 정밀한 가공 기술 및 번거로운 조립을 필요로 한다. 이에 반해, 전자와 같이 바늘판 이면과 띠형의 메스 누름판 사이에 형성하는 경우에는, 관통 슬릿에 비하여 부품수, 가공 공정수가 조금 증가하지만 가공 및 조립면에서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2 및 청구항 7에 따른 실끊기 장치를 갖춘 재봉틀에 있어서, 청구항 3 및 청구항 8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띠형의 메스 누름판에 상기 슬릿 내로부터 빠져나와 이동한 가동 메스를 상기 고정 메스와의 전단 작용에 의한 실 절단 전에 상기 슬릿 내로 복귀시키는 복귀 가이드편을 일체로 연속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상기 슬릿에 의한 가동 메스의 슬라이딩 접촉 범위를 가능한 한 적게 하여 이 가동 메스의 구동 기구에 주는 부하를 경감하면서도 실 절단시에는 가동 메스를 슬릿 내에 확실하도록 복귀시켜 예리함이 양호한 실 절단 기능을 확실하게 발휘시킬 수 있다.
더욱이, 청구항 1 및 청구항 6에 기재된 실끊기 장치를 갖춘 재봉틀에 있어서, 청구항 5 및 청구항 10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실끼움판에 의한 실끝부 탄성 협지력을 조절 조작 가능한 조절편을 설치함으로써 실의 종류나 실 개수의 많고 적음에 관계없이 절단 후의 실끝부를 항상 확실하게 탄성 협지시키는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다.
그 이외의 효과는 이하의 실시예의 설명에서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끊기 장치를 갖춘 재봉틀로서 3침 통형 타입의 재봉틀에 적용한 경우의 재봉틀 전체의 개략 사시도, 도 2는 실끊기 장치의 구성 부품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 3침 통형 타입의 재봉틀(M)은 재봉틀 베드부(재봉틀 본체)(2)의 하방부에서 전방 쪽으로 재봉틀 주축, 바늘 구동 기구나 누름 구동 기구(이들은 주지이기 때문에 상세한 구조 및 그 설명은 생략함)를 내장하는 재봉틀 암부(3)와 함께 통형 베드(1)가 연속 설치되어 있다.
이 통형 베드(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향의 개구가 있는 하부 베드부(1A)와 이 하부 베드부(1A)의 상부 개구를 덮는 윗커버부(1B)로 분할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하부 베드부(1A)와 윗커버부(1B) 사이에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판상의 안커버(30)가 협재 고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통형 베드(1)의 하부 베드부(1A)의 자유단부 상에는 나사(4)를 통하여 바늘판(5)이 고정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바늘판(5) 하부에는 도 4,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 이송 방향(봉제 진행 방향)(a)과 교차(직교)하는 b-c 방향으로 왕복 요동 운동하는 루퍼(6) 및 루퍼 구동 기구(이것은 주지이기 때문에 상세한 구조 및 그 설명은 생략함)가 내장되고, 이들 루퍼(6) 및 루퍼 구동 기구의 주위를 포위하는 베드부 커버(7)가 통형 베드부(1)의 자유단부에 그 선단측으로부터 착탈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재봉틀 암부(3)의 선단부에는 상하로 왕복 구동 이동되는 침봉(8) 및 상하로 승강 가능한 누름봉(9)이 하방으로 돌출 상태로 지지되어 있고, 침봉(8)의 하단부에는 바늘 멈추개(16)를 통하여 3개의 바늘(11)이 천 이송 방향(a)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병렬하여 부착되어 있음과 아울러, 누름봉(9)의 하단부에는 바늘판(5)에 피봉제품을 가압하는 누름쇠(1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바늘판(5)은 그 좌우 양측변(5a, 5a)이 천 이송 방향(a)에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고, 이 바늘판(5)에는 통형 베드부(2)의 통축 방향으로 직교시켜 3개의 바늘 낙하공(13)이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들 바늘 낙하공(13)의 전후 및 좌우 양측에는 통축 방향으로의 천 이송을 행하는 천 이송 톱니(이들은 주지이기 때문에 생략함)용 홈(14)이 형성되고, 바늘판(5)의 이면에는 후술하는 가동 메스(15), 고정 메스(16), 실끼움판(17) 및 그 실끼움판(17)에 의한 실끝부의 탄성 협지력을 조절 조작 가능하게 하는 조절편(27) 등을 주요 구성 요소로 하는 실끊기 장치(18)가 장착되어 있다.
도 3 및 도 6, 도 7은 상기 실끊기 장치(18)의 구체적인 구조를 나타낸다. 상기 가동 메스(15)는 선단부측이 갈고리형으로 만곡하고 그 만곡 선단 내주에 하나의 루퍼사(LT)를 거는 후크형의 루퍼사용 실걸이부(15a)와 3개 침사(NT)를 거는 후크형의 침사용 실걸이부(15b)가 분할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가동 메스(15)의 기단부(15c)는 상기 바늘판(5)의 이면에 나사축(19)을 통하여 멈춤 장착되고, 그 나사축(19)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2개의 후크형 실걸이부(15a, 15b)가 3개의 바늘 낙하공(13)을 횡단하도록 상기 루퍼(6)의 왕복 요동 운동 경로와 바늘판(5) 사이의 수평면 내를 화살표 d-e방향으로 왕복 요동 가능하고, 도 6, 도 7의 실선으로 도시한 퇴입 위치에까지 복행 요동되었을 때, 바늘판(5)의 천 이송 방향(a)에 평행한 일측변(5a)보다 외측방으로 돌출하지 않는 외주연(15d)과, 도 6, 도 7의 가상선으 로 도시한 진출 위치에까지 왕행 요동되었을 때, 바늘판(5)의 천 이송용 홈(14)의 외측에 위치하는 내주연(15e)을 갖는 대략 초승달(曲玉)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대략 초승달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는 가동 메스(15)의 왕복 구동 요동 운동 경로의 일부인 상기 바늘판(5)의 이면(5b)에서의 일측변(5a)을 따른 곳의 천 이송 방향(a)의 전후 위치에는 바늘판(5)의 이면(5b)보다 약간 하방으로 돌출하는 부분(5c, 5c)이 형성되어 있고, 그 하방으로의 2개의 돌출 부분(5c, 5c) 사이에 걸쳐 띠형의 메스 누름판(36)이 나사(37)를 통하여 이탈 가능하게 가교 고정되어 있다. 이 띠형의 메스 누름판(36)의 표면과 상기 바늘판(5)의 이면(5b) 사이에 상기 가동 메스(15)의 두께와 같거나 대략 같은 상하폭(h)을 갖는 슬릿(3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릿(38)은 상기 고정 메스(16)의 절단 칼날선(16a)보다 바늘판(5)의 이면(5b)에 가까운 위치, 즉 고정 메스(16)의 절단 칼날선(16a)에 대하여 상방으로 약간 변위하여 단차를 갖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가동 메스(15)가 도 6 및 도 7의 실선으로 도시한 퇴입 위치에까지 복행 요동되어 상기 고정 메스(16)와의 사이에서의 전단 작용에 의해 침사(NT) 및 루퍼사(LT)를 절단할 때에는 상기 슬릿(38)의 상하 대향면(바늘판(5)의 이면(5b)과 띠형의 메스 누름판(36)의 상면)이 가동 메스(15)의 표리 양면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이 가동 메스(15)의 선단부, 구체적으로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후크형의 루퍼사용 실걸이부(15a) 및 침사용 실걸이부(15b)가 고정 메스(16)의 절단 칼날선(16a)에 대하여 상기 단차분만큼 상방으로 탄성 변위되고, 그 탄성 복귀력에 해당하는 힘으로 상기 실걸이부(15a 및 15b)가 고정 메스(16)의 절단 칼날선(16a)에 탄성적으로 가압 안내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띠형의 메스 누름판(36)의 길이 방향의 대략 중간부에는 상기 슬릿(38)에서 빠져나와 도 6 및 도 7의 가상선으로 도시한 진출 위치에까지 왕행 요동한 상기 가동 메스(15)가 그 진출 위치로부터 복행 요동할 때 상기 슬릿(38) 내에 복귀시키도록 유도 안내하기 위한 복귀 가이드(39)가 일체로 연속 설치되어 있다.
상기 실끊기 장치(18)의 고정 메스(16)는, 상기 가동 메스(15)가 도 6, 도 7의 가상선으로 도시한 진출 위치로부터 도 6, 도 7의 실선으로 도시한 퇴입 위치까지 복행 요동할 때, 즉 화살표 e로부터 d방향 쪽으로 요동할 때, 그 선단의 후크형 실걸이부(15a, 15b)에 걸려 바늘 낙하공(13)의 측방으로 이송되는 하나의 루퍼사(LT) 및 3개의 침사(NT)를 상기 슬릿(38)의 작용에 의해 고정 메스(16) 측에 가압된 가동 메스(15) 사이의 전단 작용에 의해 절단하는 것이다. 이 고정 메스(16)는 그 날선(16a)에서 천 이송 방향(a)의 전방측 쪽으로 천 이송 방향(a)과 평행한 상태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부착판부(16b)에 있어서 나사 부재(28)를 통하여 바늘판(5)의 이면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끼움판(17)은 가동 메스(15)의 하면에 탄성적으로 누름 접촉되어 이 가동 메스(15)의 요동을 상기 고정 메스(16)와의 사이에서 탄성적으로 끼워 안내함과 아울러, 절단 후의 실끝부를 가동 메스(15)의 선단 부분과의 사이에서 탄성 협지하는 것이다. 이 실끼움판(17)은 상기 고정 메스(16)의 날선(16a)보다 약 간 퇴입한 위치에 비스듬한 직선형으로 긴 실끝 끼움부(17a)를 가짐과 아울러, 그 비스듬한 직선형의 실끝 끼움부(17a)에서 천 이송 방향(a)의 전방측 쪽으로 천 이송 방향(a)과 평행한 부착판부(17b)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이 부착판부(17b)에 있어서 2개의 나사 부재(32a, 32b)를 통하여 상기 조절편(27)과 함께 고정 메스(16)의 이면에 부착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조절편(27)에는 상기 두 개의 나사 부재(32a, 32b) 중 일측의 나사 부재(32a)의 머리부에 대응하는 곳에 원형의 나사 구멍(27a)이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다른 일측의 나사 부재(32b)에 대응하는 곳에 상기 일측의 나사 부재(32a)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의 장공(27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나사 부재(32b)를 조금 풀어 일측의 나사 부재(32a)의 머리부를 지점으로 하여 화살표 f-g방향으로 요동시킴으로써 실끼움판(17)에 의한 실끝부의 탄성 협지력을 조절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통형 베드(1)의 기단 근방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안커버(30)의 상면에는 실린더 부착 블록(도시 생략함)이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이 부착 블록 상에 에어 실린더(20)가 안커버(30) 하면측으로부터 박혀져들어가는 나사(33)를 통하여 고정 설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에어 실린더(20)의 가동 로드부(21)의 선단에는 상기 안커버(30) 상에 배치되어 통형 베드(1) 내를 천 이송 방향(봉제 진행 방향)(a) 쪽으로 연장된 구동 연결 링크(26)의 타단부가 스토퍼 칼라(22), 너트(23), 부착 블록(24) 및 지축(25)을 통하여 피벗 지지 연결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구동 연결 링크(26)의 선단부는 상기 가동 메스(15)의 기단 부(15c) 가까이에 돌출시킨 핀(34)에 대향 회전 가능하게 끼워맞춤 연결되어 있다.
이상의 가동 로드부(21) 달린 에어 실린더(20) 및 구동 연결 링크(26)에 의해 가동 메스 구동 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이 가동 메스 구동 기구는 상기 안커버(30)를 통형 베드(1) 내에 조립해 넣기 전에 이 안커버(30) 상에 부착되고, 이 안커버(30)를 상기 통형 베드(1)의 하부 베드부(1A)와 윗커버부(1B) 사이에 협재 고정시킴으로써 통형 베드(1)에서 측방으로 노출 또는 돌출되지 않고 이 통형 베드(1)의 내부에 조립 장착되어 있다.
다음,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실끊기 장치(18)를 구비한 3침 통형 타입의 재봉틀(M)에 의한 봉제 및 실 절단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통형 베드부(1)에 그 자유단부측으로부터 삽입된 피봉제품 통형상 부위는 천 이송 톱니를 통하여 소정의 천 이송 방향(a)으로 이송되면서 예컨대 커버링 등의 봉제가 행해진다. 그리고, 소정의 봉제가 종료한 시점에서 실끊기 장치(18)의 가동 메스(15)는 그 표리 양면이 슬릿(38)의 상하 대향면과 띠형의 메스 누름판(36)의 상면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슬라이딩 접촉 안내 작용 및 고정 메스(16) 실끼움판(17)과의 끼움 안내 작용을 통하여 일정한 수평면을 따라 요동하고, 그 선단의 후크형 실걸이부(15a, 15b)가 바늘판(5)의 3개의 바늘 낙하공(13)을 횡단하여 도 6, 도 7의 가상선으로 도시한 진출 위치에 왕행 구동 요동된 후, 이 진출 위치로부터 도 6, 도 7의 실선으로 도시한 퇴입 위치에까지 복행 구동 요동된다. 이 복행 구동 요동시에 바늘 낙하공(13)을 상하 방향으로 통과하고 있는 3개의 침사(NT)는 실걸이부(15b)에 걸림과 아울러 루퍼(6)에 걸어멈춤되어 있는 하나의 루퍼사(LT)는 실걸이부(15a)에 걸려 바늘 낙하공(13) 및 이송 톱니용 홈(14)의 일측방으로 이송된다.
상기한 가동 메스(15)의 복행 구동 요동시에 있어서, 이 가동 메스(15)는 그 표리 양면이 고정 메스(16)의 절단 칼날선(16a)에 대하여 상방으로 약간 변위하여, 단차를 가지는 슬릿(38)의 상하 대향면인 바늘판(5)의 이면(5b)과 띠형의 메스 누름판(36)의 상면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상태에서 슬릿(38) 내를 요동하므로, 그 선단부의 후크형의 루퍼사용 실걸이부(15a) 및 침사용 실걸이부(15b)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메스(16)의 절단 칼날선(16a)에 대하여 상기 단차분만큼 상방으로 탄성 변위되고, 그 탄성 복귀력에 해당하는 힘으로 상기 실걸이부(15a 및 15b)가 고정 메스(16)의 절단 칼날선(16a)에 탄성적으로 가압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각 실걸이부(15a, 15b)에 걸려 이송되어 온 루퍼사(LT) 및 침사(NT)는 탄성 접촉하는 가동 메스(15)와 고정 메스(16)의 절단 칼날선(16a) 사이에서 강력한 전단 작용을 받아 양호하고 예리하게 절단된 후, 그 절단된 각 실끝부는 가동 메스(15)의 선단 부분과 실끼움판(17)의 실끝 끼움부(17a) 사이에 탄성 협지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바늘판(5)의 이면(5b) 측에 형성한 상기 슬릿(38)이 가동 메스(15)를 고정 메스(16) 측에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종래의 실끊기 장치가 구비된 가동 메스 가압 기구와 같은 스프링판 등의 탄성 누름 부재, 그것을 고정 메스의 이면에 부착하는 부착 부재 및 장공이나 나사 등의 탄성 가압력 조정용 부품이라는 많은 부품 수가 불필요하고, 바늘판(5)의 이면(5b)과 이 바늘판(5)의 이면(5b)의 돌출 부분(5c, 5c) 사이에 띠형의 메스 누름판(36)을 가교 고정하는 것과 같은 간단한 가공 및 매우 적은 부품을 이용하여 예리함을 양호하게 하기 위한 가동 메스 가압 기능을 발휘시킬 수 있다. 또한, 그 가동 메스 가압 기능을 발휘하는 슬릿(38) 형성을 위한 메스 누름판(36)의 고정 위치가 바늘판(5)의 이면(5b) 측의 실끼움판(17)의 부착 개소에 집약하지 않고 그 실끼움판(17)의 부착 개소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그들 메스 누름판(36)과 실끼움판(17)의 부착이 좁은 스페이스에서 서로 착종하지도 않게 되어 조립 작업의 용이화, 합리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 부품수의 삭감에 의해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부품의 제작 오차나 조립 오차의 집적에 기인하여 가동 메스(15)에 대한 탄성 가압력의 불균일을 매우 적게 하고, 가동 메스(15)의 선단 실걸이부(15a, 15b)가 고정 메스(16)의 절단 칼날선(16a)에 탄성적으로 가압되는 것은 실 절단 작용시만이므로 양 메스(15, 16)의 탄성 가압 상태에서의 슬라이딩에 따른 마모도 경감되게 되어, 소기의 양호한 예리함을 장기간에 걸쳐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가압력의 조정 기구를 특별히 설치하지 않고도 상하폭 등 항상 일정한 크기의 슬릿(38)을 고정적으로 형성하는 것만으로 예리함의 경시적인 저하를 억제하여 장기간 사용에 있어서도 항상 양호한 예리함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릿(38)은 바늘판(5) 자체를 관통시켜 형성할 수도 있으나, 특히 상기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바늘판(5)의 이면(5b)과 띠형의 메스 누름판(36)을 이용하여 형성함으로써 비교적 두께가 얇은 바늘판(5)에 슬릿을 관통 형성하는 고도의 가공 기술이 불필요하여, 구성 부재수는 조금 증가하지만 가공 및 조립면에서 유리하다.
나아가,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조절편(27)을 그것의 일측의 부착용 나사 부재(32a)의 머리부를 지점으로 하여 화살표 f-g방향으로 요동시킴으로써 실끼움판(17)에 의한 실끝부의 탄성 협지력을 조절 조작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실의 종류나 실 개수의 많고 적음과 관계없이 절단 후의 실끝부를 가동 메스(15)와 실끼움판(17) 사이에 항상 확실하게 탄성 협지시키는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3침 통형 타입의 재봉틀(M)의 실끊기 장치에 적용 실시한 것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2침 통형 타입이나 4침 통형 타입, 1침 통형 타입의 재봉틀에 적용 실시할 수도 있다. 더욱이, 편평 바느질 등 각종 형태의 재봉틀의 실끊기 장치에 적용 실시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가동 메스(15)의 만곡 선단부 내주에 루퍼사용 실걸이부(15a)와 침사용 실걸이부(15b)를 별개로 형성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하나의 후크형 실걸이부에 침사 및 루퍼사를 걸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나아가, 가동 메스의 왕복 구동 기구로는 상기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것이 그 구성의 간소화, 비용의 저감, 조립 작업의 용이화를 도모할 수 있어 가장 유효하나, 그 이외에 어떠한 구성의 구동 기구를 이용하여도 좋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끊기 장치를 갖춘 재봉틀로서 3침 통형 타입의 재봉틀에 적용한 경우의 재봉틀 전체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재봉틀의 실끊기 장치의 구성 부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재봉틀의 일부를 횡단하고, 요부인 실끊기 장치 부근을 중심으로 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에서의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B부의 확대도이다.
도 6은 상기 실끊기 장치를 포함하는 요부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7은 상기 실끊기 장치를 포함하는 요부의 확대 저면도이다.
도 8은 상기 실끊기 장치의 가동 메스의 동작을 설명하는 요부의 단면도이다.

Claims (10)

  1. 선단부에 실걸이부를 가지며, 그 실걸이부가 바늘판에 형성된 바늘 낙하공을 횡단하도록 수평면을 따라 왕복 구동 이동되는 가동 메스와, 이 가동 메스가 왕행 구동 이동할 때, 상기 실걸이부에 걸려 상기 바늘판의 바늘 낙하공의 측방으로 이송되는 침사 및/또는 루퍼사를 상기 가동 메스와의 전단 작용에 의해 절단하는 고정 메스와, 절단된 실끝부를 상기 가동 메스의 선단부와의 사이에서 탄성 협지하는 실끼움판을 구비하여 된 실끊기 장치를 갖춘 재봉틀에 있어서,
    상기 가동 메스의 왕복 구동 이동 경로에서 상기 바늘판의 이면에 대하여 상기 고정 메스의 절단 칼날선보다 가까운 위치에 가동 메스의 두께와 같거나 대략 같은 상하폭을 가지며, 적어도 상기 고정 메스와의 사이의 전단 작용에 의한 실 절단시에는 상기 가동 메스의 표리 양면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이 가동 메스의 선단부를 상기 고정 메스측에 가압하여 안내하는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끊기 장치를 갖춘 재봉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이, 상기 바늘판의 이면과, 천 이송 방향의 전후 위치에서 바늘판의 이면보다 하방으로 돌출하는 두 개의 돌출 부분 사이에 가교 고정된 띠형의 메스 누름판과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끊기 장치를 갖춘 재봉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띠형의 메스 누름판에는 상기 슬릿 내로부터 빠져나와 이동한 가동 메스를 상기 고정 메스와의 전단 작용에 의한 실 절단 전에 상기 슬릿 내로 복귀시키는 복귀 가이드편이 일체로 연속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끊기 장치를 갖춘 재봉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이 상기 바늘판 자체에 관통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끊기 장치를 갖춘 재봉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끼움판에 의한 실끝부 탄성 협지력을 조절 조작 가능한 조절편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끊기 장치를 갖춘 재봉틀.
  6. 통형 베드의 자유단부에, 그 통축 방향에 대하여 직교시켜 복수의 바늘 낙하공 및 이 바늘 낙하공 전후에 배치되어 통축 방향으로의 천 이송을 행하는 천 이송 톱니용 홈을 갖는 바늘판이 고정되고, 이 바늘판 하부의 통형 베드 내에 천 이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왕복 요동 운동하는 루퍼가 설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선단부측이 갈고리형으로 만곡하고 그 만곡 선단부 내주에 실걸이부를 가지며, 상기 바늘판의 이면측에 설치한 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선단 실걸이부가 상기 복수의 바늘 낙하공을 횡단하도록 상기 루퍼의 왕복 요동 운동 경로와 상기 바늘판의 이면 사이의 수평면을 따라 왕복 구동 요동되는 가동 메스와, 이 가동 메스가 왕행 구동 이동할 때 상기 실걸이부에 걸려 상기 바늘 낙하공의 측방으로 이송되는 복수 개의 침사 및 루퍼사를 상기 가동 메스와의 전단 작용에 의해 절단하는 고정 메스와, 절단된 실끝부를 상기 가동 메스의 선단부와의 사이에서 탄성 협지하는 실끼움판을 구비하여 된 실끊기 장치를 갖춘 재봉틀에 있어서,
    상기 가동 메스의 왕복 구동 요동 운동 경로에서 상기 바늘판의 이면에 대하여 고정 메스의 절단 칼날선보다 가까운 위치에 가동 메스의 두께와 같거나 대략 같은 상하폭을 가짐과 아울러 적어도 상기 고정 메스와의 사이의 전단 작용에 의한 실 절단시에는 상기 가동 메스의 표리 양면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이 가동 메스의 선단부를 상기 고정 메스측에 가압하여 안내하는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끊기 장치를 갖춘 재봉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이, 상기 바늘판의 이면과, 천 이송 방향의 전후 위치에서 바늘판의 이면보다 하방으로 돌출하는 두 개의 돌출 부분 사이에 가교 고정된 띠형의 메스 누름판과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끊기 장치를 갖춘 재봉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띠형의 메스 누름판에는 상기 슬릿 내로부터 빠져나와 이동한 가동 메스를 상기 고정 메스와의 전단 작용에 의한 실 절단 전에 상기 슬릿 내로 복귀시키는 복귀 가이드편이 일체로 연속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끊기 장치를 갖춘 재봉틀.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이 상기 바늘판 자체에 관통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끊기 장치를 갖춘 재봉틀.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실끼움판에 의한 실끝부 탄성 협지력을 조절 조작 가능한 조절편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끊기 장치를 갖춘 재봉틀.
KR1020080010674A 2007-02-08 2008-02-01 실끊기 장치를 갖춘 재봉틀 KR1011821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059193 2007-02-08
JP2007059193A JP4337063B2 (ja) 2007-02-08 2007-02-08 糸切り装置付きミシ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4747A true KR20080074747A (ko) 2008-08-13
KR101182158B1 KR101182158B1 (ko) 2012-09-12

Family

ID=39753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0674A KR101182158B1 (ko) 2007-02-08 2008-02-01 실끊기 장치를 갖춘 재봉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337063B2 (ko)
KR (1) KR101182158B1 (ko)
CN (1) CN101240485B (ko)
IT (1) ITMI20080156A1 (ko)
TW (1) TW20091207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04220A1 (de) * 2009-01-09 2010-07-15 Dürkopp Adler AG Fadenschneidvorrichtung
KR101319610B1 (ko) * 2009-03-06 2013-10-23 야마토 미싱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상자형 베드 이중환봉 재봉틀
ITMI20110054U1 (it) 2011-02-16 2011-05-18 Federico Thoman Bottiglia con tappo dispensatore
DE102017207627A1 (de) * 2017-05-05 2018-11-08 Dürkopp Adler AG Baugruppe zum Erzeugen eines Naht-Anfangsoberfadens mit einem Soll-Nahtüberstand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51684U (ko) * 1985-03-08 1986-09-19
US5125351A (en) * 1990-11-23 1992-06-30 Kansai Special U.S.A. Corp. Thread trimmer system for in-line chain stitch cylinder bed sewing machine
JP4645886B2 (ja) * 2004-09-07 2011-03-09 ヤマトミシン製造株式会社 糸切り装置付きミシ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40485A (zh) 2008-08-13
JP2008194409A (ja) 2008-08-28
TWI374209B (ko) 2012-10-11
TW200912077A (en) 2009-03-16
ITMI20080156A1 (it) 2008-08-09
KR101182158B1 (ko) 2012-09-12
CN101240485B (zh) 2012-12-26
JP4337063B2 (ja) 2009-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0216B1 (ko) 실 자르기 장치부착 미싱
TWI411716B (zh) Sewing machine yarn breaking device
KR101182158B1 (ko) 실끊기 장치를 갖춘 재봉틀
RU2383670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гулировки ширины штопки для швейной машины
US20130025517A1 (en) Multi-needle sewing machine
US3584589A (en) Thread trimmer
JP2010188106A (ja) ボタン付けミシンの糸切り装置
US4834010A (en) Reciprocating thread cutter for multi-needle looper thread type sewing machine
US4459925A (en) Cycle sewing machine
JP3831434B2 (ja) ボタン孔かがりミシン
JP2002346265A (ja) 糸カッターを備えた二糸ロックステッチミシン
KR100871596B1 (ko) 실 자르기 장치 부착 미싱
KR20080084639A (ko) 재봉틀의 실끊기 장치
CN214613042U (zh) 一种刺绣机剪线装置
CN112760850A (zh) 一种刺绣机剪线装置、刺绣机剪线方法
JP2009207665A (ja) ミシン
JP2000317176A (ja) 縫目ほつれ防止装置
CN110117877A (zh) 一种去鸟巢机构
US4660485A (en) Rotating needle guard
US2372318A (en) Thread severing device for sewing machines
JP2017080315A (ja) 糸切機構とミシン
JP2006271476A (ja) ミシン
US1292008A (en) Trimming mechanism for sewing-machines.
CN109629132B (zh) 一种缝纫机上的剪线机构
JP5446014B2 (ja) ボタン付けミシンの糸切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