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3525A - 화상처리장치, 화상처리방법 및 그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화상처리장치, 화상처리방법 및 그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3525A
KR20080073525A KR1020070012238A KR20070012238A KR20080073525A KR 20080073525 A KR20080073525 A KR 20080073525A KR 1020070012238 A KR1020070012238 A KR 1020070012238A KR 20070012238 A KR20070012238 A KR 20070012238A KR 20080073525 A KR20080073525 A KR 200800735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ompensation
unit
image processing
dens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2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2202B1 (ko
Inventor
준 하세가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2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2202B1/ko
Priority to CN2008100095326A priority patent/CN101241329B/zh
Priority to US12/021,411 priority patent/US8134745B2/en
Priority to EP08101287.4A priority patent/EP1956827B1/en
Publication of KR20080073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35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2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22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0Picture signal circuits
    • H04N1/409Edge or detail enhancement; Noise or error suppression
    • H04N1/4092Edge or detail enhanc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acsimile Image Signal Circuit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Laser Beam Printer (AREA)
  • Record Information Processing For Prin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처리장치, 화상처리방법 및 그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화상처리장치는, 프린팅매체에 형성되는 화상의 화상데이터에 대하여 화상처리를 수행하는 화상처리부와; 화상을 이루는 복수의 화소 중 농도가 소정치 이상인 솔리드화소에 대하여 프린팅방향으로 나열되는 화소의 농도가 보상량만큼 증가되도록 화상데이터에 보상처리를 수행하는 보상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보다 적은 비용으로 에지효과에 의한 농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처리장치, 화상처리방법 및 그 기록매체{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에 의해 형성된 화상의 일례를 도시하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상처리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보상처리부의 보상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화상의 농도그래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증가계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얻은 계조별계수의 그래프를 도시하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보상처리부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화상처리장치 100a : 화상처리부
100b : 보상부 110 : RGB렌더링부
120 : RGB버퍼부 130 : CMYK변환부
140 : CMYK버퍼부 150 : 하프톤변환부
160 : 보상처리부 170 : 라인버퍼부
180 : 계수저장부 200 : 화상형성장치
본 발명은 화상처리장치, 화상처리방법 및 그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화상처리장치, 화상처리방법 및 그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레이저 프린터 등과 같은 화상형성장치는 화상데이터에 기초하여 용지 등의 프린팅매체에 화상을 형성한다. 화상형성장치는 화상데이터에 대하여 필요한 화상처리를 직접 수행하거나, 혹은 컴퓨터시스템과 같은 화상처리장치로부터 화상처리된 화상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에 의해 형성된 화상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1에서의 참조부호 11은 예컨대, 모노화상에서 블랙(black) 등과 같이 농도가 최대인 화소(이하, "솔리드화소"라고 한다)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12는 예컨대, 모노화상에서 그레이(grey)와 같이 농도가 최대가 아닌 화소(이하, "중간화소"라고 한다)를 나타낸다.
또한, 도 1에서의 참조부호 A는 화상(1)의 형성 시 주주사(main scan) 방향을 나타내며, 참조부호 B는 부주사(sub-scan) 방향(이하, "프린팅방향"이라 한다)을 나타낸다. 프린팅방향(B)은 화상(1)의 형성 시 화상(1)이 형성되는 프린팅매체 의 이송방향과 반대가 된다.
그런데, 종래기술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에 의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솔리드화소(11)의 주위에 중간화소(12)가 인접하는 경우, 솔리드화소(11)에 대하여 프린팅방향(B)으로 나열되는 중간화소(12)에는, 이른바, 에지효과에 의해 의도하지 않은 농도의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도 1의 참조부호 13 참조(이하, "농도저하화소"라고 한다).
만일, 현상(development) 전압의 조정만으로 이러한 농도 저하를 방지할 수 없는 경우에는, 농도 저하의 방지를 위하여 화상형성장치의 기구적 부품, 광학계, 현상 방식 등의 큰 변경이 필요한데, 이는 비용의 상승, 제조상의 곤란 등을 야기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에지효과에 의한 농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화상처리장치, 화상처리방법 및 그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다 적은 비용으로 에지효과에 의한 농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화상처리장치, 화상처리방법 및 그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화상처리장치에 있어서, 프린팅매체에 형성되는 화상의 화상데이터에 대하여 화상처리를 수행하는 화상처리부와; 상 기 화상을 이루는 복수의 화소 중 농도가 소정치 이상인 솔리드화소에 대하여 프린팅방향으로 나열되는 화소의 농도가 보상량만큼 증가되도록 상기 화상데이터에 보상처리를 수행하는 보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보상량은 상기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의해 형성된 테스트화상의 농도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보상량은 상기 프린팅방향으로 연속하는 상기 솔리드화소의 수에 대응하여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연속하는 솔리드화소의 수는 소정치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보상량은 상기 프린팅매체의 이송방향으로 지수함수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상기 보상부는, 상기 화상의 라인 단위로 상기 화상데이터의 보상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솔리드화소의 농도는 최대값일 수 있다.
상기 화상은 C, M, Y 및 K의 컬러를 가지며, 상기 보상부는 K에 대응하는 상기 화상데이터에 대하여 보상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화상처리방법에 있어서, 화상데이터에 기초하여 프린팅매체에 형성되는 화상을 이루는 복수의 화소 중 농도가 소정치 이상인 솔리드화소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화소 중 상기 결정된 솔리드화소에 대하여 프린팅방향으로 나열되는 화소의 농도가 보상량만큼 증가되도록 상기 화상데이터에 보상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보상처리를 수행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화상의 라인 단위로 상기 화상데이터의 보상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화상은 C, M, Y 및 K의 컬러를 가지며, 상기 보상처리를 수행하는 단계에서는, K에 대응하는 상기 화상데이터에 대하여 보상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화상처리방법을 수행하는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화상처리방법은, 화상데이터에 기초하여 프린팅매체에 형성되는 화상을 이루는 복수의 화소 중 농도가 소정치 이상인 솔리드화소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화소 중 상기 결정된 솔리드화소에 대하여 프린팅방향으로 나열되는 화소의 농도가 보상량만큼 증가되도록 상기 화상데이터에 보상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상처리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화상처리장치(100)는 텍스트, 그림, 사진 등과 같은 화상의 화상데이터에 화상형성장치(200)에 대응하는 화상처리를 수행하여 화상처리된 화상데이터를 화상형성장치(200)에 전송한다. 화상처리장치(100)는 컴퓨터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200)는 레이저프린터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화상처리장치(100)로부터 전송된 화상데이터에 기초하여 용지 등의 프린팅매체에 화상을 형성한다.
화상처리장치(100)는 화상데이터에 대하여 화상처리를 수행하는 화상처리부(100a)와, 화상데이터에 대하여 보상처리를 수행하는 보상부(100b)를 포함한다.
화상처리부(100a)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RGB렌더링부(110)와, RGB버퍼부(120)와, CMYK변환부(130)와, CMYK버퍼부(140)와, 하프톤처리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RGB렌더링부(110)는 인쇄 대상인 문서, 그림 등의 원본데이터에 기초하여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된 렌더링커맨드에 따라 RGB버퍼부(120)에 렌더링을 수행한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은 렌더링의 종류, 프린팅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 정보, 렌더링색 등을 포함하는 렌더링정보를 제공한다.
CMYK변환부(130)는 RGB렌더링부(110)에 의해 렌더링되어 RGB버퍼부(120)에 저장된 RGB데이터에 대하여 CMYK변환처리를 수행한다. CMYK변환은 RGB값으로 표현되는 색상을 CMYK 4색의 토너로 표현하기 위한 변환이다. CMYK의 농도를 나타내기 위해서 각 색마다 8비트, 즉 256 계조가 이용될 수 있다.
CMYK버퍼부(140)는 CMYK변환부(130)에 의해 변환된 CMYK데이터가 저장된다. CMYK버퍼부(140)는 CMY데이터가 저장되는 CMY버퍼부(141)와, K데이터가 저장되는 K버퍼부(142)를 포함한다.
하프톤처리부(150)는 CMY버퍼부(141)에 저장된 CMY데이터와, 보상부(100b)에 의해 보상처리되어 K버퍼부(142)에 저장된 K데이터에 대하여 하프톤처리를 수행한다. 화상형성장치(200)는 하프톤처리부(150)에 의해 하프톤처리된 화상데이터에 기초하여 화상을 형성한다.
보상부(100b)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상처리부(160)와, 라인버퍼부(170)와, 계수저장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보상처리부(160)는 K버퍼부(142)에 저장된 K데이터에 대하여 에지 효과에 의한 농도 저하를 보상하는 보상처리를 수행한다. 도 3은 보상처리부(160)의 보상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화상의 농도그래프이다.
도 3에서의 참조부호 31은 K데이터에 대응하는 화상의 복수의 화소 중에서 블랙인 솔리드화소(이하, "솔리드블랙"이라 한다)의 농도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32는 그레이와 같은 중간화소의 농도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33은 중간화소(32)의 화상 형성 시 에지 효과에 의해 농도가 저하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상처리부(160)는 농도 저하(33)를 예상하여 중간화소(32)의 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도 3의 참조부호 34) 보상처리를 수행한다. 즉, 보상처리부(160)에 보상처리에 의해 중간화소(32)의 농도 저하가 상쇄된다.
라인버퍼부(170)는 K버퍼부(142)에 저장된 K데이터의 보상처리에 필요한 변수가 임시 저장된다. 라인버퍼부(170)는 K데이터에 대응하는 화상의 주주사방향(도 1의 A 참조. 이하, x방향이라고도 한다)의 화소수와 동일한 개수의 변수 배열을 가진다. 라인버퍼부(170)에 저장되는 변수는 부호 없는 8비트 정수일 수 있다.
계수저장부(180)에는 계조별계수(181)와, 증가계수(182)와, 감소계수(183)가 저장된다.
감소계수(181)는 솔리드블랙(31)의 에지 효과에 의한 프린팅방향으로의 농도 저하의 영향 범위를 나타내는 보상량 결정인자이다. 도 3의 참조부호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소계수(181)는 보상량이 지수함수적으로 감소하도록 결정될 수 있다.
증가계수(182)는 1개의 솔리드블랙(31)이 일으키는 농도 저하의 정도에 대응하는 보상량 결정인자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의한 증가계수(182)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솔리드블랙(41a), 제2솔리드블랙(41b) 및 제3솔리드블랙(41c)에 대응하여 제1중간화소(42a), 제2중간화소(42b) 및 제3중간화소(42c)에 농도 저하가 발생한다.
제2솔리드블랙(41b)은 제1솔리드블랙(41a)에 비하여 프린팅방향(B)으로의 폭이 크다. 즉, 제2솔리드블랙(41b)은 제1솔리드블랙(41a)에 비하여 프린팅방향(B)으로의 연속되는 화소 수가 많다.
이에 대응하여, 제2중간화소(42b)에서의 농도 저하의 정도는 제1중간화소(42a)에 비하여 크다. 결과적으로, 프린팅방향(B)으로의 농도 저하의 영향 범위도 커진다. 이와 같이, 증가계수(182)는 솔리드블랙의 프린팅방향(B)으로의 폭이 커질수록, 그 농도 저하가 커지는 현상을 보상량에 반영한다.
다만, 솔리드블랙(31)의 프린팅방향(B)으로의 폭이 한계치 이상을 넘어서면, 농도 저하도 더 이상 커지지 않는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솔리드블랙(41c)은 제2솔리드블랙(41b)보다 프린팅방향(B)으로의 폭은 크지만, 제2중간화소(42b)와 제3중간화소(42c)에서의 농도 저하의 크기는 거의 동일하다. 예컨 대, 솔리드블랙(31)의 프린팅방향(B)으로의 폭의 한계치는 약 25라인 정도일 수 있다.
계조별계수(183)는 중간화소(32)의 계조에 따른 엣지 효과에 의한 농도 저하의 정도를 나타내는 보상량 결정인자이다. 계조별계수(183)는 각 계조별로 마련될 수 있는데, 예컨대, 256계조의 경우, 각 계조에 대응하는 256개의 계조별계수(183)가 저장될 수 있다.
계조별계수(183)는 화상형성장치(200)의 특성에 따라 미리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솔리드블랙(31)과, 소정의 농도를 가진 중간화소(32)로 이루어진 테스트화상을 화상형성장치(200)에 의해 미리 형성하고, 형성된 테스트화상의 농도 저하를 분석하여 얻은 최대보상량을 당해 농도에 대한 계조별계수(183)로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블랙과 화이트를 제외한 4개 혹은 5개의 샘플링된 농도에 대응하는 계조별계수(183)를 테스트화상으로부터 얻은 다음, 얻은 계조별계수(183)를 보간(interpolation)함으로써 0 에서 255까지의 계조에 대응하는 256개의 계조별계수(183)를 결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라 얻은 계조별계수(183)의 그래프(50)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보상처리부(160)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에서, x 및 y는 화소의 x좌표값(주주사방향에 대응) 및 y좌표값(프린팅방향에 대응)을 나타내며, BUF[x]는 라인버퍼부(170)에 저장되는 변수로서 x에 대응하는 값을 나타낸다. val[x,y]는 K버퍼부(142)에 저장된 K데이터에 있어서 x 및 y에 대응하는 화소의 계조를 나타낸다.
ATT는 감소계수(181), INC는 증가계수(182)를 각각 나타내며, ARY[val[x,y]]는 val[x,y]에 대응하는 계조별계수(183)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 ATT는 0.1, INC는 10 정도일 수 있다. IMG[x,y]는 K버퍼부(142)에 저장된 K데이터를 나타내며, WK는 IMG[x,y]에 대한 보상량을 나타낸다.
보상처리부(160)는 K버퍼부(142)에 저장된 K데이터에 대하여 프린팅방향(B)을 따라 라인 단위로 보상처리를 수행한다. 즉, 보상처리부(160)는 y좌표에 관하여 순차적으로1라인마다의 보상처리의 결과에 따라 IMG[x,y]를 갱신한다. x좌표에 있어서, 본 실시예서는 x좌표에 따라 순차적으로 처리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다만, x좌표에 있어서의 처리순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먼저, 보상처리부(160)는 x, y 및 BUF[x]를 모두 0으로 초기화한다(S101). 다음으로, 보상처리부(160)는 K버퍼부(142)에 저장된 K데이터의 화소 중에서 x=0 및 y=0인 화소의 val[x,y]가 0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102). 즉, 단계S102에서는, 당해 화소가 농도의 최대치에 대응하는 계조를 가지는 솔리드블랙(도 3의 31 참조)인지 여부가 판별된다.
단계S102에서의 확인 결과, val[x,y]가 0이면, 즉, 당해 화소가 솔리드블랙(31)이면, 보상처리부(160)는 대응하는 BUF[x]를 증가계수(182)인 INC만큼 증가시킨다(S103).
만일, 단계S102에서의 확인 결과, val[x,y]가 0이 아닌 경우에는, 보상처리부(160)는 BUF[x]에 계조별계수(183)인 ARY[val[x,y]]를 곱하여 보상량(WK)을 산출 한다(S104).
다음으로, 보상처리부(160)는 K버퍼부(142)에 저장된 K데이터인 IMG[x,y]에서 단계S104에서 산출된 보상량(WK)을 감산하여 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저하될 농도를 보상한다(S105).
다음으로, 보상처리부(160)는 BUF[x]에 감소계수(181)인 ATT를 곱한 값을 BUF[x]에서 감산함으로써 농도 저하의 정도를 지수함수적으로 감소시킨다(S106).
다음으로, 보상처리부(160)는 단계S103 또는 단계S104의 수행에 의한 BUF[x]의 오버플로우(overflow)를 막기 위하여, BUF[x]가 8비트인 경우 0 내지 255의 범위에 있도록 포화 처리를 수행한다(S107).
다음으로, 보상처리부(160)는 당해 라인에 대한 보상처리가 완료되었는지 여부, 즉 당해 라인의 모든 x에 관하여 보상처리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108). 단계S108에서의 확인 결과, 당해 라인에 대한 보상처리가 아직 완료되지 않은 경우, 보상처리부(160)는 x를 1 증가시키고(S109), 단계S102를 수행한다.
만일, 단계S108에서의 확인 결과, 당해 라인에 대한 보상처리가 완료된 경우, 보상처리부(160)는 K버퍼부(142)에 저장된 K데이터의 화상의 모든 라인에 대한 보상처리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110). 즉, 단계S110에서는, 당해 화상의 모든 y에 관하여 보상처리가 완료되었는지 여부가 확인된다.
단계S110에서의 확인 결과, 모든 라인에 대한 보상처리가 아직 완료되지 않은 경우, 보상처리부(160)는 x 및 BUF[x]를 0으로 초기화시키고, y를 1 증가시킨 다음(S111), 단계S102를 수행한다.
본 실시예의 보상처리부(160)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로서, 보상처리부(160)는 소프트웨어인 컴퓨터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비휘발성메모리(도시 안됨)와, 비휘발성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이 로딩되는 RAM(도시 안됨)과, RAM에 로딩된 컴퓨터프로그램을 실행하는 CPU(도시 안됨)를 포함할 수 있다. 비휘발성메모리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 플래쉬메모리 및 ROM을 포함한다. 비휘발성메모리는 본 발명의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의 일례이다.
컴퓨터프로그램은 CPU가 도 6에 도시된 단계S101 내지 단계S111과 같은 보상처리부(160)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실행코드를 포함한다. 컴퓨터프로그램은 컴퓨터시스템과 같은 화상처리장치(100)에 구비된 운영체계(operating system) 또는 어플리케이션과 화상형성장치(200)를 인터페이스하는 소프트웨어로서 이른바, 프린터드라이버에 포함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서 보상처리는 K데이터에 대하여만 수행되었으나, 본 발명의 보상처리는 CMY데이터에 대하여도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컬러 화상의 보상처리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모노 화상의 처리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보상처리는 화상처리장치(100)에 의해 구현되는 것을 설 명하였으나, 보상처리는 화상형성장치(200)에 의해서도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보상처리를 수행하는 화상형성장치(200)는 본 발명의 화상처리장치에 포함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에지효과에 의한 농도 저하를 예상하여 대응하는 화소의 농도를 미리 보상함으로써 에지효과에 의한 농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화상처리장치, 화상처리방법 및 그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기구적인 변경이 아닌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으로 보다 적은 비용으로 에지효과에 의한 농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7)

  1. 화상처리장치에 있어서,
    프린팅매체에 형성되는 화상의 화상데이터에 대하여 화상처리를 수행하는 화상처리부와;
    상기 화상을 이루는 복수의 화소 중 농도가 소정치 이상인 솔리드화소에 대하여 프린팅방향으로 나열되는 화소의 농도가 보상량만큼 증가되도록 상기 화상데이터에 보상처리를 수행하는 보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량은 상기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의해 형성된 테스트화상의 농도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량은 상기 프린팅방향으로 연속하는 상기 솔리드화소의 수에 대응하여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하는 솔리드화소의 수는 소정치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량은 상기 프린팅매체의 이송방향으로 지수함수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부는, 상기 화상의 라인 단위로 상기 화상데이터의 보상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솔리드화소의 농도는 최대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화상은 C, M, Y 및 K의 컬러를 가지며,
    상기 보상부는 K에 대응하는 상기 화상데이터에 대하여 보상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9. 화상처리방법에 있어서,
    화상데이터에 기초하여 프린팅매체에 형성되는 화상을 이루는 복수의 화소 중 농도가 소정치 이상인 솔리드화소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화소 중 상기 결정된 솔리드화소에 대하여 프린팅방향으로 나열되는 화소의 농도가 보상량만큼 증가되도록 상기 화상데이터에 보상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량은 상기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의해 형성된 테스트화상의 농도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량은 상기 프린팅방향으로 연속하는 상기 솔리드화소의 수에 대응하여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하는 솔리드화소의 수는 소정치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량은 상기 프린팅방향으로 지수함수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처리를 수행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화상의 라인 단위로 상기 화상데이터의 보상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
  15. 제9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솔리드화소의 농도는 최대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
  16. 제9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화상은 C, M, Y 및 K의 컬러를 가지며,
    상기 보상처리를 수행하는 단계에서는, K에 대응하는 상기 화상데이터에 대하여 보상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
  17.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화상처리방법을 수행하는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화상처리방법은,
    화상데이터에 기초하여 프린팅매체에 형성되는 화상을 이루는 복수의 화소 중 농도가 소정치 이상인 솔리드화소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화소 중 상기 결정된 솔리드화소에 대하여 프린팅방향으로 나열되는 화소의 농도가 보상량만큼 증가되도록 상기 화상데이터에 보상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0070012238A 2007-02-06 2007-02-06 화상처리장치, 화상처리방법 및 그 기록매체 KR101062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2238A KR101062202B1 (ko) 2007-02-06 2007-02-06 화상처리장치, 화상처리방법 및 그 기록매체
CN2008100095326A CN101241329B (zh) 2007-02-06 2008-01-17 图像处理装置、图像处理方法及其计算机可读记录介质
US12/021,411 US8134745B2 (en) 2007-02-06 2008-01-29 Image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compensation unit performing compensation in a printing direction and image processing method performing compensation in a printing direction thereof
EP08101287.4A EP1956827B1 (en) 2007-02-06 2008-02-05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2238A KR101062202B1 (ko) 2007-02-06 2007-02-06 화상처리장치, 화상처리방법 및 그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3525A true KR20080073525A (ko) 2008-08-11
KR101062202B1 KR101062202B1 (ko) 2011-09-05

Family

ID=39404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2238A KR101062202B1 (ko) 2007-02-06 2007-02-06 화상처리장치, 화상처리방법 및 그 기록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134745B2 (ko)
EP (1) EP1956827B1 (ko)
KR (1) KR101062202B1 (ko)
CN (1) CN10124132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24632B2 (ja) * 2008-09-19 2012-09-12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1574068B1 (ko) * 2008-12-26 2015-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처리 방법 및 장치
JP6270597B2 (ja) * 2014-04-04 2018-01-3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102287907B1 (ko) * 2015-06-22 2021-08-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의 열화 보상기
JP6890771B2 (ja) * 2017-12-28 2021-06-18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及び画像形成プログラム
JP6890772B2 (ja) * 2018-01-19 2021-06-18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及び画像形成プログラム
JP6819889B2 (ja) * 2018-01-23 2021-01-27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及び画像形成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60809A (en) * 1988-08-31 1993-11-09 Nippon Seimitsu Kogyo Kabushiki Kaisha Shading-compensation method and device in image processing
JPH07290736A (ja) 1994-04-21 1995-11-07 Casio Comput Co Ltd カラー印刷における黒階調補正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0965142A (ja) 1995-08-25 1997-03-07 Ricoh Co Ltd カラー印刷制御装置
JP3242015B2 (ja) * 1996-12-28 2001-12-2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5990965A (en) * 1997-09-29 1999-11-23 S3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simultaneous flicker filtering and overscan compensation
GB2338075B (en) * 1998-03-24 2001-12-12 Hewlett Packard Co Color plane under exposure for reducing edge effect
US7085003B1 (en) * 1999-09-02 2006-08-01 Xerox Corporation Fringe field tailoring with sub-pixel patterns for improved print quality
US7102784B1 (en) * 1999-12-06 2006-09-05 Xerox Corporation Method of selective edge softening and rendering for the suppression of halo
US6760126B1 (en) * 2000-06-20 2004-07-0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daptive halftoning method and apparatus
JP4150844B2 (ja) * 2001-07-05 2008-09-17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2003224723A (ja) 2002-01-29 2003-08-08 Ricoh Co Ltd カラー画像出力装置のカラーキャリブレーション方式、およびそれを備えたカラー画像出力装置
JP2004193876A (ja) * 2002-12-10 2004-07-08 Canon Inc 画像処理方法
TWI226198B (en) * 2003-08-08 2005-01-01 Lite On It Corp Method of buffer management in video enco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187216A1 (en) 2008-08-07
EP1956827A2 (en) 2008-08-13
EP1956827A3 (en) 2009-03-18
EP1956827B1 (en) 2013-05-22
CN101241329B (zh) 2011-10-12
KR101062202B1 (ko) 2011-09-05
CN101241329A (zh) 2008-08-13
US8134745B2 (en) 2012-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2202B1 (ko) 화상처리장치, 화상처리방법 및 그 기록매체
US770602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JP3520550B2 (ja) カラー画像処理システムおよびそのデータ補正方式
JP5765912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1223865B1 (ko)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US20080218803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US9967429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US20100171970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JP3992789B2 (ja) 入力画像変換方法及び画素値量子化方法
JP2011172027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5013805B2 (ja) プロセッサ読取可能記憶媒体
JP5854066B2 (ja) 色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8000544B2 (en) Image processing method,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US7480078B2 (en)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multi-pixel parallel error diffusion enabling high-speed diffusion processing without increasing the system clock rate
JP4650500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2006287623A (ja) 入力画像補正装置、画像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入力画像補正方法、入力画像補正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1040489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for outputting a halftone image and image forming method
JP4765833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3868441B2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及びカラー画像形成方法
JP4259410B2 (ja) 画像処理装置
JP2005039483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
JP2010141701A (ja)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4274048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208771B2 (ja) 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0438734B1 (ko) 디지털 컬러 프린터의 이치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