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2529A - 표시 제어 장치 및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표시 제어 장치 및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2529A
KR20080072529A KR1020080004231A KR20080004231A KR20080072529A KR 20080072529 A KR20080072529 A KR 20080072529A KR 1020080004231 A KR1020080004231 A KR 1020080004231A KR 20080004231 A KR20080004231 A KR 20080004231A KR 20080072529 A KR20080072529 A KR 200800725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folder
display
attribute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4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9082B1 (ko
Inventor
카츠로 마츠자키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72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2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9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90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7Server based end-user applications
    • H04N21/274Storing end-user multimedia data in response to end-user request, e.g. network recorder
    • H04N21/2747Remote storage of video programs received via the downstream path, e.g. from the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5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1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disks or dr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07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static stores, e.g. storage tubes or semiconductor 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7921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for more than one processing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 H04N9/8047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using transform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6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with processing of the sound signal
    • H04N9/8063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with processing of the sound signal using time division multiplex of the PCM audio and PCM video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20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20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 H04N9/8227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the additional signal being at least another television signal

Abstract

과제
조작성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해결 수단
종류 선택부(61)는, 유저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14)의 조작에 따라, 파일의 종류를 선택하고, 수신 제어부(62)는, 네트워크(12)에 접속된 다른 기기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폴더에 부여된 속성으로서, 폴더에 격납된 파일의 종류를 나타내는 속성의 정보인 파일 속성 정0보의 수신을 제어하고, 속성 판정부(63)는, 파일 속성 정보에 의거하여, 폴더에, 선택된 종류의 속성이 부여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표시 제어부(64)는, 폴더에, 선택된 종류의 속성이 부여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폴더의 표시가 억제되도록, 일람의 표시를 제어함으로써,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텔레비전 수상기에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 제어 장치 및 방법, 및 프로그램{DISPLAY CONTROL DEVICE, METHOD, AND PROGRAM}
본 발명은, 표시 제어 장치 및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표시 제어 장치 및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전 수상기의 네트워크 대응 기술은, 최근에 겨우 일반화된 상황이고, 네트워크에 접속된 다른 기기와의 사이에서의, GUI(Graphical User Interface)나 조작성에 관해서는, 그다지 축적된 종래 기술은 없다.
일반적으로, 네트워크의 서버에는, 전용의 서버나 퍼스널컴퓨터가 사용된다. 퍼스널컴퓨터에는, 고해상도의 모니터, 키보드, 마우스라는 고기능의 유저 인터페이스가 구비되어 있다. 퍼스널컴퓨터에서는, 이들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조작시키는데, 예를 들면, 이른바, 「드래그 앤드 드롭」이나 「시프트 클릭」 등의 동작이 정의되어 있고, 다수의 파일이나 폴더에 대한 동시 조작이나, 선택 동작, 키보드를 이용한 검색 작업 등이 용이하게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근래, 하드 디스크 등의 기록 매체의 용량의 증가나, 디지털 카메라, 포터블 오디오 기기 등의 보급에 수반하여, 이들의 서버 등의 기기에 축적되는, 예를 들면, 정지화상 파일, 동화상 파일, 또는 음성 파일 등의 수량도 증가의 일로를 걷고 있다.
또한, 본 출원인은, 네트워크에 접속된 기기로부터 컨텐츠의 메타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메타 정보를 리모트 컨트롤러에 송신한 메타 정보 서버를 먼저 제안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참조).
특허문헌1 : 일본 특개2006-227843호 공보
그러나, 텔레비전 수상기는, 방송의 디지털화, 고선명화, 인터넷 대응 등의 기능은 진화하고 있지만, 유저 인터페이스로서는, 한 손으로 조작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있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기기 조작을 행하고, 그것에 대한 응답을 화면상에 표시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그 때문에, 누구라도 간단하게 조작할 수 있는 반면, 조작성이 제한되어 버리는 일이 있고, 특히, 다수의 컨텐츠에 대한 조작성은, 퍼스널컴퓨터에 비하여 뒤떨어져 있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1에서는, 메타 정보 서버에 의해, 네트워크에 접속된 기기에 축적되어 있는 컨텐츠의 메타 정보를 일원 관리함으로써, 네트워크상에서 이용 가능한 컨텐츠의 일람성을 확보하고 있지만, 네트워크상에 다수의 컨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그들의 컨텐츠 중에서 소망하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것이 곤란해질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이, 특허문헌1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소망하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조작을 행하는 것이 곤란해진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텔레비전 수상기를 조작하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그대로, 화면에 표시되는 정보를 변경함으로써,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측면의 표시 제어 장치는, 유저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의 조 작에 따라, 네트워크에 접속된 다른 기기에 축적된 컨텐츠의 파일 및 상기 파일을 격납하는 계층의 폴더의 일람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저에 의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의 조작에 따라, 상기 파일의 종류를 선택하는 종류 선택 수단과, 상기 다른 기기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상기 폴더에 부여된 속성으로서, 상기 폴더에 격납된 상기 파일의 종류를 나타내는 상기 속성의 정보인 파일 속성 정보의 수신을 제어하는 수신 제어 수단과, 상기 파일 속성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폴더에, 선택된 상기 종류의 속성이 부여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속성 판정 수단과, 상기 폴더에, 선택된 상기 종류의 속성이 부여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상기 폴더의 표시가 억제되도록, 상기 일람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네트워크란, 적어도 2개의 장치가 접속되고, 어떤 장치로부터, 다른 장치에 대해, 정보의 전달을 할 수 있도록 한 구조를 말한다.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하는 장치는, 독립한 장치끼리라도 좋고, 하나의 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내부 블록끼리라도 좋다.
또한, 통신이란, 무선 통신 및 유선 통신은 물론, 무선 통신과 유선 통신이 혼재한 통신, 즉, 어떤 구간에서는 무선 통신이 행하여지고, 다른 구간에서는 유선 통신이 행하여지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어떤 장치로부터 다른 장치에의 통신이 유선 통신으로 행하여지고, 다른 장치로부터 어떤 장치에의 통신이 무선 통신으로 행하여지는 것이라도 좋다.
상기 속성 판정 수단에는, 상기 파일의 종류가 선택된 상기 종류와 일치하는 지의 여부를 판정시키고, 상기 표시 제어 수단에는, 상기 파일의 종류가 선택된 상기 종류와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 상기 파일의 표시가 억제되도록, 상기 일람의 표시를 제어시킬 수 있다.
상기 속성 판정 수단에는, 상기 다른 기기에, 선택된 상기 종류와 일치하는 종류의 파일이 기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시키고, 상기 표시 제어 수단에는, 상기 다른 기기에, 선택된 상기 종류와 일치하는 종류의 파일이 기록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상기 다른 기기의 표시가 억제되도록, 상기 기기의 일람의 표시를 제어시킬 수 있다.
상기 컨텐츠는, 정지화상, 동화상, 또는 음성의 파일과 같이 할 수 있다.
상기 다른 기기는, DLNA의 사양에 대응한 기기와 같이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측면의 표시 제어 방법은, 유저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의 조작에 따라, 네트워크에 접속된 다른 기기에 축적된 컨텐츠의 파일 및 상기 파일을 격납하는 계층의 폴더의 일람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장치의 표시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저에 의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의 조작에 따라, 상기 파일의 종류를 선택하고, 상기 다른 기기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상기 폴더에 부여된 속성으로서, 상기 파일의 종류를 나타내는 상기 속성의 정보인 파일 속성 정보의 수신을 제어하고, 상기 파일 속성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폴더에, 선택된 상기 종류의 속성이 부여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폴더에, 선택된 상기 종류의 속성이 부여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상기 폴더의 표시가 억제되도록, 상기 일람의 표시를 제어하는 스텝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의 프로그램은, 유저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의 조작에 따라, 네트워크에 접속된 다른 기기에 축적된 컨텐츠의 파일 및 상기 파일을 격납하는 계층의 폴더의 일람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처리를, 컴퓨터에 행하게 하는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유저에 의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의 조작에 따라, 상기 파일의 종류를 선택하고, 상기 다른 기기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상기 폴더에 부여된 속성으로서, 상기 파일의 종류를 나타내는 상기 속성의 정보인 파일 속성 정보의 수신을 제어하고, 상기 파일 속성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폴더에, 선택된 상기 종류의 속성이 부여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폴더에, 선택된 상기 종류의 속성이 부여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상기 폴더의 표시가 억제되도록, 상기 일람의 표시를 제어하는 스텝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는, 유저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의 조작에 따라, 파일의 종류가 선택되고, 다른 기기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폴더에 부여된 속성으로서, 폴더에 격납된 파일의 종류를 나타내는 속성의 정보인 파일 속성 정보의 수신이 제어되고, 파일 속성 정보에 의거하여, 폴더에, 선택된 종류의 속성이 부여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판정되고, 폴더에, 선택된 종류의 속성이 부여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폴더의 표시가 억제되도록, 일람의 표시가 제어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한 측면에 의하면,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구성 요건과, 명세 서 또는 도면에 기재된 실시의 형태와의 대응 관계를 예시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 이 기재는, 본 발명을 서포트하는 실시의 형태가, 명세서 또는 도면에 기재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명세서 또는 도면중에는 기재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구성 요건에 대응하는 실시의 형태로서, 여기에는 기재되지 않은 실시의 형태가 있었다고 하더라도, 그것은, 그 실시의 형태가, 그 구성 요건에 대응하는 것이 아닌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역으로, 실시의 형태가 구성 요건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여기에 기재되어 있다고 하여도, 그것은, 그 실시의 형태가, 그 구성 요건 이외의 구성 요건에는 대응하지 않는 것을 의미하는 것도 아니다.
본 발명의 한 측면의 표시 제어 장치는, 유저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예를 들면, 도 3의 리모트 컨트롤러(14))의 조작에 따라, 네트워크(예를 들면, 도 1의 네트워크(12))에 접속된 다른 기기(예를 들면, 도 1의 서버(131 내지 13n))에 축적된 컨텐츠의 파일 및 상기 파일을 격납하는 계층의 폴더의 일람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장치(예를 들면, 도 3의 텔레비전 수상기(11))에 있어서, 상기 유저에 의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의 조작에 따라, 상기 파일의 종류(예를 들면, 정지화상, 동화상, 음성 등의 종류)를 선택하는 종류 선택 수단(예를 들면, 도 3의 종류 선택부(61))과, 상기 다른 기기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상기 폴더에 부여된 속성으로서, 상기 폴더에 격납된 상기 파일의 종류를 나타내는 상기 속성의 정보인 파일 속성 정보의 수신을 제어하는 수신 제어 수단(예를 들면, 도 3의 수신 제어부(62))과, 상기 파일 속성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폴더에, 선택된 상기 종류의 속성이 부 여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속성 판정 수단(예를 들면, 도 3의 속성 판정부(63))과, 상기 폴더에, 선택된 상기 종류의 속성이 부여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상기 폴더의 표시가 억제되도록, 상기 일람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수단(예를 들면, 도 3의 표시 제어부(64))을 구비한다.
상기 속성 판정 수단은, 상기 파일의 종류가 선택된 상기 종류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예를 들면, 도 10의 스텝 S55의 처리),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파일의 종류가 선택된 상기 종류와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 상기 파일의 표시가 억제되도록, 상기 일람의 표시를 제어할(예를 들면, 도 10의 스텝 S54의 처리) 수 있다.
상기 속성 판정 수단은, 상기 다른 기기에, 선택된 상기 종류와 일치하는 종류의 파일이 기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예를 들면, 도 8의 스텝 S32의 처리),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다른 기기에, 선택된 상기 종류와 일치하는 종류의 파일이 기록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상기 다른 기기의 표시가 억제되도록, 상기 기기의 일람의 표시를 제어할(예를 들면, 도 8의 스텝 S33의 처리)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측면의 표시 제어 방법 또는 프로그램은, 유저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의 조작에 따라, 네트워크에 접속된 다른 기기에 축적된 컨텐츠의 파일 및 상기 파일을 격납하는 계층의 폴더의 일람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장치의 표시 제어 방법에 있어서, 또는 유저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의 조작에 따라, 네트워크에 접속된 다른 기기에 축적된 컨텐츠의 파일 및 상기 파일을 격납하는 계층의 폴더의 일람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처리를, 컴퓨터에 행하게 하는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유저에 의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의 조작에 따라, 상기 파일의 종류를 선택하고(예를 들면, 도 6의 스텝 S12의 처리), 상기 다른 기기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상기 폴더에 부여된 속성으로서, 상기 파일의 종류를 나타내는 상기 속성의 정보인 파일 속성 정보의 수신을 제어하고(예를 들면, 도 6의 스텝 S13의 처리), 상기 파일 속성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폴더에, 선택된 상기 종류의 속성이 부여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예를 들면, 도 10의 스텝 S53의 처리), 상기 폴더에, 선택된 상기 종류의 속성이 부여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상기 폴더의 표시가 억제되도록, 상기 일람의 표시를 제어하는(예를 들면, 도 10의 스텝 S54의 처리) 스텝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의 프로그램은, 기록 매체(예를 들면, 도 2의 리무버블 미디어(31))에 기록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네트워크 시스템(1)의 한 실시의 형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 네트워크 시스템(1)에서는, 네트워크(12)에, 텔레비전 수상기(11) 및 서버(131 내지 13n)(n은 자연수)가 접속되어 있다.
텔레비전 수상기(11)는, 예를 들면, LCD(Liquid Crystal Display)나 PDP(Plasma Display Panel) 등의 표시 장치를 갖는 텔레비전 수상기(이른바 박형 텔레비전)이다. 텔레비전 수상기(11)는, 예를 들면, 디지털 방송(예를 들면, 지상 디지털 방송이나, BS(Broadcasting Satellite)/CS(Communication Satellite) 디지털 방송 등) 수신용의 안테나로부터의 신호나, 지상 아날로그 방송 수신용의 안테나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한 화상을 화면에 표시한다.
또한, 텔레비전 수상기(11)는, 서버(131 내지 13n)에 축적되어 있는 컨텐츠를 취득하기 위한 요구(이하, 컨텐츠 요구라고 칭한다)를, 네트워크(12)를 통하여, 서버(131 내지 13n)에 송신한다. 그리고, 텔레비전 수상기(11)는, 컨텐츠 요구에 응하여, 서버(131 내지 13n)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컨텐츠 또는 컨텐츠에 관계되는 정보(이하, 컨텐츠 정보라고 칭한다)를 수신한다. 텔레비전 수상기(11)는, 수신한 컨텐츠를 재생한다.
또한, 컨텐츠는, 예를 들면, 정지화상 파일, 동화상 파일, 또는 음성 파일 등이다. 또한, 컨텐츠 정보는, 예를 들면, 서버(131 내지 13n) 등의 기기에 축적되어 있는 컨텐츠의 파일과, 파일을 격납하는 폴더의 디렉토리 구조를 나타내는 디렉토리 구조 정보 등이다.
네트워크(12)는, 예를 들면, 건물 내에 구축된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802.11a, 802.11b, 또는 802.11g 등의 규격에 준거한 무선 LAN(Local Area Network), 이서넷(상표) 등의 규격에 준거한 유선의 LAN, 또는 인터넷 등으로 이루어진다.
네트워크(12)는, 텔레비전 수상기(11)로부터 송신되는 컨텐츠 요구를 서 버(131 내지 13n)에 전송한다. 또한, 네트워크(12)는, 서버(131 내지 13n)로부터 송신되는 컨텐츠 또는 컨텐츠 정보를 텔레비전 수상기(11)에 전송한다.
서버(131)는, 예를 들면,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등의 사양에 대응한 전용의 서버, 퍼스널컴퓨터, 또는 하드 디스크 레코더 등의 기기이고, 주거 내에 설치되어 컨텐츠를 축적한다.
서버(131)는, 텔레비전 수상기(11)로부터의 컨텐츠 요구에 응하여, 네트워크(12)를 통하여, 자신이 축적하고 있는 컨텐츠 또는 컨텐츠 정보를 텔레비전 수상기(11)에 제공한다.
또한, 컨텐츠는, 예를 들면, 정지화상 파일, 동화상 파일, 또는 음성 파일 등의 파일로서 서버(131)에 축적된다. 서버(131)에서는, 그들의 파일과 파일을 격납하는 폴더가, 계층 구조를 이루어 축적된다.
서버(132 내지 13n)는, 서버(131)와 마찬가지로, 각각, 예를 들면, 전용의 서버 등이고, 텔레비전 수상기(11)로부터의 컨텐츠 요구에 응하여, 네트워크(12)를 통하여, 자신이 축적하고 있는 컨텐츠 또는 컨텐츠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도 1에서 도시되는 네트워크 시스템(1)의 예에서는, 텔레비전 수상기(11)가 1대 마련되어 있지만, 복수대의 텔레비전 수상기를 마련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이하, 서버(131 내지 13n)를 개별적으로 구별할 필요가 없을 때, 단지, 서버(13)라고 칭한다.
도 2는, 텔레비전 수상기(11)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텔레비전 수상기(11)는, 중앙 연산부(21), 메인 메모리(23), 튜너(24), 화상 처리부(25), 표시부(26), GUI(Graphical User Interface)용 프레임 버퍼(27), 통신부(28), 및 수광부(29)를 포함하도록 하여 구성된다. 중앙 연산부(21), 메인 메모리(23), 튜너(24), 화상 처리부(25), GUI용 프레임 버퍼(27), 통신부(28), 및 수광부(29)는 버스(22)를 통하여 상호 접속된다.
중앙 연산부(21)는, 예를 들면,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이고, 텔레비전 수상기(11)의 각 부분의 동작을 제어한다.
중앙 연산부(21)는, 메인 메모리(23)에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격납하고, 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또한, 중앙 연산부(21)는, 필요에 따라, 데이터를 메인 메모리(23)에 공급하거나, 메인 메모리(23)가 일시적으로 기억하고 있는 데이터를 취득한다.
튜너(24)는, 유저의 조작에 따른 수신하는 방송국의 지정에 따라, 안테나(도시 생략)에 의해 수신된 전파에 의한 방송파 신호를 복조하고,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취득한다. 튜너(24)는, 취득한 영상 신호를 화상 처리부(25)에 출력하고, 음성 신호를 음성 처리부(도시 생략)에 출력한다. 또한, 복조된 방송파 신호는, 일반적으로, 영상 신호 외에, 그 밖에, 음성 신호 등으로도 구성되지만, 여기서는, 설명을 간이하게 하기 위해, 영상 신호에 관해 설명한다.
화상 처리부(25)는, 튜너(24)로부터 공급된 영상 신호에 대해 디코드 처리를 시행한다. 화상 처리부(25)는, 디코드 처리에 의해 얻어진 영상 데이터에 대해, 예 를 들면, 노이즈 제거 등의 소정이 처리를 시행하고, 그것에 의해 얻어진 영상 데이터를 표시부(26)에 출력한다.
표시부(26)는, 예를 들면, LCD 또는 PDP 등으로 이루어지고, 화상 처리부(25)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방송프로그램의 영상 등을 표시한다.
또한, 중앙 연산부(21)는, 예를 들면, 각종의 아이콘 등의 표시부(26)에 표시시키는 GUI에 관계되는 정보(이하, GUI 정보라고 칭한다)를 생성하고, 생성한 GUI 정보를 GUI용 프레임 버퍼(27)에 공급한다. 이로써, 화상 처리부(25)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와, GUI용 프레임 버퍼(27)로부터 출력되는 GUI 정보가 중첩되고, 표시부(26)에 표시된다.
통신부(28)는, 예를 들면, IEEE802.11의 규격에 준거한 무선 LAN, 또는 이서넷(상표) 등의 규격에 준거한 유선 LAN의 인터페이스 등으로 구성되고, 네트워크(12)에 접속된, 예를 들면, 서버(131 내지 13n) 등의 다른 기기와 무선 또는 유선에 의해 상호 통신한다.
리모트 컨트롤러(14)는, 유저의 조작에 따라, 텔레비전 수상기(11)를 제어하기 위한 조작 커맨드를 생성하고, 생성한 조작 커맨드를 텔레비전 수상기(11)에 송신한다.
수광부(29)는, 리모트 컨트롤러(14)로부터의, 예를 들면, SIRCS(Serial Infrared Remote Control System) 등의 소정의 방식에 준거한 적외선을 수광하고, 그 적외선으로부터 복조하여 얻어지는 유저 조작의 내용을 나타내는 조작 커맨드를 중앙 연산부(21)에 공급한다.
중앙 연산부(21)는, 수광부(29)로부터의 조작 커맨드에 응한 각종의 처리를 실행한다.
버스(22)에 접속되어 있는 드라이브(30)는,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또는 반도체 메모리 등의 리무버블 미디어(31)가 장착된 때, 그것들을 구동하고, 거기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등을 취득한다. 취득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는, 필요에 따라 메인 메모리(23) 등에 전송되고, 기억된다.
또한, 중앙 연산부(21)에 실행시키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미리 텔레비전 수상기(11)에 인스톨하여 기억시켜 두는 외에, 리무버블 미디어(31)에 기록하여 두고, 패키지 미디어로서 유저에게 제공하여, 그 리무버블 미디어(31)로부터 텔레비전 수상기(11)에 인스톨할 수 있다. 또한, 중앙 연산부(21)에 실행시키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다운로드 사이트로부터, 텔레비전 수상기(11)에 직접 다운로드하고, 또는, 도시하지 않은 퍼스널컴퓨터로 다운로드하여, 텔레비전 수상기(11)에 공급하고, 텔레비전 수상기(11)에 인스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텔레비전 수상기(11)는, 표시부(26)를 마련하고 있다고 하여 설명하지만, 표시부(26)를 마련하지 않고, 영상을 외부의 표시 장치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장치로서 기능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경우, 예를 들면, 텔레비전 수상기(11)에는, 다른 텔레비전 수상기가 접속되고, 텔레비전 수상기(11)는, 컨텐츠 등의 데이터의 다른 텔레비전 수상기에의 표시를 제어한다.
또한, 튜너(24)로부터 출력된 음성 신호는, 예를 들면, 음성 처리부(도시 생략)에 의해 디코드 처리가 시행되고, 그것에 의해 얻어진 음성 데이터는, 스피커(도시 생략)로부터 출력된다.
또한, 텔레비전 수상기(11)의 하드웨어의 구성은, 도 2의 예로 한정되지 않고, 도 3의 기능적 구성을 적어도 갖고 있으면 좋다.
도 3은, 텔레비전 수상기(11)의 기능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또한, 도 3에서는, 도 2와 같은 개소에는, 동일한 부호가 붙어 있고, 처리가 같은 부분에 관해서는, 그 설명은 반복이 되기 때문에 생략한다.
제어부(51)는, 종류 선택부(61), 수신 제어부(62), 속성 판정부(63), 및 표시 제어부(64)를 포함하도록 하여 구성된다.
종류 선택부(61)는, 유저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14)의 조작에 따라, 예를 들면, 정지화상, 동화상, 또는 음성 등의 컨텐츠의 파일의 종류를 선택한다. 종류 선택부(61)는, 선택한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이하, 종류 정보라고 칭한다)를 속성 판정부(63)에 공급한다.
수신 제어부(62)는, 통신부(28)를 제어하여, 네트워크(12)에 접속된 기기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컨텐츠나 컨텐츠 정보 등의 각종의 데이터를 수신시킨다. 예를 들면, 수신 제어부(62)는, 통신부(28)를 제어하여, 네트워크(12)를 통하여 서버(13)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디렉토리 구조 정보를 수신시킨다. 수신 제어부(62)는, 수신한 디렉토리 구조 정보를 속성 판정부(63)에 공급한다.
여기서, 상세는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지만, 상기 컨텐츠 정보의 하나인, 디렉토리 구조 정보는, 네트워크(12)에 접속된 서버(13)에 기록되어 있는 컨텐츠의 파일과, 그들의 파일을 격납한 폴더의 계층 구조에 관한 정보이다. 디렉토리 구조 정보에는, 폴더마다 격납하고 있는 파일에 관한 속성(이하, 파일 속성 정보라고 칭한다)이 기술되어 있다.
즉, 폴더에는, 정지화상 파일, 동화상 파일, 또는 음성 파일 등의, 그 폴더가 격납하고 있는 파일에 대응하는 파일 속성 정보가 부여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정지화상 파일을 격납하는 폴더에는 「p」인 파일 속성 정보가 부여되고, 동화상 파일을 격납하는 폴더에는 「v」인 파일 속성 정보가 부여되고, 음성 파일을 격납하는 폴더에는 「m」인 파일 속성 정보가 부여된다. 환언하면, 파일 속성 정보는, 예를 들면, 「p」, 「v」, 「m」 등의, 각 폴더에 격납되는 파일의 종류에 따라 부여되는 플래그이다.
또한, 이 파일 속성 정보는, 폴더와 마찬가지로, 네트워크(12)에 접속된, 예를 들면, 서버(13) 등의 기기에도 부여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정지화상 파일을 기록하는 기기에는 「p」인 파일 속성 정보가 부여되고, 동화상 파일을 기록하는 기기에는 「v」인 파일 속성 정보가 부여되고, 음성 파일을 기록하는 기기에는 「m」인 파일 속성 정보가 부여된다. 이 기기마다 부여되는 파일 속성 정보는, 예를 들면, 디렉토리 구조 정보에 기술된다.
환언하면, 파일 속성 정보는, 폴더에 포함되는 파일의 속성 정보임과 함께, 서버(13) 등의 기기가 제공하는 파일의 속성/종류별에 관한 정보라고도 할 수 있다.
또한, 폴더에 부여되는 파일 속성 정보는, 모든 폴더에 부여되어 있는 것은 아니고, 폴더의 파일 속성 정보의 유무는 임의이다. 또한, 기기의 파일 속성 정보의 유무는, 폴더의 파일 속성 정보와 마찬가지로, 모든 기기에 부여되어 있는 것은 아니고, 임의이다.
속성 판정부(63)에는, 종류 선택부(61)로부터 유저에 의해 선택된 종류의 종류 정보가 공급되고, 수신 제어부(62)로부터 디렉토리 구조 정보가 공급된다. 속성 판정부(63)는, 종류 정보 및 디렉토리 구조 정보에 의거하여, 폴더에, 유저에 의해 선택된 종류의 파일 속성 정보가 부여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속성 판정부(63)는, 판정의 결과를 표시 제어부(64)에 공급한다.
또한, 속성 판정부(63)는, 종류 정보 및 디렉토리 구조 정보에 의거하여, 서버(13)에 축적되어 있는 파일의 종류가, 유저에 의해 선택된 종류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속성 판정부(63)는, 판정의 결과를 표시 제어부(64)에 공급한다.
또한, 속성 판정부(63)는, 종류 정보 및 디렉토리 구조 정보에 의거하여, 네트워크(12)에 접속된 서버(13)에, 유저에 의해 선택된 종류와 일치하는 종류의 파일이 축적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속성 판정부(63)는, 판정의 결과를 표시 제어부(64)에 공급한다.
표시 제어부(64)는, 속성 판정부(63)로부터 공급되는 판정의 결과에 의거하여, 각종의 화면의 표시부(26)에의 표시를 제어한다.
도 4는, 서버(13)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의 예의 서버(13)에서, CPU(111)는, ROM(Read Only Memory)(112)에 기억 되어 있는 프로그램, 또는 기록부(118)로부터 RAM(Random Access Memory)(113)에 로드된 프로그램에 따라 각종의 처리를 실행한다. RAM(113)에는 또한, CPU(111)가 각종의 처리를 실행하는데 필요한 데이터 등도 적절히 기억된다.
CPU(111), ROM(112), 및 RAM(113)은, 버스(114)를 통하여 상호 접속되어 있다. 이 버스(114)에는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115)도 접속되어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15)에는, 키보드, 마우스 등으로 이루어지는 입력부(116), 스피커, 디스플레이 등으로 이루어지는 출력부(117), 하드 디스크 등으로 구성되는 기록부(118), 및 네트워크(12)를 통하여서의, 예를 들면, 텔레비전 수상기(11) 등의 다른 기기와의 통신 처리를 제어하는 통신부(119)가 접속되어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15)에는 또한, 필요에 따라 드라이브(120)가 접속되고,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또는 반도체 메모리 등의 리무버블 미디어(121)가 적절히 장착되고, 그들로부터 판독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필요에 따라 기록부(118)에 인스톨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서버(13)는, 예를 들면, 정지화상 파일, 동화상 파일, 음성 파일 등의 컨텐츠를 축적하고 있지만, 그들의 컨텐츠는, 예를 들면, 기록부(118)에 기록된다. 또한, 디렉토리 구조 정보 등의 컨텐츠 정보는, 컨텐츠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기록부(118)에 기록된다.
도 5는, 서버(13)의 기록부(118)에 기록되어 있는 디렉토리 구조 정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이하, 설명의 사정상, 도 5의 디렉토리 구조 정보의 예는, 네트워 크(12)에 접속된 서버(131 내지 13n)중의, 서버(131)의 기록부(118)에 기록되어 있는 컨텐츠의 디렉토리 구조 정보의 예인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5의 디렉토리 구조 정보의 예에서는, 예를 들면, 「폴더1」이나 「폴더2」 등과 같이, 폴더형의 도형으로 표현되어 있는 데이터는 폴더를 나타낸다. 또한, 폴더의 도형에 붙은 문자는, 그 폴더의 폴더명을 나타낸다.
또한, 예를 들면, 「정지화상파일1.jpg」나 「정지화상파일2.jpg」 등과 같이, 파일형의 도형으로 표현되어 있는 데이터는 파일을 나타낸다. 또한, 파일의 도형에 붙은 문자는, 그 파일의 파일명을 나타낸다.
또한, 도 5의 디렉토리 구조 정보의 예에서는, 파일명중, 피어리어드(.)로 구획된 가장 우측의 부분은, 파일의 확장자를 나타낸다. 즉, 예를 들면, 「정지화상파일1.jpg」는, 확장자가 「jpg」이기 때문에,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압축 화상의 컨텐츠이다. 마찬가지로, 「mpg」인 확장자의 파일은,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압축된 동화상의 컨텐츠이고, 「mp3」인 확장자의 파일은, mp3(MPEG Audio Layer-3) 압축된 음성의 컨텐츠이다.
또한, 「jpg」, 「mpg」, 「mp3」인 확장자는, 각각, 정지화상 파일, 동화상 파일, 음성 파일의 확장자의 한 예이고, 물론, 이들의 확장자 이외라도 좋다.
도 5에서 도시되는 디렉토리 구조 정보에서, 「루트」는, 계층 구조의 최상위를 나타내고, 예를 들면, 서버(131) 등의 기기 그 자체를 나타낸다. 「루트」의 하위의 디렉토리에는, 「폴더1」, 「폴더2」, 「폴더3」, 및 「정지화상파일1.jpg 」이 배치된다.
또한, 「폴더1」의 하위의 디렉토리에는, 「폴더4」 및 「음성파일1.mp3」이 배치된다. 또한, 「폴더4」의 하위의 디렉토리에는, 「동화상파일1.mpg」, 「정지화상파일2.jpg」, 및 「정지화상파일3.jpg」이 배치된다.
「루트」의 하위의 「폴더2」에는, 「동화상파일2.mpg」 및 「정지화상파일4.jpg」이 배치된다. 또한, 「폴더3」에는, 「음성파일2.mp3」이 배치된다.
이와 같이, 서버(131)에서는, 컨텐츠의 파일과, 파일을 격납한 폴더가 계층 구조를 이루고 축적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각 폴더에는, 배하(配下)에 있는 파일(컨텐츠)에 관한 속성(파일 속성 정보)이 부여되어 있다. 즉, 예를 들면, 「루트」의 배하에는, 정지화상 파일(1 내지 4), 동화상 파일(1 및 2), 및 음성 파일(1 및 2)이 배치되어 있고, 정지화상 파일, 동화상 파일, 및 음성 파일이 존재하기 때문에, 「루트」에는, p, v, m의 파일 속성 정보가 부여된다. 환언하면, 「루트」의 파일 속성 정보는, 서버(131)에 기록된 모든 파일에 관한 파일 속성 정보이기 때문에, 서버(131)에 부여된 파일 속성 정보라고도 할 수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하여, 「폴더1」의 배하에는, 음성 파일(1), 동화상 파일(1), 및 정지화상 파일(2 및 3)이 배치되어 있고, 정지화상 파일, 동화상 파일, 및 음성 파일이 존재하기 때문에, 「폴더1」에는, p, v, m의 파일 속성 정보가 부여된다. 또한, 「폴더4」의 배하에는, 동화상 파일(1), 및 정지화상 파일(2 및 3) 이 배치되어 있고, 정지화상 파일 및 동화상 파일이 존재하기 때문에, 「폴더4」에는, p, v의 파일 속성 정보가 부여된다.
또한, 「폴더2」의 배하에는, 동화상 파일(2) 및 정지화상 파일(4)이 배치되어 있고, 정지화상 파일 및 동화상 파일이 존재하기 때문에, 「폴더2」에는, p, v의 파일 속성 정보가 부여된다. 또한, 「폴더3」의 배하에는, 음성 파일(2)인 음성 파일이 존재하기 때문에, 「폴더3」에는, m의 파일 속성 정보가 부여된다.
이와 같이, 「루트」 및 「폴더」에는, p, v, m의 파일 속성 정보가 부여된다. 그리고, 서버(131)의 기록부(118)는, 예를 들면, 도 5의 디렉토리 구조 정보에 대응하는 계층 구조로 이루어지는 폴더나 파일을 기록하고 있다.
다음에, 도 6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제어부(51)에 의한, 표시의 처리에 관해 설명한다.
제어부(51)는, 리모트 컨트롤러(14)를 통하여 유저에 의해 소정의 조작이 지시되고, 수광부(29)로부터 소정의 조작 커맨드가 공급된 때, 도 6의 플로우 차트에 도시되는 처리를 실행시킨다.
스텝 S11에서, 제어부(51)는, 수광부(29)를 통하여, 리모트 컨트롤러(14)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조작 커맨드에 의거하여, 파일의 종류가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11에서, 파일의 종류가 선택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11로 되돌아와, 파일의 종류가 선택될 때까지, 판정의 처리가 반복된다.
한편, 스텝 S11에서, 파일의 종류가 선택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12에서, 종류 선택부(61)는, 수광부(29)로부터의 조작 커맨드에 의거하여, 파일의 종류를 선택한다.
예를 들면, 종류 선택부(61)는, 표시부(26)에 표시되는, 도 7의 파일 종류 선택 화면(201)의 아이콘(211a 내지 211c)중에서, 유저가 조작하는 리모트 컨트롤러(14)에 의해 지시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파일의 종류를 선택한다.
도 7의 파일 종류 선택 화면(201)에서는, 아이콘(211a)은, 정지화상의 컨텐츠 일람의 표시를 지시하기 위한 아이콘이고, 아이콘(211b)은, 동화상의 컨텐츠 일람의 표시를 지시하기 위한 아이콘이고, 아이콘(211c)은, 음성의 컨텐츠 일람의 표시를 지시하기 위한 아이콘이다. 즉, 유저는, 리모트 컨트롤러(14)를 조작하여, 아이콘(211a 내지 211c)을 선택함으로써,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파일의 종류의 컨텐츠를 축적하고 있는 기기의 일람을 표시부(26)에 표시시킨다.
예를 들면, 종류 선택부(61)는, 도 7의 파일 종류 선택 화면(201)의 아이콘(211a 내지 211c)중에서, 아이콘(211a)이 선택된 경우, 정지화상 파일인 종류를 선택한다.
도 6의 플로우 차트로 되돌아와, 스텝 S13에서, 수신 제어부(62)는, 통신부(28)를 제어하여, 네트워크(12)에 접속된, 예를 들면, 서버(131 내지 13n)로부터 디렉토리 구조 정보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수신 제어부(62)는, 통신부(28)를 제어하여, 컨텐 츠 요구 등의 요구를 네트워크(12)에 접속된 기기에 송신함으로써, 네트워크(12)를 통하여, 서버(131)로부터, 도 5의 디렉토리 구조 정보를 수신한다. 이로써, 텔레비전 수상기(11)는, 도 5의 디렉토리 구조 정보에 의거하여, 서버(131)에 축적되어 있는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또한, 도 5의 디렉토리 구조 정보는, 네트워크(12)에 접속되는 기기에 축적된, 파일이나 폴더의 계층 구조를 나타내는 정보의 한 예이고, 그 밖의 파일, 폴더의 계층 구조를 나타내는 정보라도 물론 좋다.
스텝 S14에서, 속성 판정부(63) 및 표시 제어부(64)는, 수신한 디렉토리 구조 정보에 의거하여, 선택된 종류의 컨텐츠를 축적하고 있는 기기만의 일람을 표시하는 기기 일람 표시의 처리를 행한다.
여기서, 도 8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스텝 S14의 처리에 대응하는, 속성 판정부(63) 및 표시 제어부(64)에 의해 실행되는 기기 일람 표시의 처리의 상세에 관해 설명한다.
스텝 S31에서, 속성 판정부(63)는, 예를 들면, 수신 제어부(62)로부터 공급되는 디렉토리 구조 정보의 「루트」의 파일 속성 정보에 의거하여, 네트워크(12)에 접속되어 있는, 예를 들면, 서버(131 내지 13n) 등의 대상 기기에, 대상 기기가 제공하는 파일의 속성/종류별에 관한 정보(파일 속성 정보)가 부여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31에서, 대상 기기에, 대상 기기가 제공하는 파일의 속성/종류별에 관 한 정보가 부여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34에서, 표시 제어부(64)는, 그 대상 기기를 표시부(26)에 표시한다.
즉, 이 경우, 표시 제어부(64)는, 파일 속성 정보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대상 기기에 축적되어 있는 컨텐츠의 파일의 종류는 불분명하지만, 선택되어 있는 종류의 컨텐츠를 축적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그 대상 기기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표시부(26)에 표시한다.
한편, 스텝 S31에서, 대상 기기에, 대상 기기가 제공하는 파일의 속성/종류별에 관한 정보가 부여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32에서, 속성 판정부(63)는, 대상 기기의 파일 속성 정보(즉, 예를 들면, 디렉토리 구조 정보의 「루트」의 파일 속성 정보)에 의거하여, 그 대상 기기가, 선택된 종류의 파일을 기록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32에서, 선택된 종류의 파일을 기록하고 있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34에서, 표시 제어부(64)는, 대상 기기를 표시부(26)에 표시한다.
즉, 이 경우, 표시 제어부(64)는, 대상 기기에, 유저에 의해 선택된 종류의 컨텐츠가 대상 기기에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그 대상 기기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표시부(26)에 표시한다.
한편, 스텝 S32에서, 선택된 종류의 파일을 기록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33에서, 표시 제어부(64)는, 대상 기기를 표시부(26)에 표시하지 않는다.
즉, 이 경우, 표시 제어부(64)는, 대상 기기에, 유저에 의해 선택된 종류의 컨텐츠가 기록되어 있지 않고, 유저에 있어서 필요가 없는 컨텐츠가 축적되어 있기 때문에, 그 대상 기기에 대응하는 아이콘의 표시부(26)에의 표시를 억제한다.
스텝 S35에서, 속성 판정부(63)는, 예를 들면, 서버(131 내지 13n) 등의 네트워크(12)에 접속되어 있는 모든 기기에 관해, 표시의 판정 처리를 종료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35에서, 모든 기기에 관해 표시의 판정 처리를 종료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31로 되돌아와, 네트워크(12)에 접속되어 있는 모든 기기에 관해 표시의 판정 처리를 종료할 때까지, 상술한, 스텝 S31 내지 S35의 처리가 반복된다.
즉, 스텝 S31 내지 S35의 처리에서, 속성 판정부(63)에 의한 판정 처리와, 표시 제어부(64)에 의한 판정 처리의 결과에 의거한 대상 기기의 표시 제어의 처리가 행하여진다. 그 결과, 예를 들면, 표시 제어부(64)는, 도 7의 파일 종류 선택 화면(201)의 아이콘(211a 내지 211c)중에서, 아이콘(211a)이 선택된 경우, 정지화상의 컨텐츠를 기록하고 있는 기기의 일람인, 도 9의 기기 일람 화면(221)을 표시부(26)에 표시한다.
도 9의 기기 일람 화면(221)에서는, 유저에 의해 선택된 아이콘(211a)의 하측에, 선택된 아이콘(211a)에 의해 지시된 정지화상의 컨텐츠를 기록하고 있는, 서버(131)에 대응하는 아이콘(231a) 및 서버(133)에 대응하는 아이콘(231b)이 표시되어 있다. 즉, 이 경우, 네트워크(12)에 접속되어 있는 서버(131 내지 13n)중, 서 버(131 및 133)는 정지화상의 컨텐츠를 기록하고, 그 밖의 서버(132 및 134 내지 13n)는 정지화상의 컨텐츠를 기록하고 있지 않은 것이 된다.
이와 같이, 도 9의 기기 일람 화면(221)에는, 유저에 의해 선택된 정지화상의 컨텐츠를 기록하고 있는 기기만이 표시되기 때문에, 정지화상의 컨텐츠를 기록하고 있지 않은 기기를 잘못하여 검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목적의 컨텐츠를 재생하기까지의 스텝 수를 삭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미리 필터가 걸린 기기의 일람을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복잡한 조작을 잘하지 못하는 텔레비전 수상기(11)의 리모트 컨트롤러(14)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의 플로우 차트로 되돌아와, 한편, 스텝 S35에서, 모든 기기에 관해 표시의 판정 처리를 종료하였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도 6의 스텝 S14로 되돌아와, 스텝 S14 이후의 처리가 실행된다.
스텝 S15에서, 제어부(51)는, 수광부(29)를 통하여, 리모트 컨트롤러(14)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조작 커맨드에 의거하여, 예를 들면, 도 9의 기기 일람 화면(221)의 아이콘(231a)에 대응하는 서버(131) 또는 아이콘(231b)에 대응하는 서버(133) 등의 기기가, 커서(232)에 의해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15에서, 기기가 선택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15로 되돌아와, 예를 들면, 도 9의 기기 일람 화면(211)의 아이콘(231a)에 대응하는 서 버(131) 또는 아이콘(231b)에 대응하는 서버(133)가 선택될 때까지, 판정의 처리가 반복된다.
한편, 스텝 S15에서, 기기가 선택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16에서, 속성 판정부(63) 및 표시 제어부(64)는, 수신한 디렉토리 구조 정보에 의거하여, 선택된 종류의 파일 및 파일을 격납하는 폴더의 계층마다의 일람을 표시하는 컨텐츠 일람 표시의 처리를 행한다.
여기서, 도 10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스텝 S16의 처리에 대응하는, 속성 판정부(63) 및 표시 제어부(64)에 의해 실행되는 컨텐츠 일람 표시의 처리의 상세에 관해 설명한다.
스텝 S51에서, 속성 판정부(63)는, 수신 제어부(62)로부터 공급된 디렉토리 구조 정보에 의거하여, 표시 대상이 파일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51에서, 표시 대상이 파일이 아닌, 즉, 폴더라고 판정된 경우, 스텝 S52에서, 속성 판정부(63)는, 디렉토리 구조 정보에 의거하여, 그 표시 대상의 폴더에, 그 폴더에 포함되는 파일의 속성 정보(파일 속성 정보)가 부여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52에서, 폴더에, 그 폴더에 포함되는 파일의 속성 정보가 부여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56에서, 표시 제어부(64)는, 표시 대상인 폴더를 표시부(26)에 표시한다.
즉, 이 경우, 표시 제어부(64)는, 폴더가 격납하고 있는 파일의 종류는 불분 명하지만, 선택된 종류의 컨텐츠를 격납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그 폴더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표시부(26)에 표시한다. 이로써, 최저한의 파일에의 액세스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스텝 S52에서, 폴더에, 그 폴더에 포함되는 파일의 속성 정보가 부여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53에서, 속성 판정부(63)는, 폴더에 부여되어 있는 파일 속성 정보에 의거하여, 그 표시 대상의 폴더에, 선택된 종류의 파일의 속성 정보(파일 속성 정보)가 부여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53에서, 폴더에, 선택된 종류의 파일의 속성 정보가 부여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56에서, 표시 제어부(64)는, 표시 대상인 폴더를 표시부(26)에 표시한다.
즉, 이 경우, 표시 제어부(64)는, 폴더에, 유저에 의해 선택된 종류의 컨텐츠가 격납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그 폴더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표시부(26)에 표시한다.
한편, 스텝 S53에서, 폴더에, 선택된 종류의 파일의 속성 정보가 부여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54에서, 표시 제어부(64)는, 표시 대상인 폴더를 표시부(26)에 표시하지 않는다.
즉, 이 경우, 표시 제어부(64)는, 폴더에, 유저에 의해 선택된 종류의 컨텐츠가 격납되어 있지 않고, 유저에게는 필요가 없는 컨텐츠가 격납되어 있는 폴더이기 때문에, 그 폴더에 대응하는 아이콘의 표시부(26)에의 표시를 억제한다.
또한, 스텝 S51에서, 표시 대상이 파일이라고 판정된 경우, 스텝 S55에서, 속성 판정부(63)는, 디렉토리 구조 정보에 의거하여, 그 표시 대상의 파일이, 선택된 종류의 파일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다. 또한, 이 파일의 종류의 판정은, 예를 들면, 파일의 확장자 또는 파일의 종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 데이터 등에 의거하여 행하여진다.
스텝 S55에서, 선택된 종류의 파일이라고 판정된 경우, 스텝 S56에서, 표시 제어부(64)는, 표시 대상인 파일을 표시부(26)에 표시한다.
즉, 이 경우, 표시 제어부(64)는, 유저에 의해 선택된 종류의 파일이기 때문에, 예를 들면, 그 파일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표시부(26)에 표시한다.
한편, 스텝 S55에서, 선택된 종류의 파일이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 스텝 S54에서, 표시 제어부(64)는, 표시 대상인 파일을 표시부(26)에 표시하지 않는다.
즉, 이 경우, 표시 제어부(64)는 유저에 의해 선택된 종류의 파일이 아니기 때문에, 그 파일에 대응하는 아이콘의 표시부(26)에의 표시를 억제한다.
스텝 S57에서, 속성 판정부(63)는, 동일 계층의 모든 표시 대상에 관해 표시의 판정 처리를 종료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57에서, 동일 계층의 모든 표시 대상에 관해 표시의 판정 처리를 종료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51로 되돌아와, 상술한, 스텝 S51 내지 S57의 처리가 반복된다.
예를 들면, 상술한, 도 6의 스텝 S15의 처리에서, 도 9의 기기 일람 화면(221)의 아이콘(231a) 또는 아이콘(231b)으로부터, 아이콘(231a)이 선택된 경우, 스텝 S51 내지 S56의 처리에서, 속성 판정부(63)에 의한 판정 처리와, 표시 제어 부(64)에 의한 판정 처리의 결과에 의거한 표시 대상의 표시 제어의 처리가 행하여진다. 그 결과, 표시부(26)에는, 예를 들면, 서버(131)에서의, 정지화상 파일과, 정지화상 파일을 격납하고 있는 폴더의 일람인, 도 11의 컨텐츠 일람 화면(241)이 표시된다.
도 11의 컨텐츠 일람 화면(241)에는, 유저에 의해 순차적으로 선택된 아이콘(211a 및 231a)의 우측에, 선택된 아이콘(231a)에 의해 지시된 서버(131)에 기록되어 있는, 정지화상 파일을 격납한 폴더에 대응하는 아이콘(251a 및 251b), 및 정지화상 파일에 대응하는 아이콘(251c)이 표시된다.
즉, 서버(131)에는, 도 5의 디렉토리 구조 정보로 나타낸 바와 같이, 계층 구조의 최상위의 「루트」의 하위의 디렉토리(제 1 계층)에, 「폴더1」, 「폴더2」, 「폴더3」, 및 「정지화상파일1.jpg」이 배치된다. 또한, 이들의 폴더에는, p, v, m의 파일 속성 정보가 부여되어 있다. 예를 들면, 상술한 바와 같이, 서버(131)의 제 1 계층에서는, 「폴더1」에는 p, v, m의 파일 속성 정보가 부여되고, 「폴더2」에는 p, v의 파일 속성 정보가 부여되고, 「폴더3」에는 m의 파일 속성 정보가 부여된다.
즉, 스텝 S51 내지 S56의 처리에서, 표시 제어부(64)에 의해, 표시부(26)에 표시된, 도 11의 컨텐츠 일람 화면(241)에는, p의 파일 속성 정보가 부여되어 있는 「폴더1」 및 「폴더2」, 및 정지화상 파일인 「정지화상파일1.jpg」에 대응하는 아이콘(251a 내지 251c)이 표시된다.
이와 같이, 도 11의 컨텐츠 일람 화면(241)에는, 유저에 의해 선택된 종류의 정지화상 파일, 또는 정지화상 파일을 격납하고 있는 폴더만이 표시되기 때문에, 정지화상의 컨텐츠를 격납하고 있지 않은 폴더를 잘못하여 검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1의 컨텐츠 일람 화면(241)에는, 도 5의 디렉토리 구조 정보의 제 1 계층에 배치된, 음성 파일만을 격납한 「폴더3」의 표시가 억제되기 때문에, 정지화상 파일을 검색하고 있을 때에, 잘못하여 「폴더3」을 검색하여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의 플로우 차트로 되돌아와, 한편, 스텝 S57에서, 예를 들면, 제 1 계층 등의 동일 계층의 모든 표시 대상에 관해 종료하였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도 6의 스텝 S16으로 되돌아와, 스텝 S16 이후의 처리가 실행된다.
스텝 S17에서, 제어부(51)는, 수광부(29)를 통하여, 리모트 컨트롤러(14)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조작 커맨드에 의거하여, 폴더가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17에서, 예를 들면, 도 11의 컨텐츠 일람 화면(241)의 아이콘(251a 내지 251c)중에서, 아이콘(251a)이 선택되고, 폴더가 선택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16으로 되돌아와, 속성 판정부(63) 및 표시 제어부(64)에 의한, 컨텐츠 일람 표시의 처리가 재차 실행된다.
2회째의 스텝 S16의 처리에서, 속성 판정부(63)에 의한 판정 처리와, 표시 제어부(64)에 의한 판정 처리의 결과에 의거한 표시 대상의 표시 제어의 처리가 행하여짐으로써, 예를 들면, 도 12의 컨텐츠 일람 화면(261)이 표시된다.
도 12의 컨텐츠 일람 화면(261)에는, 유저에 의해 순차적으로 선택된 아이콘(211a, 231a, 및 251a)의 우측에, 선택된 아이콘(251a)에 의해 지시된 「폴더1」의 배하의 정지화상 파일을 격납한 폴더에 대응하는 아이콘(271a)이 표시된다.
즉, 서버(131)에는, 도 5의 디렉토리 구조 정보로 나타낸 바와 같이, 「폴더1」의 하위의 디렉토리(제 2 계층)에, 「폴더4」 및 「음성파일1.mp3」가 배치된다. 또한, 이 「폴더4」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p, v의 파일 속성 정보가 부여된다.
즉, 2회째의 스텝 S16의 처리에서, 표시 제어부(64)에 의해, 표시부(26)에 표시된, 도 12의 컨텐츠 일람 화면(261)에는, p의 파일 속성 정보가 부여되어 있는 「폴더4」에 대응하는 아이콘(271a)만이 표시된다.
이와 같이, 도 12의 컨텐츠 일람 화면(261)은, 도 5의 디렉토리 구조 정보의 제 2 계층에 배치된 「음성파일1.mp3」인 음성 파일의 표시가 억제되기 때문에, 정지화상 파일을 검색하고 있을 때, 잘못하여 「음성파일1.mp3」을 재생하여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의 플로우 차트로 되돌아와, 스텝 S17에서, 제어부(51)는, 수광부(29)를 통하여, 리모트 컨트롤러(14)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조작 커맨드에 의거하여, 폴더가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17에서, 예를 들면, 도 12의 컨텐츠 일람 화면(261)의 아이콘(271a)이 선택되고, 폴더가 선택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16으로 되돌아와, 속성 판정 부(63) 및 표시 제어부(64)에 의한, 컨텐츠 일람 표시의 처리가 재차 실행된다.
3회째의 스텝 S16의 처리에서, 속성 판정부(63)에 의한 판정 처리와, 표시 제어부(64)에 의한 판정 처리의 결과에 의거한 표시 대상의 표시 제어의 처리가 행하여짐으로써, 예를 들면, 도 13의 컨텐츠 일람 화면(281)이 표시된다.
도 13의 컨텐츠 일람 화면(281)에는, 유저에 의해 순차적으로 선택된 아이콘(211a, 231a, 251a, 및 271a)의 우측에, 선택된 아이콘(271a)에 의해 지시된 「폴더4」의 배하의 정지화상 파일에 대응하는 아이콘(291a 및 291b)이 표시된다.
즉, 서버(131)에는, 도 5의 디렉토리 구조 정보로 나타낸 바와 같이, 「폴더4」의 하위의 디렉토리(제 3 계층)에, 「동화상파일1.mpg」, 「정지화상파일2.jpg」, 및 「정지화상파일3.jpg」이 배치된다.
즉, 3회째의 스텝 S16의 처리에서, 표시 제어부(64)에 의해, 표시부(26)에 표시된, 도 13의 컨텐츠 일람 화면(281)에는, 정지화상 파일인 「정지화상파일2.jpg」 및 「정지화상파일3.jpg」에 대응하는 아이콘(291a 및 291b)만이 표시된다.
이와 같이, 도 13의 컨텐츠 일람 화면(281)은, 도 5의 디렉토리 구조 정보의 제 3 계층에 배치된 「동화상파일1.mpg」인 동화상 파일의 표시가 억제되기 때문에, 정지화상 파일을 검색하고 있을 때, 잘못하여 「동화상파일1.mpg」을 재생하여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의 플로우 차트로 되돌아와, 한편, 스텝 S17에서, 폴더가 선택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제어부(51)에 의한, 표시의 처리는 종료한다.
이상과 같이, 텔레비전 수상기(11)에서는, 유저에 의해, 예를 들면, 정지화상의 컨텐츠가 선택된 경우, 「정지화상파일」 또는 「정지화상파일을 배하에 포함하고 있는 폴더」만이 선택적으로 표시된다. 역으로, 「정지화상파일 이외의 파일」 또는 「정지화상를 배하에 포함하지 않는 폴더」의 표시는 억제된다.
이로써, 유저는, 정지화상의 컨텐츠를 선택한 경우, 「정지화상파일」 또는 「정지화상파일을 배하에 포함하고 있는 폴더」만을 보게 된다. 즉, 유저는, 「파일의 속성마다 정리한 결과」를 보게 된다. 그 결과, 유저에게는, 소망하지 않는 속성의 파일을 포함하는 폴더 자체가 표시되지 않기 때문에, 컨텐츠의, 검색성이나 일람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네트워크(12)에 접속된 서버(13) 등의 기기와 폴더에, 파일에 관한 속성을 갖게 함으로써, 텔레비전 수상기(11)를 조작하는 리모트 컨트롤러(14)를 그대로, 화면에 표시되는 정보를 변경함으로써,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텔레비전 수상기(11)를 시청하고 있는 유저는, 결코 선택성이나 복잡한 조작을 잘하지 못하는 리모트 컨트롤러(14)만을 사용하여, 미리 선택된 종류에 따라 필터가 걸린 컨텐츠 일람에 접할 수 있기 때문에, 목적하는 컨텐츠를 표시, 재생하기까지의 스텝 수를 삭감할 수 있다. 그 결과, 리모트 컨트롤러(14)에 의한, 텔레비전 수상기(11)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유저는, 예를 들면, 「정지화상를 보고 싶다」, 「음악을 듣고 싶다」 등의 욕구에 의거하여 컨텐츠를 탐색할 때에, 소망하는 컨텐츠가 존재하지 않는 폴 더를 잘못하여 검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정지화상의 컨텐츠의 검색을 한 예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예를 들면, 동화상나 음성의 컨텐츠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로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도 6의 스텝 S13의 처리에서, 네트워크(12)에 접속된 모든 기기로부터 디렉토리 구조 정보를 수신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이 디렉토리 구조 정보는, 유저에 의해 선택된 기기로부터만 수신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도 6의 스텝 S13의 처리에서는, 기기의 파일 속성 정보만을 수신하고, 수신한 기기의 파일 속성 정보에 의거하여, 기기 일람 표시의 처리가 행하여진다.
또한, 상술한 예에서는, 폴더나 기기에, 선택된 종류의 속성이 부여되지 않은 경우, 폴더나 기기의 표시가 억제되도록 한다고 설명하였지만, 그 이외에도, 예를 들면, 모든 폴더나 기기를 표시하지만, 표시된 폴더나 기기중, 선택된 종류의 속성이 부여되지 않은 폴더나 기기만을 그레이 표시하는 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록 매체에 격납되는 프로그램을 기술한 스텝은, 기재된 순서에 따라 시계열적으로 행하여지는 처리는 물론, 반드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지 않더라도, 병렬적 또는 개별적으로 실행되는 처리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시스템이란, 복수의 장치에 의해 구성되는 장치 전체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는, 상술한 실시의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네트워크 시스템의 한 실시의 형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텔레비전 수상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텔레비전 수상기의 기능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4는 서버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5는 컨텐츠의 디렉토리 구조 정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표시의 처리에 관해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도 7은 파일 종류 선택 화면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모식도.
도 8은 기기 일람 표시의 처리의 상세에 관해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도 9는 기기 일람 화면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모식도.
도 10은 컨텐츠 일람 표시의 처리의 상세에 관해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도 11은 컨텐츠 일람 화면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모식도.
도 12는 컨텐츠 일람 화면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모식도.
도 13은 컨텐츠 일람 화면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모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네트워크 시스템 11 : 텔레비전 수상기
12 : 네트워크 13 : 서버
14 : 리모트 컨트롤러 21 : 중앙 연산부
26 : 표시부 28 : 통신부
29 : 수광부 30 : 드라이브
31 : 리무버블 미디어 51 : 제어부
61 : 종류 선택부 62 : 수신 제어부
63 : 속성 판정부 64 : 표시 제어부

Claims (7)

  1. 유저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의 조작에 따라, 네트워크에 접속된 다른 기기에 축적된 컨텐츠의 파일 및 상기 파일을 격납하는 계층의 폴더의 일람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저에 의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의 조작에 따라, 상기 파일의 종류를 선택하는 종류 선택 수단과,
    상기 다른 기기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상기 폴더에 부여된 속성으로서, 상기 폴더에 격납된 상기 파일의 종류를 나타내는 상기 속성의 정보인 파일 속성 정보의 수신을 제어하는 수신 제어 수단과,
    상기 파일 속성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폴더에, 선택된 상기 종류의 속성이 부여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속성 판정 수단과,
    상기 폴더에, 선택된 상기 종류의 속성이 부여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상기 폴더의 표시가 억제되도록, 상기 일람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 판정 수단은, 상기 파일의 종류가 선택된 상기 종류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파일의 종류가 선택된 상기 종류와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 상기 파일의 표시가 억제되도록, 상기 일람의 표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 판정 수단은, 상기 다른 기기에, 선택된 상기 종류와 일치하는 종류의 파일이 기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다른 기기에, 선택된 상기 종류와 일치하는 종류의 파일이 기록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상기 다른 기기의 표시가 억제되도록, 상기 기기의 일람의 표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정지화상, 동화상, 또는 음성의 파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기기는,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의 사양에 대응한 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장치.
  6. 유저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의 조작에 따라, 네트워크에 접속된 다른 기기에 축적된 컨텐츠의 파일 및 상기 파일을 격납하는 계층의 폴더의 일람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장치의 표시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저에 의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의 조작에 따라, 상기 파일의 종류를 선택하고,
    상기 다른 기기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상기 폴더에 부여된 속성으로서, 상기 파일의 종류를 나타내는 상기 속성의 정보인 파일 속성 정보의 수신을 제어하고,
    상기 파일 속성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폴더에, 선택된 상기 종류의 속성이 부여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폴더에, 선택된 상기 종류의 속성이 부여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상기 폴더의 표시가 억제되도록, 상기 일람의 표시를 제어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방법.
  7. 유저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의 조작에 따라, 네트워크에 접속된 다른 기기에 축적된 컨텐츠의 파일 및 상기 파일을 격납하는 계층의 폴더의 일람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처리를, 컴퓨터에 행하게 한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유저에 의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의 조작에 따라, 상기 파일의 종류를 선택하고,
    상기 다른 기기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상기 폴더에 부여된 속성으로서, 상기 파일의 종류를 나타내는 상기 속성의 정보인 파일 속성 정보의 수신을 제어하고,
    상기 파일 속성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폴더에, 선택된 상기 종류의 속성이 부여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폴더에, 선택된 상기 종류의 속성이 부여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상기 폴더의 표시가 억제되도록, 상기 일람의 표시를 제어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KR1020080004231A 2007-02-01 2008-01-15 표시 제어 장치 및 방법, 및 기록매체 KR1014090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023348 2007-02-01
JP2007023348A JP4247694B2 (ja) 2007-02-01 2007-02-01 表示制御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2529A true KR20080072529A (ko) 2008-08-06
KR101409082B1 KR101409082B1 (ko) 2014-06-17

Family

ID=39752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4231A KR101409082B1 (ko) 2007-02-01 2008-01-15 표시 제어 장치 및 방법, 및 기록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386938B2 (ko)
JP (1) JP4247694B2 (ko)
KR (1) KR101409082B1 (ko)
CN (1) CN10123754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60085B2 (en) 2008-03-13 2019-10-29 Mattel, Inc. Tablet computer
WO2010037022A1 (en) * 2008-09-26 2010-04-01 Fuhu, Inc. Hypervisor and webtop in a set top box environment
JP2012099869A (ja) * 2009-02-26 2012-05-24 Panasonic Corp 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JP5454341B2 (ja) * 2010-04-30 2014-03-26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情報提供装置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US9135265B2 (en) * 2010-09-09 2015-09-15 Red Hat, Inc. Asynchronous verification for extended file attributes
CN102064985B (zh) * 2010-11-24 2013-04-24 深圳市同洲电子股份有限公司 基于互动电视应用的数字智能家电远程控制系统和方法
US9223461B1 (en) * 2010-12-08 2015-12-29 Wendell Brown Graphical user interface
JP2013131141A (ja) * 2011-12-22 2013-07-04 Ricoh Co Ltd プロジェクタ、プロジェクタの制御方法及びプロジェクタの制御プログラム
US10055419B2 (en) * 2012-02-03 2018-08-21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accessing documents from a computing device
CN103888841B (zh) * 2013-04-01 2017-07-07 海信集团有限公司 一种显示文件信息的方法以及电视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17605A (en) * 1993-08-11 1996-05-14 Ast Research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browsing, and selecting graphic images
US5765171A (en) * 1995-12-29 1998-06-09 Lucent Technologies Inc. Maintaining consistency of database replicas
EP1653463A1 (en) * 1997-05-13 2006-05-03 Kabushiki Kaisha Toshiba License information copying method and apparatus, license information moving method
US6611828B1 (en) * 1997-05-15 2003-08-26 Incyte Genomics, Inc. Graphical viewer for biomolecular sequence data
US6493720B1 (en) * 1998-01-26 2002-12-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synchronization of metadata in an information catalog
US6263121B1 (en) * 1998-09-16 2001-07-17 Canon Kabushiki Kaisha Archival and retrieval of similar documents
JP3852892B2 (ja) * 1998-10-20 2006-12-0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制御システム
US6691282B1 (en) * 1999-06-22 2004-02-10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nd navigating containment hierarchies
US6970127B2 (en) * 2000-01-14 2005-11-29 Terayon Communication Systems, Inc. Remote control for wireless control of system and displaying of compressed video on a display on the remote
US6664976B2 (en) * 2001-04-18 2003-12-16 Digimarc Corporation Imag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s using digital watermarks
CN1556952A (zh) * 2001-07-09 2004-12-22 ���µ�����ҵ��ʽ���� 内容管理系统和信息记录媒体
JP2003330942A (ja) * 2002-05-10 2003-11-21 Minolta Co Ltd ディジタルデータ検索装置
JP2004234157A (ja) * 2003-01-29 2004-08-19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333184B2 (ja) 2003-03-31 2009-09-1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電子データ管理システム
JP2005018734A (ja) * 2003-04-30 2005-01-20 Seiko Epson Corp ファイル管理方法及びその装置、並びにアノテーション情報生成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5174256A (ja) 2003-12-15 2005-06-30 Just Syst Corp ファイル検索装置およびファイル検索プログラム
JP2005202656A (ja) * 2004-01-15 2005-07-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情報機器
EP1635533A3 (en) * 2004-08-04 2006-05-24 Yamaha Corporation Electronic musical apparatus for reproducing received music content and computer program therefor
JP2006066943A (ja) * 2004-08-24 2006-03-09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6227843A (ja) * 2005-02-16 2006-08-31 Sony Corp コンテンツ情報管理システム、コンテンツ情報管理装置及びコンテンツ情報管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360346B2 (ja) 2005-04-07 2009-11-11 ソニー株式会社 制御機器および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6338751A (ja) 2005-05-31 2006-12-14 Toshiba Corp ネットワーク対応型情報記録再生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4100422B2 (ja) 2005-09-30 2008-06-1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画像読取装置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9082B1 (ko) 2014-06-17
US8386938B2 (en) 2013-02-26
JP4247694B2 (ja) 2009-04-02
JP2008193254A (ja) 2008-08-21
CN101237541A (zh) 2008-08-06
US20080229209A1 (en) 2008-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72529A (ko) 표시 제어 장치 및 방법, 및 프로그램
CN102802087B (zh) 处理多个应用的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EP201254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trieving content from a network based on EPG data
US2008014831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KR101971088B1 (ko) 검색 후에 수신된 복수의 버전 중에서 문서의 버전을 선택하는 방법 및 연관된 수신기
US20060051052A1 (en) Photo reproducing apparatus and picture reproducing method
EP1096793B1 (en) System, method, signal, user interface and software to display thumbnail banners
US8270803B2 (en) Image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nd image reproducing method
US20060024025A1 (en) Signal reproducing apparatus and signal reproducing method
US20110161814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contents thereof
US20090083797A1 (en) Method for displaying extra information and video apparatus thereof
JP2008191779A (ja) 表示制御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4507254B2 (ja) 情報管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6094442A (ja) 放送受信装置
JP3819853B2 (ja) 表示装置
US20080175567A1 (en) Video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nd data control method thereof
JP2009076988A (ja) コンテンツ情報表示装置、コンテンツ情報の表示方法
JP4568338B2 (ja) 映像再生装置および映像再生方法
JP2012058949A (ja) 表示制御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
EP2456224A2 (en) Recorder, recording device, and recorder control method
JP4413661B2 (ja) 録画再生装置、画像再生システムおよび端末装置
JP2006074614A (ja) 放送受信装置
JP2006094212A (ja) 放送受信装置
JP2004220405A (ja) 情報処理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EP2455941B1 (en) Network Recorder, recording device, and recorder control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