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8588A - 흡습성 물질의 분말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흡습성 물질의 분말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8588A
KR20080068588A KR1020080005713A KR20080005713A KR20080068588A KR 20080068588 A KR20080068588 A KR 20080068588A KR 1020080005713 A KR1020080005713 A KR 1020080005713A KR 20080005713 A KR20080005713 A KR 20080005713A KR 20080068588 A KR20080068588 A KR 200800685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rch
weight
powder
hygroscopic
hygroscopic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5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3263B1 (ko
Inventor
한정숙
배천호
이승영
최호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양제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양제넥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양제넥스
Priority to PCT/KR2008/00033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8088196A1/en
Publication of KR20080068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85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3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32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06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 A23L29/212Starch; Modified starch; Starch derivatives, e.g. esters or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1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General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F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습성 물질을 전분 및/또는 전분질 곡물 수용액에 용해시키고, 여기에 유화제 및/또는 식용유지를 혼합하고 알파화 및 분말화하여 제조된 흡습성 물질의 분말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전분 또는 전분질 곡류 물질을 알파화시켜 소화율을 향상시키고, 동시에 상기 흡습성 물질의 조해성 및 흡습성 문제를 해결하여 공정상 및 유통상 문제를 개선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흡습성 물질의 분말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Powder Composition of Hygroscopic Substanc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흡습성 물질을 전분 및/또는 전분질 곡물 수용액에 용해시키고, 여기에 유화제 및/또는 식용유지를 혼합하고 알파화 및 분말화하여 제조된 흡습성 물질의 분말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전분 또는 전분질 곡류 물질을 알파화시켜 소화율을 향상시키고, 동시에 상기 흡습성 물질의 조해성 및 흡습성 문제를 해결하여 공정상 및 유통상 문제를 개선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표적인 흡습성 물질인 프락토올리고당은 자연계에 널리 존재하는 올리고당으로서, 포도당에 과당이 1 내지 3개 결합된 성분의 혼합물이다. 주로 장내 유해균 성장 억제, 비피더스균 증식, 정장작용 등의 효과가 있고, 칼로리가 낮아서, 음료, 제과, 제빵, 건강식품 등 식품 전반에 사용되고 있다. 또한 사료에 첨가된 프락토올리고당은 비육돈(우)의 발육을 촉진시키고, 대장내 미생물 균총을 개선시킴으로써 설사 발생 빈도를 감소시키며, 대장의 악취성 향대사물질을 제거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사료 중의 영양소 소화율을 증진시켜 사료 효율 증가 효과가 있어서, 사료 첨가제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전분은 에너지원으로 널리 사용되는 식품이며, 전분에 물과 열을 가하면 점도가 높은 호액을 형성하는데, 이러한 현상을 전분의 호화 또는 알파화라고 한다. 이와 같이 호화, 즉 알파화된 전분 (알파전분)은 찬물에서도 팽윤하여 점성을 나타내며, 쉽게 효소에 의해 분해가 일어나기 때문에, 소화율이 향상된다.
알파전분을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드럼드라잉, 익스트루젼, 분무건조, 냉동건조, 진공건조 등이 알려져 있다. 드럼 드라잉은 고온으로 가열된 드럼 표면 위에 전분 등의 고농도 수용액을 투입하여, 순간적으로 전분의 호화가 일어나게 한 후, 드럼 위의 롤을 통과하면서 박층으로 드럼 표면에 코팅시켜 건조하는 방법으로, 드럼의 온도, 드럼의 회전속도(rpm), 투입 농도 등에 따라서 다양한 특성을 가지는 알파전분 제조가 가능한 건조 방법이다. 이렇게 제조된 알파 전분은 스낵, 스프, 제과, 제빵 등 다양한 식품 분야에 사용된다. 그러나 알파전분은 전분을 호화시켜 건조한 제품으로 물에 용해시 쉽게 물을 흡수하여 겉표면이 팽윤되어 덩어리져서 잘 풀어지지 않는 럼핑현상(Lumping)이 일어나는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기존 공정에 있어서, 알파전분을 공정에 투입하고자 하면 미리 고체 재료들과 충분히 혼합한 후 물 등의 액상 제품에 투입하거나, 교반을 충분히 시켜가면서 서서히 소량씩 투입하여 덩어리지지 않게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프락토올리고당은 상기와 같은 우수한 특성에도 불구하고 분말제품에 있어서 공기중에 노출시 바로 흡습하여 녹는 조해성이 높아, 특히 고온 다습한 여름철에는 식품과 사료 및 타 산업공정에 적용시 끈적거리고 공정기기에 들러붙어 작업적성을 낮게 할 뿐 아니라, 혼합을 한 후에도 흡습하여 돌과 같이 고화되는 등의 문제로 인하여 용이하게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액상제품으로 사용시에는 프락토올리고당과 다른 고체상의 물질들을 혼합한 후 열풍건조하여야 하는 공정상의 번거로움이 있을 뿐 아니라, 경제적인 비용부담도 크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1991-0006063). 이와 같은 프락토올리고당의 조해성을 극복하고자 여러 방법들이 제안되어왔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366987호 '올리고당 함유 젤라틴화 곡물 제품'와 같이 이눌린 형태의 올리고당을 가진 치커리를 전체 중량 중 이눌린의 함량이 0.25% 중량이 되도록 곡물 제품과 혼합하여 압출을 통하여 펠렛 형태로 제조하는 방법이 제안되었으나, 전체 제품 중 올리고당 함량이 0.25%로 매우 낮은 문제점이 있다.
일본 특허 특개평6-197702는 효소분해 레시틴의 끈적거림을 감소시키는 분말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여기서는 전분, 부분분해 전분, 올리고당 등의 수용액에 효소 분해 레시틴을 첨가하여 가열한 후, 알파화 감자전분, 알파화 타피오카전분과 혼합한 후 냉각하는데, 이때 유동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이산화규소를 첨가하여 혼합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분말제품은 레시틴과 전분 유래 수용액을 함께 혼합하여 가열하는 공정, 여기에 다시 알파화된 전분을 단순 혼합하는 공정 및 또다시 유동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이산화규소를 혼합하는 복잡한 공정을 포함할 뿐 아니라, 상기 분말 제품은 올리고당이나 알파전분의 효과를 겨냥한 것이 아니라 효소 처리 레시틴이라는 유화제의 분말화에 대한 제조방법이다.
상기한 종래 기술에 있어서, 흡습성 및 조해성이 높은 프락토올리고당을 비롯한 흡습성 물질들을 분말화하기 위하여, 액상제품을 고체상의 부형제에 혼합하는 경우, 열풍건조에 의한 에너지 및 비용손실이 크다. 또한 올리고당을 곡물제품과 함께 혼합하여 압출하는 방식에서는, 최종 제품에 잔존하는 올리고당 함량이 매우 낮은 단점이 있으며 이를 극복하고자 올리고당 함량을 높인다면 압출성형에 문제가 있을 뿐 아니라, 제품의 끈적임이 증가할 우려가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흡습성 물질에 전분 또는 전분질 곡물 및 유화제 또는 식용유지를 혼합하여 알파화하여 제조되며, 조해성이 개선되어 공정상 및 유통상의 편의성이 증대되고, 전분 또는 전분질 곡물이 알파화됨으로써 소화율이 향상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습성 물질의 분말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흡습성 물질의 분말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조해성이 낮은 분말을 연구하던 중, 흡습성 물질, 전분 및/또는 전분질 곡물, 및 유화제 및/또는 식용 유지를 적정 비율로 혼합하여 알파화한 후 분말화한 분말 조성물은 흡습이 일어나지 아니하여 녹아 흘러내리지 않고 끈적임이 없어 작업성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물 분산시 럼핑현상이 전혀 일어나지 않고, 전분 또는 전분질 곡물이 알파화되어 있어서 소화율이 향상되는 특성을 갖는다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흡습성 물질; 전분 및 전분질 곡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전분 물질; 및 유화제 및 식용유지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흡습성 물질의 분말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흡습성 물질의 분말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흡습성 물질과 전분 물질의 혼합비는 중량비(흡습성 물질 중량:전분 물질 중량)로 10:90 내지 90:10, 10:90 내지 80:20, 10:90 내지 70:30, 또는 10:90 내지 65:35, 바람직하게는 20:80 내지 90:10, 20:80 내지 80:20, 20:80 내지 70:30, 또는 20:80 내지 65:35, 보다 바람직하게는 30:70 내지 90:10, 30:70 내지 80:20, 30:70 내지 70:30, 또는 30:70 내지 65:35, 더욱 바람직하게는 40:60 내지 90:10, 40:60 내지 80:20, 40:60 내지 70:30, 또는 40:60 내지 65:35인 것이 좋다. 흡습성 물질의 함량비가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전분 물질의 아밀로오스의 피막형성에 의한 조해성 개선효과가 떨어지고 건조시 기기에 들러붙는 문제점이 발생하며, 흡습성 물질의 함량비가 상기 범위 미만이 되면 흡습성 물질의 함량이 낮은 분말제품이 생산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분 물질은 적절한 방법으로 알파화되며, 알파화시 유화제 및/또는 식용유지와 복합체를 형성하여 알파화된 전분이 갖는 문제점인 럼핑현상이 현저히 개선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화제 및/또는 식용유지의 함량은 고형분 중량을 기준으로 흡습성 물질과 전분 물질 합량 대비 0.1 내지 3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유화제 및/또는 식용유지의 함량이 상기 범위보다 적으면 전분의 알파화시 럼핑 현상의 개선 효과가 미미하여 분체 유지에 있어서 소망하는 효과를 얻을 수 없고, 상기 범위보다 많으면 유화제 자체의 끈적한 느낌이 강하게 나타나므로, 상기 범위로 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흡습성 물질'이라함은 고온 다습한 환경하에 노출되면 쉽게 주변의 수분을 흡수하여 녹아 내리거나 끈적거리는 물질을 총칭하는 것으로, 프락토올리고당, 갈락토올리고당, 이소말토올리고당, 말토올리고당, 대두올리고당, 자일로올리고당, 팔라티노스, 트레할로스, 팔라티노스올리고당, 글루코실슈크로스, 락토슈크로스, 락튤로스, 니게로올리고당, 트레할룰로스, 겐지올리고당, 키토산올리고당, 라피노스, 싸이클로덱스트린, 분지올리고당, 키토올리고당, 말티톨, 폴리덱스트로스, 환원 물엿, 물엿, 말토덱스트린 및 간장 등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프락토올리고당 및 갈락토올리고당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흡습성 물질의 사용 형태는 제한이 없으며, 분말, 과립 또는 액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액상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전분 물질'은 전분, 전분질 곡물, 및 변성전분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의미한다. 상기 전분 물질은 생체에 매우 안전하고, 고대로부터 중요한 에너지원의 하나로 이용되며, 저렴한 가격으로 경제성이 우수하여 여러 분야에 널리 사용되어 온 식품이다. 상기 전분 물질 중, 전분은 통상적으로 식용으로 사용되는 모든 전분을 포함하며, 예컨대, 옥수수 전분, 찰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 타피오카 전분, 고구마 전분, 밀 전분, 및 쌀 전분 등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일 수 있으나, 특정 종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전분질 곡물은 쌀, 옥수수, 감자, 고구마, 밀, 타피오카 및 이들의 분쇄물인 쌀가루, 옥수수가루, 감자가루, 고구마가루, 밀가루, 및 타피오카 플라워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일 수 있다. 또한, 변성전분은 전분을 물리적, 화학적, 및/또는 효소적 처리하여 전분 고유의 성질을 변성시킨 전분으 로 산처리전분, 산화전분, 덱스트린류, 가교전분, 알파(α)전분, 초산전분, 양성전분, 히드록시프로필 전분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것일 수 있으나, 특정 종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전분물질로 사용된 전분, 전분질 곡물, 및 변성전분은 각각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종 이상의 혼합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분 물질은 흡습성 물질의 표면에 전분 아밀로오스 피막을 형성하여 흡습성 물질의 조해성을 개선하고, 건조 시 들러붙는 현상을 없애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전분 물질의 역할을 고려할 때, 본 발명의 흡습성 물질의 분말 조성물에 있어서의 흡습성 물질과 전분 물질의 혼합비는 상기한 바와 같이 고형분 중량 기준(흡습성 물질 중량:전분 물질 중량)으로 10:90 내지 90:10, 10:90 내지 80:20, 10:90 내지 70:30, 또는 10:90 내지 65:35, 바람직하게는 20:80 내지 90:10, 20:80 내지 80:20, 20:80 내지 70:30, 또는 20:80 내지 65:35, 보다 바람직하게는 30:70 내지 90:10, 30:70 내지 80:20, 30:70 내지 70:30, 또는 30:70 내지 65:35, 더욱 바람직하게는 40:60 내지 90:10, 40:60 내지 80:20, 40:60 내지 70:30, 또는 40:60 내지 65:35인 것이 좋다.
전분 물질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전분 표면에 형성된 피막의 양이 적어 조해성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흡습성 물질의 함량비가 너무 낮아서 제조된 분말 조성물의 품질이 저하되기 때문에, 흡습성 물질과 전분 물질의 혼합비는 상기 범위인 것이 좋다.
상기 전분 물질은 사용 형태에 있어서 제한이 없으며, 분말, 과립, 또는 수 용액 상태로 모두 사용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전분 알파화의 용이성과 흡습성 물질과의 균질한 혼합 등을 고려할 때, 상기 전분 물질은 수용액 상태로 사용될 수 있으며, 농도는 1 내지 25 보오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2 보오메인 것이 좋다. 전분 물질 수용액의 농도가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거의 용해가 되지 않으며, 상기 농도 이하이면 건조시 증발시켜야할 물량이 너무 많아 비경제적이다.
본 발명은 흡습성 물질의 분말 조성물에 있어서, 소정의 유화제 및/또는 식용유지를 소정의 함량으로 함유함으로써 조성물 내 흡습성 물질의 함량을 높일 수 있고, 동시에 흡습성 물질의 조해 현상 없이 장기간 분말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화제 및/또는 식용 유지는 전분 물질의 알파화 시에 전분 물질과 복합체를 이루어 알파화된 전분 물질의 럼핑 현상을 없애는 역할을 할 뿐 아니라, 흡습성 물질과 수분과의 직접 접촉을 효과적으로 막아주어 흡습성 물질의 조해성을 현저히 개선하는 역할을 한다. 즉, 본 발명의 흡습성 물질의 분말 조성물은, 전분 물질이 유화제 및/또는 식용 유지와 복합체를 이루어 알파화되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와 같이 전분물질이 알파화됨으로써, 흡습성 물질의 조해성이 개선되어 안정한 분말 상태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고, 알파화시 전분 물질과 유화제 및/또는 식용 유지가 복합체를 형성하기 때문에, 기존의 알파 전분이 단독으로 사용시 문제가 되었던 럼핑 현상도 상기와 같은 복합체 형성에 의하여 해결된다는 이점을 모두 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유화제 및/또는 식용 유지를 소정의 함량으로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분말 조성물은, 열풍 건조 등의 별도의 처리 없이도 장기간 조해되지 않고 안정한 분말상을 유지할 수 있으며, 최종 조성물 내 흡습성 물질의 함량이 40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50 중량% 이상의 고함량으로 얻어지며, 또한 흡습성 및 조해성이 개선되어 공기중 수분에 의한 뭉침 현상이 없고, 럼핑현상이 제거되어 물에 용해시 균질하게 분산된다는 이점을 갖는다.
상기 유화제는 레시틴,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상기 식용유지는 대두유, 옥수수유, 땅콩유, 팜유, 올리브유, 쇼트닝, 유화쇼트닝, 마가린, 및 돈지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습성 물질의 분말 조성물에 함유된 유화제 및/또는 식용 유지의 함량은 고형분 중량을 기준으로 흡습성 물질과 전분 물질 합량 대비 0.1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 중량%인 것이 좋다. 유화제 및/또는 식용 유지 함량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제조원가 상승 및 흡습성 물질의 함량 저하 문제점이 발생하고, 상기 범위 미만이면 수분 차단 효과가 미미하여 고온 다습한 환경에 노출되었을 때 흡습하여 뭉치는 현상과 건조 공정 중 기기에 들러붙어 끈적거리는 문제점이 발생하기 때문에, 상기 범위로 하는 것이 좋다.
유화제 및/또는 식용 유지를 첨가하지 않는 경우, 흡습성 물질과 전분 혼합액의 드럼 드라잉에 의한 분말화는 가능하나, 30℃ 및 상대습도 80%의 항온항습기에 방치하였을 때 2시간 경과 후 녹아내리지는 않지만 전체적으로 굳어져 덩어리지 는 현상이 일어난다. 반면, 유화제 및/또는 식용 유지를 첨가한 경우에는 동일한 조건에서 3일 경과 후에도 여전히 보송보송한 분말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분 물질은 알파화시 전분 입자 중의 아밀로오스가 용출되어 나와 전분 입자 주위에 존재하게 되어 끈적한 성질을 부여하는데, 이러한 아밀로오스가 피막을 형성하여 흡습성 물질이 직접 수분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조해성이 현저히 개선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소정의 함량으로 함유된 유화제 및/또는 식용 유지 또한 흡습성 물질과 수분과의 접촉을 차단하여 조해성 개선에 기여하게 된다. 또한 알파전분은 물에 분산시 럼핑 현상이 일어나 식품 공정중에 적용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는데, 유화제 및/또는 식용 유지의 작용에 의하여 럼핑 현상이 없는 알파전분의 제조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즉 전분의 아밀로오스 헬릭스 구조에 유화제 및/또는 식용 유지가 결합함으로써 물과의 친화력이 낮아지며, 호액이 매우 유동성이 높고 크림 같은 물성을 가지게 되며, 이러한 아밀로오스-유화제 (및/또는 식용 유지) 복합체가 분말 조성물 내에서 흡습성 물질의 물의 흡수 및 조해를 방지하여 유동성이 우수하며 안정적인 분말상을 유지하는 분말 조성물의 제조가 가능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분말 조성물은 흡습성, 조해성이 강한 모든 제품의 분말화가 가능하며, 조해성이 개선되어 오랜 기간 동안 고온 다습한 조건에 방치하여도 분말 상태로의 보존이 가능할 뿐 아니라, 물에 분산시 럼핑 현상이 없이 곧바로 물에 고르게 분산되는 특성을 가진 제품으로 식품 및 산업공정에서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각종 식품, 건강식품, 식품 첨가물 또는 사료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조해성이 개선된 흡습성 물질의 분말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품, 건강식품, 식품 첨가물, 또는 사료를 제공한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a) 흡습성 물질과, 전분, 전분질 곡물, 및 변성전분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전분 물질을 고형분 중량을 기준으로 10:90 내지 90:10 (흡습성 물질 중량:전분 물질 중량)의 중량비로 혼합시키는 단계;
b) 상기 단계 a)에서 얻어진 혼합물에 1종 이상의 유화제 및 식용 유지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고형분 중량을 기준으로 흡습성 물질과 전분 물질 합량 대비 0.1 내지 30 중량%의 양으로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 및
c) 상기 단계 b)의 혼합물 내의 전분 물질을 알파화 및 분말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흡습성 물질의 분말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단계 a) 및 b)에 있어서, 사용된 흡습성 물질, 전분, 전분질 곡물, 유화제 및 식용 유지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전분 물질은 사용 형태에 있어서 제한이 없고, 분말, 과립, 또는 수용액 상태로 모두 사용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전분 알파화의 용이성과 흡습성 물질과의 균질한 혼합 등을 고려할 때, 상기 전분 물질은 수용액 상태로 사용될 수 있으며, 농도는 1 내지 25 보오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2 보오메인 것이 좋다.
상기 단계 c)에서의 전분 물질의 알파화 및 분말화 방법은 특별한 제한이 없 으며, 드럼 드라잉 또는 익스투르젼에 의하여 알파화와 분말화를 동시에 진행하거나, 또는 단계 b)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60 내지 160 ℃ 범위로 가열하여 알파화시킨 후 얻어진 호액을 통상의 박층 건조, 분무 건조, 냉동 건조 또는 진공 건조 등의 방법에 의하여 건조하여 분말화시키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드럼 드라잉 방법 공정을 사용하는 것이 생산효율 및 경제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이렇게 제조된 전분과 흡습성 물질 혼합액은 전체 고형분 함량이 약 50% 이상으로 매우 고형분 함량이 높아서 드럼 드라잉시 건조시켜야 할 수분의 양이 적어서 효율 및 생산성이 높을 뿐 아니라, 혼합액을 따로 가열하지 않고 바로 드럼 위에 투입함으로써 분말 상태의 조성물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공정이 매우 단순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한 분말조성물은 흡습성, 조해성이 강한 모든 물질의 분말화가 가능하며, 조해성이 개선되어 오랜 시간 동안 고온 다습한 조건에 방치하여도 분말상태로의 보존이 가능할 뿐 아니라, 고농도의 고형분 혼합액으로 드럼 드라잉 공정을 거침으로써 생산효율 및 경제성을 현저히 향상시킨 제품이다. 또한 물에 분산시 럼핑 현상이 없이 곧바로 물에 고르게 분산되는 특성을 가진 제품으로 식품 및 산업공정에서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 비교예 1>
프락토올리고당 액상제품(순도 95%, 70Bx, (㈜삼양제넥스, 썬올리고 P)을 22보오메의 옥수수전분 수용액 (㈜삼양제넥스, 옥수수전분)에 동량의 고형분비로 혼합하였다. 드럼 회전속도가 5rpm이고, 드럼 표면을 140℃로 가열시킨 드럼 드라이어에 위의 혼합액을 투입시켜 박층으로 건조하여 분쇄하여 분말화하였다.
< 비교예 2>
프락토올리고당 분말(순도 95%, 70Bx, ㈜삼양제넥스, 썬올리고 P)에 동량의 고형분비로 옥수수전분(㈜삼양제넥스, 옥수수전분) 분말을 넣어 호바트 믹서로 20분간 혼합하였다.
< 비교예 3>
프락토올리고당 분말(순도 95%, 70Bx, ㈜삼양제넥스, 썬올리고 P)에 동량의 고형분비로 제오라이트(동해화학공업㈜, ZETCLAY)를 넣어 호바트 믹서로 20분간 혼합하였다.
< 비교예 4>
프락토올리고당 액상제품(순도 95%, 70Bx, ㈜삼양제넥스 썬올리고)과 말토덱스트린(㈜삼양제넥스, 제네덱스)과 동량의 고형분비로 혼합하였다. 위의 혼합액을 주입공기온도 180℃, 배출공기온도 90℃의 조건으로 분무건조하였다. 상기 방법으 로 얻어진 프락토올리고당 혼합 분말은 올리고당 함량 45 중량% 이상이었다.
< 비교예 5>
갈락토올리고당 액상제품(순도 55%, ㈜삼양제넥스 썬올리고 L 500)과 말토덱스트린(㈜삼양제넥스, 제네덱스)과 동량의 고형분비로 혼합하였다. 위의 혼합액을 주입공기온도 180℃, 배출공기온도 90℃의 조건으로 분무건조하였다. 상기 방법으로 얻어진 갈락토올리고당 혼합 분말은 올리고당 함량 25% 이었다.
< 실시예 1>
프락토올리고당 분말(순도 95%) (㈜삼양제넥스, 썬올리고 P)을 22 보오메의 옥수수전분 수용액 (㈜삼양제넥스, 옥수수전분)에 동량의 고형분 중량비로 혼합하였다. 여기에 모노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리켄비타(JP), 리멀소프트)를 고형분 중량 기준으로 상기 프락토올리고당과 옥수수전분 합량 대비 0.5 중량%의 양으로 혼합하여 교반하였다. 드럼 회전속도가 5rpm이고 드럼 표면을 140℃로 가열시킨 드럼 드라이어에 위의 상기 혼합액을 투입시켜 박층으로 건조하여 분쇄하여 분말화하였다. 올리고당과 전분 혼합액의 고형분 함량이 전체 50 중량% 수준으로 생산성이 매우 높으며, 증발효율이 다른 알파전분에 비하여 15% 향상되었다. 이렇게 얻어진 분말은 끈적임이 없이 보송보송하며, 분말제품 중의 프락토올리고당 함량을 측정한 결과 45 중량% 이상의 함량을 나타내는 등 고순도 분말제품이 가능하였다.
< 실시예 2>
프락토올리고당 액상제품(순도 95%, 70Bx) (㈜삼양제넥스, 썬올리고 P)을 22 보오메의 옥수수전분 수용액㈜삼양제넥스, 옥수수전분)에 동량의 고형분비로 혼합하였다. 여기에 모노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리켄비타(JP), 리멀소프트)를 고형분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프락토올리고당과 옥수수전분 합량 대비 0.5 중량%의 양으로 혼합하여 교반하였다. 드럼 회전속도가 5rpm이고, 드럼 표면을 140℃로 가열시킨 드럼 드라이어에 위의 혼합액을 투입시켜 박층으로 건조하여 분쇄하여 분말화하였다.
올리고당과 전분의 혼합액의 고형분 함량이 전체 50 중량% 수준으로 생산성이 매우 높으며, 증발효율이 다른 알파전분에 비하여 15% 향상되었다. 이렇게 얻어진 분말은 끈적임이 없이 보송보송하며, 분말제품 중의 프락토올리고당 함량을 측정한 결과 45 중량% 이상의 함량을 나타내는 등 고순도 분말제품이 가능하였다.
< 실시예 3 내지 10 및 비교예 6 및 7>
프락토올리고당 액상제품(순도 95%, 70Bx) (㈜삼양제넥스, 썬올리고 P)을 22 보오메의 옥수수전분 수용액(㈜삼양제넥스, 옥수수전분)에 고형분 중량비 기준으로 2:8(실시예 3), 3:7(실시예 4), 4:6(실시예 5), 5.5:4.5 (실시예 6), 6:4(실시예 7), 6.5:3.5(실시예 8), 7:3.5(실시예 9), 7:3(실시예 10), 8:2(비교예 6), 8.5:1.5(비교예 7)의 비율로 각각 혼합하였다.
여기에 모노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리켄비타(JP), 리멀소프트)를 고형분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프락토올리고당과 옥수수전분 합량 대비 0.5 중량%의 양으로 혼합하여 교반하였다. 드럼 회전속도가 5rpm이고, 드럼 표면을 140℃로 가열시킨 드럼 드라이어에 위의 혼합액을 투입시켜 박층으로 건조 후 분쇄하여 분말화하였 다.
이렇게 얻어진 실시예 5의 분말, 실시예 6의 분말, 실시예 7의 분말은 끈적임이 없이 보송보송하며, 분말제품 중의 프락토올리고당 함량을 측정한 결과 각각 50, 55, 60% 이상의 함량을 나타내는 등 고순도 분말제품이 가능하였다. 또한, 실시예 3와 실시예 4의 분말은 옥수수 알파전분과 유사하게 10일이 경과하여도 전혀 흡습하지 않았다. 실시예 5와 실시예 6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3일 경과시까지 분말상태를 유지하였다. 실시예 7은 20시간 경과 시까지 분말상태를 유지하였으며 그후 흡습하여도 쉽게 붕해되었다. 실시예 8은 10시간 이후부터 굳기 시작하였으며, 실시예 9는 9 시간 이후부터 흡습하여 굳기 시작하였고, 실시예 10은 8시간 이후부터 굳기 시작하였다. 반면, 비교예 6의 경우 4시간 경과 후부터 굳기 시작하였으며, 비교예 7의 1시간 이후부터 흡습하여 녹았다.
< 실시예 11 내지 15>
프락토올리고당 액상제품(순도 95%, 70Bx, ㈜삼양제넥스 썬올리고)을 22 보오메의 옥수수전분 수용액에 동량의 고형분 중량비로 혼합하였다. 유화제로서 자당지방산 에스테르인 P-100(실시예 11), P-1570(실시예 12), S-370(실시예 13), 트윈 20 (실시예 14), 및 트윈 80 (실시예 15)를 고형분 중량 기준으로 상기 프락토올리고당과 옥수수전분의 합량 대비 0.5 중량%의 양으로 혼합하여 교반하였다. 드럼 회전속도가 5rpm이고, 드럼 표면을 140℃로 가열시킨 드럼 드라이어에 위의 혼합액을 투입시켜 박층으로 건조후 분쇄하여 분말화하였다.
상기 모든 유화제는 S-370 의 경우 수용액에 분산이 잘 되지 않았으며, 나머 지 유화제는 수용액상에 잘 분산되어 드럼 드라잉시 박층으로 코팅이 잘 되었다. 이렇게 얻어진 실시예 11의 분말, 실시예 12의 분말, 실시예 13의 분말, 실시예 14의 분말은 끈적임이 없이 보송보송하며, 분말제품 중의 프락토올리고당 함량을 측정한 결과 45 중량% 이상의 함량을 나타내는 등 고순도 분말제품이 가능하였다.
< 실시예 16 내지 20 및 비교예 8 및 9>
프락토올리고당 액상제품(순도 95%, 70Bx, ㈜삼양제넥스 썬올리고)을 22보오메의 옥수수전분 수용액에 동량의 고형분 중량비로 혼합하였다. 여기에 유화제로서 모노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리켄비타(JP), 리멀소프트)를 고형분 중량 기준으로 상기 프락토올리고당과 옥수수전분 합량 대비 각각 0.01 중량% (비교예 8), 0.1%(실시예 16), 2 중량%(실시예 17), 5 중량%(실시예 18), 10 중량%(실시예 19), 30 중량%(실시예 20), 및 40 중량%(비교예 9)의 양으로 혼합하여 교반하였다.
드럼 회전속도가 5rpm이고, 드럼 표면을 140℃로 가열시킨 드럼 드라이어에 위의 혼합액을 투입시켜 박층으로 건조후 분쇄하여 분말화하였다. 유화제 함량이 0.1%(실시예 16), 2 중량%(실시예 17), 5 중량%(실시예 18), 10 중량%(실시예 19), 및 30 중량%(실시예 20)인 경우, 필름 형성이 양호하며 잘 건조되었다. 유화제를 0.01중량% 투입한 비교예 8에서는 반죽의 끈적임이 있어 드럼 드라이어에서 쉽게 필름으로 분리되지 못하여 타는 현상이 발생하였으며, 유화제 함량이 40 중량%인 비교예 9에서는 드럼 위에서 박층으로 코팅될 수 있는 전분의 양이 상대적으로 적어 필름 두께가 매우 얇으며, 전분과 결합되지 못한 유화제가 존재하여 코팅 자체가 잘 되지 않아 건조 적성이 떨어졌다. 또한 분쇄시 분쇄기에 달라붙어 분쇄가 잘 되지 않았다.
이렇게 얻어진, 실시예 16 내지 20의 분말은 끈적임이 없이 보송보송하였다.
< 실시예 21 및 22>
갈락토올리고당 액상제품(순도 55%, 75Bx, ㈜삼양제넥스 썬올리고 L 500)(실시예 21), 폴리덱스트로스 분말제품(㈜삼양제넥스 폴리덱스트로스 P)(실시예 22)을 각각 22 보오메의 옥수수전분 수용액에 동량의 고형분비로 혼합하였다. 여기에 모노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리켄비타(JP), 리멀소프트)를 고형분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갈락토올리고당과 옥수수전분 합량 대비 0.5 중량%의 양으로 혼합하여 교반하였다. 드럼 회전속도가 5rpm이고, 드럼 표면을 140℃로 가열시킨 드럼 드라이어에 위의 혼합액을 투입시켜 박층으로 건조후 분쇄하여 분말화하였다.
갈락토올리고당 또는 폴리덱스트로스를 전분과 함께 건조시킨 상기 실험에서 드럼 드라이어에서 필름이 양호하게 형성되었으며, 상기 방법으로 제조한 실시예 21의 분말 및 실시예 22의 분말은 끈적임이 없이 보송보송하며, 분말제품 중의 갈락토올리고당 함량을 측정한 결과 25% 이상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 실시예 23>
프락토올리고당 액상제품(순도 95%, 70Bx) (㈜삼양제넥스, 썬올리고 P)을 22 보오메의 옥수수전분 수용액㈜삼양제넥스, 옥수수전분)에 동량의 고형분비로 혼합하였다. 여기에 대두유를 상기 프락토올리고당과 옥수수 전분의 고형분 합량 대비 1 중량%의 양으로 혼합하여 교반하였다. 드럼 회전속도가 5rpm이고, 드럼 표면을 140℃로 가열시킨 드럼 드라이어에 위의 혼합액을 투입시켜 박층으로 건조하여 분 쇄하여 분말화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분말은 끈적임이 없이 보송보송하며 분말제품 중의 프락토올리고당 함량을 측정한 결과 45 중량% 이상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 실시예 24 내지 26>
프락토올리고당 액상제품(순도 95%, 70Bx) (㈜삼양제넥스, 썬올리고 P)을 21 보오메의 찰옥수수전분 수용액(㈜삼양제넥스, 찰옥수수전분)(실시예 24), 산화전분(㈜삼양제넥스, 썬화이트)(실시예 25), 옥테닐호박산 전분(㈜삼양제넥스, 썬프리)(실시예 26) 수용액에 각각 동량의 고형분비로 혼합하였다. 여기에 모노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리켄비타(JP), 리멀소프트)를 전체 고형분 중량대비 0.5 중량%의 양으로 혼합하여 교반하였다. 드럼 회전속도가 5rpm이고, 드럼 표면을 140℃로 가열시킨 드럼 드라이어에 위의 혼합액을 투입시켜 박층으로 건조하여 분쇄하여 분말화하였다.
옥수수전분을 대체한 경우 드럼드라이어에서 필름으로 양호하게 형성되었으며 이렇게 얻어진 실시예 24의 분말, 실시예 25의 분말, 및 실시예 26의 분말은 끈적임이 없이 보송보송하였다.
< 실시예 27>
프락토올리고당 액상제품(순도 95%, 70Bx, ㈜삼양제넥스 썬올리고)과 옥수수전분(㈜삼양제넥스, 옥수수전분)을 동량의 고형분비로 혼합하였다. 여기에 모노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리켄비타(JP), 리멀소프트)를 전체 고형분 중량 대비 0.5 중량%의 양으로 혼합하여 교반하였다. 위의 혼합액을 주입공기온도 180℃, 배출공기온도 90℃의 조건으로 분무건조하였다. 상기 방법으로 얻어진 프락토올리고 당 혼합 분말은 올리고당 함량 45 중량% 이상이었다.
< 실험예 1: 흡습성 평가>
상기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분말들을 페트리디쉬에 각 20g 씩 넣어 평평하게 한 후, 30℃, 상대습도 80%의 항온항습기에 방치하여 흡습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실시예 분체유지시간 비고
실시예 1 3일 이후 흡습하나 보송보송한 상태 유지
실시예 2 3일 이후 흡습하나 보송보송한 상태유지
실시예 3 10일 이상 전혀 흡습하지 않음
실시예 4 10일 이상 전혀 흡습하지 않음
실시예 5 3일 이후 흡습하나 보송보송한 상태유지
실시예 6 3일 이후 흡습하나 보송보송한 상태유지
실시예 7 20시간 이후 흡습하나 보송보송한 상태유지
실시예 8 10시간 이후 흡습하여 굳음
실시예 9 9시간 이후 흡습하여 굳음
실시예 10 8시간 이후 흡습하여 굳음
실시예 11 3일 이후 흡습하여 굳음
실시예 12 3일 이후 흡습하여 굳음
실시예 13 4일 이후 흡습하여 굳음
실시예 14 2일 이후 흡습하여 굳음
실시예 15 24시간 이후 흡습하여 굳음
실시예 16 7시간 이후 흡습하나 보송보송한 상태유지
실시예 17 3일 이후 흡습하나 지속적으로 보송보송한 상태유지
실시예 18 7일 분말상을 지속적으로 유지
실시예 19 10일 이상 분말상을 가장 잘 유지
실시예 20 10일 이상 분말상 유지, 그러나 유화제 특유의 끈적한 느낌 약간 있음.
실시예 21 18시간 이후 흡습하여 굳음
실시예 22 3일 이후 흡습하여 굳음
실시예 23 5시간 이후 흡습하여 굳음
실시예 24 2일 이후 흡습하여 굳음
실시예 25 3일 이후 흡습하여 굳음
실시예 26 4일 이후 흡습하여 굳음
실시예 27 5시간 이후 흡습하여 굳음(7시간째 녹기 시작)
비교예 1 2시간 이후 흡습하여 굳음
비교예 2 1시간 이후 흡습하여 녹기 시작
비교예 3 1시간 미만 이후 흡습하여 녹기 시작
비교예 4 2시간 이후 흡습하여 굳음(5시간째 녹기시작)
비교예 5 2시간 이후 흡습하여 굳음(6시간째 녹기 시작)
비교예 6 4시간 이후 흡습하여 녹기 시작
비교예 7 1시간 이후 흡습하여 녹기 시작
비교예 8 7시간 이후 덩어리짐, 럼핑현상 있음
비교예 9 10일 이상 분말상 유지, 그러나 유화제 특유의 끈적한 느낌이 강함.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유화제 및/또는 식용 유지를 일정 함량으로 함유하는 실시예 1 내지 27의 조성물은 적어도 5시간 이상 보송보송한 안정된 분말상을 유지하였으나, 유화제 및/또는 식용유지를 함유하지 않은 비교예 1 내지 5의 경우와, 전분 물질 함량이 20 중량% 이하인 비교예 6 및 7의 경우에는 4시간, 대부분의 경우에는 2시간 미만에서 흡습하여 녹거나 굳기 시작하여 조해가 진 행되는 것으로 나타나,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유화제 및/또는 식용유지를 함유하고, 전분 물질을 소정의 범위로 포함함으로써 조해성 및 럼핑 현상이 현저하게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 1 내지 8과 실시예 9 및 10을 비교할 때, 실시예 1내지 8과 같이 전분 물질의 비율이 35 중량% 이상일 때는 호액이 도우가 되어 전분필름형성이 잘 되며, 작업적성이 좋지만, 실시예 9 및 10의 경우와 같이 상기 비율 이하이면 액중에 전분함량이 낮아서 드럼위에 호액이 묽어지며, 필름형성도 어렵게 되는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시예 16과 비교예 8의 비교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유화제 및/또는 식용유지의 함량이 흡습성 물질과 전분 물질 합량의 0.1 중량%보다 적으면, 끈적거림이 있고 럼핑 현상이 개선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실시예 20과 비교예 9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유화제 및/또는 식용유지의 함량이 흡습성 물질과 전분 물질 합량의 30 중량%를 넘기 시작하면 유화제 및/또는 식용유지 특유의 끈적한 느낌이 강하게 나타나서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유화제 및/또는 식용 유지의 함량은 흡습성 물질과 전분 물질 합량의 0.1 내지 30 중량% 범위인 것이 좋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24 내지 26과 실시예 27의 결과를 비교하면, 흡습성 물질의 분말화 방법에 있어서, 어떠한 방법을 사용하여도 5 시간 이상 안정된 분말을 유지하는 분말 조성물을 얻을 수 있지만, 박층으로 건조한 후 분쇄하는 방법이 분무건조하는 경우보다 안정된 분말 유지시간이 길게 나타났다.
< 실험예 2: 럼핑현상 개선 효과>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분말과 기존의 알파전분의 럼핑현상을 비교하였다.
증류수 250g을 비이커에 넣고 여기에 상기 실시예 1의 분말과 옥수수알파전분 분말(제품명:썬프리젤, 삼양제넥스)을 각각 25g을 한꺼번에 투입하고, 250rpm으로 2분간 교반한 후, 분말 상태를 관찰하여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기존의 알파 전분의 경우 일반적으로 럼핑 현상이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지만, 실시예 1의 분말조성물은 럼핑현상이 현저하게 개선되어 전혀 나타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말 조성물의 럼핑 현상 개선 효과는 사용된 유화제 및/또는 식용 유지와의 복합체 형성에 의한 것임은 상기한 바와 같다.
< 실험예 3: 조해성 개선 효과>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분말과 비교예 2에서 제조된 분말에 대한 조해성 시험을 수행하였다.
프락토올리고당(F/O) 분말(㈜삼양제넥스), 비교예 2 및 실시예 1의 분말 조성물 시료를 각각 20g씩 dish에 담아 30℃, RH 80% 항온항습기에 방치한 후 1시간 및 17시간 경과후 조해성 개선 효과를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17시간 경과 후, 프락토올리고당(F/O) 분말은 대부 분 녹아있고, 비교예 2의 분말도 축축하게 굳어있으며 손으로 부수면 덩어리지면서 부서지만, 실시예 1의 분말은 고온 다습한 조건에서 오랜 시간 동안 방치하여도 녹아 흘러내리지 않고 끈적임이 없는 완전히 분말화된 모습을 나타내어, 본 발명의 분말 조성물의 조해성이 현저하게 개선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실험예 4: 전분 물질의 알파화 여부에 따른 조해성 개선 효과>
프락토올리고당 분말 (순도 95%) (㈜삼양제넥스, 썬올리고 P) 200g에 동량의 옥수수전분 200g(일반전분)을 혼합하여 고형분 중량 기준으로 상기 프락토올리고당과 옥수수 전분 합량 대비 0.5 중량% 양으로 유화제(리켄비타(JP), 리멀소프트)를 투입한 후 hobart mixer로 30분간 혼합하여 일반 전분을 함유한 분말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조성물 및 실시예 1(알파화 전분 함유)의 분말 조성물 시료를 각각 페트리디쉬에 10g 씩 넣고 30℃, RH 80% 항온항습기에 7시간 동안 방치하면서 흡습 및 조해정도를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반전분을 사용한 조성물의 경우 대부분 녹고, 굳어있는 반면, 알파화된 전분을 사용한 실시예 1의 조성물의 경우에는 녹아 흘러내리지 않고 끈적임이 없는 분말화된 조성물 형태를 보여, 본 발명에 따른 분말 조성물의 조해성이 현저하게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흡습성 물질 분말과, 옥수수알파전분 분말의 럼핑현상을 관찰한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으로, 1a는 실시예 1에 따른 분말의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이고, 1b는 옥수수알파전분 분말의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비교예 2에 따른 분말 조성물의 조해성을 실험한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 3은 전분물질의 알파화여부에 따른 흡습성 물질 분말 조성물의 조해성 개선 효과를 실험한 결과를 보여주는 것으로,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알파화된 전분물질을 사용한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고, 3b는 일반 전분을 사용한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다.

Claims (6)

  1. 흡습성 물질; 전분, 전분질 곡물, 및 변성전분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전분 물질; 및 유화제 및 식용유지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흡습성 물질의 분말 조성물로서,
    상기 흡습성 물질과 전분 물질의 혼합비는 고형분 중량 기준으로 10:90 내지 65:35 (흡습성 물질 중량:전분 물질 중량)이며,
    상기 전분 물질은 알파화된 것이고,
    상기 유화제 및 식용 유지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함량은 고형분 중량 기준으로 흡습성 물질과 전분 물질 합량 대비 0.1 내지 30 중량%인,
    조해성 및 럼핑현상이 개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습성 물질의 분말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습성 물질은 프락토올리고당, 갈락토올리고당, 이소말토올리고당, 말토올리고당, 대두올리고당, 자일로올리고당, 팔라티노스, 트레할로스, 팔라티노스올리고당, 글루코실슈크로스, 락토슈크로스, 락튤로스, 니게로올리고당, 트레할룰로스, 겐지올리고당, 키토산올리고당, 라피노스, 싸이클로덱스트린, 분지올리고당, 키토올리고당, 말티톨, 폴리덱스트로스, 환원 물엿, 물엿, 말토덱스트린 및 간장으로 이루어진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인
    흡습성 물질의 분말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분은 옥수수 전분, 찰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 타피오카 전분, 고구마 전분, 밀 전분, 및 쌀전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이고,
    상기 전분질 곡물은 쌀, 옥수수, 감자, 고구마, 밀, 타피오카, 쌀가루, 옥수수가루, 감자가루, 고구마가루, 밀가루, 및 타피오카 플라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이며,
    상기 변성전분은 전분을 산처리전분, 산화전분, 덱스트린류, 가교전분, 알파(α)전분, 초산전분, 양성전분, 및 히드록시프로필 전분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인,
    흡습성 물질의 분말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는 레시틴,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및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이고
    상기 식용 유지는 대두유, 옥수수유, 팜유, 올리브유, 쇼트닝, 유화쇼트닝, 마가린, 및 돈지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인,
    흡습성 물질의 분말 조성물.
  5. a) 흡습성 물질과, 전분, 전분질 곡물, 및 상기 전분 및 전분질 물질의 분해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전분 물질을 고형분 중량을 기준으로 10:90 내지 65:35 (흡습성 물질 중량:전분 물질 중량)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에서 얻어진 혼합물에 유화제 및 식용 유지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고형분 중량을 기준으로 흡습성 물질과 전분 물질 합량 대비 0.1 내지 30 중량%의 양으로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 및
    c) 상기 단계 b)에서 얻어진 혼합물 내의 전분 물질을 알파화 및 분말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흡습성 물질의 분말 조성물의 제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의 알파화 및 분말화는
    드럼 드라잉 또는 익스트루젼 방법에 의하여 수행되거나,
    상기 단계 b)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60 내지 160 ℃에서 알파화시킨 후 얻어진 호액을 박층 건조, 분무건조, 냉동건조, 또는 진공 건조하여 수행되는 것인,
    제조 방법.
KR1020080005713A 2007-01-19 2008-01-18 흡습성 물질의 분말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9332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8/000335 WO2008088196A1 (en) 2007-01-19 2008-01-18 Powder composition of hygroscopic substances and manufacturing metho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05998 2007-01-19
KR1020070005998 2007-01-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8588A true KR20080068588A (ko) 2008-07-23
KR100933263B1 KR100933263B1 (ko) 2009-12-22

Family

ID=39822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5713A KR100933263B1 (ko) 2007-01-19 2008-01-18 흡습성 물질의 분말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326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8508B1 (ko) * 2010-10-29 2013-01-31 대상 주식회사 물엿 대체용 당류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CN111084238A (zh) * 2018-10-23 2020-05-01 株式会社明治 混合有低聚果糖的油脂及其制造方法、以及混合有低聚果糖的油性点心及其制造方法
CN111955749A (zh) * 2020-08-31 2020-11-20 浙江新维士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膳食纤维颗粒的组合物及其制备工艺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73277B2 (ja) 1999-06-30 2009-06-03 大塚製薬株式会社 オリゴ糖補給組成物
NL1018607C2 (nl) * 2001-07-20 2003-01-21 Friesland Brands Bv Vochtbarrière in voedingsmiddelen.
JP3662550B2 (ja) * 2002-05-08 2005-06-22 高砂香料工業株式会社 粉末組成物
CN100539879C (zh) 2002-12-19 2009-09-16 株式会社林原生物化学研究所 抑制组合物中的水份变动的方法及其用途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8508B1 (ko) * 2010-10-29 2013-01-31 대상 주식회사 물엿 대체용 당류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CN111084238A (zh) * 2018-10-23 2020-05-01 株式会社明治 混合有低聚果糖的油脂及其制造方法、以及混合有低聚果糖的油性点心及其制造方法
CN111955749A (zh) * 2020-08-31 2020-11-20 浙江新维士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膳食纤维颗粒的组合物及其制备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3263B1 (ko) 2009-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imenez et al. Edible and biodegradable starch films: a review
Sun et al. Effect of heat moisture treatment on physicochemical and morphological properties of wheat starch and xylitol mixture
CN1249090C (zh) 蒸煮/干燥富含直链淀粉的淀粉的方法
JP2010142127A (ja) 焼き菓子類
EP2404506A1 (en) Instant dry noodles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5166207B2 (ja) 焼き菓子類
KR100933263B1 (ko) 흡습성 물질의 분말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08136484A (ja) コンニャク含有食品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3054460A1 (ja) 米飯改良剤、それを用いた米飯食品および米飯改良剤の製造方法
Chowdhury et al. Moisture sorption isotherm and isosteric heat of sorption of edible films made from blends of starch, amylose and methyl cellulose.
CN107106581B (zh) 低聚糖制剂和其制造方法
KR20240038683A (ko) 식이섬유 함유 감미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JP4896860B2 (ja) 糯米加工品の製造方法
JP5198692B1 (ja) 粒状物、それを用いた飲食品および粒状物の製造方法
JP5300254B2 (ja) 食品用結着剤
US4969955A (en) Coated pregelatinized starch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MX2008005323A (es) Agente de recubrimiento.
EP0118753A2 (en) Coated pregelatinized starch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3803796B2 (ja) 成形スナックの製造法
KR20120129119A (ko) 고화 방지 감미 소재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WO2008088196A1 (en) Powder composition of hygroscopic substances and manufacturing metho thereof
JP4727427B2 (ja) 寒天易溶化剤、低温易溶性寒天及び低温易溶性寒天が含まれた食品
JPH0335902B2 (ko)
JP3702356B2 (ja) 米飯食品の製造法
JPH0841105A (ja) 水溶性多糖類を顆粒化す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