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7690A - 좌석 벨트 장치 - Google Patents

좌석 벨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7690A
KR20080067690A KR1020087013312A KR20087013312A KR20080067690A KR 20080067690 A KR20080067690 A KR 20080067690A KR 1020087013312 A KR1020087013312 A KR 1020087013312A KR 20087013312 A KR20087013312 A KR 20087013312A KR 20080067690 A KR20080067690 A KR 200800676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belt
spring
blocking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3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8725B1 (ko
Inventor
줄리우스 아도메이트
스테판 마샬
Original Assignee
델피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델피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델피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80067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76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8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87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4Belt retractors, e.g. reels with means for reducing belt tension during use under normal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2Construction of belts or harn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6Anchoring devices secured to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6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 B60R22/38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responsive only to belt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4Belt retractors, e.g. reels with means for reducing belt tension during use under normal conditions
    • B60R2022/4473Belt retractors, e.g. reels with means for reducing belt tension during use under normal conditions using an electric retraction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 B60R2022/466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characterised by electric actu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 B60R2022/468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characterised by clutching means between actuator and belt re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석 벨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좌석 벨트 장치는, 좌석 벨트, 벨트 수축기, 및 바람직하게 상기 수축기용 전기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와 상기 수축기 사이의 파워트레인(powertrain)에 단일 방향으로 효과를 내는 차단 부재가 구비되고, 정상적인 차단 상태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벨트로부터 시작되는 힘 전달에 의한 차단 효과를 증대시키고 상기 구동부로부터 시작되는 힘 전달에 의해 해제 상태로 전환된다.

Description

좌석 벨트 장치 {SEATBELT DEVICE}
본 발명은, 좌석 벨트, 벨트 수축기, 및 상기 수축기용 구동부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좌석 벨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유형의 좌석 벨트 장치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것이다. 예를 들어, 소위 예비 안전 기능(pre-safe function) 또는 예비 충돌 기능(pre-crash function)이 구동부에 의해 구현될 수 있어서, 예를 들면, 사고가 나는 경우, 차량이 물체에 충돌하기 직전에, 특정의 사전 설정 상황에 부합되는 위험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교통 상황의 일반적인 평가 및 사정에 의해 차량에 제공되는 경고 기능을 발생시키는 경고 신호에 의해, 수축기가 권취 방향으로 구동되어, 적시에 차량 탑승자 각각의 신체에 밀착되게 접촉되도록 한다. 이것의 문제점은, 예상한 충돌이 일어나지 않거나 모든 신호가 해제된 경우에 벨트가 다시 느슨해져야 하기 때문에, 이들 벨트 시스템이 리셋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벨트 시스템은, 예상한 사고가 발생하지 않거나 모든 신호가 해제되었을 때 벨트의 제1 예비 긴장 또는 예비 조임과 벨트의 이완 사이의 시간에서 벨트를 예비 긴장된 상태 또는 예비 조여진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포지션에 있어야 한다.
벨트 수축기의 구동에 전기 모터가 사용되는 경우, 이 모터는 예비 긴장된 벨트를 유지하기 위해 항상 작동되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모터의 과열 또는 과부하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피하기 위해, 예비 긴장 후에 벨트를 유지하기 위해 수축 장치의 "메인 로킹(main locking)"으로 공지된 일반적인 벨트 로킹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전기 모터가 벨트의 예비 긴장을 유지하기 위해 항상 작동될 필요가 없다. 그러나, 예상한 충격 또는 사고가 발생하지 않거나 모든 신호가 해제되었을 때 벨트의 느슨해짐을 위해 벨트 로킹이 해제되어야 하기 때문에, 공지된 바와 같이, 벨트의 2차 당김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 경우, 벨트는 단시간 내에 2회 연속으로 당겨지며, 1차는 벨트의 예비 긴장을 위한 것이고, 2차는 벨트 로크를 해제하기 위한 것이다. "제2 스트로크" 문제로 알려진, 벨트의 2차 당김은, 2차 스트로크가 차량 탑승자가 위험 상황을 인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갑자기 일어나기 때문에, 벨트 착용자를 불쾌하게 할 뿐 아니라 위험한 반응을 일으키게 할 수 있다.
일반적인 벨트 로크 대신에 모터와 수축기 사이에 마찰 로킹 트랜스미션(friction-locking transmission)이 구비되어, 모터가 작동되지 않을 때 예비 긴장된 벨트를 유지할 수 있고 벨트를 다시 느슨하게 하기 위해 모터가 작동됨으로써 홀딩 상태가 해제될 수 있는 경우, 상기 2차 스트로크 문제를 피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에서는 마찰 로킹의 원리에 따라 기계적인 홀딩 장치의 비교적 커다란 마찰 손실이 일어난다. 마찰 손실은 전기 모터에 의해 보상되어야 한다. 따라서, 시스템에서 에너지 소비 및 전력 소모가 증대되는 것을 피할 수 없다. 이로 인해 다시 모터의 과열 또는 과부하로 이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예비 긴장 또는 예비 조임 후에 "2차 스트로크" 문제를 피하면서 가급적 간단하고 신뢰적인 방식으로 벨트의 홀딩 및 벨트의 이완이 이루어질 수 있어서 에너지의 소모가 가급적 적어질 수 있는, 서두에 언급한 유형의 좌석 벨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1의 특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부와 수축기 사이의 파워트레인에 단일 방향으로 유효한 차단 부재가 통합되어, 정상적인 차단 상태로부터 시작하여, 벨트로부터 시작되는 힘 전달에 의해 차단 효과가 증대되고, 구동부로부터 시작되는 힘 전달에 의해 해제 상태로 전환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단일 방향으로 유효한 차단 부재는, 힘 전달이 구동부 쪽의 파워트레인을 통해 시작되거나 벨트 쪽의 파워트레인을 통해 시작됨에 따라 그 효과가 상이하다. 차단 부재의 일반적인 차단 상태에 의해, 벨트는, 구동부가 예비 긴장된 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없고 따라서 이러한 홀딩 상태에서는 작동되지 않기 때문에, 이를 위한 에너지가 인가되지 않은 채 예비 긴장되거나 예비 조여진 상태로 유지된다.
구동부는 최소의 에너지 소비로 파워트레인의 차단을 해제시키고, 차단 부재를 일반적인 차단 상태와 해제 상태 사이에서 전환시킬 수 있음으로써, 벨트 수축기를 차단 부재와 함께 해제 상태로 구동시킬 수 있다.
특히, 구동부의 역할을 하는 전기 모터의 지능형 제어와 관련하여, 전기 에너지 소비량 및 필요 전력량은, 본 발명에 따른 차단 부재로 인해 최소로 감소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특히 전체적인 시스템을, 구동 모터에 과부하 및 과열이 발생하기 전보다 더 신속하고 고속으로 사용할 수 있다.
서두에 언급한 2차 스트로크 문제 또한, 벨트 수축기용 구동부가, 벨트의 예비 긴장 또는 예비 조임, 및 벨트 수축기의 반대방향 구동, 즉 벨트의 권취 모두를 위해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해 방지될 수 있다. 벨트를 풀 때, 벨트의 느슨해짐에 걸리는 시간은 사전에 설정 가능한 기준, 특히 차량 탑승자를 방해하지 않는 기준에 직접 좌우되며, 특히 전기 모터가 사용되는 경우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청구항, 상세한 설명 및 도면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기계적 에너지 저장소는 구동부와 수축기 사이의 파워트레인에 통합될 수 있다. 구동부는, 제어 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에너지 저장소의 충전을 위해 수축기로부터 분리되는 저장 모드, 또는 구동부가 수축기와 결합되고 구동부 및 사전에 충전된 에너지 저장소에 의해 복합적으로 인가되는 토크에 의해 수축기가 권취 방향으로 구동되는 권취 모드로 작동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단 부재는 구동부와 기계적 에너지 저장소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단 부재는, 구동부에 의해 인가되는 토크를 홀딩하지 않는 제한되지 않은 시간에 대하여 기계적 에너지 저장소, 예를 들면 신장된 스프링을 충전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시스템의 작동을 위해 전체적으로 필요한 에너지 요구량이 이러한 기계적 에너지 저장소와 함께 가동되는 시스템에서 최소로 감소될 수 있다. 사용 시, 즉 이러한 에너지 저장소와 함께 수축기가 권취 방향으로 구동되어야 하는 경우, 구동부는 구동부 자체에 의해 사전에 충전된 에너지 저장소에 의해 보조된다. 따라서 차량의 정상적인 작동 중에 에너지 저장소가 충전될 수 있도록 충분한 시간이 가능한 환경이 이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구동부 자체는 추가의 시스템이 필요하지 않도록 사용된다. 따라서 에너지 저장소의 충전을 위해 구동부에 의해 과도한 최고 출력이 제공되지 않아도 된다. 예비 안전 또는 예비 충돌의 경우, 필요한 높은 출력은 구동부 및 사전에 충전된 에너지 저장소에 의해 복합적으로 가용될 수 있으며, 이것을 소위 "동일한 방향으로 당김"이라고 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모든 다른 특징은 이러한 에너지 저장소를 가지거나 가지지 않는 모든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단 부재는 바람직하게, 권취 방향 및 권출 방향 모두에서 발생하는 힘 전달에 의해 차단 효과를 증대시키거나 해제 단계로 전환하도록, 만들어지고 장착된다.
따라서, 차단 효과는, 구동부의 권취 방향 또는 권출 방향으로의 작동에 관계없이 구동부에 의해 시작되는 힘 전달에 의해 무력화된다. 따라서 파워 트레인은, 벨트 쪽에서 시작되는 힘 전달에 의해 부하가 권취 방향으로 발생하거나 권출 방향으로 발생하는 것에 관계없이, 차단 부재에 의해 차단된다.
차단 부재는 특히, 루프 스프링 또는 스파이럴 스프링으로 만들어질 수 있는 차단 스프링이다. 이러한 유형의 차단 스프링은, 느슨해진 일반적인 상태에서, 상기 차단 스프링이 장착되며 예를 들어 스피것(spigot) 또는 볼트 형상인 섹션을 홀딩하도록, 느슨해진 일반적인 상태에서 힘 전달 방식으로 연결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차단 스프링은, 파워트레인이 벨트 쪽에 부하를 주는 것을 신뢰적으로 차단하는 홀딩 섹션에 회전식으로 고정되는 클램핑 고정의 효과를 주기 위해 충분한 길이를 가지고 문제없이 만들어질 수 있다. 여기서, "이완"이란 벨트 쪽 또는 구동부 쪽에 차단 스프링의 부하가 걸리지 않는 것, 즉 홀딩 섹션보다 더 느슨해지도록 작용하는 차단 스프링의 대응되는 예비 긴장에 의해, 홀딩 섹션을 루핑(looping)함으로써 차단 효과가 얻어지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차단 스프링은, 벨트 쪽 및 구동부 쪽에서 구동 섹션과 상호 작용하는 2개의 이격된 제어 섹션을 가질 수 있다. 차단 스프링이 감겨지면, 제어 섹션은 회전(turn)의 단부를 형성할 수 있다.
설계에 따라, 스프링을, 제어 섹션을 가깝게 누름으로써 압축하고, 제어 섹션을 멀리 누름으로써 팽창시키고, 또는 그 반대로 하기 위한 공정이 제안된다.
제어 섹션을 가깝게 누름으로써 차단 효과를 증대시키고, 제어 섹션을 멀리 누름으로써 해제 상태로 전환시키고, 또는 그 반대로 하기 위한 공정이 제안된다.
차단 부재의 단일 방향 효과는, 제어 섹션 및 구동 섹션의 적절한 배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차단 스프링은 그 제어 섹션을 통해 에너지가 충만된다.
한쪽, 특히 구동부 쪽의 내측 구동 섹션은, 특히 차단 스프링의 2개의 제어 섹션 사이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내측 구동 섹션은, 다른 쪽, 특히 서로 이격되어 고정되는 벨트 쪽의 외측 구동 섹션의 2개의 부분 사이에서 상기 제어 섹션들과 함께 위치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구동부는, 내측으로부터 차단 스프링의 제어 섹션으로 작용하며, 벨트 쪽에 의해 외측으로부터 효과가 발생한다.
차단 효과의 신뢰적인 증대 또는 차단 스프링의 해제 상태로의 전환을 보장하기 위해, 차단 스프링의 제어 섹션은 구동 섹션 사이에 간극을 가지도록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차단 스프링은 구동부 쪽과 벨트 쪽 사이의 힘 전달이 이루어지기 전에 동력 전달의 시작에서 먼저 에너지가 충만되고, 파워트레인은 힘 전달이 시작되는 쪽에 따라 보다 강력하게 차단되거나 해제된다.
차단 스프링의 제어 섹션, 및 구동부 쪽 및 벨트 쪽의 구동 섹션은, 고정식 홀딩 섹션에 안착되는 차단 스프링의 회전, 및 구동 섹션의 구동부 쪽 및 벨트 쪽에의 지지가 가능하도록, 파워트레인의 회전축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다른 차단 부재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좌석 벨트 장치의 파워트레인의 섹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좌석 벨트 장치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단 부재의 영역에서의 파워트레인의 설계에 대한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는, 한쪽에 전기 모터(17)를 포함하는 구동부(15; 도 3 참조)와 다른 쪽(모터 쪽)의 벨트 수축기(13) 사이에 파워트레인을 나타내고 있으며, 구동 샤프트(43)는 모터 쪽의 구동 섹션(21)을 위해 회전식으로 고정되게 연결되는 지지부(31)를 갖고, 벨트 쪽에는, 벨트 쪽의 구동 섹션(23)을 위한 캐리어의 역할을 하는 치차(33)가 하우징(41) 내에 배치되며, 구동 섹션(23)은 2개의 부분으로 분할되며 둘레 방향으로 이격된 2개의 구성요소(23a, 23b)를 포함한다.
구동 섹션(21, 23)은, 구동 샤프트(43) 및 하우징에 고정된 스피것(25)(spigot)의 중심축과 동심인 회전축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축방향 돌기로서 만들어진다. 벨트 쪽에 있는 지지 치차(33)는 원통형 스피것(25)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조립된 상태에서(도 3 및 도 4), 모터 쪽의 구동 섹션(21)은 벨트 쪽의 구동 섹션(23)의 2개의 부분(23a, 23b) 사이에 위치되어, 둘레 방향에서 볼 때 형상이 부합되는 연결부가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연결부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둘레방향으로 간극을 가져서, 구동 섹션(21, 23) 사이에서 힘의 전달이 일어나기 전에, 특정의 빈 거리가 구동 섹션에 의해 커버되고, 이로부터 각각의 다른 구동 섹션이 취해지기 전에 힘의 전달이 시작된다. 실질적인 실시예에서, 이 빈 경로 또는 "데드 경로(dead path)"는 약간에 불과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단 부재는 권취된 루프 스프링(19)의 형태로 파워트레 인 내에 통합되며, 루프 스프링(19)은 마찬가지로, 루프 스프링(19)에 대한 홀딩 섹션의 역할을 하는 스피것(25)의 벨트 쪽의 지지 치차(33)에 동축으로 안착된다. 루프 스프링(19)의 단부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제어 섹션(27, 29)으로서 만들어진다. 제어 섹션(27, 29)은 축방향 및 둘레방향 모두에 대하여 이격된다.
도 4는, 조립된 상태에서, 제어 섹션(27, 29)이 각각 모터 쪽의 내측 구동 섹션(21)과 벨트 쪽의 외측 구동 섹션(23)의 2개의 부분(23a, 23b) 중 하나 사이에 위치된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 구성에서, 제어 섹션(27, 29)은, 축방향 및 둘레방향으로 대응되게 오프셋되어 배치되고, 모터 쪽의 구동 섹션(21)에 형성된, 절결부(35, 37)의 영역에 배치된다. 따라서, 구동 섹션(21)은 Z자 형상을 갖는다. 절결부(35, 37)는 제어 섹션(27, 29)을 수용하기에 충분한 크기의 치수를 갖는다. 대안적으로, 절결부(35, 37)는 벨트 쪽의 외측 구동 섹션(23)의 2개의 부분(23a, 23b)에 만들어질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루프 스프링(19)을 형성하는, 특히 와이어형 부분의 단면 형상은, 일반적으로 임의의 유형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일 수도 있다.
도 4는 차단 부재(19)의 시작 상태 또는 정상적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모터 쪽 또는 벨트 쪽으로 에너지가 충만되지 않은 것이다. 이 상태에서, 차단 부재(19)의 제어 섹션(27, 29)은, 둘레방향에서 보아, 모터 쪽의 구동 섹션 및 벨트 쪽의 구동 섹션(23)의 외측 부분(23a, 23b)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둘레방향으로, 이 상태의 개별 구성요소 사이에 간극이 존재한다.
루프 스프링(19)은, 이러한 무부하 상태에서, 루프 스프링(19)이 장착되는 스피것(25)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으로 압축되도록, 권취되고 미리 긴장된다. 도 4에 따른 일반적 상태에서, 루프 스프링(19)은 결과적으로 스피것(25)에 회전식으로 고정되도록 단단히 클램프되어, 루프 스프링(19)과 하우징에 고정된 스피것(25) 사이에는 힘 전달 연결이 이루어진다.
제어 섹션(27, 29)은, 둘레방향으로 제어 섹션(27, 29)을 함께 누름으로써 루프 스프링(19)을 더 압축하도록, 루프 스프링(19)의 회전에 대하여 위치된다. 이와는 반대로, 루프 스프링(19)의 확장은 제어 섹션(27, 29)을 둘레방향으로 이격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여기서, "압축"은 제어 섹션이 구동 섹션(21) 쪽으로 이동되는 것을 의미하고, "이격"은 제어 섹션이 구동 섹션(21)으로부터 멀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압축 또는 팽창에서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각각의 구동 섹션에 의해 에너지를 받은 제어 섹션만이 이동하고, 다른 제어 섹션은 적어도 실질적으로 본래 위치를 지킨다.
도 4에 따른 모터 쪽 및 벨트 쪽의 구동 섹션(21, 23)의 배치는 이러한 루프 스프링(19)의 설계에 해당한다. 모터 쪽의 구동 섹션(21)은 2개의 제어 섹션(27, 29) 사이에 위치되고, 이들 제어 섹션(27, 29)은 다시 포크 형상의 벨트 쪽 구동 섹션(23)의 2개의 부분(23a, 23b)에 의해 둘레가 맞물리며 둘레방향으로 서로 고정 간격을 갖는다.
이하의 기능 방식은, 둘레방향에서의 제어 섹션(27, 29)과 구동 섹션(21, 23) 사이의 전술한 간극을 함께 고려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전기 모터(17)가 작동되면, 모터 쪽의 구동 섹션(21)은, 권취 방향(W), 2개의 제어 섹션(27, 29)이 둘레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즉 2개의 제어 섹션(27, 29) 사이의 간격이 커진다는 점에서, 또는 권출 방향(U)(도 3 참조)으로의 작용에 상관없이, 각각의 제어 섹션(27, 29)에 에너지를 가한다. 따라서, 루프 스프링(19)은 확장되고, 이에 따라 홀딩 스피것(25)에 회전식으로 고정된 클램핑 끼움이 취소되어, 루프 스프링(19)은 정상의 차단 상태로부터 해제 상태로 전환된다. 이 해제 상태에서, 루프 스프링(19)은 홀딩 스피것(25) 상에서 회전할 수 있다. 각각의 제어 섹션(27, 29)의 약간의 변형은 이 전환을 위해 이미 충분하다.
해제 상태로의 전환을 위해 필요한 모터 쪽 구동 섹션(21)에 의한 각각의 제어 섹션(27, 29)의 변형은, 모터 쪽 구동 섹션(21)이 내측으로부터 벨트 쪽 외측 구동 섹션(23)의 각각의 부분(23a, 23b)과 접촉하기 전에 이루어진다.
이것은, 모터(17)에 의한 수축기(13)의 에너지 충만이 파워트레인의 완전히 취소된 차단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하며, 그 이유는, 루프 스프링(19)은 이미 해제 상태이기 때문이다. 모터 쪽 구동 섹션(21)의 절결부(35, 37)는, 모터 쪽 구동 섹션(21)이 벨트 쪽 구동 섹션(23)의 각각의 부분(23a, 23b)과 내측으로 접촉하는 경우, 수축기(13)의 구동 중에 각각의 제어 섹션(27, 29)을 수용한다.
이와는 반대로, 벨트(11)로부터의 힘 전달 개시는, 각각의 부분(23a, 23b)이 모터 쪽의 내측 구동 섹션(21)과 접촉하기 전에, 벨트 쪽 구동 섹션(23)의 각각의 부분(23a, 23b)의 루프 스프링(19)의 각각의 제어 섹션(27, 29)에 대한 이동을 야기하며, 상기 힘 전달이 권취 방향(W) 또는 권출 방향(U)으로 일어나는 것과 무관 하다. 따라서, 루프 스프링(19)의 제어 섹션(27, 29)이 함께 눌려지며, 즉 2개의 제어 섹션(27, 29) 사이의 간격이 줄어들며, 이로 인해 상기 루프 스프링(19)은 더욱 압축된다. 따라서, 하우징에 고정된 스피것(25) 상에 루프 스프링(19)을 회전식으로 고정되도록 홀딩하는 클램핑 힘이 더욱 증대되어, 루프 스프링(19)의 차단 효과가 증대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단 부재(19)를 구비한 파워트레인은, 회전방향에 대하여 대칭이지만, 차단 부재의 단일방향 효과로 인해 힘 전달이 개시되는 쪽에 대하여는 비대칭이다.
벨트(11)로부터 시작하는 방향에서, 파워트레인은 루프 스프링(19)의 이러한 비대칭 작용에 의해 셀프 로킹 방식으로 형성된다. 벨트(11)로부터의 힘 전달 개시에 의해, 모터 쪽의 구동 섹션(21)의 차단 부재(19)가 차단 방향으로 작용함으로써, 벨트 쪽의 구동 섹션(23)은 권취 방향(W) 또는 권출 방향(U)으로 회전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모터(17)가 작용하지 않는다면, 벨트(11)는 긴장 상태 또는 조임 상태로 유지된다.
벨트(11)가 모터(17)에 의해, 루프 스프링(19)이 해제 상태로 전환됨으로써 이루어지는, 예비 안전 케이스 또는 예비 충돌 상태로 조여지면, 모터(17)는 정지될 수 있다. 차단 상태로 복귀되는 루프 스프링(19)은, 벨트(11)의 예비 긴장 또는 예비 조여짐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벨트(11)를 통해 작용하는 힘은, 차단 부재(19)가, 구동 섹션(23)을 지지하는 벨트 쪽 치차(33)를 양쪽 회전방향으로 차단하기 때문에, 이러한 벨트 상태를 변경시킬 수 없다.
벨트(11)의 예비 긴장 상태가 취소되어야 하는 경우, 모터(17)는 권출 방향으로 작용하고, 이에 따라 루프 스프링(19)은 해제 상태로 전환되어, 모터(17)는 수축기를 권출 방향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도 4에는, 서두에 언급한 다른 가능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었으며, 예를 들어 스파이럴 스프링 형태의 기계적 에너지 저장소(39)가 모터(17)와 수축기(13) 사이에 추가로 배치된다. 에너지 저장소(39)는 벨트 쪽의 지지 치차(33)와 수축기(13) 사이에 위치된다.
이러한 에너지 저장소(39)의 설치, 조립, 및 기능은, 기계적 에너지 저장소(39) 자체가 본 발명의 주제가 아니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단일 방향 차단 시스템은 이러한 유형의 기계적 에너지 저장소의 유무에 관계없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중요한 점이다.
* 주요 구성요소에 대한 참조부호의 설명 *
11 좌석 벨트 13 벨트 수축기
15 수축기용 구동부 17 구동부의 전기 모터
19 차단 부재, 루프 스프링 21 내측 구동 섹션(모터 쪽)
23 외측 구동 섹션(벨트 쪽) 23a 외측 구동 섹션의 부분
23b 외측 구동 섹션의 부분 25 홀딩 섹션, 스피것
27 차단 부재의 제어 섹션 29 차단 부재의 제어 섹션
31 모터 쪽 구동 섹션의 지지부
33 벨트 쪽 구동 섹션의 지지부, 치차
35 절결부 37 절결부
39 기계적 에너지 저장소 41 하우징
43 구동 샤프트 45 트랜스미션
W 권취 방향 U 권출 방향

Claims (13)

  1. 차량용 벨트 장치에 있어서,
    - 좌석 벨트(11);
    - 벨트 수축기(13); 및
    - 바람직하게 상기 수축기(13)용 전기 모터(17)를 포함하는 구동부(15)
    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15)와 상기 수축기(13) 사이의 파워트레인(powertrain)에 단일 방향으로 작용하는 차단 부재(19)가 구비되고, 정상적인 차단 상태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벨트로부터 시작되는 힘 전달에 의한 차단 효과를 증대시키고 상기 구동부(15)로부터 시작되는 힘 전달에 의해 해제 상태로 전환되는,
    좌석 벨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부재(19)는 상기 차단 효과를 증대시키거나, 권취 방향(W) 또는 권출 방향(U) 양쪽으로 일어나는 힘 전달에 의해 해제 상태로 전환되는, 좌석 벨트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부재(19)는 기계적인 차단 부재인, 좌석 벨트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부재(19)는, 특히 루프 스프링(loop spring) 또는 스파이럴 스프링(spiral spring)으로서 만들어진 차단 스프링을 포함하는, 좌석 벨트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스프링(19)은, 상기 파워트레인으로부터 분리되는 홀딩 섹션(25) 상에 안착되어, 차단 상태에서 상기 차단 스프링(19)이 힘을 전달할 수 있도록 연결되는, 상기 구동부 쪽의 구동 섹션(21) 및 상기 벨트 쪽의 구동 섹션(23)에 대하여 고정된, 좌석 벨트 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스프링(19)은, 상기 구동부 쪽의 구동 섹션(21) 및 상기 벨트 쪽 구동 섹션(23)과 상호 작용하는 2개의 이격된 제어 섹션(27, 29)을 가진, 좌석 벨트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스프링(19)은 권취된 것이며, 상기 제어 섹션(27, 29)은 회전(turn)의 단부 형태인, 좌석 벨트 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스프링(19)은 상기 제어 섹션(27, 29)을 함께 누름으로써 압축되고 상기 제어 섹션(27, 29)을 서로 이격시킴으로써 확장되며, 그 반대도 가능한, 좌석 벨트 장치.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스프링(19)은, 상기 제어 섹션(27, 29)을 함께 누름으로써 차단 효과를 증대시키고, 상기 제어 섹션(27, 29)을 서로 이격시킴으로써 해제 상태로 전환시키며, 그 반대도 가능한, 좌석 벨트 장치.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내측 구동 섹션(21)은, 상기 차단 스프링(19)의 2개의 제어 섹션(27, 29) 사이에 위치되고, 서로 일정한 거리를 가지는 상기 다른 쪽의 외측 구동 섹션(23)의 2개의 부분(23a, 23b) 사이에서 상기 제어 섹션(27, 29)과 함께 위치되는, 좌석 벨트 장치.
  11.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스프링(19)은, 정상적인 상태에서, 그 제어 섹션(27, 29)이 하나의 구동 섹션(21, 23)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양쪽 구동 섹션에 대하여 적어도 간극을 가지고 위치되는, 좌석 벨트 장치.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구동 섹션(21)은 상기 구동부 쪽과 연관되고, 상기 외측 구동 섹션(23)은 상기 벨트 쪽과 연관되는, 좌석 벨트 장치.
  13. 제6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스프링(19), 상기 구동부 쪽의 구동 섹션(21), 및 상기 벨트 쪽의 구동 섹션(23)은, 상기 고정식 홀딩 섹션(25) 및 상기 구동부 쪽의 구동 섹션(21) 및 상기 벨트 쪽의 구동 섹션(23)을 위한 지지부(31, 33) 상에 안착된 상기 차단 스프링(19)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파워트레인의 회전축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좌석 벨트 장치.
KR1020087013312A 2005-11-09 2006-10-25 좌석 벨트 장치 KR1010187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5024419.3 2005-11-09
EP05024419A EP1785321B1 (de) 2005-11-09 2005-11-09 Sicherheitsgurtvorricht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7690A true KR20080067690A (ko) 2008-07-21
KR101018725B1 KR101018725B1 (ko) 2011-03-04

Family

ID=36088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3312A KR101018725B1 (ko) 2005-11-09 2006-10-25 좌석 벨트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090026828A1 (ko)
EP (1) EP1785321B1 (ko)
JP (1) JP5145538B2 (ko)
KR (1) KR101018725B1 (ko)
CN (1) CN101304903B (ko)
AT (1) ATE388863T1 (ko)
BR (1) BRPI0618376A2 (ko)
DE (1) DE502005003234D1 (ko)
WO (1) WO20070542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43386B2 (ja) * 2009-10-20 2013-07-24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エビング巻取装置
EP2444289B1 (en) * 2010-10-21 2015-05-27 Autoliv Development AB A drive arrangement
DE102010053063B4 (de) 2010-12-01 2014-01-23 Daimler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chützen eines Fahrzeuginsassen eines Fahrzeugs
CN103029678B (zh) * 2011-10-07 2015-06-10 株式会社东海理化电机制作所 安全带卷绕装置
WO2014145060A1 (en) * 2013-03-15 2014-09-18 Immy Inc. Head mounted display having alignment maintained via structural frame
DE102013008277B4 (de) * 2013-05-15 2022-10-13 Zf Automotive Germany Gmbh Verfahren zum Straffen eines unbenutzten Fahrzeuggurts
JP6081396B2 (ja) * 2014-03-07 2017-02-15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ェビング巻取装置
JP6127006B2 (ja) * 2014-03-07 2017-05-10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ェビング巻取装置
CN109334606B (zh) * 2018-12-06 2023-12-19 湖北科技学院 一种安全带卷收器上的扭力控制器
DE102019206439B4 (de) * 2019-05-06 2021-11-11 Autoliv Development Ab Gurtaufroller
DE102021102380B4 (de) 2021-02-02 2023-08-10 Autoliv Development Ab Kupplungselement für einen Gurtaufroller und Gurtaufroller mit einer elektromotorischen Antriebseinrichtung
DE102021102381B4 (de) 2021-02-02 2023-02-09 Autoliv Development Ab Gurtaufroller mit einer elektromotorischen Antriebseinrichtung und einem Leistungsstraffer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76184A (en) * 1972-10-02 1975-04-08 Charles N Eudy Anchor winch
US4372432A (en) * 1981-03-18 1983-02-08 General Clutch Corp. Bi-directional clutch
JPS58185351A (ja) * 1982-04-26 1983-10-29 Nissan Motor Co Ltd シ−トベルトリトラクタ
JPH08522B2 (ja) * 1985-05-22 1996-01-1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シ−トベルトリトラクタ
US5375643A (en) * 1992-12-22 1994-12-27 General Clutch Corporation Spring clutch assembly with reduced radial bearing forces
CN1088167A (zh) * 1993-09-06 1994-06-22 王士敏 汽车座椅安全带卷收器
JP2000052923A (ja) * 1998-08-12 2000-02-22 Tokai Rika Co Ltd ウエビング巻取装置
DE10018972B4 (de) * 2000-04-17 2007-08-02 Trw Automotive Electronics & Components Gmbh & Co. Kg Gurtaufroller
JP3733007B2 (ja) * 2000-07-11 2006-01-11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エビング巻取装置
CN2522300Y (zh) * 2002-01-30 2002-11-27 上海天合汽车安全系统有限公司 用于二点式安全带的自动锁止式卷收器
DE10204477B4 (de) * 2002-02-05 2006-11-30 Daimlerchrysler Ag Gurtstraffer
DE10213906B4 (de) * 2002-03-28 2006-11-23 Autoliv Development Ab Leistungsstraffer
US6921041B2 (en) * 2002-05-13 2005-07-26 Trw Occupant Restraint Systems Gmbh & Co. Kg Seat-belt retractor
DE20311004U1 (de) * 2003-07-17 2003-12-04 Trw Occupant Restraint Systems Gmbh & Co. Kg Gurtaufroller für einen Fahrzeug-Sicherheitsgurt
DE10346967B4 (de) * 2003-10-09 2010-02-25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Würzburg Gurtaufroller für Sicherheitsgurtvorrichtungen
DE102004022134A1 (de) * 2004-05-05 2005-12-01 Trw Automotive Gmbh Gurtaufroller für einen Fahrzeugsicherheitsgurt
US7744031B2 (en) * 2005-10-21 2010-06-29 Kevin Wei-Loong Ng Apparatus and method to reduce/eliminate lockup of seatbelt retractor during motorized pretensioning activation
US7367548B2 (en) * 2006-04-17 2008-05-06 Pinpoint Product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elevated storage of artic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54205A1 (de) 2007-05-18
ATE388863T1 (de) 2008-03-15
DE502005003234D1 (de) 2008-04-24
CN101304903B (zh) 2011-01-05
US20090026828A1 (en) 2009-01-29
CN101304903A (zh) 2008-11-12
JP5145538B2 (ja) 2013-02-20
EP1785321A1 (de) 2007-05-16
JP2009514731A (ja) 2009-04-09
BRPI0618376A2 (pt) 2012-07-03
KR101018725B1 (ko) 2011-03-04
EP1785321B1 (de) 2008-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8725B1 (ko) 좌석 벨트 장치
KR101759822B1 (ko) 웨빙 권취 장치 및 시트 벨트 장치
CN109562778B (zh) 用于机动车辆的转向柱
KR100933397B1 (ko) 프리텐션 장치를 포함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KR102569819B1 (ko) 힘 제한 디바이스 및 결합해제 디바이스를 갖는 벨트 리트랙터
US6447012B2 (en) Belt retractor system
US6848644B2 (en) Belt tensioner
JP3655241B2 (ja)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US6260782B1 (en) Retractor spool
US9688238B2 (en) Webbing take-up device
US6390403B2 (en) Seat belt retractor
HU213340B (en) Retaining structure for vehicle safety belt provided with belt stretching unit
CN110997452B (zh) 用于机动车辆的转向柱
EP0655371A1 (en) Belt tightener for seat belt
US20050284976A1 (en) Method for operating a belt retractor and a belt retractor for a safety belt
US8857854B2 (en) Passenger restraint device for vehicles
CN111216676A (zh) 一种摩擦片式离合组件及安全带卷收器
US7850111B2 (en) Belt retractor for a safety belt system
CN116133908A (zh) 安全带卷收器
JP2005534567A (ja) ベルトシャフトに組み込まれた引締め駆動装置を備えたベルトレトラクタ−ベルトテンショナの組合せ
JP2004518570A (ja) ベルト緊張装置を持つ安全ベルト巻取り機
CN111216674A (zh) 一种弹簧式离合组件及安全带卷收器
CN111204306A (zh) 一种锁止机构及安全带卷收器
JP2006256514A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US20180326942A1 (en) Webbing take-up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