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7648A - 분석용 지지체 및 그의 용도 - Google Patents

분석용 지지체 및 그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7648A
KR20080067648A KR1020087011212A KR20087011212A KR20080067648A KR 20080067648 A KR20080067648 A KR 20080067648A KR 1020087011212 A KR1020087011212 A KR 1020087011212A KR 20087011212 A KR20087011212 A KR 20087011212A KR 20080067648 A KR20080067648 A KR 200800676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reaction
analysis
support according
prote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1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세이지로 아나하라
아끼히꼬 모리야마
Original Assignee
이비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비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비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67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764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6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the ionisation of gases, e.g. aerosols; by investigating electric discharges, e.g. emission of cathode
    • G01N27/622Ion mobility spectrometry
    • G01N27/623Ion mobility spectrometry combined with mass spectrometr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6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the ionisation of gases, e.g. aerosols; by investigating electric discharges, e.g. emission of cathode
    • G01N27/6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the ionisation of gases, e.g. aerosols; by investigating electric discharges, e.g. emission of cathode using wave or particle radiation to ionise a gas, e.g. in an ionisation cha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49/00Particle spectrometers or separator tubes
    • H01J49/02Details
    • H01J49/04Arrangements for introducing or extracting samples to be analysed, e.g. vacuum locks; Arrangements for external adjustment of electron- or ion-optical components
    • H01J49/0409Sample holders or containers
    • H01J49/0418Sample holders or containers for laser desorption, e.g. matrix-assisted laser desorption/ionisation [MALDI] plates or surface enhanced laser desorption/ionisation [SELDI] pl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49/00Particle spectrometers or separator tubes
    • H01J49/02Details
    • H01J49/10Ion sources; Ion guns
    • H01J49/16Ion sources; Ion guns using surface ionisation, e.g. field-, thermionic- or photo-emission
    • H01J49/161Ion sources; Ion guns using surface ionisation, e.g. field-, thermionic- or photo-emission using photoionisation, e.g. by laser
    • H01J49/164Laser desorption/ionisation, e.g. matrix-assisted laser desorption/ionisation [MALDI]

Abstract

본 발명은 비금속제 매트릭스를 갖는 도전성 재료를 함유하는 분석 대상의 지지체이다. 이 분석용의 지지체는, 도전성 재료를 함유하기 때문에, 분석 대상의 공급, 유지 또는 분석을 위해 지지체에 대한 전압의 인가 등이 필요한 경우의 지지체로서 유용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분석용 지지체는, MALDI-TOFMS 등의 질량 분석용의 금속제 샘플 플레이트를 대신하여 또는 그 일부로서 사용할 수 있다.
비금속제 매트릭스, 분석용 지지체, 도전성 재료, 질량 분석 방법, 아미노산 서열의 분석 방법

Description

분석용 지지체 및 그의 용도{SUPPORT FOR ANALYSIS AND USE THEREOF}
본 발명은 분석용의 지지체, 분석 대상이 보유된 지지체, 질량 분석 방법 및 아미노산 서열의 분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백질, 펩티드, 다당류 등의 고분자 화합물이나 유기 화합물의 해석에 있어서, 레이저 탈착 이온화(LDI)나 매트릭스 보조 레이저 탈착 이온화(MALDI) 및 이것을 이용하는 비행 시간형 질량 분석(TOFMS) 등의 질량 분석법은 유용한 기법이다. 이들 이온화 기법, 예를 들면 MALDI에서는, 통상적으로 샘플 슬라이드 상에 시나프산 등의 매트릭스와 단백질의 혼합물을 얹어 놓고, 이 혼합물에 대하여 레이저 조사함으로써 단백질을 이온화시키고 있다. 이러한 이온화 공정에서 이용되는 샘플 플레이트는 그 후의 질량 분석 공정을 위해, 도전성인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제 플레이트가 이용되고 있다.
또한, 전기 영동에 의해 또는 잉크젯 등의 인쇄 기법에 의해 이차원적으로 정렬된 분자를 액체 투과성의 지지체에 블로팅하고, 이 지지체를 금속제의 샘플 플레이트에 도전성 양면 테이프 등으로 접착하고 있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제2005-83784호).
<발명의 개시>
질량 분석에 있어서는, 분석 대상에 대하여 화학 변형 등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은데, 금속제의 플레이트에서는, 이러한 화학 변형에 대한 내성이 없어, 별도로 화학 변형을 행한 후에, 금속제 샘플 플레이트로 변형물을 옮길 필요가 있었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지지체는, 모두 그 자체로 도전성을 갖고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금속제 플레이트에 접착하는 등의 과정을 거쳐도 양호한 이온화는 곤란하였다. 또한, 금속제 플레이트에 접착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박막을 이용해야만 하고, 그 때문에 취급이 어려웠다.
따라서, 본 발명은 LDI나 MALDI 등에 있어서의 이온화에 적합한 분석 대상의 지지체를 제공하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분석 대상의 화학 변형 등을 용이화할 수 있는 질량 분석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열 분석을 위한 화학 변형 조작을 용이화할 수 있는 단백질 또는 펩티드의 분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의 검토한 결과, 비금속성 매트릭스를 구비하는 도전성 재료를 이온화를 위한 고상 지지체로서 이용함으로써, 상기한 과제의 적어도 하나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이하의 수단이 제공된다.
본 발명자들은 적어도 상기한 하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하의 수단을 창출하였다.
(1) 비금속성 매트릭스를 구비하는 도전성 재료인, 분석 대상을 보유하기 위한 분석용의 지지체.
(2) 상기 도전성 재료는 도전성 고분자 재료인, (1)에 기재된 지지체.
(3) 상기 도전성 고분자 재료는 도전성 재료를 유기 고분자 매트릭스에 분산 보유시키는 복합 도전성 고분자 재료인, (2)에 기재된 지지체.
(4) 상기 도전성 재료는 도전성 세라믹 재료인, (1)에 기재된 지지체.
(5) 상기 도전성 세라믹 재료는 유리상(glassy) 탄소 또는 열분해 탄소에 의한 표면 처리층을 갖는 흑연 재료인, (4)에 기재된 지지체.
(6)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및 무수 아세트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산에 대한 내식성을 구비하는,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지지체.
(7) 상기 지지체는 액체 투과성 또는 액체 비투과성인,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지지체.
(8) 상기 지지체는, 필름상, 플레이트상 및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상 중 어느 하나인,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지지체.
(9) 폴리뉴클레오티드,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단백질, 펩티드, 당단백질 및 다당류 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분자 또는 이들 유도체를 분석 대상으로 하는,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지지체.
(10) 질량 분석용의 샘플 플레이트 또는 그 일부인,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지지체.
(11) 매트릭스 보조 레이저 탈착 이온화 질량 분석용인, (10)에 기재된 지지체.
(12) 비행 시간형 질량 분석용인, (11)에 기재된 지지체.
(13) 에드만 반응에 대한 내식성을 구비하는, (1)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지지체.
(14) 지지체 상에서의 에드만 반응 또는 그 유사 반응의 반응 생성물 및 반응 중간체를 보유하기 위한, (13)에 기재된 지지체.
(15) 아미노산 서열 분석용인, (1) 내지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지지체.
(16) 분석 대상을 보유시키기 위한 분석용 지지체이며,
비금속성 매트릭스를 구비하는 도전성 재료이고, 에드만 반응에 대한 내식성을 구비함과 동시에 에드만 반응을 거친 반응물을 보유할 수 있는 지지체.
(17) 1종 또는 2종 이상의 분석 대상이 보유된 지지체이며,
상기 지지체는 비금속제 매트릭스에 분산 보유된 도전성 고분자 재료를 함유하는 지지체.
(18) 상기 1종 또는 2종 이상의 분석 대상을 보유하는 분석용의 영역이 복수개 배열되어 있는, (17)에 기재된 지지체.
(19) 상기 분석용의 영역은 각각 고유의 위치 정보를 따르는, (18)에 기재된 지지체.
(20) 상기 분석 대상은 아미노산, 펩티드 및 단백질로부터 선택되는, (17) 내지 (1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지지체.
(21) 상기 분석용의 영역에는 N 말단 아미노산 잔기가 서로 다른 단백질 또는 펩티드가 보유되어 있는, (17) 내지 (2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지지체.
(22) 상기 분석용의 영역에는 에드만 반응 또는 그 유사 반응의 반응 생성물 및 반응 중간체가 보유되어 있는, (17) 내지 (2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지지체.
(23) 상기 분석 대상은 전기 영동 또는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상기 지지체에 공급되고 보유되는, (17) 내지 (2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지지체.
(24) 질량 분석 방법이며,
비금속제 매트릭스를 갖는 도전성 재료인 분석 대상의 지지체를 이용하는 레이저 탈착 이온화 공정을 구비하는 방법.
(25) 상기 레이저 탈착 이온화 공정은 매트릭스 보조 레이저 이온화 공정인, (24)에 기재된 방법.
(26) 비행 시간형 질량 분석 공정을 구비하는, (24) 또는 (25)에 기재된 방법.
(27) 상기 이온화 공정은, (17) 내지 (2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분석 대상의 지지체를 이용하는 공정인, (24) 내지 (2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28) 단백질 또는 펩티드의 분석 방법이며,
(a) 단백질 또는 펩티드를, 비금속제 매트릭스를 갖는 도전성 재료인 지지체에 공급하여 보유시키는 공정과,
(b) 상기 지지체 상의 단백질 또는 펩티드의 일부의 말단 아미노산 잔기를 화학 변형함과 함께 절단하는 공정과,
(c) 상기 지지체 상의 상기 (b) 공정에 의해 얻어지는 말단 아미노산 잔기가 빠진 절편과 상기 (b) 공정에서 변형되었지만 미절단된 상기 단백질 또는 펩티드를 질량 분석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방법.
(29) 상기 (b) 공정은 에드만 반응 또는 그 유사 반응에 의한 공정인, (27)에 기재된 방법.
(30) 상기 (b) 공정 및 상기 (c) 공정을 상기 단백질 또는 펩티드의 N 말단 아미노산 잔기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적정수회 반복하여 실시하는, (28) 또는 (29)에 기재된 방법.
(31) 상기 보유 공정은, 전기 영동에 의한 분리 또는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서 용리된 단백질 또는 펩티드를 상기 지지체에 공급하여 보유시키는 공정인, (28) 내지 (3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의 분석용 지지체는, 비금속제 매트릭스를 갖는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도전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샘플의 공급, 보유 또는 분석을 위해 지지체에의 전압의 인가 등이 필요한 경우의 지지체로서 유용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분석용 지지체는, MALDI-TOFMS 등의 질량 분석용의 금속제 샘플 플레이트에 대신하여 또는 그 일부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분석용 지지체는 비금속제 매트릭스를 갖는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금속제의 지지체에 비하여 용이하게 내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분석 대상을 변형시키 위한 다양한 화학 반응을 지지체 상에서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에, 질량 분석에 앞서서 별도로 행하였던 변형 반응의 생성물을 질량 분석용의 샘플 플레이트에 도포하거나 하였지만, 그와 같은 번잡함은 해소되어, 변형 반응과 분석 공정을 동일 지지체 상에서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인 질량 분석 방법 및 단백질 또는 펩티드의 분석 방법에 있어서도, 본 발명의 분석용 지지체를 구비하거나 또는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고, 이에 따라, 그 실시 형태에 따른 이점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분석용 지지체에 관해서 설명함과 함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인 질량 분석 방법 및 펩티드 분석 방법에 관해서도 차례로 설명한다.
(분석용 지지체)
본 발명의 분석용 지지체(이하, 간단히 지지체라고 함)에 이용되는 도전성 고분자 재료는, 분석 목적 등에 따른 형태를 채용할 수 있고, 그 형태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비드상, 기판 등의 플레이트상, 필름상, 1개 또는 복수개의 분석 대상 영역을 형성하는 웰 등의 오목부나 격벽을 갖는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상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단백질 서열 분석기나 질량 분석 또는 형광 분석 등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플레이트상, 필름상,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상 등이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서, 플레이트상의 지지체란, 전체적으로 취급 용이한 정도의 강성을 구비하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소위 기판으로서 종래 사용되는 정도의 강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체를 플레이트상으로 하는 경우에는, 그것 단독으로 샘플 플레이트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필름상 지지체란 그 자체로서는 일정한 삼차원 형태를 유지하는 것이 곤란할 정도의 가요성 또는 유연성을 갖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이러한 필름상 지지체는, 비금속제 매트릭스를 갖는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플레이트의 표면에 일체화하여 이용할 수도 있고, 스테인레스, 알루미늄, 티탄 등의 도전성을 갖는 금속의 플레이트의 표면에 일체화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플레이트에 일체화되는 경우에는, 필름 본래의 점착성으로 일체화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도전성 재료를 포함하는 테이프재나 접착제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지지체는, 다공질성 등과 같이 액체 투과성일 수도 있고, 치밀질 또는 발액성 등으로 인해 액체 불투과성일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액체 불투과성이다. 액체 투과성인 것에 의하면, 분석 대상이 지지체 내부에 보유되게 되어, 이온화 효율이 저하되고, 또한, 질량 분석의 정밀도가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재료가 치밀질인 것에 의해 액체 불투과성인 지지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지지체가 구비하는 도전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TOFMS에 이용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두께 방향의 체적 저항값(Ω㎝)이 2 이상 10000 이하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체적 저항값은, 예를 들면 JIS K7194에 의해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지지체가 비금속제 매트릭스를 갖는 도전성 재료인 것에 의해, 그 자체가 질량 분석, 특히 LDI-TOFMS 또는 MALDI-TOFMS의 샘플 플레이트가 될 수 있다. 또한, 본 지지체는 MALDI에 의한 이온화 공정을 저해하지 않기 때문에, 도전성 재료는 MALDI에 적합한 지지체라고 생각된다.
또한, 지지체는 내식성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식성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한 산으로는, 황산, 염산, 질산 등의 무기산 및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등의 할로겐화 유기산, 유기 술폰산 등의 유기산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펩티드나 단백질의 해석을 고려하면, 일반적으로 단백질이나 펩티드의 변형 반응에 이용되는 유기산에 대한 내식성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형적으로는, 에드만 반응에서의 N 말단 아미노산의 절단에 이용되는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등의 할로겐화 유기산 및 무수 아세트산 등의 무수 유기산을 들 수 있고, 이러한 산에 대한 내식성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체는, 메탄올이나 아세토니트릴 등에 대한 내식성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금속제 매트릭스를 갖는 도전성 재료로는, 도전성 고분자 재료를 들 수 있다. 도전성 고분자 재료로는, 예를 들면, 치환 또는 치환되지 않은 폴리아세틸렌, 디아세틸렌 중합체, 치환 또는 치환되지 않은 폴리피롤, 치환 또는 치환되지 않은 폴리티오펜, 폴리아닐린 등의 본질적으로 도전성인 플라스틱 외에, 플라스틱이나 실리콘 등 고분자 재료에 금속 분말이나 섬유 또는 카본 블랙이나 흑연의 분말이나 섬유 등의 도전성 재료를 분산 복합시킨 복합 도전성 고분자 재료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내식성 측면에서, 폴리염화비닐,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프로필렌 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전성 고분자 재료는, 분석 대상을 보유하는데 바람직한 관능기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관능기는, 미리 고분자 재료의 합성 시에 단량체 등이 구비할 수도 있고, 합성 후에 지지체의 표면에 대하여 후변형에 의해서 도입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아미노기, 카르복실기, 에폭시기, 포르밀기, 히드록실기, 카르보이미드기, 활성 에스테르기를 도입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DNA나 RNA 등의 핵산을 유지하는 데 바람직한 관능기로는, N-히드록시숙신이미드기, 카르보이미드기, 에폭시기, 포르밀기 등을 들 수 있고, 펩티드를 유지하는 데 바람직한 관능기로는, N-히드록시숙신이미드기, 카르보이미드기, 에폭시기, 포르밀기, 금속 킬레이트를 들 수 있다.
또한, 다른 도전성 재료로는 도전성 세라믹 재료를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탄화규소(SiC), 흑연 등의 비산화물계 세라믹을 들 수 있다. 또한, 절연성 세라믹의 매트릭스에 금속이나 도전성 세라믹 재료의 입자를 혼합한 복합 도전성 세라믹 재료 등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도전성 세라믹 재료는 흑연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그 표면에 유리상 탄소 또는 열분해 탄소에 의한 표면 처리층을 갖는 흑연이다. 이러한 흑연에 의하면, 흑연의 이탈이 억제됨과 동시에, 도전성뿐만 아니라 내용제성, 반복 사용성이 우수한 샘플 플레이트로서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열분해 탄소에 의한 표면 처리층을 갖는 흑연은, 탄소 입자의 탈락이 한층 억제됨과 동시에 아세토니트릴 등의 용제에 대한 우수한 내용제성, 산이나 알칼리 등에 대한 내부식성 및 강도, 반복 사용성 등을 갖고 있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 표면 처리층을 갖는 흑연 재료는 모두 금속제 플레이트에 점착하지 않고 단독으로 MALDI에 적합한 샘플 플레이트를 구성할 수 있다.
유리상 탄소에 의한 표면 처리층을 갖는 흑연으로는, 유리상 탄소를 흑연 표면 및 내부에까지 함침시킨 재료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함침 깊이는, 예를 들면, 1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이하이다. 이러한 흑연 재료는, 예를 들면, VGI(이비덴 가부시끼가이샤의 흑연 제품)으로서 입수할 수 있다. 또한, 열분해 탄소에 의한 표면 처리층을 갖는 흑연으로는, 탄소의 화학 증착에 의한 피막을 갖는 흑연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흑연은 등방성 흑연이다. 이러한 흑연 재료는, 예를 들면, 파이로카브(이비덴 가부시끼가이샤의 흑연 제품)으로서 입수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체는, 필요한 내식성을 구비함으로써 지지체 상에서의 에드만 반응을 비롯한 분석 대상의 제조나 변형을 위한 반응이 가능함과 동시에, 단백질, 펩티드 및 아미노산 또는 이들 유도체를 비공유 결합성의 결합에 의해 보유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지지체는 단백질이나 아미노산 또는 이들 유도체를 생성시키고 지지체 상에서 그대로 질량 분석 등에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점으로부터, 본 발명의 지지체는, LDI 또는 MALDI에 의한 질량 분석을 위한 지지체가 될 수 있는 외에, 에드만 반응 또는 그 유사 반응에 의한 아미노산 서열 분석 장치용의 분석 대상의 지지체를 포함하는 단백질이나 펩티드의 화학 변형용 지지체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 결과, 이 지지체 상에서 에드만 반응 등의 화학 반응을 실시하고 반응 생성물을 유지하여 그대로 질량 분석용의 지지체, 특히, 샘플 플레이트에 전압을 인가하는 양태의 질량 분석 공정을 실시하는 질량 분석 방법에 있어서의 샘플 플레이트 또는 그 일부로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분석 대상의 합성, 추출, 또는 분석 대상에 대한 변형 등의 화학 반응을 실시한 후에, 분석 대상을 질량 분석용의 샘플 플레이트로 옮기지 않고 그대로 동일한 지지체를 이용하여 질량 분석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지지체를 이와 같이 사용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질량 분석의 분석 대상에 대한 각종 반응 후에, 금속제의 샘플 플레이트로 반응 생성물을 옮길 필요도 없고, 또한, 반응 생성물을 보유시킨 막을 금속제 샘플 플레이트에 점착할 필요도 없게 된다.
(분석 대상)
지지체에 보유시키는 분석 대상으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DNA나 RNA, DNA/RNA 키메라, DNA/RNA 혼성 등의 형태의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펩티드, 단백질, 다당류, 당단백질, 지질, PNA(펩티드 핵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생체 고분자는 분석을 위해서 화학 변형이 실시되어 유도체화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분석 대상으로는, 이러한 생체 고분자 외에, 천연 또는 인공의 유기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분석 대상은, 세포나 균체 추출물, 발효 산물, 무세포계 추출물, PCR 산물, 인공적인 합성 산물, 단백질의 효소 처리물 등에 포함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분석 대상은, 본 발명의 지지체가 질량 분석에 적합하기 때문에, 질량 분석, 특히, MALDI에 의해서 분석 가능한 또는 분석하는 데에 적합한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분석 방법)
본 발명의 분석 방법은, 분석 대상이 보유된 지지체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분석 대상이 보유된 지지체를 우선 제조하고, 그 후 이 지지체에 대하여 각종 분석 기법을 실시하여 분석 결과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우선 분석 대상이 유지된 지지체 및 그 제조 공정에 관해서 설명한다.
(분석 대상이 보유된 지지체)
분석 대상이 지지체에 보유되어 있다는 것은, 적어도 지지체 상의 분석 대상을 분석할 때까지 일정 위치에 유지되어 있는 것을 뜻하고 있다. 따라서, 분석 후의 분석 대상이 세정 등에 의해 용이하게 지지체로부터 제거 가능한 정도의 고정 상태이어도, 그 분석 대상은 지지체에 보유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분석 대상의 보유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이온 결합, 수소 결합, 정전적 상호 작용, 소수성 상호 작용, 킬레이트 등의 비공유 결합성의 결합으로 보유되어 있을 수도 있고, 공유 결합에 의해서 보유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화학적 결합 이외일 수도 있고, 지지체 표면 상의 단순히 오목부에 분석 대상이 존재하는 경우이어도, 분석할 때까지 해당 오목부에 유지되어 있는 한, 이 분석 대상은 보유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고정 형태는 분석 대상의 종류와 지지체의 재료나 표면 변형 등에 의해서 다양한 형태가 있을 수 있지만, 질량 분석에 있어서의 이온화를 고려하면 비공유 결합성의 결합인 것이 바람직하다.
분석 대상은 지지체의 표면에 직접 보유될 수도 있지만, 간접적으로, 예를 들면, 지지체의 표면에 직접 보유된 개재물을 통해 지지체에 보유되어 있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지지체에, 항체 또는 항원을 보유시켜 두고, 이 지지체에 대하여 항원 또는 항체를 공급하여 항원항체 반응을 행함으로써, 분석 대상인 항체 또는 항원을, 항원-항체 복합체의 형태로, 지지체에 보유시킬 수도 있다. 또한, 뉴클레오티드쇄 간의 상보적인 염기 간의 수소 결합에 의한 복합체 형성(혼성화)에 의해 분석 대상인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또는 핵산 등 혼성화 가능한 화합물이 보유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지지체에 대하여 일정한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갖는 핵산 등을 보유시켜 둔다. 이러한 항원-항체 간의 특이적인 상호 작용, 수용체-리간드 상호 작용, 혼성화 등, 단백질-단백질 상호 작용, 단백질-핵산 상호 작용 및 그 밖의 각종 상호 작용, 미리 지지체에 유지된 개재물과 분석 대상과의 사이의 수소 결합, 친수성 상호 작용, 소수성 상호 작용, 정전적 상호 작용 및, 킬레이트 작용 등을 이용하여, 분석 대상이 지지체에 보유될 수도 있다.
또한, 분석 대상은 필요에 따라서 화학 변형이 이루어져 있을 수도 있다. 화학 변형의 종류는 특별히 묻지 않는다. 후단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단백질에 관해서는 에드만법에 의한 반응 생성물이 분석 대상으로서 보유되어 있을 수도 있다.
1종 또는 2종 이상의 분석 대상이 합쳐져서 보유된 지지체 상의 영역(스폿 등)은 분석 대상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그대로 분석을 위한 셀을 구성할 수 있다. 즉, 지지체에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분석 대상이 보유된 분석용의 셀을 1개 또는 2개 이상 가질 수 있다. 또한, 셀이란 1종 또는 2종 이상의 분석 대상이 보유된 영역이고, 분석 방법의 측정 대상이 되는 영역을 뜻하고 있다.
2종 이상의 분석용 셀을 갖고 있는 경우, 이들 분석용 셀은, 어레이 형태로 배열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각각 고유의 위치 정보가 관련지어져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즉, 분석용 셀의 각각의 지지체 상에 있어서의 위치가 특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석용의 셀이 고유의 위치 정보에 관련지어지고, 그 위치가 특정되어 있음으로써, 분석 공정을 용이화할 수가 있음과 동시에, 분석 공정 후의 해석을 용이화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지지체 상에 많은 분석용 셀을 보유시켰을 때의 분석을 고속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MALDI에 의한 경우, 지지체 상에 배열된 분석용 셀에 차례로 레이저를 조사하여, 셀에 포함되는 분석 대상을 탈착·이온화시킴으로써, 대량의 분석용 셀에 관해서 해석을 용이하고 또한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분석 대상이 유지된 지지체의 제조)
분석 대상을 지지체 상에 직접 보유시키기 위해서는, 우선, 분석 대상을 지지체 상에 공급한다. 분석 대상은, 지지체 상에서 합성할 수도 있고, 미리 제조된 분석 대상을 지지체 상에 공급할 수도 있다. 지지체 상에서 직접 분석 대상을 합성하는 경우로는, 무세포 단백질 합성계에 의해 단백질을 합성하는 경우나, 지지체 상에서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합성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또한, 분석 대상을 지지체에 공급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잉크젯법이나 핀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분석 대상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전기 영동 또는 크로마토그래피 등의 분리 기법으로 분리한 뒤에 지지체에 공급할 수도 있다. 특히, 전기 영동이나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된 패턴에 기초하여 분리된 성분을 지지체에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각종 분리 수단에 의해서 분리된 분석 대상을 그 분리 패턴에 대응하여 개별적으로 해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기 영동 패턴은 블로팅를 이용하여 그대로 지지체에 전사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체는 액체 침투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부터의 용리액을 일정량마다 지지체에 도트상 또는 스트림상으로 적하시킴으로써, 각종 용리 분획을 그 분리 패턴에 대응하여 보유시킬 수 있다.
또한, 분석 대상이 펩티드나 단백질 등의 고분자 화합물인 경우, 질량 분석으로 분석 가능한 분자량이나 얻어지는 정보 내용을 고려하여, 각종 분해 효소로 적절하게 저분자화한 뒤에 지지체 상에 공급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단백질은 트립신 등의 프로테아제 등으로 처리하면 좋다. 절편 패턴에 관해서 해석할 수 있는 외에, 질량 분석의 정밀도가 향상되어, 단백질의 동정 또는 단백질의 서열 결정이 용이화된다. 또한, 이렇게 해서 절편한 단백질을 전기 영동이나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한 후에, 지지체에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기 영동으로는, 아가로스 겔 전기 영동, 변성 아가로스 겔 전기 영동, 폴리아크릴아미드 전기 영동, SDS 폴리아크릴아미드 전기 영동, 등전점 전기 영동 및 이차원 전기 영동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는, 마이크로 모세관 또는 나노 모세관을 이용한 액체 크로마토그래피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이렇게 해서 분석 대상을 지지체 상에 공급한 후, 분석 대상은 지지체에 보유된다. 가장 간단하게는, 분석 대상을 공급할 때에 이용된 물 등의 매질을 증발시켜 건조시킴으로써 분석 대상을 지지체에 보유시킬 수 있다. 또한, 지지체 또는 지지체 표면의 관능기와 분석 대상을 공유 결합을 통해 보유시킬 때에는, 분석 대상과 동시에 또는 별개로 필요한 시약을 지지체 상에 공급하여 반응시킴으로써 분석 대상을 지지체에 보유시킬 수 있다. 기타, 보유 형태에 따라서 필요한 조건을 부여한다.
분석 대상을 지지체 상에 공급한 후 또는 보유시킨 후, 지지체 상에 있어서 분석 대상에 화학 변형을 실시할 수 있다. 화학 변형이 실시되기 전의 분석 대상은, 분석 대상의 전구체라고도 할 수 있다. 변형의 종류나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분석 대상이 단백질, 펩티드 등인 경우에는, 1-플루오로-2,4-디 니트로벤젠(FNDB)이나 5-디메틸아미노나프탈렌-1-술포닐클로라이드(단실 클로라이드)와의 반응이나, 에드만 시약(페닐이소티오시아네이트)와 무수산에 의한 에드만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분석 대상으로는, 에드만 반응 또는 그 유사 반응의 반응 생성물 및 반응 중간체를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에드만법의 변형법을 이용하여, 단백질 등의 N 말단 아미노산 서열을 소위 사다리 서열 분석법으로 결정할 수 있다. 즉, 페닐이소티오시아네이트(PITC)에 수%의 이소시아네이트(ITC), 플루오레세인이소티오시아네이트(FITC) 및 메틸이소티오시아네이트(MITC) 등 중 어느 하나를 가하고 커플링시켜 N 말단 아미노산 잔기에 대한 변형기를 변화시키고, 그 후의 플루오로아세트산 등에 의한 N 말단 아미노산 잔기의 절단 반응을 억제하거나, 또는 절단 반응 시간을 조정함으로써 N 말단 아미노산 잔기의 절단 반응을 억제하거나 하여, 지지체의 분석 영역 상에, (1) 이러한 분해 반응 생성물의 한쪽인 절단된 N 말단 아미노산 잔기의 유도체와, (2) 다른 한쪽인 N 말단 아미노산 잔기가 절단된 절편(에드만 반응의 반응물)과, (3) 커플링되었지만 절단되지 않은 미절단된 단백질이나 펩티드의 변형체(커플링체)가 우세하게 잔존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2)가 에드만 반응 또는 그 유사 반응의 반응 생성물이고, 상기 (3)이 에드만 반응 또는 그 유사 반응의 반응 중간체이다.
이들 중에서, (2) 및 (3)은, N 말단 아미노산 잔기 부분이 상이할 뿐이기 때문에, 이들 절편의 질량 차를 질량 분석 공정에서 계측하고 비교함으로써, N 말단 아미노산 잔기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반응 공정과 질량 분석 공정을 필요한 횟수 반복하여 행함으로써, N 말단 아미노산 서열을 결정할 수 있다.
이상의 점으로부터, 펩티드나 단백질을 지지체에 보유시키는 조작 및 이러한 지지체의 전형예로서 이하의 예를 들 수 있다. 즉, 단백질을 트립신 등의 프로테아제로 분해한 후, 마이크로 또는 나노 모세관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고, 용리액을 지지체 상에 다수개의 스폿으로서 배열하고 적하하여 건조시키고, 개개의 스폿에 대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에드만법의 변형법을 적용하여 반응시키고, 그 후 세정하고 건조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써, 단백질이 트립신에 의해서 분해되어 얻어지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절편을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분리 패턴에 대응하여 분배된 1개 또는 2개 이상의 용리액 스폿(분석용의 셀)로서 구비하는 지지체가 얻어진다. 또한, 동시에, 에드만법의 변형법의 적용에 의해, 각 용리액 스폿에는, 스폿에 포함되는 펩티드나 단백질의 N 말단 아미노산 잔기가 절단된 에드만 반응의 반응물인 절편과, 커플링되었지만 N 말단이 절단되지 않은 미절단된 커플링체가 보유된 지지체가 얻어진다.
또한, 분석 대상을 간접적으로 지지체 상에 보유하기 위해서는, 우선 분석 대상을 간접적으로 보유시키기 위한 개재물이 보유된 지지체를 준비한다. 개재물이란, 상기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단백질이나 핵산 등이다. 이러한 개재물을 지지체 상에 공급하여 보유시키기 위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분석 대상을 보유시키기 위해서는, 이렇게 해서 개재물을 보유시킨 지지체에 대하여, 분석 대상을 함유하는 시료를 공급하고, 의도한 상호 작용을 생기게 하고, 분석 대상을 개재물을 개재하여 지지체에 보유시킨다.
(분석 공정)
분석 대상이 보유된 지지체에 관해서 분석 공정을 실시한다. 본 분석 공정에는, 질량 분석법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질량 분석 공정에서의 이온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지지체를 그대로 이온화에 이용하는 관점에서는, 매트릭스를 사용하지 않는 레이저 탈착 이온화(LDI), 매트릭스를 사용하는 매트릭스 보조 레이저 탈착 이온화(MALDI)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펩티드나 단백질 등에는 MALDI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ALDI에 이용되는 레이저로는, N2, Nd-YAG, CWCO, TEA-CO2, 아르곤 등이 이용된다. 또한, MALDI에 이용되는 매트릭스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지만, 니코틴산, 2-피라진카르복실산, 시나프산, 2,5-디히드록시벤조산, 5-메톡시살리실산, α-시아노-4-히드록시신남산, 3-히드록시피콜린산, 디아미노나프탈렌, 2-(4-히드록시페닐라조)벤조산, 디트라놀, 숙신산, 5-(트리플루오로메틸)우라실, 글리세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매트릭스의 분석 대상에 대한 첨가량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종래 공지 범위에서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질량 분석 방법에 있어서의 질량 분석 공정은, 자장 편광형, 4중극형, 이온 트랩형, 비행 시간형, 푸리에 변환 이온 사이클론형, 탠덤형 등의 각종 질량 분석계에 의한 분석이 가능하다. 그 중에서도, LDI 및 MALDI에 의하는 경우에는, 비행 시간형 분석계를 이용하는 질량 분석 공정이 바람직하다.
질량 분석 공정에서는, 지지체 상의 분석용 셀에 존재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분석 대상의 질량을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분석용 셀에 에드만법에 의한 생성물이 존재할 때, 즉, 에드만 반응 생성물인 말단 아미노산 잔기의 유도체(ATZ 유도체 또는 PTH 유도체)와, 에드만 반응의 반응물인 나머지 절편과, N 말단에 이소시아네이트계 커플링제가 커플링되었지만 절단되지 않은 미절단된 단백질 또는 펩티드의 변형체가 존재할 때, LDI법이나 MALDI법에 따르면, 에드만 반응의 반응물인 나머지 절편과 미절단물의 분자량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가 있고, 이에 따라, 전체의 분자량과 동시에 N 말단 아미노산을 동정할 수 있다.
또한, 분석 공정에서 실시하는 분석 방법은 질량 분석 외에, 각종 분석 방법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분석 대상이 형광 시약이나 발색 시약 등에 의해 표지되어 있는 경우에는, 지지체 상의 이러한 형광이나 발색 등을 검출하는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지지체로서, 내식성 도전성 플라스틱 필름과 도전성 실리콘 고무(각각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제조)의 2종의 필름(두께: 각각 80 ㎛ 및 150 ㎛)을 준비하였다. 또한, 이들 필름의 물성을 이하의 표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8033211956-PCT00001
MALDI-TOF 질량 분석 장치(ABI Voyager DE Pro MALDI TOF형 질량 분석계)의 금속제 샘플 플레이트와 동일 크기로 제조된 도전성 플라스틱 필름 상에, 안지오텐신(angiotensin, MW1293)을 0.5 pmol 도포한 후에, 상기 금속제 샘플 플레이트에 접착제를 이용하지 않고 접착하고, 레이저 강도를 1100, 1000, 700 및 600으로 하여 질량 분석을 하였다. 또한, 매트릭스는 시나프산을 이용하였다. 모든 레이저 강도에서 분자량 1294의 이온을 검출할 수가 있었다. 그 중에서도, 레이저 강도 1000의 경우에 있어서 가장 안정한 이온을 검출하였다.
한편, 도전성 실리콘제 필름에는, 동일하게 금속제 샘플 플레이트와 동일 크기로 제조한 후에, 안지오텐신 0.5 pmol, 0.25 pmol, 50 fmol, 10 fmol, 1 fmol, 0.5 fmol을 각각 도포하고, 금속제 샘플 플레이트에 접착제를 이용하지 않고 접착하고, 레이저 강도를 1000으로 하고, 매트릭스로서 시나프산을 이용하여, 동일하게 MALDI-TOF 질량 분석 장치로 질량 분석을 하였다. 모든 샘플 도포량에서 분자량1294의 이온을 검출할 수가 있었지만, 50 fmol 이상의 농도에서 안정적인 이온을 검출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
본 실시예에서는 도전성 폴리염화비닐플레이트(도전성 카본 함유)(타키론 제조의 TND CV930)(두께: 1.5 ㎜, 두께 방향 체적 저항값(Ω·m)(JIS K7194): 104,로크웰 경도(JIS K7112): 88, 비중(JIS K7202): 1.35)를, MALDI-TOF 질량 분석 장치(ABI Voyager DE Pro MALDI TOF형 질량 분석계)의 금속제 샘플 플레이트와 동일 크기로 제조하고, 안지오텐신(angiotensin, MW1293)을 1 pmol, 100 fmol 및 10 fmol 및 다이노르핀(Dynorphin) 1 pmol, 100 fmol 및 10 fmol을 도포한 후에, 이들을 각각 샘플 플레이트로서 이용하고, 레이저 강도를 1000으로 하여 질량 분석을 하였다. 또한, 매트릭스는 시나프산을 이용하였다. 모든 단백질에 관해서(안지오텐신 10 fmol의 경우를 제외) 모든 적용량으로 각각의 분자량 이온을 검출할 수가 있었는데, 그 중에서도, 각각 1 pmol에서 가장 안정된 이온을 검출하였다.
(실시예 3)
본 실시예에서는, 탄화규소(SiC)의 플레이트를 샘플 플레이트로서 이용하였다. 즉, 이 세라믹 플레이트를 MALDI-TOF 질량 분석 장치(ABI Voyager DE-STR MALDI TOF형 질량 분석계)의 금속제 샘플 플레이트와 동일 크기로 제조하고, 안지오텐신(angiotensin, MW1293)을 1 pmol 도포한 후에, 이들을 각각 샘플 플레이트로서 이용하고, 레이저 강도를 2142로 하여 질량 분석을 하였다. 또한, 매트릭스는, α-시아노-4-히드록시신남산을 이용하였다. SiC 플레이트에 따르면, 백그라운드 노이즈도 양호하게 감소되어 있어, 분자량 이온을 검출할 수가 있었다.
(실시예 4)
본 실시예에서는, VGI 흑연 및 파이로카브(모두 이비덴 가부시끼가이샤 제조)의 플레이트를 샘플 플레이트로서 이용하였다. 즉, 이들 흑연 플레이트를 각각 MALDI-TOF 질량 분석 장치(ABI Voyager DE-STR MALDI TOF형 질량 분석계)의 금속제 샘플 플레이트와 동일 크기로 제조하고, 안지오텐신(angiotensin, MW1293)을 0.5 pmol 도포한 후에, 이들을 각각 샘플 플레이트로서 이용하고 레이저 강도 VGI에 관해서는 2044, 파이로카브에 관해서는 2010으로 하여 질량 분석을 하였다. 또한, 매트릭스는, α-시아노-4-히드록시신남산을 이용하였다. 모든 플레이트에 있어서 분자량 이온을 검출할 수가 있고, 백그라운드 노이즈도 양호하였다.
(실시예 5)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에서 이용된 도전성 플라스틱 필름 상에서 에드만 반응을 행하여, 아미노산 서열 분석을 행하였다. 도전성 플라스틱 필름 상에 리소자임 200 pmol을 스폿하여, 펩티드 서열 분석기(ABI 491 CLC 펩티드 서열 분석기)의 샘플 보유막으로서 사용하였다. 4 잔기를 분석한 바, 충분히 분석 가능하였다. 이상의 점으로부터, 실시예 1에서 이용된 도전성 플라스틱 필름은, 에드만법에 이용되는 에드만 시약이나 무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등의 무수산 등에 대한 충분한 내식성을 구비하고 있음과 동시에, 세정 등에 저항할 수 있을 정도의 단백질의 보유 능력을 갖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동일한 도전성 플라스틱 필름 상에, 안지오텐신을 10 pmol 스폿팅하고, 상기와 같이 하여 5 잔기를 분석한 바, 충분히 분석 가능하였다. 이 점으로부터, 실시예 1에서 이용된 도전성 플라스틱 필름은, 비교적 저분자량의 펩티드에 대해서도 충분한 보유 능력을 갖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출원은, 2005년 10월 13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5-299195호를 우선권 주장의 기초로 하고 있고, 그 내용의 전부가 인용에 의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분석 화학의 분야, 예를 들면 단백질 서열 분석기나 질량 분석 또는 형광 분석 등에 이용 가능하다.

Claims (31)

  1. 비금속성 매트릭스를 구비한 도전성 재료인, 분석 대상을 보유하기 위한 분석용 지지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재료가 도전성 고분자 재료인 지지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고분자 재료가 도전성 재료를 유기 고분자 매트릭스에 분산 보유시킨 복합 도전성 고분자 재료인 지지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재료가 도전성 세라믹 재료인 지지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세라믹 재료가 유리상(glassy) 탄소 또는 열분해 탄소에 의한 표면 처리층을 갖는 흑연 재료인 지지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및 무수 아세트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산에 대해 내식성을 구비한 지지체.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가 액체 투과성 또는 액체 비투과성인 지지체.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필름상, 플레이트상 및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상 중 어느 하나인 지지체.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뉴클레오티드,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단백질, 펩티드, 당단백질 및 다당류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분자 또는 그의 유도체를 분석 대상으로 하는 지지체.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질량 분석용 샘플 플레이트 또는 그의 일부인 지지체.
  11. 제10항에 있어서, 매트릭스 보조 레이저 탈착 이온화 질량 분석용인 지지체.
  12. 제11항에 있어서, 비행 시간형 질량 분석용인 지지체.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에드만 반응에 대해 내식성을 구비한 지지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지지체 상에서의 에드만 반응 또는 그의 유사 반응의 반응 생성물 및 반응 중간체를 보유하기 위한 지지체.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아미노산 서열 분석용인 지지체.
  16. 비금속성 매트릭스를 구비한 도전성 재료이고, 에드만 반응에 대해 내식성을 구비함과 동시에 에드만 반응을 거친 반응물을 보유할 수 있는, 분석 대상을 보유시키기 위한 분석용 지지체.
  17. 1종 또는 2종 이상의 분석 대상이 보유되어 있으며,
    비금속제 매트릭스에 분산 보유된 도전성 고분자 재료를 함유하는 지지체.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1종 또는 2종 이상의 분석 대상을 보유하는 분석용 영역이 복수개 배열되어 있는 지지체.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용 영역이 각각 고유의 위치 정보를 갖는 지지체.
  20. 제17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대상이 아미노산, 펩티드 및 단백질 중에서 선택된 것인 지지체.
  21. 제17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용 영역에 N 말단 아미노산 잔기가 서로 다른 단백질 또는 펩티드가 보유되어 있는 지지체.
  22. 제17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용 영역에 에드만 반응 또는 그의 유사 반응의 반응 생성물 및 반응 중간체가 보유되어 있는 지지체.
  23. 제17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대상을 전기 영동 또는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공급받고 보유하는 지지체.
  24. 비금속제 매트릭스를 갖는 도전성 재료인 분석 대상 지지체를 이용하는 레이저 탈착 이온화 공정을 구비한 질량 분석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탈착 이온화 공정이 매트릭스 보조 레이저 이온화 공정인 방법.
  26. 제24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비행 시간형 질량 분석 공정을 구비한 방법.
  27. 제24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화 공정이 제17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분석 대상의 지지체를 이용하는 공정인 방법.
  28. (a) 단백질 또는 펩티드를 비금속제 매트릭스를 갖는 도전성 재료인 지지체에 공급하여 보유시키는 공정,
    (b) 상기 지지체 상의 단백질 또는 펩티드의 일부 말단 아미노산 잔기를 화학적으로 변형시키고 절단하는 공정, 및
    (c) 상기 지지체 상의 상기 (b) 공정에 의해 얻어지는 말단 아미노산 잔기가 빠진 절편과 상기 (b) 공정에서 변형되었지만 미절단된 상기 단백질 또는 펩티드를 질량 분석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단백질 또는 펩티드 분석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b) 공정이 에드만 반응 또는 그의 유사 반응에 의한 공정인 방법.
  30. 제28항 또는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b) 공정 및 상기 (c) 공정을 상기 단백질 또는 펩티드의 N 말단 아미노산 잔기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적정 횟수 반복하여 실시하는 방법.
  31. 제28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공정이 전기 영동에 의해 분리되거나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용리된 단백질 또는 펩티드를 상기 지지체에 공급하여 보유시키는 공정인 방법.
KR1020087011212A 2005-10-13 2006-10-03 분석용 지지체 및 그의 용도 KR200800676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99195A JP2007108015A (ja) 2005-10-13 2005-10-13 分析用の保持体及びその利用
JPJP-P-2005-00299195 2005-10-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7648A true KR20080067648A (ko) 2008-07-21

Family

ID=37942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1212A KR20080067648A (ko) 2005-10-13 2006-10-03 분석용 지지체 및 그의 용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00148052A1 (ko)
EP (1) EP1944603A4 (ko)
JP (1) JP2007108015A (ko)
KR (1) KR20080067648A (ko)
CN (1) CN101283270A (ko)
WO (1) WO200704339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6795B1 (ko) * 2010-03-10 2012-06-18 삼성전기주식회사 그래핀 코팅된 말디-토프 질량분석용 샘플분석 타겟 및 이를 포함하는 말디-토프 질량분석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46442B2 (ja) * 2006-05-16 2011-12-28 株式会社バイオロジカ レーザー脱離イオン化質量分析用サンプルプレート
JP2008304369A (ja) * 2007-06-08 2008-12-18 Biologica:Kk 質量分析用の試料の調製装置及びその調製方法
WO2011004308A1 (en) * 2009-07-09 2011-01-1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urface coating for laser desorption ionization mass spectrometry of molecules
CN102539515A (zh) * 2011-12-27 2012-07-04 北京大学 常温常压表面辅助激光解吸附质谱的高灵敏度检测方法
JP5594501B1 (ja) * 2013-04-11 2014-09-24 株式会社昇竜建設 ゲルプレートの小片化・分注装置及び小片化・分注方法
FR3024465B1 (fr) * 2014-07-30 2018-03-23 Biomerieux Caracterisation de micro-organismes par maldi-tof
JP7227823B2 (ja) * 2019-03-29 2023-02-22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試料支持体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16421A1 (de) * 1984-05-04 1985-11-07 Philips Patentverwaltung Gmbh, 2000 Hamburg Probentraeger fuer die flammenlose atomabsorptions- und -emissionsspektroskopie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S4745277A (en) * 1986-10-06 1988-05-1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Rotary turret and reusable specimen holder for mass spectrometer
DE4022061A1 (de) * 1990-07-11 1992-01-16 Wollnik Hermann Analysenvorrichtung mit elektrothermischem atomisator und massenspektrometer zur atom- und molekuelanalyse
DE4223593A1 (de) * 1992-07-17 1994-01-20 Ringsdorff Werke Gmbh Rohrofen mit darin arretiertem Probenträger für die elektrothermische Atomisierung
GB9316742D0 (en) * 1993-08-12 1993-09-29 Univ Waterloo Imtroduction of samples do inductively coupled plasma
US5827659A (en) * 1995-05-19 1998-10-27 Perseptive Biosystem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sequencing polymers using mass spectrometry
US5808300A (en) * 1996-05-10 1998-09-15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ing biological samples with MALDI MS
US6245506B1 (en) * 1997-07-30 2001-06-12 Bbi Bioseq, Inc. Integrated sequencing device
US6207370B1 (en) * 1997-09-02 2001-03-27 Sequenom, Inc. Diagnostics based on mass spectrometric detection of translated target polypeptides
JP3507437B2 (ja) * 1998-05-13 2004-03-15 シグナ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経皮サンプリング系のための収集アセンブリ
JP3548769B2 (ja) * 1999-06-29 2004-07-28 旭テクネイオン株式会社 微細で均一な結晶を形成するためのカーボン製支持板及びその応用
DE19937438C2 (de) * 1999-08-07 2001-09-13 Bruker Daltonik Gmbh Kopplung Dünnschicht-Chromatographie und Massenspektrometrie (TLC/MS)
DE10027120A1 (de) * 2000-05-23 2001-12-06 Epigenomics Ag Probenträger für Massenspektrometer
US6825477B2 (en) * 2001-02-28 2004-11-30 Jan Sunner Method and apparatus to produce gas phase analyte ions
EP1390539A4 (en) * 2001-05-25 2007-06-27 Waters Investments Ltd PLASTIC CONCENTRATION MATRIX ASSIMITED LASER IMPACT DESORPTION-IONIZATION PLATES FOR MALDI MASS SPECTROMETRY
WO2002102965A2 (en) * 2001-06-14 2002-12-27 Millipore Corporation Multiwell test apparatus
US20030010908A1 (en) * 2001-07-02 2003-01-16 Phillip Clark Conductive card suitable as a MALDI-TOF target
US20030091976A1 (en) * 2001-11-14 2003-05-15 Ciphergen Biosystems, Inc. Methods for monitoring polypeptide production and purification using surface enhanced laser desorption/ionization mass spectrometry
JP3915677B2 (ja) * 2002-11-29 2007-05-16 日本電気株式会社 質量分析用チップおよびこれを用いたレーザー脱離イオン化飛行時間型質量分析装置、質量分析システム
US6822230B2 (en) * 2002-12-23 2004-11-23 Agilent Technologies, Inc. Matrix-assisted laser desorption/ionization sample holder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JP4750016B2 (ja) * 2003-02-10 2011-08-17 ウオーターズ・テクノロジーズ・コーポレイシヨン 質量分析用試料調製プレート
US7858387B2 (en) * 2003-04-30 2010-12-28 Perkinelmer Health Sciences, Inc. Method of scanning a sample plate surface mask in an area adjacent to a conductive area using matrix-assisted laser desorption and ionization mass spectrometry
CA2467164A1 (en) * 2003-05-13 2004-11-13 Becton, Dickinson &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purifying and desalting biological samples
KR20040105360A (ko) * 2003-06-07 2004-12-16 삼성전자주식회사 레이저 탈착/이온화 질량 분석용 시료 홀더 및 그 제조방법
AT500618B1 (de) * 2004-04-02 2006-02-15 Physikalisches Buero Steinmuel Target für maldi/seldi-ms
WO2007015690A1 (en) * 2004-07-16 2007-02-08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Protein/peptide sequencing by chemical degradation in the gas phas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6795B1 (ko) * 2010-03-10 2012-06-18 삼성전기주식회사 그래핀 코팅된 말디-토프 질량분석용 샘플분석 타겟 및 이를 포함하는 말디-토프 질량분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148052A1 (en) 2010-06-17
CN101283270A (zh) 2008-10-08
EP1944603A1 (en) 2008-07-16
EP1944603A4 (en) 2011-04-06
WO2007043393A1 (ja) 2007-04-19
JP2007108015A (ja) 2007-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67648A (ko) 분석용 지지체 및 그의 용도
CA2482546C (en) Sampling probe microarray read out using electrospray mass spectrometry
Nelson et al. Biosensor chip mass spectrometry: A chip‐based proteomics approach
Balluff et al. MALDI imaging mass spectrometry for direct tissue analysis: technological advancements and recent applications
Little et al. MALDI on a chip: analysis of arrays of low-femtomole to subfemtomole quantities of synthetic oligonucleotides and DNA diagnostic products dispensed by a piezoelectric pipet
Urban et al. Lab‐on‐a‐plate: Extending the functionality of MALDI‐MS and LDI‐MS targets
Sachon et al. Phosphopeptide quantitation using amine‐reactive isobaric tagging reagents and tandem mass spectrometry: application to proteins isolated by gel electrophoresis
Foret et al. Liquid phase interfacing and miniaturization in matrix‐assisted laser desorption/ionization mass spectrometry
JP2005529342A (ja) 生物学的または他の分子のアレーの製造装置および方法
JP4846442B2 (ja) レーザー脱離イオン化質量分析用サンプルプレート
Gao et al. Comparative proteomic profiling of mammalian cell lysates using phosphopeptide microarrays
Wang et al. Advancing matrix-assisted laser desorption/ionization-mass spectrometric imaging for capillary electrophoresis analysis of peptides
Lechner et al. Characterization of post-transcriptional RNA modifications by sheathless capillary electrophoresis–high resolution mass spectrometry
Pfammatter et al. Integration of segmented ion fractionation and differential ion mobility on a Q-exactive hybrid quadrupole orbitrap mass spectrometer
Li et al. On-chip enrichment and analysis of peptide subsets using a maleimide-functionalized fluorous affinity biochip and nanostructure initiator mass spectrometry
JP4457742B2 (ja) 生体標本への試薬の分注方法及び生体標本の解析方法
US8835179B2 (en) Real-time monitor solid phase peptide synthesis by mass spectrometry
CN1682110A (zh) 固体支持体和由解吸/电离质谱分析固定于该固体支持体上的多种物质或复合物的方法
US20030180957A1 (en) Target and method
US20040219588A1 (en) Method for dispensing reagents onto biological samples and method for analyzing biological samples
US6649354B1 (en) Catalytically generated mass labels
KR20050070034A (ko) 질량 분석용 플레이트, 그 제조 방법 및 그 용도
Linke et al. Optimized fragmentation conditions for iTRAQ-labeled phosphopeptides
JP2008261780A (ja) プレート上の複数個の分析対象に対する反応方法及び反応装置
Afonso et al. Activated surfaces for laser desorption mass spectrometry: application for peptide and protein analy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