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7031A - 초미세 인삼 또는 홍삼분말 - Google Patents

초미세 인삼 또는 홍삼분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7031A
KR20080067031A KR1020070004066A KR20070004066A KR20080067031A KR 20080067031 A KR20080067031 A KR 20080067031A KR 1020070004066 A KR1020070004066 A KR 1020070004066A KR 20070004066 A KR20070004066 A KR 20070004066A KR 20080067031 A KR20080067031 A KR 200800670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g
powder
red ginseng
average particle
ultraf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4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55897B1 (ko
Inventor
장대식
이종원
손동욱
권현정
도재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KR1020070004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5897B1/ko
Publication of KR20080067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70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5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58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9Mashed or comminuted products, e.g. pulp, purée, sauce, or products made therefrom, e.g. snack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23P10/22Agglomeration or granulation with pulverisation of solid particles, e.g. in a free-falling curta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24Ginse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인삼 또는 홍삼을 커터밀로 조분쇄하여 평균 입자경 40-100 ㎛인 조분쇄 분말을 수득하는 단계; 및 (b) 상기 조분쇄 분말을 제트밀로 미분쇄하여 평균 입자경 2-10 ㎛인 초미세 분말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브-마이크론 크기의 인삼 또는 홍삼 분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과립화된 초미세 인삼 또는 홍삼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인삼 또는 홍삼의 초미세 분말을 포함하는 연질캅셀 조성물, 인삼 또는 홍삼의 초미세 분말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및 과립화된 초미세 인삼 또는 홍삼 분말을 포함하는 하드캅셀, 정제 또는 환에 관한 것이다.
인삼, 홍삼, 초미세, 커터밀, 제트밀, 연질캅셀, 타블렛, 하드캅셀

Description

초미세 인삼 또는 홍삼분말{Ultra-Fine Powders of Ginseng or Red Ginseng}
도 1은 커터밀(cutter mill) 분쇄 방식으로 제조된 홍삼분말의 입자크기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2는 제트밀(jet mill) 분쇄 방식으로 제조된 초미세 홍삼분말의 입자크기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3은 초미세 홍삼분말의 예시적인 과립화 제조 공정도이다.
본 발명은 초미세 인삼 또는 홍삼 분말에 관한 것이다.
홍삼은 연간 수출실적이 1,200만 달러(2005년 기준)에 달하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특산품으로 주로 홍삼 자체로 판매되는 1차 가공품, 홍삼을 분쇄한 2차 가공품 또는 홍삼액을 농축한 제품을 제조 및 수출하고 있다.
현재 국내에 홍삼을 분쇄하는 가공업체가 많이 있지만, 대부분의 업체가 절단분쇄기(Cutter Mill), 회전분쇄기, 햄머분쇄기(Hammer Mill), 롤러분쇄기(Roller Mill), 마모분쇄기 및 핀밀(Pin Mill) 등으로 분쇄하고 있다. 이러한 분쇄기를 이용하는 분쇄는 조분쇄 정도의 수준에 머물고 있어 생산제품 중 대부분이 홍삼 분말류, 차류 및 드링크류 등의 2차 가공품으로써 부가가치가 높지 않은 용도로 주로 사용되어, 부가가치가 높은 제품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자들은 인삼 또는 홍삼의 초미세 분말을 수득할 수 있으면서, 인삼 또는 홍삼의 고유의 기능성 성분을 파괴하지 않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노력하였다. 그 결과, 커터밀 공정과 제트밀 공정을 조합하여 분말을 제조하게 되면, 평균 입자경 2-10 ㎛인 초미세 인삼 또는 홍삼의 분말을 제조할 수 있으며, 이 초미세 분말에서 인삼 또는 홍삼의 기능성 성분이 파괴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브-마이크론 크기의 인삼 또는 홍삼 분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과립화된 초미세 인삼 또는 홍삼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삼 또는 홍삼의 초미세 분말을 포함하는 연질캅셀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삼 또는 홍삼의 초미세 분말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과립화된 초미세 인삼 또는 홍삼 분말을 포함하는 하드캅셀, 정제 또는 환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a) 인삼 또는 홍삼을 커터밀로 조분쇄하여 평균 입자경 40-100 ㎛인 조분쇄 분말을 수득하는 단계; (b) 상기 조분쇄 분말을 제트밀로 미분쇄하여 평균 입자경 2-10 ㎛인 초미세 분말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브-마이크론 크기의 인삼 또는 홍삼 분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인삼 또는 홍삼의 초미세 분말을 수득할 수 있으면서, 인삼 또는 홍삼의 고유의 기능성 성분을 파괴하지 않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노력하였다. 그 결과, 커터밀 공정과 제트밀 공정을 조합하여 분말을 제조하게 되면, 평균 입자경 2-10 ㎛인 초미세 인삼 또는 홍삼의 분말을 제조할 수 있으며, 이 초미세 분말에서 인삼 또는 홍삼의 기능성 성분이 파괴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방법을 따르면, 서브-마이크론 크기 수준의 인삼 또는 홍삼 분말 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서브-마이크론 크기”는 평균 입자경 2-10 ㎛인 입자, 바람직하게는 평균 입자경 2.5-4 ㎛의 입자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우선 인삼 또는 홍삼을 커터밀로 분쇄하여 평균 입자경 40-100 ㎛인 조분쇄 분말을 수득한다.
기재의 편의상, 본 발명의 방법은 인삼 또는 홍삼에 적용되는 것으로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가공된 모든 인삼, 예컨대, 수삼, 미삼, 백삼, 태극삼, 흑삼, 호정화 인삼, 효소처리 인삼, 발효 인삼, 홍삼 및 발효 홍삼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명확하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인삼 또는 홍삼은 6년근 인삼 또는 홍삼이다.
인삼 또는 홍삼 자체, 또는 그의 절편을 커터밀 장치에 투입한다. 조분쇄 분말을 제조하는 밀링 장치로서, 볼밀, 진동 볼밀, 로드밀, 햄머밀, 회전밀, 롤 밀, 핀 밀 및 커터밀 등이 있으나, 본 발명자들은 이 중에서 커터밀이 본 발명의 목적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선택하였다.
커터밀링된 인삼 또는 홍삼은 평균입자경 40-100 ㎛의 조분쇄 분말화 된다.
이어, 조분쇄 분말을 제트밀로 미분쇄하여 평균 입자경 2-10 ㎛인 초미세 분말을 수득한다.
초미세 분말을 제조하는 다양한 밀링 방식이 공지되어 있다. 예컨대, 제트 밀링, 마이크론 밀링 및 전동유발 밀링 등이 있다. 본 발명자들은 다양한 미분쇄 밀링 방식 중에서, 제트 밀링이 본 발명의 목적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선택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제트밀(jet mill)” 또는 “제트 밀링(jet milling)”은 유체 에너지 임팩트 밀을 의미하며, 예컨대, 와선 제트밀, 루프 제트밀 및 유체화 베드 제트밀을 포함한다. 제트 밀링 과정은, 기체 스트림에서 입자들이 고속으로 가속되어 다른 입자들과 충돌되는 과정이다.
본 발명에서의 제트 밀링은 최소 15%의 부피평균 직경 감소 및 최대 75%의 수평균 직경 감소를 초래하는 조건에서의 제트 밀링이 바람직하다.
조분쇄 분말이 제트밀에 투입되는 것을 조절하기 위하여, 호퍼 및 피더가 이용될 수 있으며, 이는 조분쇄 분말의 일정한 흐름이 제트밀로 투입되도록 한다. 적합한 피더의 예는 진동 피더 및 스크루 피더를 포함한다.
제트밀의 작동에 있어서, 조분쇄 분말은 노즐이 있는 피더를 통하여 제트밀로 투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적합한 기체, 바람직하게는 질소 또는 공기가 조분쇄 분말의 투입 및 그라인딩(grinding)을 위하여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체의 압력은 3-15 bar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12 bar이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6-11 bar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6-8 bar이다. 본 발명의 제트 밀링 과정에서 기체의 온도는, 전형적으로 100℃ 이하, 바람직하게는 7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25℃ 이하이다. 기체의 격렬한 난류는 분말의 입자간의 마모를 유도하여 입자를 분쇄한다. 압축된 기체가 노즐에서 팽창함에 따라 냉각 효과가 유발되며, 이는 분쇄 과정에서 생성된 열을 제거하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인삼 또는 홍삼 분말이 열에 의하여 영양 성분이 파괴되는 현 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밀링된 분말은 여과, 또는 바람직하게는 사이클론에 의해 수집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인삼 또는 홍삼의 조분쇄 분말을 제트 밀링하는 것은, 입자의 크기를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분말에 잔존하는 수분의 함량도 감소시킨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초미세 분말은 단위 무게 당 표면적을 나타내는 비표면적(specific surface area)이 증가되어 있으며, 이 증가된 비표면적은 고체와 용매 사이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체액 내에서 낮은 용해성을 갖는 물질의 용해도를 개선하는 작용을 한다. 이와 같이 초미세분말은 동일 중량의 조분쇄된 분말보다 더 짧은 시간에 인체 내에서 용해될 수 있으며, 이는 인삼 또는 홍삼 성분의 흡수도를 개선하며, 결국 인삼 또는 홍삼 성분의 생체이용율(bioavailability)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a) 인삼 또는 홍삼을 커터밀로 조분쇄하여 평균 입자경 40-100 ㎛인 조분쇄 분말을 수득하는 단계; (b) 상기 조분쇄 분말을 제트밀로 미분쇄하여 평균 입자경 2-10 ㎛인 초미세 분말을 수득하는 단계; (c) 상기 초미세 분말에 주정을 첨가하고 혼합하는 단계; (d) 상기 단계 (c)의 혼합물을 체(sieve)에 통과시켜 제립하는 단계; (e) 상기 단계 (d)의 결과물을 건조하는 단계; 및 (f) 상기 건조물을 체(sieve)에 통과시켜 정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과립화된 초미세 인삼 또는 홍삼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상술한 초미세 인삼 또는 홍삼 분말의 제조방법을 이용하기 때문에, 이 둘 사이에 공통된 내용은 본 명세서의 과도한 복잡성을 피하기 위하여, 그 기재를 생략한다.
초미세 홍삼분말은 입자가 미세하여 서로 엉겨 붙는 응집성과 분체 취급 장치의 벽면에 달라붙는 현상인 부착성의 단점이 있기 때문에, 하드캅셀 또는 타블렛(정제)을 만드는데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과립 형태의 제조공정 개발로 흐름성을 개선하였다.
본 발명의 과립화 방법에 따르면, 초미세 인삼 또는 홍삼 분말에 주정(에탄올)을 첨가하고, 믹서(예컨대, 스피드믹서)에서 혼합, 연합 및 과립화한다. 결합용매로 사용하는 주정으로는, 60-95%의 주정이 바람직하고, 초미세 인삼 또는 홍삼 분말 대비 40-80 중량%로 첨가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 (d) 및 단계 (f)에서 이용되는 체는 16-20 메쉬의 크기를 갖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건조는 40-80℃, 바람직하게는 50-70℃,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60℃에서 실시한다. 건조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30분-5시간, 보다 바람직하게는 30분-3시간, 가장 바람직하게는 1-2시간이다.
과립의 특성은 타정이나 충전 공정에서 또는 과립 및 정제 제품의 성질에 커다란 영향을 준다. 과립의 밀도, 다공성 및 강도는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과립의 밀도는 압축성, 정제 다공성, 용출에 영향을 준다. 밀도가 크고 딱딱한 과립은 다공성이 없고 강도가 강하여 커다란 압축력을 요구하며 쉽게 부서지지 않 는 반면 붕해속도가 감소한다. 과립의 강도는 큰 과립이 작은 과립보다 강도가 좋고 결합제의 양이 증가할수록 입자의 강도는 커진다. 과립화된 초미세 인삼 또는 홍삼 분말을 하드캅셀에 충진할 때 분말밀도가 큰 경우 압착 과립화하여 충진할 수 있는데, 이 경우 과립 시 습도에 대한 민감성을 신중히 고려해야 한다. 이와 같은 점을 충분히 고려하여 수분 5% 이하의 과립화된 초미세 홍삼분말로 하드캅셀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과립의 흐름성을 양호하게 하면 정제의 중량편차가 작아지며 정제의 압축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 타정 과정에서는 입도가 약간 감소되는 것이 최적의 결합을 이루는데 필요로 하는 깨끗한 표면을 얻기 위하여 바람직하다. 따라서 초미세 홍삼분말을 과립화하여 경도 5.1의 타블렛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술한 본 발명의 서브-마이크론 크기의 인삼 또는 홍삼 분말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고, 평균 입자경 2-10 ㎛인 인삼 또는 홍삼의 초미세 분말 0.1-40 중량%를 포함하는 연질캅셀 조성물을 제공한다.
평균 입자경 2-10 ㎛를 갖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인삼 또는 홍삼 초미세 분말은, 종래의 인삼 또는 홍삼 분말의 문제점이었던 핀홀(pin hole) 현상을 거의 완벽하게 제거함으로써, 연질캅셀을 제조하는 데 매우 유리하다.
일반적으로 조분쇄 수준인 평균입자경 100 ㎛ 크기의 홍삼 분말 원료를 사용하여 연질캅셀을 제조할 시에는 분말의 불균질과 크기로 인해 연질캅셀에 핀홀이 발생할 수 있고, 이 경우 누액이 나올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종래의 기술적 문제가 해결되며, 연질캅셀 제조 시 입자에 의한 기계 트러블이 없으며, 제조 후에도 핀홀 현상 등이 나타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연질캅셀 조성물은 인삼 또는 홍삼의 초미세 분말 2-40 중량%, 소맥배아유 20-93 중량%, 팜유 5-20 중량%, 밀납 0.1-10 중량% 및 대두레시틴 0.1-10 중량%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연질캅셀 조성물은 인삼 또는 홍삼의 초미세 분말 8-20 중량%, 소맥배아유 40-80 중량%, 팜유 7-15 중량%, 밀납 1-8 중량% 및 대두레시틴 1-7 중량%를 포함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연질캅셀 조성물은 인삼 또는 홍삼의 초미세 분말 10-17 중량%, 소맥배아유 60-75 중량%, 팜유 10-15 중량%, 밀납 2-6 중량% 및 대두레시틴 1-4 중량%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술한 본 발명의 서브-마이크론 크기의 인삼 또는 홍삼 분말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고, 평균 입자경 2-10 ㎛인 인삼 또는 홍삼의 초미세 분말 0.001-40 중량%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식품 조성물은 음료 조성물이고, 인삼 또는 홍삼의 초미세 분말의 평균 입자경은 2-5 ㎛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술한 본 발명의 과립화 방법에 의해 제조된 과립화된 초미세 인삼 또는 홍삼 분말 0.001-40 중량%를 포함하는 하 드캅셀, 정제 또는 환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ⅰ) 본 발명의 초미세 분말화 방법은, 커터밀과 제트밀 분쇄 과정을 조합한 것으로서 이러한 분쇄 방식은 종래에 개발된 바가 없다.
(ⅱ) 본 발명에 따르면, 비교적 간편한 공정을 통하여 그리고 인삼 또는 홍삼 고유의 기능성 성분에 영향을 주지 않는 방식으로 평균 입자경 2-10 ㎛인 초미세 인삼 또는 홍삼 분말을 얻을 수 있다.
(ⅲ)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초미세 인삼 또는 홍삼 분말은 비표면적이 증가되어 용해도가 크게 개선되며, 이는 인삼 또는 홍삼 성분의 흡수도를 개선하고, 결국 인삼 또는 홍삼 성분의 생체이용율을 향상시킨다.
(ⅳ) 평균 입자경 2-10 ㎛를 갖는 본 발명의 인삼 또는 홍삼 초미세 분말은, 핀홀 현상을 거의 완벽하게 제거함으로써, 연질캅셀을 제조하는 데 매우 유리하다.
(ⅴ) 본 발명의 초미세 인삼 또는 홍삼 분말의 과립화 방법에 따르면, 분말의 응집성 및 부착성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흐름성을 크게 개선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홍삼 원료는 6년근 홍삼(Panax ginseng C. A. Meyer)을 사용하였으며, 우선 에어커터밀(ACM-20AL, 대가파우더시스템)로 홍삼을 분쇄하는데, 원료의 상태에 따라서 rpm을 조절하면서 분쇄하였다. 이때 분말은 수분상태에 따라서 열풍공기로 건조시켰다. 분쇄 후의 홍삼분말 평균 입자경 50-60 ㎛의 홍삼 조분쇄 분말을 수득하였다.
이어, 제트밀로 초미세분말을 제조하였따. 제트밀은 에어 헤더에 있는 고압의 압축공기가 분쇄노즐을 통해 배출되며 이 고압의 압력으로 납작한 원통형 챔버에서 분쇄가 이루어진다. 분쇄 챔버로 분출된 제트기류는 챔버 안에서 고속의 선회기류를 생성하고 이때 원료는 제트노즐에 의해서 챔버 안으로 이동되며 연속 분쇄되어 중앙의 배출구를 통해 분쇄기 밖으로 배출된다. 조분쇄된 홍삼분말을 제트밀(DGFZM-100, 대가파우더시스템)에 공급하면서 에어콤프레셔를 이용하여 7 bar의 압축공기를 가하며 12,000 rpm으로 분급하여 분쇄하여 최대입자경이 약 9.22-28.19 ㎛이고, 평균 입자경이 약 2.92-3.25 ㎛인 초미세 홍삼분말을 제조하였다.
도 1은 커터밀 분쇄 과정을 거친 조분쇄 홍삼 분말의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2는 제트밀 분쇄 과정을 거친 초미분쇄 홍삼 분말의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1 및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초미분쇄화된 홍삼 분말은 입자는 커터밀 분쇄에 의한 분말의 입자보다 그 크기가 크게 감소되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제조된 초미세 홍삼분말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조성으로 연질 캅셀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초미세 홍삼분말 15
소맥배아유 67
팜유 12
밀납(황납) 4
대두레시틴 2
합계 100
상기의 원료들을 각각 상기의 비율로 혼합하여 제2 내용물을 4 kg 제조하였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연질 캅셀 기호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제조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실시예 3
초미세 홍삼분말을 과립화하기 위하여 초미세 홍삼분말에 결합용액으로 60-95%의 주정(에탄올)을 첨가하였다. 결합용액으로는, 과립공정 중에 주성분을 물리 ? 화학적으로 안정화 시킬 수 있는 용액을 선택하였으며 주정의 양은 시료대비 40-80%로 조정하였다. 제조된 시료를 16-20 메쉬의 체를 통과시켜 제립하고 60℃에서 1-2시간 건조시켰다. 건조가 끝난 상태에서 16-20 메쉬의 체를 통과시켜 정립하였다. 상기에 사용한 결합용매의 농도와 양은 제조하고자 하는 제형에 따라서 그 배합 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서브-마이크론 크기의 인삼 또는 홍삼 분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며, 또한 과립화된 초미세 인삼 또는 홍삼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인삼 또는 홍삼의 초미세 분말을 포함하는 연질캅셀 조성물, 인삼 또는 홍삼의 초미세 분말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및 과립화된 초미세 인삼 또는 홍삼 분말을 포함하는 하드캅셀, 정제 또는 환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초미세 분말화 방법은, 커터밀과 제트밀 분쇄 과정을 조합한 것으로서 이러한 분쇄 방식은 종래에 개발된 바가 없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교적 간편한 공정을 통하여 그리고 인삼 또는 홍삼 고유의 기능성 성분에 영향을 주지 않는 방식으로 평균 입자경 2-10 ㎛인 초미세 인삼 또는 홍삼 분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초미세 인삼 또는 홍삼 분말은 비표면적이 증가되어 용해도가 크게 개선되며, 이는 인삼 또는 홍삼 성분의 흡수도를 개선하고, 결국 인삼 또는 홍삼 성분의 생체이용율을 향상시키며, 평균 입자경 2-10 ㎛를 갖는 본 발명의 인삼 또는 홍삼 초미세 분말은, 핀홀 현상을 거의 완벽하게 제거함으로써, 연질캅셀을 제조하는 데 매우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의 초미세 인삼 또는 홍삼 분말의 과립화 방법에 따르면, 분말의 응집성 및 부착성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흐름성을 크게 개선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 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3)

  1. (a) 인삼 또는 홍삼을 커터밀로 조분쇄하여 평균 입자경 40-100 ㎛인 조분쇄 분말을 수득하는 단계; 및 (b) 상기 조분쇄 분말을 제트밀로 미분쇄하여 평균 입자경 2-10 ㎛인 초미세 분말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브-마이크론 크기의 인삼 또는 홍삼 분말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분쇄 분말은 50-70 ㎛의 평균 입자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초미세 분말은 2.5-4 ㎛의 평균 입자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6-11 bar의 압력을 갖는 기체를 이용하여 제트 밀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a) 인삼 또는 홍삼을 커터밀로 조분쇄하여 평균 입자경 40-100 ㎛인 조분쇄 분말을 수득하는 단계; (b) 상기 조분쇄 분말을 제트밀로 미분쇄하여 평균 입자경 2-10 ㎛인 초미세 분말을 수득하는 단계; (c) 상기 초미세 분말에 주정을 첨가하고 혼합하는 단계; (d) 상기 단계 (c)의 혼합물을 체(sieve)에 통과시켜 제립하는 단계; (e) 상기 단계 (d)의 결과물을 건조하는 단계; 및 (f) 상기 건조물을 체(sieve)에 통과시켜 정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과립화된 초미세 인삼 또는 홍삼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분쇄 분말은 50-70 ㎛의 평균 입자경을 갖으며, 상기 초미세 분말은 2.5-4 ㎛의 평균 입자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6-11 bar의 압력을 갖는 기체를 이용하여 제트 밀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 및 단계 (f)의 체는 16-20 메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상기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고, 평균 입자경 2-10 ㎛인 인삼 또는 홍삼의 초미세 분말 0.1-40 중량%를 포함하는 연질캅셀 조성물.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연질캅셀 조성물은 인삼 또는 홍삼의 초미세 분말 2-40 중량%을 포함하고, 소맥배아유 20-93 중량%, 팜유 5-20 중량%, 밀납 0.1-10 중량% 및 대두레시틴 0.1-10 중량%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질캅셀 조성물.
  11. 상기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고, 평균 입자경 2-10 ㎛인 인삼 또는 홍삼의 초미세 분말 0.001-40 중량%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음료 조성물이고, 인삼 또는 홍삼의 초미세 분말의 평균 입자경은 2-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13. 상기 제 5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과립화된 초미세 인삼 또는 홍삼 분말 0.001-40 중량%를 포함하는 하드캅셀, 정제 또는 환.
KR1020070004066A 2007-01-15 2007-01-15 초미세 인삼 또는 홍삼분말 KR1008558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4066A KR100855897B1 (ko) 2007-01-15 2007-01-15 초미세 인삼 또는 홍삼분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4066A KR100855897B1 (ko) 2007-01-15 2007-01-15 초미세 인삼 또는 홍삼분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7031A true KR20080067031A (ko) 2008-07-18
KR100855897B1 KR100855897B1 (ko) 2008-09-03

Family

ID=39821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4066A KR100855897B1 (ko) 2007-01-15 2007-01-15 초미세 인삼 또는 홍삼분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5897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89517A (zh) * 2014-07-04 2014-12-10 湖南补天药业有限公司 一种超微破壁天麻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523490B1 (ko) * 2011-08-01 2015-05-28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특정 진세노사이드(Rg5, Rk1) 함량이 증가된 홍삼 초미세 분말의 제조방법
KR20160023475A (ko) * 2014-08-22 2016-03-03 샘표식품 주식회사 난류를 이용한 식품, 인삼, 또는 산삼배양근의 분쇄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KR101600836B1 (ko) * 2015-04-14 2016-03-08 (주)다정 농축액으로 코팅한 코팅 분말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코팅분말
CN106727809A (zh) * 2017-01-26 2017-05-31 靖宇县康达林业生态开发有限公司 一种人参超微纯粉片的制备方法
KR20180097205A (ko) 2017-02-22 2018-08-31 주식회사 자로 미세분말이 충진된 캡슐 및 이를 이용한 차 제조방법
KR20200059568A (ko) * 2018-11-21 2020-05-29 주식회사꽃을담다 메리골드 분말의 제조 방법
KR20210094808A (ko) * 2020-01-22 2021-07-30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초미세 인삼분말 함유 정제의 제조 방법
KR102309611B1 (ko) * 2021-01-18 2021-10-07 이래승 인삼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강기능식품 및 구강붕해 필름
US20220125709A1 (en) * 2020-10-28 2022-04-28 Amorepacific Corporation Ginseng powder,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sam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2747B1 (ko) 2009-10-08 2011-09-06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색도 및 유동성이 증가된 홍삼농축액 과립의 제조방법
JP6026394B2 (ja) * 2013-12-02 2016-11-16 小西製薬株式会社 生薬顆粒の製造方法
KR101633428B1 (ko) 2016-01-14 2016-06-27 주식회사 진산사이언스 홍삼류 또는 인삼류 추출물의 정분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3269A (ja) * 1995-06-09 1996-12-17 Toshin Kogyo Kk 生薬等の打錠製品製造方法
KR100658772B1 (ko) * 2004-01-20 2006-12-15 씨제이 주식회사 초미세 인삼 분말을 이용한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0577032B1 (ko) * 2004-04-27 2006-05-08 구안산업 주식회사 인삼유효성분의 기계적 추출방법
KR20060024927A (ko) * 2004-09-15 2006-03-20 씨제이 주식회사 기계적 분쇄법에 의한 미크론 사이즈 인삼 분말의제조방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3490B1 (ko) * 2011-08-01 2015-05-28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특정 진세노사이드(Rg5, Rk1) 함량이 증가된 홍삼 초미세 분말의 제조방법
CN104189517A (zh) * 2014-07-04 2014-12-10 湖南补天药业有限公司 一种超微破壁天麻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160023475A (ko) * 2014-08-22 2016-03-03 샘표식품 주식회사 난류를 이용한 식품, 인삼, 또는 산삼배양근의 분쇄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KR101600836B1 (ko) * 2015-04-14 2016-03-08 (주)다정 농축액으로 코팅한 코팅 분말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코팅분말
CN106727809A (zh) * 2017-01-26 2017-05-31 靖宇县康达林业生态开发有限公司 一种人参超微纯粉片的制备方法
CN106727809B (zh) * 2017-01-26 2018-05-25 中民康达药业股份有限公司 一种人参超微纯粉片的制备方法
KR20180097205A (ko) 2017-02-22 2018-08-31 주식회사 자로 미세분말이 충진된 캡슐 및 이를 이용한 차 제조방법
KR20200059568A (ko) * 2018-11-21 2020-05-29 주식회사꽃을담다 메리골드 분말의 제조 방법
KR20210094808A (ko) * 2020-01-22 2021-07-30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초미세 인삼분말 함유 정제의 제조 방법
US20220125709A1 (en) * 2020-10-28 2022-04-28 Amorepacific Corporation Ginseng powder,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sam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2309611B1 (ko) * 2021-01-18 2021-10-07 이래승 인삼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강기능식품 및 구강붕해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5897B1 (ko) 2008-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5897B1 (ko) 초미세 인삼 또는 홍삼분말
EP0925293B1 (en) Method of producing an extruded nutritional supplement product
KR101794860B1 (ko) 홍삼농축액분말과 유동층코팅기를 이용한 홍삼농축액 알갱이의 제조방법
JP2008513005A (ja) 機械的粉砕法によるミクロンサイズ人参粉末の製造方法
JPS59199057A (ja) 被粉砕性の異なる二種或いはそれ以上の脆い材料を共通粉砕するための方法と装置
EP1861427B1 (en) Agglomerated starch compositions
JP2021533215A (ja) プラスチックを粉砕し、このプラスチックから粉末材料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6276917B1 (en) Powder processing apparatus
JP2009525843A (ja) 材料を処理して所望サイズの粒子を作製する方法
CN206415208U (zh) 一种粉碎机
US2005014572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ergy efficient particle-size reduction of particulate material
KR101758346B1 (ko) 냉온수용 과립형 녹차 및 이의 제조방법
CN105754488A (zh) 研磨抛光粉及其制备方法
JPS63501776A (ja) 圧力室粉砕機の粉砕効率改良のための方法と装置
JP2626820B2 (ja) 高微粉高炉セメントの製造方法
JPS63117905A (ja) 直接的な圧縮錠剤形成のために適切な粒状リン酸三石灰組成物
KR100736203B1 (ko) 장섬유상의 규회석 미분체 제조방법
CN109288952A (zh) 金刚藤丸及其制备工艺
CN214390595U (zh) 一种药用细粉状表面活性剂的制造装置
JP2002360229A (ja) 粉末飲食品の製造法
JP3130434B2 (ja) 粉砕粉の製造方法
Manford et al. Overcoming Challenges with Amorphous Materials during Micronization
JP3228288B1 (ja) 分岐鎖アミノ酸含有医薬用顆粒製剤の製造方法
WO1999061037A1 (en) Plant material composition
KR20220083405A (ko) 총 엽록소 성분 및 녹색도가 증가된 새싹보리 분말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