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3475A - 난류를 이용한 식품, 인삼, 또는 산삼배양근의 분쇄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난류를 이용한 식품, 인삼, 또는 산삼배양근의 분쇄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3475A
KR20160023475A KR1020140109940A KR20140109940A KR20160023475A KR 20160023475 A KR20160023475 A KR 20160023475A KR 1020140109940 A KR1020140109940 A KR 1020140109940A KR 20140109940 A KR20140109940 A KR 20140109940A KR 20160023475 A KR20160023475 A KR 201600234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g
food
ginsenoside
crushing
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9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5000B1 (ko
Inventor
김대응
배현아
정혜인
조미나
정승경
이기영
정경훈
허병석
Original Assignee
샘표식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샘표식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샘표식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09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5000B1/ko
Publication of KR20160023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34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5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50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23P10/22Agglomeration or granulation with pulverisation of solid particles, e.g. in a free-falling curta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015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pressure variation, shock, acceleration or shear stress or cavi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7/00Disintegrating by tumbling mills, i.e. mills having a container charged with the material to be disintegrated with or without special disintegrating members such as pebbles or balls
    • B02C17/10Disintegrating by tumbling mills, i.e. mills having a container charged with the material to be disintegrated with or without special disintegrating members such as pebbles or balls with one or a few disintegrating members arranged in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24Ginse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물의 투입 없이 용기부와 분쇄부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쇄 방법을 개시한다. 이러한 본 명세서의 방법은 수분과 섬유질 함량이 높고 경도가 매우 낮아 일반적인 기계적 분쇄가 어려운 산삼배양근 생체를 분쇄를 이용하여 발효 작용과 효소 침투가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생체 입자 사이즈가 미쇄하면서 균일하게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의 방법은 분쇄 시 발생되는 열 변성을 제거하여 산삼 고유의 향과 색택을 유지하면서 활성물질의 변성을 최소화하여 보다 발효를 강화시킬 수 있으며 일반 습식분쇄기와는 달리 물을 별도로 투입하지 않고 분쇄가 가능하기 때문에 기질의 양을 극대화하여 발효 및 효소 침투율을 강화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의 방법은 최대 입자 사이즈가 1,500㎛ 이하이고, 평균 입자사이즈는 1,000㎛ 미만으로 미세하며, 또한 분쇄 시 최대 고형분은 15% 이하이며 평균 고형분은 10±2%인 산삼배양근 분쇄물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분쇄물은 산삼 고유의 향과 색택 및 조직감을 유지하면서 발효 및 효소 침투율을 강화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난류를 이용한 식품, 인삼, 또는 산삼배양근의 분쇄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PULVERIZATION METHOD FOR FOODS, GINSENG, OR CULTURED ROOT OF WILD GINSENG BY TURBULENT FLOW,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명세서는 식품의 분쇄 방법 및 그 이를 이용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삼 특이 사포닌인 진세노사이드는 인삼의 가장 중요한 약리 성분으로 최근까지 인삼으로부터 약 30여종 이상의 진세노사이드가 분리되어 밝혀지고 있지만, 그 중 주요 진세노사이드인 ginsenoside Rb1, Rb2, Rc, Rd, Re, Rf, Rg1, Rg2의 8종의 진세노사이드가 총 진세노사이드의 95%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반면, 산삼은 동의보감에서 "신초"라 불리울 만큼 희귀한 식물로서 인삼, 홍삼보다도 높은 함량의 진세노사이드(Rb1, Rb2, Rc, Re, Rf, Rg1, Rg2, Rg3 등)를 함유하고 있으며, HPLC를 이용하여 정량분석을 하면 산삼이 인삼에 비해 밝혀지지 않은 특이 피크들이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산삼배양근은 원래 천종 또는 지종 산삼 조직에서 배양된 것이며 천종산삼과 그 성분 및 DNA 배열이 같다. 또한, 산삼과 산삼배양근의 배수성검정에서 DNA함량과 핵수가 일치하고 있는데 이는 산삼배양근이 다년간 배양을 해도 변이의 발생이 이루어지지 않고 산삼과 유전적으로 동일하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다. 산삼배양근의 염색체수를 산삼의 염색체 수와 동일한 2n=48개이다.
이러한 산삼배양근의 조사포닌 함량은 6~8중량%로 일반적으로 인삼이나 재배삼의 조사포닌 함량인 4~6중량%에 비하여 대단히 높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또한, 산삼배양근에 함유되어 있는 조사포닌 중 활성물질인 진세노사이드는 현대인들에게 많이 발생하는 스트레스종의 일종인 활성산소를 제거할 수 있는 전자공여능(EDA)이 재배삼에 비해 월등히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활성산소에 의해 손상된 세포를 복원 및 해독작용을 하는 각종 항산화효소의 활성이 재배삼보다 훨씬 높다.
이러한 작용에 근거하여 산삼과 산삼배양근의 항피로 및 항스트레스 작용, 항당뇨 작용, 혈압조절작용, 항암작용, 동맥경화 및 고혈압의 예방, 두뇌기능 강화, 위장기능 강화, 면역기능 강화, 항 바이러스 작용 등이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주요 진세노사이드를 섭취할 경우 이는 장내 미생물에 의해 생물전환 진세노사이드로 전환되어 체내로 흡수된다. 하지만 개개인마다의 장내 미생물 군집이 다르기 때문에 장내에서 진세노사이드 전환의 정도가 다르고 일부의 경우 진세노사이드를 분해하는 장내미생물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주요 진세노사이드를 먹었을 때 큰 약리효과를 기대하기 힘든 경우가 발생한다(공개특허 10-2003-0041923, 공개특허 10-2006-0074970, United States Patent 5925537, Hasegawa H. et al. 1996, Wakabayasi S. et al. 1997, Suda K. et al. 2000).
따라서 최근 여러 가지 생물전환(발효) 또는 물리, 화학적 기술을 이용한 생물전환 진세노사이드의 생산을 위한 진세노사이드 전환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생물전환 진세노사이드, 특히 진세노사이드 Rh1, F1, Rg3, Rh2, C-K, PPD 등은 항암 활성, 면역증가. 혈행 개선, 치매방지 등에서 탁월한 약리 활성을 나타낸다는 연구보고가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Biol. Pharm, Bull., 18, 1197 (1995), J. Korean Med. Sci., 16 (Suppl), (2001)).
산삼배양근은 가공 과정에 따라 배양이 끝난 순수한 생체와 열을 이용하여 말린 건조물, 건조물을 분쇄하여 가공적성을 용이하게 만든 분말로 구분되며 특히 생체는 90% 이상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조직이 매우 약하기 때문에 수삼과 같이 유통과정 중 쉽게 부패하거나 손상이 일어나기 쉽고 특히 산삼배양근 생체는 조직의 갈변이 매우 빠르게 진행되어 변패 발생 확률이 매우 높아 유통기한이 상온에서는 3일 이내, 냉장 상태에서는 7일 이내로 매우 짧은 단점이 있다.
또한 산삼배양근 생체는 식물 섬유를 다량 포함하고 경도가 매우 적고 부피가 매우 크기 때문에 일반적인 단단하고 부서지기 쉬운 물질과 비교하여 기계적인 분쇄력이 가해지기 어려워 대량 산업 규모에서의 분쇄는 전무한 실정이다. 현재 국내에는 산삼배양근 건조물을 기계적 방법에 의해 분쇄하여 분말화하고 있으며 대부분은 커터밀, 핀밀, 볼밀, 제트밀 등에 의해 분쇄하여 생산하고 있으나 생체가 아닌 건조물을 사용하기 때문에 산삼배양근 천연의 성질 즉, 산삼 고유의 향과 색택, 조직감과 산삼배양근 생체가 지니고 있는 기능성 물질인 사포닌 중 진세노사이드, 산성다당체 등의 활성물질의 변성으로 인한 품질 저하로 인하여 산삼배양근의 부가가치가 매우 떨어지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건조하지 않은 천연 상태의 수분함량이 높은 식물, 과실, 곡물 등은 습식분쇄기를 주로 사용하여 분쇄를 하고 있고 습식분쇄기의 대표적인 것은 콜로이드밀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콜로이드밀과 제트밀을 혼용, 또는 변형하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습식분쇄기 또한 수분함량이 높으나 부피가 적고 경도가 큰 물질에 국한되어 사용되기 때문에 산삼배양근 생체처럼 경도가 매우 작은 것은 분쇄가 잘 이루어지지 않으며 실처럼 뭉쳐 있기 때문에 분쇄가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며 연속적인 작업이 불가능하다. 만약 분쇄를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는 물을 지속적으로 투입해야 함으로써 분쇄물 고형분의 함량이 매우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KR 10-2003-0041923 A
Hasegawa H. et al. 1996, Wakabayasi S. et al. 1997, Suda K. et al. 2000 Biol. Pharm, Bull., 18, 1197 (1995), J. Korean Med. Sci., 16 (Suppl), (2001)
본 명세서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습식 분쇄기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물이 지속적으로 투입되지 않는 분쇄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명세서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용기부와 분쇄부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발생하는 난류를 일으켜 식품을 분쇄하는 분쇄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분쇄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는 물을 투입하지 않고서도 연속적으로 분쇄를 진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분쇄물을 균일하게 분쇄하고 그 고형분 함량을 떨어지지 않게 하며 분쇄물의 활성성분의 함량을 극대화 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분쇄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는 분쇄시에 발생되는 열에 의한 온도 상승을 제어하여 분쇄물의 활성성분의 변성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분쇄물이 산삼배양근 생체인 경우 본 발명은 진세노사이드의 변성을 최소화하고 그 함량을 극대화하여 발효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최종 진세노사이드의 생물 전환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분쇄기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분쇄기 또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분쇄방법으로 분쇄한 산삼배양근 생체의 입도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는 입도에 따른 진세노사이드 전환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일 측면에 있어서, 물을 투입하지 않고 난류(Turbulent flow)를 일으켜 식품을 분쇄하는 것을 포함하는 식품의 분쇄 방법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난류는 분쇄를 수행하는 분쇄부와 분쇄가 수행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용기부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발생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일 측면에 있어서,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분쇄부; 및 분쇄부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용기부를 포함하는 식품의 분쇄 장치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상기 분쇄부는 식품을 분쇄하는 부분이며, 용기부는 분쇄가 수행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부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용기부는 자켓 방식으로 설계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식품은 수분함량이 많은 식품이라면 제한되지 않으며, 구체적으로 인삼; 마늘, 감자, 고구마, 파, 토마토, 양파 등과 같은 야채; 및 사과, 배, 복숭아, 수박, 포도등과 같은 과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인삼은 두릅나무과 인삼속 식물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고려 인삼(Panax ginseng C. A. Meyer), 고삼, 단삼, 현삼, 사삼, 산양삼, 산삼, 홍삼, 흑삼, 수삼, 백삼, 장뇌삼, 배양삼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 가장 광범위한 개념에 해당하며 각 인삼의 배양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식품은 인삼 배양근일 수 있으며, 더 구체적으로 산삼 배양근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인삼 "배양근" 또는 삼(蔘) "배양근"은 자연상태로 자생하는 인삼 등을 조직배양기술을 이용하여 배양한 것으로서, 자생하는 인삼과 그 성분 및 DNA 배열이 동일하여 동일한 유전적 성질을 가지는 인삼을 대량 생산한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산삼 배양근은 원래 천종 또는 지종 산삼 조직에서 조직배양기술을 이용하여 배양된 것이며 천종산삼과 그 성분 및 DNA 배열이 같다. 또한, 산삼과 산삼배양근의 배수성검정에서 DNA함량과 핵수가 일치하고 있는데 이는 산삼배양근이 다년간 배양을 해도 변이의 발생이 이루어지지 않고 산삼과 유전적으로 동일하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식품은 식품의 종 중량을 기준으로 수분 함량이 50 중량%이상, 55 중량%이상, 60 중량%이상, 65 중량%이상, 70 중량%이상, 75 중량%이상, 80 중량%이상, 85 중량%이상, 90 중량%이상, 95 중량%이상, 또는 99 중량%이상이거나, 99중량% 이하, 95중량% 이하, 90중량% 이하, 85중량% 이하, 80중량% 이하, 75중량% 이하, 70중량% 이하, 65중량% 이하, 60중량% 이하, 55중량% 이하, 또는 50중량% 이하인 식품일 수 있으며, 이러한 식품이라면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식품의 섬유질 함량은 식품 100g 당 0.1g 이상, 1g 이상, 5g 이상, 10g 이상, 20g 이상, 30g 이상, 35g 이상, 40g 이상, 45g 이상, 50g 이상, 55g 이상, 또는 60g 이상일 수 있으며 65g 이하, 60g 이하, 55g 이하, 50g 이하, 45g 이하, 40g 이하, 35g 이하, 30g 이하, 20g 이하, 10g 이하, 5g 이하, 1g 이하, 또는 0.1g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식품의 섬유질 함량은 식품 100g 당 42g 내지 56g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인삼은 초본의 지상부 또는 뿌리부를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초본의 잎, 줄기, 열매, 꽃, 및 뿌리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기부"는 식품과 같은 내용물의 분쇄가 일어나는 공간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그 크기와 형태를 불문하는 것이며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재질로서 철, 스테인리스 등으로 제조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분쇄부"은 통상적으로 식품과 같은 내용물을 분쇄하는 것이면 제한되지 않으며,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하는 가장 광범위한 개념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분쇄부에는 콜로이드밀, 제트밀, 또는 커터와 같이 분쇄에서 사용될 수 있는 것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커터는 1중 날 이상, 2중 날 이상, 3중 날 이상, 4중 날 이상, 5중 날 이상, 또는 6중 날 이상으로 장착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용기부는 자켓 방식으로 설계된 것일 수 있으며, 이러한 자켓 방식은 스팀 또는 냉각수와 같은 열매체가 중간에 들어갈 숭 ㅣㅆ게 이중으로 만든 용기부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자켓 방식으로 설계된 용기부의 경우 식품을 분쇄하는 경우에 발생되는 열에 의한 온도 상승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식품 고유의 향과 색택을 유지하면서 그 활성성분의 변성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예컨대 자켓 방식으로 설계된 용기부를 이용하여 산삼 배양근을 분쇄할 경우, 산삼 고유의 향과 색택을 유지하면서 활성성분인 진세노사이드의 변성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분쇄부 또는 분쇄부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용기부는 10 rpm이상, 30 rpm이상, 50 rpm이상, 70 rpm이상, 100 rpm이상, 130 rpm이상, 150 rpm이상, 170 rpm이상, 200 rpm이상, 230 rpm이상, 250 rpm이상, 270 rpm이상, 300rpm이상, 330rpm이상, 350rpm이상, 370rpm 이상, 400rpm 이상, 450rpm 이상, 500rpm 이상, 또는 600 rpm이상으로 회전하거나 700 rpm 이하, 600 rpm 이하, 500 rpm 이하, 450 rpm 이하, 400 rpm 이하, 370 rpm 이하, 350 rpm 이하, 330 rpm 이하, 300 rpm 이하, 270 rpm 이하, 250 rpm 이하, 230 rpm 이하, 200 rpm 이하, 170 rpm 이하, 150 rpm 이하, 130 rpm 이하, 100 rpm 이하, 70 rpm 이하, 50 rpm 이하, 30 rpm 이하, 또는 10 rpm 이하로 회전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분쇄부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용기부는 50 내지 150rpm 으로 회전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분쇄부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용기부는 분쇄부 회전 속도의 20% 내지 40%, 구체적으로 25% 내지 35%, 더 구체적으로 28% 내지 32%의 회전속도로 회전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기부 또는 분쇄부의 "회전"은 하나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 때 축의 각도는 지표면에 대하여 수평(0°) 내지 90°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축의 각도는 지표면에 대하여 90°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용기부와 분쇄부의 회전 축은 서로 같은 각도를 이룰 필요는 없으며, 예를 들어 용기부와 분쇄부의 회전 축이 서로 이루는 각도는 0°(회전축이 서로 일치하는 경우) 내지 90°(회전축이 서로 수직인 경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용기부와 분쇄부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은 용기부 내 분쇄물의 유체 흐름을 층류(Laminar Flow)에서 난류(Turbulent flow)로 빠르게 전환 시킬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내며, 이로 인하며 미세화와 균질화를 빠르게 진행함에 따라 물을 투입하지 않고 연속적인 분쇄 작업이 가능하며, 고형분의 함량이 떨어지지 않아 활성물질의 기질인 진세노사이드 함량을 극대화하여 발효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난류"는 유체 분자들이 불규칙적이고 곡선적으로 이동하는 흐름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러한 난류는 하기와 같은 레이놀드 넘버(Reynolds number)의 측정으로 인하여 판단할 수 있으며, 특히 교반 용기(stirred vessel)에서의 레이놀드 넘버는 하기 수학식을 통하여 구할 수 있다.
[수학식]
Figure pat00001
상기 Re는 레이놀드 넘버이며, ρ는 유체의 밀도, μ는 유체의 점도, N 은 회전속도(rps), D 는 교반기의 지름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분쇄물에 난류를 일으켜 연속적으로 분쇄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상기 레이놀드 넘버가 10,000이상이 되어야 완전한 난류가 이루어 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분쇄 방법 또는 분쇄 장치의 경우 분쇄를 수행하는 분쇄부와 분쇄가 수행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용기부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분쇄가 이루어지므로, 상기 수학식에서 유체의 회전속도(D, rps)가 크지 않은 경우에도 난류를 일으키는 장점 및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분쇄 단계에서 분쇄물의 고형분의 함량은 분쇄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30중량% 이하, 25중량% 이하, 20중량% 이하, 17중량% 이하, 15중량% 이하, 13중량% 이하, 12중량% 이하, 11중량% 이하, 10중량% 이하, 9중량% 이하, 7중량% 이하, 5중량% 이하, 또는 1중량% 이하일 수 있으며, 1중량% 이상, 5중량% 이상, 7중량% 이상, 8중량% 이상, 9중량% 이상, 10중량% 이상, 11중량% 이상, 12중량% 이상, 13중량% 이상, 15중량% 이상, 17중량% 이상, 19중량% 이상, 20중량% 이상, 25중량% 이상, 또는 30중량% 이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쇄단계에서 분쇄물의 고형분 함량은 분쇄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8중량% 내지 17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상기 분쇄물의 고형분 함량은 최대 고형분 함량 또는 평균 고형분 함량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분쇄물의 최대 고형분 함량은 분쇄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5중량%이하 일 수 있으며, 평균 고형분 함량은 분쇄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8중량% 내지 12중량% 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최대 고형분 함량"은 식품의 분쇄 과정에서 식품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한 고형분 함량의 최대값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는 분쇄시에 물에 희석되지 않는 실제 고형분 함량의 최대값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평균 고형분 함량"은 식품의 분쇄 과정에서 식품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한 고형분 함량으로서, 분쇄 과정을 통틀어서 평균적으로 유지되는 고형분 함량을 의미할 수 있으며, 분쇄시에 물에 희석되지 않는 실제 고형분 함량의 평균값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분쇄 또는 분쇄 단계는 1회 이상 반복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1회 이상, 2회 이상, 3회 이상, 4회 이상, 또는 5회 이상 반복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분쇄 단계는 각 단계를 거칠 때마다 분쇄물의 평균 입도가 작아지게 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각 분쇄 단계를 거친 후의 분쇄물의 입도는 10,000 μm 이하, 8,000 μm 이하, 6,000 μm 이하, 5,000 μm 이하, 4,000 μm 이하, 3,000 μm 이하, 2,500 μm 이하, 2,000 μm 이하, 1,500 μm 이하, 1,000 μm 이하, 500 μm 이하, 100 μm 이하, 또는 10 μm 이하일 수 있다. 예컨대, 3회 반복되는 분쇄 단계의 경우 1회 분쇄 후 분쇄물의 입도는 5,000 μm 이하가 되고; 2회 분쇄 후 분쇄물의 입도는 2,500 μm 이하가 되고; 3회 분쇄 후 분쇄물의 입도는 1,000 μm 이하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분쇄 단계는 분쇄물의 입도를 3,000 μm 이하, 구체적으로 2,500 μm 이하, 더 구체적으로 1,500 μm 이하, 더 구체적으로 1,000 μm 이하로 만드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상기 입도는 분쇄물의 평균 입도 또는 최대 입도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분쇄는 분쇄물의 평균 입도가 상기 기재된 분쇄물의 입도가 되도록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평균 입도"는 분쇄물의 입도를 정규 분포로 나타내었을 때 그 평균 값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최대 입도"는 분쇄물의 입도를 정규 분포로 나타내었을 때 그 중 가장 큰 입도 값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일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방법으로 식품을 분쇄하는 분쇄 단계; 및 상기 분쇄 단계에서 얻어진 식품 분쇄물을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품 분쇄 발효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상기 제조 방법은 발효 단계 이후에 발효물을 용매로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제조방법은 식품 분쇄 발효물에 대한 추출물의 제조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발효 단계는 분쇄물에 미생물 또는 미생물로부터 얻어진 효소를 처리하여 발효시키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미생물은 아스퍼질러스 니게르(Aspergillus niger), 아스퍼질러스 오리자에(Aspergillus oryzae) 및 페니실리움 속(Penicillium sp.)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미생물로부터 얻어진 효소는 상기 미생물로부터 유래된 조효소액일 수 있다. 상기 발효 단계를 통하여 분쇄물이 산삼배양근인 경우 산삼배양근에 포함된 진세노사이드들이 아글리콘 또는 생물전환 진세노사이드로 전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추출 용매는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물은 증류수 또는 정제수를 포함하고, 유기용매는 C1~C6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에틸메틸케톤 및 클로로포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알코올은 메탄올, 에탄올, 또는 수포화부탄올 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일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된 식품 분쇄 발효물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산삼배양근은 산삼배양근 생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식품, 구체적으로 인삼은 아글리콘 또는 생물전환 진세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식품 분쇄 발효물은 하기 특성 중 하나 이상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1) 아글리콘 또는 생물전환 진세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하는 특성; 및
(2) 인삼 분쇄 발효물의 아글리콘 또는 생물전환 진세노사이드 전환율이 55% 내지 85%인 특성.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인삼 분쇄 발효물에 포함된 아글리콘 또는 생물전환 진세노사이드는 인삼 분쇄 발효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8mg/g 이상, 8.5mg/g 이상, 9mg/g 이상, 9.5mg/g 이상, 10mg/g 이상, 10.5mg/g 이상, 11mg/g 이상, 11.5mg/g 이상, 12mg/g 이상, 12.5mg/g 이상, 13mg/g 이상, 14mg/g 이상, 15mg/g 이상, 20mg/g 이상, 30mg/g 이상, 50mg/g 이상, 또는 100mg/g 이상이거나 500 mg/g 이하, 300 mg/g 이하, 100 mg/g 이하, 50 mg/g 이하, 30 mg/g 이하, 20 mg/g 이하, 15 mg/g 이하, 14 mg/g 이하, 13 mg/g 이하, 12.5 mg/g 이하, 12 mg/g 이하, 11.5 mg/g 이하, 11 mg/g 이하, 10.5 mg/g 이하, 10 mg/g 이하, 9.5 mg/g 이하, 9 mg/g 이하, 8.5 mg/g 이하, 또는 8 mg/g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인삼 분쇄 발효물의 아글리콘 또는 생물전환 진세노사이드 전환율은 55% 이상, 57% 이상, 59% 이상, 60% 이상, 61% 이상, 64% 이상, 65% 이상, 67% 이상, 69% 이상, 70% 이상, 71% 이상, 73% 이상, 75% 이상, 77% 이상, 79% 이상, 80% 이상, 85% 이상, 90% 이상, 95% 이상, 또는 99% 이상이거나 100% 이하, 99% 이하, 95% 이하, 90% 이하, 85% 이하, 80% 이하, 79% 이하, 77% 이하, 75% 이하, 73% 이하, 71% 이하, 70% 이하, 69% 이하, 67% 이하, 65% 이하, 60% 이하, 또는 55%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아글리콘(aglycone)은 PPT(20(S)-protopanaxatriol) 또는 PPD(20(S)-protopanaxadiol)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아글리콘(aglycone)"은 글리코시드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당과 결합한 알코올류 또는 아민류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생물전환 진세노사이드는 Rh1, F1, Rg3, 및 C-K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생물전환 진세노사이드"는 미생물에 의해서 생물전환된 진세노사이드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사람 또는 동물의 경우 산삼 또는 인삼 등에 포함되어 있는 주요 진세노사이드를 장내 미생물에 의해 생물전환 진세노사이드로 전환하여 체내로 흡수하는데, 이러한 진세노사이드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산삼배양근은 섭취하기 이전에 산삼배양근에 포함된 주요 진세노사이드를 체내에서 바로 흡수 될 수 있는 생물전환 진세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별다른 생물전환의 과정 없이도 체내에서 진세노사이드를 흡수할 수 있으므로 개개인마다 달라질 수 있는 진세노사이드의 흡수율 또는 그 약리효과를 일정하게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아글리콘 또는 생물전환 진세노사이드의 전환율"은 인삼에 포함되어 있는 진세노사이드들이 미생물에 의한 발효를 통하여 체내에 바로 흡수 될 수 있는 아글리콘 또는 생물전환 진세노사이드로 얼마나 전환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정도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일 측면에 있어서, 수분함량이 인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0중량% 내지 99중량%인 인삼의 분쇄물로서 하기 특징 중 하나 이상을 가지는 인삼 분쇄물에 관한 것일 수 있다:
(1) 최대 입도가 1,500 μm 이하인 특성;
(2) 평균 입도가 1,000 μm 이하인 특성;
(3) 인삼 분쇄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최대 고형분 함량이 15중량%이하인 특성;
(4) 인삼 분쇄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평균 고형분 함량이 8중량% 내지 12중량% 인 특성
(5) 아글리콘 또는 생물전환 진세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하는 특성; 및
(6) 인삼 분쇄물로 발효를 진행하는 경우, 인삼 분쇄 발효물의 아글리콘 또는 생물전환 진세노사이드 전환율이 55% 내지 85%인 특성.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추출물"은 추출 방법, 추출 용매, 추출된 성분 또는 추출물의 형태를 불문하고, 천연물의 성분을 뽑아냄으로써 얻어진 물질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며 또한 천연물의 성분을 뽑아내어 얻어진 물질을 추출 후 다른 방법으로 가공 또는 처리하여 얻어질 수 있는 물질을 모두 포함하는 광범위한 개념이며, 구체적으로 상기 가공 또는 처리는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발효, 또는 효소처리 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추출물은 분획물, 발효물, 농축물, 건조물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개념이며,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추출물은 발효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산삼배양근 추출물"은 추출 방법, 추출 용매, 추출된 성분 또는 추출물의 형태를 불문하고, 산삼배양근의 성분을 뽑아냄으로써 얻어진 물질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며 그 성분을 뽑아내는 과정에서 열, 산(acid), 염기(base), 효소 등으로 처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추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물질을 포함하며 또한 산삼배양근의 성분을 뽑아내어 얻어진 물질을 추출 후 다른 방법으로 가공 또는 처리하여 얻어질 수 있는 물질을 모두 포함하는 광범위한 개념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공 또는 처리는 산삼배양근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발효 또는 효소처리 등을 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산삼배양근 추출물은 발효물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산삼배양근"는 추출물의 형태이거나, 생(生) 산삼배양근, 생약 자체의 분쇄물, 생약의 건조물, 생약의 건조 분쇄물, 산삼배양근의 발효물 또는 이러한 발효물의 분쇄물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산삼배양근은 그 입수 방법에 제한이 없으며, 직접 제조하여 사용하거나 시판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발효"는 미생물 또는 효소를 접종하여 유기물을 분해하거나 활성성분의 생물전환을 일으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발효를 진행함에 있어 미생물의 효소는 원료에 들어있는 활성성분 기질의 양에 따라 활성이 크게 변화된다. 기질의 양과 효소의 양이 적정할 때 효소의 활성은 최적화 되며 기질의 양의 적을 경우, 효소 상호간의 저해로 인하여 활성이 줄어들며 기질의 양이 많을 경우, 기질 상호간의 저해로 인하여 효소의 활성이 줄어든다. 또한 기질의 양의 적을수록 발효공정의 효율성이 매우 떨어져 대량생산 시 원가 및 생산 경쟁력이 매우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분쇄 방법을 거친 식품 원료의 경우 발효과정에 있어서, 활성성분의 변성이 거의 일어나지 않은 상태이며 입도가 작으므로 미생물 또는 효소의 침투가 원활하게 진행되어 진세노사이드와 같은 활성성분의 생물 전환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분쇄 방법 또는 분쇄 장치의 경우, 건조하지 않은 천연의 산삼배양근 생체를 기존의 습식분쇄 방식이 아닌 물을 전혀 투입하지 않고 연속 분쇄가 가능하며, 이 후 발효가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분쇄에 따른 입도 사이즈가 평균 1,000(μm)이하로 발효를 통하여 효소 침투가 원활하게 진행되어 최종 진세노사이드의 생물 전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험예 1] 분쇄에 따른 산삼배양근의 입도분석 및 입자크기에 따른 진세노사이드 전환율
<실험 재료>
산삼배양근 생체는 ㈜비트로시스(Korea)에서 구입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진세노사이드 표준 물질은 시그마알드리치와(Sigma Aldrich, America)와 엠보연구소(Ambo Institute, Korea)에서 구입하였고 아스퍼질러스 니게르(Aspergillus niger), 아스퍼질러스 오리자에(Aspergillus oryzae) 및 페니실리움 속(Penicillium sp.) 으로부터 유래된 베타글루코시다아제, 셀룰라아제, 나린지나제, 헤미셀룰라아제, 및 락타아제를 사용하였다.
<산삼 배양근의 분쇄>
구입한 산삼배양근 생체를 깨끗하게 수세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분쇄기로서, 시험 제작한 파일럿 분쇄기를 이용하여 커터와 조건을 달리하여 각각의 입도 사이즈별로 분쇄하였다. 그 후 이를 각각 10kg를 정확하게 칭량하여 30L 발효조에 투입하였다.
45℃, pH 4.5 및 산소 1.5vvm의 조건에서 산삼배양근을 상기 효소와 반응시켜 진세노사이드를 전환시켰다. 이때 산삼배양근을 효소 처리하여 진세노사이드를 전환시키는 방법은 한국 특허출원 10-2013-0114528호에 개시된 방법에 따라서 수행하였다.
산삼배양근 분쇄물의 입자사이즈를 달리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별도의 분쇄과정을 수행하였다.
(1) 입자 사이즈를 가장 크게 하기 위해 커터를 1중 날을 분쇄기에 장착하여 산삼배양근 생체 분쇄를 진행한다. 이 때 입도 분석을 진행할 때 평균 입도는 5,000(μm) 이상을 넘지 않게 한다.
(2) 입자 사이즈를 중간으로 하기 위해 커터 날을 이중 날로 분쇄기에 장착하여 산삼배양근 생체를 분쇄한다. 이 때 입도 분석을 진행할 때 평균 입도는 2,500(μm) 이상을 넘지 않게 한다.
(3) 입자 사이즈를 최소화 하기 위해 커터 날을 삼중 날로 분쇄기에 장착하여 산삼배양근 생체를 분쇄한다. 이 때 입도 분석을 진행할 때 평균 입도는 1,000(μm) 이상을 넘지 않게 한다.
분쇄로 사용될 산삼배양근 생체는 동일 날짜에 수확한 것으로 하여 생체 내 진세노사이드 분포가 동일하여야 하며 5회 반복 실험을 통한 표준편차 값을 적용하여 진세노사이드 전환율을 계산하여야 한다. 진세노사이드의 전환율의 계산에 대해서는 특허출원 10-2013-0114528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 및 자료들을 활용하였으며, 구체적으로 발효 전 산삼배양근에 포함되어 있는 진세노사이드의 분자량과 투입된 진세노사이드의 질량을 이용하여 몰농도를 구한 후, 전환된 진세노사이드 또는 아글리콘의 몰농도와 비교하여 이를 백분율로 계산한 것에 해당한다.
<분쇄된 산삼 배양근의 입도 분석>
분쇄된 산삼 배양근의 입자 사이즈에 대한 분석은 아래와 같이 실시하였다.
입도분석기는 ELS-Z(Photal Otsuka Electronics, japan)를 사용하였으며 제타 전위 및 입경에 대한 분포를 동적 및 전기영동 광산란법으로 측정하는 제타 전위 입경 측정시스템을 사용하였다.
입도 분석에 대한 시료 전처리 조건은 분쇄물 또는 분산액을 일정 농도로 희석하는 것이며, 희석한 후 용기에 넣어 입도 분석기에 투입하면 자동으로 입자 분석 및 평균 입도를 계산하는 것에 의해 입도 분석 자료를 수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진세노사이드 추출 및 분석>
진세노사이드 추출 방법은 기존 농축액을 분석한 종래 기술과는 달리 본 발명은 인삼 생체와 산삼배양근 생체를 직접 분석함으로써 진세노사이드 미량 분석을 진행해야 하며 생물전환 진세노사이드의 극성이 매우 낮아 추출 방법을 달리하여야 하기 때문에 기존 식품공전(식품의약품안전처, Korea)상에 고시되어 있는 방법과 종래 개발되어진 방법을 변형하여 사용하였다. 일측면에서, 분쇄 되어진 생체를 50~100% 메탄올을 고형분 대비 1~30배 첨가하여 30~90℃ 환류 추출을 1~5회 실시한 후 수포화 부탄올을 이용하여 1~5회 추출한 후 최종 50~100% 메탄올에 농축시켜 TLC, HPLC 및 UPLC-MS/MS 분석에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쇄된 산삼배양근 생체를 80% 메탄올을 고형분(5g) 대비 30배 첨가하여 80℃에서 환류 추출을 3회 실시한 후 수포화부탄올을 이용하여 3회 추출 후 최종 80% 메탄올에 회전증발농축법을 이용하여 농축시켜 UPLC(ultra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분석에 사용하였다. UPLC의 분석 조건은 아래와 같이 실시하였다.
<UPLC 조건>
- System: Acquity UPLC/Synapt G2-S HDMS
- Column: Acquity BEH C18 , 1.7 um 2.1X100 mm
- Column Temp: 45℃
- Mobile Phase A:0.1% Formic acid in H2O ACN, B:0.1% Formic acid in CAN
- Gradient :
Time(min)Flow Rate %A Curve
Initial 0.6 85
0.3 0.6 85
0.6 0.6 70
2.00 0.6 68
4.00 0.6 65
7.00 0.6 55
7.50 0.6 50
11.00 0.6 30
12.50 0.6 0.0
13.00 0.6 0.0
13.10 0.6 85
15.00 0.6 85
상기 분석에 대한 결과를 도 4 및 아래 표 3에 나타내었다. 진세노사이드의 전환율을 구하기 위한 것으로서 효소처리 전의 산삼배양근의 진세노사이드 함량은 하기 표 2와 같았다.
진세노사이드 산삼배양근
(mg/g)
Re 4.17
Rg1 3.57
Rg2 2.91
Rf 0.94
Rh1 N.D
F1 N.D
PPT N.D
Rb1 3.9
Rb2 2.56
Rc 0.02
Rd 2.73
Rg3 0.03
C-K N.D
PPD N.D
합계 20.83
입자크기 실험 반복 횟수 단위 진세노사이드 또는 아글리콘
(Rh1, F1, PPT, Rg3, C-K, PPD)
전환율 (%)
5000 ㎛ 실험 1 mg/g 6.41 41.24
uM 10417.42
실험 2 mg/g 6.55 41.56
uM 10497.76
실험 3 mg/g 5.76 37.98
uM 9593.25
실험 4 mg/g 5.36 34.98
uM 8837.60
실험 5 mg/g 5.23 34.10
uM 8614.13
평균 전환율 (%) 37.97
2500 ㎛ 실험 1 mg/g 9.31 60.54
uM 15294.91
실험 2 mg/g 10.04 65.61
uM 16574.77
실험 3 mg/g 9.50 62.43
uM 15772.50
실험 4 mg/g 9.28 61.09
uM 15434.63
실험 5 mg/g 8.76 57.52
uM 14532.25
평균 전환율 (%) 57.52
1000 ㎛ 실험 1 mg/g 11.62 77.81
uM 19657.86
실험 2 mg/g 11.40 76.10
uM 19224.94
실험 3 mg/g 11.90 80.49
uM 20333.59
실험 4 mg/g 11.35 77.16
uM 19492.54
실험 5 mg/g 11.74 79.77
uM 20152.41
평균 전환율 (%) 78.27
상기 표 2 및 도 4에 나타난 결과에 따르면, 분쇄물의 평균 입도가 작아질수록 생물전환 진세노사이드 또는 아글리콘으로의 전환율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분쇄 방법 또는 분쇄 장치를 이용하여 분쇄한 산삼 배양근의 경우 산삼의 향과 색, 그리고 그 활성성분인 진세노사이드의 변성을 최소화하면서 입도가 낮은 분쇄물로서 얻을 수 있으며, 이는 발효 공정에서 효소의 침투가 원활하게 되어 진세노사이드의 생물 전환율을 향상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19)

  1. 물을 투입하지 않고 난류(Turbulent flow)를 일으켜 식품을 분쇄하는 것을 포함하는 식품의 분쇄 방법으로서,
    상기 난류는 분쇄를 수행하는 분쇄부와 분쇄가 수행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용기부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발생하는 것인 식품의 분쇄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분쇄부는 50 내지 500rpm 으로 회전하고, 용기부는 분쇄부 회전속도의 20% 내지 40%로 회전하는 것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용기부 및 분쇄부의 회전은 하나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이며, 축의 각도는 지표면에 대하여 수평(0°) 내지 90°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식품의 수분 함량은 식품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0중량% 내지 99중량% 이고, 식품의 섬유질 함량은 식품 100g 당 20g 내지 60g인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분쇄는 2회 이상 반복 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분쇄는 분쇄물의 평균 입도가 2,500 μm 이하가 되도록 수행하는 것인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식품은 인삼인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인삼은 고려인삼, 고삼, 단삼, 현삼, 사삼, 산양삼, 산삼, 홍삼, 흑삼, 수삼, 백삼, 장뇌삼, 배양삼, 및 상기 삼들의 배양근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인삼은 산삼 배양근인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으로 식품을 분쇄하는 분쇄 단계; 및 상기 분쇄 단계에서 얻어진 식품 분쇄물을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품 분쇄 발효물의 제조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발효 단계 이후에 발효물을 용매로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2. 제10항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된 식품 분쇄 발효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식품 분쇄 발효물은 인삼 분쇄 발효물이며, 하기 특성 중 하나 이상을 가지는 인삼 분쇄 발효물:
    (1) 아글리콘 또는 생물전환 진세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하는 특성; 및
    (2) 인삼 분쇄 발효물의 아글리콘 또는 생물전환 진세노사이드 전환율이 55% 내지 85%인 특성으로서,
    상기 아글리콘은 PPD 및 PPT 중 하나 이상이며, 생물전환 진세노사이드는 Rh1, F1, Rg3, Rh2, 및 C-K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임.
  14. 제13항에 있어서,
    인삼 분쇄 발효물에 포함된 아글리콘 또는 생물전환 진세노사이드는 인삼 분쇄 발효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8mg/g 내지 15mg/g인 인삼 분쇄 발효물.
  15. 인삼 분쇄 발효물로서, 하기 특성 중 하나 이상을 가지는 인삼 분쇄 발효물:
    (1) 아글리콘 또는 생물전환 진세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하는 특성; 및
    (2) 인삼 분쇄 발효물의 아글리콘 또는 생물전환 진세노사이드 전환율이 55% 내지 85%인 특성.
  16. 제15항에 있어서,
    인삼 분쇄 발효물에 포함된 아글리콘 또는 생물전환 진세노사이드는 인삼 분쇄 발효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8mg/g 내지 15mg/g인 인삼 분쇄 발효물.
  17. 수분함량이 인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0중량% 내지 99중량%인 인삼의 분쇄물로서 하기 특징 중 하나 이상을 가지는 인삼 분쇄물:
    (1) 최대 입도가 1,500 μm 이하인 특성;
    (2) 평균 입도가 1,000 μm 이하인 특성;
    (3) 인삼 분쇄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최대 고형분 함량이 15중량%이하인 특성;
    (4) 인삼 분쇄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평균 고형분 함량이 8중량% 내지 12중량% 인 특성;
    (5) 생물전환 진세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하는 특성; 및
    (6) 인삼 분쇄물로 발효를 진행하는 경우, 인삼 분쇄 발효물의 생물전환 진세노사이드 전환율이 55% 내지 85%인 특성으로서,
    상기 아글리콘은 PPD 및 PPT 중 하나 이상이고, 생물전환 진세노사이드는 Rh1, F1, Rg3, Rh2, 및 C-K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임.
  18.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분쇄부; 및 분쇄부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용기부를 포함하는 식품의 분쇄 장치로서,
    상기 분쇄부는 식품을 분쇄하는 부분이며, 용기부는 분쇄가 수행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부분인 식품의 분쇄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용기부는 자켓 방식으로 설계된 것인 장치.
KR1020140109940A 2014-08-22 2014-08-22 난류를 이용한 식품, 인삼, 또는 산삼배양근의 분쇄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KR1016750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9940A KR101675000B1 (ko) 2014-08-22 2014-08-22 난류를 이용한 식품, 인삼, 또는 산삼배양근의 분쇄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9940A KR101675000B1 (ko) 2014-08-22 2014-08-22 난류를 이용한 식품, 인삼, 또는 산삼배양근의 분쇄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3475A true KR20160023475A (ko) 2016-03-03
KR101675000B1 KR101675000B1 (ko) 2016-11-10

Family

ID=55535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9940A KR101675000B1 (ko) 2014-08-22 2014-08-22 난류를 이용한 식품, 인삼, 또는 산삼배양근의 분쇄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500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5074A (ko) * 1999-02-03 2000-09-05 최태관 과립 성형용 믹서장치
JP2003144949A (ja) * 2001-11-14 2003-05-20 Kenjiro Makino 超微粉砕された天然物の製法および超微粉砕された天然物を含む組成物
KR20030041923A (ko) 2003-04-30 2003-05-27 김재백 인삼사포닌분해물을 함유하는 발효홍삼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24927A (ko) * 2004-09-15 2006-03-20 씨제이 주식회사 기계적 분쇄법에 의한 미크론 사이즈 인삼 분말의제조방법
KR20080067031A (ko) * 2007-01-15 2008-07-1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초미세 인삼 또는 홍삼분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5074A (ko) * 1999-02-03 2000-09-05 최태관 과립 성형용 믹서장치
JP2003144949A (ja) * 2001-11-14 2003-05-20 Kenjiro Makino 超微粉砕された天然物の製法および超微粉砕された天然物を含む組成物
KR20030041923A (ko) 2003-04-30 2003-05-27 김재백 인삼사포닌분해물을 함유하는 발효홍삼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24927A (ko) * 2004-09-15 2006-03-20 씨제이 주식회사 기계적 분쇄법에 의한 미크론 사이즈 인삼 분말의제조방법
KR20080067031A (ko) * 2007-01-15 2008-07-1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초미세 인삼 또는 홍삼분말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iol. Pharm, Bull., 18, 1197 (1995), J. Korean Med. Sci., 16 (Suppl), (2001)
Hasegawa H. et al. 1996, Wakabayasi S. et al. 1997, Suda K. et al. 200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5000B1 (ko) 2016-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27055B (zh) 发酵红参粉末分散液制备方法及红参纳米粉末制备方法
KR20070091391A (ko) 기능성 발효 버블음료
KR101805737B1 (ko) 인삼발효분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인삼발효분말
KR20210060864A (ko) 인삼 잎 기원의 진세노사이드 함유 발효액 및 그 제조 방법
KR101825064B1 (ko) 물리적 초미세분쇄로 홍삼 전체의 섭취가 가능하며, 유효성분의 소화 흡수 극대화를 위한 통홍삼 분말 및 통홍삼 분말 농축액의 제조 방법
KR101564487B1 (ko) 저분자 진세노사이드의 제조방법
KR20060074970A (ko) 배당체 분해물을 함유하는 발효인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23116B1 (ko) 저온 미분쇄기를 이용한 삼 배양근 초미세 분말의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른 삼 배양근 초미세 분말
KR101675000B1 (ko) 난류를 이용한 식품, 인삼, 또는 산삼배양근의 분쇄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US20210298339A1 (en) Composition comprising ginseng seed oil
KR101825067B1 (ko) 물리적 초미세분쇄로 홍삼 전체의 섭취를 가능하게한 제조장치와 생화학적 발효, 효소분해를 통한 홍삼 유효성분의 소화 흡수 극대화를 위한 통홍삼액 제조 방법
KR102052530B1 (ko) 증숙한 인삼 및 미생물을 이용한 발효홍삼의 제조방법
KR20190135805A (ko) 복합 효소에 의해 Compound-K 및 Rh2의 함량이 증가된 발효 홍삼의 제조방법
WO2022045091A1 (ja) ケンペロールアグリコン含有抽出物
KR102627124B1 (ko) 산양삼을 이용한 젤리스틱의 제조방법
KR20180032493A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SI-6 및 락토바실러스 람너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SI-15 균주, 및 이의 이용
KR20040064545A (ko) 기능성 비료
KR102330701B1 (ko) 비타민 및 홍삼을 포함하는 건강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725445B (zh) 一种从甜茶中制备甜茶素的方法
KR101825059B1 (ko) 생화학적 발효 및 효소 분해로 홍삼 유효성분의 소화 흡수 극대화를 위한 통홍삼액의 제조 방법
KR20040064547A (ko) 기능성 떡볶이
KR20040064539A (ko) 기능성 오뎅
KR20220134270A (ko) 메틸 자스모네이트 처리를 통한 저분자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가된 산삼배양근 추출물의 발효물의 제조방법
KR20040064363A (ko) 기능성 건어물
KR20040064399A (ko) 기능성 소시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