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3428B1 - 홍삼류 또는 인삼류 추출물의 정분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홍삼류 또는 인삼류 추출물의 정분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3428B1
KR101633428B1 KR1020160004499A KR20160004499A KR101633428B1 KR 101633428 B1 KR101633428 B1 KR 101633428B1 KR 1020160004499 A KR1020160004499 A KR 1020160004499A KR 20160004499 A KR20160004499 A KR 20160004499A KR 101633428 B1 KR101633428 B1 KR 1016334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g
red ginseng
drying
extract
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4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산사이언스
영농조합법인 진산에프앤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산사이언스, 영농조합법인 진산에프앤브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산사이언스
Priority to KR1020160004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34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3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34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23L1/3002
    • A23L1/0035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24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50Concentrating, enriching or enhancing in functional factors

Landscapes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홍삼류 또는 인삼류 추출물 정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홍삼류 또는 인삼류 추출물을 농축하여 홍삼류 또는 인삼류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홍삼류 또는 인삼류 농축액을 진공 건조하여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분말을 조분쇄 및 정립 또는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홍삼류 또는 인삼류 추출물 정분의 제조방법은 진공 건조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분말화 공정시 발생하는 변성, 갈변화, 탄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고, 분말화 공정 전후에 있어서 지표성분의 변화 및 손실이 현저하게 감소된 홍삼류 또는 인삼류 추출물 정분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홍삼류 또는 인삼류 추출물의 정분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for Power of Red Ginseng or Ginseng Extract}
본 발명은 홍삼류 또는 인삼류 추출물 정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종래의 분무 건조와 달리 진공 건조를 통해 홍삼류 또는 인삼류 추출물로부터 정분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삼 또는 홍삼 추출물은 일반 인삼 또는 홍삼에 비해 진세노사이드 등의 성분 함량이 더 높아 각종 제품으로 출시되어 판매되고 있다. 이러한 홍삼 추출물은 물에 용해시켜 섭취하거나 바로 섭취할 수 있는데, 이를 정분으로 제조함으로써 더욱 다양한 제품에 응용할 수 있다.
이러한 홍삼 추출물의 정분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405109호, 10-1102013호 등에서 과립으로 가공할 때 원료로 사용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069665호에서는 홍삼 추출물의 정분을 홍삼 정제의 제조시 원료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에서 홍삼 추출물을 정분으로 제조할 때, 홍삼 추출물을 스프레이 드라이어 등을 사용하여 분무건조하는 방식으로 제조하고 있다.
홍삼 추출물의 정분 제조에 관한 이러한 일반적인 제조방법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343819호에서 홍삼 농축액 분말을 제조하기 위하여 노즐분무식 분무건조장치로 분무건조함으로써 제조하는 것으로부터 알 수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5-0113724호에서는 분무건조 방식 외에 탑-스프레이 방식도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이는 분무건조 방식의 일종으로 분무건조의 효율을 좀 더 향상시키는 이상의 공정상 이점은 없다.
홍삼 또는 인삼 추출물이 아닌 홍삼나 인삼을 직접 분말화하는 방법은 분무건조 외에 다양한 방식을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855897호에서는 홍삼류 분말을 초미세 분말로 하기 위하여 제트밀을 사용하여 미분쇄하는 공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홍삼 또는 인삼 추출물에 이러한 제트밀 방식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추출물을 다시 고형화하는 공정이 필요하므로 공정 효율이 떨어진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전통적인 분말화 방식인 분무건조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분무건조는 액체 상태의 물질을 분말화하는 대표적인 건조방법이기는 하나 건조 조건이 고온(180℃ 이상)이어야 하므로 홍삼 또는 인삼 추출물의 경우에 있어서는 건조 과정에서 변성, 갈변화, 탄화, 손실률 증가(수율 저하)의 문제가 있고, 특히 건강기능식품에 적용할 때 지표성분의 변화 및 손실의 우려가 큰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원료인 홍삼 또는 인삼 추출물에 다량의 진세노사이드 성분이 함유되도록 제조한다고 하더라도 분말화 과정에서 제품의 품질 저하를 피할 수 없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40510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10201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06966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343819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5-011372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85589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진공 건조 방식을 통하여 홍삼류 또는 인삼류 추출물을 분말화하여 홍삼류 또는 인삼류 추출물 정분을 제조함으로써, 분말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변성, 갈변화, 탄화, 손실률 증가(수율 저하)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진공 건조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분말화 공정 전후에 있어서 지표성분의 변화 및 손실이 현저하게 감소된 홍삼류 또는 인삼류 추출물 정분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홍삼류 또는 인삼류 추출물의 정분의 제조방법은 홍삼류 또는 인삼류 추출물을 농축하여 홍삼류 또는 인삼류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홍삼류 또는 인삼류 농축액을 진공 건조하여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분말을 조분쇄하는 단계 및 상기 조분쇄된 분말을 정립 또는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홍삼류 또는 인삼류 추출물은 홍삼류 또는 인삼류의 원료를 물, 에탄올 또는 이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하며, 상기 홍삼류 또는 인삼류 농축액은 고형분 함량이 40 중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공 건조는 상기 홍삼류 또는 인삼류 농축액의 수분함량이 10 중량% 이하가 될 때까지 수행하며, 85℃ 이하의 온도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원료 손실률은 3% 이하이며, 상기 홍삼류 또는 인삼류 추출물 정분의 홍삼류 또는 인삼류 추출물에 대한 진세노사이드 함량 손실률은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홍삼류 또는 인삼류 추출물 정분의 제조방법은 진공 건조 방식을 채용하여 홍삼류 또는 인삼류 추출물을 분말화하기 때문에 분말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변성, 갈변화, 탄화, 손실률 증가(수율 저하)를 억제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조된 홍삼류 또는 인삼류 추출물 정분은 분말화 전후에 있어서 지표성분의 변화 및 손실이 현저하게 감소되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스프레이 건조에 의해 제조된 홍삼 정분(a), 진공 건조에 의해 제조된 홍삼 정분의 20 메시 정립(b), 30메시 정립(c), 45메시 정립(d) 후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홍삼류 또는 인삼류 추출물 정분의 제조 공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스프레이 건조에 의해 제조된 홍삼 정분(a), 홍삼 추출물(b), 지표성분 15mg 홍삼 정분(c), 지표성분 25mg 홍삼 정분(d), 지표성분 35mg 홍삼 정분(e)의 고형분 1%(w/w)의 수용액이 함유된 시험관 사진이다.
도 4는 스프레이 건조 홍삼 정분(a) 및 진공 건조 정분(b)의 고형분 1%(w/w)의 수용액의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홍삼류 또는 인삼류 추출물 정분의 제조방법은 홍삼류 또는 인삼류 추출물을 농축하여 홍삼류 또는 인삼류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홍삼류 또는 인삼류 농축액을 진공 건조하여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분말을 조분쇄하는 단계 및 상기 조분쇄된 분말을 정립 또는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인삼류는 인삼(人蔘), 수삼(水蔘), 태극삼(太極蔘), 백삼(白蔘)을 들 수 있으며, 홍삼류로는 홍삼(紅蔘), 흑삼(黑蔘)을 들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인삼류 또는 홍삼류를 원료로 하여 추출물을 얻은 후 이를 정분으로 제조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식품 분야에서 건조공정에 사용되는 방법으로는 채광에 의한 자연 건조, 열풍 건조, 스프레이 건조(Spray drying, S/D), 진공 건조(Vacuum drying, V/D), 동결 건조(Freeze drying, F/D) 등을 들 수 있다.
자연 건조는 외부 환경에 노출된 상태에서 건조 공정을 수행하므로 위생적 측면에서 문제가 있고, 공정 효율도 떨어지므로 대량 생산에는 적합하지 않다.
또한, 열풍 건조는 열에 의한 식품의 맛, 풍미 등의 물리화학적 변화를 유발할 수 있어 모든 식품에는 적용할 수 없다.
스프레이 건조는 가열 조건에서 건조하는 점에서 열풍 건조와 동일하나 스프레이 분무를 통해 건조하므로 건조와 동시에 분말화가 가능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다만, 건조 조건이 180℃ 이상의 고온인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고온에 의한 변성, 갈변화, 탄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열풍 건조와 마찬가지로 식품의 종류에 따라 사용에 제약이 있다.
특히, 인삼류나 홍삼류와 같이 진세노사이드 함량과 분말화 후 색상, 맛 등의 변화가 제품의 품질과 밀접한 연관을 갖는 식품에 있어서는 스프레이 건조를 통한 분말화는 위에서 열거한 고온에 의한 제품 열화뿐만 아니라 원료 물질이 함유하고 있던 필수 영양성분, 특히, 열에 민감한 성분인 진세노사이드의 손실을 가져오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할 때, 진공 건조나 동결 건조를 이용한 건조 및 분말화가 유리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공정에서 스프레이 건조를 이용하는 이유는 공정 최적화가 용이하고 분말화에 유리하기 때문이다. 특히, 진공 건조의 경우 진공 조건, 건조 시간, 배치당 건조량 등의 다양한 공정 변수를 조절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아 스프레이 건조에 비하여 장점이 있을 것으로 생각됨에도 불구하고 실제 현장에서 적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고체 상태인 인삼류나 홍삼류를 건조하는 경우와 달리 액체 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인삼류나 홍삼류 추출물을 진공 건조를 이용하여 건조 및 분말화하는 것은 그 공정 조건을 최적화하기가 결코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종래기술들을 살펴보아도, 인삼류나 홍삼류 그 자체뿐만 아니라, 특히, 인삼류나 홍삼류 추출물의 분말화에는 거의 필수적으로 스프레이 건조 공정이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진공 건조를 통한 인삼류나 홍삼류 추출물의 분말화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를 수행하여, 종래의 스프레이 건조 공정에서 보다 더 뛰어난 제품 특성을 가지는 홍삼류 또는 인삼류 추출물 정분을 얻을 수 있는 공정을 개발하게 되었다.
진공 건조를 통하여 건조 및 분말화 공정을 수행하면 스프레이 건조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온인 85℃ 이하,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0℃의 온도 범위에서 건조 공정을 수행하므로, 원료인 홍삼류 추출물 또는 인삼류 추출물의 지표성분(진세노사이드)의 손실이 대폭적으로 줄어들게 된다. 또한, 제조된 정분의 관능 평가를 통해서도 맛, 색상, 향 등의 변화가 최소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상온 진공 건조 공법이나 저온 진공 건조 공법에 의해 차가버섯 추출분말 등을 제품화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나, 홍삼류 또는 인삼류 추출물의 경우 저온이나 상온에서는 공정 효율이 지나치게 낮고 건조 시간이 너무 길어 배치당 반복재현성, 입도 균일성 등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홍삼류 또는 인삼류 추출물의 탄화나 갈변현상이 일어나지 않는 온도 범위 내에서, 또한, 지나치게 낮은 온도 조건이 아닌 조건에서 건조 공정을 수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스프레이 건조의 경우, 건조 챔버의 내부에 붙어 회수되지 않는 정분으로 인하여 공정 손실률이 이론 수율 대비 약 10% 이상 발생하는데 비하여, 본 발명에서 진공 건조를 통하여 건조 및 분말화 공정을 수행할 경우 공정 손실률이 3% 이하이므로 수율이 매우 높은 장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진공 건조의 경우 건조 챔버 내에 시료를 고르게 도포한 건조용 플레이트를 여러 장 수납하여 건조 및 분말화 공정을 수행하게 되므로, 공정 종료 후, 각 건조용 플레이트를 회수하여 도포된 정분을 긁어내는 것만으로 모두 회수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또한, 스프레이 건조와는 달리 진공 건조 조건에서 추출물 내에 함유된 액체 성분이 증발하면서 공간을 형성하여 자연적으로 입자화(과립화)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도 1을 참고하면, 스프레이 건조로 분말화하는 경우 미세한 분체 형태의 정분이 형성되어 후공정으로 과립화 공정이 필요한 것을 알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홍삼 정분은 정립 후 과립화된 정분을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스프레이 건조로 제조된 정분의 경우 케이킹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제품의 포장에 문제가 있고, 공기 중에 방치하면 수분을 흡수하여 뭉치거나 흐름성이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제품화를 위해서는 과립화 공정을 추가로 수행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건조 공정이 완료된 정분을 회수하여 일반 분쇄기로 조분쇄하고 정립기를 사용하여 정립하거나, 필요에 따라 추가 분쇄하여 분말화하는 것만으로 제품을 완성할 수 있어 사전 건조 공정 및 과립화 공정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스프레이 건조보다 공정 효율이 대폭 증가하며 에너지 소비 면에서도 유리한 장점이 있다.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홍삼류 또는 인삼류 추출물 정분의 제조방법을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홍삼류 또는 인삼류의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홍삼류나 인삼류를 물, 에탄올(또는 주정) 또는 이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다. 추출 용매는 원료의 5배수 이상이 되도록 하며, 70 내지 100℃에서 3 내지 120시간에 걸쳐 추출함으로써 홍삼류 또는 인삼류 추출물을 제조하게 된다.
이러한 홍삼류 또는 인삼류 추출물은 고형분 함량이 40 중량% 이상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추출된 홍삼류 또는 인삼류 추출물을 예비농축 및 농축 공정을 거쳐 고형분 함량을 증가시키게 된다.
고형분 함량이 40 중량% 이상 되어야 하는 이유는 제조된 정분에 함유된 지표물질(진세노사이드)의 함량이 제품으로 출시될 수 있을 정도가 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고형분 함량이 더 낮은 추출물을 건조하여 축적하면 제품으로서 요구되는 충분한 지표물질의 함량을 확보할 수 있으나, 그만큼 건조 공정의 시간이 길어지고 경제성이 떨어지게 된다. 특히, 건조용기에 도포하는 추출물의 점성이 낮아 충분한 양의 추출물을 건조용기에 도포할 수 없게 되므로, 공정 효율 감소 뿐만 아니라 수납된 건조용기의 위치에 따른 건조 정도가 달라져 제품 품질의 균일성이 감소하게 된다.
상기 추출용매로 추출한 홍삼류 또는 인삼류 추출물은 100 내지 200 메시의 여과망으로 1차 여과하고, 10 내지 20㎛ 필터를 사용하여 2차 여과하여 불순물을 제거한다. 상기 불순물을 제거한 홍삼류 또는 인삼류 추출물은 700mbar 이상, 50℃ 이상의 진공 조건에서 고형분 15 내지 30 중량%가 되도록 농축하는 예비농축 공정을 수행한다.
상기 예비농축을 마친 추출액을 초고속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불용성 성분을 제거한다. 불용성 성분은 진공 건조시 건조 효율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므로, 원심분리를 통해 이를 제거해야 건조 및 분말화 공정을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원심분리는 9,000rpm 이상의 조건에서 5 내지 30분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심분리를 통해 불용성 성분을 제거한 추출액은 700mbar 이상, 50℃ 이상의 진공 조건에서 2차 농축하여 고형분 함량이 40 중량% 이상이 되도록 한다.
제조된 홍삼류 또는 인삼류 농축액은 진공 건조기에서 농축, 건조함으로써 분말화하게 된다. 상기 농축액은 건조용 플레이트에 얇고 넓게 도포되는데, 도포 두께는 약 1㎝ 내외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공 건조기에서 800mbar 이상, 50℃ 이상의 진공 조건으로 4 내지 48시간 건조하여 건조 및 분말화 공정을 수행한다. 이러한 진공 건조 조건은 시료의 상태, 처리량, 종류에 따라 탄력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다만, 건조 공정의 지표로서 건조 후 정분의 수분함량을 사용하는데, 분말화 공정을 거친 정분은 최종적으로 수분함량이 10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3 중량% 이하가 되어야 한다.
진공 건조를 거치면서 농축액에 포함된 수분 등 액상 성분이 제거되고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입자의 응집체 형태로 건조되게 된다.
따라서 분말화 공정을 거친 정분은 분쇄기를 사용하여 입도 크기에 상관없이 조분쇄하고, 이를 정립기에 투입하여 입도를 균일하게 하는 것만으로 제품화 가능한 과립 형태의 정분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조분쇄된 분말을 미세분말로 하여 제품화하는 경우 추가적으로 분쇄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미분 형태의 정분을 얻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홍삼류 또는 인삼류 추출물 정분은 추출물과 비교할 때 진세노사이드 함량 손실률이 10% 이하, 바람직하게는 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 이하인 것을 나타났다. 이는 통상적인 스프레이 건조에 따라 제조된 정분의 진세노사이드 함량 손실률이 10 내지 20%인 것과 비교할 때 지표성분의 손실률이 크게 개선된 것임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지표성분이 되는 진세노사이드 함량은 진세노사이드 Rg1, Rb1, 및 Rg3의 전체 합산 함량이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홍삼 추출물의 정분의 분석 결과를 표 1에 기재하였다(표 1에서 지표성분은 진세노사이드 Rg1, Rb1, 및 Rg3의 전체 합산 함량임). 표 1은 물과 주정을 3:7이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용매로 추출한 홍삼 추출물의 정분에 관한 분석결과이다.
추출물의 고형분함량(중량%) 63.00
정분의 고형분함량(중량%) 95.00
이론생산량(kg/100kg) 66.30
실제생산량(kg/100kg) 66.00
생산수율(%) 99.52
지표성분(mg/g) 건조전 31.90
건조후 이론함량 48.11
건조후 실제함량 48.50
지표성분의 수율(%) 100.81
표 2에서는 물과 주정을 8:2이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용매, 표 3에서는 물과 주정을 7:3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용매, 표 4에서는 물과 주정을 5:5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용매로 추출한 각각의 홍삼 추출물의 정분에 관한 분석결과를 기재하였다.
추출물의 고형분함량(중량%) 63.80
정분의 고형분함량(중량%) 93.97
이론생산량(kg/100kg) 87.60
실제생산량(kg/100kg) 87.00
생산수율(%) 99.33
지표성분(mg/g) 건조전 11.10
건조후 이론함량 16.35
건조후 실제함량 16.20
지표성분의 수율(%) 99.09
추출물의 고형분함량(중량%) 47.84
정분의 고형분함량(중량%) 94.50
이론생산량(kg/100kg) 55.6
실제생산량(kg/100kg) 55.1
생산수율(%) 99.04
지표성분(mg/g) 건조전 13.29
건조후 이론함량 26.25
건조후 실제함량 26.40
지표성분의 수율(%) 100.56
추출물의 고형분함량(중량%) 48.33
정분의 고형분함량(중량%) 95.06
이론생산량(kg/100kg) 57.50
실제생산량(kg/100kg) 57.00
생산수율(%) 99.22
지표성분(mg/g) 건조전 18.26
건조후 이론함량 35.92
건조후 실제함량 35.60
지표성분의 수율(%) 99.12
표 1 내지 4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양한 비율의 혼합용매를 통해 추출된 홍삼 추출물에 대하여 99% 이상의 생산 수율과 약 100%의 지표성분 수율을 나타내어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홍삼 추출물의 정분이 매우 높은 수율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일례로 표 1의 결과를 살펴보면, 홍삼 추출물의 농축 공정을 거친 고형분 함량이 63.3 중량%인 것에 대하여, 홍삼 정분은 95 중량%로 고형분의 함량이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100kg 당 이론 생산량이 66.3kg으로 계산되었는데, 실제 생산량이 66.0kg으로 이론 생산량과 거의 같은 정도의 양이 생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동일한 제품을 스프레이 건조로 제조했을 때 실제 생산량이 60kg 이하인 것에 비하여 생산 효율이 크게 증가한 결과이다.
특히, 지표성분인 진세노사이드 Rg1, Rb1, 및 Rg3의 전체 함량에 대하여 살펴보면, 31.9mg/g의 진세노사이드를 포함하는 농축액의 건조후 이론적으로 계산된 함량과 실제 생산된 홍삼 정분의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동등한 정도인 것으로 파악되어 진공 건조 공정에 있어서 지표성분이 손실률이 0%이며, 수율은 100%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출 용매의 혼합비율을 달리했을 때 다소 차이를 나타내나 지표성분의 수율이 99% 이상인 점에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이 분말화 공정에 있어서 지표성분의 수율을 유지하는데 매우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동일 제품을 스프레이 건조했을 때, 진세노사이드 손실이 10 내지 20%인 것에 대비하면 그 효과가 매우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는 결과이다.
다양한 제조조건에 대하여 동일한 생산 수율과 지표성분 수율을 나타내는 점으로부터 본 발명의 제조방법의 공정 효율이 종래의 스프레이 건조에 비하여 대단히 높은 점을 알 수 있다.
또한, 스프레이 건조를 통해 제조한 홍삼 정분은 입도가 약 200 메시로 비교적 낮아 케이킹 현상 및 낮은 흐름성으로 인해 파우치나 용기에 충전하여 포장할 때 충전 효율이 낮다.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과립화 등의 추가 공정이 필요하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의 진공 건조를 통해 제조한 홍삼 정분은 20 내지 50 메시의 입도로 정립이 가능하며, 진공 공정 중 분말의 표면적이 넓어지는 과립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우수한 흐름성 및 용해도를 나타내어 별도의 과립화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홍삼류 또는 인삼류 추출물의 정분은 냉수나 온수에 혼합하면 쉽게 용해되어 차로 음용할 수 있으며, 그대로 섭취하더라도 사용자가 불편함 없이 섭취 가능한 제품으로 생산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홍삼 정분과 홍삼 추출물의 색상 변화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각각을 1%(w/w)의 수용액이 되도록 시험관에 제조한 사진을 기재하였다. 도 3를 통해 살펴보면, 홍삼 추출물의 수용액(도 3(b))과 비교하여 스프레이 건조로 제조된 홍삼 정분(도 3(a))은 갈색을 띠는 것으로 나타나 갈변 현상이나 탄화가 진행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와는 달리 본 발명의 홍삼 정분은 농도와 관계없이 모두 원료인 홍삼 추출물과 색 차이가 거의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3(c)~(e)).
제조된 정분을 동일한 양으로 물에 녹여 홍삼차로 제조한 후 이를 20명의 시음자를 대상으로 시음하도록 한 결과, 시음자 전원에 대하여 스프레이 건조로 제조된 홍삼 정분으로 제조된 홍삼차에서는 쓴 맛이 강하게 나나 본 발명의 홍삼 정분으로 제조된 홍삼차는 농도와 상관없이 쓴 맛이 없고 홍삼 특유의 향미가 유지된다는 평가를 받았다.
특히, 스프레이 건조에 의해 제조된 홍삼 추출물 정분(도 4a)과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홍삼 추출물 정분(도 4b)을 1%(w/w)의 수용액이 되도록 플라스크에서 제조하여 이를 비교해 보면, 스프레이 건조에 의해 제조된 홍삼 추출물 정분이 검은색을 띠는 것으로 나타나 고온 건조 과정에서 제품의 갈변화나 탄화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홍삼류 정분은 고온 처리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점이 해소되어 제품의 품질이 크게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하다. 그러한 변형예 및 변경예는 본 발명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Claims (7)

  1. 홍삼류 또는 인삼류 추출물을 농축하여 홍삼류 또는 인삼류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홍삼류 또는 인삼류 농축액을 진공 건조하여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분말을 조분쇄하는 단계;
    상기 조분쇄된 분말을 정립 또는 분쇄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홍삼류는 홍삼(紅蔘) 또는 흑삼(黑蔘)이며,
    상기 인삼류는 인삼(人蔘), 수삼(水蔘), 태극삼(太極蔘), 또는 백삼(白蔘)이며,
    상기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홍삼류 또는 인삼류 농축액을 건조용 플레이트에 도포하여 800mbar 이상, 50℃ 이상의 진공 조건에서 4 내지 48시간 동안 진공 건조를 수행하되,
    상기 진공 건조는 상기 홍삼류 또는 인삼류 농축액의 수분함량이 10 중량% 이하가 될 때까지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류 또는 인삼류 추출물의 정분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홍삼류 또는 인삼류 추출물은 홍삼류 또는 인삼류의 원료를 물, 에탄올 또는 이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류 또는 인삼류 추출물의 정분의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홍삼류 또는 인삼류 농축액은 고형분 함량이 40 중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류 또는 인삼류 추출물의 정분의 제조방법.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공 건조는 85℃ 이하의 온도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류 또는 인삼류 추출물의 정분의 제조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원료 손실률은 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류 또는 인삼류 추출물의 정분의 제조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홍삼류 또는 인삼류 추출물 정분의 홍삼류 또는 인삼류 추출물에 대한 진세노사이드 함량 손실률은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류 또는 인삼류 추출물의 정분의 제조방법.
KR1020160004499A 2016-01-14 2016-01-14 홍삼류 또는 인삼류 추출물의 정분의 제조방법. KR1016334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4499A KR101633428B1 (ko) 2016-01-14 2016-01-14 홍삼류 또는 인삼류 추출물의 정분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4499A KR101633428B1 (ko) 2016-01-14 2016-01-14 홍삼류 또는 인삼류 추출물의 정분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3428B1 true KR101633428B1 (ko) 2016-06-27

Family

ID=56344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4499A KR101633428B1 (ko) 2016-01-14 2016-01-14 홍삼류 또는 인삼류 추출물의 정분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34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2103A (ko) * 2016-09-21 2018-03-29 엄재성 인삼 호두과자의 제조방법
KR20180052395A (ko) * 2016-11-10 2018-05-18 이낙근 옥수수 빵의 제조방법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3269A (ja) * 1995-06-09 1996-12-17 Toshin Kogyo Kk 生薬等の打錠製品製造方法
KR100855897B1 (ko) 2007-01-15 2008-09-03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초미세 인삼 또는 홍삼분말
KR20110104621A (ko) * 2010-03-17 2011-09-23 정종배 진세노사이드 증대를 위한 인삼발효 방법
KR101069665B1 (ko) 2009-02-05 2011-10-04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홍삼 추출액 건조분말을 고함량 포함하는 정제
KR101102013B1 (ko) 2008-11-17 2012-01-04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용해성이 우수한 인삼 또는 홍삼 농축액 분말 과립의 제조방법
JP2012527233A (ja) * 2009-05-19 2012-11-08 イル・ファ・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発酵高麗人参濃縮液または粉末の製造方法
KR101343819B1 (ko) 2013-04-05 2013-12-20 대동고려삼 주식회사 11종의 진세노사이드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홍삼농축액 분말, 비타민 및 미네랄로 조성된 항스트레스, 항고지혈증 및 항비만용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KR20140069974A (ko) * 2012-11-30 2014-06-10 백명현 과실 발효 농축액의 분말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한 분말 제재
KR101405109B1 (ko) 2013-10-07 2014-06-13 충북인삼협동조합 저온 용매에서 용해도가 증진된 홍삼 과립 분말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홍삼 과립 분말
KR20150113724A (ko) 2014-03-31 2015-10-08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물성 및 경제성이 뛰어난 홍삼 추출물 분말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3269A (ja) * 1995-06-09 1996-12-17 Toshin Kogyo Kk 生薬等の打錠製品製造方法
KR100855897B1 (ko) 2007-01-15 2008-09-03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초미세 인삼 또는 홍삼분말
KR101102013B1 (ko) 2008-11-17 2012-01-04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용해성이 우수한 인삼 또는 홍삼 농축액 분말 과립의 제조방법
KR101069665B1 (ko) 2009-02-05 2011-10-04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홍삼 추출액 건조분말을 고함량 포함하는 정제
JP2012527233A (ja) * 2009-05-19 2012-11-08 イル・ファ・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発酵高麗人参濃縮液または粉末の製造方法
KR20110104621A (ko) * 2010-03-17 2011-09-23 정종배 진세노사이드 증대를 위한 인삼발효 방법
KR20140069974A (ko) * 2012-11-30 2014-06-10 백명현 과실 발효 농축액의 분말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한 분말 제재
KR101343819B1 (ko) 2013-04-05 2013-12-20 대동고려삼 주식회사 11종의 진세노사이드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홍삼농축액 분말, 비타민 및 미네랄로 조성된 항스트레스, 항고지혈증 및 항비만용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KR101405109B1 (ko) 2013-10-07 2014-06-13 충북인삼협동조합 저온 용매에서 용해도가 증진된 홍삼 과립 분말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홍삼 과립 분말
KR20150113724A (ko) 2014-03-31 2015-10-08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물성 및 경제성이 뛰어난 홍삼 추출물 분말의 제조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2103A (ko) * 2016-09-21 2018-03-29 엄재성 인삼 호두과자의 제조방법
KR102013985B1 (ko) * 2016-09-21 2019-08-23 엄재성 인삼 호두과자의 제조방법
KR20180052395A (ko) * 2016-11-10 2018-05-18 이낙근 옥수수 빵의 제조방법
KR101969202B1 (ko) * 2016-11-10 2019-04-15 이낙근 옥수수 빵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366169C (zh) 普洱茶精的加工方法
KR101523490B1 (ko) 특정 진세노사이드(Rg5, Rk1) 함량이 증가된 홍삼 초미세 분말의 제조방법
CN107019761A (zh) 一种速溶石斛细颗粒及其制备方法
KR100290526B1 (ko) 즉석 용해성 분말의 제조방법
JPH0551274B2 (ko)
CN101999626A (zh) 一种复合糖颗粒的制备方法
CN111096383A (zh) 一种速溶咖啡粉的制备方法
CN105595244A (zh) 一种高纯度速溶果粉的制备方法
KR101633428B1 (ko) 홍삼류 또는 인삼류 추출물의 정분의 제조방법.
US4100305A (en) Method of making an improved coffee volatiles concentrate
CN106721849A (zh) 一种黑果枸杞花青素冲饮颗粒剂的制备方法
KR20130049651A (ko) 고진공 공법을 이용한 홍삼침출차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홍삼침출차
KR101668319B1 (ko) 홍삼류 또는 인삼류를 포함하는 혼합 정분의 제조방법
CN103356815B (zh) 无糖型顺气化痰颗粒成型方法
CN103431116A (zh) 一种桑叶颗粒绿茶加工方法
JP4306987B2 (ja) 表面硬質の固形物からの有効成分の抽出法および該有効成分を含有する食用組成物
US11849744B2 (en) Manufacturing method for powdered fermented paste
EP2503902A1 (en) Sweetener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KR101600836B1 (ko) 농축액으로 코팅한 코팅 분말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코팅분말
CN108041392A (zh) 杜仲葛根固体饮料的制备方法
KR102067548B1 (ko) 과립화된 인스턴트 커피 및 그 제조 방법
CN110870897B (zh) 地骨皮配方颗粒的制备方法
CN114667065A (zh) 颗粒组合物
JP2010246470A (ja) 高麗人参からなる健康食品の製造方法及び高麗人参からなる健康食品
CN103960676A (zh) 一种杜仲颗粒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