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6594A - 자동차 피봇 도어의 전동 액츄에이터 - Google Patents

자동차 피봇 도어의 전동 액츄에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6594A
KR20080066594A KR1020080003239A KR20080003239A KR20080066594A KR 20080066594 A KR20080066594 A KR 20080066594A KR 1020080003239 A KR1020080003239 A KR 1020080003239A KR 20080003239 A KR20080003239 A KR 20080003239A KR 20080066594 A KR20080066594 A KR 200800665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connecting rod
gear
output
electric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3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1496B1 (ko
Inventor
히로후미 와따나베
다꾸야 가꾸마에
Original Assignee
미쓰이 긴조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이 긴조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이 긴조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66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65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1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1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05F15/6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swinging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4Disengaging means
    • E05Y2201/216Clu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3Actuation thereof
    • E05Y2201/246Actuation thereof by auxiliary motors, magnets, springs or we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6Magnets
    • E05Y2201/462Electromag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6Tailboards, tailgates or sideboards opening upw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8Trunk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케이스는 모터 차량 및 피봇 도어 중 하나에 장착되고 그 안에 기어 수용 공간을 가진다. 전기 모터는 케이스에 장착된다. 감속 기구는 케이스의 기어 수용 공간 내에 설치되고 전기 모터에 의해 구동된다. 출력 기어는 케이스의 기어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되고 감속 기구에 의해 구동된다. 출력 아암은 케이스 위에 위치되고 케이스의 상부 벽부를 통과하는 출력 샤프트를 통해 출력 기어에 연결된다. 커넥팅 로드는 출력 아암에 피봇식으로 연결되는 일단부와 피봇 도어 및 모터 차량 중 다른 하나에 피봇식으로 연결되는 타단부를 가진다. 커넥팅 로드는 커넥팅 로드가 출력 아암에 의해 이동되는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 케이스와 중첩을 피하는 방식으로 케이스의 옆으로 배열된다.
케이스, 출력 아암, 피봇 도어, 커넥팅 로드, 전기 모터

Description

자동차 피봇 도어의 전동 액츄에이터 {ELECTRIC ACTUATOR OF AUTOMOTIVE PIVOTAL DOOR}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자동차 도어를 개방/폐쇄하기 위한 전동 액츄에이터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는 전기 모터의 동력에 힘입어 차체의 개방 후방 단부에 피봇식으로 연결되는 백도어를 개방 및 폐쇄하는 형태의 전동 액츄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전술된 형태의 전동 액츄에이터의 일예가 일본 공개 특허 출원(특개) 제2003-106044호에 개시된다. 이 공개 문헌에서의 전동 액츄에이터는 차체의 루프 구조물에 장착되고 대략 전기 모터 및 전기 모터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운동하도록 작동되는 커넥팅 로드를 포함한다. 커넥팅 로드의 후방 단부는 피봇식 백도어에 피봇식으로 연결되어서 전기 모터에 의해 발생되는 커넥팅 로드의 전후 운동은 백도어의 폐쇄 및 개방 피봇 운동을 야기한다.
그러나, 그 근본 구성에 기인하여, 전술된 전동 액츄에이터는 충분할 정도로 소형인 치수를 가지기가 어렵다. 즉, 공개 문헌의 전동 액츄에이터에 있어서, 커넥팅 로드는 전동 액츄에이터의 기부 구조 밑 또는 아래에서 운동하도록 배열되고, 이에 의해 전동 액츄에이터는 전체적으로 두꺼운 구성을 가지게 된다. 공지된 바와 같이, 이러한 두꺼운 구성은 루프 구조물 내에서의 전동 액츄에이터의 설치를 보다 더 어렵게 만들고 승객실 내부에 눈에 거슬리는 천정(또는 루프 구조물의 하부 벽)의 돌출부를 야기하기 쉽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된 문제점이 없는 자동차 피봇 도어의 전동 액츄에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치수가 소형이고, 특히 그 구성에 있어서 얇은 자동차 피봇 도어의 전동 엑츄에이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따르면, 그 안에 기어 수용 공간을 가지고, 모터 차량 및 피봇 도어 중 하나에 장착되는 케이스, 케이스에 장착되는 전기 모터, 전기 모터에 의해 구동되고 케이스의 기어 수용 공간 내에 설치되는 감속 기구, 감속 기구에 의해 구동되고 케이스의 기어 수용 공간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출력 기어, 케이스의 상부 벽부를 통과하는 출력 샤프트를 통해 출력 기어에 연결되고 케이스 위에 위치되는 출력 아암 및 출력 아암에 피봇식으로 연결되는 일단부와 모터 차량과 피봇 도어 중 다른 하나에 피봇식으로 연결되는 타단부를 가지는 커넥팅 로드를 포함하고, 커넥팅 로드는 커넥팅 로드가 출력 아암에 의해 이동되는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 케이스와의 중첩을 피하는 방식으로 케이스 옆으로 배열되는 모터 차량의 피봇 도어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동 액츄에이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에 따르면, 기어 하우징 구조물을 형성하도록 결합되는 상부 및 하부 벽부를 포함하는 케이스, 케이스에 장착되는 전기 모터, 전기 모터에 의해 구동되고 케이스의 기어 하우징 구조물 내에 설치되는 감속 기구, 감속 기구 에 의해 구동되고 기어 하우징 구조물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출력 기어, 상부 벽부를 통과하는 샤프트를 통해 출력 기어에 연결되고 케이스 위에 위치되는 출력 아암 및 출력 아암에 피봇식으로 연결되는 일단부와 피구동 부재에 피봇식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타단부를 가지는 커넥팅 로드를 포함하고, 커넥팅 로드는 커넥팅 로드가 출력 아암에 의해 이동되는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 케이스와의 중첩을 피하는 방식으로 케이스 옆으로 배열되는 전력으로 피구동 부재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동 액츄에이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치수가 소형이고, 특히 그 구성에 있어서 얇은 자동차 피봇 도어의 전동 엑츄에이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이 첨부 도면과 연계된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이후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이해를 돕기 위해, 전후좌우 등과 같은 다양한 방향에 대한 용어가 다음의 설명에서 사용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용어는 단지 대응하는 구성 요소 또는 부품이 도시된 도면 혹은 도면들에 대해서만 적용되어야 한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동 액츄에이터(4)가 그 상단부에서 차체의 후방 개방 단부의 상부에 피봇식으로 연결된 피봇식 백도어(1)를 작동 또는 개방/폐쇄시키기 위해 실제로 적용된 모터 차량의 후방부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백도어(1)의 차체로의 피봇식 연결을 위해, 백도어(1)의 상부 측면부는 차체의 루프 구조물(2)의 측면부에 고정되는 개별의 힌지 샤프트(3)에 의해 피봇식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백도어(1)는 차체의 후방 개구를 폐쇄하기 위한 실선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은 완전 폐쇄 위치와 차체의 후방 개구를 완전히 개방하기 위한 이점 쇄선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은 완전 개방 위치 사이에서 힌지 샤프트(3)의 공통 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완전 개방 위치를 설정하기 위해, 백도어(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위로 피봇되어 수평 자세로 유지된다.
이후 상세히 설명될 바와 같이, 전동 액츄에이터(4)는 전기 모터(5)에 의해 발생되는 동력에 힘입어 피복식 백도어(1)를 완전 폐쇄 위치와 완전 개방 위치 사이에서 운동시키는 기능을 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 구조물(2) 내부에는 전동 액츄에이터(4)가 설치된다. 도면에서는 잘 도시되지 않았지만, 전동 액츄에이터(4)는 차체 후방부 뒤쪽 위치로부터 보았을 때 루프 구조물(2)의 후방 좌측에 위치된다. 즉, 전동 액츄에이터(4)는 피봇식 백도어(1)의 좌측만을 밀고 당기도록 배열된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동 액츄에이터(4)가 상세하게 도시된다.
전동 액츄에이터(4)의 구성 및 배열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3의 도면은 도2의 선 III-III을 따라 취한 단면도를 거꾸로 한 도면이다.
도2 및 도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동 액츄에이터(4)는 이후 설명 될 다양한 구성 요소를 거기에 또는 그 안에 장착하기 위해 루프 구조물(2, 도1 참조)의 바닥 벽에 고정되는 금속 케이스(11)를 포함한다.
즉, 전기 모터(5)는 케이스(11)에 장착되어 전력이 공급될 때 동력을 생성한다. 감속 기구(6)는 케이스(11) 내에 장착되고 전기 모터(5)의 출력 부재에 작동식으로 연결된다. 전자기 클러치(7)는 케이스(11)에 장착되어 감속 기구(6)에 의해 형성되는 동력 전달 경로를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쇄한다.
출력 섹터 기어(8)는 케이스(1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감속 기구(6)의 출력 부재에 작동식으로 연결된다. 출력 아암(9)은 그 내부 단부에서 출력 샤프트(19)를 통해 출력 섹터 기어(8)의 중심부에 연결되어서 출력 아암(9) 및 출력 섹터 기어(8)는 단일 유닛처럼 함께 회전한다.
커넥팅 로드(10)는 그 좌측 일단부에서 출력 아암(9)의 외부 단부에 피봇식으로 연결되고 피봇식 백도어(1, 도1 참조)를 향해 연장한다.
도2 및 도3, 특히 도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케이스(11)는 기어 하우징 구조물(12, 13)을 구성하도록 결합되는 상부 벽부(12) 및 하부 벽부(13)를 포함한다.
케이스(11)는 상부 벽부(12)의 상부면에 고정되어 그 안에 전자기 클러치(7) 및 감속 기구(6)의 부품을 수용하는 클러치 하우징 구조물(14)을 더 포함한다.
도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부 및 하부 벽부(12, 13)는 수직 방향으로 서로 중첩되도록 놓여 진다.
도면들, 특히 도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부 및 하부 벽부(12, 13) 의 상호 정합된 주연부에는 개별의 볼트(도시 생략)를 통해 루프 구조물(2)의 바닥 벽(도1 참조)에 고정되는 4 개의 브래킷(15a, 15b, 15c, 15d)이 제공된다.
도2 및 도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감속 기구(6)는 클러치 하우징 구조물(14) 내에서 수직으로 연장하는 입력 샤프트(16), 입력 샤프트(16)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고 전기 모터(5)의 출력 샤프트(51)에 고정되는 웜(52)과 정합하는 웜 휠(61), 기어 하우징 구조물(12, 13)의 기어 수용 공간(17) 내에 수용되고 기어 수용 공간(17) 내부로 돌출하는 입력 샤프트(16)의 하단부(도3 참조)에 연결되는 피니온(62), 기어 수용 공간(17) 내에 수용되는 수직 연장 중간 샤프트(18) 및 중간 샤프트(18)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고 피니온(62)과 정합되는 중간 기어(63)를 포함한다. 이후 상세히 설명될 바와 같이, 중간 기어는 출력 섹터 기어(8)와 정합되는 소직경의 기어(63a)를 가진다.
도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자기 클러치(7)는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샤프트(16)를 둘러싸는 방식으로 클러치 하우징 구조물(14) 내에 설치되고 상부 벽부(12)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환형 전자석(71), 입력 샤프트(16) 상에 긴밀하게 배치되고 상향으로 대면하는 원형 플랜지부(도면 부호 생략)를 가지는 자기 재료로 이루어진 로터(72) 및 웜 휠(61)과 함께 회전하고 로터(72)의 원형 플랜지부의 상부 편평부과 대면하면서 입력 샤프트(16)에 의해 회전 가능하고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유지되는 자기 재료로 이루어진 전기자(73)를 포함한다.
즉, 전자석(71)에 전력이 공급되는 경우, 전기자(73)는 아래로 이송되어 로터(72)에 고정된다. 이로 인해, 감속 기구(6)의 동력 전달 경로[즉, 웜 휠(61)로 부터 피니온(62)까지의 동력 전달 경로]가 달성된다. 반면에, 전자석(71)에 전력이 끊어지는 경우, 전기자(73)는 로터(72)로부터 해제되고, 따라서 동력 전달 경로는 차단된다.
출력 섹터 기어(8)는 기어 하우징 구조물(12, 13)의 기어 수용 공간(17) 내에서 도3에서의 수직 방향으로 연장하는 출력 샤프트(19)에 연결된다. 출력 섹터 기어(8)는 전술된 중간 기어(63)의 소직경의 기어(63a)와 정합된다.
도2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중간 기어(63)의 회전에 기인하여, 출력 섹터 기어(8)는 실선에 의해 도시된 완전 폐쇄 위치 "C"와 이점 쇄선에 의해 도시된 완전 개방 위치 "O" 사이에서 회전된다. 이들 두 지점들 "C" 및 "O"는 회전 각도에 있어서 90도 정도의 차이를 가진다.
도3으로부터 가장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출력 샤프트(19)의 상부는 상부 벽부(12)로부터 상향으로 돌출하고, 출력 아암(9)은 그 내부 단부에서 원통형 금속 스페이서(20)를 통해 출력 샤프트(19)의 돌출된 상부에 고정된다.
따라서, 도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출력 섹터 기어(8)와 함께, 출력 아암(9)은 실선에 의해 도시된 완전 폐쇄 위치 "c"와 이점 쇄선에 의해 도시된 완전 개방 위치 "o" 사이에서 회전된다.
앞선 설명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출력 아암(9)은 기어 하우징 구조물(12, 13)의 상부 벽부(12) 위에 위치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도3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출력 아암(9)은 클러치 하우징 구조물(14)과 동일한 케이스(11) 측면에 위치된다.
도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출력 아암(9)의 외부 단부의 하부면에는 구형 핀(91)이 존재한다. 구형 핀(91)은 커넥팅 로드(10)의 일단부 또는 좌측 단부 상에 제공되는 구형 그립부(101)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된다. 이렇게 하여 핀(91) 및 그립부(101)는 소위 유니버셜 조인트를 구성한다. 유니버셜 조인트의 두께는 케이스(11)의 두께보다 작다.
도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출력 아암(9)이 완전 폐쇄 위치 "c"와 완전 개방 위치 "o" 사이를 회전하는 경우, 그립부(101) 및 커넥팅 로드(10)를 포함하는 유닛은 케이스(11) 옆에서 이동한다. 즉, 유닛이 케이스(11)를 넘어서 또는 그 위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도3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커넥팅 로드(10)는 백도어(1)의 힌지식 상부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에서 피봇식 백도어(1)에 피복식으로 연결되는 선(우측) 단부를 가진다.
도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커넥팅 로드(10)는 케이스(11)로부터 상향 및 하향으로 돌출하지 않고 케이스(11) 옆으로 이동하도록 배열된다.
전동 액츄에이터(4)의 작동하에서, 커넥팅 로드(10)는 전후 방향으로 직선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 커넥팅 로드(10)의 이러한 운동은 기어 하우징 구조물(12, 13)의 상부 및 하부 벽부(12, 13)의 각각의 가상 평면을 넘어서 돌출하지 않는 소정의 이동 경로를 따라 케이스(11) 옆에서 이루어진다. 양호하게는, 소정의 이동 경로는 기어 하우징 구조물(12, 13)보다 작은 두께를 가진다.
도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피니온(62)[그리고, 그에 따른 웜 휠(61)], 중간 기어(63) 및 출력 섹터 기어(8)는 커넥팅 로드(10)의 소정의 이동 경로에 대략 평행한 가상의 직선 "A"에 대해 세로로 나란하게 배열된다. 물론, 가상의 직선 "A"은 입력 샤프트(16), 중간 샤프트(18) 및 출력 샤프트(19)의 각각의 중심을 통해 통과하는 직선이다.
도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기 모터(5)는 가상의 직선 "A"에 대해 기울어져 있다. 즉, 전기 모터(5)는 가상의 직선 "A"에 대해 기울어진 출력 샤프트(51)의 축 "B"을 가지는 가상의 직선 "A"의 연장된 부분 "A1" 상에 배열된다. 이러한 배열에 의해, 전기 모터(5)는 케이스(11)에 조밀하게 장착될 수 있다.
전술된 배열에 대해서, 전동 액츄에이터(4)의 전체 구성은 감소된 두께 및 감소된 폭을 가지고, 따라서 전동 액츄에이터(4)는 루프 구조물(2)의 제한된 공간 내에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다.
양호하게는, 가상의 직선 "A"에 대한 전기 모터(5)의 경사는 출력 아암(9)이 완전 폐쇄 위치 "c"에 있는 경우, 출력 샤프트(20) 및 구형 핀(91)의 개별 중심을 통해 통과하는 가상의 직선 "D" 및 출력 샤프트(51)의 축 "B"가 가상의 평면 상에서 교차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전동 액츄에이터(4)의 작동이 도면, 특히 도2를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이해를 돕기 위해, 백도어(1)가 차체의 개방 후방 단부를 완전하게 폐쇄시킨 피봇식 백도어(1)의 완전 폐쇄 조건에 대한 설명이 시작될 것이다.
이러한 조건 하에서, 전자기 클러치(7) 및 전기 모터(5)는 오프로 유지되고, 출력 아암(9, 도2 참조)은 커넥팅 로드(10)가 도2에 있어서 최 좌측 위치를 취하게 하는 완전 폐쇄 위치 "c"로 간주 된다.
이어서 차량의 승객실 내에 장착되는 제어 스위치(도시 생략) 또는 원격 제어 스위치(도시 생략)가 도어 개방 위치로 전환되는 경우, 전자기 클러치(7)에 전력이 공급되어 감속 기구(6)의 동력 전달 경로를 달성하고, 이어서 전기 모터(5)에 전력이 공급되어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시점에서, 전기 모터(5)의 동력이 감속 기구(6) 및 출력 섹터 기어(8)를 통해 출력 아암(9)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출력 아암(9)은 커넥팅 로드(10)를 우측으로 밀면서 완전 폐쇄 위치 "c"로부터 완전 개방 위치 "o"로 도2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커넥팅 로드(10)의 우측으로의 운동에 의해, 백도어(1)가 점진적으로 개방되고, 전기 모터(5)의 연속된 동력 공급에 기인하여 출력 아암(9)이 완전 개방 위치 "o"에 이르게 되면, 피복식 백도어(1)는 도1에 있어서 이점 쇄선에 의해 도시된 것처럼 완전하게 개방된다.
백도어(1)가 완전 개방 위치까지 상승되는 경우, 도어 위치 감지 수단(도시 생략)은 전자기 클러치(7) 및 전기 모터(5)의 동력 공급을 정지시키는 정지 신호를 내게 된다. 감속 기구(6)에 의해 가지게 되는 성질 때문에, 백도어(1)의 중량은 백도어의 하향 운동을 야기하지 않는다. 따라서, 백도어(1)는 전기 모터(5) 및 전자기 클러치(7)에 전력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에도 완전 개방 위치로 유지된다.
이어서 제어 스위치 또는 원격 제어 스위치가 도어 폐쇄 위치로 전환되는 경 우, 전자기 클러치(7)에 전력이 공급되어 감속 기구(6)의 동력 전달 경로를 달성하고, 이어서 전기 모터(5)에 전력이 공급되어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시점에서, 역방향 회전에 의한 전기 모터(5)의 동력이 감속 기구(6) 및 출력 섹터 기어(8)를 통해 출력 아암(9)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출력 아암(9)은 커넥팅 로드(10)를 좌측으로 밀면서 완전 개방 위치 "o"로부터 완전 폐쇄 위치 "c"로 도2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커넥팅 로드(10)의 좌측으로의 운동에 의해, 백도어(1)가 점진적으로 하강되고, 전기 모터(5)의 연속된 동력 공급에 기인하여 출력 아암(9)이 완전 폐쇄 위치 "c"에 다시 이르게 되면, 백도어(1)는 도1에 있어서 실선에 의해 도시된 것처럼 완전하게 폐쇄된다.
앞선 설명에 있어서, 전동 액츄에이터(4)는 백도어를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해 모터 차량의 피봇식 백도어(1)에 적용된다. 물론, 전동 액츄에이터(4)는 모터 차량의 측면 도어 및 트렁크 뚜껑과 같은 다른 도어에도 적용 가능하다.
앞선 설명에 있어서, 전동 액츄에이터(4)는 차체[더 구체적으로는 루프 구조물(2)] 상에 장착된다. 그러나, 원하는 경우, 전동 액츄에이터(4)는 피봇식 백도어(1) 상에 장착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변형에 있어서, 커넥팅 로드(10)의 선단부는 차체에 피봇식으로 연결된다.
앞선 설명에 있어서, 전동 액츄에이터(4)는 입력 샤프트(16), 중간 샤프트(18) 및 출력 샤프트(19)가 수직으로 연장하도록 배열된다. 그러나, 원하는 경우, 전동 액츄에이터(4)는 이러한 샤프트(16, 18, 19)들이 수평으로 연장하도록 배열될 수도 있다.
앞선 설명에 있어서, 단지 하나의 전동 액츄에이터(4)가 피봇식 백도어(1)를 작동시키기 위해 채용된다. 그러나, 원하는 경우, 추가의 전동 액츄에이터가 백도어(1)의 개방 및 폐쇄 운동을 보장하기 위해 추가로 채용될 수도 있다.
2007년 1월 12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7-004118호의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서 참조된다.
본 발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전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실시예의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전술된 설명에 비추어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1은 차량의 피복식 백도어를 개방 및 폐쇄시키기 위해 본 발명의 전동 액츄에이터가 실제 적용되는 모터 차량의 후방부의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의 전동 액츄에이터의 부분 절단면도.
도3은 도2의 선 III-III을 따라 취한 단면도를 거꾸로 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백도어
2 : 루프 구조물
3 : 힌지 샤프트
4 : 전동 액츄에이터
5 : 전기 모터
7 : 전자기 클러치
8 : 출력 섹터 기어
9 : 출력 아암
10 : 커넥팅 로드
11 : 케이스

Claims (12)

  1. 모터 차량의 피봇 도어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동 액츄에이터이며,
    기어 수용 공간을 가지고, 모터 차량 및 피봇 도어 중 하나에 장착되는 케이스와,
    케이스에 장착되는 전기 모터와,
    전기 모터에 의해 구동되고 케이스의 기어 수용 공간 내에 설치되는 감속 기구와,
    감속 기구에 의해 구동되고 케이스의 기어 수용 공간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출력 기어와,
    케이스의 상부 벽부를 통과하는 출력 샤프트를 통해 출력 기어에 연결되고 케이스 위에 위치되는 출력 아암과,
    출력 아암에 피봇식으로 연결되는 일단부 및 모터 차량과 피봇 도어 중 다른 하나에 피봇식으로 연결되는 타단부를 가지는 커넥팅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팅 로드는 커넥팅 로드가 출력 아암에 의해 이동되는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 케이스와의 중첩을 피하는 방식으로 케이스 옆으로 배열되는 전동 액츄에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 기구는
    전기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피니온과,
    피니온과 정합되는 큰 직경의 기어부 및 출력 기어와 정합되는 작은 직경의 기어부를 가지는 중간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피니온, 중간 기어 및 출력 기어는 커넥팅 로드가 출력 아암에 의해 이동되는 방향과 전체적으로 평행한 가상의 직선 상에서 세로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전동 액츄에이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샤프트의 축은 커넥팅 로드가 출력 아암에 의해 이동되는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전동 액츄에이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모터는 가상의 직선의 연장부 상에 배열되는 전동 액츄에이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모터는 축이 가상의 직선에 대해 기울어진 출력 샤프트를 가져서, 상기 전기 모터는 가상의 직선에 수직인 방향으로 감소된 치수를 가지는 전동 액츄에이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 기구에 의해 형성되는 동력 전달 경로를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쇄하도록 케이스의 상부 벽부에 장착되는 전자기 클러치를 더 포함하는 전동 액츄에이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 클러치는
    입력 샤프트를 둘러싸는 환형 전자석과,
    함께 회전하도록 입력 샤프트에 고정되는 로터와,
    전기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웜과 정합되는 웜 휠과 함께 회전하는 전기자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자는 로터와 대면하면서 입력 샤프트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그리고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유지되는 전동 액츄에이터.
  8. 제1항에 있어서, 출력 아암 및 커넥팅 로드가 피봇식으로 연결되는 유니버셜 조인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니버셜 조인트는 케이스보다 더 작은 두께를 가지는 전동 액츄에이터.
  9. 전력으로 피구동 부재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동 액츄에이터이며,
    기어 하우징 구조물을 형성하도록 결합되는 상부 및 하부 벽부를 포함하는 케이스와,
    케이스에 장착되는 전기 모터와,
    전기 모터에 의해 구동되고 기어 하우징 구조물 내에 설치되는 감속 기구와,
    감속 기구에 의해 구동되고 기어 하우징 구조물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출력 기어와,
    상부 벽부를 통과하는 샤프트를 통해 출력 기어에 연결되고 케이스 위에 위 치되는 출력 아암과,
    출력 아암에 피봇식으로 연결되는 일단부 및 피구동 부재에 피봇식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타단부를 가지는 커넥팅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팅 로드는 커넥팅 로드가 출력 아암에 의해 이동되는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 케이스와의 중첩을 피하는 방식으로 케이스 옆으로 배열되는 전동 액츄에이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로드의 운동은 케이스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는 소정의 이동 경로를 따라 케이스 옆으로 실행되는 전동 액츄에이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아암 및 커넥팅 로드의 단부는 유니버셜 조인트를 통해 피봇식으로 연결되는 전동 액츄에이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유니버셜 조인트는
    출력 아암의 외부 단부의 하부면에 제공되는 구형 핀과,
    커넥팅 로드의 단부 상에 제공되는 구형 그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형 핀은 구형 그립부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전동 액츄에이터.
KR1020080003239A 2007-01-12 2008-01-11 자동차 피봇 도어의 전동 액츄에이터 KR1009514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004118A JP4994045B2 (ja) 2007-01-12 2007-01-12 車両用開閉体の開閉装置
JPJP-P-2007-00004118 2007-01-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6594A true KR20080066594A (ko) 2008-07-16
KR100951496B1 KR100951496B1 (ko) 2010-04-07

Family

ID=38599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3239A KR100951496B1 (ko) 2007-01-12 2008-01-11 자동차 피봇 도어의 전동 액츄에이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845706B2 (ko)
JP (1) JP4994045B2 (ko)
KR (1) KR100951496B1 (ko)
FR (1) FR2911361B1 (ko)
GB (1) GB244563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88004B2 (ja) * 2006-09-12 2010-11-24 トヨタ車体株式会社 車両のパワーバックドア
JP4994045B2 (ja) 2007-01-12 2012-08-08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車両用開閉体の開閉装置
CN101978128B (zh) * 2008-03-19 2013-12-11 株式会社美姿把 用于车辆的自动开关装置
US8261491B2 (en) 2008-04-02 2012-09-11 Leon Yulkowski Concealed electrical door operator
US8653982B2 (en) 2009-07-21 2014-02-18 Openings Door monitoring system
US8366176B2 (en) * 2010-06-29 2013-02-05 Mitsui Kinzoku Act Corporation Vehicle door-open limiting device
JP5512569B2 (ja) * 2011-02-23 2014-06-04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制御システム
US10378262B2 (en) * 2014-10-23 2019-08-13 Leon Yulkowski Door operator and clutch
CA3007004C (en) * 2015-12-01 2020-09-22 Girard Guard, Llc Motorized doors and relate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86820A (en) * 1979-07-05 1981-09-01 State Wide Aluminum Of Indiana, Inc. Truck cover and door therefor
JPH0372187A (ja) * 1989-08-10 1991-03-27 Delta Kogyo Kk 自動車用ドアの開閉装置
US6901704B2 (en) 2000-01-14 2005-06-07 Fuji Jukogyo Kabushiki Kaisha Vehicle rear gate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US6382706B2 (en) * 2000-03-28 2002-05-07 Ohi Seisakusho Co., Ltd. Operating device for automotive pivotal door
US6676190B2 (en) * 2000-04-27 2004-01-13 Atoma International Corp. Headliner mounted power liftgate drive mechanism
JP4006174B2 (ja) * 2000-09-20 2007-11-14 株式会社大井製作所 車両における開閉体の開閉装置
JP4751551B2 (ja) 2001-09-28 2011-08-17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開閉体の開閉機構
US7014248B2 (en) * 2002-03-25 2006-03-21 Ohi Seisakusho Co., Ltd.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rear gate of vehicle
JP2003336441A (ja) 2002-05-21 2003-11-28 Mitsuba Corp 車両用自動開閉装置
JP4254212B2 (ja) * 2002-11-27 2009-04-15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開閉体の開閉制御システム
JP3749708B2 (ja) 2002-12-20 2006-03-0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自動開閉装置
JP4013818B2 (ja) * 2003-04-23 2007-11-28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開閉体の開閉装置
US7159927B2 (en) * 2003-07-23 2007-01-09 Honda Motor Co., Ltd. Powered tailgate system
JP3814270B2 (ja) * 2003-10-09 2006-08-2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自動開閉装置
EP1600592A3 (en) * 2004-05-27 2012-10-17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Driving device for driving and open/close member
JP2006169897A (ja) 2004-12-17 2006-06-29 Aisin Seiki Co Ltd 車両用開閉体の開閉装置
JP4751160B2 (ja) * 2005-09-20 2011-08-17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車両用開閉体の開閉装置
JP4994045B2 (ja) 2007-01-12 2012-08-08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車両用開閉体の開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169632A (ja) 2008-07-24
GB2445633A (en) 2008-07-16
KR100951496B1 (ko) 2010-04-07
GB0716579D0 (en) 2007-10-03
GB2445633B (en) 2010-05-12
JP4994045B2 (ja) 2012-08-08
FR2911361B1 (fr) 2011-06-24
US20080168714A1 (en) 2008-07-17
FR2911361A1 (fr) 2008-07-18
US7845706B2 (en) 2010-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1496B1 (ko) 자동차 피봇 도어의 전동 액츄에이터
US10655378B2 (en) Power side door actuator with rotating drive nut
US9284768B2 (en) Power door opening/closing apparatus
JP4842681B2 (ja) リンク機構
GB2428733A (en) Vehicle door latch with power closure
JP2007070883A (ja) 車両用電動開閉装置
CA2411325C (en) Lost motion mechanism for power liftgate closure system
US20230332456A1 (en) Powered door unit with improved mounting arrangement
US7140150B2 (en) Opening-closing device for an opening-closing member of a vehicle
JP2007056496A (ja) 電動式アクチュエータ
JP2004196231A (ja) 車両用自動開閉装置
JP2007261405A (ja) リンク機構
JP2005153738A (ja) 車両用ドア開閉装置
JP5060624B2 (ja) 車両用開閉体の開閉装置
JP2003336441A (ja) 車両用自動開閉装置
JP2019173500A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JP3893079B2 (ja) 車両用自動開閉装置
JP4781124B2 (ja) 開閉体のパワー開閉装置
KR101440718B1 (ko) 자동차용 도어 개폐장치
JP2004501819A (ja) 動力式引上げゲートの親ねじ駆動装置
JP2008179201A (ja) 車両用自動開閉装置
JP3909640B2 (ja) 自動車用ドアロック装置
JP4229690B2 (ja) 車両用自動開閉装置
JP2004255931A (ja) 車両用自動開閉装置
KR101236493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도어 액츄에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