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6221A - 손떨림 보정 제어 방법 및 손떨림 보정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손떨림 보정 제어 방법 및 손떨림 보정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6221A
KR20080066221A KR1020070003399A KR20070003399A KR20080066221A KR 20080066221 A KR20080066221 A KR 20080066221A KR 1020070003399 A KR1020070003399 A KR 1020070003399A KR 20070003399 A KR20070003399 A KR 20070003399A KR 20080066221 A KR20080066221 A KR 200800662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ckup device
image pickup
signal
actuator
camera sh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3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9741B1 (ko
Inventor
이진기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3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9741B1/ko
Publication of KR20080066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62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9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97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1Motion detection
    • H04N23/6812Motion detection based on additional sensors, e.g. acceleration 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5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 H04N23/687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by shifting the lens or sensor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떨림 보정 모듈을 구비한 디지털 카메라나 디지털 캠코더에서 소비전력을 저감하기 위하여, 손떨림 보정 모드가 선택되면, 촬상소자의 중심이 광축과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촬상소자의 중심이 광축으로부터 벗어난 틀어짐 양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손떨림 보정 액추에이터를 구동하는 단계; 제1 셔터 신호가 입력되면, 손떨림 검출부의 출력신호가 입력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손떨림 검출부의 출력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촬상소자를 이동시켜야 할 제1 보정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보정량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상기 액추에이터를 구동하는 단계; 제2 셔터 신호가 입력되면, 손떨림 검출부의 출력신호가 입력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손떨림 검출부의 출력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촬상소자를 이동시켜야 할 제2 보정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보정량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상기 액추에이터를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손떨림 보정 제어 방법 및 손떨림 보정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손떨림 보정 제어 방법 및 손떨림 보정 제어 장치{Method of control of hand-shaking correction and Apparatus of control hand-shaking corre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떨림 보정 제어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떨림 보정 제어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손떨림 보정 제어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떨림 보정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 촬상소자 2: 배럴(barrel)
3: 스프링 10: X축 방향 VCM(voice coil motor)
11, 21: 코일 12, 22: 마그네트
20: Y축 방향 VCM(voice coil motor)23: 제2 요크(yoke)
24: 제1 요크 30: 위치 검출 센서
100: 셔터 신호 발생부 110: 손떨림 검출부
120: CPU 130: 구동부
140: 손떨림 보정 액추에이터 150: 위치 검출부
본 발명은 손떨림 보정 제어 방법 및 손떨림 보정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손떨림 보정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카메라나 디지털 캠코더의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는 손떨림 보정 제어 방법 및 손떨림 보정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촬영자가 디지털 카메라나 디지털 캠코더(이하에서는 디지털 영상처리 장치라고 함)를 손으로 들고 촬영한 영상은 상하좌우로 작은 떨림, 즉 손떨림이 발생한다. 최근에는 디지털 영상처리 장치가 고배율, 고화소로 진화되어가고 있기 때문에 이전에 비해 손떨림이 더 심해지고 있다. 또한 이동중의 촬영이 많아지면서 이러한 손 떨림에 관한 문제의 해결이 선명한 영상을 얻는데 중요한 요소로 자리잡게 되었다.
따라서, 최근에 출시된 디지털 영상처리 장치는 손떨림 보정 모듈을 구비하고 있다. 손떨림 보정 모듈은 구동모터를 사용하여 손떨림이 발생할 경우 촬상소자 또는 렌즈 배럴을 손떨림 양을 상쇄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손떨림의 영향을 상쇄하여 좀 더 선명한 영상으로 보여준다.
그런데, 디지털 카메라나 디지털 캠코더의 촬상소자는 외부 충격이나 촬영자의 촬영자세의 변경 등으로 인해 센터링 상태(촬상소자의 중심이 광축에 일치한 상태)에서 벗어날 수 있으며, 이때 이 상태로 촬영을 하는 경우 손떨림 보정 모듈이 구동되더라도 촬상소자의 중심과 광축이 어긋나 있기 때문에 초점이 흐리거나 광량이 부족한 사진이 얻어진다.
이런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디지털 영상처리 장치의 외부 신호, 예를 들면 릴리즈 셔터 신호나 촬영모드 신호가 입력되면 먼저 센터링을 한 후, 손떨림 보정을 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이러한 센터링과 손떨림 보정시 촬상소자의 중심이 광축으로부터 벗어난 양의 정도를 무시하고 소정 범위내(배율에 따라 범위가 약간 달라짐)에서 일정량만큼 구동장치를 구동하였다.
이럴 경우, 센터링과 손떨림 보정시 일정량의 소비전력을 계속 소비할 수밖에 없었다. 특히, 촬상소자의 중심과 광축의 틀어짐 량이 작을 경우에도 틀어짐 량이 클 경우와 동일한 소비전력을 사용하게 되어 불필요한 소비전력을 사용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디지털 캠코더와 같이 연속적으로 영상을 촬영하는 장치에서 더욱 심각해진다. 또한, 손떨림 보정 모듈이 소비전력을 과다하게 사용함으로써 디지털 영상처리 장치의 배터리의 사용시간이 줄어들고 촬영 시간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촬상소자의 중심과 광축의 틀어짐 량에 대응하여 촬상소자를 센터링하고 촬영시 손떨림 보정 제어를 수행하는 손떨림 보정 제어 방법 및 손떨림 보정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손떨림 보정 모드가 선택되면, 촬상소자의 중심이 광축과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촬상소자의 중심이 광축으로부터 벗어난 틀어짐 양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손떨림 보정 액추에이터를 구동하는 단계; 제1 셔터 신호가 입력되면, 손떨림 검출부의 출력신호가 입력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손떨림 검출부의 출력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촬상소자를 이동시켜야 할 제1 보정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보정량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상기 액추에이터를 구동하는 단계; 제2 셔터 신호가 입력되면, 손떨림 검출부의 출력신호가 입력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손떨림 검출부의 출력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촬상소자를 이동시켜야 할 제2 보정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보정량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상기 액추에이터를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손떨림 보정 제어 방법을 개시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촬상소자의 중심을 광축에 일치시키는 센터링 작동시 센터링 상태로부터 촬상소자의 틀어짐 양에 대응하도록 손떨림 보정 액추에이터의 구동 전류를 조절한다. 그러므로 손떨림 보정 제어장치에 의해 소모되는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촬영시 셔터-릴리즈 버튼의 누름 단계마다 손떨림 양을 측정하여 손떨림 양을 상쇄하는데 필요한 보정량에 대응하도록 손떨림 보정 액추에이터의 구동 전류를 조절한다. 그러므로 손떨림 보정 제어장치에 의해 소모되는 소비전력을 더욱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손떨림 검출부는 자이로 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촬상소자를 상기 광축에 수직한 평면에서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동시키도록 배치된 두 개의 보이스 코일 모터(VCM)이다.
상기 촬상소자의 중심이 광축과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단계는, 디지털 영상처리 장치내에서의 상기 촬상소자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센서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및 제2 보정량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상기 액추에이터를 구동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촬상소자의 위치를 검출하고 손떨림 량이 보정되지 않았으면 상기 액추에이터를 추가적으로 구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피드백 제어를 함으로써 제어의 오차량을 줄일 수 있고, 시스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촬상소자의 손떨림 양을 검출하는 손떨림 검출부; 사용자의 누름 정도에 따라 제1 셔터 신호 및 제2 셔터 신호를 발생하는 셔터 신호 발생부; 손떨림 보정 모드가 선택되고 상기 제1 셔터 신호가 입력된 상태에서 상기 손떨림 검출부로부터 발생된 손떨림 검출부의 출력신호에 기초하여 제1 보정량을 연산한 후 상기 제1 보정량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상기 촬상소자의 위치를 이동시키도록 손떨림 보정 액추에이터를 구동하는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제2 셔터 신호가 입력된 상태에서 상기 손떨림 검출부로부터 발생된 손떨림 검출부의 출력신호에 기초하여 제2 보정량을 연산한 후 상기 제2 보정량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상기 촬상소자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를 구동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연산 제어부; 및 상기 연산 제어부로부터 발생된 구동 신호에 의하여 광축에 직교하는 X축 및 Y축 방향으로 상기 촬상소자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손떨림 보정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손떨림 보정 제어 장치를 개시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떨림 보정 제어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손떨림 보정 제어 장치는 셔터 신호 발생부(100), 손떨림 검출부(110), 연산 제어부, 손떨림 보정 액추에이터(140), 위치 검출부(150)를 구비한다. 여기서, 손떨림 검출부(110)는 손떨림 감지 센서부(111), 필터부(112), ADC(113), 증폭부(114)를 구비한다. 그리고 연산 제어부는 연산 처리부, 예를 들면 CPU(120)와 구동부(130)를 구비한다.
셔터 신호 발생부(100)는 디지털 영상처리 장치의 외부에 구비되며, 영상 촬영을 위해 입력되는 셔터-릴리즈 버튼을 의미한다. 셔터 신호 발생부(100)를 통해 입력된 영상 촬영 신호는 CPU(120)로 입력되고, CPU(120)는 영상 촬영을 위한 소정의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셔터 신호 발생부(100)는 촬영자의 누르는 정도에 따라 제1 셔터 신호와 제2 셔터 신호를 생성한다. 제1 셔터 신호는 반 셔터(half shutter) 신호를, 제2 셔터 신호는 완전 셔터(full shutter) 신호를 의미한다. 제1 셔터 신호가 CPU(120)에 입력되면, 디지털 영상처리 장치는 초점 조절을 하고 조리개를 통하여 들어오는 빛의 양을 계산한다.
손떨림 검출부(110)는 손떨림 감지 센서부(111), 필터부(112), ADC(113), 증폭부(114)를 구비하며, 셔터 신호 발생부(100)를 통하여 제1 셔터 신호가 생성되면 손떨림 양을 감지하여 출력한다.
손떨림 감지 센서부(111)는 디지털 영상처리 장치, 특히 촬상소자(1)의 손떨림 양을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한다. 손떨림 감지 센서부(111)로는 자이로(gyro) 센서나 가속도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자이로 센서의 동작 원리를 간단히 설명하면, 진동자의 구동전극에 전압을 인가하면 구동방향으로 진동자가 진동을 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자이로 센서가 장착된 물체, 본 실시예에서는 디지털 영상처리 장치가 어떤 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각속도가 발생할 경우, 구동 진동과 직각 방향으로 코리올리력이 발생하여 새로운 진동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진동을 검출진동이라고 하고, 검출진동의 크기는 각속도에 비례하는데, 자이로 센서는 이러한 검출진동의 크기를 측정함으로써 각속도의 검출이 가능해진다.
손떨림 감지 센서부(111)는 광축에 직교하는 X축 방향과 X축 방향에 직교하는 Y축 방향의 배럴(2)에 각각 하나씩 장착된다.(미도시) 여기서, 손떨림 감지 센서는 반드시 배럴(2)에 장착될 필요는 없으며, 이미지 센서와 평행하게 X축 방향과 X축 방향에 직교하는 Y축 방향에 설치되기만 하면 디지털 영상처리 장치의 본체 어느 부분에 설치되어도 좋다. 단, 노이즈에 영향을 받지 않는 곳이라야 한다.
필터부(112)는 손떨림 감지 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섞여 있는 노이즈를 제거한다. 필터부(112)는 고대역 통과 필터(high pass filter: HPF)와 저대역 통과 필터(low pass filter: LPF)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를 사용할 수 있다. 이것은 손떨림 감지 센서에서 출력된 노이즈 성분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ADC(analog-digital converter)(113)는 필터부(112)를 통과하여 나온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변환된 디지털 신호는 증폭부(114)로 입력이 되는데, 증폭부(114)는 필터링된 디지털 신호를 증폭하여 CPU(120)로 입력한다.
CPU(120)는 적당한 크기로 증폭된 손떨림 양에 해당하는 디지털 신호를 입력 받아 손떨림 센서 감지 신호에 대응하는 보정량을 계산하여 손떨림 보정 액추에이터(140)를 구동하기 위하여 구동부(130)에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손떨림 보정 모드가 선택되고 제1 셔터 신호가 입력된 상태에서 손떨림 검출부(110)로부터 발생된 출력신호에 기초하여 제1 보정량을 연산한 후 상기 제1 보정량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촬상소자(1)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140)를 구동하는 신호를 발생시키고, 제2 셔터 신호가 입력된 상태에서 상기 손떨림 검출부(110)로부터 발생된 출력신호에 기초하여 제2 보정량을 연산한 후 상기 제2 보정량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촬상소자(1)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140)를 구동하는 신호를 발생시킨다.
구동부(130)는 손떨림 보정 액추에이터(14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드라이버이다.
손떨림 보정 액추에이터(140)로는 VCM(voice coil motor), 압전 모터(piezoelectric motor)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축방향 구동을 가능하게 하는 모든 구동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손떨림 보정 액추에이터(140)는 연산 제어부로부터 발생된 구동 신호에 의하여 광축에 각각 직교하는 X축 및 Y축 방향으로 촬상소자(1)의 위치를 이동시킨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손떨림 보정 액추에이터(10, 20)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떨림 보정 제어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손떨림 보정 제어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촬상소자(1)의 중심이 광축과 일치하도록 유지된 상태에서 촬상소자(1)의 모서리 부분에 각각 스프링의 일 단이 고정되고 각 스프링의 타 단은 배럴(2)에 고정된다. 따라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 충격이나 흔들림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촬상소자(1)가 광축에 센터링된 상태(촬상소자(1)의 중심이 광축에 일치한 상태)로 유지된다.
촬상소자(1)의 Y축 일단측에는 Y축 방향 손떨림 보정 액추에이터(20), 본 실시예에서는 VCM이 배치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Y축 방향 VCM(20)은 제1 요크(yoke)(24), 제1 요크와 이격되어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2 요크(23), 제1 요크(24)에 장착된 마그네트(magnet)(22), 및 마그네트(22)와 제2 요크(23) 사이에 배치되는 코일(coil)(21)을 구비한다. 마그네트(22)는 자력을 발생시키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든 좋고, 예를 들어 영구자석일 수 있다.
VCM(20)은 제2 요크(23)와 마그네트(22) 사이에 자장이 형성된 상태에서 코일(21)에 전류가 흐르면 코일(21)은 플레밍의 왼손 법칙에 의하여 광축에 직교하는 Y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코일(21)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Y축의 양과 음의 방향으로의 이동을 조절할 수 있고, 전류의 크기에 따라 이동량을 조절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이동량의 크기(작동 Stroke량)에 따라 전류량이 변화한다. 코일(21)은 촬상소자(1)의 일 단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Y축 일단에 배치된 VCM(20)은 촬상소자(1)를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유사하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상소자(1)의 X축 일단측에는 X축 방향 손떨림 보정 액추에이터(10), 본 실시예에서는 VCM이 배치된다.
촬상소자(1)와 연결된 Y축 방향 VCM의 코일에는 위치 검출부(150)가 설치될 수 있다. 위치 검출부(150)는 촬상소자(1)의 위치가 센터링 상태로부터 얼마나 벗어났는지의 틀어짐 양을 측정한다. 위치 검출부(150)에서 출력된 신호는 센터링 작동을 위한 손떨림 보정 액추에이터 구동을 위해서도 사용될 뿐만 아니라, 촬영시 손떨림이 발생하였을 때 이를 보정하기 위한 손떨림 보정 액추에이터 구동을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위치 검출부(150)는 위치 검출센서를 포함하며, 위치 검출센서는 예를 들면 홀(hall) 센서나 발광-수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것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a 및 4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떨림 보정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디지털 영상처리 장치에 전원이 인가되면, 디지털 영상처리 장치는 영상 촬영을 위한 초기화 작업, 예를 들면 촬영모드의 초기화, 초점조절 및 노출상태의 초기화 작업 등을 수행한다.(s10) 촬영자가 손떨림 보정 버튼을 눌러 손떨림 보정 모드를 선택하면(s20), 연산 제어부는 촬상소자(1)의 중심이 광축과 일치하는지, 즉 센터링 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위치 검출부(150)로부터 발생한 신호를 읽어 들여 촬상소자(1)의 위치를 검출한다.(s30) 만약, 촬상소자(1)의 센터링이 소정양 이상 어긋난 상태이면(s40) 손떨림 보정 액추에이터(140)를 구동하여 센터링 작동을 수행한다.(s50)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종래와 달리 촬상소자(1)가 센터링 상태로부터 틀어진 양만큼만 손떨림 보정 액추에이터(140)를 구동하여 센터링 작동을 수행한다. 즉, 틀어짐 양이 작으면 액추에이터(140)의 구동양이 적고, 그 결과 액추에이터(140)를 구동하기 위한 전류가 적게 소모된다. 따라서 흔들림 보정 제어 장치의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촬영자가 촬영을 위해 셔터-릴리즈 버튼을 살짝 누르면 제1 셔터 신호가 발생하여 CPU(120)에 입력된다.(s60) 셔터-릴리즈 버튼이 눌러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일정 시간 간격마다 촬상소자(1)의 센터링 상태를 확인하고 필요하면 센터링 작동을 수행하도록 설정된다.
제1 셔터 신호가 CPU(120)로 입력되면, 손떨림 검출부(110)로부터 발생된 출력신호가 CPU(120)로 입력되는지 확인한다.(s70) 만약, 입력되었다면 CPU(120)는 손떨림 검출부(110)의 출력신호로부터 X축과 Y축방향으로 얼마만큼의 각속도가 발생하였는지 계산하고, 손떨림을 상쇄할 수 있는 보정량을 계산한다.(s80)
그리고 나서 구동부(130)로 구동신호를 출력하여 X축 방향과 Y축 방향의 손떨림 보정 액추에이터(140)를 각각 구동한다.(s90) 이 과정 동안, 위치 검출부(150)로부터 촬상소자(1)의 현재 위치를 계속적으로 검출한다.(s100) 상기 검출된 촬상소자(1)의 위치 신호를 CPU(120)로 피드백하여 손떨림 양이 원하는 목표값 이내로 보정될 때까지 피드백 제어를 수행한다.(s110)
본 실시예에서는, 종래와 달리, 손떨림 영향을 상쇄하기 위해 손떨림 양에 대응하는 손떨림 보정 액추에이터(140) 구동신호를 발생한다. 그러므로 손떨림 양이 크지 않은 경우, 손떨림 보정 액추에이터(140)를 구동하는 전류를 적은 양 흘려줌으로써 손떨림 보정 제어장치에 의해 소모되는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이후, 촬영자가 셔터-릴리즈 버튼을 더 눌러 제2 셔터 신호가 발생하여 손떨림 검출부(110)의 출력신호가 CPU(120)로 입력되면(s120), CPU(120)는 손떨림 검출 부(110)의 출력신호로부터 X축과 Y축방향으로 얼마만큼의 각속도가 발생하였는지 계산하고, 손떨림을 상쇄할 수 있는 보정량을 계산한다.(s130)
그리고 나서 구동부(130)로 구동신호를 출력하여 X축 방향과 Y축 방향의 손떨림 보정 액추에이터(140)를 각각 구동한다.(s140) 이 과정 동안, 위치 검출부(150)로부터 촬상소자(1)의 현재 위치를 계속적으로 검출한다.(s160) 상기 검출된 촬상소자(1)의 위치 신호를 CPU(120)로 피드백하여 손떨림 양을 보정될 때까지 피드백 제어를 수행한다.(s170)
본 실시예에서는, 종래와 달리, 손떨림 영향을 상쇄하기 위해 손떨림 양에 대응하는 손떨림 보정 액추에이터(140) 구동신호를 발생한다. 그러므로 손떨림 양이 크지 않은 경우, 손떨림 보정 액추에이터(140)를 구동하는 전류를 적은 양 흘려줌으로써 손떨림 보정 제어장치에 의해 소모되는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손떨림 보정이 완성되면 디지털 영상처리 장치는 셔터를 열어 노광하고(s180) 촬영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손떨림 보정 제어 방법 및 손떨림 보정 제어 장치에 따르면, 촬상소자의 중심을 광축에 일치시키는 센터링 작동시 센터링 상태로부터 촬상소자의 틀어짐 양에 대응하도록 손떨림 보정 액추에이터의 구동 전류를 조절한다. 그러므로 손떨림 보정 제어장치에 의해 소모되는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촬영시 셔터-릴리즈 버튼의 누름 단계마다 손떨림 양을 측정하여 손떨림 양을 상쇄하는데 필요한 보정량에 대응하도록 손떨림 보정 액추에이터의 구동 전류를 조절한다. 그러므로 손떨림 보정 제어장치에 의해 소모되는 소비전력을 더욱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손떨림 보정 모드가 선택되면, 촬상소자의 중심이 광축과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촬상소자의 중심이 광축으로부터 벗어난 틀어짐 양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손떨림 보정 액추에이터를 구동하는 단계;
    제1 셔터 신호가 입력되면, 손떨림 검출부의 출력신호가 입력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손떨림 검출부의 출력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촬상소자를 이동시켜야 할 제1 보정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보정량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상기 액추에이터를 구동하는 단계;
    제2 셔터 신호가 입력되면, 손떨림 검출부의 출력신호가 입력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손떨림 검출부의 출력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촬상소자를 이동시켜야 할 제2 보정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보정량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상기 액추에이터를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손떨림 보정 제어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손떨림 검출부는 자이로 센서를 구비하는 손떨림 보정 제어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촬상소자를 상기 광축에 수직한 평면에서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동시키도록 배치된 두 개의 보이스 코일 모터(VCM)인 손떨림 보정 제어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소자의 중심이 광축과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단계는,
    디지털 영상처리 장치내에서의 상기 촬상소자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센서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손떨림 보정 제어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보정량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상기 액추에이터를 구동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촬상소자의 위치를 검출하고 손떨림 량이 보정되지 않았으면 상기 액추에이터를 추가적으로 구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손떨림 보정 제어 방법.
  6. 촬상소자의 손떨림 양을 검출하는 손떨림 검출부;
    사용자의 누름 정도에 따라 제1 셔터 신호 및 제2 셔터 신호를 발생하는 셔터 신호 발생부;
    손떨림 보정 모드가 선택되고 상기 제1 셔터 신호가 입력된 상태에서 상기 손떨림 검출부로부터 발생된 손떨림 검출부의 출력신호에 기초하여 제1 보정량을 연산한 후 상기 제1 보정량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상기 촬상소자의 위치를 이동시키도록 손떨림 보정 액추에이터를 구동하는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제2 셔터 신호가 입력된 상태에서 상기 손떨림 검출부로부터 발생된 손떨림 검출부의 출력신호에 기초하여 제2 보정량을 연산한 후 상기 제2 보정량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상기 촬상소자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를 구동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연산 제어부; 및
    상기 연산 제어부로부터 발생된 구동 신호에 의하여 광축에 직교하는 X축 및 Y축 방향으로 상기 촬상소자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손떨림 보정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손떨림 보정 제어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손떨림 검출부는,
    손떨림 양을 검출하는 손떨림 감지 센서부;
    상기 손떨림 감지 센서부로부터 나온 신호 중 원하지 않는 신호를 걸러주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를 통하여 나온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C; 및
    상기 ADC를 통하여 나온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를 포함하는 손떨림 보정 제 어 장치.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손떨림 검출부는 자이로 센서를 구비하는 손떨림 보정 제어 장치.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촬상소자를 상기 광축에 수직한 평면에서 서로 직교하는 X축 및 Y축 방향으로 구동시키도록 배치된 두 개의 보이스 코일 모터(VCM)인 손떨림 보정 제어 장치.
  10.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소자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산 제어부는, 손떨림 보정 모드가 선택된 후 상기 위치 검출부에서 검출된 위치 신호를 읽어들여 상기 촬상소자의 중심이 광축으로부터 벗어난 틀어짐 양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광축에 직교하는 X축 및 Y축 방향으로 상기 촬상소자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상기 액추에이터를 구동하는 구동신호를 발생시키는 손떨림 보정 제어 장치.
KR1020070003399A 2007-01-11 2007-01-11 손떨림 보정 제어 방법 및 손떨림 보정 제어 장치 KR1013297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3399A KR101329741B1 (ko) 2007-01-11 2007-01-11 손떨림 보정 제어 방법 및 손떨림 보정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3399A KR101329741B1 (ko) 2007-01-11 2007-01-11 손떨림 보정 제어 방법 및 손떨림 보정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6221A true KR20080066221A (ko) 2008-07-16
KR101329741B1 KR101329741B1 (ko) 2013-11-14

Family

ID=39821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3399A KR101329741B1 (ko) 2007-01-11 2007-01-11 손떨림 보정 제어 방법 및 손떨림 보정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974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6226B1 (ko) * 2008-09-05 2010-05-04 삼성전기주식회사 자이로 센서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100101913A (ko) * 2009-03-10 2010-09-2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영상신호 장치에서 손떨림 보정을 수행하는 방법 및장치
KR101106296B1 (ko) * 2009-11-26 2012-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손떨림 보정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촬영 장치
KR20170054608A (ko) * 2015-11-09 2017-05-18 (주)엠아이웨어 영상 흔들림 보정 기능을 구비한 이륜차용 영상 저장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67313B2 (ja) 2003-10-21 2010-10-20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カメラ
KR101063405B1 (ko) * 2004-06-29 2011-09-07 삼성전자주식회사 특수효과 처리 화면 분할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휴대용영상 기록/재생 장치 및 그 분할 디스플레이 방법
JP4634752B2 (ja) * 2004-07-09 2011-02-16 Hoya株式会社 像ぶれ補正機能を備えたカメラ
JP2006145768A (ja) 2004-11-18 2006-06-08 Olympus Corp 像振れ補正装置及びその補正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6226B1 (ko) * 2008-09-05 2010-05-04 삼성전기주식회사 자이로 센서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100101913A (ko) * 2009-03-10 2010-09-2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영상신호 장치에서 손떨림 보정을 수행하는 방법 및장치
KR101106296B1 (ko) * 2009-11-26 2012-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손떨림 보정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촬영 장치
US8384786B2 (en) 2009-11-26 2013-02-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ompensating for vibration and imag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170054608A (ko) * 2015-11-09 2017-05-18 (주)엠아이웨어 영상 흔들림 보정 기능을 구비한 이륜차용 영상 저장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9741B1 (ko) 2013-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6231B1 (ko) 손떨림 보정 장치 및 그 조정 방법, 손떨림 보정 회로 및 손떨림 보정 방법과, 카메라 모듈 및 그 광학 요소의 위치 제어 방법
KR101582088B1 (ko) 디지털 카메라의 흔들림 보상용 구동조립체
JP5089999B2 (ja) 位置検出回路及びその応用装置
JP5259851B1 (ja) 位置制御装置
JP2017195516A (ja) カメラシステム、及びカメラ本体
KR100996053B1 (ko) 방진 제어 회로 및 방진 제어 회로를 구비한 촬상 장치
JP2009192966A (ja) 撮像装置
KR20090056798A (ko) 촬상 장치의 방진 제어 회로
JP2015194660A (ja)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その光学要素の位置制御方法並びに携帯機器
JP2007057981A (ja) 姿勢検出装置、姿勢検出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329741B1 (ko) 손떨림 보정 제어 방법 및 손떨림 보정 제어 장치
JP2016033685A (ja) カメラモジュール駆動装置、カメラユニットおよびカメラ付き携帯端末
JP7411903B2 (ja) 撮像装置
JP2007127754A (ja) 像振れ補正装置、光学装置、交換レンズ、及びカメラシステム
JP2014228623A (ja) ブレ補正装置、レンズ鏡筒および撮影装置
JP2009282444A (ja) 振れ補正装置および撮影装置
JP5707801B2 (ja) 撮像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10231037A (ja) カメラシステムおよび光学機器
JP5123606B2 (ja) 防振制御回路
JP2014228621A (ja) ブレ補正装置および撮影装置
JP5958611B2 (ja) カメラモジュール駆動装置およびカメラ付き携帯端末
JP2015132644A (ja) 撮像装置
JP2009042544A (ja) 防振制御回路
KR20100097534A (ko) 초점 렌즈 보호장치 및 방법
JP2015152886A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