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9396A - 리클라이닝 어저스터 - Google Patents

리클라이닝 어저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9396A
KR20080059396A KR1020087009529A KR20087009529A KR20080059396A KR 20080059396 A KR20080059396 A KR 20080059396A KR 1020087009529 A KR1020087009529 A KR 1020087009529A KR 20087009529 A KR20087009529 A KR 20087009529A KR 20080059396 A KR20080059396 A KR 200800593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m
latch member
movable bearing
movable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9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7505B1 (ko
Inventor
유타카 사카모토
히로키 혼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데루타 쓰-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데루타 쓰-링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데루타 쓰-링
Publication of KR20080059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93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7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75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31Worm and worm gear articul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47C1/025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by means of a rack-and-pinion or like gearing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205/00General mechanical or structural details
    • B60N2205/20Measures for elimination or compensation of play or backla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 백의 로크(lock)시에 있어서의 백래시와 웜(worm)의 스러스트 방향의 클리어런스의 저감을 도모하고, 이음(異音; abnormal sound)의 발생을 종래보다 확실하게 방지한다. 시트 백을 소정의 경사각에서 정지시키면, 가압 부재인 캠(21, 22)에 의해, 가동 베어링(12)이 가압되어, 웜 휠(5)측으로 접근한다. 가동 베어링(12)의 오목부(12a) 내에 배치되어 있는 볼(14)이, 오목부(12a) 내면을 따라서 약간 이동하여, 웜(4)을 웜 휠(5)측으로 밀어붙이고, 고정 베어링(11)측으로도 밀어붙이며, 또한, 결합 부재인 래치 부재(23)가 웜(4)에 결합함으로써 웜(4)의 회전이 저지되고, 그 상태가 확실하게 유지된다. 가동측 베어링(12)이 웜 휠(5)측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고정 베어링만으로 볼을 지지하고 있던 구조와 비교한 경우, 볼의 실질적인 이동 범위가 확대되어, 볼에 가압되는 것에 의한 웜(4)의 변위 범위도 실질적으로 커진다.
Figure P1020087009529
차량 시트, 시트 쿠션, 경사각, 리클라이닝 어저스터, 시트 백

Description

리클라이닝 어저스터{RECLINING ADJUSTER}
본 발명은 차량 등의 시트에 부착되어, 시트 쿠션에 대한 시트 백의 경사각을 적절히 조절하기 위한 리클라이닝 어저스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트 백을 소정의 경사각에서 정지시켰을 때의 로크(lock) 시의 덜거덕거림의 저감 등을 도모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특허 문헌 1 및 특허 문헌 2에는, 시트 백을 소정의 경사각에서 정지시켰을 때의 로크 기구로서, 웜(worm)의 톱니면(tooth surface)에 접촉하여, 마찰에 의해 웜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슬라이드 부재를 사용한 기술, 및 웜 자체를 웜 휠을 향하여 평행 이동시켜서, 상기 웜 휠에 웜을 밀어붙임으로써 마찰에 의해 웜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3에는, 축 지지된 웜의 일단측의 축부 주위에 테이퍼면을 형성하고, 이 테이퍼면과 접촉 가능한 제동 부재를 동작시킴으로써, 양자의 마찰에 의해 웜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 문헌 1∼3에 개시된 기술은, 모두 웜의 자세를 변화시키지 않고, 즉, 소정의 위치에서 축 지지된 그대로의 자세를 유지한 상태에 대하여, 슬라이드 부재나 제동 부재를 밀어붙여서 마찰에 의해 웜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것이다. 특허 문헌 1 및 특허 문헌 2에는, 웜 자체를 웜 휠측으로 이동시키는 것도 기재되 어 있으나, 웜의 이동은 어디까지나 평행 이동이며, 웜이 축 지지된 자세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웜 휠에 마찰 결합하고 있다는 것에는 변함이 없다.
웜과 웜 휠의 각 톱니 사이에는, 원활한 회전 동작을 위하여 백래시가 존재하지만, 이 백래시는 시트 백의 로크시에는 덜거덕거림이나 이음(異音; abnormal sound) 발생의 요인이 된다. 특허 문헌 1∼3에 개시된 기술은, 기본적으로는 웜을 확실하게 정지시키는 로크 기술에 관한 것으로, 로크시의 덜거덕거림이나 이음의 발생을 방지하는 점에는 주목하고 있지 않으나, 이들 기술은 웜의 자세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웜을 웜 휠에 밀어붙이고 있어, 실질적으로 로크시의 백래시의 저감 기능도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웜과 웜 휠의 각 톱니의 제조 오차 등에 의해, 이 백래시는 반드시 일정한 것은 아니다. 또한, 사용에 의한 톱니의 마모나 변형 등에 의해서도 변화한다. 이 때문에, 서로 맞물리는 톱니와 톱니의 간극은, 백래시로 정의할 수 있는, 원활하게 동작시키는 데 적절한 클리어런스보다 커지는 경우가 있다. 그러면, 웜을 웜 휠에 대하여 밀어붙였다고 해도, 웜의 스러스트 방향을 따라서, 웜 및 웜 휠의 각 톱니 사이에는 큰 클리어런스가 발생되며, 그 클리어런스가 로크시의 덜거덕거림이나 이음 발생의 요인이 된다.
한편, 특허 문헌 4에는, 웜의 일단을 가동 베어링으로 지지하고, 가동 베어링측의 단부를 가압 스프링으로 가압하는 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가압 스프링에 의해 가동 베어링이 움직이기 때문에, 웜이 맞물려 있는 기어측으로 밀어붙여져서, 웜과 기어 사이의 백래시가 저감된다. 그러나, 가압 스프링의 탄성력(웜을 기어측 으로 밀어붙이고 있는 힘)은 웜의 회전 정지시뿐만 아니라, 회전 동작중에도 작용하는 구조이다. 회전 동작중에는 쌍방의 톱니 사이에는 적당한 백래시가 확보되어 있을 필요가 있으나, 특허 문헌 4의 경우에는, 웜의 회전 동작중에도 가압 스프링에 의해 웜이 계속 가압되기 때문에, 회전 동작중에 필요한 백래시를 확보할 수 없어, 웜의 움직임은 원활하지 않게 된다.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본 출원인은 웜의 로크 기능을 가질 뿐만 아니라, 로크시에 있어서, 웜의 스러스트 방향의 클리어런스도 없앨 수 있는 한편, 시트 백이 기울어질 때의 웜의 원활한 회전 동작을 저해하지 않는 기구로서, 특허 문헌 5에 다음과 같은 기구를 제안하고 있다.
즉, 특허 문헌 5에서는, 양단면에 오목부를 형성한 웜을 사용하고, 상기 웜과의 대향면에 오목부를 구비한 베어링을 브래킷에 고정하며, 웜과 베어링 사이에 볼을 장전한 웜 지지 기구를 채용하여, 시트 백을 소정의 경사각에서 정지시킬 때에는, 가압 수단에 의해 웜의 축 방향 타단측의 톱니부를 웜 휠에 밀어붙여서 로크하는 리클라이닝 어저스터를 제안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시트 백의 로크시에는, 웜은 축 방향 일단측을 중심으로 해서, 축 방향 타단측이 웜 휠측을 향하여 약간 회전하고, 축 방향 타단측의 볼은 오목부 내면을 따라서 약간 이동하기 때문에, 웜의 축심이 약간 경사진 상태에서 웜 휠에 밀어붙여진다. 이 결과, 볼에 의해 웜에는 축 방향 타단측에, 축 방향 일단 방향으로의 힘이 작용하여, 상기 웜은 그 스러스트 방향으로도 약간 변위한다. 이 때문에, 백래시를 없애는 것은 물론, 웜의 스러스트 방향의 클리어런스가 큰 경우라도, 이것을 없앨 수 있어, 이 클리어런스에 의해 야기된 시트 백의 덜거덕거림이나 이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시트 백이 기울어질 때에, 웜이 웜 휠에 가압되는 일은 없기 때문에, 동작중에 필요한 적당한 백래시는 그대로 확보되어, 웜의 회전 동작이 저해되는 일도 없다.
특허 문헌 1: 독일 특허 출원 공개 DE4422529A1호 공보
특허 문헌 2: 미국 특허 제5,590,562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8-38289호 공보
특허 문헌 4: 일본 실용신안 출원 소화 제56-126667호(일본 실용신안 공개 소화 제58-35175호) 명세서 및 도면
특허 문헌 5: 일본 특허 공개 제2003-319849호 공보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웜의 스러스트 방향을 따른 클리어런스는 웜이나 웜 휠마다, 제조 오차, 부착 오차 등에 의해 편차(variation)가 있다. 특허 문헌 5의 리클라이닝 어저스터의 경우, 볼이 오목부 내면을 따라 이동 가능한 범위에서 웜의 위치를 조정하여, 웜의 스러스트 방향의 클리어런스 등을 없앨 수 있는 것에 불과하다. 이 때문에, 특허 문헌 5의 리클라이닝 어저스터에서는, 클리어런스의 크기에 따라서는, 이에 충분히 대응할 수 없어, 여전히 덜거덕거림이 남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특허 문헌 1∼5의 기구는, 모두 회전 동작중인 웜에 대하여, 슬라이드 부재나 플레이트 부재 등이 직접 접촉해서, 그 마찰력으로 회전을 정지시키는 것이며, 웜의 회전중에 갑자기 슬라이드 부재 등이 접촉하여 저항이 커지기 때문에, 시트 백의 로크 시에 느끼는 착석자의 충격감 내지는 위화감이 비교적 크다. 또한, 슬라이드 부재나 플레이트 부재 등을 동작시키는 조작 레버는 손을 뗌으로써, 웜을 로크시키는 경우라도, 손을 완전히 떼는 것이 아니라, 조작 레버에 그대로 손을 대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에, 웜의 고속 회전중, 슬라이드 부재 등이 웜과 갑자기 접촉하면, 역시, 손에 충격감 내지는 위화감을 느낀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웜의 스러스트 방향의 클리어런스의 크기, 또는 웜과 웜 휠 사이의 클리어런스의 크기 등에 상관없이, 그리고 이들의 크기에 편차가 있다고 해도, 시트 백의 로크 시의 덜거덕거림을 종래보다도 저감할 수 있는 리클라이닝 어저스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시트 백의 로크 시에 느끼는 착석자의 위화감을 저감하고, 로크 조작할 때의 조작 레버의 조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리클라이닝 어저스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고정측 브래킷에 대하여, 시트 백 프레임에 연결되는 가동측 브래킷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시트 백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리클라이닝 어저스터로서, 상기 고정측 브래킷과 가동측 브래킷 중 어느 한쪽에 지지된 웜과, 이 웜과 맞물리며, 상기 고정측 브래킷과 가동측 브래킷 중 어느 다른 쪽에 지지된 웜 휠을 구비하고, 상기 웜의 축 방향 일단은 상기 고정측 브래킷 또는 가동측 브래킷에 고정된 고정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고, 축 방향 타단은, 상기 고정측 브래킷 또는 가동측 브래킷에 장착되고 웜의 축 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가동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며, 시트 백을 소정의 경사각에서 유지할 때에, 상기 가동 베어링을 웜 휠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고정 베어링측의 단부를 중심으로 해서 웜의 축심을 경사지게 하여, 상기 웜을 웜 휠에 밀어붙여서, 마찰력에 의해 웜의 회전 속도를 억제하는 가압 부재와, 상기 가압 부재에 의해 회전 속도가 억제된 후에, 상기 웜과 결합하여, 웜을 회전 불가능하게 로크하는 결합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닝 어저스터를 제공한다.
상기 고정 베어링과 웜의 각 대향면 및 상기 가동 베어링과 웜의 각 대향면에는 각각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웜은 서로 대향하는 각 오목부 사이에 수납된 볼을 통하여 지지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각 오목부는 내면에 테이퍼면을 구비한 대략 사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동 베어링에 형성된 오목부는, 내면에 테이퍼면을 구비한 대략 사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가동 베어링의 가동 방향을 따라서 긴 장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동 베어링에 형성된 오목부에서, 장공 중 중심보다 하방의 부분은, 정면에서 봤을 때, 원형 구멍의 직경에 상당하는 부분보다도 약간 좁아지는 폭으로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웜은 상기 고정 베어링 및 가동 베어링과의 대향면에 형성된 볼록부를 가지며, 상기 볼록부는 상기 고정 베어링 및 가동 베어링에서의 웜과의 대향면에 형성된 오목부에 결합되는 구조로 해도 좋다.
또한, 상기 가압 부재는, 가동 베어링에 접촉하는 그 가압부가, 고정 베어링측을 향한 위치로부터 가동 베어링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스프링 부재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압박되는 캠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캠과 동일한 방향으로 스프링 부재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압박되는 래치 부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캠과 래치 부재는 다른 스프링 부재에 의해 압박되고, 시트 백을 소정의 경사각에서 유지할 때에는, 캠을 압박하는 스프링 부재의 탄성력이 기능하여, 우선 캠이 가동 베어링을 가압하고, 이어서, 래치 부재가 웜과 결합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동 베어링에 접하는 상기 캠의 가압부는, 웜과 결합하는 상기 래치 부재의 결합부보다도 상기 각 스프링 부재에 의해 복귀 동작하는 방향을 따라서 선행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래치 부재는 회전 중심보다도 하방에서, 회전 방향을 따라서 전후 방향으로 긴 장공으로 이루어지는 장공 형상의 축 핀 삽입 관통 구멍을 갖고, 상기 캠은 회전 중심보다도 하방에서 원형의 축 핀 삽입 관통 구멍을 가지며, 상기 래치 부재의 장공 형상의 축 핀 삽입 관통 구멍과 상기 캠의 원형의 축 핀 삽입 관통 구멍에는 공통의 축 핀이 삽입 관통되어 있고, 상기 래치 부재는 조작 레버에 연결되어, 조작 레버의 동작 방향에 따라서, 상기 웜과 결합하는 방향 또는 비결합 방향으로 동작하며, 상기 조작 레버가 일방향으로 동작하면, 상기 래치 부재를 압박하는 스프링 부재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래치 부재가 비결합 방향으로 동작하고, 상기 축 핀이 상기 장공 형상의 축 핀 삽입 관통 구멍의 구멍벽을 가압하여, 상기 래치 부재와 함께 상기 캠도 같이 비결합 방향으로 동작되는 한편, 상기 조작 레버가 타방향으로 동작하여, 상기 축 핀이 상기 장공 형상의 축 핀 삽입 관통 구멍의 대략 중앙 위치로 복귀하면, 상기 스프링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캠 및 래치 부재가 복귀 동작하며, 복귀 동작하는 방향을 따라서 선행하여 위치하는 캠이 상기 가동 베어링을 가압하고, 이어서, 래치 부재가 상기 웜과 결합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웜 중, 가동 베어링측의 단부만을, 윔 휠측으로 밀어붙이는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상기 가동 베어링측의 단부에만 결합 가능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웜의 가동 베어링측의 단부의 톱니부 둘레면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래치 부재는 상기 결합홈과 결합 가능한 결합부를 구비하고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시트 백에 후방 모멘트가 부가되어, 상기 웜이 상기 웜 휠을 통하여 회전하려고 하면, 상기 웜의 결합홈에 결합하고 있는 상기 래치 부재의 결합부가 상기 결합홈에 한층 깊게 결합하는 방향으로 힘이 전달되도록 상기 래치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르면, 시트 백을 소정의 경사각에서 정지시키면, 가압 부재에 의해, 가동 베어링이 가압되어, 웜 휠측으로 접근한다. 이에 따라, 가동 베어링의 오목부 내에 배치되어 있는 볼(또는 볼을 대신하여 웜으로부터 돌출하는 볼록부를 채용한 경우는 상기 볼록부)이 가동 베어링의 오목부 내면에 의해 가압되어, 가동 베어링과 함께 웜을 웜 휠측으로 밀어붙인다. 이 때문에, 웜과 웜 휠 사이의 백래시가 작아지고, 상기 백래시의 크기 등에 따라서는 이러한 백래시는 없어지게 된다 휠에 접근하기 때문에, 웜은 고정 베어링측을 중심으로 해서 약간 회전하도록 동작하고, 상기 웜이 통상적으로 회전 동작할 때의 축심 위치와 비교할 때, 상기 축심은 비스듬히 경사지도록 변화한다. 이 결과, 가동 베어링에 의해 가압되는 볼은 웜을 고정 베어링측으로도 밀어붙이게 되어, 웜의 스러스트 방향의 클리어런스도 작아지고, 상기 클리어런스의 크기 등에 따라서는 이러한 클리어런스도 없어지게 된다. 이렇게 해서, 가동 베어링이 가압 부재에 의해 가압되면, 가압 부재와 웜 사이의 마찰력이 높아져서, 웜의 회전 속도가 저하된다. 웜의 회전이 억제되면, 이어서 결합 부재가 웜과 결합하여, 웜의 회전이 확실하게 저지되고, 그 상태가 유지된다.
이 결과, 백래시 및 웜의 스러스트 방향의 클리어런스가 작아지거나, 또는 없어져서, 덜거덕거림이 억제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고정 베어링만으로 웜을 지지하고 있던 구조와 비교한 경우, 사용하는 부품 또는 부착 오차 등에 의해 야기되는, 웜의 스러스트 방향의 클리어런스의 크기, 또는 웜과 웜 휠과의 클리어런스의 크기 등에 편차가 있다고 해도, 이들에 영향을 받지 않고, 쌍방의 클리어런스가 매우 작아지거나, 클리어런스가 없어질 때까지 가동 베어링이 이동한다. 이 때문에, 종래보다 확실하게, 시트 백의 로크 시의 덜거덕거림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결합 부재가, 웜 중, 가동 베어링측의 단부에만, 가압 부재에 의해 가동 베어링이 가압되는 방향과 대략 동일한 방향에서 가압하면서 결합하는 구조로 하면, 가동 베어링이 이동한 후, 가동 베어링의 오목부 내에 배치되어 있는 볼 또는 웜에 형성된 볼록부는, 오목부 내에서 여유가 있는 한, 상기 오목부 내면을 따라서 웜 휠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약간 더 이동한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으로 한 경우에는, 이 결합 부재는, 단순히, 웜의 회전을 완전히 정지시키는 부재로서 기능할 뿐만 아니라, 가동 베어링의 가동 범위에서는 완전히 조정할 수 없는 경우(즉, 백래시나 스러스트 방향의 클리어런스가 제로가 되지 않는 경우)에는, 웜의 축심을 약간이지만, 고정 베어링측을 중심으로 해서 더 회전시켜, 웜을 비스듬히 경사지게하여 웜의 백래시 및 스러스트 방향의 클리어런스를 더욱 작게 하여 제로로 하는 기능을 겸비할 수 있으며, 시트 백의 로크 시에 발생된 덜거덕거림이나 이음 발생 등의 억제 효과를 한층 향상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웜의 고속 회전중에 결합 부재는 웜과 직접 결합하는 일이 없고, 가압 부재에 의해 회전 속도가 억제된 후에 결합하기 때문에, 결합 부재의 결합시의 착석자가 느끼는 위화감이 없으며, 웜의 고속 회전중에 결합 부재가 웜과 갑자기 결합한 경우와 비교하면, 결합시에 발생하는 소리도 작아진다. 또한, 시트 백을 기울어지게 하는 중에, 가압 부재나 결합 부재를 조작하는 조작 레버에 손을 댄 채 행하는 것이 통상이지만, 본 발명에서는, 우선, 가압 부재의 움직임에 의한 마찰력에 의해 웜의 회전이 억제되고, 이어서 결합 부재에 의한 결합시의 마찰력에 의해 웜의 회전이 완전히 정지되게 되기 때문에, 갑자기 완전히 정지시키는 종래의 기구와 달리, 손에 전해지는 조작감이 단계적이며 매끄러워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리클라이닝 어저스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리클라이닝 어저스터의 조립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리클라이닝 어저스터의 조립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리클라이닝 어저스터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의 (a)는 본 발명의 리클라이닝 어저스터에서 시트 백을 로크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5(b)는 기울어지게 동작 가능한 상태의 시트 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의 (a) 및 도 6의 (b)는 웜의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리클라이닝 어저스터 1, 2: 고정측 브래킷
3: 가동측 브래킷 4: 웜
4a, 4b: 오목부 4c: 결합홈
5: 웜 휠 11: 고정 베어링
12: 가동 베어링 11a, 12a: 오목부
13, 14: 볼 21, 22: 캠
21c, 22c: 가압부 23: 래치 부재
23c: 결합부 27, 29: 코일 스프링
40: 조작 레버
이하, 도면에 도시한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리클라이닝 어저스터(A)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그 조립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3은 정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클라이닝 어저스터(A)는 시트 쿠션(도시하지 않음) 등에 부착되며, 대면 배치되는 한 쌍의 고정측 브래킷(1, 2)과, 시트 백의 백 프레임(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되는 가동측 브래킷(3)을 구비하고 있다.
고정측 브래킷(1, 2)에는, 웜(4)을 지지하기 위한 대략 직사각형의 웜용 지지 구멍(1a, 2a)이 형성되어 있다. 웜용 지지 구멍(1a, 2a)의 각 단부 부근에는, 대략 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단면에 오목부(11a, 12a)를 갖는 고정 베어링(11) 및 가동 베어링(12)이 지지된다. 즉, 오목부(11a, 12a)끼리를 서로 대향시킨 상태에서, 한쪽의 단 가장자리(11b, 12b)를 한쪽의 웜 지지 구멍(1a) 내에 위치시키고, 다른 쪽의 단 가장자리(11c, 12c)를 다른 쪽의 웜 지지 구멍(2a) 내에 위치시켜서 배치된다. 단, 고정 베어링(11)은 각 단 가장자리(11b, 11c)가 웜용 지지 구멍(1a, 2a)에 끼워 맞춰졌을 때에 상하 이동하지 않는 크기로 형성되고, 가동 베어링(12)은 각 단 가장자리(12b, 12c)가 웜용 지지 구멍(1a, 2a)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다소 상하로 동작하는 여유를 갖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웜(4)의 각 단면에는 오목부(4a, 4b)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오목부(4a, 4b)는 상기한 고정 베어링(11)의 오목부(11a) 및 가동 베어링(12)의 오목부(12a)와 각 각 대면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웜(4)의 한쪽의 오목부(4a)와 고정 베어링(11)의 오목부(11a)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그리고 웜(4)의 다른 쪽의 오목부(4b)와 가동 베어링(12)의 오목부(12a)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는, 각각 볼(13, 14)이 수용된다. 이에 따라, 웜(4)은 볼(13, 14)을 통하여 고정 베어링(11)과 가동 베어링(12)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여기에서, 웜(4)의 각 단면에 형성한 오목부(4a, 4b), 고정 베어링(11)에 형성한 오목부(11a) 및 가동 베어링(12)에 형성한 오목부(12a)는, 모두 대략 사발 형상으로 형성되며, 대략 중앙부를 최심부로 하는 테이퍼 형상의 내면을 갖는 다(도 4 참조). 이 때문에, 공간 내에서 어느 하나의 볼(13, 14)이 회전하여 이동하려고 하는 경우, 볼이 미끄러지는 방향에 관계없이, 고정 베어링(11)의 오목부(11a) 또는 가동 베어링(12)의 오목부(12a)로부터, 대향하는 웜(4)의 오목부(4a) 또는 오목부(4b)를 축 방향으로 가압하는 힘이 작용한다. 단, 가동 베어링(12)의 오목부(12a)는 도 1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면에서 봤을 때, 원형 구멍이 아니라, 세로 방향(가동 베어링(12)의 동작 방향을 대략 따르는 방향)으로 긴 장공 형상(대략 타원형 또는 대략 계란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장공의 중심보다 하방의 부분은 원형 구멍의 직경에 상당하는 부분보다도 약간 좁아지는 폭으로,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결과, 가동 베어링(12)이 밀어 올려지면, 오목부(12a)의 내면에 의해, 볼(14)이 좌우로 어긋남 없이 하방으로부터 가압되고, 웜(4)의 다른 쪽의 오목부(4b)의 내면이 상방으로 가압되며, 고정 베어링(11)측(볼(13))을 중심으로 해서, 가동 베어링(12)측에 위치하는 상기 웜(4) 의 단부가 웜 휠(5)측에 근접하도록 약간 회전하며, 즉 볼(13)을 중심으로 해서 웜(4)의 단부가 회전한다.
가동측 브래킷(3)은 고정측 브래킷(1)의 한쪽에 중첩되고, 고정측 브래킷(1)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축 부재(7)에 의해, 고정측 브래킷(1)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이 축 부재(7)에는 웜(4)과 맞물리는 웜 휠(5)이 고착되어 있다. 따라서, 웜 휠(5)은 시트 백 프레임에 연결되는 가동측 브래킷(3)의 회전에 의해, 상기 축 부재(7)를 통하여 함께 회전한다. 또, 웜(4)은 웜 휠(5)과 마찰각 이상의 리드각(lead angle)을 갖고 있다. 또한, 웜 휠(5)로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전체 둘레에 톱니부를 갖는 헬리컬 기어(helical gear)여도 좋고, 섹터 기어여도 좋다.
다음으로, 가동 베어링(12) 및 웜(4)을 로크하는 가압 부재 및 결합 부재에 대하여 설명한다. 가압 부재는 2장의 캠(21, 22)을 가지고 이루어지며, 결합 부재는 래치 부재(23)로 구성되고, 2장의 캠(21, 22)과 래치 부재(23)는 2장의 캠(21, 22) 사이에 래치 부재(23)를 끼운 상태에서, 2장의 고정측 브래킷(1, 2) 사이의 샤프트 부재(30)에 의해 지지된다. 구체적으로는, 2장의 캠(21, 22)에는 원형의 샤프트 삽입 관통 구멍(21a, 22a)이 형성되고, 래치 부재(23)에는 서로 평행한 한 쌍의 내면을 갖고 대략 장공 형상인 이형(異形) 샤프트 삽입 관통 구멍(23a)이 형성되어 있다. 샤프트 부재(30)는 일단측에 단면 원형의 대직경 원통 형부(31)를 갖고, 그 인접한 부분에, 일부를 잘라낸 평탄면을 갖는 이형부(32)를 가지며, 상기 이형부(32)에 인접하여 소직경 샤프트부(33)를 갖고 있다. 소직경 샤프트부(33)는 한쪽 의 고정측 브래킷(1)에 삽입되고, 다른 쪽의 고정측 브래킷(2)의 외측으로부터 삽입되는, 조작 레버(40)의 기단부에 형성한 원통 형상 돌기(41) 내에 끼워 맞춰진다. 그리고, 샤프트 부재(30)의 대직경 원통 형부(31)의 외주에 한쪽의 캠(21)의 샤프트 삽입 관통 구멍(21a)이 위치하고, 이형부(32)에는 래치 부재(23)의 이형 샤프트 삽입 관통 구멍(23a)이 위치하며, 조작 레버(40)의 원통 형상 돌기(41)의 외주에는 다른 쪽의 캠(22)의 샤프트 삽입 관통 구멍(22a)이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조작 레버(40)를 회동시킨 경우에는, 샤프트 부재(30)의 대직경 원통 형부(31) 및 조작 레버(40)의 원통 형상 돌기(41)는, 각 캠(21, 22)의 샤프트 삽입 관통 구멍(21a, 22a) 내에서 공전(空轉)하므로, 직접적으로는, 이형 샤프트 삽입 관통 구멍(23a)이 이형부(32)에 끼워 맞춰져 있는 래치 부재(23)에만 회전력이 전달된다.
캠(21, 22)은 대략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부가 가동 베어링(12)을 가압하는 가압부(21c, 22c)로 되어 있고, 그 대략 중앙부에 회전 중심이 되는 상기의 샤프트 삽입 관통 구멍(21a, 22a)이 형성되며, 또한, 그 하부의 전단측에는, 원형의 축 핀 삽입 관통 구멍(21b, 22b)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래치 부재(23)는 상단부가 웜(4)을 가압하며, 후술하는 결합홈(4c)과 결합하는 결합부(23c)로 되어 있다. 또한, 그 대략 중앙부에 회전 중심이 되는 상기의 이형 샤프트 삽입 관통 구멍(23a)이 형성되고, 그 하부에는, 래치 부재(23)의 회전 방향을 따라서 전후 방향으로 긴 장공으로 이루어지는 장공 형상의 축 핀 삽입 관통 구멍(23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축 핀 삽입 관통 구멍(21b, 22b) 및 장공 형상의 축 핀 삽입 관통 구멍(23b)에는 축 핀(25)이 삽입 관통된다. 또한, 캠(21, 22) 하부의 후단측에는, 스프링 연결축(26)을 장착하는 구멍(21d, 22d)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 연결축(26)의 각 단부가 상기 구멍(21d, 22d)에 삽입되며, 그 중앙부가 캠용의 스프링 부재인 코일 스프링(27)의 일단에 결합된다. 코일 스프링(27)의 타단은 고정측 브래킷(1, 2) 하부의 후단측(도 1의 전방측) 부근에 설치한 고정측 스프링 연결축(28)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코일 스프링(27)은 정상적인 상태에서, 캠(21, 22) 하부의 후단측을 도 1의 전방측(도 4의 화살표 X방향)으로 잡아당겨서, 가압부(21c, 22c)가 항상 가동 베어링(12)을 가압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캠(21, 22)은 그 가압부(21c, 22c)가 고정 베어링(11)측을 향한 위치로부터 그 가압부(21c, 22c)가 가동 베어링(12)과 접촉하는 방향(즉, 도 4의 화살표 X방향)으로, 코일 스프링(27)에 의해 압박되고, 래치 부재(23)도 상기 캠(21, 22)과 동일한 방향으로 후술하는 코일 스프링(29)에 의해 압박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코일 스프링(27, 29)에 의해 복귀 동작하는 방향(즉, 도 4의 화살표 X방향)을 따라서, 캠(21, 22)의 가압부(21c, 22c)는 래치 부재(23)의 결합부(23c)보다도, 선행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도 5(b) 참조). 캠(21, 22)의 가압부(21c, 22c)가 래치 부재(23)의 결합부(23c)보다도 선행하는 위치에 설정하기 위해서는, 캠(21, 22) 또는 래치 부재(23)의 형상을 고안함으로써 설정할 수도 있고, 샤프트 부재(30)에의 부착 각도의 조정에 의해 설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설정됨으로써, 캠(21, 22) 및 래치 부재(23)가 복귀 동작했을 때에, 초기에는 캠(21, 22)이 가동 베어 링(12)에 접촉하여 움직이게 하고, 이어서, 래치 부재(23)가 웜(4)과 결합한다.
또, 고정측 스프링 연결축(28)에는, 래치 부재(23)용의 스프링 부재로서 기능하며 조작 레버(4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프링 부재로서도 기능하는 다른 코일 스프링(29)의 일단이 결합되어 있고, 그 코일 스프링(29)의 타단은 조작 레버(40)의 기단부에 형성된 스프링 결합 구멍(43)에 결합되어, 코일 스프링(29)은 조작 레버(40)의 선단부(40a)를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하방으로 탄성적으로 압박하고 있다.
따라서, 조작 레버(40)의 선단부(40a)를 다른 쪽의 코일 스프링(29)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들어올리면, 래치 부재(23)가 도 4의 화살표 Y방향(비결합 방향)으로 회동하고, 축 핀(25)이 장공 형상의 축 핀 삽입 관통 구멍(23b) 내에서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상기 장공 형상의 축 핀 삽입 관통 구멍(23b)의 구멍벽(내벽), 특히, 상기 구멍벽 중 하측에 위치하는 부위를 가압한다. 그러면, 축 핀(25)이 축 핀 삽입 관통 구멍(21b, 22b)에 삽입 관통되어 있기 때문에, 축 핀이 상기 축 핀 삽입 관통 구멍(21b, 22b)의 구멍벽을 가압해서, 한쪽의 코일 스프링(27)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캠(21, 22)을 마찬가지로 도 4의 화살표 Y방향으로 회동시킨다. 한편, 조작 레버(40)를 원래대로 되돌려서, 축 핀(25)이 래치 부재(23)의 장공 형상의 축 핀 삽입 관통 구멍(23b)의 대략 중앙 위치로 복귀하면, 한쪽의 코일 스프링(27)은 즉시 복귀 동작하여, 캠(21, 22)을 도 4의 화살표 X방향으로 압박한다. 래치 부재(23)에는 한쪽의 코일 스프링(27)의 탄성력이 기능하지 않기 때문에, 조작 레버(40)는 다른 쪽의 코일 스프링(29)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는 동작에 따라 도 4의 화살표 X방향(결합 방향)으로 회동한다.
가동 베어링(12)은 상기와 같이 웜용 지지 구멍(1a, 2a)의 일단측에서 상하로 여유를 가지고 장전되어 있으나, 고정측 브래킷(1, 2) 사이에서 하방으로 돌출하는 돌출편(12d, 12e)을 갖고 있고, 캠(21, 22)의 가압부(21c, 22c)는 이 돌출편(12d, 12e)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웜(4)의 적어도 일부의 톱니부의 둘레면에는 결합홈(4c)이 형성되어 있으며, 결합 부재를 구성하는 래치 부재(23)의 결합부(23c)는, 이러한 결합홈(4c)과 결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결합홈(4c)은 웜(4) 중, 가동 베어링(12)측의 단부의 톱니부 둘레면에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래치 부재(23)의 결합부(23c)는 이 가동 베어링(12)측의 단부의 결합홈(4c)과 결합함으로써, 웜(4)은 가압 부재인 캠(21, 22)에 의해 가동 베어링(12)이 가압되는 방향과 대략 동일한 방향에서 가압되게 된다.
다음으로, 이러한 구성의 리클라이닝 어저스터(A)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시트 백의 경사각을 변경하고 싶은 경우는, 조작 레버(40)를 조작해서, 다른 쪽의 코일 스프링(29)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도 1의 화살표 b방향으로 그 선단부(40a)를 들어올린다. 그러면, 조작 레버(40)에 연결된 샤프트 부재(30)가 도 4의 화살표 Y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샤프트 부재(30)의 이형부(32)에 결합하고 있는 래치 부재(23)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캠(21, 22)은 샤프트 부재(30)의 대직경 원통 형부(31) 및 조작 레버(40)의 원통 형상 돌기(41) 주위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래치 부재(23)와 달리, 샤프트 부재(30)가 회전하기 시작해도 즉시 회전하지는 않는다. 래치 부재(23)가 소정 각도 회전하면, 래치 부재(23)에 형성한 장공 형상의 축 핀 삽입 관통 구멍(23b) 내에 삽입 관통된 축 핀(25)의 상대 위치가 변화하여, 상기 장공 형상의 축 핀 삽입 관통 구멍(23b)의 구멍벽을 가압함으로써, 캠(21, 22)이 마찬가지로 도 4의 화살표 Y방향으로 회동한다. 이에 따라,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치 부재(23)의 결합부(23c)와 웜(4)의 결합홈(4c)의 결합 상태가 해제되고, 캠(21, 22)에 의한 가동 베어링(12) 상의 가압력도 해제되기 때문에, 웜(4)은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웜(4)은 이와 맞물리는 웜 휠(5)과의 마찰각 이상의 리드각을 갖기 때문에, 웜 휠(5)의 회전에 따라 회전한다.
원하는 위치에서 조작 레버(40)의 선단측으로부터 손을 떼면, 코일 스프링(29)의 탄성력에 의해, 조작 레버(40)의 선단부(40a)가 도 1의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하여, 레버는 원위치로 복귀된다. 조작 레버(40)가 원위치로 복귀하려고 하면, 축 핀(25)은 래치 부재(23)의 장공 형상의 축 핀 삽입 관통 구멍(23b)의 대략 중앙 위치로 복귀한다. 이에 따라, 캠(21, 22)을 도 4의 화살표 Y방향으로 가압하고 있던 힘이 해제되기 때문에, 한쪽의 코일 스프링(27)이 복귀 동작하여, 캠(21, 22)을 도 4의 화살표 X방향으로 압박한다. 그리고,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21, 22)의 가압부(21c, 22c)는 가동 베어링(12)의 돌출편(12c, 12d)을 하방으로부터 밀어 올려서, 웜(4)을 웜 휠(5)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가압한다. 즉, 가동 베어링(12)이 밀어 올려지면, 가동 베어링(12)의 오목부(12a)는 하방이 약간 좁아지는 폭을 가진 장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오목부(12a)의 내면에 의해 볼(14)을 하방으로부터 가압한다. 그러면, 볼(14)이 웜(4)의 다른 쪽의 오목부(4b) 의 내면을 상방으로 가압하여, 웜 휠(5)측에 근접시키게 된다. 이때, 볼(14)이 오목부(4a) 내에서 상방으로 이동하려고 하기 때문에, 고정 베어링(11)측의 볼 부재(13)를 중심으로 해서, 상기 가동 베어링(12)측에 위치하는 웜(4)의 단부(즉, 오목부(4b)가 형성되어 있는 측의 단부)가 웜 휠(5)측에 접근하도록 눌리고, 그 결과, 약간 회전하도록 움직여서, 웜(4)의 축심은 가동 베어링(12)이 캠(21, 22)에 의해 가압되기 전과 비교하여, 약간 기운 상태가 되려고 한다. 즉, 웜(4)은 도 6의 (a)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위되고, 웜(4)의 축심(X)이 약간 기운다. 이에 따라, 웜(4)에는, 볼(14)에 의해 고정 베어링(11)측으로 밀어붙이는 힘이 작용한다. 웜(4)의 회전 각도(또는, 축심의 경사 각도)는 웜(4)과 웜 휠(5)과의 백래시의 크기, 그리고 웜(4) 및 웜 휠(5)의 각 톱니 간의 마모 등에 의한 스러스트 방향의 클리어런스의 크기에 따라 다르고, 이러한 크기가 클수록, 웜(4)의 회전 각도(또는, 축심의 경사 각도)는 커진다. 이때,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동 베어링(12)이 상방으로 이동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웜(4)의 회전 각도(또는, 축심의 경사 각도)를 상기 백래시나 클리어런스의 크기에 따라서, 종래보다도 크게 취할 수 있으며, 웜(4)이나 웜 휠(5)에, 큰 치수 오차나 부착 오차가 있었다고 해도, 그것을 흡수하여, 웜(4)의 스러스트 방향의 클리어런스 등을 작게 할 수 있다. 또는, 웜(4) 등의 치수 오차 등에 대해서는, 가동 베어링(12)의 이동만으로, 백래시 또는 스러스트 방향의 클리어런스 등을 없앨 수 있다. 그리고, 이 클리어런스에 의해 야기된 시트 백의 덜거덕거림이나 이음의 발생도 동시에 억제할 수 있으며, 착석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가동 베어링(12)이 캠(21, 22)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웜(4)의 스러스트 방향의 클리어런스 등이 저감되거나, 거의 완전히 없어지지만,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이, 캠(21, 22)의 가압부(21c, 22c)가 래치 부재(23)의 결합부(23c)보다도, 화살표 X방향을 따라서 선행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캠(21, 22)이 가동 베어링(12)을 가압한 후, 조작 레버(40)는 다른 쪽의 코일 스프링(29)의 탄성력에 의해 그 결합부(23c)가 웜(4)의 결합홈(4c)에 결합한다(도 5의 (a) 참조). 이에 따라, 웜(4)의 회전이 저지되어, 확실하게 로크 된다. 또한, 이 결합홈(4c)은 웜(4) 중, 가동 베어링(12)측의 단부에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래치 부재(23)는 도 4의 화살표 X방향으로 회동해서 결합하여 웜(4)의 회전을 정지시킬 뿐만 아니라, 웜(4)의 가동 베어링(12)측의 단부를 웜 휠(5)측으로 가압하는 기능을 겸비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가동 베어링(12)이 캠(21, 22)에 의해 가압된 상태에서는, 볼(14)은 가동 베어링(12)의 장공 형상의 오목부(12a) 내에서, 하방 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오목부(12a) 내에는 볼(14)이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스페이스가 존재하고 있다. 가동 베어링(12)이 가압됨으로써 백래시나 상기의 스러스트 방향의 클리어런스가 대략 제로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래치 부재(23)에 의해 가압되어도 상기 볼(14)은 거의 움직이지 않으나, 이 단계에서, 가동 베어링(12)의 움직임에 의해서는 완전히 해소할 수 없는 클리어런스 등이 존재하고 있다고 하면, 래치 부재(23)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상기 볼(14)이 오목부(12a) 내를 약간 상방으로 이동한다. 이 결과, 웜(4)은 고정 베어링(11)측(볼(13))을 중심으로 해서, 약간이지만 더 회전 동작하기 때문에, 잔존하고 있는 스러스트 방향의 클리 어런스 등을 더욱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캠(21, 22)의 작용에 의해 웜(4)이 고정 베어링(11)측(볼(13))을 중심으로 해서 약간 회전하도록 웜 휠(5)에 밀어붙여지면, 이 단계에서, 우선 양자 간의 마찰력에 의해, 웜(4)의 회전 속도가 감속된다. 그리고, 래치 부재(23)의 결합부(23c)는, 웜(4)의 회전이 이와 같이 억제된 후에 결합한다. 이 때문에, 래치 부재(23)는 웜(4)이 고속 회전중에 직접 결합하는 일이 없으며, 결합시의 이음의 발생이 억제된다. 또한, 웜(4)이 단계적으로 감속되기 때문에, 소정의 스피드로 기울어지게 동작시키던 시트 백이 소정의 각도에서 갑자기 정지하는 일이 없으며, 기울어지는 동작의 정지시에 받는 착석자의 충격이 완화되어, 기울어지는 동작 시의 착석감도 향상된다.
또한, 조작 레버(40)를 수동으로 동작시켜서, 시트 백을 소정의 기울어짐 각도에서 로크하고자 하는 경우, 착석자는 조작 레버(40)를 즉시 놓는 것이 아니라, 조작 레버(40)에 손을 댄 상태에서 기울어짐 각도가 적합한지의 여부를 착석감을 확인하면서 행하는 경우가 많으나, 이러한 경우, 본 실시형태에서는, 캠(21, 22)의 작용에 의해 웜(4)이 감속되고, 그 후, 래치 부재(23)의 결합에 의해 정지하기 때문에, 착석자가 등 등에서 느끼는 착석감 뿐만 아니라, 조작 레버(40)를 통하여 전해지는 손의 조작감도 원활해진다.
또한, 시트 백에 후방 모멘트가 부가되어, 웜(4)이 웜 휠(5)을 통하여 회전하려고 하면, 웜(4)의 결합홈(4c)에 결합된 래치 부재(23)의 결합부(23c)는 상기 결합홈(4c)에 한층 깊게 결합하는 방향으로 힘이 전달되도록, 래치 부재(23)가 설 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트 백에 후방 모멘트가 부가되면, 웜 휠(5)을 통하여, 웜(4)이 도 5의 (a)의 D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한다. 이 때문에, 웜(4)의 결합홈(4c)과 결합하고 있는 래치 부재(23)의 결합부(23c)는, 도 4 및 도 5의 (a)의 X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한다. 그러나, X방향으로 회전하면, 결합부(23c)는 결합홈(4c)에 한층 깊게 파고들어 간다. 시트 백을 기울어지게 조정할 때에는 통상, 착석자는 등으로 시트 백을 가압하면서 조정한다. 따라서, 래치 부재(23)를 이와 같이 설치한 경우, 시트 백을 조정할 때에, 후방으로의 모멘트가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조작 레버(40)로부터 손을 떼면, 그 시점에서, 결합부(23c)는 결합홈(4c)에 즉시 깊게 파고들고 있다. 가령, 시트 백에 후방 모멘트가 작용했을 때에, 화살표 X방향으로의 힘이 작용하도록 래치 부재(23)를 설치하고 있지 않은 경우, 조작 레버(40)로부터 손을 뗀 시점에서는, 결합부(23c)가 결합홈(4c)에 깊게 파고들지 않으며, 어중간한 상태에 있을 가능성이 있으나, 그 경우에는, 시트 백에 후방 모멘트가 더 가해지면, 결합부(23c)가 어중간한 상태에서 결합홈(4c)으로 깊게 파고들기 때문에, 그때에 작동음이 발생한다. 또한, 어떠한 원인으로, 코일 스프링(29)이 기능하지 않게 되어 있는 상태에서, 후방 충돌 또는 전방 충돌에 의해, 시트 백의 후방에 큰 부하가 가해진 경우에도, 래치 부재(23)를 상기와 같이 설치하면, 가령 코일 스프링(29)이 기능하지 않아도 래치 부재(23)의 결합부(23c)가 웜(4)의 결합홈(4c)에 깊게 파고들기 때문에, 로크가 용이하게는 해제되는 일은 없다.
또,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웜(4)의 각 단면에 형성한 오목부(4a, 4b), 고 정 베어링(11)에 형성한 오목부(11a) 및 가동 베어링(12)에 형성한 오목부(12a)의 각 대향면 사이에 볼(13, 14)을 수용하여 지지하고 있는 구성이지만, 웜(4)의 각 단면에 볼록부(도시하지 않음)를 형성하고, 상기 볼록부가 고정 베어링(11)에 형성한 오목부(11a) 및 가동 베어링(12)에 형성한 오목부(12a)과 결합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Claims (13)

  1. 고정측 브래킷에 대하여, 시트 백 프레임에 연결되는 가동측 브래킷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시트 백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리클라이닝 어저스터로서,
    상기 고정측 브래킷과 가동측 브래킷 중 어느 한쪽에 지지된 웜과, 이 웜과 맞물리며, 상기 고정측 브래킷과 가동측 브래킷 중 어느 다른 쪽에 지지된 웜 휠을 구비하고,
    상기 웜의 축 방향 일단은 상기 고정측 브래킷 또는 가동측 브래킷에 고정된 고정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고, 축 방향 타단은, 상기 고정측 브래킷 또는 가동측 브래킷에 장착되고 웜의 축 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가동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며,
    시트 백을 소정의 경사각에서 유지할 때에, 상기 가동 베어링을 웜 휠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고정 베어링측의 단부를 중심으로 해서 웜의 축심을 경사지게 하여, 상기 웜을 웜 휠에 밀어붙여서, 마찰력에 의해 웜의 회전 속도를 억제하는 가압 부재와,
    상기 가압 부재에 의해 회전 속도가 억제된 후에, 상기 웜과 결합하여, 웜을 회전 불가능하게 로크하는 결합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닝 어저스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베어링과 웜의 각 대향면 및 상기 가동 베어링과 웜의 각 대향면에는 각각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웜은 서로 대향하는 각 오목부 사이에 수납된 볼을 통하여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닝 어저스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오목부는 내면에 테이퍼면을 구비한 대략 사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닝 어저스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베어링에 형성된 오목부는, 내면에 테이퍼면을 구비한 대략 사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가동 베어링의 가동 방향을 따라서 긴 장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닝 어저스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베어링에 형성된 오목부에서, 장공 중 중심보다 하방의 부분은, 정면에서 봤을 때, 원형 구멍의 직경에 상당하는 부분보다도 약간 좁아지는 폭으로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닝 어저스터.
  6. 제1항, 제4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웜은 상기 고정 베어링 및 가동 베어링과의 대향면에 형성된 볼록부를 갖고, 상기 볼록부는 상기 고정 베어링 및 가동 베어링에서의 웜과의 대향면에 형성된 오목부에 결합됨으로써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닝 어저스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는, 가동 베어링에 접촉하는 가압부가, 고정 베어링측을 향한 위치로부터 가동 베어링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스프링 부재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압박되는 캠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캠과 동일한 방향으로, 스프링 부재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압박되는 래치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닝 어저스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캠과 래치 부재는 다른 스프링 부재에 의해 압박되고, 시트 백을 소정의 경사각에서 유지할 때에는, 캠을 압박하는 스프링 부재의 탄성력이 기능하여, 우선 캠이 가동 베어링을 가압하고, 이어서, 래치 부재가 웜과 결합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닝 어저스터.
  9. 제8항에 있어서, 가동 베어링에 접하는 상기 캠의 가압부는 상기 웜과 결합하는 상기 래치 부재의 결합부보다도, 상기 각 스프링 부재에 의해 복귀 동작하는 방향을 따라서 선행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닝 어저스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부재는 회전 중심보다도 하방에서, 회전 방향을 따라서 전후 방향으로 긴 장공으로 이루어지는 장공 형상의 축 핀 삽입 관통 구멍 을 갖고,
    상기 캠은 회전 중심보다도 하방에서 원형의 축 핀 삽입 관통 구멍을 가지며,
    상기 래치 부재의 장공 형상의 축 핀 삽입 관통 구멍과 상기 캠의 원형의 축 핀 삽입 관통 구멍에는 공통의 축 핀이 삽입 관통되고,
    상기 래치 부재는 조작 레버에 연결되어, 조작 레버의 동작 방향에 따라서, 상기 웜과 결합하는 방향 또는 비결합 방향으로 동작하며,
    상기 조작 레버가 일방향으로 동작하면, 상기 래치 부재를 압박하는 스프링 부재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래치 부재가 비결합 방향으로 동작하고, 상기 축 핀이 상기 장공 형상의 축 핀 삽입 관통 구멍의 구멍벽을 가압하여, 상기 래치 부재와 함께 상기 캠도 같이 비결합 방향으로 동작되는 한편,
    상기 조작 레버는 타방향으로 동작하여, 상기 축 핀이 상기 장공 형상의 축 핀 삽입 관통 구멍의 대략 중앙 위치로 복귀하면, 상기 스프링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캠 및 래치 부재가 복귀 동작하며, 복귀 동작하는 방향을 따라서 선행하여 위치하는 캠이 상기 가동 베어링을 가압하고, 이어서, 래치 부재가 상기 웜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닝 어저스터.
  11.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웜 중, 가동 베어링측의 단부만을, 윔 휠측으로 밀어붙이는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상기 가동 베어링측의 단부에만 결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닝 어저스터.
  12. 제7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웜의 가동 베어링측의 단부의 톱니부 둘레면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래치 부재는 상기 결합홈과 결합 가능한 결합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닝 어저스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시트 백에 후방 모멘트가 부가되어, 상기 웜이 상기 웜 휠을 통하여 회전하려고 하면, 상기 웜의 결합홈에 결합하고 있는 상기 래치 부재의 결합부가 상기 결합홈에 한층 깊게 결합하는 방향으로 힘이 전달되도록, 상기 래치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닝 어저스터.
KR1020087009529A 2005-10-12 2006-10-12 리클라이닝 어저스터 KR1009975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97332 2005-10-12
JP2005297332 2005-10-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9396A true KR20080059396A (ko) 2008-06-27
KR100997505B1 KR100997505B1 (ko) 2010-12-01

Family

ID=37942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9529A KR100997505B1 (ko) 2005-10-12 2006-10-12 리클라이닝 어저스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819477B2 (ko)
EP (1) EP1935287B1 (ko)
KR (1) KR100997505B1 (ko)
WO (2) WO200704323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1413A (ko) * 2018-05-16 2019-11-26 주식회사 유진로봇 자체 교정을 수행하는 3차원 스캐닝 라이다 센서
KR20210015935A (ko) * 2018-07-04 2021-02-10 카네다 컴퍼니 리미티드 철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85744B2 (ja) * 2009-10-28 2012-07-25 株式会社今仙電機製作所 シート装置
CN105358367B (zh) * 2013-07-04 2017-07-07 株式会社三角工具加工 旋转动作控制机构及座椅
US10179523B2 (en) 2014-10-16 2019-01-15 Delta Tooling Co., Ltd. Rotation movement control mechanism and seat
TR201811275T4 (tr) * 2016-03-07 2018-09-21 Innovation And Safety S L Sökülebilir koltuk.
JP6780454B2 (ja) * 2016-11-09 2020-11-04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シート用バックフレーム
CN108312910A (zh) * 2017-01-17 2018-07-24 广东肇庆爱龙威机电有限公司 用于调节座椅靠背角度的传动装置和包括传动装置的车辆
DE102020123963A1 (de) 2020-09-15 2022-03-17 Sitech Sitztechnik Gmbh Lehneneinstellbeschlag mit einer Ver- und Entriegelungseinrichtung umfassend zwei unabhängig voneinander einstellbare Verriegelungsmechanismen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35175A (ja) 1981-08-25 1983-03-01 Nissan Chem Ind Ltd 新規カルボン酸エステルおよびこれらを含有する殺虫殺ダニ剤
JPS5835175U (ja) * 1981-08-28 1983-03-0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リニアトラツキングア−ムの駆動装置
US4685735A (en) * 1985-03-18 1987-08-11 Ferro Manufacturing Corporation Tilt worm recliner
US5295730A (en) * 1991-12-18 1994-03-22 Itt Corporation Double enveloping worm and gear seat recliner
US5590562A (en) * 1993-11-12 1997-01-07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Manual passive quick adjustment device
JP3410224B2 (ja) * 1994-08-01 2003-05-26 デルタ工業株式会社 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US5605071A (en) * 1995-06-06 1997-02-25 Itt Automotive Electrical Systems, Inc. Enveloped worm gear clutch wedgelock responsive to reaction force
US5613402A (en) * 1995-06-06 1997-03-25 Itt Automotive, Inc. Adjustable set bearing
JPH10258654A (ja) * 1997-03-18 1998-09-29 Delta Tsuuring:Kk リクライニングシート
JP4311818B2 (ja) * 1999-06-08 2009-08-12 株式会社デルタツーリング リクライニングアジャスタのバックラッシ低減構造
US6247376B1 (en) * 1999-07-13 2001-06-19 Valeo Electrical Systems, Inc. Rollable enveloped worm with two curve profile
JP4245366B2 (ja) * 2002-02-26 2009-03-25 株式会社デルタツーリング リクライニングアジャスタ
US6764136B2 (en) * 2002-02-26 2004-07-20 Delta Tooling Co., Ltd. Reclining adjuster
JP4184775B2 (ja) 2002-12-12 2008-11-19 株式会社デルタツーリング リクライニングアジャスタ
JP2004314749A (ja) * 2003-04-15 2004-11-11 Delta Tooling Co Ltd 電動リクライニングアジャスタ
JP4528041B2 (ja) * 2004-07-07 2010-08-18 株式会社デルタツーリング リクライニングアジャスタ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1413A (ko) * 2018-05-16 2019-11-26 주식회사 유진로봇 자체 교정을 수행하는 3차원 스캐닝 라이다 센서
KR20210015935A (ko) * 2018-07-04 2021-02-10 카네다 컴퍼니 리미티드 철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819477B2 (en) 2010-10-26
US20090146478A1 (en) 2009-06-11
EP1935287B1 (en) 2015-09-02
KR100997505B1 (ko) 2010-12-01
WO2007043233A1 (ja) 2007-04-19
WO2007043628A1 (ja) 2007-04-19
EP1935287A4 (en) 2014-11-19
EP1935287A1 (en) 200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7505B1 (ko) 리클라이닝 어저스터
US7192090B2 (en) Recliner adjuster
JP3080138B2 (ja) 両側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4653523B2 (ja) 車両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KR100380572B1 (ko) 리클라이닝 어저스터의 백래시 저감구조
JP2007135797A (ja) 車両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KR20170062021A (ko) 차량용 시트의 높이 조절장치
JP2010255837A (ja) クラッチ装置およびシート装置
JP2020023292A (ja) スライド装置
JP2004092718A (ja) シート高さ調整クラッチ
JPS6291335A (ja) シ−トスライド装置
JP5052856B2 (ja) リクライニングアジャスタ
JP6588025B2 (ja) 回転動作制御機構及びシート
JP4185819B2 (ja) 車両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5809014B2 (ja) 減速歯車機構
JP4070179B2 (ja) ロック装置
JP2005230300A (ja) 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3792942B2 (ja) 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3579236B2 (ja) 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4208363B2 (ja) 二方向テーパクラッチおよびリクライニングシート
JP5188565B2 (ja) ヒンジ装置
JP2672360B2 (ja) 両側リクライニング装置の連動機構
JP3796077B2 (ja) 二方向クラッチおよびリクライニングシート
JP3088448B2 (ja) 車両用シート等の位置調節装置
JP2008228888A (ja) 操作レバーの操作力低減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