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7882A - 다목적 건조기 - Google Patents

다목적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7882A
KR20080057882A KR1020060131743A KR20060131743A KR20080057882A KR 20080057882 A KR20080057882 A KR 20080057882A KR 1020060131743 A KR1020060131743 A KR 1020060131743A KR 20060131743 A KR20060131743 A KR 20060131743A KR 20080057882 A KR20080057882 A KR 200800578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er
pipe
discharge port
port member
air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1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홍
Original Assignee
김재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홍 filed Critical 김재홍
Priority to KR1020060131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57882A/ko
Publication of KR20080057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78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48Drying by means of hot 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목적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몸체; 몸체의 내부에 장착되어 외기를 강제로 흡입/배기시키는 송풍수단, 송풍수단의 유체 통로에 설치되어 기체를 가온시키는 히터부재, 송풍수단에서 배기되는 기체가 토출되는 토출구 부재로 구성되는 건조기에 있어서, 측면에 제1외기유입구가 형성되고, 전방한쪽에 장착부가 형성된 전면몸체, 전면몸체의 배면에 배치되고, 측면에 제2외기유입구가 형성되며, 내부한 쪽에 반원관체 형태의 제1관로가 형성되는 배면몸체, 배면몸체의 내부에 장착되고 송풍수단이 탑재되며 반원관체 형태의 제2관로가 형성되는 중간몸체, 제1외기유입구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고 타이머가 탑재되는 인쇄회로기판, 제1관로와 제2관로가 결합된 상태의 관체와 주름관이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 전면몸체의 장착부에 배치되어 스위치 역할을 하는 고정부; 및 연결부에 주름관으로 연결되고 다른 쪽 끝부분은 상기 장착부에 장착되며 장착부의 장착여부에 따라 고정부가 'on/off'제어 하는 토출구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건조기, 다목적, 헤어드라이어, 핸디 드라이어

Description

다목적 건조기 {Multipurpose Dri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를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를 분해하여 보인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배면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주요 요부인 몸체와 주름관의 연결구성을 보인 상세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몸체 1a: 전면몸체 1b: 배면몸체
2: 중간몸체 3: 제1 외기유입구 4: 장착부
5: 고정부 6: 장착홈부 7: 제2 외기유입구
8: 임펠러 자리홈 9: 제1관로 10: 히터부재
11: 결착홈 12: 인체 감지센서 13: 임펠러 하우징
14: 송풍수단 15: 제2관로 20: 인쇄회로기판
30: 연결부 31: 스프링부재 32: 출몰부재
33: 구멍 35: 연결구 36: 연결구 결착 홈
37: 주름관 38: 토출구 부재 39: 결착 부재
51: 플러그부재 52: 플러그 수용부 53: 플러그
54: 콘센트 60: 습도센서
본 발명은 다목적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몸체에서 송풍이 발생되고 송풍된 공기는 주름관을 통해 토출구 부재로 배기되며, 사용자는 토출구 부재만을 조작하여 드라이어로 사용하도록 하여 감전사고로부터 안전하고, 사용이 편리한 다목적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욕실에는 모발을 건조시키기 위한 헤어드라이어와 손에 묻은 물기를 말리기 위한 핸디드라이어가 설치되어 사용된다.
그러나 건조시키는 대상은 물기가 묻혀 있는 것이고, 대부분의 건조기는 전기를 사용하므로 감전사고의 위험을 부담이 있었다.
또한, 욕실에서 사용될 때에는 바닥이 미끄러울 때가 많아 부주의에 의해 헤어드라이어를 손에서 놓칠 경우 치명적인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었다.
또한, 헤어드라이기 자체를 손에 둔 상태에서 모발을 건조하거나 모발을 세팅할 때에 헤어드라이를 구성하는 수많은 부속품의 무게 때문에 사용자는 쉽게 피 로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른 한편으로 건조기를 제어하는 인쇄회로기판(PCB)은 회로 자체에서 필연적으로 열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열은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된 전기소자에 악영향을 끼쳐 오작동 내지는 고장의 원인이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다목적 건조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몸체에서 냉풍 또는 온풍을 발생시키도록 하고 냉풍 또는 온풍은 구부러짐이 자유로운 주름관과 토출구부재를 통해서 배기되도록 하여 사용자는 무게가 가볍고 전기적인 구성요소가 전혀 배치되지 않은 토출구 부재만을 취급하도록 하여 전기감전사고로부터 안전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토출구 부재는 무척 가벼운 무게와 작은 부피로 제작되어 더욱 편리하게 취급할 수 있도록 하는 다목적 건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머리뿐만 아니라 불특정 신체에 부위까지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목적 건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몸체와 주름관을 쉽게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하여 몸체에서 주름관을 제거한 상태에서 건조기를 가동시켰을 때에 핸디드라이어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목적 건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에 장착되어 외기를 강제로 흡입/배기시키는 송풍수단; 상기 송풍수단의 유체 통로에 설치되어 기체를 가온시키는 히터부재; 상기 송풍수단에서 배기되는 기체가 토출되는 토출구 부재;로 구성되는 건조기에 있어서, 측면에 제1외기유입구가 형성되고, 전방한쪽에 장착부가 형성된 전면몸체; 상기 전면몸체의 배면에 배치되고, 측면에 제2외기유입구가 형성되며, 내부한 쪽에 반원관체 형태의 제1관로가 형성되는 배면몸체; 상기 배면몸체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송풍수단이 탑재되며, 반원관체 형태의 제2관로가 형성되는 중간몸체; 상기 제1외기유입구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고 타이머가 탑재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제1관로와 상기 제2관로가 결합된 상태의 관체와 주름관이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전면몸체의 장착부에 배치되어 스위치 역할을 하는 고정부; 및 상기 연결부에 주름관으로 연결되고, 다른 쪽 끝부분은 상기 장착부에 장착되며, 장착부의 장착여부에 따라 고정부가 'on/off'제어 하는 토출구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건조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터치할 때마다 'on/off'를 수행하는 텍-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에 상기 토출구 부재의 등 쪽이 부착되어 온풍 또는 냉풍이 몸체의 전방을 향하여 배기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와 상기 토출구 부재를 서로 장착하는 것은 자석에 의해 장착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제1, 제2관로의 내경에 형성된 결착홈; 상기 제1, 제2관로에 형성되는 구멍; 상기 결착홈에 장착되고 출몰부재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구멍에 출몰부재가 관통되는 스프링부재; 상기 주름관의 일측에 형성되는 연결구; 및 상기 연결구의 내경에 형성되어 상기 출몰부재가 삽입되는 연결구 결착 홈;으로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정역회전에 따라 기체의 흐름을 전환되는 축류식의 임펠러; 및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를 분해하여 보인 분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배면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주요 요부인 몸체와 주름관의 연결구성을 보인 상세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몸체(1)의 내부에 송풍수단(14)이 장착되고, 송풍수단(14)의 한쪽에는 제1, 제2관로(9)(15)가 형성되며, 제1, 제2관로(9)(15)에는 주름관(37)이 장착되고, 주름관(37)의 끝부분에 토출구 부재(38)가 배치된다.
상술한 몸체(1)는 전면몸체(1a)와 배면몸체(1b)로 분할 결합되고, 전면몸체(1a)와 배면몸체(1b)의 사이에 중간몸체(2)가 장착된다.
상술한 전면몸체(1a)의 한쪽 측면에는 상술한 토출구 부재(38)를 수용하는 장착부(4)가 오목하게 형성되고, 그 장착부(4)에는 상술한 토출구 부재(38)가 고정되는 고정부(5)가 형성되며, 다른 한쪽에는 측면에는 제1외기유입구(3)가 형성되고, 저면한쪽에는 반원형상의 장착홈부(6)가 형성된다.
상술한 고정부(5)의 일실시예로는 걸이부 형성되고 그 걸이는 토출구 부재(38)의 자중에 의해 걸쳐질 때에 눌러지도록 되며, 걸이부가 눌러졌을 때와 눌러지지 않았을 때가 구분되어 일종의 스위치 역할을 한다.
또한 상술한 고정부(5)의 다른 실시예로서 자석(70)이 구비되고, 토출구 부재(38)의 한 쪽에는 자석(70)에 붙는 금속(71)이 구비될 수 있으며, 또한 전면몸체(1a)의 한쪽에 포토센서와 같은 감지수단를 구비하여 토출구 부재(38)의 장착여부를 감지하여 일종의 스위치 역할과 고정수단의 역할을 한다.
상술한 토출구 부재(38)의 한쪽에는 결착 부재(39)가 배치되는 것으로, 일례로서 걸이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자석에 붙은 금속(71)이 배치될 수 있다.
즉, 토출구 부재(38)를 장착부(4)에서 분리해 내는 순간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기가 작동을 시작하고, 토출구 부재(38)를 장착부(4)에 장착하는 순간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기가 작동을 중지하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토출구 부재(38)의 다른 실시예로서 온풍이 배기되는 반대쪽 (등 쪽)에 자석에 붙은 금속이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장착부(4)의 한쪽에 배치되는 자석과 상극의 자석이 배치될 수 있다.
즉, 토출구 부재(38)를 장착부(4)에 장착하되 토출구 부재(38)의 등 쪽에 배치된 자석 또는 금속은 상술한 장착부(4)의 자석에 장착되고 임의로 고정부(5)를 조작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기가 작동을 시작하여 온풍이 건조기의 전방을 향하여 배기된다.
사용자는 이러한 온풍에 의해 손에 묻은 물기를 건조시킬 수 있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 상술한 고정부(5)의 한쪽에는 텍-스위치(Tec- switch)로 구비할 수 있고, 이러한 택-스위치는 스위치버튼이 터치될 때마다 켜짐 또는 꺼짐을 반복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작동이 제어된다.
상술한 배면몸체(1b)는 측면의 한쪽에 제2 외기유입구(7)가 형성되고, 내면의 한쪽에 송풍수단(14)을 수용하기 위한 임펠러 자리 홈(8)이 형성되며, 임펠러 자리 홈(8)의 한쪽에는 반원 관체형태의 제1관로(9)가 형성된다.
상술한 제1관로(9)의 한쪽에는 열을 발생시키기 위한 히터부재(10)가 장착된다.
상술한 송풍수단(14)은 원심식과 축류식 중에 어느 하나의 형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상술한 송풍수단(14)는 원심식의 임펠러를 장착하였을 때에는 저소음의 설계가 가능하고 또한 풍량을 늘릴 수 있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 상술한 송풍수단(14)은 축류식의 임펠러를 장착하였을 때에, 풍속을 높일 수 있고, 역회전시켜 유체의 흐름을 역방향으로 흐를 수 있게 된다.
특히 유체의 흐름을 역방향으로 흐르도록 하였을 때에는 습도센서(60)와 연동된다.
또한 첨부도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면몸체(1b)의 배면한 쪽에는 전선케이블로 연결되는 플러그(53)와는 별도로 플러그부재(51)가 장착된다.
또한 배면몸체(1b)의 배면에는 플러그 수용부(52)가 형성되고, 플러그 수용부(52)에 상술한 플러그 부재(51)가 장착된다.
상술한 플러그 부재(51)를 절곡시켜 출몰시킬 수 있으며, 플러그 부재(51)를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플러그 부재(51)를 돌출시켜 사용하고, 플러그부재(51)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플러그 수용부(52)의 안쪽으로 접어 넣어 수용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배면몸체(1b)의 다른 측면한쪽에는 콘센트(54)를 배치하여 다른 전기제품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를 사용함과 동시에 면도기, 전동칫솔, 머리 인두기 등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배면몸체(1b)의 내부 한쪽에는 습도센서(60)가 장착되고, 습도가 설정 값보다 높은 습도에 도달되면 습도센서(60)에서 전기적인 신호를 발생시켜 차후에 설명되는 인쇄회로기판(20)으로 보낸다.
상술한 중간몸체(2)는 임펠러 하우징(13)의 한쪽에 송풍수단(14)이 장착되고, 임펠러 하우징의 한쪽에는 반원관체 형상의 제2관로(15)가 형성되며, 제2관로(15)의 바깥쪽에는 인쇄회로기판(20)이 배치된다.
상술한 인쇄회로기판(20)은 유체의 흐름이 가장 활발한 곳의 일측면에 장착되는 것이고 특히 제1외기유입구(3)와 제2외기 유입구(7)가 인접한 곳에 배치되는 것으로 인쇄회로기판(20)을 더욱 신속하게 냉각시켜 줄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인쇄회로기판(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기를 실질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이다.
특히 상술한 습도센서(60)에서 전기신호를 받게 되면 인쇄회로기판(20)에 배치되는 회로구성에 의해 히터부재(10)를 가동시켜 제습작용을 시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인쇄회로기판(20)에는 타이머 기능이 부가되고, 타이머 기능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기가 작동된 직후부터 설정된 시간동안 건조기가 작동되도록 한다.
예컨대, 토출구 부재(38)를 몸체(1)의 장착부(4)에서 분리하거나 고정부(5)의 스위치를 조작하였을 때에 온풍이 토출구 부재(38)를 통하여 배기되는데 타이머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작동이 중지된다.
타이머의 설정된 시간이 3분으로 설정되어 있을 때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기는 3분간 작동한 후에 자동으로 정지하게 된다.
타이머의 시간 설정은 사용자의 의도에 의해 설정이 가능하고, 예컨대, 1분, 3분, 5분, 10분 등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이는 하나의 예를 보인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배면몸체(1b)의 제1관로(9)와 상술한 중간몸체(2)의 제2관로(15)는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어 결합되고, 제1, 제2관로(9)(15)가 결합되었을 때에 온전한 관체를 이루게 된다.
또한 상술한 온전한 관체 형상의 제1, 제2관로(9)(15)는 몸체(1)의 저면에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술한 주름관(37)이 장착된다.
상술한 제2관로(15)의 외면은 전면몸체(1a)의 장착홈부(6)에 대응되어 장착된다.
상술한 몸체(1)의 제1, 제2관로(9)(15)에 주름관(37)이 장착되는 연결부(30)의 구성은 첨부도면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술한 제1, 제2관로(9)(15)의 내부에는 결착홈(11)이 형성되고, 그 결착홈(11)에는 스프링부재(31)가 장착된다.
상술한 스프링부재(31)는 판스프링으로서 링 형태로 구부려지고, 스프링부재(31)의 한 쪽에는 출몰부재(32)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술한 출몰부재(32)는 외력을 가하면 밀려들어가는 형태로서 겉모양은 원뿔, 각뿔 또는 반구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제1, 제2관로(9)(15)의 한쪽에는 구멍(33)이 형성되어 상술한 출몰부재(32)가 끼워진다.
주름관(37)의 한쪽에는 연결구(35)가 일체로 형성되고, 연결구(35)의 내경에는 연결구 결착 홈(36)이 형성된다.
상술한 연결구 결착 홈(36)은 연결구(35)의 안지름에 환상의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할 수 있고, 다른 실시예로서 외부와 관통되는 구멍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어느 형태로 형성되든 상술한 출몰부재(32)의 바깥 끝부분이 걸리는 것이다.
따라서 연결구(35)를 제1, 제2관로(9)(15)에 끼우면 출몰부재(32)는 밀려들어가고 출몰부재(32)가 연결구 결착 홈(36)에 위치되면 스프링부재(31)에 의해 밀려나와 출몰부재(32)의 끝부분은 연결구 결착 홈(36)에 결착된다.
즉 임의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한 결착상태가 유지되고 인위적인 외력을 가하여 주름관(37)을 당기면 몸체(1)와 주름관(37)이 분리되는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몸체(1)의 한쪽에는 인체감지센서(12)가 장착되어 소정의 위치가지 인체가 접근하였을 때에 자동으로 동작하거나 동작이 정지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동작 및 작용을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는 욕실 등에 설치되고, 초기에는 몸체(1)에 주름관(37)이 장착된 상태에서 토출구 부재(38)는 장착부(4)에 장착된 상태이며, 메인 스위치(미도시)를 ON시켜 둔 상태이고, 또한 냉풍과 온풍 중에 어느 하나가 선택된 상태이며, 온풍이 선택되었을 때에만 히터부재(10)가 활성화된다.
사용자가 장착부(4)에서 토출구 부재(38)를 들어내면 고정부(5)에서는 자동으로 스위치가 작동되어 송풍수단(14)을 구동시키게 된다.
송풍수단(14)은 제1, 제2 외기 유입구(3)(7)를 통하여 외기를 유입하고, 제1, 제2관로(9)(15)를 통하여 공기를 배출시키게 된다.
만약 히터부재(10)가 활성화 된 상태라면 온풍이 발생되고, 냉풍 모드가 선택되어 있다면 단순히 냉풍만 배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냉풍 또는 온풍은 주름관(37)과 토출구 부재(38)를 통해 외부로 배기되고 사용자는 토출구 부재(38)를 쥔 상태에서 피 건조 대상을 향하면 피 건조 대상에 있는 물기가 건조된다.
다른 한편으로 연결부(30)에서 주름관(37)쪽의 연결구(35)를 잡아당기면 연결구(35)는 몸체(1)의 제1, 제2관로(9)(15)에서 분리된다.
이후 인체가 근접된 위치에서는 인체 감지센서(12)에 의해 인체가 감지되고 이 임펠러(14)가 구동되어 온풍 또는 냉풍이 배기되어 건조기로 사용된다.
또 다른 한편으로 몸체(1)의 배면에 형성된 플러그 부재(51)를 벽에 배치된 콘센트에 직접 장착하여 사용 할 수 있고, 이때에는 통상의 플러그(53)를 배제시켜 외관이 미려하게 된다.
또한 몸체(1)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탱하기 위하여 배면몸체(1b)의 한쪽에 걸이부를 더 구성하여 견고하게 고정시켜 줄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건조기는 헤어드라이어로 사용될 때에 인체의 손이 닿는 토출구 부재(38)에는 전기와 관련된 구성요소가 전혀 없으므로 전기누전의 위험이 전혀 없어 안전하게 사용한다.
또한 주름관(37)은 자유자재로 구부려지는 것으로 헤어드라이기 기능 외에도 신체의 불특정 부위에 온풍 또는 냉풍을 가할 수 있게 되어 결국 신체 전체에 걸쳐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 중에 토출구 부재(38)를 손에서 놓치더라도 토출구 부재(38)는 몸체(1)에 매달리는 형태로 늘어뜨려져 안전사고의 위험이 없다.
또한 타이머의 작동에 의해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었을 때에 자동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작동이 멈추고, 사용자가 고정부(5)를 조작하지 않았을 때에는 건조기의 작동 멈춤 상태가 유지되므로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건조기에 주의를 갖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기는 자동으로 작동상태가 멈춤으로서 전기소비의 낭비를 줄일 수 있게 되고, 아울러 전기 안전사고의 위험이 줄어들게 된다.
또 다른 한편으로 토출구 부재(38)를 장착부(4)에 장착하되 토출구 부재(38)의 금속(71)이 장착부(4)의 자석(70)에 닿도록 장착하면 온풍 또는 냉풍은 본 발명 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전방으로 배기되고, 이때 고정부(5)의 스위치를 조작하면 소정의 시간동안 온풍 또는 냉풍이 배기된다.
또 다른 한편으로 습도센서(60)에서 설정된 값 이상의 습도가 검출되었을 때에는 전기적 신호가 발생되고, 전기적 신호는 인쇄회로기판(20)의 회로구성에 전해진다.
습도가 높을 때에는 전기적인 소자 및 모든 내부 구성품에 악영향을 끼치는 것이고, 특히 욕실과 같이 특정한 시간에 습도가 급격하게 높아지는 환경에 있는 전자제품일 수록 습도에 민감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습도센서(60)에 의해 습도 값이 검출되므로 제습기능이 실시하게 된다.
제습기능이 실시되면 히터부재(10)가 가열되고, 송풍수단(14)은 역방향으로 구동된다.
외기는 토출구 부재(38)를 통하여 유입되고 히터부재(10)를 경우하면서 가온되며, 가온된 외기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내부를 통과하여 제1, 제2 외기유입구(3)(7)통해 배기된다.
즉 가온된 공기가 건조기의 내부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습기가 제거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하여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건조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헤어드라이어, 핸드드라이어 및 바디드라이어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어 무척 편리한 것이다.
특히 인체의 손이 직접 닿는 구성요소에는 전기적인 구성이 전혀 없어 감전의 위험이 없는 무척 안전한 것이다.
또한, 종래에는 인쇄회로기판의 과열로 인하여 잦은 고장 원인이 되었지만, 본 발명은 외기가 유입되는 근처에 인쇄회로기판을 배치시킴으로서 임펠러의 구동에 의해 대기가 순환되는 과정에서 자동으로 공랭되어 인쇄회로기판의 잦은 고장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습기가 과다할 때에는 제습 기능이 실시되어 건조기의 내부에 습기를 제거함으로서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한 전자부품의 수명이 극히 단축되거나 고장 되는 원인을 제거하여 건조기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Claims (6)

  1.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에 장착되어 외기를 강제로 흡입/배기시키는 송풍수단; 상기 송풍수단의 유체 통로에 설치되어 기체를 가온시키는 히터부재; 상기 송풍수단에서 배기되는 기체가 토출되는 토출구 부재;로 구성되는 건조기에 있어서,
    측면에 제1외기유입구가 형성되고, 전방한쪽에 장착부가 형성된 전면몸체;
    상기 전면몸체의 배면에 배치되고, 측면에 제2외기유입구가 형성되며, 내부한 쪽에 반원관체 형태의 제1관로가 형성되는 배면몸체;
    상기 배면몸체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송풍수단이 탑재되며, 반원관체 형태의 제2관로가 형성되는 중간몸체;
    상기 제1외기유입구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고 타이머가 탑재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제1관로와 상기 제2관로가 결합된 상태의 관체와 주름관이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전면몸체의 장착부에 배치되어 스위치 역할을 하는 고정부; 및
    상기 연결부에 주름관으로 연결되고, 다른 쪽 끝부분은 상기 장착부에 장착되며, 장착부의 장착여부에 따라 고정부가 'on/off'제어 하는 토출구 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터치할 때마다 'on/off'를 수행하는 텍-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건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 상기 토출구 부재의 등 쪽이 부착되어 온풍 또는 냉풍이 몸체의 전방을 향하여 배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건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와 상기 토출구 부재를 서로 장착하는 것은 자석에 의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건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제1, 제2관로의 내경에 형성된 결착홈;
    상기 제1, 제2관로에 형성되는 구멍;
    상기 결착홈에 장착되고 출몰부재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구멍에 출몰부재가 관통되는 스프링부재;
    상기 주름관의 일측에 형성되는 연결구; 및
    상기 연결구의 내경에 형성되어 상기 출몰부재가 삽입되는 연결구 결착 홈;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건조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역회전에 따라 기체의 흐름을 전환되는 축류식의 임펠러; 및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건조기.
KR1020060131743A 2006-12-21 2006-12-21 다목적 건조기 KR200800578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1743A KR20080057882A (ko) 2006-12-21 2006-12-21 다목적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1743A KR20080057882A (ko) 2006-12-21 2006-12-21 다목적 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7882A true KR20080057882A (ko) 2008-06-25

Family

ID=39803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1743A KR20080057882A (ko) 2006-12-21 2006-12-21 다목적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5788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9217B1 (ko) * 2008-10-21 2011-03-03 이의호 샤워식 냉온풍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9217B1 (ko) * 2008-10-21 2011-03-03 이의호 샤워식 냉온풍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150060A (ja) ヘアドライヤー
US9282856B2 (en) Hand dryer
US20120324755A1 (en) Combination hair-hand dryer assembly, and blow drying method
JP5116876B2 (ja) 手乾燥装置
US7076887B1 (en) Body drying apparatus
WO2019208334A1 (ja) 乾燥装置
JP3878274B2 (ja) 温風乾燥機
KR20080057882A (ko) 다목적 건조기
JP3866371B2 (ja) 温風乾燥機
JP6731273B2 (ja) 電気掃除機
JP4529468B2 (ja) 浴室用静電霧化装置
JP3822308B2 (ja) 温風乾燥機
CN210901815U (zh) 手持吹风机
KR20200000829U (ko) 다기능 건조기
EP3159458B1 (en) Bidet having internal drying function and method for drying inside of bidet
JP6072607B2 (ja) 手乾燥装置
KR100316348B1 (ko) 의류건조기
KR20190079316A (ko) 차량용 청소기 겸용 헤어드라이기
JP2020115079A (ja) 乾燥装置
WO2021174387A1 (zh) 一种两用的吹风装置
JP6635411B2 (ja) 手乾燥装置
CN215383633U (zh) 洗手吹风龙头及洗手吹风装置
CN218978249U (zh) 一种通用的吹风机置物架
CN215993024U (zh) 吹风机支架及智能头发干燥系统
KR200358235Y1 (ko) 비데 헤어건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