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9316A - 차량용 청소기 겸용 헤어드라이기 - Google Patents

차량용 청소기 겸용 헤어드라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9316A
KR20190079316A KR1020170181425A KR20170181425A KR20190079316A KR 20190079316 A KR20190079316 A KR 20190079316A KR 1020170181425 A KR1020170181425 A KR 1020170181425A KR 20170181425 A KR20170181425 A KR 20170181425A KR 20190079316 A KR20190079316 A KR 201900793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unit
vehicle
hair drye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1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근영
신현호
배준호
Original Assignee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81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79316A/ko
Publication of KR20190079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93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 B60S3/044Hand-held cleaning arrangements with liquid or gas distribu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청소기 겸용 헤어드라이기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공기가 유동하는 내부유로가 마련되고, 상기 내부유로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상기 내부유로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유입구를 통해 차량 내부의 오염물질이 흡입되되, 사용자의 헤어를 건조시키기 위해 상기 내부유로의 공기가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내부유로로 외기를 강제순환시키는 흡입팬과, 상기 내부유로 상의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흡입된 외기 중 상기 오염물질을 필터링하는 포집유닛과, 상기 차량에 마련된 전원공급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전원공급장치를 통해 상기 차량으로부터 인가된 전기를 상기 흡입팬에 공급하는 전원연결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청소기 겸용 헤어드라이기는 흡입팬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에 의해 사용자가 헤어를 건조시킬 수 있으며, 포집유닛을 통해 본체 내부로 유입된 오염물질을 필터링하므로 별도의 청소기 없이 차량 내부를 청소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청소기 겸용 헤어드라이기{Hair dryer with clean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청소기 겸용 헤어드라이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내부를 청소할 수 있는 청소기능이 있는 차량용 청소기 겸용 헤어드라이기에 관한 것이다.
헤어드라이기는 젖은 머리카락을 상온 또는 따뜻한 공기로 말리거나 헤어스타일을 세팅하는 것 등 모발 관리에 일상적으로 자주 사용하는 전기기구이다.
자동차문화의 급속한 보급으로, 차량에 공급되고 있는 직류전원을 시거소켓과 시거잭을 통해 공급받아 차량 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차량용 청소기 겸용 헤어드라이기도 개발되어 있다.
차량용 청소기 겸용 헤어드라이기로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97502호(2000. 07. 12. 등록)의 자동차용 헤어드라이기,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33629호(1998. 10. 14. 등록)의 교류/직류전원 이용이 가능한 헤어 드라이기 등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차량용 청소기 겸용 헤어드라이기는 단순히 팬을 사용하여 바람만을 토출시키므로 차량 내부의 오염물질을 흡입하거나 제거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청소기를 요구되어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체 내부로 흡입되는 외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해 포집유닛이 마련된 차량용 헤어드라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청소기 겸용 헤어드라이기는 내부에 공기가 유동하는 내부유로가 마련되고, 상기 내부유로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상기 내부유로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유입구를 통해 차량 내부의 오염물질이 흡입되되, 사용자의 헤어를 건조시키기 위해 상기 내부유로의 공기가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내부유로로 외기를 강제순환시키는 흡입팬과, 상기 내부유로 상의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흡입된 외기 중 상기 오염물질을 필터링하는 포집유닛과, 상기 차량에 마련된 전원공급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전원공급장치를 통해 상기 차량으로부터 인가된 전기를 상기 흡입팬에 공급하는 전원연결부를 구비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청소기 겸용 헤어드라이기는 상기 배출구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내부유로 상에 설치되며, 상기 내부유로의 공기를 소정의 온도로 가열시키는 가열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포집유닛은 상기 내부유로에서의 공기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흡입팬에 대해 전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가열부는 상기 내부유로에서의 공기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흡입팬에 대해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상기 본체에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의 내부유로는 상기 유입구에 연통되는 단위 유입로와, 상기 제1단위로로부터 분기된 제1 및 제2분기로와, 상기 제1 및 제2분기로에 연통되며, 단부가 상기 배출구에 연통되는 단위 배출로로 형성되고, 상기 흡입팬은 상기 단위 배출로 상의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포집유닛은 상기 제1분기로 상의 상기 본체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헤어드라기는 상기 제1분기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분기로 상의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제1스로틀 밸브와, 상기 제2분기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제2분기로 상의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제2스로틀 밸브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헤어드라기는 상기 사용자가 건조모드 또는 청소모드 중 어느 한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를 통해 상기 건조모드가 선택시 상기 제1분기로는 폐쇄되되, 상기 제2분기로는 개방되고, 상기 조작부를 통해 상기 청소모드가 선택시 상기 제2분기로는 폐쇄되되, 상기 제1분기로는 개방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스로틀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청소기 겸용 헤어드라이기는 상기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 상기 본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손잡이부재를 더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청소기 겸용 헤어드라이기는 상기 손잡이부재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차량의 유리에 상기 본체를 지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차량의 유리에 흡착되는 흡착유닛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흡착유닛은 상기 차량의 유리에 흡착되는 흡착패드와, 상기 흡착패드에 고정된 메인바디와, 상기 손잡이부재가 고정되며, 상기 메인바디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지지바디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청소기 겸용 헤어드라이기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 부재의 파지 유무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 부재에 설치되는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제공되는 감지정보를 통해 상기 손잡이 부재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미파지 상태가 기설정된 기준시간 이상 유지되면 상기 흡입팬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제어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청소기 겸용 헤어드라이기는 흡입팬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에 의해 사용자가 헤어를 건조시킬 수 있으며, 포집유닛을 통해 본체 내부로 유입된 오염물질을 필터링하므로 별도의 청소기 없이 차량 내부를 청소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청소기 겸용 헤어드라이기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차량용 청소기 겸용 헤어드라이기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청소기 겸용 헤어드라이기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3의 차량용 청소기 겸용 헤어드라이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청소기 겸용 헤어드라이기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7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청소기 겸용 헤어드라이기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청소기 겸용 헤어드라이기에 대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청소기 겸용 헤어드라이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드라이기(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차량용 드라이기(100)는 내부에 공기가 유동하는 내부유로(111)가 마련되고, 상기 내부유로(111)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구(112)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112)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상기 내부유로(111)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구(113)가 형성된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유입구(112)를 통해 차량 내부의 오염물질이 흡입되되, 사용자의 헤어를 건조시키기 위해 상기 내부유로(111)의 공기가 상기 배출구(113)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내부유로(111)로 외기를 강제순환시키는 흡입팬(120)과, 상기 배출구(113)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내부유로(111) 상에 설치되며, 상기 내부유로(111)의 공기를 소정의 온도로 가열시키는 가열부(130)와, 상기 내부유로(111) 상의 상기 본체(110)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112)를 통해 흡입된 외기 중 상기 오염물질을 필터링하는 포집유닛(140)과, 상기 차량에 마련된 전원공급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전원공급장치를 통해 상기 차량으로부터 인가된 전기를 상기 흡입팬(120)에 공급하는 전원연결부(150)를 구비한다.
본체(110)는 전후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며, 전면에 상기 유입구(112)가 형성되고, 후면에는 상기 배출구(113)가 형성된다. 본체(110) 내부에는 내부유로(111)가 마련되는데, 상기 내부유로(111)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되, 전후단부는 각각 유입구(112) 및 배출구(113)에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본체(110)의 내부유로(111)는 배출구(113)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속이 증가할 수 있도록 후방부가 배출구(113) 측으로 갈수록 상하 폭이 감소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체(110)의 하면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 부재(114)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 부재(114)는 본체(110)로부터 하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며, 외주면에는 사용자가 흡입팬(120) 및 가열부(130)의 작동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작동버튼(115)이 마련되어 있다.
흡입팬(120)은 본체(110)의 내부유로(111) 상에 설치되어 유입구(112)에서 배출구(113) 측으로 공기를 강제순환시킨다. 상기 흡입팬(120)에 의해 유입구(112)에서는 흡입력이 발생되어 외기 및 차량 내의 오염물질이 본체(110) 내부로 흡입되고, 배출구(113)에서는 공기가 배출된다. 배출구(113)가 헤어를 향하도록 사용자가 본체(110)를 파지하면 배출구(113)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에 의해 헤어가 건조된다.
가열부(130)는 내부유로(111) 상의 공기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흡입팬(120)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본체(110) 내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전열선을 구비한다. 상기 전열선은 내부유로(111) 상에 설치되며, 전원연결부(150)로부터 공급된 전기에 의해 발열한다.
포집유닛(140)은 흡입팬(120)에 대해 전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내부유로(111) 상에 설치되는 포집필터(141)를 구비한다. 상기 포집필터(141)는 내부에 오염물질을 포집하기 위한 포집공간이 마련되며, 전면에 공기 및 오염물질이 유입될 수 있도록 주입구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포집필터(141)는 오염물질을 걸러내되, 공기는 통과시킬 수 있도록 다공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원연결부(150)는 손잡이 부재(114)의 내부에 설치되며, 흡입팬(120) 및 전열선에 전기를 공급하는 배터리(미도시)와, 상기 배터리에 연결되며, 단부에 상기 차량에 마련된 전원공급장치에 연결되는 연결단자(152)가 마련된 전원선(151)을 구비한다. 이때, 차량의 전원공급장치는 차량 내부에 마련된 시거잭 또는 USB 단자가 적용된다. 도시된 예에서는 연결단자(152)가 USB 단자에 연결되는 연결소켓이 마련되어 있으나, 연결단자(152)는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차량의 시거잭에 연결되는 소켓이 적용될 수도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청소기 겸용 헤어드라이기(100)의 작동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전원연결부(150)의 연결단자(152)를 차량 내부에 마련된 USB단자에 연결시킨다. 전원연결부(150)가 차량의 전원공급장치에 연결되고, 작동버튼(115)을 누르면 흡입팬(120) 및 전열선으로 차량의 전원공급장치에서 공급된 전기를 전달한다. 흡입팬(120)의 작동에 따라 외기가 유입구(112)를 통해 내부유로(111)로 유입되고, 배출구(113)를 통해 내부유로(111)의 공기가 배출된다.
이때, 차량 내부의 먼지와 같은 오염물질에 유입구(112)를 인접시켜면 공기와 함께 오염물질이 유입구(112)로 흡입되고,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은 내부유로(111) 상에 마련된 포집유닛(140)에 필터링된다.
그리고, 포집유닛(140)을 통과한 공기는 배출구(11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배출구(113)가 헤어를 향하도록 사용자가 본체(110)를 파지하면 배출구(113)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에 의해 헤어가 건조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청소기 겸용 헤어드라이기(100)는 흡입팬(120)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에 의해 사용자가 헤어를 건조시킬 수 있으며, 포집유닛(140)을 통해 본체(110) 내부로 유입된 오염물질을 필터링하므로 별도의 청소기 없이 차량 내부를 청소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3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청소기 겸용 헤어드라이기(200)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210)의 내부유로(211)는 상기 유입구(112)에 연통되는 단위 유입로(212)와, 상기 제1단위로로부터 분기된 제1 및 제2분기로(213,214)와, 상기 제1 및 제2분기로(213,214)에 연통되며, 단부가 상기 배출구(113)에 연통되는 단위 배출로(215)로 형성된다.
단위 유입로(212)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전단부가 유입구(112)에 연통되며, 후단부가 각각 제1 및 제2분기로(213,214)로 분기된다. 제1 및 제2분기로(213,214)도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후단부는 단위 배출로(215)의 전단부에 연통된다. 이때, 포집유닛(140)은 제1분기로(213)에 설치되며, 흡입팬(120)은 단위 배출 상에 설치된다.
한편, 포집유닛(140)은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제1분기로(213) 상에 설치되며, 내부에 내부공간이 마련되고, 제1분기로(213)에 노출된 전면에 내부공간에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주입구가 형성되고, 제1분기로(213)에 노출된 후면에는 내부공간의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유출구가 형성된 포집바디와, 상기 포집바디 내부에 설치되어 포집바디 내부로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를 구비한다. 포집유닛(140)은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도 2의 차량용 드라이기(200)에 설치된 포집필터(141)가 적용될 수도 있다.
한편, 차량용 드라이기(200)는 상기 제1분기로(213)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분기로(213) 상의 상기 본체(210)에 설치되는 제1스로틀 밸브(221)과, 상기 제2분기로(214)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제2분기로(214) 상의 상기 본체(210)에 설치되는 제2스로틀 밸브(222)과, 사용자가 작동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조작부(223)와, 상기 조작부(223)에 선택된 작동모드에 따라 제1 및 제2스로틀 밸브(221,222)를 제어하는 제어부(224)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스로틀 밸브(221,222)는 제1 및 제2분기로(213,214)를 각각 개폐하는 것으로서,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스로틀 밸브가 적용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조작부(223)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손잡이 부재(114)의 외측에 설치되며, 사용자가 노말모드, 건조모드 또는 청소모드 중 어느 한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모드 선택버튼이 마련되어 있다.
제어부(224)는 상기 조작부(223)를 통해 상기 노말모드가 선택시 상기 제1 및 제2분기로(213,214)가 개방되고, 상기 조작부(223)를 통해 상기 건조모드가 선택시 상기 제1분기로(213)는 폐쇄되되, 상기 제2분기로(214)는 개방되고, 상기 조작부(223)를 통해 상기 청소모드가 선택시 상기 제2분기로(214)는 폐쇄되되, 상기 제1분기로(213)는 개방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스로틀 밸브(221,222)를 제어한다.
작동버튼(115)을 통해 흡입팬(120) 및 가열부(130)를 작동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작부(223)를 통해 노말모드를 선택하면, 차량용 청소기 겸용 헤어드라이기(200)는 제1 및 제2분기로(213,214) 공기가 유동하며 청소기능 및 헤어드라이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사용자가 배출구(113)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유속을 증가시킬 경우, 조작부(223)를 통해 건조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데, 건조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224)는 도 5와 같이 제1분기로(213)를 폐쇄하여 포집유닛(140)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차단하므로 보다 빠르게 배출구(113)를 통해 공기가 배출된다. 또한, 사용자가 청소기능만을 사용할 경우, 조작부(223)를 통해 청소모드를 선택하면 도 4와 같이 제어부(224)는 제2분기로(214)를 폐쇄하여 제1분기로(213)를 개방시키므로 다량의 외기가 포집유닛(140)을 통과하여 청소효율이 증가한다.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청소기 겸용 헤어드라이기(25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차량용 청소기 겸용 헤어드라이기(250)는 상기 손잡이부재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차량의 유리에 상기 본체(110)를 지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차량의 유리에 흡착되는 흡착유닛(251)을 더 구비한다.
상기 흡착유닛(251)은 상기 차량의 유리에 흡착되는 흡착패드(252)와, 상기 흡착패드(252)에 고정된 메인바디(253)를 구비한다.
상기 흡착패드(252)는 일측이 개방된 소정의 흡착공간이 마련되며, 소정의 탄성을 갖는 고무와 같은 탄성소재로 형성된다. 상기 흡착패드(252)는 유리에 흡착되는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흡착용 패드가 적용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메인바디(253)는 상기 손잡이 부재(114)가 삽입될 수 있도록 중앙부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중공이 형성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메인바디(253)의 외주면에는 상기 흡착패드(252)가 고정되어 있다.
사용자는 메인바디(253)에 손잡이 부재(114)를 설치한 다음, 원하는 위치의 차량 유리에 흡착패드(252)를 흡착하여 차량의 유리에 본체(110)를 지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체(110)를 차량 유리에 지지시킬 수 있으므로 운전을 하면서도 머리를 건조시키거나 양손을 보다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흡착유닛(260)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흡착유닛(260)은 상기 손잡이부재가 고정되며, 상기 메인바디(253)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지지바디(261)를 더 구비한다.
상기 지지바디(261)는 상기 메인바디(253)의 중공에 삽입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메인바디(253)에 지지된다. 지지바디(261)의 중앙부에는 손잡이 부재(114)가 관통되어 고정된다. 상기 지지바디(261)에 의해 차량의 유리에 흡착패드(252)를 흡착시킨 상태에서도 본체(110)의 배출구(113) 방향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8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청소기 겸용 헤어드라이기(30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차량용 청소기 겸용 헤어드라이기(300)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 부재(114)의 파지 유무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 부재(114)에 설치되는 감지센서(301)를 더 구비한다. 상기 감지센서(301)는 손잡이 부재(114)의 외측면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할 수 있는 접촉 감지 센싱수단이 적용된다.
이때, 제어부(224)는 상기 감지센서(301)로부터 제공되는 감지정보를 통해 상기 손잡이 부재(114)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미파지 상태가 기설정된 기준시간 이상 유지되면 상기 흡입팬(120) 및 가열부(130)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조작부(223)에는 사용자가 상기 기준시간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버튼이 마련되어 있다.
상술된 차량용 청소기 겸용 헤어드라이기(300)는 손잡이 부재(114)에 대한 사용자의 파지 상태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손잡이 부재(114)를 미파지하면 드라이기(300)의 사용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흡입팬(120) 및 가열부(130)의 작동이 정지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드라이기(300)의 사용이 완료된 상태에서 전원을 오프시키기 않더라도 자동으로 흡입팬(120) 및 가열부(130)의 작동이 정지되므로 불필요한 전력이 낭비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헤어드라기는 흡착유닛(251)을 통해 차량의 유리에 본체(110)를 지지된 상태로 사용할 경우에도, 사용자가 조작부(223) 또는 작동버튼(115)을 조작하지 않더라도 쉽게 헤어드라기를 정지시킬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차량용 청소기 겸용 헤어드라이기
110: 본체
111: 내부유로
112: 유입구
113: 배출구
114: 손잡이 부재
115: 작동버튼
120: 흡입팬
130: 가열부
140: 포집유닛
141: 포집필터
150: 전원연결부
151: 전원선
152: 연결단자

Claims (10)

  1. 내부에 공기가 유동하는 내부유로가 마련되고, 상기 내부유로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상기 내부유로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유입구를 통해 차량 내부의 오염물질이 흡입되되, 사용자의 헤어를 건조시키기 위해 상기 내부유로의 공기가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내부유로로 외기를 강제순환시키는 흡입팬;
    상기 내부유로 상의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흡입된 외기 중 상기 오염물질을 필터링하는 포집유닛; 및
    상기 차량에 마련된 전원공급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전원공급장치를 통해 상기 차량으로부터 인가된 전기를 상기 흡입팬에 공급하는 전원연결부;를 구비하는,
    차량용 청소기 겸용 헤어드라이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내부유로 상에 설치되며, 상기 내부유로의 공기를 소정의 온도로 가열시키는 가열부;를 더 구비하는,
    차량용 청소기 겸용 헤어드라이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유닛은 상기 내부유로에서의 공기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흡입팬에 대해 전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가열부는 상기 내부유로에서의 공기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흡입팬에 대해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상기 본체에 설치된,
    차량용 청소기 겸용 헤어드라이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유로는 상기 유입구에 연통되는 단위 유입로와, 상기 제1단위로로부터 분기된 제1 및 제2분기로와, 상기 제1 및 제2분기로에 연통되며, 단부가 상기 배출구에 연통되는 단위 배출로로 형성되고,
    상기 흡입팬은 상기 단위 배출로 상의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포집유닛은 상기 제1분기로 상의 상기 본체에 설치된,
    차량용 청소기 겸용 헤어드라이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기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분기로 상의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제1스로틀 밸브; 및
    상기 제2분기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제2분기로 상의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제2스로틀 밸브;를 더 구비하는,
    차량용 청소기 겸용 헤어드라이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건조모드 또는 청소모드 중 어느 한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조작부; 및
    상기 조작부를 통해 상기 건조모드가 선택시 상기 제1분기로는 폐쇄되되, 상기 제2분기로는 개방되고, 상기 조작부를 통해 상기 청소모드가 선택시 상기 제2분기로는 폐쇄되되, 상기 제1분기로는 개방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스로틀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차량용 청소기 겸용 헤어드라이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 상기 본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손잡이부재;를 더 구비하는,
    차량용 청소기 겸용 헤어드라이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재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차량의 유리에 상기 본체를 지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차량의 유리에 흡착되는 흡착유닛;을 더 구비하는,
    차량용 청소기 겸용 헤어드라이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유닛은
    상기 차량의 유리에 흡착되는 흡착패드;
    상기 흡착패드에 고정된 메인바디; 및
    상기 손잡이부재가 고정되며, 상기 메인바디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지지바디;를 구비하는,
    차량용 청소기 겸용 헤어드라이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 부재의 파지 유무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 부재에 설치되는 감지센서; 및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제공되는 감지정보를 통해 상기 손잡이 부재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미파지 상태가 기설정된 기준시간 이상 유지되면 상기 흡입팬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차량용 청소기 겸용 헤어드라이기.




KR1020170181425A 2017-12-27 2017-12-27 차량용 청소기 겸용 헤어드라이기 KR201900793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1425A KR20190079316A (ko) 2017-12-27 2017-12-27 차량용 청소기 겸용 헤어드라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1425A KR20190079316A (ko) 2017-12-27 2017-12-27 차량용 청소기 겸용 헤어드라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9316A true KR20190079316A (ko) 2019-07-05

Family

ID=67225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1425A KR20190079316A (ko) 2017-12-27 2017-12-27 차량용 청소기 겸용 헤어드라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7931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4250B1 (ko) * 2021-10-22 2022-03-14 이준혁 머리카락 청소가 가능한 헤어드라이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4250B1 (ko) * 2021-10-22 2022-03-14 이준혁 머리카락 청소가 가능한 헤어드라이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39493B2 (en) Hair dryer and smoother
JP2009541621A5 (ko)
KR101609560B1 (ko) 다기능 팬 모듈과 드라이룸 기능을 구비한 애완동물용 가방의 조립체
JP2006150060A (ja) ヘアドライヤー
KR101938694B1 (ko) 반려동물용 멀티하우스
KR101743069B1 (ko) 헤어드라이어의 청소 헤드 및 이를 이용한 청소기 겸용 헤어드라이어
KR100724607B1 (ko) 선택적 듀얼 타입 헤어 드라이기
CN104207730A (zh) 立式多功能地面清洁吹干器
US20070011841A1 (en) Cleaning apparatus
WO2018053476A1 (en) Hair styling device
CN221083548U (zh) 一种清洁设备用除湿托盘和清洁设备
JP2007275836A (ja) 出入り口払い落とし装置
CN210901818U (zh) 手持吹风机
KR20190079316A (ko) 차량용 청소기 겸용 헤어드라이기
KR101628187B1 (ko) 다기능 팬 모듈
CN203407997U (zh) 立式多功能地面清洁吹干器
KR100663966B1 (ko) 이온 방출형의 다기능 발 건조기
CN203506626U (zh) 立式多功能地面清洁吹干器
JP4670645B2 (ja) 身体しずく除去乾燥装置
CN203506627U (zh) 立式多功能地面清洁吹干器
CN203506633U (zh) 立式多功能地面清洁吹干器
CN203506625U (zh) 立式多功能地面清洁吹干器
KR102466035B1 (ko) 모발 청소 기능이 포함된 헤어드라이어
JP2016059476A (ja) 寝具清掃機能付き乾燥機
CN104207739A (zh) 立式多功能地面清洁吹干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