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6348B1 - 의류건조기 - Google Patents

의류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6348B1
KR100316348B1 KR1019990038937A KR19990038937A KR100316348B1 KR 100316348 B1 KR100316348 B1 KR 100316348B1 KR 1019990038937 A KR1019990038937 A KR 1019990038937A KR 19990038937 A KR19990038937 A KR 19990038937A KR 100316348 B1 KR100316348 B1 KR 100316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rotating drum
clothes
clothes dryer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8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3102A (ko
Inventor
가와모토마사유끼
야스이시게아끼
Original Assignee
나이토 스스무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강성모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이토 스스무,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강성모,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나이토 스스무
Publication of KR20000023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31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6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63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50Responding to irregular working conditions, e.g. malfunctioning of blow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2Lint collec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05Treatment of dryer exhaust gases
    • F26B25/007Dust filtering; Exhaust dust fil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42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filters or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62Stopping or disabling machine operation

Abstract

회전드럼의 배기구에 필터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건조운전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한 의류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의류(A)를 수용하는 회전드럼(3)을 구비하여 구성되며, 회전드럼(3)의 흡기구(5)로부터 열풍을 도입하고, 배기구(6)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회전드럼(3)과 일체로 회전하는 필터(14)를 통하여 회전드럼(3)의 배기구(6)로부터 습윤공기를 배출함으로써, 의류를 건조시키는 건조운전을 하는 의류건조기(1)에 있어서, 필터(14)의 장착 유무를 검지하는 필터유무검출수단(15,24)과, 필터유무검출수단(15,24)에 의해 필터(14)가 장착되지 않은 것이 검출되었을 때 건조운전을 금지하는 건조운전금지수단(2)을 구비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건조기{A DRIER FOR CLOTHES}
본 발명은, 회전드럼내에 의류를 수용하고 회전드럼에 열풍을 공급하여, 회전드럼으로부터 습윤공기를 배출함으로써, 의류를 건조시키는 의류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피건조물인 의복을 회전드럼에 수납하고 회전드럼내에 전기히터나 가스버너 또는 온수에 의한 열교환기 등의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여, 의류로부터 방출되는 습윤공기를 회전드럼으로부터 배출함으로써 의류를 건조시키게 한 의류건조기가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의류건조기에 있어서는, 회전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습윤공기는 실내로 배출되든지 혹은 의류건조기에 접속된 배기관을 통하여 옥외로 배출된다.
그리고, 의류건조기의 회전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습윤공기중에는 의류에서 발생하는 실보무라지나 먼지 등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드럼의 배기구에 필터를 장착하여 실보무라지 등이 실내나 배기관에 그대로 배출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회전드럼의 배기구에 장착된 필터에는, 의류건조기의 누적사용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실보무라지나 먼지 등이 점점 더 부착된다. 그리고, 실보무라지나 먼지 등의 부착으로 인해 필터의 막힘 정도가 커지면, 배기구로부터 배출되는 습윤공기의 양이 제한되기 때문에, 정상적인 건조운전을 할 수 없게 된다. 그 때문에, 사용자는 정기적으로 필터의 막힘상태를 점검하여, 필요에 따라 필터를 청소하지 않으면 안된다.
여기서, 필터의 청소는 필터를 떼내고 해야하는데, 필터를 떼낸 사용자가 그후 배기구에 필터를 장착하는 것을 잊어버릴 수가 있다. 그리고, 필터는 습윤공기중의 실보무라지나 먼지등이 실내나 배기관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만 이용되는 것으로, 필터가 장착되어 있지 않더라도 의류건조기의 작동자체에 지장이 없으므로, 사용자가 의류건조기를 사용할 수 있다. 그래서, 사용자는 필터가 장착되지 않았음을 알아차리기 어려워, 필터를 장착하지 않은 상태에서 의류건조기를 계속 사용하게 될 우려가 있었다.
그리고, 필터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의류건조기가 사용되어, 의류의 건조운전이 이루어지면, 상술한 바와 같이 실보무라지 등이 실내나 배기관으로 배출되어 버려, 실내의 오염이나 배기관의 막힘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여, 회전드럼의 배기구에 필터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건조운전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한 의류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의류건조기의 전체구성도이다.
도 2는, 의류건조기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3은, 필터유무검출수단의 설명도이다.
도 4는, 의류건조기의 동작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
1 의류건조기 2 제어기
3 회전드럼 4 열교환기
5 흡기구 6 배기구
7 흡배기팬 8 모터
9 도어 10 도어스위치
11 의류온도 서미스터 12 전극센서
13 배기온도 서미스터 14 필터
15 홀센서 16 조작판넬
17 벽 18 환기구
19 배기관 20 급탕기
21 열감지동작밸브(熱動弁) 22 급탕공급관(給湯往管)
23 급탕회수관(給湯戾管) 24 자석
30 모터드라이버 36 건조운전금지수단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의류를 수용하는 회전드럼을 가지며, 이 회전드럼의 흡기구로부터 열풍을 도입하고, 배기구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회전드럼과 일체로 회전하는 필터를 통하여, 회전드럼의 배기구로부터 습윤공기를 배출함으로써 의류를 건조시키는 건조운전을 행하는 의류건조기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그리하여, 상기 필터의 장착 유무를 검지하는 필터유무검출수단과, 필터유무검출수단이 상기 필터가 장착되지 않은 것을 검출하였을 때에 건조운전의 실행을 금지하는 운전금지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필터유무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회전드럼의 배기구에 상기 필터가 장착되지 않은 것이 검출되면, 상기 운전금지수단에 의해 의류건조기의 건조운전의 실행이 금지된다. 그 때문에, 상기 필터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건조운전이 이루어져, 상기 배기구로부터 실보무라지나 먼지 등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유무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필터가 장착되지 않은 것이 검출되었을 때, 사용자에게 필터가 장착되지 않은 것을 알리는 알림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필터유무검출수단에 의해 필터가 장착되지 않은 것이 검출되면, 상기 알림수단에 의해 필터가 장착되지 않은 것이 사용자에게 알려진다. 이로써, 필터의 장착이 재촉되어 필터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건조운전이 속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기구로부터 배출되는 습윤공기는, 배기관을 통하여 배기되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맨션과 같은 집합주택에서 의류건조기를 사용할 경우, 천장속을 통하여 베란다나 복도 등의 옥외까지 이어지는 긴 배기관이 의류건조기에 접속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이와 같은 배기관이 의류건조기로부터 배출되는 실보무라지나 먼지 등에 의해 막혔을 때에는, 막힌 것을 뚫기 위해 천장의 일부를 파손해야하는 등의 대규모의 복구조치가 필요하게 된다. 그 때문에, 이와 같은 배기관을 통하여 습윤공기를 배출하는 의류건조기에, 상술한 운전금지수단이나 알림수단에 의해 필터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건조운전이 실행되거나 속행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특히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필터유무검출수단은, 필터에 취부된 자석과, 회전드럼을 지지하는 본체측에 설치되어 자석의 유무를 검출하는 홀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필터가 장착되어 있을 때에는 필터에 취부된 자석이 본체측의 홀센서에 의해 검출되지만, 필터가 장착되지 않았을 때에는 자석이 검출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상기 필터에 취부된 자석의 유무를 본체측의 홀소자로 검출함으로써, 회전드럼과 함께 회전하는 필터의 장착유무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유무검출수단이, 필터에 취부된 자석과, 회전드럼을 지지하는 본체측에 설치되며 자석이 만드는 자계(磁界)에 따라 개폐되는 접점을 갖는 리드스위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자석을 검출하는 소자로서, 자성체로 만들어진 한쌍의 리드편(금속편) 선단을 일정한 간격으로 중합하여 접점으로 하고, 이 접점을 유리관 내부에 불활성가스와 함께 봉입한 리드스위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체측에 설치된 리드스위치에 필터에 취부된 자석이 접근하면, 자석이 만드는 자계에 의해 리드편에 자기흡인력이 생기고, 자기흡인력이 리드편의 기계적인 탄성력을 극복하여 접점이 닫힌다. 한편, 필터가 취부되지 않으면, 리드스위치에 자석의 자계가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리드편의 기계적인 탄성력에 의해 접점이 열린다. 그 때문에, 상기 필터에 취부된 자석의 유무를 본체측의 리드스위치의 개폐상태로부터 검출함으로써, 회전드럼과 일체로 회전하는 필터의 장착유무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유무검출수단은, 상기 필터에 취부된 반사체와, 상기 회전드럼을 지지하는 본체측에 설치된 발광소자(發光素子)와 수광소자(受光素子)로 이루어지고, 발광소자로부터 발광되어 반사체에서 반사된 빛을 수광소자에서 수광하는 반사형 포토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필터가 장착되었을 때는, 포토센서의 발광소자로부터 발광된 빛이 필터에 취부된 반사체에 의해 반사되고, 포토센서의 수광소자에서 수광되어 수광소자가 ON되지만, 필터가 장착되지 않으면, 발광소자로부터 발광된 빛이 반사되지 않기 때문에 수광소자는 OFF된다. 따라서, 수광소자의 ON/OFF를 검출함으로써, 회전드럼과 함께 회전하는 필터의 장착유무를 본체측에서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하나의 예에 대하여, 도 1∼도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도 1은 본 발명 의류건조기의 전체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의류건조기의 제어블록도, 도 3은 필터유무검출수단의 설명도, 도 4는 의류건조기의 동작흐름도이다.
도 1에 있어서, 본 발명 실시형태의 의류건조기(1)는, CPU, ROM, RAM 등으로 구성되는 제어기(2)에 의해 전체 동작이 제어되고, 피건조물인 의류(A)가 수납되는 회전드럼(3)과, 회전드럼에 공급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온수식 열교환기(4)와, 열교환기(4)에서 가열된 공기를 흡기구(5)로부터 회전드럼(3)으로 흡인함과 동시에, 회전드럼(3)내의 의류(A)로부터 방출되는 습윤공기를 배기구(6)로부터 배출하는 흡배기팬(7)과, 흡배기팬(7)과 회전드럼(3)을 회전동작시키는 모터(8)와, 회전드럼(3)의 도어(9) 개폐상태를 검지하는 도어스위치(10)와, 회전드럼(3)내의 의류(A) 온도를 검출하는 의류온도 서미스터(11)와, 전극(A,B)간에 접촉된 의류(A)의 젖은 정도에 따라 ON/OFF하는 전극센서(12)와, 배기구(6)로부터 배출되는 습윤공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배기온도 서미스터(13)와, 필터(14)에 취부된 자석(24)과, 배기구(6)에 필터(14)가 장착되어 있는지 어떤지를 검출하는 홀센서(15)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스위치 등을 구비한 조작판넬(16)을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의 의류건조기(1)에서, 배기구(6)로부터 배출된 습윤공기는, 천장속을 통과하여 베란다 등의 벽면(17)에 설치된 환기구(18)에 연통한 배기관(19)을 통하여 옥외로 배출된다. 또한, 급탕공급관(22)을 개폐하는 열감지동작밸브(21a)와 급탕회수관(23)을 개폐하는 열감지동작밸브(21b)를 엶으로써, 급탕기(20)와 열교환기(4) 사이에서 급탕공급관(22)과 급탕회수관(23)을 통하여 온수가 순환된다.
배기구(6)에 장착되는 필터(14)는, 의류(A)에서 발생하는 실보무라지나 먼지가 배기관(19)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의류건조기(1)로 의류를 건조시키면, 필터(14)에는 실보무라지나 먼지 등이 서서히 부착된다. 그리고, 필터(14)에 부착된 실보무라지나 먼지가 증가하면, 배기구(6)로부터 습윤공기를 배출할 때의 부하가 증가하여, 정상적인 건조운전을 할 수 없게 된다. 그 때문에, 필터(14)는 배기구(6)로부터 착탈가능하게 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필터(14)를 배기구로부터 빼내어 청소를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필터(14)가 배기구(6)에 장착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검출하기 위해, 필터(14)에는 자석(24)이 일체로 취부되어 있다. 도 3a에 있어서, 필터(14)가 회전드럼(3)의 배기구(6)에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회전드럼(3)과 함께 필터(14)가 회전하는 동안에, 홀센서(15)에 의해 필터(14)에 취부된 자석(24)이 반드시 검출된다. 그에 반해, 필터(14)가 취부되지 않은 경우에는, 홀센서(15)에 의해 자석(24)은 검출되지 않는다.
도 2에 있어서, 홀센서(15)로부터 출력되는 자석(24)의 검출신호는 제어기(2)에 입력된다. 그 때문에, 제어기(2)는 회전드럼(3)이 1회전하는 동안에, 홀센서(15)로부터 자석(24)의 검출신호가 출력되는지 아닌지를 확인함으로써, 회전드럼과 함께 회전하는 필터(14)의 장착유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즉, 홀센서(15)와 필터(14)에 취부된 자석(24)에 의해 본 발명의 필터유무검출수단이 구성된다.
더 나아가 도 2에 있어서, 제어기(2)에는, 도어스위치(10)로부터 출력되는 도어(9)의 개폐검출신호와, 의류온도 서미스터(11)와 배기온도 서미스터(13)로부터 출력되는 온도검출신호와, 전극센서(12)로부터 출력되는 건조도 검출신호가 입력된다. 도 1에 있어서, 이 검출신호들에 의해 제어기(2)는, 도어(9)의 개폐상태, 회전드럼(3)내 의류(A)의 온도, 배기구(6)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 의류(A)의 건조도를 확인한다. 또한, 전극센서(12)는, 전극(a,b)간의 저항치(접촉하는 의류가 건조될수록 커진다)가 소정레벨(수 ㏁ 정도)이상이 되었을 때 ON되는 것이다.
또한, 도 2에 있어서, 제어기(2)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모터드라이버(30)를 통한 모터(8)의 회전동작/회전정지와, 열감지동작밸브(21a,21b)의 개/폐가 제어된다. 더 나아가, 제어기(2)로부터 급탕기(20)에 출력되는 급탕지시신호에 의해 급탕기(20)가 작동을 개시하여 대기상태가 된다. 그리고 그후, 도 1과 같이, 열감지동작밸브(21a,21b)가 열리면 급탕공급관(22)을 통하여 급탕기(20)로부터 열교환기(4)에 소정온도(예를 들면 80℃)의 온수가 공급된다.
또한, 도 2에 있어서 조작판텔(16)에는, 의류건조기(1)에의 전원공급의 개시와 정지를 지시하는 전원스위치(31), 건조운전의 개시와 일시정지를 지시하는 스타트스위치(32), 건조운전의 남은 시간을 표시하는 표시유니트(33), 건조운전의 종료 등을 음성으로 사용자에게 알리는 음성유니트(34)(본 발명의 알림수단에 해당함) 및 필터(14)(도 1 참조)가 장착되어 있지 않을 때 점등하는 필터없음램프(35)(본 발명의 알림수단에 해당함)를 구비한다.
이어, 도 1, 도 2를 참조하면서, 도 4에 도시한 흐름도에 따라 제어기(2)에의한 의류건조기(1)의 작동제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의 스텝 1에서, 사용자가 조작판넬(16)(도 2 참조)의 전원스위치(31)를 ON으로 조작하면, 의류건조기(1)에 전원이 공급되어 제어기(2)가 작동을 개시한다. 제어기(2)는, 먼저 스텝 2에서 사용자가 조작판넬(16)의 스타트스위치(32)가 조작되기를 기다린다. 의류(A)를 회전드럼(3)내에 넣어 건조운전의 준비를 끝낸 사용자가 스타트스위치(32)를 조작하면, 스텝 3으로 진행하고, 제어기(2)는 급탕기(20)에 급탕지시신호를 출력한다. 이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급탕기(20)는 대기상태가 된다.
이어지는 스텝 4에서 제어기(2)는, 도어스위치(10)로부터의 개폐검출신호에 따라 회전드럼(3)의 도어(9)를 닫는 것을 잊어버렸는지 아닌지를 확인한다. 그리고, 도어(9)가 닫힌상태인 것을 확인하였을 때는, 스텝 5로 진행하여 제어기(2)가 모터드라이버(30)를 통하여 모터(8)의 회전동작을 개시하며, 모터(8)의 회전과 연동하여 회전드럼(3)과 흡배기팬(7)의 회전도 개시된다(도 1 참조).
이어지는 스텝 6 및 스텝 20∼스텝 23은, 제어기(2)에 구비된 건조운전금지수단(36)(도 2 참조)에 의한 처리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배기구(6)에 필터(14)가 장착되어 있을 때는, 회전드럼(3)이 1회전하는 동안에, 홀센서(15)에 의해 반드시 자석(24)이 검출된다. 그 때문에, 스텝 20에서 5초(회전드럼(3)이 1회전하는데 필요한 시간보다도 긴 시간으로 설정한 것)가 경과할 때까지, 스템5에서 홀센서(15)로부터의 자석검출신호를 입력하였을 때는, 건조운전금지수단(36)이 필터(14)가 장착되어 있다고 판단하여 스텝 7로 진행한다. 스텝 7∼스텝 12는 건조운전의 실행흐름이다.
제어기(2)는 스텝 7에서, 열감지동작밸브(20)를 연다. 이로써, 도 1과 같이, 급탕기(20)로부터 급탕공급관(22)을 통하여 열교환기(4)에 80℃의 온수가 공급된다. 그리고, 열교환기(4)에서 가열된 공기가 흡배기팬(7)의 동작에 의해 열풍이 되고 흡기구(5)로부터 회전드럼(3)내로 도입되어 건조운전이 개시된다.
제어기(2)는 스텝 8에서, 의류서미스터에 의해 검출되는 회전드럼(3)내의 온도와, 배기서미스터(13)에 의해 검출되는 배기구(6)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와의 관계로부터, 의류(A)를 건조시키는데 필요한 시간을 산출하고, 산출된 시간을 건조운전종료까지의 남은 시간으로 하여, 조작판넬(16)의 표시유니트(33)에 표시한다. 건조운전중 제어기(2)는 스텝 9에서, 의류온도서미스터(11)로부터 출력되는 의류(A)의 검출온도와, 배기온도서미스터(13)로부터의 출력되는 배출공기의 검출온도와, 전극센서(12)로부터 출력되는 저항검출신호를 감시한다. 그리하여, 의류의 검출온도가 55℃를 넘고, 배출공기의 검출온도가 60℃를 넘으며, 전극센서가 ON되는 정도(전극(a,b)간에 접촉한 의류(A)가 건조상태로 되었다고 판단되는 정도)가 소정레벨을 초과하였을 때, 의류(A)가 건조하였다고 판단하여 스텝 10으로 진행한다.
그리고, 제어기(2)는, 스텝 10에서 열감지동작밸브(20)를 닫고, 스텝 11에서 모터(8)를 정지시키며, 스텝 12에서 조작판넬(16)의 음성유니트(34)에서 건조운전이 종료한 것을 알리는 음성(예를 들면「운전이 종료하였습니다」)을 출력하여 건조운전을 종료한다.
한편, 스텝 6에서 홀센서(15)로부터 자석(24)의 검출신호가 출력되지 않고 스텝 20에서 5초 경과하였을 때, 건조운전금지수단(36)은 배기구(6)에 필터(14)가장착되어 있지 않았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스텝 20에서 스텝 21로 진행하며, 건조운전금지수단(36)은 모터드라이버(30)를 통하여 모터(8)를 정지시키고, 회전드럼(3)과 흡배기팬(7)의 회전동작을 정지시킨다.
이어지는 스텝 22에서 건조운전금지수단(36)은, 조작판넬(16)의 필터없음램프(35)(본 발명의 알림수단에 해당함)를 점등하고, 스텝 23에서 음성유니트(34)(본 발명의 알림수단에 해당함)에서 필터(14)가 장착되지 않은 것을 알리는 음성(예를 들면, 「필터가 장착되어 있지 않습니다」)을 출력한다. 스텝 22와 스텝 23의 처리에 따라 사용자에게 필터(14)의 장착을 재촉할 수 있다.
그리고 건조운전금지수단(36)이, 스텝 24에서 전원스위치(31)가 OFF되는 것을 기다리기 때문에, 의류건조기(1)는 건조운전이 금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사용자는 전원스위치(31)를 OFF로 조작한 후, 필터(14)를 배기구(6)에 장착하여 전원스위치(31)를 ON으로 조작함으로써, 의류건조기(1)의 건조운전금지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스텝 6 및 스텝 20∼스텝 23의 건조운전금지수단(36)에 따른 처리에 의해, 필터(14)가 장착되어 있지 않을 때는 스텝 7∼스텝 12의 건조운전의 실행이 금지된다. 이로써, 도 1과 같이, 배기구(6)에 필터(14)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건조운전이 실행되어, 의류(A)로부터 발생한 실보무라지나 먼지가 배기관(19)에 그대로 배출되어 배기관(19)이 실보무라지등에 의해 막히는 것이 방지된다.
여기서, 도 1과 같이, 맨션과 같은 집합주택에서는, 환기구(18)의 배치장소는 베란다쪽이나 복도쪽으로 한정된다. 그 때문에, 의류건조기(1)가 설치된 장소(욕수부근 등)로부터 환기구(18)까지 설치되는 배기관(19)은 천장속을 통과하게 되어 길어진다. 그 때문에, 실보무라지 등에 의해 배기관이 막히며, 막힌 것을 뚫기 위해서는, 천장의 일부를 파손시켜 배기관을 청소하는 등의 대규모의 수리가 필요하게 된다. 그래서, 상술한 바와 같이, 필터(14)가 장착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건조운전금지수단(36)에 의해 의류건조기(1)의 건조운전실행을 금지하는 처리를 행하는 것이 특히 효과적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회전드럼(3)으로부터 배출되는 습윤공기를 배기관(19)을 통하여 배출하는 의류건조기(1)를 개시하였지만, 습윤공기를 실내로 배출하는 것이라도 된다. 이 경우에는, 건조운전금지수단(36)에 의해 필터(14)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건조운전이 금지됨으로써, 실보무라지나 먼지등에 의해 실내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필터유무검출수단을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터(14)에 취부된 자석(24)과, 본체측에 설치되어 자석(24)의 유무를 검출하는 홀센서(15)로 구성하였지만, 홀센서(15) 대신에 자석(24)이 만드는 자계에 따라 개폐되는 접점을 갖는 리드스위치를 설치하고, 이 리드스위치와 자석(24)으로 필터유무검출수단을 구성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필터(14)가 배기구(6)에 장착되어 있을 때, 리드스위치의 접점이 닫힌다. 이로써, 리드스위치 접점의 개폐상태를 검지함으로써 필터(14)의 장착유무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필터유무검출수단을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터(14)에 취부된 반사체(40)와, 본체측에 설치된 반사형 포토센서(41)로 구성하여도 된다. 이 경우에는, 필터(14)가 배기구(6)에 장착되어 있을 때, 포토센서(41)의 발광소자(42)(발광다이오드 등)로부터 조사된 빛이 반사체(40)에서 반사되고 수광소자(43)(포토트랜지스터 등)에서 수광된다. 이로써, 수광소자(43)의 ON/OFF를 검지함으로써 필터(14)의 장착유무를 검출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필터유무검출수단을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터(14)에 설치된 돌기물(44)과, 본체측에 설치되고 돌기물(44)의 눌림에 의해 ON(닫힘)되는 스위치(45)로 필터유무검출수단을 구성해도 된다. 이 경우에, 스위치(45)의 ON/OFF를 검지함으로써, 필터(14)의 장착유무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의류건조기(1)로부터의 급탕지시신호에 따라 동작을 개시하는 급탕기(20)를 이용하였지만, 열감지동작밸브(21a)와 열감지동작밸브(21b)의 열림에 의해 발생하는 급탕기로부터 열교환기(4)에의 유수(流水)를 검지하여 작동을 개시하는 급탕기를 이용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온수식 열교환기(4)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회전드럼(3)에 공급하는 의류건조기를 개시하였지만, 버너나 전기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회전드럼(3)에 공급하는 의류건조기라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필터(14)가 배기구(6)에 장착되지 않았을 때, 건조운전금지수단(36)에 의한 건조운전의 금지처리와, 필터없음램프(35)와 음성유니트(34)(본 발명의 알림수단)에 의한 알림처리의 두 가지 방법을 실시하였지만, 어느 쪽이든 하나의 방법만으로도 본 발명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의류건조기는, 의류(A)를 수용하는 회전드럼(3)을 가지며, 회전드럼(3)의 흡기구(5)로부터 열풍을 도입하고, 회전드럼(3)의 배기구(6)로부터 배기구(6)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회전드럼(3)과 일체로 회전하는 필터(14)를 통하여 습윤공기를 배출함으로써 의류를 건조시키는 건조운전을 하는 의류건조기(1)에 있어서, 필터(14)의 장착 유무를 검지하는 필터유무검출수단(15,24)과, 필터유무검출수단(15,24)에 의해 필터(14)가 장착되지 않은 것이 검출되었을 때 건조운전의 실행을 금지하는 건조운전금지수단(2)을 구비함으로써, 회전드럼의 배기구에 필터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건조운전이 이루어지지 않게 하여 배기구로부터 실보무라지나 먼지 등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0)

  1. 의류를 수용하는 회전드럼을 가지며, 상기 회전드럼의 흡기구로부터 열풍을 도입하여 상기 회전드럼의 배기구로부터, 상기 배기구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회전드럼과 일체로 회전하는 필터를 통하여, 습윤공기를 배출함으로써 의류를 건조시키는 건조운전을 행하는 의류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필터의 장착유무를 검지하는 필터유무검출수단과, 상기 필터유무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필터가 장착되지 않는 것을 검출하였을 때에 건조운전의 실행을 금지하는 건조운전금지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2. 의류를 수용하는 회전드럼을 가지며, 상기 회전드럼의 흡기구로부터 열풍을 도입하여 상기 회전드럼의 배기구로부터, 상기 배기구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회전드럼과 일체로 회전하는 필터를 통하여, 습윤공기를 배출함으로써 의류를 건조시키는 건조운전을 행하는 의류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필터의 장착유무를 검지하는 필터유무검출수단과, 상기 필터유무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필터가 장착되지 않은 것을 검출하였을 때, 사용자에게 상기 필터가 장착되지 않은 것을 알리는 알림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의류건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로부터 배출되는 습윤공기는, 배기관을 통하여 배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유무검출수단은, 상기 필터에 취부된 자석과, 상기 회전드럼을 지지하는 본체측에 설치되어 상기 자석의 유무를 검출하는 홀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유무검출수단은, 상기 필터에 취부된 자석과, 상기 회전드럼을 지지하는 본체측에 설치되어 상기 자석이 만드는 자계에 따라 개폐되는 접점을 갖는 리드스위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유무검출수단은, 상기 필터에 취부된 반사체와, 상기 회전드럼을 지지하는 본체측에 설치된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로 이루어지며,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발광되어 상기 반사체에서 반사된 빛을 상기 수광소자에서 수광하는 반사형 포토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로부터 배출되는 습윤공기는, 배기관을 통하여 배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8. 제2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유무검출수단은, 상기 필터에 취부된 자소과, 상기 회전드럼을 지지하는 본체측에 설치되어 상기 자소의 유무를 검출하는 홀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9. 제2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유무검출수단은, 상기 필터에 취부된 자소과, 상기 회전드럼을 지지하는 본체측에 설치되어 상기 자소이 만드는 자계에 따라 개폐되는 접점을 겊는 먕드스위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10. 제2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유무검출수단은, 상기 필터에 취부된 반사체와, 상기 회전드럼을 지지하는 본체측에 설치된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로 이루어지며,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발광되어 상기 반사체에서 반사된 빛을 상기 수광수자에서 수광하는 반사형 포토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KR1019990038937A 1998-09-17 1999-09-13 의류건조기 KR1003163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8-262696 1998-09-17
JP10262696A JP2000084295A (ja) 1998-09-17 1998-09-17 衣類乾燥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3102A KR20000023102A (ko) 2000-04-25
KR100316348B1 true KR100316348B1 (ko) 2001-12-22

Family

ID=17379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8937A KR100316348B1 (ko) 1998-09-17 1999-09-13 의류건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0084295A (ko)
KR (1) KR1003163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49317A1 (ko) * 2022-06-20 2023-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WO2023249312A1 (ko) * 2022-06-20 2023-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19590A1 (de) * 2005-04-27 2006-11-09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erfahren zum Trocknen von empfindlichem Trockengut
JP4737245B2 (ja) * 2008-08-04 2011-07-2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機
KR101887454B1 (ko) 2012-01-11 2018-08-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필터삽입 감지장치 및 이를 장착한 의류건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49317A1 (ko) * 2022-06-20 2023-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WO2023249312A1 (ko) * 2022-06-20 2023-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084295A (ja) 2000-03-28
KR20000023102A (ko) 2000-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5774B1 (ko) 건조기 및 그 청소 운전 제어 방법
KR890012609A (ko) 자동 손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US20090183385A1 (en) Controlling method of dryer
KR100316348B1 (ko) 의류건조기
JPH1057700A (ja) 衣類乾燥機
KR101542499B1 (ko) 건조기의 저전압 차단 장치 및 방법
JP3958523B2 (ja) 衣類乾燥機
JP2002081858A (ja) 乾燥装置
KR100461637B1 (ko) 건조기의 히터제어방법 및 장치
KR20040011216A (ko) 건조기의 먼지량 감지 구조.
KR100756446B1 (ko) 린트필터 막힘감지방법
KR101010466B1 (ko) 벨트 풀림 감지 기능을 갖는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JP2776640B2 (ja) 換気乾燥機
JP3842242B2 (ja) ビデの節電制御方法
JP3566564B2 (ja) 衣類乾燥機
JPH06154492A (ja) 衣類乾燥機
JPH09112993A (ja) 浴室用換気扇
JPH0517998Y2 (ko)
KR101063652B1 (ko) 가스식 의류건조기의 안전 제어장치 및 방법
JP6183786B2 (ja) 手乾燥装置
JP2000161732A (ja) 排気装置
KR101210714B1 (ko) 건조기 제어방법
JP3859026B2 (ja) 衣類乾燥装置
JPH02255198A (ja) 衣類乾燥機の制御装置
KR100622232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배기관 막힘 검지 및 이물질제거 방법과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