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7239A - 내시경용 처치구와 처치구용 이중 튜브 - Google Patents

내시경용 처치구와 처치구용 이중 튜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7239A
KR20080057239A KR1020087006415A KR20087006415A KR20080057239A KR 20080057239 A KR20080057239 A KR 20080057239A KR 1020087006415 A KR1020087006415 A KR 1020087006415A KR 20087006415 A KR20087006415 A KR 20087006415A KR 20080057239 A KR20080057239 A KR 200800572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outer tube
inner tube
endoscope
treatment instru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6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7769B1 (ko
Inventor
사오리 구리야마
사또루 도미야
Original Assignee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57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72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7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77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78Endoscopic needles, e.g. for infu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12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haracterised by internal passages or accessories therefor
    • A61B1/018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haracterised by internal passages or accessories therefor for receiving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82Catheter tip comprising a tool
    • A61M25/0084Catheter tip comprising a tool being one or more injection need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Endoscope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내시경용 주사 바늘(1)의 삽입부(3)를 형성하는 이중 튜브 중 적어도 내측 튜브(6)와 외측 튜브(5)를 다른 종류의 플라스틱 재료로, 또한 외측 튜브(5)가 내측 튜브(6)보다도 딱딱한 재료로 형성된 것이다. 이에 의해, 바늘 돌출 조작 등의 조작성이 양호해, 질환에 대해 안정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내시경용 주사 바늘 등의 내시경용 처치구와 처치구용 이중 튜브를 제공한다.
내시경용 주사 바늘, 외측 튜브, 내측 튜브, 접착제, 걸림 부재

Description

내시경용 처치구와 처치구용 이중 튜브{TREATMENT DEVICE FOR ENDOSCOPE AND DOUBLE TUBE FOR THE TREATMENT DEVICE}
본 발명은 내시경의 채널을 통해 체강 내에 도입하여 체강 내의 조직 부위에 약제를 주사하는, 예를 들어 내시경용 주사 바늘 등의 내시경용 처치구와 처치구용 이중 튜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시경의 채널을 통해 체강 내에 처치구를 도입하여 체강 내의 환부 등에 각종 처치를 실시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1-58006호 공보(특허문헌 1)에는 내시경용 처치구의 일 예로서, 체강 내의 환부 등에 약액을 주입하는 주사 바늘이 개시되어 있다.
이 내시경용 주사 바늘에는 내시경의 채널 내에 삽입되는 가늘고 긴 삽입부와, 이 삽입부의 기단부에 연결된 조작부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삽입부는 외측 튜브와 이 외측 튜브 내에 진퇴 가능하게 삽입된 내측 튜브를 갖는 이중 튜브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조작부는 상기 내외측 튜브의 진퇴 조작을 행한다. 상기 내측 튜브의 선단부에는 중공 형상의 바늘체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내시경용 주사 바늘의 사용 시에는 내시경의 채널을 통해 체강 내에 내시경용 주사 바늘의 삽입부를 도입한다. 그 후,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외측 튜 브에 대해 내측 튜브를 진퇴 구동한다. 이에 의해, 내측 튜브의 선단부의 바늘체를 외측 튜브의 선단부로부터 외부측으로 돌출 함몰 조작하도록 하고 있다. 이때, 내측 튜브를 압입함으로써 외측 튜브의 선단부로부터 바늘체를 돌출시켜 체강 내의 조직 부위에 천자(穿刺)한다.
종래에는 외측 튜브와 내측 튜브의 재료로서 표면 마찰 저항이 낮은 PTFE나, 나일론이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에는 불소 수지 튜브나, 나일론 튜브를 이용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인체의 관강 내의 관로 형상은 다양한 형상으로 구부러져 있는 경우가 많다. 그로 인해, 환자의 체내에 내시경의 삽입부를 삽입하는 경우, 체강 내의 관로 형상에 맞추어 내시경의 삽입부가 다양한 형상으로 구부러진다. 그리고, 내시경의 채널을 통해 체강 내에 내시경용 주사 바늘의 삽입부를 도입했을 때에, 내시경의 삽입부의 형상에 맞추어 내시경용 주사 바늘의 삽입부도 다양한 형상으로 구부러진다. 이와 같이 내시경용 주사 바늘의 삽입부가 구부러진 상태에서 처치구에서의 처치를 행하는 경우에는,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외측 튜브에 대해 내측 튜브를 진퇴 구동할 때에, 내측 튜브의 외주면과 외측 튜브의 내주면과의 접촉면 사이의 마찰 저항이 커진다. 그로 인해, 내시경용 주사 바늘 등으로 사용되는 의료 처치구용 이중 튜브에서는 내측 튜브의 외주면과 외측 튜브의 내주면과의 접촉면 사이에서 높은 미끄럼 이동성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특히, 내시경용 처치구에 의한 체내에서의 처치는 내시경의 삽입부의 형상에 맞추어 내시경용 처치구의 삽입부를 구부린 상태에서 행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구부림 반경이 작은 상태에서 구부린 경우에는 내측 튜브를 압입함으로써 외측 튜브의 선단부로부터 바늘체를 돌출 조작할 때의 마찰 저항이 매우 커진다. 그로 인해, 내측 튜브를 압입하는 조작이 중요해진다. 그 결과, 내시경용 주사 바늘의 조작성이 저하되어 질환에 대해 안정적으로 처치하는 것이 어려워, 처치 시간이 길어질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체내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구부린 상태에서 처치를 행하는 경우라도 바늘 돌출 조작 등의 조작성이 양호해, 질환에 대해 안정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내시경용 주사 바늘 등의 내시경용 처치구와 처치구용 이중 튜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국면의 실시 형태의 내시경용 처치구는 내시경의 채널 내에 삽입되며, 외측 튜브와 이 외측 튜브 내에 진퇴 가능하게 삽입된 내측 튜브를 갖는 이중 튜브를 구비하고 있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기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내외측 튜브의 진퇴 조작을 행하는 조작부를 구비하는 내시경용 처치구이며, 상기 이중 튜브는 적어도 상기 내측 튜브와 상기 외측 튜브를 다른 종류의 플라스틱 재료로, 또한 상기 외측 튜브가 상기 내측 튜브보다도 딱딱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구성에서는 적어도 내측 튜브와 외측 튜브를 다른 종류의 플라스틱 재료로, 또한 외측 튜브를 내측 튜브보다도 딱딱한 재료로 형성함으로써, 삽입부를 구부린 상태에서 내시경용 처치구의 조작부를 조작하여 내외측 튜브의 진퇴 조작을 행할 때에, 내외측 튜브의 진퇴 조작의 저항의 크기를 경감시킬 수 있다. 여기서, 내외측 튜브를 구부린 상태에서 진퇴 조작할 때의 미끄럼 이동 저항은 내외측 튜브를 구부렸을 때에 외측 튜브가 찌부러져 내측 튜브를 압박함으로써 생기는 것이다. 또한, 내측 튜브가 외측 튜브보다도 딱딱한 경우에는 외측 튜브에 대해 내측 튜브를 전진시키는 바늘 돌출 조작 시에 구부러진 외측 튜브의 내측에 내측 튜브가 강하게 마찰되는 현상에 의해 마찰 저항이 커진다. 또한, 마찰 저항에는 미끄럼 접촉하는 면의 특성도 크게 영향을 미친다. 내측 튜브와 외측 튜브의 재료가 동일한 경우에는 내측 튜브의 외주면과 외측 튜브의 내주면과의 미끄럼 접촉면의 표면이 서로 가까운 원자 결합 상태이므로 표면의 친화성이 높아지고, 그 결과, 마찰 저항이 커진다. 이들로부터, 이중 튜브관의 외측 튜브에 비해 내측 튜브의 경도를 낮게 하는 것 및 외측 튜브와 내측 튜브 중 적어도 미끄럼 이동면의 재질을 바꿈으로써, 내외측 튜브를 구부린 상태에서 내외측 튜브를 진퇴 조작할 때의 미끄럼 이동 마찰 저항을 작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측 튜브는 상기 내측 튜브보다도 구부림 탄성률이 크다.
그리고, 상기 구성에서는, 외측 튜브는 내측 튜브보다도 구부림 탄성률을 크게 함으로써, 내외측 튜브를 구부린 상태에서 내외측 튜브를 진퇴 조작할 때의 미끄럼 이동 마찰 저항을 작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라스틱 재료는 상기 외측 튜브와 상기 내측 튜브가 각각 다른 폴리올레핀계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구성에서는 외측 튜브와 내측 튜브가 각각 다른 폴리올레핀계 플라스틱에 의해 형성됨으로써, 내외측 튜브를 구부린 상태에서 내외측 튜브를 진퇴 조작할 때의 미끄럼 이동 마찰 저항을 작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라스틱 재료는 상기 외측 튜브와 상기 내측 튜브가 폴리올레핀계 플라스틱과 불소계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측 튜브는 폴리프로필렌, 상기 내측 튜브는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구성에서는, 외측 튜브는 폴리프로필렌, 내측 튜브는 폴리에틸렌에 의해 각각 형성함으로써, 내외측 튜브를 구부린 상태에서 내외측 튜브를 진퇴 조작할 때의 미끄럼 이동 마찰 저항을 작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측 튜브는 폴리프로필렌, 상기 내측 튜브는 PFA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측 튜브는 선단부에 중공 형상의 바늘체가 설치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내측 튜브의 선단부의 바늘체를 상기 외측 튜브의 선단부로부터 외부측으로 돌출 함몰 조작하는 바늘체 조작부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구성에서는 내측 튜브의 선단부의 중공 형상의 바늘체를 조작부의 바늘체 조작부에 의해 외측 튜브의 선단부로부터 외부측으로 돌출 함몰 조작하도록 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측 튜브와 상기 내측 튜브의 열선 팽창 계수가 모두 20 × 10-5/℃ 이하이고, 또한 각각의 열선 팽창 계수의 차가 5 × 10-5/℃ 이하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국면의 실시 형태의 처치구용 이중 튜브는 외측 튜브와 이 외측 튜브 내에 진퇴 가능하게 삽입된 내측 튜브를 갖는 처치구용 이중 튜브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내측 튜브와 상기 외측 튜브를 다른 종류의 플라스틱 재료로, 또한 상기 외측 튜브가 상기 내측 튜브보다도 딱딱한 재료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성에서는 처치구용 이중 튜브 중 적어도 내측 튜브와 외측 튜브를 다른 종류의 플라스틱 재료로, 또한 외측 튜브가 내측 튜브보다도 딱딱한 재료로 형성함으로써, 삽입부를 구부린 상태에서 내시경용 처치구의 조작부를 조작하여 내외측 튜브의 진퇴 조작을 행할 때에, 내외측 튜브의 진퇴 조작의 저항의 크기를 경감시킬 수 있다. 여기서, 내외측 튜브를 구부린 상태에서 진퇴 조작할 때의 미끄럼 이동 저항은 내외측 튜브를 구부렸을 때에 외측 튜브가 찌부러져 내측 튜브를 압박함으로써 생기는 것이다. 또한, 내측 튜브가 외측 튜브보다도 딱딱한 경우에는, 외측 튜브에 대해 내측 튜브를 전진시키는 바늘 돌출 조작 시에 구부러진 외측 튜브의 내측에 내측 튜브가 강하게 마찰되는 현상에 의해 마찰 저항이 커진다. 또한, 마찰 저항에는 미끄럼 접촉하는 면의 특성도 크게 영향을 미친다. 내측 튜브와 외측 튜브의 재료가 동일한 경우에는 내측 튜브의 외주면과 외측 튜브의 내주면과의 미끄럼 접촉면의 표면이 서로 가까운 원자 결합 상태이므로 표면의 친화성이 높아지고, 그 결과, 마찰 저항이 커진다. 이들로부터, 이중 튜브관의 외측 튜브에 비해 내측 튜브의 경도를 낮게 하는 것 및 외측 튜브와 내측 튜브 중 적어도 미끄럼 이동면의 재질을 바꿈으로써, 내외측 튜브를 구부린 상태에서 내외측 튜브를 진퇴 조작할 때의 미끄럼 이동 마찰 저항을 작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측 튜브는 상기 내측 튜브보다도 구부림 탄성률이 크다.
그리고, 상기 구성에서는, 처치구용 이중 튜브의 외측 튜브는 내측 튜브보다도 구부림 탄성률을 크게 함으로써, 내외측 튜브를 구부린 상태에서 내외측 튜브를 진퇴 조작할 때의 미끄럼 이동 마찰 저항을 작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라스틱 재료는 상기 외측 튜브와 상기 내측 튜브가 각각 다른 폴리올레핀계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구성에서는 처치구용 이중 튜브의 외측 튜브와 내측 튜브를 각각 다른 폴리올레핀계 플라스틱에 의해 형성함으로써, 내외측 튜브를 구부린 상태에서 내외측 튜브를 진퇴 조작할 때의 미끄럼 이동 마찰 저항을 작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라스틱 재료는 상기 외측 튜브와 상기 내측 튜브가 폴리올레핀계 플라스틱과 불소계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측 튜브는 폴리프로필렌, 상기 내측 튜브는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구성에서는 처치구용 이중 튜브의 외측 튜브는 폴리프로필렌, 내측 튜브는 폴리에틸렌에 의해 각각 형성함으로써, 내외측 튜브를 구부린 상태에서 내외측 튜브를 진퇴 조작할 때의 미끄럼 이동 마찰 저항을 작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측 튜브는 폴리프로필렌, 상기 내측 튜브는 PFA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체내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구부린 상태에서 처치를 행하는 경우라도 바늘 돌출 조작 등의 조작성이 양호해, 질환에 대해 안정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내시경용 주사 바늘 등의 내시경용 처치구와 처치구용 이중 튜브를 제공할 수 있다.
도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내시경용 주사 바늘의 외측 튜브의 선단부로부터 바늘을 돌출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1B는 제1 실시 형태의 내시경용 주사 바늘의 외측 튜브 내에 바늘을 수납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2A는 제1 실시 형태의 내시경용 주사 바늘의 외측 튜브의 선단부로부터 바늘을 돌출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의 종단면도이다.
도2B는 제1 실시 형태의 내시경용 주사 바늘의 외측 튜브 내에 바늘을 수납한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의 종단면도이다.
도2C는 제1 실시 형태의 내시경용 주사 바늘의 외측 튜브 내에 바늘을 수납한 경우의 조작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의 종단면도이다.
도3은 제1 실시 형태의 내시경용 주사 바늘이 삽입되는 내시경의 일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1A, 도1B는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용 주사 바늘(1)을 도시한다. 내시경용 주사 바늘(1)은 내시경(2)(도3 참조)의 채널 내에 삽입되어, 이 채널 내를 통해 체내에 삽입되는 가늘고 긴 삽입부(3)와, 이 삽입부(3)의 기단부에 연결된 조작부(4)를 갖는다.
삽입부(3)는, 도2A, 도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 튜브(5)와, 이 외측 튜브(5) 내에서 진퇴 가능한 내측 튜브(6)를 갖는 이중 튜브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내측 튜브(6)의 선단부에는 파이프 형상의 바늘체(7)가 설치되어 있다. 이 바늘체(7)의 바늘 끝에는, 예를 들어 30도의 각도로 비스듬히 커트된 뾰족한 천자부(7a)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적어도 내측 튜브(6)와 외측 튜브(5)는 다른 종류의 플라스틱 재료로, 또한 외측 튜브(5)가 내측 튜브(6)보다도 딱딱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외측 튜브(5)는 내측 튜브(6)보다도 구부림 탄성률이 큰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측 튜브(5)와 내측 튜브(6)는 각각 다른 폴리올레핀계 플라스틱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외측 튜브(5)는 폴리프로필렌(PP), 내측 튜브(6)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외측 튜브(5)는 내경이 ø1.8 ㎜, 외경이 ø2.3 ㎜이다. 내측 튜브(6)는 내경이 ø0.7 ㎜, 외경이 ø1.5 ㎜이다. 바늘체(7)는 스테인리스 재료(SUS304)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조작부(4)는 외측 튜브(5)의 기단부에 고정된 조작부 본체(8)와, 내측 튜브(6)의 기단부에 스테인리스제의 파이프(9)를 개재하여 설치된 입구 부재 유닛(1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구 부재 유닛(10)의 선단부측 부분에는 스테인리스 파이프(9)가 인서트 성형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입구 부재 유닛(10)의 손잡이 단부에는 입구 부재(1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조작부(4)는 조작부 본체(8)와, 입구 부재 유닛(10)이 진퇴 가능하다. 도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부 본체(8)에 대해 입구 부재 유닛(10)을 압입하면, 도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늘체(7)가 외측 튜브(5)의 선단부 개구(13)로부터 돌출된다. 또한, 도1B, 도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부 본체(8)에 대해 입구 부재 유닛(10)을 손잡이측으로 당기면, 도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늘체(7)가 외측 튜브(5) 내에 수용된다.
외측 튜브(5)의 선단부는 그 반경 방향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모서리부로 이루어지는 걸림용 접촉부(12)가 열 성형에 의해 외측 튜브(5)와 일체화된 형태로 플랜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걸림용 접촉부(12)를 플랜지 형상으로 구성한 것에 의해, 그 걸림용 접촉부(12)의 중앙에 형성된, 외측 튜브(5)의 선단부 개구(13)는 외측 튜브(5)의 내경보다도 작게 되어 있고, 그 선단부 개구(13)는 바늘체(7)의 외경에 비해 큰 직경으로 되어 있다.
또한, 바늘체(7)의 외주에는 대경부(14a)와 소경부(14b)를 갖는 단차식 원통 형상의 걸림 부재(14)가, 소위 코킹(2 내지 4의 복수의 방향으로부터의 체결에 의한 코킹)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 경우, 대경부(14a)의 외경은 외측 튜브(5)의 내경보다 작고, 또한 선단부 개구(13)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조작부(4)로 조작부 본체(8)에 대해 입구 부재 유닛(10)을 압입하는 조작으로, 외측 튜브(5)에 대해 내측 튜브(6)를 압입하여, 외측 튜브(5)의 선단부 개구(13)로부터 바늘체(7)의 선단부 부분을 돌출시켰을 때에, 걸림 부재(14)의 선단부면이 외측 튜브(5)의 걸림용 접촉부(12)의 내측 단부면에 충돌하여, 그 이상으로 전진하지 않도록 규제하는 수단을 구성한다.
또한, 걸림 부재(14)의 소경부(14b)는 내측 튜브(6)의 내경과 거의 동등한 내경으로 되어 있다. 이 소경부(14b)의 외주에는 내측 튜브(6)의 선단부 부분이 밀하게 덮여 끼워져 있다. 이 덮여 끼워진 접합 부분은 접착제(15)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 걸림 부재(14)는 바늘체(7)의 외경(외주)과 내측 튜브(6)의 내경(내주)의 간극을 메우는 부재이다. 이 걸림 부재(14)를 개재하여 내측 튜브(6)와 바늘체(7) 사이가 접속되어 있다.
접착제(15)는 걸림 부재(14)의 기단부면을 초과하여 바늘체(7)의 일부 외주면도 덮도록 도포되어 있다. 이에 의해, 내측 튜브(6)와 걸림 부재(14)의 접착 접합과 동시에, 바늘체(7)와 걸림 부재(14) 사이의 방수도 확보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도3은 제1 실시 형태의 내시경용 주사 바늘(1)이 삽입되는 내시경(2)의 일 예를 나타낸다. 이 내시경(2)은 체내에 삽입되는 가늘고 긴 삽입부(16)와, 이 삽입부(16)의 기단부에 연결된 조작부(17)를 갖는다. 삽입부(16)는 가늘고 긴가 가요관부(18)와, 이 가요관부(18)의 선단부에 기단부가 연결된 만곡부(19)와, 이 만곡부(19)의 선단부에 기단부가 연결된 선단부 경성부(20)를 갖는다. 선단부 경성부(20)의 선단부면에는 모두 도시하지 않은 조명 광학계, 관찰 광학계,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의 선단부 개구부, 송기 송수용 노즐 등이 배치되어 있다. 만곡부(19)는, 도3 중에 일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똑바로 신장된 통상의 직선 상태로부터 도3 중에 실선 또는 이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만곡 조작된 만곡 형상까지 만곡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가요관부(18)의 기단부에는 조작부(17)가 연결되어 있다. 이 조작부(17)에는 시술자가 파지하는 파지부(21)가 배치되어 있다. 이 파지부(21)에는 유니버설 코드(22)의 기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이 유니버설 코드(22)의 선단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광원 장치나, 비디오 프로세서 등에 접속되는 커넥터부(23)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파지부(21)에는 만곡부(19)를 만곡 조작하는 상하 만곡 조작 노브(24) 및 좌우 만곡 조작 노브(25)와, 흡인 버튼(26)과, 송기ㆍ송수 버튼(27)과, 내시경 촬영용 각종 스위치(28)와, 처치구 삽입부(29)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처치구 삽입부(29)에는 삽입부(16) 내에 배치된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의 기단부에 연결되는 처치구 삽입구(3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내시경용 주사 바늘(1)의 삽입부(3)는 내시경(2)의 처치구 삽입구(30)로부터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 내에 삽입되어 선단부 경성부(20)측까지 압입 조작된 후,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의 선단부 개구부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용 주사 바늘(1)의 사용 시에는, 우선 조작부 본체(8)에 대해, 입구 부재 유닛(10)을 손잡이측의 이동할 수 있는 위치까지 완전히 당겨, 바늘체(7)를 외측 튜브(5) 내에 수용한 상태(도1B, 도2B, 2C에서 나타내는 상태)로 세트한다. 이 상태에서, 미리 체강 내에 삽입한 내시경(2)의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에 내시경용 주사 바늘(1)의 삽입부(3)를 삽입한다. 그 후, 삽입부(3)의 외측 튜브(5)의 선단부 부분을 내시경 선단부로부터 체강 내로 돌출시킨다.
다음에, 조작부 본체(8)에 대해 입구 부재 유닛(10)을 압입하여, 바늘체(7)를 외측 튜브(5)의 선단부로부터 돌출시킨 상태(도1A, 도2A에서 나타내는 상태)로 고정한다. 이 돌출 상태에서 내시경(2)의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의 손잡이로부터 나와 있는 내시경용 주사 바늘(1)의 외측 튜브(5)의 손잡이 부분의 조작부 본체(8)를 잡고 입구 부재 유닛(10)을 압입한다. 이에 의해, 목적 조직에 바늘체(7)를 천자시켜, 입구 부재(11)에 미리 설치해 둔 실린지로 약제 등을 송입하여, 조직 내에 주입하여 치료를 행한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용 주사 바늘(1)의 사용 시에는 내시경용 주사 바늘(1)의 삽입부(3)가 내시경(2)의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 내를 통해 체내에 삽입된다. 이때, 내시경(2)의 삽입부(16)의 형상에 맞추어 내시경용 주사 바늘(1)의 삽입부(3)를 구부린 상태에서 내시경용 주사 바늘(1)의 조작이 행해진다. 여기서, 내측 튜브(6)와 외측 튜브(5)를 구부린 상태로 진퇴 조작할 때의 미끄럼 이동 저항은 내측 튜브(6)와 외측 튜브(5)를 구부렸을 때에 외측 튜브(5)가 찌부러져 내측 튜브(6)를 압박함으로써 생긴다. 또한, 내측 튜브(6)가 외측 튜브(5)보다도 딱딱한 경우에는 외측 튜브(5)에 대해 내측 튜브(6)를 전진시키는 바늘체(7)의 바늘 돌출 조작 시에 구부러진 외측 튜브(5)의 내측에 내측 튜브(6)가 강하게 마찰되는 현상에 의해 마찰 저항이 커진다.
또한, 내측 튜브(6)의 재료와 외측 튜브(5)의 재료가 동일한 경우에는 내측 튜브(6)의 외주면과 외측 튜브(5)의 내주면과의 미끄럼 접촉면의 표면이 서로 가까운 원자 결합 상태이므로 표면의 친화성이 높아지고, 그 결과, 마찰 저항이 커진다. 또한, 마찰 저항에는 미끄럼 접촉하는 면의 특성도 크게 영향을 미친다. 이들로부터, 내시경용 주사 바늘(1)의 삽입부(3)의 이중 튜브의 경도에 대해 외측 튜브(5)에 비해 내측 튜브(6)의 경도를 낮게 하는 것 및 외측 튜브(5)와 내측 튜브(6) 중 적어도 미끄럼 이동면의 재질을 바꿈으로써 구부림 시의 마찰 저항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지금까지 기재한 외측 튜브(5)와 내측 튜브(6)의 경도에 대해서는, 외측 튜브(5)와 내측 튜브(6)의 이중 튜브관의 구부림 변형 시의 마찰 저항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이고, 소재의 특성으로서는, 구부림 탄성률로 대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용 주사 바늘(1)의 삽입부(3)에 조립된 처치구용 이중 튜브관의 조작 역량의 측정은 다음과 같이 행해졌다. 이 이중 튜브관의 조작 역량의 측정 시에는 내시경(2)의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 내에 내시경용 주사 바늘(1)의 삽입부(3)가 삽입된 상태에서 외측 튜브(5) 내에서 내측 튜브(6)를 진퇴 조작하는 것이 행해진다. 이 경우, 내시경(2)은 미리 삽입부(16)의 가요관부(18) 를 적당한 직경[예를 들어, 반경(R)이 50 ㎜]으로 1루프 감아 돌린 상태로 구부러진 상태에서 유지된다.
그 후, 내시경용 주사 바늘(1)의 삽입부(3)가 내시경(2)의 처치구 삽입구(30)로부터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 내에 삽입되어 선단부 경성부(20)측까지 압입 조작된 후,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의 선단부 개구부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는 상태로 세트된다. 이 상태에서, 내시경용 주사 바늘(1)의 삽입부(3)의 처치구용 이중 튜브의 조작 역량의 측정 작업이 행해진다. 이에 의해, 내시경용 주사 바늘(1)의 삽입부(3)가 내시경(2)의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의 형상을 따라서 1루프 감아 돌린 상태로 구부러진 상태에서 바늘체(7)의 조출량을, 예를 들어 30 ㎜로 설정하였을 때의 미끄럼이 역량 측정된다
또한, 다음의 표1은 내시경용 주사 바늘(1)의 삽입부(3)의 처치구용 이중 튜브에 있어서의 내측 튜브(6)의 플라스틱 재료와 외측 튜브(5)의 플라스틱 재료의 조합을 변화시킨 경우의 내시경용 주사 바늘(1)의 삽입부(3)의 처치구용 이중 튜브의 조작 역량(N)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또한, 표1 중의 수치는 역량(N)이다.
[표1]
실험 번호 외측 튜브 내측 튜브 조작 역량(N)
1 PP PP 7.15
2 HDPE HDPE 10 이상
3 PTFE PTFE 5.62
4 HDPE PP 4.94
5 PP LDPE 0.25
6 PP LLDPE 0.80
7 PP PFA 0.24
상기 처치구용 이중 튜브의 조작 역량(N)의 측정 실험에서 사용한 처치구용 이중 튜브의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
내측 튜브(6) : 외경이 ø1.5 ㎜, 내경이 ø0.7 ㎜이다.
외측 튜브(5) : 외경이 ø2.3 ㎜, 내경이 ø1.8 ㎜이다.
또한, 상기 처치구용 이중 튜브의 조작 역량(N)의 측정에서 사용한 각 재료의 특성은 다음의 표2와 같다.
[표2]
재료 구부림 탄성률 경도
PP 1500 ㎫ R100
PTFE 550 ㎫ D55
HDPE 1050 ㎫ D67
LDPE 130 ㎫ D49
LLDPE 330 ㎫ D53
또한, 표2 중에서, R : 로크웰 경도, D : 쇼어 경도이다. 또한, 재료 중, HDPE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LLDPE는 리니어 저밀도 폴리에틸렌이다. 또한, 표2의 모든 재료는 이중 튜브의 내측에 약액 등을 통과시킨 경우에 기포의 유무나, 약액의 통과 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
표2의 처치구용 이중 튜브의 조작 역량(N)의 측정 실험 결과와 같이, 실험 번호 1 내지 3과 같이 외측 튜브(5)와 내측 튜브(6)가 동일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조작 역량(N)은 7.15, 10 이상, 5.62 등 비교적 큰 값으로 되어 있다. 또한, 실험 번호 4와 같이 외측 튜브(5)가 내측 튜브(6)보다도 유연한 경우에는, 조작 역량(N)은 4.94가 되어, 이 경우도 큰 값으로 되어 있다.
이에 대해, 실험 번호 5, 6과 같이 본원 발명을 적용한 경우[내측 튜브(6)가 외측 튜브(5)보다도 유연한 경우]에는, 조작 역량(N)은 0.25, 0.80이 되어, 비교적 작은 값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내측 튜브(6)가 외측 튜브(5)보다도 유연한 경우(실험 번호 5, 6)에는, 내측 튜브(6)와 외측 튜브(5)를 동일한 재질로 한 경우(실험 번호 1 내지 3)나, 외측 튜브(5)가 내측 튜브(6)보다도 유연한 경우(실험 번호 4)에 비해 작은 역량으로 조작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이 표1의 측정 결과로부터 내측 튜브(6)가 외측 튜브(5)보다도 유연한 경우에는, 조작 역량(N)을 적게 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또한, 실험 번호 6과 같이 외측 튜브(5)가 PP, 내측 튜브(6)가 LLDPE의 조합이고, 내측 튜브(6)의 두께를 얇게 하여, 외경이 ø1.5 ㎜, 내경이 ø0.9 ㎜로 된 경우에는, 조작 역량(N)이 0.55로 저하되었다.
그래서, 상기 구성의 것에 있어서는 다음의 효과를 발휘한다. 즉,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용 주사 바늘(1)에서는, 적어도 내측 튜브(6)와 외측 튜브(5)를 다른 종류의 플라스틱 재료로, 또한 외측 튜브(5)를 내측 튜브(6)보다도 딱딱한 재료로 형성하였으므로, 내시경용 주사 바늘(1)의 삽입부(3)를 구부린 상태에서 조작부(4)를 조작하여 외측 튜브(5)에 대해 내측 튜브(6)를 전진시키는 바늘체(7)의 바늘 돌출 조작을 행할 때에, 내측 튜브(6)와 외측 튜브(5)의 진퇴 조작의 미끄럼 이동 마찰 저항의 크기를 경감시킬 수 있다. 그로 인해, 체내에 삽입되는 삽입부(3)를 구부린 상태에서 내시경용 주사 바늘(1)에 의한 처치를 행하는 경우라도 내시경용 주사 바늘(1)의 바늘체(7)를 외측 튜브(5)의 선단부 개구(13)로부터 돌출시키는 바늘 돌출 조작 등의 조작성이 양호해, 질환에 대해 안정적으로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실험 번호 7과 같이 내측 튜브(6)는 PFA로 치환해도 LDPE와 동등한 조작 역량을 나타내므로, 불소계 플라스틱에 있어서도 동등한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내측 튜브(6)와 외측 튜브(5)의 이중 튜브를 이용한 내시경용 주사 바늘(1)에서는 경도, 재질을 변경하면 그것에 수반하여 열선 팽창 계수가 변화된다. 그로 인해, 필요 시 이외에도 열 변화(열 팽창)에 의해 바늘체(7)가 외측 튜브(5)의 선단부 개구(13)로부터 돌출되는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필요 시에 외측 튜브(5)의 선단부 개구(13)로부터 바늘체(7)가 돌출될 때의 바늘체(7)의 돌출이 나빠질 가능성도 있다.
통상, 내시경용 주사 바늘(1)의 사용 환경은 체내이므로 36도 부근의 온도이다. 이에 비해, 일반적인 처치실의 환경 온도는 25도 내지 28도이다. 그로 인해, 처치실의 환경 온도와, 체내의 사용 환경 온도와의 온도차는 약 10도이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온도에서의 열선 팽창, 수축에 의한 바늘체(7)의 출입의 문제점이 생기지 않도록, 열선 팽창 계수가 설정되어 있다. 즉, 내측 튜브(6)의 재료의 열선 팽창 계수와 외측 튜브(5)의 재료의 열선 팽창 계수와의 차를 5 × 10-5/℃ 이하로 설정함으로써, 열 변화(열 팽창)에 의해 바늘체(7)가 외측 튜브(5)의 선단부 개구(13)로부터 돌출되는 현상이나, 필요 시에 외측 튜브(5)의 선단부 개구(13)로부터 바늘체(7)가 돌출될 때의 바늘체(7)의 돌출이 나빠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내시경(2)의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의 길이가 긴 경우에는 내측 튜브(6)의 재료의 열선 팽창 계수와 외측 튜브(5)의 재료의 열선 팽창 계수에 차가 있으면, 외측 튜브(5)의 선단부 개구(13)로부터 바늘체(7)를 돌출시킬 때에 바늘 체(7)가 환부에 닿지 않는 등의 필요한 처치를 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내측 튜브(6)와 외측 튜브(5) 모두 재료의 열선 팽창 계수가 20 × 10-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내시경용 주사 바늘 등의 내시경용 처치구와 처치구용 이중 튜브를 사용하는 기술 분야나, 그 내시경용 주사 바늘 등의 내시경용 처치구와 처치구용 이중 튜브를 제조하는 기술 분야에 유효하다.

Claims (14)

  1. 내시경의 채널 내에 삽입되며, 외측 튜브와 이 외측 튜브 내에 진퇴 가능하게 삽입된 내측 튜브를 갖는 이중 튜브를 구비하고 있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기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내외측 튜브의 진퇴 조작을 행하는 조작부를 구비하는 내시경용 처치구이며,
    상기 이중 튜브는 적어도 상기 내측 튜브와 상기 외측 튜브를 다른 종류의 플라스틱 재료로, 또한 상기 외측 튜브가 상기 내측 튜브보다도 딱딱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내시경용 처치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튜브는 상기 내측 튜브보다도 구부림 탄성률이 큰 내시경용 처치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재료는 상기 외측 튜브와 상기 내측 튜브가 각각 다른 폴리올레핀계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내시경용 처치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재료는 상기 외측 튜브와 상기 내측 튜브가 폴리올레핀계 플라스틱과 불소계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내시경용 처치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튜브는 폴리프로필렌, 상기 내측 튜브는 폴리에 틸렌으로 이루어지는 내시경용 처치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튜브는 폴리프로필렌, 상기 내측 튜브는 PFA로 이루어지는 내시경용 처치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튜브는 선단부에 중공 형상의 바늘체가 설치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내측 튜브의 선단부의 바늘체를 상기 외측 튜브의 선단부로부터 외부측으로 돌출 함몰 조작하는 바늘체 조작부를 갖는 내시경용 처치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튜브와 상기 내측 튜브의 열선 팽창 계수가 모두 20 × 10-5/℃ 이하이고, 또한 각각의 열선 팽창 계수의 차가 5 × 10-5/℃ 이하인 내시경용 처치구.
  9. 외측 튜브와 이 외측 튜브 내에 진퇴 가능하게 삽입된 내측 튜브를 갖는 처치구용 이중 튜브이며,
    상기 이중 튜브는 적어도 상기 내측 튜브와 상기 외측 튜브를 다른 종류의 플라스틱 재료로, 또한 상기 외측 튜브가 상기 내측 튜브보다도 딱딱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처치구용 이중 튜브.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튜브는 상기 내측 튜브보다도 구부림 탄성률이 큰 처치구용 이중 튜브.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재료는 상기 외측 튜브와 상기 내측 튜브가 각각 다른 폴리올레핀계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처치구용 이중 튜브.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재료는 상기 외측 튜브와 상기 내측 튜브가 폴리올레핀계 플라스틱과 불소계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처치구용 이중 튜브.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튜브는 폴리프로필렌, 상기 내측 튜브는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처치구용 이중 튜브.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튜브는 폴리프로필렌, 상기 내측 튜브는 PFA로 이루어지는 처치구용 이중 튜브.
KR1020087006415A 2005-10-18 2006-10-18 내시경용 처치구와 처치구용 이중 튜브 KR1012877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303202 2005-10-18
JP2005303202 2005-10-18
PCT/JP2006/320781 WO2007046444A1 (ja) 2005-10-18 2006-10-18 内視鏡用処置具と処置具用二重チューブ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7239A true KR20080057239A (ko) 2008-06-24
KR101287769B1 KR101287769B1 (ko) 2013-07-19

Family

ID=37962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6415A KR101287769B1 (ko) 2005-10-18 2006-10-18 내시경용 처치구와 처치구용 이중 튜브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428710B2 (ko)
EP (1) EP1949924A4 (ko)
JP (1) JP5042029B2 (ko)
KR (1) KR101287769B1 (ko)
CN (1) CN101267851A (ko)
WO (1) WO200704644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6975A (ko) * 2020-12-17 2022-06-24 주식회사 오렌지메딕스 수술용 안전침 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3267309A1 (en) 2000-11-16 2004-04-08 Microspherix Llc Flexible and/or elastic brachytherapy seed or strand
US8187159B2 (en) 2005-07-22 2012-05-29 Biocompatibles, UK Therapeutic member including a rail used in brachytherapy and other radiation therapy
US7736293B2 (en) 2005-07-22 2010-06-15 Biocompatibles Uk Limited Implants for use in brachytherapy and other radiation therapy that resist migration and rotation
JP5011137B2 (ja) * 2008-01-22 2012-08-2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内視鏡用注射針及び先端部に針体が固定された内チューブ
WO2010074153A1 (ja) * 2008-12-24 2010-07-01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処置具
JP5372791B2 (ja) * 2010-01-20 2013-12-18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挿入針およびカテーテルセット
CN102551846B (zh) * 2012-01-18 2014-02-12 南京微创医学科技有限公司 内窥镜下使用一次性远程注射针
EP3100685B1 (en) * 2014-01-29 2019-10-30 Olympus Corporation Rigid endoscope for prostate biopsy
JP6402465B2 (ja) * 2014-03-28 2018-10-10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内視鏡用注射針および内視鏡用注射針の製造方法
JP6311479B2 (ja) * 2014-06-20 2018-04-18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内視鏡用注射針および内視鏡用注射針の製造方法
JP6382444B2 (ja) * 2016-05-17 2018-08-29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用注射針
JP2018102631A (ja) * 2016-12-27 2018-07-05 レイクR&D株式会社 内視鏡用注射具
CN111295125B (zh) * 2017-12-29 2022-09-06 金昌潽 内窥镜用手术器械
JP7082928B2 (ja) * 2018-08-29 2022-06-09 宇部エクシモ株式会社 積層チューブ
US11622675B2 (en) 2019-05-15 2023-04-11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Medical device having asymmetric bending
TWI714279B (zh) * 2019-09-24 2020-12-21 丁原傑 溫度補償限流裝置與彈性輸液系統
DE102020122654A1 (de) * 2020-08-31 2022-03-03 Gaplast Gmbh Implantatspritz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9143982A (en) * 1982-01-20 1983-07-28 Sorenson Research Co. Inc. Translating and positioning a catheter
JP3607173B2 (ja) * 1993-08-04 2005-01-05 株式会社足立ライト工業所 パチンコ機における球受皿の球抜き装置
JP3614943B2 (ja) * 1994-09-29 2005-01-26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用穿刺針
JPH0938202A (ja) * 1995-08-04 1997-02-10 Asahi Optical Co Ltd 内視鏡用注射具
JPH08336591A (ja) 1995-06-13 1996-12-24 Asahi Optical Co Ltd 内視鏡用注射具
US5964740A (en) * 1996-07-09 1999-10-12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Treatment accessory for an endoscope
JP3574530B2 (ja) * 1996-05-13 2004-10-06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内視鏡の処置具案内具
US5882293A (en) * 1996-09-05 1999-03-16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Treatment accessories for endoscope
US5899850A (en) * 1997-04-03 1999-05-04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Treatment accessories for an endoscope
US6511462B1 (en) * 1999-07-16 2003-01-28 Terumo Kabushiki Kaisha Cathet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4493126B2 (ja) * 1999-08-20 2010-06-30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用注射針
US6743206B1 (en) * 2000-03-07 2004-06-01 Syntheon, Llc Endoscopic needle
US20020087076A1 (en) * 2000-11-14 2002-07-04 C-I-Medic Co., Ltd. Catheter assemble
US6758806B2 (en) * 2001-01-12 2004-07-06 Napoli, Llc Endoscopic devices and method of use
WO2003009884A2 (en) * 2001-07-24 2003-02-06 Artes Medical Usa, Inc. Elongated syringe
JP2004290367A (ja) * 2003-03-26 2004-10-21 Sumitomo Bakelite Co Ltd 内視鏡用注射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6975A (ko) * 2020-12-17 2022-06-24 주식회사 오렌지메딕스 수술용 안전침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7769B1 (ko) 2013-07-19
JPWO2007046444A1 (ja) 2009-04-23
US8428710B2 (en) 2013-04-23
CN101267851A (zh) 2008-09-17
EP1949924A1 (en) 2008-07-30
WO2007046444A1 (ja) 2007-04-26
EP1949924A4 (en) 2014-04-23
JP5042029B2 (ja) 2012-10-03
US20080208127A1 (en) 2008-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7769B1 (ko) 내시경용 처치구와 처치구용 이중 튜브
US10076316B2 (en) Needle biopsy device
US8282575B2 (en) Endoscopic puncture needle and method of acquiring tissue from a target region by using the endoscopic puncture needle
JP5797361B1 (ja) 内視鏡処置具
KR101873001B1 (ko) 내시경용 시술기구
US10993740B2 (en) Surgery system and endoscope
JPH0938202A (ja) 内視鏡用注射具
JP2005058431A (ja) 穿刺針
WO2006067917A1 (ja) 内視鏡用穿刺針
WO2016042849A1 (ja) 生検システム
US11696672B2 (en) Endoscopic puncture needle
JP2011104158A (ja) 内視鏡用注射針
JP4475842B2 (ja) 内視鏡用穿刺具
JPH08336591A (ja) 内視鏡用注射具
JP3732897B2 (ja) 内視鏡用注射具
JP2019118797A (ja) 内視鏡用施術器具
JP3600660B2 (ja) 内視鏡用注射具
JP5319043B2 (ja) 内視鏡用穿刺針及び内視鏡装置
JPH05253299A (ja) 内視鏡用注射具
JP2005329078A (ja) 内視鏡用穿刺針装置
JP6259529B2 (ja) 内視鏡用外科手術装置及び外套管
JP3709046B2 (ja) 内視鏡用注射具
JPH0924095A (ja) 内視鏡用注射具
JPH1189851A (ja) 超音波トラカールシステム
JP2003116989A (ja) 内視鏡用穿刺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