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3001B1 - 내시경용 시술기구 - Google Patents

내시경용 시술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3001B1
KR101873001B1 KR1020180043306A KR20180043306A KR101873001B1 KR 101873001 B1 KR101873001 B1 KR 101873001B1 KR 1020180043306 A KR1020180043306 A KR 1020180043306A KR 20180043306 A KR20180043306 A KR 20180043306A KR 101873001 B1 KR101873001 B1 KR 1018730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outer tube
inner tube
circumferential surface
organic 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3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보
Original Assignee
김창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보 filed Critical 김창보
Priority to KR1020180043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30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3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30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7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12Connection or coupl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시경용 시술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시술기구는 내시경의 채널을 통해 삽입되는 이중 튜브를 구비하며, 상기 이중 튜브는 외측 튜브와, 상기 외측 튜브를 통해 삽입되고 상기 외측 튜브에 대해 상대적으로 전진 및 후퇴하는 내측 튜브를 구비하고, 상기 이중 튜브의 외측 튜브는 유기 고분자에 실리콘 화합물을 추가한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되어, 상기 채널의 경로를 따라 상기 이중 튜브를 구부린 상태에서 상기 외측 튜브에 대해 상기 내측 튜브를 전진 및 후퇴시킬 때에 상기 내측 튜브의 미끄럼 이동면인 외주면과 상기 외측 튜브의 미끄럼 이동면인 내주면 사이의 마찰 저항을 상기 이중 튜브의 외측 튜브와 내측 튜브의 모두를 유기 고분자만으로 형성한 경우보다 작게 한다.

Description

내시경용 시술기구{Endoscopic Treatment Instrument}
본 발명은 내시경용 시술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조작이 용이하면서도 저가로 제조할 수 있는 이중 튜브를 구비한 내시경용 시술기구에 관한 것이다.
내시경의 채널을 통해 체강 내에 기구를 도입하여 체강 내의 환부 등에 각종 시술을 수행하고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2001-58006호에는 내시경용 시술기구의 일 예로서, 체강 내의 환부 등에 약 액을 주입하는 주사 바늘이 개시되어 있다.
내시경용 주사 바늘에는 내시경의 채널 내에 삽입되는 가늘고 긴 삽입부와, 이 삽입부의 기단부에 조작부가 설치되어 있다. 삽입부는 외측 튜브와, 이 외측 튜브 내에 진퇴 가능하게 삽입된 내측 튜브로 이루어진 이중 튜브로 구성된다. 조작부는 외측 튜브에 대한 내측 튜브의 진퇴 조작을 수행한다. 내측 튜브의 선단부에는 중공 형상의 바늘체가 설치되어 있다. 내시경용 주사 바늘의 사용 시에는 내시경의 채널을 통해 체강 내에 내시경용 주사 바늘의 삽입부를 도입한다. 그 후,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외측 튜브에 대해 내측 튜브를 진퇴 구동한다. 이로써, 내측 튜브의 선단부의 바늘체를 외측 튜브의 선단부로부터 외부 측으로 돌출되도록 한다.
인체의 체내에 내시경의 삽입부를 삽입하는 경우, 체강 내의 관로 형상에 맞추어 내시경의 삽입부가 다양한 형상으로 구부러진다. 내시경의 채널을 통해 체강 내에 내시경용 주사 바늘의 삽입부를 도입할 때 내시경의 삽입부의 형상에 따라 내시경용 주사 바늘의 삽입부도 다양한 형상으로 구부러진다. 이와 같이 내시경용 주사 바늘의 삽입부가 구부러진 상태에서 시술을 행하는 경우에 조작부에 의해 외측 튜브에 대해 내측 튜브를 진퇴 구동할 때에, 내측 튜브의 외주면과 외측 튜브의 내주면 사이의 마찰 저항이 커진다. 이로 인해, 내시경용 주사 바늘의 삽입부를 구성하는 이중 튜브에서는 내측 튜브의 외측면과 외측 튜브의 내측면의 사이에서 높은 미끄럼 이동성이 요구된다. 특히, 삽입부의 구부림 반경이 작은 경우에는 마찰 저항이 매우 커진다. 그 결과, 내시경용 주사 바늘의 조작성이 저하되어 질환에 대해 안정적으로 시술하는 것이 어려워 시술 시간이 길어질 가능성이 있다.
뿐만 아니라, 내시경용 시술기구의 이중 튜브는 적당히 경질이어서 구부림 반경이 작은 상태에서도 특정 부위에서 꺾이지 않아야 하고, 정확한 시술을 위해 선단부의 제어가 용이해야 한다. 또한, 이중 튜브는 압출 등의 가공성이 좋아 저가로 제조할 수 있어야 한다.
이중 튜브에 대한 이러한 요구들을 충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소재가 내측 튜브와 외측 튜브에 대해 시도되고 있다. 현재 주로 사용되고 있는 내측 튜브의 소재로는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ABS수지, 폴리에틸렌,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등이 있다.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TFE)은 듀퐁의 상품명인 테프론(Teflon)으로 많이 알려져 있으며, 모든 화학약품에 대해 내화학성이 있으며 매끄러운 표면으로 유명하다. 하지만 PTFE는 녹는점이 320 내지 346로 높기 때문에 압출 가공에서 많은 열을 필요로 하여 생산 비용이 높고, 튜브 제조 시 중요한 요소인 본드 접착력이 매우 좋지 않으며, 소재 가격이 고가인 단점이 있다. ABS 수지는 아크릴로니트릴(A), 브타디엔(B), 스티렌(S)의 세 가지 성분으로 이루어진 수지로서, 본드 접착력이 우수하여 사출 제품에 범용으로 사용된다. 다만, ABS 수지는 압출 가공에서 얇은 두께의 튜브 성형이 어렵고, 튜브가 꺾일 경우 백태 현상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폴리에틸렌(PE)은 녹는점이 100 내지 120로 낮아 연성과 작업성이 좋아 범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본드 접착력이 좋지 않은 단점이 있다. 나일론은 재질의 강도와 본드 접착력이 우수하고 유연성이 좋다. 하지만 나일론은 녹는점에서 흐름성이 높아 튜브 압출이 까다롭고, 수분 흡수력이 높고, 수분 흡수에 따른 길이 변화로 인해 수분 환경의 내시경용 기구에 적합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폴리프로필렌(PP)은 작업성이 용이하며 녹는점도 약 140 로서 낮은 편이고 가격도 저렴하여 범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외측 튜브의 소재로는 PTFE, PP와 더불어 폴리카보네이트(PC)가 사용되고 있다. PC는 본드 접착력이 매우 좋고 투명하여 높은 투명도를 필요로 하는 제품에 사용되나, 생산 후 금형부의 청소가 어렵고 녹는점이 250 내지 260로 높은 편이다.
1. 일본공개특허 제2001-58006호 2. 한국등록특허 제1287769호
따라서 본 발명은 구부림 반경이 작은 경우에도 조작이 용이한 내시경용 시술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짧은 시간에 안정적인 시술이 내시경용 시술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구부림 반경이 작은 상태에서도 꺾이지 않는 내시경용 시술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선단부의 제어가 용이하여 정확한 시술을 가능하게 하는 내시경용 시술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공성이 좋아 저가로 제조할 수 있는 내시경용 시술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시경용 시술기구로서, 내시경의 채널을 통해 삽입되는 이중 튜브를 구비하며, 상기 이중 튜브는 외측 튜브와, 상기 외측 튜브를 통해 삽입되고 상기 외측 튜브에 대해 상대적으로 전진 및 후퇴하는 내측 튜브를 구비하고, 상기 이중 튜브의 외측 튜브는 유기 고분자에 실리콘 화합물을 추가한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되어, 상기 채널의 경로를 따라 상기 이중 튜브를 구부린 상태에서 상기 외측 튜브에 대해 상기 내측 튜브를 전진 및 후퇴시킬 때에 상기 내측 튜브의 미끄럼 이동면인 외주면과 상기 외측 튜브의 미끄럼 이동면인 내주면 사이의 마찰 저항을 상기 이중 튜브의 외측 튜브와 내측 튜브의 모두를 유기 고분자만으로 형성한 경우보다 작게 하며, 상기 유기 고분자는 90 내지 99.5 중량%의 폴리프로필렌이고, 상기 실리콘 화합물은 0.5 내지 10 중량%의 폴리디메틸실록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중 튜브 중 내측 튜브는 유기 고분자에 실리콘 화합물을 추가한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측 튜브의 외주면에 돌기부가 형성되어 상기 내측 튜브의 외주면과 상기 외측 튜브의 내주면 사이의 마찰 저항을 상기 내측 튜브의 외주면에 돌기부가 없는 경우보다 작게 한다.
전술한 본 발명에 의한 내시경용 시술기구는 이중 튜브의 내측 튜브의 외주면과 외측 튜브의 내주면 사이의 마찰 저항이 매우 작아 구부림 반경이 작은 경우에도 조작이 용이하고, 짧은 시간에 안정적인 시술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내시경용 시술기구는 이중 튜브를 마찰 저항이 작으면서도 경질인 소재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구부림 반경이 작은 상태에서도 쉽게 꺾이지 않고, 선단부의 제어가 용이하여 정확한 시술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내시경용 시술기구는 이중 튜브를 마찰 저항이 작으면서도 압출 성형, 본드 접착력 등의 가공성이 좋고 낮은 가격의 소재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제조 비용이 매우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시경용 시술기구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내시경용 시술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3a와 도 3b는 도 1에 도시된 내시경용 시술기구에서 바늘이 도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내시경용 시술기구의 내측 튜브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내시경용 시술기구의 내측 튜브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시경용 시술기구(10)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내시경용 시술기구(10)의 단면도이다. 도 3a와 도 3b는 도 1에 도시된 내시경용 시술기구(10)에서 바늘이 도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내측 튜브(30)는 외측 튜브(20)에 내장되며, 외측 튜브(20)의 전단부로 중공침(40)의 돌출을 가능하게 한다. 중공침(40)은 내측 튜브(30)의 전단부에 연통되게 장착되고, 조작부(5)가 내측 튜브(30)의 후단부에 연결된다. 조작부(5)는 내측 튜브(30)를 외측 튜브(20)에 대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켜 중공침(40)이 외측 튜브(20)의 전단부에서 돌출되도록 한다.
조작부(5)는 몸체관(1)과, 몸체관(1)의 내부에 전진 및 후진이 가능하게 삽입되는 작동부재(2)와, 몸체관(1)과 작동부재(2)의 사이에 구비되어 작동부재(2)의 이동 위치를 예를 들어, 3단으로 걸리게 하여 중공침(40)의 위치를 3단계로 조정하는 위치조정부(3)을 포함한다.
몸체관(1)은 내부의 전방에는 침 관통홀(11)이 형성되고, 내부의 후방에는 침 관통홀(11)보다 직경이 확장되는 작동홀(12)이 형성된다. 몸체관(1)의 전방에는 축관부(17)가 형성되고, 이 축관부(17)에는 외측 튜브(20)의 후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또한 몸체관(1)은 내부의 고장 시 수리를 좀더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전방 몸체관(13)과 후방 몸체관(14)으로 분리되도록 구성된다. 전방 몸체관(13)의 후방에는 전방 몸체관(13)과 후방 몸체관(14)이 분리되도록, 후방 몸체관(14)의 전방에 삽입되는 삽입 연결관(131)이 형성된다.
작동부재(2)는 몸체관(1)의 내부에 전진 및 후진이 가능하게 삽입되어 중공침(40)을 전방으로 돌출시킨다. 작동부재(2)는 전방에 내측 튜브(30)에 전단부가 연결되는 작동 중공침(21)이 구비되며, 후방에는 작동홀(12)에 삽입되는 조작 중공관(22)이 구비된다.
후방 몸체관(14)의 양측에는 위치 단속홀(15)이 형성되고, 작동부재(2)의 조작 중공관(22)의 전방 양측에는 위치 단속홀(15)에 삽입되어 전진 및 후진되는 위치 단속돌기(23)가 형성된다. 위치 단속홀(15)과 위치 단속돌기(23)는 조작부(5)를 사용하는 도중에 작동부재(2)가 헛돌거나, 작동부재(2)가 몸체관(1)의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조작 중공관(22)은 후방이 주사액 공급관(미도시됨)과 연결되고, 후방에 의사들이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장구 형상의 손잡이부(221)가 형성된다.
위치조정부(3)는 몸체관(1)과 작동부재(2)의 사이에 구비되어 작동부재(2)의 이동 위치를 예를 들어, 3단으로 걸리게 하여 중공침(40)의 위치를 3 단계로 조정한다. 위치조정부(3)는 몸체관(1)의 작동홀(12)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3쌍의 수직홀(31, 32, 33)을 구비한다.
걸림돌기(34)는 조작 중공관(22) 전방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작동부재(2)의 전진 및 후진에 따라 3쌍의 수직홀(31, 32, 33) 중 걸린다. 또한, 걸림돌기(34)는 조작부(5)를 좀 더 부드럽게 전방 또는 후방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반구형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로써 내시경용 시술기구(10)는 몸체관(1)의 수직홀(31)과 수직홀(32)의 사이에 수직홀(33)을 형성하여 중공침(40)의 돌출 길이를 2단계로 조정할 수 있다. 조작부(5)를 사용하여 외측 튜브(20)의 전단부에서 중공침(40)을 돌출시킬 경우, 의사들은 처치 타입 및 성향에 따라, 중공침(40)의 돌출 길이를 2단계로 가변시켜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중공침(40)의 돌출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음에 따라 바늘의 길이 조정이 가능함과 아울러 바늘의 찌르는 강약도 조정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중공침(40)을 완전히 돌출시킬 경우에는 후퇴되어 있는 조작 중공관(22)을 완전히 전진시켜, 조작 중공관(22)에 형성된 걸림돌기(34)를 수직홀(31)에 걸리게 하여, 중공침(40)을 완전히 돌출시켜 체내에 꽂을 수 있다. 이 때에 돌출되는 중공침(40)의 노출 길이는 최대가 되며, 외측 튜브(20)의 내부에서 내측 튜브(30)가 최대의 스트로크로 나가기 때문에 바늘의 눌리는 힘 또한 최대가 된다.
중공침(40)을 완전히 돌출시키지 않고 인체에 꽂을 경우에는, 후퇴되어 있는 조작 중공관(22)을 전진시켜, 걸림돌기(34)를 수직홀(31)의 바로 후방에 위치되는 수직홀(33)에 물림으로써, 중공침(40)을 완전히 돌출시키지 않는다.
내시경용 시술기구(10)는 신체 내부의 환부에 시술할 때 사용되므로 외측 튜브(20)와 내측 튜브(30)는 알맞은 경도와 조작력을 갖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조작력은 외측 튜브(20) 및 내측 튜브(30)의 재질, 두께, 튜브(20, 30) 사이의 간격 등에 의해 결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내시경용 시술기구(10)는 가공의 편의를 위해 외측 튜브(20)와 내측 튜브(30)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진다. 외측 튜브(20)와 내측 튜브(30)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지면 일반적으로 친화성이 높아져 미끄럼 이동면 사이의 마찰 저항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외측 튜브(20)와 내측 튜브(30)를 동일한 유기 고분자로 형성하면서 슬립성이 좋은 실리콘 화합물을 첨가하여 외측 튜브(20)와 내측 튜브(30) 사이의 마찰 저항을 줄인다.
유기 고분자로는 가공성, 소재 가격, 경도 등을 고려할 때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이 바람직하다. 실리콘 화합물은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 PDMS)이 바람직하다.
폴리프로필렌(PP)은 90 내지 99.5 중량%, 실리콘 화합물은 0.5 내지 10 중량%일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PP)에 실리콘 화합물이 10 중량% 이상 첨가될 경우 지나친 연성으로 인해 내시경용 시술 기구로 적합하지 않으며, 0.5 중량% 미만 첨가될 경우 실리콘의 특성이 발휘되지 않아 슬립성이 좋지 않다.
폴리프로필렌(PP)은 경질(hard)이므로 내시경 사이즈에 따라 내측 튜브와 외측 튜브를 모두 구성하더라도 선단부의 제어가 용이하고, 구부림 탄성률이 커서 작은 구부림 반경에도 쉽게 꺾이지 않는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내시경용 시술기구의 내측 튜브(30)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튜브(30)에서 외주면(202)과 내주면(204)은 편평하다. 내측 튜브(30)의 외주면(202)은 외측 튜브(20)의 내주면과 넓은 면적에서 접촉하므로 내측 튜브(30)와 외측 튜브(20) 사이의 마찰 저항이 상대적으로 크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내시경용 시술기구의 내측 튜브(300)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튜브(300)의 내주면(210)은 약 액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기 위해 편평한 면으로 구성되나, 외주면(212)은 외측 튜브와의 접촉 면적을 줄이기 위해 돌기부(214)가 형성되어 있다.
표 1은 외측 튜브로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TFE)를 사용한 경우의 조작력을 나타낸다. 내측 튜브(30)를 외측 튜브(20)에 삽입하여 직경 160mm 원통에 감은 후 내측 튜브(30)를 푸쉬풀 게이지에 연결하고 내측 튜브(30)를 당길 때에 내측 튜브(30)가 외측 튜브(20)를 통해 빠져 나오는 힘을 측정하였다. 외측 튜브(20)의 길이는 위대장 내시경에 사용하는 기구의 최대 길이를 고려하여 2500mm로 설정하였다. 외측 튜브(20)의 튜브 단면은 모두 원형이다.
조작력을 외측 튜브(20)와 내측 튜브(30)의 접촉면에 수분이 있는 상태와 없는 상태로 구분하여 테스트 하였다. 내측 튜브(30)가 외측 튜브(20)에서 더 이상 움직이지 않고 끊어지는 시점에서 조작력을 측정한다. 표 1에서 조작력 실험 시 특정 힘에서 내측 튜브(30)가 외측 튜브(20)에서 움직이지 않고 끊어지려는 시점에 테스트를 중단하였기 때문에 표시는 측정된 조작력 이상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NO 외측튜브 내측튜브 조작력(N)
재질 외경
(mm)
내경
(mm)
두께
(mm)
재질 튜브단면 외경
(mm)
내경
(mm)
두께
(mm)
수분
(X)
수분
(O)
1 PTFE 2.4 1.7 0.35 PTFE 원형 1.4 1.0 0.2 4 6
2 PTFE 2.4 1.7 0.35 ABS 원형 1.4 0.6 0.4 3 5
3 PTFE 2.4 1.7 0.35 PE 원형 1.5 1.0 0.25 10 11↑
4 PTFE 2.4 1.7 0.35 Nylon6 원형 1.3 0.9 0.2 3 6
5 PTFE 2.4 1.7 0.35 PP 원형 1.4 1.0 0.2 3 3
6 PTFE 2.4 1.7 0.35 PP 돌기 1.4 1.0 0.2 2 1
7 PTFE 2.4 1.7 0.35 PP + 실리콘 원형 1.5 1.0 0.25 6 12
8 PTFE 2.4 1.7 0.35 PP + 실리콘 돌기 1.5 1.0 0.25 1 3
표 2는 외측 튜브로 폴리카보네이트(PC)를 사용한 경우의 조작력을 나타낸다.
NO 외측튜브 내측튜브 조작력(N)
재질 외경
(mm)
내경
(mm)
두께
(mm)
재질 튜브단면 외경
(mm)
내경
(mm)
두께
(mm)
수분
(X)
수분
(O)
9 PC 2.4 1.8 0.3 PTFE 원형 1.4 1.0 0.2 3 6
10 PC 2.4 1.8 0.3 ABS 원형 1.4 0.6 0.4 5 30↑
11 PC 2.4 1.8 0.3 PE 원형 1.5 1.0 0.25 6 10↑
12 PC 2.4 1.8 0.3 Nylon6 원형 1.3 0.9 0.2 6 16↑
13 PC 2.4 1.8 0.3 PP 원형 1.4 1.0 0.2 8 17↑
14 PC 2.4 1.8 0.3 PP + 실리콘 원형 1.5 1.0 0.25 8 17↑
15 PC 2.4 1.8 0.3 PP + 실리콘 돌기 1.5 1.0 0.25 4 15
표 3은 외측 튜브로 폴리프로필렌(PP)를 사용한 경우의 조작력을 나타낸다.
NO 외측튜브 내측튜브 조작력(N)
재질 외경
(mm)
내경
(mm)
두께
(mm)
재질 튜브단면 외경
(mm)
내경
(mm)
두께
(mm)
수분
(X)
수분
(O)
16 PP 2.4 1.8 0.3 PTFE 원형 1.4 1.0 0.2 1 2
17 PP 2.4 1.8 0.3 ABS 원형 1.4 0.6 0.4 2 16↑
18 PP 2.4 1.8 0.3 PE 원형 1.5 1.0 0.25 13↑ 13↑
19 PP 2.4 1.8 0.3 Nylon6 원형 1.3 0.9 0.2 3 20↑
20 PP 2.4 1.8 0.3 PP 원형 1.4 1.0 0.2 17 20↑
21 PP 2.4 1.8 0.3 PP + 실리콘 원형 1.5 1.0 0.25 5 20↑
22 PP 2.4 1.8 0.3 PP + 실리콘 돌기 1.5 1.0 0.25 20↑ 7
표 4는 외측 튜브의 소재가 폴리플로필렌(PP)와 실리콘 화합물을 혼합한 경우의 조작력을 나타낸다.
NO 외측튜브 내측튜브 조작력(N)
재질 외경
(mm)
내경
(mm)
두께
(mm)
재질 튜브단면 외경
(mm)
내경
(mm)
두께
(mm)
수분
(X)
수분
(O)
23 PP+실리콘 2.4 1.8 0.3 PTFE 원형 1.4 1.0 0.2 0 0
24 PP+실리콘 2.4 1.8 0.3 ABS 원형 1.4 0.6 0.4 0 10
25 PP+실리콘 2.4 1.8 0.3 PE 원형 1.5 1.0 0.25 1 9↑
26 PP+실리콘 2.4 1.8 0.3 Nylon6 원형 1.3 0.9 0.2 2 14↑
27 PP+실리콘 2.4 1.8 0.3 PP 원형 1.4 1.0 0.2 2 10
28 PP+실리콘 2.4 1.8 0.3 PP + 실리콘 원형 1.5 1.0 0.25 1 11
29 PP+실리콘 2.4 1.8 0.3 PP + 실리콘 돌기 1.5 1.0 0.25 0 2
나일론 6는 수분 흡수력에 의한 길이 변화가 관찰되어 내시경용 시술기구에 사용하기 부적절하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외측 튜브(20)와 내측 튜브(30)의 소재가 PP와 실리콘 화합물의 혼합물이고, 내측 튜브(30)의 외주면에 돌기부(214)가 형성할 때 조작력은 수분 존재 시 2 N, 수분 비존재 시 0 N이 측정되었다. 즉, 인체 내부에서와 같이 수분이 존재하더라도 내측 튜브(30)가 외측 튜브(20)를 관통하여 미끄럼 운동할 때 필요한 외력은 2N 이하이다.
내측 튜브(30)의 외주면과 외측 튜브(20)의 내주면의 이격 거리는 0.2 내지 0.5 mm가 바람직하다. 조작력에 영향을 주는 다른 요인은 외측 튜브(20)와 내측 튜브(30)의 두께이다. 우수한 조작력을 위해 외측 튜브(20)의 두께는 0.3 내지 0.35mm, 내측 튜브(30)의 두께는 0.2 내지 0.4mm가 바람직하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예로서 설명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는 전혀 없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 정하여진다.

Claims (3)

  1. 내시경의 채널을 통해 삽입되는 이중 튜브를 구비하며,
    상기 이중 튜브는 외측 튜브와, 상기 외측 튜브를 통해 삽입되고 상기 외측 튜브에 대해 상대적으로 전진 및 후퇴하는 내측 튜브를 구비하고,
    상기 이중 튜브의 외측 튜브는 유기 고분자에 실리콘 화합물을 추가한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되어, 상기 채널의 경로를 따라 상기 이중 튜브를 구부린 상태에서 상기 외측 튜브에 대해 상기 내측 튜브를 전진 및 후퇴시킬 때에 상기 내측 튜브의 미끄럼 이동면인 외주면과 상기 외측 튜브의 미끄럼 이동면인 내주면 사이의 마찰 저항을 상기 이중 튜브의 외측 튜브와 내측 튜브의 모두를 유기 고분자만으로 형성한 경우보다 작게 하며,
    상기 유기 고분자는 90 내지 99.5 중량%의 폴리프로필렌이고, 상기 실리콘 화합물은 0.5 내지 10 중량%의 폴리디메틸실록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시술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 튜브 중 내측 튜브는 유기 고분자에 실리콘 화합물을 추가한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시술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튜브의 외주면에 돌기부가 형성되어 상기 내측 튜브의 외주면과 상기 외측 튜브의 내주면 사이의 마찰 저항을 상기 내측 튜브의 외주면에 돌기부가 없는 경우보다 작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시술기구.
KR1020180043306A 2018-04-13 2018-04-13 내시경용 시술기구 KR1018730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306A KR101873001B1 (ko) 2018-04-13 2018-04-13 내시경용 시술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306A KR101873001B1 (ko) 2018-04-13 2018-04-13 내시경용 시술기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3920 Division 2017-12-29 2017-12-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3001B1 true KR101873001B1 (ko) 2018-07-02

Family

ID=62914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3306A KR101873001B1 (ko) 2018-04-13 2018-04-13 내시경용 시술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300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1016A (ko) * 2019-09-10 2021-03-19 아주약품(주) 연골파열 복구용 수술도구
KR102229796B1 (ko) * 2020-09-23 2021-03-19 김창보 전극이 구비된 내시경용 인젝터 및 이를 사용하는 방법
KR102422131B1 (ko) * 2021-09-15 2022-07-15 김창보 니들부 연결방식이 개선된 내시경용 주사기
EP3967337A4 (en) * 2019-05-10 2023-06-14 LAKE.E2 Co., Ltd. ENDOSCOPE INJECTION TOOL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30777A (ja) 2005-02-25 2006-09-07 Fujinon Corp 内視鏡装置
JP2007075279A (ja) 2005-09-13 2007-03-29 Olympus Corp 内視鏡用外皮チューブ、内視鏡挿入部、及び、内視鏡
JP2012139463A (ja) 2011-01-06 2012-07-26 Sumitomo Bakelite Co Ltd 高周波処置具
JP2015188672A (ja) 2014-03-28 2015-11-0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内視鏡用挿入部及び内視鏡
JP2016150229A (ja) 2015-02-19 2016-08-22 山科精器株式会社 内視鏡用カテーテル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30777A (ja) 2005-02-25 2006-09-07 Fujinon Corp 内視鏡装置
JP2007075279A (ja) 2005-09-13 2007-03-29 Olympus Corp 内視鏡用外皮チューブ、内視鏡挿入部、及び、内視鏡
JP2012139463A (ja) 2011-01-06 2012-07-26 Sumitomo Bakelite Co Ltd 高周波処置具
JP2015188672A (ja) 2014-03-28 2015-11-0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内視鏡用挿入部及び内視鏡
JP2016150229A (ja) 2015-02-19 2016-08-22 山科精器株式会社 内視鏡用カテーテル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67337A4 (en) * 2019-05-10 2023-06-14 LAKE.E2 Co., Ltd. ENDOSCOPE INJECTION TOOL
KR20210031016A (ko) * 2019-09-10 2021-03-19 아주약품(주) 연골파열 복구용 수술도구
WO2021049746A3 (ko) * 2019-09-10 2021-05-20 아주약품(주) 연골파열 복구용 수술 도구
KR102347660B1 (ko) * 2019-09-10 2022-01-05 아주약품(주) 연골파열 복구용 수술도구
KR102229796B1 (ko) * 2020-09-23 2021-03-19 김창보 전극이 구비된 내시경용 인젝터 및 이를 사용하는 방법
KR102422131B1 (ko) * 2021-09-15 2022-07-15 김창보 니들부 연결방식이 개선된 내시경용 주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3001B1 (ko) 내시경용 시술기구
KR101287769B1 (ko) 내시경용 처치구와 처치구용 이중 튜브
US7641638B2 (en) Flexible elongate surgical needle device having a tissue engaging section being of greater flexibility than an intermediate section, and methods of using the device
US5921915A (en) Directional surgical device for use with endoscope, gastroscope, colonoscope or the like
US8911359B2 (en) Guide sheath and medical system
JP2016525900A (ja) 身体挿管装置用剛性ヘッド
JP2015104485A (ja) カテーテル
JPWO2007046355A1 (ja) 把持具
JP6913243B2 (ja) 先端カバー装置、及び、内視鏡
JP2019118797A (ja) 内視鏡用施術器具
JP2013172842A (ja) 内視鏡用穿刺針装置
WO2006067917A1 (ja) 内視鏡用穿刺針
KR102229796B1 (ko) 전극이 구비된 내시경용 인젝터 및 이를 사용하는 방법
US10039902B2 (en) Actuating member and medical device
JP3206339U (ja) ガイディングカテーテル組立体
KR101855830B1 (ko) 내시경용 주사장치
JPH08336591A (ja) 内視鏡用注射具
JP4650020B2 (ja) 医療用器具
JP4289078B2 (ja) 内視鏡用注射針
JP2016202711A (ja) 医療デバイス、および医療デバイス組立体
JP2004073521A (ja) 内視鏡用注射針
JP4166523B2 (ja) 内視鏡用ドレナージチューブ留置具
JPH08332223A (ja) 内視鏡用注射具
JP2015080692A (ja) 医療用針および医療用器具
JP2009056055A (ja) 内視鏡案内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