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7660B1 - 연골파열 복구용 수술도구 - Google Patents

연골파열 복구용 수술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7660B1
KR102347660B1 KR1020190112007A KR20190112007A KR102347660B1 KR 102347660 B1 KR102347660 B1 KR 102347660B1 KR 1020190112007 A KR1020190112007 A KR 1020190112007A KR 20190112007 A KR20190112007 A KR 20190112007A KR 102347660 B1 KR102347660 B1 KR 1023476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 button
stopper
safety pin
pusher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2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1016A (ko
Inventor
이진권
Original Assignee
아주약품(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주약품(주) filed Critical 아주약품(주)
Priority to KR1020190112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7660B1/ko
Priority to US17/638,901 priority patent/US20220304671A1/en
Priority to PCT/KR2020/009350 priority patent/WO2021049746A2/ko
Publication of KR20210031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10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7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76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69Suturing instrument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e.g. endoscopic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82Needle or suture gu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61B2017/0409Instruments for applying suture anch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61B2017/0417T-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61B2017/0464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for soft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69Suturing instrument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e.g. endoscopic surgery
    • A61B2017/0474Knot push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heumat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연골파열 복구용 수술도구를 이용한 연골파열 복구용 수술방법은 도구몸체(100)의 버튼결합공(120)에 스프링(310)의 탄성반발력을 받도록 삽입되어진 누름버튼(300)을 눌러 하강시키거나 또는 누름을 해제하여 승강시키는 동작을 통해 선택적으로 밀대(200)를 다단계로 소정폭으로 전진시켜 주면서 밀대가이드(410) 선단의 니들(411)을 통해 봉합사(10)와 연계설치된 제1고정편(501)과 제2고정편(502)을 순차적으로 토출시켜 주는 아주 간단한 방법을 통해 제1고정편(501)과 제2고정편(502)을 파열된 연골부위에 간편하고 안전하게 고정설치할 수 있으므로,
추후 고정된 제1고정편(501)과 제2고정편(502)을 기반으로 하여 봉합사(10)로 파열된 연골부위를 꿰매서 봉합함으로써 연골의 복구가 매우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더군다나 본 발명은 상기 누름버튼(300)의 누름동작을 누름버튼(300)에 연계설치된 안전핀(600)을 이용하여 단속함으로써 제1고정편(501)과 제2고정편(502)을 토출작동을 명확하게 구분지어 주기 때문에 시술자가 제1고정편(501)을 토출시킨 후에는 안전핀(600)을 누름버튼내로 삽입시켜 누름버튼(300)의 록킹을 재차 해제시키지 않는 한 누름버튼(300)이 눌러지지 않기때문에 실수로 제2고정편(502)을 제위치가 아닌 다른 위치에 토출시키는 오동작을 완벽하게 방지하여 줄 수 있으므로 안심하고 편리하게 파열된 연골을 봉합하는 시술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연골파열 복구용 수술도구{Surgical Instruments for Repairing Cartilage Rupture}
본 발명은 연골파열 복구용 수술도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구몸체의 버튼결합공에 스프링의 탄성반발력을 받도록 삽입되어진 누름버튼을 눌러 하강시키거나 또는 누름을 해제하여 승강시키는 동작을 통해 선택적으로 밀대를 다단계로 소정폭으로 전진시켜 주면서 밀대가이드 선단의 니들을 통해 봉합사와 연계설치된 제1고정편과 제2고정편을 순차적으로 토출시켜 주는 아주 간단한 방법을 통해 제1고정편과 제2고정편을 파열된 연골부위에 간편하고 안전하게 고정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줌으로써,
추후 고정된 제1고정편과 제2고정편을 기반으로 하여 봉합사로 파열된 연골부위를 꿰매서 봉합하여서 연골의 복구가 용이하도록 할수 있는 연골파열 복구용 수술도구에 관한 것이다.
환자의 빠른 치유를 위해 정형외과 영역에서 최소 침습수술(Minimal invasive surgery) 이나 로봇 수술(Robot surgery)의 도입 및 발전은 피할 수 없는 의료계의 현실이다.
정형외과 분야에서 스포츠 손상, 관절염 또는 퇴행성 질환으로 인대의 손상이나 근육의 파열은 이제는 관절경적 시술이 현재의 추세이며 앞으로 이러한 방향으로 나아 갈 것이다.
따라서 손상된 관절막이나 연골, 근육, 인대 등을 부착하기 위해서 앙카(suture anchor)를 사용하고 있다.
수술 과정은 병변 부위를 미세절개(mini-incision)하거나 관절 내시경(arthroscopy)으로 병변 부위를 확인한 뒤에 병변 부위 근육이나 인대를 봉합사로 고정하고(예: fiberwire suture) 병변 부위를 노출하여 그곳에 실이 달린 나사못 (앙카)을 삽입한다.
앙카에는 봉합사가 부착되어 있어 이탈된 인대나 근육을 꿰매어 뼈에 부착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케뉼라(cannular)를 통한 앙카의 삽입이 이루어져야 한다.
앙카에 부착된 봉합사로 떨어지거나 파손된 인대를 잡아 당기어 뼈에 부착하고 매듭(knot)을 짓는다.
이 매듭은 내시경 밖에서 시행되어야 하므로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고 정확한 매듭을 만들지 못하면 실이 풀리거나 느슨해져서 근육이나 인대를 뼈에 붙이지 못하게 된다.
앙카삽입장치와 관련된 메카니즘 및 시스템들은, 예컨대 한국특허 제10-2012-123517호, 동 제10-2014-72657호, 동 제10-2014-116211호, 동 제10-2015-7028488호 등에 개시 되어 있다.
그런데 전술한 앙카삽입장치와 관련된 메카니즘 및 시스템들은 모두 뼈속에 봉합사가 연계설치된 앙카를 삽입하여 고정한 후 뼈에 삽입된 앙카를 기반으로 하여 봉합사로 이탈된 인대나 근육을 꿰매어 뼈에 부착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사용되는 것일 뿐, 예컨대 무릎부위의 연골이 파열되어 이 연골부위만을 봉합하여 복구하고자 하는 수술시에는 사실상 사용이 불가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도구몸체의 버튼결합공에 스프링의 탄성반발력을 받도록 삽입되어진 누름버튼을 눌러 하강시키거나 또는 누름을 해제하여 승강시키는 동작을 통해 선택적으로 밀대를 다단계로 소정폭으로 전진시켜 주면서 밀대가이드 선단의 니들을 통해 봉합사와 연계설치된 제1고정편과 제2고정편을 순차적으로 토출시켜 주는 아주 간단한 방법을 통해 제1고정편과 제2고정편을 파열된 연골부위에 간편하고 안전하게 고정설치할 수 있는 연골파열 복구용 수술도구를 제공하여 줌으로써,
추후 뼈속이 아닌 파열된 연골에 고정된 제1고정편과 제2고정편을 기반으로 하여 봉합사로 파열된 연골부위를 꿰매주고 봉합하여 연골의 복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에 그 목적을 둔 것이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에 기재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연골파열 복구용 수술도구는 기본적으로 전방면에 튜브몸체결합공이 형성되고 전방상면에는 버튼결합공이 형성되며 버튼결합공 후방 외면에 손잡이부가 형성된 중공체의 도구몸체와;
상기 도구몸체내에 후단부가 스프링의 탄성반발력을 받도록 삽입설치되고 선단부는 튜브몸체결합공을 통과하여 전방으로 길게 돌출되도록 삽입설치되는 밀대와;
상기 도구몸체의 버튼결합공에 스프링의 탄성반발력을 받도록 삽입되어 지되, 밀대와 연계설치되도록 결합설치되어 승,하강시 선택적으로 밀대를 다단계로 전진시켜 주는 누름버튼과;
상기 도구몸체의 튜브몸체결합공에 결합되어 지되, 밀대 선단 외면을 감싸고 선단에 절개부가 형성된 니들이 구비되는 밀대가이드 및 밀대가이드 외면을 감싸는 게이지튜브를 선택적으로 전,후진시킬 수 있는 게이지튜브홀더가 구비된 게이지튜브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연골파열 복구용 수술도구는 도구몸체의 버튼결합공에 스프링의 탄성반발력을 받도록 삽입되어진 누름버튼을 눌러 하강시키거나 또는 누름을 해제하여 승강시키는 동작을 통해 선택적으로 밀대를 다단계로 소정폭으로 전진시켜 주면서 밀대가이드 선단의 니들을 통해 봉합사와 연계설치된 제1고정편과 제2고정편을 순차적으로 토출시켜 주는 아주 간단한 방법을 통해 제1고정편과 제2고정편을 파열된 연골부위에 간편하고 안전하게 고정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추후 고정된 제1고정편과 제2고정편을 기반으로 하여 봉합사로 파열된 연골부위를 꿰매서 봉합함으로써 연골의 복구가 매우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더군다나 상기 누름버튼의 누름동작을 누름버튼에 연계설치된 안전핀을 이용하여 단속함으로써 제1고정편과 제2고정편을 토출동작을 명확하게 구분지어 주기때문에 시술자가 제1고정편을 토출시킨 후 실수로 제2고정편을 재위치가 아닌 다른 위치에 토출시키는 오동작을 완벽하게 방지하여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이점에 의해 안심하고 편리하게 파열된 연골을 봉합하는 시술에 사용할 수 있는 매우 획기적인 발명임이 분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조립상태를 보인 도면.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요부 분해상태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 구성상태를 보인 확대 도면.
도 4 내지 도 11b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도면으로서,
도 4는 연골복구용 수술도구의 사용전 초기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안전핀을 누름버튼의 내부로 전부 삽입시켜 고정함으로써 록킹을 해제하여 누름버튼을 누를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a는 록킹이 해제된 누름버튼을 누르는 상태를 보인 도면.
도 6b는 누름버튼이 눌려져 밀대가 제1스토퍼를 벗어나 제2스토퍼까지 전진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6c 안전핀의 고정이 해제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7a는 누름버튼의 누름을 해제하여 제2스톱퍼를 상승시키는 상태를 보인 도면.
도 7b는 제2스톱퍼의 상승으로 단속이 해제된 밀대가 제3스토퍼까지 전진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7c는 제3스토퍼까지 전진한 밀대에 의해 제1고정편이 토출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7d는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상승완료된 누름버튼내의 고정이 해제된 안전핀이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초기상태로 복귀하여 누름버튼이 록킹 상태가 된것을 보인 도면.
도 8은 제2고정편을 토출시켜주기 위하여 누름버튼 내부로 안전핀을 삽입시켜 록킹으로 해제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9는 록킹이 해제된 누름버튼을 누르는 상태를 보인 도면.
도 10a는 누름버튼이 눌려져 밀대가 제2스토퍼를 벗어나 제3스토퍼까지 전진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10b는 제3스토퍼까지 전진한 밀대에 의해 제2고정편이 토출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10c는 안전핀의 고정이 해제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11a는 제고정편 토출 후 누름버튼의 누름을 해지하여 누름버튼이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상승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11b는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상승완료된 누름버튼내의 고정이 해제된 안전핀이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초기상태로 복귀하여 누름버튼이 록킹 상태가 된 것을 보인 도면.
이하,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에 기재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11b에 의거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일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연골복구용 수술도구는 크게 후방 외면에 손잡이부가 형성된 중공체의 도구몸체(100)와, 도구몸체(100)에 각각 결합되어 제1고정편(501)과 제2고정편(502)을 전방으로 가압하는데 사용되는 밀대(200)와, 밀대(200)를 다단계로 전진시켜 제1고정편(501)과 제2고정편(502)을 순차적으로 토출시키는 누름버튼(300)과, 밀대(200)를 안내하며 선단에 절개부(411a)가 형성된 니들(411)이 구비되는 밀대가이드(410)를 구비한 게이지튜브몸체(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니들(411)은 실시예에서는 편의상 직선으로 형성된 것을 도시였으나, 곡선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연골복구용 수술도구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중공체로 이루어진 도구몸체(100)의 전방면에는 튜브몸체결합공(110)이 형성되어 있고 전방상면에는 버튼결합공(120)이 형성되어 있으며, 버튼결합공(120) 후방 외면에는 손잡이부(130)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중공체로 이루어진 도구몸체(100)의 전방면에 형성된 튜브몸체결합공(110)에는 게이지튜브몸체(400)가 결합되어 있다,
이 게이지튜브몸체(400)에는 밀대(200) 선단 외면을 감싸며, 선단에 뽀족한 니들(411)이 구비되고 이 니들(411)의 상면에 절개부(411a)가 형성되어 제1고정편(501)과 제2고정편(502)이 삽입설치되는 밀대가이드(410)의 후단부가 결합되어 있으며, 또한 밀대가이드(410) 외면을 감싸는 게이지튜브(421)의 후단이 결합되어 있다,
이 게이지튜브(421)는 게이지튜브홀더(420)에 후단이 결합되어 있고 이 게이지튜브홀더(420)는 게이지튜브몸체(400)에 선택적으로 전,후진시킬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어서 게이지튜브홀더(420)를 전,후진시켜서 동시에 게이지튜브(421)를 전,후진시켜서 파열된 연골의 두께 즉, 시술부위의 조건에 따라 제1고정편(501)과 제2고정편(502)의 토출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그러는 한편, 상기 도구몸체(100)내에는 밀대(200)가 설치되어 있는데 밀대(200)의 후단부는 스프링(210)의 탄성반발력을 받도록 삽입설치되어 있고 밀대(200)의 선단부는 튜브몸체결합공(110)에 결합된 게이지튜브몸체(400)에 형성된 밀대가이드(410) 내부를 통해 전방으로 길게 돌출되어지게 삽입설치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도구몸체(100)의 버튼결합공(120)에는 누름버튼(300)이 밀대(200)와 연계설치되도록 결합되어 있는데,
상기 누름버튼(300)은 일예로 하부버튼몸체(300a) 및 상부버튼몸체(300b)로 나뉘어 제작된 상태에서 접착제를 이용 일체형으로 조립되는 것으로 저면에는 스프링(310)이 설치된다.
그리고 하부버튼몸체(300a)에는 전,후에 상향 돌출된 제1스토퍼(320) 및 제3스토퍼(340)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버튼몸체(300b)에는 제1스토퍼(320)와 제3스토퍼(340) 사이에 위치되도록 하향 돌출된 제2스토퍼(330)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초기에는 밀대(200)의 걸림돌기(200a)가 제1스토퍼(320)에 걸려 전진이 단속되어 있다가,
누름버튼(300)을 누르면 제1스토퍼(320) 및 제2스토퍼(330)가 동시에 하강함에 따라 밀대(200)의 걸림돌기(200a)가 제1스토퍼(320)를 벗어나 제2스토퍼(330)까지만 전진하였다가 누름버튼(300)의 누름을 해제하면 제2스토퍼(330) 및 제3스토퍼(340)가 동시에 상승함에 따라 밀대(200)의 걸림돌기(200a)가 제2스토퍼(330)를 벗어나 제3스토퍼(340)까지 전진하게 된다.
그러면 제3스토퍼(340)까지 전진하는 밀대(200)에 의해 제1고정편(501)이 밀대가이드(410) 선단의 니들(411)을 통해 토출된다.
이와 같이 누름버튼(300)을 눌렀다 상승시키는 방법을 통해 제1고정편(501)을 토출시킨 다음에, 상승이 완료된 누름버튼(300)을 재차 누르게 되면 다시 제3스토퍼(340)가 하강함에 따라 밀대(200)의 걸림돌기(200a)가 제3스토퍼(340)를 벗어나 스프링(210)의 탄성반발력에 의해 전진하다가 밀대(200)에 형성된 단턱(201) 또는 걸림돌부(202)가 게이지튜브몸체(400)내의 벽면(401) 또는 도구몸체(100)내의 벽면(101)에 각각 걸려 소정거리 만큼만 전진하게 되는데, 이와같이 전진하는 밀대(200)에 의해 제2고정편(502)이 밀대가이드(410) 선단의 니들(411)을 통해 토출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 누름버튼(300)의 누름동작을 단속하는 안전핀(600)을 더 구성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안전핀(600)은 누름버튼(300)의 내부에 선단부가 스프링(610)의 탄성반발력을 받도록 삽입되고, 후단부는 버튼결합공(120)의 외측으로 더 돌출되어져 안전핀(600)에 의해 록킹되어 누름버튼(300)을 누를 수 없도록 구성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안전핀(600)을 누름버튼 내부로 전부 삽입시키면 안전핀(600)의 양측에 형성된 걸림돌기(601)가 전진하다가 누름버튼(300)의 내부 양측에 형성된 걸림턱(301)에 걸려서 고정됨으로써 누름버튼(300)을 누를 수 있도록 록킹이 해제된다.
한편, 상기 도구몸체(100)의 버튼결합공(120) 내부에는 안전핀해제편(121)을 수직으로 입설하여서 누름버튼(300)의 걸림턱(301)에 걸림돌기(601)가 결합되어 고정된 채로 하강하던 안전핀(600)의 걸림돌기(601)가 안전핀해제편(121)에 의해 걸림턱(301)으로 부터 벗어남과 동시에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610)의 탄발력에 의해 뒤로 밀리면서 안전핀(600)의 고정을 해제시켜 주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연골복구용 수술도구의 작동상태를 도 1 내지 도 3은 물론 나머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누름버튼(300)의 내부에 선단부가 삽입된 안전핀(600)의 후단부가 버튼결합공(120)의 외측으로 더 돌출되어져 결과적으로 안전핀(600)에 의해 록킹되어 누름버튼(300)을 누를 수 없는 초기상태를 나타낸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도 5와 같이 수술시 안전핀(600)을 누름버튼(300) 내부로 전부 삽입시키면 안전핀(600)의 양측에 형성된 걸림돌기(601)가 전진하다가 누름버튼(300)의 내부 양측에 형성된 걸림턱(301)에 걸려서 고정됨으로써 누름버튼(300)을 누를 수 있도록 록킹이 해제된다.
이때, 안전핀(600)에 구비되는 스프링(610)은 압축되어 진다.
그러면 6a와 같이 누름버튼(300)을 눌러 내부의 제1스토퍼(320)를 하강시켜 주면 도 6b와 같이 제1스토퍼(320)에 걸려 전진이 단속되어 있던 밀대(200)의 걸림돌기(200a)가 제1스토퍼(320)로 부터 벗어나 스프링(210)의 압축탄발력에 의해 전진하다가 누름버튼(300) 내부의 제2스토퍼(330)에 걸려 소정거리 만큼만 전진한다.
이때, 상기 누름버튼(300)의 저면은 스프링(310)에 의해 탄력적으로 받쳐져 있는 상태이므로 스프링(310)이 압축되어 진다.
이와 동시에 도 6c와 같이 상기 도구몸체(100)의 버튼결합공(120) 내부에는 안전핀해제편(121)이 수직으로 입설되어 있으므로 누름버튼(300)의 걸림턱(301)에 걸림돌기(601)가 결합되어 고정된 채로 하강하던 안전핀(600)의 걸림돌기(601)가 안전핀해제편(121)에 의해 걸림턱(301)으로 부터 벗어남과 동시에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210)의 탄발력에 의해 뒤로 밀리면서 안전핀(600)의 고정이 해제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도 7a와 같이 누름버튼(300)의 누름을 해제하면, 스프링(310)의 탄발력에 의해 누름버튼(300) 및 누름버튼(300) 내부의 제2스토퍼(330)가 동시에 상승한다.
그러면 도 7b와 같이 제2스토퍼(330)의 상승으로 단속이 해제된 밀대(200)의 걸림돌기(200a)가 제3스토퍼(340)까지 전진한다.
이와같이 하면 도 7c와 같이 제3스토퍼(340)까지 전진하는 밀대(200)에 의해 제1고정편(501)이 밀대가이드(410) 선단의 니들(411)을 통해 토출된다.
이때, 토출된 제1고정편(501)은 파열된 연골의 일측 부분을 통과하여 뒷면에 위치된다.
또한, 도 7d와 같이 스프링(310)의 탄발력에 의해 상승 완료된 누름버튼(300)내의 고정이 해제된 안전핀(600)이 스프링(610)의 탄발력에 의해 초기상태로 복귀하여 누름버튼(300)이 다시 록킹 상태가 된다.
즉, 이와 같은 상태는 도 4에서도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누름버튼(300)의 내부에 선단부가 삽입된 안전핀(600)의 후단부가 버튼결합공(120)의 외측으로 더 돌출되어져 결과적으로 안전핀(600)에 의해 록킹되어 누름버튼(300)을 누를 수 없는 초기상태로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도 4 내지 도 7d는 제1고정편(501)을 토출시키는 방법을 보인 것이고, 이번에는 제2고정편(502)을 토출시키는 방법을 설명한다.
제2고정편(502)을 토출시키기 위해서는 도 8과 같이 누름버튼(300) 내부로 안전핀(600)을 다시 삽입시켜 록킹으로 해제하여야 한다.
즉, 도 7d와 같이 안전핀(600)에 의해 록킹되어 누름버튼(300)을 누를 수 없는 상태를 벗어나기 위해서 다시 안전핀(600)을 누름버튼(300)의 내부로 전부 삽입시켜 고정함으로써 록킹을 해제하여 누름버튼(300)을 누를 수 있는 상태로 전환시킨다.
이와 같이 안전핀(600)을 누름버튼(300) 내부로 전부 삽입시키면 전술한 바와 같이 안전핀(600)의 양측에 형성된 걸림돌기(601)가 전진하다가 누름버튼(300)의 내부 양측에 형성된 걸림턱(301)에 걸려서 고정됨으로써 누름버튼(300)을 누를 수 있도록 록킹이 해제된다.
이때, 안전핀(600)에 구비되는 스프링(610)은 압축되어 진다.
그런 다음에는 도 9와 같이 록킹이 해제된 누름버튼(300)을 눌러 하강시킨다.
그러면 도 10a와 같이 누름버튼(300)이 눌러짐과 동시에 누름버튼(300) 내부의 제3스토퍼(340)가 하강되면서 제3스토퍼(340)에 걸려 전진이 단속되어 있던 있던 밀대(200)의 걸림돌기(200a)가 제3스토퍼(340)로 부터 벗어나 스프링(210)의 압축탄발력에 의해 전진하다가 밀대(200)에 형성된 단턱(201) 또는 걸림돌부(202)가 게이지튜브몸체(400)내의 벽면(401) 또는 도구몸체(100)내의 벽면(101)에 각각 걸려 소정거리 만큼만 전진하게 되는데, 이와같이 전진하는 밀대(200)에 의해 도 10b와 같이 제2고정편(502)이 밀대가이드(410) 선단의 니들(411)을 통해 토출된다.
이때, 토출된 제2고정편(502)은 파열된 연골을 봉합하기 위해서 타측 부분을 통과하여 뒷면에 위치된다.
여기서 상기 누름버튼(300)의 저면을 받쳐주고 있는 스프링(310)은 누름버튼(300)이 하강함에 따라 압축된다.
또한, 이와 동시에 도 10c와 같이 상기 도구몸체(100)의 버튼결합공(120) 내부에는 안전핀해제편(121)이 수직으로 입설되어 있으므로 누름버튼(300)의 걸림턱(301)에 걸림돌기(601)가 결합되어 고정된 채로 하강하던 안전핀(600)의 걸림돌기(601)가 안전핀해제편(121)에 의해 걸림턱(301)으로 부터 벗어남과 동시에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610)의 탄발력에 의해 뒤로 밀리면서 안전핀(600)의 고정이 해제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누름버튼(300)의 누름을 해제하면 도 11a와 같이 누름버튼(300)의 저면에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310)의 압축탄발력에 의해 누름버튼(300)이 상승하게 되고,
도 11b와 같이 누름버튼(300)의 상승이 완료되면 누름버튼(300)내의 고정이 해제된 안전핀(600)이 스프링(610)의 탄발력에 의해 초기상태로 복귀하여 누름버튼(300)이 다시 록킹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을 수행하여 제1고정편(501) 및 제2고정편(502)을 봉합하고자 하는 연결파열부위의 뒷면에 간편하고 신속하며 무엇보다도 안전하고 완벽하게 위치 고정시킨 다음에는 본 발명의 연골파열 복구용 수술도구를 제거한 후 제1고정편(501)과 제2고정편(502)을 기반으로 하여 봉합사(10)를 이용하여 파열된 연골부위를 꿰매서 봉합하는 등의 일반적인 후 시술을 수행하면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연골파열 복구용 수술도구를 사용하게 되면 아주 간편하고 안전하게 파열된 연골을 봉합하여 복구시켜 줄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연골복구용 수술도구는 밀대가이드(410)의 절개부(411a) 끝단으로 봉합사(10)와 연계설치된 제1고정편(501)과 제2고정편(502)을 순차적으로 토출시켜 주되,
상기 제1고정편(501)을 토출시키기 위해서 안전핀(600)에 의해 록킹되어 누름버튼(300)을 누를 수 없는 초기상태에서 수술시 안전핀(600)을 누름버튼(300) 내부로 전부 삽입하여 고정시켜줌으로써 누름버튼(300)을 누를 수 있도록 하는 록킹 해제단계(S1)와;
누름버튼(300)을 눌러 하강시켜 줌으로써 누름버튼(300)내의 제1스토퍼(320)에 의해 전진이 단속되어 있던 있던 밀대(200)를 스프링(210)의 압축탄발력에 의해 제2스토퍼(330)까지 전진시켜줌과 동시에 안전핀(600)의 고정을 해제시켜주는 단계(S2)와;
하강시켰던 누름버튼(300)의 누름을 해제하여 누름시 압축됐던 스프링(310)의 탄발력에 의해 누름버튼(300)을 상승시켜 제2스토퍼(330)의 단속을 해제하여 밀대(200)가 제3스토퍼(340)까지 더 전진하면서 제2고정편(502)과 제1고정편(501)을 동시에 전진시켜 주되 제1고정편(501)만을 밀대가이드(410) 선단의 니들(411) 외부로 돌출시켜 일측 연골의 뒷면에 위치 고정되도록 함과 동시에 누름버튼(300)의 상승 후 고정이 해제된 안전핀(600)이 스프링(610)의 탄발력에 의해 원래대로 후퇴하여 복귀되도록 함으로써 누름버튼(300)을 누를 수 없도록 록킹시키는 단계(S3)를 수행하며,
후속 작업으로서 제2고정편(502)을 토출시키기 위해서는,
안전핀(600)을 재차 누름버튼(300) 내부로 전부 삽입하여 고정시켜 줌으로써 누름버튼(300)의 록킹을 해제하는 단계(S4)와;
누름버튼(300)을 눌러 하강시켜줌으로써 누름버튼(300) 내부의 제3스토퍼(340)에 의해 전진이 단속되어 있던 밀대(200)를 스프링(210)의 압축탄발력에 의해 소정거리 만큼 전진시켜서 나머지 제2고정편(502)을 밀대가이드(410) 선단의 니들(411) 외부로 돌출시켜 타측 연골의 뒷면에 고정되도록 하는 단계(S5)와;
하강시켰던 누름버튼(300)의 누름을 해제하여 누름시 압축됐던 스프링(310)의 탄발력에 의해 누름버튼(300)을 상승시킴과 동시에 고정이 해제된 안전핀(600)이 스프링(610)의 탄발력에 의해 원래대로 후퇴하여 복귀되도록 함으로써 누름버튼(300)을 누를 수 없도록 록킹시키는 단계(S6);를 수행한 다음,
본 발명의 연골파열 복구용 수술도구를 제거한 후 제1고정편(501)과 제2고정편(502)을 기반으로 하여 봉합사(10)를 이용하여 매듭을 형성하고 옭아매어 파열된 연골을 봉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골파열 복구용 수술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연골파열 복구용 수술도구를 이용한 연골파열 복구용 수술방법은 도구몸체(100)의 버튼결합공(120)에 스프링(310)의 탄성반발력을 받도록 삽입되어진 누름버튼(300)을 눌러 하강시키거나 또는 누름을 해제하여 승강시키는 동작을 통해 선택적으로 밀대(200)를 다단계로 소정폭으로 전진시켜 주면서 밀대가이드(410) 선단의 니들(411)을 통해 봉합사(10)와 연계설치된 제1고정편(501)과 제2고정편(502)을 순차적으로 토출시켜 주는 아주 간단한 방법을 통해 제1고정편(501)과 제2고정편(502)을 파열된 연골부위에 간편하고 안전하게 고정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추후 고정된 제1고정편(501)과 제2고정편(502)을 기반으로 하여 봉합사(10)로 파열된 연골부위를 꿰매서 봉합함으로써 연골의 복구가 매우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더군다나 상기 누름버튼(300)의 누름동작을 누름버튼(300)에 연계설치된 안전핀(600)을 이용하여 단속함으로써 제1고정편(501)과 제2고정편(502)을 토출작동을 명확하게 구분지어 주기 때문에 시술자가 제1고정편(501)을 토출시킨 후에는 안전핀(600)을 누름버튼내로 삽입시켜 누름버튼(300)의 록킹을 재차 해제시키지 않는 한 누름버튼(300)이 눌러지지 않기때문에 실수로 제2고정편(502)을 제위치가 아닌 다른 위치에 토출시키는 오동작을 완벽하게 방지하여 줄 수 있다.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일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 일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봉합사 100: 도구몸체
101,401: 벽면 110: 튜브몸체결합공
120: 버튼결합공 121: 안전핀해제편
200: 밀대 200a,601: 걸림돌기
210,310,610: 스프링 300: 누름버튼
301: 걸림턱 320: 제1스토퍼
330: 제2스토퍼 340: 제3스토퍼
400: 게이지튜브몸체 410: 밀대가이드
411: 니들 411a: 절개부
420: 게이지튜브홀더 421: 게이지튜브
501: 제1고정편 502: 제2고정편
600: 안전핀

Claims (6)

  1. 전방면에 튜브몸체결합공(110)이 형성되고 전방상면에는 버튼결합공(120)이 형성되며 버튼결합공(120) 후방 외면에 손잡이부(130)가 형성된 중공체의 도구몸체(100)와;
    상기 도구몸체(100)내에 후단부가 스프링(210)의 탄성반발력을 받도록 삽입설치되고 선단부는 튜브몸체결합공(110)을 통과하여 전방으로 길게 돌출되도록 삽입설치되는 밀대(200)와;
    상기 도구몸체(100)의 버튼결합공(120)에 스프링(310)의 탄성반발력을 받도록 삽입되어 지되, 밀대(200)와 연계설치되도록 결합설치되어 승,하강시 선택적으로 밀대(200)를 다단계로 전진시켜 주는 누름버튼(300)과;
    상기 도구몸체(100)의 튜브몸체결합공(110)에 결합되어 지되, 밀대(200) 선단 외면을 감싸고 선단에 절개부(411a)가 형성된 니들(411)이 구비되는 밀대가이드(410) 및 밀대가이드(410) 외면을 감싸는 게이지튜브(421)를 선택적으로 전,후진시킬 수 있는 게이지튜브홀더(420)가 구비된 게이지튜브몸체(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누름버튼(300)은 하부몸체(300a) 및 상부몸체(300b) 일체형으로서 하부몸체(300a)에는 전,후에 상향 돌출된 제1스토퍼(320) 및 제3스토퍼(340)가 형성되고,
    상부몸체(300b)에는 제1스토퍼(320)와 제3스토퍼(340) 사이에 위치되도록 하향 돌출된 제2스토퍼(330)가 형성되어져,
    초기에는 밀대(200)의 걸림돌기(200a)가 제1스토퍼(320)에 걸려 전진이 단속되어 있다가,
    누름버튼(300)을 누르면 제1스토퍼(320) 및 제2스토퍼(330)가 동시에 하강함에 따라 밀대(200)의 걸림돌기(200a)가 제1스토퍼(320)를 벗어나 제2스토퍼(330)까지만 전진하였다가 누름버튼(300)의 누름을 해제하면 제2스토퍼(330) 및 제3스토퍼(340)가 동시에 상승함에 따라 밀대(200)의 걸림돌기(200a)가 제2스토퍼(330)를 벗어나 제3스토퍼(340)까지 전진하면서 제1고정편(501)이 밀대가이드(410) 선단의 니들(411)을 통해 토출되고,
    상승이 완료된 누름버튼(300)을 재차 누르게 되면 다시 제3스토퍼(340)가 하강함에 따라 밀대(200)의 걸림돌기(200a)가 제3스토퍼(340)를 벗어나면서 스프링(210)의 압축탄발력에 의해 전진하다가 밀대(200)에 형성된 단턱(201)이 게이지튜브몸체(400)내의 벽면(401)에 걸리거나 또는 걸림돌부(202)가 도구몸체(100)내의 벽면(101)에 걸려 소정거리 만큼만 전진하면서 제2고정편(502)이 밀대가이드(410) 선단의 니들(411)을 통해 토출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연골파열 복구용 수술도구.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버튼(300)의 누름동작을 단속하는 안전핀(600)을 더 구성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연골파열 복구용 수술도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핀(600)은,
    누름버튼(300)의 내부에 선단부가 스프링(610)의 탄성반발력을 받도록 삽입되고, 후단부는 버튼결합공(120)의 외측으로 더 돌출되어지게 결합되어져,
    평상시에는 안전핀(600)에 의해 록킹되어 누름버튼(300)을 누를 수 없고,
    안전핀(600)을 누름버튼(300) 내부로 전부 삽입시키면 안전핀(600)의 양측에 형성된 걸림돌기(601)가 전진하다가 누름버튼(300)의 내부 양측에 형성된 걸림턱(301)에 걸려서 고정되도록 하여서 누름버튼(300)을 누를 수 있게 록킹이 해제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연골파열 복구용 수술도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핀(600)은,
    도구몸체(100)의 버튼결합공(120) 내부에 안전핀해제편(121)을 수직으로 입설하여서 누름버튼(300)의 걸림턱(301)에 걸림돌기(601)가 결합되어 고정된 채로 하강하던 안전핀(600)의 걸림돌기(601)가 안전핀해제편(121)에 의해 걸림턱(301)으로 부터 벗어남과 동시에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610)의 탄발력에 의해 뒤로 밀리면서 안전핀(600)의 고정이 해제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연골파열 복구용 수술도구.
  6. 삭제
KR1020190112007A 2019-09-10 2019-09-10 연골파열 복구용 수술도구 KR102347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2007A KR102347660B1 (ko) 2019-09-10 2019-09-10 연골파열 복구용 수술도구
US17/638,901 US20220304671A1 (en) 2019-09-10 2020-07-15 Surgical instrument for repairing cartilage tear
PCT/KR2020/009350 WO2021049746A2 (ko) 2019-09-10 2020-07-15 연골파열 복구용 수술 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2007A KR102347660B1 (ko) 2019-09-10 2019-09-10 연골파열 복구용 수술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1016A KR20210031016A (ko) 2021-03-19
KR102347660B1 true KR102347660B1 (ko) 2022-01-05

Family

ID=74870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2007A KR102347660B1 (ko) 2019-09-10 2019-09-10 연골파열 복구용 수술도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304671A1 (ko)
KR (1) KR102347660B1 (ko)
WO (1) WO2021049746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061832A1 (en) * 2020-08-31 2022-03-03 Healthium Medtech Limited Tissue Repair Device and Method to Repair Tissue by Deploying Implant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98234B (zh) * 2023-12-14 2024-03-12 北京茗视光眼科医院管理有限公司 一种白内障穿刺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00655A (ja) 2004-06-17 2006-01-05 Ethicon Inc 最小限に侵襲的な縫合用器具
KR101873001B1 (ko) * 2018-04-13 2018-07-02 김창보 내시경용 시술기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1740B1 (ko) * 2004-07-26 2006-02-13 학교법인고려중앙학원 봉합용 비드 및 이를 이용한 장기 봉합장치
US8128657B2 (en) * 2007-02-27 2012-03-06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Suture instrument
KR101846064B1 (ko) * 2016-03-03 2018-04-05 최종일 주행 완구 및 이를 이용한 놀이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00655A (ja) 2004-06-17 2006-01-05 Ethicon Inc 最小限に侵襲的な縫合用器具
KR101873001B1 (ko) * 2018-04-13 2018-07-02 김창보 내시경용 시술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061832A1 (en) * 2020-08-31 2022-03-03 Healthium Medtech Limited Tissue Repair Device and Method to Repair Tissue by Deploying Impla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49746A3 (ko) 2021-05-20
US20220304671A1 (en) 2022-09-29
WO2021049746A2 (ko) 2021-03-18
KR20210031016A (ko) 2021-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50929B2 (ja) アンカアセンブリ用の挿入器具
US8435253B2 (en) Meniscal repair systems and methods
JP4322672B2 (ja) 拡張用靭帯移植片固定システム
JP4823610B2 (ja) 骨プレーティングインプラント器具および方法
RU2579624C2 (ru) Аппликаторные инструменты, имеющие изогнутые и шарнирно-сочлененные валы для развертывания хирургических креплений и способы для них
CN104023653B (zh) 连续缝合器械
RU2551934C2 (ru) Хирургические крепежные детали, аппликаторы и способы установки хирургических крепежных деталей
RU2544224C2 (ru) Хирургические крепежные детали, аппликаторы и методы установки хирургических крепежных деталей
RU2532934C2 (ru) Хирургические крепежные детали, аппликаторы и способы установки хирургических крепежных деталей
RU2532936C2 (ru) Хирургические крепежные детали, аппликаторы и способы установки хирургических крепежных деталей
RU2673374C2 (ru) Система наложения хирургических креплений
JP4334756B2 (ja) 外科手術用吸収可能リベット/ピン適用装置
EP1607046A1 (en) Minimally invasive stitching device
KR20150022748A (ko) 봉합사 기반 무매듭 복원
KR102347660B1 (ko) 연골파열 복구용 수술도구
EP2775937B1 (en) Transosseous attachment anchor
US20180098838A1 (en) Inserter for soft tissue or bone-to-bone fixation device and methods
JP2007534380A (ja) 靱帯を再構成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WO2013142680A1 (en) A suturing device
US20180368825A1 (en) Meniscal repair device
CN106419979B (zh) 用于外科缝合的方法、系统和装置
WO2023126493A1 (en) Knotless anchor inserter tool extraction
KR102347664B1 (ko) 연골파열 복구용 수술도구의 누름버튼 설치구조
RU2667609C2 (ru) Хирургические крепежные элементы с шарнирными соединениями и наконечниками, выполненными с возможностью отклоняться
AU2013200934A1 (en) Meniscal repair systems and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