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2333A - 탈곡 장치 - Google Patents

탈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2333A
KR20080052333A KR1020070099216A KR20070099216A KR20080052333A KR 20080052333 A KR20080052333 A KR 20080052333A KR 1020070099216 A KR1020070099216 A KR 1020070099216A KR 20070099216 A KR20070099216 A KR 20070099216A KR 20080052333 A KR20080052333 A KR 200800523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shing
dust
conveyance
barrel
gu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9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3344B1 (ko
Inventor
스에조오 우에다
히로아끼 야마모또
마사요시 나까따
도모야 마쯔바야시
데루오 니시
류우이찌 미나미
마사루 구와지마
다께시 가와노
다쯔야 기따노
유끼까즈 다나까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6329392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8143208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7020770A external-priority patent/JP468156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7029605A external-priority patent/JP477338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7081587A external-priority patent/JP4605663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080052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23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3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33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4Grain cleaners; Grain separ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10Feed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6Mechanical grain convey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54Arrangements for collecting or removing dust

Abstract

예취 곡간의 줄기 밑둥측을 향하여 유하하는 곡립을 급통(9)을 향하여 안내하는 가이드판(25)을 개량하여, 예취 곡간의 줄기 밑둥측을 향하여 유하하는 곡립을, 더 확실하게 급통(9)을 향하여 안내하는 것이 가능한, 콤바인의 탈곡 장치(1)가 개시된다. 가이드판(25)을, 그 급통측의 단부가, 급치(26)의 선단이 그리는 회전 궤적(K)의 내측으로 들어가도록 형성하는 동시에, 가이드판(25)의 급통측의 단부에, 급치(26)의 통과를 허용하는 급치 통과부[31(도7) 또는 32(도8)]를 설치하고 있다.
Figure P1020070099216
예취 곡간, 급통, 가이드판, 통과부, 급치

Description

탈곡 장치 {Threshing Apparatus}
본 발명은, 콤바인에 탑재되는 탈곡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예취 곡간의 줄기 밑둥측을 협지하여 예취 곡간을 반송하는 협지 반송 기구와, 상기 협지 반송 기구에서 반송되는 예취 곡간의 이삭 끝측에 탈곡 처리를 실시하는 급통과, 상기 급통의 회전에 수반하여 예취 곡간의 줄기 밑둥측을 향하여 유하하는 곡립을 상기 급통을 향하여 안내하는 가이드판을 구비한 탈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가이드판은, 급통의 회전에 수반하여 예취 곡간의 줄기 밑둥측을 향하여 유하하는 곡립을 급통을 향하여 안내함으로써 그 곡립이 협지 반송 기구에서 반송되는 예취 곡간의 줄기 밑둥측으로 들어가는 「잔류 알갱이」의 발생을 방지하여, 탈곡 처리 후의 예취 곡간과 함께 곡립이 배출될 우려를 미연에 회피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 탈곡 장치에 있어서는, 급구에 공급되는 곡간에 대응하여 상하 이동하는 동시에 하방을 향하여 힘이 가해지고, 또한 최하강 시에는 그 선단이 하방측의 급구판에 접촉 또는 근접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그 반송 방향 위쪽의 단부가, 반송 방향 위쪽일수록 상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가이드판(잔류 알갱이 방지체)을, 독립하여 승강하는 복수의 플레이트로 구성한 것이 있다[예를 들어 일본 특개2006-14604호 공보(JP2006-014604A) 참조].
상기의 구성에서는, 가이드판의 반송 방향 위쪽 단부에 곡간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협지 반송 기구에 의해 협지 반송된 예취 곡간이, 가이드판의 반송 방향 제일 위쪽에 위치하는 플레이트까지 반송되면, 그 플레이트는, 곡간 가이드부의 작용으로 예취 곡간에 부드럽게 올라타서 예취 곡간의 반송을 허용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가이드판을 개량하여, 급통의 회전에 수반하여 예취 곡간의 줄기 밑둥측을 향하여 유하하는 곡립을, 더 확실하게 급통을 향하여 안내하는 것이 가능한 탈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하의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즉, 예취 곡간의 줄기 밑둥측을 협지하여 예취 곡간을 반송하는 협지 반송 기구와,
상기 협지 반송 기구에서 반송되는 예취 곡간의 이삭 끝측에 탈곡 처리를 실시하는 급통과,
상기 급통의 회전에 수반하여 예취 곡간의 줄기 밑둥측을 향하여 유하하는 곡립을 상기 급통을 향하여 안내하는 가이드판을 구비한 탈곡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판을, 그 급통측의 단부가, 상기 급통의 급치의 선단이 그리는 회전 궤적의 내측으로 들어가도록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가이드판의 급통측의 단부에, 상기 급치(扱齒)의 통과를 허용하는 급치 통과부를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특징 구성에 의하면, 가이드판의 급통측의 선단이 급치 선단의 회전 궤적내까지 연신함으로써, 급통의 회전에 수반하여 예취 곡간의 줄기 밑둥측을 향하여 유하하는 곡립을, 가이드판에 의해, 더 확실하게 급통을 향하여 안내할 수 있다. 회전 궤적 내까지 연신시켜도, 가이드판에는 급치 통과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이드판과 급치와의 간섭에 의한 파손을 초래하지는 않는다. 이에 의해, 잔류 알갱이의 발생을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예취 곡간의 줄기 밑둥측으로 들어간 곡립이 탈곡 처리 후의 예취 곡간과 함께 배출되는 문제점의 발생을 더 확실하게 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잔류 알갱이에 기인한 곡립 회수 효율의 저하를 더 효과적으로 방지 할 수 있다.
상기 급치 통과부는, 예를 들어 상기 가이드판에 있어서 급통측의 단부에 개구하여 형성된 슬릿 또는 오목부로 구성할 수 있다.
하나의 적합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가이드판을, 상기 협지 반송 기구에서 반송되는 예취 곡간에 대한 상방의 위치에, 상기 예취 곡간의 반송 방향을 따라 정렬 배비한 복수의 판체로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각 판체에 있어서의 상기 예취 곡간의 반송 방향 위쪽의 단부에, 그 반송 방향 위쪽일수록 상방에 위치하고, 상기 협지 반송 기구에서 반송되는 예취 곡 간을 하방으로 안내하는 곡간 가이드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은, 이하의 점에서 유리하다.
JP2006-014604A의 구성에서는, 반송 방향 제일 위쪽의 플레이트 이외의 플레이트에는 곡간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그 예취 곡간이 반송 방향 제일 위쪽의 플레이트보다도 후방에 위치하는 플레이트까지 반송되면, 예취 곡간이 각 플레이트의 반송 방향 위쪽 엣지에 걸리기 쉬워져, 그 걸리기에 기인한 예취 곡간의 반송 막힘이나, 예취 곡간의 반송 자세(탈곡 자세)의 흐트러짐에 의한 탈곡 성능의 저하 등을 초래하기 쉬워졌다.
이에 대하여 본 구성에 따르면, 협지 반송 기구에 의해 협지 반송된 예취 곡간이 가이드판의 각 판체까지 반송되면, 그들의 각 판체는, 곡간 가이드부의 작용으로 예취 곡간을 각 판체의 하방으로 부드럽게 안내하여 예취 곡간의 반송을 허용한다. 따라서, 반송 방향 아래쪽에 있어서도, 예취 곡간이 각 판체의 반송 방향 위쪽의 엣지에 걸리지는 않는다. 따라서, 가이드판의 대략 전장에 걸쳐, 그 걸리기에 기인한 예취 곡간의 반송 막힘이나, 예취 곡간의 반송 자세(탈곡 자세)의 흐트러짐에 의한 탈곡 성능의 저하 등을 미연에 회피할 수 있다.
게다가, 급통과 가이드판 사이에 있어서의 처리물 막힘 등에 기인하여 가이드판이 변형 혹은 파손된 경우에는, 가이드판의 전체를 교환하지 않아도, 그 변형 또는 파손 개소의 판체를 교환함으로써 대처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판의 변형이나 파손 등에 대한 처치를 경제적으로 행할 수 있는 데다가, 예취 곡간의 반송 막힘이나 탈곡 성능의 저하 등을 초래하지 않아, 잔 류 알갱이에 기인한 곡립 회수 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적합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가이드판이 연결되는 가이드판 연결부에 상기 가이드판과 함께 연결됨으로써 상기 가이드판의 상부를 상기 가이드판 연결부에 단단히 누르는 누름판을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누름판을, 상기 가이드판 연결부에 연결한 상태에서는, 그 상부가 상기 가이드판 연결부에 접촉하여 상기 가이드판의 상부를 상방으로부터 덮는 상태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은, 이하의 점에서 유리하다.
이 특징 구성에 의하면, 누름판이, 가이드판을 향하여 유하하는 처리물로부터 가이드판을 보호하게 되기 때문에, 처리물과의 접촉에 의한 가이드판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어, 가이드판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한, 가이드판 연결부와 가이드판 사이나 가이드판과 누름판 사이에 절삭된 벼 등의 일부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의해, 그 들어감에 의해 절삭된 벼 등이 걸린 상태로 되어, 탈곡 처리에 악영향을 미치게 할 우려를 저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판의 내구성의 향상을 도모하면서, 가이드판의 장비에 기인한 탈곡 처리 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하나의 적합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급통의 외주를 따라 만곡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급통의 하부측을 하방으로부터 덮도록 배비되는 받이망을 구비하고,
상기 받이망에 있어서의 상기 급통의 회전 방향 아래쪽에 위치하는 틀부에, 상기 급통의 회전에 의한 탈곡 처리에서 얻어진 처리물의 새어 내림을 허용하는 새어 내림 구멍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급통의 외주를 따라 만곡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급통의 하부측을 하방으로부터 덮도록 배비되는 받이망을 구비하고,
상기 받이망에 대한 상기 급통의 회전 방향 아래쪽에 배비된 급실 형성 부재에, 상기 급통의 회전에 의한 탈곡 처리에서 얻어진 처리물의 새어 내림을 허용하는 새어 내림 구멍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들의 구성은, 이하의 점에서 유리하다.
종래, 급통의 회전에 의한 탈곡 처리에서 얻어진 처리물을 새어 내리게 하는 탈곡 장치의 처리물 새어 내림 구조로서는, 다수의 눈의 구멍이 뚫려 설치된 강판에 지지틀이나 활형 상쇠를 나사못 고정하여 받이망을 구성하고, 그 받이망의 메쉬가 되는 눈의 구멍으로부터 탈곡 처리에서 얻어진 처리물을 새어 내리게 하도록 한 것이 있다[예를 들어 일본 특개2000-92971호 공보(JP2000-092971A)(단락번호0015 내지 0016, 도1 내지 도5) 참조].
또한, 직선 모양 강재로서 구비한 단면에서 보아 대략 コ자 모양의 제1 강재와 제2 강재, 및 단면에서 보아 원형의 막대 형상 강재와 제1선 형상 강재와 제2선 형상 강재, 및, 원호 형상 부재로서 구비한 제1 부재 내지 제5 부재를, 소정의 배열로 배열하여 각 접합 부분을 용접함으로써 격자 형상의 받이망을 구성하고, 그 받이망의 메쉬로부터 탈곡 처리에서 얻어진 처리물을 새어 내리게 하도록 한 것이 있다[예를 들어 일본 특개2001-61333호 공보(JP2001-061333A)(단락번호0017 내지 0019, 도1 내지 12) 참조].
최근에는, 작업의 고속화에 의해 단위 시간당 처리량이 증대하는 경향이 있다. 그 때문에 받이망의 새어 내림 면적을 크게 하여, 급통의 회전에 의한 탈곡 처리에서 얻어진 처리물의 새어 내림을 촉진시킬 필요가 생기는 것이지만, 받이망의 배비 스페이스에도 제한이 있기 때문에, 받이망을 크게 하여, 작업의 고속화에 대응한 큰 새어 내림 면적을 확보하는 것이 곤란해지고 있다.
그 결과, 작업의 고속화가 진행됨에 따라, 단립화하면서도 받이망으로부터 새어 내리게 하지 않고, 급통의 회전에 의한 탈곡 처리를 받음으로써 곡립이 손상될 문제점이 생기기 쉬워진다.
그래서, 받이망을 크게 하지 않고, 단립화 곡립의 새어 내림 불량에 기인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어느 한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이들의 구성은, 이하의 점에서 유리하다.
우선, 상기 받이망에 있어서의 상기 급통의 회전 방향 아래쪽에 위치하는 틀부에, 상기 급통의 회전에 의한 탈곡 처리에서 얻어진 처리물의 새어 내림을 허용하는 새어 내림 구멍을 형성하고 있으면, 급통의 회전에 의한 탈곡 처리에서 얻어진 처리물이, 받이망의 메쉬로부터뿐만 아니라, 받이망에 있어서의 급통의 회전 방향 아래쪽에 위치하는 틀부에 형성한 새어 내림 구멍으로부터도 새어 내리게 하도록 된다. 즉, 받이망을 크게 하지 않고 새어 내림 면적을 크게 할 수 있어, 처리물의 새어 내림을 촉진시킬 수 있다.
게다가, 새어 내림 구멍을, 처리물이 퇴적한 상태로 되기 쉬운 받이망에 있 어서의 급통의 회전 방향 위쪽에 위치하는 틀부가 아니고, 급통의 회전에 수반하여, 처리물이 긁어 올려져 확산된 상태로 되기 쉬운 받이망에 있어서의 급통의 회전 방향 아래쪽에 위치하는 틀부에 형성하기 때문에, 처리물 중, 절삭된 벼나 짚 부스러기 등에 비교하여 질량이 크기 때문에 급통과의 연통 회전에 의한 원심력의 영향을 받기 쉬운 단립화 곡립의, 새어 내림 구멍으로부터의 새어 내림을 특히 촉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받이망을 크게 하지 않고, 작업의 고속화에 대응한 큰 새어 내림 면적을 확보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작업의 고속화에 수반하는 처리량의 증대와 함께 단립화 곡립의 새어 내림을 촉진시킬 수 있어, 단립화 곡립의 새어 내림 불량에 기인한 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단립화 곡립의 회수 효율과 함께 곡립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받이망에 있어서의 급통 회전 방향 아래쪽의 틀부에 형성한 새어 내림 구멍으로부터의 단립화 곡립의 새어 내림이 촉진됨으로써, 탈곡 처리 시에, 협지 반송 기구에 의해 예취 곡간의 줄기 밑둥측을 협지 반송하는 자탈형 콤바인(culm head discharging type combine-harvester)에 있어서는, 받이망으로부터 새어 내리지 않은 단립화 곡립이, 급통의 회전에 수반하여 예취 곡간의 줄기 밑둥측을 향하여 유하하고, 예취 곡간의 줄기 밑둥측에 섞여 들어간 상태에서, 탈곡 처리 후의 예취 곡간과 함께 기체 밖으로 배출된, 잔류 곡립의 발생이 억제되게 되어, 결과적으로 단립화 곡립의 회수 효율을 더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다른 한편, 상기 받이망에 대한 상기 급통의 회전 방향 아래쪽에 배비된 급 실 형성 부재에, 상기 급통의 회전에 의한 탈곡 처리에서 얻어진 처리물의 새어 내림을 허용하는 새어 내림 구멍을 형성하고 있으면, 급통의 회전에 의한 탈곡 처리에서 얻어진 처리물이, 받이망의 메쉬로부터뿐만 아니라, 급실 형성 부재에 형성한 새어 내림 구멍으로부터도 새어 내리게 된다. 또한, 받이망의 틀부에 새어 내림 구멍을 형성할 경우에 초래될 우려가 있는 받이망의 강도의 저하를 회피할 수 있다. 즉, 받이망을 크게 하지 않고, 또한 받이망의 강도의 저하를 초래하지 않아, 새어 내림 면적을 크게 할 수 있어, 처리물의 새어 내림을 촉진시킬 수 있다.
게다가, 새어 내림 구멍을, 급통의 회전에 수반하여, 처리물이 긁어 올려져 확산된 상태로 되기 쉬운 받이망에 대한 급통의 회전 방향 아래쪽에 위치하는 급실 형성 부재에 형성하기 때문에, 상기 틀부에 새어 내림 구멍을 형성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처리물 중, 절삭된 벼나 짚 부스러기 등에 비교하여 질량이 크기 때문에 급통과의 연통 회전에 의한 원심력의 영향을 받기 쉬운 단립화 곡립의, 새어 내림 구멍으로부터의 새어 내림을 특히 촉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받이망을 크게 하지 않고, 또한, 받이망의 강도의 저하를 초래하지 않아, 작업의 고속화에 대응한 큰 새어 내림 면적을 확보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작업의 고속화에 수반하는 처리량의 증대와 함께 단립화 곡립의 새어 내림을 촉진시킬 수 있어, 단립화 곡립의 새어 내림 불량에 기인한 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단립화 곡립의 회수 효율과 함께 곡립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급실 형성 부재에 형성한 새어 내림 구멍으로부터의 단립화 곡립의 새어 내림이 촉진됨으로써, 상기 틀부에 새어 내림 구멍을 형성한 경우와 마찬가지 로, 특히 자탈형 콤바인에 있어서는 잔류 곡립의 발생이 억제되게 되어, 결과적으로 단립화 곡립의 회수 효율을 더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실 형성 부재를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으면, 급실 형성 부재가 처리물과의 접촉 등에 의해 마모된 경우에는, 급실 형성 부재를 새것으로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다. 따라서, 급실 형성 부재의 교환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메인터넌스성이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는 점에서 한층 유리하다.
하나의 적합 실시 형태에서는, 급실로부터의 탈곡 짚 배출을 무단 회전 체인과 반송 가이드 레버에 의해 기체 후방쪽으로 협지 반송하는 짚 배출 반송 장치와,
선별부로부터의 진애를 배진 팬에 의해 기체 밖으로 배출하도록 상기 짚 배출 반송 장치의 하방에 설치한 팬을 갖는 배진 경로와,
상기 선별부로부터의 진애를 선별풍에 의해 기체 밖으로 배출하도록 상기 팬을 갖는 배진 경로의 하방에 설치한 풍력 배진 경로와,
상기 풍력 배진 경로를 개폐하는 배진 제어체와,
상기 반송 가이드 레버로부터 상기 팬을 갖는 배진 경로를 우회하여 상기 배진 제어체에 연결한 연동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연동 기구에 의한 상기 반송 가이드 레버 및 배진 제어체의 연동에 의해,
상기 반송 가이드 레버가 상기 무단 회전 체인에 대하여 설정 간격 이상 이격되면, 상기 배진 제어체가 열림 자세로 절환 조작되고,
상기 반송 가이드 레버가 상기 무단 회전 체인에 대하여 상기 설정 간격(D) 미만에 위치하면, 상기 배진 제어체가 닫힘 자세로 절환 조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은, 이하의 점에서 유리하다.
종래, 탈곡 장치에 있어서, 예를 들면 일본 특개평4-84825호 공보(JP4-084825)에 개시된 것이 있었다.
이 탈곡 장치는, 선별 장치를 내장한 풍선부와, 선별 장치가 구비하는 챠프시브로부터 배출해야 할 짚 부스러기가 선별풍과 함께 기체 밖으로 배출되는 배진구와, 이 배진구에 이 부분을 개폐하도록 설치한 배진 제어판을 구비하고 있다.
배진 제어판은, 연동 기구와 모터와 제어부를 통하여 동작 검출 기구(검출 스위치)에 연계되어 있다. 동작 검출 기구는, 예취부가 소정의 비작업 위치까지 상승한 것을 검출한다. 파워 스티어링 레버에 의한 예취부 상승 조작이 행해져 동작 검출 기구가 검출 상태로 되면, 동작 검출 기구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배진 제어판이 자동적으로 배진구를 닫는 방향으로 요동 작동한다. 예취부가 소정의 예취 작업 위치까지 하강되면, 배진 제어판은 자동적으로 배진구를 여는 방향으로 요동 작동한다.
상기한 배진 제어체를 구비한 탈곡 장치에서는, 선별부의 처리물량이 많을 때, 선별부에 발생하는 배출용의 처리물량이 많아지기 때문에, 배출용의 처리물이 신속하게 배출되어 1번 처리물이나 2번 처리물의 진애 혼입이 발생되기 어려워지도록 배진 제어체를 열림 자세로 절환 조작된다. 선별부의 처리물량이 적을 때, 처리물이 선별풍에 의해 날리기 쉬워지기 때문에, 곡립이 선별풍과 함께 배출되는 손 실을 억제나 회피할 수 있도록 배진 제어체를 닫힘 자세로 절환 조작된다.
상기한 종래의 기술을 채용하면, 배진 제어체의 개폐 절환을 자동적으로 행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배진 제어체를 개폐 조작하는 액츄에이터, 및 액츄에이터를 조작하는 제어 수단과 검출 수단을 구비해야 하므로, 조작 기구가 대규모로 되는 경향이 있었다.
그래서, 배진 제어체의 적절한 자동 개폐를 소규모의 조작 기구로 행하게 할 수 있고, 게다가 그 조작 기구의 작동 불량의 발생을 회피하기 쉽게 하면서 행하게 할 수 있는 탈곡 장치를 제공하기 위해, 하나의 적합 실시 형태에서는, 청구항 7에 기재된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은, 이하의 점에서 유리하다.
이 특징 구성에 의하면, 선별부의 처리물량이 많아지면, 배진 제어체가 열림 자세로 자동적으로 절환 조작되고, 선별부의 처리물량이 적어지면, 배진 제어체가 닫힘 자세로 자동적으로 절환 조작된다.
즉, 급실에 공급되는 곡간량이 많아지면, 급실로부터 선별부에 선별 처리시키기 위해 공급되는 처리물량이 많아진다. 이 때, 급실로부터 배출되는 탈곡 짚 배출의 양이 많아진다. 그러면, 짚 배출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되는 탈곡 짚 배출의 양이 많아져, 반송 가이드 레버가 무단 회전 체인으로부터 멀어지는 측으로 이동한다.
급실에 공급되는 곡간량이 적어지면, 급실로부터 선별부에 선별 처리시키기 위해 공급되는 처리물량이 적어진다. 이 때, 급실로부터 배출되는 탈곡 짚 배출의 양이 적어진다. 그러면, 짚 배출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되는 탈곡 짚 배출의 양이 적어져, 반송 가이드 레버가 무단 회전 체인에 근접하는 측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짚 배출 반송 장치에 있어서의 탈곡 짚 배출의 양 변화에 수반하는 반송 가이드 레버와 무단 회전 체인과의 간격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설정 간격을 적절하게 설정하면, 선별부의 처리물량이 많아진 경우, 반송 가이드 레버의 무단 회전 체인에 대한 이격과, 연동 기구에 의한 반송 가이드 레버와 배진 제어체와의 연동을 위해, 배진 제어체가 열림 자세로 자동적으로 절환된다. 선별부의 처리물량이 적어진 경우, 반송 가이드 레버의 무단 회전 체인에 대한 접근과, 연동 기구에 의한 반송 가이드 레버와 배진 제어체와의 연동을 위해, 배진 제어체가 닫힘 자세로 자동적으로 절환된다.
그리고, 배진 제어체를 개폐 조작하는 조작 기구로서의 연동 기구는, 팬을 갖는 배진 경로를 우회한 상태로 되어, 팬을 갖는 배진 경로에 의해 배출되는 진애가 연동 기구에 부착되기 어렵다.
이에 의해, 선별부의 처리물량 변화에 관계없이, 배진 제어체가 선별부의 처리물량에 적합한 열림 자세 혹은 닫힘 자세로 자동적으로 절환 조작되어, 곡립의 진애 혼입이나 풍력 배진 경로에 의한 곡립 배출을 억제하면서 탈곡 작업을 행할 수 있는 것이면서, 상기 연동 기구를 구비하는 것뿐인 소규모의 구조로 되어 염가로 얻을 수 있다. 게다가, 연동 기구의 진애 부착에 의한 작동 불량을 회피하기 쉬워, 이 면으로부터도 배진 제어체를 적절하게 개폐 절환시킬 수 있다.
상기 연동 기구는,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은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하나의 적합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연동 기구가,
상기 반송 가이드 레버의 상기 무단 회전 체인에 대한 이동에 의해 회전 조작되도록 상기 반송 가이드 레버에 연동된 상태에서 상기 팬을 갖는 배진 경로의 외부에 기체 가로 방향으로 설치한 회전 운동축과,
상기 회전 운동축의 상기 짚 배출 반송 장치에 대하여 탈곡 피드 체인측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단부와, 상기 배진 제어체의 회전 지지축의 상기 풍력 배진 경로에 대하여 탈곡 피드 체인측과는 반대측이고, 또한 상기 풍력 배진 경로의 외부에 위치하는 단부를 연동시킨 링크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회전 운동축과 링크 기구가 팬을 갖는 배진 경로의 외주를 따라 연동 기구가 팬을 갖는 배진 경로를 확실하게 우회하도록 하면서, 반송 가이드체의 작동을 배진 제어체에 부드럽게 전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연동 기구의 진애 부착에 의한 작동 불량을 양호하게 회피할 수 있으면서, 배진 제어체의 개폐 절환을 부드럽게 행하게 할 수 있다.
하나의 적합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연동 기구가,
상기 반송 가이드 레버와 상기 배진 제어체의 한 쪽에 연동된 캠체와, 상기 반송 가이드 레버와 상기 배진 제어체의 다른 쪽에 연동된 전동 부재의 접촉부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반송 가이드 레버와 상기 배진 제어체를 연동시키는 캠식 연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반송 가이드 레버의 무단 회전 체인에 대한 이격 이동에 의해 배진 제어체가 열림 자세로 절환된 후에 있어서, 탈곡 짚 배출량이 더욱 증대하여, 반송 가이드 레버의 무단 회전 체인에 대한 이격 이동이 더욱 발생하는 경우 가 있으면, 반송 가이드 레버의 이동이 캠체와 접촉부와의 미끄럼 접촉에 의해 흡수되어, 반송 가이드 레버의 작동이 배진 제어체에 전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탈곡 짚 배출량의 이상한 증대가 있어도, 열림 자세로 절환된 후의 배진 제어체에 무리한 조작력이 가해지지 않아, 변형이나 파손의 발생을 회피할 수 있다.
하나의 적합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연동 기구가,
상기 반송 가이드 레버가 상기 무단 회전 체인에 대하여 상기 설정 간격 미만에 위치하도록 이동했을 때, 상기 배진 제어체가 상기 반송 가이드 레버의 상기 설정 간격 미만의 위치로의 이동으로부터 설정 시간을 경과한 후에 닫힘 자세로 절환되도록 상기 배진 제어체의 닫음 작동을 지연시키는 지연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탈곡 짚 배출량이 감소해도, 진애 제어체는, 즉시 닫힘 자세로 절환하지 않고, 선별부의 처리물량이 실제로 감소된 후에 닫힘 자세로 절환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짚 배출 반송 장치에 있어서의 짚 배출이 감소해도, 선별부에는 그 감소전에 공급된 처리물이 아직 남아 있어, 선별부에 있어서의 처리물 감소는, 짚 배출 반송 장치에 있어서의 짚 배출 감소의 발생으로부터 지연되어 발생한다. 이에 의해, 그 지연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설정 시간을 적절하게 설정하면, 반송 가이드 레버가 무단 회전 체인에 대하여 설정 간격 미만에 위치하도록 이동해도, 지연 수단의 작용에 의해, 배진 제어체가 즉시 닫힘 자세로 절환 조작되지 않고, 선별부의 처리물이 실제로 감소되고나서 배진 제어체가 닫힘 자세로 절환 조작된다.
따라서, 짚 배출 반송 장치에 있어서의 탈곡 짚 배출의 감소가 발생해도, 선별부의 처리물량이 실제로 감소될 때까지는, 배진 제어체가 열림 자세로 유지되어, 선별부의 처리물량이 실제로 감소된 후에, 배진 제어체가 닫힘 자세로 절환 조작되어, 급실에 공급되는 곡간량의 변화에 관계없이, 곡립의 진애 혼입과 풍력 배진 경로에 의한 곡립 배출을 정밀하게 억제할 수 있다.
그 밖의 특징 구성 및 그 특징 구성으로부터 발휘되는 유리한 효과에 대해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의 설명을 읽음으로써 분명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급통의 회전에 수반하여 예취 곡간의 줄기 밑둥측을 향하여 유하하는 곡립을, 더 확실하게 급통을 향하여 안내하는 것이 가능한 탈곡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를, 콤바인의 일례인 자탈형 콤바인(culm head discharging type combine-harvester)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다른 명시가 없는 한, 기체 전진 방향을 기준으로 전후, 좌우 및 상하 방향을 전후 방향, 좌우 방향(또는 횡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한다.
[제1 실시 형태]
우선, 도1 내지 도8을 참조하면서 제1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에는 자탈형 콤바인에 탑재되는 탈곡 장치(1)의 종단측면이, 도2에는 그 종단 배면이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 탈곡 장치(1)는, 기체 프레임(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되는 하부 케이스(2)와, 그 하부 케이스(2)에 개폐 요동 가능하게 연결된 상부 케이스(3)로 형성되는 처리 공간에, 예취 곡간(C)(도2 및 도3 참조)을 후방을 향하여 반송하면서 예취 곡간(C)의 이삭 끝측에 탈곡 처리를 실시하는 탈곡부(4), 그 탈곡 처리에서 얻은 처리물에 선별 처리를 실시하는 선별부(5), 및 그 선별 처리에서 얻은 1번 것과 2번 것을 회수하는 회수부(6)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탈곡부(4)는, 예취 곡간(C)의 줄기 밑둥측을 협지하여 예취 곡간(C)을 좌우 방향의 자세로 반송하는 협지 반송 기구(7), 전후 방향의 지지축(8)을 지점으로 하여 배면에서 보아 좌측 방향으로 회전 구동됨으로써 예취 곡간(C)의 이삭 끝측에 탈곡 처리를 실시하는 급통(9), 및 이 탈곡 처리에서 얻어진 처리물을 하방의 선별부(5)를 향하여 새어 내리게 하는 받이망(10)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받이망(10)의 후방에는, 받이망(10)으로부터 새어 내리지 않은 처리물을 하방의 선별부(5)를 향하여 유하시키는 먼지 이송구(11)가 형성되어 있다.
즉, 이 탈곡부(4)에서의 탈곡 처리에 의해, 단립화 곡립이나 줄기가 붙은 곡립 등의 함유량이 많은 처리물이 받이망(10)으로부터 선별부(5)의 선별 방향 위쪽(전방부측)을 향하여 새어 내리고, 또한 절삭된 벼나 짚 부스러기 등의 함유량이 많은 처리물이 먼지 이송구(11)로부터 선별부(5)의 선별 방향 아래쪽(후방부측)을 향하여 유하한다.
선별부(5)는, 탈곡부(4)로부터의 처리물을 요동 선별하는 요동 선별 기 구(12), 및 탈곡부(4)로부터의 처리물을 풍력 선별하는 선별풍을 일으키는 풍구(winnowing fan)(13)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처리물에 대한 요동 선별 및 풍력 선별에 의해, 탈곡부(4)로부터의 처리물을, 1번 것으로서의 단립화 곡립, 2번 것으로서의 줄기가 붙은 곡립이나 짚 부스러기 등의 혼재물, 및 3번 것으로서의 절삭된 벼나 짚 부스러기 등으로 선별한다.
회수부(6)는, 요동 선별 기구(12)의 선별 방향 위쪽의 하방에 형성한 1번 회수부(14), 및 요동 선별 기구(12)의 선별 방향 아래쪽의 하방에 형성한 2번 회수부(15)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1번 회수부(14)는, 선별부(5)에서 선별된 1번 것을 회수하는 동시에, 회수한 1번 것을, 그 저부에 좌우 방향으로 배비한 1번 스크류(16)에 의해, 그 우단에 연통 접속한 도시 생략된 양송(揚送) 스크류를 향하여 반송한다.
2번 회수부(15)는, 선별부(5)에서 선별된 2번 것을 회수하는 동시에, 회수한 2번 것을, 그 저부에 좌우 방향으로 배비한 2번 스크류(17)에 의해, 그 우단에 연통 접속한 2번 환원 스크류(부호 없음)를 향하여 반송한다.
덧붙여서 말하면, 양송 스크류는, 1번 스크류(16)에 의해 반송된 1번 것을 양송하여, 탈곡 장치(1)의 우측방으로 병설한 도시 생략된 곡립 탱크에 상방으로부터 공급한다. 2번 환원 스크류는, 2번 스크류(17)에 의해 반송된 2번 것으로 재탈곡 처리를 실시한 후, 양송하여 요동 선별 기구(12)로 환원한다.
도2 내지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2)의 좌상부에는 아랫입술판(18)이 배비되고, 상부 케이스(3)의 좌하부에는 윗입술판(19)이 배비되고, 그들 사이에, 협지 반송 기구(7)에서 협지 반송되는 예취 곡간(C)의 급통(9)과 받이망(10) 사이로의 공급을 가능하게 하는 급구(20)가 형성되어 있다.
협지 반송 기구(7)는, 아랫입술판(18)을 따라 예취 곡간(C)을 반송하는 반송면(21A)을 갖도록 하부 케이스(2)의 좌측부에 배비된 피드 체인(21), 윗입술판(19)에 장비한 레일대(22), 그 레일대(22)의 하부에 상하 변위 가능하게 지지된 협지 레일(23), 및 협지 레일(23)을 피드 체인(21)의 반송면(21A)을 향하여 하강 압박하는 복수의 누름 스프링(24)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윗입술판(19)에는, 급통(9)의 회전에 수반하여 급통(9)의 상부로부터 예취 곡간(C)의 줄기 밑둥측을 향하여 유하하는 곡립을 급통(9)을 향하여 안내하는 가이드판(25)이 부착되어 있다. 즉, 윗입술판(19)은, 가이드판(25)의 부착을 가능하게 하는 가이드판 연결부에 겸용되어 있다.
가이드판(25)은, 협지 반송 기구(7)에 의해 협지 반송되는 예취 곡간(C)에 대한 상방의 위치에, 예취 곡간(C)의 반송 방향을 따라 전후로 정렬 배비한 2매의 판체(25A, 25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2매의 판체(25A, 25B)는, 수지제이고, 그들의 하단부가, 윗입술판(19)의 하부 모서리보다도 하방에 위치하고, 또한 급통(9)에 구비한 각 급치(26)의 선단이 급통(9)의 회전에 수반하여 그리는 회전 궤적에 근접하도록, 그들의 상단부가, 누름판(27)과 함께 윗입술판(19)의 내면에, 윗입술판(19)과 누름판(27)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볼트 연결되어 있다.
각 판체(25A, 25B)에 있어서의 예취 곡간(C)의 반송 방향 위쪽의 단부(전단) 에는, 그 반송 방향 위쪽일수록 상방에 위치하고, 협지 반송 기구(7)에서 반송되는 예취 곡간(C)을 하방으로 안내하는 곡간 가이드부(25a, 25b)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 판체(25A, 25B) 앞의 윗코너에 경사부를 형성함으로써 곡간 가이드부(25a, 25b)를 구성하고 있다(도6 및 도7 참조). 단, 곡간 가이드부(25a, 25b)의 형상에 대해서는, 반송 방향 위쪽일수록 상방에 위치하는 것이면, 예를 들어 각 판체(25A, 25B) 앞의 윗코너에 라운딩 처리를 하는 등, 다른 형상으로 하여도 되고, 이 경우에도 하방 안내 작용은 확보된다.
이상의 구성으로부터, 급통(9)의 회전에 수반하여 급통(9)의 상부로부터 예취 곡간(C)의 줄기 밑둥측을 향하여 유하하는 곡립은, 가이드판(25)에 의해 급통(9)을 향하여 안내되게 되고, 이에 의해, 그 곡립이 협지 반송 기구(7)에서 반송되는 예취 곡간(C)의 줄기 밑둥측으로 들어가는 잔류 알갱이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 예취 곡간(C)의 줄기 밑둥측으로 들어간 곡립이 탈곡 처리 후의 예취 곡간(C)과 함께 기체 밖으로 배출되는 문제점의 발생을 저지할 수 있다.
또한, 급통(9)과 가이드판(25) 사이에 있어서의 처리물 막힘 등에 기인하여 가이드판(25)이 변형 혹은 파손된 경우에는, 가이드판(25)의 전체를 교환하지 않아도, 그 변형 또는 파손 개소의 판체(25A, 25B)를 교환함으로써 대처할 수 있다.
게다가, 협지 반송 기구(7)에 의해 협지 반송된 예취 곡간(C)이, 가이드판(25)의 각 판체(25A, 25B)까지 반송되면, 그들의 각 판체(25A, 25B)는, 곡간 가이드부(25a, 25b)의 작용으로 예취 곡간(C)을 각 판체(25A, 25B)의 하방으로 부드럽게 안내하여, 협지 반송 기구(7)에 의한 예취 곡간(C)의 반송을 허용하기 때문 에, 예취 곡간(C)이 각 판체(25A, 25B)의 반송 방향 위쪽의 엣지에 걸리지 않으며, 따라서, 그 걸림에 기인한 예취 곡간(C)의 반송 막힘이나, 예취 곡간(C)의 반송 자세(탈곡 자세)의 흐트러짐에 의한 탈곡 성능의 저하 등을 미연에 회피할 수 있다.
그 결과, 가이드판(25)의 변형이나 파손 등에 대한 처치를 경제적으로 행할 수 있는 데다가, 예취 곡간(C)의 반송 막힘이나 탈곡 성능의 저하 등을 초래하지 않고, 잔류 알갱이에 기인한 곡립 회수 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누름판(27)은, 가이드판(25)과 함께 윗입술판(19)에 부착된 상태에서는, 그 상부 모서리가 윗입술판(19)에 접촉하여 가이드판(25)의 상부를 상방으로부터 덮는 상태로 되도록 굴곡 형성되어 있다.
즉, 누름판(27)이, 가이드판(25)을 향하여 유하하는 처리물로부터 가이드판(25)을 보호하게 되기 때문에, 가이드판(25)의 처리물과의 접촉에 의한 마모를 방지할 수 있어, 가이드판(25)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윗입술판(19)과 가이드판(25) 사이나 가이드판(25)과 누름판(27) 사이에 절삭된 벼 등의 일부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의해 그 들어감에 의해 절삭된 벼 등이 걸린 상태로 되어, 탈곡 처리에 악영향을 미치게 할 우려를 저지할 수 있다.
윗입술판(19)의 외면에는, 협지 레일(23)을 향하여 돌출하는 가이드판 부착용의 볼트(28) 및 너트(29)를 좌횡 외방으로부터 덮는 커버(30)가 부착되어 있다. 이 커버(30)은, 그 바닥면(30A)이 좌외방측일수록 상방에 위치하는 경사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으로부터, 급통(9)의 회전에 의해, 협지 반송 기구(7)에서 협지 반송되는 예취 곡간(C)이 급통(9)을 향하여 인입되게 되는 것에 수반하여, 협지 반송 기구(7)의 협지 레일(23)이 급통(9)을 향하여 변위해도, 협지 반송 기구(7)에서 협지 반송되는 예취 곡간(C)의 벼의 압력으로, 누름 스프링(24)의 압박에 대항하여 협지 레일(23)이 밀어 올려질 때는, 협지 레일(23)은, 커버(30)의 바닥면(30A)에 의해, 가이드판 부착용의 볼트(28) 및 너트(29)로부터 좌횡외방에서 떨어진 위치에 안내되게 된다.
이에 의해, 협지 레일(23)을, 가이드판 부착용의 볼트(28)나 너트(29)의 접촉을 회피할 수 있게, 윗입술판(19)으로부터 좌외방에서 떨어진 위치에 배비할 경우에 비하여, 공간 절약화를 도모하면서, 협지 레일(23)이 가이드판 부착용의 볼트(28)나 너트(29)에 걸려, 협지 레일(23)의 상승 변위가 규제되는 것에 기인한 협지 반송 기구(7)에 있어서의 예취 곡간(C)의 반송 막힘을 미연에 회피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
〔1〕상기 가이드판(25)의 매수는, 상술한 2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판(25)을, 예취 곡간(C)의 반송 방향을 따라 정렬 배비한 4매의 판체(25A 내지 25D)로 구성하도록 하여도 된다. 혹은, 도면에 도시하는 것은 생략하지만, 가이드판(25)을, 예취 곡간(C)의 반송 방향을 따라 정렬 배비한 3매의 판체 혹은 5매 이상의 판체로 구성하도록 하여도 된다.
상기한 구성에서는, 각 판체에 있어서의 예취 곡간(C)의 반송 방향 위쪽의 단부에, 그 반송 방향 위쪽일수록 상방에 위치하고, 협지 반송 기구(7)에서 반송되는 예취 곡간(C)을 하방으로 안내하는 곡간 가이드부(25a, 25b) 등이 형성된다.
〔2〕 또한,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판(25)을, 그 급통측의 단부가 급치(26) 선단의 회전 궤적(K)의 내측으로 들어가도록 급통측으로 연신시키는 동시에, 그 급통측의 단부에 급치(26)의 통과를 허용하는 급치 통과부를 설치하고 있는 것도 유리하다. 이하, 이 구체예를 2개 예시한다.
(a) 도7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가이드판(25)을, 고무판 등의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수지)제의 판체(25A, 25B)로 구성하고, 또한 그 급통측의 단부가, 급통(9)의 회전에 수반하여 급통(9)에 구비한 급치(26)의 선단이 그리는 회전 궤적(K)의 내측으로 들어가도록 형성하는 동시에, 판체(25A, 25B)의 급통측의 단부에는, 탄성 변형하여 닫음 상태로부터 개구 상태로 바뀜으로써 급치(26)의 통과를 허용하는 슬릿(slits)(휜 통과부의 일례)(31)을, 급통측에 개구하여 형성한다.
상기한 구성에서는, 가이드판(25)과 급치(26)와의 간섭에 의한 파손을 초래하지 않고, 급통(9)의 회전에 수반하여 예취 곡간(C)의 줄기 밑둥측을 향하여 유하하는 곡립을, 가이드판(25)에 의해, 더 확실하게 급통(9)을 향하여 안내할 수 있다. 그 결과, 잔류 알갱이의 발생을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예취 곡간(C)의 줄기 밑둥측으로 들어간 곡립이 탈곡 처리 후의 예취 곡간(C)과 함께 배출되는 문제점의 발생을 더 확실하게 저지할 수 있다.
휜(26)의 통과 후에는, 가이드판(25)의 탄성에 의해 각 슬릿(31)이 닫음 상태로 되돌아감으로써, 각 슬릿(31)으로부터 예취 곡간의 줄기 밑둥측으로의 곡립의 유하를 저지할 수 있다.
(b) 도8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가이드판(25)을, 그 급통측의 단부가, 급통(9)의 회전에 수반하여 급통(9)에 구비한 급치(26)의 선단이 그리는 회전 궤적(K)의 내측으로 얕게 들어가도록 형성하는 동시에, 그 급통측의 단부에, 급치(26)의 선단의 통과를 허용하는 R 모양의 오목부(rounded recesses)(휜 통과부의 일례)(32)를, 급통측에 개구하여 얕게 형성한다.
상기한 구성에서는, 가이드판(25)과 급치(26)와의 간섭에 의한 마모나 파손을 초래하지 않고, 급통(9)의 회전에 수반하여 예취 곡간(C)의 줄기 밑둥측을 향하여 유하하는 곡립을, 가이드판(25)에 의해, 더 확실하게 급통(9)을 향하여 안내할 수 있다. 그 결과, 잔류 알갱이의 발생을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예취 곡간(C)의 줄기 밑둥측에 들어간 곡립이 탈곡 처리 후의 예취 곡간(C)과 함께 배출되는 문제점의 발생을 더 확실하게 저지할 수 있다.
각 오목부(32)의 형상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급치(26)의 선단의 형상으로 최대한 가까운 것[도8의 예에서는 R 모양(rounded)]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오목부(32)·휜(26) 사이의 공극이 필요 최소한으로 되어, 그 공극으로부터 예취 곡간의 줄기 밑둥측으로의 곡립의 유하를 억제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서는, 급치(26)의 선단이 그리는 회전 궤적(K)의 내측에, 각 오목부(32)의 대략 전체를 위치시키는 것이 적합하다.
〔3〕 가이드판(25)의 재제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판금제 등의 복수의 판체로 구성하도록 하여도 된다. 혹은, 각 판체를,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 또는 탄성 변형 불능한 소재로 구성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상술한 다른 실시 형태[2](a)에서는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고무판 등)로 가이드판(25)을 형성하는 것이 적합하지만, 잔여 실시 형태에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에 도9 내지 도19를 참조하면서 제2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9에는 자탈형 콤바인의 전체 측면이, 도10에는 그 전체 배면이 각각 도시되어 있으며, 이 콤바인은, 각파이프재 등에 의해 틀 모양으로 형성된 기체 프레임(101), 기체 프레임(101)의 하부에 장비된 좌우 한 쌍의 크롤러식 주행 장치(102), 좌측 전방부에 승강 요동 가능하게 연결된 예취 반송부(103), 좌반부에 탑재된 탈곡 장치(104), 우측 후방부에 탑재된 포대 채움 장치(105), 우측 전방부에 형성된 탑승 운전부(106), 및 우측 전방부에 탑재된 엔진(107)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좌우의 크롤러식 주행 장치(102)는, 엔진(107)으로부터 주변속 장치(도시하지 않음)나 부변속 장치(도시하지 않음) 등을 통하여 전달되는 동력으로 구동되어, 탑승 운전부(106)에 구비한 주변속 레버(108)나 부변속 레버(109)의 조작에 기초하여 변속되고, 그 구동 상태에서는, 탑승 운전부(106)에 구비한 십자 요동식이고 중립 복귀형의 조종 레버(110)의 좌우 방향으로의 요동 조작에 기초하여, 그들이 등속 구동되는 직진 상태와, 그들이 차동하는 선회 주행 상태로 절환된다.
예취 반송부(103)는, 엔진(107)으로부터의 동력이 주변속 장치나 예취 클러 치(도시하지 않음) 등을 통하여 전달되고, 그 작동 상태에서는, 기체의 주행에 수반하여, 선단에 구비한 복수의 디바이더(111)가 수확 대상의 식립 곡간을 이식조마다 빗어 나누면서 빗어 일으켜, 조 분리된 식립 곡간을 복수의 일으키기 장치(112)가 소정의 예취 자세로 일으키고, 일으켜진 식립 곡간의 줄기 밑둥측을 바리캉형의 예취 장치(113)가 절단하고, 절단 후의 식립 곡간인 예취 곡간을 곡간 반송 장치(114)가 예취용의 기립 자세로부터 탈곡용의 가로 쓰러짐 자세로 자세 변경하면서 탈곡 장치(104)를 향하여 반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조종 레버(110)의 전후 방향으로의 요동 조작에 기초하여, 기체 프레임(101)과 예취 반송부(103)에 걸쳐 가설한 유압식의 승강 실린더(도시하지 않음)가 신축 작동함으로써 좌우 방향의 지점(도시하지 않음) 주위로 승강 요동한다.
도11 및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곡 장치(104)는, 기체 프레임(101)에 연결한 하부 케이스(115)와, 그 하부 케이스(115)에 개폐 요동 가능하게 연결한 상부 케이스(116)로 형성되는 처리 공간에, 예취 곡간은 후방을 향하여 반송하면서 예취 곡간의 이삭 끝측에 탈곡 처리를 실시하는 탈곡부(117), 그 탈곡 처리에서 얻어진 처리물에 선별 처리를 실시하는 선별부(118), 및 그 선별 처리에서 얻은 1번 것과 2번 것을 회수하는 회수부(119)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탈곡부(117)는, 예취 곡간의 줄기 밑둥측을 협지하여 예취 곡간을 좌우 방향의 자세로 반송하는 협지 반송 기구(120), 전후 방향의 지지축(121)을 지점으로 하여 정면에서 보아 우측 방향으로 회전 구동됨으로써 예취 곡간의 이삭 끝측에 탈곡 처리를 실시하는 급통(9), 및 이 탈곡 처리에서 얻어진 처리물을 하방의 선별 부(118)를 향하여 새어 내리게 하는 받이망(123)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받이망(123)의 후방에는, 받이망(123)으로부터 새어 내려지지 않은 처리물을 하방의 선별부(118)를 향하여 유하시키는 먼지 이송구(124)가 형성되어 있다.
즉, 이 탈곡부(117)에서의 탈곡 처리에 의해, 단립화 곡립이나 줄기가 붙은 곡립 등의 함유량이 많은 처리물이 받이망(123)으로부터 선별부(118)의 선별 방향 위쪽(전방부측)을 향하여 새어 내리고, 또한 절삭된 벼나 짚 부스러기 등의 함유량이 많은 처리물이 먼지 이송구(124)로부터 선별부(118)의 선별 방향 아래쪽(후방부측)을 향하여 유하한다.
선별부(118)는, 탈곡부(117)로부터의 처리물을 요동 선별하는 요동 선별 기구(125), 및 탈곡부(117)로부터의 처리물을 풍력 선별하는 선별풍을 일으키는 풍구(126)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처리물에 대한 요동 선별 및 풍력 선별에 의해, 탈곡부(117)로부터의 처리물을, 1번 것으로서의 단립화 곡립, 2번 것으로서의 줄기가 붙은 곡립이나 짚 부스러기 등의 혼재물, 및 3번 것으로서의 절삭된 벼나 짚 부스러기 등의 진애로 선별한다.
회수부(119)는, 요동 선별 기구(125)의 선별 방향 위쪽의 하방에 형성한 1번 회수부(127), 및 요동 선별 기구(125)의 선별 방향 아래쪽의 하방에 형성한 2번 회수부(128)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1번 회수부(127)는, 선별부(118)에서 선별된 1번 것을 회수하는 동시에, 회수한 1번 것을, 그 저부에 좌우 방향으로 배비한 1번 스크류(129)에 의해, 그 우단에 연통 접속한 양송(揚送) 스크류(131)(도10 참조)를 향하여 반송한다.
2번 회수부(128)는, 선별부(118)에서 선별된 2번 것을 회수하는 동시에, 회수한 2번 것을, 그 저부에 좌우 방향으로 배비한 2번 스크류(130)에 의해, 그 우단에 연통 접속한 2번 환원 스크류(132)를 향하여 반송한다.
도10 및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송 스크류(131)는, 1번 스크류(129)에 의해 반송된 1번 것을 양송하고, 탈곡 장치(101)의 우측방에 병설한 포대 채움 장치(105)의 곡립 저류부(133)에 공급한다. 2번 환원 스크류(132)는, 2번 스크류(130)에 의해 반송된 2번 것으로 재탈곡 처리를 실시한 후, 양송하여 요동 선별 기구(125)로 환원한다.
도11 및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통(9)은, 원통 모양으로 형성된 급통 본체(134)의 외주부에, 대략 V자 모양으로 굴곡 형성된 복수의 급치(135)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11 내지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받이망(123)은, 급통(9)의 외주를 따라 만곡하도록 형성되고, 급통(9)에 있어서의 회전 방향 아래쪽의 하부측을 하방으로부터 덮도록 배비되는 제1 받이망부(136)와, 급통(9)에 있어서의 회전 방향 위쪽의 하부측을 하방으로부터 덮도록 배비되는 제2 받이망부(137)로 분할 가능한 2분할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각 받이망부(136, 137)는, 급통(9)의 지지축(121)과 직교하는 자세로 지지축(121)을 따르는 방향으로 병설되는 복수이고 복수종인 만곡 강판(138, 139)과, 급통(9)의 지지축(121)을 따른 자세로 급통(9)의 외주를 따라 병설되는 복수이고 복수종인 직선 강재(140, 141)로 격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받이망부(136, 137)에 있어서, 소정의 만곡 부재(138A, 138B, 139A, 139B)는, 그들의 양단부가, 각 받이망부(136, 137)에 있어서의 급통 회전 방향의 양단에 위치하는 단면에서 보아 대략 コ자 모양의 직선 강재(140A, 140B, 141A, 141B)를 보강하는 보강 리브로서 기능하도록, 다른 만곡 부재보다도 대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받이망부(136)에 있어서, 제2 받이망부(137)의 접합단에 위치하는 직선 강재(140B)에는, 제2 받이망부(137)에 있어서의 제1 받이망부(136)의 접합단에 위치하는 직선 강재(141A)로부터 제1 받이망부(136)를 향하여 돌출 설치한 2개의 고착 돌출부(142)가 결합하여 들어가는 결합 구멍(43)이 뚫려 있다.
받이망(123)에 있어서의 급통(9)의 회전 방향 아래쪽에 위치하는 틀부(123A)인 제1 받이망부(136)의 직선 강재(140A)에는, 급통(9)의 회전에 의한 탈곡 처리에서 얻어진 처리물의 새어 내림을 허용하는 복수의 대략 사각 형상의 새어 내림 구멍(144)이, 직선 강재(140A)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만곡 부재(138A, 138B, 139A, 139B)의 단부로부터 떨어진 상태에서, 소정 피치로 배열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12 및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곡부(117)에 있어서, 받이망(123)에 대한 급통(9)의 회전 방향 아래쪽에는, 복수의 벼베기칼(145)이, 급통(9)의 지지축(121)을 따르는 방향으로 소정 피치로 배열하도록 배비되어 있다.
각 벼베기칼(145)은, 삼각 형상의 한 쌍의 칼부(145A)를 구비하는 コ자 모양으로 형성되고, 탈곡부(117)의 전후벽(146, 147)에 걸친 판금제의 지지 부재(148) 에 착탈 가능하게 볼트 연결되어 있다.
지지 부재(148)는, 급실을 형성하는 전후벽(146, 147)에 착탈 가능하게 볼트 연결되고, 그 하부에는, 받이망(123), 전후벽(146, 147), 및 지지 부재(148) 등과 함께 급실을 형성하는 판금제의 급실 형성 부재(149)가 착탈 가능하게 볼트 연결되어 있다.
급실 형성 부재(149)는, 지지 부재(148)로부터 받이망(123)에 걸치도록 형성되어 있고, 이에 의해, 받이망(123)으로부터 새어 내리지 않은 처리물을 복수의 벼베기칼(145)을 향하여 안내할 수 있고, 그 처리물 중에 포함되는 긴 절삭된 벼를 복수의 벼베기칼(145)로 세단할 수 있다.
급실 형성 부재(149)의 하단부에는, 받이망(123)에 있어서의 급통(9)의 회전 방향 아래쪽에 위치하는 틀부(123A)를 수용 지지하는 판금제의 받침 부재(150)가 용접되어 있다. 또한, 급실 형성 부재(149)에 있어서 처리물을 안내하는 안내면[급통(9)과 대향하는 면]에는, 급통(9)의 회전에 의한 탈곡 처리에서 얻어진 처리물의 새어 내림을 허용하는 복수의 대략 사각 형상의 새어 내림 구멍(151)이, 급실 형성 부재(149)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피치로 배열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급통(9)의 회전에 의한 탈곡 처리에서 얻어진 처리물은, 받이망(123)의 메쉬로부터뿐만 아니라 각 새어 내림 구멍(144, 151)으로부터도 새어 내리게 된다. 즉, 받이망(123)을 크게 하지 않고 새어 내림 면적을 크게 할 수 있어, 처리물의 새어 내림을 촉진시킬 수 있다.
게다가, 각 새어 내림 구멍(144, 151)을, 처리물이 퇴적된 상태로 되기 쉬운 받이망(123)에 있어서의 급통(9)의 회전 방향 위쪽에 위치하는 틀부(123B)[제2 받이망부(137)의 각 직선 강재(141A, 141B)나 제1 받이망부(136)의 직선 강재(140B)] 등이 아니고, 급통(9)의 회전에 수반하여 처리물이 긁어 올려져 확산된 상태로 되기 쉬운 받이망(123)에 있어서의 급통 회전 방향 아래쪽에 위치하는 틀부(123A)[제1 받이망부(136)의 직선 강재(140A)]나, 받이망(123)에 있어서의 급통 회전 방향 아래쪽에 위치하는 급실 형성 부재(149)에 형성하기 때문에, 처리물 중, 절삭된 벼나 짚 부스러기 등에 비교하여 질량이 크기 때문에 급통(9)과의 연통 회전에 의한 원심력의 영향을 받기 쉬운 단립화 곡립의, 각 새어 내림 구멍(144, 151)으로부터의 새어 내림을 특히 촉진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단립화 곡립의 새어 내림 불량에 기인한 손상 곡립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곡립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받이망(123)으로부터 새어 내리지 않은 단립화 곡립이, 급통(9)의 회전에 수반하여 예취 곡간의 줄기 밑둥측을 향하여 유하하고, 예취 곡간의 줄기 밑둥측에 섞여들어간 상태에서 탈곡 처리 후의 예취 곡간과 함께 기체 밖으로 배출된 잔류 곡립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급실 형성 부재(149)가 처리물과의 접촉 등에 의해 마모된 경우에는, 급실 형성 부재(149)만을 새 것으로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다.
도9 내지 도11 및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동 선별 기구(125)는, 캠식의 구동 기구(152)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요동 구동되는 시브 케이스(153)의 상부에, 대략 선별용의 그레인 팬(154), 챠프시브(155), 제1 스트로 래크(156), 및 제2 스 트로 래크(157)를 배비하고, 시브 케이스(153)의 하부에, 정밀 선별용의 그레인 팬(158), 및 그레인 시브(159)를 배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받이망(123)으로부터 새어 내린 단립화 곡립이나 짚 부스러기 등이 혼재하는 선별 처리물을, 상부의 그레인 팬(154)이나 챠프시브(155) 등에서 수용하여, 체 선별에 의한 대략 선별 처리를 실시하고, 또한, 챠프시브(155)로부터 새어 내린 단립화 곡립이나 줄기가 붙은 곡립 등이 혼재하는 선별 처리물을, 하부의 그레인 팬(158)이나 그레인 시브(159)에서 수용하고, 체 선별에 의한 정밀 선별 처리를 실시하여, 선별 처리물을, 1번 것으로서의 단립화 곡립, 2번 것으로서의 줄기가 붙은 곡립이나 짚 부스러기 등의 혼재물, 및 3번 것으로서의 절삭된 벼나 짚 부스러기 등의 진애로 선별한다.
챠프시브(155)는, 시브 케이스(153)에 있어서의 상부의 전후 중앙에, 복수의 가동식의 챠프립판(160)과 고정식의 챠프립판(161)을 전후 방향으로 일정 피치로 정렬 배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가동식의 각 챠프립판(160)은, 그들의 상단부를 지점으로 한 전후 방향으로의 일체 요동 조작이 가능해지도록, 각각의 상단부가 시브 케이스(153)에 피봇되어, 각각의 하단부가 연결 부재(162)에 의해 연동 연결되어 있다.
복수의 가동식의 챠프립판(160) 중, 그들의 전후 중앙에 배비된 가동식의 챠프립판(160)에는, 그 상단부를 지점으로 하여 일체 요동하는 연계 아암(163)이 장비되어 있다. 그리고, 이 연계 아암(163)의 자유단부와 시브 케이스(153)에 걸쳐, 연계 아암(163)이나 연결 부재(162)를 통하여, 가동식의 각 챠프립판(160)을, 그들 사이에 형성되는 처리물의 유하 경로가 좁아지는 닫음 방향으로 요동 압박하는 인장 스프링(164)이 가설되어 있다. 또한, 연계 아암(163)의 자유단부에는, 인장 스프링(164)의 압박에 대항한 가동식의 각 챠프립판(160)의 열림 방향으로의 요동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조작 레버(165)가, 연계 와이어(166)를 통하여 연계되어 있다.
조작 레버(165)는, 가이드판(167)과 함께 포대 채움 장치(105)의 후방에 배비되어 있고, 상하 방향으로의 요동 조작이 가능하여, 가이드판(167)과의 결합에 의해 원하는 조작 위치에 결합 유지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즉, 조작 레버(165)를 상하 방향으로 요동 조작함으로써, 챠프시브(155)에 있어서의 복수의 가동식의 챠프립판(160)으로 되는 가동부(155A)의 개방도를 조절할 수 있어, 원하는 개방도가 얻어지는 조작 위치에 있어서 조작 레버(165)를 가이드판(167)에 결합시킴으로써 챠프시브(155)에서의 가동부(155A)의 개방도를 원하는 개방도로 설정 유지할 수 있다.
시브 케이스(153)에는, 연계 아암(163)의 인장 스프링(164)에 의한 인장 방향으로의 요동을, 연계 아암(163)의 자유단부와의 접촉으로 규제함으로써 인장 스프링(164)의 압박에 의해 챠프시브(155)의 가동부(155A)가 완전 폐쇄 상태로 되는 것을 저지하는 스토퍼(168)가 장비되어 있다.
이에 의해, 연계 와이어(166)의 절단 등에 의해 조작 레버(165)와 연계 아암(163)과의 연계가 해제된 경우에도, 챠프시브(155)에 있어서의 가동부(155A)의 개방도가 완전 폐쇄 상태로 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어, 챠프시브(155)의 가동부(155A)로부터 단립화 곡립 등을 새어 내리게 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요동 선별 기능을 발휘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
〔1〕 본 발명의 탈곡 장치의 처리물 새어 내림 구조를, 예취 곡간의 전체 벼에 탈곡 처리를 실시하도록 구성된 보통형 콤바인 또는 전체 벼 투입형 콤바인(whole culm discharging type combine-harvester)의 탈곡 장치에 적용하도록 하여도 된다.
〔2〕 받이망(123)으로서, 크림프망이나 수지망을 채용해도 되며, 또한 펀칭 메탈 등으로 구성된 것을 채용하여도 된다.
〔3〕받이망(123)으로서, 분할 불능으로 구성된 것이어도 되고, 또한 탈곡 처리 방향 혹은 급통(9)의 회전 방향과 탈곡 처리 방향과의 쌍방으로 분할 가능하게 구성된 것이어도 된다.
〔4〕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부재(148)의 하부에, 복수의 새어 내림 구멍(151)이 형성된 판금제의 급실 형성 부재(149)를, 지지 부재(148)로부터 받이망(123)에 걸치도록 용접하여, 급실 형성 부재(149)가 처리물과의 접촉 등에 의해 마모된 경우에는, 지지 부재(148)와 함께 급실 형성 부재(149)를 새 것으로 교환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5〕새어 내림 구멍(144, 151)의 수량 및 형상 등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6〕받이망(123)에는 새어 내림 구멍(144)을 형성하지 않고, 급실 형성 부재(149)에만 새어 내림 구멍(151)을 형성하도록 하여도 된다.
[제3 실시 형태]
다음에 도20 내지 도25를 참조하면서 제3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20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탈곡 장치의 종단 측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탈곡 장치는, 기체(201)의 외부에 설치한 탈곡 피드 체인(211), 및 기체 내의 전방부에 설치한 급실(212)을 갖는 탈곡부(210)와, 상기 급실(212)의 후방에 설치한 짚 배출 반송 장치(220)와, 상기 급실(212)의 하방에 설치한 요동 선별 장치(231)를 갖는 선별부(230)와, 상기 짚 배출 반송 장치(220)의 하방에 설치한 배진 팬(241)을 갖는 배진부(240)와, 상기 선별부(230)의 저부에 설치한 1번 스크류 컨베이어(202) 및 2번 스크류 컨베이어(203)와, 상기 기체(201)의 후방부에 연달아 설치된 짚 배출 처리 장치(250)를 구비하고 있다.
이 탈곡 장치는, 콤바인에 장비되고, 콤바인의 예취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예취 처리된 예취 곡간의 탈곡 처리와, 탈곡립의 선별 처리와, 탈곡 짚 배출의 처리를 행한다.
즉, 상기 탈곡부(210)는, 상기 탈곡 피드 체인(211)과 상기 급실(212)을 구비하는 것 외, 급실(212)의 하부에 설치한 받이망(213)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고, 예취 곡간의 탈곡 처리를 행한다.
즉, 탈곡 피드 체인(211)은, 예취 곡간의 줄기 밑둥측을 기체 후방측에 협지 반송하면서 예취 곡간의 이삭 끝측을 급실(212)에 공급한다. 급실(212)은, 급실 내에 기체 전후 방향의 축심 주위에 회전 구동 가능하게 설치된 급통(9)을 구비하고 있으며, 공급된 예취 곡간의 이삭 끝측을 급통(9)에 의해 훑기 처리한다. 탈곡 피드 체인(211)은, 탈곡 짚 배출을 급실(212)의 후단부에 위치하는 먼지 이송구(215)로부터 급실(212)의 후방으로 반출한다.
상기 짚 배출 반송 장치(220)는, 탈곡 피드 체인(211)의 반송 종단부의 횡측 가까이에 반송 시단측이 위치하고, 반송 종단측이 상기 짚 배출 처리 장치(250)의 짚 배출 투입구(251) 상방에 위치하는 배치로 기체 내의 후방부에 설치한 무단 회전 체인(221)과, 이 무단 회전 체인(221)의 반송측의 하방으로 무단 회전 체인(221)을 따르게 하여 설치한 반송 가이드 레버(222)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20, 도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송 가이드 레버(222)의 반송 시단측과 반송 종단측은, 반송 가이드 레버(222)에 상단부가 연결된 기체 상하 방향의 연결 작대기(223)를 통하여 기체측의 지지 부재(224)에 지지되어 있다. 반송 시단측의 상기 지지 부재(224)는, 상기 탈곡 피드 체인(211)을 주행 안내하는 체인 가이드에 고정되어 있다. 반송 종단측의 상기 지지 부재(224)는, 기체(201)의 프레임(204)에 고정되어 있다. 반송 시단측 및 반송 종단측의 상기 지지 부재(224)는, 상기 연결 작대기(223)를 상하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상기 각 연결 작대기(223)는, 반송 가이드 레버(222)와 상기 지지 부재(224) 사이에 배비하여 연결 작대기(223)에 장착된 스프링(225)에 의해 상승 압박되고 있다. 이에 의해, 반송 가이드 레버(222)는, 상기 스프링(225)에 의해 무단 회전 체인(221)에 접근하도록 압박되고 있다.
짚 배출 반송 장치(220)는, 급실(212)로부터 배출된 탈곡 짚 배출의 줄기 밑둥측을 탈곡 피드 체인(211)으로부터 무단 회전 체인(221)과 반송 가이드 레 버(222) 사이에 계승하고, 이렇게 계승한 탈곡 짚 배출을, 이것의 이삭 끝측을 상기 짚 배출 반송 장치(220)보다도 이삭 끝측에 위치하고 있는 지지 레일(도시하지 않음)에 적재한 가로 걸침 자세로, 무단 회전 체인(221)과 반송 가이드 레버(222)에 의해 기체 후방쪽으로 협지 반송하여, 짚 배출 처리 장치(250)의 짚 배출 투입구(251) 상으로 낙하시킨다. 무단 회전 체인(221)은, 반송 종단측일수록 탈곡 피드 체인(211)으로부터의 거리가 보다 커지는 배치로 되어 있고, 짚 배출 반송 장치(220)는, 탈곡 짚 배출을 기체(201)에 대하여 탈곡 피드 체인측과는 반대측으로 이동시키면서 반송한다.
짚 배출 반송 장치(220)에 의해 반송되는 탈곡 짚 배출의 양이 변화되면, 탈곡 짚 배출의 볼륨이 변화됨으로써, 반송 가이드 레버(222)가 상기 스프링(225)에 의한 조작력과, 탈곡 짚 배출로부터의 반력에 의해 무단 회전 체인(221)에 대하여 이격되도록, 혹은 접근하도록 이동한다. 이에 의해, 짚 배출량이 커지면 반송 가이드 레버(222)와 무단 회전 체인(221)과의 간격이 보다 커지고, 짚 배출량이 작을수록 반송 가이드 레버(222)와 무단 회전 체인(221)과의 간격이 보다 작게 된다.
상기 짚 배출 처리 장치(250)는, 상기 짚 배출 투입구(251)를 갖는 세단 케이스(252)와, 이 세단 케이스(252)의 후단측의 상방에 설치한 긴 짚 방출구(253)를 구비하고 있다. 세단 케이스(252)는, 상기 짚 배출 투입구(251)를 개폐하도록 요동 가능하게 부착된 덮개(254)를 구비하고, 케이스 내부에 기체 가로 방향의 축심 주위로 구동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커터축(255)과 공급축(256)을 구비하고, 상기 커터축(255) 및 공급축(256)의 하방에 설치한 세단 짚 방출구(257)를 구비하고 있 다.
짚 배출 처리 장치(250)는, 상기 덮개(254)가 닫힘 조작되면, 긴 짚 방출의 처리 상태로 된다. 그러면, 짚 배출 처리 장치(250)는, 상기 짚 배출 반송 장치(220)로부터의 탈곡 짚을 덮개(254)의 외면측에서 긴 짚 방출구(253)에 하강 안내하여, 이 긴 짚 방출구(253)로부터 기체 후방의 지면에 긴 짚 상태로 낙하시킨다.
짚 배출 처리 장치(250)는, 상기 덮개(254)가 열림 조작되면, 세단 방출의 처리 상태로 된다. 그러면, 짚 배출 처리 장치(250)는, 상기 짚 배출 반송 장치(220)로부터의 탈곡 짚 배출을 상기 짚 배출 투입구(251)로부터 세단 케이스(252)의 내부로 낙하시켜, 상기 커터축(255)이 이것의 축심 방향으로 배열되어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하고 있는 원반형의 절단 날과, 상기 공급축(256)이 이것의 축심 방향으로 배열되어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하고 있는 원반형의 공급 날에 의해 벼길이 방향으로 세단하고, 세단 상태의 짚 배출을 세단 짚 방출구(257)로부터 지면에 낙하시킨다.
상기 선별부(230)는, 상기 요동 선별 장치(231)를 구비하는 것 외, 이 요동 선별 장치(231)의 전단측의 하방에 설치한 풍구(232)와, 상기 먼지 이송구(215)의 후방에 설치한 처리 회전체(233)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처리 회전체(233)는, 기체 가로 방향의 축심 주위로 회전 구동되어, 급실(212)의 상기 먼지 이송구(215)로부터 배출된 짚 부스러기를 요동 선별 장치(231)가 구비하는 상부 스트로 래크(234)에 수용 지지시키면서 풀림 처리하여, 짚 부스러기로부터 곡립을 취출한다.
요동 선별 장치(231)는, 상기 상부 스트로 래크(234)를 구비하는 것외에, 상기 받이망(213)의 하방에 위치한 그레인 팬(235)과 챠프시브(236)를 구비하고, 상기 챠프시브(236)의 후방에 설치한 스트로 래크(237)를 구비하고, 상기 챠프시브(236)의 하방에 설치한 그레인 시브(238)를 구비하고 있다.
선별부(230)는, 상기 처리 회전체(233)로부터의 처리물과, 급실(212)로부터 받이망(213)을 통해 낙하 공급된 처리물을, 요동 선별 장치(231)에 의한 요동 선별과, 상기 풍구(232)에 의해 상기 배진부(240)를 향하여 공급되는 선별풍에 의한 풍력 선별에 의해 1번 처리물과, 2번 처리물과, 짚 부스러기 등의 배출용의 처리물로 선별하여, 1번 처리물과 2번 처리물을 요동 선별 장치(231)로부터 낙하시키고, 배출용의 처리물을 상기 배진부(240)에 보낸다.
상기 1번 스크류 컨베이어(202)는, 요동 선별 장치(231)로부터 낙하한 1번 처리물을 기체(201)의 가로 외측으로 반출하여 양곡 장치(204)에 공급한다. 이 양곡 장치(204)는, 콤바인의 곡립 탱크(도시하지 않음)에 탈곡립을 보내온다. 상기 2번 스크류 컨베이어(203)는, 요동 선별 장치(231)로부터 낙하한 2번 처리물을 기체(201)의 가로 외측에 반출하여 환원 장치(205)에 공급한다. 이 환원 장치(205)는, 2번 처리물을 기체(201)의 가로 측벽에 형성한 환원구로 반송하고, 이 환원구로부터 기체 내로 보내와 요동 선별 장치(231)의 시단측으로 환원한다.
상기 배진부(240)는, 상기 배진 팬(241)을 갖는 팬을 갖는 배진 경로(A)와, 이 팬을 갖는 배진 경로(A)의 하방에 설치한 풍력 배진 경로(B)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팬을 갖는 배진 경로(A)는, 상기 배진 팬(241)을 구동 가능하게 수용한 팬 케이스(242)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팬을 갖는 배진 경로(A)는, 상기 배진 팬(241)을 구비하는 것 외에, 팬 케이스(242)의 흡인구로 이루어지는 진애 흡인구(243)와, 팬 케이스(242)의 토출구로 이루어지는 진애 토출구(24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진애 흡인구(243)는, 상기 요동 선별 장치(231)의 후단부의 상방에 요동 선별 장치(231)를 향하여 개구하여 위치하고 있다. 상기 진애 토출구(244)는, 상기 세단 케이스(252)의 내부에 상기 세단 짚 방출구(257)를 향하여 개구하여 위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팬을 갖는 배진 경로(A)는, 선별부(230)의 후방부로부터 송출된 배출용의 처리물을, 배진 팬(241)의 이송력에 의해 진애 흡인구(243)로부터 흡인하고, 진애 토출구(244)로부터 세단 케이스(252)를 통하여 기체 밖으로 배출한다. 팬을 갖는 배진 경로(A)는, 상기 풍구(232)로부터의 선별풍의 일부를 처리물과 함께 흡인하여 배출한다.
상기 풍력 배진 경로(B)는, 상기 팬 케이스(242)의 배진 팬(241)의 하방에 위치하는 부분(242a)과, 요동 선별 장치(231)의 후단부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요동 선별 장치(231)의 후단부에 연통하고 있다. 풍력 배진 경로(B)는, 기체(201)의 후단부에 상기 팬을 갖는 배진 경로(A)의 진애 토출구(244)의 하방에 배비하여 설치한 진애 배출구(245)를 구비하고 있다. 이 진애 배출구(245)는, 상기 세단 케이스(252)의 긴 짚 방출구(257)를 향하여 개방되어 있다.
풍력 배진 경로(B)는, 선별부(230)로부터 송출된 배출용의 처리물을 풍구(232)로부터의 선별풍에 의한 이송력에 의해 도입하고, 진애 배출구(245)로부터 세단 케이스(252)를 통하여 기체 밖으로 배출한다.
상기 풍력 배진 경로(B)는, 상기 진애 배출구(245)보다도 기체 내측으로 조금 들어간 부위에 설치한 판형의 배진 제어체(260)를 구비하고 있다. 도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배진 제어체(260)는, 이것의 상단부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 지지축(261)을 통하여 기체(201)의 좌우의 가로 측벽(201a)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21의 (a)는, 배진 제어체(260)의 닫힘 자세에서의 측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진 제어체(260)는, 상기 회전 지지축(261)의 회전 조작에 의해, 이 회전 지지축(261)의 기체 가로 방향 축심 주위로 하강측으로 요동 조작되면, 닫힘 자세로 된다. 그러면, 배진 제어체(260)는, 풍력 배진 경로(B)의 처리물의 통과를 억제하도록 풍력 배진 경로(B)의 처리물 유동 방향에 대하여 교차된 자세로 된다.
도21의 (b)는, 배진 제어체(260)의 닫힘 자세에서의 측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진 제어체(260)는, 상기 회전 지지축(261)의 회전 조작에 의해, 이 회전 지지축(261)의 기체 가로 방향 축심 주위로 상승측으로 요동 조작되면, 열림 자세로 된다. 그러면, 배진 제어체(260)는, 풍력 배진 경로(B)의 처리물의 통과를 쉽게 하도록 풍력 배진 경로(B)의 처리물 이동 방향을 따른 자세로 된다.
도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배진 제어체(260)는, 이것의 상기 탈곡 피드 체인(211)이 위치하는 측과는 반대측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회전 지지축(261)의 단부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요동 아암(271)을 구비한 연동 기구(270)에 의해, 상기 반송 가이드 레버(222)의 상기 반송 종단측의 연결 작대기(223)가 연결되어 있는 부위로 연동되어 있다.
도21은, 상기 연동 기구(270)의 측면에서 본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22는, 상기 연동 기구(270)의 후면에서 본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동 기구(270)는, 상기 요동 아암(271)을 갖는 링크 기구(L)와, 상기 팬을 갖는 배진 경로(A)의 상방에서의 외부에 설치한 기체 가로 방향의 회전 운동축(272)과, 상기 연결 작대기(223)와, 이 연결 작대기(223)와 상기 회전 운동축(272)의 탈곡 피드 체인측의 단부에 걸쳐 설치한 캠식 연동부(280)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링크 기구(L)는, 상기 요동 아암(271)을 구비하는 것 외에, 상기 회전 운동축(272)의 상기 캠식 연동부(280)를 설치하고 있는 측과는 반대측의 단부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요동 아암(273)을 구비하고, 이 요동 아암(273)과 상기 요동 아암(271)을 연결하고 있는 연동 링크(274)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링크 기구(L)는, 상기 팬을 갖는 배진 경로(A) 및 배진 제어체(260)에 대하여 탈곡 피드 체인측과는 반대측에서의 팬을 갖는 배진 경로(A) 및 풍력 배진 경로(B)의 외부이고, 또한 상기 짚 배출 반송 장치(220)에 의해 반송되는 탈곡 짚 배출의 통로(226)의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도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캠식 연동부(280)는, 상기 회전 운동축(272)의 단부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요동형의 캠체(281)와, 상기 연결 작대기(223)의 하단부에 상기 캠체(281)를 향하여 연장하도록 구성하여 연결한 둥근 막대재로 이루어지는 전동 부재(282)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캠식 연동부(280)는, 커버(285)에 의해 진애가 부착되기 어렵도록 덮혀 있다.
상기 캠체(281)는, 이것에 부설한 캠면 형성체의 주위면으로 이루어지는 캠면(283)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전동 부재(282)는, 이것의 연장 단부에 상기 캠면(283)에 접촉하도록 구성하여 설치한 접촉부(28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캠체(281)는, 배진 제어체(260)의 중량에 의해 상기 링크 기구(L)를 통하여 요동 압박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캠면(283)을 접촉부(284)에 맞대어 압박하고 있다.
캠식 연동부(280)는, 반송 가이드 레버(222)가 무단 회전 체인(221)에 대하여 이격되도록 이동하거나, 접근하도록 이동하거나 하면, 접촉부(284)와 캠체(281)와의 접촉에 의해 반송 가이드 레버(222)와 회전 운동축(272)을 연동시킴으로써, 반송 가이드 레버(222)와 배진 제어체(260)를 다음과 같이 연동시키고 있다.
즉, 도2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송 가이드 레버(222)가 무단 회전 체인(221)에 대하여 이격되도록 이동하여, 반송 가이드 레버(222)와 무단 회전 체인(221)과의 간격이 설정 간격(D)으로 되면, 배진 제어체(260)가 상기 열림 자세로 되고, 도2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송 가이드 레버(222)가 무단 회전 체인(221)에 대하여 접근하도록 이동하여, 반송 가이드 레버(222)와 무단 회전 체인(221)과의 간격이 설정 간격(D)보다 작은 간격(설정 간격 미만)으로 되면, 배진 제어체(260)가 상기 닫힘 자세로 되도록 하여 연동시키고 있다.
또한, 반송 가이드 레버(222)와 무단 회전 체인(221)과의 간격이 상기 설정 간격(D)을 초과한 간격(설정 간격 이상)으로 된 경우, 이 경우의 반송 가이드 레버(222)의 무단 회전 체인(221)에 대한 이동을 접촉부(284)의 캠면(283)에 대한 미끄럼 접촉에 의해 흡수하고, 반송 가이드 레버(222)로부터 배진 제어체(260)로의 전동을 차단하여 배진 제어체(260)를 상기 열림 자세로 유지하도록 하여 연동시키고 있다.
즉, 연동 기구(270)는, 반송 가이드 레버(222)의 상기 반송 종단측의 연결 작대기(223)가 연결되어 있는 부위로부터 팬을 갖는 배진 경로(A)의 상방에서의 외측, 및 팬을 갖는 배진 경로(A)의 탈곡 피드 체인측과는 반대측에서의 외측을 통하여, 배진 제어체(260)의 탈곡 피드 체인측과는 반대측에 이르러 배진 제어체(260)에 연결한 상태에서 반송 가이드 레버(222)와 배진 제어체(260)를 연동시키고 있다.
이에 의해, 반송 가이드 레버(222)가 무단 회전 체인(221)에 대하여 상기 설정 간격(D) 이상 이격하도록 이동하면, 이것에 연동하여 배진 제어체(260)가 상기 열림 자세로 되고, 반송 가이드 레버(222)가 무단 회전 체인(221)에 대하여 상기 설정 간격(D) 미만에 위치하도록 이동하면, 이것에 연동하여 배진 제어체(260)가 상기 닫힘 자세로 된다.
급실(212)에 공급되는 곡간량이 많아지면, 급실(212)로부터 선별부(230)에 공급되는 처리물량이 많아져 선별부(230)에 발생하는 짚 부스러기 등 배출용의 처 리물의 양이 많아진다. 그러면, 1번 처리물이나 2번 처리물의 진애 혼입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급실(212)에 공급되는 곡간량이 적어지면, 급실(212)로부터 선별부(230)에 공급되는 처리물량이 적어진다. 그러면, 선별풍에 의한 곡립의 비산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급실(212)에 공급되는 곡간량이 많아지면, 짚 배출 반송 장치(220)에 공급되는 탈곡 짚 배출량이 많아지고, 반송 가이드 레버(222)와 무단 회전 체인(221)과의 간격이 커지기 때문에, 상기 설정 간격(D)으로서, 선별부(230)에 발생하는 배출용의 처리물량이 많아질 경우에 발생하는 간격을 설정하고 있다.
이에 의해, 급실(212)에 공급된 곡간량이 많아지면, 배진부(240)는, 반송 가이드 레버(222)의 무단 회전 체인(221)에 대한 상기 설정 간격(D) 이상의 이격 이동과, 연동 기구(270)에 의해 배진 제어체(260)를 열림 자세로 자동적으로 절환 조작하여, 선별부(230)로부터의 배출용의 처리물을 팬을 갖는 배진 경로(A)와 풍력 배진 경로(B)에 의해 기체 밖으로 배출한다.
급실(212)에 공급된 곡간량이 적어지면, 배진부(240)는, 반송 가이드 레버(222)의 무단 회전 체인(221)에 대한 상기 설정 간격(D) 미만에 위치하는 이동과, 연동 기구(270)에 의해 배진 제어체(260)를 닫힘 자세로 자동적으로 절환 조작하여, 선별부(230)로부터의 배출용의 처리물을 주로 하여 팬을 갖는 배진 경로(A)에 의해 기체 밖으로 배출한다.
[다른 실시 형태]
도23은,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연동 기구(270)의 후면에서 본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24는,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연동 기구(270)의 일부의 평면도이다.
다른 실시 형태의 연동 기구(270)와, 먼저 설명한 실시 형태의 연동 기구(270)를 비교하면, 상기 연결 작대기(223)와 상기 캠식 연동부(280)와 상기 회전 운동축(272)과 상기 링크 기구(L)를 구비하여 연동 기구(270)를 구성하고 있는 점에서는, 다른 실시 형태의 연동 기구(270)와 제3 실시 형태의 연동 기구(270)는 일치하고 있다. 다른 실시 형태의 연동 기구(270)는, 지연 수단(290)을 구비하고 있고, 이 점에 있어서, 다른 실시 형태의 연동 기구(270)와 제3 실시 형태의 연동 기구(270)가 상위하다. 다음에 지연 수단(29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24, 도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연 수단(290)은, 상기 배진 제어체(260)의 상기 회전 지지축(261)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지지편(291)과 상기 회전 지지축(261)에 의해 지지된 견제 플레이트(292)와, 기체(201)의 가로 측벽(201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이송 나사축(293)과, 이 이송 나사축(293)이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하는 기어(294)에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가로 측벽(201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구동 기어(295)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구동 기어(295)는, 항상 구동되어 있어, 이송 나사축(293)을 항상 회전하도록 구동하고 있다. 견제 플레이트(292)는, 스프링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지편(291)은, 견제 플레이트(292)의 기초부측을 삽입 관통한 지지 핀(296)을 통하여 견제 플레이트(292)를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지지 핀(296)에 장착된 스프링(297)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스프링(297)은, 견제 플레이트(292)를 지지편(291)에 맞대어 압박하여, 견제 플레이트(292)를 지지편(291)으로부터 이격된 부착 자세로 되어도 지지편(291)에 접촉한 부착 자세로 복귀하기 쉽게 하고 있다.
도24의 (a)는, 배진 제어체(260)가 열림 자세(OP)로 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지연 수단(290)이 평면도이다. 도25의 (a)는, 배진 제어체(260)가 열림 자세(OP)로 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지연 수단(290)의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진 제어체(260)가 열림 자세(OP)로 되어 있으면, 견제 플레이트(292)는, 이송 나사축(293)으로부터 조금 상방에 떨어져 위치한 부착 자세로 되어 있다.
도24의 (b), (c), (d)는, 지연 수단(290)의 작용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25의 (b)는, 도24의 (b)에 도시하는 상태에 있는 지연 수단(290)의 측면 도이다. 도25의 (c)는, 도24의 (c)에 도시하는 상태에 있는 지연 수단(290)의 측면도이다. 도25의 (d)는, 도24의 (d)에 도시하는 상태에 있는 지연 수단(290)의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송 가이드 레버(222)가 무단 회전 체인(221)에 대하여 상기 설정 간격(D) 미만의 위치로 이동하는 것에 수반하여 연동 기구(270)가 작동하면, 연동 링크(274)에 의한 요동 아암(271)의 요동 조작에 의한 회전 지지축(261)의 회전 때문에 견제 플레이트(292)가 이송 나사축(293)을 탄 부착 자세로 된다. 이 때, 배진 제어체(260)가 열림 자세(OP)로부터 닫음측으로 요동한다. 그러나, 견제 플레이트(292)는, 이송 나사축(293)에 수용하여 지지되고, 배진 제어체(260)를 닫힘 자세(CL)로 아직 절환하지 않도록 견제한다. 이 때, 상기 캠식 연동부(280)는, 상기 접촉부(284)의 상기 캠면(283)에 대한 이격에 의해, 반송 가이드 레버(222)의 무단 회전 체인(221)에 대한 설정 간격(D) 미만의 위치로의 이동을 허용한다.
이와 같이 견제 플레이트(292)가 이송 나사축(293)을 타면, 이송 나사축(293)의 나사 산과 견제 플레이트(292)와의 접촉에 의해 이송 나사축(293)이 견제 플레이트(292)를 이송 조작하여, 견제 플레이트(292)가 회전 지지축(261)에 연결되어 있는 부위를 요동 지점으로 하여 회전 지지축(261)을 따른 방향으로 요동한 상태로 탄성 변형해 간다. 이 탄성 변화가 진행하는데 수반하여 견제 플레이트(292)가 이송 나사축(293)으로부터 벗어난다. 그러면, 견제 플레이트(292)는, 배진 제어체(260)의 자연 하강에 의해 하강 요동하여, 배진 제어체(260)의 닫힘 자세(CL)로의 절환을 허용한다.
견제 플레이트(292)는, 이송 나사축(293)으로부터 벗어났을 때도, 이송 나사축(293)의 축심을 따르는 방향시로 견제 플레이트(292)와 이송 나사축(293)이 서로 겹친 부착 자세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배진 제어체(260)가 닫힘 자세로부터 열림 자세로 절환될 때, 견제 플레이트(292)는, 이송 나사축(293)에 의한 상승 장해를 받지 않고 이송 나사축(293)의 상방까지 되돌아간다.
이에 의해, 지연 수단(290)은, 반송 가이드 레버(222)가 무단 회전 체인(221)에 대하여 상기 설정 간격(D) 미만에 위치하도록 이동했을 때, 견제 플레이트(292)가 이송 나사축(293)에 의해 이송 조작되어 있는 동안, 배진 제어체(260)의 닫음 작동을 지연시켜, 반송 가이드 레버(222)의 상기 설정 간격(D) 미만의 위치로의 이동으로부터 이송 나사축(293)에 의한 견제 플레이트(292)의 이송 시간에 의해 결정되는 설정 시간을 경과한 후에 배진 제어체(260)를 닫힘 자세(CL)로 절환한다.
즉, 지연 수단(290)은, 반송 가이드 레버(222)가 무단 회전 체인(221)에 대 한 상기 설정 간격(D) 이상의 위치로부터 설정 간격(D) 미만의 위치로 되돌아가도, 배진 제어체(260)를 즉시 닫힘 자세(CL)로 절환하지 않고, 반송 가이드 레버(222)가 무단 회전 체인(221)에 대한 상기 설정 간격(D) 이상의 위치에 있었을 때에 선별부(230)에 공급되어 아직 남아 있는 배출용의 처리물이 배출되는데 걸리는 것으로서 설정한 설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배진 제어체(260)를 닫힘 자세(CL)로 절환한다.
〔그 밖의 실시 형태〕
상기 실시 형태에 설명한 캠식 연동부(280)로 바꾸어, 캠체(281)를 반송 가이드 레버(222)에 연동시켜 설치하고, 접촉부(284)를 갖는 전동 부재(282)를 배진 제어체(260)에 연동시켜 설치한 구성을 갖는 캠식 연동부를 채용하여 실시하여도 된다. 이 경우에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 설명한 배진 제어체(260)로 바꾸어, 레이크(rake)형으로 구성된 배진 제어체를 채용하여 실시하여도 된다.
[제4 실시 형태]
다음에 도26 내지 도35를 참조하면서 제4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크롤러 주행 장치의 전체 구성〕
도26에, 본 발명에 따르는 크롤러 주행 장치(301)를 구비한 작업차의 일례로서의 자탈형 콤바인의 측면이 도시되고, 도27 및 도28에, 크롤러 주행 장치(301)의 전체 측면도 및 전체 평면도를 각각 도시된다. 또한, 도29 및 도30에, 방진 장치(350) 부근의 측면도 및 평면도를 각각 도시된다.
도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콤바인은, 좌우의 크롤러 주행 장치(301)를 구비한 주행 기체(302)의 전방부에 승강 가능한 예취부(303)를 구비하고, 주행 기체(302)에 운전부(304), 탈곡 장치(305), 반출 장치가 있는 곡립 회수 탱크(306)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27 및 도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롤러 주행 장치(301)는, 전단의 구동 스프로킷(311), 후단의 텐션 바퀴(312), 이들 사이에 배비된 복수(이 예에서는 8개)의 접지 굴림바퀴(313), 및 전후 한 쌍의 캐리어 롤러(314), 및 구동 스프로킷(311), 텐션 바퀴(312), 접지 굴림바퀴(313), 캐리어 롤러(314)에 걸쳐 권취 설치된 고무제의 크롤러 벨트(315)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크롤러 벨트(315)의 내주면에는 좌우 한 쌍의 코어 돌기(316)가 전후 방향으로 일정 피치로 돌출 설치 되어 있고, 이 코어 돌기(316)를 좌우로부터 걸치도록 접지 굴림바퀴(313)가 장착 되어 있고, 좌우의 코어 돌기(316) 사이에 결합하여 들어가도록 텐션 바퀴(312) 및 캐리어 롤러(314)가 장착되어 있다.
기체 프레임(307)은, 주행기체(302)의 하부의 대략 전폭에 걸치는 데크 모양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기체 프레임(307)의 상부에 상술한 탈곡 장치(305) 등이 탑재되어 있다. 기체 프레임(307)의 하면측에 좌우로 긴 복수의 가로 프레임(317)이 연결되어 있고, 이 가로 프레임(317) 전후로 긴 고정 프레임(318)이 연결되어 있다. 고정 프레임(318)의 중앙부에 캐리어 롤러(314)가 축 지지 장착되어 있고, 고정 프레임(318)의 전방부 및 후방부에, 전방부 및 후방부 요동 기구(308, 309)가 연결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트랙 프레임(321)은, 전방부 및 후방부 요동 기 구(308, 309)를 통하여 기체 프레임(307)에 연결된 고정 프레임(318)에 상하 요동 가능하게 연결 지지되어 있다.
전방부 요동 기구(308)는, 요동 아암(319), 지지축(333), 조작 아암(335), 유압 실린더(338)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후방부 요동 기구(309)는, 요동 아암(320), 지지축(334), 요동 링크(322), 조작 아암(336), 유압 실린더(339)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트랙 프레임(321)이 연결 지지된 고정 프레임(318)의 전후에는, 축심(a, b) 주위로 상하 요동 가능하게 전후 한 쌍의 요동 아암(319, 320)이 후 방향으로 피봇 연결되어 있다. 전방의 요동 아암(319)의 자유단부에는, 트랙 프레임(321)의 전방부가 피봇 연결되어 있고, 후방의 요동 아암(320)의 자유단부에는, 트랙 프레임(321)의 후방부가 요동 링크(322)를 통하여 피봇 연결되어 있다.
전후의 요동 아암(319, 320)의 기단에 연결된 지지축(333, 334)의 기체 내방측의 단부로부터는 조작 아암(335, 336)이 각각 일체로 요동 가능하게 연장되어 있고, 전방의 조작 아암(335)과 기체 프레임(307)에 걸쳐 유압 실린더(338)가 가설되고, 후방의 조작 아암(336)과 기체 프레임(307)에 걸쳐 유압 실린더(339)가 가설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전방부 요동 기구(308)를 구성함으로써, 유압 실린더(338)가 신장되어 조작 아암(335)이 요동하면, 요동 아암(319)이 하방으로 요동하는 것과 동기하여, 트랙 프레임(321)의 전방부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기체 프레임(307)의 전방부의 지상고(址上高)가 상대적으로 커진다. 반대로, 유압 실린더(338)가 단축되고 조작 아암(335)이 요동하면, 요동 아암(319)이 상방으로 요동하는 것과 동기하여, 트랙 프레임(321)의 전방부의 상방으로 이동하여, 기체 프레임(307)의 전방부의 지상고가 작아진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후방부 요동 기구(309)를 구성함으로써, 유압 실린더(339)가 신장하여 조작 아암(336)이 요동하면, 요동 아암(320)이 하방으로 요동하는 것과 동기하여, 요동 링크(322)를 통하여 트랙 프레임(321)의 후방부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기체 프레임(307)의 전방부의 지상고가 상대적으로 커진다. 반대로, 유압 실린더(339)가 단축되고 조작 아암(336)이 요동하면, 요동 아암(320)이 상방으로 요동하는 것과 동기하여, 요동 링크(322)를 통하여 트랙 프레임(321)의 전방부가 상방으로 이동하여, 기체 프레임(307)의 전방부의 지상고가 작아진다.
따라서, 좌우의 크롤러 주행 장치(301)에 있어서의 전방부 및 후방부 요동 기구(308, 309)를 구성하는 각 유압 실린더(338, 339)를 독립하여 조작함으로써, 기체 프레임(307)의 좌우에 있어서의 지상고를 변경하여 주행 기체(302)[기체 프레임(307)]에 대한 트랙 프레임(321)의 좌우 및 전후 방향의 경사 자세를 변경 조절 할 수 있어, 좌우 롤링 조절이나 피칭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트랙 프레임(321)의 전반부 측면에는, 전후 2개의 굴림바퀴 브래킷(310)이 좌우 방향의 축심 주위에서 전후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이 굴림바퀴 브래킷(310)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 각각 접지 굴림바퀴(313)가 헐겁게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 장착되어 있다. 굴림바퀴 브래킷(310)의 하방에는, 크롤러 벨트(315)의 좌우의 코어 돌기(316) 사이에 들어가는 전후로 긴 바퀴 탈락 방지 부재(323)가 부 착되어 있다.
도29 및 도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단에 위치하는 굴림바퀴 브래킷(310)에는, 방진 장치(350)가 장착되어 있다. 방진 장치(350)는, 트랙 프레임(321)으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된 브래킷(351)과, 이 브래킷(351)의 전방부 및 후방부에 내감(內嵌) 삽입된 상하 방향의 볼트(352)와, 볼트(352)에 외삽한 상태에서 브래킷(351)과 볼트(352)의 하단부의 좌판에 걸쳐 설치된 전후의 스프링(353)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브래킷(351)으로부터 하방으로 통 모양 부재(354)가 연장되어 있고, 이 통 모양 부재(354)의 내주면을 따라 스프링(353)을 내감함으로써, 스프링(353)이 무리없이 상하로 신축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전후의 스프링(353)은, 노면 또는 포장의 요철에 의해 굴림바퀴 브래킷(310)이 전후로 요동하면, 굴림바퀴 브래킷(310)을 수평으로 압박하는 스프링 반력이 기능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예를 들어 굴림바퀴 브래킷(310)의 전방부가 상방으로 요동하면, 전방측의 볼트(352)가 상방으로 밀어 올려지는 동시에 스프링(353)이 압축되어, 스프링(353)의 스프링 반력을 굴림바퀴 브래킷(310)이 요동하는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작용시킬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굴림바퀴 브래킷(310)과 트랙 프레임(321)에 걸쳐 방진 장치(350)를 설치함으로써, 크롤러 벨트(315)를 통하여 굴림바퀴 브래킷(310)에 전달된 노면 또는 포장의 요철에 의한 진동이, 방진 장치(350)에 의해 완화 및 흡수되어 트랙 프레임(321)에 전달되기 어려워져, 트랙 프레임(321)을 통하여 주행 기체(302)에 전달되는 진동을 억제할 수 있어, 콤바인의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27 및 도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랙 프레임(321)의 후방부에는, 축심(P) 주위로 천칭 모양으로 상하 요동 가능한 요동 트랙 프레임(324)이 피봇 연결되어 있고, 이 요동 트랙 프레임(324)에, 크롤러 접지 범위의 후반에 위치하는 복수개(이 예에서는 4개)의 접지 굴림바퀴(313)가 헐겁게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 장착되어 있다. 요동 트랙 프레임(324)의 후방부에는 잭 볼트(325)를 통하여 전후 조절 가능하게 슬라이드 브래킷(326)이 장비되어 있고, 이 슬라이드 브래킷(326)에 텐션 바퀴(312)가 헐겁게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 장착되어 있다. 이 요동 트랙 프레임(324)의 하부에 좌우의 코어 돌기(316) 사이에 들어가는 전후로 긴 2분할된 바퀴 탈락 방지 부재(327)가 부착되어 있다.
〔요동 제한 기구의 상세 구조〕
도31 및 도32에 본 발명에 따르는 요동 제한 기구(300)의 상세도를 도시한다. 도31은, 요동 제한 기구(300) 부근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32는, 요동 제한 기구(300) 부근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또한, 도31에 있어서의 2점 쇄선으로 나타낸 요동 링크(322) 및 요동 아암(320)은, 후술하는 수평 제어를 실시함으로써 요동 링크(322)가 축심(c) 주위로 후방으로 요동하여 요동 제한 부재(340)에 접촉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31 및 도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동 트랙 프레임(324)의 내면측에, 내측으로 연장된 요동 제한 부재(340)가 부착되어 있다. 요동 제한 부재(340)는, 평판 형상의 강판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그 전방면측이 요동 링크(322)의 외방측의 아암부(322a)의 후면측에 직선적으로 접촉하도록, 비스듬히 경사지게 하여 요동 트랙 프레임(324)에 고착되어 있다. 요동 제한 부재(340)의 판두께 및 요동 트랙 프레임(324)과의 용접부의 다리길이 등은, 요동 링크(322)가 접촉하여 요동 제한 부재(340)에 큰 힘이 작용해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강도로 설정되어 있다.
도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수평 제어에 의해 요동 링크(322)가 축심(c) 주위로 후방으로 요동한 상태에서, 요동 트랙 프레임(324)이 노면 또는 논의 요철에 의해 축심(P) 주위로 요동하려고 하여도, 그 요동이 요동 제한 부재(340)에 의해 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요동 트랙 프레임(324)으로부터 기체 내방측으로 연장한 요동 제한 부재(340)를, 후방부 요동 기구(309)를 구성하는 요동 링크(322)의 아암부(322a)에 접촉시킴으로써 트랙 프레임(12)에 대한 요동 트랙 프레임(324)의 후방부의 상방으로의 요동 범위를 제한하도록, 요동 제한 기구(300)가 구성되어 있다.
도31 및 도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랙 프레임(321)의 전후 중간부와 요동 트랙 프레임(324)의 전방부에 걸쳐 견제 링크(328)가 가설되어 있다. 이 견제 링크(328)는 요동 트랙 프레임(324)의 전방부 측면에 지지축(329)을 통하여 상하 회전 가능하게 피봇 연결되어 있고, 견제 링크(328)에 형성된 전후 방향의 긴 구멍(330)에, 트랙 프레임(321)의 측면으로 돌출 설치한 단차 지지축(331)이 삽입 관통되어, 단차 지지축(331)의 단부와 축단에 장착한 와셔(332)에 의해 견제 링크(328)를 끼움으로써 요동 트랙 프레임(324)이 축심(P) 부근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저지할 수 있어, 요동 트랙 프레임(324)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견제 링크(328)에 형성된 슬릿(330)에 의해, 트랙 프레임(321)에 대한 요동 트랙 프레임(324)의 요동 범위가 규제되고 있다.
[수평 제어]
도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콤바인에는, 주행 기체(302)의 전후 방향의 경사를 검출하는 전후 경사 센서(341)와 주행 기체(302)의 좌우 방향의 경사를 검출하는 좌우 경사 센서(342)를 구비하고, 이 전후 경사 센서(341) 및 좌우 경사 센서(342)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주행 기체(302)를 수평으로 유지하기 위해 신축 하는 것이 필요한 유압 실린더(338, 339)의 전자 밸브(343, 344)에 제어 장치(345)로부터 출력을 행하여, 노면 또는 포장에 대하여 주행 기체(302)를 수평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수평 제어가 실시되어 있다. 또한, 도33에 있어서의 유압 실린더(338, 339) 및 전자 밸브(343, 344)의 L 및 R의 표시는, 좌측의 전방부 또는 후방부 요동 기구(308, 309)용의 것인지 우측의 전방부 또는 후방부 요동 기구(8, 9)용의 것인지를 나타낸다.
〔크롤러 주행 장치의 주행 상태〕
도34 및 도35에 기초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요동 제한 기구(300)를 구비한 크롤러 주행 장치(301)의 주행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34는, 요동 제한 기구(300)를 구비한 크롤러 주행 장치(301)의 주행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35는, 요동 제한 기구(300)를 구비하지 않은 크롤러 주행 장치(301)의 주행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랙 프레임(321)에 대하여 요동 트랙 프레임(324)이 축심(P) 주위로 천칭 모양으로 독자적으로 요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요철이 있는 노면 또는 포장을 주행할 경우, 도35의 (a) 내지 도35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동 트랙 프레임(324)이 전방 아래로 요동함으로써 크롤러 접지 범위의 전후 중앙이 하방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되어 노면 또는 포장의 오목부에 적합하게 추종할 수 있다.
이 경우, 크롤러 벨트(315)의 접지측 경로에서 전후 중앙 부위가 하방으로 돌출되는 것에 대해서, 텐션 바퀴(312)가 상방(벨트 해이측)으로 변위하므로, 요동 트랙 프레임(324)의 전방 아래로 요동에 의해 벨트 권취 길이가 크게 증대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요동 트랙 프레임(324)이 전방 위로 요동함으로써 크롤러 접지 범위의 전후 중앙이 상방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형상으로 되어, 주행 기체(302)를 상하로 크게 피칭 요동시키지 않고 노면 또는 포장의 볼록부를 부드럽게 타고 넘어 통과할 수 있다.
또한, 도34의 (a) 및 (c)에 있어서는, 요동 제한 기구(300)에 의해 요동 트랙 프레임(324)의 전방 아래로 요동이 제한되지 않기 때문에, 도35의 (a) 및 (c)에 나타내는 상태와 마찬가지로, 크롤러 접지 범위의 전후 중앙이 하방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되어 지면의 오목부에 적합하게 추종할 수 있다. 즉, 도35의 (a) 및 (c)에 도시하는 상태에 있어서는, 크롤러 벨트(315) 후단부의 상측과 기체 프레임(307) 사이의 간극이 충분히 확보되어 있기 때문에, 요동 트랙 프레임(324)이 전방 아래로 요동해도, 크롤러 벨트(315) 후단부의 상측이 기체 프레임(307)에 접촉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도34의 (a) 및 (c)에 도시하는 상태에서는, 요동 제한 기구(300)에 의해 요동 트랙 프레임(324)의 전방 아래로 요동이 제한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도35의 (b)에 도시하는 상태에 있어서, 요동 트랙 프레임(324)이 전방 아래로 요동하면, 도35의 (b)의 X로 나타내는 위치에 있어서 크롤러 벨트(315) 후단부의 상측이 기체 프레임(307)에 접촉할 우려가 있다. 또한, 도35의 (b)는, X로 나타내는 위치에 있어서 크롤러 벨트(315) 후단부의 상측이 기체 프레임(307)에 간섭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3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요동 제한 기구(300)를 설치함으로써, 도34의 (b)에 도시하는 상태에 있어서, 요동 트랙 프레임(324)이 전방 아래로 요동하면, 요동 제한 기구(300)의 요동 제한 부재(340)가 요동 링크(322)의 아암부(322a)에 접촉하고, 요동 트랙 프레임(324)의 전방부 및 후방부가 각각 하방 및 상방으로의 요동하는 요동 범위가 제한되어, 크롤러 벨트(315) 후단부의 상측이 기체 프레임(307)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도34의 (a) 및 (c)[도35의 (a) 및 (c)]에 도시하는 상태에 있어서는, 요동 제한 부재(340)가 요동 트랙 프레임(324)의 요동의 방해가 되지는 않기 때문에, 간이한 구성으로 필요 최소한의 요동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요동 트랙 프레임(324)의 요동 범위는 상술한 견제 링크(328)에 구비한 전후 방향의 긴 구멍(330)에 의해 규제되게 되지만, 노면 또는 논의 요철의 변화에 수반하여 요동 트랙 프레임(324)의 요동 범위를 항상 규제하는 견제 링크(328)와 상이하고, 요동 제한 기구(300)는, 견제 링크(328)에 의해 규제한 요동 범위 내에서의 요동 트랙 프레임(324)의 요동을, 도34의 (b)에 도시하는 상태에 있 어서만 제한함으로써, 기체 프레임(307)과 크롤러 벨트(315)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것이다. 즉, 요동 제한 기구(300)는, 크롤러 벨트(315) 후단부의 상측이 기체 프레임(307)에 접촉할 우려가 있는 트랙 프레임(321)의 전방 아래의 자세에 있어서만, 요동 트랙 프레임(324)의 요동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다.
[다른 실시 형태1]
전술한 제4 실시 형태에서는, 요동 제한 부재(340)를 요동 링크(322)에 접촉시킴으로써 트랙 프레임(321)에 대한 요동 트랙 프레임(324)의 전방 아래로의 요동의 요동 범위를 제한하도록 요동 제한 기구(300)를 구성한 예를 설명했지만, 마찬가지의 기능을 완수하는 것이면 서로 다른 구조의 요동 제한 기구(300)를 채용해도 되며, 예를 들어 후방부 요동 기구(309) 및 요동 트랙 프레임(324)에 각각 요동을 제한하기 위한 부재(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고, 트랙 프레임(321)에 대한 요동 트랙 프레임(324)의 전방 아래로의 요동의 요동 범위를 제한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다른 실시 형태2]
전술한 제4 실시 형태 및 다른 실시 형태1에 있어서는, 크롤러 접지 범위의 후반에 위치하는 4개의 접지 굴림바퀴(313)를 요동 트랙 프레임(324)에 축 지지 장착한 예를 설명했지만, 요동 트랙 프레임(324)에 축 지지 장착하는 접지 굴림바퀴(313)의 수는, 상이한 것이어도 된다. 또한, 크롤러 접지 범위의 전반에 위치하는 4개의 접지 굴림바퀴(313)를 고정 프레임(318)에 축 지지 장착한 예를 설명했지만, 크롤러 접지 범위의 후반에 위치하는 접지 굴림바퀴(313)와 마찬가지로, 크롤러 접지 범위의 전반에 위치하는 접지 굴림바퀴(313)를, 요동하는 트랙 프레임(도 시하지 않음)에 연결 지지하는 구성을 채용하여도 된다.
이들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크롤러 주행 장치(301)의 구성, 예를 들어 접지 굴림바퀴(313)의 수, 전방부 및 후방부 요동 기구(308, 309)의 구조 등은 상이한 것을 채용하여도 된다.
[다른 실시 형태3]
전술한 제4 실시 형태 및 다른 실시 형태1 내지 2에 있어서는, 일례로서 자탈형 콤바인에 장착된 크롤러 주행 장치(301)를 예로 설명했지만, 다른 농작업차, 토목용 작업차, 건설용 작업차, 기타 작업차에 장착되는 크롤러 주행 장치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크롤러 주행 장치(301)는 이하의 구성을 갖는다. 즉, 전단의 구동 스프로킷(311), 후단의 텐션 바퀴(312), 및 이들 사이에 배비된 복수의 접지 굴림바퀴(313)에 걸쳐 크롤러 벨트(315)를 권취 설치하고, 상기 텐션 바퀴(312) 및 접지 굴림바퀴(313)를 트랙 프레임(321)에 장비한 크롤러 주행 장치(301)에 있어서,
상기 트랙 프레임(321)의 후방부의 지점(P) 주위로, 천칭 모양으로 상하 요동 가능한 요동 트랙 프레임(324)을 연결 지지하고, 이 요동 트랙 프레임(324)에, 크롤러 접지 범위의 후반에 위치하는 복수의 상기 접지 굴림바퀴(313)와 상기 텐션 바퀴(312)를 축 지지 장착하고 있다.
또한, 전단의 구동 스프로킷(311)과, 후단의 텐션 바퀴(312)와, 이들 사이에 배비된 복수의 접지 굴림바퀴(313)에 걸쳐 크롤러 벨트(315)를 권취하고, 기체 프 레임(307)에 트랙 프레임(321)을 전방부 요동 기구(308) 및 후방부 요동 기구(309)를 통하여 상하 요동 가능하게 연결 지지하여, 상기 전방부 요동 기구(308) 및 후방부 요동 기구(309)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기체 프레임(307)에 대한 상기 트랙 프레임(321)의 자세를 변경 가능하게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트랙 프레임(321)의 후방부의 지점(P) 주위로, 천칭 모양으로 상하 요동 가능한 요동 트랙 프레임(324)을 연결 지지하고, 상기 요동 트랙 프레임(324)에, 크롤러 접지 범위의 후반에 위치하는 복수의 상기 접지 굴림바퀴(313) 및 상기 텐션 바퀴(312)를 축 지지 장착되어 있는 크롤러 주행 장치(301)에 있어서,
상기 전방부 요동 기구(308) 및 후방부 요동 기구(309)를 조작하여, 상기 기체 프레임(307)에 대하여 상기 트랙 프레임(321)의 전방부 및 후방부가 각각 하방 및 상방으로 요동한 전방 아래로의 자세에 있어서, 상기 트랙 프레임(321)에 대하여 상기 요동 트랙 프레임(324)의 전방부 및 후방부가 각각 하방 및 상방으로 요동한 전방 아래로의 요동의 요동 범위를 제한하는 요동 제한 기구(300)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요동 트랙 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된 요동 제한 부재(340)를, 상기 후방부 요동 기구(309)를 구성하는 요동 링크(322)에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전방 하향 자세에 있어서의 상기 전방 아래로의 요동의 요동 범위를 제한하도록, 상기 요동 제한 기구(300)를 구성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특허 청구 범위의 각 청구항에는, 도면과의 대조를 쉽게 하기 위해 부호를 기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기입에 의해 실시 형태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탈곡 장치의 종단 측면도.
도2는 탈곡부의 종단 배면도.
도3은 가이드판의 부착 구조를 도시하는 주요부의 종단 배면도.
도4는 가이드판의 형상을 도시하는 주요부의 측면도.
도5는 가이드판을 4매의 판체로 구성한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주요부의 측면도.
도6은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가이드판의 부착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3에 대응하는 도면.
도7은 도6의 가이드판의 평면도.
도8은 도6의 가이드판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9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탈곡 장치를 탑재한 자탈형 콤바인의 전체 측면도.
도10은 자탈형 콤바인의 전체 배면도.
도11은 탈곡 장치의 종단 측면도.
도12는 탈곡 장치의 종단 정면도.
도13은 제1 받이망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전개 평면도.
도14는 제2 받이망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전개 평면도.
도15는 제1 받이망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종단 정면도.
도16은 제1 받이망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주요부의 배면도.
도17은 급실 형성 부재의 구성을 도시하는 주요부의 종단 측면도.
도18은 챠프시브에 있어서의 가동부의 개방도 조절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19는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급실 형성 부재의 구성을 도시하는 주요부의 종단 측면도.
도20은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탈곡 장치의 종단 측면도.
도21의 (a)는, 배진 제어체의 닫힘 자세에서의 측면도, (b)는, 배진 제어체의 열림 자세에서의 측면도.
도22는 탈곡 장치의 연동 기구 배비부에서의 후면도.
도23은 다른 실시 형태의 연동 기구의 후면도.
도24의 (a)는, 배진 제어체가 열림 자세에 있는 상태에서의 지연 수단의 평면도, (b), (c), (d)는, 지연 수단의 작용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25의 (a)는, 배진 제어체가 열림 자세에 있는 상태에서의 지연 수단의 측면도, (b), (c), (d)는, 지연 수단의 작용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26은 제4 실시 형태의 전체 좌측면도.
도27은 크롤러 주행 장치의 전체 좌측면도.
도28은 크롤러 주행 장치의 전체 평면도.
도29는 방진 장치의 상세 구조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30은 방진 장치의 상세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31은 요동 제한 기구의 상세 구조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32는 요동 제한 기구의 상세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33은 제어 장치의 블록도.
도34는 요동 제한 기구를 구비한 크롤러 주행 장치의 주행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35는 요동 제한 기구를 구비하지 않고 있는 크롤러 주행 장치의 주행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탈곡 장치
9 : 급통
25 : 가이드판
26 : 급치
K : 회전 궤적

Claims (12)

  1. 예취 곡간의 줄기 밑둥측을 협지하여 예취 곡간을 반송하는 협지 반송 기구(7)와,
    상기 협지 반송 기구(7)에서 반송되는 예취 곡간의 이삭 끝측에 탈곡 처리를 실시하는 급통(9)과,
    상기 급통(9)의 회전에 수반하여 예취 곡간의 줄기 밑둥측을 향하여 유하하는 곡립을 상기 급통(9)을 향하여 안내하는 가이드판(25)을 구비한 탈곡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판(25)을, 그 급통측의 단부가, 상기 급통(9)의 급치(26)의 선단이 그리는 회전 궤적(K)의 내측으로 들어가도록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가이드판(25)의 급통측의 단부에, 상기 급치(28)의 통과를 허용하는 급치 통과부(31, 32)를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치 통과부가, 상기 급통측에 개구한 슬릿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치 통과부가, 상기 급통측에 개구한 오목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판(25)을, 상기 협지 반송 기구(7)에서 반송되는 예취 곡간에 대한 상방의 위치에, 상기 예취 곡간의 반송 방향을 따라 정렬 배비한 복수의 판체로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각 판체에 있어서의 상기 예취 곡간의 반송 방향 위쪽의 단부에, 그 반송 방향 위쪽일수록 상방에 위치하고, 상기 협지 반송 기구에서 반송되는 예취 곡간을 하방으로 안내하는 곡간 가이드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판(25)이 연결되는 가이드판 연결부(19)에 상기 가이드판(25)과 함께 연결됨으로써 상기 가이드판(25)의 상부를 상기 가이드판 연결부(19)에 단단히 누르는 누름판(27)을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누름판(27)을, 상기 가이드판 연결부(19)에 연결한 상태에서는, 그 상부가 상기 가이드판 연결부(19)에 접촉하여 상기 가이드판(25)의 상부를 상방으로부터 덮는 상태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통(9)의 외주를 따라 만곡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급통(9)의 하부측을 하방으로부터 덮도록 배비되는 받이망(123)을 구비하고,
    상기 받이망에 있어서의 상기 급통(9)의 회전 방향 아래쪽에 위치하는 틀부에, 상기 급통(9)의 회전에 의한 탈곡 처리에서 얻어진 처리물의 새어 내림을 허용 하는 새어 내림 구멍(144)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통(9)의 외주를 따라 만곡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급통(9)의 하부측을 하방으로부터 덮도록 배비되는 받이망(123)을 구비하고,
    상기 받이망에 대한 상기 급통(9)의 회전 방향 아래쪽에 배비된 급실 형성 부재(149)에, 상기 급통(9)의 회전에 의한 탈곡 처리에서 얻어진 처리물의 새어 내림을 허용하는 새어 내림 구멍(151)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급실 형성 부재(149)를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급실(212)로부터의 탈곡 짚 배출을 무단 회전 체인(221)과 반송 가이드 레버(222)에 의해 기체 후방쪽으로 협지 반송하는 짚 배출 반송 장치(220)와,
    선별부로부터의 진애를 배진 팬에 의해 기체 밖으로 배출하도록 상기 짚 배출 반송 장치 하방에 설치한 팬을 갖는 배진 경로(A)와,
    상기 선별부로부터의 진애를 선별풍에 의해 기체 밖으로 배출하도록 상기 팬을 갖는 배진 경로의 하방에 설치한 풍력 배진 경로(B)와,
    상기 풍력 배진 경로를 개폐하는 배진 제어체(260)와,
    상기 반송 가이드 레버로부터 상기 팬을 갖는 배진 경로를 우회하여 상기 배진 제어체에 연결한 연동 기구(270)를 구비하고,
    상기 연동 기구(270)에 의한 상기 반송 가이드 레버(222) 및 배진 제어체(260)의 연동에 의해,
    상기 반송 가이드 레버(222)가 상기 무단 회전 체인(221)에 대하여 설정 간격(D) 이상 이격되면, 상기 배진 제어체(260)이 열림 자세로 절환 조작되고,
    상기 반송 가이드 레버(222)가 상기 무단 회전 체인(221)에 대하여 상기 설정 간격(D) 미만에 위치하면, 상기 배진 제어체(260)가 닫힘 자세로 절환 조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기구(270)가,
    상기 반송 가이드 레버(222)의 상기 무단 회전 체인(221)에 대한 이동에 의해 회전 조작되도록 상기 반송 가이드 레버(222)에 연동된 상태에서 상기 팬을 갖는 배진 경로(A)의 외부에 기체 가로 방향으로 설치한 회전 운동축(272)과,
    상기 회전 운동축의 상기 짚 배출 반송 장치에 대하여 탈곡 피드 체인측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단부와, 상기 배진 제어체의 회전 지지축의 상기 풍력 배진 경로에 대하여 탈곡 피드 체인측과는 반대측이고, 또한 상기 풍력 배진 경로의 외부에 위치하는 단부를 연동시킨 링크 기구(L)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기구(270)가,
    상기 반송 가이드 레버와 상기 배진 제어체 중 한 쪽에 연동된 캠체(281)와, 상기 반송 가이드 레버와 상기 배진 제어체와의 다른 쪽에 연동된 전동 부재(282)의 접촉부(284)의 접촉에 의해, 상기 반송 가이드 레버와 상기 배진 제어체를 연동시키는 캠식 연동부(28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기구(270)가,
    상기 반송 가이드 레버가 상기 무단 회전 체인에 대하여 상기 설정 간격(D) 미만에 위치하도록 이동했을 때, 상기 배진 제어체가 상기 반송 가이드 레버의 상기 설정 간격(D) 미만의 위치로의 이동으로부터 설정 시간을 경과한 후에 닫힘 자세로 절환되도록 상기 배진 제어체의 닫음 작동을 지연시키는 지연 수단(29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 장치.
KR1020070099216A 2006-12-06 2007-10-02 탈곡 장치 KR1009633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329392A JP2008143208A (ja) 2006-12-06 2006-12-06 クローラ走行装置
JPJP-P-2006-00329392 2006-12-06
JP2007020770A JP4681567B2 (ja) 2007-01-31 2007-01-31 自脱形コンバインの脱穀装置
JPJP-P-2007-00020770 2007-01-31
JPJP-P-2007-00029605 2007-02-08
JP2007029605A JP4773382B2 (ja) 2007-02-08 2007-02-08 脱穀装置の処理物漏下構造
JPJP-P-2007-00081587 2007-03-27
JP2007081587A JP4605663B2 (ja) 2007-03-27 2007-03-27 脱穀機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3287A Division KR101300922B1 (ko) 2006-12-06 2009-07-13 탈곡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2333A true KR20080052333A (ko) 2008-06-11
KR100963344B1 KR100963344B1 (ko) 2010-06-14

Family

ID=3980716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9216A KR100963344B1 (ko) 2006-12-06 2007-10-02 탈곡 장치
KR1020090063287A KR101300922B1 (ko) 2006-12-06 2009-07-13 탈곡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3287A KR101300922B1 (ko) 2006-12-06 2009-07-13 탈곡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0963344B1 (ko)
CN (3) CN10191189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23414B (zh) * 2017-08-01 2023-05-26 洛阳理工学院 一种用于谷子联合收获机的脱粒系统
CN108496565A (zh) * 2018-05-07 2018-09-07 江苏大学 联合收获机可升降履带式底盘
CN109121663B (zh) * 2018-08-02 2021-06-04 湖南丰翼景源农业发展有限公司 一种优质稻谷筛选方法
CN109121667B (zh) * 2018-08-07 2021-06-15 许可 一种提高水稻收割效率的方法
CN109156145B (zh) * 2018-08-07 2021-09-21 沂水县兴达机械有限公司 一种半喂入式水稻联合收割机
KR20200078327A (ko) * 2018-12-21 2020-07-01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콤바인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40113Y2 (ko) * 1981-06-12 1986-11-17
CN1010653B (zh) * 1988-09-03 1990-12-05 东北农学院 割前脱粒方法及割前脱粒收获机
CN2058549U (zh) * 1989-07-12 1990-06-27 张全乐 半喂入稻麦联合收割机
JP3102019B2 (ja) * 1990-07-24 2000-10-23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における脱穀選別制御装置
CN1060943A (zh) * 1990-11-26 1992-05-13 张全乐 背负式半喂入联合收割机
JPH09294456A (ja) * 1996-04-26 1997-11-18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の選別装置
JP3596990B2 (ja) * 1996-10-09 2004-12-02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における穀粒排出装置
KR100325474B1 (ko) * 1997-08-04 2002-08-21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콤바인의탈곡기
JP2000188937A (ja) * 1998-12-25 2000-07-11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の脱穀選別装置
JP2001008536A (ja) * 1999-06-28 2001-01-16 Kubota Corp 脱穀装置の穀稈案内構造
JP3497421B2 (ja) * 1999-08-25 2004-02-16 株式会社クボタ 脱穀装置の受網構造
KR100399042B1 (ko) 1999-12-08 2003-10-01 최정희 절단칼이 구비된 탈곡기
JP2002125444A (ja) * 2000-10-31 2002-05-08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脱穀機
JP4821942B2 (ja) * 2001-01-25 2011-11-24 井関農機株式会社 脱穀装置
KR200238670Y1 (ko) 2001-04-21 2001-10-12 조용대 탈곡기용 줄기절단 및 배진조절장치
JP3740057B2 (ja) * 2001-12-20 2006-01-25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のチャフ角制御装置
KR100479699B1 (ko) 2003-01-02 2005-03-31 김종득 콤바인용 탈곡망
JP4867144B2 (ja) 2004-07-29 2012-02-01 井関農機株式会社 脱穀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283413A (zh) 2013-09-11
CN104584795B (zh) 2017-04-12
CN101911893B (zh) 2014-05-14
CN101911893A (zh) 2010-12-15
KR101300922B1 (ko) 2013-08-27
KR20090087845A (ko) 2009-08-18
KR100963344B1 (ko) 2010-06-14
CN103283413B (zh) 2015-07-29
CN104584795A (zh) 2015-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0922B1 (ko) 탈곡 장치
CN101194559B (zh) 脱粒装置
US9072220B2 (en) Agricultural harvester drive line
CN105025699A (zh) 联合收割机
JP2008054572A (ja) 脱穀装置
CN102958345A (zh) 联合收割机
KR101403273B1 (ko) 탈곡 장치의 탈곡부 구조
JP5139900B2 (ja) 刈取収穫機の刈り取り搬送構造
JP5853467B2 (ja) 根菜類収穫機
CN1859839B (zh) 联合收割机
JP2013220054A (ja) 収穫機
KR20110055478A (ko) 자탈형 콤바인
JP6770934B2 (ja) 脱穀装置
JP5503135B2 (ja) コンバインの車体構造
CN114173550B (zh) 联合收割机以及脱粒装置
JP5341475B2 (ja) コンバインの刈り取り搬送構造
JP5324844B2 (ja) 自脱型コンバインの刈り取り搬送構造
JP5324845B2 (ja) 自脱型コンバインの刈り取り搬送構造
JP2010104345A (ja) コンバインの刈り取り搬送構造
JP5231945B2 (ja) コンバインの分草構造
JP5813182B2 (ja) コンバイン
JP5324843B2 (ja) 自脱型コンバインの刈り取り搬送構造
JP5341476B2 (ja) コンバインの刈り取り搬送構造
JP2010104346A (ja) コンバインの刈り取り搬送構造
JP2010081811A (ja) 脱穀装置の揺動選別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