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5474B1 - 콤바인의탈곡기 - Google Patents

콤바인의탈곡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5474B1
KR100325474B1 KR1019980031706A KR19980031706A KR100325474B1 KR 100325474 B1 KR100325474 B1 KR 100325474B1 KR 1019980031706 A KR1019980031706 A KR 1019980031706A KR 19980031706 A KR19980031706 A KR 19980031706A KR 100325474 B1 KR100325474 B1 KR 100325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shing
barrel
net
vertical member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1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3343A (ko
Inventor
신지 고타니
스스무 오오니시
데츠지 나가타
기요시 도미가
고지 우라모토
마사요시 나카타니
요시노부 가와모토
하지메 마츠시타
요시유키 고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9051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43502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490098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253044A/ja
Priority claimed from JP066559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54093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069899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435056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19990023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33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5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54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7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 A01D41/1274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for driv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7/00Undercarriages or frames specially adapted for harvesters or mowers; Mechanisms for adjusting the frame; Platfor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10Feed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예취곡물 짚의 밑동측을 유지한 채로 이삭끝 측을 탈곡통과 망의 사이에 이송시키므로서 탈곡처리를 하는 콤바인에 관한 것이며, 그 주된 목적은 콤팩트한 탈곡기이면서 능률좋게 탈곡처리를 할수 있고, 게다가 탈곡불량이 발생하기 어려움과 동시에 고수분시에도 망 막힘이 발생하기 어려운 점에 있다. 이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망(20)이, 탈곡통(3)의 주위방향을 따르는 복수의 수직부재(23)와 탈곡통 축심(3a) 방향을 따르는 복수의 수평부재(24, 25)와를 조합시킨 격자 망으로 구성되고, 수직부재(23)가 수평부재(24, 25)로부터 탈곡통(3)측으로 돌출하고 있는 것, 또한, 대부분의 수직부재(23)가 탈곡통(3)의 탈곡톱니(3c) 각각의 선단의 회전궤적(T)에 대하여, 탈곡통 축심(3a) 방향으로 위치 어긋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콤바인의 탈곡기
본 발명은 예취곡물 짚의 이삭끝측이 탈곡반송장치에 의하여 탈곡실의 망과 탈곡통과의 사이로 이송되어 탈곡처리하도록 구성한 콤바인에 사용되는 탈곡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특정적으로는 본 발명은 이와같은 탈곡기에서, 탈곡통(扱胴)의 탈곡톱니에 의하여 예취곡물 짚으로부터 탈곡처리된 곡물의 낟알을 하방의 선별장치를 향하여 밑으로 떨어뜨리는 망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피드체인에 의하여 예취곡물 짚의 밑동측을 파지하면서 곡물의 낟알이 붙은 이삭끝측을 탈곡통과 망 사이에 투입하고, 탈곡통 축심을 따라 곡물 짚을 이송함으로서 탈곡처리를 하는 타입의 콤바인은 자탈(自脫)형 콤바인이라 불리우고 있다.
종래, 상기 탈곡기에서는 탈곡실의 망이 강선재를 편입한 크림프(crimp) 망제이든지 또는 예를들면 일본 특개소 63-248318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합성수지 망제(이 공보에서는 고분자량 폴리에틸렌제)이었다.
망의 메시가 작은 것 보다 큰쪽이 탈곡낟알이 망에서 밑으로 빠져 떨어지기 쉬워지고, 탈곡부하가 저감하기 때문에, 탈곡처리가 능률좋게 할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크림프 망의 경우도, 합성수지 망의 경우도, 탈곡부하에 견딜 수 있는 필요한 강도를 구비시키면 메시가 비교적 작은 것으로 되므로, 탈곡처리 능률을 그다지 향상시킬 수 없었다. 또, 곡물 짚이 비나 이슬로 젖어 있는 등 곡물 짚의 수분이 높은 경우, 망에 막힘 발생하기 쉬웠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콤팩트이면서 능률좋게 탈곡처리를 할수 있고, 게다가 탈곡 불량이 발생하기 어려움과 동시에 수분이 높을 때에도 망 막힘이 발생하기 어려운 탈곡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탈곡기 전체의 종단 측면도,
도 2는 탈곡부의 종단 정면도,
도 3은 탈곡기의 일부의 종단 측면도,
도 4는 망의 단면도,
도 5는 분할 망의 분리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6은 망 부착 구조의 단면도,
도 7은 밑동측 분할망의 단면도,
도 8은 이삭끝측 분할 망의 단면도,
도 9는 밑동측 분할 망의 평면도,
도 10은 이삭끝측 분할 망의 평면도,
도 11a는 망의 일부분의 사시도; 도 11b는 망의 일부분의 단면도이고 위가 이삭끝 분할 망, 아래가 밑동측 분할망,
도 12는 별도의 실시형태를 구비하는 망의 단면도,
도 13은 별도의 실시형태를 구비하는 망의 단면도,
도 14는 별도의 실시형태를 구비하는 망의 단면도,
도 15는 별도의 실시형태를 구비하는 망의 단면도,
도 16은 별도의 실시형태를 구비하는 망의 단면도,
도 17은 별도의 실시형태를 구비하는 망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탈곡반송장치 2: 탈곡실
3: 탈곡통 3a: 탈곡통 축심
3c: 탈곡톱니 6: 요동선별장치
11: 제1송풍장치 12: 제2송풍장치
20: 망 20a: 밑동측 분할망
2Ob: 이삭끝측 분할망 23: 수직부재
23a: 제1수직부재 23b: 제2수직부재
24: 수평부재(제1수평부재) 25: 수평부재(제2수평부재)
L1: 제1수직부재의 돌출길이 L2: 제2수직부재의 돌출길이
T: 탈곡톱니 선단의 회전궤적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콤바인의 탈곡기에 있어서는망이 탈곡통의 주위방향을 따르는 복수의 수직부재와 탈곡통 축심방향을 따르는 복수의 수평부재와를 조합한 격자 망으로 구성되고, 이들 수직부재가 수평부재로부터 상기 탈곡통측으로 돌출하고 있는 것, 또한 대부분의 수직부재가 탈곡톱니 각각의 선단의 회전궤적에 대하여 탈곡통 축심방향으로 위치 어긋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망을 격자망으로 하고, 탈곡처리물이 신속히 아래로 빠져 떨어지기 쉽도록 비교적 큰 메시를 망에 구비시키면서 그 메시의 크기의 비하면 우수한 망 강도를 발휘시킬 수가 있다.
이 종류의 탈곡기에 있어서는 곡물 짚이 탈곡통과 망 사이를 긴 짚의 꼴을 유지한 채로 이동하면서 탈곡처리된다. 이 때문에 탈곡통 축심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볼 때, 탈곡톱니 선단의 회전궤적이 수직부재에 대하여 합치하는 경우에는, 곡물 짚이 탈곡톱니와 수직부재와의 사이를 짚이 절단되기 어려운 상태에서 이동하여 가도록하면, 탈곡톱니와 수직부재와의 사이의 곡물 짚 통로에 필요한 통로폭의 관계로부터 탈곡통과 수평부재와의 간격이 대간격으로 되어 탈곡성능이 저하하기 쉬워진다.
이와같은 구성과 비교하여, 본 발명과 같이 탈곡톱니 선단의 회전궤적이 수직부재에 대하여 탈곡통 축심방향으로 위치 어긋나 있으면, 탈곡톱니와 수직부재와의 사이의 곡물 짚 통로에 필요한 통로폭을 구비시켜도, 그 비율로는 탈곡통과 수평부재와의 간격을 좁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탈곡불량(토막짚이 많이 나오거나, 탈곡부족이 많이 나오거나 하는 사태)이 생기기 어렵다. 이로서, 탈곡실에 비교적 많은 곡물 짚을 공급하더라도, 곡물 짚 수분이 비교적 높더라도, 곡물 짚 공급량의 비해서는 면적이 작은 망으로, 탈곡처리물을 막힘이 발생하기 어려운 상태에서 신속히 아래로 빠져 떨어지면서 동시에 탈곡불량의 발생을 회피하면서 탈곡처리하여 간다.
게다가, 대부분의 수직부재가 수평부재로부터 탈곡통측으로 돌출하고 있기 때문에 탈곡통과 망과의 사이를 이송하는 곡물 짚이 수직부재를 타고 넘어서 탈곡통의 후부로 나아갈려고 할 때, 이 돌출 때문에 탈곡통 측으로 접근하여 탈곡작용을 받기 쉽게 됨과 동시에, 곡물 짚에 들어가서 이동하는 탈곡낟알이 수직부재에 부딪쳐서 곡물 짚에서 빠져 나오기 쉽게 되므로, 짚에 있는 탈곡낟알이 빠져나오기 쉬워지고, 한층더 능률좋게 탈곡처리 될 수 있다.
따라서, 탈곡시의 손상 곡물 낟알을 억제하면서, 설사 예취곡물 짚의 수분이 높더라도 탈곡실에 곡물 짚을 신속히 또한 다량으로 공급하는 것이 가능한 능률 및 신뢰성이 높은 탈곡기를 제공할 수가 있다. 게다가, 망이 콤팩트로 된 것으로 탈곡기의 소형화도 도모할 수 있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수평부재로 부터의 돌출길이가 큰 제2수직부재의 탈곡통측선단과 탈곡톱니의 선단회전궤적과의, 탈곡통 축심을 따르는 방향에서 볼 때의 위치관계에 대하여는 전자(제2수직부재의 탈곡통측 선단) 쪽을 탈곡통 축심측에 즉 직경방향 내측에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같이 배치하면, 제2수직부재에 의하여 탈곡통과 망과의 사이에 있어서 곡물 짚 이삭끝측의 이동속도 및 처리물의 유동속도를 규제할 수가 있고, 더 한층의 탈낟알성 및 낟알화의 향상 또 망으로부터곡물낟알의 빠져 떨어짐의 촉진이 도모되게 된다.
상기 제2수직부재를 탈곡통의 앞부에만 또는 앞부에서 보다 빽빽하게 배치하여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탈곡통의 앞부에 있어서는 후부에 비하여 예취곡물 짚의 곡물낟알 비율이 높다. 이 때문에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제2수직부재를 탈곡통의 전후방향으로 균등하게 배치하여 구비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제2수직부재의 상기 속도 규제 기능을 보다 유효한 꼴로 발휘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더 한층의 탈낟알성 및 낟알화의 향상 또 망으로부터의 곡물낟알의 아래로 떨어짐의 촉진을 도모되게 된다.
또, 망에 대하여는 분할식의 것을 채용하고, 탈곡반송장치(피드 컨베이어)에 가까운 밑동측 분할 망과 먼 이삭끝측 분할 망으로 구성하면, 망의 장착 및 떼어내기 및 손질 등이 하기 쉽다라는 등의 이점이 있다.
이와같은 분할식의 망에 있어서는 돌출높이가 큰 제2수직부재를 밑동측 분할망에만 배치하여 구비하면, 망 전체에 배치하여 구비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토막 및 등의 탈곡처리물이 탈곡실의 앞에서 뒤로, 보다 원활하게 유동한다, 따라서 탈곡통 구동부하가 경감하기 때문에, 탈곡통 구동을 보다 낮은 토크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망의 수평부재에 대하여는 횡단면적이 같지 않는 2종류의 것으로 구성하면, 횡단면적이 큰 수평부재 만으로 구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망 전체로서 경량인데 비하여 망을 소망의 총면적으로 할수 있음과 동시에 망의 메시도 소망의 비율로 설정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 횡단면적이 작은 수평부재 만으로 구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망에 의하여 우수한 강도를 유지시키면서, 소망의 총면적 및 메시 비율을 구비시킬 수가 있다.
망의 메시가 크게되면, 탈곡낟알이 아래로 빠져 떨어지기 쉬워짐과 동시에, 토막 짚 등의 먼지가 곡물낟알과 함께 망을 아래로 빠져 떨어지기 쉬워지고, 탈곡부로부터 요동 선별장치에 공급되는 처리물이 많아지기 쉽다. 여기서, 본 발명과 같이, 요동선별장치에 의한 조(粗)선별처리물과 정(精)선별처리물에 개별의 송풍장치로부터 개별로 선별풍을 공급하면, 설사 망으로부터 요동선별장치에 공급된 처리물이 많더라도, 그 많음에 비하여 소형의 요동선별장치로 정밀도 좋게 신속히 선별처리를 할수 있다. 따라서 설사 탈곡실에 비교적 많은 곡물 짚이 공급되더라도, 혹은 설사 곡물 짚의 수분이 비교적 많더라도 요동선별장치에 의한 선별처리가 촉진되고, 게다가, 탈곡처리물에 막힘이 발생하기 어렵고 또한, 선별불량이 발생하기 또한 선별부를 소형화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더욱더, 망의 수직부재를 판금제로 하면 다음 점에서 유리하다. 우선, 크림프 망과 같이, 편입한 강선 사이에 곧은 바아가 찔러져서 막힘이 생기는 일이 없다. 또 판금제의 수직부재를 봉상 강재제의 수평부재와 조합하여 격자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직경 1.8∼2.4mm 정도의 강선재로 이루어지는 크림프 망 또는 수지 망과 비교하여, 망의 내구성에 우수한다. 더욱이 강선재를 편입하는 크림프 망 보다도 제조가 용이하고 초고분자량의 수지재를 사용하는 수지망 보다도 염가이다.
따라서, 제조가 비교적 용이하고 또한 염가로서, 내구성에도 우수한 망을 얻을 수가 있었다. 게다가 이 망은 곡물낟알의 탈낟알과 낟알화와 선별장치로의 아래로 떨어짐 등의 처리 성능에도 우수하기 때문에, 탈곡기의 처리 성능이 더욱더 향상되었다.
이하,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이 채용된 콤바인의 탈곡기에 대하여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에는 탈곡기 전체의 구조가 종단 측면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탈곡부에서는 콤바인의 예취부(도시하지 않음)로 베어낸 예취곡물 짚은 그 밑동측이 탈곡반송장치(탈곡 피드체인)(1)에 의하여 끼워 지지된 상태에서 반송시키므로서 이삭끝측이 탈곡실(threshing chamber)(2)로 공급되고, 탈곡기 전후 방향의 축심(탈곡통 축심에 상당한다)(3a) 주위로 회전운동하는 탈곡통(threshing cylinder)(3)과 망(콘케이브(concave))(20)와의 사이에서 축심(3a) 방향을 따라서 이송되므로서 탈곡처리된다. 그리고 탈곡후의 배출된 짚이 탈곡반송장치(1)에 의하여 탈곡실(2)의 후부의 짚 배출구(4)로부터 반출되고, 배출된 짚 반송체인(5)에 의하여 탈곡기 후부의 배출구로부터 탈곡기 밖으로 배출된다.
재처리부에서는 짚 배출구(4)로부터 배출되는 토막 짚 등의 탈곡 먼지가 요동선별장치(6)에 의하여 일체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이송체(7)에 의하여 기체 후방측으로 이송되면서, 탈곡기 수평방향의 축심둘레에서 회전운동하는 처리통(8)에 의하여 풀어 처리되고, 이로서 탈곡 먼지로부터 곡물낟알이 꺼내어진다.
선별부에는 탈곡실(2)의 하방에 전단측이 위치하는 상기 요동선별장치(6), 이 요동선별장치(6)의 전단부의 하방에 위치하고 회전팬(11a)을 갖는 제1송풍장치(11), 이 제1송풍장치(11)의 기체후방측에 위치하는 제2송풍장치(12),요동선별장치(6)의 후단부의 하방에 위치하고 회전팬(13a)을 갖는 제3송풍장치(13)등이 구비되어 있다. 선별부에서는 탈곡실(2)로부터 망(20) 아래로 빠져 떨어져 낙하 공급되는 탈곡처리물 및 재처리부로부터 낙하하는 처리물이 요동선별장치(6)에 의하여 받아내어져서 탈곡통 축심(3a)을 따르는 방향에 기체후방측에 반송되면서 선별처리된다. 이때 낙하 처리물이 각 송풍장치(11, 12, 13)로부터 선별풍을 작용시키므로서 풍선별 처리되고, 선별후의 먼지가 선별풍과 함께 먼지 배출구(14)로부터 탈곡기 밖으로 배출되거나 먼지 배출팬(15)에 의하여 흡인되어 탈곡기 밖으로 배출되거나 한다. 선별부의 바닥부에는 요동선별장치(6)로 부터의 1번 처리물을 탈곡기 수평외측으로 반출하는 1번 스크루 컨베이어(16) 및 요동선별장치(6)로 부터의 2번 처리물을 탈곡기 수평외측으로 반출하는 2번 스크루 컨베이어(17)를 설치되게 된다. 2번 스크루 컨베이어(17)로부터의 처리물은 환원장치(스크루 컨베이어)(18)에 의하여 탈곡기 수평외측 또한 탈곡실 후부 부근에 양송되어 탈곡기내로 방출되고, 망(20)과 탈곡기 수평측벽과의 사이를 경유하여 요동선별장치(6)의 전단측으로 환원된다.
요동선별장치(6)는 전단측이 가이드장치(19a)에 후단측이 구동장치(19b)에 연결되므로서 탈곡기의 좌우 수평측벽에 걸쳐서 구동요동 자유롭게 지지된 선별틀(6a)을 구비한다. 이 선별틀(6a)내의 상부에는 탈곡통 축심(3a)을 따르는 방향에 그레인팬(6b)과 챠프시브(6c)와 스트로랙(6a)이 병렬배치되고, 이들 및 챠프시브(6c)의 하방에 위치하는 그레인시브(6e) 등이 선별틀(6a)에 일체로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요동선별장치(6)는 탈곡실(2)의 앞측으로부터 망(20) 아래로 떨어진 탈곡처리물을 그레인팬(6b)에 의하여 받아내고 기체후방측으로 이송하면서 곡물낟알과 먼지로 조선별처리하고, 그레인팬(6b)으로부터 처리물을 챠프시브(6c)에 의하여 이어 받어 기체후방으로 이송하면서 곡물낟알과 먼지로 정선별처리하고, 챠프시브(6c) 아래로 빠져 떨어진 처리물을 그레인시브(6e)에 의하여 더욱더 정선별처리하고, 그레인시브(6e)로 부터의 1번 선별처리물을 1번 스크루 컨베이어(16)에, 2번 선별 처리물을 2번 스크루 컨베이어(17)에 각각 낙하 공급한다. 챠프시브(6c) 및 상기 재처리부로부터의 처리물을 곡물낟알과 토막 짚 등의 먼지로 선별하고, 곡물낟알을 2번 스크루 컨베이어(17)에 낙하 공급하고, 먼지를 상기 먼지배출구(14)로부터 기체 밖으로 방출한다.
제1송풍장치(11)는 그레인팬(6b)의 하방 근처에 위치하는 상기 회전팬(11a)과 이 회전팬(11a)의 앞측에 흡기구(11b)를 갖음과 동시에 회전팬(11a)의 후측 또한 제2송풍장치(12)의 상측에 배기구(11c)를 갖는 팬케이스와로 구성된다. 제1송풍장치(11)는 회전팬(11a)에 의하여 선별부의 전단측으로부터 흡기하고, 배기구(11c)로부터 선별풍을 제2송풍장치(12)의 상방을 통하여 선별틀(6a)을 하측에서 상측으로 불어 빠지도록 공급하여, 그레인팬(6b)과 챠프시브(6c) 사이의 선별 작용부 및 챠프시브(6c)의 전단측의 선별작용부에 공급하고, 이들의 선별작용부의 처리물에 작용한다. 즉, 제1송풍장치(11)는 요동선별장치(6)의 그레인팬(6b)으로 부터의 조선별처리물에 선별풍을 작용시킨다.
제2송풍장치(12)는 회전날개(l2a)를 갖는 풍구("tohmi" or grain winnowingdevice)로 구성된다. 제2송풍장치(12)는 선별풍을 선별틀(6a)의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바람이 지나가도록 공급하여, 챠프시브(6c) 및 그레인시브(6e)의 하방의 풍선경로부, 챠프시브(6c)의 후단부의 선별작용부 및 스트로랙(6d)에 의한 선별작용부에 공급하고, 이로서, 풍선경로부와 선별작용부의 처리물에 선별풍을 작용시킨다. 즉, 제2송풍장치(12)는 요동선별장치(6)의 챠프시브(6c)와 그레인시브(6e)에 의한 정선별처리물 및 스트로랙(6d)에 의한 선별처리물에 선별풍을 작용시킨다.
제3송풍장치(13)는 1번 스크루 컨베이어(16)와 2번 스크루 컨베이어(17)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회전팬(13a)과 이 회전팬(13a)의 하측에 흡기구(13b)를 갖음과 동시에 상측에 배기구(13c)를 갖는 팬케이스로부터 구성된다. 제3송풍장치(13)는 회전팬(13a)에 의하여 탈곡기의 하방에서 흡기하고, 배기구(13c)로부터 선별풍을 제2스크루 컨베이어(17)의 상방을 통하여 선별틀(6a)을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바람이 지나도록 공급하여 스트로랙(13)에 의한 선별작용부에 공급하고, 이 선별작용부에 의한 선별처리물에 작용시킨다.
다음에, 망(2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망(20)은 탈곡통 축심(3a)을 따르는 방향의 1개의 분할선 Y로 탈곡통(3)의 주위방향으로 분할함으로서 얻어지는 2개의 분할 망(2Oa, 2Ob)을 조합시키므로서 구성된다. 이후, 탈곡반송장치(1)에 가까운 쪽을 밑동측 분할망(20a)이라 칭하고, 먼쪽을 이삭끝측 분할망(20b)이라 칭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망(20)은 밑동측 분할망(20a)의 틀체(21)가 구비하는 위치결정핀(21a)과 이삭끝측 분할망(20b)의 틀체(22)와를 걸어맞춤시키므로서, 양 분할망(20a, 20b)을 탈곡통 축심(3a)을 따르는 방향으로 서로 위치 어긋나지 않도록 걸어맞춤하여 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4에는 양 분할망(20a, 20b)의 연결상태, 도 5에는 분리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양 분할망(20a, 20b) 모두, 복수개의 수직부재(23)와 복수개의 수평부재(24, 25)와를 격자상으로 조합시키므로서 작성된다. 양 분할망(20a, 20b) 모두, 탈곡통 축심(3a)을 따르는 방향의 쉬트판금으로 이루어지는 2개의 상기 틀체(21, 22)를 구비한다. 수직부재(23)는 쉬트판금으로 이루어지고, 탈곡통(3)의 주위방향을 따르도록 탈곡통 축심(3a)을 따르는 방향에서 볼 때 원호형상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제1수직부재(23a)와 제2수직부재(23b)로 이루어진다. 제2수직부재(23b)는 제1수직부재(23a) 보다 넓은 가로폭을 갖는다. 다만, 이삭끝 분할망(2Ob)의 수직부재(23)는 제 1수직부재(23a) 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제2수직부재(23b)는 망(20)중 밑동측 분할망(20a)에만 설치된다. 수평부재(24, 25)는 탈곡통 축심(3a)을 따르는 방향에 설치된다. 어느 분할망(20a, 20b)에 있어서도, 수평부재는 직선상의 환봉강재로 이루어지는 제1수평부재(24)와 제1수평부재(24) 보다도 풍부한 탄성을 갖도록 제1수평부재(24) 보다도 외경이 작은 직선상의 강선재로 이루어지는 제2수평부재(25)로부터 구성된다. 그리고, 탈곡통 축심(3a)에 따르는 방향의 쉬트판금으로 이루는 틀체(21, 22)가 모든 수직부재(23)의 단부 끼리를 연결한다.
밑동측 분할망(20a)은 도 4, 도 7, 도 9등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개의 제1수직부재(23a), 복수개의 제2수직부재(23b), 2개의 제1수평부재(24), 복수개의 제2수평부재(25), 및 2개의 상기 틀체(21, 22)와를 다음과 같은 격자상태로 조합시켜 작성하고 있다. 즉, 복수개의 제1수직부재(23a)와 제2수직부재(23b)가 탈곡통 축심(3a)을 따르는 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병렬한다. 복수개의 제1수직부재(23a)는 제2수직부재(23b) 끼리의 사이와 가장 분할 망 전단측에 위치하는 제2수직부재(23b) 보다도 앞측과, 가장 분할망 후단측에 위치하는 제2수직부재(23b) 보다도 후측과의 각각에 존재한다. 2개의 제1수평부재(24)와 복수개의 제2수평부재(25)가 탈곡통(3)의 주위방향을 따르는 방향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병렬하고, 수직부재(23)와의 사이에서 격자상태를 형성한다. 복수개의 제2수평부재(25)는 제1수평부재(24) 끼리의 사이와 한쪽의 제1수평부재(24) 보다도 밑동측과 다른편의 제1수평부재(24) 보다도 이삭끝측과의 각각에 존재한다. 더욱더 제1수평부재(24)도 제2수평부재(25)도 제1수직부재(23a) 및 제2수직부재(23b)의 구멍을 삽입관통하고, 분할망(20a)에서 가장 전단측에 위치하는 제1수직부재(23a)와 가장 후단측에 위치하는 제1수직부재(23a)가 모든 수평부재(24, 25)의 단부 끼리를 연결한다. 그리고 틀체(21, 22)가 모든 수직부재(23a, 23b)의 단부 끼리를 연결한다.
다른 한편, 이삭끝측 분할망(20b)은 도 4, 도 8, 도 10 등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개의 제1수직부재(23a), 2개의 제1수평부재(24), 복수개의 제2수평부재(25) 및 2개의 상기 틀체(21, 22)와를 다음과 같이 격자상태로 조합시켜 작성하고 있다. 즉, 복수개의 제1수직부재(23a)가 탈곡통 축심(3a)을 따르는 방향으로, 밑동측 분할망(20a)에 있어서와 동일 간격을 두고 병렬한다. 2개의 제1수평부재(24)와 복수개의 제2수평부재(25)가 탈곡통(3)의 주위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밑동측 분할망(20a)에서와 동일의 간격을 두고 병렬하고, 수직부재(23)와의 사이에서 격자상태를 형성한다. 복수개의 제2수평부재(25)는 제1수평부재(24) 끼리의 사이와, 한쪽의 제1수평부재(24) 보다도 밑동측과, 다른쪽의 제1수평부재(24) 보다도 이삭끝측과의 각각에 존재한다. 더욱더 제1수평부재(24)도 제2수평부재(25)도 제1수직부재(23a)의 사다꼴 구멍을 삽입관통하고, 분할망(20b)에서 가장 전단측에 위치하는 제1수직부재(23a)와, 가장 후단측에 위치하는 제1수직부재(23a)와가 모든 수평부재(24, 25)의 단부 끼리를 연결한다. 그리고, 틀체(21, 22)가 모든 수직부재(23a)의 단부 끼리를 연결한다.
밑동측 분할망(20a)과 이삭끝 분할망(20b)이 상기 위치결정핀(21a)에 의하여 서로 연결하였을 때에는 이삭끝측 분할망(20b)의 모든 수직부재(23a)와 밑동측 분할망(20a)의 모든 수직부재(23a, 23b)와의 1개씩이 쌍으로 되어 탈곡통(3)의 주위방향을 따라 일열로 나열한다.
즉, 밑동측 분할망(20a)의 1개의 수직부재(23a, 23b)와 이 수직부재(23a, 23b)에 대하여 탈곡통 주위방향으로 일직선상으로 나열하는 이삭끝측 분할망(20b)의 1개의 수직부재(23a)에 의하여 망(20) 전체로서 1개의 수직부재(23)가 형성되고 또한 밑동측 분할망(20a)의 제1수평부재(24) 및 제2수평부재(25)와 이삭끝측 분할망(20b)의 제1수평부재(24) 및 제2수평부재(25)와의 각각에 의하여 망(20) 전체로서 1개의 수평부재(24, 25)가 형성된다. 이로서 망(20)은 복수개의 수직부재(23)와 복수개의 수평부재(24, 25)에 의하여 격자상태로 조합한 격자망으로 되고, 이때 곡물낟알의 아래로 빠져 떨어트림 용의 메시가 탈곡통(3)의 주위방향 및 축심방향으로 나열함과 동시에, 모든 메시의 크기가 동일 또는 대략 동일하게 된다. 이와같이하여 격자상태로 형성된 망(20)은 축심(3a) 둘레에서 회전운동하는 탈곡통(3)과의 공동운동에 의하여 예취곡물 짚을 탈곡하고, 탈곡처리물을 메시로부터 아래로 빠져 떨어트려 요동선별장치(6)에 공급한다.
망(20)은 탈곡통(3)에 대하여 도 3에 도시하는 위치관계가 되도록 배치된다. 즉, 탈곡통(3)의 외주면측에는 탈곡통 주위방향 및 탈곡통 축심 방향으로 늘어서서 또한 탈곡통(3)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복수개의 탈곡톱니(threshing teeth)(3b, 3c)가 심어 부착되어 있다. 탈곡톱니(3b)는 탈곡실(2)에 들어온 예취곡물 짚을 정리하는 정리탈곡톱니(first threshing teeth)가 있다. 탈곡톱니(3b) 보다도 탈곡통(2)의 후측에는 탈곡처리용의 복수개의 탈곡톱니(second or main threshing teeth)(3c)가 위치한다. 탈곡톱니(3c)에 인접하는 대부분의 수직부재(23)는 탈곡톱니(3c) 각각의 선단에서의 회전궤적(T)에 대하여, 탈곡통 축심(3a)을 따르는 방향으로 위치 어긋나 있어, 이 위치어긋남 상태에서 탈곡통(3)이 회전한다. 이때 각 제1수직부재(23a)의 탈곡통측의 선단은 탈곡톱니(3c) 각각의 선단의 회전궤적(T)보다도 직경 외방에 (탈곡통과는 반대 근처에) 위치한다 다른 한편, 각각의 제2수직부재(23b)의 탈곡통측의 선단은 탈곡톱니(3c) 선단의 회전궤적(T) 보다도 직경내방에 (탈곡통 근처에) 위치한다. 즉, 탈곡통(3)이 회전하고 있을 때, 탈곡통(3)의 정면에서 본 경우에는 제1수직부재(23a)와 탈곡톱니(3c)와는 오버랩 하지 않지만 각각의 제2수직부재(23b)와 탈곡톱니(3c)와는 오버랩하는 위치관계로 된다. 더욱이 제1수직부재(23a) 및 각 제2수직부재(23b)가 수평부재(24, 25)로부터 탈곡통 측으로 돌출하는 길이는 도 11b에서 L1, L2로 각각 도시되어 있다.
망(20)은 탈곡부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4 및 도 6에 도시하는 다음과 같은 부착구조에 의거하여 부착된다.
탈곡실(2)의 전측벽(30)의 내면측에는 망 지지부(31a)를 구비한 앞망가이드(31)가 지지되고, 탈곡실(2)의 후측벽(32)의 내면측에는 망 지지부(33a)를 구비한후 망 가이드(33)가 지지되어 있다. 앞 망 가이드(31)의 망 지지부(31a)에는 앞 지지부재(35a)가, 후 망 가이드(33)의 망 지지부(33a)에는 후 지지부재(35b)가 각각 연결된다. 그리고, 양 지지부재(35a, 35b)에 걸쳐서, 탈곡통 축심(3a)을 따르는 방향의 둥근 강재로 이루어지는 지지로드(34)가 부착된다. 이 지지로드(34)는 앞 망 가이드(31) 및 후 망 가이드(33) 각각의 망 지지부(31a, 33a) 보다도 저레벨에 위치한다. 상기 부착 구조에 의거하여, 망(20)은 앞망 가이드(31)과 후 망 가이드(33)와 지지로드(34)와 하돌출판(36)에 걸쳐서 얹어 놓여 있다.
여기에서는, 망(20)에서 가장 전단측에 위치하는 수직부재(23)가 앞망 가이드(31)의 망 지지부(31a)에 실려져서 받아내어 지지됨과 동시에, 가장 후단측에 위치하는 수직부재(23)가 후망 가이드(33)의 망 지지부(33a)에 실려져서 받아내어 지지된다. 또 위치결정핀(21a)에 의하여 서로 걸어맞춤한 밑동측 분할망(20a)의 틀체(21)와, 이삭끝측 분할망(20b)의 틀체(22)가 지지로드(34)에 실려져서 받아내어 지지된다. 밑동측 분할망(20a)의 제2수직부재(23b)에는 밑동측단부의 하단측에 얹어놓은 돌기(23c)가 구비되어 있다. 이 얹어놓은 돌기(23c)는 하돌출판(36)의 내면측에 실리워져서 받아내어 지지된다.
망(20)을 구성하는 수직부재(23) 및 수평부재(24, 25)의 치수 설정에는 도 11a, 도 11b에 도시하는 관계가 있다. 밑동측 분할망(20a)의 제1수직부재(23a)와 이삭끝측 분할망(20b)의 제1수직부재(23a)와는 동일의 가로폭(H1)을 갖고, 또한 제1수평부재(24) 및 제2수평부재(25)로부터 탈곡통(3) 쪽으로 돌출하는 길이(L1)도 동일하다. 밑동측 분할망(20a)의 제2수직부재(23b)가 제1수평부재(24) 및 제2수평부재(25)로부터 탈곡통(3) 쪽으로 돌출하는 길이(L2)는 상기 돌출길이(L1) 보다도 길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밑동측 분할망(20a)의 제1수직부재(23a)와 이 제1수직부재(23a)에 직선상으로 나열하는 이삭끝측 분할망(20b)의 제1수직부재(23a)에 의하여 형성된 수직부재(23)에서는 수평부재(24, 25)로부터 탈곡통측으로 돌출길이(L1)가 전장에 걸처 동일하다. 다른 한편, 밑동측 분할망(20a)의 제2수직부재(23b)와 이 제2수직부재(23b)에 직선상으로 나열하는 이삭끝측 분할망(20b)의 제1수직부재(23a)에 의하여 형성된 수직부재(23)에서는 이삭끝측의 절반부의 돌출길이는 L1 이지만, 밑동측의 반부의 돌출길이는 같지 않은 (보다 큰) L2로 된다.
또, 밑동측 분할망(2Oa)의 제1수직부재(23a)를 형성하는 쉬트판금, 및 이삭끝측 분할망(2Ob)의 제1수직부재(23a)를 형성하는 쉬트판금이 각각 판두께(t1)의 쉬트판금을 채용하고 있는데 대하여, 밑동측 분할망(20a)의 제2수직부재(23b)는 t1 보다도 큰 판두께(t2)를 갖는 두꺼운 쉬트판금을 채용하고, 보다 견고한 강도를 구비시키고 있다.
이로서, 탈곡반송장치(1)에 의하여 탈곡통(3)과 망(20) 사이를 이송하는 예취곡물 짚의 이삭끝 측이 제2수직부재(23b)를 타고 넘어가는 경우에는제2수직부재(23b)에 의하여 이삭끝측이 탈곡통(3) 측으로 오게되어 탈곡통(3)에 의한 탈곡작용을 받기 쉽게 된다. 또한 곡물 짚에 의하여 탈곡실(2)내를 흘러가게 되는 탈곡낟알등의 탈곡처리물이, 제2수직부재(23b)에 받아내어져서 망(20)으로부터 아래로 빠져 떨어지기 쉬워진다. 이 제1수직부재(23a)와 비교하면, 제2수직부재(23b)에는 큰 곡물 짚 이송반력 및 탈곡 반력이 걸리지만, 제2수직부재(23b)에 견고한 강도를 구비시키므로서 이 반력에 대향 가능으로 구성되어 있다.
(망의 변형예)
(1)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하는 2가지의 망(20)은 도 9 및 도 10 등에 도시하는 망(20)과 꼭같이 복수개의 수직부재(23)와 복수개의 수평부재(24, 25)가 처리물 아래로 빠져 떨어뜨리기 위한 메시를 탈곡통(3)의 주위방향 및 축심 방향으로 나열한 격자 망으로 구성하고 있지만, 어느 것이나 수직부재(23) 끼리의 간격이 등간격으로 설정되어 있지 않는 점에서 상이하고 있다.
우선, 도 12의 망(20)에서는 전단측에 위치하는 일부의 수직부재(23)의 간격(D1)이 후측에 위치하는 수직부재(23)의 간격(D2) 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즉, 전단측에서 망(20)의 메시가 보다 크게되어 있다. 더욱이 수평부재(24, 25)의 간격은 모두 균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이로서, 탈곡처리물이 망(20)의 앞측에서 후측보다도 아래로 떨어지기 쉽게 한다. 다른 한편, 도 13의 망(20)에서는 보다 큰 간격(D1)에 설정되어 있는 개소가 도 12의 망과 다르다. 이 망(20)에서는 요동선별장치(6)중 그레인팬(6b)의 종단부로부터 챠프시브(6c)의 시단부에 이르는 부분의상방에서, 수직부재(23) 끼리의 간격이 보다 큰 D1으로 설정되어 있다. 즉, 요동선별장치(6)중 이 부분에 대응하는 메시의 크기를, 이 이외의 부분에 대응하는 메시의 크기 보다도 크게 하고 있다. 더욱이, 수평부재(24, 25)의 간격은 모두 균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이로서 이 망(20)은 탈곡실(2)중 이 부분에 대응하는 앞측 부분에서는 보다 후측에 위치하는 부분 보다도 탈곡처리물을 아래로 빠져 떨어뜨리기 쉬워진다.
(2) 앞의 실시예에서는 밑동측 분할망(20a)에서 수직부재(23)를 수평부재(24, 25)로부터 탈곡통(3)으로의 돌출길이가 다른 제1수직부재(23a)와 제2수직부재(23b)로 구성하고 있었다. 이에 대신하여,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밑동측 분할망(20a)에서도 수직부재(23)를 제1수직부재(23a) 만으로 구성하여, 망(20) 전체에서 수직부재(23)의 돌출길이를 모두 같게 하여도 좋다.
(3) 앞의 실시예에서는 망(20)은 밑동측 분할망(20a)과 이삭끝측 분할망(20b)으로 이루어지는 분할망이었지만,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체형, 즉 비분할의 망(20)이라도 좋다.
(4) 도 15에 도시하는 일체형의 망(20)에서는 돌출길이가 큰 제2수직부재(23b)가 돌출길이가 작은 제1수직부재(23a)와 꼭같이 망(20)의 전장에 걸쳐서 설치된다. 더욱이, 분할형의 망(20)에 있어서도, 제2수직부재(23b)를 밑동측 분할망(20a) 뿐만 아니라, 이삭끝측 분할망(20b)에도 설치하여도 좋다.
(5) 앞의 실시예에서는 인접하는 제2수직부재(23b) 사이에 배치되는 제1수직부재(23a)의 수는 같고 (도 3 참조), 이 사실은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하는 각 변형예에 있어서도 꼭같다. 이에 대신하여,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수직부재(23b)를 탈곡통(3)의 앞측에서 빽빽하게 배열구비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탈곡통(3)과 망(20)과의 사이에 있어서 곡물 짚 이삭끝측의 이동속도 및 처리물의 유동속도를 곡물낟알 비율이 높은 탈곡통(3)의 전부측에서 효과적으로 규제할 수 있기 때문에, 탈곡통(3)의 전부측에서 탈낟알의 증대를 도모함과 동시에, 곡물낟알의 낟알화 및 망(20)으로부터 아래로 떨어짐의 촉진을 보다 효과적으로 도모되게 된다. 더욱이, 이와같은 작용효과를 이루기 위해서는 돌출길이가 큰 제2수직부재(23b)를 탈곡통(3)의 앞측에만 배열구비하여도 좋다.
(6)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탈곡통(3)의 탈곡톱니(3c)에 대하여 망(20)의 수직부재(23)를 근접 배열구비하여도 좋다. 탈곡톱니(3c)와 수직부재(23)가 근접함으로서, 더한층의 탈낟알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각별히, 탈곡통(3)의 후부측에서 이 위치관계로 하면, 탈곡 남김의 발생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7) 망(20)의 수평부재(24, 25)의 단면형상은 도시의 예에서는 원형이었다(도 7, 도 8 참조). 이에 대신하여, 타원형 혹은 다각형 등, 여러 가지 단면형상의 것을 채용하여도 좋다.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르써, 본 발명의 탈곡기는 콤팩트화되고, 능률좋게 탈곡처리를 할수 있으며, 탈곡 불량이 발생하기가 어려움과 동시에 수분이 높을 때에도 망 막힘이 발생하기 어렵게 한다.

Claims (8)

  1. 탈곡통 축심(3a) 둘레에서 회전하는 탈곡통(3);
    상기 탈곡통(3)의 외주면에 세워설치되는 복수의 탈곡톱니(3c);
    상기 탈곡통(3)의 하방에 설치되는 망(20); 및
    예취곡물 짚을 탈곡처리하기 위하여 이 곡물 짚의 이삭끝측을 상기 망(20)과 상기 탈곡통(3)과의 사이에서 상기 탈곡통 축심(3a)을 따라 이송하는 탈곡반송장치(1); 로 구성된 콤바인의 탈곡기로서,
    상기 망(20)이 상기 탈곡통(3)의 주위방향을 따르는 복수의 수직부재(23)와 상기 탈곡통 축심(3a) 방향을 따르는 복수의 수평부재(24, 25)와를 조합한 격자 망으로 구성되고, 상기 수직부재(23)가 상기 수평부재(24, 25)로부터 상기 탈곡통(3) 측으로 돌출하는 콤바인의 탈곡기에 있어서,
    수직부재(23)가 상기 수평부재(24, 25)로 부터의 돌출길이(L1)가 작은 복수개의 제1수직부재(23a)와, 돌출길이(L2)가 큰 적어도 하나의 제2수직부재(23b)로 구성되고,
    대부분의 상기 수직부재(23)가 상기 탈곡톱니(3c) 각각의 선단의 회전궤적(T)에 대하여 상기 탈곡통 축심(3a) 방향으로 위치 어긋나 있으며, 또한
    상기 탈곡통 축심(3a)에 따르는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제2수직부재(23b)의 상기 탈곡통(3)측 선단이 상기 탈곡톱니(2c)의 선단회전 궤적(T) 보다도 상기 탈곡통 축심(3a)측으로 돌출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탈곡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직부재(23b)가 복수개 설치되어 있고, 인접한 제2수직부재(23b)끼리 사이에 복수개의 상기 제1수직부재(23a)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탈곡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직부재(23b)가 상기 탈곡통(3)의 앞측에만 또는 앞측에서 보다 빽빽하게 배열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탈곡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망(20)이 상기 탈곡통(3)의 주위방향으로 분할된 밑동측 분할망(20a)과 이삭끝측 분할망(20b)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탈곡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직부재(23b)가 밑동측 분할망(20a)에만 배열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탈곡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재가 횡단면적이 큰 제1수평부재(24)와, 작은 제2수평부재(2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탈곡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망(20)으로부터 아래로 떨어진 탈곡처리물을 이송하면서 선별처리하는 요동선별장치(6), 상기 요동선별장치(6)에 의한 조선별처리물에 작용하는 선별풍을 공급하는 제1송풍장치(11) 및 상기 요동선별장치(6)에 의한 정선별처리물에 작용하는 선별풍을 공급하는 제2송풍장치(12)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탈곡기.
  8. 제 1 항 내지 제 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재(23)가 판금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탈곡기.
KR1019980031706A 1997-08-04 1998-08-04 콤바인의탈곡기 KR1003254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905197A JP3435024B2 (ja) 1997-08-04 1997-08-04 自脱型コンバインの受網構造
JP97-209051 1997-08-04
JP98-64900 1998-03-16
JP6490098A JPH11253044A (ja) 1998-03-16 1998-03-16 脱穀機
JP06655998A JP3540930B2 (ja) 1998-03-17 1998-03-17 脱穀機
JP98-66559 1998-03-17
JP98-69899 1998-03-19
JP06989998A JP3435056B2 (ja) 1998-03-19 1998-03-19 脱穀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3343A KR19990023343A (ko) 1999-03-25
KR100325474B1 true KR100325474B1 (ko) 2002-08-21

Family

ID=27464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1706A KR100325474B1 (ko) 1997-08-04 1998-08-04 콤바인의탈곡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325474B1 (ko)
CN (1) CN1081437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1942B1 (ko) * 2006-08-17 2008-12-08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탈곡 장치
KR100963344B1 (ko) * 2006-12-06 2010-06-14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탈곡 장치
CN102027833A (zh) * 2010-10-08 2011-04-27 曹安柏 节油高速联合收割种植管理机
CN108934488B (zh) * 2013-02-22 2020-08-28 株式会社久保田 脱粒装置
CN107306611A (zh) * 2016-04-27 2017-11-03 东风农业装备(襄阳)有限公司 用于脱粒装置的作物收集器及其传动机构及应用
KR102330975B1 (ko) * 2021-04-16 2021-12-01 주식회사 대동 곡물 이송 커버 및 곡물 이송 커버를 포함하는 곡물 이송 유닛, 그리고 곡물 이송 유닛을 포함하는 콤바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68838A (ko) * 1973-10-06 1975-06-09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97511U (zh) * 1991-05-16 1992-03-04 桂林联合收割机总厂 谷物联合收割机轴流式脱粒装置
JP3187702B2 (ja) * 1996-01-10 2001-07-11 株式会社クボタ 脱穀装置のコンケーブ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68838A (ko) * 1973-10-06 1975-06-0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1437C (zh) 2002-03-27
KR19990023343A (ko) 1999-03-25
CN1208545A (zh) 1999-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5474B1 (ko) 콤바인의탈곡기
US5098341A (en) Air diverter for chaff removal in a combine
JP6466372B2 (ja) 全稈投入型コンバイン
KR101743100B1 (ko) 탈곡판, 이를 갖는 탈곡 장치 및 이를 갖는 콤바인
JP4643080B2 (ja) コンバイン
JP3540932B2 (ja) 脱穀機
JP3435055B2 (ja) 脱穀機
JP5078782B2 (ja) 脱穀装置
JP3408970B2 (ja) 自脱型コンバインの脱穀装置
JP3647259B2 (ja) 自脱型コンバインの脱穀装置
JP3499437B2 (ja) 自脱型コンバインの脱穀装置
JP3481122B2 (ja) 脱穀機
JP3435056B2 (ja) 脱穀機
JP3540930B2 (ja) 脱穀機
JPH07241130A (ja) 軸流型脱穀装置の受網構造
JP3408965B2 (ja) 脱穀機
JPS63133919A (ja) 脱穀選別装置
JPH11266679A (ja) 脱穀機
JPH11266674A (ja) 脱穀機
JPH11266675A (ja) 脱穀機
JPH11275939A (ja) 脱穀機
JP2018161155A5 (ko)
JP2000032835A (ja) 脱穀装置の選別装置
JPH07298771A (ja) 脱穀装置の選別部
JPH07274681A (ja) 脱穀装置の受網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