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6589A - 주차 제동장치 - Google Patents

주차 제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6589A
KR20080046589A KR1020070119086A KR20070119086A KR20080046589A KR 20080046589 A KR20080046589 A KR 20080046589A KR 1020070119086 A KR1020070119086 A KR 1020070119086A KR 20070119086 A KR20070119086 A KR 20070119086A KR 20080046589 A KR20080046589 A KR 200800465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lever
pawl
release mechanism
moved
s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9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날드 제이. 한나
브루크 엘스너
제레미 질
Original Assignee
듀라 글로벌 테크놀러지즈,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듀라 글로벌 테크놀러지즈, 인크. filed Critical 듀라 글로벌 테크놀러지즈, 인크.
Publication of KR20080046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65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6Disposition of ped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8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hand actuated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5/00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 G05G5/12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for holding members in an indefinite number of positions, e.g. by a toothed quadrant
    • G05G5/14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for holding members in an indefinite number of positions, e.g. by a toothed quadrant by locking a member with respect to a fixed quadrant, rod, or the like
    • G05G5/18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for holding members in an indefinite number of positions, e.g. by a toothed quadrant by locking a member with respect to a fixed quadrant, rod, or the like by positive interengagement, e.g. by a paw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528Foot operat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576Elements
    • Y10T74/20888Ped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1Elements
    • Y10T74/2133Pawls and ratche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1Elements
    • Y10T74/2133Pawls and ratchets
    • Y10T74/2136Pivoted paw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주차 제동장치는, 회전축 주위에서 이동될 수 있는 제동장치 레버를 포함한다. 해제 기구는 제동장치 레버와 결합된다. 해제 기구는 제동장치 레버의 선택적 이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케이블은 해제 기구에 연결된다. 케이블은 제동장치 레버의 이동으로부터 차단된다.
Figure P1020070119086
회전축, 제동장치 레버, 해제 기구, 케이블, 링크부, 리벳, 하우징, 섹터, 폴, 헛돌기 슬롯, 스프링 부재, 복귀 스프링.

Description

주차 제동장치{PARKING BRAKE}
본 발명은 자동차 주차 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차 제동장치 조립체는 종래기술에서 공지되어 있고, 주차 제동장치를 잠금 및 해제하기 위한 여러 가지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1개의 시스템의 예는 폴 앤드 섹터 디자인(pawl and sector design)을 포함하며, 폴 앤드 섹터 디자인에서, 폴은 주차 제동장치를 잠금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위해 섹터와 결합 및 분리된다. 주차 제동장치가 잠금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때, 제동장치 레버에 결합 또는 부착되는 케이블은 케이블 주행 손실을 표시할 수 있다. 제동장치를 해제하기 위해 누를 때, 이러한 주행 손실은 섹터 치형부 형상 및 제동장치의 여러 가지 부품의 주행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기술에서, 케이블 주행 손실의 양을 제한하는 향상된 주차 제동장치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블 주행 손실의 양을 제한하는 향상된 주차 제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주차 제동장치는, 회전축 주위에서 이동될 수 있는 제동장치 레버를 포함한다. 해제 기구는 제동장치 레버와 결합된다. 해제 기구는 제동장치 레버의 선택적 이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케이블은 해제 기구에 연결된다. 케이블은 제동장치 레버의 이동으로부터 차단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주차 제동장치는, 회전축 주위에서 이동될 수 있는 제동장치 레버를 포함한다. 해제 기구는 제동장치 레버와 결합된다. 해제 기구는 링크부를 포함한다. 링크부는 해제 기구를 잠그고 해제시키기 위해 시작 위치로부터 캠 오버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 주차 제동장치는, 회전축 주위에서 이동될 수 있는 제동장치 레버를 포함한다. 해제 기구는 제동장치 레버와 결합된다. 해제 기구는, 상기 해제 기구를 상기 제동장치 레버로부터 분리시키는 헛돌기부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주차 제동장치(10)가 도시되어 있다. 주차 제동장치(10)는, 회전축(20) 주위에서 이동될 수 있는 제동장치 레버(15)를 포함한다. 해제 기 구(25)는 제동장치 레버(15)와 결합된다. 해제 기구(25)는 제동장치 레버(15)의 선택적 이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케이블(30)은 해제 기구(25)에 연결된다. 케이블(30)은 제동장치 레버(15)의 이동으로부터 차단된다. 케이블(30)은 도 1에 도시되었듯이 U자형 링크(clevis)(35)에서 해제 기구(25)에 연결될 수 있거나, 임의의 다른 적절한 연결 기구를 사용하여 다른 방식으로 부착될 수 있다. 케이블(30)이 제동장치 레버(15)의 이동으로부터 차단되었기 때문에, 해제기구(25)는 제동장치 레버(15)와 무관하게 이동될 수 있어, 케이블 주행 손실이 최소화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동장치 레버(15)는, 하우징(40)에 결합되는 회전축(20) 주위에서 이동될 수 있다. 하우징(40)은, 제동장치 레버(15)의 전체적 주행 경로를 형성하기 위해 하우징(40)에 형성되는 여러 가지 멈춤쇠 및 형상부(contours)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40)은 부착 브래킷(45)을 사용하여 차량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40)은,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듯이, 여러 가지 부품과 연결되기 위한 여러 가지 슬롯 및 부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섹터(50)는 하우징에 부착된다. 섹터(50)는 원호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폴(60)과 결합하기 위해 형성되는 복수개의 치형부(55)를 가질 수 있다. 치형부(55)는, 여러 가지 디자인 특성을 얻기 위해, 서로에 대해 또한 섹터(50)의 전체적인 형상을 고려하여 위치될 수 있다. 치형부(55)는, 주행 손실을 최소화하도록 디자인된 뿌리부로부터 팁까지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섹터(50)의 디자인 변수는 폴(60)이 섹터(50)와 접촉되어 섹터(50)를 잠글 수 있게 하여, 주차 제동장치(10) 에서의 케이블 주행 손실을 최소화한다.
주차 제동장치(10)는, 회전축(20) 주위에서 이동될 수 있고 제동장치 레버(15)와 접촉하는 폴 플레이트(65)를 포함한다. 폴 플레이트(65)는, 섹터(50)와 접촉되고 섹터(50)에 고정될 수 있는 폴(60)을 포함한다. 폴 플레이트(65)는 헛돌기(lost motion) 슬롯(70)을 포함한다. 제동장치 레버(15)와 결합되는 리벳(75)은 헛돌기 슬롯(70) 내에 위치되고 헛돌기 슬롯(70) 내에서 이동될 수 있어, 제동장치 레버(15)와 폴 플레이트(65)의 독립적 이동을 가능하게 하여, 해제 기구(25)를 제동장치 레버(15)로부터 분리시킨다.
리벳(75)이 아닌 다른 부재가 사용될 수 있는데, 그러한 부재에는 보스, 돌출부, 블록 또는 제동장치 레버(15)와 결합되는 다른 그러한 구조물이 포함된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주차 제동장치(10)는 또한 회전축(20) 주위에 배치되는 덮개(80)를 포함할 수 있다. 덮개(80)는 덮개(80)에 부착되는 복귀 스프링(85)을 포함할 수 있다. 복귀 스프링(85)의 제1 단부는 덮개(80)에 부착될 수 있고, 제2 단부는, 제동장치 레버(15)가 인가 위치로 이동된 뒤에 제동장치 레버(15)를 공칭(nominal) 또는 시작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해 제동장치 레버(15)에 부착될 수 있다.
링크부(90)는 폴 플레이트(65)와 제동장치 레버(15)에 연결될 수 있다. 링크부(90)는 제1 및 제2 링크(95, 100)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링크(95)는 일단부에서는 폴 플레이트(65)에 부착되며 제2 단부에서는 제2 링크(100)에 부착된다. 제2 링크(100)는 제동장치 레버(15)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에 개시 및 도시된 것이 아닌 다른 링크부가 사용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제1 단부는 폴(60)에 부착되고 제2 단부는 제2 링크(100)에 부착되는 스프링 부재(105)는 회전축(20) 주위에 배치된다. 링크부(90)는,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듯이, 폴(60)이 섹터(50)에 고정될 때, 시작 위치로부터 캠 오버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스프링 부재(105)는 링크부(90)의 캠 오버에 따라 압축 상태와 자유 상태 사이에서 이동된다. 또한, 스프링 부재(105)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되듯이, 제동장치 레버(15)에 인가되는 힘에 따라 자유 상태와 인장 상태 사이에서 이동된다.
사용시에, 주차 제동장치(10)는, 도 2에 도시되었듯이, 해제 기구가 완전히 해제된 공칭 위치에서 시작된다.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링크부(90)는 시작 위치에 위치되는데, 시작 위치에서, 링크(95, 100)는,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듯이, 반경방향 예비 하중 및/또는 리콕(recock) 기구에 따라 도면의 좌측을 향해 위치된다. 스프링 부재(105)는 자유 상태 위치에 있다. 제동장치 레버(15)와 결합되는 리벳(75)은, 폴 플레이트(65)에 형성되는 헛돌기 슬롯(70) 내에 위치된다. 리벳(75)은 도면에서 우측을 향해 위치되고, 폴 플레이트(65)에 부착되는 U자형 링크(35)에서 케이블(30)에 의해 인가되는 대향하는 케이블 하중에 따라 헛돌기 슬롯(70)의 제1 단부(67)와 접촉된다.
운전자가 제동장치 레버(15)에 양의 방향의 힘을 인가할 때, 주차 제동장치(10)는 도 3에 도시되었듯이 인가 위치에 있다. 제동장치 레버(15)에 인가되는 힘은 제동장치 레버(15)를 회전축(20) 주위에서 회전시킨다. 제동장치 레버(15)와 결합된 리벳(75)은 헛돌기 슬롯(70)의 제1 단부(67)와 접촉되어, 제동장치 레 버(15)에 인가되는 힘은 폴 플레이트(65)가 회전축(20) 주위에서 이동되게 한다. 링크부(90)는, 도 3에 도시되었듯이, 기준원 교차부에서의 구속력으로 인해 좌측을 향해 시작 위치에 위치된 상태로 유지된다. 폴 플레이트(65)에 연결되는 폴(60)은 섹터(50) 상의 표면과 접촉되고, 섹터(50) 표면 상에서의 폴(60)의 양의 방향 회전이 증가함으로 인해 스프링 부재(105)에 압축력을 인가한다.
제동장치 레버(15)로부터 힘이 제거될 때, 주차 제동장치(10)는 도 4에 도시되었듯이 잠금 위치에 있다. 잠금 위치에서, 폴(60)은 섹터(50)에 고정되어, 모든 대향하는 케이블 하중이 제동장치 레버(15)와 결합된 리벳(75)으로부터 제거되고, 폴(60)에 인가된다. 제동장치 레버(15)와 결합되는 리벳(75)은, 일 단부에서는 제동장치 레버(15)에 부착되고 타단에서는 덮개(80)에 부착되는 복귀 스프링(85)에 따라 헛돌기 슬롯(70)의 반대쪽 단부(69)를 향해 도면에서 좌측으로 이동된다. 링크부(90)는 캠 오버 위치로 이동되어, 링크부는, 제동장치 레버(15)와 결합되는 리벳(75)으로부터 폴(60)로 하중이 전달됨으로 인해 도면에서 우측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스프링 부재(105) 내의 압축으로 인해, 링크부(90)는 캠 오버되어, 스프링 부재(105)는 자유 상태 위치로 복귀된다. 잠금 위치에서, 폴(60)은 섹터(50)에 고정되고, 제동장치 레버(15)는 공칭 또는 시작 위치로부터 인가 위치로 이동된다.
해제 기구가 잠기는 인가 위치로부터 제동장치 레버(15)를 해제시키기 위해, 도 5에 도시되었듯이 제동장치 레버(15)에 힘이 재인가된다.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링크부(90)는 캠 오버 위치에 있고, 제동장치 레버(15)와 결합되는 리벳(75)은 도면에서 우측을 향해 이동되어, 폴 플레이트(65)에 형성되는 헛돌기 슬롯(70)의 제1 단부(67)와 접촉된다. 섹터(50)와 결합될 때 폴(60)에 인가된 하중은 폴(60) 및 섹터(50)로부터 제거되고, 헛돌기 슬롯(70)의 제1 단부(67)와 접촉되는 리벳(75)에 다시 인가된다. 해제 기구(25)의 스프링 부재(105)에 인장 하중이 인가된다. 인장 하중은 폴(60)을 음의 방향으로 회전시켜 폴(60)을 섹터(50)로부터 분리시킨다. 링크부(90)는 캠 오버 위치에 유지된다.
다음에는, 도 6에 도시되었듯이, 제동장치 레버(15)에 재인가된 힘이 제거되어, 주차 제동장치(10)가 해제 위치로 이동된다. 해제 위치에서, 복귀 스프링(85)은 제동장치 레버(15)에 힘을 인가하여, 제동장치 레버(15)는 공칭 위치 또는 시작 위치로 복귀된다. 링크부(90)는 도면에서 우측을 향해 캠 오버 위치에 유지된다. 스프링 부재(105)에 작용하는 힘은 폴(60)을 섹터(50)에 대해 음의 방향으로 회전시켜, 폴(60)을 섹터(50)로부터 분리시켜, 스프링 부재(105)가 자유 상태로 복귀시켰다. 해제 위치에서, 폴(60)은 더 이상 섹터(50)와 결합되지 않고, 제동장치 레버(15)는 인가 위치로부터 공칭 위치로 자유롭게 이동된다.
복귀 스프링(85)에 인가된 힘에 따라 제동장치 레버(15)는 공칭 위치를 향해 계속 주행한다. 제동장치 레버(15)가 공칭 위치를 향해 계속 주행할 때, 링크부(90)는 도 7에 도시되었듯이 리콕 위치에서 섹터(50)와 접촉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링크부(90)가 섹터(50)와 접촉되는 동안에, 링크부(90)는, 브래킷, 확장부 또는 다른 고정 부재와 같은 임의의 고정 부재와 접촉될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리콕 위치에서, 링크부(90)는 섹터(50)와 점대점(point-to-point) 접촉 하여, 복귀 스프링(85)에 인가된 힘이 링크부(90)를 중앙을 지나 시작 위치로 되돌려 이동시키기 때문에, 링크부(90)는 캠 오버 위치로부터 시작 위치로 이동된다. 링크부(90)가 중앙을 지나 완전히 이동되면, 주차 제동장치(10)는 완전히 해제된 위치에 있고, 제동장치 레버(15)는 공칭 위치에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주차 제동장치(10)는 해제 기구(25)와 제동장치 레버(15)의 독립적 이동에 기인하여 케이블 주행 손실을 감소시킨다. 또한, 케이블 주행 손실은, 섹터(50)와 폴(60)을 사용하고, 섹터(50)를 최적화된 디자인 특성을 가진 복수개의 치형부(55)를 가지도록 디자인함으로써, 케이블 주행 손실이 최소화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주차 제동장치(10)를 사용하여, 0.1 mm 내지 1.5 mm의 케이블 주행 손실이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예시적 방식으로 설명되었다. 사용된 용어는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을 위한 것이라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상기 교시에 비추어,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은 특정하게 설명된 바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주차 제동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2는 완전히 해제된 위치에서의 주차 제동장치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3은 인가 위치에서의 주차 제동장치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4는 잠금 위치에서의 주차 제동장치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5는 재인가 위치에서의 주차 제동장치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6은 해제 위치에서의 주차 제동장치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7은 리콕(recock) 위치에서의 주차 제동장치의 부분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에 대한 설명 *
15: 제동장치 레버 20: 회전축
30: 케이블 35: U자형 링크
40: 하우징 50: 섹터
60: 폴 70: 헛돌기 슬롯
75: 리벳 80: 덮개 플레이트
85: 복귀 스프링 105: 스프링 부재

Claims (32)

  1. 회전축 주위에서 이동될 수 있는 제동장치 레버,
    상기 제동장치 레버와 결합되고, 상기 제동장치 레버의 선택적 이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작동될 수 있는 해제 기구, 및
    상기 해제 기구에 연결된 케이블
    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이 상기 제동장치 레버의 이동으로부터 차단된,
    주차 제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장치 레버가 상기 제동장치 레버에 결합된 리벳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이 하우징에 결합된,
    주차 제동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부착된 섹터를 더 포함하는, 주차 제동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 주위에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제동장치 레버와 접촉하는 폴 플 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주차 제동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폴 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섹터와 접촉되고 상기 섹터에 고정될 수 있는 폴을 더 포함하는, 주차 제동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폴 플레이트가 헛돌기 슬롯을 포함하며,
    상기 제동장치 레버와 결합된 상기 리벳이 상기 헛돌기 슬롯 내에 위치되고 상기 헛돌기 슬롯 내에서 이동될 수 있어, 상기 제동장치 레버와 상기 폴 플레이트의 독립적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주차 제동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폴 플레이트 및 상기 제동장치 레버에 연결된 링크부를 더 포함하는, 주차 제동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가 제1 링크와 제2 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링크가 일 단부에서는 상기 폴 플레이트에 부착되어 있고, 제2 단부에서는 상기 제2 링크에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링크는 상기 제동장치 레버에 결합되어 있는,
    주차 제동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제1 단부는 상기 폴에 부착되어 있고, 제2 단부는 상기 제2 링크에 부착된 스프링 부재를 더 포함하는, 주차 제동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폴이 상기 섹터에 고정될 때, 상기 링크부가 시작 위치로부터 캠 오버 위치로 이동되는, 주차 제동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부재가 상기 링크의 캠 오버에 따라 압축 상태와 자유 상태 사이에서 이동되는, 주차 제동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부재가, 상기 제동장치 레버에 인가된 힘에 따라 자유 상태와 인장 상태 사이에서 이동되는, 주차 제동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부재의 인장 상태에 따라 상기 폴이 상기 섹터로부터 해제되는, 주차 제동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일 단은 상기 제동장치 페달에 부착되고 타단은 덮개 플레이트에 부착된 복귀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주차 제동장치.
  15. 회전축 주위에서 이동될 수 있는 제동장치 레버, 및
    상기 제동장치 레버와 결합되고, 링크부를 포함하는 해제 기구
    를 포함하며,
    상기 링크부가 상기 해제 기구를 잠그고 해제시키기 위해 시작 위치로부터 캠 오버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주차 제동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가, 상기 링크부의 캠 오버에 따라 압축 상태, 자유 상태, 및 인장 상태 사이에서 이동되는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는, 주차 제동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기구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해제 기구에 힘을 인가하는 케이블을 더 포함하는, 주차 제동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기구가, 상기 제동장치 레버와 접촉되는 폴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폴 플레이트가, 하우징에 부착된 섹터와 접촉될 수 있는 폴을 가진,
    주차 제동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장치 레버가 상기 제동장치 레버에 결합된 리벳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이 하우징에 결합된,
    주차 제동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폴 플레이트가 헛돌기 슬롯을 포함하며,
    상기 제동장치 레버와 결합된 상기 리벳이 상기 헛돌기 슬롯 내에 위치된,
    주차 제동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가 상기 시작 위치에 있고,
    상기 리벳이 상기 헛돌기 슬롯의 제1 단부와 접촉되고,
    상기 제동장치 레버에 인가된 힘에 의해 상기 폴이 상기 섹터와 접촉되어, 상기 링크부의 상기 스프링 부재에 압축력을 인가하는,
    주차 제동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힘이 상기 제동장치 레버로부터 제거되고,
    상기 폴이 상기 섹터에 고정되며,
    상기 제동장치 레버와 결합된 상기 리벳이 복귀 스프링에 따라 상기 헛돌기 슬롯의 반대쪽 단부로 이동되고,
    상기 케이블 힘이 상기 리벳으로부터 제거되며 상기 폴에 인가되고,
    상기 링크 기구가 캠 오버 위치로 이동되어, 상기 스프링 부재로부터 압축력을 제거하는,
    주차 제동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장치 레버에 힘이 재인가되고,
    상기 링크부가 캠 오버 위치에 있으며,
    상기 제동장치 레버 상에 있는 상기 리벳이 상기 헛돌기 슬롯의 상기 제1 단부와 접촉되고,
    상기 스프링 부재가 인장 상태로 이동되어 상기 폴이 상기 섹터로부터 분리 되는,
    주차 제동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재인가된 힘이 상기 제동장치 레버로부터 제거되고,
    상기 링크부가 상기 캠 오버 위치에 있으며,
    상기 제동장치 레버가 상기 복귀 스프링에 따라 회전되고,
    상기 링크부가 상기 섹터와 접촉되어, 상기 링크부가 상기 시작 위치로 이동되는,
    주차 제동장치.
  25. 회전축 주위에서 이동될 수 있는 제동장치 레버, 및
    상기 제동장치 레버와 결합된 해제 기구
    를 포함하며,
    상기 해제 기구가, 상기 해제 기구를 상기 제동장치 레버로부터 분리시키는 헛돌기부를 포함하는,
    주차 제동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기구가, 상기 제동장치 레버와 접촉되는 폴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폴 플레이트가, 하우징에 부착된 섹터와 접촉될 수 있는 폴을 가진,
    주차 제동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장치 레버가 상기 제동장치 레버와 결합된 리벳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이 하우징에 결합된,
    주차 제동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폴 플레이트가 상기 폴 플레이트 내에 형성된 헛돌기 슬롯을 포함하며,
    상기 제동장치 레버와 결합된 상기 리벳이 상기 헛돌기 슬롯 내에 위치된,
    주차 제동장치.
  29.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기구가, 상기 해제 기구를 잠그고 해제시키기 위해 시작 위치로부터 캠 오버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링크부를 포함하는, 주차 제동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가, 상기 링크부의 캠 오버에 따라 압축 상태, 자유 상태, 및 인장 상태 사이에서 이동되는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는, 주차 제동장치.
  31.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기구에 부착된 케이블을 더 포함하며,
    케이블 주행 손실이 최소화되는,
    주차 제동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케이블 주행 손실이 0.1 mm 내지 1.5 mm인, 주차 제동장치.
KR1020070119086A 2006-11-22 2007-11-21 주차 제동장치 KR2008004658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562,686 US8707819B2 (en) 2006-11-22 2006-11-22 Parking brake
US11/562,686 2006-11-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6589A true KR20080046589A (ko) 2008-05-27

Family

ID=39430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9086A KR20080046589A (ko) 2006-11-22 2007-11-21 주차 제동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8707819B2 (ko)
KR (1) KR20080046589A (ko)
CN (1) CN10124982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1927B1 (ko) * 2008-09-22 2011-03-17 에스엘 주식회사 풋 파킹 브레이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72624B2 (en) * 2004-07-07 2009-01-06 Ventra Group Inc. Push to release brake actuating assembly for a vehicle
US8707819B2 (en) * 2006-11-22 2014-04-29 Dura Operating Llc Parking brake
US8113086B2 (en) * 2007-03-26 2012-02-14 Dura Global Technologies, Llc Parking brake with separate pedal pivot
CN102121532B (zh) * 2010-01-07 2013-09-18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 一种无驻车齿轮的驻车制动装置
US20130167677A1 (en) * 2012-01-04 2013-07-04 Longyear Tm, Inc. Over Center Drill Head Gear Shifting System
JP5883329B2 (ja) * 2012-03-29 2016-03-1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パーキングブレーキ装置のケーブル固定構造
CN102849049A (zh) * 2012-07-31 2013-01-02 苏州柏德纳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刹车踏板
CN104340190B (zh) * 2013-08-09 2017-06-23 林德(中国)叉车有限公司 一种脚驻车制动及解锁机构
JP6236324B2 (ja) * 2014-01-22 2017-11-22 豊田鉄工株式会社 車両用操作ペダル
US9845083B2 (en) 2015-07-01 2017-12-19 Dura Operating, Llc Park brake control assembly
CN107044232B (zh) * 2017-06-05 2024-04-05 麦格纳汽车系统(苏州)有限公司 中控锁外释放机构
CN112278139B (zh) * 2020-11-05 2022-04-08 重庆宗申创新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驻车系统及车辆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67557A (en) * 1946-05-20 1949-04-19 Houdaille Hershey Corp Brake lever structure
US3861237A (en) * 1973-05-29 1975-01-21 Caterpillar Tractor Co Parking brake actuating mechanism
US3929033A (en) * 1974-11-20 1975-12-30 Atwood Vacuum Machine Co Vehicle parking brake control
JPS5644955U (ko) * 1979-09-17 1981-04-22
US4441380A (en) * 1981-11-11 1984-04-10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Foot-operated control device for parking brake
JPS58105860A (ja) * 1981-12-16 1983-06-23 Toyota Motor Corp 足踏式パ−キングブレ−キ操作装置
DE4134052A1 (de) * 1991-10-15 1993-04-22 Scharwaechter Gmbh Co Kg Betaetigungseinrichtung fuer die handbremse von kraftfahrzeugen
US5448928A (en) * 1993-11-19 1995-09-12 Dura Automotive Systems, Inc. Variable ratio parking brake lever with self-adjust cable tensioning means
US5624352A (en) * 1995-09-05 1997-04-29 Dura Automotive Systems, Inc. Ignition-controlled parking brake interlock
US5832784A (en) * 1997-03-18 1998-11-10 Dura Automotive Systems, Inc. Variable ratio parking brake control with enhanced cable take-up
JPH11222110A (ja) * 1998-02-05 1999-08-17 Suzuki Motor Corp 車両用ペダルの配置構造
JP2001233188A (ja) * 2000-02-25 2001-08-28 Kuroishi Tekko Kk 車両用パーキングブレーキ装置
DE10029752C1 (de) * 2000-06-16 2002-01-03 Edscha Ag Feststellbremse
CN2680532Y (zh) * 2004-02-23 2005-02-23 河北中兴汽车制造有限公司 一种杠杆式副制动系统
US8707819B2 (en) * 2006-11-22 2014-04-29 Dura Operating Llc Parking brake
US8113086B2 (en) * 2007-03-26 2012-02-14 Dura Global Technologies, Llc Parking brake with separate pedal pivo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1927B1 (ko) * 2008-09-22 2011-03-17 에스엘 주식회사 풋 파킹 브레이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115618A1 (en) 2008-05-22
US20080116022A1 (en) 2008-05-22
US8707819B2 (en) 2014-04-29
CN101249823A (zh) 2008-08-27
US8245596B2 (en) 2012-08-21
CN101249823B (zh) 2012-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46589A (ko) 주차 제동장치
US4149433A (en) Variable ratio brake operating device
KR970705490A (ko) 케이블 이완 조절기(cable slack adjuster)
JP2702350B2 (ja) 自転車用ブレーキ装置
JP2018502004A (ja) ドラムブレーキの内部にある駐車ブレーキレバーの電動アクチュエータ
CN110023184A (zh) 同步制动系统
KR100461609B1 (ko) 브레이크 케이블 장력 조절 기구를 포함하는 주차 브레이크
US20080149434A1 (en) Parking brake and actuator mechanism
EP0164231B1 (en) Parking brake mechanism
US20110030497A1 (en) Self-adjust mechanism for parking brake assembly
US8113086B2 (en) Parking brake with separate pedal pivot
JP3925922B2 (ja) 自動変速機のシフトロッキング装置
US8250946B2 (en) Parking brake for a vehicle
KR100259244B1 (ko) 풋 작동식 주차 브레이크
JP2628791B2 (ja) 自動調節装置を備えた機械作動形ブレーキ
JPH0444899Y2 (ko)
JP2000079869A (ja) 足踏式パーキングブレーキペダル
JP4121878B2 (ja) パーキングブレーキのレバーブーツ取付構造
JP6796319B2 (ja) 足踏み式パーキングブレーキ装置
KR0184825B1 (ko) 차량의 주.정차시 미끄럼 방지장치
JP2002079923A (ja) ブレーキペダル装置
KR100372418B1 (ko) 이중 잠금 기능을 갖는 차량용 주차브레이크
JPWO2005051736A1 (ja) ブレーキペダル装置
EP1002708A1 (en) Vehicle parking brakes
CA2638483A1 (en) Self-adjusting torsion lock parking brak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