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6588A - 액정 장치 및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액정 장치 및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6588A
KR20080046588A KR1020070119056A KR20070119056A KR20080046588A KR 20080046588 A KR20080046588 A KR 20080046588A KR 1020070119056 A KR1020070119056 A KR 1020070119056A KR 20070119056 A KR20070119056 A KR 20070119056A KR 20080046588 A KR20080046588 A KR 200800465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substrate
crystal layer
polarizing plate
cryst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9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8606B1 (ko
Inventor
츠요시 마에다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46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65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8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86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02F1/133531Polariser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polariser or analyser ax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7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 G02F1/139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based on orientation effects in which the liquid crystal remains transparent
    • G02F1/1396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based on orientation effects in which the liquid crystal remains transparent the liquid crystal being selectively controlled between a twisted state and a non-twisted state, e.g. TN-LC cell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413/00Indexing scheme related to G02F1/13363, i.e. to 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characterised by the number, position, orientation or value of the compensation plates
    • G02F2413/10Indexing scheme related to G02F1/13363, i.e. to 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characterised by the number, position, orientation or value of the compensation plates with refractive index ellipsoid inclined, or tilted, relative to the LC-layer surface O plate
    • G02F2413/105Indexing scheme related to G02F1/13363, i.e. to 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characterised by the number, position, orientation or value of the compensation plates with refractive index ellipsoid inclined, or tilted, relative to the LC-layer surface O plate with varying inclination in thickness direction, e.g. hybrid oriented discotic L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1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parallax barri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과제)
2화면 이상을 표시 가능하고, 각각의 화상의 최적 표시 시각(visual angle)에 있어서의 계조를 높일 수 있는 액정 장치 및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
(해결 수단)
액정 장치는, 2개의 화상을 다른 방향으로 동시에 표시 가능하고, 한 쌍의 기판과, 해당 기판의 사이에 배치되어, 트위스트각(66)이 90도, 리타데이션이 0.35㎛인 액정층(40)을 구비한다. 또한, 시각 보상 필름(51a)(배향축(61a)), 편광판(52a)(흡수축(62a)), 시각 보상 필름(51b)(배향축(61b)), 편광판(52b)(흡수축(62b))을 구비한다. 배향축(61a), 흡수축(62a)은, 액정층(40)의 아래쪽 배향 방향(64)으로부터, 액정층(40)의 트위스트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1도 이상 3도 이하의 범위에서 어긋나고 있고, 배향축(61b), 흡수축(62b)은, 액정층(40)의 위쪽 배향 방향(65)으로부터, 액정층(40)의 트위스트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1도 이상 3도 이하의 범위에서 어긋나고 있다.

Description

액정 장치 및 전자 기기{LIQUID CRYST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본 발명은, 적어도 2개의 화상을 다른 방향으로 동시에 표시하는 액정 장치 및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 장치는, 한 쌍의 기판과, 해당 기판의 사이에 봉입된 액정층을 구비한다. 이러한 액정 장치의 한쪽의 기판의 표면에, 개구부를 갖는 배리어층이 형성된 배리어 마스크 기판을 더 포갬으로써, 2개의 화상을 다른 방향으로 동시에 표시할 수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특허 문헌 1에는, 이러한 2개의 화상을 이용하여 입체적인 표시를 행할 수 있는 3차원 화상 표시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상기 2개의 화상의 표시 방향을 보다 크게 다르게 함으로써, 예컨대, 다른 관찰자가 해당 2개의 화상을 사선의 좌우 방향으로부터 따로따로 시인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2화면 표시가 가능한 액정 장치에서는, 관찰자는, 정면 방향(즉, 기판의 법선 방향)으로부터가 아니라, 주로 사선 방향으로부터 표시를 관찰하게 된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보 제 2857429 호
그러나, 액정 장치는, 일반적으로 정면 방향의 표시의 계조가 최대가 되도록 구성되므로, 사선 방향으로부터 관찰한 경우에는 충분한 계조를 얻을 수 없다. 이 때문에, 이러한 액정 장치를 그대로 2화면 표시 용도로 이용하면, 각각의 화상의 최적 표시 시각에 있어서의 표시의 계조가 낮아져, 시인성이 불충분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이 나타내는 효과의 하나에 의해, 각각의 화상의 최적 표시 시각에 있어서의 계조를 높이는 것이 가능해져, 표시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정 장치는, 적어도 2개의 다른 화상을 다른 방향으로 동시에 표시하는 액정 장치로서, 투광성을 갖는 제 1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에 대향하여 배치된 투광성을 갖는 제 2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의 사이에 배치된, 트위스트각이 대략 90도인 액정층과, 상기 액정층과는 상기 제 1 기판에 대하여 반대쪽에 배치된 제 1 편광판과, 상기 액정층과는 상기 제 2 기판에 대하여 반대쪽에 배치된 제 2 편광판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편광판의 흡수축은, 상기 액정층의 상기 제 1 기판의 표면에서의 배향 방향으로부터, 상기 액정층의 트위스트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1도 이상 3도 이하의 범위에서 어긋나고 있고, 상기 제 2 편광판의 흡수축은, 상기 액정층의 상기 제 2 기판의 표면에서의 배향 방향으로부터, 상기 액정층의 트위스트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1도 이상 3도 이하의 범위에서 어긋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정면 방향(기판의 법선 방향)에서 보면 편광판의 흡수축이 직교하지 않고, 특정한 사선 방향에서 보면 직교하게 된다. 이것에 기인하여, 해당 사선 방향에서 최대의 계조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보다 자세하게는, 액정층의 트위스트 방향에 의해서 결정되는 명시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기운 방향에서, 최대의 계조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각각의 화상의 최적 표시 시각에 있어서의 계조를 높이는 것이 가능해져, 표시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액정층의 트위스트각과는 반대의 방향」은, 다음과 같은 방향을 가리킨다. 즉, 제 2 기판 쪽에서 보아, 액정층이 제 2 기판으로부터 제 1 기판으로 향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트위스트하고 있는 경우에는, 제 1 편광판의 흡수축에 대해서는 반시계 방향, 제 2 편광판의 흡수축에 대해서는 시계 방향이다. 또한, 제 2 기판 쪽에서 보아, 액정층이 제 2 기판으로부터 제 1 기판으로 향하여 시계 방향으로 트위스트하고 있는 경우에는, 제 1 편광판의 흡수축에 대해서는 시계 방향, 제 2 편광판의 흡수축에 대해서는 반시계 방향이다. 바꾸어 말하면, 제 1 편광판의 흡수축에 대해서는, 액정층의 제 1 기판의 표면에서의 배향 방향을 사이에 두고 명시 방향과는 반대쪽의 방향이며, 제 2 편광판의 흡수축에 대해서는, 액정층의 제 2 기판의 표면에서의 배향 방향을 사이에 두고 명시 방향과는 반대쪽의 방향이다. 또한, 제 1 기판과 제 1 편광판의 사이 및 제 2 기판과 제 2 편광판의 사이 에는, 적절히 투광성을 갖는 구성 요소를 더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액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정층의 리타데이션은, 0.30㎛ 이상 0.37㎛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의 리타데이션은, 액정 장치를 정면에서 관찰하는 경우를 상정하면 최적값보다 작은 값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액정 장치를 사선 방향에서 관찰할 때에, 액정층을 지나는 광의 광로가 길어지는 것에 기인하여 해당 광에 대한 외관의 리타데이션이 커져, 최적의 리타데이션을 얻을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리타데이션이 0.30㎛ 이상인 경우에는, 충분한 표시의 휘도를 확보할 수 있고, 상기 리타데이션이 0.37㎛ 이하인 경우에는, 정면으로부터 기운 방향에서 최적 계조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구성에 의하면, 각각의 화상의 최적 표시 시각에 있어서의 계조를 높이는 것이 가능해져, 표시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액정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1 편광판의 사이에 배치되고, 배향축이 상기 제 1 편광판의 흡수축과 대략 일치하는, 하이브리드 배향한 원반 형상(discotic) 고분자 액정을 포함하는 제 1 필름과, 상기 제 2 기판과 상기 제 2 편광판의 사이에 배치되고, 배향축이 상기 제 2 편광판의 흡수축과 대략 일치하는, 하이브리드 배향한 원반 형상 고분자 액정을 포함하는 제 2 필름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 1 필름 및 제 2 필름의 시각 보상 기능에 의해, 고계조를 얻을 수 있는 시각 범위가 확대된다. 이에 따라, 각각의 화상의 최적 표시 시각에 있어서의 계조를 높이는 것이 가능해져, 표시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액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정층의 리타데이션은, 대략 0.32㎛이며, 상기 제 1 편광판의 흡수축 및 상기 제 1 필름의 배향축은, 상기 액정층의 상기 제 1 기판의 표면에서의 배향 방향으로부터, 상기 액정층의 트위스트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대략 2도 어긋나고 있고, 상기 제 2 편광판의 흡수축 및 상기 제 2 필름의 배향축은, 상기 액정층의 상기 제 2 기판의 표면에서의 배향 방향으로부터, 상기 액정층의 트위스트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대략 2도 어긋나고 있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각각의 화상의 최적 표시 시각에 있어서의 계조를 특히 높일 수 있다.
상기 액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정층의 리타데이션은, 대략 0.35㎛이며, 상기 제 1 편광판의 흡수축 및 상기 제 1 필름의 배향축은, 상기 액정층의 상기 제 1 기판의 표면에서의 배향 방향으로부터, 상기 액정층의 트위스트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대략 2도 어긋나고 있고, 상기 제 2 편광판의 흡수축 및 상기 제 2 필름의 배향축은, 상기 액정층의 상기 제 2 기판의 표면에서의 배향 방향으로부터, 상기 액정층의 트위스트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대략 2도 어긋나고 있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각각의 화상의 최적 표시 시각에 있어서의 계조를 높일 수 있고, 또한 표시의 휘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자 기기는, 상기 액정 장치를 표시부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2 이상의 화상을 동시에 표시할 수 있고, 또한 각각의 화상의 최적 표시 시각에 있어서 계조가 높은 고화질의 표시가 가능한 전자 기기를 얻을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각각의 화상의 최적 표시 시각에 있어서의 계조를 높이는 것이 가능해져, 표시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액정 장치 및 전자 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이하에 나타내는 각 도면에 있어서는, 각 구성 요소를 도면상에서 인식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하므로, 각 구성 요소의 치수나 비율을 실제의 것과는 적당히 다르게 하고 있다.
(실시예 1)
<액정 장치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액정 장치(1)의 확대 평면도이며,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액정 장치(1)의 모식 단면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정 장치(1)는, 표시 패널로서의 액정 패널(2)과, 접착제(35)를 거쳐 액정 패널(2)에 접합된 배리어 마스크 기판(30)을 구비하고 있다.
액정 패널(2)은, 프레임 형상의 밀봉제(도시하지 않음)를 거쳐 대향하여 접합된 소자 기판(10) 및 대향 기판(20)을 갖고 있다. 소자 기판(10)과 대향 기판(20)의 간격은, 도시하지 않은 기둥 형상의 스페이서에 의해 유지되고 있다. 소 자 기판(10)에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 1 기판으로서의 유리 기판(11)이 포함되어 있고, 대향 기판(20)에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 2 기판으로서의 유리 기판(21)이 포함되어 있다. 소자 기판(10)과 대향 기판(20)의 사이에는, TN 모드의 액정층(40)이 봉입되어 있다. 배리어 마스크 기판(30)은, 유리 기판(31)을 기체(基體)로 하고 있다. 유리 기판(31)의 액정 패널(2) 쪽 표면에는, 개구부(33)가 마련된 차광성을 갖는 배리어층(32)이 형성되어 있다.
도 3(a) 및 도 3(b)는 각각 접합되기 전의 액정 패널(2) 및 배리어 마스크 기판(30)의 확대 평면도이다. 이들을 겹쳐 서로 접합시킨 것이 도 1에 나타내는 액정 장치(1)이다. 도 1 중의 하프톤(halftone) 부분은, 배리어 마스크 기판(30)에 형성된 배리어층(32)이 존재하는 영역을 나타내고 있다.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정 패널(2)은,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직사각형의 화소(4r, 4g, 4b)(이하에서는 정리하여 「화소(4)」라고도 부름)를 갖고 있고, 이들은 각각 적, 녹, 청의 표시를 행한다. 화소(4r, 4g, 4b)는, 도면 중의 X축 방향으로 이 순서대로 반복하여 배치되어 있고, Y축 방향에 대해서는, 동일한 색에 대응하는 화소(4)가 일렬로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늘어서도록 배치되어 있다. 인접하는 화소(4)의 사이에는, 흑색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차광층(1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화소(4)의 X축 방향에 대한 열을 화소열(5)이라고 부른다.
각 화소(4)는, 제 1 화상 또는 제 2 화상 중 어느 하나의 표시에 기여한다. 제 1 화상을 표시하는 화소(4)를 화소(4L), 제 2 화상을 표시하는 화소(4)를 화 소(4R)라고도 부른다. 본 실시예에서는, 화소(4L, 4R)는, 화소열(5)의 방향, 즉, X축 방향에 대하여 교대로 반복하여 배치되어 있고, Y축 방향에 대해서는 각각이 일렬로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늘어서도록 배치되어 있다.
배리어 마스크 기판(30)에 형성된 배리어층(32)은,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정 패널(2)의 법선 방향에서 보아 화소(4L)와 화소(4R)의 사이의 차광층(14)과 대략 겹치는 영역에 개구부(33)를 갖고 있다. 여기서, 「화소(4L)와 화소(4R)의 사이」란, 도면의 오른쪽으로부터 왼쪽으로 향하는 방향(즉, X축의 부(負) 방향)을 따라 화소(4L), 화소(4R)가 이 순서대로 인접하고 있는 부위를 말하고, 해당 방향을 따라 화소(4R), 화소(4L)가 이 순서대로 인접하고 있는 부위는 제외된다. 따라서, 개구부(33)는, X축 방향에 대하여, 하나 간격으로 차광층(14)에 대응하는 부위에 마련되게 된다. 또한, 개구부(33)의 폭은, 차광층(14)의 폭보다 약간 커져 있다.
계속해서, 도 2를 이용하여, 도 3(a)에 나타내는 액정 패널(2)과 도 3(b)에 나타내는 배리어 마스크 기판(30)이 접합된 상태(즉, 도 1에 나타내는 상태)의 액정 장치(1)의 구성에 대하여 상술한다.
액정 장치(1)에 포함되는 소자 기판(10)은, 화소(4)마다 형성된 TFT(Thin Film Transistor) 소자(22)와, TFT 소자(22)에 접속된 게이트선(도시하지 않음), 데이터선(28) 및 화소 전극(24) 등을 포함하는, 이른바, TFT 소자 기판이다. 소자 기판(10)에 포함되는 유리 기판(11)의 액정층(40) 쪽 표면에는, 제 1 층으로부터 제 4 층까지의 구성 요소가 적층되어 있다. 또한, 이들 각 층간의 구성 요소가 단 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 1 층과 제 2 층의 사이에는 층간 절연층(41)이, 제 2 층과 제 3 층의 사이에는 층간 절연층(42)이, 제 3 층과 제 4 층의 사이에는 층간 절연층(43)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 스위칭 소자로서는, 3단자의 TFT 소자(22) 대신에, 2단자의 TFD(Thin Film Diode) 소자 등을 이용하여도 좋다.
유리 기판(11)의 표면에 마련된 제 1 층에는, TFT 소자(22)의 게이트 전극(22g)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층의 위에는, SiO2 또는 SiN 등으로 이루어지는 층간 절연층(41)을 사이에 두고 제 2 층이 형성되어 있다. 제 2 층에는, 게이트 전극(22g)에 겹치는 위치에, 아모르파스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반도체층(22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반도체층(22a)의 소스 영역에는 소스 전극(22s)이, 또한 드레인 영역에는 드레인 전극(22d)이 일부 겹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반도체층(22a), 소스 전극(22s), 드레인 전극(22d), 게이트 전극(22g)에 의해, TFT 소자(22)가 구성된다.
제 2 층의 위에는, SiO2 또는 SiN 등으로 이루어지는 층간 절연층(42)을 사이에 두고 제 3 층이 형성되어 있다. 제 3 층에는, 데이터선(28)이 형성되어 있다. 데이터선(28)은, 층간 절연층(42)에 마련된 콘택트 홀을 거쳐 TFT 소자(22)의 소스 전극(22s)에 접속되어 있다.
제 3 층의 위에는, SiN 등으로 이루어지는 층간 절연층(43)을 사이에 두고, 제 4 층이 형성되어 있다. 제 4 층에는, 투광성을 갖는 ITO(Indium Tin Oxide)로 이루어지는 화소 전극(24)이 형성되어 있다. 화소 전극(24)은, 층간 절연층(42, 43)을 관통하여 형성된 콘택트 홀을 거쳐 TFT 소자(22)의 드레인 전극(22d)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 4 층의 표층(表層)에는, 폴리이미드로 이루어지는 배향막(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유리 기판(11)의, 액정층(40) 쪽과는 반대쪽의 면에는, 시각 보상 필름(51a), 편광판(52a)이 이 순서대로 적층 배치되어 있다. 시각 보상 필름(51a), 편광판(52a)은, 각각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 1 필름, 제 1 편광판에 대응한다. 유리 기판(11)상에 배치된, 시각 보상 필름(51a) 및 편광판(52a)을 포함하는 필름을, 이하에서는 정리하여 광학 필름(50a)이라고도 부른다. 광학 필름(50a)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액정 장치(1)를 향하여 광을 조사하는 백 라이트(48)가 배치되어 있다.
도 4는 광학 필름(50a)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모식 단면도이다. 광학 필름(50a)은, 점착층(55), 시각 보상 필름(51a), 편광판(52a)이 이 순서대로 적층된 구성을 갖고 있고, 또한 편광판(52a)은, 요오드를 포함하는 편광자(54)를, TAC(트리아세틸셀룰로즈) 필름(53)에 의해 사이에 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광학 필름(50a)은, 점착층(55)에 의해 유리 기판(11)에 접착되어 있다.
도 5는 시각 보상 필름(51a)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액정층(40) 및 시각 보상 필름(51a)의 모식 단면도이다. 시각 보상 필름(51a)은, 광학적으로 부의 1축성을 나타내는 편평한 원반 형상 고분자 액정(510)을 포함하고 있고, 해당 원반 형상 고분자 액정(510)의 네마틱 하이브리드 배향 구조를 고형화한 필름이다. 원반 형상 고분자 액정(510)이 형성하는 편평한 원반의 평면의 법선 방향과, 필름 평면이 이루는 각도는, 필름의 윗면과 아랫면에서 다르다(즉, 하이브리드 배향하고 있 음). 또한, 해당 각도는, 필름 윗면과 아랫면의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또한, 원반 형상 고분자 액정(510)이 형성하는 편평한 원반의 평면의 법선 방향을 필름 표면에 투영했을 때의 방향을, 시각 보상 필름(51a)의 배향축이라고 부른다.
시각 보상 필름(51a)은, 원반 형상 고분자 액정(510)에 의해 액정층(40)의 경사(tilt)를 보상할 수 있다. 즉, 시각 보상 필름(51a) 내의 원반 형상 고분자 액정(510)(부의 1축성의 분자)은, 경사 방향이 연속적으로 변화하고 있으므로, 액정층(40) 내의 액정 분자(정의 1축성의 분자)와의 사이에서 굴절률 이방성이 상쇄되는 조합이 존재한다. 이러한 조합에 착안하면, 어떠한 방향에서 보더라도 굴절률이 같아진다. 이 효과에 의해, 액정 장치(1)의 시각 특성이 개선되어, 표시를 사선 방향에서 관찰했을 때의 계조가 높아져, 시인성이 향상한다.
도 2로 되돌아가, 대향 기판(20)에 포함되는 유리 기판(21)의 액정층(40) 쪽의 표면에는, 화소(4r, 4g, 4b)에 각각 대응하여, 적색의 컬러 필터(12r), 녹색의 컬러 필터(12g)(도시하지 않음), 청색의 컬러 필터(12b)(이하 정리하여 「컬러 필터(12)」라고도 부름)가 형성되어 있다. 컬러 필터(12)는, 입사한 광 중 특정한 파장의 광을 흡수하는 층이며, 컬러 필터(12)에 의해 투과광을 소정의 색(예컨대, 적, 녹, 또는 청)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인접하는 화소(4)의 사이의 영역에는, 차광성을 갖는 흑색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차광층(14)이 형성되어 있다. 컬러 필터(12) 및 차광층(14)의 표층에는, 투광성을 갖는 ITO로 이루어지는 공통 전극(23)이 형성되어 있다. 공통 전극(23)은, 도시하지 않는 정전위선에 접속되어 있고, 일정한 전위로 유지되고 있다. 공통 전극(23)의 표층에는, 폴리이미드로 이루어지는 배향막(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또, 컬러 필터(12) 및 차광층(14)의 위에, 투광성을 갖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보호막(oveercoat)을 적층하고, 그 위에 공통 전극(23)을 형성하더라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소자 기판(10)과 대향 기판(20)의 사이에는 액정층(40)이 배치되어 있다. 액정층(40)은 TN 모드이며, 그 트위스트각은 90도로 되어 있다. 공통 전극(23)과 화소 전극(24)의 사이에 구동 전압이 인가되면, 액정층(40)에 전계가 발생한다. 액정층(40) 내의 액정 분자는, 이 전계에 따라 배향 상태가 변화한다. 액정 장치(1)는, 이 액정 분자의 배향 상태에 따른 편광 변환 기능과, 편광판(52a, 52b)의 편광 선택 기능을 이용하여 표시를 행한다.
유리 기판(21)의, 액정층(40)과는 반대쪽의 표면에는, 접착제(35)를 거쳐 배리어 마스크 기판(30)이 접합되어 있다. 배리어 마스크 기판(30)은, 유리 기판(31)을 기체로 하여, 유리 기판(31)의 액정층(40) 쪽의 면에 배리어층(32)이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유리 기판(21)은, 화학 에칭 또는 CMP(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등에 의해 약 50㎛의 두께로 가공되어 있다. 이 가공에 의해, 실질적으로 표시광이 사출되는 컬러 필터(12)와, 배리어층(32)의 개구부(33)의 거리가 조절되고, 그 결과, 컬러 필터(12)로부터 개구부(33)에 이르는 광로의 각도가 조절된다. 이에 따라, 액정 장치(1)에 의해 제 1 화상 및 제 2 화상을 바람직한 각도로 표시할 수 있다.
유리 기판(31)의 바깥쪽 표면(즉, 유리 기판(21) 쪽과는 반대쪽의 면)에는, 시각 보상 필름(51b) 및 편광판(52b)이, 이 순서대로 적층 배치되어 있다. 시각 보상 필름(51b), 편광판(52b)은, 각각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 2 필름, 제 2 편광판에 대응한다. 유리 기판(31)상에 배치된, 시각 보상 필름(51b) 및 편광판(52b)을 포함하는 필름을, 이하에서는 정리하여 광학 필름(50b)이라고도 부른다. 광학 필름(50b)의 구성은, 광학 필름(50a)과 마찬가지이고, 그 상세한 것은 도 4에 표시되어 있다.
<액정 장치에 의한 2화면 표시>
도 6은 상기 구성의 액정 장치(1)의 단면 구조를, 시각과, 그 시각에 있어서 시인되는 표시의 관계와 함께 나타낸 도면이다. 이 도면은, 화소(4b)(화소(4R))와 화소(4r)(화소(4L))의 사이에 배치된 개구부(33)를 지나는 광에 착안하여 그려져 있다. 다른 개구부(33)를 지나는 광의 움직임도 이 도면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이 도면에 있어서는, 광로의 설명의 편의상, 유리 기판(21)이 두텁게 그려져 있고, 또한 소자 기판(10)의 구성 요소는 생략되어 있다.
화소(4r)로부터의 표시광은, 개구부(33)를 지나, 공기층에 입사할 때에 굴절한 후에, 부호 9r을 부여한 각도 범위에서 시인된다. 마찬가지로 하여, 화소(4g), 화소(4b)로부터의 표시광은, 각각 부호 9g, 9b를 부여한 각도 범위에서 시인된다. 각도 범위 9r과 각도 범위 9b, 각도 범위 9r과 각도 범위 9g, 및 각도 범위 9b와 각도 범위 9g는, 일부 중복한다.
이 결과, 정면으로부터 왼쪽으로 분포하는 각도 범위 VL에서는, 화소(4b)로부터의 표시광은 배리어층(32)에서 차폐되어 시인되지 않고, 화소(4r)로부터의 표시광만이 시인된다. 한편, 정면으로부터 오른쪽으로 분포하는 각도 범위 VR에서는, 화소(4r)로부터의 표시광은 배리어층(32)에서 차폐되어 시인되지 않고, 화소(4b)로부터의 표시광만이 시인된다. 바꾸어 말하면, 각도 범위 VL에서는, 화소(4L)에 의한 제 1 화상만이 시인되고, 각도 범위 VR에서는, 화소(4R)에 의한 제 2 화상만이 시인된다. 이와 같이, 액정 장치(1)는, 각도 범위 VL, VR에서 2개의 다른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각도 범위 VL, VR은, 개구부(33)의 폭이나 유리 기판(21)의 두께 등에 따라 조절할 수 있고, 예컨대, 유리 기판(21)의 법선 방향으로부터 15도 이상 50도 이하의 범위로 할 수 있다. 특히, 유리 기판(21)의 법선 방향으로부터 30도의 각도에 있어서 적합하게 제 1 화상 또는 제 2 화상을 관찰할 수 있다.
또, 각도 범위 VL, VR에 끼워진 정면 방향의 각도 범위 VC에서는, 화소(4b) 및 화소(4r)로부터의 표시광이 함께 시인된다. 즉, 각도 범위 VC는, 제 1 화상 및 제 2 화상이 함께 표시되는 혼재 영역이 되어 있다. 이것은, 개구부(33)의 X축 방향의 폭이, 차광층(14)의 X축 방향의 폭보다 커져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액정 장치(1)는, 2개의 다른 화상을 다른 방향으로 동시에 표시 가능한, 이른바, 2화면 표시 디스플레이이며, 사선 좌우 방향에서 관찰되는 것이 되므로, 넓은 시야각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정면 방향으로부터 30도 전후 기운 방향에서 관찰했을 때의 계조가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광학 조건>
이러한 요청을 만족시키기 위해, 액정 장치(1)는, 광학 조건에 특징을 갖고 있다. 도 7은 액정 장치(1)에 있어서의 광학 조건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 도면에 있어서의 X축 방향은, 관찰시의 좌우 방향에 대응하고, Y축 방향은, 마찬가지로 상하 방향으로 대응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Y축 방향을 기준으로 각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의 각도에는 +를, 시계 방향의 각도에는 -를 부여하여 나타낸다.
액정층(40)의, 유리 기판(11)의 표면에서의 배향 방향(64), 유리 기판(21)의 표면에서의 배향 방향(65)은, 각각 Y축 방향에 대하여 +45도, -45도의 각도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액정층(40)의 트위스트각(66)은 90도로 되어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유리 기판(21)(위 기판)으로부터 유리 기판(11)(아래 기판)으로 향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트위스트하고 있다. 이 때문에, 명시 방향은 12시 방향(+Y 방향에서 보는 방향)이 된다. 상기 배향 방향(64, 65)은, 배향막의 연마 처리의 방향에 일치한다.
또한, 액정층(40)의 리타데이션(Δnd)은, 0.35㎛로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Δn은 액정층(40)에 포함되는 액정 분자의 굴절률 이방성, d는 액정층(40)의 두께이다. 상기 리타데이션의 값은, 액정 장치(1)를 정면에서 관찰하는 경우를 상정하면 최적값보다 작은 값이다. 이와 같이 설정함으로써, 액정 장치(1)를 사선 방향에서 관찰할 때에, 액정층(40)을 지나는 광의 광로가 길어지는 것에 기인하여 해당 광에 대한 리타데이션이 커져, 최적의 리타데이션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시각 보상 필름(51a)의 배향축(61a)과, 편광판(52a)의 흡수축(62a)은 동일하며, Y축 방향에 대하여 +47도의 각도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액정층(40)의 유리 기판(11)의 표면에서의 배향 방향(+45도)으로부터, 액정층(40)의 트위스트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2도 어긋나있는 것이 된다. 바꾸어 말하면, 배향축(61a) 및 흡수축(62a)은, 액정층(40)의 유리 기판(11)의 표면에서의 배향 방향(64)을 사이에 두고 명시 방향과는 반대쪽의 방향으로 2도 어긋나있다. 이하에서는, 배향축(61a) 및 흡수축(62a)을 정리하여 아래쪽 광학축이라고도 부른다.
또한, 시각 보상 필름(51b)의 배향축(61b)과, 편광판(52b)의 흡수축(62b)은 동일하며, Y축 방향에 대하여 -47도의 각도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액정층(40)의 유리 기판(21)의 표면에서의 배향 방향(-45도)으로부터, 액정층(40)의 트위스트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2도 어긋나있는 것이 된다. 바꾸어 말하면, 배향축(61b) 및 흡수축(62b)은, 액정층(40)의 유리 기판(21)의 표면에서의 배향 방향(65)을 사이에 두고 명시 방향과는 반대쪽의 방향으로 2도 어긋나고 있다. 이하에서는, 배향축(61b) 및 흡수축(62b)을 정리하여 위쪽 광학축이라고도 부른다.
상기를 환언하면, 아래쪽 광학축과 위쪽 광학축이 이루는 각은, Y축을 중심으로 하는 94도로서, 액정층(40)의 트위스트각(66)보다 좌우로 2도씩 넓혀져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정면 방향(유리 기판(21)의 법선 방향)에서 보면 편광판(52a, 52b)의 흡수축(62a, 62b)이 직교하지 않고, 특정한 사선 방향에서 본 경우에 직교하게 된다. 이것에 기인하여, 해당 사선 방향에 있어서 최대의 계조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보다 자세하게는, 액정층(40)의 트위스트 방향에 의해 결정되는 명시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기운 방향에서, 최대의 계조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명시 방향은 12시 방향이므로, 이것에 직교하는 3시 방향 및 9시 방향, 즉, 정면으로부터 좌우로 기운 방향에서 관찰했을 때에 최대의 계조를 얻을 수 있는 것이 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액정층(40)의 리타데이션을 0.35㎛로 작게 설정하고 있으므로, 정면으로부터 기운 방향에서 관찰했을 때에 외관의 리타데이션이 증가하여, 최적의 리타데이션, 즉, 고계조를 얻을 수 있는 리타데이션이 된다. 이들의 작용에 의해, 액정 장치(1)는, 정면으로부터 좌우로 기운 방향에서 관찰했을 때에 고계조의 표시를 행할 수 있다.
도 8, 도 9는 액정 장치(1)에 있어서의 계조의 시각 특성을, 종래의 구성의 액정 장치와 비교한 도면이다. 자세하게는, 도 8은 좌우 방향의 시각에 대한 표시의 계조를 그래프로 한 것이며, 도 9는 상하 좌우로 시각을 바꾸었을 때의 등계조 곡선을 그린 것이다. 도 8 중의 곡선(71)은, 본 실시예의 액정 장치(1)의 시각 특성, 곡선(72)은, 종래의 구성의 액정 장치의 시각 특성이다. 여기서, 종래의 구성이란, 액정층의 리타데이션이 0.40㎛이며, 편광판의 흡수축 및 시각 보상 필름의 배향축이 모두 액정층의 기판 표면에서의 배향 방향에 일치하는 구성이다. 이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액정 장치(1)는, 제 1 화상, 제 2 화상을 시인할 수 있는 좌우 30도 부근의 시각 범위에 있어서 계조가 높여지고 있다. 특히, 좌우 30도의 시각 방향에서는, 종래의 구성의 액정 장치의 계조는 약 100에 머물고 있는데 대하여, 액정 장치(1)의 계조는 약 900이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액정 장치(1)는, 제 1 화상, 제 2 화상의 최적 표시 시각에 있어서 고계조의 표시를 행하는 것이 가 능하고, 높은 시인성을 갖는다.
액정 장치(1)를 제조하는 것에 있어서는, 상기한 종래의 구성의 액정 장치에 대하여, 액정층(40)의 리타데이션을 작게 하기 위해 액정층(40)의 두께를 작게 하고, 시각 보상 필름(51a, 51b) 및 편광판(52a, 52b)의 각도를 변경하면 좋다. 액정층(40)의 두께를 작게 하기 위해서는, 예컨대, 기둥 형상의 스페이서의 높이를 작게 하면 좋고, 이러한 변경은 스페이서의 높이의 제어를 용이하게 하는 방향이므로, 액정 장치(1)는, 종래의 구성의 액정 장치보다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시각 보상 필름(51a, 51b) 및 편광판(52a, 52b)의 각도의 변경은 2도로 고정되어, 생산 개수에 영향을 미치는 일이 없으므로, 제조 비용을 높이는 일 없이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2)
계속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액정 장치(1A)에 대하여 설명한다. 액정 장치(1A)는, 실시예 1에 따른 액정 장치(1)에 있어서 액정층(40)의 리타데이션을 0.35㎛로부터 0.32㎛로 변경한 것이고, 그 밖의 구성에 대해서는 액정 장치(1)와 동일하다. 따라서, 액정 장치(1A)의 확대 평면도는 도 1에 표시된 것과 동일하며, 모식 단면도는 도 2에 표시된 것과 동일하다.
<광학 조건>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 장치(1A)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 1 의 액정 장치(1)에 있어서 광학 조건을 변경한 경우의 특성의 변화에 대하여 말한다. 실시예 1에 나타낸 액정 장치(1)는, 그 광학 조건을 변경함으로써, 시각 특성을 바꿀 수 있다. 도 10은 액정 장치(1)의 구성에 있어서 아래쪽 광학축(배향축(61a), 흡수축(62a)) 및 위쪽 광학축(배향축(61b), 흡수축(62b))을 바꾸었을 때의, 액정층(40)의 리타데이션과, 좌우 30도 방향의 계조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중의 6개의 곡선은, 아래쪽 광학축 및 위쪽 광학축의 각도를 변경한 경우의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곡선(88CR, 90CR, 92CR, 94CR, 96CR, 98CR)은, 아래쪽 광학축과 위쪽 광학축이 이루는 각이 각각 88도, 90도, 92도, 94도, 96도, 98도인 경우의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12는 이들의 광학 조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a)는 90도 트위스트한 액정층(40)의 배향 방향(64, 65)을 나타내고 있고, 도 12(b), 도 12(c), 도 12(d), 도 12(e), 도 12(f), 도 12(g)는 각각 아래쪽 광학축과 위쪽 광학축이 이루는 각이 상기 88도, 90도, 92도, 94도, 96도, 98도인 경우에 대응하는 아래쪽 광학축 및 위쪽 광학축을 나타내고 있다. 어느 쪽의 경우에 있어서도, 아래쪽 광학축과 위쪽 광학축은, Y축에 대하여 좌우 대칭의 관계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실시예 1의 액정 장치(1)에 있어서 광학 조건을 변경하면, 시각 특성이 크게 변화한다.
본 실시예의 액정 장치(1A)는, 아래쪽 광학축과 위쪽 광학축이 이루는 각이 94도(액정 장치(1)와 동일)이므로, 그 특성은 도 10 중의 곡선(94CR)에 의해 표시된 것이 된다. 그리고, 액정 장치(1A)에서는, 액정층(40)의 리타데이션이 0.32㎛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그래프로부터 알 수 있듯이, 좌우 30도의 시각 방향에 대한 계조는 약 1400이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액정 장치(1A)에 의하면, 제 1 화상 및 제 2 화상의 최적 표시 시각에 있어서의 계조를 특히 높일 수 있다.
<변형예>
본 발명의 실시에서는, 광학 조건은 상기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편광판(52a)의 흡수축(62a)은, 액정층(40)의 유리 기판(11)의 표면에서의 배향 방향(64)으로부터, 액정층(40)의 트위스트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1도 이상 3도 이하의 범위로 비키어 놓을 수 있고, 편광판(52b)의 흡수축(62b)은, 액정층(40)의 유리 기판(21)의 표면에서의 배향 방향(65)으로부터, 액정층(40)의 트위스트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1도 이상 3도 이하의 범위로 비키어 놓을 수 있다. 도 10에 있어서는, 곡선(92CR, 94CR, 96CR)이 이 조건에 해당한다. 그리고, 이들의 조건하에서, 액정층(40)의 리타데이션을 0.37㎛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도 10의 그래프로부터 알 수 있듯이, 좌우 30도의 시각 방향에서 계조를 300 이상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도 11은 액정 장치(1)의 구성에 있어서 아래쪽 광학축(배향축(61a), 흡수축(62a)) 및 위쪽 광학축(배향축(61b), 흡수축(62b))을 바꾸었을 때의, 액정층(40)의 리타데이션과, 투과율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중의 6개의 곡선(88T, 90T, 92T, 94T, 96T, 98T)은, 도 10과 마찬가지로, 아래쪽 광학축과 위쪽 광학축이 이루는 각을 각각 88도, 90도, 92도, 94도, 96도, 98도로 한 경우의 특성이며, 그 때의 아래쪽 광학축 및 위쪽 광학축의 상세는, 각각 도 12(b)∼(g)에 표시되어 있다.
도 11로부터 알 수 있듯이, 어느 쪽의 광학 조건하에서도, 액정층(40)의 리타데이션이 클수록 높은 투과율을 얻을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투과율을 높게 함으로써, 제 1 화상 및 제 2 화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투과율은, 리타데이션이 0.30㎛ 이상인 경우에는 변화가 적은 한편, 0.30㎛를 하회하면 급격히 저하한다. 따라서, 투과율을 확보하는 관점에서는, 액정층(40)의 리타데이션을 0.30㎛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으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에서는, 아래쪽 광학축과 위쪽 광학축이 이루는 각에 대해서는 92도 이상 96도 이하의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고, 그 외에 또, 액정층(40)의 리타데이션을 0.30㎛ 이상 0.37㎛ 이하의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 1 화상 및 제 2 화상의 최적 표시 시각에 있어서의 휘도를 확보하면서 계조를 높일 수 있고, 나아가서는 이들의 화상의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실시예 3)
계속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액정 장치(1B)에 대하여, 도 13, 도 1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액정 장치(1B)는, 실시예 1의 액정 장치(1)로부터, 화소(4L, 4R), 개구부(33)의 배치 위치에 변경을 가한 것이다. 그 밖의 점은 실시예 1의 액정 장치(1)와 마찬가지이므로, 이하, 상위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 도 13, 도 14에 있어서는, 도 1, 도 3의 실시예와 같은 요소에는 같은 부호를 부여하 여 나타내는 것으로 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은 실시예 3에 따른 액정 장치(1B)의 확대 평면도이다. 액정 장치(1B)도, 제 1 화상 및 제 2 화상을 다른 방향으로 동시에 표시 가능한, 이른바 2화면 표시 디스플레이이다. 액정 장치(1B)는, 액정 장치(1)와 마찬가지로, 표시 패널로서의 액정 패널(2B)과, 배리어 마스크 기판(30B)이 접착제(35)를 거쳐 접합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14(a) 및 도 14(b)는 각각 접합되기 전의 액정 패널(2B) 및 배리어 마스크 기판(30B)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13 중의 하프톤 부분은, 배리어 마스크 기판(30B)에 형성된 배리어층(32)이 존재하는 영역을 나타내고 있다.
도 1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정 패널(2B)은, 각각 적, 녹, 청의 표시를 행하는 직사각형의 화소(4r, 4g, 4b)를 갖고 있다. 화소(4r, 4g, 4b)는, 도면 중의 X축 방향으로 이 순서대로 반복하여 배치되어 있고, Y축 방향에 대해서는, 동일한 색에 대응하는 화소(4)가 일렬로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늘어서도록 배치되어 있다. 인접하는 화소(4)의 사이에는, 차광층(14)이 형성되어 있다.
각 화소(4)는, 제 1 화상을 표시하는 화소(4L), 제 2 화상을 표시하는 화소(4R) 중 어느 하나에 할당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화소(4L, 4R)는, X축 방향에 대하여 교대로 반복하여 배치되어 있고, 또한 이것과 직교하는 Y축 방향에 대해서도, 교대로 반복하여 배치되어 있다. 즉, 각 화소열(5)의 X축 방향에 대한 구성 요소의 순서는, 어떤 화소열(5)에 있어서도, 화소(4L), 차광층(14), 화소(4R), 차광층(14)의 순이며, 이것을 단위로 하여 반복되고 있지만, 인접하는 화소열(5)의 사이에서는 상기 반복의 단위가 반피치씩 어긋나도록 배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 면, 화소열(5)에 직교하는 방향(Y축 방향)에 대하여, 화소(4L)와 화소(4R)가 화소열(5)마다 교대로 늘어서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 1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리어 마스크 기판(30B)에 형성된 배리어층(32)의 개구부(33)의 위치도, 실시예 1의 액정 장치(1)로부터 변경되어 있다. 배리어층(32)은, 액정 패널(2B)의 법선 방향에서 보아 화소(4L)와 화소(4R)의 사이의 차광층(14)과 대략 겹치는 영역에 개구부(33)를 갖고 있다. 여기서, 「화소(4L)와 화소(4R)의 사이」란, 도면의 오른쪽으로부터 왼쪽으로 향하는 방향(즉, X축의 부 방향)을 따라 화소(4L), 화소(4R)가 이 순서대로 인접하고 있는 부위를 말하고, 해당 방향을 따라 화소(4R), 화소(4L)가 이 순서대로 인접하고 있는 부위는 제외된다. 이상으로부터, 개구부(33)는, X축 방향, Y축 방향 중 어디에 대해서도, 하나 간격의 차광층(14)에 대응하는 부위에 마련되는 것이 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화소(4L, 4R)의 배치 패턴에 맞추어 개구부(33)도 화소열(5)마다 반피치씩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화소열(5)의 Y축 방향의 폭과 대략 같은 길이의 슬릿 형상의 개구부(33)가, 사선 방향으로 늘어서는 형태로 되어 있다. 이러한 배리어층(32)은, 스텝 배리어라고도 불린다. 또한, 개구부(33)의 폭은, 차광층(14)의 폭보다 약간 커져 있다.
이러한 스텝 배리어를 이용한 구성의 액정 장치(1B)에서는, 동일한 색상의 표시를 행하는 화소(4L) 중 가장 근접하는 2개의 화소(4L)의 사이의 거리가, 2화면 표시를 행하지 않는 통상의 액정 장치에 있어서의 해당 거리의 √2배가 되므로, 표시의 해상도는 통상의 액정 장치의 1/√2배가 된다. 이 특징은, 화소(4R)에 대해 서도 마찬가지이다. 한편, 실시예 1의 액정 장치(1)와 같이 화소(4L, 4R)가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늘어서 있는 경우는, 해상도는 통상의 액정 장치의 1/2배이므로, 본 실시예의 구성으로 함으로써 해상도를 실시예 1로부터 √2배 향상시킬 수 있다.
액정 장치(1B)의 단면 구조, 및 시각과, 그 시각에 있어서 시인되는 표시의 관계는, 실시예 1의 액정 장치(1)와 마찬가지이고, 도 6에 표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액정 장치(1B)도, 각도 범위 VL, VR에서, 서로 다른 제 1 화상, 제 2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액정 장치(1B)는, 액정 장치(1)와 마찬가지로, 액정층(40)의 리타데이션이 0.35㎛로 되어 있다. 그리고, 시각 보상 필름(51a)의 배향축(61a)과, 편광판(52a)의 흡수축(62a)이, 액정층(40)의 유리 기판(11)의 표면에서의 배향 방향(+45도)으로부터, 액정층(40)의 트위스트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2도 어긋나고 있고, 시각 보상 필름(51b)의 배향축(61b)과, 편광판(52b)의 흡수축(62b)이, 액정층(40)의 유리 기판(21)의 표면에서의 배향 방향(-45도)으로부터, 액정층(40)의 트위스트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2도 어긋나고 있다. 이러한 특징에 의해, 액정 장치(1B)도, 액정 장치(1)와 마찬가지로, 제 1 화상, 제 2 화상의 최적 표시 시각에 있어서 고계조의 표시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높은 시인성을 갖는다.
(전자 기기에의 탑재예)
상술한 액정 장치(1)(액정 장치(1A, 1B)를 포함함. 이하 동일)는, 예컨대, 도 15에 나타내는 전자 기기로서의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용 표시 장치(100)에 탑재 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 표시 장치(100)는, 표시부(110)에 내장된 액정 장치(1)에 의해, 2개의 화상을 다른 방향으로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운전석 쪽에 지도의 화상을 표시하고, 또한 조수석 쪽에 영화의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그때, 계조가 높은 고화질의 표시를 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을 적용한 액정 장치(1)는, 상기 표시 장치(100) 외에, 모바일 컴퓨터,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차량 탑재 기기, 오디오 기기 등의 각종 전자 기기에 이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상기 실시예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취지로부터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변형예로서는, 예컨대, 이하와 같은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변형예 1)
상기 각 실시예의 액정 장치(1)는, 2개의 화상을 동시에 표시하는 것이지만, 3개 이상의 화상을 동시에 표시하는 것이라도 좋다. 3개의 화상을 동시에 표시시키는 경우는, 제 1 화상을 표시하는 화소(4L), 제 2 화상을 표시하는 화소(4R)에 덧붙여, 제 3 화상을 표시하는 화소(4C)를 마련하고, 이들을 투과한 표시광을, 배리어 마스크 기판(30)의 배리어층(32)에 의해 다른 방향으로 사출하도록 구성하면 좋다. 또한, 표시의 방향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컬러 필터(12)와 배리어층(32)의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면 좋다.
(변형예 2)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액정층(40)의 트위스트각(66)은 90도이며, 위쪽 광학축 및 아래쪽 광학축은, 액정층(40)의 배향 방향(64, 65)으로부터 2도 어긋난 각도로 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정밀하게 이들의 각도에 일치하고 있을 필요는 없고, 대략 일치하고 있으면 충분하다. 예컨대, 공정의 편차 등에 기인하여 이들의 각도에 ±1도 정도의 오차가 발생했다고 해도, 대략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에 따른 액정 장치의 확대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액정 장치의 모식 단면도,
도 3(a)는 액정 패널의 확대 평면도, 도 3(b)는 배리어 마스크 기판의 확대 평면도,
도 4는 광학 필름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
도 5는 시각 보상 필름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액정층 및 시각 보상 필름의 모식 단면도,
도 6은 도 1의 액정 장치의 단면 구조를, 시각과, 그 시각에 있어서 시인되는 표시의 관계와 함께 나타낸 도면,
도 7은 액정 장치에 있어서의 광학 조건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8은 액정 장치에 있어서의 계조의 시각 특성을, 종래의 구성의 액정 장치와 비교한 그래프,
도 9는 액정 장치에 있어서의 계조의 시각 특성을, 종래의 구성의 액정 장치와 비교한 도면,
도 10은 액정 장치에 있어서 아래쪽 광학축 및 위쪽 광학축을 바꾸었을 때의, 액정층의 리타데이션과, 좌우 30도 방향의 계조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액정 장치에 있어서 아래쪽 광학축 및 위쪽 광학축을 바꾸었을 때의, 액정층의 리타데이션과, 투과율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a) 내지 도 12(g)는 도 10 및 도 11에 있어서의 광학 조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실시예 3에 따른 액정 장치의 확대 평면도,
도 14(a)는 액정 패널의 확대 평면도, 도 14(b)는 배리어 마스크 기판의 확대 평면도,
도 15는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용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A, 1B : 액정 장치 2 : 액정 패널
4, 4r, 4g, 4b, 4L, 4R : 화소 5 : 화소열
10 : 소자 기판
11 : 제 1 기판으로서의 유리 기판 12 : 컬러 필터
14 : 차광층 20 : 대향 기판
21 : 제 2 기판으로서의 유리 기판 22 : TFT 소자
23 : 공통 전극 24 : 화소 전극
28 : 데이터선 30 : 배리어 마스크 기판
31 : 유리 기판 32 : 배리어층
33 : 개구부 35 : 접착제
40 : 액정층 41, 42, 43 : 층간 절연층
48 : 백 라이트 50a, 50b : 광학 필름
51a : 제 1 필름으로서의 시각 보상 필름
51b : 제 2 필름으로서의 시각 보상 필름
52a : 제 1 편광판 52b : 제 2 편광판
61a, 61b : 배향축 62a, 62b : 흡수축
64, 65 : 배향 방향 66 : 트위스트각
100 :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용 표시 장치

Claims (6)

  1. 적어도 2개의 다른 화상을 다른 방향으로 동시에 표시하는 액정 장치로서,
    투광성을 갖는 제 1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에 대향하여 배치된 투광성을 갖는 제 2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의 사이에 배치된, 트위스트각이 대략 90도인 액정층과,
    상기 액정층과는 상기 제 1 기판에 대하여 반대쪽에 배치된 제 1 편광판과,
    상기 액정층과는 상기 제 2 기판에 대하여 반대쪽에 배치된 제 2 편광판
    을 구비하되,
    상기 제 1 편광판의 흡수축은, 상기 액정층의 상기 제 1 기판의 표면에서의 배향 방향으로부터, 상기 액정층의 트위스트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1도 이상 3도 이하의 범위에서 어긋나고 있고,
    상기 제 2 편광판의 흡수축은, 상기 액정층의 상기 제 2 기판의 표면에서의 배향 방향으로부터, 상기 액정층의 트위스트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1도 이상 3도 이하의 범위에서 어긋나고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층의 리타데이션(retardation)은, 0.30㎛ 이상 0.37㎛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1 편광판의 사이에 배치되고, 배향축이 상기 제 1 편광판의 흡수축과 대략 일치하는, 하이브리드 배향한 원반 형상(discotic) 고분자 액정을 포함하는 제 1 필름과,
    상기 제 2 기판과 상기 제 2 편광판의 사이에 배치되고, 배향축이 상기 제 2 편광판의 흡수축과 대략 일치하는, 하이브리드 배향한 원반 형상 고분자 액정을 포함하는 제 2 필름
    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층의 리타데이션은, 대략 0.32㎛이며,
    상기 제 1 편광판의 흡수축 및 상기 제 1 필름의 배향축은, 상기 액정층의 상기 제 1 기판의 표면에서의 배향 방향으로부터, 상기 액정층의 트위스트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대략 2도 어긋나고 있고,
    상기 제 2 편광판의 흡수축 및 상기 제 2 필름의 배향축은, 상기 액정층의 상기 제 2 기판의 표면에서의 배향 방향으로부터, 상기 액정층의 트위스트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대략 2도 어긋나고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층의 리타데이션은, 대략 0.35㎛이며,
    상기 제 1 편광판의 흡수축 및 상기 제 1 필름의 배향축은, 상기 액정층의 상기 제 1 기판의 표면에서의 배향 방향으로부터, 상기 액정층의 트위스트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대략 2도 어긋나고 있고,
    상기 제 2 편광판의 흡수축 및 상기 제 2 필름의 배향축은, 상기 액정층의 상기 제 2 기판의 표면에서의 배향 방향으로부터, 상기 액정층의 트위스트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대략 2도 어긋나고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액정 장치를 표시부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KR1020070119056A 2006-11-22 2007-11-21 액정 장치 및 전자 기기 KR1014086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315186 2006-11-22
JP2006315186A JP5068066B2 (ja) 2006-11-22 2006-11-22 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6588A true KR20080046588A (ko) 2008-05-27
KR101408606B1 KR101408606B1 (ko) 2014-06-17

Family

ID=38950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9056A KR101408606B1 (ko) 2006-11-22 2007-11-21 액정 장치 및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583334B2 (ko)
EP (1) EP1925968A3 (ko)
JP (1) JP5068066B2 (ko)
KR (1) KR101408606B1 (ko)
CN (1) CN101187753B (ko)
TW (1) TWI42736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86024A (ja) * 2007-09-27 2009-04-23 Seiko Epson Corp 画像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CN101738786B (zh) * 2008-11-26 2011-12-28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液晶面板
CN103119499A (zh) * 2010-07-13 2013-05-22 瑞尔D股份有限公司 用于短焦3d投影的视场补偿偏振开关
TWI414844B (zh) * 2010-07-15 2013-11-11 Au Optronics Corp 液晶顯示面板
JP5628611B2 (ja) * 2010-09-16 2014-11-19 三菱電機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KR101730499B1 (ko) * 2010-11-25 2017-04-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012226151A (ja) * 2011-04-20 2012-11-15 Sony Corp 表示装置およびバリア装置
JP5745979B2 (ja) 2011-09-16 2015-07-08 三菱電機株式会社 マルチプルビュー液晶表示装置
CN103941477B (zh) * 2013-03-29 2016-08-17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US9664945B2 (en) 2013-03-29 2017-05-30 Au Optronics Corporation Display apparatus
JP2015179217A (ja) * 2014-03-19 2015-10-08 株式会社 オルタステクノロジー 液晶表示装置
CN114859596A (zh) * 2021-02-03 2022-08-05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30715A (en) * 1980-03-17 1981-10-13 Sharp Corp Multilayered liquid-crystal display device
JP2857429B2 (ja) 1989-10-02 1999-02-17 日本放送協会 3次元画像表示装置および方法
JPH04338732A (ja) * 1991-05-16 1992-11-26 Seiko Epson Corp 液晶表示素子
JP2640083B2 (ja) * 1993-09-22 1997-08-13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光学補償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3096613B2 (ja) * 1995-05-30 2000-10-10 三洋電機株式会社 立体表示装置
JPH1039285A (ja) * 1996-07-19 1998-02-13 Casio Comput Co Ltd 液晶表示装置
JP3061119B2 (ja) * 1997-07-15 2000-07-10 日本電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FR2777361B1 (fr) * 1998-04-14 2003-06-20 Sextant Avionique Amelioration de l'angle de vue d'un ecran lcd par decroisement
CN100504535C (zh) * 2002-10-17 2009-06-24 夏普株式会社 显示器件和显示器件装载设备
JP4176766B2 (ja) * 2002-10-17 2008-11-05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搭載機器
KR100577799B1 (ko) * 2004-02-16 2006-05-11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프린지 필드 구동 모드 액정표시장치에서의 편광축 및 러빙축을 배열하는 방법
JP4223993B2 (ja) * 2004-05-25 2009-02-12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液晶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25968A3 (en) 2009-11-04
US7583334B2 (en) 2009-09-01
TWI427364B (zh) 2014-02-21
CN101187753A (zh) 2008-05-28
JP2008129375A (ja) 2008-06-05
US20080117365A1 (en) 2008-05-22
JP5068066B2 (ja) 2012-11-07
EP1925968A2 (en) 2008-05-28
KR101408606B1 (ko) 2014-06-17
TW200834170A (en) 2008-08-16
CN101187753B (zh) 2013-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8606B1 (ko) 액정 장치 및 전자 기기
KR101391479B1 (ko)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기기
KR100723073B1 (ko) 시각 제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액정 표시 장치, 및 전자기기
KR20080067582A (ko) 전기 광학 장치, 전자 기기, 전기 광학 장치의 구동 방법
US8081274B2 (en) Liquid crystal device having a first polarizing element deviated up to a range of plus or minus 1 degree relative to a Y axis of a second polarizing element
WO2013027386A1 (en) High brightness and contrast multiple-view display
US8212978B2 (en) Liquid crystal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JP3901172B2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9192865A (ja) 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EP3249456B1 (en) Head-up display device
JP2008083324A (ja) 液晶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5514410B2 (ja) 液晶表示装置
JP5508700B2 (ja) 液晶表示装置
JP2007121490A (ja) 液晶表示素子
JP4314906B2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7334147A (ja) 液晶表示装置
JP2017198774A (ja) 液晶表示装置
JP2010169785A (ja) 2画面液晶表示装置
WO2019123709A1 (ja) 液晶パネルおよびそれを備える液晶表示装置
JP2013164626A (ja) 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JP4832547B2 (ja) 半透過型液晶表示装置
JP2006098467A (ja) 液晶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14102521A (ja) 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