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6202A - 신경퇴행성 질환의 치료를 위한 2-아미노알콜 - Google Patents

신경퇴행성 질환의 치료를 위한 2-아미노알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6202A
KR20080046202A KR1020087006810A KR20087006810A KR20080046202A KR 20080046202 A KR20080046202 A KR 20080046202A KR 1020087006810 A KR1020087006810 A KR 1020087006810A KR 20087006810 A KR20087006810 A KR 20087006810A KR 20080046202 A KR20080046202 A KR 200800462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kyl
disease
conh
aryl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6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빈 마크 배니스터
마이클 하베이 린
Original Assignee
소세이 리서치 앤드 디벨롭먼트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세이 리서치 앤드 디벨롭먼트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소세이 리서치 앤드 디벨롭먼트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80046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62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3Amines
    • A61K31/135Amines having aromatic rings, e.g. ketamine, nortriptyline
    • A61K31/137Arylalkylamines, e.g. amphetamine, epinephrine, salbutamol, ephedrine or methad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4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normal movements, e.g. chorea, dyskinesia
    • A61P25/16Anti-Parkinson dr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iatry (AREA)
  • Psycholog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신경퇴행성 병태의 치료에서 쓰이기 위한 의약의 제조에서의 식(I)의 화합물의 용도로, 여기서, R1은 CHR4-OR5 또는 CHR4-SR5, 또는 임의로 하나 이상의 R6기로 치환된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이고; R2는 알킬 또는 R3를 갖는 랑의 일부이고; R3는 H, 알킬 또는 CH2(R2가 있는 링의 일부가 형성될 때)이고; R4는 H 또는 킬이거나, R5가 있는 링의 일부이고; R5는 아릴 또는 임의로 R7으로 치환된 헤테로 아릴이고; 각각 R6는 독립적으로 알킬, CF3, OH, O알킬, OCO알킬, CONH2, CN, 할로겐, NH2, NO2, NHCHO, NHCONH2, NHSO2알킬, CONH2, SOMe, SO2NH2, S알킬, CH2SO2알킬 또는 OCON알킬2이고; R7은 R8 또는 (CH2)nOR8, R9, CF3, OH, OR9, OCOR9, COR9, COOR9, CONH2, CH2CONH2, CN, 할로겐, NH2, NO2, NHCHO, NHCONH2, NHCONHR7, NHCON(R9)2, NHCOR9, NHCO아릴, NHSO2ME, CONH2, SMe, SOMe 또는 SO2NH2이다; R8은 (CH2)nOR9, (CH)nCOOR9 또는 (CH2)nCO아릴이다; R9은 알킬 또는 시클로알킬이고; 그리고 n은 1 내지 4이다.
Figure P1020087006810
신경퇴행성 질환, 2-아미노알콜

Description

신경퇴행성 질환의 치료를 위한 2-아미노알콜{2-AMINOALCOHOLS FOR THE TREATMENT OF NEURODEGENERATIVE DISEASES}
본 발명은 신경퇴행성 질환의 치료에 관한 것이다.
신경퇴행성 질환은 뇌 또는 말초신경 기능에 영향을 주는 병태이다. 이 질환은 뉴런의 퇴화의 결과이고 진행성 중추 또는 말초 신경 기능이상의 특징이 있다. 이 질환은 두 그룹으로 나뉠 수 있다: 운동 및 감각에 이상을 야기하는 병태 또는 기억에 영향을 주거나 치매와 관련된 병태. 신경퇴행성질환은 알렉산더 병(Alexander disease), 알퍼스 병(Alper's disease), 알츠하이머 질환(Alzheimer's disease), 근위축성측삭경화증(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모세혈관 확장성운동 실조증(ataxia telangiectasia), 카나반 병(Canavan disease), 코카인 증후군(Cockayne syndrome), 피질 기저핵 변성(corticobasal degeneration), 클로이츠 펠트-야곱병(Creutzfeldt-Jakob disease), 헌팅턴병(Huntington disease), 케네디병(Kennedy's disease), 크라베병(Krabbe disease), 루이소체 치매(Lewy body dementia), 마차도-조세프 병(Machado-Joseph disease),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 파킨슨씨 병(Parkinson's disease), 펠리제우스-메르츠바하병(Pelizaeus-Merzbacher disease), 피크 병(Pick's disease), 원발성 측삭 경화증(primary lateral sclerosis), 레프섬 병(Refsum's disease), 샌드호프병(Sandhoff disease), 실더병(Schilder's disease), 스틸-리차드슨-올스제위스키(Steele-Richardson-Olszewski disease), 척수매독(tabes dorsalis) 및 길리안바레 증후군(Guillain-barre syndrome)을 포함한다. 현재 이러한 병태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책은 없거나 또는 매우 적은 치료만이 가능하다.
도 1은 신경학적 기록에서 야기된 모델에서 (+)-에리트로-2-tert-부틸아미노-1-(3-클로로페닐)-프로판-1-올 히드로클로라이드(실시예1) 및 코폭산의 효과를 보여준다.
놀랍게도, 베타-아미노 알콜이 신경퇴행성 질환의 치료에 유용하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베타-아미노 알콜은 하기 식(I)의 화합물 또는 그것의 염으로:
Figure 112008020288686-PCT00001
여기서, R1은 CHR4-OR5 또는 CHR4-SR5, 또는 임의로 하나 이상의 R6기로 치환된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이고;
R2는 알킬 또는 R3를 갖는 링의 일부이고;
R3는 H, 알킬 또는 CH2(R2가 있는 링의 일부가 형성될 때)이고;
R4는 H 또는 알킬이거나, R5가 있는 링의 일부이고;
R5는 아릴 또는 임의로 R7로 치환된 헤테로 아릴이고;
각각 R6는 독립적으로 알킬, CF3, OH, O알킬, OCO알킬, CONH2, CN, 할로겐, NH2, NO2, NHCHO, NHCONH2, NHSO2알킬, CONH2, SOMe, SO2NH2, S알킬, CH2SO2알킬 또는 OCON알킬2이고;
R7은 R8 또는 (CH2)nOR8, R9, CF3, OH, OR9, OCOR9, COR9, COOR9, CONH2, CH2CONH2, CN, 할로겐, NH2, NO2, NHCHO, NHCONH2, NHCONHR7, NHCON(R9)2, NHCOR9, NHCO아릴, NHSO2ME, CONH2, SMe, SOMe 또는 SO2NH2이고;
R8은 (CH2)nOR9, (CH)nCOOR9 또는 (CH2)nCO아릴이다;
R9은 알킬 또는 시클로알킬이고; 그리고
n은 1 내지 4이다.
본 발명은 염, 예를 들어 히드로클로라이드, 그것의 대사산물 및 프로-드럭 뿐만 아니라 (I)의 어느 부분입체이성질체 및 거울상 이성질체를 언급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몇몇 식(I)의 화합물은 혈압강하, 혈관 확장, 교감신경 흥분, 기관지 확장 또는 알파와 베타 아드레날린 수용체에서 작용 및 반작용을 통한 심장 자극 활성을 갖는다. 이러한 약제는 하나 이상의 키랄중심(chiral centre)을 갖고 알파 또는 베타 아드레날린 수용체에서 그들의 활성은 주로 또는 단독으로 거울상 이성질체의 하나에만 존재한다. 만약 분자가 하나 이상의 키랄 중심을 갖는다면, 알파 또는 베타 아드레날린 수용체에의 활성은 부분입체이성질체 중 하나에 주로 존재할 것이다.
바람직한 (I)의 부분입체 이성질체나 거울상 이성질체는 알파 또는 베타 아드레날린 수용체에서 활성이 적거나 없다. 활성은 인 비트로 측정법의 정확한 사용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I)의 화합물은 알렉산더 병(Alexander disease), 알퍼스 병(Alper's disease), 알츠하이머 질환(Alzheimer's disease), 근위축성측삭경화증(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모세혈관 확장성운동 실조증(ataxia telangiectasia), 카나반병(Canavan disease), 코카인 증후군(Cockayne syndrome), 피질 기저핵 변성(corticobasal degeneration), 클로이츠 펠트-야곱병(Creutzfeldt-Jakob disease), 헌팅턴병(Huntington disease), 케네디병(Kennedy's disease), 크라베병(Krabbe disease), 루이소체 치매(Lewy body dementia), 마차도-조세프 병(Machado-Joseph disease),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 파킨슨씨 병(Parkinson's disease), 펠리제우스-메르츠바하병(Pelizaeus-Merzbacher disease), 피크병(Pick's disease), 원발성 측삭 경화증(primary lateral sclerosis), 레프섬 병(Refsum's disease), 샌드호프병(Sandhoff disease), 실더병(Schilder's disease), 스틸-리차드슨-올스제위스키(Steele-Richardson-Olszewski disease), 척수매독(tabes dorsalis) 및 길리안바레 증후군(Guillain-barre syndrome)을 포함한 신경퇴행성질환을 치료하는데 유용하다.
식(I)의 화합물은 본 발명에 따라 단독으로, 다른 치료 제제와 함께 혼합되어, 또는 다른 치료제가 주입되는 환자의 치료에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런 다른 제제는 콜린에스테라제 억제제(예를 들어 갈란타민, 리바스티그민, 도네페질, 타크린을 포함), 스테로이드, 인터페론 및 AMPA, 카이네이트 약제 및 NMDA 길항제(예를 들어 메만틴 포함)와 같은 글루타메이트 수용체 약제를 포함한다.
어느 적절한 주입 경로가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구적, 국부적, 비경구적, 뇌, 척골, 눈, 직장내, 질내, 점막내, 볼, 혀 밑 및 비강내 운반 경로가 적절할 것이다. 활성약제의 투여량은 병태의 특질 및 정도, 환자의 연령 및 병태 그리고 기존 당업자에게 알려진 다른 요소에 의존할 것이다. 전형적인 투여량은 1일 1~3회로 0.1-100mg이다.
다음의 예는 본 발명을 설명한 것이다.
실험적 알레르기성 뇌척수막염(Experimental Allergic Encephalomyelitis, EAE)은 중추신경계, 자가면역계, 탈수초성 질병(demyleinating disease)으로, 이것은 다발성 경화증의 많은 양상을 모방한다.
방법
적응된 SJL 마우스를 뇌염유발물질의 접종원으로 작용하는 프로인드보조약(Freund's complete adjuvant)에 단백지질 단백질(PLP) 피하 주사로 민감하게 하였다. 접종원을 200ul의 부피 중에 125ug PLP/300ug CFA의 농도로 피하적으로 주입하였다. 48시간 후에, 혈뇌장벽 투과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결핵균 독소(PTX)를 복강내 주사로 20ug/kg의 투여량으로 주입하였다.
(+)-에리트로-2-tert-부틸아미노-1-(3-클로로페닐)-프로판-1-올 히드로클로라이드와 코폭산이 실험 첫날부터 끝날때 까지 하루에 한번씩 주입하였다. (+)-에리트로-2-tert-부틸아미노-1-(3-클로로페닐)-프로판-1-올 히드로클로라이드는 10mg/kg의 투여량으로 경구적으로 주입하였다. 코폭산은 25 mg/kg의 투여량으로 복막내로 주입하였다. 실험 전체에 걸쳐, 조심스런 임상 실험과 체중을 취하여 동물의 건강을 관찰할 수 있었다. 게다가, EAE 증상의 임상점수는 다음과 같이 전형적으로 0-5 등급으로 나누었고:
0 정상 반응
1 꼬리 허약함
2 뒷다리 허약 및 부전
3 뒷다리 마비
4 사지마비
5 빈사상태/죽음
결과
도 1은 SJL 마우스 EAE 신경병성 점수에 대한 비히클 대조((+)-에리트로-2-tert-부틸아미노-1-(3-클로로페닐)-프로판-1-올 히드로클로라이드) 대 경구투여된 (+)-에리트로-2-tert-부틸아미노-1-(3-클로로페닐)-프로판-1-올 히드로클로라이드(10mg/kg)와 복막내로 투여된 코폭산(25mg/kg)의 효과를 설명한 것이다.
EAE-유도 마우스는 비히클 그룹에 의해 정의된 것과 같이 분명한 신경성 장애가 나타났다. 뒷다리에서의 허약은 10일까지 기록하였고 17일에 최대 신경성 장애 점수 2로 최고였고; 이것은 걷기와 불안전한 보조에서 장애와 관련있다.
(+)-에리트로-2-tert-부틸아미노-1-(3-클로로페닐)-프로판-1-올 히드로클로라이드는 최대 신경성 점수에서는 개선이 보여지지 않지만 비히클과 비교한 질병 해결책을 증진시키는 증상에서 더 빠른 개선을 나타내었다.
코폭산은 신경성 증상의 발병을 2-3일까지 지체시켰으나 모델의 상황이 보기에 더 나빠지면서 증상의 개선에는 효과가 없었다.
이러한 자료는 (+)-에리트로-2-tert-부틸아미노-1-(3-클로로페닐)-프로판-1-올 히드로클로라이드가 다발성 경화증의 SJL EAE 모델에서 양적효과를 가지고, 이 분자가 다발성 경화증에 강한 치료제임을 제시한다.

Claims (7)

  1. 신경변성 병태의 치료용 의약의 제조를 위한 식(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의 용도:
    Figure 112008020288686-PCT00002
    여기서, R1은 CHR4-OR5 또는 CHR4-SR5, 또는 임의로 아릴이나 하나 이상의 R6기로 치환된 아릴 또는 헤티로아릴이고;
    R2는 알킬 또는 R3를 갖는 링의 일부이고;
    R3는 H, 알킬 또는 CH2(R2가 있는 링의 일부가 형성될 때)이고;
    R4는 H 또는 알킬이거나, R5가 있는 링의 일부이고;
    R5는 아릴 또는 임의로 R7으로 치환된 헤테로 아릴이고;
    각각 R6는 독립적으로 알킬, CF3, OH, O알킬, OCO알킬, CONH2, CN, 할로겐, NH2, NO2, NHCHO, NHCONH2, NHSO2알킬, CONH2, SOMe, SO2NH2, S알킬, CH2SO2알킬 또는 OCON알킬2이고;
    R7은 R8 또는 (CH2)nOR8, R9, CF3, OH, OR9, OCOR9, COR9, COOR9, CONH2, CH2CONH2, CN, 할로겐, NH2, NO2, NHCHO, NHCONH2, NHCONHR7, NHCON(R9)2, NHCOR9, NHCO아릴, NHSO2ME, CONH2, SME, SOMe 또는 SO2NH2이고;
    R8은 (CH2)nOR9, (CH)nCOOR9 또는 (CH2)nCO아릴이고;
    R9은 알킬 또는 시클로알킬이고; 그리고
    n은 1 내지 4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병태가 다발성 경화증인 용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병태가 알츠하이머 질환인 용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병태가 파킨슨씨 병인 용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키랄이고, 알파 또는 베타 아드레날린 수용체에서 활성이 상대적으로 거의 없거나 아예 없는 부분 입체이성질체 또는 거울상 이성질체의 형태인 용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는 콜린스테라제 억제 제, 스테로이드, 인터페론 및 AMPA, 카파 약제 및 NMDA 길항제와 같은 글루타메이트 수용체 약제로 부터 선택되는 다른 치료제를 또한 투여받는 것인 용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 (I) 및 상기 다른 약제는 혼합하여 제공되는 것인 용도.
KR1020087006810A 2005-09-21 2006-09-21 신경퇴행성 질환의 치료를 위한 2-아미노알콜 KR2008004620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0519274.5 2005-09-21
GBGB0519274.5A GB0519274D0 (en) 2005-09-21 2005-09-21 The treatment of neurodegenerative diseas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6202A true KR20080046202A (ko) 2008-05-26

Family

ID=35335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6810A KR20080046202A (ko) 2005-09-21 2006-09-21 신경퇴행성 질환의 치료를 위한 2-아미노알콜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2) US8188152B2 (ko)
EP (1) EP1928443A1 (ko)
JP (1) JP5032482B2 (ko)
KR (1) KR20080046202A (ko)
CN (1) CN101291661A (ko)
AU (1) AU2006293671B2 (ko)
BR (1) BRPI0616392A2 (ko)
CA (1) CA2623092A1 (ko)
GB (1) GB0519274D0 (ko)
IL (1) IL190182A0 (ko)
NO (1) NO20081589L (ko)
WO (1) WO20070342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604824D0 (en) * 2006-03-09 2006-04-19 Arakis Ltd The treatment of inflammatory disorders
GB0624757D0 (en) * 2006-12-12 2007-01-17 Sosei R & D Ltd Novel compounds
GB2484977A (en) * 2010-10-29 2012-05-02 Biocopea Ltd Treatment of a Th-1 mediated diseas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64459A (en) * 1992-07-13 1993-11-23 Arch Development Corporation Use of β-adrenergic agonists to treat patients with demyelinating or autoimmune diseases
EP1094809A2 (en) * 1998-06-26 2001-05-02 Elaine A. Delack Use of histamine h2 mimicking substances for the treatment of multiple sclerosis
US6337328B1 (en) * 1999-03-01 2002-01-08 Sepracor, Inc. Bupropion metabolites and methods of use
US6342496B1 (en) * 1999-03-01 2002-01-29 Sepracor Inc. Bupropion metabolites and methods of use
IL138686A0 (en) * 1999-10-01 2001-10-31 Pfizer Prod Inc α- SULFONYLAMINO HYDROXAMIC ACID INHIBITORS OF MATRIX METALLOPROTEINASES FOR THE TREATMENT OF PERIPHERAL OR CENTRAL NERVOUS SYSTEM DISORDERS
EP1300405B1 (en) 2000-07-13 2007-04-18 Sankyo Company, Limited Amino alcohol derivatives
PL373490A1 (en) * 2001-08-29 2005-09-05 Eucro European Contract Research Gmbh & Co.Kg Use of beta-adrenoceptor agonists for the treatment of neurodegenerative diseases
US20040002546A1 (en) 2001-09-15 2004-01-01 Eric Altschuler Methods for treating crohn's and other TNF associated diseases
GB0325957D0 (en) 2003-11-06 2003-12-10 Arakis Ltd The treatment of pain
EP1725226A2 (en) * 2004-03-17 2006-11-29 Sosei R&D Ltd. The treatment of inflammatory disorders and pain using beta-aminoalcohols
DE602006016934D1 (de) * 2005-04-06 2010-10-28 Adamas Pharmaceuticals Inc Verfahren und zusammensetzungen zur behandlung von zns-erkrankung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6293671B2 (en) 2010-07-01
US8188152B2 (en) 2012-05-29
CA2623092A1 (en) 2007-03-29
EP1928443A1 (en) 2008-06-11
CN101291661A (zh) 2008-10-22
NO20081589L (no) 2008-04-16
BRPI0616392A2 (pt) 2011-06-21
AU2006293671A1 (en) 2007-03-29
US20120269767A1 (en) 2012-10-25
WO2007034200A1 (en) 2007-03-29
IL190182A0 (en) 2008-11-03
JP2009508926A (ja) 2009-03-05
JP5032482B2 (ja) 2012-09-26
GB0519274D0 (en) 2005-11-02
US20090192229A1 (en) 2009-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07323A (en) Treatment of psychosexual dysfunctions
CA2764665C (en) Compositions for treating drug addiction and improving addiction-related behavior
RU2005112712A (ru) Индазолы, бензотиазолы, бензоизотиазолы, их получение и применение
RU2424795C2 (ru) Лечение аутоиммунных заболеваний
CA2528622A1 (en) Combination of an nmda receptor antagonist and a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 for the treatment of depression and other mood disorders
KR100858232B1 (ko) 카바메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거동 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US9051335B2 (en) Antipruritic agent for pruritus caused by multiple sclerosis
CA2303815A1 (en) N,n-bis (phenylcarbamoylmethyl) dimethylammonium chloride and derivatives in the treatment of pain
AU782492B2 (en) Method for the treatment of neurological or neuropsychiatric disorders
JPS59130215A (ja) 錐体外運動障害の軽減法
JP4885455B2 (ja) 抗偏頭痛剤として有用なα−アミノアミド誘導体
KR20080046202A (ko) 신경퇴행성 질환의 치료를 위한 2-아미노알콜
KR100893328B1 (ko) 정신신경질환 약품
JPH06321774A (ja) 全身麻酔薬とセレギリンを含有する麻酔薬組成物
US6500866B1 (en) 1-(adamantyl)amidines and their use in the treatment of conditions generally associated with abnormalities in glutamatergic transmission
Speizer et al. The influence of propranolol on abnormal behaviour induced in rats by prolonged isolation--an animal model for mania?
EP0317933A2 (en) Treatment of fibromyalgia
RU2019134182A (ru) Новые способы лечения рассеянного склероза
TW201808285A (zh) 焦慮症處置用組成物及處置方法
US7407990B2 (en) Therapeutic Agents
JP4362368B2 (ja) 神経因性疼痛および群発および偏頭痛に伴う疼痛の防止または処置に使用するためのカルバメート化合物
JP2667495B2 (ja) 脳機能改善剤
RU99125616A (ru) Соединения
BORHANI Use of trimethidinium methosulfate (a new ganglionic blocking agent) in the treatment of hypertension
RU99126120A (ru) Амидиновые производные как ингибиторы синтазы оксида азот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