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3214A - 색 처리 장치, 방법 및 색 처리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매체 - Google Patents

색 처리 장치, 방법 및 색 처리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3214A
KR20080043214A KR1020070077691A KR20070077691A KR20080043214A KR 20080043214 A KR20080043214 A KR 20080043214A KR 1020070077691 A KR1020070077691 A KR 1020070077691A KR 20070077691 A KR20070077691 A KR 20070077691A KR 20080043214 A KR20080043214 A KR 200800432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gamut
value
predetermined
conver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7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9264B1 (ko
Inventor
야스나리 기시모토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43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32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9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92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67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matri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6Colour picture communication systems
    • H04N1/56Processing of colour picture signals
    • H04N1/60Colour correction or control
    • H04N1/6058Reduction of colour to a range of reproducible colours, e.g. to ink- reproducible colour gam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Facsimile Image Signal Circuits (AREA)
  • Color Image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색 처리 장치는 색역(色域) 변환 요소와, 제어 요소와, 색 변환·클리핑(clipping) 요소를 구비한다. 색역 변환 요소는 설정한 색역 변환 조건에 따라 입력 색 신호의 색역 변환을 행한다. 제어 요소는 입력 색 신호 중 소정의 색 공간상에서의 위치가 색 재현역(再現域) 외이고 또한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색값을 상기 색역 변환 요소에 의한 색역 변환 대상으로부터 제외시킨다. 색 변환·클리핑 요소는 색 공간 변환 후에 특정 장치에 의존하는 색 공간상에서의 특정 장치의 색 재현역으로부터 일탈해 있는 색값에 대하여, 상기 색 재현역 내에 들어가도록 단수(端數)를 처리하는 클리핑을 행한다.
Figure P1020070077691
클리핑, 색역 변환 요소, 색 재현역, 색 처리 장치

Description

색 처리 장치, 방법 및 색 처리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 매체{COLOR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COLOR PROCESSING PROGRAM}
본 발명은 색 처리 장치, 방법 및 색 처리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 매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특정 장치에 의존하지 않는 소정의 색 공간상에서의 입력 색 신호의 색역(色域)이 특정 장치의 색 재현역(再現域) 내에 들어가도록 색역 변환 조건을 설정하여 입력 색 신호의 변환을 행하는 색역 변환 요소를 구비한 색 처리 장치, 방법, 및 컴퓨터를 색 처리 장치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색 처리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 매체에 관한 것이다.
컬러 프린터나 디스플레이 등의 화상 출력 장치가 재현할 수 있는 색역이나, 스캐너 등의 화상 입력 장치가 수용할 수 있는 색역은 장치의 종별(種別)이나 기종마다 상이하고,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을 컬러 프린터에 의해 인쇄 출력시키는 등의 경우, 디스플레이로의 화상 표시에 사용하고 있는 색 신호를 컬러 프린터에 그대로 출력했다고 하면, 양쪽 장치에서의 색역의 차이 등에 의해, 양쪽 장치에 의해 재현되는 화상 색은 현저하게 상이하다. 이 색 재현의 차이를 개선하는 기술로서, 출력 대상의 색 신호의 색을 특정 장치(디바이스)에 의존하지 않는 디바이스 비의존 색 공간(예를 들어 CIE(Commission Internationale de l'Eclairage: 국제 조명 위원회)가 추장(推奬)한 L*a*b* 색 공간과 같은 균등 지각 색 공간이나 3자극값 XYZ 표색계의 색 공간, CIECAM02(Colour Appearance Model 2002)와 같은 컬러 어피어런스 모델에 의해 규정되는 CAM 색 공간 등)상에서, 색 신호 출력 대상 디바이스의 색역 내의 색으로 치환하는 색역 변환(가뮤트(Gamut) 매핑(mapping)이라고도 함)을 행하는 것이 종래부터 제안되어 있다.
색역 변환에서의 변환 조건의 설정은, 예를 들어 소정의 변환 룰(매핑 룰이라고도 함)을 적용하여 입력 색값을 출력 색역(출력 측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비의존 색 공간상에서의 색 재현역) 내의 임의의 색값(출력 색값)으로 변환하고, 양자를 대응시키는 것을, 입력 색역(입력 측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비의존 색 공간상에서의 색 재현역) 내에 위치하는 각각의 색값을 입력 색값으로서 각각 행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상기의 변환 룰로서는, 종래부터 다양한 룰이 제안되어 있고, 예를 들어 일본국 특허제3171081호 공보에는 출력 색역을 산출하는 동시에, 투영 목표점(기준 앵커(anchor))을 산출하고, 입력 색 신호가 출력 색역 외이면 입력 색 신호를 투영 목표점으로 투영하고, 출력 색역 외곽과의 교점을 출력 색 신호로 하는 변환 룰을 적용하여 색역 변환 조건을 설정함에 있어서, 입력 색 신호의 명도가 상한값 초과, 상한값 이하 또한 하한값 이상, 하한값 미만 중 어느 것에 해당하는지에 따라 투영 목표점의 명도를 변경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기준 앵커를 사용하는 변환 룰 등과 같이, 출력 색역의 형상과는 무관하게 디바이스 비의존 공간상에서의 입력 색값의 이동 방향(투영 방향)을 결정하고, 입력 색값을 출력 색역의 외곽상에 투영하는(출력 색역의 외곽과의 교차 위치를 출력 색값으로 함) 변환 룰에서는, 디바이스 비의존 공간상에서 입력 색값 근방에서의 출력 색역의 외곽면이 입력 색값의 이동 방향과 평행 또는 평행에 가까운 방향이었을 경우(예를 들어 기준 앵커가 입력 색값과 거의 동등한 명도이면, 입력 색값 근방에서의 출력 색역의 외곽면이 디바이스 비의존 공간의 명도 축과 수직 또는 수직에 가까운 방향이었을 경우)에, 입력 색값의 약간의 변화에 대하여 출력 색값이 크게 변화하기 때문에, 색역 변환 조건을 설정하여 색역 변환을 행하면, 색역 변환 후의 색 신호에 계조의 갭이나 계조의 역전이 생김으로써 계조의 연속성이 손상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상황을 고려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색 처리 장치, 방법 및 색 처리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색 처리 장치는 색역(色域) 변환 요소, 제어 요소, 색 변환·클리핑(clipping) 요소를 포함한다. 색역 변환 요소는 특정 장치에 의존하지 않는 소정의 색 공간상에서의 특정 장치의 색 재현역을 나타내는 색 재현역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변환 룰을 적용하고, 상기 소정의 색 공간상에서의 입력 색 신호의 색역이 상기 색 재현역 내에 들어가도록 상기 입력 색 신호의 색역을 변환하기 위한 색역 변환 조건을 설정하고, 설정한 색역 변환 조건에 따라 입력 색 신호의 색역 변환을 행한다. 제어 요소는 입력 색 신호 중 상기 소정의 색 공간상에서의 위치가 상기 색 재현역 외이고 또한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색값을 상기 색역 변환 요소에 의한 색역 변환 대상으로부터 제외시킨다. 색 변환·클리핑 요소는 상기 색역 변환 요소에 의한 색역 변환을 거친 색 신호에 대하여 상기 특정 장치에 의존하는 색 공간으로의 변환을 행하는 동시에, 상기 색 공간 변환 후에 상기 특정 장치에 의존하는 색 공간상에서의 특정 장치의 색 재현역으로부터 일탈해 있는 색값에 대하여, 상기 색 재현역 내에 들어가도록 단수(端數)를 처리하는 클리핑을 행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일례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시스템(10)의 개략 구성이 나타나 있다. 컴퓨터·시스템(10)은 LAN 등으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12)에, PC(Personal Computer: 퍼스널 컴퓨터) 등으로 이루어지는 복수 대의 클라이언트 단말(14)과, 컴퓨터·시스템(10)에 화상(데이터)을 입력하는 입력 디바이스(16)와, 컴퓨터·시스템(10)으로부터 입력된 색 신호를 화상으로서 가시화(可視化)하는 출력 디바이스(18)가 각각 접속되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입력 디바이스(16)로서는 예를 들어 원고를 판독하여 색 신호를 출력하는 스캐너를 들 수 있고, 출력 디바이스(18)로서는 예를 들어 입력된 색 신호가 나타내는 화상을 용지에 인쇄하는 화상 형성 장치(프린터, 또는 프린터에 복사기나 팩시밀리 장치로서의 기능도 부가된 복합기)를 들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12)는 인터넷 등의 컴퓨터·네트워크에도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다.
네트워크(12)에 접속된 각각의 클라이언트 단말(14)은 CPU(14A), RAM 등으로 이루어지는 메모리(14B), HDD(Hard Disk Drive: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4C), 네트워크 인터페이스(I/F)부(14D)를 구비하고 있고, 네트워크 I/F부(14D)를 통하여 네트워크(12)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14)에는 출력 디바이스의 하나인 표시 장치(20), 입력 요소로서의 키보드(22) 및 마우스(24)가 각각 접속되어 있다. 또한, 스캐너 등의 입력 디바이스(16)나 화상 형성 장치 등의 다른 출력 디바이스(18)에 대해서도 표시 장치(20)와 마찬가지로 클라이언트 단말(14)에 직접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입력 디바이스(16)로서는 스캐너 이외에 디지털 스틸 카메라 등을 들 수 있지만, 디지털 스틸 카메라 등은 클라이언트 단말(14)에 직접 접속된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14)의 HDD(14C)에는 OS(Operating System) 프로그램, OS상에서 동작하여 입력 디바이스(16)나 출력 디바이스(18)를 사용하는 각종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클라이언트 단말(14)에 의해 다음에 서술하는 색 변환 처리를 행하기 위한 색 변환 프로그램이 미리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색 변환 처리에서 사용하는 프로파일 등의 색 변환 조건을 등록할 수 있는 색 변환 조건(DB)(데이터 베이스), 색 예측 모델 및 베이스 데이터도 각각 기억되어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는 주로 색 신호를 취급하는 컬러 프로파일(CLUT 등)을 생성 하고, 생성한 컬러 프로파일을 사용하여 디지털 화상 신호의 색 변환 처리를 행하는 장치 중에서, 그 컬러 프로파일 작성 시의 색역 변환에 관계된다. 여기에서의 컬러 프로파일은, 색 변환 처리를 행하는 계수이며, 계수의 저장 형식이 ICC(INTERNATIONAL COLOR CONSORTIUM) 유래의 것이나 다른 저장 형식일 수도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예시적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단말(14)에서는 어떤 입력 디바이스(16)로부터 입력된 화상 데이터나, 어떤 출력 디바이스(18)에서의 화상 출력에 사용한 화상 데이터를 다른 디바이스(출력 디바이스(18))에서의 화상 출력에 사용하는 경우에, 상이한 디바이스에서 재현, 또는 받아들이는 화상 색의 어피어런스(appearance)의 차를 보정하는 색 변환 처리를 행한다(도 2 참조). 또한, 도 2에서는, 화상 데이터를 입력한 입력 디바이스(16)나 먼저 화상 출력을 행한 출력 디바이스(18)를 「제 1 디바이스」, 뒤에 화상 출력을 행하는 출력 디바이스(18)(화상 데이터 출력 대상의 출력 디바이스(18))를 「제 2 디바이스」로 표기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색 변환 처리는 제 1 색 변환, 제 2 색 변환, 색역 변환, 제 3 색 변환 및 제 4 색 변환의 각 처리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디바이스로부터 클라이언트 단말(14)로 입력되는, 또는 제 1 디바이스에서의 화상 출력에 사용된 색 신호는 당해 색 신호 각각의 화소의 색을 제 1 디바이스에 의존하는 색 공간(제 1 디바이스 의존 색 공간: 예를 들어 제 1 디바이스가 스캐너나 디지털 스틸 카메라, 표시 장치(20) 등이면 RGB색 공간)상의 색값 으로 나타내는 색 신호이며, 당해 색 신호에 대하여,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색 변환 처리에서는 제 1 디바이스 의존 색 공간상의 색값을 특정 디바이스(장치)에 의존하지 않는 색 공간(제 1 디바이스 비의존 색 공간)상의 색값으로 변환하는 제 1 색 변환을 행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제 1 디바이스 비의존 색 공간으로서는 L*a*b* 색 공간이나 XYZ 색 공간 등이 적합하다.
이어서, 제 1 색 변환을 거친 색 신호에 대하여, 제 1 디바이스 비의존 색 공간상의 색값을 특정 디바이스(장치)에 의존하지 않고 색역 변환에 적합한 색 공간(제 2 디바이스 비의존 색 공간)상의 색값으로 변환하는 제 2 색 변환을 행한다. 또한, 제 2 디바이스 비의존 색 공간으로서는 관찰 조건의 영향을 배제한 색의 어피어런스를 나타내는 색 공간이 적절하며,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제 2 디바이스 비의존 색 공간으로서, 컬러 어피어런스 모델 CIECAM02에 의해 규정되는 색 공간 JCh로부터 색 공간 Jab를 적용하고 있다. 또한, 색 공간 Jab의 색 속성값(a, b)은 색 공간 JCh의 색 속성값 C, h로부터 생성된 ac, bc에 상당하고, 색상 및 채도와 서로 변환할 수 있는 특징을 갖고 있다. 또한, 컬러 어피어런스 모델 CIECAM02 대신에 컬러 어피어런스 모델 CIECAM97s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어서, 제 2 색 변환을 거친 색 신호에 대하여, 제 1 디바이스에서의 화상 어피어런스와 제 2 디바이스에서의 화상 어피어런스의 차(이 어피어런스의 차는 제 1 디바이스와 제 2 디바이스의 색역의 차이에 기인)를 보정하는 색역 변환(가뮤트 매핑이라고도 함)을 행한다. 또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색역 변환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어서, 색역 변환을 거친 색 신호에 대하여, 제 2 디바이스 비의존 색 공간상의 색값을 특정 디바이스(장치)에 의존하지 않는 다른 색 공간(제 3 디바이스 비의존 색 공간: 예를 들어 L*a*b* 색 공간)상의 색값으로 변환하는 제 3 색 변환을 행한다. 그리고 제 3 색 변환을 거친 색 신호에 대하여, 제 3 디바이스 비의존 색 공간상의 색값을 제 2 디바이스에 의존하는 색 공간(제 2 디바이스 의존 색 공간: 예를 들어 제 2 디바이스가 표시 장치(20)이면 RGB색 공간, 제 2 디바이스가 화상 형성 장치이면 CMYK색 공간)상의 색값으로 변환하는 제 4 색 변환을 행한다. 상술한 각 처리로 이루어지는 색 변환 처리에 의해 얻어진 색 신호를 제 2 디바이스에 출력하고, 제 2 디바이스에서의 화상 출력에 제공함으로써,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출력되는 화상 색의 어피어런스를 제 1 디바이스와 일치시킬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14)의 HDD(14C)에 설치되어 있는 색 변환 프로그램에는, 상술한 색 변환 처리를 구성하는 각 처리를 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제 1 색 변환을 행하기 위한 제 1 색 변환 프로그램, 제 2 색 변환을 행하기 위한 제 2 색 변환 프로그램, 색역 변환을 행하기 위한 색역 변환 프로그램, 제 3 색 변환을 행하기 위한 제 3 색 변환 프로그램, 및 제 4 색 변환을 행하기 위한 제 4 색 변환 프로그램)이 각각 부가되어 있고, 상기의 색 변환 처리는 색 변환 프로그램에 부가되어 있는 제 1 색 변환 프로그램, 제 2 색 변환 프로그램, 색역 변환 프로그램, 제 3 색 변환 프로그램 및 제 4 색 변환 프로그램을 차례로 불러내고, 각 처리를 차례로 행하게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또한, 도 1에서는 색 변환 프로그램을 OS 프로그램과 별도로 나타내고 있지만, 색 변환 프로그램은 OS 표준의 프로그램으로서 OS 프로그램에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의 색 변환 프로그램은 본 발명에 따른 색 처리 프로그램에 대응하고 있다.
상술한 색 변환 처리 중, 제 2 색 변환 및 제 3 색 변환에 대해서는 색 변환이 정식화되어 있고, 단순히 입력 색값을 색 변환식에 대입하여 출력 색값을 연산함으로써 색 변환이 이루어지지만, 제 1 색 변환, 제 4 색 변환 및 색역 변환에 대해서는 필요에 따라 변환 조건을 생성하여 변환을 행할 필요가 있다. 이하, 우선 제 1 색 변환 및 제 4 색 변환의 상세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1 색 변환 및 제 4 색 변환은 입력 색값을 출력 색값으로 변환하는 변환 데이터(프로파일)를 CLUT(컬러 룩업 테이블)에 세팅하고, 당해 CLUT에 변환 대상의 색 신호(각 화소의 색을 입력 색값으로 표현하는 색 신호)를 순차로 입력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프로파일의 생성 방법으로서는, 도 3의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입력 색값 및 출력 색값 중 어느 하나가 기지의 각 색의 패치(색표)를 생성하고(예를 들어 제 2 디바이스로서의 화상 형성 장치에 색 신호를 출력할 때의 제 4 색 변환용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경우, 색표의 생성은 출력 색값이 기지의 색표를 프린터에 의해 인쇄시킴으로써 이루어지고, 제 2 디바이스로서의 디스플레이로 색 신호를 출력할 때의 제 4 색 변환용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경우에는, 색표의 생성은 출력 색값이 기지의 색표를 디스플레이에 표시시킴으로써 이루어짐), 생성한 각 색표에 대해서, 입력 색값 및 출력 색값 중 미지의 색값을 측색계 등에 의해 각각 계측함으로써, 각 색표마다 입력 색값과 출력 색값을 대응시키는 데이터를 구하고, 이 데이터를 프로파일로서 사용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의 생성 방법에서는 방대한 수(CLUT의 격자점 수와 동일 수)의 색표를 형성하고, 또한 방대한 수의 색표에 대해서 입력 색값 또는 출력 색값을 계측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프로파일의 생성이 매우 수고스럽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프로파일의 다른 생성 방법으로서 색 예측 모델을 사용하는 방법도 이용되고 있다. 색 예측 모델은, 보다 적은 수의 입력 색값과 출력 색값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베이스 데이터에 기초하여, 미지의 출력 색값에 대응하는 입력 색값으로 입력되면, 입력된 입력 색값에 대응하는 출력 색값을 각종 알고리즘에 따라 추정 연산하여 출력하는 프로그램이다. 색 예측 모델을 사용한 프로파일의 생성은 색표로부터 직접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경우보다도 적은 수의 색표(입력 색값 또는 출력 색값이 기지의 색표)를 생성하고(도 3의 (1)도 참조), 생성한 각 색표에 대해서 입력 색값 및 출력 색값 중 미지의 색값을 계측함으로써, 각 색표의 입력 색값과 출력 색값을 대응시키는 베이스 데이터를 생성한다(도 3의 (2)도 참조). 이어서, 이 베이스 데이터를 색 예측 모델에 세팅하고(도 3의 (4)도 참조), 각 입력 색값을 색 예측 모델에 차례로 입력하고, 색 예측 모델로부터 차례로 출력되는 출력 색값을 입력한 입력 색값과 대응시킴으로써 프로파일을 생성한다(도 3의 (5)참조). 그리고, 생성한 프로파일을 CLUT에 설정함으로써(도 3의 (6)도 참조), 당해 CLUT에 의해 색 변환(제 1 색 변환 또는 제 4 색 변환)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색 예측 모델을 사용한 프로파일의 생성에서는 색표로부터 직접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필요한 색표의 수를 대폭 삭감할 수 있기 때문에, 프로파일 생성 시간을 대폭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색 변환 및 제 4 색 변환의 변환 조건(프로파일)의 생성 방법으로서는 상술한 2종류의 생성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도 있지만, 베이스 데이터 및 색 예측 모델을 사용하는 생성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4 색 변환에서는, 제 4 색 변환 후에, 제 2 디바이스 의존 색 공간에서의 제 2 디바이스의 색 재현역(再現域)에 상당하는 일정 수치 범위(예를 들어 제 2 디바이스 의존 색 공간이 CMYK색 공간이면 C, M, Y, K 각 색이 0∼100, 또는 0∼255로 되는 범위)로부터 일탈해 있는 색값에 대하여, 상기 일정 수치 범위 내에 들어가도록 단수를 처리하는 클리핑이 행해진다.
다음으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색역 변환 처리에 대해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 색역 변환 처리는 클라이언트 단말(14)의 CPU(14A)에 의해 색역 변환 프로그램이 실행됨으로써 실현된다.
스텝 50에서는 제 2 디바이스 의존 색 공간상에서의 제 2 디바이스의 색역 외곽(색 재현역 외곽)을 구성하는 점(외곽면 상의 점)을 외곽점 그룹으로서 추출한다. 일례로서, 제 2 디바이스가 화상 형성 장치인 경우의, 화상 형성 장치에 의존하는 색 공간(CMYK색 공간)에서의 화상 형성 장치의 색역 외곽의 일례를 도 5의 (a) 및 도 5의 (b)에 나타낸다. 또한, 도 5의 (a)는 CMYK색 공간에서의 색역 외곽의 상측 부분을, 도 5의 (b)는 하측 부분을 각각 나타내고, CMYK색 공간에서의 화상 형성 장치의 색역 외곽 전체는 도 5의 (a) 및 도 5의 (b)에 나타내는 입체를 맞춘 12면의 다면체로 된다. 또한, 스텝 50에서는, 제 2 디바이스의 색역 외곽면 상의 임의의 위치의 점을 외곽점 그룹으로서 추출할 수 있지만, 적어도 색역 외곽의 각 정점에 상당하는 점 및 색역 외곽의 각 정점 사이를 연결하는 변의 위에 상당하는 점을 외곽점 그룹으로서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변의 위, 또는 정점이나 변 이외의 면의 위로부터 추출하는 외곽점의 간격은 일정할 수도 있고, 불균등할 수도 있다.
스텝 52에서는, 스텝 50에서 추출한 외곽점 그룹(제 2 디바이스 의존 색 공간상에서의 제 2 디바이스의 색역 외곽을 나타내는 외곽점 그룹)의 색값을 우선 제 3 디바이스 비의존 색 공간상에서의 색값으로 변환하고(제 4 색 변환(도 2)의 역변환을 행함), 또한 제 2 디바이스 비의존 색 공간상에서의 색값 Jab로 변환함으로써(제 3 색 변환(도 2)의 역변환을 행함), 제 2 디바이스 비의존 색 공간상에서의 제 2 디바이스의 색역(출력 색역)의 외곽을 나타내는 외곽점 그룹을 구한다. 스텝 52의 변환을 거친 외곽점 그룹에 의해 구성되는 색역 외곽(제 2 디바이스 비의존 색 공간상에서의 제 2 디바이스의 색역 외곽)의 일례를 도 6에 나타낸다. 또한 도 6에서는, 색역 외곽의 각 정점에, 도 5의 (a) 및 도 5의 (b)에 나타낸 색역 외곽의 각 정점 중 대응하는 정점과 동일한 부호를 부가하여 나타내고 있다. 상기 처리에 의해, 제 2 디바이스 비의존 색 공간상에서의 제 2 디바이스의 색역 외곽을 구성하는 외곽점 그룹을 얻을 수 있다.
다음의 스텝 54에서는, 스텝 52의 변환에 의해 얻어진 외곽점 그룹을 정점으로서 연결하고, 보간 등에 의해 외곽면을 생성하여 폴리곤화(다면체화)함으로써, 제 2 디바이스 비의존 색 공간상에서의 제 2 디바이스의 색역 외곽을 다면체로서 나타내는 출력 색역 외곽 정보를 생성한다. 이것에 의해, 생성한 출력 색역 외곽 정보에 기초하여 예를 들어 제 2 디바이스 비의존 색 공간상에서의 제 2 디바이스의 색역 외곽의 평가, 정량화를 행하거나, 범용의 가시화 툴을 이용하여 제 2 디바이스 비의존 색 공간상에서의 제 2 디바이스의 색역 외곽을 3차원적으로 가시화하는 등과 같이, 제 2 디바이스 비의존 색 공간상에서의 제 2 디바이스의 색역 외곽을 다양한 용도로 이용하는 것도 용이해진다.
또한, 스텝 54에서의 출력 색역 외곽 정보의 생성 시에는, 예를 들어 스텝 52의 변환에 의해 얻어진 외곽점 그룹 중, 목적으로 하는 이용에 적절한 외곽점을 선택적으로 추출하고, 추출된 일부의 외곽점 그룹만으로 연결하고, 보간 등에 의해 외곽면을 생성함으로써 출력 색역 외곽 정보를 생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출력 색역 외곽 정보를 사전에 생성하여 HDD(14C)에 기억하여 두고, 이것을 단순히 판독함으로써 출력 색역 외곽 정보를 취득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의 출력 색역 외곽 정보는 본 발명에 따른 색 재현역 정보에 대응하고 있다.
다음의 스텝 56에서는, 제 2 디바이스 비의존 색 공간상에서의 제 1 디바이스(도 2 참조)의 색역 외곽(입력 색역 외곽)을 나타내는 입력 색역 외곽 정보를 취득한다. 입력 색역 외곽 정보는 예를 들어 상술한 스텝 50∼스텝 54와 마찬가지로, 제 1 디바이스 의존 색 공간상에서의 제 1 디바이스의 색역 외곽을 구성하는 외곽점 그룹을 추출하고, 추출한 외곽점 그룹의 색값을 제 2 디바이스 비의존 색 공간상의 색값으로 변환함으로써, 제 2 디바이스 비의존 색 공간상에서의 제 1 디바이스의 색역 외곽을 나타내는 외곽점 그룹을 구하고, 구한 외곽점 그룹을 정점으로서 연결하고, 보간 등에 의해 외곽면을 생성하여 폴리곤화(다면체화)함으로써 생 성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색역 외곽 정보를 사전에 생성하여 HDD(14C)에 기억하여 두고, 이것을 단순히 판독함으로 취득하도록 할 수도 있다.
다음의 스텝 58의 이후에는, 입력 색역 외곽 정보 및 출력 색역 외곽 정보에 기초하여 색역 변환을 위한 변환 조건(색역 변환 조건)을 생성하는 처리를 행한다. 즉, 우선 스텝 58에서는, 스텝 56에서 취득한 입력 색역 외곽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디바이스 비의존 색 공간상에서 입력 색역 내의 서로 상이한 위치에 위치해 있는 다수 점의 데이터를 변환 조건 생성용 입력 데이터 그룹으로서 생성한다. 또한 스텝 60에서는 스텝 58에서 생성한 변환 조건 생성용 입력 데이터 그룹 중에서, 단일의 입력 데이터(입력 색값)를 취출한다. 그리고 스텝 62에서는 스텝 60에서 취출한 입력 색값이 소정의 색상 범위 내의 색값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또한, 소정의 색상 범위로서는, 제 2 디바이스 비의존 색 공간상에서의 출력 색역의 외곽에, 제 2 디바이스 비의존 색 공간의 명도 축에 수직인 방향에 대한 출력 색역의 외곽면의 각도 차(θ)(도 8의 (a) 및 도 8의 (b)도 참조)가 소정 값 이내로 되는 부분이 생기는 색상 범위, 즉 색역 변환에 따라 계조의 갭이나 계조의 역전이 생길 가능성이 있는 색상 범위를 적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Y에 상당하는 색상 범위나 C∼B에 상당하는 색상 범위를 적용할 수 있다.
스텝 62의 판정이 긍정된 경우는 스텝 64로 이행하고, 스텝 60에서 취출된 입력 색값이 제 2 디바이스 비의존 색 공간상에서 출력 색역 외에 위치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은 예를 들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출력 색역 외곽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 색값을 포함하는 출력 색역의 등색상면(等色相面)(CUSP라고 도 함)을 추출하고, 추출한 등색상면에서의 채도가 최대인 외곽점을 판단하고, 당해 외곽점과 명도가 동일하고 또한 명도 축상의 색값을 기준 앵커(anchor)로 설정하여, 입력 색값과 기준 앵커를 연결하는 직선이 출력 색역의 외곽과 교차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색값이 출력 색역 외에 위치해 있는지의 여부의 판정은 상기 이외의 판정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스텝 62 또는 스텝 64의 판정이 부정된 경우, 입력 색값은 색역 변환에 따라 계조의 갭이나 계조의 역전이 생기는 색값으로 변환될 가능성은 없다고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스텝 72로 이행하고, 스텝 60에서 취출된 입력 색값에 대하여, 색역 변환 조건 생성을 위한 소정의 변환 룰을 적용하고, 제 2 디바이스 비의존 색 공간상에서의 위치가 출력 색역 외곽 정보가 나타내는 출력 색역 외곽 내로 되도록 변환함으로써, 변환 조건 생성용 출력 색값을 구하고, 스텝 74로 이행한다.
또한, 상기의 변환 룰로서는, 색역 변환(가뮤트 매핑)에서 공지의 변환 룰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입력 색역 중 출력 색역과 중복하고 있는 영역에 위치해 있는 입력 색값에 대해서는 입력 색값을 그대로 출력 색값으로서 사용하고(입력 색값과 출력 색값이 측색적(測色的) 일치로 됨), 입력 색역 중 출력 색역과 중복되지 않는 영역에 위치해 있는 입력 색값에 대하여는, 출력 색역 내에 들어가도록 색 변환을 행하여 출력 색값을 구하는 점착형 변환 룰이나, 입력 색역 내의 각 점의 상대적인 관계를 보존하기 위해 모든 입력 색값에 대하여 색 변환을 행하여 출력 색값을 구하는 압축 신장형 변환 룰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점착형 변환 룰 중에도 명도가 보존되도록, 출력 색역 외의 색값을 출력 색역의 외곽에 색상과 명도 를 변화시키지 않고 투영하는 수법이나, 채도 보존을 위해 출력 색역 외의 색값을 출력 색역의 외곽에 색상을 변화시키지 않고 투영하는 수법이 있고, 어느 것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압축 신장형 변환 룰에 대해서도 계조가 보존되도록 색역 변환을 행하는 수법이 있어, 이것을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영역마다 다른 변환 수법을 적용하는 적응형 변환 룰을 이용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점착형과 압축 신장형을 조합시킨 변환 룰을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스텝 62, 64의 판정이 각각 긍정된 경우는, 입력 색값은 색역 변환에 따라 계조의 갭이나 계조의 역전이 생기는 색값으로 변환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다음 스텝 66에서는 입력 색값과 출력 색역 외곽의 거리를 나타내는 평가 값을 연산한다. 이 평가 값으로서는 예를 들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력 색값으로부터 출력 색역 외곽면 상에 수선(垂線)을 그었을 때의 수선의 길이(입력 색값과 출력 색역 외곽면과의 최소 거리)를 나타내는 평가 값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것 대신에 출력 색역의 외곽면 상에서 입력 색값과의 색 차가 최소로 되는 위치를 구하고, 당해 색 차 최소 위치와 입력 색값과의 거리를 나타내는 평가 값을 이용할 수도 있고, 입력 색값에 변환 룰을 적용하여 임시 출력 색값을 구하고, 입력 색값과 임시 출력 색값과의 거리를 나타내는 평가 값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각 평가 값에 가중을 부여하고, 각 평가 값의 가중 평균값을 최종적인 평가 값으로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스텝 68에서는, 스텝 66에서 연산한 평가 값이 미리 정한 임계값 이하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68의 판정이 긍정된 경우, 예로서 도 8의 (a)에 도 나타낸 바와 같이, 입력 색값은 제 2 디바이스 비의존 색 공간의 명도 축에 수직인 방향에 대한 각도 차(θ)가 소정 값 이내의 방향으로 되어 있는 출력 색역의 외곽면 근방의 색 영역 내에 위치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이 경우, 색역 변환에 의한 색값의 이동 방향과 출력 색역의 외곽면의 방향이 평행에 가깝기 때문에, 도 8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와 같은 색 영역 내의 입력 색값 1은 색역 변환에 따라 출력 색값 1로 변환되는 한편, 당해 색 영역 내의 입력 색값 2는 색역 변환에 따라 출력 색값 2로 변환되고, 도 8의 (a)에 나타내는 출력 색값 1, 2의 색 차와 입력 색값 1, 2의 색 차를 비교하여도 명백한 바와 같이, 색역 변환에 따라 색 차가 대폭 확대된다. 따라서, 색역 변환에 따라 계조의 갭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도 8의 (a)에 나타내는 입력 색값 1, 2에 대하여는, 예를 들어 출력 색역의 외곽면 중 색 차가 최소인 위치로 투영하는(입력 색값과의 색 차가 최소인 외곽점의 색값을 출력 색값이라고 함) 등의 변환 룰을 적용하면, 계조의 갭이 발생함을 회피할 수 있지만, 이와 같은 변환 룰을 적용한 경우, 출력 색역의 외곽면의 방향 등에 의해서는 계조의 역전(입력 색값 1, 2의 명도나 채도의 대소 관계가 출력 색값으로 역전)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변환 룰은 다른 색 영역에서 적정한 출력 색값이 얻어지지 않는다는 결점을 갖고 있기 때문에, 색 영역마다 적용하는 변환 룰을 전환할 필요가 생기고, 처리가 매우 복잡해진다.
따라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색역 변환 처리에서는, 스텝 68의 판정이 긍정된 경우에 스텝 70으로 이행하고, 입력 색값에 대응하는 변환 조건 생성용 출 력 색값으로서 입력 색값을 그대로 설정한 후에, 스텝 74로 이행한다. 이것에 의해, 색 신호의 색역 변환을 행하여도 현재의 입력 색값에 대하여는 실질적으로 변환이 행하여지지 않는 한편, 제 4 색 변환 시에 제 4 색 변환 후의 색값이 일정 수치 범위로부터 일탈해 있는 값으로 됨으로써, 상술한 클리핑이 행해지게 된다. 또한, 스텝 62∼스텝 70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요소에 대응하고 있다.
클리핑은 처리 대상의 색값(제 2 디바이스 의존 색 공간상에서의 제 2 디바이스의 색 재현역으로부터 일탈해 있는 색값)이 제 2 디바이스 의존 색 공간상에서의 제 2 디바이스의 색 재현역 외곽으로부터의 거리가 비교적 작은 색 영역 내의 색값이면, 처리 대상의 색값이 제 2 디바이스 의존 색 공간상에서의 제 2 디바이스의 색 재현역 외곽상에서 색 차가 대체로 최소 색값으로 변환된다는 특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예로서 도 8의 (a) 및 도 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력 색값 1은 클리핑에 의해 도 8의 (b)에 나타내는 출력 색값 1로, 입력 색값 2는 클리핑에 의해 도 8의 (b)에 나타내는 출력 색값 2로 각각 변환되게 되고, 도 8의 (b)에 나타내는 출력 색값 1, 2의 색 차와 입력 색값 1, 2의 색 차를 비교하여도 명백한 바와 같이, 클리핑을 행함으로써 색 재현역으로부터 일탈해 있는 색값을 색 재현역 내로 이동시키는 것을, 계조의 갭을 발생시키지 않고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클리핑은 계조의 역전이 생길 확률도 저감시킨다.
또한, 제 2 디바이스가 표시 장치(20)인 등의 경우, 제 2 디바이스 비의존 색 공간상에서의 출력 색역 외곽 정보가 나타내는 출력 색역의 외곽에, 특히 크게 도려내진 현저한 오목부가 생기는 경우가 있는데, 제 2 디바이스 비의존 색 공간상 에서의 출력 색역 외이고 또한 현저한 오목부의 근방에 위치해 있는 색값에 대하여 상기의 클리핑을 행한 경우에도 계조의 갭 등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 4 색 변환 시에 행해지는 클리핑에 의한 처리 대상의 색값의 변환은 제 4 색 변환의 변환 조건을 외삽(extrapolation)하여 구한 변환 조건에 따라 변환을 행하는 것에 상당하고, 처리 대상의 색값과, 제 2 디바이스 의존 색 공간상에서의 제 2 디바이스의 색 재현역 외곽과의 거리가 커짐에 따라, 외삽의 정밀도, 즉 변환 정밀도가 저하되기 때문에, 처리 대상의 색값이 클리핑에 의해 적정한 색값으로 변환되는 확률이 저하된다는 특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스텝 68의 판정이 부정된 경우(입력 색값이 클리핑에서는 적정한 색값으로 변환되는 확률이 낮은 색값의 경우)는 스텝 72로 이행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입력 색값에 대하여 변환 룰을 적용하여 변환 조건 생성용 출력 색값을 구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스텝 60에서 취출한 입력 색값에 대응하는 변환 조건 생성용 출력 색값(출력 데이터)을 결정하면, 다음 스텝 74에서는 앞의 스텝 58에서 생성한 입력 데이터 그룹으로부터 모든 입력 데이터(입력 색값)를 취출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판정이 부정된 경우에는 스텝 60으로 되돌아와 스텝 74의 판정이 긍정될 때까지 스텝 60∼스텝 74를 반복한다.
이것에 의해, 스텝 58에서 생성한 입력 데이터 그룹의 모든 입력 데이터(입력 색값)에 대해서, 대응하는 변환 조건 생성용 출력 색값(출력 데이터)이 각각 결정되고, 변환 조건 생성용 출력 데이터 그룹이 생성된다. 또한, 제 2 디바이스 비 의존 색 공간상에서의 출력 색역 중 외곽면이 제 2 디바이스 비의존 색 공간의 명도 축에 수직인 방향에 대한 각도 차(θ)가 소정 값 이내의 방향으로 되어 있는 부분으로부터 거리가 임계값 이내이고, 또한 출력 색역 외의 영역 내에 위치해 있는 색값에 대하여는 스텝 62, 64, 68의 판정이 각각 긍정되고, 변환 조건 생성용 출력 색값으로서 입력 색값이 그대로 설정됨으로써 색역 변환 대상으로부터 제외되기 때문에,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색역 변환 처리에 있어서, 상기 영역은 색역 변환 대상으로부터 제외된 마진(margin) 영역으로서 취급되게 된다.
스텝 74의 판정이 긍정되면 스텝 76으로 이행하고, 스텝 58에서 생성한 변환 조건 생성용 입력 데이터 그룹과, 스텝 60∼스텝 74에서 생성한 변환 조건 생성용 출력 데이터 그룹을 대응시키고, 변환 데이터로서 CLUT에 세팅한다. 이것에 의해, 색역 변환 조건이 생성(CLUT에 세팅)된다. 그리고 스텝 78에서는, 제 2 디바이스에서 출력시켜야 하는 화상을 나타내고 제 1 색 변환 및 제 2 색 변환(도 2 참조)을 거친 색 신호(입력 데이터)를 스텝 76에서 색역 변환 조건을 세팅한 CLUT에 의해 변환함으로써 색역 변환을 행하고, 색역 변환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상술한 색역 변환 처리 중 스텝 50∼스텝 60, 스텝 72∼스텝 78은 본 발명에 따른 색역 변환 요소에 대응하고 있다.
상기의 색역 변환이 행해진 색 신호에 대하여는 제 3 색 변환 및 제 4 색 변환(도 2 참조)이 차례로 행해지지만, 제 4 색 변환 후에, 제 2 디바이스 의존 색 공간에서의 제 2 디바이스의 색 재현역에 상당하는 일정 수치 범위로부터 일탈해 있는 색값(앞의 스텝 70에서, 변환 조건 생성용 출력 색값으로서 입력 색값이 그대 로 설정된 색값)에 대하여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일정 수치 범위 내에 들어가도록 단수를 처리하는 클리핑이 행해진다. 그리고, 클리핑을 포함하는 제 4 색 변환을 거친 색 신호가 제 2 디바이스에 출력되고, 제 2 디바이스에서의 화상 출력에 사용된다. 또한, 클리핑을 포함하는 제 4 색 변환은 본 발명에 따른 색 변환·클리핑 요소에 대응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디바이스와 제 2 디바이스의 색역의 차이를 주원인으로 하여 생기는 제 1 디바이스에서의 화상의 어피어런스와 제 2 디바이스에서의 화상의 어피어런스의 차가 보정된다. 또한, 제 2 디바이스 비의존 색 공간상에서의 출력 색역 중, 외곽면이 제 2 디바이스 비의존 색 공간의 명도 축에 수직인 방향에 대한 각도 차(θ)가 소정 값 이내의 방향으로 되어 있는 부분에 대응하는 색 영역에 있어서, 계조의 갭이 생기는 것이 방지되는 동시에, 계조의 역전이 생길 확률도 저감되기 때문에,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출력되는 화상의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변환 조건 생성용의 각각의 입력 색값에 대하여 도 4의 스텝 62, 64, 68의 판정을 각각 행하고, 색역 변환 대상으로부터 제외할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있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각 판정에 해당하는 마진 영역을 미리 판정한 후에, 각각의 입력 색값이 마진 영역 내인지의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색역 변환 대상으로부터 제외할지의 여부를 판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입력 색값에 대하여 도 4의 스텝 62, 64, 68의 판정을 행함으로써 색역 변환 대상으로부터 제외할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형태를 설명하였지 만, 색역 변환 대상으로부터 제외하는 조건(본 발명에 따른 소정의 조건)으로서, 예를 들어 기준 앵커를 사용하는 변환 룰을 적용하여 구한 출력 색값과 입력 색값과의 거리 D1과, 입력 색값과의 색 차 최소의 외곽점과 입력 색값과의 거리 D2의 비(D1/D2)가 임계값 이상인지의 여부 등과 같이, 다른 평가 값에 기초하는 판정도 추가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의 마진 영역을 색값이 색역의 내(內)인지 외(外)인지의 여부의 판정(내외 판정)에 적용하고, 판정 대상의 색값이 마진 영역 내인 경우에, 판정 대상의 색값을 색역 내로 판정할 수도 있고, 색역 외로 판정할 수도 있어, 이용자의 의도에 따라 색역 내로 판정할지 색역 외로 판정할지를 전환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색 처리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색역 변환 프로그램이 클라이언트 단말(14)의 HDD(14C)에 미리 기억(설치)되어 있는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른 색 처리 프로그램은 CD-ROM이나 DVD-ROM 등의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형태로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 1 형태의 색 처리 장치는, 특정 장치에 의존하지 않는 소정의 색 공간상에서의 특정 장치의 색 재현역을 나타내는 색 재현역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변환 룰을 적용하고, 상기 소정의 색 공간상에서의 입력 색 신호의 색역이 상기 색 재현역 내에 들어가도록 상기 입력 색 신호의 색역을 변환하기 위한 색역 변환 조건을 설정하고, 설정한 색역 변환 조건에 따라 입력 색 신호의 색역 변환을 행하는 색역 변환 요소와, 입력 색 신호 중 상기 소정의 색 공간상에서의 위치가 상기 색 재현역 외이고 또한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색값을 상기 색역 변환 요소에 의한 색역 변환 대상으로부터 제외시키는 제어 요소와, 상기 색역 변환 요소에 의한 색역 변환을 거친 색 신호에 대하여 상기 특정 장치에 의존하는 색 공간으로의 변환을 행하는 동시에, 상기 색 공간 변환 후에 상기 특정 장치에 의존하는 색 공간상에서의 특정 장치의 색 재현역으로부터 일탈해 있는 색값에 대하여 상기 색 재현역 내에 들어가도록 단수를 처리하는 클리핑을 행하는 색 변환·클리핑 요소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1 형태는, 특정 장치에 의존하지 않는 소정의 색 공간상에서의 특정 장치의 색 재현역을 나타내는 색 재현역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변환 룰을 적용하고, 소정의 색 공간상에서의 입력 색 신호의 색역이 상기 색 재현역 내에 들어가도록 상기 입력 색 신호의 색역을 변환하기 위한 색역 변환 조건을 설정하고, 설정한 색역 변환 조건에 따라 입력 색 신호의 색역 변환을 행하는 색역 변환 요소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의 소정의 변환 룰(매핑 룰)은 기준 앵커를 사용한 변환 룰일 수도 있고, 다른 변환 룰일 수도 있지만, 소정의 색 공간상에서의 출력 색역(특정 장치의 색 재현역) 외의 색값의 소정의 색 공간상에서의 이동 방향을 출력 색역(특정 장치의 색 재현역)의 형상과는 무관하게 결정하는 변환 룰(기준 앵커를 사용한 변환 룰도 이것에 해당)이 적합하다.
여기에서, 설정되는 색역 변환 조건은 당해 색역 변환 조건의 설정에 적용되는 변환 룰에도 의존하지만, 색역 변환에 따라, 소정의 색 공간상에서의 특정 장치의 색 재현역 외의 일부 색 영역 내의 색값이 계조의 갭이나 계조의 역전을 발생시 키는 색값으로 변환됨으로써, 화상 계조의 연속성을 잃게 되는 색역 변환 조건으로 되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색역 변환에 따른 상기 색 영역 내의 색값의 이동 방향이 상기 출력 색역의 외곽 형상과의 관계에서, 색값의 약간의 변화에 대하여 출력 색값이 크게 변화하는 방향으로 되는 것이 주요한 이유이다.
한편, 색 신호를 특정 장치에 의존하는 색 공간으로 변환하는 색 변환에 있어서는, 색 공간 변환 후의 색값 중에, 특정 장치에 의존하는 색 공간상에서의 특정 장치의 색 재현역으로부터 일탈해 있는 색값이 존재하고 있었을 경우, 특정 장치에 의존하는 색 공간상에서의 특정 장치의 색 재현역 내에 들어가도록 단수를 처리하는 클리핑이 행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클리핑은 색역 변환 이전의 기술이며, 어떤 디바이스에서의 화상 출력에 사용한 색 신호에 대하여, 색역 변환을 행하지 않고 클리핑만을 행하여 다른 디바이스에서의 화상 출력에 사용한다고 하면, 양쪽 디바이스에서 출력되는 화상 색이 현저하게 상이하다는 결점이 있다. 그러나, 특정 장치에 의존하는 색 공간상에서의 특정 장치의 색 재현역으로부터 일탈해 있는 색값이 특정 장치의 색 재현역 외곽으로부터의 거리가 비교적 작은 색 영역 내의 색값이면, 클리핑에 의해, 당해 색값은 특정 장치의 색 재현역 외곽 중 특정 장치에 의존하는 색 공간상에서의 상기 색값과의 거리가 대체로 최소 위치에서의 색값으로 변환되고, 계조의 갭이 생기는 것이 방지되는 동시에, 계조의 역전이 생길 가능성도 대폭 저감된다.
상기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제 1 형태에서는, 입력 색 신호 중 소정의 색 공간상에서의 위치가 색 재현역 외이고 또한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색값을 색역 변 환 요소에 의한 색역 변환 대상으로부터 제외시키는 제어 요소를 설치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 1 형태에서는, 색역 변환 요소에 의한 색역 변환을 거친 색 신호에 대하여, 색 변환·클리핑 요소에 의해, 특정 장치에 의존하는 색 공간으로의 변환이 행해지는 동시에, 색 공간 변환 후에 특정 장치에 의존하는 색 공간상에서의 특정 장치의 색 재현역으로부터 일탈해 있는 색값에 대하여, 상기 색 재현역 내에 들어가도록 단수를 처리하는 클리핑이 행해지기 때문에, 색역 변환 요소에 의한 색역 변환에 있어서, 소정의 색 공간상에서의 특정 장치의 색 재현역 내에 들어가도록 변환되지 않았던 색값, 즉 색역 변환 요소에 의한 색역 변환 대상으로부터 제어 요소에 의해 제외된 색값에 대하여는 색 변환·클리핑 요소에 의한 클리핑이 행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형태에 의하면, 색역 변환에 따라 화상에 계조의 갭 등이 생기는 것을 억제하면서, 색역 변환을 포함하는 색 변환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형태에서는 색역 변환 조건의 설정에 적용하는 변환 룰을 변경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색역 변환 요소에 의한 색역 변환 조건의 설정이 복잡화하는 것도 회피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의 색 변환·클리핑 요소에 의한 클리핑에 의해, 색 공간 변환 후에 특정 장치에 의존하는 색 공간상에서의 특정 장치의 색 재현역으로부터 일탈해 있는 색값이 적정한 색값으로 변환되는 확률은 특정 장치에 의존하는 색 공간상에서의 변환 전의 색값과 특정 장치의 색 재현역 외곽의 최소 거리(색 차)가 커짐에 따라 저하된다. 이것을 고려하면, 본 발명의 제 1 형태에 있어서, 제어 요소는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제 2 형태와 같이, 소정의 색 공간상에서의 위치가 소정의 색 공간상에서의 특정 장치의 색 재현역 외이고, 또한, 소정의 조건으로서, 소정의 색 공간상에서의 특정 장치의 색 재현역 외곽과의 거리를 나타내는 소정의 평가 값이 임계값 이하라는 조건을 만족하는 색값을 색역 변환 대상으로부터 제외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색 변환·클리핑 요소에 의한 클리핑에서는 적정한 색값으로 변환될 가능성이 낮은 색값(소정의 평가 값이 임계값보다도 큰 색값)에 대해서는 색역 변환 대상으로부터 제외되지 않음으로써, 색역 변환 요소에 의한 색역 변환이 행해지기 때문에, 색역 변환을 포함하는 색 변환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형태에서의 소정의 평가 값으로서는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제 3 형태와 같이, 평가 대상의 색값과 소정의 색 공간상에서의 특정 장치의 색 재현역 외곽과의 최소 거리를 나타내는 평가 값, 소정의 색 공간상에서의 특정 장치의 색 재현역 외곽상의 평가 대상의 색값과의 색 차가 최소로 되는 위치와 평가 대상의 색값과의 거리를 나타내는 평가 값, 평가 대상의 색값에 소정의 변환 룰을 적용하여 임시의 대응 색값을 구하였을 때의 평가 대상의 색값과 임시의 대응 색값과의 거리를 나타내는 평가 값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지만, 평가 대상의 색값과 소정의 색 공간상에서의 특정 장치의 색 재현역 외곽과의 거리를 나타내는 평가 값이면, 다른 평가 값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색역 변환 조건에 의해 설정되는 색역 변환 조건에 따라 색역 변환을 행한 경우에 계조의 갭이나 계조의 역전이 생기는 색 영역은 소정의 색 공간상에서의 특정 장치의 색 재현역 중, 소정의 색 공간의 명도 축에 수직인 방향에 대한 색 재현역 외곽면의 각도 차가 소정 값 이내로 되는 부분에 대응하는 색 영역인 것이 많지만, 소정의 색 공간상에서의 특정 장치의 색 재현역 중 외곽면이 상기와 같은 방향으로 되어 있는 부분은 일정 색상 범위 내에 존재하고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것을 고려하면, 본 발명의 제 1 형태 내지 제 3 형태에 있어서, 예를 들어 제 4 형태와 같이, 소정의 조건에, 소정의 색 공간상에서의 특정 장치의 색 재현역 중, 소정의 색 공간의 명도 축에 수직인 방향에 대한 색 재현역 외곽면의 각도 차가 소정 값 이내로 되는 부분에 대응하는 특정 색상 범위 내의 색값이라는 조건도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색역 변환 요소에 의한 색역 변환 대상으로부터 제외시키는 색값을 통상의 색역 변환에 의해 계조의 갭이나 계조의 역전이 생길 가능성이 높은 특정 색상 범위 내에 미리 제한하여 둠으로써, 색역 변환 요소에 의한 색역 변환 대상으로부터 제외시키는 색값을 제어 요소가 효율적으로 선택, 또는 설정할 수 있고, 처리 속도의 향상, 부하의 저감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 형태의 색 처리 프로그램은, 컴퓨터를 특정 장치에 의존하지 않는 소정의 색 공간상에서의 특정 장치의 색 재현역을 나타내는 색 재현역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변환 룰을 적용하고, 상기 소정의 색 공간상에서의 입력 색 신호의 색역이 상기 색 재현역 내에 들어가도록 상기 입력 색 신호의 색역을 변환하기 위한 색역 변환 조건을 설정하고, 설정한 색역 변환 조건에 따라 입력 색 신호의 색역 변환을 행하는 색역 변환 요소와, 입력 색 신호 중 상기 소정의 색 공간상에서의 위치가 상기 색 재현역 외이고 또한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색값을 상기 색 역 변환 요소에 의한 색역 변환 대상으로부터 제외시키는 제어 요소, 및, 상기 색역 변환 요소에 의한 색역 변환을 거친 색 신호에 대하여 상기 특정 장치에 의존하는 색 공간으로의 변환을 행하는 동시에, 상기 색 공간 변환 후에 상기 특정 장치에 의존하는 색 공간상에서의 특정 장치의 색 재현역으로부터 일탈해 있는 색값에 대하여, 상기 색 재현역 내에 들어가도록 단수를 처리하는 클리핑을 행하는 색 변환·클리핑 요소로서 기능시킨다.
제 5 형태의 색 처리 프로그램은, 컴퓨터를 상기의 색역 변환 요소, 제어 요소 및 색 변환·클리핑 요소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컴퓨터가 제 5 형태의 색 처리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컴퓨터가 제 1 형태의 색 처리 장치로서 기능하게 되고, 제 1 형태와 마찬가지로, 색역 변환에 따라 화상에 계조의 갭 등이 생기는 것을 억제하면서, 색역 변환을 포함하는 색 변환을 행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입력 색 신호 중, 특정 장치에 의존하지 않는 소정의 색 공간상에서의 위치가 소정의 색 공간상에서의 특정 장치의 색 재현역 외이고 또한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색값을 소정의 색 공간상에서의 입력 색 신호의 색역이 상기 색 재현역 내에 들어가도록 입력 색 신호의 색역을 변환하는 색역 변환의 대상으로부터 제외시키고, 색역 변환을 거친 색 신호에 대하여 특정 장치에 의존하는 색 공간으로의 변환을 행하는 동시에, 색 공간 변환 후에 특정 장치에 의존하는 색 공간상에서의 특정 장치의 색 재현역으로부터 일탈해 있는 색값에 대하여, 색 재현역 내에 들어가도록 단수를 처리하는 클리핑을 행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색역 변환에 따라 화상에 계조의 갭 등이 생기는 것을 억제하면서, 색역 변환을 포함하는 색 변환을 행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의 색 변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3은 색 변환 처리에서의 제 1/제 4 색 변환의 흐름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4는 색역 변환 처리의 내용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5의 (a) 및 도 5의 (b)는 제 2 디바이스에 의존하는 색 공간에서의 제 2 디바이스의 색역 외곽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6은 디바이스 비의존 색 공간에서의 제 2 디바이스의 색역 외곽(출력 색역)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7은 입력 색값의 내외 판정 및 색역 변환 대상으로부터 제외할지의 여부의 판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8의 (a)는 색역 변환 조건 설정용의 변환 룰을 적용하여 출력 색값을 구한 경우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8의 (b)는 클리핑에 의해 출력 색값을 구한 경우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컴퓨터 시스템 12 : 네트워크
14 : 클라이언트 단말 14A : CPU
14B : 메모리 16 : 입력 디바이스
18 : 출력 디바이스 20 : 표시 장치
22 : 키보드 24 : 마우스

Claims (12)

  1. 특정 장치에 의존하지 않는 소정의 색 공간상에서의 특정 장치의 색 재현역(再現域)을 나타내는 색 재현역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변환 룰을 적용하고, 상기 소정의 색 공간상에서의 입력 색 신호의 색역(色域)이 상기 색 재현역 내에 들어가도록 상기 입력 색 신호의 색역을 변환하기 위한 색역 변환 조건을 설정하고, 설정한 색역 변환 조건에 따라 입력 색 신호의 색역 변환을 행하는 색역 변환 요소와,
    입력 색 신호 중 상기 소정의 색 공간상에서의 위치가 상기 색 재현역 외이고 또한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색값을 상기 색역 변환 요소에 의한 색역 변환 대상으로부터 제외시키는 제어 요소와,
    상기 색역 변환 요소에 의한 색역 변환을 거친 색 신호에 대하여 상기 특정 장치에 의존하는 색 공간으로의 변환을 행하는 동시에, 상기 색 공간 변환 후에 상기 특정 장치에 의존하는 색 공간상에서의 특정 장치의 색 재현역으로부터 일탈해 있는 색값에 대하여, 상기 색 재현역 내에 들어가도록 단수(端數)를 처리하는 클리핑(clipping)을 행하는 색 변환·클리핑 요소를 구비한 색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요소는, 상기 소정의 색 공간상에서의 위치가 상기 색 재현역 외이고, 또한, 상기 소정의 조건으로서, 상기 소정의 색 공간상에서의 특정 장치의 색 재현역 외곽과의 거리를 나타내는 소정의 평가 값이 임계값 이하라는 조건을 만 족하는 색값을 상기 색역 변환 대상으로부터 제외시키는 색 처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평가 값은, 상기 평가 대상의 색값과 상기 소정의 색 공간상에서의 특정 장치의 색 재현역 외곽과의 최소 거리를 나타내는 평가 값, 상기 소정의 색 공간상에서의 특정 장치의 색 재현역 외곽상의 상기 평가 대상의 색값과의 색 차가 최소로 되는 위치와 상기 평가 대상의 색값과의 거리를 나타내는 평가 값, 상기 평가 대상의 색값에 상기 소정의 변환 룰을 적용하여 임시의 대응 색값을 구하였을 때의 상기 평가 대상의 색값과 상기 임시의 대응 색값과의 거리를 나타내는 평가 값 중 어느 하나인 색 처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조건에, 상기 소정의 색 공간상에서의 특정 장치의 색 재현역 중, 상기 소정의 색 공간의 명도 축에 수직인 방향에 대한 상기 색 재현역 외곽면의 각도 차가 소정 값 이내로 되는 부분에 대응하는 특정 색상 범위 내의 색값이라는 조건도 포함되어 있는 색 처리 장치.
  5. (a) 특정 장치에 의존하지 않는 소정의 색 공간상에서의 특정 장치의 색 재현역을 나타내는 색 재현역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변환 룰을 적용하고, 상기 소정의 색 공간상에서의 입력 색 신호의 색역이 상기 색 재현역 내에 들어가도록 상 기 입력 색 신호의 색역을 변환하기 위한 색역 변환 조건을 설정하고, 설정한 색역 변환 조건에 따라 입력 색 신호의 색역 변환을 행하고,
    (b) 입력 색 신호 중 상기 소정의 색 공간상에서의 위치가 상기 색 재현역 외이고 또한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색값을, (a)에 의한 색역 변환 대상으로부터 제외시키고,
    (c) (a)에 의한 색역 변환을 거친 색 신호에 대하여 상기 특정 장치에 의존하는 색 공간으로의 변환을 행하는 동시에, 상기 색 공간 변환 후에 상기 특정 장치에 의존하는 색 공간상에서의 특정 장치의 색 재현역으로부터 일탈해 있는 색값에 대하여, 상기 색 재현역 내에 들어가도록 단수를 처리하는 클리핑을 행하는 색 처리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b)는, 상기 소정의 색 공간상에서의 위치가 상기 색 재현역 외이고, 또한, 상기 소정의 조건으로서, 상기 소정의 색 공간상에서의 특정 장치의 색 재현역 외곽과의 거리를 나타내는 소정의 평가 값이 임계값 이하라는 조건을 만족하는 색값을 상기 색역 변환 대상으로부터 제외시키는 색 처리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평가 값은, 상기 평가 대상의 색값과 상기 소정의 색 공간상에서의 특정 장치의 색 재현역 외곽과의 최소 거리를 나타내는 평가 값, 상기 소정의 색 공간상에서의 특정 장치의 색 재현역 외곽상의 상기 평가 대상의 색값과의 색 차가 최소로 되는 위치와 상기 평가 대상의 색값과의 거리를 나타내는 평가 값, 상기 평가 대상의 색값에 상기 소정의 변환 룰을 적용하여 임시의 대응 색값을 구하였을 때의 상기 평가 대상의 색값과 상기 임시의 대응 색값과의 거리를 나타내는 평가 값 중 어느 하나인 색 처리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조건에, 상기 소정의 색 공간상에서의 특정 장치의 색 재현역 중, 상기 소정의 색 공간의 명도 축에 수직인 방향에 대한 상기 색 재현역 외곽면의 각도 차가 소정 값 이내로 되는 부분에 대응하는 특정 색상 범위 내의 색값이라는 조건도 포함되어 있는 색 처리 방법.
  9. 색 처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컴퓨터에 의해 실행할 수 있는 명령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로서,
    상기 기능은,
    (a) 특정 장치에 의존하지 않는 소정의 색 공간상에서의 특정 장치의 색 재현역을 나타내는 색 재현역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변환 룰을 적용하고, 상기 소정의 색 공간상에서의 입력 색 신호의 색역이 상기 색 재현역 내에 들어가도록 상기 입력 색 신호의 색역을 변환하기 위한 색역 변환 조건을 설정하고, 설정한 색역 변환 조건에 따라 입력 색 신호의 색역 변환을 행하고,
    (b) 입력 색 신호 중 상기 소정의 색 공간상에서의 위치가 상기 색 재현역 외이고 또한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색값을, (a)에 의한 색역 변환 대상으로부터 제외시키고,
    (c) (a)에 의한 색역 변환을 거친 색 신호에 대하여 상기 특정 장치에 의존하는 색 공간으로의 변환을 행하는 동시에, 상기 색 공간 변환 후에 상기 특정 장치에 의존하는 색 공간상에서의 특정 장치의 색 재현역으로부터 일탈해 있는 색값에 대하여, 상기 색 재현역 내에 들어가도록 단수를 처리하는 클리핑을 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기억 매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b)는, 상기 소정의 색 공간상에서의 위치가 상기 색 재현역 외이고, 또한, 상기 소정의 조건으로서, 상기 소정의 색 공간상에서의 특정 장치의 색 재현역 외곽과의 거리를 나타내는 소정의 평가 값이 임계값 이하라는 조건을 만족하는 색값을 상기 색역 변환 대상으로부터 제외시키는 기억 매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평가 값은, 상기 평가 대상의 색값과 상기 소정의 색 공간상에서의 특정 장치의 색 재현역 외곽과의 최소 거리를 나타내는 평가 값, 상기 소정의 색 공간상에서의 특정 장치의 색 재현역 외곽상의 상기 평가 대상의 색값과의 색 차가 최소로 되는 위치와 상기 평가 대상의 색값과의 거리를 나타내는 평가 값, 상 기 평가 대상의 색값에 상기 소정의 변환 룰을 적용하여 임시의 대응 색값을 구하였을 때의 상기 평가 대상의 색값과 상기 임시의 대응 색값과의 거리를 나타내는 평가 값 중 어느 하나인 기억 매체.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조건에, 상기 소정의 색 공간상에서의 특정 장치의 색 재현역 중, 상기 소정의 색 공간의 명도 축에 수직인 방향에 대한 상기 색 재현역 외곽면의 각도 차가 소정 값 이내로 되는 부분에 대응하는 특정 색상 범위 내의 색값이라는 조건도 포함되어 있는 기억 매체.
KR1020070077691A 2006-11-13 2007-08-02 색 처리 장치, 방법 및 색 처리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매체 KR1010292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307082 2006-11-13
JP2006307082A JP4961962B2 (ja) 2006-11-13 2006-11-13 色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3214A true KR20080043214A (ko) 2008-05-16
KR101029264B1 KR101029264B1 (ko) 2011-04-18

Family

ID=39368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7691A KR101029264B1 (ko) 2006-11-13 2007-08-02 색 처리 장치, 방법 및 색 처리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223396B2 (ko)
JP (1) JP4961962B2 (ko)
KR (1) KR101029264B1 (ko)
CN (1) CN10118414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92313B2 (ja) * 2011-12-02 2016-03-2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色処理装置および色処理プログラム
US8937746B2 (en) * 2012-04-05 2015-01-20 Xerox Corporation Color conversion for rendering devices involving improved gamut mapping
JP5909405B2 (ja) * 2012-04-27 2016-04-26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
WO2015167519A1 (en) * 2014-04-30 2015-11-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lor extrapolation from a first color space to a second color space
US11330030B2 (en) * 2019-07-25 2022-05-10 Dreamworks Animation Llc Network resource oriented data communication
JP2022178425A (ja) * 2021-05-20 2022-12-02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2023111540A (ja) 2022-01-31 2023-08-1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刷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54184A (en) * 1993-01-06 1998-05-19 Eastman Kodak Company Digital color system and method which provides a visual match across different input and output viewing conditions
JP3171081B2 (ja) 1995-12-18 2001-05-2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JP3502496B2 (ja) * 1996-01-25 2004-03-02 株式会社リコー 色情報変換処理方法および装置
JP4016234B2 (ja) * 1998-07-02 2007-12-0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装置
JP3960694B2 (ja) * 1998-10-26 2007-08-15 富士通株式会社 色信号変換方法、色信号変換装置、記録媒体、デバイスドライバ及び色変換テーブル
JP3763720B2 (ja) 1999-05-07 2006-04-0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DE10056723A1 (de) * 1999-12-15 2001-06-21 Heidelberger Druckmasch Ag Verfahren zur Erzeugung eines an einen realen Prozeß angepaßten zweiten Bilddatensatzes aus einem ersten Bilddatensatz und Colour-Management-Verfahren
JP3906893B2 (ja) 2000-11-14 2007-04-1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2004032140A (ja) 2002-06-24 2004-01-29 Fuji Xerox Co Ltd 色域マッピング方法、色域マッピング装置、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2005210208A (ja) * 2004-01-20 2005-08-04 Fuji Xerox Co Ltd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276560B2 (ja) * 2004-03-17 2009-06-1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色変換定義作成方法、プロファイル作成方法、色変換定義作成装置、プロファイル作成装置、色変換定義作成プログラム、およびプロファイル作成プログラム
JP2005295153A (ja) * 2004-03-31 2005-10-20 Canon Inc 色変換装置およびその方法
US7646391B1 (en) * 2004-04-30 2010-01-12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lor managing content elements on a display device
US7602537B2 (en) * 2004-05-06 2009-10-13 Canon Kabushiki Kaisha Gamut mapping with primary color rotation
US20080130023A1 (en) * 2004-10-28 2008-06-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lor Reproduction on Translucent or Transparent Media
US20070097389A1 (en) * 2005-10-28 2007-05-0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lor set mapp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961962B2 (ja) 2012-06-27
CN101184148A (zh) 2008-05-21
US20080112025A1 (en) 2008-05-15
US8223396B2 (en) 2012-07-17
KR101029264B1 (ko) 2011-04-18
JP2008123291A (ja) 2008-05-29
CN101184148B (zh) 2011-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64411B2 (en) Color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color processing program
JP4623137B2 (ja) 色処理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630115B2 (ja) 色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029264B1 (ko) 색 처리 장치, 방법 및 색 처리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매체
EP181430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4803122B2 (ja) 色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7312891B2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JP4553259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8446634B2 (en) Color conversion apparatus, and color convers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7656414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ation of gray for CIE color conversion using chromaticity
US7679783B2 (en) System and method for extracting grayscale data within a prescribed tolerance
US7679782B2 (en) System and method for extracting grayscale data in accordance with a prescribed tolerance function
JP5206428B2 (ja) 色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675155B2 (ja) 色データ処理方法、色データ処理システム、色データ処理プログラム及びこれ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4748034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1024031A (ja) 色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9296139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8017293A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2007336081A (ja) 色域外郭作成装置、色域外郭作成方法、及び色域外郭作成プログラム
JP2017135683A (ja) 生成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9284261A (ja) 色処理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549451B2 (ja) 色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8717379B2 (en) Color conversion table creating device
JP2008172285A (ja) 画像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9232267A (ja) 色処理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