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2736A - 헤드폰 및 이어 패드 - Google Patents

헤드폰 및 이어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2736A
KR20080042736A KR1020070114063A KR20070114063A KR20080042736A KR 20080042736 A KR20080042736 A KR 20080042736A KR 1020070114063 A KR1020070114063 A KR 1020070114063A KR 20070114063 A KR20070114063 A KR 20070114063A KR 20080042736 A KR20080042736 A KR 200800427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
pad
headphone
earring
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4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모히로 이또오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42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27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08Earpieces of the supra-aural or circum-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Earpiece supports, e.g. ear hoo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66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interconnection between earpiece and earpiece suppor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보다도 한층 더 장착감이나 장착 안정성을 향상시킨 우위성이 있는 헤드폰을 제안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방면측에 스피커 유닛(2)의 방음부(2A)가 배치되고, 배면측이 하우징(4)에 의해 덮여 있는 헤드폰부(29)와, 스피커 유닛(2)의 방음부(2A)를 덮는 이어 패드(3)를 구비하고, 이어 패드(3)는 저반발의 다공성 탄성체로서의 내부 스폰지(45)가 포재로 이루어지는 패드 커버(40)에 의해 덮인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내부 스폰지(45)에 의한 저반발성이 포재의 패드 커버(40)를 통해 직접 사용자의 귀에 접촉되므로, 내부 스폰지(45)를 귀의 형상에 추종시킬 수 있어, 헤드폰 장착시의 장착감 및 안정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스피커 유닛, 방음부, 이어 패드, 패드 커버, 귀걸이 행거

Description

헤드폰 및 이어 패드{HEADPHONE AND EAR PAD}
본 발명은, 헤드폰 및 이어 패드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어 휴대형 음악 플레이어에 대해 이용되는 귀걸이 장착 방식의 헤드폰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것이다.
종래, 귀걸이 장착 방식(소위 행거 이어 타입)의 헤드폰에 있어서는, 귀걸이 행거와, 스피커 유닛이 내장된 헤드폰부와의 사이에서 사람의 유연한 귀를 끼워 부착하여 헤드폰부 자체의 무게를 지지하도록 하여 설치되는 구조이므로, 좌우의 귀에 안정되게 장착시키는 것이 가장 어려운 타입의 장착 방식이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이와 같은 행거 이어 타입의 헤드폰은, 좌우의 귀를 덮어 가리는 밀폐형이 아닌 오픈 에어형이므로, 개방감이 있어 소리의 빠짐이 좋은 경쾌한 타입으로서 일반적이며, 주로 야외 사용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오픈 에어형의 외관적 특징으로서는, 오픈 에어의 이름과 같이, 스피커 유닛의 전방면 및 배면 모두 가능한 한 통기성을 좋게 하기 위해, 개구 면적을 크게 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대조적으로 밀폐형으로는, 스피커 유닛의 전방면에 통기성을 억제한 봉제의 합피이나, 용착 이어 패드가 있고, 배면측이 돔 형상의 하우징에 의해 덮여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음향 조정 부품의 하나인 이어 패드는, 피부에의 압력을 분산하고, 쾌적한 장착감을 얻기 위한 기능도 중요한 요소이다. 오픈 에어형인 행거 이어 타입의 헤드폰은, 경쾌한 장착감을 중시하므로 측압도 가벼운 것이 요구된다.
종래는, 용착 가능한 에스테르계 우레탄폼을 2매 외주 용착한 것이나, 에테르계 우레탄폼을 열선으로 구멍을 형성한 것이 이용되어 왔지만, 개인차에 의해 다양한 형상의 귀에 추종시키는 데는 이어 패드의 반발력이 문제가 되어, 모든 사용자에 대해 장착감을 만족시키는 것은 곤란하였다.
특히, 행거 이어 타입의 헤드폰은, 간단하고 패션성이 있는 카테고리로서 일반적이지만, 헤드 밴드가 없기 때문에 귀에 밀착시킬 때의 측압이 약하고, 내측 이어 타입과 같은 귓구멍에의 걸림도 없다.
행거 이어 타입의 헤드폰에 있어서의 장착 방법으로서는, 귀걸이 행거와, 스피커 유닛을 내장한 헤드폰부로, 유연한 귀를 끼워 헤드폰부 자체의 무게를 지지하도록 설치하는 것이며, 그로 인해 귀에 안정되게 장착시키는 것이 가장 곤란한 타입의 장착 방식이기도 하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1-112081호 공보
그런데 이러한 구성의 행거 이어 타입의 헤드폰에 있어서는, 헤드 밴드가 이용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측압이 약하고, 약간의 반발력에 의해서도 헤드폰부가 귀로부터 뜨게 되어, 귀의 요철 형상에 추종시킬 수 없어 장착시의 위화감이나, 장착 불안정감을 사용자에 주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고급 기종 중에는, 봉제의 합피이 이용된 이어 패드의 내부에 소위 저반발 우레탄폼이 설치된 것이 있지만, 헤드폰부에 있어서의 한쪽 귀 정도의 작은 도넛 형상의 공간에서는, 합피으로 이루어지는 표면의 생지(生地)의 경도가 저반발 우레탄폼의 반발보다도 매우 크기 때문에, 저반발 우레탄폼을 이용한 효과가 거의 없어지게 되는 동시에, 음원인 스피커 유닛에 매우 근접하고자 하는 필요성과 음 누설과의 균형으로부터 저반발 우레탄폼을 두껍게 하는 데에도 제약이 있어, 반드시 쾌적한 장착감을 제공할 수는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종래보다도 한층 더 장착감이나 장착 안정성을 향상시킨 우위성이 있는 헤드폰 및 이어 패드를 제안하자고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헤드폰에 있어서는, 전방면측에 스피커 유닛의 방음부가 배치되고, 배면측이 하우징에 의해 덮여 있는 헤드폰부와, 스피커 유닛의 방음부를 덮는 이어 패드를 구비하고, 이어 패드는 저반발의 다공성 탄성체가 패드 커버에 의해 덮인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저반발의 다공성 탄성체가 패드 커버를 통해 사용자의 귀에 접촉되므로, 저반발의 다공성 탄성체를 귀의 형상에 추종시킬 수 있어, 헤드폰 장착시의 장착감 및 안정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어 패드에 있어서는, 중앙 부분에 구멍이 마련된 도넛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저반발의 다공성 탄성체와, 저반발의 다공성 탄성체를 덮는 패드 커버를 구비하고, 패드 커버는 연속 기포 처리가 실시된 폴리우레탄폼과 포재로 이루어지고, 사용자의 귀와 접촉하는 전방면측에 상기 포재가 배치됨으로써, 저반발의 다공성 탄성체를 포재를 통해 사용자의 귀와 접촉시켜, 상기 저반발의 다공성 탄성체를 귀의 형상에 추종시킬 수 있으므로, 이어 패드 장착시의 장착감 및 안정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방면측에 스피커 유닛의 방음부가 배치되고, 배면측이 하우징에 의해 덮여 있는 헤드폰부와, 스피커 유닛의 방음부를 덮는 이어 패드를 구비하고, 이어 패드는 저반발의 다공성 탄성체가 패드 커버에 의해 덮인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저반발의 다공성 탄성체가 패드 커버를 통해 사용자의 귀에 접촉되므로, 저반발의 다공성 탄성체를 귀의 형상에 추종시킬 수 있어, 헤드폰 장착시의 장착감 및 안정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고, 이리하여 종래보다도 한층 더 장착감이나 장착 안정성을 향상시킨 우위성이 있는 헤드폰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중앙 부분에 구멍이 마련된 도넛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저반발의 다공성 탄성체와, 저반발의 다공성 탄성체를 덮는 패드 커버를 구비하고, 패드 커버는 연속 기포 처리가 실시된 폴리우레탄폼과 포재로 이루어지고, 사용자의 귀와 접촉하는 전방면측에 상기 포재가 배치됨으로써, 저반발의 다공성 탄성체를 포재를 통해 사용자의 귀와 접촉시켜 상기 저반발의 다공성 탄성체를 귀의 형상에 추종시킬 수 있으므로, 이어 패드 장착시의 장착감 및 안정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고, 이리하여 종래보다도 한층 더 장착감이나 장착 안정성을 향상시킨 우위성이 있는 이어 패드를 실현할 수 있다.
이하, 도면에 대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상세하게 서술한다.
(1) 제1 실시 형태
(1-1)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헤드폰 본체부의 외관 구성
도1의 (A) 및 도1의 (B)에 있어서, 1은 전체적으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행거 이어 타입의 헤드폰을 구성하는 왼쪽 귀 장착용 좌측 헤드폰 본체부를 나타내고, 헤드폰 전체적으로는 좌우 대칭형의 동일 구조인 오른쪽 귀 장착용 우측 헤드폰 본체부(도시하지 않음)와 상기 좌측 헤드폰 본체부(1)가 접속 코드(9)를 통해 접속된 구성을 갖고 있다.
이 좌측 헤드폰 본체부(1)는 그 전방면측에 스피커 유닛(2)의 방음부(2A)가 배치되고, 그 방음부(2A)에 대해 스폰지 형상의 이어 패드(3)가 덮여 있는 동시에, 그 배면측이 하우징(4)에 의해 덮여 있다.
하우징(4)은 그 내부에 접속 코드(9)를 권취하기 위한 코드 권취 기구(도시 하지 않음)가 내장되어 있고, 권취 버튼(8)에 대한 압하 조작에 따라서 코드 권취 기구에 의해 접속 코드(9)를 하우징(4) 내에 권취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하우징(4)은 그 상부 중앙이며, 스피커 유닛(2)의 방음부(2A)측의 상한(象限)에 설치된 회전 베어링부(5)를 통해 합성 수지 등의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귀걸이 행거(6)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그 회전 베어링부(5)를 덮도록 회전 베어링부 커버(7)가 설치되어 있다.
귀걸이 행거(6)는 그 아암부가 귀의 형상에 맞춘 전체적으로 라운딩을 갖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좌측 헤드폰 본체부(1)를 사용자 장착시의 가장 정면측으로부터 보았을 때[도1의 (B) 좌측면도], 하우징(4) 중심의 법선(OL)에 대해, 소위 아오리 방향으로 약 21도의 경사를 갖고 회전 베어링부(5)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아오리 방향이라 함은,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얼굴을 정면측으로부터 보았을 때, 귀가 얼굴에 대해 어떤 각도로 있는지를 나타내는 방향이며, 그것을 경사 각도(θ1)에 의해 나타낸다. 따라서 귀걸이 행거(6)는 회전 베어링부(5)를 통해 아오리 방향으로 약 21도의 경사를 갖고 설치되어 있으므로, 사용자의 귀에 장착되었을 때, 그 아암부가 귀의 아오리 방향에 따른 상태가 되어, 사용자의 장착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아오리 방향의 경사 각도(θ1)가 약 21도로 설정되어 있는 것은,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앙케이트를 실시하여, 그 집계 결과로부터 대다수의 사용자에게 있어서 장착감이 편하다고 느껴지는 아오리 방향의 경사 각도가 약 21도였기 때문이다.
또한 귀걸이 행거(6)는 좌측 헤드폰 본체부(1)를 가장 상측으로부터 보았을 때[도1의 (B) 상면도], 하우징(4) 중심의 법선(OL)에 대해 소위 트위스트 방향으로 약 25도의 경사를 갖고 회전 베어링부(5)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트위스트 방향이라 함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얼굴을 가장 상측으로부터 보았을 때, 사용자의 귀가 얼굴에 대해 어떤 각도로 있는 것인지를 나타내는 방향이며, 그것을 경사 각도(θ2)에 의해 나타낸다. 따라서 귀걸이 행거(6)는 회전 베어링부(5)를 통해 트위스트 방향으로 약 25도의 경사를 갖고 설치되어 있으므로, 사용자의 귀에 장착되었을 때, 그 아암부가 귀의 트위스트 방향에 따른 상태가 되어, 사용자의 장착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덧붙여서, 귀걸이 행거(6)가 회전 베어링부(5)를 통해 트위스트 방향으로 약 25도의 경사가 설정되어 있는 것은, 트위스트 방향으로의 경사가 0도, 15도, 25도, 35도 및 45도마다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앙케이트를 실시하여, 그 집계 결과인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은 경사 각도별 히스토그램(HG)을 기초로 하여, 대다수의 사용자에게 있어서 장착감이 편하다고 느껴지는 트위스트 방향에의 경사 각도(θ2)가 25도였다고 검증되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귀걸이 행거(6)는, 하우징(4)의 회전 베어링부(5)를 통해 아오리 방향으로 약 21도의 경사를 갖고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트위스트 방향으로도 약 25도의 경사를 갖고 설치되어 있으므로, 그 아암부가 사용자의 귀에 있어서의 아오리 방향 및 트위스트 방향의 양방에 따른 상태로 장착되게 되고, 예를 들어 아오리 방향만으로 경사진 구조의 귀걸이 행거와 비교한 경우, 장착시의 피트감을 매우 향 상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1-2)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좌측 헤드폰 본체부의 내부 구조
계속해서, 좌측 헤드폰 본체부(1)의 내부 구조에 대해 도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 좌측 헤드폰 본체부(1)를 구성하는 각 부재로서는, 합성 수지나 내부식성 금속 등이 소재로서 이용되고 있다.
실제상, 좌측 헤드폰 본체부(1)의 내부에는 대략 원통 형상의 하우징(22)이 설치되어 있고, 그 하우징(22)의 상측 유지부(22A)의 내주측에 중심축(22C)을 통해 접속 코드(9)의 권취에 이용되는 권취 릴(23)이 설치된다.
그리고 권취 릴(23)이 설치된 하우징(22)은 권취 릴(23) 상으로부터 릴 커버(24)가 하우징(22)을 덮도록 설치되고, 그 릴 커버(24)에 대해 화장 캡(25) 및 회전 베어링부 커버(7)가 동시에 설치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좌측 헤드폰 본체부(1)는 하우징(22)의 하방에 설치된 플랜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하측 보유 지지부(22B)의 내주측에 짧은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스피커 유닛(21)이 끼워 넣어져 설치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 이 하우징(22)에 대해, 권취 릴(23), 릴 커버(24), 화장 캡(25) 및 스피커 유닛(2)이 설치된 부분을 헤드폰부(29)라 한다.
좌측 헤드폰 본체부(1)는 헤드폰부(29)의 하우징(22)에 있어서의 하측 보유 지지부(22B)의 주위 단부면 상에 설치되어 있는 회전 베어링부(5)에 대해, 귀걸이 행거(6)의 선단부에 있는 축 보유 지지부(6A)가 나사 형상의 회전축(26)에 의해 축 지지되고, 그 회전축(26) 상으로부터 축 커버(27)에 의해 덮개가 되어 있다.
덧붙여서, 도5에서는 귀걸이 행거(6)와 스피커 유닛(21)이 중첩되어 보이지만, 이 귀걸이 행거(6)와 스피커 유닛(21)은 별개 부재의 독립된 부품이며, 하우징(22)의 회전 베어링부(5)에 귀걸이 행거(6)가 설치된 결과, 스피커 유닛(21)과는 독립되어 귀걸이 행거(6)만이 회전 베어링부(5)의 회전축(26)을 통해 회전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 좌측 헤드폰 본체부(1)는 회전축(26)에 대해 스프링(28)이 설치된 상태에서, 귀걸이 행거(6)의 축 보유 지지부(6A)가 회전 베어링부(5)에 축 지지되도록 되어 있고, 이에 의해 귀걸이 행거(6)가 회전 베어링부(5)를 통해 회전된 경우, 스프링(28)의 압박력에 의해 귀걸이 행거(6)의 아암부를 원래의 위치(도1)로 복귀시키고자 하는 힘이 작용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 귀걸이 행거(6)의 아암부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려고 하는 힘은, 사용자의 귀에 접촉되는 이어 패드(3)의 표면과, 귀걸이 행거(6)의 아암부와의 사이에 사용자의 귀를 끼워 부착하도록 작용하는 동시에, 상기 귀걸이 행거(6)의 아암부가 안경의 귀걸이 부분과 같이 귀에 대해 견고하게 보유 지지되도록 작용한다.
그런데 좌측 헤드폰 본체부(1)에서는, 귀걸이 행거(6)가 회전 베어링부(5)를 통해 아오리 방향으로 약 21도의 경사를 갖고 설치되는 동시에, 트위스트 방향으로도 약 25도의 경사를 갖고 설치되도록 이루어져 있지만, 이것은 회전 베어링부(5) 그 자체가 하우징(22)에 대해 아오리 방향으로 약 21도의 경사를 갖고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또한 트위스트 방향에도 약 25도의 경사를 갖고 설치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좌측 헤드폰 본체부(1)는 귀걸이 행거(6)가 헤드폰부(29)의 회전 베어링부(5)에 축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귀걸이 행거(6)가 스프링(28)의 압박력에 반하여 회전되었을 때, 스피커 유닛(2)의 방음부(2A)측의 상한 상에서, 귀걸이 행거(6)가 아오리 방향으로 약 21도 기울어지고, 또한 트위스트 방향으로 약 25도 기울어진 2축 경사의 3차원적인 가상 축선[회전축(26)]을 중심으로 한 소정 회전 각도 범위 내에서 상기 귀걸이 행거(6)의 아암부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1-3)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장착 상태
그런데 상술한 2축 경사의 귀걸이 행거(6)를 갖는 좌측 헤드폰 본체부(1)가 사용자의 귀에 장착될 때, 도6의 (A) 및 도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마치 안경을 쓰는 것처럼 귀걸이 행거(6)의 아암부 선단부를 귀의 밑둥에 끼워 넣도록 삽입함으로써,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어 패드(3)가 이갑개(耳甲介)에 접촉되고, 또한 귀걸이 행거(6)의 아암부가 귀에 걸린 상태, 즉 결과적으로 이어 패드(3)와 귀걸이 행거(6)의 아암부에 의해 귀가 끼인 상태에서 좌측 헤드폰 본체부(1)가 보유 지지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아오리 방향 및 트위스트 방향으로 2축 경사진 귀걸이 행거(6)를 갖는 좌측 헤드폰 본체부(1)가 사용자에게 장착된 경우와, 기본 구조가 동일하며 아오리 방향으로만 1축 경사진 귀걸이 행거를 갖는 좌측 헤드폰 본체부가 사용자에게 장착된 경우에 있어서의 장착 상태의 차이를 도8 및 도9에 의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아오리 방향 및 트위스트 방향으로 2축 경사진 귀걸이 행거(6)를 갖는 좌측 헤드폰 본체부(1)가 사용자에게 장착된 경우, 도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준적인 두께의 귀(ER1)를 갖는 사용자에 대해서는 귀걸이 행거(6)의 회전 베어링부(5)를 통한 회전 각도가 표준 상태인 것에 대해, 도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준적인 두께보다도 두꺼운 귀(ER2)를 갖는 사용자에 대해서는 귀걸이 행거(6)의 회전 베어링부(5)를 통한 회전 각도가 표준 상태보다도 10도 큰 10도 개방 상태가 되고, 도8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준적인 두께보다도 얇은 귀(ER3)를 갖는 사용자에 대해서는 귀걸이 행거(6)의 회전 베어링부(5)를 통한 회전 각도가 표준 상태보다도 10도 작은 10도 폐쇄 상태가 된다.
즉 본 발명의 좌측 헤드폰 본체부(1)에서는, 귀걸이 행거(6)의 회전 각도가 표준 상태[도8의 (A)], 10도 개방 상태[도8의 (B)] 및 10도 폐쇄 상태[도8의 (C)] 중 어느 하나의 경우라도, 이어 패드(3)의 표면에 대해 귀걸이 행거(6)의 아암부가 평행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이어 패드(3)의 표면으로부터 귀걸이 행거(6)의 아암부까지의 거리(DM1 내지 DM3)가 귀(ER1 내지 ER3)의 두께에 따라서 각각 변화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좌측 헤드폰 본체부(1)에서는, 귀걸이 행거(6)의 회전 각도가 변함에 따라서, 이어 패드(3)의 표면으로부터 귀걸이 행거(6)의 아암부까지의 거리(DM1 내지 DM3)가 변화되고, 또한 이어 패드(3)의 표면에 대해 귀걸이 행거(6)의 아암부가 평행 상태를 계속해서 유지하므로, 사용자마다 귀(ER1 내지 ER3)의 두께가 달라도 모든 사용자에 대해 양호한 장착감 및 장착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도 록 이루어져 있다.
이에 대해 도8의 (A), 도8의 (B) 및 도8의 (C)와의 대응 부분에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 도9의 (A), 도9의 (B) 및 도9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오리 방향으로만 1축 경사진 귀걸이 행거(106)를 갖는 좌측 헤드폰 본체부(100)가 사용자에게 장착된 경우, 표준적인 두께의 귀(ER1)를 갖는 사용자에 대해서는 귀걸이 행거(106)의 회전 각도가 표준 상태인 것에 대해[도9의 (A)], 표준적인 두께보다도 두꺼운 귀(ER2)를 갖는 사용자에 대해서는 귀걸이 행거(106)의 회전 각도가 표준 상태보다도 10도 큰 10도 개방 상태가 되고[도9의 (B)], 표준적인 두께보다도 얇은 귀(ER3)를 갖는 사용자에 대해서는 귀걸이 행거(106)의 회전 각도가 표준 상태보다도 10도 작은 10도 폐쇄 상태가 된다[도9의 (C)].
그러나 아오리 방향으로만 1축 경사진 귀걸이 행거(106)를 갖는 좌측 헤드폰 본체부(100)에서는, 귀걸이 행거(106)의 회전 각도가 표준 상태[도9의 (A)], 10도 개방 상태[도9의 (B)] 및 10도 폐쇄 상태[도9의 (C)] 중 어느 하나의 경우라도, 이어 패드(103)의 표면으로부터 귀걸이 행거(106)의 아암부까지의 거리(DM4A, DM4B 및 DM4C)가 거의 변하지 않고, 또한 이어 패드(103)의 표면과 귀걸이 행거(106)의 아암부와의 평행 상태에 대해서도 반드시 유지되고 있지는 않다.
따라서 아오리 방향으로만 1축 경사진 귀걸이 행거(106)를 갖는 좌측 헤드폰 본체부(100)에서는, 귀걸이 행거(106)의 회전 각도가 변해도, 이어 패드(103)의 표면으로부터 귀걸이 행거(106)의 아암부까지의 거리(DM4A, DM4B 및 DM4C)가 거의 변화되지 않으므로, 표준적인 두께보다도 두꺼운 귀(ER2)를 갖는 사용자나, 표준적인 두께보다도 얇은 귀(ER3)를 갖는 사용자에 대해, 양호한 장착감을 제공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귀걸이 아암(106)의 회전 각도가 커짐에 따라서 이어 패드(3)와 이갑개와의 위치 관계가 최적인 상태로부터 미묘하게 어긋나 버리게 된다.
(1-4)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이어 패드의 구조
그런데 본 발명의 2축 경사진 귀걸이 행거(6)를 갖는 좌측 헤드폰 본체부(1)의 이어 패드(3)에서는, 종래에 없는 고안이 이루어지고 있어, 그 점에 대해 다음에 설명한다.
이어 패드(3)는 도10의 (A) 및 도10의 (B)에 도시하는 패드 커버(40)와, 도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패드 커버(40)의 내부에 장전되는 저반발 우레탄폼으로 이루어지는 다공성 탄성체 즉 내부 스폰지(45)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패드 커버(40)는 사용자의 귀에 접촉되는 전방면측에 플렉시블재로서 예를 들어 나일론이나 폴리에스테르 등의 합성 수지 섬유를 니트 형상으로 한 신축 가능하고 통기성 및 통음성이 높은 포지(41)[도10의 (A)]이 배치되고, 스피커 유닛(2)을 감싸는 배면측에 연속 기포 처리가 실시된 내부 스폰지(45)의 측면을 덮고, 도넛 형상의 삽입 관통 구멍을 갖는 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폼으로 이루어지는 탄성체의 커버 스폰지(42)[도10의 (B)]가 배치되고, 포지(41)과 커버 스폰지(42)가 서로의 접합부의 단부에서 열용착된 구성을 갖는다.
한편, 내부 스폰지(45)는 연속 기포 처리가 실시되지 않은 도넛 형상의 저반발 우레탄폼으로 이루어지고, 커버 스폰지(42)의 내부에 수납되므로, 상기 커버 스폰지(42)보다도 약간 작은 사이즈로 형성되어 있다. 또, 필요에 따라서 포지(41) 과 커버 스폰지(42)가 서로의 접합부의 단부에서 열용착되지만, 내부 스폰지(45)에 대해서도 열용착에 의해 패드 커버(40)의 커버 스폰지(42)와 열용착시켜 고착시키도록 해도 좋다.
이 내부 스폰지(45)의 소재로서 채용되어 있는 저반발 우레탄폼은, NASA의 스페이스 셔틀의 시트에 사용되고 있고, 우주 비행사에게 있어서 가혹한 대중압ㆍ진동ㆍ장시간에 걸친 안착 작업을 경감하기 위해 개발되어, 하중 분산과 저반발이라는 특징을 갖는 것이다.
통상의 가구로 사용되고 있는 우레탄폼은, 밀도가 약 15 내지 30 ㎏/㎥인 것에 대해, 저반발 우레탄폼은 통상의 우레탄폼의 약 2 내지 3배에 상당하는 약 65 ㎏/㎥것의 밀도가 있다. 또 저반발인지 여부의 기준은, 반발 탄성이 약 40 ㎏/㎥ 이상인 밀도에서 20 % 이하인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저반발 우레탄폼은, 일반 우레탄폼과의 밀도의 차이에 의해 외부로부터의 압력에 대해 천천히 변형되고 천천히 복귀되는 특징과, 하중을 분산하여 딱딱한 느낌을 갖기 어렵고 압박감이 없는 기분 좋은 감촉을 얻을 수 있는 특징과, 언제까지나 헐거워짐이 적은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내부 스폰지(45)에 사용되는 저반발 우레탄폼으로서는,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바운드리스 특성을 갖는 쿠션용 폴리우레탄폼이며, 반발 탄성이 매우 작고, 쿠션재로서 사용한 경우에 체압(體壓)이 균등하게 분산되어 장시간 사용해도 피로를 느끼게 하기 어려운 동시에, 충격 흡수성이 크고, 경도의 온도 의존성이 있기 때문에, 온도가 낮으면 딱딱하고, 온도가 높으면 부드러워지는 특징이 있다.
이어 패드(3)는,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넛 형상의 구멍이 마련된 패드 커버(40)[커버 스폰지(42)]에 대해 대략 동일한 사이즈로 이루어지는 도넛 형상의 구멍이 형성된 내부 스폰지(45)가 수납된 상태로 구성되고, 패드 커버(40)의 커버 스폰지(42)가 하우징(22)의 플랜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하측 보유 지지부(22B)의 플랜지부에 걸리도록 하여 설치된다.
그런데 이어 패드(3)의 패드 커버(40)에 이용되고 있는 커버 스폰지(4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연속 기포 처리가 실시된 소재이므로, 스피커 유닛(2)의 방음부(2A)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을 통과시킬 수 있지만, 저반발 우레탄폼으로 이루어지는 내부 스폰지(45)는 연속 기포 처리가 실시되지 않은 소재이기 때문에, 스피커 유닛(2)의 방음부(2A)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을 통과시킬 수 없다.
그러나 이어 패드(3)에서는, 도넛 형상의 구멍이 형성된 패드 커버(40)의 커버 스폰지(42)에 대해, 대략 같은 사이즈로 이루어지는 도넛 형상의 구멍이 형성된 내부 스폰지(45)가 수납된 구조이므로, 스피커 유닛(2)의 방음부(2A)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을 도넛 형상의 2개의 구멍 및 니트의 포지(41)을 통해 통과시켜, 사용자의 귀에 도달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이어 패드(3)는 내부 스폰지(45)에 저반발 우레탄폼이 이용되는 동시에, 그 내부 스폰지(45)와 접촉하고, 또한 사용자의 귀에 압박되는 포지(41)에 니트가 이용되도록 함으로써, 내부 스폰지(45)에 대해 부여되는 외부로부터의 압력에 대해 천천히 변형되고, 천천히 복귀되는 특징을, 얇은 부드러운 니트의 포지(41)을 통해 다이렉트로 전달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이어 패드(3)가 부착된 좌측 헤드폰 본체부(1)를 장착하였을 때, 작은 측압밖에 기대할 수 없는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이어 패드(3)의 내부 스폰지(45) 및 포지(41)을 통해 사용자마다 개인차를 갖는 귀의 형상차를 흡수하여, 누구에 대해서도 한층 더 쾌적한 장착감 및 장착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좌측 헤드폰 본체부(1)는 이어 패드(3)에 이용된 저반발 우레탄폼의 내부 스폰지(45)가 외부의 압력에 대해 천천히 변형되고, 천천히 복귀되는 특징을 갖고, 상기 내부 스폰지(45)가 귀의 개인차에 의해 다른 요철 형상에 각각 추종하여 밀착하게 되므로, 귀와 이어 패드(3)와의 간극을 종래에 비해 한층 더 막을 수 있고, 이리하여 이어 패드(3)의 전방면측으로부터의 불필요한 음 누설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1-5) 동작 및 효과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좌측 헤드폰 본체부(1)는,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귀걸이 행거(6)가 회전 베어링부(5)(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회전한 경우, 귀걸이 행거(6)의 아암부가 하우징(4)으로부터 이격된 방향으로 이동하고, 그 귀걸이 행거(6)의 아암부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려고 하는 압박력에 의해, 이어 패드(3)와 귀걸이 행거(6)의 아암부와의 사이에서 사용자의 귀를 끼워 부착함으로써 장착된다.
이 때 도15의 (A) 및 도1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헤드폰 본체부(1)는 그 정면측으로부터 보았을 때 귀걸이 행거(6)가 하우징(4)에 대해 아오리 방향으로 약 21도의 경사를 갖고 설치되고, 그 상면측으로부터 보았을 때 귀걸이 행거(6)가 하우징(4)에 대해 트위스트 방향으로 약 25도의 경사를 갖고 설치된 3차원적인 2축 경사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회전 베어링부(5)를 통해 귀걸이 행거(6)를 회전시켰을 때, 귀의 각도를 따라 상기 귀걸이 행거(6)의 아암부를 따르게 할 수 있다.
또한 도1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1축 경사진 귀걸이 행거(206)를 갖는 좌측 헤드폰 본체부(200)가 사용자에게 장착된 경우와, 도1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2축 경사진 귀걸이 행거(6)를 갖는 좌측 헤드폰 본체부(1)가 사용자에게 장착된 경우에 있어서의 장착 상태의 차이를 검증한다.
이 경우, 종래의 1축 경사진 귀걸이 행거(206)를 갖는 좌측 헤드폰 본체부(200)[도16의 (A)]에서는, 귀걸이 행거(206)를 회전 보유 지지하는 회전 베어링부(205)가 이어 패드(203)측의 상한에 설치되어 있지만, 귀걸이 행거(206)를 회전 보유 지지하는 회전 베어링부(205)의 방향이 하우징(204)의 화장 캡(225)측의 상한에 있으므로, 귀걸이 행거(206)가 화장 캡(225)측으로부터 큰 곡선을 그리며 이어 패드(203)측의 상한으로 돌아 들어가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1축 경사진 귀걸이 행거(206)를 갖는 좌측 헤드폰 본체부(200)[도16의 (A)]는 귀걸이 행거(206)의 아암부와 사용자의 귀 뒷부분과의 공간이 크게 확대되어, 상기 귀걸이 행거(206)의 아암부와 귀 뒷부분과의 접촉 면적이 적어져 버린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의 2축 경사진 귀걸이 행거(6)를 갖는 좌측 헤드폰 본체 부(1)[도16의 (B)]에서는, 귀걸이 행거(6)를 회전 보유 지지하는 회전 베어링부(5)가 스피커 유닛(2)을 내부에 갖는 이어 패드(3)측의 상한에 설치되고, 또한 귀걸이 행거(6)를 회전 보유 지지하는 회전 베어링부(5)의 방향에 대해서도 이어 패드(3)측의 상한에 있으므로, 귀걸이 행거(6)가 회전 베어링부(5)로부터 이어 패드(3)측의 상한에 대해 직접 배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2축 경사진 귀걸이 행거(6)를 갖는 좌측 헤드폰 본체부(1)[도16의 (B)]는 귀걸이 행거(6)의 아암부와 사용자의 귀 뒷부분과의 공간이 거의 없어지고, 상기 귀걸이 행거(6)의 아암부와 귀 뒷부분과의 접촉 면적이 한층 더 많아져, 장착시의 유지성 및 장착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동시에, 장착감을 매우 향상시키고 있다.
게다가 좌측 헤드폰 본체부(1)에서는, 귀걸이 행거(6)의 회전 각도가 변함에 따라서, 이어 패드(3)의 표면으로부터 귀걸이 행거(6)까지의 거리(DM1 내지 DM3)가 변화되고[도8의 (A) 내지 도8의 (C)], 또한 이어 패드(3)의 표면에 대해 귀걸이 행거(6)의 아암부가 평행 상태를 계속해서 유지하므로, 사용자마다 귀(ER1 내지 ER3)의 두께가 달라도 양호한 장착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좌측 헤드폰 본체부(1)에서는, 내부 스폰지(45)에 저반발 우레탄폼이 소재로서 이용되고 있는 동시에, 그 내부 스폰지(45)와 접촉하고, 또한 사용자의 귀에 압박되는 포지(41)에 대해 얇은 유연한 니트가 소재로서 이용되고 있음으로써, 내부 스폰지(45)에 대해 부여되는 귀로부터의 측압에 대해 귀의 형상에 맞추어 내부 스폰지(45)를 천천히 변형시키고, 천천히 복귀되도록 추종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좌측 헤드폰 본체부(1)는 사용자에게 장착되었을 때, 내부 스폰지(45) 및 니트의 포지(41)을 통해 이어 패드(3)를 사용자의 귀의 형상에 맞추도록 추종시킬 수 있으므로, 충분한 밀착감과 함께 음 누설을 방지하면서, 한층 더 쾌적한 장착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 좌측 헤드폰 본체부(1)에서는, 이 경우에도 통기성이 우수한 니트의 포지(41)으로 이루어지는 패드 커버(40)가 이용되어 있으므로, 충분한 밀착감 및 음 누설을 방지하면서도, 사용시의 열기를 방지하여 쾌적함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에 따르면, 종래보다도 한층 더 장착감이나 장착 안정성을 향상시킨 좌측 헤드폰 본체부(1) 및 우측 헤드폰 본체부로 이루어지는 우위성이 있는 귀걸이 장착 방식의 헤드폰을 실현할 수 있다.
(2) 제2 실시 형태
(2-1)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헤드폰 본체부의 외관 구성
도1과의 대응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부여한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300은 전체적으로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행거 이어 타입의 헤드폰을 구성하는 왼쪽 귀 장착용 좌측 헤드폰 본체부를 나타내고, 헤드폰 전체적으로는 좌우 대칭형의 동일 구조인 오른쪽 귀 장착용 우측 헤드폰 본체부(도시하지 않음)와 상기 좌측 헤드폰 본체부(300)가 접속 코드(309)를 통해 접속된 구성을 갖고 있다.
이 경우,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좌측 헤드폰 본체부(300)에서는, 하우징(304)의 내부에 접속 코드(309)를 권취하기 위한 코드 권취 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은 아니고, 저음 증강용 덕트(33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 고, 그 이외의 귀걸이 행거(306)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회전 베어링부(305)를 통해 아오리 방향 및 트위스트 방향으로 동일 경사 각도만큼 기울어진 3차원적인 2축 경사 구조로 되어 있다.
덧붙여서, 이 귀걸이 행거(306)의 2축 경사 구조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귀걸이 행거(6)의 2축 경사 구조와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 덕트(330)는 그 직경 및 길이에 기인하여 공진 주파수를 낮은 주파수대로 옮겨, 저음 레벨을 증강하기 위한 것이며, 가능한 한 큰 사이즈의 덕트일수록 안정된 상태에서 저음을 충분한 레벨로까지 증강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좌측 헤드폰 본체부(300)에 있어서도, 2축 경사 구조를 갖고 있으므로, 귀걸이 행거(306)를 회전시켰을 때, 사용자의 귀의 뒷부분을 따라 상기 귀걸이 행거(6)를 따르게 할 수 있다.
또한 좌측 헤드폰 본체부(300)에 있어서도, 귀걸이 행거(306)의 회전 각도가 변함에 따라서, 이어 패드(303)의 표면으로부터 귀걸이 행거(6)의 아암부까지의 거리가 변화되고, 또한 이어 패드(3)의 표면에 대해 귀걸이 행거(6)의 아암부가 평행 상태를 계속해서 유지하므로, 사용자마다 귀의 두께가 달라도 양호한 장착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좌측 헤드폰 본체부(300)의 이어 패드(303)에 대해서도,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좌측 헤드폰 본체부(1)의 이어 패드(3)와 동일 구조이므로, 종래에 비해 우수한 장착감 및 장착 안정성을 갖게 할 수 있다.
(3) 다른 실시 형태
또 상술한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합성 수지 등의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귀걸이 행거(6 및 306)를 이용하도록 한 경우에 대해 서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의 귀에 귀걸이 행거(6 및 306)가 접촉하였을 때, 귀의 형상에 어느 정도 추종하도록 된 형태라면, 탄성이 거의 없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귀걸이 행거(6 및 306)를 이용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귀걸이 행거(6 및 306)를 회전축에 대해, 아오리 방향의 경사 각도(θ1)를 약 21도, 트위스트 방향의 경사 각도(θ2)를 약 25도로 설정하도록 한 경우에 대해 서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귀걸이 행거(6 및 306)가 2축 경사진 구조이면, 아오리 방향 및 트위스트 방향 모두 약 10도 내지 45도의 범위 내에서 임의의 경사 각도(θ1 및 θ2)로 설정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회전 베어링부(5 및 305)를 통해 귀걸이 행거(6 및 306)가 아오리 방향으로의 경사 각도(θ1)를 약 21도, 트위스트 방향으로의 경사 각도(θ2)를 약 25도로 설정한 고정식의 경우에 대해 서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회전 베어링부(5 및 305)의 방향을 움직이게 하는 구조로 하여, 아오리 방향으로의 경사 각도(θ1) 및 트위스트 방향으로의 경사 각도(θ2)를 사용자의 기호에 맞추어 미세 조정 가능하게 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패드 커버(40)와 스폰지(45)가 열용착된 구조의 이어 패드(3 및 303)를 이용하도록 한 경우에 대해 서술하였지 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패드 커버(40)와 스폰지(45)가 처음부터 일체화된 구조의 이어 패드(3 및 303)를 이용하도록 하거나, 패드 커버(40) 중에 스폰지(45)를 수납시키는 것만으로 열용착되지 않는 것이라면, 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폼으로 이루어지는 커버 스폰지를 이용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패드 커버(40)의 배면측에 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폼으로 이루어지는 커버 스폰지(42)를 이용하도록 한 경우에 대해 서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패드 커버(40)의 전방면측과 같이 니트제의 포지(41)을 이용하거나, 내부 스폰지(45)와 같은 소재로 이루어지는 저반발 우레탄폼으로 이루어지는 커버 스폰지(42)를 이용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이어 패드(3 및 303)의 패드 커버(40)를 귀걸이 장착 방식인 행거 이어 타입의 헤드폰(1 및 300)에 이용하도록 한 경우에 대해 서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어 패드를 필요로 하는 구조이면, 밀폐형의 헤드폰이나, 기타 다양한 타입의 헤드폰에 이어 패드(3 및 303)의 패드 커버(40)를 이용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이어 패드(3 및 303)의 패드 커버(40)의 소재로서 포지(41)을 이용하도록 한 경우에 대해 서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포상(布狀)으로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나 폴리우레탄 수지 등의 기타 다양한 합성 수지 섬유계 소재나, 종이재를 포지(41) 대신 이용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헤드폰부로서의 헤드폰 부(29) 및 이어 패드로서의 이어 패드(3)에 의해 귀걸이 장착 방식의 헤드폰으로서의 좌측 헤드폰 본체부(1 및 300)를 구성하도록 한 경우에 대해 서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 밖의 다양한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는 헤드폰부 및 이어 패드에 의해 귀걸이 장착 방식의 헤드폰을 구성하도록 해도 좋다.
본 발명의 귀걸이 장착 방식의 헤드폰은, 휴대형 음악 플레이어 이외의 예를 들어 음악 재생 기능을 갖은 휴대 전화기나 소형 모바일 컴퓨터 등의 기타 다양한 전자 기기에 적용할 수 있다.
도1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행거 이어 타입의 헤드폰 본체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선도.
도2는 아오리 방향의 경사 각도를 나타내는 개략선도.
도3은 트위스트 방향의 경사 각도를 나타내는 개략선도.
도4는 트위스트 방향의 경사 각도별 히스토그램을 나타내는 개략선도.
도5는 좌측 헤드폰 본체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대략 선적 사시도.
도6은 장착의 방법의 설명에 제공하는 대략 선적 사시도.
도7은 좌측 헤드폰 본체부의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선도.
도8은 본원 발명의 2축 경사의 좌측 헤드폰 본체부가 귀의 사이즈가 다른 사용자에게 장착된 경우의 장착 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개략선도.
도9는 1축 경사의 좌측 헤드폰 본체부가 귀의 사이즈가 다른 사용자에게 장착된 경우의 장착 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개략선도.
도10은 이어 패드의 패드 커버의 구성을 도시하는 대략 선적 사시도.
도11은 이어 패드의 내부 스폰지(저반발 우레탄폼)의 구성을 도시하는 대략 선적 사시도.
도12는 바운드리스 특성의 설명에 제공하는 개략선도.
도13은 이어 패드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선도.
도14는 좌측 헤드폰 본체부에 있어서의 귀걸이 행거의 회전 상태를 나타내는 대략 선적 사시도.
도15는 아오리 방향 및 트위스트 방향으로 2축 경사진 귀걸이 행거를 도시하는 개략선도.
도16은 귀걸이 행거와 귀의 뒷 부분과의 거리의 설명에 제공되는 개략선도.
도17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행거 이어 타입의 헤드폰 본체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대략 선적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00, 300 : 좌측 헤드폰 본체부
2 : 스피커 유닛
3, 303 : 이어 패드
4, 304 : 하우징
5, 305 : 회전 베어링부
6, 306 : 귀걸이 행거
7 : 회전 베어링부 커버
8 : 권취 버튼
9, 309 : 접속 코드
22 : 하우징
23 : 릴
24 : 릴 커버
25 : 화장 캡
26 : 회전축
27 : 축 커버
40 : 패드 커버
41 : 포지
42 : 커버 스폰지
45 : 내부 스폰지
330 : 덕트

Claims (6)

  1. 전방면측에 스피커 유닛의 방음부가 배치되고 배면측이 하우징에 의해 덮여 있는 헤드폰부와,
    상기 스피커 유닛의 방음부를 덮는 이어 패드를 구비하고,
    상기 이어 패드는 저반발의 다공성 탄성체가 패드 커버에 의해 덮인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반발의 다공성 탄성체는 반발 탄성이 20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이 장착 방식의 헤드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반발의 다공성 탄성체는 저반발 우레탄폼으로 이루어지고, 그 중앙 부분에 구멍이 마련된 도넛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반발의 다공성 탄성체를 수납하는 상기 패드 커버는 연속 기포 처리가 실시된 폴리우레탄폼과 포재(布材)로 이루어지고, 사용자의 귀와 접촉하는 전방면측에 상기 포재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 커버는 상기 저반발의 다공성 탄성체가 상기 패 드 커버의 내측에서 열용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폰.
  6. 중앙 부분에 구멍이 마련된 도넛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저반발의 다공성 탄성체와,
    상기 저반발의 다공성 탄성체를 덮는 패드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패드 커버는 연속 기포 처리가 실시된 폴리우레탄폼과 포재로 이루어지고, 사용자의 귀와 접촉하는 전방면측에 상기 포재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 패드.
KR1020070114063A 2006-11-10 2007-11-09 헤드폰 및 이어 패드 KR2008004273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305627 2006-11-10
JP2006305627A JP4899810B2 (ja) 2006-11-10 2006-11-10 ヘッドホン及びイヤーパッ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2736A true KR20080042736A (ko) 2008-05-15

Family

ID=38969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4063A KR20080042736A (ko) 2006-11-10 2007-11-09 헤드폰 및 이어 패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150090B2 (ko)
EP (1) EP1921889A1 (ko)
JP (1) JP4899810B2 (ko)
KR (1) KR20080042736A (ko)
CN (1) CN10119819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32029B2 (en) 2017-03-15 2021-02-23 Sony Corporation Headphon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03688B2 (en) * 2009-08-24 2013-08-06 Gregory DiRusso Device to enhance an ear bud
JP2012160787A (ja) * 2011-01-28 2012-08-23 Sony Corp イヤパッド
JP2013138350A (ja) 2011-12-28 2013-07-11 D & M Holdings Inc ヘッドホン及びイヤーパッド
CN103108267A (zh) * 2013-01-16 2013-05-15 歌尔声学股份有限公司 一种复合结构耳套
JP2015133609A (ja) * 2014-01-14 2015-07-23 フィフティスクエア株式会社 ヘッドホンカバー
CN105611452A (zh) * 2016-02-25 2016-05-25 歌尔声学股份有限公司 一种可调耳机
CN105635883A (zh) * 2016-02-25 2016-06-01 歌尔声学股份有限公司 一种耳机
US9807493B1 (en) 2016-04-21 2017-10-31 Human, Incorporated Attachment apparatus
USD908666S1 (en) * 2019-05-06 2021-01-26 Human, Incorporated Earphone accessory
US11064279B2 (en) 2019-10-09 2021-07-1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eadphone earcup including seamless cover
CN116076087A (zh) * 2020-10-09 2023-05-05 Gn 奥迪欧有限公司 具有不同性质的多种泡沫的耳塞式耳垫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62819U (ko) 1974-11-13 1976-05-18
US4856118A (en) * 1987-02-11 1989-08-15 Bose Corporation Headphone cushioning
JPS63268395A (ja) * 1987-04-27 1988-11-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イヤ−パツド
US4958697A (en) * 1989-09-11 1990-09-25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Anatomically shaped earseals for headsets
JP2635791B2 (ja) * 1990-01-31 1997-07-30 アイワ株式会社 イヤホンパッドの製造方法およびイヤホンパッド
JP3227200B2 (ja) 1992-05-19 2001-11-12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及び方法
JP3097340B2 (ja) 1992-08-19 2000-10-10 ソニー株式会社 ヘッドホン装置
JPH0678386A (ja) * 1992-08-26 1994-03-18 Sony Corp ヘッドホン装置
JP3154214B2 (ja) * 1992-09-25 2001-04-09 ソニー株式会社 ヘッドホン
JP3672619B2 (ja) 1995-04-28 2005-07-20 ソニー株式会社 騒音低減ヘツドホン装置
JPH1155777A (ja) 1997-07-31 1999-02-26 Sony Corp 集音器
US5996123A (en) * 1998-10-16 1999-12-07 Bacon Usa Safety, Inc. Earmuff for noise blocking
JP4103267B2 (ja) 1999-10-12 2008-06-18 ソニー株式会社 ヘッドホン
JP4127235B2 (ja) 2004-04-16 2008-07-30 ソニー株式会社 ヘッドホン装置
JP3933142B2 (ja) * 2004-04-27 2007-06-20 ソニー株式会社 コード巻き取り装置付きヘッドホン
CN2734192Y (zh) * 2004-06-18 2005-10-19 彭希年 防噪声耳塞
JP2006249270A (ja) * 2005-03-11 2006-09-21 Nippon Polyurethane Ind Co Ltd 粘弾性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
JP4812721B2 (ja) 2007-09-27 2011-11-09 株式会社羽田 茶葉冷却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32029B2 (en) 2017-03-15 2021-02-23 Sony Corporation Headphon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98193B (zh) 2012-07-18
CN101198193A (zh) 2008-06-11
US20080112586A1 (en) 2008-05-15
JP2008124734A (ja) 2008-05-29
EP1921889A1 (en) 2008-05-14
US8150090B2 (en) 2012-04-03
JP4899810B2 (ja) 2012-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42736A (ko) 헤드폰 및 이어 패드
EP2053874B1 (en) Earpad and headphones
US9143854B2 (en) Wireless headband audio player
US9445185B2 (en) Audio listening system
US8345912B2 (en) Earphone having under hanger
US9055365B2 (en) Earbuds securable to users&#39; outer ears and related headphone systems and methods
CN105011455B (zh) 一种基于骨传导耳机的可切换发声导向方式的骑行头盔
US8767997B2 (en) Headphone device
TW202002675A (zh) 耳機
US9532126B1 (en) Audio earbud headphone for improved in-ear retention
US8320602B2 (en) Adjustable earphone
JP2010166258A (ja) ヘッドホン及びイヤマフ
JP2002078057A (ja) ヘッドホン装置
KR20180116759A (ko) 헤드셋 액세서리
JP4821570B2 (ja) 耳掛け装着方式のヘッドホン
CN106412741A (zh) 可以自动适应人耳角度的头戴装置及一种头戴耳机
CN206117953U (zh) 可以自动适应人耳角度的头戴装置及一种头戴耳机
JP2022103478A (ja) スピーカ装置及びフード型スピーカ装置
JPH04319841A (ja) 耳掛け型イヤーセット
CN219018988U (zh) 具有主动降噪功能的头戴式蓝牙耳机
CN208905170U (zh) 一种头戴式耳机
CN205647880U (zh) 旋转式耳机
WO2023210180A1 (ja) ヘッドホン並びにキャリングケース
CN218103455U (zh) 一种包耳式耳机
WO2014209774A1 (en) Audio listen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