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0678A - 진주와 같은 외관을 갖는 플라스틱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진주와 같은 외관을 갖는 플라스틱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0678A
KR20080040678A KR1020087001838A KR20087001838A KR20080040678A KR 20080040678 A KR20080040678 A KR 20080040678A KR 1020087001838 A KR1020087001838 A KR 1020087001838A KR 20087001838 A KR20087001838 A KR 20087001838A KR 20080040678 A KR20080040678 A KR 200800406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ed
foaming
preform
contain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1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3002B1 (ko
Inventor
켄타로우 이치가와
노부히사 코이소
Original Assignee
도요 세이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5203868A external-priority patent/JP483970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150228A external-priority patent/JP485311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149911A external-priority patent/JP4853109B2/ja
Application filed by 도요 세이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 세이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40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06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3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30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40Details of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1/00Making preforms
    • B29B11/06Making preforms by moulding the material
    • B29B11/08Injection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02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4/04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consisting of at least two parts of chemically or physically different materials, e.g. having different densities
    • B29C44/0407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consisting of at least two parts of chemically or physically different materials, e.g. having different densities by regulating the temperature of the mould or parts thereof, e.g. cold mould walls inhibiting foaming of an out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442Mixing, kneading or conveying the foamable material
    • B29C44/3446Feeding the blowing agent
    • B29C44/3453Feeding the blowing agent to solid plast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B29C44/352Means for giving the foam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different dir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71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e.g. geometry, dimensions or phys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64Heating or cooling preforms, parisons or blown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2/00Producing hollow articles
    • B29D22/003Containers for packaging, storing or transporting, e.g. bottles, jars, cans, barrels,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07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ion, physic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3Neck construction
    • B65D1/0246Closure retaining means, e.g. beads, screw-thr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65D81/30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by excluding light or other outside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1/00Making preforms
    • B29B11/06Making preforms by moulding the material
    • B29B11/10Extrusion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1/00Making preforms
    • B29B11/06Making preforms by moulding the material
    • B29B11/12Compression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1/00Making preforms
    • B29B11/14Making preforms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com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07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 B29C2949/0715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the preform having one end clo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07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 B29C2949/072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having variable wall 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07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 B29C2949/072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having variable wall thickness
    • B29C2949/0722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having variable wall thickness at neck po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07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 B29C2949/072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having variable wall thickness
    • B29C2949/0725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having variable wall thickness at bottom po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07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 B29C2949/073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having variable diame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07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 B29C2949/076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characterised by the shape
    • B29C2949/0768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characterised by the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specific parts of preform
    • B29C2949/077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characterised by the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specific parts of preform characterised by the ne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07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 B29C2949/076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characterised by the shape
    • B29C2949/0768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characterised by the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specific parts of preform
    • B29C2949/077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characterised by the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specific parts of preform characterised by the neck
    • B29C2949/0772Closure retaining means
    • B29C2949/0773Thr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07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 B29C2949/076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characterised by the shape
    • B29C2949/0768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characterised by the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specific parts of preform
    • B29C2949/077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characterised by the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specific parts of preform characterised by the neck
    • B29C2949/0777Tamper-evident band retaining 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07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 B29C2949/081Specified dimensions, e.g. values or ranges
    • B29C2949/0811Wall thickness
    • B29C2949/0817Wall thickness of th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07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 B29C2949/081Specified dimensions, e.g. values or ranges
    • B29C2949/0811Wall thickness
    • B29C2949/0819Wall thickness of a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07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 B29C2949/081Specified dimensions, e.g. values or ranges
    • B29C2949/082Diame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07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 B29C2949/081Specified dimensions, e.g. values or ranges
    • B29C2949/082Diameter
    • B29C2949/0822Diameter of the ne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07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 B29C2949/0861Other specified values, e.g. values or ranges
    • B29C2949/0862Crystallin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07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 B29C2949/0861Other specified values, e.g. values or ranges
    • B29C2949/0862Crystallinity
    • B29C2949/0863Crystallinity at the neck po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07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 B29C2949/0861Other specified values, e.g. values or ranges
    • B29C2949/0862Crystallinity
    • B29C2949/0865Crystallinity at the body po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07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 B29C2949/0861Other specified values, e.g. values or ranges
    • B29C2949/0867Surface rough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20Preforms or parisons whereby a specific part is made of only one component, e.g. only one layer
    • B29C2949/22Preforms or parisons whereby a specific part is made of only one component, e.g. only one layer at neck po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20Preforms or parisons whereby a specific part is made of only one component, e.g. only one layer
    • B29C2949/24Preforms or parisons whereby a specific part is made of only one component, e.g. only one layer at flange po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20Preforms or parisons whereby a specific part is made of only one component, e.g. only one layer
    • B29C2949/26Preforms or parisons whereby a specific part is made of only one component, e.g. only one layer at body po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20Preforms or parisons whereby a specific part is made of only one component, e.g. only one layer
    • B29C2949/28Preforms or parisons whereby a specific part is made of only one component, e.g. only one layer at bottom po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30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 B29C2949/3008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at neck po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30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 B29C2949/3012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at flange po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30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 B29C2949/3016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at body po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30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 B29C2949/302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at bottom po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30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 B29C2949/3024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components or by the manufacturing techni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30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 B29C2949/3024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components or by the manufacturing technique
    • B29C2949/3026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components or by the manufacturing technique having two or more components
    • B29C2949/3028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components or by the manufacturing technique having two or more components having three or more components
    • B29C2949/303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components or by the manufacturing technique having two or more components having three or more components having more than three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30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 B29C2949/3032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having components being injec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30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 B29C2949/3032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having components being injected
    • B29C2949/3034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having components being injected having two or more components being injected
    • B29C2949/3036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having components being injected having two or more components being injected having three or more components being injected
    • B29C2949/3038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having components being injected having two or more components being injected having three or more components being injected having more than three components being injec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30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 B29C2949/3041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having components being extru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30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 B29C2949/3041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having components being extruded
    • B29C2949/3042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having components being extruded having two or more components being extruded
    • B29C2949/3044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having components being extruded having two or more components being extruded having three or more components being extruded
    • B29C2949/3046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having components being extruded having two or more components being extruded having three or more components being extruded having more than three components being extru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30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 B29C2949/3056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having components being compression moul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30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 B29C2949/3056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having components being compression moulded
    • B29C2949/3058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having components being compression moulded having two or more components being compression moulded
    • B29C2949/306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having components being compression moulded having two or more components being compression moulded having three or more components being compression moulded
    • B29C2949/3062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having components being compression moulded having two or more components being compression moulded having three or more components being compression moulded having more than three components being compression moul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49/06Injection blow-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64Heating or cooling preforms, parisons or blown articles
    • B29C49/6409Thermal conditioning of preforms
    • B29C49/6436Thermal conditioning of preforms characterised by temperature differential
    • B29C49/6445Thermal conditioning of preforms characterised by temperature differential through the preform length
    • B29C49/6452Thermal conditioning of preforms characterised by temperature differential through the preform length by heating the ne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04Polymers of ethylene
    • B29K2023/06PE, i.e. polyethylene
    • B29K2023/0608PE, i.e. polyethylene characterised by its density
    • B29K2023/0633LDPE, i.e. low density 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04Polymers of ethylene
    • B29K2023/06PE, i.e. polyethylene
    • B29K2023/0608PE, i.e. polyethylene characterised by its density
    • B29K2023/065HDPE, i.e. high density 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10Polymers of propylene
    • B29K2023/12PP, i.e. polyprop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5/00Use of polymers of vinyl-aromatic compound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7/00Use of polyvinylhalogenid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7/06PVC, i.e. polyvinylchlor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7/00Use of polyvinylhalogenid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7/08PVDC, i.e. polyvinylidene chlor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55/00Use of specific 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main groups B29K2023/00 - B29K2049/00, e.g. having a vinyl group, as moulding material
    • B29K2055/02ABS polymers, i.e.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7/00Use of polyester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7/00Use of polyester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67/006PBT, i.e. polybutylene terephtha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7/00Use of polyester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 B29K2067/046PLA, i.e. polylactic acid or polylact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9/00Use of PC, i.e. polycarbonat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77/00Use of PA, i.e. polyamides, e.g. polyesteramid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4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ellular or poro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37Other properties
    • B29K2995/0041Crystal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37Other properties
    • B29K2995/0065Permeability to gases
    • B29K2995/0067Permeability to gases non-perme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 B29L2031/7158Bott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 Y10T428/1376Foam or porous material conta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ome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플라스틱 용기는 최대 연신 방향에 따른 용기벽의 단면에서 보아, 평균 길이 직경이 400 ㎛ 이하이고 또한 평균 종횡비(L/t)가 6 이상의 편평 형상을 갖는 발포 셀이 상기 연신 방향을 지향하고 또한 두께 방향으로 겹쳐지도록 분포하고 있는 발포층이 용기벽 중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용기는 편평 형상을 갖는 발포 셀이 일정 방향을 지향하여 분포하고 있기 때문에, 차광성과 함께 진주와 같은 외관을 갖고 있고, 매우 높은 상품 가치를 갖고 있다. 또한, 착색제를 함유하고 있지 않으므로, 리사이클 적성에도 우수하다.

Description

진주와 같은 외관을 갖는 플라스틱 용기 및 그 제조 방법{PLASTIC CONTAINER HAVING PEARL-LIKE APPEARANCE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용기벽 중에 발포 셀이 분포되어 있고, 이 발포 셀에 의해 진주와 같은 외관이 부여된 플라스틱 용기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비늘 조각형의 무기 안료(예컨대 탈크)가 분산되어 있는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얻어지는 플라스틱 용기는, 진주와 같은(진주 광택형) 외관을 갖는 것이 알려져 있다. 즉, 비늘 조각형의 안료에 의해, 용기벽의 내부에 광의 산란·반사가 생기는 것이다. 이러한 진주와 같은 외관을 갖는 플라스틱 용기는 그 상품 가치가 매우 높다.
한편, 최근에는, 자원의 재이용이 강하게 요구되고, 상기와 같은 폴리에스테르 용기에 관해서도, 사용이 완료된 용기를 회수하여, 리사이클 수지로서 여러 가지의 용도로의 재이용이 도모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진주와 같은 외관을 갖는 플라스틱 용기는, 리사이클에 적당하지 않다. 진주와 같은 외관을 부여하기 위해, 수지 중에 비늘 조각형의 무기 안료가 분산되어 있기 때문에, 리사이클 수지에 투명성을 확보하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이다.
또한, 특허 문헌 1에는, 기포(발포 셀)를 용기벽 중에 분포시킴으로써 차광 성이 부여된 플라스틱 용기가 제안되고 있다.
특허 문헌 1의 플라스틱 용기는 용기벽의 내부에 분포하고 있는 발포 셀에 의한 광 산란에 의해 차광성이 부여되어 있는 것이고, 안료 등의 착색 성분은 사용되어 있지 않으며, 리사이클 적성의 점에서는 우수하지만, 진주와 같은 심미성의 부여에는 달하지 않고, 상품 가치를 높일 정도의 외관은 얻어지지 않는다.
또한, 수지 발포체에 의해 용기를 형성한 경우에는, 발포에 의한 문제점도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즉, 병으로 대표되는 용기에서는, 통상, 그 입구부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캡이 나사 체결에 의해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용기 입구부가 발포체에서 형성되어 있으면, 발포에 의한 강도 저하에 기인하여, 용기 입구부에서의 치수 안정성이 저하하고, 특히 나사부에서의 치수 안정성의 저하는 캡을 장착했을 때의 시일성의 저하를 일으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회피하기 위해, 예컨대 특허 문헌 2나 3에는, 용기의 본체부나 바닥부가 발포체로부터 형성되고, 용기 입구부에서는 발포가 발생하지 않는 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3-26137호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소 제 61-53021호
[특허 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평 제10-329203호
그러나, 특허 문헌 2는 아조계 디카르본이미드나 중조 등의 분해형 발포제나, 프론계 혹은 탄화수소계의 유기 용제형 발포제 등의 발포제가 전체에 분포하고 있는 프리폼(패리슨)을 형성하고, 이 프리폼의 용기 입구부에 상당하는 부분을 제 외하고 가열하여 발포를 생성시켜서, 이 상태로 연신 블로우 성형함으로써, 입구부가 발포하지 않은 용기를 얻는 것이고, 이러한 방법에서는, 프리폼 전체에 발포제가 분포하고 있기 때문에, 용기 입구부에서의 발포를 유효하게 억제할 수 없고, 용기 입구부는, 본체부나 바닥부에 비해, 발포의 정도가 낮은 저발포 영역이 되는 것에 지나지 않고, 따라서, 용기 입구부(나사부)의 강도 저하나 치수 안정성의 저하를 억제한다고 하는 점에서는, 아직 개선이 요구된다.
또한, 특허 문헌 3은 각종의 발포제와 열가소성 수지를 용융 혼련하여, 이것을 용융 압출하면서 다이렉트 블로우 성형하고, 냉각함으로써 발포 프리폼을 성형하며, 이 발포 프리폼을 소정의 온도로 재가열하고, 소정의 불어 넣은 공기압에 의해 블로우 성형함으로써, 병을 제조한다고 하는 것이다. 이 방법은, 다이렉트블로우와 콜드 패리슨 블로우를 조합한 이단 블로우에 의해 병을 제조하는 것으로, 발포 프리폼 성형시에 용기 입구부에 대응하는 부분이 팽창하지 않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병의 입구부에서는 발포가 발생하지 않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방법에 있어서도, 특허 문헌 2와 동일하게, 중간체인 발포 프리폼의 전체에 발포제가 분포하고 있기 때문에, 용기 입구부는, 본체부나 바닥부에 비해 저발포 영역이 되는 것에 지나지 않고, 용기 입구부에서의 발포를 완전히 억제하는 것은 할 수 없고, 따라서 발포에 의한 용기 입구부(나사부)의 강도 저하나 치수 안정성의 저하를 억제한다고 하는 점이 만족스럽지 않다.
또한, 본체부나 바닥부에 상당하는 부분과 입구부에 상당하는 부분을 별개로 성형하고, 성형 후에 양자를 접합한다고 하는 수단도 알려져 있고, 이러한 방법을 채용하면, 용기의 본체부나 바닥부가 선택적으로 발포되어, 용기 입구부를 비발포로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에서는, 본체부나 바닥부와 입구부를 별개로 성형해야만 하고, 이 때문에, 생산성이 낮고, 제조 비용이 높게 되어버리며, 공업적 견지에서 채용할 수 없다.
1.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늘 조각형 무기 안료 등의 착색 성분을 사용하지 않고, 발포 셀의 분포에 의해 진주와 같은 외관이 부여되어 있으며, 상품 가치가 높고, 더구나 리사이클 적성에도 우수한 플라스틱 용기 및 그 제조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기 본체부 및 바닥부에 선택적으로 발포 셀이 형성된 발포 영역이 되어 있고, 강도 등의 기계적 특성이 요구되는 용기 입구부가 발포 셀이 존재하지 않는 비발포 영역으로 되어있는 플라스틱 용기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의 플라스틱 용기의 제조에 사용되는 프리폼을 제공하는 것이다.
2.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부, 바닥부 및 본체부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입구부로 이루어지는 플라스틱 용기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본체부 및 바닥부를 형성하고 있는 벽은 발포층을 갖는 발포 영역으로 되어 있고, 상기 발포 영역에 있어서는, 최대 연신 방향에 따른 단면에서 보아, 평균 길이 직경이 400 ㎛ 이하이고 또한 평균 종횡비가 6 이상의 편평 형상을 갖고 있는 발포 셀이 상기 연신 방향을 지향하고 또한 두께 방향으로 겹쳐지도록 분포하여 상기 발포층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용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플라스틱 용기에 있어서는,
(1) 상기 발포 영역에 있어서의 벽의 외면이 표면 거칠기(Ra)가 5 ㎛ 이하의 평활면으로 되어있는 것,
(2) 상기 발포 영역에 있어서의 벽의 외표면측 부분에는, 상기 발포 셀이 분포되지 않은 표피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
(3) 상기 발포 영역에 있어서의 벽은 표피층/발포층/코어층/발포층/표피층의 5층 구조를 갖고 있고, 표피층 및 코어층은 발포 셀이 존재하지 않는 비발포층인 것,
(4) 상기 입구부가 발포층을 갖고 있지 않은 비발포 영역으로 되어 있는 것
이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또한,
열가소성 수지의 일체 성형에 의해 성형되고 또한 불활성 가스가 함침된 비발포 프리폼을 준비하여,
상기 비발포 프리폼을 가열하여 발포 성형을 행하고, 발포 셀이 등방향으로 분포된 발포층이 용기벽 내에 형성된 발포 프리폼을 얻으며,
상기 발포 프리폼을 연신 성형함으로써, 최대 연신 방향에 따른 단면에서 보아, 상기 발포 셀의 형상을 평균 길이 직경이 400 ㎛ 이하이고 또한 평균 종횡비가 6 이상의 편평 형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용기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플라스틱 용기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1) 미리 열가소성 수지의 일체 성형에 의해 비발포 프리폼을 성형하고, 계속해서 불활성 가스를 함침시키는 것,
(2) 불활성 가스가 함침된 상기 비발포 프리폼의 표면 부분으로부터 불활성 가스를 방출시키고, 계속해서 상기 비발포 프리폼을 가열하여 발포 성형을 행함으로써, 발포 프리폼 표면 부분에 발포 셀이 존재하지 않는 표피층을 형성하는 것,
(3) 불활성 가스가 함침된 상기 비발포 프리폼을, 냉각 고화된 상태로 상압하에 유지함으로써, 상기 비발포 프리폼의 표면으로부터 불활성 가스를 방출시키는 것,
(4) 상기 비발포 프리폼을 고압의 불활성 가스 분위기 중에 유지시킴으로써, 상기 비발포 프리폼의 벽의 중심 부분을 제외한 영역에 불활성 가스를 함침시키는 것,
(5) 발포 성형에 있어서 행해지는 상기 비발포 프리폼의 가열을, 용기벽의 중심 부분에서의 발포가 시작하기 전의 단계에서 정지함으로써, 발포 셀이 분포되지 않은 코어층을 형성시키는 것,
(6) 상기 비발포 프리폼의 용기 입구부 및 그 근방 부분을 선택적 가열 처리하여 결정화시킨 후에, 불활성 가스를 함침시키는 것,
(7) 표면의 결정화도가 13% 이상이 되도록, 선택적 가열 처리를 행하는 것,
(8) 발포 성형에 있어서의 가열을, 비발포 프리폼에 있어서의 용기 바닥부 및 용기 본체부에 대응하는 영역에 대해 선택적으로 행하고, 비발포 프리폼에 있어서의 용기 입구부 및 그 근방에 대응하는 영역에 대해 발포 셀을 생성시키지 않는 것,
(9) 상기 비발포 프리폼은, 바닥부가 폐쇄된 시험관 형상을 갖고 있고, 상부의 외면에, 서포트 링(support ring)과 상기 서포트 링보다도 위쪽에 위치하는 나사부로 이루어지는 목부를 갖고 있는 것
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또한, 열가소성 수지의 일체 성형체로 이루어지는 용기용 프리폼에 있어서, 적어도 용기 본체부 및 바닥부에 대응하는 영역이 발포 영역으로 되어 있고, 상기 발포 영역에는, 발포 셀이 등방향으로 분포된 발포층과, 발포 셀이 분포되지 않은 표피층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프리폼이 제공된다.
이러한 프리폼을 연신 성형에 부여함으로써, 전술한 플라스틱 용기를 얻을 수 있다.
상기한 용기용 프리폼에 있어서는,
(1) 상기 발포 영역에 있어서의 벽은 표피층/발포층/코어층/발포층/표피층의 5층 구조를 갖고 있고, 표피층 및 코어층은 발포 셀이 존재하지 않는 비발포층인 것,
(2) 용기 입구부에 상당하는 부분 및 그 근방 부분이 발포 셀이 존재하지 않은 비발포 영역으로 되어있는 것,
(3) 상기 비발포 영역에서의 결정화도가 13% 이상인 것,
(4) 바닥부가 폐쇄된 시험관 형상을 갖고 있고, 상부의 외면에, 서포트 링과상기 서포트 링보다도 위쪽에 위치하는 나사부로 이루어지는 목부를 갖고 있으며, 상기 목부가 비발포 영역으로 되어있는 것,
이 적합하다.
본 발명의 플라스틱 용기는, 소정의 크기의 편평 형상을 갖는 발포 셀이 용기벽 중에 다중으로 분포하고 있기 때문에, 진주와 같은 외관을 나타내고 있고, 그 상품 가치가 매우 높다. 또한, 안료 등의 착색제 내지 충전재를 사용하지 않고, 발포 셀에 의해 진주와 같은 외관이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리사이클 적성에도 우수하다.
또한, 용기벽의 외표면측에 발포 셀이 존재하지 않는 표피층을 형성했을 때에는, 표면에 평활성이 부여되어 광택이 높아지는 동시에, 보다 현저한 진주와 같은 외관을 나타내게 되며, 가장 심미성이 높은 외관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용기벽의 중심 부분에 발포 셀이 존재하지 않는 코어층을 형성하여, 표피층/발포층/코어층/발포층/표피층의 5층 구조를 형성했을 때에는, 강도가 높아지고, 또한 가스 장벽성도 향상한다.
본 발명의 플라스틱 용기는, 소위 마이크로 셀룰러 기술을 이용하여 발포 프리폼을 제작하고, 이 발포 프리폼을 연신 성형함으로써 제조되지만, 발포 프리폼의 제조 조건을 조정함으로써, 선택적으로, 용기 입구부 및 그 근방 부분을 발포층이 존재하지 않는 비발포 영역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예컨대 나사부가 형성되는 용기 목부 등의 강도 저하나 치수 안정성의 저하를 유효하게 회피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플라스틱 용기에 있어서의 최대 연신 방향에 따른 용기벽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플라스틱 용기에 있어서의 최대 연신 방향에 따른 용기벽단면의 적합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플라스틱 용기의 일례인 병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플라스틱 용기의 일례인 컵형 용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대표적인 공정의 개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조 과정에서 얻어지는 용기용 프리폼(발포 프리폼)의 용기벽 단면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병의 목부를 선택적으로 비발포 영역으로 하기 위해 행해지는 선택적 결정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목부가 선택적으로 비발포 영역으로 된 병을 성형하기 위해 사용되는 발포 프리폼(용기용 프리폼)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병의 목부를 선택적으로 비발포 영역으로 하기 위해 행해지는 선택적 가열에 의한 발포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플랜지가 선택적으로 비발포 영역으로 된 컵형 용기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시트 형상의 발포 프리폼(용기용 프리폼)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위한 최량의 형태>
-플라스틱 용기-
본 발명의 플라스틱 용기에서는, 그 최대 연신 방향에 따른 용기벽 단면을 도시한 도 1을 참조하여, 전체를 10으로 나타내고 있는 용기벽에는, 발포 셀(1)이 분포한 발포층(5)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발포 셀(1)은 최대 연신 방향을 지향한 편평 형상을 갖고 있고, 두께 방향으로 다중으로 겹쳐져 분포하고 있다. 이 때문에, 광의 산란 및 다중 반사가 생기고, 특유의 진주와 같은 외관을 나타내게 된다. 예컨대, 발포 셀(1)이 구형이고, 편평 형상을 갖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광의 산란은 생기지만 반사가 적고(반사면이 작다), 진주와 같은 외관을 나타내지 않고, 단순히 차광성이 부여되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발포 셀(1)이 평균 길이 직경이 400 ㎛ 이하, 특히 200 ㎛ 이하이고, 또한 평균 종횡비[상기 단면에서 보아, 길이 직경(L)과 두께(t)의 비 L/t]가 6 이상, 특히 8 이상의 범위에 있는 것도 중요하다. 즉, 평균 길이 직경(L)이 상기 범위보다도 큰 경우에는, 광의 산란의 정도가 적어지는 것으로 외관이 나빠지고, 또한 평균 애스팩트비가 상기 범위보다도 작은 경우에는, 광의 반사면이 작아져, 반사의 정도가 적고, 어떠한 경우에도 진주와 같은 외관이 만족스럽지 않 게 되어 버린다.
또한, 발포 셀(1)의 두께 방향으로의 겹쳐지는 정도는, 통상, 평균적으로 3개 이상인 것이, 진주와 같은 외관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벽(10)의 표면, 특히 외면측에, 발포 셀(1)이 존재하지 않는 표피층(7)을 형성하는 것이 적합하다.이러한 표피층(7)을 형성함으로써, 용기벽(10)의 외면을 평활한 면, 예컨대 평균 표면 거칠기(Ra)(JISB0601)가 5 ㎛ 이하의 평활한 면으로 할 수 있고, 이 결과, 한층, 심미성이 높은 진주와 같은 외관을 얻을 수 있다. 즉, 표면의 평활성에 의해 광택이 높아지는 동시에, 표면에서의 반사광과 내부의 발포 셀(1)에서의 반사광의 일부와의 간섭에 의해, 보다 현저한 진주와 같은 외관을 나타내게 되어, 가장 심미성이 높은 외관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발포 셀(1)이 존재하지 않는 표피층(7)의 형성은, 용기의 인쇄 적성을 높이는 동시에, 발포 셀(1)의 형성에 의한 강도 저하나 가스 장벽성의 저하를 완화하기에 유효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기벽(10)의 외표면측에 형성되는 표피층(7)의 두께는, 발포 셀(1)이 두께 방향으로 소정의 정도로 다중으로 겹쳐져 분포되고 있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는, 2 내지 200 ㎛ 정도로 하는 것이 적합하다. 표피층(7)의 두께가 너무 얇으면, 두께가 불균일해 지기 쉽고, 표피층(7)에 의한 심미성 향상 효과를 안정적으로 발현시키기 어려워진다. 또한, 과도하게 두껍게 한 경우에는, 강도 저하나 가스 장벽성의 저하를 억제한다고 하는 점에서는 문제가 없 지만, 발포 셀(1)의 중복 정도를 확보하여 원하는 진주와 같은 외관을 얻기 위해, 필요 이상으로 용기벽(10)을 두껍게 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표피층(3)은 용기벽(10)의 외면측에 형성되어 있으면 좋지만, 그 내면측에도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플라스틱 용기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벽(10)의 외표면측 및 내면측의 양쪽에, 전술한 표피층(7)을 형성하고, 또한 중심부에는, 발포 셀(1)이 존재하지 않는 코어층(9)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이 경우, 용기벽(10)은 표피층(7)/발포층(5)/코어층(9)/발포층(5)/표피층(7)의 5층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5층 구조에 의해 용기벽이 형성되어 있는 플라스틱 용기에서는, 중심 부분에 발포 셀(1)이 존재하지 않는 코어층(9)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강도가 높고, 또한 가스 장벽성도 향상하고 있다. 이 경우, 외표면측 및 내면측의 각각에 형성되어 있는 표피층(7)은 전술한 범위의 두께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코어층(9)도, 용기벽(10)의 두께에 따라 적당한 범위로 하지 않으면 안된다. 즉, 이러한 코어층(9)이 너무 두껍게 형성되면, 편평 형태의 발포 셀(1)의 두께 방향에서의 중복 정도가 감소하여, 진주와 같은 외관이 손상되게 되므로, 코어층의 두께는, 이러한 문제점이 생기지 않을 정도의 범위로 하지 않으면 안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용기벽(10)의 전체에 걸쳐 발포층(5)이 형성된 발포 영역으로 할 수도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용기 입구부 및 그 근방 부분이 선택적으로 발포층(5)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즉, 발포 셀(1)이 존재하지 않는] 비발포 영역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도 3에는, 본 발명의 플라스틱 용기의 일례인 병을 도시했다. 도 3에 있어서, 전체를 20으로 나타내고 있는 병은 바닥부(21) 및 본체부(23)를 구비하고 있고, 본체부의 상단에는, 나사부(25) 및 서포트 링(27)을 구비한 목부(29)가 형성되어 있다. 즉, 이러한 병(20)에 있어서, 바닥부(21) 및 본체부(23)가 전술한 발포층(5)이 형성되어 있는 발포 영역(Y)으로 되어 있으며, 차광성, 광택성을 가지고, 또한 진주와 같은 외관을 갖고 있다. 한편, 용기 입구부 및 그 근방에 상당하는 목부(29)는 비발포 영역(X)으로 되어 있다. 즉, 비발포 영역(X)으로 되어있는 목부(29)는 발포층(5)이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고강도이고, 우수한 치수 안정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나사부(25)에서의 캡과의 나사 결합을 확실하고 또한 정확하게 행할 수 있으며, 또한 서포트 링(27)을 파지한 반송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는, 본 발명의 플라스틱 용기의 다른 예인 컵형 용기를 도시했다. 도 4에 있어서, 전체를 30으로 나타내고 있는 컵형 용기는, 바닥부(31) 및 본체부(33)를 갖고 있고, 본체부(33)의 상단에는, 외측으로 튀어 나와 있는 플랜지(35)가 형성되어 있다. 이 플랜지(35)에는, 용기(30) 내에 내용물을 충전한 후, 알루미늄 박 등의 시일박이 히트 시일에 의해 접착 고정된다. 이러한 컵형 용기(30)에 있어서는, 바닥부(31) 및 본체부(33)가 전술한 발포층(5)이 형성되어 있는 발포 영역(Y)으로 되고, 차광성, 광택성을 가지며, 또한 진주와 같은 외관을 갖고 있다. 또한, 용기 입구부 및 그 근방에 상당하는 플랜지(35)는 비발포 영역(X)으로 되어 있고, 분란 시(35)에는 발포층(5)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이 플 랜지(35)는 고강도이고 또한 치수 안정성도 높으며, 우수한 히트 시일성을 나타낸다.
전술한 발포 셀(1)이 분포한 발포층(5)이 용기벽(10) 중에 형성된 본 발명의 플라스틱 용기는, 후술하는 불활성 가스를 함침시킨 물리 발포에 의해 제조된다. 따라서, 용기벽(10)을 구성하는 수지로서는, 불활성 가스의 함침이 가능하다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그 자체 공지의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저밀도폴리에틸렌, 고밀도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1-부텐, 폴리4-메틸-1-펜텐 혹은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4-메틸-1-펜텐 등의 α-올레핀끼리의 랜덤 혹은 블록 공중합체, 환형 올레핀 공중합체 등의 올레핀계 수지;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비닐알콜 공중합체, 에틸렌·염화비닐 공중합체 등의 에틸렌·비닐계 공중합체; 폴리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ABS, α-메틸스티렌·스티렌 공중합체 등의 스티렌계 수지;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염화비닐·염화 비닐리덴 공중합체, 폴리아크릴산메틸, 폴리메타크릴산메틸 등의 비닐계 수지; 나일론6, 나일론6-6, 나일론6-10, 나일론11, 나일론12 등의 폴리아미드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타레이트 및 이들의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등의 폴리에스테르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폴리페닐렌옥사이드수지; 폴리젖산 등 생분해성 수지; 등에 의해, 용기벽(10)을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이들의 열가소성 수지의 블렌드물에 의해, 용기벽(10)이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특히 용기의 분야에 적합하게 사용되는 올레핀계 수지나 폴리에스테르수지가 적합하며, 그 중에서도 폴리에스테르수지는 본 발명의 이점을 최대한으 로 발휘시키기에 최적이다.
또한, 용기벽(10)은 단층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에틸렌·비닐알콜 공중합체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가스 장벽층을 가지고, 초산비닐 공중합체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접착제층을 통해 폴리올레핀계 수지층이나 폴리에스테르수지층 등이 설치된 다층 구조를 갖고 있더라도 좋다. 또한, 리사이클성을 고려하지 않는다고 하면, 철분 등의 산소 흡수제를 수지층 중에 분산시킨 가스 장벽층이 설치된 층 구조를 갖는 것이라도 좋다.
-플라스틱 용기의 제조-
전술한 본 발명의 진주와 같은 외관을 갖는 플라스틱 용기는, 예컨대 불활성 가스가 함침된 비발포 프리폼을 제작하고, 이것을 가열하여 발포 프리폼을 얻으며, 계속해서 연신 성형함으로써 제조된다. 이러한 제조 프로세스의 대표예의 개략을 도 5에 도시했다.
도 5를 참조하여, 우선, 전술한 원료 수지에 의해 제작된 비발포 프리폼(40)을 준비하고, 이 비발포 프리폼(40)을 고압 하에 두며, 불활성 가스(예컨대 탄산 가스나 질소 가스)를 함침시켜, 불활성 가스를 용해시킨다[공정(a)].
비발포 프리폼(40)은 압출 성형, 사출 성형, 압축 성형 등의 공지의 성형 수단에 의해 성형할 수 있고, 일반적으로, 병 형상의 용기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시험관 형태를 갖고 있으며, 컵 형상의 용기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판형 형상이나 밥그릇 형상을 갖고 있다. 물론, 가스 장벽층 등을 구비한 다층 구조를 갖는 용기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이 비발포 프리폼(40)은 공압출, 공사출 등에 의해, 그에 대응하 는 다층 구조를 갖도록 성형된다.
이러한 공정(a)에 있어서의 비발포 프리폼(40)에의 불활성 가스의 함침은 원하는 진주와 같은 외관을 발현하기에 만족할 만한 편평형의 발포 셀(1)이 형성되기에 충분한 양의 가스를 용해 시키도록 행해지고, 예컨대, 비발포 프리폼(40)을 가열하여 고압 하에서의 불활성 가스의 함침을 행할 수도 있으며, 비가열 하에서 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이 온도가 높을수록, 가스의 용해량은 적지만 함침 속도는 빠르고, 온도가 낮을수록 가스의 용해량은 많지만 함침은 시간이 걸리게 된다.
단, 가열 하에서 가스의 함침을 행하는 경우에는, 비발포 프리폼(40)의 온도[특히 본체부(2) 및 바닥부(3)의 온도]가 원료 수지의 열결정화 온도 이상이 되지 않도록 행하는 것이 좋다. 결정화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게 되면, 본체부(2)나 바닥부(3)에 결정화가 생겨, 이하의 발포 공정에 있어서의 발포가 제한되어 버리기 때문이다.
계속해서, 이 비발포 프리폼(40)을 냉각 고화한 상태로 소정 시간, 상압 하(대기압)에 개방함으로써, 비발포 프리폼(40)의 표면에서 불활성 가스를 방출시켜, 불활성 가스가 용해하지 않거나 혹은 불활성 가스 농도가 낮게 된 표층부(43)를 형성한다[공정(b)]. 즉, 상압, 상온 하에서의 불활성 가스의 용해도는 거의 제로이므로, 냉각 고화되어 있는 비발포 프리폼(40)을 상압 하에 유지함으로써, 상기 프리폼(40)의 표면으로부터 불활성 가스가 서서히 방출하게 된다.
이 표층부(43)는 전술한 발포 셀(1)이 존재하고 있지 않은 표피층(7)에 대응하는 것으로, 예컨대, 냉각 고화한 상태에서의 상압 하에 개방하는 시간을 조정함 으로써, 전술한 표피층(7)의 두께를 조정할 수 있다. 즉, 이 개방 시간이 길수록 표층부(43)의 두께가 커지고, 표피층(7)의 두께를 두껍게 할 수 있으며, 개방 시간이 짧을수록 표층부(43)의 두께는 얇아져, 전술한 표피층(7)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단지, 이 개방 시간을 너무 길게 하면, 불활성 가스가 거의 방출되어 버리고, 진주와 같은 외관을 나타낼 만한 편평형의 발포 셀(1)을 형성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표피층(7)을 형성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 공정은 불필요하고, 직접, 후기하는 공정(c)으로 이행한다.
또한, 도 5의 예에서는, 비발포 프리폼(20)의 양면(외표면측 및 내표면측)에 표층부(43)가 형성되어 있지만, 한쪽의 면측(외표면측)에만 표층부(43)를 형성하고, 외면측에만 표피층(7)이 형성된 용기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예컨대, 시험관 형상의 비발포 프리폼(40)의 입구부를 폐쇄한 상태로 상압 하에 개방하거나, 혹은 판형상의 비발포 프리폼(40) 한쪽의 면(내면측)을 적당한 지지 부재에 밀착시키고, 외표면만을 상압의 분위기에 노출하면 좋다.
계속해서, 이러한 표층부(43)가 형성된 비발포 프리폼(40)을 오일 배스나 적외선 히터 등을 이용하여 가열함으로써 발포 성형을 행한다[공정(c)]. 이 가열에 의해, 불활성 가스가 잔존하고 있는 비발포 프리폼(40)의 내부에 있어서 발포가 발생하여, 발포 셀(1a)이 분포된 발포층(5)을 갖는 발포 프리폼(50)이 얻어진다. 이 경우에 있어서, 비발포 프리폼(40)의 표층부(43)에서는 불활성 가스가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그 농도가 낮으므로, 가열하더라도 발포하지 않거나 어지간히 주의 깊게 관찰하지 않으면 기포가 확인할 수 없을 정도의 실질적으로 발포하지 않는 상태로 되어, 발포 프리폼(50) 중에 발포셀(1a)이 존재하지 않는 미발포 영역으로서 그대로 남아 표피층(7)을 형성한다.
발포를 위한 가열의 온도는 비발포 프리폼(50)을 형성하고 있는 수지의 유리 전이점 이상이고, 이러한 가열에 의해, 수지 중에 용해하고 있는 불활성 가스의 내부 에너지(자유 에너지)에 급격한 변화가 초래되어 상 분리가 야기되고, 기포로써 수지체와 분리하기 위해 발포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이 가열 온도는 당연히 발포 프리폼(50)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융점 이하, 바람직하게는 2OO℃ 이하로 하는 것이 좋다. 이 가열 온도가 너무 높으면, 가열후 급격하게 발포하기 위해 셀 직경의 제어가 어려워지고, 외관도 악화하며, 또는 본체부의 결정화가 진행하여 이차 성형성이 저하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와 같이하여 발포 프리폼(50) 중에 형성되는 발포 셀(1a)(이하, 구형 발포 셀이라 부르는 경우가 있다)은 실질적으로 구 형상이고, 등방향으로 분포하고 있으며, 이 때문에, 이 단계에서는, 차광성은 발현하고 있지만, 진주와 같은 외관은 발현하지 않고, 진주와 같은 외관을 발현하기 위해, 후술하는 연신 성형이 필요해진다.
또한, 구형 발포 셀(1a)의 셀 밀도[표피층(7)을 제외하는 영역에서의 밀도]는 전술한 불활성 가스의 용해량에 의존하여, 이 용해량이 많을수록 셀 밀도를 높게 하고, 또한 구형 발포 셀의 직경을 작게 할 수 있으며, 용해량이 적을수록 셀 밀도는 작고, 발포 셀(1a)의 직경은 커진다. 또한, 구형 발포 셀(1a)의 직경은 상 기한 가열 시간에 의해 조정할 수 있고, 예컨대, 발포를 위한 가열 시간이 길수록, 구형 발포셀(1a)의 직경은 크고, 가열 시간이 짧을수록, 구형 발포 셀(1a)은 소직경이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한 조건을 조정하여, 예컨대, 발포층(5)에 있어서의 구형 발포 셀(1a)의 셀 밀도가 106 내지 109 cells/㎤ 정도로 하고, 평균 직경이 5 내지 50 ㎛ 정도가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후술하는 연신 성형에 의해, 전술한 두께(t)나 평균 종횡비를 가지며, 나아가서는 두께 방향에서의 적절하게 겹쳐지는 편평 형상의 발포 셀(1)을 형성하는 데에 있어서 적합하다.
또한, 이 발포 공정(c)에 있어서, 발포를 위한 가열을 비발포 프리폼(40)의 한쪽의 면측(특히 내면측)으로부터 행하는 경우에는, 구형 발포 셀(1a)은 내면측으로부터 순차 성형된다. 따라서, 이것을 이용하여, 전술한 불활성 가스의 방출[공정(b)]을 행하지 않고서, 외면측에 구형 발포 셀(1a)이 존재하지 않는 표피층(7)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비발포 프리폼(40)의 두께의 전체에 걸쳐 구형 발포 셀(1a)이 형성되기 전의 단계에서, 가열을 정지하면, 외면측에만 표피층(7)을 갖는 발포 프리폼(50)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예에서는, 미리 비발포 프리폼(40)을 성형한 후에 불활성 가스를 함침시키고 있지만[공정(a)], 비발포 프리폼을 성형하기 위한 압출기, 사출 성형기, 압축 성형기 등의 성형기에 있어서의 수지 혼련부 혹은 가소화부 등에서 가열 용융 상태로 유지되어 있는 수지에 소정 압력으로 불활성 가스를 공급함으로써, 함침을 행할 수도 있고, 나아가서는 성형기 중에 가열 발포까지를 단숨에 행할 수 도 있게 된다. 단, 성형기 중에서 가열 발포까지 단숨에 행하는 경우에는, 발포 셀(1a)이 존재하지 않는 표피층(7)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적당하지 않고, 또한, 이 경우에는, 형성되는 발포 셀(1a)이 수지의 유동 방향에 따라 약간 편평한 형상이 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통상, 후술하는 연신 성형에 있어서, 최대 연신 방향이 되는 면에 따른 부분에서의 발포 셀의 평균 직경이, 전술한 구형 발포 셀(1a)에 대해 진술한 평균 직경과 동등한 범위인 것이 적합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5층 구조의 발포 프리폼(50)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예컨대, 전술한 불활성 가스의 함침 공정(a)에 있어서, 비발포 프리폼(40)의 벽의 중심 부분에까지 가스가 침투하기 전에, 고압의 분위기를 상압으로 복귀하여 함침 처리를 정지하면 좋다. 즉, 비발포 프리폼(40)의 벽의 중심 부분에는, 발포원이 되는 불활성 가스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전술한 불활성 가스의 방출 공정(b) 및 발포 공정(c)을 행함으로써, 도 6에 도시하는 5층 구조의 발포 프리폼(50)을 얻을 수 있다. 즉, 이 발포 프리폼(50)에서는, 벽의 중심부에 구형 발포 셀(1a)이 존재하지 않는 코어층(9)이 형성되고, 외면측 및 내면측의 각각에 형성된 표피층(7)과 코어층(9) 사이에 구형 발포 셀(1a)이 분포된 발포층(5)이 존재하게 된다.
또한, 발포 공정(c)에 있어서는, 발포를 위한 가열을, 열풍을 불어 넣는 등에 의해, 비발포 프리폼(40)의 양면(외면측과 내면측)에서 행할 수 있지만, 이러한 경우, 표층부(23)를 제외한 내부 전체에 구형 발포 셀(1a)이 형성되기 전의 단계에서 가열을 정지함으로써, 중심 부분에 구형 발포 셀(1a)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코어층(9)을 형성할 수 있고, 이러한 방법에 의해서도,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5층 구조, 즉, 표피층(7)/발포층(5)/코어층(9)/발포층(5)/표피층(7)의 층 구조를 갖는 발포 프리폼(50)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도 6에 도시하는 5층 구조의 발포 프리폼(50)을 이하에 상술하는 연신 공정(d)에 부여함으로써, 도 2에 도시하는 5층 구조의 용기벽(10)이 본체부나 바닥부에 형성된 플라스틱 용기를 제조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플라스틱 용기의 강도나 가스 장벽성을 높일 수 있다.
발포 프리폼(50)의 연신 성형 공정(d)에 있어서, 연신 성형은, 그 자체 공지의 방법으로 행해지고, 예컨대,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 이상, 융점 미만의 온도로 프리폼을 가열해서의 블로우 성형 혹은 플러그 어시스트 성형으로 대표되는 진공 성형 등에 의해 연신되고, 이에 따라, 구형의 발포 셀(1a)이 도 1(혹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편평 형상으로 변형한 발포 셀(1)이 분포된 발포층(5)을 갖는 병(도 3 참조)이나 컵 형상의 용기(도 4 참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시트 형상의 발포 프리폼(50)을 연신 성형한 필름을 이용하여 주머니형 용기를 얻을 수 있다.
연신은, 예컨대 최대 연신 방향에 따른 단면에서의 발포 셀(1)의 두께(t)나 종횡비가 전술한 범위로 되도록, 발포 프리폼(50) 중의 발포 셀(1a)의 직경이나 셀 밀도 등에 따라, 적절한 연신 배율로 행해진다. 예컨대, 축 방향(높이 방향) 및 주위 방향의 이축 방향으로 연신되는 블로우 성형에서는, 통상, 이 방향에서의 연신 배율이 2 내지 4배 정도가 되도록 연신되어 축 방향에 대해서만 일축 방향으로 연신이 행해지는 플러그 어시스트 성형 등에서는, 이 방향에서의 연신이 최대 연신 방향이 되고, 상기와 같은 연신 배율로 연신이 행해진다.
또한, 전술한 방법에 의해 본 발명의 플라스틱 용기를 제조함에 있어서, 불활성 가스의 용해량이 증대하는 것에 따라, 수지의 유리 전이점은 직선적 혹은 지수 함수적으로 감소한다. 또한, 가스의 용해에 의해 수지의 점탄성도 변화되어, 예컨대 가스 용해량의 증대에 의해 수지의 점도가 저하한다. 따라서, 이러한 불활성 가스의 용해량을 고려하여, 진주와 같은 외관을 나타내는 편평형의 셀(1)이 형성되도록, 각종 조건을 설정해야 한다.
-비발포 영역을 갖는 플라스틱 용기의 제조-
전술한 방법에 의해 플라스틱 용기를 제조하는 경우, 도 3 및 도 4에 관해 상술한 바와 같이, 용기 입구부 및 그 근방 부분을 발포층(5)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비발포 영역으로 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러한 비발포 영역을 갖는 용기를 제조하기위해서는, 두가지 방법이 있다. 이하, 병을 제조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이들의 방법을 설명한다.
(방법 1) :
하나의 방법은, 전술한 가스 함침 공정(a)에 앞서, 선택적 결정화를 행하는 방법이다.
즉, 이 결정화의 공정을 도시한 도 7을 참조하여, 전체로서 시험관 형상을 갖고 있는 비발포 프리폼(40)을 준비한다. 이 비발포 프리폼(40)은 바닥부(21a) 및 본체부(23a)를 갖고 있고, 본체부(23a) 위에는, 나사부(25) 및 서포트 링(27)을 구비한 목부(29)가 형성되어 있다[이 목부(29)는 도 3의 병(20)의 목부(29)에 상당한다]. 이러한 비발포 프리폼(40)은 이전 상술한 바와 같이, 사출 성형, 압축 성형 등의 공지의 성형법에 의해 성형된다.
이 방법에 있어서는, 이 목부(29)를 비발포 영역으로 하기 위해, 미리, 이 부분을 선택적으로 결정화하여 발포 공정(c)에서의 발포를 억제하는 것이다.
목부(29)의 선택적 결정화는 이 부분을 원료로써 이용한 결정성 열가소성 수지의 결정화 온도 이상 융점 미만의 온도로 선택적으로 가열하고, 가열 후에 서냉함으로써 행해진다. 가열 수단으로서는, 목부(29)를 선택적으로 가열할 수 있는 한, 임의의 수단을 채용할 수 있고, 예컨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부(21a) 및 본체부(23a)를, 냉각 수관을 구비한 지그(60)로 유지하면서, 목부(29)를 적외선 히터, 석영 히터, 가열 금형 등의 가열 수단(61)을 이용하여 가열하는 등의 수단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은 수단에 의해, 목부(29)의 표면의 결정화도(레이저 라만법)을 13% 이상, 바람직하게는 30% 이상, 가장 적합하게는 40% 이상으로 하는 것이 좋다. 이 결정화도가 높을수록, 전술한 발포 공정(c)에 있어서의 목부(29)의 발포를 확실하게 회피하여, 바닥부(21a) 및 본체부(23a)에 선택적으로 발포층(5)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목부(29)의 결정화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예컨대 결정화 온도 영역에서의 유지 시간을 길게 하면 좋다.
상기와 같이 하여 목부(29)가 선택적으로 열결정화된 비발포 프리폼(40)을 전술한 가스 함침 공정(a)에 부여하여 불활성 가스를 함침했다. 예컨대, 밀폐된 챔버 내에 비발포 프리폼을 도입하고, 상기 챔버 내에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여, 챔버 내를 고압으로 유지함으로써 불활성 가스를 비발포 프리폼(40) 내에 함침시켰다. 이 경우, 비발포 프리폼(40)의 목부(29)는 선택적으로 결정화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가스 함침 공정에 있어서, 불활성 가스는 목부(29)를 제외하는 영역[즉, 바닥부(21a) 및 본체부(23a)]에 침투하고, 결정화되어 있는 목부(29)에서는, 결정화에 의해 수지의 가소화가 현저하게 억제되어 있기 때문에, 불활성 가스는 거의 함침하지 않는다. 따라서, 가스 방출 공정(b)을 경유하여 행해지는 발포 공정(c)에서는, 바닥부(21a) 및 본체부(23a)에만 발포가 발생하고, 목부(29)에서는 발포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 경우, 목부(29)에 소량의 불활성 가스가 함침하고 있었다고 하더라도, 목부(29)에서는, 결정화에 의해 수지의 가소화가 억제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도, 기포의 성장이 유효하게 억제되고, 발포가 확실하게 방지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하여 발포가 행해진 후, 냉각함으로써 발포가 정지하고,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부(21a) 및 본체부(23a)가 발포층(5)을 갖는 발포 영역(Y)으로 되어 있고, 또한 목부(29)가 비발포 영역(X)으로 되어 있는 용기용 프리폼(발포 프리폼)(50)을 얻을 수 있으며, 목부(29)가 비발포 영역(X)으로 되어 있고, 그 바닥부(21a) 및 본체부(23a)가 발포 영역(Y)으로 되어 있으며, 이 영역(Y)에, 전술한 발포층(5)이나 표피층(7) 혹은 또한 코어층(7)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것을, 전술한 연신 공정(d)에 부여함으로써, 목부(29)가 비발포 영역(X)으로 되고, 바닥부(21) 및 본체부(23)rk 발포 영역(Y)으로 되는 도 3에 도시하는 병(20)을 얻을 수 있다.
(방법 2)
이 방법에서는, 전술한 도 5의 프로세스에 따라, 비발포 프리폼(40)에 대해, 가스의 함침[공정(a)] 및 가스의 방출[공정(b)]을 행한 후, 발포 공정(c)에 있어서, 선택적 가열에 의해 발포를 행한다.
즉, 도 9(a) 혹은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 수관(70)을 구비한 유지 금형(71)으로 비발포 프리폼(40)의 목부(29)를 유지하고, 목부(29)를 냉각하면서, 오일 배스나 적외선 히터 등으로, 바닥부(21a) 및 본체부(23a)를, 소정의 발포 온도로 가열한다. 이러한 선택적 가열에 의해, 바닥부(21a) 및 본체부(23a)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발포를 발생시켜, 목부(29)에 대한 발포를 확실하게 회피하고, 방법 (1)과 동일하게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용기용 프리폼(50)을 얻을 수 있으며, 이것을, 전술한 연신 공정(d)에 부여함으로써,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목부(29)가 비발포 영역(X)으로 되고, 바닥부(21) 및 본체부(23)가 발포 영역(Y)으로 되는 병(20)을 얻을 수 있다.
이상, 시험관 형상의 프리폼을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물론, 시트형의 비발포 프리폼을 이용하여, 비발포 영역(X)과 발포 영역(Y)을 갖는 발포 프리폼을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시트형의 비발포 프리폼을 이용한 경우에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 형상의 용기용 프리폼(발포 프리폼)(50)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프리폼(50)에서는, 용기 입구부로 되는 부분에 상당하는 주연부가 비발포 영역(X)으로 되고, 그 바닥부 및 본체부에 상당하는 중앙 부분이 발포 영역(Y)으로 되며, 이 영역(Y)에, 전술한 발포층(5)이나 표피층(7) 혹은 또한 코어층(9)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용기용 프리폼(50)을 연신 성형함으로써,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 은 컵형 용기(30)를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본 발명의 플라스틱 용기는, 진주와 같은 외관을 가지고, 매우 상품 가치가 높지만, 특히 발포 셀(1)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표피층(7)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평활한 표면을 가지고, 특히 심미성이 우수한 진주와 같은 외관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인쇄 적성도 양호하다. 또한, 차광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광에 의한 변질이 생기는 내용물의 수용에 유효하게 적용되고, 또한 착색제가 배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리사이클에도 적합하다. 나아가서는, 발포 셀의 형성에 의한 경량화나 단열성의 향상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코어층(9)이 형성되어 있는 5층 구조를 갖는 용기에서는, 가스 장벽성이 높고, 또한 강도도 높다.
또한, 용기 입구부 및 그 근방에 상당하는 목부가 비발포 영역으로 되어 있는 병에서는, 나사부의 치수 안정성이 높고, 캡과의 나사 결합에 의해, 확실한 시일 구조를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서포트 링의 기계적 강도도 높고, 서포트 링을 파지한 반송 혹은 가공 등에 있어서의 파손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플랜지가 비발포 영역으로 되어 있는 컵형 용기에서는, 히트 시일성이 양호하고, 알루미늄박 등의 시일박을 히트 시일함으로써, 확실한 시일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
(실시예 1)
고유 점도(IV) 0.84 dL/g로 이루어지는 호모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을 이용하여, 사출 성형에 의해 본체부 두께 3 mm의 500 ml 병용의 비발포 프리폼 을 제작했다.
이 프리폼을 40℃의 내압 용기 내에 설치하고, 15 MPa의 압력으로 1시간 유지하여 이산화탄소 가스의 함침을 행했다. 그 후 대기압까지 감압하여 압력 용기 내에서 프리폼을 꺼내어, 대기압 하에서 5분간 유지했다. 또한 프리폼의 외면에 대해 90℃의 온수로 10초간 씻어내어 발포시키고, 셀 밀도 8.5× 107 cells/㎤로 두께 180 ㎛의 발포층, 그 외면에 두께 70 ㎛의 표피층을 갖는 발포 프리폼을 얻었다.
이 때 셀 밀도는 단면 사진보다 이하의 식을 이용하여 산출했다.
Nf= (n/A)3/2
Nf: 셀 밀도(/㎤)
A: 관찰 단면 면적
n: 단면적 A 내에 존재하는 셀 수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발포 프리폼을, 연신 배율이 세로 2× 가로 2배에 상당하는 병 형태로 블로우 성형한 바, 측벽부에 있어서의 용기 평균 두께 0.68 mm, 평균 표면 거칠기(Ra) 0.5 ㎛, 표피층 17 ㎛, 발포층에 있어서의 기포의 평균 길이 직경 29 ㎛, 기포의 평균 종횡비 8.7의, 외관, 진주와 같은 광택이 양호한 발포 PET병을 얻을 수 있었다.
이 때 평균 길이 직경 및 평균 종횡비는 단면 사진의 기포 형상으로부터 화상 처리, 형상 측정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해지고, 5∼50개의 셀의 평균값을 들었 다.
표면 거칠기는 JISB0601에 준하고, 표면 거칠기 측정기를 이용하여, 중심선 평균 거칠기(Ra)를 측정했다.
광택 평가는 육안으로 행하고, 이하의 기준으로 판정했다.
◎: 외관, 진주와 같은 광택 모두 특히 우수하다.
○: 외관, 진주와 같은 광택 모두 양호하다.
△: 외관, 진주와 같은 광택의 적어도 한쪽이 바람직하지 않다.
×: 외관, 진주와 같은 광택의 적어도 한쪽이, 현저하게 나쁘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작한 발포 프리폼을, 연신 배율이 세로 3× 가로 3배에 상당하는 병 형상으로 블로우 성형한 바, 측벽부에 있어서의 용기 평균 두께 0.32 mm, 평균 표면 거칠기(Ra) 0.3 ㎛, 표피층 두께 10 ㎛, 발포층에 있어서의 기포 평균 길이 직경 42 ㎛, 기포 평균 종횡비 11.6의, 외관, 진주와 같은 광택 모두 우수한 발포 PET 병을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3)
이소프탈산을 5 mol% 포함하고 고유 점도(IV) 0.90 dL/g의 공중합 PET를 이용하여, 탄산 가스를 발포제로 이용한 압출 발포 성형법에 의해 T 다이로 평균 두께 0.58 mm, 셀 밀도 4× 106 cells/㎤의 거의 구형의 셀을 갖는 발포 시트를 얻었다. 이 때 T 다이 온도를 적절하게 컨트롤하는 것으로 시트 표면이 평활하게 되도 록 고안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발포 시트를 이축 연신기에서 세로 2× 가로 2배로 연신하고, 그것을 히트 시일하여 파우치 형상 용기로 한 바, 용기 평균 두께 0.16 mm, 평균 표면 거칠기(Ra) 4.3 ㎛, 발포층에 있어서의 기포 평균 길이 직경 101 ㎛, 기포 평균 종횡비 8.4의, 표면이 평활하고 외관, 진주와 같은 광택이 모두 양호한 파우치를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4)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작한 발포 시트를, 이축연신기에서 세로 3× 가로 3배로 연신하여, 그것을 히트 시일하여 파우치 형상 용기로 한 바, 용기 평균 두께가 0.07 mm, 평균 표면 거칠기(Ra) 1.9 ㎛, 발포층에 있어서의 기포 평균 길이 직경이 107 ㎛, 기포 평균 종횡비 15.7의, 표면이 평활하고 외관, 진주와 같은 광택 모두 우수한 파우치를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5)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작한 발포 시트를, 이축연신기에서 세로 4× 가로 4배로 연신하여, 그것을 히트 시일하여 파우치 형상 용기로 한 바, 용기 평균 두께가 0.05 mm, 평균 표면 거칠기(Ra) 1.4 ㎛, 발포층에 있어서의 기포 평균 길이 직경이 102 ㎛, 기포 평균 종횡비 19.8의, 표면이 평활하고 외관, 진주와 같은 광택 모두 우수한 파우치를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6)
탄산 가스 공급 압력을 낮게 하고, T 다이 온도를 높여 설정한 외에는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발포 시트를 성형하여 실시예 3보다 셀 직경이 큰 발포 시 트를 얻었다. 이것에 미발포 PET 시트를 라미네이트하여, 발포층과 미발포층으로 이루어지는 2층 시트를 제작하고, 이축연신기에서 세로 3× 가로 3배로 연신했다. 또한 히트 시일하여 파우치 형상 용기로 한 바, 용기 평균 두께 0.12 mm, 평균 표면 거칠기(Ra) 0.8 ㎛,발포층에 있어서의 기포 평균 길이 직경 240 ㎛, 기포 평균 종횡비 18.5의 표면이 평활하고 외관, 진주와 같은 광택 모두 양호한 파우치를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7)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작된 발포 시트를, 플러그 어시스트 성형에 의해 연신 배율 세로 4배× 가로 1배에 상당하는 컵 형상으로 성형한 바, 용기 평균 두께가 0.26 mm, 평균 표면 거칠기(Ra) 2.3 ㎛, 발포층에 있어서의 기포 평균 길이 직경이 103 ㎛, 기포 평균 종횡비 8.2의 외관, 진주와 같은 광택 모두 양호한 컵 형상 용기를 얻을 수 있었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작한 발포 프리폼을 연신 배율이 세로 1.5×가로 1.5배에 상당하는 병 형상으로 블로우 성형한 바, 측벽부에 있어서의 용기 평균 두께 1.2 mm, 평균 표면 거칠기(Ra) 0.5 ㎛, 발포층에 있어서의 기포 평균 길이 직경 22 ㎛, 기포 평균 종횡비 5.1의 발포 PET 병이 얻어졌다. 용기는 백색으로 차광 성능은 우수하지만, 반사광 부족으로 인해 진주와 같은 광택이 바람직하지 않았다.
(비교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작한 발포 프리폼을, 이지(梨地) 처리한 블로우 금형으로 연신 배율이 세로 3× 가로 3배에 상당하는 병 형상으로 블로우 성형한 바, 측벽부에 있어서의 용기 평균 두께 0.31 mm, 평균 표면 거칠기(Ra)가 6.2 ㎛, 발포층에 있어서의 기포 평균 길이 직경 45 ㎛, 기포 평균 종횡비 12.0의 발포 PET 병을 얻을 수 있었지만, 표면 반사광 부족으로 인해 광택감이 부족하고 외관이 바람직하지 못했다.
(비교예 3)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작한 발포 시트를 압공 성형에 의해 트레이형상 용기로 성형한 바, 용기 평균 두께 0.58 mm, 평균 표면 거칠기 3.3 ㎛, 발포층에 있어서의 기포 평균 길이 직경 24 ㎛, 기포 평균 종횡비 1.3의 발포 트레이를 얻을 수 있었지만, 외관, 진주와 같은 광택 모두 바람직하지 않았다.
(비교예 4)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작한 발포 시트를, 이축연신기를 이용하여 세로 1.5× 가로 1.5배로 연신하여, 그것을 히트 시일하여 파우치 형상 용기로 한 바, 용기 평균 두께 0.34 mm, 평균 표면 거칠기(Ra) 4.0 ㎛, 발포층에 있어서의 기포 평균 길이 직경 72 ㎛, 기포 평균 종횡비 4. 3의 파우치를 얻을 수 있었지만, 진주와 같은 광택이 바람직하지 못했다.
(비교예 5)
실시예 6과 동일한 방법으로 발포 시트를 제작하여, 미발포 PET 시트를 라미네이트하지 않고서 이축연신기에서 세로 3× 가로 3배로 연신하여, 그것을 히트 시 일하여 파우치 형상 용기로 한 바, 용기 평균 두께 0.10 mm, 평균 표면 거칠기(Ra) 6.8 ㎛, 발포층에 있어서의 기포 평균 길이 직경 204 ㎛, 기포 평균 종횡비 17.6의 발포 파우치를 얻을 수 있었지만, 표피층이 없기 때문에 표면이 거칠어져 있고, 실시예 6에 비해 광택감이 부족하여 외관 불량이었다.
(비교예 6)
실시예 6보다 탄산 가스 압력을 더욱 낮게 하여 셀직경이 보다 큰 발포 시트를 제작했다. 이 때 T 다이 온도 조건은 시트 표면 거칠기가 작아지도록 낮게 설정했다. 이 발포 시트를 이축연신기에서 세로 3× 가로 3배로 연신하여, 이것을 히트 시일하여 파우치 형상 용기로 한 바, 용기 평균 두께 0.11 mm, 평균 표면 거칠기(Ra)가 2.3 ㎛, 발포층에 있어서의 기포 평균 길이 직경 719 ㎛, 기포 평균 종횡비 15. 6의 발포 파우치를 얻을 수 있었다. 기포가 크고 또한 셀 밀도가 작은 점에서 광의 산란이나 반사광이 작고, 진주 광택감이 부족한 용기였다. 또한 육안으로 편평 기포를 확인할 수 있을수록 기포가 크기 때문에 외관적으로도 바람직하지 못했다.
이상의 실시예 1∼7, 비교예 1∼6의 평가 결과를 표 1에 도시한다.
<표 1>
Figure 112008005722941-PCT00001
이하의 실험예는, 비발포 영역이 용기 입구부에 형성된 용기의 예이다.
(실시예 8)
고유 점도 0.84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수지(PET)를 이용하여, 사출 성 형에 의해, 본체부, 바닥부 및 목부를 갖는 시험관 형상의 용기용 비발포 프리폼(목부의 내부 직경: 21.6 mm, 본체부 두께: 3 mm, 내용적: 25.4 ml)을 얻었다.
상기한 비발포 프리폼의 목부를, 최대 출력 2500 W의 적외선 가열 장치로 60초 가열하여 결정화시켰다. 그 후, 상기 프리폼을 30℃로 유지된 내압 용기 내에 설치하고, 15 MPa의 압력으로 2시간 유지하여 탄산 가스를 함침시켰다. 이때, 목부 표면으로부터 30 ㎛ 깊이의 단면의 결정화도를 JASC0사제 레이저 라만 분광 광도계 NRS-1000으로 측정한 바, 39%였다.
이 결정화도는 시판의 내열병의 목부의 결정화도에 가까운 값이었다. 이 비발포 프리폼을 내압 용기로부터 꺼내어, 프리폼 전체를 90℃의 오일 배스 중에 10초간 침지하여 발포시켰다. 발포 후, 이 프리폼을 실온까지 냉각한 후, X선 CT 스캔 장치로 나사부의 단면을 관찰한 바, 목부에서는, 발포가 전혀 발생하지 않고, 또한 본체부측 부분에 대해 발포를 확인할 수 없었다.
(실시예 9)
가열 결정화 시간을 52초로 한 외에는 실시예 8과 동일하게 하여 가열 결정화, 가스 함침을 행했다. 이때, 목부 표면으로부터 30 ㎛의 깊이의 단면의 결정화도는 25%였다.
이 비발포 프리폼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발포시켰다. 발포 후, 이 프리폼을 실온까지 냉각한 후, X선 CT 스캔 장치로 나사부의 단면을 관찰한 바, 목부에서는, 발포가 전혀 발생하지 않고, 또한 본체부측 부분에 대해 발포가 확인되었다.
(실시예 10)
가열 결정화 시간을 50초로 한 외에는 실시예 8과 동일하게 하여 가열 결정화, 가스 함침을 행했다. 이때, 목부 표면으로부터 30 ㎛ 깊이의 단면의 결정화도는 18%였다.
이 비발포 프리폼을 실시예 8과 동일하게 하여 발포시켰다. 발포 후, 이 프리폼을 실온까지 냉각한 후, X선 CT 스캔 장치로 나사부의 단면을 관찰한 바, 목부에서는, 발포가 전혀 발생하지 않았고, 또한 본체부측 부분에 대해 발포가 확인되었다.
(실시예 11)
가열 결정화 시간을 47초로 한 외에는 실시예 8과 동일하게 하여 가열 결정화, 가스 함침을 행했다. 이때, 목부 표면으로부터 30 ㎛의 깊이의 단면의 결정화도는 13%였다.
이 비발포 프리폼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발포시켰다. 발포 후, 이 프리폼을 실온까지 냉각한 후, X선 CT 스캔 장치로 나사부의 단면을 관찰한 바, 목부에서는, 발포가 전혀 발생하지 않았고, 또한 본체부측 부분에 대해 발포가 확인되었다.
(참고예 1)
가열 결정화 시간을 들이지 않고 함침을 행했다. 이때, 목부 표면으로부터 30 ㎛ 깊이의 단면의 결정화도는 9%였다.
이 비발포 프리폼을 실시예 8과 동일하게 하여 발포시켰다. 발포 후, 이 프 리폼을 실온까지 냉각한 후, X선 CT 스캔 장치로 나사부의 단면을 관찰한 바, 목부, 본체부측 모두 발포가 확인되었다.
(참고예 2)
가열 결정화 시간을 40초로 한 외에는 실시예 8과 동일하게 하여 가열 결정화, 가스 함침을 행했다. 이때, 목부 표면으로부터 30 ㎛ 깊이의 단면의 결정화도는 10%였다.
이 비발포 프리폼을 실시예 8과 동일하게 하여 발포시켰다. 발포 후, 이 프리폼을 실온까지 냉각한 후, X선 CT 스캔 장치로 나사부의 단면을 관찰한 바, 목부, 본체부측 모두 발포가 확인되었다.
(참고예 3)
가열 결정화 시간을 45초로 한 외에는 실시예 8과 동일하게 하여 가열 결정화, 가스 함침을 행했다. 이때, 목부 표면으로부터 30 ㎛ 깊이의 단면의 결정화도는 12%였다.
이 비발포 프리폼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발포시켰다. 발포 후, 이 프리폼을 실온까지 냉각한 후, X선 CT 스캔 장치로 나사부의 단면을 관찰한 바, 목부, 본체부측 모두 발포가 확인되었다.
이상, 실시예 8∼11, 참고예 1∼3에 대한 결과와 단면 사진을 표 2에 나타낸다.
<표 2>
Figure 112008005722941-PCT00002
(실시예 12)
고유 점도 0.84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PET)를 이용하고, 사출 성형에 의해, 본체부, 바닥부 및 목부를 갖는 시험관 형상의 용기용의 비발포 프리폼(목부의 내부 직경: 21. 6 mm, 본체부 두께: 3 mm, 내용적: 25.4 ml)을 얻었다.
상기한 비발포 프리폼을 30℃로 유지된 내압 용기 내에 설치하고, 15 MPa의 압력으로 2시간 유지하여 탄산 가스를 함침시켰다. 그 후, 이 비발포 프리폼을 내압 용기로부터 꺼내어, 목부를 냉각관을 구비한 금형으로 유지하고, 목부를 냉각하면서, 본체부 및 바닥부를 90℃의 오일 배스 중에 10초간 함침하여 발포시켰다. 발포 후, 이 프리폼을 실온까지 냉각한 후, 축 방향으로 절단하여, 목부로부터 본체부에 걸치는 부분에 대한 단면을 관찰한 바, 목부에서는 발포가 전혀 발생하지 않았고, 본체부측 부분에 대해 발포가 확인되었다.
또한, 비교를 위해, 내압 용기로부터 꺼낸 프리폼을 냉각관을 구비하지 않은 금형으로 유지하고, 목부를 냉각하지 않고서, 상기 예와 동일하게, 본체부 및 바닥부를 오일 배스 중에 함침하여 발포시켰다. 이 프리폼을 실온까지 냉각한 후, 축 방향으로 절단하여, 목부로부터 본체부에 걸치는 부분에 대한 단면을 관찰한 바, 본체부측 부분에 대해 발포가 확인되는 동시에, 목부에 있어서도, 약간의 발포가 확인되었다.

Claims (20)

  1. 본체부, 바닥부 및 본체부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입구부로 이루어지는 플라스틱 용기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본체부 및 바닥부를 형성하고 있는 벽은, 발포층을 갖는 발포 영역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발포 영역에 있어서는, 최대 연신 방향에 따른 단면에서 보아, 평균 길이 직경이 400 ㎛ 이하이고 또한 평균 애스펙트 비가 6 이상의 편평 형상을 갖고 있는 발포 셀이, 상기 연신 방향을 지향하고 또한 두께 방향으로 겹쳐지도록, 분포되어 상기 발포층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 영역에 있어서의 벽의 외면이, 표면 거칠기(Ra)가 5 ㎛ 이하의 평활면인 것인 플라스틱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 영역에 있어서의 벽의 외표면측 부분에는, 상기 발포 셀이 분포되지 않은 표피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인 플라스틱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 영역에 있어서의 벽은, 표피층/발포층/코어층/발포층/표피층의 5층 구조를 갖고 있고, 표피층 및 코어층은, 발포 셀이 존재하지 않는 비발포층인 것인 플라스틱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부가, 발포층을 갖고 있지 않은 비발포 영역으로 되어 있는 것인 플라스틱 용기.
  6. 열가소성 수지의 일체 성형에 의해 성형되고 또한 불활성 가스가 함침된 비발포 프리폼을 준비하고,
    상기 비발포 프리폼을 가열하여 발포 성형을 행하며, 발포 셀이 등방향으로 분포된 발포층이 용기벽 내에 형성된 발포 프리폼을 얻고,
    상기 발포 프리폼을 연신 성형함으로써, 최대 연신 방향을 따라 단면에서 보아, 상기 발포 셀의 형상을, 평균 길이 직경이 400 ㎛ 이하이고 또한 평균 종횡비가 6 이상의 편평 형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용기의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미리 열가소성 수지의 일체 성형에 의해 비발포 프리폼을 성형하고, 이어서 불활성 가스를 함침시키는 것인 플라스틱 용기의 제조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불활성 가스가 함침된 상기 비발포 프리폼의 표면 부분으로부터 불활성 가스를 방출시키고, 이어서 상기 비발포 프리폼을 가열하여 발포 성형을 행함으로써, 발포 프리폼 표면 부분에 발포 셀이 존재하지 않는 표피층을 형성하는 것인 플라스틱 용기의 제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불활성 가스가 함침된 상기 비발포 프리폼을, 냉각 고화된 상태로 상압 하에 유지함으로써, 상기 비발포 프리폼의 표면으로부터 불활성 가스를 방출시키는 것인 플라스틱 용기의 제조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비발포 프리폼을 고압의 불활성 가스 분위기 중에 유지시킴으로써, 상기 비발포 프리폼의 벽의 중심 부분을 제외하는 영역에 불활성 가스를 함침시키는 것인 플라스틱 용기의 제조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발포 성형에 있어서 행해지는 상기 비발포 프리폼의 가열을, 용기벽의 중심 부분에서의 발포가 시작되기 전의 단계에서 정지함으로써, 발포 셀이 분포되지 않은 코어층을 형성시키는 것인 플라스틱 용기의 제조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비발포 프리폼의 용기 입구부 및 그 근방 부분을 선택적 가열 처리하여 결정화시킨 후에, 불활성 가스를 함침시키는 것인 플라스틱 용기의 제조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표면의 결정화도가 13% 이상이 되도록, 선택적 가열 처리를 행하는 것인 제조 방법.
  14. 제6항에 있어서, 발포 성형에 있어서의 가열을, 비발포 프리폼에 있어서의 용기 바닥부 및 용기 본체부에 대응하는 영역에 대해 선택적으로 행하고, 비발포 프리폼에 있어서의 용기 입구부 및 그 근방에 대응하는 영역에 대해 발포 셀을 생성시키지 않는 것인 플라스틱 용기의 제조 방법.
  15.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비발포 프리폼은 바닥부가 폐쇄된 시험관 형상을 갖고 있고, 상부의 외면에, 서포트 링과 상기 서포트 링보다도 위쪽에 위치하는 나사부로 이루어지는 목부를 갖고 있는 것인 플라스틱 용기의 제조 방법.
  16. 열가소성 수지의 일체성형체로 이루어지는 용기용 프리폼에 있어서, 적어도 용기 본체부 및 바닥부에 대응하는 영역이 발포 영역이 되고, 상기 발포 영역에는, 발포 셀이 등방향으로 분포된 발포층과, 발포 셀이 분포되지 않은 표피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프리폼.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 영역에 있어서의 벽은, 표피층/발포층/코어층/발포층/표피층의 5층 구조를 갖고 있고, 표피층 및 코어층은 발포 셀이 존재하지 않는 비발포층인 용기용 프리폼.
  18. 제16항에 있어서, 용기 입구부에 상당하는 부분 및 그 근방 부분은 발포 셀이 존재하지 않는 비발포 영역으로 되어있는 것인 용기용 프리폼.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비발포 영역에서의 결정화도가 13% 이상인 용기용 프리폼.
  20. 제18항에 있어서, 바닥부가 폐쇄된 시험관 형상을 갖고 있고, 상부의 외면에, 서포트 링과 상기 서포트 링보다도 위쪽에 위치하는 나사부로 이루어지는 목부를 갖고 있고, 상기 목부가 비발포 영역으로 되어있는 용기용 프리폼.
KR1020087001838A 2005-07-13 2006-07-07 진주와 같은 외관을 갖는 플라스틱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KR1012330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03868 2005-07-13
JP2005203868A JP4839708B2 (ja) 2005-07-13 2005-07-13 パール調外観を有するプラスチック容器
JPJP-P-2006-00149911 2006-05-30
JP2006150228A JP4853110B2 (ja) 2006-05-30 2006-05-30 樹脂一体成形体の製造方法
JP2006149911A JP4853109B2 (ja) 2006-05-30 2006-05-30 樹脂一体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JP-P-2006-00150228 2006-05-30
PCT/JP2006/314021 WO2007007867A1 (ja) 2005-07-13 2006-07-07 パール調外観を有するプラスチック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0678A true KR20080040678A (ko) 2008-05-08
KR101233002B1 KR101233002B1 (ko) 2013-02-13

Family

ID=37637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1838A KR101233002B1 (ko) 2005-07-13 2006-07-07 진주와 같은 외관을 갖는 플라스틱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3) US8397932B2 (ko)
EP (2) EP1902960B1 (ko)
KR (1) KR101233002B1 (ko)
AU (1) AU2006267368A1 (ko)
WO (1) WO20070078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3244171B2 (en) 2002-09-09 2007-11-15 Fisher & Paykel Healthcare Limited Limb for Breathing Circuit
US8124203B2 (en) * 2002-10-30 2012-02-28 Plastic Technologies, Inc. Container having a foamed wall
EP2190653A4 (en) * 2007-08-21 2012-05-09 Plastic Techn Inc PROCESS FOR PREPARING A CONTAINER HAVING A FOAM WALL
JP2010538872A (ja) * 2007-09-12 2010-12-16 ユニヴァーシティ オブ ワシントン 固体状態の気泡熱可塑性樹脂製品をブロー成形する方法
WO2009119549A1 (ja) 2008-03-27 2009-10-01 東洋製罐株式会社 延伸発泡プラスチック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5025549B2 (ja) 2008-03-31 2012-09-12 キョーラク株式会社 発泡ブロー成形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100280152A1 (en) * 2009-04-29 2010-11-04 Spartech Corporation Thermoformable and RF Sealable Plastic Packaging Material
GB0914702D0 (en) 2009-08-22 2009-09-30 Reckitt Benckiser Nv Method
CA3106017C (en) 2009-12-22 2024-04-16 Fisher & Paykel Healthcare Limited Components for medical circuits
JP2013534198A (ja) * 2010-08-18 2013-09-02 マイクログリーン ポリマーズ,インク. 熱可塑性ポリマー材料を含有する容器及び外被、並びにその関連する製造方法
US9290287B2 (en) * 2011-09-30 2016-03-22 Toyo Seikan Group Holdings, Ltd. Foamed and stretched plastic containers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WO2013146109A1 (ja) * 2012-03-26 2013-10-03 東洋製罐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金属色の外観を有する延伸発泡プラスチック成形体
CN105501598B (zh) 2012-04-23 2017-11-10 东洋制罐集团控股株式会社 发泡拉伸塑料瓶
NL2009802C2 (en) 2012-11-13 2014-05-14 Heineken Supply Chain Bv Container, preform assembly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containers.
CN105246676B (zh) 2013-03-14 2018-11-02 比瑞塑料公司 容器
JP6212932B2 (ja) 2013-05-02 2017-10-18 東洋製罐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複合発泡容器
US20140377523A1 (en) * 2013-06-19 2014-12-25 Mike Waggoner Methods for making multi-layered plastic end products
JP2016527347A (ja) 2013-07-12 2016-09-08 ベリー プラスチックス コーポレイション 容器のためのポリマー材料
US9931781B2 (en) 2013-08-26 2018-04-03 Berry Plastics Corporation Polymeric material for container
TW201536527A (zh) 2013-08-30 2015-10-01 Berry Plastics Corp 多層管以及其製造方法
WO2016027488A1 (ja) * 2014-08-21 2016-02-25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樹脂複合体及び樹脂複合体の製造方法
JP5810201B2 (ja) 2013-09-27 2015-11-11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繊維強化複合体、輸送機器構成用部材及び繊維強化複合体の製造方法
JP6314615B2 (ja) * 2014-04-07 2018-04-25 東洋製罐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加飾発泡プラスチック成形体
GB201409248D0 (en) 2014-05-23 2014-07-09 Zotefoams Plc Method for producing three dimensional foam articles
BR112017002672A2 (pt) * 2014-08-19 2018-07-17 Colgate Palmolive Co composição para barreira do sabor.
US11827003B2 (en) 2014-10-31 2023-11-28 Corumat, Inc. Rapid solid-state foaming
CH710702A1 (de) * 2015-02-06 2016-08-15 Alpla Werke Alwin Lehner Gmbh &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dünnwandiger Kunststoffkleinteile und dünnwandige Kunststoffkleinteile.
US9937652B2 (en) 2015-03-04 2018-04-10 Berry Plastics Corporation Polymeric material for container
US10865024B2 (en) * 2017-02-21 2020-12-15 Keith Ervin Bottle for adaptive reuse
US20210355277A1 (en) * 2018-09-21 2021-11-18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Resin composition, molded body, and their application
CN114007833A (zh) 2019-03-27 2022-02-01 克鲁马特股份有限公司 多层微孔可堆肥生物塑料及其制备方法
CN114072266A (zh) * 2019-05-15 2022-02-18 安帕塞特公司 塑料用哑光涂饰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58751A (en) * 1964-07-22 1971-01-26 Owens Illinois Inc Method of making a foamed container having an integral neck portion
US3900120A (en) 1973-02-12 1975-08-19 Monsanto Co Preforms for forming pressurized containers
JPS6153021A (ja) 1984-08-23 1986-03-15 Mitsubishi Gas Chem Co Inc 発泡容器の製造法
CA1279806C (en) * 1986-01-28 1991-02-05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Laminated structure for interior finishing materials, and method of production
JP2970876B2 (ja) * 1990-08-07 1999-11-02 株式会社ジェイエスピー 切削加工性に優れたスチレン系樹脂押出発泡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US5223545A (en) * 1992-02-03 1993-06-29 The Board Of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Washington Polyethylene terephthalate foams with integral crystalline skins
PT797627E (pt) * 1994-12-14 2003-08-29 Continental Pet Technologies Embalagem transparente com policetona alifatica absorvente de oxigenio
CA2436981A1 (en) * 1995-07-07 1997-01-30 Continental Pet Technologies, Inc. Sleeve molding
US5804016A (en) * 1996-03-07 1998-09-08 Continental Pet Technologies, Inc. Multilayer container resistant to elevated temperatures and pressure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ATE295254T1 (de) * 1996-08-27 2005-05-15 Trexel Inc Verfahren zum extrudieren von mikrozellenpolymeren
JP4304726B2 (ja) 1997-05-30 2009-07-29 株式会社吉野工業所 発泡ブローボトルの成形方法
JP3501683B2 (ja) 1999-06-01 2004-03-02 株式会社ジェイエスピー 表皮付き熱可塑性樹脂発泡成形体、容器並びに自動車用衝撃緩衝材
US20020122838A1 (en) * 2001-01-04 2002-09-05 Anderson Jere R. Blow molding method and system
JP2003026137A (ja) 2001-07-18 2003-01-29 Toppan Printing Co Ltd プラスチック容器
US7588810B2 (en) * 2002-10-30 2009-09-15 Plastic Technologies, Inc. Container having foam layer
US20050181161A1 (en) * 2004-02-17 2005-08-18 Semersky Frank E. Container having a foamed wall
JP2004250529A (ja) * 2003-02-19 2004-09-09 Nitto Denko Corp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体用組成物とその発泡体、および発泡体の製造方法
MXPA06014381A (es) * 2004-06-10 2007-04-16 Advanced Plastics Technologies Metodos y sistemas para controlar temperaturas de moldeo.
JP4876385B2 (ja) 2004-11-01 2012-02-15 三菱化学株式会社 樹脂製中空成形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790255B2 (en) * 2006-03-20 2010-09-07 Plastic Technologies, Inc. Foamed-wall container having a silvery appear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026198A1 (en) 2009-01-29
US20160332768A1 (en) 2016-11-17
US20130149480A1 (en) 2013-06-13
EP2910483B1 (en) 2019-03-13
KR101233002B1 (ko) 2013-02-13
EP1902960A1 (en) 2008-03-26
AU2006267368A1 (en) 2007-01-18
US8397932B2 (en) 2013-03-19
EP1902960A4 (en) 2014-01-29
WO2007007867A1 (ja) 2007-01-18
EP1902960B1 (en) 2016-02-17
US10370139B2 (en) 2019-08-06
EP2910483A1 (en) 2015-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3002B1 (ko) 진주와 같은 외관을 갖는 플라스틱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JP4839708B2 (ja) パール調外観を有するプラスチック容器
JP5414162B2 (ja) 遮光性プラスチック容器
JP5584987B2 (ja) 非発泡ガス含浸成形体及び発泡プラスチック容器
WO2009119549A1 (ja) 延伸発泡プラスチック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639742B1 (ko) 발포 연신 플라스틱 보틀
JP2009234627A (ja) 発泡プラスチック容器
JP5024166B2 (ja) 発泡プラスチック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4853110B2 (ja) 樹脂一体成形体の製造方法
JP5533515B2 (ja) ポリエステル製延伸発泡容器
JP5286561B2 (ja) ポリエステル製延伸発泡容器
JP5929082B2 (ja) 発泡延伸プラスチック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4853109B2 (ja) 樹脂一体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5292593B2 (ja) 延伸発泡成形容器の製造方法及び該方法により製造される延伸発泡容器
JP4784149B2 (ja) 容器用プリフォーム及びプラスチック容器
JP5239479B2 (ja) 部分発泡共射出成形体の製造方法及び部分発泡共射出成形体
JP5195950B2 (ja) パール調外観を有するプラスチック容器の製造方法
JP5929085B2 (ja) 発泡延伸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6167638B2 (ja) 遮光性と鏡面光沢性とに優れた発泡延伸プラスチックボトル
JP5725124B2 (ja) 遮光性プラスチック容器の製造方法
JP5392425B2 (ja) 容器用プリフォーム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