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8406A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8406A
KR20080038406A KR1020087006299A KR20087006299A KR20080038406A KR 20080038406 A KR20080038406 A KR 20080038406A KR 1020087006299 A KR1020087006299 A KR 1020087006299A KR 20087006299 A KR20087006299 A KR 20087006299A KR 20080038406 A KR20080038406 A KR 200800384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plasma display
drive circuit
support substrate
driving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6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6948B1 (ko
Inventor
가츠히사 기타다
줌페이 하시구치
노부유키 마츠이
에츠오 츠지모토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38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84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6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69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46Connecting or feeding means, e.g. leading-in conduct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1One or more single auxiliary printed circuits mounted on a main printed circuit, e.g. modules, adap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G09G3/28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 G09G3/296Driving circuits for producing the waveforms applied to the driving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954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display panels
    • H05K7/20972Forced ventilation, e.g. on heat dissipaters coupled to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8Arrangements of two or more hingeably connected rigid printed circuit boards, i.e. connected by flexible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431Details of mounted components
    • H05K2201/10439Position of a single component
    • H05K2201/10477Invert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0058Laminating printed circuit boards onto other substrates, e.g. metallic substrates
    • H05K3/0061Laminating printed circuit boards onto other substrates, e.g. metallic substrates onto a metallic substrate, e.g. a heat si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PDP(600)는, 방열 시트(60)를 사이에 두고 도전성 기판(31)에 부착되어 있다. 제 1 구동 회로 기판(32)은, 복수의 도전성 지지구(34)에 의해 도전성 기판(31) 상에 고정되어 있다. 도전성 기판(31)에 대향하는 제 1 구동 회로 기판(32)의 한 면 상에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전자 부품이 실장됨과 아울러, 제 2 구동 회로 기판(40)이 부착되어 있다. 제 2 구동 회로 기판(40)의 복수의 지지 단자(43b)가 제 1 구동 회로 기판(32)에 접속되고, 그 제 1 구동 회로 기판(32)이 도전성 지지구(34)에 의해 도전성 기판(31)에 부착된다. 이에 따라, 제 2 구동 회로 기판(40)의 한 면이 도전성 기판(31)에 접촉한다. 제 1 구동 회로 기판(32)에 대향하는 제 2 구동 회로 기판(40)의 다른 면 상에는, 하나 또는 복수의 면 실장 부품(36)이 실장되어 있다.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PLASMA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발광 화상 표시기로서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박형화 및 대화면화가 가능하다고 하는 이점을 갖는다. 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화소를 구성하는 방전 셀의 방전시에 있어서의 발광을 이용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한다.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주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유지하는 알루미늄판과, 이 알루미늄판에 부착된 회로 기판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1 참조). 상기 회로 기판에는, 복수의 전자 부품이 탑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는, 회로 기판의 한쪽의 면 상에 복수의 전자 부품을 갖고, 회로 기판의 다른 쪽의 면은, 열전도 시트를 사이에 두고 알루미늄판에 접합되어 있다.
여기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 12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명한 유리 기판 등으로 이루어지는 전면측의 기판(1) 상에는, 주사 전극과 유지 전극에 의해 쌍을 이루는 복수열의 표시 전극(2)이 형성되어 있다. 이 복수의 표시 전극(2)을 피복하도록 유전체층(3)이 형성되고, 이 유전체층(3) 상에는 보호막(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면측의 기판(1)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배면측의 기판(5) 상에는, 표시 전극(2)과 교차하도록, 오버코트층(6)으로 덮인 복수열의 어드레스 전극(7)이 형성되어 있다.
오버코트층(6) 상에는, 어드레스 전극(7)과 평행하게 복수의 격벽(8)이 어드레스 전극(7) 사이에 각각 마련되고, 격벽(8) 사이의 측면 및 오버코트층(6) 상에 형광체층(9)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기판(1) 및 기판(5)은, 표시 전극(2)과 어드레스 전극(7)이 거의 직교하도록 또한 방전 공간을 형성하도록 대향적으로 배치됨과 아울러 주위가 밀봉된다. 또한, 상기 방전 공간에는, 헬륨, 네온, 아르곤 및 크세논 중의 한 종류 또는 두 종류 이상의 기체가 방전 가스로서 봉입된다.
상기 방전 공간을 격벽(8)에 의해 복수의 구획으로 나눔으로써 복수의 방전 셀이 형성된다. 각 방전 셀에는, 적색, 녹색 및 청색의 형광체층(9)이 마련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있어서는, 어드레스 전극(7)과 주사 전극의 사이에 기입 펄스를 인가함으로써, 어드레스 전극(7)과 주사 전극의 사이에서 어드레스 방전을 행한다.
그리고, 방전 셀을 선택한 후, 주사 전극과 유지 전극의 사이에 교대로 반전하는 주기적인 서스테인(sustain) 펄스를 인가함으로써, 주사 전극과 유지 전극의 사이에서 유지 방전을 행하여, 소정의 표시 형태를 실현한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 11-284379 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는, 회로 기판에 탑재된 복수의 전자 부품의 방열은, 회로 기판과 열전도 시트를 거쳐 알루미늄판에 의해 행해진다. 그러나, 회로 기판의 열전도성은 충분히 높지는 않으므로, 회로 기판 상의 전자 부품의 방열이 충분히 행해지지 않는다.
특히, 회로 기판에 탑재되는 전자 부품의 수가 많은 경우, 또는 그들 전자 부품의 발열성이 높은 경우에는 충분한 방열성의 확보가 필요 불가결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충분한 방열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1)
본 발명의 일국면에 따르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지지 기판과, 제 1 면 및 제 2 면을 갖는 제 1 구동 회로 기판과, 지지 기판의 한 면과 제 1 구동 회로 기판의 제 1 면의 사이에서 지지 기판과 제 1 구동 회로 기판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와, 지지 기판과 제 1 구동 회로 기판의 사이에서 지지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 2 구동 회로 기판과, 제 1 및 제 2 구동 회로 기판 상에 실장되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동 전류를 공급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구동 회로를 구비하는 것이다.
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 지지 기판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지지 기판의 한 면과 제 1 구동 회로 기판의 제 1 면의 사이에서 지지 기판과 제 1 구동 회로 기판이 연결 부재에 의해 연결된다. 제 2 구동 회로 기판은, 지지 기판과 제 1 구동 회로 기판의 사이에서 지지 기판 상에 배치된다. 제 1 및 제 2 구동 회로 기판 상에 실장되는 구동 회로에 의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동 전류가 공급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구동 회로의 적어도 일부가, 지지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 2 구동 회로 기판 상에 실장됨으로써, 하나 또는 복수의 구동 회로에 의해 발생되는 열이 효율적으로 지지 기판에 전달된다. 그에 따라, 하나 또는 복수의 구동 회로의 방열성이 향상되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충분한 방열성이 확보된다.
(2)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구동 회로 기판과 제 2 구동 회로 기판이 서로 대향하도록 제 1 및 제 2 구동 회로 기판을 접속하는 도전성의 접속 부재를 더 구비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 접속 부재가, 제 1 구동 회로 기판과 제 2 구동 회로 기판을 서로 접속하기 위한 부재로서 이용됨과 아울러, 제 2 구동 회로 기판 상에 실장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구동 회로의 배선 및 단자로서 이용된다.
이와 같이, 제 1 구동 회로 기판과 제 2 구동 회로 기판의 전기적 접속 및 기계적 접속이 공통의 부재에서 행해지므로, 부품수가 저감됨과 아울러, 구조가 간단해진다.
(3)
접속 부재는, 복수의 개구를 갖더라도 좋다. 이 경우, 접속 부재의 가공이 용이해진다. 그에 따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가 용이해진다. 또한, 제 2 구동 회로 기판 상에 실장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구동 회로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복수의 개구를 통하여 방출된다. 따라서, 하나 또는 복수의 구동 회로의 방열성이 향상된다.
(4)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지지 기판, 제 1 구동 회로 기판 및 제 2 구동 회로 기판은, 대략 연직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접속 부재는 복수 마련되며, 복수의 접속 부재는, 연직 방향으로 나열되도록 배치되더라도 좋다.
이와 같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지지 기판, 제 1 구동 회로 기판 및 제 2 구동 회로 기판이 대략 연직 방향을 따라 배치됨으로써, 제 2 구동 회로 기판에 실장된 하나 또는 복수의 구동 회로에 의해 따뜻해진 분위기가 지지 기판과 제 1 구동 회로 기판의 사이에서 상승한다.
그리고, 복수의 접속 부재가 연직 방향으로 나열되도록 배치되므로, 고온의 분위기가 복수의 접속 부재에 의해 방해되지 않고서 원활하게 상승할 수 있다. 따라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보다 충분한 방열성이 확보된다.
(5)
제 2 구동 회로 기판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중앙보다 아래쪽에 배치되더라도 좋다. 이 경우, 제 2 구동 회로 기판에 실장된 하나 또는 복수의 구동 회로에 의해 따뜻해진 고온의 분위기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중앙보다 아래쪽으로부터 지지 기판과 제 1 구동 회로 기판의 사이에서 상승한다. 그에 따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내에서 아래쪽으로부터 위쪽으로의 기류가 발생한다. 그 결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보다 충분한 방열성이 확보된다.
(6)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지지 기판과 제 1 구동 회로 기판의 사이에 기류를 형성하는 기류 형성 장치를 더 구비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 기류 형성 장치에 의해, 지지 기판과 제 1 구동 회로 기판의 사이에 기류가 형성된다. 그 결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보다 충분한 방열성이 확보된다.
(7)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지지 기판의 사이에 방열 부재를 더 구비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 하나 또는 복수의 구동 회로의 방열성이 보다 향상된다.
(8)
지지 기판과 제 2 구동 회로 기판의 사이에 열전도성 부재를 더 구비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 하나 또는 복수의 구동 회로의 방열성이 더 향상된다.
(8-a)
하나 또는 복수의 구동 회로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 트랜지스터와 같은 고발열성을 갖는 스위칭 소자를 이용한 경우에도, 충분히 그 방열성이 확보된다.
(8-b)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2 구동 회로 기판에 마련되는 다이오드 및 트랜스의 적어도 한쪽을 더 구비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 다이오드 및 트랜스와 같은 고발열성을 갖는 부품을 이용한 경우에도, 충분히 그 방열성이 확보된다.
(8-c)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구동 회로 기판의 제 1 및 제 2 면의 한쪽 또는 양쪽에 마련되는 전자 부품을 더 구비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 하나 또는 복수의 구동 회로가 지지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 2 구동 회로 기판 상에 실장되므로, 제 1 구동 회로 기판의 제 1 및 제 2 면의 한쪽 또는 양쪽에 마련되는 전자 부품의 실장 영역이 확대된다.
그에 따라, 제 1 구동 회로 기판의 제 1 및 제 2 면의 한쪽 또는 양쪽에 마련되는 전자 부품 사이의 간격을 크게 함으로써 전자 부품의 방열성이 향상된다. 한편, 제 1 구동 회로 기판의 제 1 및 제 2 면의 한쪽 또는 양쪽에 마련되는 전자 부품 사이의 간격을 작게 함으로써 제 1 구동 회로 기판의 소형화가 실현된다.
따라서, 제 1 구동 회로 기판의 크기 및 전자 부품 사이의 간격을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제 1 구동 회로 기판의 소형화, 및 전자 부품의 방열성의 향상이 실현된다.
(9)
하나 또는 복수의 구동 회로는, 제 1 구동 회로 기판의 제 1 면 상에 또한 제 2 구동 회로 기판과 대향하는 영역에 마련되더라도 좋다. 이에 따라, 제 1 구동 회로 기판에 있어서의 전자 부품의 실장 영역이 확대된다.
그에 따라, 제 1 구동 회로 기판 상의 전자 부품 사이의 간격을 크게 함으로써 전자 부품의 방열성이 더 향상된다. 한편, 제 1 구동 회로 기판 상의 전자 부품 사이의 간격을 작게 함으로써 제 1 구동 회로 기판의 한층 더한 소형화가 실현된다.
따라서, 제 1 구동 회로 기판의 크기 및 전자 부품 사이의 간격을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제 1 구동 회로 기판의 한층 더한 소형화, 및 전자 부품의 방열성의 한층 더한 향상이 실현된다.
(10)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따르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주사 전극 및 유지 전극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지지 기판과, 제 1 면 및 제 2 면을 갖는 제 1 주사 구동 회로 기판과, 제 3 면 및 제 4 면을 갖는 제 1 유지 구동 회로 기판과, 지지 기판과 제 1 주사 구동 회로 기판의 제 1 면의 사이에서 지지 기판과 제 1 주사 구동 회로 기판을 각각 연결하는 제 1 연결 부재와, 지지 기판과 제 1 유지 구동 회로 기판의 제 3 면의 사이에서 지지 기판과 제 1 유지 구동 회로 기판을 각각 연결하는 제 2 연결 부재와, 지지 기판과 제 1 주사 구동 회로 기판의 사이에서 지지 기판 상에 마련되는 제 2 주사 구동 회로 기판과, 지지 기판과 제 1 유지 구동 회로 기판의 사이에서 지지 기판 상에 마련되는 제 2 유지 구동 회로 기판과, 제 1 및 제 2 주사 구동 회로 기판 상에 실장되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주사 전극에 구동 전류를 공급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제 1 구동 회로와, 제 1 및 제 2 유지 구동 회로 기판 상에 실장되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유지 전극에 구동 전류를 공급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제 2 구동 회로를 구비하는 것이다.
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 지지 기판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지지 기판의 한 면과 제 1 주사 구동 회로 기판의 제 1 면의 사이에서 지지 기판과 제 1 주사 구동 회로 기판이 제 1 연결 부재에 의해 연결된다. 또한, 지지 기판의 한 면과 제 1 유지 구동 회로 기판의 제 3 면의 사이에서 지지 기판과 제 1 유지 구동 회로 기판이 제 2 연결 부재에 의해 연결된다.
제 2 주사 구동 회로 기판은, 지지 기판과 제 1 주사 구동 회로 기판의 사이에서 지지 기판 상에 배치된다. 제 1 및 제 2 주사 구동 회로 기판 상에 실장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제 1 구동 회로에 의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동 전류가 공급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제 1 구동 회로의 적어도 일부가, 지지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 2 주사 구동 회로 기판 상에 실장됨으로써, 하나 또는 복수의 제 1 구동 회로에 의해 발생되는 열이 효율적으로 지지 기판에 전달된다. 그에 따라, 하나 또는 복수의 제 1 구동 회로의 방열성이 향상되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충분한 방열성이 확보된다.
제 2 유지 구동 회로 기판은, 지지 기판과 제 1 유지 구동 회로 기판의 사이에서 지지 기판 상에 배치된다. 제 1 및 제 2 유지 구동 회로 기판 상에 실장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제 2 구동 회로에 의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동 전류가 공급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제 2 구동 회로의 적어도 일부가, 지지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 2 유지 구동 회로 기판 상에 실장됨으로써, 하나 또는 복수의 제 2 구동 회로에 의해 발생되는 열이 효율적으로 지지 기판에 전달된다. 그에 따라, 하나 또는 복수의 제 2 구동 회로의 방열성이 향상되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충분한 방열성이 확보된다.
(11)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따르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지지 기판과, 제 1 및 제 2 면을 갖고,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동 전류를 공급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구동 회로가 실장되는 구동 회로 기판과, 지지 기판과 구동 회로 기판의 제 1 면의 사이에서 지지 기판과 구동 회로 기판을 접합하는 접합 부재를 구비하고, 하나 또는 복수의 구동 회로의 적어도 일부는, 구동 회로 기판의 제 1 면 상에 마련되는 것이다.
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지지 기판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구동 회로 기판의 구동 회로에 의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동 전류가 공급된다. 또한, 지지 기판과 구동 회로 기판의 제 1 면의 사이에서 지지 기판과 구동 회로 기판이 접합 부재에 의해 접합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구동 회로의 적어도 일부가, 구동 회로 기판의 제 1 면 상에 마련됨으로써, 하나 또는 복수의 구동 회로의 방열이 지지 기판에 의해 충분히 행해진다.
(12)
구동 회로 기판의 제 1 면 상에 마련된 하나 또는 복수의 구동 회로는, 지지 기판에 접촉 또는 근접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 하나 또는 복수의 구동 회로의 방열이 지지 기판에 의해 확실히 행해진다.
(12-a)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지지 기판의 사이에 방열 부재를 더 구비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 하나 또는 복수의 구동 회로의 방열성이 보다 향상된다.
(13)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지지 기판과 구동 회로 기판의 제 1 면의 사이에 열전도성 부재를 더 구비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 하나 또는 복수의 구동 회로의 방열성이 더 향상된다.
(13-a)
하나 또는 복수의 구동 회로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 트랜지스터와 같은 고발열성을 갖는 스위칭 소자를 이용한 경우에도, 충분히 그 방열성이 확보된다.
(13-b)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구동 회로 기판의 제 1 면 상에 마련되는 다이오드 및 트랜스의 적어도 한쪽을 더 구비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 다이오드 및 트랜스와 같은 고발열성을 갖는 부품을 이용한 경우에도, 충분히 그 방열성이 확보된다.
(13-c)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구동 회로 기판의 제 2 면 상에 마련되는 전자 부품을 더 구비하더라도 좋다. 구동 회로 기판의 제 1 면 상에 하나 또는 복수의 구동 회로가 마련되므로, 구동 회로 기판의 제 2 면 상에 마련되는 전자 부품의 배치 영역이 확대된다.
(13-d)
전자 부품은, 집적 회로, 코일, 저항, 가변 저항, 트랜지스터, 콘덴서, 인덕터, 트랜스 및 포토커플러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더라도 좋다. 구동 회로 기판의 제 1 면 상에 하나 또는 복수의 구동 회로가 마련되므로, 구동 회로 기판의 제 2 면 상에 마련되는 집적 회로, 코일, 저항, 가변 저항, 트랜지스터, 콘덴서, 인덕터, 트랜스 또는 포토커플러의 배치 영역이 확대된다.
(14)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따르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주사 전극 및 유지 전극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지지 기판과, 제 1 및 제 2 면을 갖고,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주사 전극에 구동 전류를 공급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제 1 구동 회로가 실장되는 제 1 구동 회로 기판과, 제 3 및 제 4 면을 갖고,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유지 전극에 구동 전류를 공급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제 2 구동 회로가 실장되는 제 2 구동 회로 기판과, 지지 기판과, 제 1 및 제 2 구동 회로 기판의 제 1 및 제 3 면의 사이에서 지지 기판과 제 1 및 제 2 구동 회로 기판을 각각 접합하는 접합 부재를 구비하고, 제 1 구동 회로 기판의 제 1 구동 회로의 적어도 일부는, 제 1 구동 회로 기판의 제 1 면 상에 마련되고, 제 2 구동 회로 기판의 하나 또는 복수의 제 2 구동 회로의 적어도 일부는, 제 2 구동 회로 기판의 제 3 면 상에 마련되는 것이다.
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는, 주사 전극 및 유지 전극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지지 기판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제 1 및 제 2 구동 회로 기판의 제 1 및 제 2 구동 회로에 의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동 전류가 각각 공급된다. 또한, 지지 기판과 제 1 및 제 2 구동 회로 기판의 제 1 면의 사이에서 지지 기판과 제 1 및 제 2 구동 회로 기판이 접합 부재에 의해 각각 접합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제 1 구동 회로의 적어도 일부가, 제 1 구동 회로 기판의 제 1 면 상에 마련되고, 하나 또는 복수의 제 2 구동 회로의 적어도 일부가, 제 2 구동 회로 기판의 제 3 면 상에 마련됨으로써, 하나 또는 복수의 제 1 및 제 2 구동 회로의 방열이 각각 지지 기판에 의해 충분히 행해진다.
(15)
제 1 구동 회로 기판의 제 1 면 상에 마련된 하나 또는 복수의 제 1 구동 회로는, 지지 기판에 접촉 또는 근접하고, 제 2 구동 회로 기판의 제 3 면 상에 마련된 하나 또는 복수의 제 2 구동 회로는, 지지 기판에 접촉 또는 근접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 하나 또는 복수의 제 1 및 제 2 구동 회로의 방열이 각각 지지 기판에 의해 확실히 행해진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 지지 기판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지지 기판의 한 면과 제 1 구동 회로 기판의 제 1 면의 사이에서 지지 기판과 제 1 구동 회로 기판이 연결 부재에 의해 연결된다. 제 2 구동 회로 기판은, 지지 기판과 제 1 구동 회로 기판의 사이에서 지지 기판 상에 배치된다. 제 1 및 제 2 구동 회로 기판 상에 실장되는 구동 회로에 의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동 전류가 공급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구동 회로의 적어도 일부가, 지지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 2 구동 회로 기판 상에 실장됨으로써, 하나 또는 복수의 구동 회로에 의해 발생되는 열이 효율적으로 지지 기판에 전달된다. 그에 따라, 하나 또는 복수의 구동 회로의 방열성이 향상되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충분한 방열성이 확보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 또는 복수의 구동 회로의 적어도 일부가, 구동 회로 기판의 제 1 면 상에 마련됨으로써, 하나 또는 복수의 구동 회로의 방열이 지지 기판에 의해 충분히 행해진다.
도 1은 실시예 1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ADS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실시예 1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도 4의 제 2 구동 회로 기판의 구조의 상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4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내의 분위기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 한 도면,
도 7은 실시예 2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8은 실시예 3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9는 실시예 4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2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1) 실시예 1
(1-a)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
도 1은 실시예 1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A/D 컨버터(아날로그ㆍ디지털 변환기)(200), 주사수 변환부(300), 서브필드 변환부(400), 방전 제어 타이밍 발생 회로(500),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600), 데이터 드라이 버(700), 스캔 드라이버(800) 및 서스테인 드라이버(900)를 포함한다.
A/D 컨버터(200)에는 영상 신호 VS가 입력된다. 또한, 방전 제어 타이밍 발생 회로(500), A/D 컨버터(200), 주사수 변환부(300) 및 서브필드 변환부(400)에는 수평 동기 신호 H 및 수직 동기 신호 V가 인가된다.
A/D 컨버터(200)는, 영상 신호 VS를 디지털의 화상 데이터 VD로 변환하고, 그 화상 데이터 VD를 주사수 변환부(300)에 인가한다.
주사수 변환부(300)는, 화상 데이터 VD를 PDP(600)의 화소수에 따른 라인수의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고, 각 라인의 화상 데이터를 서브필드 변환부(400)에 인가한다. 각 라인의 화상 데이터는, 각 라인의 복수의 화소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화소 데이터로 이루어진다.
서브필드 변환부(400)는, 각 라인의 화상 데이터의 각 화소 데이터를 복수의 서브필드에 대응하는 시리얼 데이터 SD로 변환하고, 시리얼 데이터 SD를 데이터 드라이버(700)에 인가한다.
방전 제어 타이밍 발생 회로(500)는, 수평 동기 신호 H 및 수직 동기 신호 V를 기준으로 하여 방전 제어 타이밍 신호 SC, SU를 발생한다. 방전 제어 타이밍 발생 회로(500)는, 방전 제어 타이밍 신호 SC를 스캔 드라이버(800)에 인가하고, 방전 제어 타이밍 신호 SU를 서스테인 드라이버(900)에 인가한다.
PDP(600)는, 복수의 데이터 전극(11c), 복수의 스캔 전극(주사 전극)(11a) 및 복수의 서스테인 전극(유지 전극)(11b)을 포함한다. 복수의 데이터 전극(11c)은, 화면의 수직 방향으로 배열되고, 복수의 주사 전극(11a) 및 복수의 유지 전 극(11b)은 화면의 수평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복수의 유지 전극(11b)은 공통으로 접속되어 있다.
데이터 전극(11c), 주사 전극(11a) 및 유지 전극(11b)의 각 교점에 방전 셀이 형성되고, 각 방전 셀이 화면 상의 화소를 구성한다.
데이터 드라이버(700)는, 서브필드 변환부(400)로부터 인가되는 시리얼 데이터 SD를 패러렐 데이터로 변환하고, 그 페러렐 데이터에 근거하여 기입 펄스를 복수의 데이터 전극(11c)에 선택적으로 인가한다.
스캔 드라이버(800)는, 방전 제어 타이밍 발생 회로(500)로부터 인가되는 방전 제어 타이밍 신호 SC에 근거하여 각 주사 전극(11a)을 구동한다. 서스테인 드라이버(900)는, 방전 제어 타이밍 발생 회로(500)로부터 인가되는 방전 제어 타이밍 신호 SU에 근거하여 유지 전극(11b)을 구동한다.
도 1에 나타내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계조 표시 구동 방식으로서, ADS(Address Display-Period Separation : 어드레스ㆍ표시 기간 분리)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1-b)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ADS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 도 2에서는, 구동 펄스의 하강시에 방전을 행하는 부극성의 펄스의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상승시에 방전을 행하는 정극성의 펄스의 경우라도 기본적인 동작은 이하와 마찬가지이다.
ADS 방식에서는, 한 필드를 복수의 서브필드로 시간적으로 분할한다. 예컨 대, 한 필드를 5개의 서브필드 SF1∼SF5로 분할한다. 또한, 각 서브필드 SF1∼SF5는, 초기화 기간 R1∼R5, 기입 기간 AD1∼AD5, 유지 기간 SUS1∼SUS5 및 소거 기간 RS1∼RS5로 분리된다. 초기화 기간 R1∼R5에 있어서는, 각 서브필드의 초기화 처리가 행해지고, 기입 기간 AD1∼AD5에 있어서는, 점등되는 방전 셀을 선택하기 위한 어드레스 방전이 행해지고, 유지 기간 SUS1∼SUS5에 있어서는, 표시를 위한 유지 방전이 행해진다.
초기화 기간 R1∼R5에 있어서는, 유지 전극(11b)에 단일 초기화 펄스가 가해지고, 주사 전극(11a)에도 각각 단일 초기화 펄스가 가해진다. 이에 따라 예비 방전이 행해진다.
기입 기간 AD1∼AD5에 있어서는, 주사 전극(11a)이 순차적으로 주사되고, 데이터 전극(11c)으로부터 기입 펄스를 받은 방전 셀에만 소정의 기입 처리가 행해진다. 이에 따라 어드레스 방전이 행해진다.
유지 기간 SUS1∼SUS5에 있어서는, 각 서브필드 SF1∼SF5에 가중치 부여된 값에 따른 서스테인 펄스가 유지 전극(11b) 및 주사 전극(11a)에 출력된다. 예컨대, 서브필드 SF1에서는, 유지 전극(11b)에 서스테인 펄스가 1회 인가되고, 주사 전극(11a)에 서스테인 펄스가 1회 인가되고, 기입 기간 P2에 있어서 선택된 방전 셀(14)이 2회 유지 방전을 행한다. 또한, 서브필드 SF2에서는, 유지 전극(11b)에 서스테인 펄스가 2회 인가되고, 주사 전극(11a)에 서스테인 펄스가 2회 인가되고, 기입 기간 P2에 있어서 선택된 방전 셀(14)이 4회 유지 방전을 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각 서브필드 SF1∼SF5에서는, 유지 전극(11b) 및 주사 전 극(11a)에 1회, 2회, 4회, 8회, 16회씩 서스테인 펄스가 인가되어, 펄스수에 따른 밝기(휘도)로 방전 셀이 발광한다. 즉, 유지 기간 SUS1∼SUS5는, 기입 기간 AD1∼AD5에서 선택된 방전 셀이 밝기의 가중치 부여량에 따른 회수로 방전하는 기간이다.
(1-c)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
도 3은 실시예 1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PDP(600)에, 예컨대, 알루미늄 또는 철 등으로 이루어지는 도전성 기판(패널 지지구)(31)이 방열 시트(후술하는 도면에 기재)를 사이에 두고 접착되어 있다. 또, PDP(600)는, 도 1의 복수의 주사 전극(11a) 및 복수의 유지 전극(11b)을 포함한다.
도전성 기판(31) 상에 복수의 도전성 지지구(boss)(34)에 의해 제 1 구동 회로 기판(32, 33)이 각각 부착되어 있다. 또, 도 3에서는, 제 1 구동 회로 기판(32, 33)의 면 상에 실장되는 후술하는 각종 면 실장 부품 및 각종 전자 부품에 대해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또한, 도 3에서는, 제 1 구동 회로 기판(32, 33)에 부착되는 후술하는 제 2 구동 회로 기판에 대해서도 도시되어 있지 않다.
제 1 구동 회로 기판(32, 33)은, 각각 배선 기판으로서의 복수의 플렉서블 접속 기판(35)을 거쳐 PDP(600)의 주사 전극(11a) 및 유지 전극(11b)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도전성 기판(31) 상에는 전원 회로(50) 및 도시하지 않는 팬이 마련되어 있 다. 전원 회로(50)는, 배선 부재(51)를 거쳐 제 1 구동 회로 기판(32)에 접속되어 있음과 아울러, 배선 부재(52)를 거쳐 제 1 구동 회로 기판(33)에 접속되어 있다.
다음으로, 제 1 구동 회로 기판(32, 33)의 면 상에 실장되는 각종 면 실장 부품 및 각종 전자 부품, 및 제 1 구동 회로 기판(32, 33)에 부착되는 제 2 구동 회로 기판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3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또, 도 4는 제 1 구동 회로 기판(32)측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일부가 생략되어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 있어서는, 대표적으로 제 1 구동 회로 기판(32) 및 그에 부착되는 제 2 구동 회로 기판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제 1 구동 회로 기판(33) 및 그에 부착되는 제 2 구동 회로 기판의 구성에 대해서도, 제 1 구동 회로 기판(32) 및 그에 부착되는 제 2 구동 회로 기판의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PDP(600)는, 방열 시트(60)를 사이에 두고 도전성 기판(31)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구동 회로 기판(32)은, 복수의 도전성 지지구(34)에 의해 도전성 기판(31) 상에 고정되어 있다. 제 1 구동 회로 기판(32)과 도전성 기판(31)의 사이의 간격은, 예컨대, 약 10∼25㎜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전성 기판(31)에 대향하는 제 1 구동 회로 기판(32)의 한 면 상에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전자 부품(37)이 실장됨과 아울러, 제 2 구동 회로 기판(40)이 부착되어 있다.
제 2 구동 회로 기판(40)은, 복수의 지지 단자(43b)를 갖는다. 복수의 지지 단자(43b)는, 도전성 기판(31)과 제 1 구동 회로 기판(32)의 사이의 간격과 거의 같은 높이를 갖는다. 복수의 지지 단자(43b)는, 제 2 구동 회로 기판(40)의 지지 부재로서 작용함과 아울러, 후술하는 면 실장 부품(36)의 배선 및 단자로서 작용한다.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조립시에는, 제 2 구동 회로 기판(40)의 복수의 지지 단자(43b)가 제 1 구동 회로 기판(32)에 접속되고, 그 제 1 구동 회로 기판(32)이 도전성 지지구(34)에 의해 도전성 기판(31)에 부착된다. 이에 따라, 제 2 구동 회로 기판(40)의 한 면이 도전성 기판(31)에 접촉한다.
제 1 구동 회로 기판(32)에 대향하는 제 2 구동 회로 기판(40)의 다른 면 상에는, 하나 또는 복수의 면 실장 부품(36)이 실장되어 있다.
면 실장 부품(36)은, 높은 발열성을 갖는 것이며, 예컨대,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 절연 게이트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IGBT), 다이오드 및 소형 트랜스 등을 포함한다. 이들 각종 면 실장 부품(36)에 있어서는, 예컨대,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혹은 절연 게이트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IGBT)의 콜렉터 핀(fin)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의 드레인 핀이, 또는, 다이오드의 캐소드 핀이, 땜납에 의해 제 2 구동 회로 기판(40)의 다른 면 상에 접착됨과 아울러, 단자가 후술하는 제 2 구동 회로 기판(40)의 도체층(배선 패턴)에 땜납에 의해 접속된다. 면 실장 부품(36)의 높이는, 예컨대, 10㎜ 이하이다.
제 1 구동 회로 기판(32)에 실장되는 전자 부품(37)은, 면 실장 부품(36)보다 비교적 낮은 발열성을 갖는다. 전자 부품(37)은, 예컨대, 집적 회로, 코일, 저 항, 가변 저항, 소신호 트랜지스터, 콘덴서, 인덕터, 트랜스 및 포토커플러 등을 포함한다.
전자 부품(37)은, 제 2 구동 회로 기판(40)의 지지 단자(43b)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다(예컨대, 약 10∼25㎜ 이하). 전자 부품(37)을, 제 2 구동 회로 기판(40)에 대향하는 제 1 구동 회로 기판(32)의 한 면 상에 실장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절연 게이트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및 소형 트랜스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제 2 구동 회로 기판(40)에 대향하는 제 1 구동 회로 기판(32)의 한 면 상에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전성 기판(31)의 한 면 상에 마련된 방열 시트(60) 및 PDP(600)를 피복하도록 전면 커버 FC가 마련되어 있고, 도전성 기판(31)의 다른 면 상에 마련된 도전성 지지구(34), 면 실장 부품(36), 제 1 구동 회로 기판(32) 및 전자 부품(37)을 피복하도록 후부 커버 BC가 마련되어 있다. 또, 도 4에서는, 전면 커버 FC 및 후부 커버 BC를 파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전성 기판(31)의 하단부는, 지지대좌(39)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가 지지대좌(39)에 의해 연직 방향을 따라 세워져 마련된다. 즉, PDP(600), 방열 시트(60), 도전성 기판(31), 제 1 구동 회로 기판(32) 및 제 2 구동 회로 기판(40)이, 각각 연직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도전성 기판(31)의 상부에는 팬 F가 마련되어 있다. 팬 F는, 아래쪽의 분위기를 흡인하여 위쪽으로 배출한다. 그에 따라, 도전성 기판(31)과 제 1 구동 회로 기판(32)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열이 외부(위쪽)로 방출된다.
(1-d) 제 2 구동 회로 기판의 구조
여기서, 제 2 구동 회로 기판(40)의 구조의 상세를 설명한다. 도 5는 제 2 구동 회로 기판(40)의 구조의 상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에 도 4의 제 2 구동 회로 기판(40)의 확대 측면도가 표시되고, 도 5(b)에 확대 평면도가 표시되어 있다.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구동 회로 기판(40)은, 보강판(41), 절연층(42) 및 복수의 도체층(43a)을 구비한다. 보강판(41)은, 예컨대, 알루미늄 또는 철 등의 열전도성이 높은 재료로 이루어진다. 이 보강판(41)은, 도전성 기판(31)측에 위치하고, 도전성 기판(31)에 접촉한다.
보강판(41) 상에 무기 필러 등의 절연성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절연층(42)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절연층(42) 상에 동 또는 은 등의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도체층(43a)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도체층(43a)은 소정의 패턴을 갖는다. 이들 도체층(43a) 상에 상술한 면 실장 부품(36)이 실장된다. 또, 도체층(43a)은, 예컨대, 약 0.8㎜의 두께를 갖는다.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절연층(42)의 양단부에서 각 도체층(43a)이 대략 수직으로 구부러져 있다. 이에 따라, 절연층(42)의 수평 방향에서의 양단부로부터 제 1 구동 회로 기판(32)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연장하도록 복수의 지지 단자(43b)가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지지 단자(43b)는 연직 방향으로 나열된다.
일부의 지지 단자(43b)에는 연직 방향으로 나열되는 복수의 개구(44b)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개구(44b)에 의해, 도체층(43a)을 구부리는 가공이 용이해지고 있다. 지지 단자(43b)의 선단부에는 제 1 구동 회로 기판(32)을 향하여 돌출하는 복수의 접속부(44a)가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접속부(44a)에 대응하는 제 1 구동 회로 기판(32)의 위치에, 복수의 단자 접속 구멍(32h)이 마련되어 있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조립시에는, 제 2 구동 회로 기판(40)의 복수의 접속부(44a)를 제 1 구동 회로 기판(32)에 마련된 복수의 단자 접속 구멍(32h)에 삽입한다. 이에 따라, 제 2 구동 회로 기판(40)을 제 1 구동 회로 기판(32)에 부착시킬 수 있다(도 5(a) 및 도 5(b) 화살표 X 참조).
그 후, 제 1 구동 회로 기판(32)을 도 4의 도전성 지지구(34)에 의해 도전성 기판(31)에 부착시킨다(도 5(a) 및 도 5(b) 화살표 Y 참조).
(1-e) 효과
본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는, 도전성 기판(31)에 대향하는 제 1 구동 회로 기판(32)의 한 면 상에 제 2 구동 회로 기판(40)이 부착된다. 제 2 구동 회로 기판(40)의 한 면은 도전성 기판(31)에 접촉하고, 제 2 구동 회로 기판(40)의 다른 면에는 높은 발열성을 갖는 하나 또는 복수의 면 실장 부품(36)이 실장된다.
이와 같이, 면 실장 부품(36)이 제 2 구동 회로 기판(40)을 사이에 두고 도전성 기판(31)에 접촉함으로써, 면 실장 부품(36)에 의해 발생되는 열이 효율적으로 도전성 기판(31)에 전달되고, 도전성 기판(31)에 의해 방열된다. 그에 따라, 높은 발열성을 갖는 면 실장 부품(36)의 방열성이 향상하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충분한 방열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제 2 구동 회로 기판(40)에 대향하는 제 1 구동 회로 기판(32)의 한 면 상에, 전자 부품(37)을 실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구동 회로 기판(32)에 있어서의 전자 부품(37)의 실장 영역이 확대된다.
그에 따라, 제 1 구동 회로 기판(32) 상의 전자 부품(37) 사이의 간격을 크게 함으로써 전자 부품(37)의 방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제 1 구동 회로 기판(32) 상의 전자 부품(37) 사이의 간격을 작게 함으로써 제 1 구동 회로 기판(32)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구동 회로 기판(32)의 크기 및 전자 부품(37) 사이의 간격을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제 1 구동 회로 기판(32)의 소형화, 및 전자 부품(37)의 방열성의 향상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구동 회로 기판(32)과 도전성 기판(31)의 사이의 간격은, 예컨대, 약 10∼25㎜로 설정한다.
제 1 구동 회로 기판(32)과 도전성 기판(31)의 사이의 간격을 약 10㎜로 설정함으로써,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충분한 박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제 1 구동 회로 기판(32)과 도전성 기판(31)의 사이의 간격을 약 25㎜로 설정함으로써, 약 25㎜ 이하의 높이를 갖는 전자 부품(37)을 제 2 구동 회로 기판(40)에 대향하도록 제 1 구동 회로 기판(32)에 실장할 수 있다. 그 결과, 제 1 구동 회로 기판(32)에 있어서의 전자 부품(37)의 실장 영역이 확대된다.
또한, PDP(600)가 방열 시트(60)를 사이에 두고 도전성 기판(31)에 접촉하여 마련되어 있음으로써, 면 실장 부품(36)의 방열뿐만 아니라 PDP(600)의 방열도 도전성 기판(31)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구동 회로 기판(40)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연직 방향에서의 중앙보다 아래쪽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도 4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내의 분위기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 도 6에서는, 전자 부품(37)의 도시는 생략한다.
제 2 구동 회로 기판(40)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연직 방향에서의 중앙부(일점 쇄선 C 참조)보다 아래쪽에 마련한다. 이 경우, 면 실장 부품(36)에 의해 발생된 고온의 분위기가 상승함과 아울러, 팬 F에 의해 아래쪽의 분위기가 위쪽으로 흡인됨으로써, 도 6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전성 기판(31)과 제 1 구동 회로 기판(32)의 사이에 상승 기류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도전성 기판(31)과 제 1 구동 회로 기판(32)의 사이에서는, 면 실장 부품(36)뿐만 아니라 전자 부품(37)(도 6에서는 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발생되는 고온의 분위기도 상승한다.
그리고, 도전성 기판(31)과 제 1 구동 회로 기판(32)의 사이에서 상승한 분위기가, 팬 F를 통하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부로 방출된다.
제 2 구동 회로 기판(40)의 복수의 지지 단자(43b)는, 연직 방향을 따라 나열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지지 단자(43b)가 도전성 기판(31)과 제 1 구동 회로 기판(32)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상승 기류의 방해가 되는 것이 방지 되고 있다. 그 결과, 고온의 분위기가 지지 단자(43b)의 영향을 받는 일없이 원활하게 흐르므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내의 면 실장 부품(36) 및 전자 부품(37)의 방열성이 충분히 확보되고 있다.
(2) 실시예 2
실시예 2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하의 점에서 실시예 1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와 다르다.
도 7은 실시예 2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전성 기판(31)과 제 2 구동 회로 기판(40)의 사이에는, 예컨대, 실리콘 고무 또는 카본 시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고열전도성 시트, 및 실리콘 액, 퍼티 또는 카본 액 등으로 이루어지는 고열전도성 점착액의 한쪽 또는 양쪽을 포함하는 열전도성 부재(31a)를 마련하더라도 좋다. 그에 따라, 면 실장 부품(36)의 방열성을 더 향상할 수 있다.
(3) 실시예 3
실시예 3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하의 점에서 실시예 1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와 다르다.
도 8은 실시예 3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는, 도전성 기판(31)과 반대쪽의 제 1 구동 회로 기판(32)의 다른 면 상에 하나 또 는 복수의 전자 부품(37)이 실장되어 있다.
이 경우, 전자 부품(37)의 높이가, 도전성 기판(31)과 제 1 구동 회로 기판(32)의 사이의 간격에 제한되지 않으므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이용하는 전자 부품(37)의 크기의 제한이 완화된다. 따라서, 전자 부품(37)의 선택 범위가 넓어진다. 그에 따라, 제 1 구동 회로 기판(32) 상의 전자 부품(37) 사이의 실장 간격을 크게 함으로써, 전자 부품(37)의 방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제 1 구동 회로 기판(32) 상의 전자 부품(37) 사이의 실장 간격을 작게 함으로써 제 1 구동 회로 기판(32)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구동 회로 기판(32)의 크기 및 전자 부품(37) 사이의 간격을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제 1 구동 회로 기판(32)의 소형화, 및 전자 부품(37)의 방열성의 향상을 실현할 수 있다.
실시예 3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는, 도 8의 점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전성 기판(31)에 대향하는 제 1 구동 회로 기판(32)의 한 면 상에 전자 부품(37)을 더 실장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 제 1 구동 회로 기판(32)의 양면에 하나 또는 복수의 전자 부품(37)을 실장할 수 있으므로, 제 1 구동 회로 기판(32)에 있어서의 전자 부품(37)의 실장 영역이 더 확대된다.
그에 따라, 제 1 구동 회로 기판(32) 상의 전자 부품(37) 사이의 실장 간격을 크게 함으로써, 전자 부품(37)의 방열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제 1 구동 회로 기판(32) 상의 전자 부품(37) 사이의 실장 간격을 작게 함으로써 제 1 구동 회로 기판(32)의 한층 더한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구동 회로 기판(32)의 크기 및 전자 부품(37) 사이의 간격을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제 1 구동 회로 기판(32)의 한층 더한 소형화, 및 전자 부품(37)의 방열성의 한층 더한 향상을 실현할 수 있다.
(4) 실시예 1~실시예 3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변형예
실시예 1∼실시예 3에 있어서, 제 2 구동 회로 기판(40)에는, 반드시 면 실장 부품(36)만이 실장될 필요는 없다. 제 2 구동 회로 기판(40)에는, 지지 단자(43b)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전자 부품(37)을 실장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 1 구동 회로 기판(32)에 있어서의 전자 부품(37)의 실장 영역이 확대된다.
그에 따라, 제 1 구동 회로 기판(32) 상의 전자 부품(37) 사이의 실장 간격을 크게 함으로써, 전자 부품(37)의 방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제 1 구동 회로 기판(32) 상의 전자 부품(37) 사이의 실장 간격을 작게 함으로써 제 1 구동 회로 기판(32)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실시예 1∼실시예 3에 있어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4의 팬 F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좋다. 이 경우, 예컨대, 도시하지 않는 후부 커버의 상부에 개구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내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분위기가, 도전성 기판(31)과 제 1 구동 회로 기판(32)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상승 기류를 따라, 후부 커버의 개구로부터 외부로 방출된다. 그 결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저비용화를 실현할 수 있다.
도전성 기판(31)을 스캔 드라이버(800) 및 서스테인 드라이버(900)에 각각 마련된 구동 회로의 전류 경로로서 이용하더라도 좋고, 또한, 도전성 지지구(34)를 스캔 드라이버(800) 및 서스테인 드라이버(900)에 각각 마련된 구동 회로의 전류 경로로서 이용하여도 좋다.
(5) 실시예 4
실시예 4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하의 점에서 실시예 1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와 다르다.
(5-a)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
도 9는 실시예 4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PDP(600)에, 예컨대, 알루미늄 또는 철 등으로 이루어지는 도전성 기판(패널 지지구)(31)이 방열 시트(후술하는 도면에 기재)를 사이에 두고 접착되어 있다. 또, PDP(600)는, 도 1의 복수의 주사 전극(11a) 및 복수의 유지 전극(11b)을 포함한다.
도전성 기판(31) 상에 복수의 도전성 지지구(boss)(34)에 의해 구동 회로 기판(132, 133)이 각각 부착되어 있다. 또, 도 9에서는, 구동 회로 기판(132, 133)의 면 상에 실장되는 후술하는 각종 면 실장 부품 및 각종 전자 부품에 대해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구동 회로 기판(132, 133)은, 각각 배선 기판으로서의 복수의 플렉서블 접속 기판(35)을 거쳐 PDP(600)의 주사 전극(11a) 및 유지 전극(11b)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도전성 기판(31) 상에는 전원 회로(50) 및 도시하지 않는 팬이 마련되어 있다. 전원 회로(50)는, 배선 부재(51)를 거쳐 구동 회로 기판(132)에 접속되어 있음과 아울러, 배선 부재(52)를 거쳐 구동 회로 기판(133)에 접속되어 있다.
다음으로, 구동 회로 기판(132, 133)의 면 상에 실장되는 각종 면 실장 부품 및 각종 전자 부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도 9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또, 도 10은 구동 회로 기판(132)측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일부가 생략되어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 있어서는, 대표적으로 구동 회로 기판(132)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구동 회로 기판(133)의 구성에 대해서도 구동 회로 기판(132)의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PDP(600)는, 방열 시트(60)를 사이에 두고 도전성 기판(31)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 회로 기판(132)은, 복수의 도전성 지지구(34)에 의해 도전성 기판(31) 상에 고정되어 있다. 구동 회로 기판(132)과 도전성 기판(31)의 간격은, 예컨대, 10㎜ 이하이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구동 회로 기판(132)의 도전성 기판(31)측의 면 상에는, 하나 또는 복수의 면 실장 부품(36)이 실장되어 있다. 이 경우, 10㎜ 이하의 높이를 갖는 하나 또는 복수의 면 실장 부품(36)이, 도전성 기판(31)에 접촉 또는 근접하도록, 구동 회로 기판(132)의 상기 면 상에 실장되어 있다.
상기 면 실장 부품(36)은, 높은 발열성을 갖는 것이며, 예컨대,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절연 게이트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다이오드 및 소형 트랜스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및 절연 게이트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에 있어서는, 이 콜렉터 핀이 땜납에 의해 구동 회로 기판(132) 면 상에 접착됨과 아울러, 단자가 구동 회로 기판(132)의 배선 패턴에 땜납에 의해 접속된다.
또한,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에 있어서는, 이 드레인 핀이 땜납에 의해 구동 회로 기판(132) 면 상에 접착됨과 아울러, 단자가 구동 회로 기판(132)의 배선 패턴에 땜납에 의해 접속된다.
또한, 다이오드에 있어서는, 이 캐소드 핀이 땜납에 의해 구동 회로 기판(132) 면 상에 접착됨과 아울러, 단자가 구동 회로 기판(132)의 배선 패턴에 땜납에 의해 접속된다.
한편, 구동 회로 기판(132)의 도전성 기판(31)과 반대쪽의 면 상에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전자 부품(37)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전자 부품(37)은, 비교적 낮은 발열성을 갖고, 그 높이도 비교적 높은(예컨대, 10㎜ 이상) 것이다. 예컨대, 전자 부품(37)은, 제어용 집적 회로(제어용 IC), 코일, 저항, 가변 저항, 소신호 트랜지스터, 콘덴서, 인덕터, 트랜스 및 포토커플러 등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 또는 복수의 면 실장 부품(36)이 도전성 기판(31)에 확실히 접촉 또는 보다 근접하도록, 하나 또는 복수의 면 실장 부품(36)을 구동 회로 기판(132)의 중심부에 실장하고, 그 측부 근방에 있어서, 구동 회로 기판(132) 과 도전성 기판(31)을 복수의 나사(38)에 의해 서로 고정한다.
또한, 도전성 기판(31)의 한쪽의 면 상에 마련된 방열 시트(60) 및 PDP(600)을 피복하도록 도시하지 않는 전면 커버가 마련되어 있고, 도전성 기판(31)의 다른 쪽의 면 상에 마련된 도전성 지지구(34), 면 실장 부품(36), 나사(38), 구동 회로 기판(132) 및 전자 부품(37)을 피복하도록 도시하지 않는 후부 커버가 마련되어 있다.
(5-b) 효과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구동 회로 기판(132)의 도전성 기판(31)측의 면 상에, 높은 발열성을 갖는 하나 또는 복수의 면 실장 부품(36)이 실장되고, 이 면 실장 부품(36)이 도전성 기판(31)에 접촉 또는 근접하고 있음으로써, 도전성 기판(31)에 의해 면 실장 부품(36)의 방열이 충분히 행해진다.
또한, 하나 또는 복수의 면 실장 부품(36)의 높이를 같게 함으로써, 면 실장 부품(36)과 도전성 기판(31)의 밀착성을 향상할 수 있어, 방열성을 보다 향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하나 또는 복수의 면 실장 부품(36)이 도전성 기판(31)에 확실히 접촉 또는 보다 근접하도록, 하나 또는 복수의 면 실장 부품(36)을 구동 회로 기판(132)의 중심부에 실장하고, 그 측부 근방에 있어서, 구동 회로 기판(132)과 도전성 기판(31)을 복수의 나사(38)에 의해 서로 고정함으로써, 면 실장 부품(36)과 도전성 기판(31)의 밀착성을 향상할 수 있어, 방열성을 보다 향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PDP(600)가 방열 시트(60)를 사이에 두고 도전성 기판(31)에 접촉하여 마련되어 있음으로써, 면 실장 부품(36)의 방열뿐만 아니라 PDP(600)의 방열도 도전성 기판(31)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또한, 구동 회로 기판(132)의 도전성 기판(31)측의 면 상에, 하나 또는 복수의 면 실장 부품(36)이 실장됨으로써, 도전성 기판(31)측과 반대쪽의 구동 회로 기판(132)의 면 상에 마련되는 전자 부품(37)의 배치 영역이 확대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외부로 열을 방사시키는 방열기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저비용화를 실현할 수 있다.
(6) 다른 실시예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하의 점에서 실시예 4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와 다르다.
도 11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도가 표시되어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전성 기판(31)과 면 실장 부품(36)의 사이에, 예컨대, 실리콘 고무 또는 카본 시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고열전도성 시트, 및 실리콘 액 또는 퍼티 등으로 이루어지는 고열전도성 점착액의 한쪽 또는 양쪽을 포함하는 열전도성 부재(31a)를 마련하더라도 좋다. 그에 따라, 면 실장 부품(36)의 방열성을 더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 4에서는, 전자 부품(37)이 도전성 기판(31)측과 반대쪽의 구동 회로 기판(132)의 면 상에 마련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 라, 도전성 기판(31)과 구동 회로 기판(132)의 간격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면, 전자 부품(37)의 일부 또는 전부를 도전성 기판(31)측의 구동 회로 기판(132)의 면 상에 마련하더라도 좋다.
또한, 도전성 기판(31)을 스캔 드라이버(800) 및 서스테인 드라이버(900)에 각각 마련된 구동 회로의 전류 경로로서 이용하더라도 좋고, 또한, 도전성 지지구(34)를 스캔 드라이버(800) 및 서스테인 드라이버(900)에 각각 마련된 구동 회로의 전류 경로로서 이용하더라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 4에서는, 면 실장 부품(36)의 전부가 도전성 기판(31)측의 구동 회로 기판(132)의 면 상에 마련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충분한 방열성의 확보가 가능하다면, 면 실장 부품(36)의 일부를 도전성 기판(31)측과 반대쪽의 구동 회로 기판(132)의 면 상에 마련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절연 게이트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및 소형 트랜스 중 어느 하나를, 도전성 기판(31)측의 구동 회로 기판(132)의 면 상에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7) 청구항의 각 구성 요소와 실시예의 각부의 대응 관계
이하, 청구항의 각 구성 요소와 실시예의 각부의 대응예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의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7-a)
실시예 1∼실시예 3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청구항 1∼10의 플 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당한다.
실시예 1∼실시예 3에 있어서는, PDP(600)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상당하고, 도전성 기판(31)이 지지 기판에 상당하며, 도전성 지지구(34)가 연결 부재에 상당한다.
또한, 지지 단자(43b)가 접속 부재에 상당하고, 팬 F가 기류 형성 장치에 상당하며, 방열 시트(60)가 방열 부재에 상당하고, 도전성 기판(31)측의 제 1 구동 회로 기판(32)의 면이 제 1 면에 상당하며, 도전성 기판(31)과 반대쪽의 제 1 구동 회로 기판(32)의 면이 제 2 면에 상당한다.
또한, 제 1 구동 회로 기판(32)이 제 1 주사 구동 회로 기판에 상당하고, 제 1 구동 회로 기판(33)이 제 1 유지 구동 회로 기판에 상당하며, 제 2 구동 회로 기판(40)이 제 2 주사 구동 회로 기판 및 제 2 유지 구동 회로 기판에 상당하고, 면 실장 부품(36) 및 전자 부품(37)을 포함하는 구동 회로가 구동 회로, 제 1 구동 회로 및 제 2 구동 회로에 상당한다.
또한, 도전성 기판(31)측의 제 1 구동 회로 기판(33)의 면이 제 3 면에 상당하고, 도전성 기판(31)과 반대쪽의 제 1 구동 회로 기판(33)의 면이 제 4 면에 상당한다.
(7-b)
실시예 4 및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청구항 11∼15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당한다.
실시예 4 및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PDP(600)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에 상당하고, 구동 회로 기판(132, 133)이 각각 제 1 및 제 2 구동 회로 기판에 상당하며, 도전성 기판(31)이 지지 기판에 상당하고, 면 실장 부품(36)이 구동 회로 및 제 1 및 제 2 구동 회로에 상당하며, 도전성 지지구(34)가 접합 부재에 상당하고, 방열 시트(60)가 방열 부재에 상당한다.
또한, 실시예 4 및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전성 기판(31)측의 구동 회로 기판(132)의 면이 제 1 면에 상당하고, 도전성 기판(31)측과 반대쪽의 구동 회로 기판(132)의 면이 제 2 면에 상당하며, 도전성 기판(31)측의 구동 회로 기판(133)의 면이 제 3 면에 상당하고, 도전성 기판(31)측과 반대쪽의 구동 회로 기판(133)의 면이 제 4 면에 상당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의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이용할 수 있다.

Claims (15)

  1.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지지 기판과,
    제 1 면 및 제 2 면을 갖는 제 1 구동 회로 기판과,
    상기 지지 기판의 한 면과 상기 제 1 구동 회로 기판의 상기 제 1 면의 사이에서 상기 지지 기판과 상기 제 1 구동 회로 기판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와,
    상기 지지 기판과 상기 제 1 구동 회로 기판의 사이에서 상기 지지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 2 구동 회로 기판과,
    상기 제 1 및 제 2 구동 회로 기판 상에 실장되어,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동 전류를 공급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구동 회로
    를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동 회로 기판과 상기 제 2 구동 회로 기판이 서로 대향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구동 회로 기판을 접속하는 도전성의 접속 부재를 더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부재는 복수의 개구를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지지 기판, 상기 제 1 구동 회로 기판 및 상기 제 2 구동 회로 기판은 대략 연직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접속 부재는 복수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접속 부재는 연직 방향으로 나열되도록 배치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동 회로 기판은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중앙보다 아래쪽에 배치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기판과 상기 제 1 구동 회로 기판의 사이에 기류를 형성하는 기류 형성 장치를 더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지지 기판의 사이에 방열 부재를 더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기판과 상기 제 2 구동 회로 기판의 사이에 열전도성 부재를 더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구동 회로는 상기 제 1 구동 회로 기판의 상기 제 1 면 상에, 또한 상기 제 2 구동 회로 기판과 대향하는 영역에 마련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0. 주사 전극 및 유지 전극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지지 기판과,
    제 1 면 및 제 2 면을 갖는 제 1 주사 구동 회로 기판과,
    제 3 면 및 제 4 면을 갖는 제 1 유지 구동 회로 기판과,
    상기 지지 기판과 상기 제 1 주사 구동 회로 기판의 상기 제 1 면의 사이에서 상기 지지 기판과 상기 제 1 주사 구동 회로 기판을 각각 연결하는 제 1 연결 부재와,
    상기 지지 기판과 상기 제 1 유지 구동 회로 기판의 상기 제 3 면의 사이에서 상기 지지 기판과 상기 제 1 유지 구동 회로 기판을 각각 연결하는 제 2 연결 부재와,
    상기 지지 기판과 상기 제 1 주사 구동 회로 기판의 사이에서 상기 지지 기판 상에 마련되는 제 2 주사 구동 회로 기판과,
    상기 지지 기판과 상기 제 1 유지 구동 회로 기판의 사이에서 상기 지지 기판 상에 마련되는 제 2 유지 구동 회로 기판과,
    상기 제 1 및 제 2 주사 구동 회로 기판 상에 실장되어,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주사 전극에 구동 전류를 공급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제 1 구동 회로와,
    상기 제 1 및 제 2 유지 구동 회로 기판 상에 실장되어,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유지 전극에 구동 전류를 공급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제 2 구동 회로
    를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1.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지지 기판과,
    제 1 및 제 2 면을 갖고,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동 전류를 공급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구동 회로가 실장되는 구동 회로 기판과,
    상기 지지 기판과 상기 구동 회로 기판의 상기 제 1 면의 사이에서 상기 지지 기판과 상기 구동 회로 기판을 접합하는 접합 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구동 회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구동 회로 기판의 상기 제 1 면 상에 마련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회로 기판의 상기 제 1 면 상에 마련된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구동 회로는 상기 지지 기판에 접촉 또는 근접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기판과 상기 구동 회로 기판의 상기 제 1 면의 사이에 열전도성 부재를 더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4. 주사 전극 및 유지 전극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지지 기판과,
    제 1 및 제 2 면을 갖고,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주사 전극에 구동 전류를 공급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제 1 구동 회로가 실장되는 제 1 구동 회로 기판과,
    제 3 및 제 4 면을 갖고,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유지 전극에 구동 전류를 공급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제 2 구동 회로가 실장되는 제 2 구동 회로 기판과,
    상기 지지 기판과, 상기 제 1 및 제 2 구동 회로 기판의 상기 제 1 및 제 3 면의 사이에서 상기 지지 기판과 상기 제 1 및 제 2 구동 회로 기판을 각각 접합하는 접합 부재
    를 구비하되,
    상기 제 1 구동 회로 기판의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제 1 구동 회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구동 회로 기판의 상기 제 1 면 상에 마련되고,
    상기 제 2 구동 회로 기판의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제 2 구동 회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2 구동 회로 기판의 상기 제 3 면 상에 마련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동 회로 기판의 상기 제 1 면 상에 마련된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제 1 구동 회로는 상기 지지 기판에 접촉 또는 근접하고,
    상기 제 2 구동 회로 기판의 상기 제 3 면 상에 마련된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제 2 구동 회로는 상기 지지 기판에 접촉 또는 근접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87006299A 2005-08-16 2006-08-08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9669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35993 2005-08-16
JPJP-P-2005-00235994 2005-08-16
JPJP-P-2005-00235993 2005-08-16
JP2005235994 2005-08-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8406A true KR20080038406A (ko) 2008-05-06
KR100966948B1 KR100966948B1 (ko) 2010-06-30

Family

ID=37757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6299A KR100966948B1 (ko) 2005-08-16 2006-08-08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944712B2 (ko)
JP (1) JPWO2007020842A1 (ko)
KR (1) KR100966948B1 (ko)
CN (1) CN101268498B (ko)
TW (1) TW200717378A (ko)
WO (1) WO200702084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6138A (ko) * 2016-09-30 2018-04-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제어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36645B2 (ja) * 2007-07-25 2013-07-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JP2009175230A (ja) * 2008-01-22 2009-08-06 Sharp Corp 表示装置
US8547312B2 (en) * 2008-07-28 2013-10-01 Nec Display Solutions, Ltd. Display apparatus
JP5358717B2 (ja) * 2012-06-04 2013-12-04 日立コンシューマ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平面型表示装置
JP6801437B2 (ja) * 2016-12-22 2020-12-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吐出装置および回路基板
JP6585685B2 (ja) * 2017-10-31 2019-10-02 ファナック株式会社 表示器付き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97984A (ja) 1987-10-09 1989-04-17 Nec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H027081A (ja) 1988-06-27 1990-01-11 Nec Corp 表示装置
JP3638713B2 (ja) 1996-05-15 2005-04-13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基板用の接続端子中間品および接続端子付き基板
JPH11251772A (ja) 1998-03-06 1999-09-17 Fujitsu General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H11284379A (ja) * 1998-03-31 1999-10-15 Fujitsu General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1339186A (ja) 2000-05-29 2001-12-07 Seiko Epson Corp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JP2002006754A (ja) * 2000-06-19 2002-01-11 Pioneer Electronic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装置の放熱構造
JP2002302156A (ja) 2001-04-05 2002-10-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モジュールの包装方法
JP2004182607A (ja) 2002-11-29 2004-07-02 Mitsubishi Rayon Co Ltd 4−クロロ−3−ヒドロキシブチロニトリルの製造方法
TWI268526B (en) * 2003-12-05 2006-12-11 Au Optronics Corp Plasma display
KR20060132039A (ko) 2004-04-12 2006-12-20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표시 장치
US7457120B2 (en) * 2004-04-29 2008-11-25 Samsung Sdi Co., Ltd. Plasma display apparatus
EP1753262A4 (en) 2004-05-31 2010-07-28 Panasonic Corp PLASMA DISPLAY DEVICE
US7583033B2 (en) 2006-02-06 2009-09-01 Panasonic Corporation Plasma display panel driving circuit and plasma display apparatus
US20070188416A1 (en) 2006-02-16 2007-08-1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pparatus for driving plasma display panel and plasma display
KR100768229B1 (ko) * 2006-05-02 2007-10-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장치
JP4937635B2 (ja) 2006-05-16 2012-05-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駆動回路およ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6138A (ko) * 2016-09-30 2018-04-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제어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717378A (en) 2007-05-01
WO2007020842A1 (ja) 2007-02-22
CN101268498A (zh) 2008-09-17
JPWO2007020842A1 (ja) 2009-03-26
US20090141462A1 (en) 2009-06-04
KR100966948B1 (ko) 2010-06-30
US7944712B2 (en) 2011-05-17
CN101268498B (zh) 2011-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694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US7468887B2 (en) Plasma display device
US7495918B2 (en) Plasma display device
US7391616B2 (en) Plasma display device
JP2008203376A (ja) 半導体装置、並びに表示装置
US20080284765A1 (en) Plasma display device and signal transmitting unit for plasma display device
US20070008243A1 (en) Plasma display panel (PDP)
KR20030065330A (ko) 반도체 칩 실장 기판 및 평면 디스플레이
US20100134459A1 (en) Flat display device
JP4802661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8197429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4590220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EP2104090A2 (en) Plasma display device
KR20070013941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WO2013005404A1 (ja) 放熱板、回路基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WO2010046948A1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788542B1 (ko) 플라즈마 표시장치
US20100315393A1 (en) Plasma display device
KR100907235B1 (ko) 플랫 디스플레이 장치
JP2009080361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表示装置
JP2005338706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4094091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8216933A (ja) 半導体装置およ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WO2010046950A1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3029702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