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8253A - 타이어 가류 장치 - Google Patents

타이어 가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8253A
KR20080038253A KR1020087007261A KR20087007261A KR20080038253A KR 20080038253 A KR20080038253 A KR 20080038253A KR 1020087007261 A KR1020087007261 A KR 1020087007261A KR 20087007261 A KR20087007261 A KR 20087007261A KR 20080038253 A KR20080038253 A KR 200800382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ring
bladder
shaping
shaft
green t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7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노부 이치마루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이치마루기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이치마루기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이치마루기켄
Publication of KR20080038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82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02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incorporated heating or cooling means
    • B29C33/04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incorporated heating or cooling means using liquids, gas or st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03Loading or unloading the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29C35/04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using liquids, gas or st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0/00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Abstract

상부 클램프 링과 하부 클램프 링을 간단한 걸어맞춤 구조에 의해, 용이하고 스무즈하게 셰이핑 위치에 위치 결정시킬 수 있는 타이어 가류 장치이다. 가류기 본체(A)와 셰이핑 유닛(B)을 구비한 타이어 가류 장치에 있어서, 상부 클램프 링(5)과 하부 클램프 링(6)이 통형상 외축(61)의 내부에 내축(51)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감합시킨 신축축(5a)에 의해 연결되고, 그 내축에 설치한 걸림 부재(53)를 통형상 외축의 내면에 형성한 단부(63)에 걸어맞춤으로써 셰이핑 위치에 위치 결정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부 클램프 링, 하부 클램프 링, 셰이핑 유닛, 가류 장치, 걸림 부재

Description

타이어 가류 장치{TIRE VULCANIZING DEVICE}
본 발명은 셰이핑 유닛(shaping unit)을 사용하여 가류기 본체의 외부로 그린 타이어를 셰이핑시켜 이 셰이핑 유닛을 가류기 본체에 세트 시킨 상태에서 그린 타이어를 가류 성형 시키도록 한 타이어 가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전의 타이어 가류 방법은, 가류기의 중심 기구에 그린 타이어 그 자체를 세트시켜, 그 상태에서 중심 기구의 블레더(bladder) 내에 가압 유체를 공급시켜 블레더를 팽창시켜, 이로써 그린 타이어의 내주면에 블레더의 외주면을 밀착시켜 그린 타이어를 셰이핑 시킨다.
다음에, 가류기의 컨테이너로 그린 타이어를 감싸아 잡은(抱持)다음, 블레더 내에 고온 고압의 유체를 공급시켜 그린 타이어의 내주면을 블레더로 꽉 눌러 블레더나 컨테이너로부터의 열에 의해 가류 성형 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전의 타이어 가류 방법에 있어서는, 그린 타이어를 가류기의 중심 기구에 세트하여 셰이핑시키기 때문에, 가류의 전처리 시간이 길게 되어, 작업 능률이 저하되어 버린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종래 일본국 공개 특허공보 특개2002-178333호에 나타낸 바와 같이, 셰이핑 유닛을 사용하여 가류기 본체의 외부로 그린 타이어를 셰이핑 시켜, 이 셰 이핑 유닛을 가류기 본체에 세트 시킨 상태에서 그린 타이어를 가류 성형 시키도록 한 타이어 가류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이 종래의 타이어 가류 장치는, 외부 장착(outer setup), 즉 그린 타이어를 가류기 본체의 외부로 장착시킴과 동시에, 그 그린 타이어를 셰이핑 시키기 위한 셰이핑 유닛을 구비한 것이다.
이와 같이, 셰이핑 유닛을 사용하면, 가류기 본체의 외부로 셰이핑을 행하고, 이것을 가류기 본체에 세트 시키면, 즉시 가류 작업을 개시할 수 있어, 이로써,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그런데, 셰이핑 유닛에 그린 타이어를 장착시키는 경우, 상부 클램프 링과 하부 클램프 링을, 그 대향 간격을 이반(離反)시켜 블레더의 외경이 그린 타이어의 내경 보다도 작은 직경으로 되도록 한 블레더 신장 위치와, 그 대향 간격을 근접시켜 블레더의 외주면을 상기 그린 타이어의 내주면에 밀착시키도록 한 셰이핑 위치에 위치 결정 가능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 점과 관련하여, 종래의 타이어 가류 장치에서는, 상부 클램프 링에 설치된 체결 링을 모터에 의해 회전시킴으로써, 이 체결 링과 하부 클램프 링을 걸어맞춰 셰이핑 위치에 위치결정시키는 구조로 된다.
이와 같이, 체결 링을 모터에 의해 회전시켜 상부 클램프 링과 하부 클램프 링을 셰이핑 위치에 결합시키는 구조에서는 그 체결 구조가 복잡하게 되어 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상부 클램프 링과 하부 클램프 링을 간단한 걸어맞춤 구조에 따라서 용이하고 스무드하게 셰이핑 위치에 위치 결정시킬 수 있도록 한 타이어 가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청구항 1)의 타이어 가류 장치는 볼스터플레이트(bolsterplate)에 부착된 상부 컨테이너 및 보텀(bottom) 플레이트에 부착된 하부 컨테이너를 가지는 가류기 본체와, 상기 가류기 본체의 외부로 그린 타이어를 장착시켜 그 그린 타이어를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가류기 본체에 세트 되는 셰이핑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셰이핑 유닛은 확장 수축 가능한 통형상 고무에 의한 블레더와 이 블레더의 상단부를 고정하는 상부 클램프 링과, 블레더의 하단부를 고정하는 하부 클램프 링과, 상기 블레더의 내부에 가압 유체를 공급/배출시키기 위한 유체 포트(port)를 구비하며,
상기 상부 클램프 링과 하부 클램프 링은, 그 대향 간격을 이반시켜, 상기 블레더의 외경이 그린 타이어의 내경 보다도 작은 직경으로 되도록 한 블레더 신장 위치와, 그 대향 간격을 근접시켜 상기 블레더의 외주면을 상기 그린 타이어의 내주면에 밀착시키도록 한 셰이핑 위치에 위치 결정할 수 있도록 근접 이반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유체 포트로부터 블레더의 내부에 유체를 공급시킴과 동시에 상기 상부 클램프 링과 하부 클램프 링을 셰이핑 위치에 위치결정시킴으로써 블레더의 외주면을 상기 그린 타이어의 내주면에 밀착시킨 셰이핑 상태에서 상기 셰이핑 유닛을 가류기 본체에 세트 하도록 한 타이어 가류 장치에 있어서,
통형상 외축(外軸)의 내부에 내축(內軸)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감합(嵌合)시킨 신축축의 일단이 상부 클램프 링에 연결됨과 함께, 타단이 하부 클램프 링에 연결되고,
상기 내축에 설치한 걸림 부재가, 이 내축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한 걸어맞춤 위치와, 내축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하지 않는 격납 위치와의 사이를 진퇴 하도록 형성되고,
한편, 통형상 외축의 내면에 단부가 형성되고, 이 단부에 상기 걸림 부재가 걸어맞춰짐으로써 셰이핑 위치에 걸리도록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타이어 가류 장치를 사용한 가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의 타이어 가류 장치를 사용한 가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
도 3은 본 발명의 타이어 가류 장치를 사용한 가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
도 4는 본 발명의 타이어 가류 장치를 사용한 가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
도 5는 셰이핑 유닛의 단면도.
도 6은 셰이핑 유닛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
도 7은 셰이핑 유닛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
도 8은 셰이핑 유닛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
도 9는 셰이핑 유닛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예를 나타낸 공정도.
도 10은 셰이핑 유닛 외에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타이어 가류 장치를 사용한 가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 도 5는 셰이핑 유닛의 단면도, 도 6 내지 도 8은 셰이핑 유닛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본 실시예의 타이어 가류 장치는 가류기 본체(A)와 셰이핑 유닛(B)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가류기 본체(A)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스터플레이트(1)에 인슐레이터 볼스터(insulator bolster)(10) 및 볼스터 플라튼(bolsterplaten)(11)을 통하여 부착된 상부 컨테이너 (12)와 보텀 플레이트(2)에 인슐레이터 보텀(20) 및 보텀 플레이튼(21)을 통하여 부착된 하부 컨테이너(22)를 가지고, 상기 볼스터플레이트(1)와 보텀 플레이트(2) 수직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실시예에서는, 보텀 플레이트(2)는 고정되며, 볼스터플레이트(1)는 도시하지 않은 본체 실린더에 의해 상승 위치(도 1, 도 2, 도 4에 나타낸 위치)와 하강 위치 (도 3에 나타낸 위치)사이를 승강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상부 컨테이너(12)는 볼스터플레이트(1)에 승강 실린더(13)가 장착되며, 이 승강 실린더(13)에 복수로 분할된 세그먼트 몰드(segment mold)(14)가 부착되며, 상기 승강 실린더(13)에 의한 승강에 따라, 세그먼트 몰드(14)가 확장 수축 가이드(15)에 따라 확대 위치(도 1, 도 2로 나타낸 위치)와 축소 위치 (도 3, 도 4로 나타낸 위치) 사이를 방사 방향으로 확장 수축 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 컨테이너(22)는 상기 세그먼트 몰드(14)와의 사이에서 셰이핑 유닛(B)을 잡고있도록 보텀 플레이트(2)에 부착되고, 그 상단에 하부 비드 지지 링(2 3)이 설치되어 있다.
이 하부 비드 지지 링(23)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셰이핑 유닛(B)을 셰이핑 상태에서 가류기 본체(A)에 세트 시켰을 때에, 그린 타이어(C)의 하측 비드부(C1)의 내주에 감합하는 감합부(24)가 외주부에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상부 컨테이너(12)에도 상부 비드 지지 링(16)이 설치되고, 이 상부 비드 지지 링(16)에 셰이핑 유닛(B)을 셰이핑 상태에서 가류기 본체(A)로 세트 시켰을 때에, 그린 타이어(C)의 상측 비드부(C2)의 내주에 감합하는 감합부(1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 컨테이너(22)의 중심에는, 중심 기구(3)가 설치되며, 이 중심 기구 (3)에는 실린더(30)에 의해 승강하는 지지대(31)와 이 지지대(31)위에 셰이핑 유닛 (B)를 고정시키기 위한 클램프 로드(32)와, 셰이핑 유닛(B)의 유체 포트(7)에 연통하는 유체 유로(33)와 후술하는 걸림 클로(engaging claw)(53)을 눌러 상측축(51)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하지 않는 위치에 퇴입(退入)시키기 위한 록(LOCK) 해제통(34)과 이 록 해제통(34)을 승강시키는 실린더(3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셰이핑 유닛(B)는 상기 가류기 본체(A)의 외부로 그린 타이어(C)가 장착되고, 상기 그린 타이어(C)를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가류기 본체(A)에 세트 되는 것이다.
이 셰이핑 유닛(B)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 수축 가능한 통형상 고무에 의한 블레더(4)와, 이 블레더(4)의 상단부를 고정하는 상부 클램프 링(5)과 블레더(4)의 하단부를 고정하는 하부 클램프 링(6)과, 상기 블레더(4)의 내부에 가압 유체를 공급/배출시키기 위한 유체 포트(7)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상부 클램프 링(5)은 외주에 블레더 고정부(50)가 형성되고, 하면 중앙에 상측축(51)(내축)이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하부 클램프 링(6)은 외주에 블레더 고정부(60)가 형성되고, 상면 중앙에 하측 통축(61)(통형상 외축)이 세워설치(立設) 되어 있다.
그리고, 이 하측통축(61) 내에 상기 상측축(51)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감합됨으로써, 상부 클램프 링(5)과 하부 클램프 링(6)을 근접 이반 가능하게 연결하는 신축축(5a)이 형성된다.
또한, 상부 클램프 링(5)과 하부 클램프 링(6)은 그 대향 간격을 이반 시켜 상기 블레더 4의 외경이 그린 타이어 C의 내경 보다도 작은 직경으로 되도록 한 블레더-신장 위치 (도 6에 나타낸 위치)에 걸린다.(係止)
이 경우, 하측통축(61)의 내면 상단부에 형성한 단부(62)에 상측축(51)의 외주면에 형성한 단부(52)가 걸어맞춰짐으로써 블레더 신장 위치에 걸린다.
또, 상부 클램프 링(5)과 하부 클램프 링(6)은, 그 대향 간격을 근접시켜 상기 블레더(4)의 외주면을 그린 타이어(C)의 내주면에 밀착 시키도록 한 셰이핑 위치(도 5, 도 7에 나타낸 위치) 에 위치 결정 가능하도록 걸린다.
이 경우, 상측축(51)에 부착한 걸림 클로(53)(걸림 부재)가 상측축(51)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하는 걸어맞춤 위치(도 5, 도 7에 나타낸 위치)와, 상측축(51)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하지 않는 저장 위치(도 6, 도 8에 나타낸 위치)와의 사이를 진퇴 하도록 형성되고, 한편, 하측 통축(61)의 내면 하단부에 단부(63)가 형성되고, 이 단부(63)에 상기 걸림 클로(53)가 걸어맞춰짐으로써 셰이핑 위치에 걸린다.
또, 상부 클램프 링(5)과 하부 클램프 링(6)은 가류 성형에 즈음해서는 그 대향 간격을 상기 셰이핑 위치보다 더 근접시킨 가류 위치 (도 8에 나타낸 위치) 에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걸림 클로(53)는 항상 걸어맞춤 위치에 돌출하도록 스프링(54)에 의해 배력되며, 이 걸림 클로(53)가 도 6과 같이 하측 통축(61)의 내부에 위치하여 있을때는 걸림 클로(53)가 하측 통축(61)에 의해 밀려서 격납(格納) 위치로 퇴입(退入)되어 상측 축(51)과 하측 통축(61)과의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걸림 클로(53)는 상부 클램프 링(5)과 하부 클램프 링(6)의 근접 이반 동작에 따라 상측 축(51)과 하측 통축(61)과의 슬라이드 이동(신축)을 이용하여 격납 위치로부터 걸어맞춤 위치로 진출함으로써, 그 작동에 특별한 걸어맞춤 기구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구조를 간단하게 하면서 확실하게 셰이핑 유닛(B)을 셰이핑 위치에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클램프 링(5)과 하부 클램프 링(6)은 상측축 및 하측 통 축에 장착한 스프링(55)에 의해, 항상 이반 방향으로 배력되며, 이로 인하여 상부 클램프 링(5)과 하부 클램프 링(6)과의 위치가 안정되기 쉬워지지만, 이 스프 링(55)은 반드시 필요하지 않다.
상기 유체 포트(7)는 상기 하부 클램프 링(6)(상부 클램프 링이도 좋다)에 1개소 이상으로 설치되고, 내압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첵 밸브(70)가 조립되어 있으며, 외부로부터의 해제하지 않으면, 내부의 가압 유체를 배출할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가류시에 먼저, 셰이핑 유닛(B)에 그린 타이어(C)를 장착시킴으로써, 이 때, 셰이핑 유닛(B)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클램프 링 (5)과 하부 클램프 링(6)을 이반 시켜 단부(52)와 단부(62)의 걸어맞춤에 의해 블레더(4)의 외경이 그린 타이어(C)의 내경 보다도 작은 직경으로 되도록 한 블레더 신장 위치에 걸린다.
다음으로, 셰이핑 유닛(B)를, 이 블레더 신장 위치에 유지시킨 상태에서, 그린 타이어(C)를 블레더(4)의 외주에 감입(嵌入)한다.
그리고, 유체 포트(7)로부터 가압 유체를 공급하는 동시에, 상기 상부 클램프 링(5)과 하부 클램프 링(6)을 근접시켜 걸림 클로(53)와 단부(63)와의 걸어맞춤에 의해 셰이핑 위치로 위치결정시킨다.
이로써,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블레더(4)의 외주면을 그린 타이어(C)의 내주면에 밀착시키는 것이다(이것을 셰이핑이라 칭한다).
이같이 하여 셰이핑 된 그린 타이어(C)는, 그 하측 비드부(C1)가 지지되어있지 않기 때문에, 이 하측 비드부(C1)을 지지함으로써 생기는 변형이 없다.
따라서, 위치 및 방향에 어긋남이 생기는 일이 없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하여 그린 타이어(C)를 셰이핑 유닛(B)에 의해 셰이핑 한 후, 이 셰이핑 유닛(B)을 가류기 본체(A)에 세트시켜, 이 가류기 본체(A)로 그린 타이어(C)를 가류 성형시키는 것이다.
또한, 셰이핑 유닛(B)은, 그린 타이어(C)를 장착시키는 작업 위치 (도시하지 않음)로부터 가류기 본체(A)까지 이송시키는 것으로 되지만, 이때, 이송 장치에 설치한 클램프를 상부 클램프 링(5)의 클램프 홈(56)에 록(lock) 시킨다.
이 경우, 가류기 본체(A)에 있어서의 볼스터플레이트(1)는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승 위치에 유지되며, 또한, 상부 컨테이너(12)는 확대 위치에 유지시켜 둔다.
이 상태에서, 셰이핑 유닛(B)을 중심 기구(3)의 지지대(31)위에 탑재시켜, 하부 클램프 링(6)의 클램프 홈(64)에 클램프 로드(32)를 록 시킨다.
이 상태에서는, 그린 타이어(C)의 하측 비드부(C1)는 하부 비드 지지 링(23)에 의해 지지되어 있지 않고, 떠있는 상태로 있다.
그리고, 다음에, 중심 기구(3)의 지지대(31)를 강하시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비드 지지 링(23)으로 그린 타이어(C)의 하측 비드부(C1)을 지지시킴과 동시에, 하측 비드부(C1)의 내주에 감합부(24)가 감합하는 상태에 셰이핑 유닛(B)을 세트 시킨다.
이와 같이, 셰이핑 유닛(B)을 가류기 본체(A)에 세트 할 때에, 그린 타이어 (C)의 하측 비드부(C1)가 하부 비드 지지 링(23)에 지지되며, 또한 하측 비드부(C1)의 내주에 감합부(24)가 감합하기 때문에, 하측 비드부의 위치 및 방향에 어 긋남이 없는 상태에서 양호한 정밀도로 들어가도록 세트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하여 셰이핑 유닛(B)을 가류기 본체(A)의 하부 컨테이너(22)에 세트 한 후,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류기 본체(A)에 있어서의 볼스터플레이트(1)를 하강 위치로 하강시킴과 동시에, 상부 컨테이너(12)를 축소 위치로 축소시킨다.
이로써, 상부 컨테이너(12)와 하부 컨테이너(22)로 셰이핑 유닛(B)을 포지(抱持)시킴으로써, 이때, 셰이핑 유닛(B)는 상부 클램프 링(5)과 하부 클램프 링(6)의 대향 간격을 상기 셰이핑 위치보다 더 근접시킨 가류 위치(도 3, 도 8에 나타낸 위치)에 유지된다.
이때, 상부 비드 지지 링(16)으로 그린 타이어(C)의 상측 비드부(C2)가 지지됨과 동시에, 상측 비드부(C2)의 내주에 감합부(17)가 감합하는 상태에 셰이핑 유닛(B)이 세트된다.
또한, 이 가류 위치에서는, 상기 걸림 클로(53)의 단부(63)에 대한 걸어맞춤이 해제되지만, 셰이핑 유닛(B)는 상부 컨테이너(12)와 하부 컨테이너(22)로 포지되어 있기 때문에 문제는 없다.
그리고, 유체 유로(33)를 통해 유체 포트(7)로부터 고온 고압의 유체를 블레더(4)의 내부에 공급시킴과 동시에, 컨테이너(12, 22)로부터의 열에 의해 그린 타이어(C)를 가류 성형 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하여 그린 타이어(C)를 가류 성형시킨 후,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컨테이너(12)를 축소시킨 채로, 셰이핑 유닛(B)의 유체 포트(7)를 개방시켜 내압을 해제시킨다.
그 후, 록 해제통(34)을 실린더(35)에 의해 상승시켜, 걸림 클로(53)의 단부 (63)에 대한 걸어맞춤을 해제시키며, 그 후, 셰이핑 유닛(B)을 신장 위치로 이반 시킴과 동시에, 볼스터플레이트(1)를 상승 위치로 상승시킨다.
이때, 가류 후 타이어(C3)는 상부 컨테이너(12)에 유지된 채로 상승하며, 이후는, 도시하지 않은 타이어 꺼냄(取出) 장치에 의해 가류 후 타이어(C3)를 상부 컨테이너(12)로부터 분리하여, 도시하지 않은 냉각 장치로 반송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 셰이핑 유닛(B)은 중심 기구(3)의 지지대(31)를 상승시킨 상태에서 클램프 로드(32)에 의한 록을 해제시켜 분리하여, 이것을 냉각시키든지, 또는 그대로 그린 타이어(C)를 장착시키는 작업 위치로 반송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9는 그린 타이어(C)를 가류 성형시킨 후의 공정의 다른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공정에서는, 상부 컨테이너(12)를 축소시킨 채로, 셰이핑 유닛(B)의 유체 포트(7)를 개방시켜 내압을 해제시키며, 다음에, 상부 컨테이너(12)를 확대시킴과 동시에, 볼스터플레이트(1)를 상승 위치로 상승시킨다.
이때, 셰이핑 유닛(B)은 가류 위치로부터 셰이핑 위치로 복귀하고, 가류 후 타이어(C3)는 블레더(4)로 유지된 채로 있다.
그 후, 중심 기구(3)의 지지대(31)를 상승시킨 상태에서 클램프 로드(32)에 의한 록을 해제시켜 셰이핑 유닛(B)을 분리하며, 그 셰이핑 유닛(B)으로부터 가류 후 타이어(C3)를 분리하여 냉각 장치로 반송시키도록 되어 있다.
가류 후 타이어(C3)를 분리한 셰이핑 유닛(B)은 이것을 냉각시킬 것인지, 또는 그대로 그린 타이어(C)를 장착시키는 작업 위치로 반송시키도록 한다.
또는, 가류 후 타이어(C3)을 장착한 채로의 셰이핑 유닛(B)을 냉각시키며, 그 후, 셰이핑 유닛(B)으로부터 가류 후 타이어(C3)를 분리하며, 가류 후 타이어 (C3)를 분리한 셰이핑 유닛(B)은, 이를 또한 냉각시키든 또는 그대로 그린 타이어(C)를 장착시키는 작업 위치로 반송 시키도록 한다.
도 10은 셰이핑 유닛의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 셰이핑 유닛(B)에서는 걸림 부재가 볼(80)에 형성되어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 경우, 작은 직경부(81)와 큰 직경부(82)가 형성된 계탈(係脫) 가이드축 (83)이 상측 축(51)의 하단에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이 계탈 가이드 축(83)은 항상 스프링(84)에 의해 하측 위치 (도 10으로 나타낸 위치)로 가압되고, 이 하측 위치에 있어서의 큰 직경부(82)에 노출되는 가로구멍(85)에 볼 (80)이 감입되어 있다.
그 외의 구성은, 상기 도 5로 나타낸 셰이핑 유닛(B)와 마찬가지 이다.
따라서, 계탈 가이드 축(83)이 하측 위치에 있으면, 큰 직경부(82)에 의해 눌려 볼(80)이 상측 축(51)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이것이 하측 통축(61)의 내면에 형성한 단부(65)에 걸어맞춰짐으로써 셰이핑 위치에 걸려진다.
또한, 계탈 가이드축(83)이 스프링(84)에 저항하여 상측 위치로 밀어올려질 수 있으면, 작은 직경부(81)가 가로구멍(85)에 부합하여 볼(80)이 상측 축(51)의 외주면으로부터 퇴입하고, 볼(80)의 단부(65)에 대한 걸어맞춤이 해제되어 셰이핑 위치가 해제 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타이어 가류 장치는, 가류기 본체와, 셰이핑 유닛을 구비한 타이어 가류 장치에 있어서, 상부 클램프 링과 하부 클램프 링이 통형상 외축의 내부에 내축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감합시킨 신축 축에 따라서 연결되고, 그 내 축에 설치한 걸림 부재를 통형상 외축의 내면에 형성한 단부에 걸어맞춤으로써 셰이핑 위치에 위치 결정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걸림 구조가, 걸림 부재와 단부를 설치하는 만큼의 간단한 구조가 되어, 그 부품수가 종래의 체결 링을 사용한 구조에 비해 현저하게 감소하기 때문에, 비용을 저감시킴과 동시에, 고장 원인을 저감시키며, 또한 셰이핑 위치에서의 위치 결정을 순조롭게 행할 수 있다.

Claims (1)

  1. 볼스터플레이트(bolster plate)에 장착된 상부 컨테이너 및 보텀(bottom) 플레이트에 장착된 하부 컨테이너를 가지는 가류기 본체와,
    상기 가류기 본체의 외부로 그린 타이어를 장착시켜 그 그린 타이어를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가류기 본체에 세트 되는 셰이핑 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셰이핑 유닛은 확장 수축 가능한 통형상 고무에 의한 블레더(bladder)와 이 블레더의 상단부를 고정하는 상부 클램프 링과 블레더의 하단부를 고정하는 하부 클램프 링과 상기 블레더의 내부에 가압 유체를 공급/배출시키기 위한 유체 포트를 구비하며,
    상기 상부 클램프 링과 하부 클램프 링은, 그 대향 간격을 이반(離反)시켜 상기 블레더의 외경이 그린 타이어의 내경 보다도 작은 직경으로 되도록 한 블레더 신장 위치와, 그 대향 간격을 근접시켜 상기 블레더의 외주면을 상기 그린 타이어의 내주면에 밀착시키도록 한 셰이핑 위치에 위치 결정할 수 있도록 근접 이반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유체 포트로부터 블레더의 내부에 유체를 공급시킴과 동시에 상기 상부 클램프 링과 하부 클램프 링을 셰이핑 위치에 위치결정시킴으로써 블레더의 외주면을 상기 그린 타이어의 내주면에 밀착시킨 셰이핑 상태에서 상기 셰이핑 유닛을 가류기 본체에 세트 시키도록 한 타이어 가류 장치에 있어서,
    통형상 외축(外軸)의 내부에 내축(內軸)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감합(嵌 合)시킨 신축축의 일단이 상부 클램프 링에 연결됨과 함께, 타단이 하부 클램프 링에 연결되고,
    상기 내축에 설치한 걸림 부재가, 이 내축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한 걸어맞춤 위치와, 내축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하지 않는 격납 위치와의 사이를 진퇴 하도록 형성되고,
    통형상 외축의 내면에 단부가 형성되고, 이 단부에 상기 걸림 부재가 걸어맞춰짐으로써 셰이핑 위치에 걸리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류 장치.
KR1020087007261A 2005-10-05 2006-10-04 타이어 가류 장치 KR200800382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92600A JP4134138B2 (ja) 2005-10-05 2005-10-05 タイヤ加硫装置
JPJP-P-2005-00292600 2005-10-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8253A true KR20080038253A (ko) 2008-05-02

Family

ID=37942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7261A KR20080038253A (ko) 2005-10-05 2006-10-04 타이어 가류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661944B2 (ko)
EP (1) EP1932646A4 (ko)
JP (1) JP4134138B2 (ko)
KR (1) KR20080038253A (ko)
CN (1) CN101277803B (ko)
WO (1) WO20070435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91962B2 (en) * 2007-12-21 2011-02-22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Tire building core manipulator apparatus
JP5364124B2 (ja) * 2011-05-12 2013-12-11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剛性中子の保持構造
CN102327838A (zh) * 2011-07-22 2012-01-25 山东瑞尔达科贸集团有限公司 轮胎硫化机在线涂层机
US10632699B2 (en) * 2015-06-25 2020-04-28 Bridgestone Americas Tire Operations, Llc Bladder rings for tire vulcanization mold
JP6809580B1 (ja) * 2019-08-05 2021-01-06 横浜ゴム株式会社 タイヤ加硫装置およ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43070B2 (ko) * 1972-05-31 1976-11-19
JPS5896928U (ja) * 1981-12-24 1983-07-01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加硫装置のブラダ位置決め機構
US4695234A (en) 1985-03-29 1987-09-22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Central mechanism in a tire vulcanizing press
IT1198209B (it) 1986-12-01 1988-12-21 Pirelli Miglioramenti alle presse di vulcanizzazione per pneumatici
JPH0237535A (ja) 1988-07-28 1990-02-07 Olympus Optical Co Ltd 光学式情報再生装置
US5820885A (en) * 1993-09-14 1998-10-13 Mitsubishi, Jukogyo Kabushiki Kaisha Tire vulcanizing system
FR2720326A1 (fr) * 1994-05-27 1995-12-01 Sedepro Assemblage et vulcanisation de pneumatique.
JP4323050B2 (ja) * 1999-03-16 2009-09-02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加硫装置及びブラダ着脱方法並びにタイヤ製造方法
US6620367B1 (en) * 1999-08-17 2003-09-16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Kobe Steel, Ltd.) Tire vulcanizing method and tire vulcanizer
JP3668073B2 (ja) * 1999-09-29 2005-07-06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タイヤ製造方法
JP4493203B2 (ja) 2000-12-12 2010-06-30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の製造方法
JP4363521B2 (ja) 2004-03-05 2009-11-11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の成形・加硫兼用のブラダーユニッ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32646A1 (en) 2008-06-18
US7661944B2 (en) 2010-02-16
CN101277803A (zh) 2008-10-01
JP4134138B2 (ja) 2008-08-13
US20090162462A1 (en) 2009-06-25
WO2007043551A1 (ja) 2007-04-19
EP1932646A4 (en) 2009-12-02
CN101277803B (zh) 2010-05-26
JP2007098802A (ja) 2007-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54261B1 (en) Tire vulcanizing apparatus
US4670209A (en) Vulcanizing method for a tire press
JP4134137B2 (ja) タイヤ加硫装置
KR20080038253A (ko) 타이어 가류 장치
EP1422036A1 (en) Method and device for vulcanizing tire
JP2011167916A (ja) タイヤ加硫機
JP2709099B2 (ja) タイヤプレスにおけるスタンディングウエルポスト型中心機構
US3584335A (en) Tire curing press with loader and removal devices
KR20080038257A (ko) 타이어 가류 장치
CN109689327B (zh) 轮胎硫化装置以及轮胎硫化装置的组装方法
JP5270241B2 (ja) タイヤ加硫機の中心機構、およびタイヤ加硫機のモールド操作方法
JP5068131B2 (ja) 加硫モールドの予熱方法
US747635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 blow molded article with integral insert
JPH08309755A (ja) タイヤ加硫装置
JP5682019B1 (ja) タイヤ加硫装置及びタイヤ加硫方法
JP2014083738A (ja) タイヤ加硫装置及びタイヤ加硫方法
JP5337611B2 (ja) ポストキュアインフレータのリム交換装置
JP4191352B2 (ja) タイヤ金型用コンテナ
JP3300735B2 (ja) タイヤ加硫用金型組立体
US3581345A (en) Tire curing press bladder assembly
CN109501343B (zh) 一种内模组件、内模组件的使用方法及轮胎模具
WO2020170357A1 (ja) 金型コンテナ装置及びタイヤ加硫機
JP4921047B2 (ja) タイヤ搬送用ローダ及びタイヤ加硫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