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8043A - 다층 기록형 광 디스크, 다층 기록형 광 디스크의 기록방법, 및, 다층 기록형 광 디스크의 기록 장치 - Google Patents

다층 기록형 광 디스크, 다층 기록형 광 디스크의 기록방법, 및, 다층 기록형 광 디스크의 기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8043A
KR20080038043A KR1020070107968A KR20070107968A KR20080038043A KR 20080038043 A KR20080038043 A KR 20080038043A KR 1020070107968 A KR1020070107968 A KR 1020070107968A KR 20070107968 A KR20070107968 A KR 20070107968A KR 20080038043 A KR20080038043 A KR 200800380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layer
area
small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7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7281B1 (ko
Inventor
유따까 나가이
고이찌로 니시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80038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80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7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72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07Tracks or pits;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thereof
    • G11B7/24073Track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25Optical beam sources therefor, e.g. laser control circuitry specially adapted for optical storage devices; Modulators, e.g. means for controlling the size or intensity of optical spots or optical traces
    • G11B7/126Circuits, methods or arrangements for laser control or stabilisation
    • G11B7/1267Power calibr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03Layers;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thereof
    • G11B7/24035Recording layers
    • G11B7/24038Multiple laminated recording lay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2007/0003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type of the carrier
    • G11B2007/0009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type of the carrier for carriers having data stored in three dimensions, e.g. volume stora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Optical Head (AREA)

Abstract

각 층에 데이터 기록 영역과 복수의 소영역으로 분할된 가기입 영역을 갖고, 가기입 영역의 소영역은, OPC를 행하는 층의 OPC를 행하는 소영역에 대하여 다른 각 층이 미리 기록 완료, 미기록의 조합이 가능하도록 기록을 행하여 둔다. 또한, 다른 각 층의 기록, 미기록의 조합이 서로 다른 각 소영역에 대하여 OPC를 실행하고, 각 OPC의 결과의 평균값 혹은 변동의 중심값을 최적 파워로 구한다.
광 디스크, 레이저, 광 픽업, CPU, 가기입 처리 회로

Description

다층 기록형 광 디스크, 다층 기록형 광 디스크의 기록 방법, 및, 다층 기록형 광 디스크의 기록 장치{MULTI-LAYER OPTICAL DISC, AND RECORDING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LAYER OPTICAL DISC}
본 발명은, 다층 기록형 광 디스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층 기록형 광 디스크에 기록하는 레이저 파워의 최적값을 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추기 또는 재기입 가능한 다층 구조를 갖는 광 디스크에 정보의 기록을 행하는 경우, 정보를 기입하는 층의 데이터 영역에 대하여 기록 시의 레이저 출력을 최적의 기록 파워값으로 조정하는 방법(Optimum Power Control, 이하 「OPC」)으로서 일본 특개 2000-311346호 공보의 방법이 알려져 있다.
다층 기록형 광 디스크에 레이저 광을 조사함으로써 정보를 기록할 때, 레이저 광의 입사면에 가까운 상위층이 기록 완료인지 미기록인지에 따라 상위층의 투과율에 차이가 나기 때문에, 동일한 파워의 레이저 광을 출사한 경우에도 입사면으로부터 먼 하위층에 주어지는 레이저 광의 파워는 서로 다르다. 또한, 다른 기록 층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로부터의 크로스토크의 영향에 의해 최적의 기록 파워가 변동하는 경우도 있다.
일본 특개 2000-311346호 공보에서는, 랜덤 패턴 기록 완료된 「상위층의 가기입 영역」을 통과한 레이저 광으로 「하위층의 가기입 영역」에서의 OPC를 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하여 구한 「최적의 기록 파워값」은, 미기록의 「상위층의 데이터 영역」을 통과한 레이저 광으로 「하위층의 데이터 영역」에의 기록을 행할 때에는 바람직한 것은 아니다.
최근, 다층 기록형 광 디스크의 임의의 층에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광 디스크가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광 디스크의 상위층의 데이터 영역에서는, 데이터 가 기록되어 있는 영역과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지 않은 영역이 혼재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하위층에 데이터를 기록할 때에는, 미기록의 「상위층의 데이터 영역」을 통과한 레이저 광으로 「하위층의 데이터 영역」에 기록하는 경우와, 기록 완료의 「상위층의 데이터 영역」을 통과한 레이저 광으로 「하위층의 데이터 영역」에 기록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특허 문헌1의 OPC로 구한 「최적의 기록 파워값」은, 한쪽에 대한 최적값이기 때문에, 다른쪽에 대해서는 유효하지는 않고, 어느 하나의 상황에서 데이터의 기록 품질의 향상에 기여하지 않았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 과제는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발명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층 디스크에 대하여 랜덤하게 기록이 행해져서, 각 층의 기록 완료 개소, 미기록 개소가 랜덤하게 분포되어 투과율이 제각각으로 되어도, 양호한 파워로 기입을 행하여, 데이터의 기록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을 이용하여, 4층 구조의 기록형 광 디스크를 예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다층 기록형 광 디스크를 설명한다.
도 1은, 편면으로부터 기록 또는 재생이 가능한 다층 기록형 광 디스크의 단면도로서, 우측이 광 디스크의 내주측, 좌측이 광 디스크의 외주측이다. 이 광 디스크의 각 층을 기록 또는 재생하기 위한 레이저 광은 상 방향으로부터 입사된다. 이하에서는, 레이저 광의 입사면으로부터 가까운 순으로, 제1층, 제2층, 제3층, 제4층이라고 부르는 것으로 한다.
각 층은 기록 가능한 영역으로서, OPC를 행하여 최적 파워를 구하기 위한 가기입 영역 PCA(Power Calibration Area)와, 유저 데이터를 기입하는 데이터 기록 에리어를 갖는다. 즉, 도 1에서는, 제1층용 PCA, 제2층용 PCA, 제3층용 PCA, 제4층용 PCA의 4개의 PCA가 존재하는 것으로 된다. 각 층의 PCA는, 내주로부터 순서대로 a, b, c, d, e, f, g, h, …와 같이 반경 방향으로 복수의 소영역(에리어)으로 세분화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각 층의 PCA가 나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설명하지만, PCA를 동심원 형상으로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4층용 PCA의 에리어 a∼h는 모두 미기록의 상태 이지만, 제1층용 PCA, 제2층용 PCA, 제3층용 PCA에는 표 1과 같이 랜덤 패턴이 기록되어 있다.
Figure 112007076628785-PAT00001
표 1에 따라 제1층으로부터 제3층의 PCA에 랜덤 패턴을 기록함으로써, 제1층용 PCA로부터 제3층용 PCA의 기록 완료/미기록에 대해서, 모든 조합을 준비할 수 있다.
제4층용 PCA의 에리어 a∼h의 8 에리어에 대하여 OPC를 행하면, 랜덤 기록이 허용되는 광 디스크의 제4층의 데이터 기록 에리어를 기록할 때에 발생하는 제1층으로부터 제3층의 기록 완료/미기록의 모든 조합에서의 기록 파워의 최적값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각 조합에서의 최적의 기록 파워의 평균값을 이용하여 제4층을 기록함으로써, 제4층의 데이터 기록 에리어에 대하여 적정한 기록 파워로 기록을 행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마찬가지로, 제1층의 PCA 중에 제2층∼제4층의 기록 완료/미기록의 조합에 대응하는 8 에리어를 준비하고, 제2층의 PCA 중에 제1층, 제3층, 제4층의 기록 완료/미기록의 조합에 대응하는 8 에리어를 준비하고, 제3층의 PCA 중에 제1층∼제3층의 기록 완료/미기록의 조합에 대응하는 8 에리어를 준비하고, 각각의 에리어에 기록 완료/미기록을 적절히 배치함으로써, 제1층으로부터 제3층 중 어느 하나에 대해서도 다른 층의 기록 완료/미기록의 모든 조합을 준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PCA를 32에리어(4×24-1)로 세분화하면, 4층의 기록형 광 디스크의 임의 기록층을 기록할 때에 생기는 다른 3층의 기록층의 기록 완료/미기록의 모든 조합을 구비한 광 디스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를 일반화하면, m층의 광 디스크의 경우에는, m×2m-1 에리어를 준비해 두면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는, 레이저 광의 입사면으로부터 먼 하위의 기록층의 기록 완료/미기록의 조합도 고려했기 때문에, PCA를 32 에리어로 세분화하였다. 그러나, 하위 기록층으로부터의 크로스토크가 상위의 기록층의 기록 시에 미치는 영향은 작기 때문에, 상위의 기록층의 기록 완료/미기록만을 고려하여 PCA를 세분화하여도 된다. 즉, 제2층용으로 제1층을 고려한 2 에리어, 제3층용으로 제1층∼제2층을 고려한 4 에리어, 제4층용으로 제1층∼제3층을 고려한 8 에리어의 합계 14 에리어를 준비하고, 각각의 에리어에 기록 완료/미기록을 적절하게 배치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PCA를 14 에리어로 세분화하면 4층의 기록형 광 디스크의 임의 기록층을 기록할 때에 생길 수 있는 상위층의 기록 완료/미기록의 모든 조합을 구비한 광 디스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4층 구조의 광 디스크를 예로 설명을 행하였지만, 본 발명의 적용 대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기록층수를 갖는 광 디스크에 대해서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록층의 총수가 m일 때에, 제1층으로부터 제(m-1)층까지의 각 PCA를 2m-1로 세분화하면, 제m층 기록 시에 발생할 수 있는, 상위의 제1층으로부터 제(m-1)층까지의 기록 완료/미기록의 모든 조합을 준비할 수 있다. 또한, 제1층으로부터 제(m-2)층까지의 각 층의 PCA를 2m-2로 세분화하면, 제(m-1)층의 기록 시에 발생할 수 있는, 상위의 제1층으로부터 제(m-2)층까지의 기록 완료/미기록의 모든 조합을 준비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층의 PCA를 21로 세분화하면, 상위의 제2층의 기록 시에 발생할 수 있는, 기록 완료/미기록의 모든 조합을 준비할 수 있다.
즉, 기록층 수가 m일 때, 각 층의 PCA를 2m-1+2m-2+…+22+21로 세분화하면, 임의의 기록층을 기록할 때에 생길 수 있는, 상위의 기록층의 기록/미기록의 모든 조합을 미리 준비해둘 수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임의의 기록층에 기록할 때에 그 기록층에 이르기까지 레이저 광이 통과하는 기록층에서 취할 수 있는 기록 완료/미기록의 모든 조합을 미리 구비한 광 디스크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광 디스크를 이용하면, 후술하는 기록 파워 제어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 상위층의 투과율의 변화나 인접층으로부터의 크로스토크에 기인하는 최적 기록 파워의 변동에 적절하게 대응한 기록 파워 제어를 구하는 데에 바람직한 다층 기록형 광 디스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미리 기록 완료로 하는 개소에는 랜덤 패턴을 기록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특정한 패턴을 기록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 구성에 따르면, 광 디스크의 제조 시에 랜덤한 기록 패턴을 생성하는 처리를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데이터 기록 에리어의 내주측에 PCA가 위치하는 예를 나타내었지만, PCA는 외주측에 위치하여도 되고, 양측에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외주측에 형성된 PCA를 이용함으로써 내주측에서의 가기입과 서로 다른 기록 속도에서의 가기입을 행할 수 있는 다층 기록형 광 디스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위층의 기록 완료/미기록에 대하여 모든 조합을 유지하는 광 디스크를 설명했지만, 상위층의 PCA가 모두 「기록 완료」인 조합과, 상위층의 PCA가 모두 「미기록」인 조합만을 갖는 광 디스크로 하여도 된다. 이 광 디스크를 이용하면, 가장 투과율이 높은 상황에서의 최적 기록 파워와, 가장 투과율이 낮은 상황에서의 최적 기록 파워를 간이하게 구할 수 있고, 양자의 평균값에 대해서도 간이하게 구할 수 있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다층 기록형 광 디스크의 제조 방법인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본 플로우차트는 제조 공정 내, 통상의 제조 공정에서 라이트 가능 에리어로서 제조된 후, OPC를 위해 PCA를 이니셜하는 부분을 나타낸다.
참조 부호 201은 PCA를 각 층용으로 y분할하는 스텝이다. 제1 실시예에서 나타낸 4층 구조의 광 디스크의 경우에는 y는 4로 된다.
참조 부호 202는 y 분할한 PCA를 각 층(제m층)용으로 X개로 재분할하는 스텝이다. 제1 실시예에서 나타낸 4층 구조의 광 디스크에서 기록, 미기록의 전체 조합을 설정하는 경우에는 X=8로 된다.
참조 부호 203은, 제m층용으로 X분할된 각 영역에 대하여 각 영역의 각 층의 기록, 미기록의 조합을 서로 다르도록 랜덤 패턴을 라이트하는 스텝이다. 제1 실시예에서 나타낸 4층 구조의 광 디스크의 경우, 예를 들면 제4층용의 PCA의 a~h의 영역에 대하여 영역 a로부터 순서대로 랜덤 패턴을 라이트하는 것이 대응한다.
참조 부호 204는, 모든 층용의 PCA에 대하여, 모두 스텝 203 처리가 종료하였는지를 판정하고, 미종료인 경우에는 스텝 203을 다시 실시하고, 종료인 경우에는 PCA 영역의 작성 처리를 종료시키는 스텝이다. 제1 실시예에서 나타낸 4층 구조의 광 디스크의 경우, 제4층용의 PCA, 제3층용의 PCA, 제2층용의 PCA, 제1층용의 PCA 모두에 대하여 각 층의 기록, 미기록의 조합이 모두 작성되었다고 판정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다층 디스크에서 층간을 포함시킨 랜덤 액세스를 함으로써, 다른 층이 기록 완료인지 미기록인지에 따라 투과율의 차가 나거나, 크로스토크의 영향 등이 받는 것이 생각되는 경우에도, 각 케이스에 대응한 OPC가 가능하므로, 랜덤 액세스를 허가하는 디스크에서도 적정한 기록 파워로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디스크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에리어마다 전체 층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랜덤 패턴의 라이트를 행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일층마다 에리어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랜덤 패턴의 라이트를 행하는 순서로 행하여도 된다.
도 3은 제1 실시예로서 설명한 다층 기록형 광 디스크의 기록 방법인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스텝 301은, 제m층용의 PCA의 n번째의 에리어에 피크의 위치를 맞춘다. 제1 실시예에서 말하면, 우선 에리어 a에 피크의 위치를 맞춘다.
스텝 302는 OPC의 실행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순차적으로 기록 파워를 변화시켜서 기록을 행하고, 기록을 행한 에리어를 재생하여, 가장 재생 품질이 좋아지는 기록 파워를 최적 기록 파워로서 선택한다. 재생 품질의 판정은 에러 레이트, 지터, 파형(예를 들면 β) 등을 이용하여 판단된다.
스텝 303은 에리어를 변경하기 위해 n=n+1을 행한다. 즉, 스텝 301과 조합하면 에리어를 순차적으로 바꾸어가는 것으로 된다. 스텝 301과 스텝 303을 조합하면, 제1 실시예에서 말하면, 에리어 a, b, c …의 순으로 파크의 위치를 바꾸어 가는 것으로 된다.
스텝 304는 제m층용의 전체 조합에 대해 OPC를 실행하였는지 판정하고, 미종료라면 스텝 301로 되돌아가서 계속하고, 종료라면 다음의 스텝 305로 진행한다. 제1 실시예에서 말하면, 에리어 a, b, c, d, e, f, g, h 모두에서 OPC가 실행 완료인지 판정하는 것으로 된다.
스텝 305는, 제m층에 대한 다른 층의 기록 완료 혹은 미기록의 전체 조합에 대한 OPC 결과의 평균값을 계산한다. 제1 실시예에서는 에리어 a, b, c, d, e, f, g, h 모두에 대한 OPC의 결과의 평균값을 계산한다.
스텝 306은 스텝 305에서 구해진 평균값을 제m층의 최적 기록 파워로서 등록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다층 기록형 광 디스크에서, 층간도 포함시킨 랜덤 액세스를 허가한 경우라도, 최적의 기록 파워를 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와 같이 OPC를 행함으로써, 원하는 기록층에 기록할 때에 생길 수 있는 모든 조합에 대하여 적정한 레이저 파워를 구할 수 있어, 임의의 기록층에 랜덤하게 기록을 행할 때이어도, OPC에 의해 구한 적정한 레이저 파워를 이용하여 기록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m층의 OPC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다른 층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m층용의 PCA에 대하여, 다른층의 기록 완료, 미기록의 전체 조합 에리어를 형성하고 모두에 대하여, OPC를 행하여 평균값을 구하였지만, 투과율의 관점에 서서, 제m층용의 PCA에 대하여 상층의 기록 완료, 미기록의 전체 조합 혹은, 선택적으로 선택한 조합 에리어를 형성하고 OPC를 행하여 평균값을 구하여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각 조합에 대하여 최적 파워의 조정을 행하였지만, 또한 기록 파형의 조정을 행하여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평균값인 최적 기록 파워를 제m층의 최적 기록 파워로서 채용하는 구성을 나타냈지만, 평균값을 이용하는 대신에 최적값의 변동의 중심값을 이용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도 4는 제1 실시예로서 설명한 다층 기록형 광 디스크의 기록 방법인 제4 실시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4에서 스텝 301, 스텝 302, 스텝 303, 스텝 304는 제3 실시예와 동등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m층용의 PCA에 대하여, 다른층의 기록 완료, 미기록의 전체 조합 에리어를 형성하고 모두에 대하여 OPC를 행한다.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스텝 401은, 제m층에 대한 다른 층의 기록 완료 혹은 미기록의 전체 조합에 대한 OPC 결과의 최대값과 최소값을 구한다.
스텝 402는 최대값과 최소값의 평균을 구한다.
스텝 306은 제3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구해진 평균값을 제m층의 최적 기록 파워로서 등록한다.
이상,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다층 기록 광 디스크에서, 층간도 포함시킨 랜덤 액세스를 허가한 경우에도, 최적의 기록 파워를 구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m층의 OPC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다른 층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도, 제m층용의 PCA에 대하여, 다른층의 기록 완료, 미기록의 전체 조합 에리어를 형성하고 모두에 대하여 OPC를 행하였지만, 제3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m층용의 PCA에 대하여 상층의 기록 완료, 미기록의 전체 조합 혹은, 선택적으로 선택한 조합 에리어를 형성하고 OPC를 행하여도 된다. 또한, 기록 완료, 미기록의 조합 중 투과율로부터 고려하여 최대값을 취하는 에리어와 최소값을 취하는 에리어에 대해서만 OPC를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각 조합에 대하여 최적 파워의 조정을 행하였지만, 또한 기록 파형의 조정을 행하여도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층 기록형 광 디스크의 기록 장치인 제5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에서, 참조 부호 501은 광 디스크, 참조 부호 502는 광 디스크(501)를 회전시키는 디스크 모터, 참조 부호 503은 광 디스크(501)의 읽기 쓰기를 위해 발광하는 레이저, 참조 부호 504는 레이저(503)를 탑재하고, 광 디스크에 레이저 광의 초점을 맞추기 위한 렌즈,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OEIC(optical electronic IC) 등을 더욱 탑재하여 이루어지는 광 픽업, 참조 부호 505는 신호 재생 처리 회로에서, 광 픽업(504)에서 검출된 신호에 대하여 파형등화를 행하고, 동기 클럭을 재생한다. 나아가서는 각 엣지의 지터를 검출한다.
참조 부호 506은 가기입 재생 신호 처리 회로로서, 신호 재생 처리 회로(505)에서 검출된 지터에 기초하여 제3 실시예의 스텝 3에 나타내는 처리, 즉 정해진 에리어에 대한 최적 기록 파워를 도출한다. 참조 부호 507은 최적 파워 기억 회로로서 가기입 재생 신호 처리 회로(506)에서 도출된 각 에리어에 대한 최적 기록 파워를 기억한다. 참조 부호 508은 평균 연산 회로로서, 최적 파워 기억 회로(507)에 기억된 각 에리어에 대한 최적 파워의 평균을 구하여, 목적으로 하는 층의 최적 기록 파워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최적 기록 파워 기억 회로(507)와 평균 연산 회로(508)는 최적 기록 파워 연산 회로(515)의 내부에 형성되는 구성으로 한다.
참조 부호 509는 서보 제어 회로로서, 디스크 모터의 회전 제어나 광 빔의 포커스나 트랙킹의 제어를 행한다. 참조 부호 510은 레이저 빔 제어 회로로서, 레이저(503)의 발광 강도의 제어를 행한다. 참조 부호 511은 가기입 기록 신호 처리 회로로서, PCA에 가기입을 행하기 위한 신호 패턴을 생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일례로서 랜덤 패턴을 생성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가기입 기록 신호 처리 회로(511)는 가기입 재생 신호 처리 회로(506)와 함께 가기입 처리 회로(514)의 내부에 실치되는 구성으로 한다. 참조 부호 512는 기록 신호 처리 회로로서, 데이터 기록 에리어에 유저 데이터를 기입하는 경우에 오류 정정 부호의 부가나 변조 처리를 행한다. 참조 부호 513은 CPU로서 신호 재생 처리 회로(505), 가기입 재생 신호 처리 회로(506), 서보 제어 회로(509), 레이저 빔 제어 회로(510), 가기입 기록 신호 처리 회로(511), 기록 신호 처리 회로(512)의 제어를 행하는 외에, 평균 연산 회로(508)의 출력을 레이저 빔 제어 회로(510)의 제어에 이용한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기록 장치가, 제1 실시예의 광 디스크에 대하여, 제3 실시예의 기록 방법에서 기록을 행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제3 실시예의 스텝 301에 대응하여, 서보 제어 회로(509)의 제어에 의해, 제m층의 에리어 a에 피크를 이동한다.
다음으로, 스텝 302에 대응하여, 라이트와 리드의 2 처리를 행한다. 우선 라이트 처리는 이 에리어 내에서 가기입 기록 신호 처리 회로(511)에서 생성된 랜덤 패턴을 레이저 빔 제어 회로(510)에서 레이저(503)의 발광 파워를 축차적으로 변경시키면서 기록을 행한다. 다음으로 행하는 리드의 처리는, 기록된 신호를 광 픽업(503)에 의해 재생하여 검출된 신호로부터, 신호 재생 처리 회로(505)에서 각 발광 파워에 대한 지터를 검출한다. 가기입 재생 신호 처리 회로(506)는 지터를 최소로 하는 발광 파워를 최적 기록 파워로 하고, 결과를 최적 파워 기억 회로(507)에 축적한다. 스텝 303으로부터 스텝 304를 통하여 스텝 301로 되돌아가는 제어는, 서보 제어 회로(509)가, 제1 실시예의 에리어 b, c, d,…,에 피크를 순차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실현된다.
스텝 304에 대응하여, CPU가 전체 조합에서의 OPC가 종료했다고 판정한 때, 즉, 에리어 a∼h에서의 OPC가 완료되었을 때, 스텝 305에 대응하여, 평균 연산 회로(508)는, 최적 파워 기억 회로(507)에 기억된 에리어 a로부터 에리어 h의 결과의 평균을 구한다.
그 후, 스텝 306에 대응하여, 평균값 연산 회로(508)에서 구해진 평균값은 그 제m층의 최적 기록 파워로서 CPU(513)로 보내지고, 그 제m층의 데이터 기록 에리어에 유저 데이터를 기록하는 경우에는, CPU(513)로 보내진 최적 파워에 기초하여 레이저 빔 제어 회로를 제어한다.
이상, 본 실시예에 따르면, 층간도 포함시킨 랜덤 액세스를 허가한 다층 기록 광 디스크에 대하여, 각 층에서의 최적의 기록 파워를 구하는 것이 가능한 기록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가기입한 신호의 재생 품질의 평가를 지터를 이용하여 행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β 등의 파형 정보를 이용하여 행하는 경우에는, β의 검출은 신호 재생 처리 회로(505)에서 행해지고, 가기입 재생 신호 처리 회로(506)에서는 목표 β값을 공급하는 발광 파워를 최적 기록 파워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최적 파워의 조정을 행하였지만, 또한 기록 파형의 조정을 행하여도 된다. 이 경우, 기록 파형은, 레이저 빔 제어 회로(509)에 의해 제어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층 기록형 광 디스크인 제1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다층 기록형 광 디스크의 제조 방법인 제2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층 기록형 광 디스크의 기록 방법인 제3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층 기록형 광 디스크의 기록 방법인 제4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층 기록형 광 디스크의 기록 장치인 제5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1 : 광 디스크
502 : 디스크 모터
503 : 레이저
504 : 광 픽업
505 : 신호 재생 처리 회로
506 : 가기입 재생 신호 처리 회로
507 : 최적 파워 기억 회로
508 : 평균 연산 회로
509 : 서보 제어 회로
510 : 레이저 빔 제어 회로
511 : 가기입 기록 신호 처리 회로
512 : 기록 신호 처리 회로
513 : CPU
514 : 가기입 처리 회로

Claims (12)

  1. 가기입 영역과 데이터 기록 에리어를 갖는 기록층을 m층(m은 2 이상의 정수) 포함한 다층 기록형 광 디스크로서,
    나선 형상으로 형성된 각 층의 가기입 영역은 광 디스크의 내주로부터 외주를 향하여 제1 소영역 내지 제n 소영역(n은 2 이상의 정수)으로 분할되어 있고,
    소정의 기록층의 미기록 소영역에 대하여, 다른 기록층의 동일한 반경 위치의 (m-1)개의 소영역에서의 데이터의 기록 완료/미기록의 조합이, 다른 반경 위치의 (m-1)개의 소영역에서의 데이터의 기록 완료/미기록의 조합과 서로 다른 다층 기록형 광 디스크.
  2. 제1항에 있어서,
    각 가기입 영역은, m×2m-1의 소영역으로 분할되어 있는 다층 기록형 광 디스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으로서, 모든 소영역이 데이터 기록 완료인 조합과, 모든 소영역이 데이터 미기록인 조합을 갖는 다층 기록형 광 디스크.
  4. 가기입 영역과 데이터 기록 에리어를 갖는 기록층을 m층(m은 2 이상의 정수) 포함한 다층 기록형 광 디스크로서,
    나선 형상으로 형성된 각 층의 가기입 영역은 광 디스크의 내주로부터 외주를 향하여 제1 소영역 내지 제n 소영역(n은 2 이상의 정수)으로 분할되어 있고,
    제a 기록층(a는 m 이하의 정수)의 미기록 소영역에 대하여, 제a 기록층보다도 레이저 광의 입사면에 가까운 다른 (a-1)층의 동일한 반경 위치의 (a-1)개의 소영역에서의 데이터의 기록 완료/미기록의 조합이, 다른 반경 위치의 (a-1)개의 소영역에서의 데이터의 기록 완료/미기록의 조합과 서로 다른 다층 기록형 광 디스크.
  5. 제4항에 있어서,
    각 가기입 영역은, 적어도 2m-1+2m-2+…+22+21의 소영역으로 분할되어 있는 다층 기록형 광 디스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으로서, 모든 소영역이 데이터 기록 완료인 조합과, 모든 소영역이 데이터 미기록인 조합을 갖는 다층 기록형 광 디스크.
  7. 가기입 영역과 데이터 기록 에리어를 갖는 기록층을 m층(m은 2 이상의 정수) 포함하고, 나선 형상으로 형성된 각 층의 가기입 영역은 광 디스크의 내주로부터 외주를 향하여 제1 소영역 내지 제n 소영역(n은 2 이상의 정수)으로 분할되고, 소정의 기록층의 미기록 소영역에 대하여, 다른 기록층의 동일한 반경 위치의 (m-1)개의 소영역에서의 데이터의 기록 완료/미기록의 조합이, 다른 반경 위치의 (m-1)개의 소영역에서의 데이터의 기록 완료/미기록의 조합과 서로 다른 가기입 영역을 포함한 광 디스크에 대한 다층 기록형 광 디스크의 기록 방법으로서,
    소정의 기록층의 가기입 영역에 가기입을 행하고, 그 가기입 영역 내의 각 소영역에서의 각각의 최적 기록 파워를 구하는 처리와,
    구해진 각 소영역에서의 최적 기록 파워로부터, 해당 층의 최적 기록 파워를 구하는 처리를 행하는 다층 기록형 광 디스크의 기록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층의 최적 기록 파워를 구하는 처리는, 각 소영역의 최적 기록 파워의 평균값을 구하는 처리인 다층 기록형 광 디스크의 기록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층의 최적 기록 파워를 구하는 처리는, 각 소영역의 최적 기록 파워의 변동의 중심값을 구하는 처리인 다층 기록형 광 디스크의 기록 방법.
  10. 가기입 영역과 데이터 기록 에리어를 갖는 기록층을 m층(m은 2 이상의 정수) 포함하고, 나선 형상으로 형성된 각 층의 가기입 영역은 광 디스크의 내주로부터 외주를 향하여 제1 소영역 내지 제n 소영역(n은 2 이상의 정수)으로 분할된 다층 기록형 광 디스크의 기록 방법으로서,
    소정의 기록층의 미기록 소영역에 대하여, 다른 기록층의 동일한 반경 위치의 (m-1)개의 소영역에서의 데이터의 기록 완료/미기록의 조합이, 다른 반경 위치의 (m-1)개의 소영역에서의 데이터의 기록 완료/미기록의 조합과 서로 다르도록, 가기입 영역에 기록을 행하는 처리와,
    소정의 기록층의 가기입 영역에 가기입을 행하고, 그 가기입 영역 내의 각 소영역에서의 각각의 최적 기록 파워를 구하는 처리와,
    구해진 각 소영역에서의 최적 기록 파워로부터, 해당 층의 최적 기록 파워를 구하는 처리를 포함하는 다층 기록형 광 디스크의 기록 방법.
  11. 가기입 영역과 데이터 기록 에리어를 갖는 기록층을 m층(m은 2 이상의 정수) 포함하고, 나선 형상으로 형성된 각 층의 가기입 영역은 광 디스크의 내주로부터 외주를 향하여 제1 소영역 내지 제n 소영역(n은 2 이상의 정수)으로 분할되고, 소정의 기록층의 미기록 소영역에 대하여, 다른 기록층의 동일한 반경 위치의 (m-1)개의 소영역에서의 데이터의 기록 완료/미기록의 조합이, 다른 반경 위치의 (m-1)개의 소영역에서의 데이터의 기록/미기록의 조합과 서로 다른 다층 기록형 광 디스크의 기록 장치로서,
    상기 광 디스크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레이저와,
    상기 레이저를 제어하는 레이저 빔 제어 회로와,
    소정의 기록층의 가기입 영역에 가기입을 행하고, 그 가기입 영역 내의 각 소 영역에서의 각각의 최적 기록 파워를 구하는 가기입 처리 회로와,
    구한 각 최적 기록 파워에 기초하여 해당 층의 최적 기록 파워를 구하는 최적 기록 파워 연산 수단
    을 포함한 다층 기록형 광 디스크의 기록 장치.
  12. 가기입 영역과 데이터 기록 에리어를 갖는 기록층을 m층(m은 2 이상의 정수)포함하고, 나선 형상으로 형성된 각 층의 가기입 영역은 광 디스크의 내주로부터 외주를 향하여 제1 소영역 내지 제n 소영역(n은 2 이상의 정수)으로 분할되고, 제a 기록층(a는 m 이하의 정수)의 미기록 소영역에 대하여, 제a 기록층보다도 레이저 광의 입사면에 가까운 다른 (a-1)층의 동일한 반경 위치의 (a-1)개의 소영역에서의 데이터의 기록 완료/미기록의 조합이, 다른 반경 위치의 (a-1)개의 소영역에서의 데이터의 기록 완료/미기록의 조합과 서로 다른 다층 기록형 광 디스크의 기록 장치로서,
    상기 광 디스크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레이저와,
    상기 레이저를 제어하는 레이저 빔 제어 회로와,
    소정의 기록층의 가기입 영역에 가기입을 행하고, 그 가기입 영역 내의 각 소영역에서의 각각의 최적 기록 파워를 구하는 가기입 처리 회로와,
    구한 각 최적 기록 파워에 기초하여 해당 층의 최적 기록 파워를 구하는 최 적 기록 파워 연산 수단
    을 포함한 다층 기록형 광 디스크의 기록 장치.
KR1020070107968A 2006-10-27 2007-10-25 다층 기록형 광 디스크, 다층 기록형 광 디스크의 기록방법, 및, 다층 기록형 광 디스크의 기록 장치 KR1009372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291968 2006-10-27
JP2006291968A JP2008108388A (ja) 2006-10-27 2006-10-27 多層記録型光ディスク、多層記録型光ディスクの記録方法、および、多層記録型光ディスクの記録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8043A true KR20080038043A (ko) 2008-05-02
KR100937281B1 KR100937281B1 (ko) 2010-01-18

Family

ID=39329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7968A KR100937281B1 (ko) 2006-10-27 2007-10-25 다층 기록형 광 디스크, 다층 기록형 광 디스크의 기록방법, 및, 다층 기록형 광 디스크의 기록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7869317B2 (ko)
JP (1) JP2008108388A (ko)
KR (1) KR100937281B1 (ko)
CN (3) CN10211044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4170A (ja) * 2006-03-02 2007-09-13 Tdk Corp 光記録媒体の再生方法、再生装置
JP4998123B2 (ja) * 2007-07-13 2012-08-15 Tdk株式会社 記録パワー設定方法、多層光記録媒体、情報記録方法
JP2009134785A (ja) * 2007-11-29 2009-06-18 Hitachi-Lg Data Storage Inc 記録方法及び光ディスク装置
KR101683789B1 (ko) * 2009-02-13 2016-12-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정보 저장 매체 및 그 기록 재생 장치
WO2010093212A2 (ko) * 2009-02-13 2010-08-19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보 저장 매체, 기록 재생 장치 및 기록 재생 방법
JP4586096B2 (ja) 2009-02-24 2010-11-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多層光ディスクおよびその記録方法
JP4664425B2 (ja) * 2009-06-05 2011-04-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多層光ディスクの記録方法
JP2011008843A (ja) * 2009-06-24 2011-01-13 Hitachi Ltd 多層光ディスクおよびその記録方法
JP5455819B2 (ja) 2010-07-02 2014-03-26 三菱電機株式会社 光記録装置及び方法
US8400894B2 (en) 2010-08-25 2013-03-19 Panasonic Corporation Method for writing data on multilayer optical disc and optical disc driv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20624B2 (ja) 1999-04-26 2005-11-30 株式会社リコー 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と光ディスクの最適記録パワー値決定方法
JP2003022532A (ja) * 2001-07-06 2003-01-24 Columbia Music Entertainment Inc 光情報記録媒体ならびにその記録方法および情報記録装置
JP2003168216A (ja) * 2001-11-29 2003-06-13 Sony Corp 光記録媒体、並びに、光記録媒体に対する記録装置及び方法
KR100498449B1 (ko) * 2002-10-14 2005-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광 디스크 시스템에서 기록 가능한 광 디스크에 대한 기록파워 결정 방법
CN100587814C (zh) * 2002-12-20 2010-02-03 三菱化学媒体股份有限公司 光学记录介质
WO2004057585A1 (ja) * 2002-12-20 2004-07-08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光記録媒体,光記録媒体の記録方法及び記録装置
CN1286089C (zh) * 2003-09-12 2006-11-22 上海乐金广电电子有限公司 光记录播放器的最佳记录功率确定方法
CN101101761A (zh) * 2003-10-03 2008-01-09 日本先锋公司 信息记录介质和信息记录装置及方法
KR100545807B1 (ko) * 2003-11-04 2006-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록 장치에서의 최적 기록 파워 서치방법 및 이를 위한기록매체
US7440369B2 (en) * 2003-12-26 2008-10-21 Pioneer Corporation Information recording device and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2005276390A (ja) 2004-03-26 2005-10-06 Sony Corp 光ディスク媒体、記録再生装置、レーザパワー決定方法
JP2006268889A (ja) 2005-03-22 2006-10-05 Victor Co Of Japan Ltd 光情報記録装置
JP2006190480A (ja) 2006-04-03 2006-07-20 Pioneer Electronic Corp 情報記録媒体、並びに情報記録装置及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69945A (zh) 2008-04-30
US20110096656A1 (en) 2011-04-28
KR100937281B1 (ko) 2010-01-18
CN102157161B (zh) 2014-04-23
CN101169945B (zh) 2011-05-25
US7869317B2 (en) 2011-01-11
CN102110448A (zh) 2011-06-29
JP2008108388A (ja) 2008-05-08
CN102157161A (zh) 2011-08-17
US20080101209A1 (en) 2008-05-01
US8144569B2 (en) 2012-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7281B1 (ko) 다층 기록형 광 디스크, 다층 기록형 광 디스크의 기록방법, 및, 다층 기록형 광 디스크의 기록 장치
RU2498424C2 (ru) Носитель для записи информации и устройство записи информации
KR20100018627A (ko) 정보 기록 매체, 기록 장치, 재생 장치, 기록 방법, 및 재생 방법
JP5028099B2 (ja) 多層記録型光ディスク、多層記録型光ディスクの記録方法、および、多層記録型光ディスクの記録装置
JP2005285254A (ja) 光ディスクの記録方法及び光ディスク
EP2124226A1 (en)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g method
KR100727919B1 (ko) 광정보 저장매체
KR100667753B1 (ko) 정보 저장 매체, 데이터의 기록 방법 및 장치
JPH11120560A (ja) 光ディスクの記録方法及びアクセス方法、光ディスク、光ディスク記録装置及び光ディスク装置
JP6130752B2 (ja) ホログラフィックデータ記憶媒体およびそれに関連した方法
JP5045832B2 (ja) 多層記録型光ディスク、多層記録型光ディスクの記録方法、および、多層記録型光ディスクの記録装置
RU2302668C2 (ru) Носитель записи информации, способ его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US20060018635A1 (en) Optical disk, optical disk drive, and optical disk recording method
JP2011175734A (ja) 多層記録型光ディスク、多層記録型光ディスクの記録方法、および、多層記録型光ディスクの記録装置
JP4548051B2 (ja) 光ディスク評価装置、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および光ディスク記録装置
JP4244691B2 (ja) 記録方法および記録装置
JPWO2007010824A1 (ja) 情報記録媒体、情報再生装置及び方法、並びに、情報記録媒体の製造装置及び方法
JP2005531872A (ja) 情報保存媒体及びその記録及び/または再生方法
KR100759910B1 (ko) 정보 기록 매체, 및 정보 기록 장치 및 방법
JP2009054233A (ja) 光ディスクのフォーカス位置調整方法及びそれを利用した光ディスク装置
JP2007199227A (ja) 光情報記録方法、光情報記録媒体および光情報再生方法
JPH097180A (ja) 情報記録媒体、情報記録装置および方法
JP2003099939A (ja) 光記録再生方法および光記録再生装置
JP2004362686A (ja) ホログラム再生装置及びホログラム記録再生装置
JPWO2005122151A1 (ja) 情報記録装置及び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