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7706A - 바닥-천장 구조 - Google Patents
바닥-천장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37706A KR20080037706A KR1020087005869A KR20087005869A KR20080037706A KR 20080037706 A KR20080037706 A KR 20080037706A KR 1020087005869 A KR1020087005869 A KR 1020087005869A KR 20087005869 A KR20087005869 A KR 20087005869A KR 20080037706 A KR20080037706 A KR 2008003770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ngle
- ceiling
- wall
- floor
- fram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41000283074 Equus asinus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1015 abdomen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016 da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284 exci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5060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0000001973 Ficus microcarp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429 gener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88 si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02—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formed substantially of prefabricated units
- E04B5/12—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formed substantially of prefabricated units with wooden beam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4—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3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edge details of the ceiling; e.g. securing to an adjacent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상층의 바닥판과 하층의 천장판과의 사이의 바닥-천장 구조는 서로 대략 평행하게 늘어선 상태에서 특정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바닥 동귀틀과, 이들 바닥 동귀틀과 대략 평행하게 늘어선 상태에서 상기 바닥 동귀틀을 상기 특정 방향으로부터 끼우는 위치에 배치되는 측부 동귀틀과, 상기 바닥 동귀틀을 상기 특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끼우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측부 동귀틀 및 상기 바닥 동귀틀의 단부가 고정되는 단부 동귀틀과, 상기 천장판을 현수하기 위한 천장용 빔이며 상기 단부 동귀틀에 걸쳐서 상기 측부 동귀틀과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는 천장용 빔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측부 동귀틀 및 상기 복수의 바닥 동귀틀로 구성되는 동귀틀군 중 적어도 1개의 동귀틀은 상기 상층 또는 하층의 벽으로 지지되어 있고, 상기 천장용 빔은 상기 벽의 근방에만 설치되어 있다.
동귀틀, 천장용 빔, 들보, 현수 부재, 바닥-천장 구조
Description
본 발명은 복수의 벽으로 지지된 바닥-천장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음 성능이 우수한 것에 관한 것이다.
최근, 주택 건설에 있어서, 목재의 골조에 바닥판을 접합한 바닥 구조를 대신하여, 금속형재제의 프레임재와 빔재에 의한 골조에 바닥판을 접합한 바닥 구조(철제 주택)가 채용되어 왔다. 이 철제 주택은 금속형재제의 프레임재 및 빔재에 의한 골조를 이용하므로, 내진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금속형재제의 프레임재 및 빔재에 의한 골조를 갖는 바닥 구조를 공동 주택의 상하층의 경계에 있는 경계 바닥으로서 이용한 경우(이하, 바닥-천장 구조라고 칭함), 종래의 목재의 골조에 의한 바닥 구조보다는 개선되지만 소비자 요구의 상승에 의해 방음 대책이 더 필요해지는 경우가 있다. 특히, 사람의 뜀이나 보행 시에 층 아래에 발생하는 충격음(이하, 중량 바닥 충격음이라고 칭함) 등의 대책이 필요해진다.
일반적인 중량 바닥 충격음의 저감 방법으로서는, (1) 바닥 구조의 중량을 증가시키는 방법, (2) 바닥 구조의 구부림 강성을 증가시키는 방법이 있다. 또한, 충격력 작용 후의 바닥 진동을 빨리 감쇠시켜, 불쾌감을 억제하는 방법으로서, (3) 바닥에 제진성을 부여하는 방법 등이 있다. 또한, 이들 (1), (2), (3)의 방법을 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허문헌 1에는 부품 수가 증가하지 않고, 또한 바닥 내의 공간에서의 배관의 방해가 되지 않게, 층 위의 중량 바닥 충격음 진동 모드의 진동을 천장에서 분산시켜 층 아래로의 중량 바닥 충격음을 저감시킨 천장 구조 및 건물을 제공하는 천장 구조 및 건물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천장 구조 및 건물에 있어서는, 천장 패널의 들보(joist)에 장착한 추 부재에 의해, 층 위의 중량 바닥 충격음 진동 모드의 진동을 천장 패널에서 분산시켜, 층 아래로의 중량 바닥 충격음을 저감시키게 되고, 추 부재가 천장 패널의 들보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그 추 부재를 설치하기 위한 부품 수가 증가하지 않고, 또한 바닥부 내의 공간이 전혀 폐쇄되지 않으므로, 바닥부 내에서의 배관의 방해가 되지 않는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추 부재를 장착한 천장 패널의 주연부가 방진 고무를 개재하여 바닥 동귀틀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천장 패널에 있어서의 진동 분산이 보다 유효하게 이루어져, 추 부재에 의한 중량 바닥 충격음의 저감 효과가 더 향상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경량 충격 시 및 중량 충격 시 중 어느 것에 대해서도, 층 위로부터 층 아래로의 진동의 전파를 억제하여 바닥 충격음을 저감시킬 수 있고, 특히 저주파수 영역에서의 차음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음 천장 구조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방음 천장 구조에 있어서는, 천장 기재로부터 현수구를 개재하여 천장재에 진동이 전파될 때에, 방진재가 진동 감쇠 작용을 가짐으로써, 고체 전파에 의해 생기는 천장재의 진동 레벨을 대폭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에는 넓은 주파수 대역의 진동을 흡수 가능한 천장용 현수구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 기재된 천장용 현수구에 있어서는, 천장 뒤의 빔에 설치되는 상측 설치 부재와, 상기 상측 설치 부재의 측방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하단부 부분에서 천장 기초를 지지하는 하측 설치 부재를 갖고, 상기 상측 설치 부재와 상기 하측 설치 부재의 연결 부분에 댐퍼 부재를 구비한 천장용 현수구에 있어서, 상기 댐퍼 부재는 진동 흡수 대역이 다른 복수의 방진 고무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넓은 주파수 대역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에 의한 구조는 모두, 추 부재를 부가하거나, 탄성체의 내부에 유체를 봉입하거나, 경도가 다른 방진 고무를 겹쳐서 배치할 필요가 있다. 그로 인해, 1 개소에 있어서는 약간의 부품 또는 비용의 증가하더라도, 구조체가 커지는데 수반하여 부품 개수 및 비용의 증가도 급격하게 상승하게 된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2-121856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10-183849호 공보
특허문헌 3 :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3-313987호 공보
본 발명의 목적은 넓은 주파수 대역에 걸쳐서 바닥 충격음을 크게 저감시킬 수 있고, 또한 부재의 추가 및 복잡한 설계가 불필요한 바닥-천장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층의 바닥판과 하층의 천장판과의 사이의 바닥-천장 구조에 있어서, 서로 대략 평행하게 늘어선 상태에서 특정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바닥 동귀틀과, 이들 바닥 동귀틀과 대략 평행하게 늘어선 상태에서 상기 바닥 동귀틀을 상기 특정 방향으로부터 끼우는 위치에 배치되는 측부 동귀틀과, 상기 바닥 동귀틀을 상기 특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끼우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측부 동귀틀 및 상기 바닥 동귀틀의 단부가 고정되는 단부 동귀틀과, 상기 천장판을 현수하기 위한 천장용 빔이며 상기 단부 동귀틀에 걸쳐서 상기 측부 동귀틀과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는 천장용 빔을 구비하고, 상기 측부 동귀틀 및 상기 복수의 바닥 동귀틀로 구성되는 동귀틀군 중 적어도 1개의 동귀틀은 상기 상층 또는 하층의 벽으로 지지되어 있고, 상기 천장용 빔은 상기 벽의 근방에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바닥-천장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바닥-천장 구조의 평면도이다.
도3은 천장용 빔의 상세를 도시하는 모식적 사시도이다.
도4의 (a)는 바닥-천장 구조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4의 (b)는 바 닥판에 힘이 부여된 경우의 거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5의 (a)는 바닥의 모식적 단면도이고, 도5의 (b) 내지 도5의 (e)는 각각 바닥의 1차 내지 4차 모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6의 (a)는 바닥의 모식적 단면도이고, 도6의 (b) 내지 도6의 (e)는 각각 바닥의 1차 내지 4차 모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7의 (a1), 도7의 (a2), 도7의 (b1), 도7의 (b2)는 벽의 배치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8의 (a1), 도8의 (a2), 도8의 (b1), 도8의 (b2)는 벽의 배치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9의 (a) 내지 도9의 (d)는 바닥-천장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10은 제1 내지 제3 실시예 및 제1 비교예에 있어서의 진동 전달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1은 중량 바닥 충격음 실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2는 경량 바닥 충격음 실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3의 (a) 내지 도13의 (c)는 각각 제1 내지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13의 (d)는 제1 비교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바닥-천장 구조(100)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의 바닥-천장 구조(100)의 평면도이다.
도1 및 도2의 바닥-천장 구조(100)는 상층의 바닥판(50)과 하층의 천장판(60)(도시하지 않음) 사이의 구조이고, 주로 단부 동귀틀(11), 측부 동귀틀(12), 바닥 동귀틀(20), 천장용 빔(30), 현수 부재(31)(도시하지 않음), 들보 받침(32)(도시하지 않음), 들보(33)(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또한, 천장용 빔(30), 현수 부재(31), 들보 받침(32), 들보(33)는 단부 동귀틀(11)로부터 천장판(60)을 현수하기 위한 천장 지지부를 구성한다.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천장 구조(100)에서는 서로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단부 동귀틀(11) 및 이 단부 동귀틀(11)과 대략 직교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측부 동귀틀(12)의 단부가 각각 접속됨으로써 직사각 형상의 프레임체가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체 내에는 측부 동귀틀(12)과 대략 평행하게 복수의 바닥 동귀틀(20)이 배치되어 있고, 이들 바닥 동귀틀(20)의 양단부는 각각 한 쌍의 단부 동귀틀(11)에 고정 설치된다. 환언하면, 한 쌍의 측부 동귀틀(12)은 바닥 동귀틀(20)을 그 배열 방향으로부터 끼우는 위치에 배치되고, 한 쌍의 단부 동귀틀(11)은 바닥 동귀틀(20)을 그 배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끼우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단부 동귀틀(11) 및 측부 동귀틀(12)과, 복수의 바닥 동귀틀(20)에 의해 바닥판(50)이 고정 지지된다.
또한,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체 내에는 한 쌍의 측부 동귀틀(12) 및 복수의 바닥 동귀틀(20)과 대략 평행하게 복수의 천장용 빔(30)이 배치 되고, 이들 천장용 빔(30)의 양단부는 각각 한 쌍의 단부 동귀틀(11)에 고정 설치된다. 이 천장용 빔(30)의 수 및 배치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3은 천장용 빔(30)의 상세를 도시하는 모식적 사시도이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단부 동귀틀(11)의 상면, 한 쌍의 측부 동귀틀(12)의 상면 및 복수의 바닥 동귀틀(20)의 상면은 거의 동일한 높이로 되어 있어, 바닥판(50)을 지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단부 동귀틀(11)은 내측으로 개방되는 대략 역ㄷ자 형상의 단면 형상을 갖고 있고, 측부 동귀틀(12) 및 바닥 동귀틀(20)의 양단부는 단부 동귀틀(11)의 개구 내에 들어가 있다. 또한, 단부 동귀틀(11)의 단면 형상은 대략 역ㄷ자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I자 형상 등의 다른 형상이라도 좋다. 천장용 빔(30)은 단면이 대략 역ㄷ자 형상을 이루는 것이다. 또한, 천장용 빔(30)의 단면 형상은 대략 역ㄷ자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ㅁ자 형상, Z자 형상 등 임의의 형상이라도 좋다.
천장용 빔(30)에는, 도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수 부재(31)가 수직 설치되어 있고, 천장용 빔(30)으로부터는 현수 부재(31)가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현수 부재(31)의 재질은 나무 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특히 금속제의 경우, 현수 철물, 현수 금구라고도 칭한다. 이 현수 부재(31)의 하부에는 천장판(60)이 고정되는 들보(33)가 들보 받침(32)을 개재하여 설치되어 있다. 들보 받침(32)은 들보(33)와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 형상의 부재이다. 또한, 들보 받침(32)은 현수 부재(31)의 하단부보다도 상측의 위치에 설치되어도 좋고, 현수 부재(31)의 하단부에 현수 부재(31)보다도 하측으로 돌출되는 상태로 설치되어도 좋 다.
이 천장용 빔(30)은 한 쌍의 단부 동귀틀(11)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게 설치된다. 그리고, 현수 부재(31)도 한 쌍의 단부 동귀틀(1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게 설치되고, 하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설치된다. 즉, 천장용 빔(30)은 바닥판(50)과 접하지 않도록 설치되고, 천장용 빔(30)에는 현수 부재(31), 들보 받침(32) 및 들보(33)를 개재하여 천장판(60)이 설치된다.
다음에, 바닥-천장 구조(100)에 있어서의 진동의 전달 메커니즘을 설명한다. 도4의 (a) 및 도4의 (b)는 바닥판(50)으로부터의 진동 전달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4의 (a)는 바닥-천장 구조(100)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4의 (b)는 바닥판(50)에 힘(F)이 부여된 경우의 거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도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판(50)에 힘(F)이 부여된다. 이에 의해 발생한 진동은 고체 전파 성분으로서 단부 동귀틀(11), 측부 동귀틀(12) 및 바닥 동귀틀(20)로 전해진다. 단부 동귀틀(11)로 전달된 진동이 천장용 빔(30)으로 전해지고, 측부 동귀틀(12) 및 복수의 바닥 동귀틀(20)로 전해진 진동은 단부 동귀틀(11)을 개재하여 천장용 빔(30)으로 전해진다. 천장용 빔(30)으로 전해진 진동은 현수 부재(31), 들보 받침(32) 및 들보(33)를 개재하여 천장판(60)으로 전해진다.
또한, 바닥판(50)에 힘(F)이 부여된 경우, 동시에 공기 전파 성분(소리)으로서 바닥판(50)의 진동이 바닥-천장 구조체 내의 공기를 개재하여 천장판(60)으로 전해진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공기 전파 성분보다도 고체 전파 성분이 지배적 이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바닥판(50), 프레임체 및 바닥 동귀틀(20)의 구조{이하, 바닥판(50), 바닥 동귀틀(20), 프레임체[단부 동귀틀(11) 및 측부 동귀틀(12)]를 통합하여 바닥(200)이라고 함}에 있어서의 진동의 일반적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바닥(200)의 단부 동귀틀(11)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진동 모드의 발생이 현저하므로, 일방향에 있어서의 진동 모드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5의 (a) 내지 도5의 (e)는 2개의 바닥(200a, 200b)이 단부 동귀틀(11)의 길이 방향으로 늘어서서 구성된 바닥의 진동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5의 (a)는 바닥의 모식적 단면도이고, 도5의 (b)는 바닥의 1차 모드를 도시하고, 도5의 (c)는 바닥의 2차 모드를 도시하고, 도5의 (d)는 바닥의 3차 모드를 도시하고, 도5의 (e)는 바닥의 4차 모드를 도시한다. 또한, 바닥(200a) 및 바닥(200b)에 의해 구획된 공간의 상부가 상층이 되고, 하부가 하층이 된다.
도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바닥(200a, 200b)은 서로의 측부 동귀틀(12)이 접촉하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바닥(200a, 200b)은 서로의 각 측부 동귀틀(12) 사이에 소정의 간극이 형성되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좋고, 서로의 측부 동귀틀(12)이 공통으로 사용되도록 일체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바닥(200a)의 일단부측[도5의 (a)에서는 좌측]의 단부에 벽(70)이 상하로 설치되고, 바닥(200a)의 중앙부의 상면에 벽(70)이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하로 설치된 벽(70)은 바닥(200a)의 일단부측의 측부 동귀틀(12)에 연결되어 있 고, 상층의 좌측으로부터 2번째의 벽(70)은 중앙부의 바닥 동귀틀(20)에 연결되어 있다. 환언하면, 일단부측의 측부 동귀틀(12)은 하층 및 상층의 벽(70)에 지지되어 있고, 중앙부의 바닥 동귀틀(20)은 상층의 벽(70)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바닥(200b)의 타단부측[도5의 (a)에서는 우측]의 단부에 벽(70)이 상하에 설치되고, 바닥(200b)의 중앙부의 하면에 벽(70)이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하에 설치된 벽(70)은 바닥(200a)의 타단부측의 측부 동귀틀(12)에 연결되어 있고, 하층의 우측으로부터 2번째의 벽(70)은 중앙부의 바닥 동귀틀(20)에 연결되어 있다. 환언하면, 타단부측의 측부 동귀틀(12)은 하층 및 상층의 벽(70)에 지지되어 있고, 중앙부의 바닥 동귀틀(20)은 하층의 벽(70)에 지지되어 있다.
이하, 설명을 위해, 바닥(200a)의 상층에만 설치된 벽(70)으로부터 바닥(200b) 하층에만 설치된 벽(70)까지의 거리를 거리(L)로서 나타낸다.
도5의 (a)에 도시하는 바닥(200a) 및 바닥(200b)에 주목한 경우, 프레임체에 있어서의 벽(70)에 지지되는 동귀틀에 대응하는 위치가 진동의 마디가 된다. 따라서, 바닥판(50)에 부여되는 힘(F)이 1차 고유 진동수와 일치하는 주파수 성분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는, 도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200a) 및 바닥(200b)이 1차 모드에서 진동한다. 즉, 상층에만 존재하는 벽(70)으로부터의 거리 L/2의 부분의 진폭이 최대(배)가 되고, 벽(70)에 근접한 부분의 진폭이 최소(마디)가 된다.
또한, 바닥판(50)에 부여되는 힘(F)이 2차 고유 진동수와 일치하는 주파수 성분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는, 도5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200a) 및 바닥(200b)이 2차 모드에서 진동한다. 이 경우, 상층에만 존재하는 벽(70)으로부터 의 거리 L/4, 3L/4의 부분의 진폭이 최대가 되고, L/2의 부분과, 벽(70)에 근접한 부분과의 진폭이 최소가 된다.
또한, 바닥판(50)에 부여되는 힘(F)이 3차 고유 진동수와 일치하는 주파수 성분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는, 도5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200a) 및 바닥(200b)이 3차 모드에서 진동한다. 이 경우, 상층에만 존재하는 벽(70)으로부터 거리 L/3, 2L/3의 부분과, 벽(70)에 근접한 부분에서 진폭이 최소가 된다.
또한, 바닥판(50)에 부여되는 힘(F)이 4차 고유 진동수와 일치하는 주파수 성분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는, 도5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200a) 및 바닥(200b)이 4차 모드에서 진동하게 된다. 이 경우, 상층에만 존재하는 벽(70)으로부터 거리 L/4 마다의 부분과, 벽(70)에 근접한 부분에서 진폭이 최소가 된다.
따라서, 이 바닥(200a, 200b)의 단부 동귀틀(11)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진동 모드를 고려하여 바닥(200a, 200b)의 진동이 적은 부분에 천장용 빔(30)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도5에서 설명한 일반적 진동 형태의 다른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6의 (a) 내지 도6의 (e)는 2개의 바닥(200a, 200b)이 단부 동귀틀(11)의 길이 방향으로 늘어서서 구성된 바닥의 진동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6의 (a)는 바닥의 모식적 단면도이고, 도6의 (b)는 바닥의 단부 동귀틀(11)의 길이 방향의 1차 모드를 도시하고, 도6의 (c)는 바닥의 단부 동귀틀(11)의 길이 방향의 2차 모드를 도시하고, 도6의 (d)는 바닥의 단부 동귀틀(11)의 길이 방향의 3차 모드를 도시하고, 도6의 (e)는 바닥의 단부 동귀틀(11)의 길이 방향의 4차 모드를 도시한다.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200a)의 일단부측의 단부 및 바닥(200b)의 타단부측의 단부의 상하에 벽(70)이 설치된다. 또한, 바닥(200b)의 상측에 벽(70)이 설치되어 있다. 즉, 도5의 (a)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바닥(200a)의 일단부측의 측부 동귀틀(12) 및 바닥(200b)의 타단부측의 측부 동귀틀(12)은 하층 및 상층의 벽(70)으로 지지되어 있는 동시에, 바닥(200b)의 일단부측 근처의 바닥 동귀틀(20)은 상층의 벽(70)으로 지지되어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도면 중 좌측의 벽(70)으로부터 상측에 설치된 벽(70)까지의 거리를 L11로 하고, 도면 중 중앙의 벽(70)으로부터 도면 중 우측의 벽(70)까지의 거리를 L12로 하여 설명한다.
거리(L11)의 범위 내에 있어서의 바닥(200a) 및 바닥(200b)의 일부는 각각 부여되는 힘에 따라서 바닥(200a) 및 바닥(200b)에 1차 모드, 2차 모드, 3차 모드 및 4차 모드의 진동이 생긴다. 그러나, 1차 모드로부터 4차 모드까지 중 어느 것에 두어도, 벽(70)으로부터의 거리가 L11의 1/8 이하의 범위 내에서는 바닥(200a)의 진폭이 적다. 즉, 상층에만 설치된 벽(70)의 좌측에서는 벽(70)에 근접하고 있는 부분에만 천장용 빔(30)을 설치함으로써 진동 전달률이 가장 낮아지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거리(L12)의 범위 내에 있어서의 바닥(200b)의 일부는 각각 부여되는 힘에 따라서 1차 모드, 2차 모드, 3차 모드 및 4차 모드의 진동이 생긴다. 그러나, 1차 모드로부터 4차 모드까지 중 어느 것에 두어도, 벽(70)으로부 터의 거리가 L12의 1/8 이하의 범위 내에서는 바닥(200b)의 진폭이 적다. 즉, 상층에만 설치된 벽(70)의 우측에서도 벽(70)에 근접하고 있는 부분에만 천장용 빔(30)을 설치함으로써 진동 전달률이 가장 낮아지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상의 점으로부터, 천장용 빔(30)을 상층에만 설치된 벽(70)의 좌측에서는 벽(70)으로부터 L11의 1/8 이하의 범위 내에, 상층에만 설치된 벽(70)의 우측에서는 벽(70)으로부터 L12의 1/8 이하의 범위 내에 설치함으로써, 바닥(200a, 200b)에 있어서 생긴 진동이 고체 전파 성분에 의해 천장판(60)으로 전달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다.
특히, 천장용 빔(30)을 벽(70)으로부터 거리(L11, L12)의 1/4 이하의 범위 내에 설치한 경우에는 1차 모드 및 2차 모드의 배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므로, 1차 모드 및 2차 모드에 기인하는 천장의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고, 천장용 빔(30)을 벽(70)으로부터 거리(L11, L12)의 1/6 이하의 범위 내로 설치한 경우에는 1차 모드, 2차 모드 및 3차 모드의 배가 포함되지 않으므로, 1차 모드, 2차 모드 및 3차 모드에 기인하는 천장의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천장용 빔(30)을 벽(70)으로부터 거리(L11, L12)의 1/8 이하의 범위 내에 설치한 경우에는 1차 내지 4차 모드의 배가 포함되지 않으므로, 1차 내지 4차 모드에 기인하는 천장의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다음에, 벽(70)의 배치의 구체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7의 (a1) 내지 도7의 (b2) 및 도8의 (a1) 내지 도8의 (b2)는 벽(70)의 배치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7의 (a1) 및 도7의 (a2)는 바닥(200a)의 아래에 벽(70)을 설치하고, 도7의 (b1) 및 도7의 (b2)는 바닥(200a) 및 바닥(200b)의 접촉 부분의 상방에 벽(70)을 설치하고, 도8의 (a1) 및 도8의 (a2)는 바닥(200a)과 바닥(200b)의 접촉 부분의 상하에 벽(70)을 설치하고, 도8의 (b1) 및 도8의 (b2)는 바닥(200a)과 바닥(200b)의 접촉 부분의 하방에 벽(70)을 설치하였다.
도7의 (a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200a)의 아래에 벽(70)을 설치한 경우, 도7의 (a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장용 빔(30)은 벽(70)의 근방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바닥(200a)의 진동의 마디 근처에 천장용 빔(30)을 설치함으로써, 천장판(60)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특히, 1차 모드로부터 4차 모드까지의 진동을 고려하면, 천장용 빔(30)이 배치되는 위치는 벽(70)으로부터의 거리가 L1a(L1a')의 1/4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벽(70)으로부터의 거리가 L1a(L1a')의 1/6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벽(70)으로부터의 거리가 L1a(L1a')의 1/8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벽(70)으로부터의 거리가 0에 가까울수록 바람직하다.
그 결과, 바닥(200)의 진폭이 가장 작은 부분에 천장용 빔(30)을 배치시키기 때문에, 바닥의 진동이 천장판(60)으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7의 (b1), 도8의 (a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200a)의 위에 벽(70)을 설치한 경우, 도7의 (b2), 도8의 (a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히, 1차 모드로부터 4차 모드까지의 진동을 고려하면, 천장용 빔(30)이 배치되는 위치는 벽(70)으로부터의 거리가 L1b(L1b'), L2a(L2a')의 1/4인 것이 바람직하고, 벽(70)으로부터의 거리가 0에 가까울수록 보다 바람직하다.
그 결과, 바닥(200)의 진폭이 가장 작은 부분에 천장용 빔(30)을 배치시키기 때문에, 바닥(200)의 진동이 천장판(60)으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8의 (b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200a, 200b)의 아래에 벽(70)을 설치한 경우, 도8의 (b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히, 1차 모드로부터 4차 모드까지의 진동을 고려하면, 천장용 빔(30)이 배치되는 위치는 벽(70)으로부터의 거리가 L2b(L2b')의 1/4인 것이 바람직하고, 벽(70)으로부터의 거리가 0에 가까울수록 보다 바람직하다.
그 결과, 바닥(200)의 진폭이 가장 작은 부분에 천장용 빔(30)을 배치시키기 때문에, 바닥(200)의 진동이 천장판(60)으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다음에, 도2에 도시한 바닥-천장 구조(100)의 다른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9의 (a) 내지 도9의 (d)는 바닥-천장 구조(100)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9의 (a)는 한쪽 단부 동귀틀(11)이 2개의 단부 동귀틀(11a, 11b)로 분할되고, 단부 동귀틀(11a, 11b)이 보조적인 측부 동귀틀(12a)을 개재하여 연결되고, 또한 한쪽 측부 동귀틀(12)과 단부 동귀틀(11b)이 보조적인 측부 동귀틀(12b)을 개재하여 연결되는 동시에, 적소에 복수의 쓰러짐 고정부(35)가 설치되는 바닥-천장 구조(100a)를 도시하고, 도9의 (b)는 한쪽 단부 동귀틀(11)이 2개의 단부 동귀틀(11a, 11b)로 분할되고, 단부 동귀틀(11a, 11b)이 보조적인 측부 동귀틀(12a)을 개재하여 연결되는 바닥-천장 구조(100b)를 도시하고, 도9의 (c)는 한쪽 단부 동귀틀(11)이 3개인 단부 동귀틀(11d 내지 11f)로 분할되고, 단부 동귀틀(11c)과 단부 동귀틀(11d, 11f)이 보조적인 측부 동귀틀(12c, 12d)을 개재하여 연결되는 동시에, 적소에 복수의 쓰러짐 고정부(35)가 설치되는 바닥-천장 구조(100c)를 도시하고, 도9의 (d)는 한쪽 단부 동귀틀(11)이 3개인 단부 동귀틀(11d 내지 11f)로 분할되고, 단부 동귀틀(11e)과 단부 동귀틀(11d, 11f)이 보조적인 측부 동귀틀(12c, 12d)을 개재하여 연결되는 바닥-천장 구조(100d)를 도시한다. 또한, 이들 바닥-천장 구조(100a 내지 100d)에 있어서는, 보조적인 측부 동귀틀(12b)이 설치되어 있지 않고 측부 동귀틀(12)이 연장되어 있어도 좋고, 보조적인 측부 동귀틀(12a, 12c, 12d)이 설치되어 있지 않고 바닥 동귀틀(20)이 연장되어 있어도 좋다.
도9의 (a) 내지 도9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천장 구조(100a 내지 100d)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사각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임의의 형상을 가져도 좋다. 이들의 경우에도 벽(70)의 근방에만 천장용 빔(30)을 설치함으로써, 바닥으로부터 천장으로 전해지는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쓰러짐 고정부(35)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단부 동귀틀(11)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 것이다.
또한, 각 벽(70) 사이에 적어도 5개의 바닥 동귀틀(20)이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천장용 빔(30)은 각 벽(70)으로부터 2개째의 바닥 동귀틀(20)까지의 범위 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벽(70)에 근접한 위치에 천장용 빔(30)이 설치되므로, 바닥판(50)의 큰 진폭이 천장판(60)으로 전달되지 않아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측부 동귀틀(12), 바닥 동귀틀(20)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벽이 존재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구조물 의 건물에 있어서의 창 또는 도어가 벽의 일부에 존재하는 것으로 해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벽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임의의 별도의 부재, 예를 들어 기둥 등에 의해 지지되어 있어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원 발명에 관한 바닥-천장 구조에 있어서는, 바닥(200)에 힘이 작용하여 진동이 생긴 경우, 단부 동귀틀(11) 및 측부 동귀틀(12)로 이루어지는 프레임체로 진동이 전달된다. 한 쌍의 측부 동귀틀(12) 및 복수의 바닥 동귀틀(20)로 구성되는 동귀틀군 중 1개 또는 복수의 동귀틀이 벽(70)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상기 프레임체에 있어서의 상기 벽(70)에 지지되는 동귀틀에 대응하는 위치의 진동이 작아져, 그 위치로부터 이격된 개소의 진동이 커진다. 따라서, 상기 벽(70)의 근방에만 천장용 빔(30)을 설치함으로써, 천장용 빔(30)의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바닥판(50)으로부터 천장판(60)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그 결과, 간이한 구조로 넓은 주파수 대역의 충격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특히, 중량 바닥 충격음은 고체 전파 성분의 기여도가 크기 때문에, 천장용 빔(30)의 진동을 저감시킴으로써 중량 바닥 충격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실시예 A>
(제1 내지 제3 실시예)
제1 내지 제3 실시예로서, 벽(70)으로부터의 거리 L/4의 범위 내에 천장용 빔(30)을 설치한 경우[도13의 (a) 참조], 벽(70)으로부터의 거리 L/6의 범위 내에 천장용 빔(30)을 설치한 경우[도13의 (b) 참조], 벽(70)으로부터의 거리 L/8의 범 위 내에 천장용 빔(30)을 설치한 경우[도13의 (c) 참조]에 대한 바닥으로부터 천장으로의 진동 전달률에 대해 시뮬레이션을 행하였다.
또한, 시뮬레이션의 조건으로서는, 바닥판 상면 1점을 가진하였을 때의 천장판의 진동을 유한 요소법에 의해 계산하였다. 가진점은 중량 바닥 충격음을, JIS A1418을 기초로 하여 종래 구조에 있어서 실험하였을 때에 최대의 중량 바닥 충격음을 발생한 가진점을 선택하였다. 또한, 천장 진동은 거의 균등하게 배치한 복수점의 진동 속도의 합을 대표값으로서 이용하였다.
(제1 비교예)
제1 비교예로서 바닥-천장 구조의 전체면에 천장용 빔(30)을 설치한 종래 구조[도13의 (d) 참조]의 바닥으로부터 천장으로의 진동 전달률에 대해 시뮬레이션을 행하였다.
도10은 제1 내지 제3 실시예 및 제1 비교예에 있어서의 바닥으로부터 천장으로의 진동 전달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0의 종축은 진동 전달률(㏈)을 나타내고, 횡축은 주파수(㎐)를 나타낸다. 여기서, 진동 전달률(㏈)은 천장판 진동 속도 대표값을 바닥판 가진점 진동 속도로 제산한 것을 로그로 나타낸 것이다.
<평가>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중량 바닥 충격음의 L등급을 결정하는 주파수 대역[50 ㎐ 밴드(44.7 ㎐ 내지 56.2 ㎐)]에 있어서, 제1 비교예, 제1 실시예, 제2 실시예, 제3 실시예의 순으로 진동 전달률이 저감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벽(70)으로부터의 거리가 L/4, L/6, L/8의 순으로 천장 진동의 저감이 커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B>
다음에, 상기 제3 실시예 및 제1 비교예의 조건과 마찬가지로 하여, 중량 바닥 충격음 및 경량 바닥 충격음을, JIS A1418을 기초로 하여 측정하였다.
도11 및 도12는 중량 바닥 충격음 및 경량 바닥 충격음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1의 종축은 중량 바닥 충격음 레벨(5 ㏈/grid)을 나타내고, 도12의 종축은 경량 바닥 충격음 레벨(5 ㏈/grid)을 나타내고, 도11 및 도12의 횡축은 1/1 옥타브 밴드 중심 주파수(㎐)를 나타낸다.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는 제1 비교예와 비교하여 주파수가 63 ㎐ 밴드 이상 1 ㎑ 밴드 이하의 범위의 중량 바닥 충격음 레벨에서 5 ㏈ 정도의 저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2 ㎑ 밴드, 4 ㎑ 밴드에서 10 ㏈의 저감을 실현할 수 있었다.
한편,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는 제1 비교예와 비교하여 주파수가 63 ㎐ 밴드, 125 ㎐ 밴드이고 경량 바닥 충격음 레벨에서 3 ㏈의 저감을 실현할 수 있고, 250 ㎐ 밴드 이상 4 ㎑ 밴드 이하의 범위 내에서 2 ㏈의 저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관한 바닥-천장 구조는 바닥판(50)이 바닥판에 상당하고, 바닥 동귀틀(20)이 바닥 동귀틀에 상당하고, 측부 동귀틀(12)이 측부 동귀틀에 상당하고, 단부 동귀틀(11)이 단부 동귀틀에 상당하고, 천장용 빔(30)이 천장용 빔에 상당하고, 천장판(60)이 천장판에 상당하고, 바닥-천장 구조(100)가 바닥-천장 구조에 상당하고, 벽(70)이 벽에 상당하고, 현수 부재(31)가 현수 부재에 상당하고, 들보(33)가 들보에 상당하고, 들보 받침(32)이 들보 받침에 상당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천장용 빔(30)을 벽(70)의 근방에만 설치하고 있지만, 예를 들어 천장 지지부를 구성하는 천장용 빔(30), 현수 부재(31), 들보 받침(32), 들보(33) 중 적어도 1개를 벽(70)의 근방 이외의 영역에 설치하지 않도록 해도, 바닥판(50)으로부터 천장판(60)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천장용 빔(30)을 벽(70)의 근방 이외의 영역에 설치하였다고 해도, 현수 부재(31)를 벽(70)의 근방 이외의 영역에 설치하지 않으면 된다. 혹은, 천장용 빔(30) 및 현수 부재(31)를 벽(70)의 근방 이외의 영역에 설치하였다고 해도, 들보 받침(32) 또는 들보(33)를 벽(70)의 근방 이외의 영역에 설치하지 않으면 된다.
또한, 벽(70)의 근방 이외의 영역에서는 천장용 빔(30), 현수 부재(31), 들보 받침(32), 들보(33) 중 적어도 1개를 그 외의 것에 연결하지 않도록 하여, 그 1개가 그 외의 것과 이격된 상태에서 독립되어 변위 가능해지도록 해도, 바닥판(50)으로부터 천장판(60)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즉, 벽(70)의 근방의 영역에 있어서만, 천장용 빔(30), 현수 부재(31), 들보 받침(32), 들보(33) 모두가 연결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 및 각 변형예에 있어서는, 들보 받침(32)은 생략 가 능하고, 들보(33)를 직접 현수 부재(31)에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발명에 관한 바닥-천장 구조는 상층의 바닥판과 하층의 천장판과의 사이의 바닥-천장 구조에 있어서, 서로 대략 평행하게 늘어선 상태에서 특정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바닥 동귀틀과, 이들 바닥 동귀틀과 대략 평행하게 늘어선 상태에서 상기 바닥 동귀틀을 상기 특정 방향으로부터 끼우는 위치에 배치되는 측부 동귀틀과, 상기 바닥 동귀틀을 상기 특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끼우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측부 동귀틀 및 상기 바닥 동귀틀의 단부가 고정되는 단부 동귀틀과, 상기 천장판을 현수하기 위한 천장용 빔이며 상기 단부 동귀틀에 걸쳐서 상기 측부 동귀틀과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는 천장용 빔을 구비하고, 상기 측부 동귀틀 및 상기 복수의 바닥 동귀틀로 구성되는 동귀틀군 중 적어도 1개의 동귀틀은 상기 상층 또는 하층의 벽으로 지지되어 있고, 상기 천장용 빔은 상기 벽의 근방에만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제1 발명에 관한 바닥-천장 구조에 있어서는, 측부 동귀틀 및 단부 동귀틀로 이루어지는 프레임체 내에, 바닥 동귀틀이 측부 동귀틀과 대략 평행하게 단부 동귀틀에 설치된다. 또한, 측부 동귀틀 및 단부 동귀틀로 이루어지는 프레임체 내에, 천장용 빔이 측부 동귀틀과 대략 평행하게 단부 동귀틀에 설치된다. 측부 동귀틀 및 복수의 바닥 동귀틀로 구성되는 동귀틀군 중 적어도 1개의 동귀틀이 벽에 의해 지지되고, 천장용 빔은 벽의 근방에만 설치된다.
여기서, 바닥판에 힘이 작용하여 진동이 생긴 경우, 측부 동귀틀 및 단부 동귀틀로 이루어지는 프레임체로 진동이 전달된다. 동귀틀군 중 적어도 1개의 동귀 틀이 벽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므로, 상기 프레임체에 있어서의 상기 벽에 지지되는 동귀틀에 대응하는 위치의 진동이 작아져, 그 위치로부터 이격된 개소의 진동이 커진다. 따라서, 상기 벽의 근방에만 천장용 빔을 설치함으로써, 천장용 빔의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바닥판으로부터 천장판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그 결과, 간이한 구조로 넓은 주파수 대역의 충격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특히, 중량 바닥 충격음은,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공기 전파 성분보다 고체 전파 성분의 기여도가 크기 때문에, 천장용 빔의 진동을 저감시킴으로써 큰 저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측부 동귀틀 및 상기 복수의 바닥 동귀틀로 구성되는 동귀틀군은 상기 상층 또는 하층의 제1 벽으로 지지되는 동귀틀과 이 제1 벽과 이격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상층 또는 하층의 제2 벽으로 지지되는 동귀틀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천장용 빔은 상기 제1 벽과 제2 벽 사이의 영역 내에서 각 벽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각 벽으로부터 그 근방의 상기 천장용 빔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1 벽과 제2 벽 사이의 거리의 1/4 이하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각 벽으로부터 그 근방의 천장용 빔까지의 거리가 제1 벽과 제2 벽 사이의 거리의 1/4 이하로 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어 바닥이 단부 동귀틀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1차 모드 또는 2차 모드에서 진동한 경우라도 천장용 빔이 진동의 배(진폭 최대 부분)에 배치되지 않고, 진동의 마디(진폭의 최소 부분)의 근방에 설치되므로, 바닥판으로부터 천장으로 전해지는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측부 동귀틀 및 상기 복수의 바닥 동귀틀로 구성되는 동귀틀군은 상기 상층 또는 하층의 제1 벽으로 지지되는 동귀틀과 이 제1 벽과 이격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상층 또는 하층의 제2 벽으로 지지되는 동귀틀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천장용 빔은 상기 제1 벽과 제2 벽 사이의 영역 내에서 각 벽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각 벽으로부터 그 근방의 상기 천장용 빔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1 벽과 제2 벽 사이의 거리의 1/6 이하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각 벽으로부터 그 근방의 천장용 빔까지의 거리가 제1 벽과 제2 벽 사이의 거리의 1/6 이하로 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어 바닥이 단부 동귀틀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1차, 2차 또는 3차 모드에서 진동한 경우라도 천장용 빔이 진동의 배(진폭 최대 부분)에 배치되지 않고, 진동의 마디(진폭의 최소 부분)의 근방에 설치되므로, 바닥판으로부터 천장으로 전해지는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측부 동귀틀 및 상기 복수의 바닥 동귀틀로 구성되는 동귀틀군은 상기 상층 또는 하층의 제1 벽으로 지지되는 동귀틀과 이 제1 벽과 이격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상층 또는 하층의 제2 벽으로 지지되는 동귀틀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천장용 빔은 상기 제1 벽과 제2 벽 사이의 영역 내에서 각 벽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각 벽으로부터 그 근방의 상기 천장용 빔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1 벽과 제2 벽 사이의 거리의 1/8 이하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각 벽으로부터 그 근방의 천장용 빔까지의 거리가 제1 벽과 제2 벽 사이의 거리의 1/8 이하로 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어 바닥이 단부 동귀틀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1차 내지 4차 모드에서 진동한 경우라도 천장용 빔이 진동의 배(진폭 최대 부분)에 배치되지 않고, 진동의 마디(진폭의 최소 부분)의 근방에 설치되 므로, 바닥판으로부터 천장으로 전해지는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벽과 제2 벽 사이에는 적어도 5개의 바닥 동귀틀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천장용 빔은 상기 각 벽으로부터 2개째의 바닥 동귀틀까지의 범위 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벽에 근접한 위치에 천장용 빔이 설치되므로, 바닥판의 큰 진폭이 천장판으로 전달되지 않아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제2 발명에 관한 바닥-천장 구조는 상층의 바닥판과 하층의 천장판과의 사이의 바닥-천장 구조에 있어서, 서로 대략 평행하게 늘어선 상태에서 특정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바닥 동귀틀과, 이들 바닥 동귀틀과 대략 평행하게 늘어선 상태에서 상기 바닥 동귀틀을 상기 특정 방향으로부터 끼우는 위치에 배치되는 측부 동귀틀과, 상기 바닥 동귀틀을 상기 특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끼우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측부 동귀틀 및 상기 바닥 동귀틀의 단부가 고정되는 단부 동귀틀과, 상기 단부 동귀틀로부터 상기 천장판을 현수하기 위한 천장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측부 동귀틀 및 상기 복수의 바닥 동귀틀로 구성되는 동귀틀군 중 적어도 1개의 동귀틀은 상기 상층 또는 하층의 벽으로 지지되어 있고, 상기 천장 지지부는 상기 단부 동귀틀에 걸쳐서 배치되는 천장용 빔과, 이 천장용 빔에 수직 설치되는 현수 부재와, 이 현수 부재에 설치되는 들보 받침과, 이 들보 받침에 설치되어 상기 천장판이 고정되는 들보를 갖고, 상기 벽의 근방 이외의 영역에는 상기 천장용 빔, 현수 부재, 들보 받침, 들보 중 적어도 1개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것이다.
제2 발명에 관한 바닥-천장 구조에 있어서는, 측부 동귀틀 및 단부 동귀틀로 이루어지는 프레임체 내에 바닥 동귀틀이 측부 동귀틀과 대략 평행하게 단부 동귀틀에 설치된다. 또한, 측부 동귀틀 및 단부 동귀틀로 이루어지는 프레임체 내에, 천장 지지부가 단부 동귀틀에 설치된다. 측부 동귀틀 및 복수의 바닥 동귀틀로 구성되는 동귀틀군 중 적어도 1개의 동귀틀이 벽에 지지되어 있고, 또한 천장 지지부는 천장용 빔, 현수 부재, 들보 받침, 들보를 포함하고, 벽의 근방 이외의 영역에 있어서 천장용 빔, 현수 부재, 들보 받침, 들보 중 적어도 1개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여기서, 바닥판에 힘이 작용하여 진동이 생긴 경우, 측부 동귀틀 및 단부 동귀틀로 이루어지는 프레임체로 진동이 전달된다. 동귀틀군 중 적어도 1개의 동귀틀이 벽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상기 프레임체에 있어서의 상기 벽에 지지되는 동귀틀에 대응하는 위치의 진동이 작아져, 그 위치로부터 이격된 개소의 진동이 커진다. 따라서, 상기 벽의 근방 이외의 영역에 천장 지지부를 구성하는 천장용 빔, 현수 부재, 들보 받침, 들보 중 적어도 1개를 설치하지 않음으로써, 바닥판으로부터 천장판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간이한 구조로 넓은 주파수 대역의 충격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특히, 중량 바닥 충격음은,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공기 전파 성분보다 고체 전파 성분의 기여도가 크기 때문에, 진폭이 큰 부분에 천장용 빔, 현수 부재, 들보 받침, 들보 중 적어도 1개를 설치하지 않고 진동을 저감시킴으로써 큰 저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3 발명에 관한 바닥-천장 구조는 상층의 바닥판과 하층의 천장판과의 사이의 바닥-천장 구조에 있어서, 서로 대략 평행하게 늘어선 상태에서 특정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바닥 동귀틀과, 이들 바닥 동귀틀과 대략 평행하게 늘어선 상태에서 상기 바닥 동귀틀을 상기 특정 방향으로부터 끼우는 위치에 배치되는 측부 동귀틀과, 상기 바닥 동귀틀을 상기 특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끼우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측부 동귀틀 및 상기 바닥 동귀틀의 단부가 고정되는 단부 동귀틀과, 상기 단부 동귀틀로부터 상기 천장판을 현수하기 위한 천장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측부 동귀틀 및 상기 복수의 바닥 동귀틀로 구성되는 동귀틀군 중 적어도 1개의 동귀틀은 상기 상층 또는 하층의 벽으로 지지되어 있고, 상기 천장 지지부는 상기 단부 동귀틀에 걸쳐서 배치되는 천장용 빔과, 이 천장용 빔에 수직 설치되는 현수 부재와, 이 현수 부재에 설치되는 들보 받침과, 이 들보 받침에 설치되어 상기 천장판이 고정되는 들보를 갖고, 상기 벽의 근방 이외의 영역에서는 상기 천장용 빔, 현수 부재, 들보 받침, 들보 중 적어도 1개가 그 외의 것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것이다.
제3 발명에 관한 바닥-천장 구조에 있어서는, 측부 동귀틀 및 단부 동귀틀로 이루어지는 프레임체 내에 바닥 동귀틀이 측부 동귀틀과 대략 평행하게 단부 동귀틀에 설치된다. 또한, 측부 동귀틀 및 단부 동귀틀로 이루어지는 프레임체 내에, 천장 지지부가 단부 동귀틀에 설치된다. 측부 동귀틀 및 복수의 바닥 동귀틀로 구성되는 동귀틀군 중 적어도 1개의 동귀틀이 벽에 지지된다. 또한, 천장 지지부는 천장용 빔, 현수 부재, 들보 받침, 들보를 포함하고, 벽의 근방 이외의 영역에 있어서 천장용 빔, 현수 부재, 들보 받침, 들보 중 적어도 1개가 그 외의 것에 연결되어 있지 않다.
여기서, 바닥판에 힘이 가해져 진동이 생긴 경우, 측부 동귀틀 및 단부 동귀틀로 이루어지는 프레임체로 진동이 전달된다. 동귀틀군 중 적어도 1개의 동귀틀이 벽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상기 프레임체에 있어서의 상기 벽에 지지되는 동귀틀에 대응하는 위치의 진동이 작아져, 그 위치로부터 이격된 개소의 진동이 커진다. 따라서, 상기 벽의 근방 이외의 영역에서는 천장 지지부를 구성하는 천장용 빔, 현수 부재, 들보 받침, 들보 중 적어도 1개를 그 외의 것에 연결시키지 않음으로써, 바닥판으로부터 천장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간이한 구조로 넓은 주파수 대역의 충격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특히, 중량 바닥 충격음은,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공기 전파 성분보다 고체 전파 성분의 기여도가 크기 때문에, 진폭이 큰 부분에 있어서, 천장용 빔, 현수 부재, 들보 받침, 들보 중 적어도 1개를 그 외의 것에 연결시키지 않고 진동을 저감시킴으로써 큰 저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4 발명에 관한 바닥-천장 구조는 상층의 바닥판과 하층의 천장판과의 사이의 바닥-천장 구조에 있어서, 서로 대략 평행하게 늘어선 상태에서 특정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바닥 동귀틀과, 이들 바닥 동귀틀과 대략 평행하게 늘어선 상태에서 상기 바닥 동귀틀을 상기 특정 방향으로부터 끼우는 위치에 배치되는 측부 동귀틀과, 상기 바닥 동귀틀을 상기 특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끼우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측부 동귀틀 및 상기 바닥 동귀틀의 단부가 고정되는 단부 동귀틀과, 상기 단부 동귀틀로부터 상기 천장판을 현수하기 위한 천장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측부 동귀틀 및 상기 복수의 바닥 동귀틀로 구성되는 동귀틀군 중 적어도 1개의 동귀틀은 상기 상층 또는 하층의 벽으로 지지되어 있고, 상기 천장 지지부는 상기 단부 동귀틀에 걸쳐서 배치되는 천장용 빔과, 이 천장용 빔에 수직 설치되는 현수 부재와, 이 현수 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천장판이 고정되는 들보를 갖고, 상기 벽의 근방 이외의 영역에는 상기 천장용 빔, 현수 부재, 들보 중 적어도 1개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것이다.
제4 발명에 관한 바닥-천장 구조에 있어서는, 측부 동귀틀 및 단부 동귀틀로 이루어지는 프레임체 내에 바닥 동귀틀이 측부 동귀틀과 대략 평행하게 단부 동귀틀에 설치된다. 또한, 측부 동귀틀 및 단부 동귀틀로 이루어지는 프레임체 내에, 천장 지지부가 단부 동귀틀에 설치된다. 측부 동귀틀 및 복수의 바닥 동귀틀로 구성되는 동귀틀군 중 적어도 1개의 동귀틀이 벽에 지지된다. 또한, 천장 지지부는 천장용 빔, 현수 부재, 들보를 포함하고, 벽의 근방 이외의 영역에 있어서 천장용 빔, 현수 부재, 들보 중 적어도 1개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여기서, 바닥판에 힘이 작용하여 진동이 생긴 경우, 측부 동귀틀 및 단부 동귀틀로 이루어지는 프레임체로 진동이 전달된다. 동귀틀군 중 적어도 1개의 동귀틀이 벽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상기 프레임체에 있어서의 상기 벽에 지지되는 동귀틀에 대응하는 위치의 진동이 작아져, 그 위치로부터 이격된 개소의 진동이 커진다. 따라서, 상기 벽의 근방 이외의 영역에 천장 지지부를 구성하는 천장용 빔, 현수 부재, 들보 중 적어도 1개를 설치하지 않음으로써, 바닥판으로부터 천장판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간이한 구조로 넓은 주파수 대역의 충격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특히, 중량 바닥 충격음은,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공기 전파 성분보다 고체 전파 성분의 기여도가 크기 때문에, 진폭이 큰 부분에 천장용 빔, 현수 부재, 들보 중 적어도 1개를 설치하지 않고 진동을 저감시킴으로써 큰 저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5 발명에 관한 바닥-천장 구조는 상층의 바닥판과 하층의 천장판과의 사이의 바닥-천장 구조에 있어서, 서로 대략 평행하게 늘어선 상태에서 특정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바닥 동귀틀과, 이들 바닥 동귀틀과 대략 평행하게 늘어선 상태에서 상기 바닥 동귀틀을 상기 특정 방향으로부터 끼우는 위치에 배치되는 측부 동귀틀과, 상기 바닥 동귀틀을 상기 특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끼우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측부 동귀틀 및 상기 바닥 동귀틀의 단부가 고정되는 단부 동귀틀과, 상기 단부 동귀틀로부터 상기 천장판을 현수하기 위한 천장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측부 동귀틀 및 상기 복수의 바닥 동귀틀로 구성되는 동귀틀군 중 적어도 1개의 동귀틀은 상기 상층 또는 하층의 벽으로 지지되어 있고, 상기 천장 지지부는 상기 단부 동귀틀에 걸쳐서 배치되는 천장용 빔과, 이 천장용 빔에 수직 설치되는 현수 부재와, 이 현수 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천장판이 고정되는 들보를 갖고, 상기 벽의 근방 이외의 영역에서는 상기 천장용 빔, 현수 부재, 들보 중 적어도 1개가 그 외의 것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것이다.
제5 발명에 관한 바닥-천장 구조에 있어서는, 측부 동귀틀 및 단부 동귀틀로 이루어지는 프레임체 내에 바닥 동귀틀이 측부 동귀틀과 대략 평행하게 단부 동귀틀에 설치된다. 또한, 측부 동귀틀 및 단부 동귀틀로 이루어지는 프레임체 내에, 천장 지지부가 단부 동귀틀에 설치된다. 측부 동귀틀 및 복수의 바닥 동귀틀로 구 성되는 동귀틀군 중 적어도 1개의 동귀틀이 벽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천장 지지부는 천장용 빔, 현수 부재, 들보를 포함하고, 벽의 근방 이외의 영역에 있어서 천장용 빔, 현수 부재, 들보 중 적어도 1개가 그 외의 것에 연결되어 있지 않다.
여기서, 바닥판에 힘이 가해져 진동이 생긴 경우, 측부 동귀틀 및 단부 동귀틀로 이루어지는 프레임체로 진동이 전달된다. 동귀틀군 중 적어도 1개의 동귀틀이 벽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상기 프레임체에 있어서의 상기 벽에 지지되는 동귀틀에 대응하는 위치의 진동이 작아져, 그 위치로부터 이격된 개소의 진동이 커진다. 따라서, 상기 벽의 근방 이외의 영역에서는 천장 지지부를 구성하는 천장용 빔, 현수 부재, 들보 받침, 들보 중 적어도 1개를 그 외의 것에 연결시키지 않음으로써, 바닥판으로부터 천장판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간이한 구조로 넓은 주파수 대역의 충격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특히, 중량 바닥 충격음은,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공기 전파 성분보다 고체 전파 성분의 기여도가 크기 때문에, 진폭이 큰 부분에 있어서, 천장용 빔, 현수 부재, 들보 중 적어도 1개를 그 외의 것에 연결시키지 않고 진동을 저감시킴으로써 큰 저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9)
- 상층의 바닥판과 하층의 천장판과의 사이의 바닥-천장 구조에 있어서,서로 대략 평행하게 늘어선 상태에서 특정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바닥 동귀틀과, 이들 바닥 동귀틀과 대략 평행하게 늘어선 상태에서 상기 바닥 동귀틀을 상기 특정 방향으로부터 끼우는 위치에 배치되는 측부 동귀틀과, 상기 바닥 동귀틀을 상기 특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끼우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측부 동귀틀 및 상기 바닥 동귀틀의 단부가 고정되는 단부 동귀틀과, 상기 천장판을 현수하기 위한 천장용 빔이며 상기 단부 동귀틀에 걸쳐서 상기 측부 동귀틀과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는 천장용 빔을 구비하고,상기 측부 동귀틀 및 상기 복수의 바닥 동귀틀로 구성되는 동귀틀군 중 적어도 1개의 동귀틀은 상기 상층 또는 하층의 벽으로 지지되어 있고,상기 천장용 빔은 상기 벽의 근방에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천장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 동귀틀 및 상기 복수의 바닥 동귀틀로 구성되는 동귀틀군은 상기 상층 또는 하층의 제1 벽으로 지지되는 동귀틀과 이 제1 벽과 이격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상층 또는 하층의 제2 벽으로 지지되는 동귀틀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천장용 빔은 상기 제1 벽과 제2 벽 사이의 영역 내에서 각 벽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고,상기 각 벽으로부터 그 근방의 상기 천장용 빔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1 벽과 제2 벽 사이의 거리의 1/4 이하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천장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 동귀틀 및 상기 복수의 바닥 동귀틀로 구성되는 동귀틀군은 상기 상층 또는 하층의 제1 벽으로 지지되는 동귀틀과 이 제1 벽과 이격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상층 또는 하층의 제2 벽으로 지지되는 동귀틀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천장용 빔은 상기 제1 벽과 제2 벽 사이의 영역 내에서 각 벽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고,상기 각 벽으로부터 그 근방의 상기 천장용 빔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1 벽과 제2 벽 사이의 거리의 1/6 이하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천장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 동귀틀 및 상기 복수의 바닥 동귀틀로 구성되는 동귀틀군은 상기 상층 또는 하층의 제1 벽으로 지지되는 동귀틀과 이 제1 벽과 이격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상층 또는 하층의 제2 벽으로 지지되는 동귀틀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천장용 빔은 상기 제1 벽과 제2 벽 사이의 영역 내에서 각 벽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고,상기 각 벽으로부터 그 근방의 상기 천장용 빔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1 벽과 제2 벽 사이의 거리의 1/8 이하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천장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 동귀틀 및 상기 복수의 바닥 동귀틀로 구성되는 동귀틀군은 상기 상층 또는 하층의 제1 벽으로 지지되는 동귀틀과 이 제1 벽과 이격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상층 또는 하층의 제2 벽으로 지지되는 동귀틀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천장용 빔은 상기 제1 벽과 제2 벽 사이의 영역 내에서 각 벽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고,상기 제1 벽과 제2 벽 사이에는 적어도 5개의 바닥 동귀틀이 배치되어 있고,상기 천장용 빔은 상기 각 벽으로부터 2개째의 바닥 동귀틀까지의 범위 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천장 구조.
- 상층의 바닥판과 하층의 천장판과의 사이의 바닥-천장 구조에 있어서,서로 대략 평행하게 늘어선 상태에서 특정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바닥 동귀틀과, 이들 바닥 동귀틀과 대략 평행하게 늘어선 상태에서 상기 바닥 동귀틀을 상기 특정 방향으로부터 끼우는 위치에 배치되는 측부 동귀틀과, 상기 바닥 동귀틀을 상기 특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끼우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측부 동귀틀 및 상기 바닥 동귀틀의 단부가 고정되는 단부 동귀틀과, 상기 단부 동귀틀로부터 상기 천장판을 현수하기 위한 천장 지지부를 구비하고,상기 측부 동귀틀 및 상기 복수의 바닥 동귀틀로 구성되는 동귀틀군 중 적어도 1개의 동귀틀은 상기 상층 또는 하층의 벽으로 지지되어 있고,상기 천장 지지부는 상기 단부 동귀틀에 걸쳐서 배치되는 천장용 빔과, 이 천장용 빔에 수직 설치되는 현수 부재와, 이 현수 부재에 설치되는 들보 받침과, 이 들보 받침에 설치되어 상기 천장판이 고정되는 들보를 갖고,상기 벽의 근방 이외의 영역에는 상기 천장용 빔, 현수 부재, 들보 받침, 들보 중 적어도 1개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천장 구조.
- 상층의 바닥판과 하층의 천장판과의 사이의 바닥-천장 구조에 있어서,서로 대략 평행하게 늘어선 상태에서 특정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바닥 동귀틀과, 이들 바닥 동귀틀과 대략 평행하게 늘어선 상태에서 상기 바닥 동귀틀을 상기 특정 방향으로부터 끼우는 위치에 배치되는 측부 동귀틀과, 상기 바닥 동귀틀을 상기 특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끼우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측부 동귀틀 및 상기 바닥 동귀틀의 단부가 고정되는 단부 동귀틀과, 상기 단부 동귀틀로부터 상기 천장판을 현수하기 위한 천장 지지부를 구비하고,상기 측부 동귀틀 및 상기 복수의 바닥 동귀틀로 구성되는 동귀틀군 중 적어도 1개의 동귀틀은 상기 상층 또는 하층의 벽으로 지지되어 있고,상기 천장 지지부는 상기 단부 동귀틀에 걸쳐서 배치되는 천장용 빔과, 이 천장용 빔에 수직 설치되는 현수 부재와, 이 현수 부재에 설치되는 들보 받침과, 이 들보 받침에 설치되어 상기 천장판이 고정되는 들보를 갖고,상기 벽의 근방 이외의 영역에서는 상기 천장용 빔, 현수 부재, 들보 받침, 들보 중 적어도 1개가 그 외의 것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천장 구조.
- 상층의 바닥판과 하층의 천장판과의 사이의 바닥-천장 구조에 있어서,서로 대략 평행하게 늘어선 상태에서 특정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바닥 동귀틀과, 이들 바닥 동귀틀과 대략 평행하게 늘어선 상태에서 상기 바닥 동귀틀을 상기 특정 방향으로부터 끼우는 위치에 배치되는 측부 동귀틀과, 상기 바닥 동귀틀을 상기 특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끼우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측부 동귀틀 및 상기 바닥 동귀틀의 단부가 고정되는 단부 동귀틀과, 상기 단부 동귀틀로부터 상기 천장판을 현수하기 위한 천장 지지부를 구비하고,상기 측부 동귀틀 및 상기 복수의 바닥 동귀틀로 구성되는 동귀틀군 중 적어도 1개의 동귀틀은 상기 상층 또는 하층의 벽으로 지지되어 있고,상기 천장 지지부는 상기 단부 동귀틀에 걸쳐서 배치되는 천장용 빔과, 이 천장용 빔에 수직 설치되는 현수 부재와, 이 현수 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천장판이 고정되는 들보를 갖고,상기 벽의 근방 이외의 영역에는 상기 천장용 빔, 현수 부재, 들보 중 적어도 1개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천장 구조.
- 상층의 바닥판과 하층의 천장판과의 사이의 바닥-천장 구조에 있어서,서로 대략 평행하게 늘어선 상태에서 특정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바닥 동귀틀과, 이들 바닥 동귀틀과 대략 평행하게 늘어선 상태에서 상기 바닥 동귀틀을 상기 특정 방향으로부터 끼우는 위치에 배치되는 측부 동귀틀과, 상기 바닥 동귀틀을 상기 특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끼우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측부 동귀틀 및 상기 바닥 동귀틀의 단부가 고정되는 단부 동귀틀과, 상기 단부 동귀틀로 부터 상기 천장판을 현수하기 위한 천장 지지부를 구비하고,상기 측부 동귀틀 및 상기 복수의 바닥 동귀틀로 구성되는 동귀틀군 중 적어도 1개의 동귀틀은 상기 상층 또는 하층의 벽으로 지지되어 있고,상기 천장 지지부는 상기 단부 동귀틀에 걸쳐서 배치되는 천장용 빔과, 이 천장용 빔에 수직 설치되는 현수 부재와, 이 현수 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천장판이 고정되는 들보를 갖고,상기 벽의 근방 이외의 영역에서는 상기 천장용 빔, 현수 부재, 들보 중 적어도 1개가 그 외의 것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천장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5-00234637 | 2005-08-12 | ||
JP2005234637 | 2005-08-12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37706A true KR20080037706A (ko) | 2008-04-30 |
Family
ID=37757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7005869A KR20080037706A (ko) | 2005-08-12 | 2006-08-08 | 바닥-천장 구조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KR (1) | KR20080037706A (ko) |
CN (1) | CN101238258B (ko) |
TW (1) | TW200716833A (ko) |
WO (1) | WO2007020841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8003334A (ja) * | 2016-06-29 | 2018-01-11 | 新日鐵住金株式会社 | 木鋼合成床構造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352195B2 (ja) * | 2008-11-11 | 2013-11-27 | トヨタホーム株式会社 | 建物ユニット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855491B2 (ja) * | 1991-07-19 | 1999-02-10 | 東急建設株式会社 | 遮音床構造 |
JPH0754437A (ja) * | 1993-08-19 | 1995-02-28 | Sumitomo Forestry Co Ltd | 天井構造 |
JPH07158188A (ja) * | 1993-12-03 | 1995-06-20 | Misawa Homes Co Ltd | 天井兼用床パネル構造 |
JP4161041B2 (ja) * | 2002-09-26 | 2008-10-08 | 住友林業株式会社 | 天井構造 |
-
2006
- 2006-08-08 KR KR1020087005869A patent/KR2008003770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6-08-08 CN CN2006800291458A patent/CN101238258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6-08-08 WO PCT/JP2006/315670 patent/WO2007020841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6-08-11 TW TW095129691A patent/TW200716833A/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8003334A (ja) * | 2016-06-29 | 2018-01-11 | 新日鐵住金株式会社 | 木鋼合成床構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1238258A (zh) | 2008-08-06 |
TW200716833A (en) | 2007-05-01 |
TWI322214B (ko) | 2010-03-21 |
WO2007020841A1 (ja) | 2007-02-22 |
CN101238258B (zh) | 2010-12-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104764B2 (ja) | 建物の天井構造 | |
JP2018028177A (ja) | ダイナミックダンパー及び天井 | |
KR20080037706A (ko) | 바닥-천장 구조 | |
JP2002106099A (ja) | 衝撃音を低減する床構造 | |
JP2006070494A (ja) | 床構造 | |
JP4723435B2 (ja) | 床‐天井構造 | |
JP4231471B2 (ja) | 天井構造 | |
JP4930183B2 (ja) | 制振床構造 | |
JP5383598B2 (ja) | 建物 | |
JPH10183849A (ja) | 防音天井構造 | |
JP4441455B2 (ja) | 橋梁の防音装置 | |
JP4623513B2 (ja) | 面材の遮音下地構造 | |
JP6309314B2 (ja) | 天井構造 | |
JP4366492B2 (ja) | 天井構造 | |
JP2007205152A (ja) | 遮音二重床構造 | |
JP4560733B2 (ja) | 木質系住宅の床構造 | |
KR100691518B1 (ko) | 캔틸레버식 다중동조질량감쇠기를 이용한 천정바닥 부착형층간소음 저감장치 | |
JP4867871B2 (ja) | 遮音床構造 | |
JP2004218413A (ja) | 床構造 | |
JP2024042356A (ja) | 床構造 | |
JPH0369746A (ja) | 床構造体 | |
JP2011137288A (ja) | 建物 | |
KR101086318B1 (ko) | 층간 소음 저감용 달대기구 | |
JP2000352144A (ja) | 防音天井構造 | |
JP5757021B2 (ja) | 面板取付部材と内装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