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6989A - 폴리에틸렌 조성물 - Google Patents

폴리에틸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6989A
KR20080036989A KR1020087001262A KR20087001262A KR20080036989A KR 20080036989 A KR20080036989 A KR 20080036989A KR 1020087001262 A KR1020087001262 A KR 1020087001262A KR 20087001262 A KR20087001262 A KR 20087001262A KR 20080036989 A KR20080036989 A KR 200800369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ecular weight
weight component
composition
low molecular
high molec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1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니바캄 제이 샨케르나라야난
마이클 더블유 린취
Original Assignee
에퀴스타 케미칼즈, 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퀴스타 케미칼즈, 엘피 filed Critical 에퀴스타 케미칼즈, 엘피
Publication of KR20080036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6989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06Properties of polyethylene
    • C08L2207/07Long chain branch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Transition And Organic Metals Composition Catalysts For Addition Polymerization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 조성물을 개시한다. 상기 조성물은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성분 및 저분자량 폴리에틸렌 성분을 포함한다. 저분자량 성분에는 장쇄 분지들이 집중되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장쇄 분지들이 고분자량 성분에 집중되어 있는 것과 비교하여 탁월한 유변학적 및 물리적 특성을 나타낸다.

Description

폴리에틸렌 조성물{POLYETHYLENE COMPOSITIONS}
본 발명은 목표로 하는 장쇄 분지도를 갖는 폴리에틸렌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장쇄 분지가 저분자량 성분에 집중되어 있는 폴리에틸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고분자 폴리에틸렌은 개선된 기계적 특성을 가지나 가공이 어려울 수 있다. 다른 한편, 저분자량 폴리에틸렌은 개선된 가공 특성을 가지나 기계적 특성이 만족스럽지 못하다. 따라서, 이중 모드(bimodal) 또는 다중 모드(multimodal) 분자량 분포를 갖는 폴리에틸렌이 바람직한데, 이들이 고분자량 성분의 유리한 기계적 특성과 저분자량 성분의 개선된 가공 특성을 겸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중 모드 폴리에틸렌의 제조 방법은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지글러(Ziegler) 촉매는 2 이상의 반응기를 직렬로 사용하여 이중 모드 또는 다중 모드 폴리에틸렌을 제조하는 데 이용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제1 반응기에서, 높은 수소 농도 하에 저분자량 에틸렌 단독중합체가 형성된다. 수소는, 생성물이 제2 반응기로 이송되기 전에 제1 반응기로부터 제거된다. 제2 반응기에서, 고분자량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가 제조된다.
다중 모드 폴리에틸렌의 제조에 메탈로센 또는 단일 활성점(single-site) 촉 매를 사용하는 것 역시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6,861,415호는 다중 촉매계를 교시한다. 상기 촉매계는 촉매 A 및 촉매 B를 포함한다. 촉매 A는 지지된 가교형 인데노인돌릴 전이 금속 착체를 포함한다. 촉매 B는 지지된 비가교형 인데노인돌릴 전이 금속 착체를 포함한다. 상기 촉매계는 이중 모드 또는 다중 모드 분자량 분포를 갖는 폴리에틸렌을 생성한다.
또한, 장쇄 분지를 증가시켜 폴리에틸렌 가공 특성을 개선할 수 있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WO 93/08221호는 기하 구속(constrained-geometry) 단일 활성점 촉매를 사용하여 폴리에틸렌 내의 장쇄 분지의 농도를 증가시키는 방법을 교시한다. 미국 특허 제6,583,240호는 보라아릴 리간드를 함유하는 단일 활성점 촉매를 사용하는, 장쇄 분지가 증가된 폴리에틸렌의 제조 방법을 교시한다.
장쇄 분지가 고분자량 성분에 위치하는, 다중 모드 폴리에틸렌은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WO 03/037941호는 2-단계 공정을 교시한다. 제1 단계에서, 고분자량 및 높은 장쇄 분지도를 갖는 폴리에틸렌이 제조된다. 제2 단계에서 제조된 폴리에틸렌은 분자량이 더 낮고 장쇄 분지를 실질적으로 갖지 않는다.
고분자량 성분에 장쇄 분지를 배치하는 것은 가공 특성이 개선된 다중 모드 폴리에틸렌을 제공할 수 있긴 하나,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다중 모드 폴리에틸렌이 환경 응력 균열에 대한 내성과 같은 바람직한 기계적 특성이 더 부족함을 발견하였다. 신규한 다중 모드 폴리에틸렌이 필요하다. 이상적으로는, 다중 모드 폴리에틸렌은 개선된 가공 특성 및 기계적 특성 모두를 가질 수 있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목표로 하는 장쇄 분지도를 갖는 폴리에틸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폴리에틸렌 조성물은 고분자량 성분 및 저분자량 성분을 포함한다. 저분자량 성분은 장쇄 분지의 농도가 더 높다. 상기 조성물은 탁월한 가공 특성 및 기계적 특성을 갖는다.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 조성물은,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성분 및 저분자량 폴리에틸렌 성분을 포함한다. 저분자량 성분은 더 높은 농도의 장쇄 분지를 함유한다.
분자량 및 분자량 분포는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로 측정할 수 있다. 대안으로, 분자량 및 분자량 분포는 용융 지수(melt index)로 표시할 수 있다. 용융 지수(MI2)는, 분자량 및 용융 유동비(Melt Flow Ratio; MFR)를 측정하여 분자량 분포를 측정하는 데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더 큰 MI2는 더 낮은 분자량을 나타낸다. 더 큰 MFR은 더 넓은 분자량 분포를 나타낸다. MFR은 MI2에 대한 고하중 용융 지수(High-Load Melt Index; HLMI)의 비율이다. MI2 및 HLMI는 ASTM D-1238에 따라 측정할 수 있다. MI2는 2.16 kg 압력 하에 19O℃에서 측정한다. HLMI는 21.6 kg 압력 하에 19O℃에서 측정한다.
바람직하게는, 고분자량 성분은 MI2가 0.5 dg/min 미만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고분자량 성분은 MI2가 0.01∼0.5 dg/min 범위 내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고분자량 성분은 MI2가 0.01∼0.1 dg/min 범위 내이다.
바람직하게는, 저분자량 성분은 MI2가 0.5 dg/min 이상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저분자량 성분은 MI2가 0.5∼500 dg/min 범위 내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저분자량 성분은 MI2가 0.5∼50 dg/min 범위 내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조성물은 다중 모드 분자량 분포를 갖는다. "다중 모드 분자량 분포"로, 본 발명자들은 조성물이 2 이상의 피크 분자량을 갖는 것을 나타내고자 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조성물은 이중 모드 분자량 분포를 갖는다.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 조성물은 저분자량 성분 상에 더 높은 농도의 장쇄 분지들을 갖는다. 장쇄 분지도는 NMR, 3D-GPC 및 유변학적 방법(rheology)으로 측정할 수 있다. NMR은 직접 분지의 개수를 측정하나, 6 개 이상의 탄소로 이루어진 분지들을 구별하지 못한다. 광산란 검출 및 고유 점도를 이용한 3D-GPC는 모든 분지들이 주어진 회전 반경에서 질량을 실질적으로 증가시킨다는 것을 설명할 수 있다. 유변학적 방법은 낮은 장쇄 분지도를 검출하는 데 특히 적합하다.
장쇄 분지의 농도는 장쇄 분지 지수(Long Chain Branch Index; LCBI)로 측정할 수 있다. LCBI는 낮은 장쇄 분지도의 특성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유변학적 지수이다. LCBI는 하기 식으로 정의된다:
Figure 112008003681213-PCT00001
상기 식에서, η0은 19O℃에서의 제한적인 영점 전단 점도(푸아즈)이고, [η]은 135℃의 트리클로로벤젠에서의 고유 점도(dL/g)이다. LCBI는, 다른 선형 중합체에서 낮은 장쇄 분지도에 기인하여 고유 점도([η])의 변화없이 용융 점도(η0)가 크게 증가한다는 관찰에 입각한다. 문헌[R. N. Shroff 및 H. Mavridis, "Long-Chain-Branching Index for Essentially Linear Polyethylenes," Macromolecules, Vol. 32 (25), pp. 8454-8464 (1999)]을 참조하라. 더 높은 LCBI는 중합체 쇄당 장쇄 분지의 수가 더 많음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고분자량 성분은 LCBI가 0.5 미만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고분자량 성분은 실질적으로 장쇄 분지를 갖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저분자량 성분은 LCBI가 0.5 이상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저분자량 성분은 LCBI가 0.5∼1.0 범위 내이다.
바람직한 고분자량 성분은 티타늄계 지글러 촉매를 사용하여 제조한 폴리에틸렌을 포함한다. 적합한 지글러 촉매는 티타늄 할라이드, 티타늄 알콕시드, 및 이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지글러 촉매에 적합한 활성화제는 트리알킬알루미늄 화합물 및 디알킬알루미늄 할라이드, 예컨대 트리에틸알루미늄, 트리메틸알루미늄, 디에틸 알루미늄 클로라이드 등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고분자량 성분은 비가교형 인데노인돌릴 전이 금속 착체를 사용하여 제조하는 단일 활성점 폴리에틸렌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비가교형 인데노인돌릴 전이 금속 착체는 하기의 일반 구조를 갖는다:
Figure 112008003681213-PCT00002
R은 알킬, 아릴, 아르알킬, 보릴 및 실릴 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M은 4∼6족 전이 금속이며, L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시클로펜타디에닐, 인데닐, 플루오르에닐, 보라아릴, 피롤릴, 아자보롤리닐, 퀴놀리닐, 인데노인돌릴 및 포스핀이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X는 알킬, 아릴, 알콕시, 아릴옥시, 할라이드, 디알킬아미노 및 실록시 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며, n은 M의 원자가를 충족시키고, 나머지 고리 원자 중 1 이상은 알킬, 아릴, 아르알킬, 알킬아릴, 실릴, 할로겐, 알콕시, 아릴옥시, 실록시, 니트로, 디알킬 아미노, 또는 디아릴 아미노 기로 임의로 치환된다.
바람직한 저분자량 성분은 자유 라디칼 중합으로 제조하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 LDPE)을 포함한다. LDPE의 제조 방법은 업계에 널리 공지되어 있다. LDPE는 분지형 구조를 갖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바람직한 저분자량 성분은, 슬러리 또는 기상 공정으로 크로뮴 촉매를 사용하여 제조한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한다. 크로뮴 촉매는 공지되어 있다. 미국 특허 6,632,896호를 참조하라. 슬러리 및 기상 공정으로 제조한 크로뮴 폴리에틸렌은 장쇄 분지형 구조를 갖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는 반면, 용액 공정으로 제조한 크로뮴 폴리에틸렌은 실질적으로 선형이다.
바람직한 저분자량 성분은 바나듐계 지글러 촉매를 사용하여 제조한 폴리에틸렌을 포함한다. 바나듐계 지글러 촉매는 공지되어 있다. 미국 특허 5,534,472호를 참조하라. 바나듐계 지글러 폴리에틸렌은 장쇄 분지형 구조를 갖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바람직한 저분자량 성분은 가교형 인데노인돌릴 전이 금속 착체를 사용하여 제조하는 단일 활성점 폴리에틸렌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착체는 하기 화학식 I, II, III 또는 IV의 일반 구조를 갖는다:
Figure 112008003681213-PCT00003
Figure 112008003681213-PCT00004
Figure 112008003681213-PCT00005
Figure 112008003681213-PCT00006
M은 전이 금속이고, G는 디알킬실릴, 디아릴실릴, 메틸렌, 에틸렌, 이소프로필리덴 및 디페닐메틸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가교기(bridge group)이며, L은 G 및 M에 공유 결합된 리간드이고, R은 알킬, 아릴, 아르알킬, 보릴 및 실릴 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며, X는 알킬, 아릴, 알콕시, 아릴옥시, 할라이드, 디알킬아미노 및 실록시 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n은 M의 원자가를 충족시키며, 나머지 고리 원자 중 1 이상은 알킬, 아릴, 아르알킬, 알킬아릴, 실릴, 할로겐, 알콕시, 아릴옥시, 실록시, 니트로, 디알킬 아미노, 또는 디아릴 아미노 기로 임의로 독립적으로 치환된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조성물은 슬러리 또는 기상 공정으로, 티타늄계 지글러 촉매를 사용하여 제조한 고분자량의 고밀도 폴리에틸렌 및 크로뮴 촉매를 사용하여 제조한 저분자량의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조성물은 티타늄계 지글러 촉매를 사용하여 제조한 고분자량의 고밀도 폴리에틸렌 및 가교형 인데노인돌릴 전이 금속 착체를 포함하는 단일 활성점 촉매를 사용하여 제조한 저분자량의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 조성물은 고분자량 성분과 저분자량 성분을 열적으로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혼합은 압출기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블렌딩 장치에서 실시할 수 있다.
폴리에틸렌 조성물은 병렬식 다중 반응기 공정으로 제조할 수 있다. 2-반응기 공정을 예로 든다. 고분자량 성분을 한 반응기에서 제조하고, 저분자량 성분을 다른 반응기에서 제조한다. 해교에 앞서 상기 두 중합체를 다른 하나의 반응기 또는 제3의 반응기에서 혼합한다.
폴리에틸렌 조성물은 연속 다중 반응기 공정으로 제조할 수 있다. 2-반응기 연속 공정을 예로 든다. 저분자량 성분을 제1 반응기에서 제조한다. 상기 저분자량 성분은 제2 반응기로 이송되며, 여기서 중합이 계속 진행되어 계내에서 고분자량 성분이 제조된다. 대안으로, 고분자량 성분을 제1 반응기에서 제조하고 저분자량 성분을 제2 반응기에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폴리에틸렌 조성물은 다단계 공정으로 제조할 수 있다. 2-단계 공정을 예로 든다. 고분자량 성분은 반응기에서 제1 단계에서 제조할 수 있다. 반응기에서 중합을 지속하여 저분자량 성분을 제조한다. 대안으로, 저분자량 성분을 제1 단계에서 제조하고, 고분자량 성분을 제2 단계에서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조성물은 고분자량 성분 대 저분자량 성분의 중량비가 10/90∼90/10 범위 내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은 고분자량 성분 대 저분자량 성분의 중량비가 30/70∼70/30 범위 내이다.
본 발명자들은, 장쇄 분지들이 저분자량 성분에 집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 조성물이, 장쇄 분지들이 고분자량 성분 중에 집중되어 있는 것들보다 탁월한 유변학적 특성, 예컨대 용융 탄성(Er) 및 물리적 특성, 예컨대 환경 응력 균열 내성(Environmental Stress Crack Resistance; ESCR)을 나타냄을 놀랍게도 발견하였다. ESCR은 ASTM D1693으로 측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ESCR 값은 10% 또는 100% Igepal® 용액 중 어느 쪽에서든 측정된다.
유변학적 측정은, 주파수 스윕(frequency sweep) 방식으로 동적 유동성 데이터를 측정하는 ASTM 4440-95a에 따라 실시할 수 있다. Rheometrics ARES 유량계를 150∼190℃에서 작동시켜 질소 하에 평행 플레이트 방식으로 사용함으로써 샘플 산화를 최소로 한다. 평행 플레이트 구조 내의 간격은 일반적으로 1.2∼1.4 mm이고, 플레이트 직경은 25 mm 또는 50 mm이며, 변형 진폭은 10∼20%이다. 주파수는 0.0251∼398.1 rad/sec 범위이다.
ER은 Shroff 등(미국 특허 5,534,472호의 컬럼 10, 20∼30 행을 참조하라)의 방법으로 측정한다. 이렇게, 저장 탄성률(G') 및 손실 탄성률(G")을 측정한다. 9 개의 최저 주파수 지점이 사용되고(10배수 주파수당 5 개의 지점), 1차 방정식은 최소 제곱 회귀(least-squares regression)에 의해 로그 G' 대 로그 G"로 맞추어진 다. 이 때, ER은 G"=5,000 dyn/cm2의 값에서 하기로부터 계산된다:
ER = (1.781 × 1O-3) x G'
당업자가 인식할 바와 같이, 최저 G" 값이 5,000 dyn/cm2 초과일 경우, ER의 측정은 외삽법을 포함한다. 이 때, 계산되는 ER 값은 로그 G' 대 로그 G" 플롯에서 비선형인 도(degree)에 좌우될 것이다.
온도, 플레이트 직경 및 주파수 범위는, 유량계 분해능 내에서 최저 G" 값이 5,000 dyn/cm2에 가깝거나 그 미만이도록 선택된다. 하기의 실시예들은 19O℃의 온도, 50 mm의 플레이트 직경, 10%의 변형 진폭 및 0.0251∼398.1 rad/sec의 주파수 범위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 조성물은, 사출 성형, 중공 성형, 회전 성형 및 압축 성형으로 물품을 제조하는 데 유용하다. 또한, 상기 폴리에틸렌 조성물은 필름, 압출 코팅, 파이프, 시트 및 섬유의 제조에 유용하다. 수지로부터 제조할 수 있는 제품으로 식품점 봉지, 쓰레기 봉투, 상품 봉지, 양동이, 크레이트(crate), 세제 용기, 장난감, 냉장고, 파형(corrugated pipe) 파이프, 하우스랩(housewrap), 배송 봉투, 보호 포장, 와이어/케이블 제품, 및 그 외 다수가 있다.
하기의 실시예들은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한다. 당업자들은 본 발명의 개념 및 청구의 범위 내인 다수의 변형예를 인식하게 될 것이다.
실시예 1
장쇄 분지들이 저분자량 성분에 집중되어 있는 폴리에틸렌 조성물
고분자량 성분: MI2: 0.075 dg/min, 밀도: 0.949, LCBI: 0.48; 티타늄계 지글러 촉매로 제조함(L 4907, Equistar Chemicals 제품).
저분자량 성분: MI2: 0.8 dg/min, 밀도: 0.960 g/cm3, 장쇄 분지 지수(LCBI): 0.58; 슬러리 공정으로 크로뮴 촉매를 사용하여 제조함(LM 6007, Equistar Chemicals 제품).
비교예 2
장쇄 분지들이 고분자량 성분에 집중되어 있는 폴리에틸렌 조성물
고분자량 성분: MI2: 0.1 dg/min, 밀도: 0.950, LCBI: 0.96; 슬러리 공정으로 크로뮴 촉매를 사용하여 제조함(LP 5100, Equistar Chemicals 제품).
저분자량 성분: MI2: 0.95 dg/min, 밀도: 0.958 g/cm3, 장쇄 분지 지수(LCBI): 0.27; 티타늄계 촉매를 사용하여 제조함(M 6210, Equistar Chemicals 제품).
실시예 3
장쇄 분지들이 저분자량 성분에 집중되어 있는 폴리에틸렌 조성물
고분자량 성분: MI2: 0.08 dg/min, 밀도: 0.950, LCBI: 0.34; 티타늄계 지글러 촉매를 사용하여 제조함(L5008, Equistar Chemicals 제품).
저분자량 성분: MI2: 0.8 dg/min, 밀도: 0.960 g/cm3, 장쇄 분지 지수 (LCBI): 0.58; 슬러리 공정으로 크로뮴 촉매를 사용하여 제조함(LM6007).
비교예 4
장쇄 분지들이 고분자량 성분에 집중되어 있는 폴리에틸렌 조성물
고분자량 성분: MI2: 0.1 dg/min, 밀도: 0.950, LCBI: 0.96; 슬러리 공정으로 크로뮴 촉매를 사용하여 제조함(LP 5100, Equistar Chemicals 제품).
저분자량 성분: MI2: 0.70 dg/min, 밀도: 0.960 g/cm3, 장쇄 분지 지수(LCBI): 0; 티타늄계 촉매를 사용하여 제조함(M 6070, Equistar Chemicals 제품).
상기 실시예들의 폴리에틸렌 조성물은, 각각, 압출기에서 성분들을 완전히 혼합하여 제조한다. 폴리에틸렌 조성물로 유변학적 특성 및 환경 응력 균열 내성(ESCR)을 시험한다. ESCR 시험은 블렌드로 제조된 병에 대해 실시한다. 상기 병은 중공 성형 공정으로 제조한다. 결과는 표 1에 열거한다. 표 1로부터, 장쇄 분지들이 저분자량 성분에 집중되어 있는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 조성물(실시예 1 및 3)이, 장쇄 분지들이 고분자량 성분에 집중되어 있는 것들(비교예 2 및 4)보다 훨씬 더 높은 Er 및 ESCR을 가짐을 알 수 있다.
Figure 112008003681213-PCT00007

Claims (19)

  1.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성분 및 저분자량 폴리에틸렌 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상기 저분자량 성분은 상기 고분자량 성분보다 더 높은 농도의 장쇄 분지들을 갖는 것인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량 성분은 용융 지수(MI2)가 0.5 dg/min 미만이고 장쇄 분지 지수(Long Chain Branching Index; LCBI)가 0.5 미만이며, 상기 저분자량 성분은 MI2가 0.5 dg/min 이상이고 LCBI가 0.5 이상인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량 성분은 MI2가 0.01∼0.5 dg/min 범위 내이고 장쇄 분지를 실질적으로 갖지 않으며, 상기 저분자량 성분은 MI2가 0.5∼50 dg/min 범위 내이고 LCBI가 0.5∼1 범위 내인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량 성분은 티타늄계 지글러(Ziegler) 촉매를 사용하여 제조한 폴리에틸렌 및 비가교형 인데노인돌릴 리간드 함유 단일 활성점(single-site) 촉매를 사용하여 제조한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분자량 성분은 자유 라디칼 중합으로 제조한 폴리에틸렌, 슬러리 또는 기상(gas phase)으로 크로뮴 촉매를 사용하여 제조한 폴리에틸렌, 바나듐계 지글러 촉매를 사용하여 제조한 폴리에틸렌 및 가교형 인데노인돌릴 리간드 함유 단일 활성점 촉매를 사용하여 제조한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량 성분은 티타늄계 지글러 촉매를 사용하여 제조한 고밀도 폴리에틸렌이고, 상기 저분자량 성분은 슬러리 또는 기상으로 크로뮴 촉매를 사용하여 제조한 고밀도 폴리에틸렌인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량 성분은 티타늄계 지글러 촉매를 사용하여 제조한 고밀도 폴리에틸렌이고, 상기 저분자량 폴리에틸렌은 가교형 인데노인돌릴 리간드 함유 단일 활성점 촉매를 사용하여 제조한 고밀도 폴리에틸렌인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량 성분은 티타늄계 지글러 촉매를 사용하여 제조한 고밀도 폴리에틸렌이고, 상기 저분자량 폴리에틸렌은 바나듐계 지글러 촉매를 사용하여 제조한 고밀도 폴리에틸렌인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다중 모드(multimodal) 분자량 분포를 갖는 것인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이중 모드(bimodal) 분자량 분포를 갖는 것인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량 성분 대 상기 저분자량 성분의 중량비가 10/90∼90/10 범위 내인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량 성분 대 상기 저분자량 성분의 중량비가 30/70∼70/30 범위 내인 조성물.
  13. 고분자량 성분과 저분자량 성분을 열적으로 혼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1항의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14. 2 이상의 병렬식 반응기에서 고분자량 성분 및 저분자량 성분을 제조한 다음, 이들을 블렌딩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1항의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15. 2 이상의 반응기에서 고분자량 성분 및 저분자량 성분을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1항의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16. 2 이상의 단계에서 고분자량 성분 및 저분자량 성분을 제조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1항의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17. 제1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물품.
  18. 제1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필름.
  19. 제1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파이프.
KR1020087001262A 2005-07-11 2006-06-22 폴리에틸렌 조성물 KR2008003698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178,814 2005-07-11
US11/178,814 US20070010626A1 (en) 2005-07-11 2005-07-11 Polyethylene compositio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6989A true KR20080036989A (ko) 2008-04-29

Family

ID=37199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1262A KR20080036989A (ko) 2005-07-11 2006-06-22 폴리에틸렌 조성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70010626A1 (ko)
EP (1) EP1902094A1 (ko)
JP (1) JP2009500510A (ko)
KR (1) KR20080036989A (ko)
CN (1) CN101228227A (ko)
CA (1) CA2612255A1 (ko)
MX (1) MX2008000530A (ko)
WO (1) WO2007008361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28403B2 (en) 2014-08-12 2017-11-28 Lg Chem, Ltd. Metallocene compounds, catalyst compositions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preparing olefin polymers using the same
KR101932533B1 (ko) * 2017-11-28 2019-03-15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우수한 표면 특성과 빠른 결정화 속도를 나타내는 섬유용 폴리에틸렌 수지
KR20200111433A (ko) * 2019-03-19 2020-09-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의 가교도 평가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10689B2 (ja) * 2000-03-29 2011-01-12 ポリ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固化押出成形品
US7754834B2 (en) * 2007-04-12 2010-07-13 Univation Technologies, Llc Bulk density promoting agents in a gas-phase polymerization process to achieve a bulk particle density
EP2344551B1 (en) * 2008-09-25 2014-05-28 Basell Polyolefine GmbH Impact resistant lldpe composition and films made thereof
KR20110061584A (ko) * 2008-09-25 2011-06-09 바젤 폴리올레핀 게엠베하 내충격성 lldpe 조성물 및 이것으로 제조된 필름
KR20110063489A (ko) * 2008-09-25 2011-06-10 바젤 폴리올레핀 게엠베하 내충격성 lldpe 조성물 및 이것으로 제조된 필름
WO2010034464A1 (en) * 2008-09-25 2010-04-01 Basell Polyolefine Gmbh Impact resistant lldpe composition and films made thereof
WO2010034508A1 (en) * 2008-09-25 2010-04-01 Basell Polyolefine Gmbh Impact resistant lldpe composition and films made thereof
CN101838365B (zh) * 2009-03-18 2011-10-05 中国石油天然气股份有限公司 双峰分布乙烯-α-烯烃-非共轭二烯烃无规共聚合体合成方法
US8476394B2 (en) * 2010-09-03 2013-07-02 Chevron Philips Chemical Company Lp Polymer resins having improved barrier properties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8828529B2 (en) 2010-09-24 2014-09-09 Chevron Phillips Chemical Company Lp Catalyst systems and polymer resins having improved barrier properties
US8501651B2 (en) 2010-09-24 2013-08-06 Chevron Phillips Chemical Company Lp Catalyst systems and polymer resins having improved barrier properties
EP2746334B1 (en) * 2012-12-19 2015-05-13 Borealis AG Polyethylene blend with improved ESCR
JP2014168865A (ja) * 2013-03-01 2014-09-18 C I Kasei Co Ltd ストレッチフィルム
EP2891511A1 (en) 2013-11-22 2015-07-08 Byk-Chemie GmbH Ethylene-based polymer as a defoamer additive
EP3209722A2 (en) 2014-10-21 2017-08-30 Nova Chemicals (International) S.A. Ethylene interpolymer product with dilution index
CA2868640C (en) 2014-10-21 2021-10-26 Nova Chemicals Corporation Solution polymerization process
US20160257772A1 (en) * 2015-03-02 2016-09-08 Equistar Chemicals, Lp Catalysts and methods of controlling long chain branching in polyolefins
CN109196040A (zh) * 2016-04-26 2019-01-11 道达尔研究技术弗吕公司 聚烯烃组合物
JP6896074B2 (ja) 2016-11-24 2021-06-30 バーゼル・ポリオレフィン・ゲーエムベーハー 高い応力亀裂抵抗を有するブロー成形用ポリエチレン組成物
US10329412B2 (en) 2017-02-16 2019-06-25 Nova Chemicals (International) S.A. Caps and closures
WO2018226311A1 (en) * 2017-06-08 2018-12-13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Polyethylene blends and extrudat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CN109705422A (zh) * 2017-10-26 2019-05-03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耐环境应力开裂的聚乙烯土工膜及其制备方法
US10882987B2 (en) 2019-01-09 2021-01-05 Nova Chemicals (International) S.A. Ethylene interpolymer products having intermediate branching
US11674023B2 (en) * 2020-10-15 2023-06-13 Chevron Phillips Chemical Company Lp Polymer composition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6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90204A (en) * 1987-10-27 1991-02-05 The Dow Chemical Company Improved spunbonding of linear polyethylenes
US6316546B1 (en) * 1991-03-06 2001-11-13 Exxonmobil Oil Corporation Ethylene polymer film resins
US5278272A (en) 1991-10-15 1994-01-11 The Dow Chemical Company Elastic substantialy linear olefin polymers
KR100253826B1 (ko) * 1991-12-30 2000-04-15 그레이스 스티븐 에스. 에틸렌 공중합체의 중합방법
DE69329313T3 (de) * 1992-06-17 2008-07-31 Mitsui Chemicals, Inc. Ethylencopolymerzusammensetzung
BE1006439A3 (fr) * 1992-12-21 1994-08-30 Solvay Societe Annonyme Procede de preparation d'une composition de polymeres d'ethylene, composition de polymeres d'ethylene et son utilisation.
EP0724604B2 (en) * 1993-10-21 2005-12-14 Exxonmobil Oil Corporation Polyolefin blends of bimodal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US6274675B1 (en) * 1993-10-29 2001-08-14 Phillips Petroleum Company Process to produce a multicomponent ethylene polymer composition
US5932659A (en) * 1994-09-19 1999-08-03 Sentinel Products Corp. Polymer blend
US5589539A (en) * 1994-11-23 1996-12-31 Union Carbide Chemicals & Plastics Technology Corporation Process for preparing an in situ polyethylene blend
FI101546B (fi) * 1994-12-16 1998-07-15 Borealis Polymers Oy Polyeteenikompositio
WO1996018679A1 (en) * 1994-12-16 1996-06-20 Exxon Chemical Patents Inc. Easier processing polyethylene compositions with improved physical properties
US5534472A (en) * 1995-03-29 1996-07-09 Quantum Chemical Corporation Vanadium-containing catalyst system
CN1096473C (zh) * 1995-12-07 2002-12-18 日本聚烯烃株式会社 聚乙烯树脂及用其制作的管材和管件接头
US6861415B2 (en) * 1996-05-01 2005-03-0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1-substituted progesterone derivatives as new antiprogestational agents
US6114457A (en) * 1997-02-07 2000-09-05 Exxon Chemical Patents Inc. High melt strength polyethylene compositions
JP3487728B2 (ja) * 1997-02-21 2004-01-19 三井化学株式会社 包装用ポリエチレンフィルム
US5744551A (en) * 1997-03-28 1998-04-28 Union Carbide Chemicals & Plastics Technology Corporation High strength polyethylene film
SE9804407D0 (sv) * 1998-12-18 1998-12-18 Borealis Polymers Oy A multimodal polymer composition
EP1041113A1 (en) * 1999-03-30 2000-10-04 Fina Research S.A. Polyolefins and uses thereof
US6593386B1 (en) * 1999-09-13 2003-07-15 Sealed Air Corporation (U.S.) Compitable linear and branched ethylenic polymers and foams therefrom
US6218472B1 (en) * 1999-09-24 2001-04-17 Fina Research, S.A. Production of multimodal polyethylene
CA2379607A1 (en) * 1999-09-29 2001-04-05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Manufacture of polyethylenes
CA2285723C (en) * 1999-10-07 2009-09-15 Nova Chemicals Corporation Multimodal polyolefin pipe
US6232260B1 (en) * 1999-10-14 2001-05-15 Equistar Chemicals, L.P. Single-site catalysts for olefin polymerization
US6632896B1 (en) * 1999-11-29 2003-10-14 Borealis Technology Oy Ethylene polymerization
US6248831B1 (en) * 1999-12-06 2001-06-19 Union Carbide Chemicals & Plastics Technology Corporation High strength polyethylene film
GB0003363D0 (en) * 2000-02-14 2000-04-05 Bp Chem Int Ltd Polymer blends
AU2001238345A1 (en) * 2000-02-16 2001-08-27 Advanced Elastomer Systems, L.P. Thermoplastic elastomers having enhanced foaming and physical properties
EP1290085B1 (en) * 2000-06-01 2009-05-13 Ineos Europe Limited Novel polyethylene films
US6583420B1 (en) * 2000-06-07 2003-06-24 Robert S. Nelson Device and system for improved imaging in nuclear medicine and mammography
US6486270B1 (en) * 2000-08-25 2002-11-26 Equistar Chemicals, Lp High molecular weight, medium density polyethylene
DE10047861A1 (de) * 2000-09-27 2002-04-25 Basell Polyolefine Gmbh Polyethylen Formmasse geeignet als Rohrwerkstoff mit herausragenden Verarbeitungseigenschaften
US6355733B1 (en) * 2000-10-13 2002-03-12 Equistar Chemicals, Lp Polyethylene blends and films
EP1201711A1 (en) * 2000-10-27 2002-05-02 ATOFINA Research Polyethylene pipe resins and production thereof
EP1211289A1 (en) * 2000-11-29 2002-06-05 Borealis GmbH Polyolefin compositions with improved properties
US6545094B2 (en) * 2001-03-09 2003-04-08 The Dow Chemical Company Blends of ethylenic polymers with improved modulus and melt strength and articles fabricated from these blends
US6583240B2 (en) 2001-05-23 2003-06-24 Equistar Chemicals, Lp Ethylene polymerization process
EP1266933A1 (fr) * 2001-06-14 2002-12-18 SOLVAY POLYOLEFINS EUROPE - BELGIUM (Société Anonyme) Composition de polymères d'éthylène
US7135526B2 (en) * 2001-06-22 2006-11-14 Univation Technologies, Llc Very low density polyethylene and high density polyethylene blends
WO2003008497A1 (fr) * 2001-07-12 2003-01-30 Idemitsu Petrochemical Co., Ltd. Composition de resine a base de polyolefines
WO2003016396A1 (en) * 2001-08-17 2003-02-27 Dow Global Technologies Inc. Bimodal polyethylene composition and articles made therefrom
BR0205962A (pt) * 2001-09-06 2003-10-07 Mitsui Chemicals Inc Composição de resina de polietileno
GB0126147D0 (en) 2001-10-31 2002-01-02 Borealis Tech Oy Process
EP1319685A1 (en) * 2001-12-14 2003-06-18 ATOFINA Research Physical blends of polyethylenes
JP4068978B2 (ja) * 2002-02-14 2008-03-26 三井化学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樹脂組成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シュリンクフィルム
US6753381B2 (en) * 2002-03-15 2004-06-22 Ethyl Corporation Polymer blends and their application as viscosity index improvers
US6822051B2 (en) * 2002-03-29 2004-11-23 Media Plus, Inc. High density polyethylene melt blends for improved stress crack resistance in pipe
EP1359192A1 (en) * 2002-04-30 2003-11-05 Solvay Polyolefins Europe-Belgium (Société Anonyme) Polyethylene pipe resins
US6649698B1 (en) * 2002-05-17 2003-11-18 Equistar Chemicals, Lp Polyethylene blends
US7037979B2 (en) * 2002-09-04 2006-05-02 Delphi Technologies, Inc. Thermoplastic polyolefin compositions and methods of preparing thermoplastic polyolefin compositions for soft sheet applications
WO2004026955A2 (en) * 2002-09-23 2004-04-01 Dow Global Technologies Inc. Polymer compositions for extrusion coating
US7288598B2 (en) * 2003-03-06 2007-10-30 Basell Poliolefine Italia S.P.A. Polyolefin masterbatch for preparing impact-resistant polyolefin articles
ES2606780T3 (es) * 2003-06-10 2017-03-27 Dow Global Technologies Llc Capas de película producidas a partir de mezclas poliméricas de etileno
US6903162B2 (en) * 2003-07-01 2005-06-07 Equistar Chemicals, Lp Preparation of polyethylene films
US6878454B1 (en) * 2003-12-05 2005-04-12 Univation Technologies, Llc Polyethylene films
US20050137342A1 (en) * 2003-12-19 2005-06-23 Krishnaswamy Rajendra K. Polyethylene blend films
US7514504B2 (en) * 2004-04-01 2009-04-07 Fina Technology, Inc. Polyethylene blends with good contact transparency
US20060135698A1 (en) * 2004-12-21 2006-06-22 Fina Technology, Inc. Blends of medium density polyethylene with other polyolefins
US7312279B2 (en) * 2005-02-07 2007-12-25 Univation Technologies, Llc Polyethylene blend compositions
US20070007680A1 (en) * 2005-07-05 2007-01-11 Fina Technology, Inc. Methods for controlling polyethylene rheology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28403B2 (en) 2014-08-12 2017-11-28 Lg Chem, Ltd. Metallocene compounds, catalyst compositions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preparing olefin polymers using the same
KR101932533B1 (ko) * 2017-11-28 2019-03-15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우수한 표면 특성과 빠른 결정화 속도를 나타내는 섬유용 폴리에틸렌 수지
KR20200111433A (ko) * 2019-03-19 2020-09-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의 가교도 평가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28227A (zh) 2008-07-23
US20070010626A1 (en) 2007-01-11
JP2009500510A (ja) 2009-01-08
WO2007008361A1 (en) 2007-01-18
EP1902094A1 (en) 2008-03-26
MX2008000530A (es) 2008-03-07
CA2612255A1 (en) 2007-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36989A (ko) 폴리에틸렌 조성물
KR100582050B1 (ko) 폴리에틸렌 파이프 수지 및 그것의 제조 방법
CN113272336B (zh) 用于聚合烯烃的催化剂
KR100906029B1 (ko) 폴리에틸렌 조성물로서의 용도
US11208512B2 (en) Bimodal polyethylene resins
CZ20013865A3 (cs) Kopolymery ethylenu a fólie vyrobené z těchto kopolymerů
KR20120123488A (ko) 성형 조성물
WO2006007014A1 (en) Polymer resins with improved environmental stress crack resistance
KR101154508B1 (ko) 혼성 담지 메탈로센 촉매,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폴리올레핀의 제조방법
US20230399426A1 (en) Medium density polyethylene compositions with broad orthogonal composition distribution
AU761160B2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heterophasic polymer compositions, and compositions thus obtained
CN113166318B (zh) 烯烃聚合物
KR20050106003A (ko) 에틸렌계 중합체 및 성형체에로의 응용
US20220064344A1 (en) Catalyst for Olefin Polymerization and Polyolefin Prepared Using the Same
KR102233320B1 (ko) 높은 응력 균열 저항을 갖는 블로우 성형용 폴리에틸렌 조성물
BR112019028285B1 (pt) Composição de polímero trimodal, película compreendendo a mesma, e processo de fabricação de composição de polímero
MXPA00003829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heterophasic polymer compositions, and compositions thus obtain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