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6780A -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전개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전개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6780A
KR20080036780A KR1020060103450A KR20060103450A KR20080036780A KR 20080036780 A KR20080036780 A KR 20080036780A KR 1020060103450 A KR1020060103450 A KR 1020060103450A KR 20060103450 A KR20060103450 A KR 20060103450A KR 20080036780 A KR20080036780 A KR 200800367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passenger seat
door
housing
tet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3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1661B1 (ko
Inventor
이창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3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1661B1/ko
Publication of KR20080036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67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1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1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1/216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omprising tether means for limitation of cover motion during deploy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4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 B60R21/045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associated with the instrument panel or dash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021/0206Self-supporting restraint systems, e.g. restraining arms, plates or the like
    • B60R2021/024Self-supporting restraint systems, e.g. restraining arms, plates or the like mounted on dash-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021/21537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haracterised by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전개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가스를 발생시키는 인플레이터와, 상기 인플레이터로부터 공급되는 가스에 의해 부풀게 되는 에어백 쿠션과 상기 부품을 내장하고 크래쉬 패드에 삽입장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을 덮고 있는 에어백 도어로 구성되는 조수석 에어백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도어의 힌지점이 형성되는 수직면의 도중으로 상기 에어백 쿠션과 연통되는 슬롯홀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도어의 힌지점이 후면에 형성되어 상기 크래쉬 패드에 장착되는 장착돌기에 일측이 고정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슬롯홀을 거쳐 에어백 쿠션에 고정결합되는 테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수석 에어백 도어의 전개시 에어백 도어에 의한 윈드실드 글래스의 파손을 방지하고 승원 상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크래쉬 패드, 에어백 쿠션, 하우징, 테더, 인플레이터

Description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전개구조{Opening structure of passenger's air bag in vehicle}
도 1 및 2는 종래의 조수석 에어백 전개구조를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전개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 내지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전개구조를 나타낸 작동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조수석 에어백 전개구조, 10 : 에어백 쿠션,
20 : 크래쉬 패드, 30 : 하우징,
32 : 슬롯홀, 40 : 인플레이터,
50 : 에어백 도어, 52 : 힌지점,
54 : 장착돌기, 56 : 노치,
60 : 테더, 70 : 윈드실드 클래스.
본 발명은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전개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수석 에어백 도어의 전개시 에어백 도어에 의한 윈드실드 글래스의 파손을 방지하고 승원 상해를 방지할 수 있는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전개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조수석 에어백의 전개구조는 도시된 도 1과 같이 에어백 쿠션(100)이 클래쉬 패드(200) 상단에 내장되어 있다가 충돌시 전개되어 크래쉬 패드(200) 상단면과 원드실드 글래스(300)가 접하는 형상으로 전개된다.
이를 좀더 살펴보면, 도시된 도 2와 같이 가스를 발생시키는 인플레이터(400)와, 상기 인플레이터(400)로부터 공급되는 가스에 의해 부풀게 되는 에어백 쿠션(100)부와, 상기 부품을 내장하는 하우징(500)과, 에어백 도어(60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조수석 에어백은 주행 중은 상기와 같이 보관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차량의 충돌시 조수석 에어백은 ACU로부터 보내진 에어백 전개신호에 의해 에어백 도어(600)가 에어백 도어의 힌지점(620)을 중심으로 빠르고, 강하게 원드 글래스를 향해 열리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조수석 에어백 전개구조는 조건상 에어백 전개시 에어백 도어가 열리면서 윈드 글래스를 타격하여 글래스를 파손시키게 되고 윈드 글래스 파손 부위에 에어백 쿠션이 접촉시 찢어지게 되어 에어백이 정상 전개 형상을 유지할 수 없어 조수석 승객을 충분히 구속 및 보호를 못 해 과도한 승원 상해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비정상 자세의 유아나 성인 승객의 머리를 타격 후 밀치는 충격력에 의해 과도한 머리 및 목 부위 상해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조수석 에어백 도어의 전개시 에어백 도어에 의한 윈드실드 글래스의 파손을 방지하고 승원 상해를 방지할 수 있는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전개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가스를 발생시키는 인플레이터와, 상기 인플레이터로부터 공급되는 가스에 의해 부풀게 되는 에어백 쿠션과 상기 부품을 내장하고 크래쉬 패드에 삽입장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을 덮고 있는 에어백 도어로 구성되는 조수석 에어백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도어의 힌지점이 형성되는 수직면의 도중으로 상기 에어백 쿠션과 연통되는 슬롯홀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도어의 힌지점이 후면에 형성되어 상기 크래쉬 패드에 장착되는 장착돌기에 일측이 고정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슬롯홀을 거쳐 에어백 쿠션에 고정결합되는 테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전개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조수석 에어백 전개구조(1)의 구성은, 가스를 발생시키는 인플레이터(40)와, 상기 인플레이터(40)로부터 공급되는 가스에 의해 부풀게 되는 에어백 쿠션(10)과 상기 부품을 내장하고 크래쉬 패드(20)에 삽입장착되는 하우징(30)과, 상기 하우징(30)을 덮고 있는 에어백 도어(50)로 구성된다.
여기서 종래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조수석 에어백 전개구조(1)의 특징은 상기 에어백 도어(50)의 힌지점(52)이 형성되는 수직면의 도중으로 상기 에어백 쿠션(10)과 연통되는 슬롯홀(32)이 형성되는 하우징(30)과, 상기 도어(50)의 힌지점(52)이 후면에 형성되어 상기 크래쉬 패드(20)에 장착되는 장착돌기(54)에 일측이 고정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슬롯홀(32)을 거쳐 에어백 쿠션(10)에 고정결합되는 테더(6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에어백 도어(50)의 전개시 윈드실드 글래스(70)의 파손방지와 승원 상해를 방지할 수 있는데 특징이 있다.
상기 크래쉬 패드(20)에 장착돌기(54)가 장착되는 에어백 도어(50)는 상기 에어백 도어(50)가 힌지점(52)이 형성되는 측으로 노치(56)가 형성된다.
즉, 상기 에어백 도어(50)는 전개시 노치(56)점을 기준으로 하부로 매몰되어 에어백 도어(50)가 윈드실드 글래스(70)를 파손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에어백 도어(50)와 고정결합되는 하우징(30)은 상기 에어백 도어(50)의 힌지점(52)이 형성되는 수직면(34)의 도중으로 내부와 연통을 위한 슬롯홀(3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슬롯홀(32)의 형성되는 하우징(30)의 상부는 원형이 되도록 형성되는데, 그 이유는 상기 에어백 도어(50) 개방으로 상기 테더(60)의 일측은 하강하고 타측은 상승할 때 테더(60)가 절단되는 것을 방지하고 원활하게 휘어질 수 있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도어(50)의 힌지점(52)이 후면에 형성되어 상기 크래쉬 패드(20)에 장착되는 장착돌기(54)에 일측이 고정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슬롯홀(32)을 거쳐 에어백 쿠션(10)에 고정결합되는 테더(6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성되며 그 역할은 상기 에어백 도어(50)의 개방으로 에어백 쿠션(10)의 외부로 전개시 상기 에어백 도어(50)를 당기게 되어 윈드실드 글래스(70)의 파손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조수석 에어백 전개구조(1)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4 내지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전개구조를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먼저, 가스를 발생시키는 인플레이터(40)와, 상기 인플레이터(40)로부터 공급되는 가스에 의해 부풀게 되는 에어백 쿠션(10)과 상기 부품을 내장하는 하우징(30)의 일측으로 에어백 쿠션(10)이 장착되는 공간과 연통되는 슬롯홀(32)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슬롯홀(32)이 형성되는 하우징(30)의 상부는 원형되게 형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하우징(30)과 고정결합되는 에어백 도어(50)를 크래시 패드(20)에 장착하는데 이때, 상기 에어백 도어(50)의 힌지점(52)이 형성되는 장착돌기(54)의 일측 하부로 노치(56)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에어백 도어(50)의 장착돌기(54) 하단부와 에어백 쿠션(10)을 적어도 하나 이상 구성되는 테더(60)를 통해 결합하는데 즉, 상기 에어백 도어(50)의 힌지점(52)이 후면에 형성되는 장착돌기(54)에 일측이 고정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슬롯홀(32)을 거쳐 에어백 쿠션(10)에 고정결합되면 조립은 완료가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도시된 도 4와 같이 차량의 충돌이 발생하면 에어백 콘트롤 유닛(ACU)에서 보내지는 에어백 전개 전류 신호에 의해 에어백 인플레이터(40)는 내장된 화약이 점화되어 고속/고압의 가스가 분출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인플레이터(40)로부터 고속/고압의 가스가 유입되어 상기 에어백 쿠션(10)이 부풀어 오르면 상기 에어백 쿠션(10)과 연결된 상기 테너(60)의 연결점도 같이 상부로 이동을 하게 되고 이때, 상기 테너(60)는 강한 장력을 받게 되어 테너(60)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에어백 도어(50)를 내측으로 당기게 된다.(도시된 도 5 참조)
또한, 상기 테더(60)의 장력에 의해 에어백 도어(50)도 상기 장착돌기(54)에 형성되어 있는 노치(56)점을 중심으로 꺾임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에어백 쿠션(10)이 외부로 전개되면 될수록 에어백 도어(50)는 크래쉬 패드(20)의 내측으로 이동을 하게 되어 윈드실드 글래스(70)와의 충돌을 회피하고 비정상 착좌 승객에게 충격력을 작용시키지 않게 되는 것이다.(도시된 6 참조)
이때, 상기 슬롯홀(32)의 상부에 형성되는 하우징(30)의 원형 부분은 급속히 움직이는 상기 테더(60)가 손상되지 않고 이동할 수 있는 도르레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에어백 쿠션(10)과 연결된 테너(60)는 완전 전개될 때까지 이동되는 것이 아니며, 상기 에어백 도어(10)와 원드실드 글래스(70)의 충돌을 회피할 정도만 이동하면 되므로, 상기 에어백 쿠션(10) 전개 전/후의 형상과 에어백 도어(50)의 전개 궤적을 고려하여 에어백 전개 초기에 이동이 완료되도록 설정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수석 에어백 도어의 전개시 에어백 도어에 의한 윈드실드 글래스의 파손을 방지하고 승원 상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가스를 발생시키는 인플레이터(40)와, 상기 인플레이터(40)로부터 공급되는 가스에 의해 부풀게 되는 에어백 쿠션(10)과 상기 부품을 내장하고 크래쉬 패드(20)에 삽입장착되는 하우징(30)과, 상기 하우징(30)을 덮고 있는 에어백 도어(50)로 구성되는 조수석 에어백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도어(50)의 힌지점(52)이 형성되는 수직면(34)의 도중으로 상기 에어백 쿠션(10)과 연통되는 슬롯홀(32)이 형성되는 하우징(30)과,
    상기 도어(50)의 힌지점(52)이 후면에 형성되어 상기 크래쉬 패드(20)에 장착되는 장착돌기(54)에 일측이 고정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슬롯홀(32)을 거쳐 에어백 쿠션(10)에 고정결합되는 테더(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전개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크래쉬 패드(20)와 상기 테더(60)가 결합되는 장착돌기(54)의 하부 도중으로 노치(5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전개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홀(32)이 형성되는 하우징(30)의 상부는 원형이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전개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테더(60)는 복수개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전개구조.
KR1020060103450A 2006-10-24 2006-10-24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전개구조 KR101251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3450A KR101251661B1 (ko) 2006-10-24 2006-10-24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전개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3450A KR101251661B1 (ko) 2006-10-24 2006-10-24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전개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6780A true KR20080036780A (ko) 2008-04-29
KR101251661B1 KR101251661B1 (ko) 2013-04-05

Family

ID=39575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3450A KR101251661B1 (ko) 2006-10-24 2006-10-24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전개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1661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042B1 (ko) * 2010-08-23 2013-02-05 덕양산업 주식회사 에어백 모듈
KR101477790B1 (ko) * 2008-09-16 2014-12-3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승객용 에어백 장치
DE102020134543A1 (de) 2020-01-16 2021-07-22 Hyundai Mobis Co., Ltd. Fahrzeug-seitenairbag und verfahren zum falten desselben
KR20220104401A (ko) 2021-01-18 2022-07-2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사이드 에어백
KR20220150751A (ko) 2021-05-04 2022-11-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사이드 에어백
KR20230047851A (ko) 2021-10-01 2023-04-1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에어백 장치
KR20230126481A (ko) 2022-02-23 2023-08-3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사이드 에어백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56179A (ja) * 1992-11-27 1994-06-03 Isuzu Motors Ltd エアバッグの内圧調整装置
KR0129271Y1 (ko) * 1994-09-03 1998-12-15 전성원 승객에어백 도어열림장치
KR100552745B1 (ko) 2003-11-11 2006-02-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전개구조
KR20060092659A (ko) * 2005-02-18 2006-08-23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자동차용 조수석 에어백 도어 구조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7790B1 (ko) * 2008-09-16 2014-12-3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승객용 에어백 장치
KR101230042B1 (ko) * 2010-08-23 2013-02-05 덕양산업 주식회사 에어백 모듈
DE102020134543A1 (de) 2020-01-16 2021-07-22 Hyundai Mobis Co., Ltd. Fahrzeug-seitenairbag und verfahren zum falten desselben
KR20210092436A (ko) 2020-01-16 2021-07-2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및 그 폴딩방법
US11618409B2 (en) 2020-01-16 2023-04-04 Hyundai Mobis Co., Ltd. Automotive side airbag and method of folding same
KR20220104401A (ko) 2021-01-18 2022-07-2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사이드 에어백
US11648909B2 (en) 2021-01-18 2023-05-16 Hyundai Mobis Co., Ltd. Side airbag
KR20220150751A (ko) 2021-05-04 2022-11-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사이드 에어백
KR20230047851A (ko) 2021-10-01 2023-04-1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에어백 장치
KR20230126481A (ko) 2022-02-23 2023-08-3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사이드 에어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1661B1 (ko) 2013-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87781B2 (ja) インビジブルエアーバック装置
KR101251661B1 (ko)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전개구조
KR101509780B1 (ko) 차량용 사이드에어백 유닛
KR20190021905A (ko) 차량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
JP5685755B2 (ja) 安全性能が改善された後方エアバッグ装置
WO2015065272A1 (en) Curtain airbag for a vehicle and a restraining arrangement
WO2007099912A1 (ja) エアバッグ装置
KR101000257B1 (ko)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구조
GB2425991A (en) A front seat passenger air-bag
KR102420724B1 (ko) 파노라마 루프용 에어백 장치
JP5138191B2 (ja) エアバッグ装置
KR100527766B1 (ko) 에어백 도어의 보강구조
KR101021119B1 (ko) 자동차용 에어백 장치
KR101283695B1 (ko) 에어백 쿠션
KR101113678B1 (ko) 차량용 에어백장치
JP2006240385A (ja) エアバッグ装置
KR20080036390A (ko) 차량의 커튼 에어백장치
CN215621859U (zh) 侧面安全气囊装置
KR102656681B1 (ko) 차량용 트림에어백
KR20070096355A (ko) 커튼 에어백 모듈의 장착 구조
KR101251754B1 (ko) 에어백 커버 구조
KR100778589B1 (ko) 차량용 운전석 에어백
KR20100099550A (ko)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KR20050027431A (ko) 조수석 에어백 모듈
KR20090117421A (ko) 커튼 에어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