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6183A - 콤바인 - Google Patents

콤바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6183A
KR20080036183A KR1020087001411A KR20087001411A KR20080036183A KR 20080036183 A KR20080036183 A KR 20080036183A KR 1020087001411 A KR1020087001411 A KR 1020087001411A KR 20087001411 A KR20087001411 A KR 20087001411A KR 20080036183 A KR20080036183 A KR 200800361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nding
case
grain
gear
grain 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1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2254B1 (ko
Inventor
유우이치 심푸쿠
코우지로우 시마다
시게루 츠시마
준지 하야시
Original Assignee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526838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7075031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268244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7075027A/ja
Application filed by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36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61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2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22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57/00Delivering mechanisms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57/22Delivering mechanisms for harvesters or mowers for standing stal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57/00Delivering mechanisms for harvesters or m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Outside Dividers And Delivering Mechanisms For Harvesters (AREA)

Abstract

주행기체의 전방부에 설치된 예취 전처리장치에 곡간 이송장치가 구비된 콤바인에 있어서, 곡간 이송장치의 설치·분리의 수고를 저감해서 예취 전처리장치의 메인터넌스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원 발명의 일례는 기립 구동 스프로킷, 텐션 스프로킷, 종동 롤러, 기립 타인(21)이 부착된 무단 체인(67), 앞덮개(61) 및 이면덮개(63) 등을 1개의 곡간 기립 케이스(22)로서 유닛화하는 것이다. 이 경우, 기립 케이스(71)에 내장된 기립측 베벨 기어(83)의 스플라인구멍에 기립 구동축(46)의 스플라인부를 스플라인 감합시킨다. 곡간 기립 케이스(22)의 이면 상부와 기립 기어 케이스(71)는 체결구로 체결된다.
콤바인

Description

콤바인{COMBINE}
본 발명은 주행기체의 전방부에 설치된 예취 전처리장치에 미예취 곡간(穀稈, cereal stalk)을 기립시키거나 예취 곡간을 상기 주행기체상의 탈곡장치를 향해서 반송하기 위한 곡간 이송장치가 구비된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콤바인의 주행기체에는 그 전방부에 설치된 예취 전처리장치에 주행기체의 진행방향과 교차하는 가로방향을 따라 배치된 가로회전형의 곡간 기립 케이스가 복수개 구비되어 있다. 이들 각 곡간 기립 케이스는 예취 전처리장치의 골조를 구성하는 요소인 전방 비스듬히 상향 경사상의 기립 구동 파이프의 선단부(상단부)에 베벨 기어 케이스를 통해 부착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등 참조).
각 곡간 기립 케이스에는 그 작용측의 하부부터 횡일측 상부에 걸친 외주측부를 외향의 돌출자세로 회행(回行)하는 복수개의 기립 타인(raising tine)이 구비되어 있다. 이들 기립 타인은 곡간 기립 케이스내의 상부측에 설치된 기립 구동 스프로킷 및 텐션 스프로킷과, 하부측에 설치된 종동 롤러에 감아걸어진 무단 체인에 대해서 적당 간격으로 기복 요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한편, 베벨 기어 케이스에는 곡간 기립 케이스의 이면판을 관통해서 상기 곡 간 기립 케이스내의 구동 스프로킷에 연결되는 구동축을 갖는 기립측 베벨 기어와, 기립 구동 파이프내에 있어서의 기립 전동축의 상단부에 연결된 파이프측 베벨 기어가 서로 맞물린 상태로 내장되어 있다.
이 경우, 곡간 기립 케이스내의 기립 구동 스프로킷은 기립 구동 파이프내의 기립 전동축으로부터 양 베벨 기어를 경유해서 기립 구동축에 전달된 동력으로 상기 기립 구동축 둘레로 회전한다. 이것에 의해, 무단 체인에 부착된 복수개의 기립 타인은 곡간 기립 케이스의 외주측부를 따라 회행한다.
특허문헌1:일본 특허공개 2003-79220호 공보
그런데, 종래의 곡간 기립 케이스를 예취 전처리장치에 설치할 때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순서를 밟고 있었다. 우선, 베벨 기어 케이스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되는 기립 구동축에 곡간 기립 케이스의 이면판을 통해 기립 구동 스프로킷을 끼운 후, 이면판과 베벨 기어 케이스를 체결한다. 이어서, 이면판의 내면측(앞면측)에 설치된 기립 구동 스프로킷과 종동 롤러에 기립 타인이 부착된 무단 체인을 감아 건 후, 텐션 스프로킷으로 무단 체인의 팽창 상태를 조절한다. 그리고, 기립 구동 스프로킷 및 종동 롤러나 무단 체인을 덮는 앞면판을 이면판에 대해서 전방으로부터 씌워서 고정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구성에서는 콤바인의 제조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은 순서를 밟지 않으면, 곡간 기립 케이스를 설치할 수 없으므로, 제조라인중에서의 설치공수가 많아져 비용상승을 초래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곡간 기립 케이스의 설치때마다 곡간 기립 케이스의 이면판과 베벨 기어 케이스를 위치맞춤하거나, 무단 체인의 팽창 상태를 일일이 다시 조절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곡간 기립 케이스의 설치·분리, 나아가서는 예취 전처리장치의 메인터넌스 작업이 수고스럽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는 곡간 기립 케이스 뿐만아니라, 예취 곡간을 주행기체상의 탈곡장치를 향해서 반송하기 위한 곡간 반송장치에도 공통되는 것이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곡간 기립 케이스나 곡간 반송장치 등의 곡간 이송장치의 설치·분리의 수고를 저감해서 예취 전처리장치의 메인터넌스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하는 것이다.
이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1의 발명은, 주행기체의 전방부에 설치된 예취 전처리장치에 곡간 이송장치가 구비된 콤바인으로서, 상기 곡간 이송장치는 적어도 2개의 전동차와 이들 전동차에 감아 걸어진 타인이 부착된 무단벨트를 케이스체에 조립하여 유닛화되고, 상기 곡간 이송장치 및 이것에 대한 동력 전달부 중 어느 한쪽에 설치된 웅형(雄型) 감합체(嵌合體)와, 다른쪽에 설치된 자형(雌型) 감합체는 동력 전달 가능하며 또한 착탈 가능하게 감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곡간 이송장치는 상기 동력 전달부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어 있다는 것이다.
청구항2의 발명은, 청구항1에 기재된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웅형 감합체는 상기 전동차의 1개에 고정된 구동축이며, 상기 구동축은 상기 케이스체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고, 또한 상기 케이스체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한편, 상기 자형 감합체는 상기 동력 전달부에 내장된 기어 기구 중 삽입 구멍을 갖는 전달 기어이며, 상기 구동축의 선단부가 상기 전달 기어의 상기 삽입 구멍에 대해서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는 것이다.
청구항3의 발명은, 청구항1 또는 2에 기재된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체와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동력 전달부측으로부터 상기 케이스체의 배면을 향해서 나사 결합되는 체결 수단으로 체결되어 있다는 것이다.
청구항4의 발명은, 청구항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곡간 이송장치는 기립 타인을 상기 주행기체의 진행방향과 교차하는 가로방향으로 돌출시키는 곡간 기립 케이스라는 것이다.
청구항5의 발명은, 청구항4에 기재된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곡간 기립 케이스는 상기 주행기체의 진행방향과 교차하는 폭방향을 따라 적당 간격으로 복수개 배치되어 있는 한편, 또한 상기 곡간 기립 케이스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립 구동 파이프와, 상기 곡간 기립 케이스와 상기 기립 구동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한 기립 기어 케이스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기립 구동 파이프의 일단측에는 플랜지체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기립 기어 케이스에는 상기 플랜지체에 있어서의 플랜지측 맞춤면에 접촉 가능한 제 1 맞춤면이 형성되고, 상기 기립 기어 케이스와 상기 기립 구동 파이프의 상기 플랜지체는 상기 제 1 맞춤면과 상기 플랜지측 맞춤면을 접촉시킨 상태에서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어 있다는 것이다.
청구항6의 발명은, 청구항5에 기재된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기립 기어 케이스에는 상기 곡간 기립 케이스에 있어서의 케이스 맞춤면에 접촉 가능한 제 2 맞춤면이 형성되고, 상기 기립 기어 케이스와 상기 곡간 기립 케이스는 상기 제 2 맞춤면과 상기 케이스 맞춤면을 접촉시킨 상태에서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어 있다는 것이다.
청구항7의 발명은, 청구항5 또는 6에 기재된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기립 기어 케이스와 상기 플랜지체 또는 상기 곡간 기립 케이스의 체결 방향을 상기 기립 기어 케이스의 맞춤면과 상기 케이스 맞춤면 또는 상기 플랜지측 맞춤면의 맞춤 방향과 대략 일치시키고 있다는 것이다.
청구항8의 발명은, 청구항5∼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기립 기어 케이스에는 상기 기립 구동 파이프의 기립 전동축에 스플라인을 통해 끼워지는 주동 베벨 기어를 배치하는 제 1 축구멍과, 상기 곡간 기립 케이스의 기립 구동축에 스플라인을 통해 끼워지는 종동 베벨 기어를 배치하는 제 2 축구멍이 형성되고, 베어링 축받이를 각각 끼운 상기 주동 베벨 기어 및 상기 종동 베벨 기어는 상기 제 1 축구멍 및 상기 제 2 축구멍의 각 베어링 수용부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는 것이다.
청구항9의 발명은, 청구항8에 기재된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제 1 축구멍 및 상기 제 2 축구멍의 각 베어링 수용부에는 상기 주동 베벨 기어 및 상기 종동 베벨 기어가 1개의 베어링 축받이를 통해 캔틸레버(cantilever)상태로 각각 배치되어 있다는 것이다.
청구항10의 발명은, 청구항8 또는 9에 기재된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기립 기어 케이스에는 상기 곡간 기립 케이스의 기립 구동축을 삽입하기 위한 상기 제 2 축구멍이 상기 기립 기어 케이스를 직선상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종동 베벨 기어는 상기 제 2 축구멍 중 상기 기립 구동축을 삽입하는 삽입구와 반대측에 있는 도입구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는 것이다.
(발명의 효과)
청구항1의 발명에 의하면, 예취 전처리장치에 구비된 곡간 이송장치는 적어도 2개의 전동차와 이들 전동차에 감아 걸어진 타인이 부착된 무단벨트를 케이스체에 설치해서 유닛화되고, 상기 곡간 이송장치 및 이것에 대한 동력 전달부 중 어느 한쪽에 설치된 웅형 감합체와, 다른쪽에 설치된 자형 감합체는 동력 전달 가능하고 또한 착탈 가능하게 감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곡간 이송장치는 상기 동력 전달부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면 곡간 이송장치를 예취 전처리장치에 설치함에 있어서는 상기 웅형 감합체와 상기 자형 감합체를 감합시킨 후, 상기 곡간 이송장치를 상기 동력 전달부에 대해서 체결하면 된다. 이 경우에는, 상기 동력 전달부 및 상기 자웅 감합체를 경유한 구동력에 의해, 상기 곡간 이송 장치의 상기 무단벨트가 구동된다.
반대로, 상기 곡간 이송장치를 분리함에 있어서는, 상기 곡간 이송장치와 상기 동력 전달부의 연결을 해제한 후, 상기 곡간 이송장치째 잡아당겨서 상기 웅형 감합체를 상기 자형 감합체로부터 잡아빼면 된다.
따라서, 청구항1의 구성을 채용하면, 콤바인의 제조에 있어서, 곡간 이송장치를 선행해서 조립해 둔 후, 상기 곡간 이송장치를 유닛으로 상기 예취 전처리장치에 설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콤바인의 제조라인중에서 상기 곡간 이송장치의 설치공수를 저감할 수 있어 제조비용의 저감에 기여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상기 곡간 이송장치의 설치·분리 작업의 수고로움이 현저히 경감되어, 상기 예취 전처리장치내의 청소나 정비 등의 메인터넌스 작업이 쉽다는 이점도 있다.
청구항2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웅형 감합체로서의 구동축의 선단부가 상기 자형 결합체로서의 전달 기어의 삽입 구멍에 대해서 일체로 회전하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으므로, 유닛화된 상기 곡간 이송장치와 상기 동력 전달부의 착탈의 용이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상기 동력 전달부로부터의 동력을 상기 전달 기어 및 상기 구동축을 통해 상기 전동차 1개에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청구항3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케이스체와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동력 전달부측으로부터 상기 케이스체의 배면을 향해서 나사 결합되는 체결 수단으로 체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곡간 이송장치의 상기 동력 전달부에 대한 부착·분리 조작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청구항4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곡간 이송장치를 기립 타인을 상기 주행기체의 진행방향과 교차하는 가로방향으로 돌출시키는 곡간 기립 케이스로 하고 있으므로, 상기 곡간 기립 케이스를 유닛 단위로 손쉽게 설치하거나 분리할 수 있게 되어 상기 예취 전처리장치내의 청소나 정비 등의 메인터넌스 작업이 현격히 쉬워진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청구항5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곡간 기립 케이스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립 구동 파이프의 일단측에 플랜지체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곡간 기립 케이스와 상기 기립 구동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한 기립 기어 케이스에는 플랜지체에 있어서의 플랜지측 맞춤면에 접촉 가능한 제 1 맞춤면이 형성되고, 상기 기립 기어 케이스와 상기 기립 구동 파이프의 상기 플랜지체가 상기 제 1 맞춤면과 상기 플랜지측 맞춤면을 접촉시킨 상태에서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기립 구동 파이프와 상기 기립 기어 케이스를 간단한 위치결정 조작으로 고정밀도로 연결할 수 있어 상기 곡간 기립 케이스 및 상기 기립 기어 케이스 등의 조립 작업 또는 분해 작업 등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6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기립 기어 케이스에는 상기 곡간 기립 케이스에 있어서의 케이스 맞춤면에 접촉 가능한 제 2 맞춤면이 형성되고, 상기 기립 기어 케이스와 상기 곡간 기립 케이스는 상기 제 2 맞춤면과 상기 케이스 맞춤면을 접촉시킨 상태에서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기립 기어 케이스와 상기 곡간 기립 케이스를 간단한 위치결정 조작으로 고정밀도로 연결할 수 있어 상기 곡간 기립 케이스 및 상기 기립 기어 케이스 등의 조립 작업 또는 분해 작업 등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7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기립 기어 케이스와 상기 플랜지체 또는 상기 곡간 기립 케이스의 체결 방향을 상기 기립 기어 케이스의 맞춤면과 상기 케이스 맞춤면 또는 상기 플랜지측 맞춤면의 맞춤 방향과 대략 일치시키고 있기 때문에, 상기 기립 기어 케이스와 상기 플랜지체 또는 상기 곡간 기립 케이스의 합체 조작 및 체결 수단으로서의 볼트의 나사 부착 조작 등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어 조립 및 분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8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기립 기어 케이스에는 상기 기립 구동 파이프의 기립 전동축에 스플라인을 통해 씌우듯이 끼우는 주동 베벨 기어를 배치하는 제 1 축구멍과, 상기 곡간 기립 케이스의 기립 구동축에 스플라인을 통해 씌우듯이 끼우는 종동 베벨 기어를 배치하는 제 2 축구멍이 형성되고, 베어링 축받이를 각각 끼운 상기 주동 베벨 기어 및 상기 종동 베벨 기어는 상기 제 1 축구멍 및 상기 제 2 축구멍의 각 베어링 수용부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기립 기어 케이스와 상기 베벨 기어만을 간단하게 유닛 구성할 수 있어 상기 곡간 기립 케이스 및 상기 기립 기어 케이스 등의 조립 작업 또는 분해 작업 등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9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 1 축구멍 및 상기 제 2 축구멍의 각 베어링 수용부에 상기 주동 베벨 기어 및 상기 종동 베벨 기어가 1개의 베어링 축받이를 통해 캔틸레버상태로 각각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주동 베벨 기어 및 상기 종동 베벨 기어의 축심방향의 길이를 짧게 형성할 수 있어 유닛 구성한 상기 기립 기어 케이스를 콤팩트하게 또한 경량으로 형성할 수 있다.
청구항10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기립 기어 케이스에는 상기 곡간 기립 케이스의 기립 구동축을 삽입하기 위한 상기 제 2 축구멍이 상기 기립 기어 케이스를 직선상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종동 베벨 기어는 상기 제 2 축구멍 중 상기 기립 구동축을 삽입하는 삽입구와 반대측에 있는 도입구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기립 전동축과 상기 기립 구동축을 상기 주동 베벨 기어 및 상기 종동 베벨 기어를 통해 교차상태로 연결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상기 기립 전동축과 상기 기립 구동축을 직렬상태로 연결하는 구조에 비해 상기 기립 기어 케이스를 보다 콤팩트하게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콤바인의 좌측면도이다.
도 2는 콤바인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콤바인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예취 전처리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예취 전처리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6은 예취 전처리장치의 동력 전달계통을 나타내는 골격(skeleton)도이다.
도 7은 중앙 곡간 기립 케이스의 내부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8은 중앙 곡간 기립 케이스와 좌측 곡간 기립 케이스를 후방에서 본 개략 사시도이다.
도 9는 중앙 곡간 기립 케이스와 좌측 곡간 기립 케이스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10은 기립 구동 파이프 등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11은 좌측 및 우측 기립 기어 케이스의 앞면측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12는 좌측 및 우측 기립 기어 케이스의 후면측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13은 좌측 및 우측 기립 기어 케이스의 단면 측면도이다.
도 14는 중앙 기립 기어 케이스의 앞면측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15는 중앙 기립 기어 케이스의 후면측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16은 중앙 기립 기어 케이스의 단면 측면도이다.
도 17은 기립 구동 파이프의 하단측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18은 기립 구동 파이프의 하단부의 단면 측면도이다.
도 19는 세로 반송 케이스와 세로 구동축의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부호의 설명)
1:주행기체 3:예취 전처리장치
13:곡간 기립장치 14:곡간 반송장치
22a,22b,22c:곡간 기립 케이스 39a,39b,39c:기립 구동 파이프
44a,44b,44c:기립 전동축 46a,46b,46c:기립 구동축
47:기립 구동 스프로킷 61:앞덮개
62:포위벽 63:이면판
64:타인 홈구멍 66:종동 롤러
67:무단 체인 71a,71b,71c:기립 기어 케이스
72,102:플랜지체 73,103:플랜지측 맞춤면
75,105:제 1 맞춤면 78,108:제 2 맞춤면
79,109:케이스 맞춤면 82,112:주동 베벨 기어
83,113:종동 베벨 기어 84,114:기어 기구
이하에, 본 발명을 구체화한 실시형태를 도면(도 1~도 19)에 기초해서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주행기체(1)의 진행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가로방향이라 고 칭한다.
처음에, 도 1∼도 3을 참조하면서, 콤바인의 전체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3조(條) 예취용 콤바인은 좌우 한쌍의 주행 크롤러(2,2)로 지지된 주행기체(1)를 구비하고 있다. 주행기체(1)의 앞부분에는 곡간을 예취하면서 받아 들이는 예취 전처리장치(3)가 단동식의 유압 실린더(4)로 승강 조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주행기체(1)에는 피드 체인(6)이 설치된 탈곡장치(5)와, 탈곡후의 곡립을 저장하는 곡립탱크(7)가 옆으로 나란히 탑재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탈곡장치(5)가 주행기체(1)의 진행방향 좌측에, 곡립탱크(7)가 주행기체(1)의 진행방향 우측에 배치되어 있다. 곡립탱크(7)는 주행기체(1)의 뒷부분에 설치된 세로축(실시형태에서는 배출 오거(8)의 세로 오거통(9), 도 1 및 도 2참조) 둘레에 수평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예취 전처리장치(3)와 곡립탱크(7) 사이에는 조향 레버나 운전좌석 등을 갖는 운전부(10)가 설치되어 있다. 운전부(10)의 하방에는 동력원으로서의 엔진(11)이 배치되어 있다. 예취 전처리장치(3)에 의해 예취된 예취 곡간은 피드 체인(6)에 인계되어 반송되고, 탈곡장치(5)에서 탈곡 처리된다.
탈곡장치(5)에 있어서의 급실(扱室)의 하방에는 급망(扱網)이나 채프 시브(chaff sieve) 등에 의한 요동 선별을 행하기 위한 요동선별기구(도시 생략)와, 풍구 팬에 의한 풍(風) 선별을 행하기 위한 풍 선별기구(도시 생략)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 양 선별기구로 선별되어서 1번 수용 홈통(도시 생략)에 모아진 곡립은 1번 컨베이어 및 양곡(揚穀) 컨베이어(도시 생략)를 통해 곡립탱크(7)에 집적된다. 곡립탱크(7)내의 1번물은 배출 오거(8)를 통해 기외로 반출된다.
또, 피드 체인(6)의 후단으로부터 폐짚 체인(18)(도 2 참조)에 인계된 폐짚은 긴 상태로 주행기체(1)의 후방으로 배출되거나, 또는 폐짚 커터(도시 생략)로 적당 길이로 짧게 절단된 후 주행기체(1)의 후방으로 배출된다.
다음에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서, 예취 전처리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예취 전처리장치(3)는 탈곡장치(5)의 전방에 위치하는 예취 가대(도시 생략)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된 가로로 긴 예취 입력 파이프(35)(도 1, 도 4 및 도 5 참조) 둘레에 상하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예취 입력 파이프(35)의 중도부에는 전방 비스듬히 하향으로 연장되는 세로 전동 파이프(3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세로 전동 파이프(36)의 중도부와 주행기체(1)의 전단부가 단동식의 유압 실린더(4)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세로 전동 파이프(36)의 선단부(하단부)에는 가로로 긴 가로 전동 파이프(3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로 전동 파이프(37)에는 전향으로 돌출하는 4개의 예취 프레임(38)이 가로 전동 파이프(37)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적당 간격으로 병설되어 있다. 상기 예취 프레임(38)군의 하방에는 바리캉(hair clippers)식의 예인(刈刃)장치(12)가 설치되어 있다. 각 예취 프레임(38)의 선단부에는 분초체(15)가 돌출설치되어 있다.
또한 가로 전동 파이프(37)에는 예취 조수에 맞춰서 3개의 지지 파이프로서의 중앙, 좌측 및 우측의 기립 구동 파이프(39b,39c,39a)가 전방 비스듬히 상향으 로 연장되도록 세워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중앙, 좌측 및 우측의 기립 구동 파이프(39b,39c,39a)군은 가로 전동 파이프(37)의 길이 방향(주행기체(1)의 가로폭방향)을 따라 적당 간격으로 늘어서 있다. 중앙, 좌측 및 우측의 기립 구동 파이프(39b,39c,39a)의 각 선단부에는 포장(圃場)에 식립(植立)된 미예취 곡간을 기립시키는 곡간 기립장치(13)가 부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취 전처리장치(3)의 전방부에 3조분의 곡간 기립장치(13)가 구비되어 있다. 곡간 기립장치(13)와 피드 체인(6)의 전단부 사이에는 곡간 반송장치(14)가 배치되어 있다.
곡간 기립장치(13)는 분초체(15)를 통해 받아 들여진 미예취 곡간을 기립시키는 기립 타인(21)을 갖는 곡간 이송장치로서의 가로회전형의 곡간 기립 케이스(22)와, 이들 각 곡간 기립 케이스(22)의 후방 하부에 배치된 스타휠(star wheel)(23) 및 그러모으기 벨트(24)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스타휠(23) 및 그러모으기 벨트(24)는 이들 세트에 대응하는 기립 타인(21)으로 기립된 미예취 곡간의 근원부를 후방으로 그러모으기 위한 것이다. 이들 스타휠(23) 및 그러모으기 벨트(24)로 그러모아진 미예취 곡간의 근원부가 바리캉식 예인장치(12)로 절단된다.
곡간 반송장치(14)는 우측 2조분의 예취 곡간을 좌측 비스듬히 후방으로 반송하는 우측 하부 반송체인(25)과, 좌측 1조분의 예취 곡간을 우측 비스듬히 후방으로 반송해서 그 근원부를 우측 하부 반송체인(25)의 이송 종단위치 근방에 합류시키는 좌측 하부 반송체인(27)과, 우측 2조분의 예취 곡간의 이삭끝부를 좌측 비스듬히 후방으로 반송하는 우측 상부 반송타인(31)과, 좌측 1조분의 예취 곡간의 이삭끝부를 우측 비스듬히 후방으로 반송해서 우측 상부 반송타인(31)에 합류시키 는 좌측 상부 반송타인(28)과, 우측 하부 반송체인(27)의 이송 종단위치 근방에서 합류한 3조분의 예취 곡간의 근원부를 피드 체인(6)에 인계하여 반송하기 위한 세로 반송체인(30)으로 구성되어 있다. 세로 반송체인(30)에 보내진 3조분의 예취 곡간의 근원부는 그 후 피드 체인(6)에 인계되어 끼워져 반송된다. 그리고, 이 예취 곡간의 이삭끝부가 탈곡장치(5)에 있어서의 급실내의 급동(扱胴)(17)에서 탈곡된다.
다음에 도 6을 참조하면서, 콤바인의 동력 전달계통에 대해서 설명한다. 엔진(11)으로부터 예취 전처리장치(3)를 향한 동력은 급동 입력축이나 예취 변속기구(모두 도시 생략) 및 예취 입력 풀리(40) 등을 통해 우선 예취 입력 파이프(35)에 내장된 예취 입력축(41)에 전달된다. 예취 입력축(41)에 전달된 동력은 세로 전동 파이프(36)내의 세로 전동축(42)을 통해 가로 전동 파이프(37)내의 가로 전동축(43)에 전달되고, 이어서, 가로 전동축(43)으로부터 중앙, 좌측 및 우측의 기립 구동 파이프(39b,39c,39a)에 내장된 중앙, 좌측 및 우측의 기립 전동축(44b,44c,44a)과, 예인 구동축(45)에 동력전달된다. 중앙, 좌측 및 우측의 기립 전동축(44b,44c,44a)에 전달된 동력은 중앙, 좌측 및 우측의 기립 구동축(46b,46c,46a) 및 이것에 연결된 기립 스프로킷(47)을 통해 곡간 기립장치(13)의 각 기립 타인(21)을 구동시킨다. 예인 구동축(45)에 전달된 동력은 예인장치(12)를 구동시킨다.
좌측 및 우측의 기립 전동축(44c,44a)으로부터는 인접하는 중앙, 좌측 및 우측의 기립 전동축(44b,44c,44a) 사이에 배치된 좌우의 하부 반송 구동축(48)에도 동력이 분기되어서 전달된다. 좌측의 하부 반송 구동축(48)에 전달된 동력은 이것에 연결된 좌측 구동 스프로킷(49)을 통해 곡간 반송장치(14)의 좌측 하부 반송체인(27), 곡간 기립장치(13)에 있어서의 좌측의 스타휠(23) 및 그러모으기 벨트(24)를 구동시킨다. 우측 하부 반송 구동축(48)에 전달된 동력은 이것에 연결된 우측 구동 스프로킷(49)을 통해 곡간 반송장치(14)의 우측 하부 반송체인(25), 곡간 기립장치(13)에 있어서의 우측과 중앙의 스타휠(23) 및 그러모으기 벨트(24)를 구동시킨다.
또한 예취 입력축(41)에 전달된 동력은 세로축(50)을 경유해서 곡간 반송장치(14)의 세로 반송체인(30), 우측 상부 반송 타인(31) 및 좌측 상부 반송 타인(28)에도 분기되어서 전달된다.
다음에 도 4∼도 9를 참조하면서, 곡간 기립장치를 구성하는 곡간 기립 케이스군의 배치 등의 개략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3조분의 곡간 기립 케이스(22)는 예취 전처리장치(3)의 전방부에 대해서 주행기체(1)의 가로폭방향을 따라 적당 간격으로, 또한 각각이 후방 비스듬히 상향의 경사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각 곡간 기립 케이스(22)에는 그 작용측의 하부로부터 횡일측 상부에 걸친 외주측부를 외향의 돌출자세로 회행해서 미예취 곡간을 기립시키는 기립 타인(21)이 구비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각 곡간 기립 케이스(22)는 소위 가로회전형의 것이다. 또, 설명의 편의상, 도 4 이후의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곡간 기립 케이스(22) 및 그 구성요소에는 주행기체(1)의 진행방향 우측의 것부터 순서대로 부호 a,b,c를 붙였다.
도 5 및 도 9에 나타내듯이, 가로 전동 파이프(37)(도 4 참조)에 전방 비스듬히 상향 경사상으로 세워서 설치된 각 기립 구동 파이프(39)의 상단부에는 동력 전달부로서의 기립 기어 케이스(71)를 통해 곡간 기립 케이스(22)의 이면 상부가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어 있다. 이들 각 곡간 기립 케이스(22)의 이면 하부는 그 하방에 위치하는 예취 프레임(38)에 세워서 설치된 역 L자형의 분기 프레임(52)(도 8의 2점 쇄선 참조)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어 있다.
주행기체(1)의 진행방향 우측에 위치하는 우측 곡간 기립 케이스(22a)와, 중앙에 위치하는 중앙 곡간 기립 케이스(22b)는 각각의 기립 타인(21a,21b)이 돌출하는 작용측의 횡일측부 끼리를 서로 대향시키고 있다. 한편, 주행기체(1)의 진행방향 좌측에 위치하는 단독 곡간 기립 케이스로서의 좌측 곡간 기립 케이스(22c)는 그 작용측의 우측부를 중앙 곡간 기립 케이스(22b)의 비작용측인 좌측부에 대향시키고 있다.
바꿔말하면, 우측 곡간 기립 케이스(22a)와 중앙 곡간 기립 케이스(22b)의 배치 관계는 기립 타인(21a,21b)의 돌출방향이 좌우 대칭상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중앙 곡간 기립 케이스(22b)를 사이에 두고 우측 곡간 기립 케이스(22a)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좌측 곡간 기립 케이스(22c)는 그 기립 타인(21c)이 중앙 곡간 기립 케이스(22b)의 기립 타인(22b)과 같은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각 곡간 기립 케이스(22)의 작용측이란 상기 곡간 기립 케이스(22)의 외주측부 중 기립 타인(21)이 외향의 돌출상태로 회행하는 영역을 말한다. 우측 곡간 기립 케이스(22a)의 작용측은 그 하부 부근의 우측 단부로부터 하저 부를 거쳐 좌측 상부까지의 영역이다. 중앙 곡간 기립 케이스(22b)의 작용측은 그 하부 부근의 좌측 단부로부터 하저부를 거쳐서 우측 상부까지의 영역이다. 또한 좌측 곡간 기립 케이스(22c)의 작용측은 중앙 곡간 기립 케이스(22b)와 마찬가지로, 그 하부 부근의 좌측 단부로부터 하저부를 거쳐 우측 상부까지의 영역이다. 따라서, 각 곡간 기립 케이스(22)의 기립 타인(21)은 도 3에 2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은 이동궤적을 지나게 된다.
우측 곡간 기립 케이스(22a)와 중앙 곡간 기립 케이스(22b)는 주행기체(1)의 가로폭방향을 따라 병렬상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정면에서 볼 때 우측 곡간 기립 케이스(22a)와 중앙 곡간 기립 케이스(22b) 사이는 서로의 기립 타인(21a,21b)이 간섭하지 않을 정도의 간격(TD1)이 벌어져 있다. 이 간격(TD1)은 포장에 있어서의 미예취 곡간의 조간격(300mm정도)에 대응해서 곡간 기립시에 우측 및 중앙 곡간 기립 케이스(22a,22b)가 한쌍으로 기능하기 쉬운(우측 2조분의 미예취 곡간을 기립시키기 쉬운) 폭치수로 되어 있다.
한편, 정면에서 볼 때 중앙 곡간 기립 케이스(22b)와 좌측 곡간 기립 케이스(22c) 사이는 좌측 곡간 기립 케이스(22c)의 기립 타인(21c)이 중앙 곡간 기립 케이스(22b)에 있어서의 비작용측의 좌측부에 접촉하지 않을 정도의 간격(TD2(TD2<TD1))이 벌어져 있다.
즉, 좌측 곡간 기립 케이스(22c)는 그 기립 타인(21c)이 정면에서 볼 때 중앙 곡간 기립 케이스(22b)에 있어서의 비작용측의 우측부에 접촉하지 않을 정도로 중앙 곡간 기립 케이스(22b)에 근접시켜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정면에서 볼 때 중앙 곡간 기립 케이스(22b)와 좌측 곡간 기립 케이스(22c) 사이의 간격(TD2)은 좌측 곡간 기립 케이스(22c)에 있어서의 기립 타인(21c)의 돌출길이보다 약간 긴 정도의 치수로 되어 있다. 이 간격(TD2)도 포장에 있어서의 미예취 곡간의 조간격에 대응해서 곡간 기립시에 좌측 곡간 기립 케이스(22c)가 단독으로 기능하기 쉬운(좌측 1조분의 미예취 곡간을 기립시키기 쉬운) 폭치수로 되어 있다.
또한 좌측 곡간 기립 케이스(22c)의 배치 위치는 그 기립 타인(21c)과 중앙 곡간 기립 케이스(22b)에 있어서의 하부 부근의 좌측 단부로부터 나타나는 돌출 초기의 기립 타인(21b)이 서로 간섭하지 않을 정도로 중앙 곡간 기립 케이스(22b)보다 후방에 간격(RD)만큼 비켜져 있다(도 4, 도 5 및 도 9 참조).
또, 중앙 곡간 기립 케이스(22b)의 좌측부에는 중앙 곡간 기립 케이스(22b)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긴 기립 가이드판(51)이 부착되어 있다. 이 경우, 기립 가이드판(51)은 중앙 곡간 기립 케이스(22b)의 좌측부에 있어서의 비작용측의 개소와 작용측의 개소에 걸쳐 연장되어 있다. 정면에서 볼 때에는 좌측 곡간 기립 케이스(22c)의 좌측부로부터 중앙 곡간 기립 케이스(22b)를 향해서 돌출한 기립 타인(21c)의 선단부는 기립 가이드판(51)의 후방에 숨게 된다.
우측 및 중앙 곡간 기립 케이스(22a,22b)는 한쌍으로 2조분의 미예취 곡간을 기립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에 대해서, 좌측 곡간 기립 케이스(22c)는 단독으로 1조분의 미예취 곡간을 기립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조(條) 예취에 있어서는, 주행기체(1)의 전방에 있는 3조분의 미예취 곡간 중 우측 2조분은 우측 및 중앙 곡간 기립 케이스(22a,22b)에 있어서의 기립 타인(21a,21b)의 쌍으로 기립되고, 우측 및 중앙 곡간 기립 케이스(22a,22b)의 사이에 받아들여진다. 좌측 1조분의 미예취 곡간은 좌측 곡간 기립 케이스(22c)의 기립 타인(21c)만으로 기립되고, 중앙 및 좌측 곡간 기립 케이스(22b,22c) 사이에 받아들여지게 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좌측 곡간 기립 케이스(22c)의 배치 위치는 그 기립 타인(21c)이 정면에서 볼 때 중앙 곡간 기립 케이스(21b)에 접촉하지 않을 정도로 중앙 곡간 기립 케이스(22b)에 근접하고, 또한 상기 기립 타인(21c)과 중앙 곡간 기립 케이스(22b)에 있어서의 하부 부근의 좌측 단부로부터 나타나는 돌출초기의 기립 타인(21b)이 서로 간섭하지 않을 정도로 중앙 곡간 기립 케이스(22b)보다 후방으로 비켜져 있으므로, 3조분의 곡간 기립 케이스(22) 전부가 포장에 있어서의 미예취 곡간의 조간격에 대응해서 곡간 기립에 최적인 배치 위치가 된다. 이것에 의해, 조예취에 있어서의 곡간 기립을 3조분 전체의 곡간 기립 케이스(22)의 기립 타인(21)으로 적절히 행할 수 있기 때문에, 곡간 기립 케이스(22) 전체로서의 기립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다음에 도 7∼도 9를 참조하면서, 각 곡간 기립 케이스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각 곡간 기립 케이스(22)는 우측 곡간 기립 케이스(22a)와 중앙 곡간 기립 케이스(22b)는 좌우 대칭상이든지, 중앙 곡간 기립 케이스(22b)에만 기립 가이드판(51)이 설치되어 있는 등의 다름은 있지만, 기본적으로 같은 구성이다. 그래서, 중앙 곡간 기립 케이스(22b)를 예로서 그 상세구조를 이하에 설명한다.
중앙 곡간 기립 케이스(22)는 주위에 포위벽(62)을 일체로 형성해서 이루어지는 합성수지판제 앞덮개(61)와, 상기 앞덮개(61)의 이면측에 장착된 금속판제의 이면판(63)에 의해 상하로 긴 중공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앞덮개(61)의 포위벽(62) 중 하부 부근의 좌측 단부로부터 하저부를 거쳐서 우측 상부까지의 영역에는 기립 타인(21b)을 외향으로 돌출시키기 위한 타인 홈구멍(64)이 개구되어 있다(도 8에 일부만 나타냄). 이 포위벽(62)에 있어서의 타인 홈구멍(64)의 개소가 중앙 곡간 기립 케이스(22b)의 작용측을 구성하게 된다. 앞덮개(61) 및 이면판(62)의 조합이 청구범위에 기재된 케이스체에 해당된다.
중앙 곡간 기립 케이스(22b)의 내부 중 상부측에 설치된 기립 구동 스프로킷(47) 및 텐션 스프로킷(65)과, 하부측에 설치된 종동 롤러(66)에는 무단벨트로서의 무단 체인(67)이 감아 걸어져 있다. 기립 구동 스프로킷(47)에 고착된 기립 구동축(46)은 그 중도부가 이면판(63)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기립 구동축(46)의 선단부는 이면판(63)으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무단 체인(67)에는 복수개의 기립 타인(21b)이 적당 간격으로 기복 요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기립 구동 파이프(39)내의 기립 전동축(44)으로부터 기립 구동축(46)에 전달된 동력으로 회전되는 기립 구동 스프로킷(47)에 의해 무단 체인(67)에 부착된 복수개의 기립 타인(21b)은 정면에서 볼 때 시계방향으로 회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기립 구동 스프로킷(47), 텐션 스프로킷(65) 및 종동 롤러(66)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전동차에 해당된다.
중앙 곡간 기립 케이스(22b)의 내부 중 종동 롤러(66)의 상방 개소에는 기립 타인(21b)이 중앙 곡간 기립 케이스(22b)에 있어서의 하부 부근의 좌측 단부에 도달했을 때 (비작용측으로부터 작용측으로 이행할 때), 상기 기립 타인(21b)의 회전 기단부에 접촉되는 돌출 안내 부재(68)가 설치되어 있다. 중앙 곡간 기립 케이스(22b)에 있어서의 하부 부근의 좌측 단부에 도달한 기립 타인(21b)의 회전 기단부가 돌출 안내 부재(68)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기립 타인(21b)은 포위벽(62)에 형성된 타인 홈구멍(64)의 선단 개소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되는 자세로 바뀌도록 구성되어 있다. 종동 롤러(66)의 개소에 있어서는, 기립 타인(21b)의 회전 기단부가 종동 롤러(66)의 외주 가장자리부에 접촉했을 때, 상기 기립 타인(21b)은 종동 롤러(66)의 회전중심으로부터 볼 때 방사상으로 외향 돌출되는 자세가 된다(도 7 참조).
중앙 곡간 기립 케이스(22b)의 내부 중 작용측 부근의 개소에는 기립 타인(21b)을 외향의 돌출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타인 가이드(69)가 무단 체인(67)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중앙 곡간 기립 케이스(22b)에 있어서의 작용측의 개소(하부 부근의 좌측 단부로부터 하저부를 거쳐 우측 상부까지의 영역)에서는 각 기립 타인(21b)이 타인 홈구멍(64)을 따라 외향의 돌출상태로 회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중앙 곡간 기립 케이스(22b)에 있어서의 비작용측의 개소(우측 상부로부터 상부를 거쳐 하부 부근의 좌측 단부까지의 영역)에서는 기립 타인(21b)의 선단부를 포위벽(62)의 내벽 등에 접촉시키거나 해서 상기 기립 타인(21b)을 기립 케이스(3)내에 쓰러진 자세(무단 체인(67)에 바싹 달라붙은 자세)로 수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텐션 스프로킷(65)은 이면판(63)에 대해서 무단 체인(67)이 긴장·이완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 8 및 도 10에 나타내듯이, 기립 구동 스프로킷(47), 텐션 스프로킷(65), 종동 롤러(66), 기립 타인(21)이 부착된 무단 체인(67), 앞덮개(61) 및 이면판(63) 등은 1개의 곡간 기립 케이스(22)로서 유닛화되어 있다.
다음에 중앙 곡간 기립 케이스에만 설치된 규제부재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중앙 곡간 기립 케이스(22b)에 있어서의 작용측의 하부, 즉 중앙 곡간 기립 케이스(22b)에 있어서의 하부 부근의 좌측 단부에는 단면이 く자형상인 규제부재(70)가 용접 또는 볼트고정 등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 규제부재(70)는 중앙 곡간 기립 케이스(22b)에 있어서의 하부 부근의 좌측 단부에 도달한 기립 타인(21b)이 타인 홈구멍(64)의 시단 개소로부터 외향으로 돌출하는 자세로 바뀔 때, 상기 기립 타인(21b)에 있어서의 기단부 주위의 상승 회전을 규제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중앙 곡간 기립 케이스(22b)에 대한 좌측 곡간 기립 케이스(22c)의 배치 관계상, 기립 가이드판(51)의 이면과, 좌측 곡간 기립 케이스(22c)의 우측부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된 기립 타인(21c)의 선단부 사이에 전후방향의 간극이 벌어지게 된다(도 9 참조). 이 간극이 벌어진 상태로 두면, 좌측 1조분의 미예취 곡간의 근원부가 상기 간극에 들어갈 가능성이 우려된다. 이 점, 규제부재(70)는 상기 간극을 없애서 미예취 곡간의 근원부의 침입을 방지하는 역할도 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규제부재(70)는 기립 가이드판(51)의 이면측에 타인 홈구멍(64)의 시단 개소를 외측으로부터 둘러싸도록 해서 부착되어 있다. 이 규제부 재(70)와 기립 가이드판(51)으로 둘러싸여진 공간은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다.
도 7∼도 9에 나타내듯이, 기립 타인(21b)의 돌출초기의 단계(기립 타인(21b)이 중앙 곡간 기립 케이스(22b)에 있어서의 하부 부근의 좌측 단부에 도달한 단계)에 있어서는, 외향의 돌출자세로 바뀌려고 하는 기립 타인(21b)의 선단부가 규제부재(70)의 내벽면에 부딪쳐서 상기 기립 타인(21b)은 도중까지 상승하여 회전한 자세로 유지된다.
즉, 기립 타인(21b)이 규제부재(70)의 개소를 통과할 때까지의 돌출초기의 단계에서는 무단 체인(67)에 대한 기립 타인(21b)의 상승각도(θ)가 작은 상태로 규제된다. 기립 타인(21b)이 규제부재(70)의 개소를 통과하면, 상기 기립 타인(21b)은 완전히 외향의 돌출자세로 바뀌고, 타인 홈구멍(64)을 따라 회행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중앙 곡간 기립 케이스(22b)에 있어서의 작용측의 하부에 상기 중앙 곡간 기립 케이스(22b)에 있어서의 하부 부근의 돌출초기의 기립 타인(21b)의 자세를 규제하기 위한 규제부재(70)를 설치한다는 구성을 채용하면, 중앙 곡간 기립 케이스(22b)의 기립 타인(21b)이 돌출초기의 단계에서 좌측 곡간 기립 케이스(22c)에 있어서의 작용측의 우측부를 향해서 돌출된 자세로 되는 것을 확실히 규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중앙 곡간 기립 케이스(22b)에 있어서의 돌출초기의 기립 타인(21b)이 좌측 곡간 기립 케이스(22c)에 대응하는 좌측 1조분의 미예취 곡간을 잘못해서 긁어 내려 버릴(도복시켜 버릴) 우려를 현저히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성에 의하면, 중앙 곡간 기립 케이스(22b)의 기립 타인(21b)에 의해 방해받지 않게 좌측 1조분의 미예취 곡간을 좌측 곡간 기립 케이스(22c)의 기립 타인(21c) 단독으로 확실하게 기립시키고, 중앙 및 좌측 곡간 기립 케이스(22b,22c) 사이에 수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규제부재(70)의 존재에 의해, 기립 가이드판(51)의 이면과 좌측 곡간 기립 케이스(22c)에 있어서의 기립 타인(21c)의 선단부 사이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의 간극이 없어지므로, 좌측 1조분의 미예취 곡간의 근원부가 상기 간극에 들어가는 것에 기인한 짚막힘을 미연에 방지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8 및 도 9에 상세하게 나타내듯이, 규제부재(70)에는 좌측 곡간 기립 케이스(22c)에 있어서의 기립 타인(21c)의 선단부와 대치하는 외측면을 평면에서 볼 때 후방 비스듬히 우향으로 경사진 안내면(70a)으로 형성하고 있다. 이 규제부재(70)의 안내면(70a)은 좌측 곡간 기립 케이스(22c)의 기립 타인(21c)과 협동해서 좌측 1조분의 미예취 곡간의 근원부를 후방의 스타휠(23) 등을 향해서 끌어들이기 위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규제부재(70) 중 좌측 곡간 기립 케이스(22c)에 있어서의 기립 타인(21c)의 선단부와 대치하는 개소에 좌측 1조분의 미예취 곡간의 근원부를 후방으로 끌어들이기 위한 경사상의 안내면(70a)을 형성하면, 규제부재(70)의 안내면(70a)과 좌측 곡간 기립 케이스(22c)의 기립 타인(21c)의 협동에 의해 좌측 1조분의 미예취 곡간의 근원부가 후방의 스타휠(23) 등을 향해서 원활하게 안내(가이드)되게 되어 곡간 기립시의 짚넘침이나 반송 흐트러짐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 다. 특히, 소위 중간 분할(intermediate division) 작업시와 같이 다량의 미예취 곡간을 곡간 기립 케이스군으로 기립시키는 경우에 규제부재(70)에 있어서의 경사상의 안내면(70a)은 높은 가이드 기능을 발휘한다.
다음에 도 6∼도 18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형태의 곡간 기립장치(13)에 있어서의 3조분의 각 기립 타인(21a,21b,21c)의 구동 구조를 설명한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듯이, 가로 전동 파이프(37)에 세워서 설치한 중앙, 좌측 및 우측의 기립 구동 파이프(39b,39c,39a)의 상단측에는 중앙, 좌측 및 우측의 기립 기어 케이스(71b,71c,71a)를 통해 중앙, 좌측 및 우측의 곡간 기립 케이스(22b,22c,22a)의 상단측(기립 타인(21b,21c,21a)의 곡간 이송 종단측)이 각각 연결되어 있다.
도11 내지 도 13을 참조해서 좌측 및 우측의 기립 구동 파이프(39c,39a)와, 좌측 및 우측의 기립 기어 케이스(71c,71a)와, 좌측 및 우측의 곡간 기립 케이스(22c,22a)의 연결 구조를 설명한다.
도 11 내지 도 13에 나타내듯이, 좌측 및 우측의 기립 기어 케이스(71c,71a)는 측면에서 볼 때 대략 く자형의 원통구조로 주조 가공으로 형성되어 있다. 좌측 및 우측의 기립 구동 파이프(39c,39a)의 일단측에는 플랜지체(72)가 용접으로 고정 설치되고, 좌측 및 우측의 기립 기어 케이스(71c,71a)의 일단측 플랜지부(74)에는 플랜지체(72)에 있어서의 플랜지측 맞춤면(73)에 접촉 가능한 평면상의 제 1 맞춤면(75)이 형성되어 있다. 좌측 및 우측의 기립 기어 케이스(71c,71a)와, 좌측 및 우측의 기립 구동 파이프(39c,39a)의 플랜지체(72)는 서로 평면상의 제 1 맞춤 면(75)과 플랜지측 맞춤면(73)을 접촉시킨(겹친) 상태로 복수개의 볼트(76)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어 있다. 또, 볼트(76)의 나사는 일단측 플랜지부(74)에 나사 부착되어 있다.
또한 좌측 및 우측의 기립 기어 케이스(71c,71a)의 타단측 플랜지부(77)에는 좌측 및 우측의 곡간 기립 케이스(22c,22a)에 있어서의 케이스 맞춤면(79)에 접촉 가능한 평면상의 제 2 맞춤면(78)이 형성되어 있다. 좌측 및 우측의 기립 기어 케이스(71c,71a)와, 좌측 및 우측의 곡간 기립 케이스(22c,22a)는 서로 평면상의 제 2 평면 맞춤면(78)과 케이스 맞춤면(79)을 접촉시킨(겹친)상태로 복수개의 볼트(80)(체결 수단)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어 있다. 또, 볼트(80)의 나사는 이면판(63)의 앞면측의 너트(81)(피체결구)에 나사 부착되어 있다.
한편, 좌측 및 우측의 기립 기어 케이스(71c,71a)에는 좌측 및 우측의 기립 구동 파이프(39c,39a)의 좌측 및 우측의 기립 전동축(44c,44a)에 끼워지는 주동 베벨 기어(82)와, 상기 좌측 및 우측의 곡간 기립 케이스(22c,22a)의 기립 구동축(46c,46a)에 끼워지는 종동 베벨 기어(83)를 갖는 기어 기구(84)가 내장되어 있다. 좌측 및 우측의 기립 기어 케이스(71c,71a)는 주동 베벨 기어(82) 및 종동 베벨 기어(83)가 내장된 기어 케이스 유닛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주동 베벨 기어(82)는 좌측 및 우측의 기립 기어 케이스(71c,71a)에 형성된 く자상의 구멍 중 한쪽의 제 1 축구멍(93)내에 배치되고, 종동 베벨 기어(83)는 다른쪽의 제 2 축구멍(94)내에 배치되어 있다. 주동 베벨 기어(82)와 종동 베벨 기어(83)는 좌측 및 우측의 기립 기어 케이스(71c,71a)내에서 항시 맞물려져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주동 베벨 기어(82)에 형성된 스플라인 구멍(98)에 대해서 기립 전동축(44c,44a)의 선단부에 형성된 스플라인부가 일체로 회전하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스플라인 감합되어 있다). 또한 종동 베벨 기어(83)에 형성된 스플라인 구멍(99)에 대해서는 기립 구동축(46c,46a)의 선단부에 형성된 스플라인부가 일체로 회전하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스플라인 감합되어 있다). 따라서, 기립 전동축(44c,44a)에 전달된 동력은 기어 기구(84) 및 기립 구동축(46c,46a)을 통해 기립 구동 스프로킷(47c,47a)을 회전 구동시키게 된다.
좌우의 곡간 기립 케이스(22a,22c)의 기립 구동축(46a,46c)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웅형 감합체로서의 구동축에 해당되고, 동력 전달부로서의 좌우 기립 기어 케이스(71a,71c)에 내장된 기립측 베벨 기어(83)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자형 감합체로서의 전달 기어에 해당된다.
또, 기립 구동축(46a,46c)의 스플라인부 대신에 단면이 육각 등의 다각형 축부를 채용하고, 이것에 대응하는 다각형 구멍이 형성된 전달 기어에 상기 다각형 축부를 끼움으로써 기립 구동축(46a,46c)을 상기 전달 기어에 대해서 일체로 회전하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해도 좋다.
주동 베벨 기어(82)의 보스부(85)에는 베어링 축받이(86)가 씌우듯이 끼워져 있다. 상기 베어링 축받이(86)는 스냅링(snap ring)형의 리테이닝링(87)을 통해 보스부(85)에 착탈 가능하게 록킹되어 있다. 베어링 축받이(86)는 좌측 및 우측의 기립 기어 케이스(71c,71a)내의 베어링 수용부(95)에 대해서 스냅링형의 리테이닝링(88)을 통해 착탈 가능하게 록킹되어 있다. 따라서, 주동 베벨 기어(82)는 그 보 스부(85)에 씌우듯이 끼워진 베어링 축받이(86)를 통해 좌측 및 우측의 기립 기어 케이스(71c,71a)에 있어서의 제 1 축구멍(93)측의 베어링 수용부(95)에 캔틸레버상태로 또한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한편, 종동 베벨 기어(83)의 보스부(83)에는 베어링 축받이(90)가 씌우듯이 끼워져 있다. 상기 베어링 축받이(90)는 스냅링형의 리테이닝링(91)을 통해 보스부(83)에 착탈 가능하게 록킹되어 있다. 베어링 축받이(90)는 좌측 및 우측의 기립 기어 케이스(71c,71a)내의 베어링 수용부(96)에 대해서 스냅링형의 리테이닝링(92)을 통해 착탈 가능하게 록킹되어 있다. 따라서, 종동 베벨 기어(83)는 그 보스부(83)에 씌우듯이 끼워진 베어링 축받이(90)를 통해 좌측 및 우측의 기립 기어 케이스(71c,71a)에 있어서의 제 2 축구멍(94)측의 베어링 수용부(96)에 캔틸레버상태로 또한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좌측 및 우측의 기립 구동 파이프(39c,39a)는 좌측 및 우측의 기립 전동축(44c,44a)을 갖는 기립 구동 유닛구조로 구성되고, 좌측 및 우측의 곡간 기립 케이스(22c,22a)는 좌측 및 우측의 기립 구동축(46c,46a)을 갖는 기립 케이스 유닛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하면, 좌측 및 우측의 기립 기어 케이스(71c,71a)로부터 돌출되는 축이 없기 때문에, 좌측 및 우측의 기립 기어 케이스(71c,71a)를 콤팩트하고 취급이 용이한 유닛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해서 중앙의 기립 구동 파이프(39b), 중앙의 기립 기어 케이스(71b), 및 중앙의 곡간 기립 케이스(22b)의 연결구조를 설명한다.
도 14∼도 16에 나타내듯이, 중앙의 기립 기어 케이스(71b)는 주조 가공으로 レ자상으로 연장되는 원통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중앙의 기립 기어 케이스(71b)에 형성된 レ자상의 구멍 중 중앙의 곡간 기립 케이스(22b)의 기립 구동축(46b)을 삽입하기 위한 제 2 축구멍(124)(관통구멍)은 이 중앙의 기립 기어 케이스(71b)를 직선상으로 관통하고 있다. 그리고, 이 제 2 축구멍(124)에 대해서 중앙의 기립 구동 파이프(39b)에 있어서의 기립 전동축(44b)을 삽입하기 위한 제 1 축구멍(123)(연통 구멍)이 연통되어 있다. 즉, 중앙의 기립 기어 케이스(71b)에 형성된 구멍은 중앙 기립 기어 케이스(71b)를 직선상으로 관통한 제 2 축구멍(124)과, 이 제 2 축구멍(124)에 연통된 제 1 축구멍(123)이 교차상태로 연통되어 있으며, 중앙의 기립 기어 케이스(71b)는 두갈래로 분기되어 있다.
중앙의 기립 구동 파이프(39b)의 일단측에는 플랜지체(102)가 용접 등으로 고정 설치되어 있다. 중앙의 기립 기어 케이스(71b)의 일단측 플랜지부(104)에는 플랜지체(102)의 플랜지측 맞춤면(103)에 접촉 가능한 제 1 평면 맞춤면(105)이 형성되어 있다. 중앙의 기립 기어 케이스(71b)와, 중앙의 기립 구동 파이프(39b)의 플랜지체(102)는 제 1 평면 맞춤면(105)과 플랜지측 맞춤면(103)을 접촉시킨(겹친) 상태에서, 복수개의 볼트(106)로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어 있다. 또, 볼트(106)의 나사는 일단측 플랜지부(104)에 나사 부착되어 있다.
또한 중앙의 기립 기어 케이스(71b)의 타단 플랜지부(107)에는 중앙의 곡간 기립 케이스(22b)의 케이스 맞춤면(109)에 접촉 가능한 제 2 평면 맞춤면(108)이 형성되어 있다. 중앙의 기립 기어 케이스(71b)와 중앙의 곡간 기립 케이스(22b)는 제 2 평면 맞춤면(108)과 케이스 맞춤면(109)을 접촉시킨 (겹친) 상태에서, 복수개의 볼트(110)(체결 수단)로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어 있다. 또, 볼트(110)의 나사는 이면판(63)에 있어서의 앞면측(내면측)의 너트(111)(피체결구)에 나사 부착되어 있다.
한편, 중앙의 기립 기어 케이스(71b)에는 중앙의 기립 구동 파이프(39b)에 있어서의 기립 전동축(44b)에 끼워지는 주동 베벨 기어(112)와, 중앙의 곡간 기립 케이스(22b)에 있어서의 기립 구동축(46b)에 끼워지는 종동 베벨 기어(113)를 갖는 기어 기구(114)가 내설되어 있다. 이 경우도 중앙의 기립 기어 케이스(71b)는 주동 베벨 기어(112) 및 종동 베벨 기어(113)가 내장된 기어 케이스 유닛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주동 베벨 기어(112)와 종동 베벨 기어(113)는 중앙의 기립 기어 케이스(71b)내에서 항시 맞물려져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주동 베벨 기어(112)에 형성된 스플라인 구멍(138)에 대해서 기립 전동축(44b)의 선단부에 형성된 스플라인부가 일체로 회전하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스플라인 감합되어 있다). 또한 종동 베벨 기어(113)에 형성된 스플라인 구멍(139)에 대해서는 기립 구동축(46b)의 선단부에 형성된 스플라인부가 일체로 회전하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스플라인 감합되어 있다). 따라서, 이 경우도, 기립 전동축(44b)에 전달된 동력은 기어 기구(114) 및 기립 구동축(46b)을 통해 기립 구동 스프로킷(47b)을 회전 구동시키게 된다.
중앙 곡간 기립 케이스(22b)의 기립 구동축(46b)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웅형 감합체로서의 구동축에 해당되고, 동력 전달부로서의 중앙 기립 기어 케이스(71b) 에 내장된 기립측 베벨 기어(113)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자형 감합체로서의 전달 기어에 해당되는 것이다.
또, 이 경우도, 기립 구동축(46b)의 스플라인부 대신에, 단면이 육각 등의 다각형 축부를 채용하고, 이것에 대응하는 다각형 구멍이 형성된 전달 기어에 상기 다각형 축부를 끼움으로써 기립 구동축(46b)을 상기 전달 기어에 대해서 일체로 회전하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해도 좋다.
주동 베벨 기어(112)의 보스부(115)에는 베어링 축받이(116)가 씌우듯이 끼워져 있다. 이 베어링 축받이(116)는 스냅링형의 리테이닝링(117)을 통해 보스부(115)에 착탈 가능하게 록킹되어 있다. 베어링 축받이(116)는 중앙의 기립 기어 케이스(71b)에 있어서의 제 1 축구멍(123)내의 베어링 수용부(125)에 대해서도 스냅링형의 리테이닝링(118)을 통해 착탈 가능하게 록킹되어 있다. 따라서, 주동 베벨 기어(112)는 그 보스부(115)에 씌우듯이 끼워진 베어링 축받이(116)를 통해 중앙의 기립 기어 케이스(71b)에 있어서의 제 1 축구멍(123)측의 베어링 수용부(125)에 캔틸레버상태로 또한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한편, 종동 베벨 기어(113)의 보스부(119)에는 베어링 축받이(120)가 씌우듯이 끼워져 있다. 상기 베어링 축받이(120)는 스냅링형의 리테이닝링(121)을 통해 보스부(119)에 착탈 가능하게 록킹되어 있다. 베어링 축받이(120)는 중앙의 기립 기어 케이스(71b)에 있어서의 제 2 축구멍(124)의 베어링 수용부(126)에 대해서도 스냅링형의 리테이닝링(122)을 통해 착탈 가능하게 록킹되어 있다. 따라서, 종동 베벨 기어(113)는 그 보스부(119)에 씌우듯이 끼워진 베어링 축받이(120)를 통해 중앙의 기립 기어 케이스(71b)에 있어서의 제 2 축구멍(124)측의 베어링 수용부(126)에 캔틸레버상태로 또한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이 경우에 있어서도, 중앙의 기립 구동 파이프(39b)에 중앙 기립 전동축(44b)이 배치된 기립 구동 유닛구조와, 중앙 곡간 기립 케이스(22b)에 중앙의 기립 구동축(46b)이 배치된 기립 케이스 유닛구조가 상술의 기어 케이스 유닛구조와 함께 채용되고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채용한 경우도, 중앙의 기립 기어 케이스(71b)로부터 돌출하는 축이 없기 때문에, 중앙의 기립 기어 케이스(71b)를 콤팩트하고 취급하기 쉬운 유닛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중앙 기립 기어 케이스(71b)에는 중앙 곡간 기립 케이스(22b)의 기립 구동축(46b)을 삽입하기 위한 관통구멍(124)이 중앙 기립 기어 케이스(71b)를 직선상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도 15 및 도 16 참조). 기립측 베벨 기어(113)는 관통구멍(124) 중 기립 구동축(46b)이 삽입되는 삽입구(128b)와는 반대에 위치하는 도입구(128a)를 통해 베어링 수용부(126)에 착탈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입구(128a)는 착탈 가능한 덮개(129)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폐쇄되어 있다. 따라서, 종동 베벨 기어(113)는 도입구(128a)로부터 베어링 수용부(126)에 장착되거나, 도입구(128a)를 통해 베어링 수용부(126)로부터 인출되게 된다.
이 때문에, 좌우의 기립 전동축(44c,44a)의 끝부와 좌우의 기립 구동축(46c,46a)의 끝부를 동조(同調)시킨 도 13에 나타낸 전동구조에 비해 중앙의 기립 기어 케이스(71b)의 외형 치수를 중앙의 기립 구동축(46b)의 축심방향에 대해서 콤팩트하게 형성할 수 있다. 즉, 중앙의 기립 전동축(44b)과 중앙의 기립 구동축(46b)을 주동 베벨 기어(112) 및 종동 베벨 기어(113)를 통해 교차시킨 상태(중앙의 기립 전동축(44b)의 끝부를 중앙의 기립 구동축(46b)의 중간부에 접근시킨 상태)로 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중앙의 기립 기어 케이스(71b)의 외형크기를 기립 구동축(46b)의 축심방향에 대해서 콤팩트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곡간 기립 케이스(22a∼22c)가 기립 구동 스프로킷(47), 텐션 스프로킷(65) 및 종동 롤러(66)에 기립 타인(21)이 부착된 무단 체인(67)을 감아 건 상태로 유닛화되어 있으므로, 곡간 기립 케이스(22a∼22c)를 예취 전처리장치(3)에 설치함에 있어서는, 곡간 기립 케이스(22a∼22c)측의 기립 구동축(46a∼46c)을 기립 기어 케이스(71a∼71c)에 있어서의 종동 베벨 기어(83(113))의 스플라인 구멍(99(139))에 삽입하고, 이어서, 곡간 기립 케이스(22a∼22c)의 이면 상부와 기립 기어 케이스(71a∼71c)를 볼트(80(110))로 체결함과 아울러, 곡간 기립 케이스(22a∼22c)의 이면 하부와 분기 프레임(52)을 체결하면 된다.
반대로, 곡간 기립 케이스(22a∼22c)를 분리함에 있어서는, 곡간 기립 케이스(22a∼22c)의 이면 상부와 기립 기어 케이스(71a∼71c)를 체결하는 볼트(80(110))를 푸는 동시에, 곡간 기립 케이스(22a∼22c)의 이면 하부와 분기 프레임(52)을 체결하는 볼트를 풀어서 곡간 기립 케이스(22a∼22c)와, 기립 기어 케이스(71a∼71c) 및 분기 프레임(52)의 연결을 해제하고, 이어서, 곡간 기립 케이스(22a∼22c)째 앞방향으로 잡아당겨서 곡간 기립 케이스(22a∼22c)측의 기립 구동 축(46)을 기립 기어 케이스(71a∼71c)에 있어서의 종동 베벨 기어(83(113))의 스플라인 구멍(99(139))으로부터 잡아빼면 된다.
즉, 기립 기어 케이스(71c,71a)의 유닛구조와, 기립 구동 파이프(39c,39a)의 유닛구조와, 곡간 기립 케이스(22c,22a)의 유닛구조가 각각 따로따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조립 작업 또는 분해 작업 등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중앙의 기립 기어 케이스(71b)의 유닛구조와, 중앙의 기립 구동 파이프(39b)의 유닛구조와, 중앙의 곡간 기립 케이스(22b)의 유닛구조가 각각 따로따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조립 작업 또는 분해 작업 등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을 채용하면, 콤바인의 제조에 있어서, 곡간 기립 케이스(22a∼22c)를 선행해서 조립해 둔 후, 상기 곡간 기립 케이스(22a∼22c)를 유닛으로 예취 전처리장치(3)에 설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콤바인의 제조라인중에서 곡간 기립 케이스(22a∼22c)의 설치공수가 저감되어 제조비용의 저감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곡간 기립 케이스(22a∼22c)의 설치시마다 곡간 기립 케이스(22a∼22c)의 이면판(63)과 기립 기어 케이스(71a∼71c)를 위치맞춤하거나, 곡간 기립 케이스(22a∼22c)의 무단 체인(67)의 팽창상태를 하나하나 다시 조절할 필요가 없어 곡간 기립 케이스(22a∼22c)의 설치·분리작업의 수고를 현저히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예취 전처리장치(3)내의 청소라는 메인터넌스 작업도 쉬워지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와 같은 곡간 기립 케이스(22a∼22c)를 유닛단위로 착탈하는 기능은, 예를 들면 곡간 기립장치(13)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곡간 반송장치(14)의 개소에서 짚막 힘 등이 생긴 경우에 특히 유효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종동 베벨 기어(83(113))의 스플라인 구멍(99(129))에 대해서, 기립 구동축(46)의 선단부에 형성된 스플라인부를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한다(스플라인 감합시킨다)는 구성이 채용되고 있으므로, 유닛화된 곡간 기립 케이스(22a∼22c)와 기립 기어 케이스(71a∼71c)의 착탈의 용이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기립 전동축(44a∼44c)으로부터의 동력을 기어 기구(84(114)) 및 기립 구동축(46a∼46c)을 통해 기립 구동 스프로킷(47)에 전달할 수 있다.
도 10에 나타내듯이, 상술한 중앙의 기립 구동 파이프(39b)의 하단측은 가로 전동 파이프(37)로부터 기체 전방(진행방향)으로 돌출한 분기 파이프(130)의 선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중앙의 기립 구동 파이프(39b)내의 기립 전동축(44b)은 분기 파이프(130)에 내장된 분기축(131) 및 2조의 베벨 기어 기구 등을 통해 가로 전동축(43)에 연결되어 있다.
한편, 도 10,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내듯이, 상술한 좌측 및 우측의 기립 구동 파이프(39c,39a)의 하단측은 가로 전동 파이프(37)에 볼트(132)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어 있다. 좌측 및 우측의 기립 구동 파이프(39c,39a)내의 기립 전동축(44c,44a)은 1세트의 베벨 기어 기구(133) 등을 통해 가로 전동축(43)에 연결되어 있다.
도 19는 우측 상부 반송 타인(31)을 갖는 우측 상부 반송 케이스(150)와 세로 구동 기어 케이스(154)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다른 예이다.
이 다른 예에 있어서의 곡간 이송장치로서의 우측 상부 반송 케이스(150)는 상술의 곡간 기립 케이스(22)와 마찬가지로, 전동차로서의 반송 구동 스프로킷 및 종동 롤러(모두 도시 생략)에 무단벨트로서의 우측 상부 반송 타인(31)이 부착된 타인 체인(도시 생략)을 감아걸고, 이들을 상하 한쌍의 커버판(151,152)으로 끼워넣어 유닛화한 구조로 되어 있다. 상하 한쌍의 커버판(151,152)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케이스체에 해당된다.
우측 상부 반송 케이스(150)내의 반송 구동 스프로킷에는 세로 구동축(50)의 선단부(상단부)에 끼워지는 스플라인 통체(153)가 고착되어 있다. 상기 스플라인 통체(153)의 중도부는 하부 커버판(152)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스플라인 통체(153)의 하단부는 하부 커버판(152)으로부터 외향(하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한편, 세로 구동축(50)은 기어 기구(도시 생략)가 내장된 동력 전달부로서의 세로 구동 기어 케이스(154)로부터 상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세로 구동축(50)에는 기어 기구를 통해 예취 입력축(41)으로부터의 동력이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반송 구동 스프로킷의 스플라인 통체(153)에 대해서는, 세로 구동축(50)의 상단부에 형성된 스플라인부가 일체로 회전하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스플라인 감합되어 있다). 그리고, 세로 구동축(50)으로부터 스플라인 통체(153)를 경유해서 반송 구동 스프로킷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에 의해 타인 체인에 부착된 우측 상부 반송 타인(31)이 회행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세로 구동축(50)이 청구범위에 기재된 웅형 감합체에 해당되고, 반송 구동 스프로킷의 스플라인 통체(153)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자형 감합체에 해당된다.
또, 이 경우도, 세로 구동축(50)의 스플라인부 대신에, 단면이 육각 등의 다각형 축부를 채용하고, 이것에 대응하는 다각형 구멍이 형성된 통체에 상기 다각형축부를 끼움으로써 세로 구동축을 반송 구동 스프로킷의 통체에 대해서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해도 좋다.
우측 상부 반송 케이스(150)의 하부 커버판(152)과 세로 구동 기어 케이스(154)는 스플라인 통체(153)에 세로 구동축(50)을 삽입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가로방향으로부터 체결구(155) 및 피체결구(156)를 이용하여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도, 콤바인의 제조시에 우측 상부 반송 케이스(150)를 미리 조립해 둔 후, 상기 우측 상부 반송 케이스(150)를 유닛으로 예취 전처리장치(3)에 설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콤바인의 제조라인중에서 우측 상부 반송 케이스(150)의 설치공수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우측 상부 반송 케이스(150)를 세로 구동 기어 케이스(154)에 대해서 손쉽게 설치하거나 분리할 수 있어 우측 상부 반송 케이스(150)나 그 주변에 대한 청소나 정비 등의 메인터넌스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의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가지 형태로 구체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로회전형의 곡간 기립 케이스는 상기한 바와 같은 3조 타입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개이어도 된다.
기타, 각 부의 구성은 도시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로 변경이 가능하다.

Claims (10)

  1. 주행기체의 전방부에 설치된 예취 전처리장치에 곡간 이송장치가 구비된 콤바인으로서:
    상기 곡간 이송장치는 2개이상의 전동차와 이들 전동차에 감아 걸어진 타인이 부착된 무단벨트를 케이스체에 조립하여 유닛화되고;
    상기 곡간 이송장치 및 이것에 대한 동력 전달부 중 어느 한쪽에 설치된 웅형 감합체와, 다른쪽에 설치된 자형 감합체는 동력 전달 가능하며 또한 착탈 가능하게 감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곡간 이송장치는 상기 동력 전달부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웅형 감합체는 상기 전동차의 1개에 고정된 구동축이며, 상기 구동축은 상기 케이스체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고, 또한 상기 케이스체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한편;
    상기 자형 감합체는 상기 동력 전달부에 내장된 기어 기구 중 삽입 구멍을 갖는 전달 기어이며;
    상기 구동축의 선단부가 상기 전달 기어의 상기 삽입 구멍에 대해서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체와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동력 전달부측으로부터 상기 케이스체의 배면을 향해서 나사 결합되는 체결 수단으로 체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곡간 이송장치는 기립 타인을 상기 주행기체의 진행방향과 교차하는 가로방향으로 돌출시키는 곡간 기립 케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곡간 기립 케이스는 상기 주행기체의 진행방향과 교차하는 폭방향을 따라 적절한 간격으로 복수개 배치되어 있는 한편, 상기 곡간 기립 케이스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립 구동 파이프와, 상기 곡간 기립 케이스와 상기 기립 구동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한 기립 기어 케이스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기립 구동 파이프의 일단측에는 플랜지체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기립 기어 케이스에는 상기 플랜지체에 있어서의 플랜지측 맞춤면에 접촉 가능한 제 1 맞춤면이 형성되고;
    상기 기립 기어 케이스와 상기 기립 구동 파이프의 상기 플랜지체는 상기 제 1 맞춤면과 상기 플랜지측 맞춤면을 접촉시킨 상태에서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기립 기어 케이스에는 상기 곡간 기립 케이스에 있 어서의 케이스 맞춤면에 접촉 가능한 제 2 맞춤면이 형성되고;
    상기 기립 기어 케이스와 상기 곡간 기립 케이스는 상기 제 2 맞춤면과 상기 케이스 맞춤면을 접촉시킨 상태에서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기립 기어 케이스와 상기 플랜지체 또는 상기 곡간 기립 케이스의 체결 방향을 상기 기립 기어 케이스의 맞춤면과 상기 케이스 맞춤면 또는 상기 플랜지측 맞춤면의 맞춤 방향과 대략 일치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립 기어 케이스에는 상기 기립 구동 파이프의 기립 전동축에 스플라인을 통해 끼워지는 주동 베벨 기어를 배치하는 제 1 축구멍과, 상기 곡간 기립 케이스의 기립 구동축에 스플라인을 통해 끼워지는 종동 베벨 기어를 배치하는 제 2 축구멍이 형성되고;
    베어링 축받이를 각각 끼운 상기 주동 베벨 기어 및 상기 종동 베벨 기어는 상기 제 1 축구멍 및 상기 제 2 축구멍의 각 베어링 수용부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축구멍 및 상기 제 2 축구멍의 각 베어링 수용부에는 상기 주동 베벨 기어 및 상기 종동 베벨 기어가 1개의 베어링 축받이를 통 해 캔틸레버상태로 각각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기립 기어 케이스에는 상기 곡간 기립 케이스의 기립 구동축을 삽입하기 위한 상기 제 2 축구멍이 상기 기립 기어 케이스를 직선상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종동 베벨 기어는 상기 제 2 축구멍 중 상기 기립 구동축을 삽입하는 삽입구와 반대측에 있는 도입구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KR1020087001411A 2005-09-15 2006-02-10 콤바인 KR1013222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68381A JP2007075031A (ja) 2005-09-15 2005-09-15 コンバイン
JP2005268244A JP2007075027A (ja) 2005-09-15 2005-09-15 コンバイン
JPJP-P-2005-00268244 2005-09-15
JPJP-P-2005-00268381 2005-09-15
PCT/JP2006/302374 WO2007032102A1 (ja) 2005-09-15 2006-02-10 コンバイ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6183A true KR20080036183A (ko) 2008-04-25
KR101322254B1 KR101322254B1 (ko) 2013-10-25

Family

ID=37864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1411A KR101322254B1 (ko) 2005-09-15 2006-02-10 콤바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22254B1 (ko)
WO (1) WO2007032102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60628U (ko) * 1978-04-28 1979-11-09
JPH0555840U (ja) * 1992-01-07 1993-07-27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の刈取前処理装置
JPH104747A (ja) * 1996-06-20 1998-01-13 Seirei Ind Co Ltd 刈取部の前処理部駆動装置
JPH10295147A (ja) * 1997-04-28 1998-11-10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コンバイン
JP4572491B2 (ja) * 2001-07-25 2010-11-04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32102A1 (ja) 2007-03-22
KR101322254B1 (ko) 2013-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432227B (zh) 用于农业收割机的玉米收割台的动力输出驱动组件
CA1126964A (en) Corn header drive system
WO2013089074A1 (ja) 収穫機用の収穫前処理装置
EP3434096B1 (en) Draper platform with removable central roller baffle
CN113795421B (zh) 用于甘蔗收割机的模块化框架组件和系统
WO2010100804A1 (ja) コンバイン
CA2681550A1 (en) Combine with flexible suspension and turning shoe header
KR101322254B1 (ko) 콤바인
JP2013126389A (ja) とうもろこし収穫機の収穫前処理装置
CN107613753A (zh) 脱粒筒
JP3851250B2 (ja) コンバイン
JP2013126385A (ja) 収穫機
JP2014068567A (ja) トウモロコシ収穫機
CN108200803B (zh) 收割机
KR102282513B1 (ko) 콤바인의 탈곡장치
JP5653887B2 (ja) トラクタ牽引式食用コーン収穫機
WO2013111639A1 (ja) コンバイン
JP5437747B2 (ja) コンバイン
CN1736148A (zh) 收播机强制送禾装置及其链条履带式多用途收播机
JP2013126388A (ja) 収穫機用の収穫前処理装置
JP2007043962A (ja) 刈取り収穫機の前処理装置
JP5643604B2 (ja) コンバイン
JP5273788B2 (ja) コンバイン
JP5991231B2 (ja) コンバイン
CA3000269A1 (en) Device for harvesting stalk-like stem crop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