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4767A - 누전차단기 - Google Patents

누전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4767A
KR20080034767A KR1020070097240A KR20070097240A KR20080034767A KR 20080034767 A KR20080034767 A KR 20080034767A KR 1020070097240 A KR1020070097240 A KR 1020070097240A KR 20070097240 A KR20070097240 A KR 20070097240A KR 20080034767 A KR20080034767 A KR 200800347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switch
button
earth leakage
test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7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3622B1 (ko
Inventor
히사노부 아사노
야스히로 타카하시
Original Assignee
후지 덴키 기기세이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 덴키 기기세이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덴키 기기세이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34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47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3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36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3/00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 H01H83/02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operated by earth fault currents
    • H01H83/04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operated by earth fault currents with testing means for indicating the ability of the switch or relay to function proper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3/00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 H01H83/06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operated by current falling below a predetermined valu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26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differenc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responsive to phase angl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 H02H3/3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differenc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responsive to phase angl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involving comparison of the voltage or current values at corresponding points in different conductors of a single system, e.g. of currents in go and return conductors
    • H02H3/33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differenc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responsive to phase angl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involving comparison of the voltage or current values at corresponding points in different conductors of a single system, e.g. of currents in go and return conductors using summation current transformers
    • H02H3/334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differenc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responsive to phase angl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involving comparison of the voltage or current values at corresponding points in different conductors of a single system, e.g. of currents in go and return conductors using summation current transformers with means to produce an artificial unbalance for other protection or monitoring reasons or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26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differenc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responsive to phase angl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 H02H3/3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differenc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responsive to phase angl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involving comparison of the voltage or current values at corresponding points in different conductors of a single system, e.g. of currents in go and return conductors
    • H02H3/34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differenc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responsive to phase angl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involving comparison of the voltage or current values at corresponding points in different conductors of a single system, e.g. of currents in go and return conductors of a three-phase system
    • H02H3/347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differenc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responsive to phase angl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involving comparison of the voltage or current values at corresponding points in different conductors of a single system, e.g. of currents in go and return conductors of a three-phase system using summation current transformers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과제
누전 테스트시에 테스트 버튼을 강한 힘으로 압입하여도 푸시 스위치에 과대한 하중이 가해지지 않도록 하고, 아울러서 테스트 버튼과 충전인 푸시 스위치와의 사이에 충분한 절연 거리가 확보될 수 있도록 스위치 유닛의 조립 구조를 개량한다.
해결 수단
본체 케이스에 주회로 접점, 개폐기구, 영상변류기, 누전인외장치 및 누전 테스트 스위치 부착의 누전 테스트 회로를 탑재한 누전차단기로서, 누전 테스트 스위치의 테스트 버튼(8a)을 본체 케이스 커버의 개구부에 면하게 하여 배치하고, 해당 테스트 버튼의 수동에 의한 압입 조작으로 테스트 스위치를 0N 동작시켜서 테스트 회로를 메이크하도록 한 것에 있어서, 누전 테스트 스위치를, 프린트판(12)에 탑재하여 유닛 케이스(13)에 수용한 푸시 스위치(16)와, 유닛 케이스의 상부에 버튼 정부를 돌출하여 배치한 수지 성형품의 테스트 버튼(8a)으로 구성하고, 또한 테스트 버튼(8a)에는 버튼 베이스부로부터 측방으로 분기 연재하여 그 선단이 푸시 스위치(16)의 조작부에 대치하는 가요성의 조작 암(8a-1)을 마련하고, 누전 테스트시에 테스트 버튼을 강한 힘으로 압입해도, 그 하중을 조작 암이 휘여서 흡수하여 푸시 스위치에 과대한 하중이 가해지지 않도록 하고, 아울러서 푸시 스위치(충전부)와 테스트 버튼 사이에 충분한 절연 거리(연면 거리)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누전차단기

Description

누전차단기{EARTH LEAKAGE CIRCUIT BREAKER}
본 발명은, 저전압 배전 계통에 적용하는 누전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그 본체 케이스에 탑재한 누전 테스트 스위치의 조립 구조에 관한 것이다.
현재 국내에서 생산되어 있는 누전차단기는, 단체(單體) 구조로 되는 본체 케이스에 과전류 보호 기능 부품과 누전 보호 기능 부품을 일제히 조립한 구성이 일반적이고, 그 회로 및 누전 테스트 스위치의 종래 구조를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다.
우선, 도 5는 누전차단기의 회로도이고, 도면에서 1은 주(主)회로, 2는 주회로(1)의 개폐접점, 3은 주회로(1)를 1차권선으로 하여 교류 전로의 누전 전류를 검출하는 영상변류기, 4는 영상변류기(3)의 2차권선(3a)의 출력 전류로부터 누전 발생을 판별하는 누전검출회로, 5는 주회로(1)의 상(相) 사이 전압을 정류하여 누전검출회로(4)에 급전하는 전원회로, 6은 누전검출회로(4)의 출력 신호에 의해 개폐접점(2)을 개극시키는 누전인외장치(트립 코일), 7이 누전 테스트 회로이다.
여기서, 누전 테스트 회로(7)는 수동으로 조작하는 누름버튼식의 누전 테스트 스위치(8)에 한류(限流) 저항(7a)을 조합시키고, 영상변류기(3)의 철심에 권장 (卷裝)한 테스트 권선(3b)을 통하여 주회로(1)의 상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누전 테스트 회로(7)의 기능, 동작은 주지이고(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누전차단기의 테스트를 행할 때에는, 주회로 접점(2)이 폐극하고 있는 사용 상태에서 테스트 스위치(8)를 0N 조작하고, 교류 전로(電路)로부터 영상변류기(3)의 테스트 권선(3b)에 누전을 모의(模擬)하는 테스트 전류를 흐르게 한다. 이로써, 영상변류기(3)에 2차 출력이 발생하고, 이 2차 출력에 의해 누전검출회로(4)가 트립 신호를 출력하여 주회로 접점(2)을 개극하고, 누전차단기를 차단 동작시킨다. 이 누전 테스트에 의해, 영상변류기(3), 누전검출회로(4) 및 누전인외장치(6)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의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 누전차단기의 외관을 도 6에, 또한 누전차단기의 본체 케이스에 탑재한 누전 테스트 스위치의 종래 구조를 도 7에 도시한다. 도 6, 도 7에서, 9는 차단기의 본체 케이스, 9a는 케이스 커버, 9b는 케이스 커버(9a)의 일단에 힌지 결합한 보조 커버, 10은 개폐 조작 핸들, 11은 주회로 단자이고, 본체 케이스(9)의 내부에 탑재한 누전 테스트 스위치(8)의 조작용 테스트 버튼(8a)이 상기 보조 커버(9b)의 개구부(9b-1)에 면하여 배치되어 있다.
한편, 종래 구조의 누전 테스트 스위치(8)는, 도 7의 (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테스트 버튼(수지 성형품)(8a)과, 복귀 스프링(8b)과, 판 스프링 형상의 가동 접점(8c)과, 고정 접점(8d)으로 이루어지고, 가동 접점(8c), 고정 접점(8d)을 누전 테스트 회로(7)의 프린트판(12)에 실장한 다음, 가동 접점(8c)을 테스트 버튼(8a)의 직하에 대치시켜서 배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 프린트판(12)은 누전인외장치(6) 의 각 부품과 함께 유닛 케이스(13)에 조립하여 차단기의 본체 케이스(9)에 탑재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도 6, 도 7의 도면중에서, 14는 정격 감도 전류, 동작시간 전환 스위치의 노브, 15는 누전 차단 동작을 표시하는 표시 버튼, 17은 트립 버튼이다.
상기 구성에서, 평상시는 테스트 버튼(8a)의 두부(頭部)가 복귀 스프링(8b)의 스프링력을 받아서 보조 커버(9b)의 개구부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고 있고, 이 상태에서 가동 접점(8c)과 고정 접점(8d) 사이가 개리하여 누전 테스트 회로(7)(도 5 참조)는 단로(斷路)하고 있다. 이 상태로부터 누전 테스트시에 테스트 버튼(8a)의 두부를 손가락 끝으로 압입하면, 가동 접점(8c)이 고정 접점(8d)에 꽉 눌려서 누전 테스트 회로(7)가 메이크(폐로)하고, 도 5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누전 테스트가 실행된다.
또한, 누전 테스트 스위치로서, 도 7의 (b)에 도시한 스위치 구조에 대신하여, 독립 부품이 되는 소(小)정격 전류의 푸시 스위치(택트 스위치)를 프린트판에 탑재한 구성도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참조),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2000-3660호 공보(제 2페이지, 도 6)
특허 문헌 2 : 일본 특개2005-251410호 공보(도 3)
그런데, 상기 종래 구조의 누전 테스트 스위치(8)에서는, 기능, 동작 신뢰성의 면에서 다음 기재와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1) 도 7에 도시한 누전 테스트 스위치(8)의 구조에서는, 판 스프링 형상의 가동 접점(8c)을 테스트 버튼(8a)의 수동 조작에 의해 직접 압입하여 0N 동작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 때문에, 테스트 버튼(8a)에 강한 힘을 가하여 압입하면 가동 접점(8c)에 과대한 하중이 가하여져서 소정의 스트로크 이상으로 과잉으로 압입되고, 그 결과로서 접점 기구가 변형, 파괴될 우려가 있다. 또한, 이 누전 테스트 스위치(8)로서, 특허 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소정격 전류의 푸시 스위치(택트 스위치)를 채용한 경우에도, 시판되고 있는 푸시 스위치의 사양은 택트 스트로크가 약간 1㎜ 이하, 파괴 하중은 수kg 정도이고, 상기 바와 같이 테스트 버튼(8a)을 통하여 직접 푸시 스위치를 강한 힘으로 압입하면 스위치의 접점 기구가 간단히 파괴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2) 또한, 누전차단기에서는 본체 케이스(9)로부터 외부로 두부가 돌출하는 테스트 버튼(8a)은, 감전 방지의 관점에서 케이스 내부의 충전부와의 사이에 충분한 절연 거리를 확보하는 것이 규정되어 있다. 이러한 점, 도 7과 같이 테스트 버튼(8a)의 직하에 가동 접점(8c)을 배치하여 직접 압입하도록 한 구조에서는, 스위치 접점(누전 테스트 스위치의 접점은 주회로의 상 사이에 접속되어 있고, 천둥 서지의 침입시 등에는 접점에 수kV라는 충격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가 있다.)과 테스 트 버튼(8a)의 머리부 사이의 절연 거리가 짧아진다, 따라서, 이 부분에 충분한 절연 거리(연면(沿面) 거리)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테스트 버튼(8a)의 길이(높이 치수)를 크게 설정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상기 바와 같이 단체 구조의 본체 케이스 내부에, 배선용 차단기의 요소 부품 외에 영상변류기, 누전검출회로를 포함하는 누전인외장치 등을 내장한 누전차단기에서는, 본체 케이스 내에 여유가 있는 누전 테스트 스위치의 수용 스페이스를 확보하는 것이 곤란하다. 그 때문에, 종래의 누전차단기에서는,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 케이스(9)의 보조 커버(9b)에 형성한 개구부(9b-1)를 보조 커버(9b)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여기에 감삽(嵌揷)한 테스트 버튼(8a)의 두부와 스위치 접점 사이의 절연 거리를 벌도록 하고 있지만, 개구부(9b-1)가 본체 케이스(9)의 커버로부터 돌출하고 있으면, 외관의 디자인이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여 누전 테스트시에 테스트 버튼을 강한 힘으로 압입하여도 푸시 스위치에 과대한 하중이 가해지지 않도록 하고, 아울러서 테스트 버튼과 충전부인 푸시 수위치와의 사이에 충분한 절연 거리를 확보할 수 있도록 조립 구조를 개량한 누전 테스트 스위치 내장의 누전차단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 케이스에 주회로 접점, 개폐기구, 영상변류기, 누전인외장치 및 누전 테스트 스위치 부착의 누전 테스트 회로를 탑재한 누전차단기로서, 상기 누전 테스트 스위치의 조작용 테스트 버튼을 복귀 스프링과 조합시켜서 본체 케이스 커버의 개구부에 면하게 하여 배치하고, 테스트 버튼의 수동 압입 조작에 의해 테스트 스위치를 0N 동작시켜서 누전 테스트 회로를 메이크하도록 한 것에 있어서,
상기 누전 테스트 스위치를, 프린트판에 탑재하여 유닛 케이스에 수용한 푸시 스위치와, 유닛 케이스의 상부에 버튼 정부(頂部)를 돌출하여 배치한 수지 성형품의 테스트 버튼으로 구성하고, 상기 테스트 버튼에는 버튼 베이스부(基部)로부터 측방으로 연재되고 그 선단이 상기 푸시 스위치의 조작부 상방에 대치하는 가요성의 조작 암을 마련하는 것으로 하고(청구항 1), 구체적으로는 다음 기재와 같은 양태로 구성한다.
(1) 상기 유닛 케이스의 내부에, 테스트 버튼의 압입 스트로크를 규제하는 스토퍼 부재로서 복귀 스프링 받이 시트 겸용의 버튼 받이 시트를 마련한다(청구항 2).
(2) 상기 푸시 스위치를 테스트 버튼의 직하로부터 측방으로 편심한 오프셋 위치에 배치한 다음, 테스트 버튼의 조작 암을 L형의 굴곡 암 형상으로 하여, 그 선단을 푸시 스위치의 상방에 대치시킨다(청구항 3).
(3) 전항 (2)에 있어서, 테스트 버튼의 버튼 베이스부에는 조작 암과 반대측으로 연재되는 지점 암을 마련함과 함께, 해당 지점 암의 선단에 대치하여 유닛 케이스의 내부에 돌기형상의 지점 받이 시트를 마련한다(청구항 4).
(4) 상기 푸시 스위치를 테스트 버튼의 직하에 배치한 다음, 테스트 버튼의 조작 암을 U형의 만곡 암으로 하여, 그 선단을 푸시 스위치의 상방에 대치시킨다( 청구항 5).
상기 구성에 의하면, 테스트 버튼의 두부에 가한 압입력은 가요성의 조작 암을 통하여 푸시 스위치를 누르고, 스위치를 0N 동작시킨다. 이로써, 테스트 버튼에 가한 과잉의 압입력은 조작 암의 휨 변형에 의해 흡수되어 푸시 스위치에 과대한 하중이 가해지는 것이 회피되고 택트 스크로크, 파괴 하중이 작은 푸시 스위치를 안전하게 0N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 암에 더하여, 유닛 케이스측에 테스트 버튼의 압입 스트로크를 규제하는 버튼 받이 시트(스토퍼 부재)를 마련함에 의해, 스위치 동작의 안전성이 한층 더 향상한다. 또한, 테스트 버튼에 지점 암, 해당 지점 암에 대치하여 유닛 케이스측에 지점 받이 시트를 마련함에 의해, 테스트 버튼을 압입할 때의 버튼 자세가 기울어져도 지점 암과 지점 받이 시트의 맞닿는 점을 지점으로 하여, 조작 암의 선단을 확실하게 푸시 스위치에 맞닿게 할 수 있어서 높은 신뢰성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테스트 버튼과 푸시 스위치 사이의 절연 거리에 관해서도,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버튼 베이스부로부터 측방으로 연장한 조작 암의 선단이 스위치를 누르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테스트 버튼 자신의 사이즈가 짧고 작아도 손가락을 눌러대는 테스트 버튼의 두부와 스위치 사이에 충분한 절연 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이로써, 감전 방지에 대한 보안성이 향상하는 외에, 본체 케이스의 커버에 형성한 테스트 버튼개구부의 불필요한 돌출(도 6 참조)을 없애서 누전차단기의 외 관을 심플한 디자인으로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하다. 또한, 도 1은 본 발명의 청구항 1 내지 4에 대응하는 누전 테스트 스위치의 유닛 구성도, 도 2는 푸시 스위치의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대응하는 누전 테스트 스위치의 유닛 구성도, 도 4는 도 1, 도 2의 누전 테스트 스위치를 탑재한 누전차단기의 본체 케이스의 구조도이고, 실시예의 도면중에서 도 6, 도 7에 대응하는 부재에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1]
도 1의 (a) 내지 (c)에서, 누전 테스트 스위치의 유닛은, 유닛 케이스(13)에 테스트 버튼(8a), 복귀 스프링(8b), 푸시 스위치(16)를 탑재한 프린트판(12)의 각 부품을 탑재한 구성으로 된다. 여기서, 수지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유닛 케이스(13)는 케이스(13a)와 케이스 커버(13b)의 분할 구조이고, 케이스(13a)에 수용한 프린트판(12)을 커버(13b)로 상방에서 밀어넣어 지지하고, 커버 정면(頂面)에 개구한 가이드 구멍(13b-1)에 테스트 버튼(8a)을 감삽 지지하고 있다. 또한, 케이스(13a)의 외측면에는 누전 동작 표시 스위치(도시 생략)를 수용하는 포켓 형상의 지지테두리(13c)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테스트 버튼(8a)은 예를 들면 폴리아미드계 수지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가요성을 높이기 위해 수지의 유리 성분 함유량을 적게 하고 있다)으로 만들어진 수지 성형품으로, 그 캡 형태의 버튼 베이스부로부터 좌우 측방으로 분기 연재 되는 조작 암(8a-1)과 지점 암(8a-2)이, 또한 베이스부 주면(周面)의 하연부(下緣部)에는 상기 커버(13b)의 가이드 구멍(13b-1)에 계합한 빠짐방지 폴(8a-3)이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여기서, 조작 암(8a-1)은 그 선단을 프린트판(12)에 탑재한 푸시 스위치(16)(푸시 스위치(16)는 테스트 버튼(8a)의 직하로부터 우측방으로 편심한 오프셋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의 상방에 대치시킨 L형 암으로 된다.
또한, 상기 커버(13b)의 중단(中段)에는, 테스트 버튼(8a)의 복귀 스프링(8b)(복귀 스프링(8b)은 압축 스프링이고 테스트 버튼(8a)의 캡 내측에 감입하여 있다)의 받이 시트와 테스트 버튼(8a)의 압입 스트로크를 규제하는 스토퍼 부재를 겸용하는 버튼 받이 시트(13b-2) 및 상기 지점 암(8a-2)의 선단에 대치하는 돌기형상의 지점 받이 시트(13b-3)를 마련하고 있다.
다음에 상기 푸시 스위치(16)의 상세 구조를 도 2에 도시한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푸시 스위치(16)는, 케이스(16a)와, 케이스(16a)의 윗면 개구단에 감입한 조작부(스템)(16b)와, 만곡한 판 스프링형상의 접극자(가동 접점)(16c)와, 해당 접극자(16c)에 대치하여 케이스 내의 저면에 배치한 단자(고정 접점)(16d)와의 조립체로 된다. 이 구조에서, 평상시는 조작부(16b)가 접극자(16c)의 스프링력으로 밀려올라가서 접점은 0FF이다. 또한, 이 상태로부터 스템(16b)을 화살표 방향으로 압입하면, 접극자(16c)가 반전하여 접점이 0N 동작하고, 조작부(16b)의 압입을 해제하면 접극자(16c)가 자동 복귀하여 접점이 0FF로 된다(택트 동작). 또한, 도시하는 실시예에서 채용한 푸시 스위치(16)의 정격 사양은, 택트 스트로크(접점 0N의 압입 스트로크)가 0.15㎜, 파괴 강도는 3kg이다.
그리고, 상기 구성의 누전 테스트 스위치의 유닛은, 도 4의 (a), (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 케이스(9)의 내부에 탑재되고, 이 수용 위치에서 유닛 케이스(13)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한 테스트 버튼(8a)의 두부를 본체 케이스의 보조 커버(9b)에 개구한 구멍(9b-1)에 면하게 하여 배치하고 있다.
다음에,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누전 테스트 스위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즉, 평상시는 도 1의 (c)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테스트 버튼(8a)이 복귀 스프링(8b)에 밀려서 상승한 위치에 대기하고 있고, 이 상태에서는 조작 암(8a-1)의 선단이 푸시 스위치(16)의 조작부(16b)(도 2 참조)로부터 상방으로 이탈하여 있다(스위치 0FF). 한편, 누전차단기의 테스트시에 본체 케이스(9)의 커버 개구부에 면하는 테스트 버튼(8a)을 손가락 끝으로 압입하면, 테스트 버튼(8a)이 도 1의 (c)의 화살표 방향으로 하강하고, 이 움직임에 수반하여 조작 암(8a-1)이 푸시 스위치(16)의 조작부(16b)를 눌러서 스위치를 0N 동작시킨다. 또한, 테스트 종료 후에 테스트 버튼(8a)을 석방하면, 당초의 상태로 복귀하여 푸시 스위치(16)는 접점 0FF로 된다.
상기 누전 테스트 스위치의 조작에서는, 테스트 버튼(8a)을 강한 힘으로 압입하여도, 테스트 버튼(8a)의 압입 스트로크가 유닛 케이스(13)에 마련한 버튼 받이 시트(13b-2)로 규제되고, 또한 푸시 스위치(16)를 0N 동작 위치로 구동하면 테스트 버튼(8a)으로부터 측방으로 연재되는 조작 암(8a-1)이 휘여서 여분의 하중을 흡수한다. 이로써, 푸시 스위치(16)를 파괴하는 과대한 하중이 가해질 우려가 없어진다.
또한, 수동으로 테스트 버튼(8a)을 압입할 때에, 손가락 끝에 가하는 힘의 정도로 테스트 버튼의 자세가 기울어지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 테스트 버튼(8a)이 도 1의 (c)의 위치로부터 좌측으로 기울어지면, 그대로라면 조작 암(8a-1)의 선단이 들떠올라 푸시 스위치(16)를 확실하게 0N 동작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이러한 점, 도시하는 실시예와 같이 조작 암(8a-1)과 반대측에 지점 암(8a-2)을 마련하고, 또한 이 지점 암(8a-2)의 선단에 대치하여 유닛 케이스(13)에 돌기형상의 지점 받이 시트(13b-3)를 마련하여 둠에 의해, 테스트 버튼(8a)의 압입 과정에서 지점 암(8a-2)이 지점 받이 시트(13b-3)에 맞닿고, 이곳을 지점으로 하여 테스트 버튼(8a)의 자세가 오른쪽 방향으로 수정된다. 이로써, 조작 암(8a-1)을 통하여 푸시 스위치(16)를 확실하게 0N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와 같이 테스트 버튼(8a)의 베이스부로부터 측방으로 분기 연재되는 조작 암(8a-1)으로 오프셋 위치에 배치한 푸시 스위치(16)를 가압 구동하도록 한 구성에서는, 테스트 버튼(8a)이 짧고 작은 사이즈라도, 푸시 스위치(16)의 접점(충전부)과 보수원이 손가락을 눌러대는 테스트 버튼(8a)의 두부 사이에 충분한 절연 거리(연면 거리)가 확보되어 감전 방지의 안전성이 향상한다. 또한, 상기 절연 거리의 확대에 의해, 도 4의 (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 케이스의 보조 커버(9b)에 개구한 구멍(9b-1)과 테스트 버튼(8a)의 두부를 거의 같은 높이로 정돈하여 외관의 디자인을 심플화할 수 있다.
[실시예 2]
다음에, 상기 실시예의 응용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대응하는 실 시예를 도 3의 (a) 내지(c)에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누전 테스트 스위치의 유닛 구성은 도 1에 도시한 상기 실시예의 구조와 기본적으로 같지만, 테스트 버튼(8a)으로부터 측방으로 연재되는 조작 암의 형상 및 프린트판(12)에 탑재한 푸시 스위치(16)의 위치가 다르다.
즉, 도 3의 (c)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린트판(12)에 실장한 푸시 스위치(16)는 테스트 버튼(8a)의 직하에 동심 배치되어 있다. 한편, 테스트 버튼(8a)의 베이스부로부터 측방으로 분기 연재되는 가요성의 조작 암(8a-4)은 그 중간 부분을 헤어핀형상으로 절곡하여 U형으로 만곡시킨 형상이고, 그 암 선단을 푸시 스위치(16)의 조작부(16b)(도 2 참조)의 상방에 대치시키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한 누전 테스트의 스위치 조작은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고, 테스트 버튼(8a)을 압입함에 의해, 조작 암(8a-4)의 선단이 하강하여 푸시 스위치(16)를 0N 동작시킨다. 또한, 이 스위치 조작 과정에서 테스트 버튼(8a)에 가한 과잉한 가압력은 U형으로 만곡한 조작 암(8a-4)의 휨 변형에 의해 흡수되고, 또한 테스트 버튼(8a)의 압입 스트로크는 유닛 케이스(13)에 마련한 버튼 받이 시트에 의해 규제되기 때문에, 푸시 스위치(16)에 과대한 하중이 가해지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푸시 스위치(16)와 테스트 버튼(8a) 사이의 절연 거리에 대해서도, 조작 암(8a-4)이 개재하는 분만큼 연면 거리가 커져서 감전 방지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누전 테스트 스위치의 유닛 구조도로서, (a)는 그 외관 사시도, (b)는 분해 사시도, (c)는 (a)의 화살표로 본 X-X 단면도.
도 2는 도 1의 (c)에서의 푸시 스위치의 상세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한 누전 테스트 스위치의 유닛 구조도로서, (a)는 그 외관 사시도, (b)는 분해 사시도, (c)는 (a)의 화살표로 본 X-X 단면도.
도 4는 도 1, 3의 누전 테스트 스위치 유닛을 탑재한 누전차단기의 구성도로서, (a)는 본체 케이스 전체의 외관도, (b)는 (a)의 화살표로 본 X-X 단면도.
도 5는 누전차단기의 회로도.
도 6은 종래에의 누전차단기 전체의 외관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본체 케이스에 탑재한 누전 테스트 스위치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a)는 본체 케이스 커버의 분해 사시도, (b)는 (a)에서의 누전 테스트 스위치부의 확대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주회로 2 : 주회로 접점
3 : 영상변류기 4 : 누전검출회로
6 : 인외장치(트립 코일) 7 : 누전 테스트 회로
8 : 누전 테스트 스위치 8a : 테스트 버튼
8a-1, 8a-4 : 조작 암 8a-2 : 지점 암
9 : 누전차단기의 본체 케이스 12 : 프린트판
13 : 유닛 케이스 13a : 케이스
13b : 커버 13b-2 : 버튼 받이 시트
13b-3 : 지점 받이 시트 16 : 푸시 스위치
16b : 조작부

Claims (5)

  1. 본체 케이스에 주회로 접점, 개폐기구, 영상변류기, 누전인외장치 및 누전 테스트 스위치 부착의 누전 테스트 회로를 탑재한 누전차단기로서, 상기 누전 테스트 스위치의 조작용 테스트 버튼을 복귀 스프링과 조합시켜서 본체 케이스 커버의 개구부에 면하게 하여 배치하고, 해당 조작용 테스트 버튼의 수동 압입 조작에 의해 테스트 스위치를 0N 동작시켜서 누전 테스트 회로를 메이크하도록 한 것에 있어서,
    상기 누전 테스트 스위치를, 프린트판에 탑재하여 유닛 케이스에 수용한 푸시 스위치와, 상기 유닛 케이스의 상부에 버튼 정부를 돌출하여 배치한 수지 성형품의 테스트 버튼으로 구성하고, 상기 테스트 버튼에는 버튼 베이스부로부터 측방으로 연재되고 그 선단이 상기 푸시 스위치의 조작부 상방에 대치하는 가요성의 조작 암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차단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 케이스의 내부에, 상기 테스트 버튼의 압입 스트로크를 규제하는 복귀 스프링 받이 시트 겸용의 버튼 받이 시트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차단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스위치를 상기 테스트 버튼의 직하로부터 측방으로 편심한 오프셋 위치에 배치한 다음, 상기 테스트 버튼의 조작 암을 L형의 굴곡 암 형상으로 하여, 그 선단을 상기 푸시 스위치의 상방에 대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차단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버튼에는 조작 암과 반대측으로 연재되는 지점 암을 마련함과 함께, 해당 지점 암의 선단에 대치하여 상기 유닛 케이스의 내부에 돌기형상의 지점 받이 시트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차단기.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스위치를 상기 테스트 버튼의 직하에 배치한 다음, 상기 테스트 버튼의 조작 암을 U형의 만곡 암으로 하여, 그 선단을 상기 푸시 스위치의 상방에 대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차단기.
KR1020070097240A 2006-10-17 2007-09-27 누전차단기 KR1009236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282092 2006-10-17
JP2006282092A JP2008103083A (ja) 2006-10-17 2006-10-17 漏電遮断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4767A true KR20080034767A (ko) 2008-04-22
KR100923622B1 KR100923622B1 (ko) 2009-10-23

Family

ID=39325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7240A KR100923622B1 (ko) 2006-10-17 2007-09-27 누전차단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8103083A (ko)
KR (1) KR100923622B1 (ko)
CN (1) CN101183627B (ko)
FR (1) FR29085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58670B2 (ja) * 2009-05-27 2013-08-07 三菱電機株式会社 漏電遮断器
JP2011018518A (ja) * 2009-07-08 2011-01-27 Mitsubishi Electric Corp 回路遮断器
CN101901729B (zh) * 2010-04-06 2014-01-22 浙江森泰电器厂 漏电断路器
CN104766766B (zh) * 2015-04-10 2017-10-20 厦门宏发开关设备有限公司 一种漏电重合闸断路器的传动机构
CN104979119A (zh) * 2015-06-25 2015-10-14 余姚市嘉荣电子电器有限公司 内嵌式试验开关结构
KR102626097B1 (ko) * 2023-08-14 2024-01-18 주식회사 시티온 텍트스위치방식의 누전테스트회로부를 포함하는 인쇄회로모듈이구성된 누전차단기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354301A (en) * 1970-05-11 1974-06-05 Rucker Co Electric circuit breakers
JPS6075929U (ja) * 1983-10-31 1985-05-28 株式会社ジエルコ 押しボタンスイツチ
JPH0850832A (ja) * 1994-08-08 1996-02-20 Fujitsu Ten Ltd プッシュボタンスイッチ
JPH08138480A (ja) * 1994-11-02 1996-05-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イッチ
JP3017645B2 (ja) * 1994-11-15 2000-03-13 松下電工株式会社 漏電遮断器
JPH08153437A (ja) * 1994-11-28 1996-06-11 Yazaki Corp スイッチ機構
JPH08273478A (ja) * 1995-04-04 1996-10-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ッシュ式ボタン装置
JP3794451B2 (ja) * 1998-06-15 2006-07-05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漏電しゃ断器
JP2002334632A (ja) * 2001-05-07 2002-11-22 Mitsubishi Electric Corp 押しボタンスイッチ装置
JP3731739B2 (ja) * 2001-10-31 2006-01-05 日本精機株式会社 車両用メータ
JP4400255B2 (ja) * 2004-03-01 2010-01-20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漏電遮断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908554A1 (fr) 2008-05-16
CN101183627B (zh) 2011-11-23
JP2008103083A (ja) 2008-05-01
FR2908554B1 (fr) 2015-03-20
KR100923622B1 (ko) 2009-10-23
CN101183627A (zh) 2008-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15336B1 (en) Air circuit breaker with mechanical trip indicating mechanism
KR100923622B1 (ko) 누전차단기
US5581219A (en) Circuit breaker
US6954125B2 (en) Ground fault circuit interrupter with reverse wiring protection
US7408432B2 (en) Receptacle type ground-fault circuit interrupter
KR100925099B1 (ko) 누전 차단기의 누전 트립 장치
US20040070897A1 (en) Ground fault circuit interrupter with reverse wiring protection
JP4893358B2 (ja) 漏電遮断器の漏電引外し装置
KR20080059503A (ko) 누전 차단기
US8049122B2 (en) Moisture resistant push to test button for circuit breakers
JP6188554B2 (ja) 漏電遮断器
KR101210736B1 (ko) 회로 차단기
KR100935068B1 (ko) 누전 차단기
US9117612B2 (en) Triggering unit for actuating a mechanical switching unit of a device
CN101226860B (zh) 漏电断路器
EP2610886B1 (en) Shortage voltage trip device of molded case circuit breaker
JP5258670B2 (ja) 漏電遮断器
CN212676128U (zh) 一种维修电工短路装置
KR101028183B1 (ko) 회로차단기
JP5866993B2 (ja) 漏電遮断器
KR101131673B1 (ko) 회로차단기
KR101045414B1 (ko) 회로 차단기
JPH0727547Y2 (ja) 漏電遮断器
JP4144588B2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式漏電遮断器
KR200208222Y1 (ko) 배선용 차단기의 알람레버 겸용 개폐상태 표시레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