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5068B1 - 누전 차단기 - Google Patents

누전 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5068B1
KR100935068B1 KR1020040016079A KR20040016079A KR100935068B1 KR 100935068 B1 KR100935068 B1 KR 100935068B1 KR 1020040016079 A KR1020040016079 A KR 1020040016079A KR 20040016079 A KR20040016079 A KR 20040016079A KR 100935068 B1 KR100935068 B1 KR 100935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main circuit
earth leakage
power supply
electro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6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4644A (ko
Inventor
아사노히사노부
아사카와코지
타카하시야스히로
미츠시게미츠히로
Original Assignee
후지 덴키 기기세이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 덴키 기기세이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덴키 기기세이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14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4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5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50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3/00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 H01H83/02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operated by earth fault curr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66Power reset mechanisms
    • H01H71/68Power reset mechanisms actuated by electromagn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3/00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 H01H83/02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operated by earth fault currents
    • H01H83/04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operated by earth fault currents with testing means for indicating the ability of the switch or relay to function proper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rea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품 출하 후에 행하는 내전압 시험에도 대응될 수 있도록 간이한 구조로서, 공간 절약적인 내전압 테스트용 스위치를 장비한 누전 차단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그것을 위한 수단으로서, 단일체의 케이스(11)에 과전류 보호 및 누전 보호 기능 부품을 조립한 누전 차단기에 있어서, 주회로의 상간 전압을 누전 검출 회로(7)에 급전하는 급전 회로를 온/오프하는 수동 조작식의 내전압 테스트용 스위치를 장비한 것으로서, 해당 스위치를 누전 검출 회로(7)의 프린트판(7a)에 부착하여 주회로 도체(1a)(영상 변류기(6)를 관통하는 1차 도체)에 직접 압접시키는 전원용 전극판(22)과, 해당 전극판과 주회로 도체와의 사이에 장착하여 수동 조작에 의해 전극판을 주회로 도체에 접촉 격리시키는 절연물제의 개폐 조작편(24)으로 구성하고, 개폐 조작편의 손잡이부(24a)를 차단기 케이스의 커버에 개구한 창구멍에 면하게 한다. 그리고, 내전압 시험을 실시할 때 손잡이부를 OFF 위치로 인출하여 누전 검출 회로를 주회로로부터 단로한다.
주회로, 주회로 도체, 개폐 기구부, 과전류 제거 장치, 영상 변류기

Description

누전 차단기{Earth leakage break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누전 차단기의 주요부 부품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누전 차단기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누전 차단기의 회로도.
도 4는 도 1에 있어서의 내전압 테스트용 스위치의 구조, 동작의 설명도이며, (a), (b)는 각각 스위치의 ON, OFF 상태를 도시한 측면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한 내전압 테스트용 스위치의 구조, 동작의 설명도이며, (a), (b)는 각각 스위치의 ON, OFF 상태를 도시한 측면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대상이 되는 누전 차단기의 종래 회로도.
도 7은 도 6의 누전 차단기의 구성 단면도.
도 8은 도 7의 누전 차단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주회로 1a : 주회로 도체
3 : 개폐 기구부 5 : 과전류 제거 장치
6 : 영상 변류기 7 : 누전 검출 회로
7a : 프린트판 7b : 케이스
11 : 누전 차단기의 케이스 11a : 하부 케이스
11b : 상부 커버 11b-1 : 창구멍
21 : 내전압 테스트용 스위치 22, 26 : 전원용 전극판
24 : 개폐 조작편 24a : 손잡이부
27 : 전원 단자
본 발명은, 저전압 배전 계통에 적용하는 과전류 보호 및 접지 보호 기능을 구비한 누전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누전 차단기의 내전압 시험을 행할 때 누전 검출 회로를 주회로로부터 분리하는 내전압 테스트용 스위치의 조립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저전압 배전 계통의 보호 기기로서 배선용 차단기, 누전 차단기가 주지되어 있으며, 현재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누전 차단기는 그 본체 케이스에 과전류 보호 기능 부품과 접지 보호 기능 부품을 모두 조립한 구성의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최근의 누전 차단기에서는 수요가 사이드에서의 사용의 편리성을 높이기 위해, 같은 프레임의 배선용 차단기, 누전 차단기에서의 외형 사이즈를 통일한 다음, 그 본체 케이스에 조립하는 주요 부품을 가능한 한 공용화하도록 구성한 단일체 구조의 것이 주류로 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다음에, 상기한 누전 차단기(3상 전원용)의 회로도를 도 6에, 또한 그 조립 구조를 도 7 및 도 8에 도시한다. 우선, 도 6에 있어서, 부호 1은 R, S, T상의 주회로, 부호 2는 주회로 접점, 부호 3은 주회로 접점(2)의 개폐 기구부, 부호 4는 조작 핸들, 부호 5는 주회로에 흐르는 과부하 전류, 단락 전류를 검출하여 개폐 기구를 트립 동작시키는 과전류 제거 장치이다.
또한, 배전 계통의 접지 사고를 검출하여 차단기를 트립 동작시키는 누전 제거 장치는, R, S, T상의 주회로(1)를 1차 도체로 하여 주회로(1)의 불평형 전류를 검출하는 영상 변류기(6)와, 영상 변류기(6)의 2차 출력 레벨로부터 접지 발생을 검지하는 누전 검출 회로(IC를 포함하는 전자 회로)(7)와, 누전 검출 회로(7)로부터의 출력을 받아 개폐 기구(3)를 트립 동작시키는 트립 코일 유닛(8)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누전 검출 회로(7)는 그 전원으로서 주회로(1)와의 사이에 배선한 전원선(9), 정류 회로(10)를 통하여 주회로(1)의 상간 전압을 급전하도록 한다. 또한, 도시된 예에서는 주회로(1)의 R-T상의 상간 전압을 누전 검출 회로(7)에 급전하고 있지만, R, S, T상의 각 상 전압을 직류로 변환하여 급전하는 경우도 있다.
한편, 도 7, 도 8에 있어서, 부호 11은 하부 케이스(11a)와 상부 커버(11b)로 이루어지는 차단기의 케이스, 부호 12, 13은 전원측, 부하측의 주회로 단자, 부호 14는 주회로 접점(2)의 고정 접촉자, 부호 15는 가동 접촉자, 부호 16은 가동 접촉자(15)를 지지한 회전식의 접촉자 홀더, 부호 17은 소호 장치이다. 또한, 개폐 기구부(3)는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접촉자 홀더(16)와 조작 핸들(4)과의 사이를 연계한 토글 링크(3a)와 개폐 스프링(3b)을 조합시킨 토글 링크 기구 및 래치(18), 래치 받이(19), 트립 크로스바(20)를 조합시킨 래치 기구와의 조립체로 이루어지고, 트립 크로스바(20)에는 상기한 과전류 제거 장치(5)의 조작단인 아마추어(5a) 및 누전 제거 장치의 트립 코일 유닛(8)의 조작단인 슬라이더가 대향하고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케이스(11)에는 상간 격벽(11c)을 형성하여 본체 케이스 내에 조립한 각 상(相)의 부품 상호간을 절연 격리하고, 또한 상기한 누전 검출 회로(7)는 IC 등의 전자 부품을 프린트판(7a)에 실장하여 보호 케이스에 수용한 다음, 본체 케이스(11)의 내부(영상 변류기(6)의 양측과 하부 케이스(11a)의 측벽과의 사이의 스페이스)에 조립하고, 주회로(1)의 도체와의 사이에 전원선(9)(도 6 참조)으로서 하니스를 배선한다.
상기 누전 차단기의 개폐 동작은 주지하는 바와 같으며, 조작 핸들(4)을 ON, OFF 위치로 이동 조작하면, 조작 핸들(4)에 연동하여 개폐 기구부(3)의 토글 링크 기구가 반전 동작하고, 가동 접촉자(15)가 개폐 동작한다. 또한, 주회로 접점(2)이 폐쇄(ON)하고 있는 도시된 투입 상태에서는 래치(18)가 래치 받이(19)에 계지되고, 래치 받이(19)는 이 위치에서 트립 크로스바(20)에 구속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주회로에 과부하 전류, 단락 전류가 흘러 과전류 제거 장치(5)가 작동하면, 아마추어(5a)를 통하여 트립 크로스바(2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래치 받이(19)와 래치(18)와의 결합을 석방한다. 이로써 개폐 기구부(3)가 트립 동작하 고, 가동 접촉자(15)가 고정 접촉자(14)로부터 개리하여 주회로의 전류를 차단한다. 마찬가지로 주회로(1)에 접지 전류가 흘러 누전 제거 장치의 트립 코일 유닛(8)이 작동하면, 트립 크로스바(20)를 해제 위치로 구동한다. 이로써 개폐 기구부(3)가 트립 동작하고, 과전류에 의한 동작과 마찬가지로 가동 접촉자(15)가 개방하여 주회로(1)를 단로한다. 또한, 트립 동작 후에 차단기를 재투입하기 위해서는, 트립 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조작 핸들(4)을 트립 위치로부터 일단 OFF 위치로 되돌려 래치 기구를 리셋시킨 다음, 다시 조작 핸들(4)을 OFF로부터 0N 위치로 이동함에 의해 가동 접촉자(15)가 폐쇄된다.
그런데, 누전 차단기의 제품은 소정의 절연 내력을 확보하는 것이 규격으로 규정되어 있으며, 그 때문에 제품마다 내전압 시험을 행하여 절연 파괴가 생기지 않는 것을 확인하도록 한다. 이 내전압 시험은 누전 차단기의 주회로 접점을 OFF로 한 상태에서, 주회로 단자의 상간에 시험 전압을 인가하여 행하도록 하고 있으며, 그 시험 전압은 누전 차단기의 규격 전압마다 규정되어 있고, 예를 들면 규격 전압 400 내지 600V의 누전 차단기에서의 시험 전압은 2500V이다.
이 내전압 시험을 행하는 경우에, 도 6에 도시된 누전 검출 회로(IC)(7)와 주회로(1)와의 사이에 전원선(9)의 배선을 시행한 제품의 조립 상태에서 시험을 행하면, 주회로(1)의 상간에 인가한 높은 시험 전압이 누전 검출 회로(7)에 가해져 IC 등이 파괴되어 버린다. 그래서, 국내의 차단기 메이커에서는 누전 검출 회로(7)에 급전하는 전원선(9)을 주회로(1)에 접속 배선하기 이전의 조립 단계에서 내전압 시험을 실시하도록 하고 있는 것이 현재의 상태이다.
한편, 구미 여러나라 등에서 생산되고 있는 누전 차단기는 상기한 단일 구조의 국내 제품과는 타입이 다르며, 배선용 차단기에 별도 구조의 독립된 누전 검출 유닛(영상 변류기, 누전 검출 회로 등을 장비하고 유닛화한 옵션품)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제3246562호 명세서
[특허 문헌 2] 미국 특허출원 공개 제2001/0022713A1호 명세서
상기한 바와 같이, 현재 국내의 시장에 출회되어 있는 누전 차단기는, 제품 출하 후에 사용자 사이드에서 내전압 시험을 행하는 것을 상정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구미 여러나라의 제품에 장비되어 있는 내전압 테스트용 스위치를 구비하지 않는다. 따라서 해외 규격 인정을 취득한 제품에 관해서는 수출처 나라의 현지에서 행하는 내전압 시험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내전압 테스트용 스위치의 장비가 필요하게 된다.
그런데, 도 7, 도 8에 도시된 단일체 구조의 누전 차단기는, 본체 케이스 내에 배선용 차단기와의 공용 부품 및 누전 보호의 기능 부품이 거의 잔여 스페이스를 남기지 않고 빽빽이 조립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체 케이스의 외형 사이즈(배선용 차단기의 케이스와 동일 사이즈로 통일)를 바꾸지 않고, 내전압 테스트용 스위치를 내장하는 스페이스를 새롭게 확보하기 위해서는, 설계면에서 종래 제품의 구성 부품 및 레이아웃을 변경할 필요가 있으며, 그 때문에 막대한 개발비와 시간 이 걸린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형 사이즈를 배선용 차단기와 같은 사이즈로 통일한 본체 케이스에 과전류 보호 및 누전 보호 기능 부품을 장비한 단일체 구조의 누전 차단기를 대상으로, 재래 제품에 표준 장비되어 있는 각종 기능 부품 및 그 레이아웃에 변경을 가하는 일 없이, 내전압 테스트용 스위치를 추가 장비하여 제품 출하 후에 실시하는 내전압 시험에도 간단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한 누전 차단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케이스 내에 주회로 접점의 개폐 기구, 과전류 제거 장치, 주회로를 1차 도체로 하는 영상 변류기 및 누전 검출 회로를 포함하는 누전 제거 장치를 조립한 단일체 구조가 되는 누전 차단기로서, 주회로의 상간 전압을 누전 검출 회로에 급전하는 급전 회로를 온/오프하는 수동 조작식의 내전압 테스트용 스위치를 장비한 것에 있어서,
(1) 상기한 내전압 테스트용 스위치를, 누전 검출 회로의 프린트판으로부터 인출하여 그 선단을 주회로 도체에 직접 압접하는 전원용 전극판과, 해당 전극판과 주회로 도체와의 사이에 인터럽트하여 장착한 다음, 외부에서의 수동 조작에 의해 전원용 전극판을 1차 도체에 접촉 격리시키는 절연물제의 손잡이 부착 개폐 조작편으로 구성하고, 그 개폐 조작편의 손잡이부를 차단기의 케이스 커버에 개구한 창구멍에 면하게 배치한다(청구항 1).
(2) 상기한 내전압 테스트용 스위치를, 주회로 도체로부터 인출하여 그 선단 을 누전 검출 회로의 프린트판에 마련한 전원 단자에 압접하는 전원용 전극판과, 해당 전극판과 상기 전원 단자와의 사이에 인터럽트하여 장착한 다음, 외부에서의 수동 조작에 의해 전극판을 프린트판의 전원 단자에 접촉 격리시키는 절연물제의 손잡이 부착 개폐 조작편으로 구성하고, 그 개폐 조작편의 손잡이부를 차단기의 케이스 커버에 개구한 창구멍에 면하게 배치한다(청구항 2).
(3) 여기서, 상기한 전극판은 스프링성을 갖는 설편 형상의 도전재로 형성하고, 접합 상대측 부재를 향하여 가압 가세하도록 한다(청구항 3).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누전 차단기의 통상의 사용 상태에서는 개폐 조작편의 손잡이부를 ON 위치에 세트하여 둔다. 이로써, 내전압 테스트용 스위치의 전원용 전극판이 상대측 부재인 주회로 도체, 내지는 프린트판의 전원 단자에 맞닿아 주회로의 상간 전압이 누전 검출 회로에 급전된다. 한편, 내전압 시험을 행할 때 스위치의 조작 손잡이부를 차단기 본체의 케이스에 개구한 창구멍으로부터 인출하여 OFF 위치로 전환하면, 이에 종동하여 개폐 조작편(절연물)이 전원 전극편과 맞닿는 상대 부재와의 사이에 인터럽트되어 쌍방의 사이를 개리하여 누전 검출 회로가 주회로로부터 단로된다. 이로써, 내전압 시험 전압이 누전 검출 회로에 인가되는 일 없이 안전하게 시험을 행할 수 있다.
게다가, 스위치 OFF의 상태에서는 절연물의 개폐 조작편을 끼워 주회로 도체와 누전 검출 회로와의 사이가 절연되기 때문에 시험 전압에 대응한 절연 거리를 확보하여 둘 필요가 없으며, 이로써 내전압 테스트용 스위치를 스페이스 절약화하여, 누전 차단기의 주요 부품, 레이아웃을 변경하지 않고 차단기 케이스 내에 남는 약간의 공간 스페이스를 이용하여 내전압 테스트용 스위치를 조립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실시예의 도면중에서 도 6 내지 도 8에 대응하는 부재에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대응하는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한다. 우선, 도 3에 누전 차단기의 회로도를 도시한다. 도 3에 있어서, 부호 21은 본 발명에 의해 누전 차단기에 추가 장비한 내전압 테스트용 스위치이고, 해당 스위치를 주회로(1)의 상간 전압을 누전 검출 회로(7)에 급전하는 급전 회로에 배치하고, 내전압 시험때 스위치를 OFF 조작하여 상기 급전 회로를 단로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한 내전압 테스트용 스위치(2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으로부터 차단기 케이스(11)의 하부 케이스(11a)에 조립하여 영상 변류기(6) 위에 걸치도록 배치한 누전 검출 회로(7)에 조합시켜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우선, 누전 검출 회로(7)는 좌우 2장으로 분할된 프린트판(7a)을 コ자모양의 케이스(7b)에 수납 설치하고, 상방으로부터 영상 변류기(6) 위에 걸치도록 삽입하여 차단기 케이스(11)의 하부 케이스(11a)에 조립하도록 한다. 그리고, 이 누전 검출 회로(7)의 조립체에 대해, 좌우로 나열하는 프린트판(7a)으로부터 전방으로 인출하여 그 선단을 부하측 단자(13)에 연결된 주회로의 도체(1a)(영상 변류기(6)를 관통하는 1차 도체)의 도체 표면에 직접 압접시키도록 배치한 전원용 전극판(22)(내전압 테스트용 스위치의 가동 접촉자)과, 이 전원용 전극판(22)과 주회로 도체(1a)와의 사이에 인터럽트하도록 장착한 절연물제(수지 성형품)의 개폐 조작편(24)으로 내전압 테스트용 스위치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부호 23은 누전 검출 회로(7)와 누전 차단기의 트립 코일(8)과의 사이(도 3 참조)를 접속하는 배선용의 하니스이다.
다음에, 상기한 내전압 테스트용 스위치의 상세한 조립 구조 및 그 개폐 동작을 도 4(a), 도 4(b)에서 설명한다. 우선, 전원용 전극판(22)은 스프링성을 갖는 도전재 조각을 L형으로 절곡하여 형성하고, 그 기단부를 프린트판(7a)에 고정하여 누전 검출 회로(7)의 전원 입력단자에 접속한 다음, 선단을 케이스(7b)의 전방으로 인출하여 주회로 도체(1a)의 단면에 직접 압접하도록 배치한다. 또한, 부호 25는 전극판(22)을 배후로부터 주회로 도체(1a)에 가압 가세하도록 추가한 코일 스프링이다.
또한, 개폐 조작편(24)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모양을 나타낸 형상으로, 그 상단에는 손잡이부(24a)를, 또한 좌우의 하단측에는 상기 전극판(22)에 대응하는 격벽부(24b)를 형성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부(24a)를 차단기 케이스(11)의 상부 커버(11b)에 개구한 슬릿 모양의 창구멍(11b-1)에 면하게 하고, 수동 조작으로 ON, OFF 위치로 출입시키도록 배치한다.
그리고, 평상시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24a)를 화살표 방향으로 압입하여 개폐 조작편(24)을 0N 위치에 세트하여 둔다. 이 상태에서는 개폐 조작편(24)의 격벽부(24b)가 하방으로 후퇴하고, 전극판(22)은 주회로 도체(1a)에 맞닿아 있다. 이 상태에서는, 도 3에서 주회로(1)의 상간 전압이 누전 검출 회로(7)에 급전된다.
한편, 누전 차단기의 납입처 현지에서 내전압 시험을 행할 때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험에 앞서 개폐 조작편(24)의 손잡이부(24a)를 수동 조작에 의해 상방으로 끌어올려 OFF 위치로 이동한다. 이로써, 개폐 조작편(24)의 격벽부(24b)가 전극판(22)과 주회로 도체(1a)와의 사이에 인터럽트되어 전극판(22)을 이탈시킨다. 이 상태가 되면, 도 3의 누전 검출 회로(7)가 주회로(1)로부터 완전히 분리되기 때문에, 내전압 시험을 안전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도 4(b)의 스위치 OFF의 상태에서는, 전극판(22)과 주회로 도체(1a)와의 사이가 개폐 조작편(24)의 격벽부(절연물제)(24b)를 끼워 격리되어 있기 때문에, 높은 절연 인내력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내전압 시험의 종료 후는, 개폐 조작편(24)을 도 4(a)의 ON 위치로 되돌림으로써, 재차 주회로(1)의 상간 전압이 누전 검출 회로(7)에 급전되게 되고, 누전 차단기는 통상의 사용 상태로 복귀한다.
[실시예 2]
다음에,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관한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도 5에 도시한다. 도 5(a), 도 5(b)는 상기한 실시예의 도 4(a), 도 4(b)에 대응한 내전압 테스트용 스위치의 ON, OFF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실시예 1과는 반대로 스프링성을 갖는 도전재로 만들어진 전원용 전극판(26)을 주회로 도체(1a) 에 고정 설치하고, 그 전극판(26)의 선단을 누전 검출 회로(7)의 프린트판(7a)에 마련한 전원 단자(27)에 압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개폐 조작편(24)은 도 4와 같은 구조의 배치로서 전극판(26)과 전원 단자(27)와의 사이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도 5(a)와 같이 개폐 조작편(24)의 손잡이부(24a)를 ON 위치로 압입하면, 격벽부(24b)가 하방으로 후퇴하여 전극판(26)이 프린트판(7a)에 마련한 전원 단자(27)에 맞닿고, 이 상태에서 도 3에 있어서의 주회로(1)의 상간 전압이 누전 검출 회로(7)에 급전된다.
한편, 내전압 시험의 실시에 있어서, 개폐 조작편(24)의 손잡이부(24a)를 도 5(b)에 도시된 OFF 위치로 끌어올리면, 격벽부(24b)가 전극판(26)과 전원 단자(27)와의 사이로 들어가 양자의 사이를 이탈시킨다. 이로써, 실시예 1에서 기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내전압 테스트용 스위치가 0FF로 되고 주회로(1)와 누전 검출 회로(7)와의 사이를 단로한다. 그리고, 내전압 시험의 종료 후는 개폐 조작편(24)을 도 5(a)의 ON 위치로 되돌림으로써, 재차 주회로(1)의 상간 전압이 누전 검출 회로(7)에 급전할 수 있게 되고, 누전 차단기는 통상의 사용 상태로 돌아온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배선용 차단기와 같은 외형 사이즈로 통일하여 구성한 단일체 구조가 되는 누전 차단기에 있어서, 그 케이스에 조립한 과부하 보호, 누전 보호 기능 부품 및 그 레이아웃을 그대로 하여, 내전압 테스트용 스위치를 추가 장비할 수 있고, 또한 이 내전압 테스트용 스위치를 OFF 조작하여 누전 검출 회로를 주회로로부터 단로함으로써, 누전 차단기의 제품 출하 후에 행하는 내전압 시험에도 용이하게 대응시킬 수 있다.
또한, 누전 차단기의 재래 제품에 간단한 전원용 전극판 및 개폐 조작편의 부품을 추가하는 것만으로 내전압 테스트용 스위치를 구성할 수 있으며, 게다가 내전압 테스트용 스위치의 구성 부품을 누전 검출 회로의 프린트 기판, 주회로 도체(영상 변류기의 1차 도체)에 조합시켜 배치함으로써 스위치의 스페이스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3)

  1. 케이스 내에 주회로 접점의 개폐 기구, 과전류 제거 장치, 주회로를 1차 도체로 하는 영상 변류기 및 누전 검출 회로를 포함하는 누전 제거 장치를 조립한 단일체 구조가 되는 누전 차단기로서, 주회로의 상간 전압을 누전 검출 회로에 급전하는 급전 회로를 온/오프하는 수동 조작식의 내전압 테스트용 스위치를 장비한 것에 있어서,
    상기 내전압 테스트용 스위치를, 누전 검출 회로의 프린트판으로부터 인출하고, 그 선단을 주회로 도체에 직접 압접하는 전원용 전극판과, 해당 전극판과 주회로 도체와의 사이에 인터럽트하여 장착하고, 수동 조작에 의해 전원용 전극판을 1차 도체에 접촉 격리시키는 절연물제의 손잡이 부착 개폐 조작편으로 구성하고, 그 개폐 조작편의 손잡이부를 차단기의 케이스 커버에 개구한 창구멍에 면하게 하여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 차단기.
  2. 케이스 내에 주회로 접점의 개폐 기구, 과전류 제거 장치, 주회로를 1차 도체로 하는 영상 변류기 및 누전 검출 회로를 포함하는 누전 제거 장치를 조립한 단일체 구조가 되는 누전 차단기로서, 주회로의 상간 전압을 누전 검출 회로에 급전하는 급전 회로를 온/오프하는 수동 조작식의 내전압 테스트용 스위치를 장비한 것에 있어서,
    상기한 내전압 테스트용 스위치를, 주회로 도체로부터 인출하여 그 선단을 누전 검출 회로의 프린트판에 마련된 전원 단자에 압접하는 전원용 전극판과, 해당 전극판과 상기 전원 단자와의 사이에 인터럽트하여 장착하고, 수동 조작에 의해 전원용 전극판을 프린트판의 전원 단자에 접촉 격리시키는 절연물제의 손잡이 부착 개폐 조작편으로 구성하고, 그 개폐 조작편의 손잡이부를 차단기의 케이스 커버에 개구한 창구멍에 면하게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 차단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전극판이 스프링성을 갖는 도전재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 차단기.
KR1020040016079A 2003-07-31 2004-03-10 누전 차단기 KR1009350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204455 2003-07-31
JP2003204455A JP4085911B2 (ja) 2003-07-31 2003-07-31 漏電遮断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4644A KR20050014644A (ko) 2005-02-07
KR100935068B1 true KR100935068B1 (ko) 2009-12-31

Family

ID=34263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6079A KR100935068B1 (ko) 2003-07-31 2004-03-10 누전 차단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085911B2 (ko)
KR (1) KR100935068B1 (ko)
CN (1) CN100446149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39772B2 (ja) * 2005-10-21 2011-12-21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耐電圧テスト用スイッチおよび漏電遮断器
CN101273323B (zh) * 2005-11-10 2010-05-19 欧姆龙株式会社 操作输入装置及使用其的电子设备
JP4972998B2 (ja) * 2006-05-22 2012-07-11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漏電遮断器
JP4816246B2 (ja) * 2006-05-23 2011-11-16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漏電遮断器
JP4893358B2 (ja) * 2007-02-19 2012-03-07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漏電遮断器の漏電引外し装置
JP5116582B2 (ja) * 2008-06-26 2013-01-09 三菱電機株式会社 漏電遮断器
JP5517566B2 (ja) 2009-11-05 2014-06-11 三菱電機株式会社 漏電遮断器
CN102064059B (zh) 2009-11-13 2013-12-11 三菱电机株式会社 漏电断路器
FR3072462B1 (fr) * 2017-10-16 2020-05-22 Schneider Electric Industries Sas Dispositif de mesure de courant, procede de fabrication, module de protection et disjoncteur differentiel utilisant un tel dispositif de mesure de courant
CN110531206A (zh) * 2019-08-27 2019-12-03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分相式低压接地故障检测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1588A (ja) * 1999-05-20 2000-11-30 Mitsubishi Electric Corp リモコンリレー
JP2001035343A (ja) * 1999-07-23 2001-02-09 Mitsubishi Electric Corp 漏電遮断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164593B1 (es) * 2000-03-17 2003-05-16 Ge Power Controls Iberica S L Dispositivo de deteccion de fuga a tierra.
JP2002170477A (ja) * 2000-11-30 2002-06-14 Mitsubishi Electric Corp 漏電遮断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1588A (ja) * 1999-05-20 2000-11-30 Mitsubishi Electric Corp リモコンリレー
JP2001035343A (ja) * 1999-07-23 2001-02-09 Mitsubishi Electric Corp 漏電遮断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81396A (zh) 2005-02-16
CN100446149C (zh) 2008-12-24
JP4085911B2 (ja) 2008-05-14
KR20050014644A (ko) 2005-02-07
JP2005050605A (ja) 2005-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55877B2 (en) Air circuit breaker with mechanical trip indicating mechanism
US7876181B2 (en) Earth leakage circuit breaker
KR100928375B1 (ko) 누전 차단기
KR100898469B1 (ko) 누전 차단기
KR100771767B1 (ko) 내전압 테스트용 스위치 및 누전 차단기
KR100935068B1 (ko) 누전 차단기
KR101210736B1 (ko) 회로 차단기
CN108257827A (zh) 用于断路器的控制器的隔离机构
KR100937296B1 (ko) 누전 차단기
CN100466141C (zh) 漏电断路器
JP4852380B2 (ja) 回路遮断器
CN101079353B (zh) 对地漏电断路器
JP2008041580A (ja) 漏電遮断器
CN217641167U (zh) 一种电子式漏电断路器
JP2008262935A (ja) 漏電遮断器
JP2006040666A (ja) 漏電遮断器
JP2006155911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式漏電遮断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