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5414B1 - 회로 차단기 - Google Patents

회로 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5414B1
KR101045414B1 KR1020070113785A KR20070113785A KR101045414B1 KR 101045414 B1 KR101045414 B1 KR 101045414B1 KR 1020070113785 A KR1020070113785 A KR 1020070113785A KR 20070113785 A KR20070113785 A KR 20070113785A KR 101045414 B1 KR101045414 B1 KR 1010454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parator
circuit breaker
current transformer
outer member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3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2724A (ko
Inventor
카토 히로아키
Original Assignee
가와무라 일렉트릭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6305663A external-priority patent/JP485651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337520A external-priority patent/JP4938435B2/ja
Application filed by 가와무라 일렉트릭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와무라 일렉트릭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42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27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5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54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3/0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 H01H73/02Details
    • H01H73/06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3/0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 H01H73/02Details
    • H01H73/20Terminals;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3/00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 H01H83/02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operated by earth fault curr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7/00Facilitation of operation; Human engineering
    • H01H2217/046Enhanced legend space by smaller actuators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퍼레이터, 인외부재 및 영상변류기의 배치를 개량하여 차단기 케이스를 보다 얇고, 소형으로 구성할 수 있는 회로 차단기를 제공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단기 케이스(2)의 전면과 배면에 각각 세 개의 부하측 단자(4)와 전원측 단자(3)을 상하로 배열한다. 차단기 케이스(2)의 내부에 전기회로를 개폐하는 세퍼레이터(15)와 누전을 검출하는 영상변류기(20)와 누전 검출시에 세퍼레이터(15)를 폐쇄위치로부터 개방위치로 이동하는 인외부재(27)를 설치한다. 세퍼레이터(15)를 부하측 단자(4)의 배열 방향에 맞추어 기울어진 상하로 길게 형성하여 인외부재(27)를 전원측 단자(3)의 배열 방향으로 길게 형성한다. 세퍼레이터(15)와 인외부재(27)를 서로 대향하는 상태에서 각각의 긴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하여 쌍방간에 영상변류기(20)를 설치하기 위한 역V자형 공간(30)을 형성한다.
회로차단기, 소형, 박형

Description

회로 차단기{Circuit Breaker}
본 발명은 누전 차단기능을 갖춘 회로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기회로에서 발생한 누전을 영상변류기로 검출하고 세퍼레이터를 인외부재에 의해 구동하여 전기회로를 차단하는 회로 차단기가 알려져 있다. 회로 차단기를 소형,박형화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는, 세퍼레이터나 인외부재 등의 가동부를 차단기 케이스의 상부에 설치하고, 영상변류기나 프린트 기판 등의 배선을 필요로 하는 부재를 차단기 케이스의 하부에 설치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또, 특허 문헌 2에는 세 개의 전원측 단자와 두 개의 부하측 단자를 상하 방향으로 배열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3, 4에는, 전기회로상에 설치된 복수 개의 1차 도체를 영상변류기의 구멍에 관통시켜 배선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일본특허공개 2002-324475호 공보
[특허 문헌 2]일본특허공개 2002-216610호 공보
[특허 문헌 3]일본특허공개평 6-310018호 공보
[특허 문헌 4]일본특허공개 2003-162952호 공보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하면, 예를 들면 단상 3선식 전기회로용의 회로 차단기에 있어서, 차단기 케이스의 두께를 얇게 하기 위해서, 세 개의 전원측 단자와 부하측 단자를 상하 방향으로 일직선으로 배열하는 경우, 세퍼레이터나 인외부재의 동작 공간이 불충분하게 되거나 영상변류기의 설치 공간을 확보하는데 곤란을 초래하거나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세퍼레이터, 인외부재 및 영상변류기의 배치를 개량하여 차단기 케이스를 보다 얇고, 소형으로 구성할 수 있는 회로 차단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단기 케이스의 전면과 배면에 각각 복수의 부하측 단자와 전원측 단자를 상하 방향으로 배열하고, 차단기 케이스의 내부에 전원측 단자와 부하측 단자 사이의 전기회로를 개폐하는 세퍼레이터와 누전을 검출하는 영상변류기 및 누전 검출시에 세퍼레이터를 폐쇄위치로부터 개방위치로 이동시키는 인외부재를 설치한 회로 차단기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채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1)세퍼레이터를 부하측 단자의 배열 방향으로 길게 형성하고, 인외부재를 전원측 단자의 배열 방향으로 길게 형성하며, 세퍼레이터 및 인외부재를 서로 대향 하는 상태로 각각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하여 영상변류기를 세퍼레이 터와 인외부재 사이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
(2)차단기 케이스의 전면을 상측까지 후퇴하도록 경사지게 형성하고, 상기 부하측 단자를 차단기 케이스의 전면과 평행하게 기울어진 상하 방향으로 배열하며, 상기 세퍼레이터를 부하측 단자의 뒤쪽 근방에서 기울어진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하며, 세퍼레이터와 인외부재 사이에 영상변류기를 설치하기 위해 역V자형 공간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기재의 회로 차단기.
(3)전원측 단자와 인외부재 사이에 누전 검출시에 인외부재를 구동하는 전자 인외장치와 합선 전류 발생시에 인외부재를 구동하는 가동 전자편 및 과전류 발생시에 인외부재를 구동하는 바이메탈편을 차단기 케이스의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또는 (2) 기재의 회로 차단기.
(4)영상변류기가 1차 도체를 통하는 관통홈을 갖추고, 관통홈이 차단기 케이스의 좌우 방향으로 향한 상태로 영상변류기가 차단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2) 또는 (3) 기재의 회로 차단기.
(5)차단기 케이스가 관통홈에 삽입되는 돌기를 갖추고, 돌기에 의해 영상변류기가 차단기 케이스의 내부에 조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4) 기재의 회로 차단기.
(6)돌기가 복수 개의 일차 도체를 서로 격리하는 돌기를 갖추어 돌기에 의해 1차 도체가 관통홈의 주위에 위치결정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5) 기재의 회로 차단기.
(7)돌편이 돌기의 외주에 방사형으로 형성되고, 돌편의 첨단이 관통홈의 내 면에 접촉한 상태로 영상변류기가 차단기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결정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6) 기재의 회로 차단기.
본 발명의 회로 차단기에 의하면, 세퍼레이터와 인외부재가 전후에서 대향한 상태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차단기 케이스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일 없이 영상변류기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어 회로 차단기 전체를 얇고 소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 영상변류기의 관통홈을 차단기 케이스의 좌우 방향을 향하게 했으므로 영상변류기를 세퍼레이터와 인외부재 사이의 공간에 컴팩트하게 수납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단상 3선식 전기회로용의 회로 차단기에 구체화한 일실시 예를 도면에 근거해 설명한다. 도 1은 회로 차단기의 외관을 나타낸다. 도 2와 도 3은 회로 차단기의 내부 기구를 나타낸다. 도 4는 차단기 케이스의 영상변류기 조립부를 나타낸다. 도 5는 1차 도체를 조립했을 때의 영상변류기를 나타낸다. 도 6은 1차 도체를 분해했을 때의 영상변류기를 나타낸다. 도 7(a)는 영상변류기의 저면측의 구성을 나타내고, 도 7(b)는 영상변류기의 배면측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8, 도 9 및 도 10은 영상변류기에 1차 도체를 취부하는 순서를 나타낸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회로 차단기의 전면을 도 1의 좌측면으로 하고, 배면을 우측면으로 하며, 상면을 상측면으로 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회로 차단기(1)는 두께 10 mm정도의 사각형상의 얇은 상자형의 차단기 케이스(2)를 갖추고 있다. 차단기 케이스(2)는 합성 수지제의 좌우 한 벌의 케이스편(2a, 2b)을 조합하여 구성되며, 배면이 수직으로, 전면이 상측까지 후퇴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차단기 케이스(2)의 배면과 전면에는 각각 세 개의 전원측 단자(3: 3a, 3b, 3c)와 부하측 단자(4: 4a, 4b, 4c)가 상하 방향으로 일직선으로 배열되어 있다. 차단기 케이스(2)의 상측면에는 전원측 단자(3)와 부하측 단자(4) 사이의 전기회로를 수동으로 개폐하는 조작 핸들(5)이 전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 개의 전원측 단자(3)는 차단기 케이스(2)의 배면과 평행하게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어 위쪽의 단자(3a)가 중성극단자, 중앙의 단자(3b)와 아래 쪽의 단자(3c)가 전압극단자로서 사용된다. 각 단자(3a ~ 3c)는 차단기 케이스(2)의 후단부 내측에 C자형의 전원측 단자 전극(11)을 갖추어 분전반내의 도체 바를 삽입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접속할 수 있는 플러그 인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부하측 단자(4)는 차단기 케이스(2)의 전면과 평행하게 기울어진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어 중앙의 단자(4b)가 중성극단자, 상하의 단자(4a, 4c)가 전압극단자로서 사용된다. 각 단자(4a ~ 4c)는 차단기 케이스(2)의 전단부 안쪽에 부하측 단자 전극(12)을 갖추어 부하 배선을 삽입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접속할 수 있는 속결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세 개의 부하측 단자(4) 중 사용하지 않는 단자(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단자(4b))는 잘못 연결 또는 먼지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서 슬라이드식의 단자 커버(13)에 의해서 막혀 있다. 차단기 케이스(2)의 전단 상부에는 부하측 단 자 전극(12)에 의한 부하 배선의 구속을 해제하기 위한 해제 레버(6)가 설치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하측 단자 전극(12)의 뒤쪽 근방에 있어서, 차단기 케이스(2)의 내부에는 세퍼레이터(15)가 기울어진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코일 용수철(16)에 의해 윗쪽에 부세되어 있다. 세퍼레이터(15)는 합성 수지로 부하측 단자 전극(12)의 배열 방향으로 긴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길이 방향의 3개소에 개폐 접점(17)을 내장하고 있다. 개폐 접점(17)은 부하측 단자 전극(12)의 돌출 선단(12a)에 고정된 고정 접점(18)과 전원측 단자 전극(1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가동 접점(19)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동 접점(19)이 세퍼레이터(15)에 일체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세퍼레이터(15)가 개폐 접점(17)을 닫는 폐쇄위치(도 2에 나타내는 하강 위치)와 개폐 접점(17)을 여는 개방위치(도시하지 않는 상승 위치)에 자신의 길이 방향으로 승강하게 되어 있다.
세퍼레이터(15)의 뒤쪽에 있어서, 차단기 케이스(2)의 하부에는 전기회로의 누전을 검출하는 영상변류기(20)가 설치되고, 차단기 케이스(2)의 상부에는 프린트 기판(21)이 좌우의 케이스편(2a, 2b)의 측면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프린트 기판(21)의 아래 쪽에는 누전 발생시에 동작하는 전자 인외장치(22)가 횡방향으로 설치되며, 프린트 기판(21)상에 영상변류기(20)의 출력에 따라 전자 인외장치(22)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기 회로(도시 생략)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기 회로는 전자 인외장치(22)의 동작을 테스트하는 테스트 회로를 포함하며, 테스트 회로가 차단기 케이스(2) 상면의 테스트 버튼(7)에 의해 테스트 스위치(8)를 매개로 온 /오프 된다. 그리고, 전자 인외장치(22)의 아래 쪽에 전기회로의 합선 전류에 감응하는 가동 전자편(23)과 과전류에 감응하는 바이메탈편(24)이 각각 2개씩 차단기 케이스(2)의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세퍼레이터(15)의 상단부에는 개폐 기구부(25)의 래치(26)가 설치되어 래치(26)의 아래 쪽에 인외부재(27)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인외부재(27)는 전원측 단자 전극(11)의 배열 방향(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굴곡부(27b)를 누르는 코일 용수철(28)에 의해서 하부로 부세 되어 있다. 인외부재(27)의 배면에는 전자 인외장치(22), 가동 전자편(23) 및 바이메탈편(24)의 가동단이 걸어맞춰져서(도 4 참조), 전기회로에 누전, 합선 전류 또는 과전류가 발생했을 때에 각 액츄에이터(22, 23, 24)가 인외부재(27)를 윗쪽으로 이동시켜 인외부재(27)의 상단 걸어맞춤부(27a)가 개폐 기구부(25)의 래치(26)를 벗어나서 세퍼레이터(15)를 폐쇄위치로부터 개방위치로 상승시키게 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퍼레이터(15)와 인외부재(27)는 서로 대향하는 상태로 차단기 케이스(2)의 전후에 배치되어 쌍방간에 역V자형 공간(30)이 형성되어 있다. 역V자형 공간(30)은 차단기 케이스(2)의 아래 쪽까지 전후로 열리도록 형성되어 이 공간(30)의 하부에 영상변류기(20)가 중심부의 관통홈(31)을 차단기 케이스(2)의 좌우 방향(두께 방향)을 향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좌우의 케이스편(2a, 2b)의 내측면에는 관통홈(31)에 삽입되는 원통형의 돌기(32)가 형성되어(도 4에 좌측 케이스(2a)의 돌기(32)만 도시함), 차단기 케이스(2)를 조립한 상태에서 돌기(32)에 의해 영상변류기(20)가 역V자형 공간(30)의 소정 위치 에 조립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영상변류기(20)는 고리 모양의 절연 케이스(33)을 갖추어 절연 케이스(33)의 내부에 2차 코일(도시 생략)이 매설되며, 2차 코일의 노출단이 프린트 기판(21)상의 누전검출회로(도시 생략)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관통홈(31)은 절연 케이스(33)의 중심부에 형성되어 이 관통홈(31)의 안쪽에 단상 3선식 전기회로의 일부를 형성하는 3 개의 1차 도체(34, 35, 36)가 삽입 관통되어 있다. 1차 도체(34, 35, 36)는 금속제 띠를 절곡하여 형성되어 전원측 단부(34a, 35a, 36a)가 전원측 단자 전극(1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부하측 단부(34c, 35c, 36c)가 개폐 접점(17)의 가동 접점(19)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도 2 참조).
차단기 케이스(2)측의 돌기(32)에는 외주면에 세 개의 돌편(32a, 32b, 32c)이 등각도를 두고 형성되어(도 4 참조), 각 돌편(32a, 32b, 32c)에 의해 인접하는 1차 도체(34, 35, 36)의 중간부(34b, 35b, 36b)가 서로 격리됨과 아울러, 절연 케이스(33)의 원주를 삼등분한 방위에 위치결정 되어 있다(도 2 참조). 그리고, 돌편(32a, 32b, 32c)은 첨단이 관통홈(31)의 내주면에 접촉하는 길이로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영상변류기(20) 및 1차 도체(34, 35, 36)가 덜컥거림이 없는 상태로 차단기 케이스(2)의 내부에 위치결정 되어 있다.
도 5 ~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연 케이스(33)의 상면에는 리브(37a)를 갖춘 격리편(37)이 돌출되어 격리편(37)에 의해 1차 도체(34)의 전원측 단부(34a)와 부하측 단부(34c)가 차단기 케이스(2)의 좌우 방향으로 격리되어 있다. 절연 케 이스(33)의 주변에는 플랜지(38)가 형성되어 플랜지(38)에 의해 1차 도체(36)의 전원측 단부(36a)와 부하측 단부(36c)가 좌우로 격리되어 있다. 절연 케이스(33)의 하부에는 L자형의 구분벽(39)이 형성되어 구분벽(39)에 의해 1차 도체(35)의 전원측 단부(35a)와 부하측 단부(35c)가 좌우로 격리됨과 아울러, 1차 도체(36)의 전원측 단부(36a)와 1차 도체(35)의 전원측 단부(35a)가 차단기 케이스(2)의 상하 방향으로 격리되어 있다.
각 1차 도체(34, 35, 36)는 도 8 ~ 도 10에 나타내는 순서로 영상변류기(20)에 장착된다. 1차 도체(34)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하측 단부(34 c)를 관통홈(31)에 통과시켜 전원측 단부(34a)를 절연 케이스(33)의 우측단면에 접합하고 부하측 단부(34c)를 상방향으로 절곡한다. 1차 도체(35)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하측 단부(35c)를 관통홈(31)에 통과시켜 전원측 단부(35a)를 절연 케이스(33)의 아래쪽 면에 접합하며, 부하측 단부(35c)를 전방으로 절곡한다. 1차 도체(36)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원측 단부(36a)를 관통홈(31)에 통과시켜 부하측 단부(36c)를 절연 케이스(33)의 좌측 단면에 접합하고 전원측 단부(36a)를 후방으로 접어 구부린다. 또한, 각 1차 도체의 중간부(34b, 35b, 36b)와 그 주변에는 합성 수지제의 절연 피막을 씌울 수 있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회로 차단기(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전기회로가 통전 상태에 있을 때는(도 2 참조), 세퍼레이터(15)가 폐쇄위치로 하강하여 개폐 접점(17)이 닫혀져서 조작 핸들(5)이 차단기 케이스(2)의 상면과 접합하는 수평 위치로 넘어져 있다. 그리고, 개폐 기구부(25)의 래치(26)가 조작 핸들(5)과 세 퍼레이터(15) 사이의 링크(14)를 잠그어 세퍼레이터(15)가 코일 용수철(16)을 압축한 상태로 폐쇄위치를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통전 상태에서 전기회로에 누전이 발생하면, 영상변류기(20)의 출력이 상승하여 프린트 기판(21)상의 누전 검출 회로가 누전으로 판정함으로써 전자 인외장치(22)가 트립동작을 한다. 그리고, 전자 인외장치(22)의 플란저(22a)가 인외부재(27)를 상승시켜 인외부재(27)의 걸어맞춤부(27a)가 래치(26)를 벗어나서 개폐 기구부(25)가 링크(14)를 자유롭게 한다. 이에 따라, 세퍼레이터(15)가 코일 용수철(16)의 부세력으로 개방위치로 상승하여 개폐 접점(17)이 열림으로써 조작 핸들(5)이 차단기 케이스(2)의 표면으로부터 기립한다.
한편, 전기회로에 과전류 또는 합선 전류가 흘렀을 때에는 가동 전자편(23) 또는 바이메탈편(24)이 작동하여 전자 인외장치(22)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인외부재(27)가 자신의 길이 방향으로 상승하여 세퍼레이터(15)가 개방위치로 상승함으로써 개폐 접점(17)이 열려 조작 핸들(5)이 기립한다. 이러한 차단 상태에서 전기회로를 통전 상태로 되돌릴 때에는 조작 핸들(5)을 기립 위치에서 수평 위치로 넘어뜨려 세퍼레이터(15)를 폐쇄위치로 하강시켜 개폐 접점(17)을 닫는다.
또, 전자 인외장치(22)의 동작을 테스트할 때, 테스트 버튼(7)을 눌러 내리면, 테스트 스위치(8)의 선단이 하강하여 프린트 기판(21)상의 접점봉(9)과 접촉함으로써(도 3 참조) 테스트 회로가 온 되어 누전 검출 회로에 의사 누전 전류가 발생한다. 테스트 버튼(7)의 누름력이 해제되면 테스트 스위치(8)의 탄성 복원력으로 선단이 접점봉(9)으로부터 멀어져서 테스트 회로가 오프된다. 또한, 테스트 회로가 온 상태에서 세퍼레이터(15)가 개방위치로 상승했을 때에는 세퍼레이터(15)상의 돌기(10)가 테스트 스위치(8)의 선단을 접점봉(9)에서 갈라 놓아 테스트 회로를 강제적으로 오프시킨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회로 차단기(1)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세퍼레이터(15)와 인외부재(27)가 차단기 케이스(2)의 전후에서 대향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차단기 케이스(2)의 좌우 방향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일 없이 내부에 영상변류기(20)의 설치 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b)세퍼레이터(15)를 부하측 단자(4)의 배열 방향에 맞추어 기울어진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였으므로, 세퍼레이터(15)와 인외부재(27) 사이에 역V자형 공간(30)을 형성하여 차단기 케이스(2)의 하부에 영상변류기(20)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c)전원측 단자(3)와 인외부재(27) 사이에 전자 인외장치(22)와 가동 전자편(23) 및 바이메탈편(24)을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하였으므로 차단기 케이스(2)의 전후방향의 길이를 단축할 수 있다.
(d)영상변류기(20)의 관통홈(31)을 차단기 케이스(2)의 좌우 방향으로 향하게 했으므로 비교적 큰 영상변류기(20)를 역V자형 공간(30)에 컴팩트하게 수납할 수 있다.
(e)관통홈(31)에 삽입되는 돌기(32)를 좌우의 케이스편(2a, 2b)에 형성했으므로 별도의 조립 부품을 이용하는 일 없이 차단기 케이스(2)의 조립과 동시에 영 상변류기(20)를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다.
(f)돌기(32)에 돌편(32a, 32b, 32c)을 설치했으므로 3 개의 1차 도체(34, 35, 36)를 서로 접촉하지 않게 격리할 수 있고, 영상변류기(20)의 원주 방향의 소정 위치에 확실히 위치 결정 할 수 있다.
(g)돌편(32a, 32b, 32c)의 선단이 관통홈(31)의 내면에 접촉하므로, 회로 차단기(1)의 제작시에 돌기(32)를 관통홈(31)에 삽입하기만 하는 간단한 작업으로 영상변류기(20)와 1차 도체(34, 35, 36)를 차단기 케이스(2)의 내부에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하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각부의 형상이나 구성을 적당하게 변경해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1)차단기 케이스(2)의 전면을 수직으로 형성하고, 그 전면과 평행하게 부하측 단자(4)와 세퍼레이터(15)를 설치하여 세퍼레이터(15)와 인외부재(27)를 서로 평행하게 대향시켜 쌍방간에 영상변류기(20)를 설치하는 것.
(2)영상변류기(20)의 관통홈(31)에 삽입되는 돌기(32)를 삼각기둥 또는 사각기둥의 다각기둥 모양으로 형성하고, 돌기(32)의 모서리에 의해 1차 도체를 격리 또는 위치 결정 하는 것.
(3)돌기(32)에 설치한 돌편의 수를 1차 도체의 개수에 따라 증감하는 것.
(4)본 발명을 단상 2 선식 전기회로나 3상 전기회로용의 회로 차단기에 적용하는 것.
(5)본 발명을 합선 전류 차단기능을 갖추지 않는 회로 차단기, 또는, 과전류 차단기능을 갖추지 않는 회로 차단기에 적용하는 것.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 차단기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회로 차단기의 내부 기구를 나타내는 우측면도,
도 3은 같은 내부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차단기 케이스의 영상변류기 조립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영상변류기와 1차 도체의 조립 설명도,
도 6은 영상변류기와 1차 도체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영상변류기 단체의 사시도,
도 8은 영상변류기에 1차 도체를 위부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은 다른 실시예의 일차 도체의 설치 순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또다른 실시예의 1차 도체의 설치 순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회로차단기, 2 -- 차단기 케이스,
 3 -- 전원측 단자, 4 -- 부하측 단자,
 5 -- 조작 핸들, 15 -- 세퍼레이터,
 20 -- 영 상변류기, 27 -- 인외부재,
 30 -- 역V자형 공간, 31 -- 관통홈,
 32 -- 돌기, 32a, 32b, 32c -- 돌기,
34, 35, 36 -- 일차 도체.

Claims (7)

  1. 차단기 케이스의 전면과 배면에 각각 복수의 부하측 단자와 전원측 단자를 상하 방향으로 배열하고, 차단기 케이스의 내부에 전원측 단자와 부하측 단자 사이의 전기회로를 개폐하는 세퍼레이터와, 누전을 검출하는 영상변류기와, 누전 검출시에 세퍼레이터를 폐쇄위치로부터 개방위치로 이동하는 인외부재를 설치한 회로 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터를 부하측 단자의 배열 방향으로 길게 형성하고, 상기 인외부재를 전원측 단자의 배열 방향으로 길게 형성하며, 세퍼레이터 및 인외부재를 서로 대향 하는 상태로 각각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영상변류기를 세퍼레이터와 인외부재 사이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기 케이스의 전면을 상측까지 후퇴하도록 경사지게 형성하고, 상기 부하측 단자를 차단기 케이스의 전면과 평행하게 기울어진 상하 방향으로 배열하며, 상기 세퍼레이터를 부하측 단자의 뒤쪽 근방에서 기울어진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하며, 세퍼레이터와 인외부재 사이에 영상변류기를 설치하기 위해 역V자형 공간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측 단자와 인외부재 사이에 누전 검출시에 인외부재를 구동하는 전자 인외장치와 합선 전류 발생시에 인외부재를 구동하 는 가동 전자편 및 과전류 발생시에 인외부재를 구동하는 바이메탈편을 차단기 케이스의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변류기가 일차 도체를 통하는 관통홈을 갖추고, 관통홈이 차단기 케이스의 좌우 방향으로 향한 상태로 영상변류기가 차단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기 케이스가 관통홈에 삽입되는 돌기를 갖추고, 돌기에 의해 영상변류기가 차단기 케이스의 내부에 조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가 복수 개의 1차 도체를 서로 격리하는 돌편을갖추고, 돌편에 의해 1차 도체가 관통홈의 주위에 위치결정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돌편이 돌기의 외주에 방사형으로 형성되고, 돌편의 첨단이 관통홈의 내면에 접촉한 상태로 영상변류기가 차단기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결정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
KR1020070113785A 2006-11-10 2007-11-08 회로 차단기 KR1010454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305663 2006-11-10
JP2006305663A JP4856518B2 (ja) 2006-11-10 2006-11-10 回路遮断器
JPJP-P-2006-00337520 2006-12-14
JP2006337520A JP4938435B2 (ja) 2006-12-14 2006-12-14 回路遮断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2724A KR20080042724A (ko) 2008-05-15
KR101045414B1 true KR101045414B1 (ko) 2011-06-30

Family

ID=39649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3785A KR101045414B1 (ko) 2006-11-10 2007-11-08 회로 차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541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6838Y1 (ko) 2000-04-21 2000-09-15 엘지산전주식회사 누전차단기
KR20010096838A (ko) * 2000-04-15 2001-11-08 백영문 기계실 없는 하부구동형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설치구조 및 그 방법
JP2003162951A (ja) 2001-11-27 2003-06-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漏電遮断器
KR20040006793A (ko) * 2002-07-15 2004-01-24 한라공조주식회사 팬과 쉬라우드의 조립체
KR200406793Y1 (ko) 2005-10-24 2006-01-2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가정용 누전 차단기
JP2006155912A (ja) 2004-11-25 2006-06-1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式漏電遮断器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6838A (ko) * 2000-04-15 2001-11-08 백영문 기계실 없는 하부구동형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설치구조 및 그 방법
KR200196838Y1 (ko) 2000-04-21 2000-09-15 엘지산전주식회사 누전차단기
JP2003162951A (ja) 2001-11-27 2003-06-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漏電遮断器
KR20040006793A (ko) * 2002-07-15 2004-01-24 한라공조주식회사 팬과 쉬라우드의 조립체
JP2006155912A (ja) 2004-11-25 2006-06-1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式漏電遮断器
KR200406793Y1 (ko) 2005-10-24 2006-01-2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가정용 누전 차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2724A (ko) 2008-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01680B2 (en) Ground-fault circuit interrupter
US7195500B2 (en) Ground fault circuit interrupter with end of life indicators
CA2966097C (en) Modular circuit breaker and method of assembling
KR20080059503A (ko) 누전 차단기
JP4839772B2 (ja) 耐電圧テスト用スイッチおよび漏電遮断器
JP6188554B2 (ja) 漏電遮断器
JP3794451B2 (ja) 漏電しゃ断器
JP4852380B2 (ja) 回路遮断器
JP4921931B2 (ja) 回路遮断器
KR101045414B1 (ko) 회로 차단기
JP4908118B2 (ja) 回路遮断器
JP4856518B2 (ja) 回路遮断器
KR101028183B1 (ko) 회로차단기
KR101102691B1 (ko) 회로 차단기
KR101045465B1 (ko) 회로차단기
KR101045413B1 (ko) 회로 차단기
JP4856522B2 (ja) 回路遮断器
JP2007311268A (ja) 漏電遮断器
KR101131673B1 (ko) 회로차단기
AU2020100774A4 (en) Modular electrical switching device
KR101026579B1 (ko) 회로 차단기
KR102287486B1 (ko) 회로기판을 이용한 전원측 부하측 일체형 누전차단기
JP4908121B2 (ja) 回路遮断器
KR101045470B1 (ko) 회로 차단기
JP4144589B2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式漏電遮断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