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4435A - 에어백의 포개 접는 장치 및 포개 접는 방법 - Google Patents

에어백의 포개 접는 장치 및 포개 접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4435A
KR20080034435A KR1020087001142A KR20087001142A KR20080034435A KR 20080034435 A KR20080034435 A KR 20080034435A KR 1020087001142 A KR1020087001142 A KR 1020087001142A KR 20087001142 A KR20087001142 A KR 20087001142A KR 20080034435 A KR20080034435 A KR 200800344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tether belt
folding
cylindrical tether
cylind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1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1137B1 (ko
Inventor
요시마사 테라무라
요시오 시마자키
코우 사사키
Original Assignee
아시모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시모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시모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34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44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1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11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7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y are fol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7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y are folded
    • B60R2021/2375Fold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백의 포개 접는 장치 및 포개 접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통형상 테더벨트(11a)를 지지해 상승하는 원기둥 형상의 지지구 (62)와 그것과 동축으로 또한 외측에 상기 에어백 본체(10a)를 상승해 수납하는 외통실린더 (63)와 상기 지지구 (62) 및 외통실린더(63)를 구비하는 작업대(61)와 상기 지지구(62)의 수직 윗쪽의 위치에 상기 통형상 테더벨트 (11a)를 상기 지지구(62)로 끼우는 원기둥 형상의 협지구(64)를 구비하고, 한 쌍의 플레이트(65)가 상기 외통실린더(63)의 상부를 덮고 상기 협지구(64)의 하단부에 끼워 맞춘 상태로, 상기 지지구(62), 외통실린더(63) 및 협지구(64)가 동시에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적으로 포개 접는 도너츠형 에어백을 작성하는 에어백 포개 접는 장치 및 포개 접는 방법의 기술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에어백의 포개 접는 장치 및 포개 접는 방법 {FOLDING DEVICE AND FOLDING METHOD FOR AIRBAG}
본 발명은, 자동차에 장비되는 에어백 장치에 이용되는 에어백을 원하는 컴팩트 형상에 기계적으로 포개 접기 위한 에어백의 포개 접는 장치 및 포개 접는 방법에 관계되는 특히 도너츠형 에어백의 포개 접는 장치 및 포개 접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에어백 포개 접는 장치의 일례로서 에어백의 세로 접는 작업을 종료한 후에, 횡 접는 작업에 들어가는 3피스 타입의 에어백을 기계적으로 포개 접는 에어백 포개 접는 장치가 알려져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종래의 에어백 포개 접는 장치는 이와 같이 세로접는 공정과 횡 접는 공정에 의해 에어백을 포개 접고, 그 포개 접는 방법에 의해 에어백의 팽창 전개의 스피드를 조정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런데, 본 출원인은 에어백이 본래 전개해야 할 부위로부터 차례로 규칙 바르게 전개해 부분적으로 뭉치는 경우 없이 팽창 전개하는 에어백을 개발했지만, 그 포개 접는 방법은 팽창 전개하는 에어백의 선단부로부터 에어백 장치에 고정되는 후단부까지의 긴 방향에 대해서 수작업으로 주름 상자 형상으로 포개 접는 것이다. 그 포개 접어진 에어백의 평면 형상은 도너츠 형상이므로(이하 포개 접어진 에어백을 「도너츠형 에어백」이라고 한다),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세로 접는 공정과 횡 접는 공정을 실시하여 에어백을 포개 접는 에어백 포개 접는 장치에서는 도너츠형 에어백을 포개 접는 것이 불가능하다.
그렇지만, 에어백을 긴 방향에 대해서 주름 상자 형상에 포개 접는 도너츠형 에어백을 작성하는 에어백의 포개 접는 장치는 아직도 개발되어 있지 않다.
특허 문헌1: 일본국 특개평11-129847호 공보
본 발명의 목적은 에어백을 그 팽창 전개하는 선단부로부터 에어백 장치에 고정되는 후단부까지의 긴 방향에 대해서 기계적으로 포개 접는 도너츠형 에어백을 작성하는 에어백 포개 접는 장치 및 포개 접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1의 발명은 표면측 기초원단 및 이면측 기초원단에 의해 주머니 형상에 형성된 에어백 본체와 그 표면측 기초원단의 중앙 위치로부터 주머니 형상의 내부에 늘어나는 통형상 테더벨트로 이루어지는 에어백을 긴 방향에 주름 상자 형상에 포개 접는 에어백 포개 접는 장치로서, 상기 통형상 테더벨트에 삽입되고 또한 진퇴 자유로운 원기둥 형상의 지지구와 상기 지지구의 외측에 동축 형상으로 또한 진퇴 자유롭게 배치되어 상기 에어백 본체를 수납 가능한 외통실린더와 상기 지지구 및 외통실린더를 구비한 작업대와 상기 지지구에 대향해 상기 통형상 테더벨트를 상기 지지구로 끼우는 진퇴 자유로운 원기둥 형상의 협지구와 선단 부분이 상기 원기둥 형상의 지지구에 지지된 상기 통형상 테더벨트를 되접어 타단부분을 위치 고정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구, 상기 협지구 및 외통실린더를 진퇴 시키는 것으로 상기 통형상 테더벨트 및 에어백 본체를 포개 접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의 에어백 포개 접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의 외지름이 에어백 장착용 쿠션링의 인플레이터 삽입 구멍의 지름보다 작고, 또한 상기 에어백 본체의 인플레이터 장착 입구의 주변부에 형성된 작은 구멍에 삽입된 쿠션링의 볼트를 상기 작업대의 지지구의 외주위 상단면에 설치된 구멍에 끼워 맞추는 것으로 에어백 본체를 작업대에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의 에어백 포개 접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의 선단부에 볼록부가, 또 상기 통형상 테더벨트에 장치구멍이 설치되어 상기 볼록부가 장치구멍에 삽입 통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의 발명은 표면측 기초원단 및 이면측 기초원단에 의해 주머니 형상에 형성된 에어백 본체와 그 표면측 기초원단의 중앙 위치로부터 주머니 형상 내부에 늘어나는 통형상 테더벨트로 이루어지는 에어백을 주름 상자 형상에 포개 접는 에어백의 포개 접는 방법으로서, 상기 통형상 테더벨트의 선단 부분을 상승시켜, 그것에 따라 에어백 본체를 상승시키는 공정과 상승시킨 상기 통형상 테더벨트를 그 전체 길이의 대략 절반의 길이에 상당하는 거리만 하강시키는 공정과, 상기 통형상 테더벨트의 타단부분을 통형상 테더벨트의 주위에서 끌어올려 상기 통형상 테더벨트를 전체 길이의 대략 중간 위치에서 되접는 공정과 상기 되접은 통형상 테더벨트와 에어백 본체를 윗쪽으로부터 함께 압축해 포개 접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의 포개 접는 방법.
청구항 5의 발명은 표면측 기초원단 및 이면측 기초원단에 의해 주머니 형상에 형성된 에어백 본체와 그 표면측 기초원단의 중앙 위치로부터 주머니 형상 내부에 늘어나는 통형상 테더벨트로 이루어지는 에어백을 주름 상자 형상에 포개 접는 에어백의 포개 접는 방법으로서, 상기 통형상 테더벨트의 선단 부분을 상승시켜, 그것에 따라 에어백 본체를 상승시키는 공정과 상승시킨 상기 통형상 테더벨트를 그 전체 길이의 대략 반의 길이에 상당하는 거리만 하강시키는 공정과 상기 통형상 테더벨트의 타단부분을 통형상 테더벨트의 주위에서 끌어올려 상기 통형상 테더벨트를 전체 길이의 대략 중간 위치에서 되접는 공정과 상기 타단부분을 위치 고정한 상태로 상기 통형상 테더벨트의 선단 부분을 하강시켜, 상기 통형상 테더벨트를 고정 위치와의 사이에 당기는 공정과 상기 통형상 테더벨트 선단을 상승시켜 포개 접는 공정과 에어백 본체를 윗쪽으로부터 압축해 포개 접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에어백 장치의 핸들에 대한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로 본 횡단면도이다.
도 3은 베이스 플레이트의 이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연결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나타내는 쿠션링의 정면도 및 그 일부를 단면에서 가리킨 측면도이다
도 6은 팽창 상태의 도너츠형 에어백 내부를 나타내는 투시 사시도 및 동도너츠형 에어백의 비팽창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에어백 포개 접는 장치에 의한 에어백의 제1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포개 접는 순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에어백 포개 접는 장치에 의한 에어백의 제2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포개 접는 순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9는 유지 부재의 도너츠형 에어백을 덮기 전의 전개도이고, 포개 접어진 이면측의 도너츠형 에어백의 사시도이고, 도너츠형 에어백을 유지 부재로 덮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유지 부재로 덮은 도너츠형 에어백의 이면도이다.
도 10은 인플레이터 장착 입구의 주변부를 보호하는 주변 보호 부재의 전개도이다.
도 11은 에어백 커버의 사시도 및 이면도이다.
도 12는 개방한 상태의 각 커버 부품을 승차원측에서 본 도이다.
도 13은 에어백 장치의 전개 동작을 나타내는 도이다.
** 주요부위를 나타내는 도면부호의 설명 **
10a···에어백 본체, 11a···통 형상 테더벨트,
12···보호 부재, 12'···가스 정류 부재, 14···유지 부재,
16···에어백 커버, 20···연결 부재, 22···쿠션링,
24···베이스 플레이트, 30···인플레이터
이하, 본 발명의 에어백 포개 접는 장치로 포개 접어진 도너츠형 에어백이 수납되는 운전석용의 에어백 장치 (M1)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해 설명한다.
도 1은 에어백 장치의 핸들에 대한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도 2는 도 1을 I-I로 본 횡단면도이다. 에어백 장치 (M1)은 도 1및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차량의 스티어링 휠 중앙부에 조립되는 것이고, 장식용 부재 (40), 도너츠형 에어백 (10) 및 에어백 커버 (16)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편의 상 승차원측을 표면측 이 반대측을 이면측이라고도 한다.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에어백 커버 (16)에는 표면측 기초원단과 이면측 기초원단에 의해 주머니 형상에 형성된 에어백 본체 (10a)와 그 표면측 기초원단의 중앙 위치로부터 주머니 형상 내부에 늘어나는 에어백 본체부 (10a)의 늘어나는 길이를 규제하는 통형상의 테더벨트 (11a)로 이루어지는 에어백 (10)이, 주름 상자 형상에 포개 접어진 상태로 에어백 커버 (16)내에 수납되고 있다.
도너츠형 에어백 (10)은 도너츠형 에어백 (10)의 외주위 측면을 눌러 에어백 측면 방향의 팽창 전개를 억제하도록 유지 부재 (14)로 덮여 있다. 그리고, 에어백 본체부 (10a)와 유지 부재 (14)라는 것은 이 도너츠형 에어백 (10)내에 삽입된 쿠션 링 (22)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 (24)에 고정되고 있다. 또, 에어백 커버 (16)은 이들을 가리도록 해 베이스 플레이트 (24)에 고정되고 있다.
한편, 통형상의 테더벨트 (11a)의 단부는 에어백커버 (16)의 승차원 측면으로 형성된 오목부 (16a)의 배후면측에 위치하고, 상기 장식 부재 (40)의 이면 측에 돌출한 장착 볼트 (40a)를 연결 부재 (20)에 너트로 고정함으로써 이들의 부재간에 끼워져 있다. 또 연결 부재 (20)의 단부는 상기 쿠션링 (22)와 베이스 플레이트 (24)의 사이에 끼워지고 베이스 플레이트 (24)에 대해서 고정되고 있다. 또한 후에 상세 설명하는 바와 같이 부호 12는 보호 부재, 부호 12'는 가스 정류 부재, 부호 11c는 상기 에어백 본체부 (10a)에 통형상 테더벨트 (11a)를 꿰매어 맞춘 봉제부를 나타낸다.
이하에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 (24), 연결 부재 (20) 및 쿠션 링 (22)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베이스 플레이트 (24)의 이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베이스 플레이트 (24)는 대략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있어 그 중앙부에 인플레이터를 끼워 맞춤 가능한 구멍 (24h)가 형성됨과 동시에, 4개의 에어백 커버용 장착 부품 (24a)와 베이스 플레이트 (24) 자체의 설치를 위한 한 쌍의 장착 부품 (24b)가 상기 원판면으로부터 잘려 세워져 형성되고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 (24)는 인플레이터 (30), 도너츠형 에어백 (10) 및 전술한 장식용 부재 (40)을 일체적으로 고정하고 또한 상기 한 쌍의 장착 부품 (24b)는 핸들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인플레이터 (30)은 개략 두꺼운 원판 형상에 형성되고 있고 소정의 충격 검지시에 가스를 토출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있다. 인플레이터 (30)의 가스 토출구멍 (30a)가 형성된 인플레이터 윗쪽 부분이 베이스 플레이트 (24)의 구멍 (24h)를 관통하고 또한 인플레이터 (30)의 두께 방향 대략 중간부에 형성된 플랜지부를 베이스 플레이트 (24) 이면측에 밀접시키도록 해 베이스 플레이트 (24)의 장착 구멍 (24c)를 개재시켜 쿠션 링 (22)와 함께 고정된다. 즉, 인플레이터 (30)의 가스 토출구멍 (30a)가 베이스 플레이트 (24)의 표면측에 돌출 배치된 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인플레이터 (30)으로부터의 토출 가스가 베이스 플레이트 (24)의 표면측에서 토출되도록 되어 있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내는 연결 부재 (20)의 사시도이다. 연결 부재 (20)은 장착 볼트 (40a)가 끼워 맞추는 구멍 (20ah)를 구비한 중앙부 (20a)와 그 양측으로 이것과 대략 직각에 절곡 형성된 다리부 (20b)와 또한 다리부 (20b)에 대략 직각에 절곡 형성된 장착 발 (20c)로 이루어지는 판 모양의 금속 부품으로 구성되고 있다. 또, 장착 발 (20c)에는 후술 하는 쿠션링 (22)의 장치구멍 (22a) 및 베이스 플레이트 (24)의 장착 구멍 (24c)에 대응한 장착 구멍 (20e)가 형성되고 있어 쿠션 링 (22)에 형성된 볼트 (22d)에 의해 동시 잠겨지도록 되어 있다.
도 5A는 도 2에 나타내는 쿠션 링 (22)의 정면도, 도 5B는 그 일부를 단면에서 가리킨 측면도를 나타낸다. 쿠션 링 (22)는 도 5A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대략 직사각형의 형상을 이루고, 그 중앙부에는 인플레이터 (30)의 삽입구멍 (22h)가 설치되고 또한 삽입구멍 (22h)의 주위의 각 구석부에는 쿠션 링 (22)를 베이스 플레이트 (24)에 장착하기 위한 볼트 (22d)가 그 이면 측에 설치되고 있다. 또, 쿠션 링 (22)의 이면은 베이스 플레이트 (24)의 표면 측에 도너츠형 에어백 (10)을 개재시켜 접하도록 당접면 (22b)를 구성함과 동시에, 당접면 (22b)에는 그 측면도인 도 5B로부터 알 수 있듯이 예를 들면 조임 가공으로 형성된 오목 형상부 (22c)가 형성되고 있다. 오목 형상부 (22c)의 조임은 쿠션링 (22)를 연결 부재 (20)에 연결했을 때, 이 연결 부재 (20)의 장착 발 (20c)의 두께에 대충 같은 깊이에 형성되고 있 다.
도 6A 및 6b를 참조해 에어백 (10)을 설명한다.
도 6A는 팽창 상태의 에어백 (10) 내부를 나타내는 투시 사시도이고,도 6B는 동에어백 (10)의 비팽창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간이화하기 위해 통형상 테더벨트 (11a)내에 배치되는 장식 부재 (40), 장식 부재 (40)과 결합된 인플레이터 (30) 등은 도시하고 있지 않다. 에어백 본체부 (10a)는 2매의 대략 원형 형상의 원단의 외주위 둘레부 끼리를 봉합함으로 편평한 구형상(타원체 형상)에 전개 가능한 주머니 형상에 형성되고 있다. 에어백 본체부 (10a)의 표면측 대략 중앙부에는 에어백 커버 (16)의 오목부(16a)가 삽입되는 원형 형상의 절결부 (10h)가 그리고 그 이면측의 대략 중앙부에는 인플레이터와 연통해 발생하는 가스를 에어백 내부에 도입하기 위한 인플레이터 장착 입구 (10ah)가 형성됨과 동시에, 그 인플레이터 장착 입구 (10ah)의 주변부 (10d)에 쿠션링 (22)의 볼트 (22d;도 5B참조)를 통하기 위한 4개의 작은 구멍 (10b)가 형성되고 있다.
에어백 (10)의 인플레이터 장착 입구 (10ah) 주변에는 인플레이터가 발생하는 열이나 충격적인 압력으로부터 에어백을 보호하는 보호 부재 (12)가 주변부 (10D)에 겹쳐져 봉합되고 있다. 상기 에어백 장치 (M1)에 있어서는 보호 부재 (12)를 가스의 유출 방향을 정류하여 에어백의 전개 초기에 팽창하는 부분(유지 부재 (14)의 원형의 파단 예정부(후술의 도 9A참조)로부터 전개하는 에어백 부분)의 근방까지 가스를 안내하는 기능을 가지는 가스 정류 부재로서도 사용하고 있다.
보호 부재 (12)는 예를 들면 직포제로 도 6A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그 형상 은 원형으로 중심에 구멍을 갖고 그 구멍의 직경은 인플레이터 장착 입구 (10ah)의 직경과 동일하고 그 외지름은 예를 들면 상기 구멍의 직경의 3배 이상의 크기로 작성되고 있다. 상기 보호 부재 (12)를 상기 인플레이터 장착 입구 (10ah)에 장착할 때에는, 상기 보호 부재 (12)의 구멍의 주변을 상기 인플레이터 장착 입구 (10ah)의 주변에 맞추어 주변부 (10d)의 외주부 (10d') 및 동심상의 외주부 (12a')와 함께 봉합한다.
상기 보호 부재 (12)는 열이나 가스압의 충격을 보호하는 보호 부재와 에어백 (10)의 포개 접는 수납 후에 가스를 정류하는 정류 부재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보호 부재 (12)는 1매라도 좋지만, 2매 이상으로서도 좋고, 가스 정류 부재는 이들의 보호 부재 (12)의 1매 또는 복수매를 이용해도 괜찮다.
에어백 (10)은 에어백 본체 (10a)와 에어백 (10)의 연장하는 길이를 규제하는 통형상 테더벨트 (11a)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에어백 본체 (10a)는 2매의 대략 원형 형상의 기초원단(표면측 기초원단과 이면측 기초원단)의 외주변부 끼리를 봉합해 봉제부 (10c)를 설치하고, 봉제한 에어백의 내외면을 반전함으로써 편평한 구형상(타원체 형상)에 전개 가능한 주머니 형상에 형성된다. 상기 통형상 테더벨트 (11a)의 선단에는 상기 장착 볼트 (40a)를 삽입하는 통형상 테더벨트 장착구멍 (1 1ah)가 형성되고 있다.
도 6B로부터 알 수 있듯이 2매의 대략 원형 형상의 기초원단의 크기는 대략 동일하다. 그리고, 에어백 (10)은 도 6A의 에어백의 연장하는 방향(도중 윗쪽)으로 거의 전체 길이를 편 상태로부터 상하에 압축하도록 주름 상자 형상에 포개 접어져 에어백 커버 (16)내에 수납된다. 이 때 에어백 본체 (10a) 뿐만이 아니고 통형상 테더벨트 (11a)도 그 통길이 방향에 주름 상자 형상에 포개 접어진다.
또한 상기 거의 전체 길이를 편 상태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 테더벨트 (11a)의 길이는 상기 표면 부분의 기초원단의 에어백 본체 (10a)의 길이 및 배후 부분의 기초원단의 에어백 본체 (10a)의 길이에 대충 동일하다.
다음에, 상술한 에어백 (10)이 도 6A의 에어백의 연장하는 방향(도중 윗쪽)으로 거의 전체 길이를 편 상태로부터 상하에 압축하도록 주름 상자 형상에 포개 접는 에어백 포개 접는 장치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상기 에어백 (10)을 포개 접는데는 본 실시 형태의 에어백 포개 접는 장치 (60)을 이용해 실시한다.
도 7A 내지 7G는 본 실시 형태의 에어백 포개 접는 장치를 이용해 에어백의 제1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포개 접는 순서를 나타내는 도이고, 그 도를 이용해 에어백의 포개 접는 조작 순서를 설명한다.
상기 에어백 포개 접는 장치 (60)은 도 7A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통형상 테더벨트 (11a)를 지지하는 원기둥 형상의 지지구 (62) 및 그것과 동축으로 또한 외측에 에어백 (10)을 수납하는 외통실린더 (63)을 가지는 작업대 (61)과 상기 지지구 (62)의 수직 윗쪽 위치에 상기 지지구 (62)와 동일한 외지름을 갖고 테더벨트 (11a)의 상단을 지지구 (62)와의 사이에 끼우는 원기둥 형상의 협지구 (64;도 7C참조)를 지지하는 지지부(도시하지 않음)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지지구 (62)의 외지름은 쿠션 링 (22)의 인플레이터 삽입 구멍 (22h)의 지름보다 작기 때문에, 후술 하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구 (62)가 상기 삽입구멍 (22h)를 삽입 통과해 도시하지 않는 구동 기구에 의해 상승할 수가 있다.
에어백 (10)은 에어백 본체 (10a)의 상기 인플레이터 장착 입구 (10ah)의 주변부 (10d;도 6A참조)에 형성된 4개의 소구멍 (10b)에, 도 7A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쿠션 링 (22)의 볼트 (22d)가 삽입 통과된다. 그 볼트 (22d)를 상기 작업대 (61)의 지지구 (62)의 외주위 상단면에 설치된 4개의 구멍에 맞추어 고정한다. 지지구 (62)의 머리부가 상기 삽입구멍 (22h)를 삽입 통과해 상승해 통형상 테더벨트 (11a)의 통안에 삽입되고, 또한 상승한 지지구 (62)의 바깥쪽에는 에어백 본체 (10a)가 평평한 상태로 작업대 (61)상에 놓여진다.
도 7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도 7A에 나타낸 지지구 (62)의 머리부가 쿠션 링 (22)의 삽입 구멍 (22h)를 삽입 통과해 통형상 테더벨트 (11a)의 통안에 삽입된 상태로부터, 또한 통형상 테더벨트 (11a)의 하단(도 6A의 통형상 테더벨트 장착구멍 (11ah)를 가지는 부분)을 밀어 올리면 에어백 본체 (10a)도 추종해 밀어 올릴 수 있다.
상기 통형상 테더벨트 (11a)의 길이는 에어백 본체 (10a)의 길이가 대략 절반에 동일하므로 지지구 (62)는 작업대 (61)로부터 상기 통형상 테더벨트 (11a)의 길이가 최대한 약 3배의 높이의 위치까지 상승해 그 위치에서 정지하고 상기 지지구 (62)의 선단부에 있는 볼록부에 상기 통형상 테더벨트 장착구멍 (11ah)를 수작업으로 삽입 통과해, 통형상 테더벨트 (11a)를 위치 결정 한다.
도 7C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협지구 (64)가 도시하지 않는 구동장치에 의해 하강해 상기 위치 맞춤된 통형상 테더벨트 (11a)를 상기 지지구 (62) 및 협지구 (64)로 끼워 지지한다. 다음에, 도 7D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지지구 (62) 및 협지구 (64)가 통형상 테더벨트 (11a)의 절반의 길이가 위치까지 하강한 시점에서 동작을 정지하고 도 7D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수작업으로 통형상 테더벨트 (11a)의 주위에서 에어백 본체 (10a)를 윗쪽에 당겨 끌어 올려 타단부를 도시하지 않고 이것에 의해 통형상 테더벨트 (11a) 그 대략 중간의 위치에서 2번 꺾어진다.
도 7E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작업대 (61)으로부터 외통실린더 (63)이 전술의 통형상 테더벨트 (11a)의 상단의 끼워 지지하는 위치까지 도시하지 않는 구동장치에 의해 상승하고 에어백 (10)을 외통실린더 (63)과 지지구 (62)의 사이에 수납한다. 도 7F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그 위치에서 외통실린더 (63)의 좌우 방향으로부터 좌우 대칭으로 반원형의 구멍을 가지는 한 쌍의 플레이트 (65)가 외통실린더 (63)의 상단을 좌우 방향으로부터 도시하지 않는 구동장치에 의해 미끄러져 이동하여 협지구 (64)의 하단부에 설치된 끼워 맞춤 홈(도시하지 않음)에 끼워 맞춘다.
도 7G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이 상태로 지지구 (62), 협지구 (64) 및 외통실린더 (63)을 동시에 하강함으로써, 포개 접어진 통형상 테더벨트 (11a)는 자신이 겹친 상태로 에어백 본체 (10a)와 함께 압축되면서 주름 상자 형상에 포개 접어진다. 이와 같이 에어백 (10)의 압축이 종료하면(도 7 H참조) 상기 플레이트 (65)를 제거한 후에 지지구 (62), 협지구 (64) 및 외통실린더 (63)을 동시에 원래의 위치에 되돌려 도너츠형 에어백 (10)의 포개 접는 작업을 종료한다.
도 8A 내지 8G는, 제1의 실시 형태의 것과 동일한 포개 접는 장치를 이용해 실시하는 에어백의 제2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포개 접는 순서를 나타내는 도이 다. 에어백 (10)의 제2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포개 접는 순서 가운데, 도 8A~8C에 나타내는 순서까지는 제1의 실시 형태의 도 7A~도 7C에 나타내는 포개 접는 순서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 한다.
제2의 실시 형태에서는, 도 8C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협지구 (64)를 하강해, 상기 위치 맞춤된 통형상 테더벨트 (11a)를 지지구 (62) 및 협지구 (64)로 끼워 지지한 상태로, 도 8D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통형상 테더벨트 (11a)의 회전으로 에어백 본체 (1Oa; 보다 정확하게는, 에어백 본체 (10a)와 통형상 테더벨트 (11a)의 접합부의 근방)를 끌어올려 통형상 테더벨트 (11a)를 2번 꺾어 그 선단을 클램프 (K), 예를 들면 원기둥 형상의 협지구 (64)에 바깥에서 끼운 하단에 플랜지 (F1)을 구비한 중공 원기둥 (K1)와 중공 원기둥 (K1)에 바깥쪽 주머니 한 플랜지 (F2) 부착 환형상체 (K2)로 이루어지는 클램프 (K)의 상기 플랜지 (F1,F2)사이에 끼워 지지한다. 이어서 도 8E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클램프 (K)를 끌어올리는 것과 동시에 에어백 본체 (10a)를 끼워 지지한 채로 지지구 (62) 및 협지구 (64)를 하강시켜, 클램프 (K)와 지지구 (62) 및 협지구 (64)로 통형상 테더벨트 (11a)를 당겨 텐션을 작용시킨다.
이어서 도 8F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외통실린더 (63)을 작업대 (61)으로부터 전술의 통형상 테더벨트 (11a)의 상단의 끼워 지지하는 위치, 즉 클램프 (K)의 위치까지 상승시킴과 동시에 에어백 본체 (10a)를 끼워 지지한 상태로 지지구 (62) 및 협지구 (64)를 상승시켜 통형상 테더벨트 (11a)를 포개 접는다.
통형상 테더벨트 (11a)를 포개 접은 상태로, 도 8G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지 지구 (62), 협지구 (64) 및 외통실린더 (63)을 동시에 하강시킨다. 이것에 의해 에어백 본체 (10a)는 압축되면서 주름 상자 형상에 포개 접어진다. 협지구 (64) 및 외통실린더 (63)이 하강을 종료한 후, 즉, 에어백 본체 (10a)가 완전하게 포개 접어진 후, 클램프 (K)를 분리한다. 그 후 지지구 (62), 협지구 (64) 및 외통실린더 (63)을 원래의 위치에 되돌려, 포개 접은 도너츠형 에어백 (10)이 구해진다.
이와 같이 작게 접으면 통형상 테더 (11a)는 제1의 실시 형태와 같이 중간으로 접어 구부려 2중으로 한 상태로 포개 접는 경우에 비교해 포개 접음이 쉬워서 따라서 팽창시에 있어서의 전개도 보다 순조롭다.
또한 에어백 (10)의 전체 길이를 편 상태에 있어서, 통형상 테더벨트 (11a)의 길이를 에어백 본체 (10a)의 길이가 대략 절반 동일한 것으로 해, 에어백 (10)의 길이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 길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지지구 (62)의 정지하는 위치, 지지구 (62) 및 협지구 (64)가 하강해 정지하는 위치는, 에어백 본체 (10a)의 길이에 따라 그 위치가 결정되는 것이다.
도 9A는 유지 부재 (14)의 도너츠형 에어백 (10)을 덮기 전의 전개도이다. 상기 유지 부재 (14)는 직포제로 대략 정방형의 형상이고, 그 중앙에는 원형의 장착 볼트 삽입 구멍 (14hh)가 설치되고 대략 정방형의 4변의 중심과 대각선상의 단 변에 상기 쿠션 링 (22)의 볼트 (22d)에 맞추는 8개의 구멍 (14ah, 14bh)가 설치되고 있다. 유지 부재 (14)의 상기 장착 볼트 삽입 구멍 (14hh)는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유지 부재 (14)로 덮인 도너츠형 에어백 (10)을 에어백 커버 (16)에 수납할 때에, 도 2에 나타낸 장착 볼트 (40a)에 삽입 통과하기 위한 구멍이다. 부호 14h는 유지 부재에 설치된 미싱선으로 이루어지는 대략 원형의 파단 예정부이고, 에어백의 전개 초기시에 파단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고 그 크기는 에어백 커버 (16)의 오목부 (16a) 및 장식용 부재 (40)의 직경이 통과 가능한 크기를 가지고 있다.
도 9B는 도너츠형 에어백 (10)을 덮기 전의 유지 부재 (14)와 기술한 에어백 포개 접는 장치 (60)으로 포개 접어진 도너츠형 에어백 (10)의 이면측의 사시도이다. 포개 접어진 도너츠형 에어백 (10)으로부터 돌출하는 쿠션 링 (22)의 볼트 (22d)에 상기 도너츠형 에어백 (10)의 4개의 작은 구멍 (14ah)를 맞춘다. 그 후에 대각선상에 위치하는 구멍 (14bh)를 대향하는 2개소의 볼트 (22d)에 모두 맞춘다.
도 9C는 포개 접어진 도너츠형 에어백 (10)을 유지 부재 (14)로 덮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너츠형 에어백 (10)을 유지 부재 (14)로 덮을 때에는, 도 6A에 나타낸 상기 통형상 테더벨트 장착 구멍 (11ah)가 유지 부재 (14)의 장착 볼트 삽입 구멍 (14hh)와 겹치도록 해 도너츠형 에어백 (10)을 덮는다.
도 9D는 도 9C의 유지 부재 (14)로 가린 도너츠형 에어백 (10)의 이면도이다. 보호 부재 (12)는 포개 접어진 도너츠형 에어백 (10)의 내부에 주름 상자 형상에 들어가 있으므로, 이들을 일단 꺼내 도 9D(혹은 도 2)와 같이 포개 접어진 도너츠형 에어백 (10)의 내주위를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배치함으로써, 보호 부재 (12)는 가스 정류 부재로서의 기능을 발휘한다. 이하, 보호 부재 (12)의 상기 일단 꺼내 도 9D(혹은 도 2)와 같이 포개 접어진 도너츠형 에어백 (10)의 내주위를 따르도록 배치한 부분을 가스 정류 부재 (12')라고 부른다. 그리고, 상기 유지 부재 (14)로 덮음으로써 상기 삽입구멍 (14hh)와 겹쳐진 상기 통형상 테더벨트 장착구멍 (11ah)가 인플레이터 장착 입구 (10ah)의 대략 중심, 바꾸어 말하면 에어백의 전개 초기에 팽창하는 부분의 근방까지 형성된 가스 정류 부재 (12')의 대략 중앙에 배치된다. 기술한 상기 인플레이터 장착 입구 (10ah)에 장착된 가스 정류 부재 (12')는 도 9D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포개 접어져 유지 부재 (14)로 유지된 상태에서는 표면이 겹겹이 포개 접어진 벽 (12a)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유지 부재 (14)로 유지된 도너츠형 에어백 (10)이 에어백 커버 (16)에 수납된 상태에서는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기 가스 정류 부재 (12')는 도너츠형 에어백 (10)의 인플레이터 장착 입구 (10ah)를 끼우는 쿠션 링 (22)로부터 에어백의 전개 초기에 팽창하는 부분인 포개 접어진 통형상 테더벨트 (11a)의 선단의 근방까지 도너츠형 에어백 (10)의 내벽을 따르도록 표면측 방향으로 늘어나고 있다. 이 상태의 상기 가스 정류 부재 (12')의 형상은 통 형상이다. 이 가스 정류 부재 (12')는, 이와 같이 겹겹이 포개 접어진 벽 (12a)가 표면에 형성되고 있으므로 도너츠형 에어백 (10)의 인플레이터 장착 입구 (10ah)의 주변의 열이나 가스압의 충격을 보호하는 보호 부재로서 큰 효과를 갖고 또한 그 형상이 통형상이므로 가스를 정류하는 정류 부재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도너츠형 에어백 (10)의 이면측으로부터는 포개 접을 때에 삽입해 둔 쿠션 링 (22)의 볼트 (22d)가 인플레이터 장착부 주변으로부터 돌출한 상태로 되어 있다. 상기한 구조의 유지 부재 (14)에 의해 도너츠형 에어백 (10)을 덮는 것으로, 도너츠형 에어백 (10)의 외주위 측면이 눌러지므로, 도너츠형 에어백 (10)의 전개 초기에 인플레이터 로부터 발생하는 가스에 의한 도너츠형 에어백 (10) 측면방향의 팽창 전개를 억제할 수가 있다.
도 10은 상기 인플레이터 장착 입구 (10ah)의 주변부 (10d)를 보호하는 주변 보호 부재 (70)의 전개도이다. 주변 보호 부재 (70)은 직포제로 그 표면에는 실리콘 고무가 코팅되고 있다. 상기 주변 보호 부재 (70)은 대략 원형의 형상이고, 그 중앙에는 인플레이터 (30)을 삽입하는 삽입구멍 (70ah)가 설치되어 그 바깥쪽 원주위상에 상기 볼트를 삽입 통과하는 4개의 구멍 (70b)가 형성되고 있다. 주변 보호 부재 (70)은 쿠션링 (22)의 이면측으로부터 연결 부재 (20)을 끼워 넣고 양쪽 부재 (20, 22)로 끼워 지지하여 고정될 때에 인플레이터 장착 입구 (10ah)의 주변부 (10d)가 상기 연결 부재 (20)의 엣지에 의해 손상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도 9B로 나타낸, 도너츠형 에어백 (10)을 유지 부재 (20)으로 덮는 순서에서는, 상기 주변 보호 부재 (70)을 생략해 설명했지만, 상기 4변의 중앙에 있는 볼트 (22d)에 맞추는 유지 부재 (14)의 구멍 (14ah)를 상기 볼트 (22d)에 맞추기 전에, 상기 볼트 (22d)에 상기 주변 보호 부재 (70)의 구멍 (70b)를 삽입 통과해 재치한 후에, 도너츠형 에어백 (10)을 유지 부재 (20)으로 덮는다.
보호 부재 (12)의 재질이 에어백 (10)과 동일하게 직포제인 경우에는, 기술한 것처럼 인플레이터 장착 입구 (10ah)의 주변부 (10d)에 소정의 폭의 원단을 겹쳐 봉합한 보강부재 (12)를 원통형에 배치하면 좋다. 보호 부재 (12)의 길이는 에어백 (10)의 전개 초기에 팽창하는 부분의 근방에 닿는 길이가 필요하고, 예를 들면 포개 접어진 통형상 테더벨트 (11a)의 선단에 닿는 길이가 바람직하다.
보호 부재 (12)의 재질이 에어백 (10)의 재질과 다른 재료, 예를 들면 합성 수지제 시트도 좋고 가스를 정류하는 기능을 발휘할 수 있고 유연성이 있는 재질의 것이면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에어백 (10)과 합성 수지제 시트를 적절한 수단으로 고착하면 좋다. 보호 부재 (12)를 도너츠형 에어백 (10)에 고착하지 않고 별체의 것으로 해 실시할 수도 있다. 별체의 경우, 합성 수지제 시트로 한정되지 않고 금속제의 것이라도 좋다. 그 경우에도 인플레이터의 가스가 에어백의 전개 초기에 팽창하는 부분에만 가스가 흐르도록 정류하면 좋다. 그리고, 상기 쿠션 링 (22)의 볼트 (22d)에 일체적으로 체결해도 좋고 완전하게 별체로서 장착하여도 괜찮다. 또 베이스 플레이트 (24)에 용접이나 깊이 돌려 형성해도 좋다.
그 후의 에어백 장치 (M1)의 조립 작업은 상술한 작업과 같다. 기술한 것처럼 보호 부재 (12)의 길이는, 에어백의 전개 초기에 팽창하는 부분의 근방에 닿는 길이가 필요하고, 바람직하게는 포개 접어진 통형상 테더벨트 (11a)의 선단에 닿는 길이가 필요하다.
도 11A는 에어백 커버 (16)의 사시도이다. 에어백 커버 (16)은 도시와 같이 합성 수지에 의해 대략 완장 형상으로 형성되고 있어 그 중앙부분에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장식용 부재 (40)을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 (16a)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에어백 커버 (16)은 장착 부품 (24a)를 개재시켜 베이스 플레이트 (24)에 리벳으로 고정된다. 또한 에어백 커버 (16)의 오목부 (16a)에 장식용 부재 (40)을 장착한 상태에서는,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그 장식용 부재 (40)의 표면은, 에어백 커버 (16)의 표면과 대략 면일정한 상태가 된다.
도 11B는, 에어백커버의 이면도이다. 도시와 같이 에어백 커버 (16)의 이면에는 도너츠형 에어백 (10)의 팽창 전개에 즈음하여, 연결 부재 (20)에 의해 고정된 중앙의 오목부(16a)를 남겨 파열 가능한 홈 형상의 티아라인(L1~L4, Lc)이 형성되고 있다. 즉, 에어백 커버 (16)의 이면에는 에어백의 팽창 압력을 받으면 오목부 (16a)를 남겨 복수개의 커버 부품 (16b)에 분할할 수 있도록 오목부 (16a)의 주위에 원형의 티아라인 (Lc), 및 이 티아라인 (Lc)로부터 방사 형상에 늘어난 복수, 예를 들면 4개의 티아라인 (L1~L4)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티아라인이 설치되고 있다. 또, 에어백 커버 (16)은 도너츠형 에어백 (10)의 팽창시에 각 커버 부품 (16b)에 분할되어 한편, 각각이 독립으로 개방할 수 있도록 리벳으로 고정되고 있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인플레이터 (30)이 작동해 도너츠형 에어백 (10)이 가스압에 의해 팽창 전개하면 그 힘으로 에어백 커버 (16)이 장식용 부재 (40) 주위의 티아라인 (L)부분에서 눌러 나누어져 나누어진 커버 부품이 완장 형상의 중앙의 오목부 (16a)를 남겨 각각 외측에 열려, 전술한 바와 같이 완전하게 분리되어 각각이 독립하여 개방한다.
도 12는, 개방한 상태의 각 커버 부품 (16b)를 표면측(승차원측) 에서 본 도이다. 도시와 같이, 에어백 커버 (16)은 도너츠형 에어백 (10)의 전개시에 각 커버 부품 (16b)에 분할되는 것으로 도너츠형 에어백 (10)이 유지 부재 (14)의 파단 예정부 (14h)를 통과한 후는 측면 방향에의 전개를 저해하지 않게 되어 있다. 또한 간이화를 위하여 에어백 등을 도시하고 있지 않다.
여기서, 에어백 장치 (M1)의 조립 순서에 대해서 도 3 내지 5, 도 9 및 11 을 참조해 설명한다.
조립시에는, 에어백커버 (16)에 미리 쿠션링 (22)가 그 내부에 수납되고 유지 부재 (14)로 포장된 도너츠형 에어백 (10)을 에어백 커버 (16)의 구멍 (16ah)와 도너츠형 에어백 (10)의 통형상 테더벨트 장착구멍 (11ah)의 위치를 맞추어 수납한다. 그리고, 연결 부재 (20)을 그 중앙부의 구멍 (20ah)와 상기 통형상 테더벨트 장착구멍 (11ah)의 위치가 일치하도록 도너츠형 에어백 (10)안에 삽입함과 동시에, 도 9D로 나타낸 도너츠형 에어백 (10)안에 삽입된 쿠션 링 (22)의 오목 형상부 (22c)로부터 돌출하고 있는 볼트 (22d)에 연결 부재 (20)의 구멍 (20e)를 삽입해 장착 발 (20c)를 상기 오목 형상부 (22c)에 끼워 넣는다.
그리고, 표면측으로부터 장식용 부재 (40)의 장착 볼트 (40a)를 에어백 커버 (16)의 오목부(16a)의 구멍 (16ah)에 삽입 통과해 그 구멍 (16ah)의 위치에 맞추어 배치되고 있는 상기 에어백 커버 (16)의 구멍 (16ah), 도너츠형 에어백 (10)의 통형상 테더벨트 장착구멍 (11ah) 및 연결 부재 (20)의 중앙부의 구멍 (20ah)의 각 구멍에 상기 장착 볼트 (40a)를 삽입 통과한다. 상기 장착 볼트 (40a)에 너트를 나합시킴으로써, 상기 장착 볼트 삽입 구멍 (14hh) 및 통형상 테더벨트 장착 구멍 (11ah)가 에어백커버 (16)의 오목부(16a)와 연결 부재 (20)의 중앙부 (20a)의 사이에 끼워 지지되어 고정된다.
다음에, 쿠션 링 (22)의 볼트 (22d)에 베이스 플레이트 (24)의 구멍 (24c)를 삽입 통과해 양쪽 부재 22 및 24를 겹쳐 베이스 플레이트 (24)를 에어백커버 (16)에 끼워 맞추고, 또한 볼트 (22d)에 인플레이터 (30)을 끼워 넣어 볼트 (22d)에 너 트를 나합시킨다. 이것에 의해 상기 인플레이터 장착 입구 (10ah) 및 보호 부재 (12)가 쿠션링 (22)와 연결 부재 (20)의 사이에 끼워 지지되어 고착된다. 이것에 의해 도 2에 나타내는 에어백 장치 (M1)의 조립이 완료한다.
상기 에어백 장치 (M1)의 전개 동작에 대해서 도 13A 및 13B를 참조해 설명하는 우선, 차량 충돌시 등에 의한 충격 검지에 의해 인플레이터 (30)이 점화되어 상기 인플레이터 (30)으로 가스가 생성되어 이 가스가 도너츠형 에어백 (10)내에 도입된다. 에어백 커버 (16)은 도너츠형 에어백 (10)이 팽창하기 시작하면 그 힘을 받아, 티아라인 (L1~L4 및 Lc)를 따라, 즉 중앙의 오목부 (16a)를 남겨 갈라지고 각 에어 커버 부품 (16b)는 방사 형상에 확장 개방한다.
에어백 커버 (16)이 갈라진 후, 상기 도너츠형 에어백 (10)이 팽창하기 시작하는 초기 단계에서는 도 13A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도너츠형 에어백 (10)내에 가스가 도입되면 전개 초기에 팽창을 개시하는 도너츠형 에어백 (10)의 기초원단의 중앙부와 통형상 테더벨트 (11a)가 꿰매어 맞추어진 봉제부 (11c)로부터 팽창 전개하면서 상기 통형상 테더벨트 (11a)가 상기 오목부(16a)를 감싸 넣으면서 도너츠형 에어백 (10)의 표면 부분이 표면측(승차원측)에 팽창한다. 이 팽창 시에는 상기 통형상 테더벨트 (11a)가 통 긴 방향에 포개 접어지고 있으므로, 늘어날 시에 거의 저항을 받지 않는다. 상기 봉제부 (11c)가 팽창 전개할 때, 도너츠형 에어백 (10)은 유지 부재 (14)의 파단 예정부 (14h)를 통과해 저항을 받으면서 승차원 측에 전개한다. 따라서, 어느 정도의 내압을 유지한 상태로 팽창하면서 포개 접는 수납 상태가 도중 부분에서 무너지는 경우 없이, 승차원측의 표면 부분으로부터 차례로 승 차원 측에 전개해 가게 된다. 도 13A는 통형상 테더벨트 (11a)가 그 전체 길이를 다 늘린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표면측(승차원측)에 이면 부분의 일부가 팽창 전개하고 있지만, 도너츠형 에어백 (10)의 2매의 대략 원형 형상의 원단의 외주원부 끼리를 봉합한 봉제부 (10c)의 위치가 스티어링 휠 (50)의 근방에 있어, 이면 부분의 다른 부분은 유지 부재 (14)안에 아직 수납되고 있다. 에어백이 어느 정도 팽창한 후는 도 13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기 봉제부 (10c)의 위치가 오른쪽에서 왼쪽 으로 이동해 통형상 테더벨트 (11a)의 중심선 중앙으로 이동해, 편평한 구형상의 형상이 되어 팽창 전개를 완료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에어백의 포개 접는 장치 및 포개 접는 방법이 상기한 구성을 갖추는 것으로, 통형상 테더벨트 (11a) 자신이 무거워진 상태로 에어백 본체 (10a)와 함께 압축되면서 주름 상자 형상에 작게 접을 수가 있으므로, 그 포개 접어진 도너츠형 에어백 (10)은 충격시에 팽창하기 시작하는 초기 단계에서는 통형상 테더벨트 (11a)가 통 긴 길이 방향에 포개 접어지고 있으므로, 늘어날 시에 거의 저항을 받지 않고 본래 전개해야 할 부위로부터 차례로 규칙 바르게 전개해 부분적으로 덩어리가 되어 승차원 측에 튀어나오는 펀칭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에어백의 포개 접는 장치가 상기 에어백 본체 (10a)의 인플레이터 장착 입구 (10ah)의 주변부 (10d)에 형성된 작은 구멍 (10b)에 삽입된 쿠션 링 (22)의 볼트 (22d)를 상기 작업대 (61)의 지지구 (62)의 외주위 상단면에 설치된 구멍에 맞추는 상태로 에어백 (10)을 압축해 도너츠형 에어백 (10)을 작성 하므로 작성된 도너츠형 에어백 (10)으로부터 쿠션링 볼트 (22d)가 돌출된 상태로, 에어백 커버 (16)에 설치할 수가 있으므로 작업 효율이 향상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에어백의 포개 접는 장치에, 에어백 본체 (10a)와 통형상 테더벨트 (11a)를 동시에 긴 방향에 대해서 주름 상자 형상에 포개 접는 작업을 기계적으로 실시할 수가 있어 이것에 의해 도너츠형 에어백 (10)의 생산성 및 경제성을 높일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통형상 테더벨트 자신이 겹친 상태로 에어백 본체와 함께 압축되면서 주름 상자 형상에 작게 접을 수가 있으므로, 그 포개 접어진 도너츠형 에어백은, 충격시에 팽창하기 시작하는 초기 단계에서는 통형상 테더벨트가 통긴 방향에 포개 접어지고 있으므로, 늘어날 시에 거의 저항을 받지 않고 본래 전개해야 할 부위로부터 차례로 규칙 바르게 전개해, 순조롭게 전개한다.
또, 본 발명의 에어백의 포개 접는 장치가 에어백 본체의 인플레이터 장착 입구의 주변부에 형성된 작은 구멍에 삽입된 쿠션 링의 볼트를 작업대의 지지구의 외주위 상단면에 설치된 구멍에 맞추는 상태로 에어백을 압축해 도너츠형 에어백을 작성하므로 작성된 도너츠형 에어백으로부터 쿠션링의 볼트가 돌출된 상태로, 에어백커버에 설치할 수가 있으므로 작업 효율이 향상한다.
또한 본 발명의 에어백의 포개 접는 장치에 의하면, 에어백 본체와 통형상 테더벨트를 동시에 긴 방향에 대해서 주름 상자 형상에 포개 접는 작업을 기계적으로 실시할 수가 있어 이것에 의해 도너츠형 에어백의 생산성 및 경제성을 높일 수 가 있다.

Claims (5)

  1. 표면측 기초원단 및 이면측 기초원단에 의해 주머니 형상에 형성된 에어백 본체와, 상기 표면측 기초원단의 중앙 위치로부터 주머니 형상 내부 통 형상 테더벨트로 이루어지는 에어백을 긴 방향에 주름 상자 형상에 포개 접는 에어백 포개 접는 장치로서,
    상기 통형상 테더벨트에 삽입되고 또한 상하에 이동 자유로운 원기둥 형상의 지지구와, 상기 지지구의 외측에 동축 형상으로 또한 상하에 이동 자유롭게 배치되고 상기 에어백 본체를 수납 가능한 외통실린더와, 상기 지지구 및 외통실린더를 구비한 작업대와 상기 지지구의 수직 윗쪽의 위치에 상기 통형상 테더벨트를 상기 지지구로 끼워 지지하는 상하에 이동 자유로운 원기둥 형상의 협지구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구, 상기 협지구 및 외통실린더를 상하에 이동시키는 것으로 상기 통형상 테더벨트 및 에어백 본체를 포개 접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포개 접는 장치.
  2. 청구항 1에 기재의 에어백 포개 접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의 외지름이 에어백 장착용 쿠션링의 인플레이터 삽입 구멍의 지름보다 작고, 또한 상기 에어백 본체의 인플레이터 장착 입구의 주변부에 형성된 작은 구멍에 삽입된 쿠션 링의 볼트를 상기 작업대의 지지구의 외주위 상단면에 설치된 구멍에 맞추는 것으로 에어백 본체를 작업대에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포개 접는 장치.
  3. 청구항 2에 기재의 에어백 포개 접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의 선단부에 볼록부가 또 상기 통형상 테더벨트에 장착구멍이 설치되고, 상기 볼록부가 장치구멍에 삽입 통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포개 접는 장치.
  4. 표면측 기초원단 및 이면측 기초원단에 의해 주머니 형상에 형성된 에어백 본체와, 표면측 기초원단의 중앙 위치로부터 주머니 형상 내부에 늘어나는 통형상 테더벨트로 이루어지는 에어백을 주름 상자 형상에 포개 접는 에어백의 포개 접는 방법으로서,
    상기 통형상 테더벨트의 선단 부분을 상승시켜 그것에 따라 에어백 본체를 상승시키는 공정과,
    상승시킨 상기 통형상 테더벨트를 그 전체 길이의 대략 절반의 길이에 상당하는 거리만 하강시키는 공정과,
    상기 에어백 본체를 상기 통형상 테더벨트의 주위에서 윗쪽에 당겨 상기 통형상 테더벨트를 전체 길이의 대략 중간 위치에서 되접는 공정과,
    상기 되접은 통형상 테더벨트와 에어백 본체를 윗쪽으로부터 함께 압축해 포개 접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의 포개 접는 방법.
  5. 표면측 기초원단 및 이면측 기초원단에 의해 주머니 형상에 형성된 에어백 본체와 표면측 기초원단의 중앙 위치로부터 주머니 형상 내부에 늘어나는 통 형상 테더벨트로 이루어지는 에어백을 주름 상자 형상에 포개 접는 에어백의 포개 접는 방법으로서,
    상기 통형상 테더벨트의 선단 부분을 상승시켜 그것에 따라 에어백 본체를 상승시키는 공정과,
    상승시킨 상기 통형상 테더벨트를 그 전체 길이의 대략 절반의 길이에 상당하는 거리만 하강시키는 공정과,
    상기 에어백 본체를 상기 통형상 테더벨트의 주위에서 윗쪽에 당겨 상기 통형상 테더벨트를 전체 길이의 대략 중간 위치에서 되접는 공정과,
    상기 되접은 타단부측의 상기 에어백 본체를 위치 고정하는 공정과,
    상기 통형상 테더벨트의 선단 부분을 하강시켜 상기 통형상 테더벨트를 위치 고정된 에어백 본체의 사이에 당기는 공정과,
    상기 통형상 테더벨트 선단을 상승시켜 상기 통형상 테더벨트 포개 접는 공정과,
    에어백 본체를 윗쪽으로부터 압축해 포개 접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의 포개 접는 방법.
KR1020087001142A 2005-07-15 2006-07-10 에어백의 포개 접는 장치 및 포개 접는 방법 KR1013011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06697 2005-07-15
JP2005206697 2005-07-15
PCT/JP2006/313682 WO2007010776A1 (ja) 2005-07-15 2006-07-10 エアバッグの折り畳み装置及び折り畳み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4435A true KR20080034435A (ko) 2008-04-21
KR101301137B1 KR101301137B1 (ko) 2013-09-03

Family

ID=37668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1142A KR101301137B1 (ko) 2005-07-15 2006-07-10 에어백의 포개 접는 장치 및 포개 접는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7749147B2 (ko)
EP (1) EP1908645B1 (ko)
JP (1) JP4953454B2 (ko)
KR (1) KR101301137B1 (ko)
CN (1) CN101218131B (ko)
AU (1) AU2006270980B2 (ko)
WO (1) WO20070107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87816B2 (ja) * 2007-08-13 2013-04-24 芦森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5951232B2 (ja) * 2011-11-15 2016-07-13 芦森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及びエアバッグ装置におけるエアバッグの折り畳み方法
CN102525589B (zh) * 2012-03-27 2014-05-14 明英姿 简易血管撑开吻合器
DE102012010771A1 (de) * 2012-05-31 2013-12-05 Trw Automotive Safety Systems Gmbh Verfahren zum falten eines gassacks für ein insassenrückhaltesystem eines kraftfahrzeugs, gassack und airbagmodul
CN104495492B (zh) * 2014-11-26 2017-01-18 常州昌瑞汽车部品制造有限公司 一种安全气囊折叠装置
CN105236198B (zh) * 2015-09-18 2017-03-29 延锋百利得(上海)汽车安全系统有限公司 一种安全气囊折叠设备
CN106143393A (zh) * 2016-07-13 2016-11-23 芜湖金鹏汽车部件有限公司 安全气囊气袋折叠装置
CN109664858B (zh) * 2018-11-21 2024-04-09 上海东方久乐汽车安全气囊有限公司 一种汽车dab安全气囊折叠装置
CN113978409B (zh) * 2020-12-23 2022-08-19 苏州天准科技股份有限公司 车用安全气囊的收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120205A1 (de) * 1981-05-21 1982-12-09 Hoechst Ag, 6000 Frankfurt Zum gleichzeitigen entfaelteln, glaetten und bremsen einer gerafften schlauchhuelle geeignete vorrichtung sowie anordnung und funktionelle einheit mit dieser vorrichtung
US5480184A (en) * 1994-03-23 1996-01-02 Young; William A. Inflatable occupant restraint device
DE19535565C2 (de) * 1995-09-12 2002-09-05 Takata Petri Ag Verfahren zur Faltung eines Gassackes und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Faltverfahrens
DE19546232B4 (de) * 1995-09-22 2004-05-19 Takata-Petri Ag Vorrichtung zur Faltung eines Gassackes für ein Airbagmodul
US5782737A (en) * 1996-07-29 1998-07-21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Method of folding a vehicle safety airbag
DE19648654A1 (de) * 1996-11-15 1998-05-20 Petri Ag Gassack für ein Airbagmodul sowi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Faltung eines Gassacks
JPH11129847A (ja) 1997-11-04 1999-05-18 Kansei Corp エアバッグ折り畳み装置
JP3451198B2 (ja) * 1998-05-29 2003-09-29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エアバッグの折畳装置
DE29811042U1 (de) * 1998-06-19 1999-02-11 Trw Automotive Safety Sys Gmbh Luftsack-Faltvorrichtung
DE19827725A1 (de) * 1998-06-22 1999-12-23 Delphi Automotive Systems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Falten eines aufblasbaren Luftsacks
DE19831613A1 (de) * 1998-07-14 2000-01-20 Delphi Automotive Systems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Falten eines aufblasbaren Luftsacks
JP3495988B2 (ja) * 1998-09-14 2004-02-09 ブリード オートモティブ テクノロジィ、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エアバッグを折り畳む方法および装置
US6237838B1 (en) * 1999-11-26 2001-05-29 Kenneth A. Bradenbaugh Container for a hot water heater or similar article
DE10065463C2 (de) * 2000-05-19 2003-12-18 Trw Automotive Safety Sys Gmbh Airbagmodul
US6550804B2 (en) * 2001-02-23 2003-04-22 Breed Automotive Technology, Inc. Driver side air bag module with annular air bag
DE10148739B4 (de) * 2001-09-27 2006-05-04 Takata-Petri Ag Ringairbag
DE10203960C1 (de) * 2002-01-25 2003-07-31 Takata Petri Ag Airbagmodul für Kraftfahrfzeuge
JP4031336B2 (ja) * 2002-10-02 2008-01-09 芦森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US7669882B2 (en) * 2006-10-13 2010-03-02 Tk Holdings, Inc. Airbag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1137B1 (ko) 2013-09-03
EP1908645B1 (en) 2011-11-16
JPWO2007010776A1 (ja) 2009-01-29
WO2007010776A1 (ja) 2007-01-25
US7749147B2 (en) 2010-07-06
US8202208B2 (en) 2012-06-19
CN101218131B (zh) 2011-02-02
AU2006270980B2 (en) 2011-09-01
EP1908645A4 (en) 2009-07-22
US20090283997A1 (en) 2009-11-19
US20090033079A1 (en) 2009-02-05
CN101218131A (zh) 2008-07-09
EP1908645A1 (en) 2008-04-09
AU2006270980A1 (en) 2007-01-25
JP4953454B2 (ja) 2012-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1137B1 (ko) 에어백의 포개 접는 장치 및 포개 접는 방법
KR101359432B1 (ko) 에어백 장치
JP5187816B2 (ja) エアバッグ装置
KR101301135B1 (ko) 에어백 장치의 조립 방법 및 에어백 장치
WO2006132280A1 (ja) エアバッグ装置
KR101301136B1 (ko) 에어백 장치
WO2013073451A1 (ja) エアバッグ装置及びエアバッグ装置におけるエアバッグの折り畳み方法
JP4979148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4780756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5158663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2007015542A5 (ko)
JP2003104152A (ja) エアバッグの折畳方法及びエアバッグの折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