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3461A - 알킬렌 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알킬렌 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3461A
KR20080033461A KR1020087004679A KR20087004679A KR20080033461A KR 20080033461 A KR20080033461 A KR 20080033461A KR 1020087004679 A KR1020087004679 A KR 1020087004679A KR 20087004679 A KR20087004679 A KR 20087004679A KR 20080033461 A KR20080033461 A KR 200800334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wn
alkylene
halide
water
m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4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6434B1 (ko
Inventor
유진 마리 가드프리드 앙드레 반 크루크텐
헨드릭 스티크터
요하네스 테오도루스 게르트루다 비젠버그
Original Assignee
셀 인터나쵸나아레 레사아치 마아츠샤피 비이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셀 인터나쵸나아레 레사아치 마아츠샤피 비이부이 filed Critical 셀 인터나쵸나아레 레사아치 마아츠샤피 비이부이
Publication of KR20080033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34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6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64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wo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317/0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wo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having the hetero atoms in positions 1 and 3
    • C07D317/1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wo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having the hetero atoms in positions 1 and 3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17/3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wo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having the hetero atoms in positions 1 and 3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317/34Oxygen atoms
    • C07D317/36Alkylene carbonates; Substituted alkylene 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wo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317/0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wo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having the hetero atoms in positions 1 and 3
    • C07D317/1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wo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having the hetero atoms in positions 1 and 3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17/3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wo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having the hetero atoms in positions 1 and 3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317/34Oxygen atoms
    • C07D317/36Alkylene carbonates; Substituted alkylene carbonates
    • C07D317/38Ethylene carbon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 Catalysts (AREA)

Abstract

알칼리 금속 할라이드와 거대고리 킬레이트화 화합물을 함유하는 촉매 조성물과 물의 존재 하에 수행되는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알킬렌 옥사이드의 촉매적 카르복시화 방법.
알킬렌 카보네이트, 알칼리 금속 할라이드, 거대고리 킬레이트화 화합물, 알킬렌 옥사이드, 이산화탄소

Description

알킬렌 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LKYLENE CARBONATES}
본 발명은 알킬렌 옥사이드의 촉매적 카르복시화에 의해 알킬렌 카보네이트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에틸렌 카보네이트 및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등의 알킬렌 카보네이트는 산업적 공정에서 용매 및 희석제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알킬렌 카보네이트는 화장품 및 약품과 같은 상업 제품용 원료로서 통상 이용된다. 또한, 알킬렌 카보네이트는 알킬렌 옥사이드로부터 알킬렌 글리콜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중간체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알킬렌 카보네이트는 적당한 알킬렌 옥사이드와 이산화탄소의 반응에 의해 상업적으로 생산된다. 당업계에서는 이 반응의 촉매로서, 4차 암모늄 할라이드, 4차 포스포늄 할라이드 및 금속 할라이드 등의 이온성 할라이드가 종종 제안되고 있다.
JP-A-57,106,631에 따르면, 알킬렌 글리콜의 2단계 제법에서 중간체로서 알킬렌 카보네이트이 제조는 알칼리 금속 할라이드의 존재 하에 이산화탄소와 알킬렌 옥사이드의 반응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US-A-4,314,945는 화학식 M+A-[여기서, M은 칼륨이고, A는 요오드이거나, 또는 M은 4차 암모늄 양이온(R1R2R3R4N+)이고 A는 브롬, 염소 또는 요오드이다]로 표시되는 촉매의 존재 하에 이산화탄소와 해당 알킬렌 옥사이드의 반응에 의해 알킬렌 카보네이트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반응은 알칼렌 카보네이트 중에서 수행된다.
US-A-4,786,741은 촉매 조성물과 물의 존재 하에 이산화탄소와 알킬렌 옥사이드의 반응에 관한 것이다. 열거된 촉매 조성물에는 유기 4차 암모늄 할라이드, 유기 4차 포스포늄 할라이드, 유기 설포늄 할라이드 및 유기 안티몬 할라이드가 있다.
JP-A-59,013,741은 에틸렌 카보네이트를 통해 에틸렌 옥사이드로부터 에틸렌 글리콜을 생산하는 방법을 교시한다. 에틸렌 카보네이트를 형성하는 이산화탄소와 에틸렌 옥사이드의 반응은 4차 포스포늄 할라이드에 의해 촉매된다.
4차 포스포늄 할라이드 및 암모늄 할라이드는 알킬렌 옥사이드의 카르복시화에 적당한 반응 조건 하에서 분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것은 산물 스트림에 분해 산물의 오염 및 이에 따른 필요 산물의 순도 감소를 유도할 수 있다. 4차 암모늄 할라이드의 경우에 분해 산물은 악취 화합물이어서, 극소량의 오염 수준(예, ppm 또는 ppb 수준)에서도 악취로 인해 검출될 수 있는 아민을 포함할 수 있다.
알킬렌 옥사이드의 알킬렌 카보네이트로의 카르복시화 반응을 위한 촉매 조성물로서 크라운 에테르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의 폴리에테르와 금속 할라이드의 조합에 관한 여러 가지 예가 종래 기술에 제시되어 있다.
대기 이산화탄소는 1,2-에폭시프로판과의 반응에 의해 프로판-1,2-디올 카보네이트로서 고정되는 것이 문헌[K.Kasuga, N.Kabata, Inorganica Chimica Acta, 257(1997) 277]에 교시되어 있다. 여기서, 요오드화 나트륨과 15-크라운-5의 조합은 이 반응이 클로로포름 또는 디클로로메탄 중에서 수행될 때 프로판-1,2-디올 카보네이트를 최대 수율로 제공하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문헌[G.Rokicki, W.Kuran, B.Pogozelska-Marciniak Monatshefte fur Chemie, 115(1984) 205]에 기술된 실험은 대응하는 카보네이트를 생산하는 이산화탄소와 각종 에폭사이드의 반응에서 촉매로서 칼륨염-상 전이제 시스템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이 실험에서, 반응은 용매의 부재 하에 수행된다.
문헌[W.Huang, S.Wu, et al. Fenzi Cuihua, 12(1998) 447-452]에서는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중에서 이산화탄소와 에틸렌 옥사이드의 반응을 위하여, 사용하기 전에 건조시킨 요오드화 칼륨과 함께 카르복시화 촉매로서, 디-, 트리-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과 디벤조-18-크라운-6의 사용과 금속 철을 함유하는 사이클로에테르의 사용을 비교하고 있다.
JP-A-56,128,778은 알킬렌 카보네이트의 제조에 사용되는 알칼리 금속 할라이드와 크라운 화합물의 조합에 관한 것이다. 이 제조 반응도 역시 용매의 부재 하에 수행된다.
에폭사이드의 폭발 가능성은 잘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러한 화합물이 희석되지 않은 채 사용되는 것은 상업적 규모에서 바람직하지 않을 것이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알칼리 금속 할라이드와 거대고리 킬레이트화 화합물을 포함하는 촉매 조성물 및 물의 존재 하에,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알킬렌 옥사이드의 촉매적 카르복시화 방법을 제공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자들은 이제 놀랍게도, 알칼리 금속 할라이드와 거대고리 킬레이트화 화합물을 함유하는 촉매 조성물이 이산화탄소와 물의 존재 하에서 알킬렌 옥사이드를 대응 알킬렌 카보네이트로 카르복시화하는 반응을, 종래 기술에 교시된 촉매 조성물과 조건을 이용한 알킬렌 옥사이드의 대응하는 알킬렌 카보네이트로의 촉매적 카르복시화에 비해 증가된 활성과 반응 속도로서 촉매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더욱이, 이러한 방법은 유기 용매의 사용과 후속 분리 및 폐기가 불필요하지만, 희석되지 않은 알킬렌 옥사이드로 인한 폭발 위험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출발 물질로서 사용된 알킬렌 옥사이드는 통상적인 정의를 갖는 것으로서, 즉 분자 중에 인접 옥사이드(에폭시) 기를 보유하는 화합물이다.
특히,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알킬렌 옥사이드가 적합하다:
Figure 112008014366585-PCT00001
여기서, R1 내지 R4는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경우에 따라 치환된, 탄소원자 1 내지 6개의 알킬 기를 나타낸다. R1, R2, R3 및/또는 R4로 표시되는 임의의 알킬 기는 탄소원자 1 내지 3개를 보유한다. 치환체로서, 하이드록시 기와 같은 불활성 부(moiety)가 존재할 수 있다. R1, R2 및 R3은 수소 원자를 나타내고, R4는 치환되지 않은 C1 내지 C3 알킬 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R1, R2, R3 및 R4 모두가 수소 원자를 나타내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따라서, 적당한 알킬렌 옥사이드의 예에는 에틸렌 옥사이드, 프로필렌 옥사이드, 1,2-에폭시부탄 및 2,3-에폭시부탄이 있다. 본 발명에서 가장 바람직한 알킬렌 옥사이드는 에틸렌 옥사이드이다.
알킬렌 옥사이드의 제법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에틸렌 옥사이드인 경우에는, 공지된 에틸렌의 직접 산화, 즉 은계 촉매와 종종 유기 조정자, 예컨대 유기 할라이드를 이용한 공기 또는 산소 산화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예컨대, Kirk Othmer's Encyclopedia of Chemical Technology, 4th edition, Vol.9, pages 923-940).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알킬렌 카보네이트란 용어는 하기 화학식 II 로 표시되는 5원 알킬렌 카보네이트(1,3-디옥솔란-2-온)를 의미한다:
Figure 112008014366585-PCT00002
여기서, R1 내지 R4는 모 알킬렌 옥사이드의 R1 내지 R4에 대응한다. 따라서, 적당한 알킬렌 카보네이트에는 에틸렌 카보네이트,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1,2-부틸렌 카보네이트 및 2,3-부틸렌 카보네이트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화학식 II로 표시되는 가장 바람직한 알킬렌 카보네이트는 에틸렌 카보네이트이고, 여기서 R1, R2, R3 및 R4는 모두 수소 원자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알칼리 금속 할라이드는 주기율표(IUPAC Nomenclature of Inorganic Chemistry, Recommendations 1990. Blackwell Scientific Publications, 1990. Edited by G J Leigh)의 1족 중에서 선택되는 금속의 할라이드를 의미한다. 1족 금속은 나트륨, 칼륨, 리튬 및 세슘 중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족 금속은 칼륨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할라이드는 요오드, 염소 및 브롬 중에서 선택되는 것이 적당하다. 할라이드는 요오드인 것이 가장 적당하다.
거대고리 킬레이트화 화합물은 공지되어 있다[예컨대, J March in Advanced Organic Chemistry; Reactions, Mechanisms and Structures, 4th Edition 1992, pp 82-87 and 363-364]. 이 화합물은 중성 분자와 착물을 형성할 수도 있지만, 양이온(+)과 착물을 형성하는 성질을 갖고 있다. 이 화합물은 산소, 질소 또는 황과 같은 헤테로원자를 복수 개 함유하는 보통 유기 고리 구조를 보유한다. 이 화합물은 일고리(monocyclic), 이고리(bicyclic) 또는 그 이상의 고리 화합물일 수 있다. 이러한 착물에서 양이온의 결합은 헤테로원자와 양이온 사이에 이온-쌍극자 인력의 결과이다. 즉, 분자 중에 헤테로원자의 수는 결합 강도를 결정하고, 캐비티(cavity)의 크기와 형상은 결합될 수 있는 이온(또는 중성 분자)을 결정한다. 거대고리는 호스트(host)로 불리고 이온은 게스트(guest)이다. 그 형상과 크기 덕분에 호스트 분자가 게스트에 결합하는 역량은 종종 매우 특이적이어서, 혼합물 중에서 하나의 양이온이나 분자만을 끌어당길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이용될 수 있는 거대고리 킬레이트화 화합물은 임의의 거대고리 킬레이트화 화합물이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가장 잘 알려진 킬레이트화 화합물은 헤테로원자가 모두 또는 대부분 산소인 것, 구체적으로 고리 구조가 2차원(일고리)인 크라운 에테르 및 고리 구조가 3차원(이고리, 삼고리 등)인 크립탄드(cryptand) 등이다. 거대고리의 캐비티가 구형일 때에는 그 분자는 스피란드(spherand)라 불린다. 다른 더 이종인 형태에는 칼릭사렌(calixarene), 크립토판(cryptophane), 헤미스피란드(hemispherand) 및 폰단드(pondand)가 있다.
크라운 에테르는 통상 고리 내의 총 원자수와 헤테로원자 수 및 존재하는 경 우의 치환체로 표시된다. 그 예에는 12-크라운-4(III), 15-크라운-5(IV) 및 디사이클로헥사노-18-크라운-6(V)이 있다.
Figure 112008014366585-PCT00003
Figure 112008014366585-PCT00004
Figure 112008014366585-PCT00005
본 발명에서, 거대고리 킬레이트화 화합물은 크라운 에테르 및 크립탄드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거대고리 킬레이트화 화합물은 18-크라운-6, 디벤조-18-크라운-6, 15-크라운-5, 12-크라운-4, 벤조-15-크라운-5 또는 21-크라운-7 중에서 선택되는 크라운 에테르이다. 더욱 더 바 람직하게는, 크라운 에테르는 18-크라운-6 또는 디벤조-18-크라운-6이다.
거대고리 킬레이트화 화합물 및 할라이드는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기 전에 혼합하여 착물을 형성하거나, 거대고리 킬레이트화 화합물과 요오드를 반응 혼합물에 각각 첨가할 수도 있다.
반응기에 공급되는 이산화탄소의 총 함량은 알킬렌 옥사이드 1mol당 0.5mol 이상, 바람직하게는 1mol 이상의 함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기에 공급되는 이산화탄소의 총 함량은 최대 100mol/mol(알킬렌 옥사이드)인 것이 바람직하고, 최대 10mol/mol(알킬렌 옥사이드) 함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물의 존재 하에 수행되는 반응은 물의 실질적인 부재 하에 수행되는 동일 반응에 비해 반응 속도 및 반응에서의 촉매 활성을 증가시키기에 충분한 물의 함량 중에서 수행되는 반응을 의미한다. 존재하는 물의 함량은 보통 반응 혼합물에 존재하는 알킬렌 옥사이드 1mol당 0.05mol 이상, 바람직하게는 0.1mol 이상이다. 존재하는 물의 함량은 0.2mol/mol(알킬렌 옥사이드) 이상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존재하는 물의 함량은 10mol/mol(알킬렌 옥사이드)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5mol/mol(알킬렌 옥사이드) 미만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알킬렌 옥사이드 1mol당 2mol 이하로 존재하는 물의 함량이 가장 바람직하다. 알킬렌 옥사이드 1mol당 0.5 내지 2mol 범위의 물의 함량을 사용할 때 매우 양호한 결과가 수득되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은 알킬렌 옥사이드의 화학량론적 함량에 가까운 물의 함량, 예컨대 알킬렌 옥사이드 1mol당 1mol 내지 1.3mol 범위의 물의 함량이 본 발명의 방법에 특히 적당하다는 점이다. 이러한 함량의 물의 사용은 우수한 활성 및 반응 속도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필요한 경우에 과량의 물을 반응 산물로부터 제거하는데 필요한 에너지의 양을 감소시킨다. 또는, 산물인 알킬렌 카보네이트가 이어서 대응하는 알킬렌 글리콜로 전환된다면, 반응 혼합물에 이미 적당한 양의 물이 존재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반응 혼합물에 존재하는 물은 알킬렌 옥사이드와 별도로 반응 혼합물에 첨가될 수 있다. 또는, 알킬렌 옥사이드와 물은 반응기에 공급하기 전에 사전혼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알킬렌 옥사이드 반응기 유래의 알킬렌 옥사이드 산물 혼합물은 추가 처리 단계 없이 사용되거나 또는 스트리퍼(stripper)에서 약간 농축시킨 후 사용되기도 한다. 직접 산화 에틸렌 옥사이드 반응기 유래의 산물 스트림에 물을 흡수시켜 제조한 에틸렌 옥사이드/물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 방법은 본 발명의 방법 이전에 알킬렌 옥사이드를 분리하는데 소비된 에너지를 감소시킨다는 추가 장점이 있다.
반응 혼합물에 존재하는 거대고리 킬레이트화 화합물 대 할라이드의 몰비는 0.25:1 이상인 것이 적당하고, 거대고리 킬레이트화 화합물 대 할라이드의 몰비는 0.5:1 이상인 것이 더욱 적당하며, 거대고리 킬레이트화 화합물 대 할라이드의 몰비는 0.75:1 이상인 것이 가장 적당하다. 거대고리 킬레이트화 화합물 대 할라이드의 몰비는 10:1 이하인 것이 적당하고, 거대고리 킬레이트화 화합물 대 할라이드의 몰비는 5:1 이하인 것이 더욱 적당하다.
할라이드는 알킬렌 옥사이드 1mol당 0.0001 내지 0.5mol 범위의 함량으로 존 재하는 것이 적당하다. 특히, 할라이드는 알킬렌 옥사이드 1mol당 0.001 내지 0.1mol 범위의 함량으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법은 카르복시화 방법에 적당한 임의의 반응 시스템에서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1 이상의 버블 컬럼을 함유하는 반응 시스템이 적당하다.
본 발명의 방법은 회분식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특히 대규모 양태인 경우에는 연속식으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는, 알킬렌 옥사이드의 촉매적 카르복시화에 적당한 반응 온도는 일반적으로 40 내지 200℃ 범위이고, 50 내지 120℃ 범위의 온도가 바람직하다.
반응 압력은 보통 100 내지 5000kPa 범위 중에서 선택되고, 200 내지 3000kPa 범위가 바람직하며, 500 내지 2000kPa 범위가 가장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증하는 것이다. 실시예 1 내지 6은 비교예이고 실시예 7 내지 22는 본 발명이다.
본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절차에 따라 250ml 또는 125ml Medimex 오토클레이브에서 수행했다.
일반 반응 조건: 실시예 1 내지 5, 7 내지 9 및 13 내지 22
반응기에 물과 알칼리 금속 할라이드 촉매를 주입하고, 실시예 5, 7 내지 9 및 13 내지 22에는 크라운 에테르 또는 PEG를 0.12mol/l 농도의 할라이드 이온을 제공하는데 필요한 비율로 첨가했다. 그 다음, 반응기를 CO2로 퍼징(purging)하고, 약 5bar(500kPa)의 CO2 대기로 가압시켰다. 그 다음, 반응기 함유물을 80℃까지 가열하고, 다시 반응기를 20bar(2,000kPa)까지 가압시켰다. 그 다음, 반응기에 에틸렌 옥사이드를 6.3g/min의 속도로, 실시예 1 내지 5, 7 내지 9, 13 및 15 내지 22에서는 1.8mol/mol의 물/EO 비에 도달할 때까지, 또는 실시예 10, 11, 12 및 14의 경우에는 특정 물/EO 비(표 3 참조)에 도달할 때까지 펌프주입했다. 이러한 조건은 에틸렌 옥사이드 1mol당 0.0118mol의 할라이드 농도를 제공한다. 반응기 함유물을 상기 온도와 압력 하에(CO2를 연속 공급하여) 유지시키고, 일정한 시간 간격마다 시료를 취하여 기액 크로마토그래피(GPC)로 분석했다.
반응 조건: 실시예 6 및 10 내지 12
반응기에 프로필렌 카보네이트(실시예 6) 또는 표 3에 구체적으로 나타낸 함량의 프로필렌 카보네이트/물 혼합물(실시예 10 내지 12)을 주입하고, 알칼리 금속 할라이드 촉매와 크라운 에테르를 0.12mol/l의 할라이드 이온 농도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비로 첨가했다. 그 다음, 반응기를 CO2로 퍼징(purging)하고, 약 5bar(500kPa)의 CO2 대기로 가압시켰다. 그 다음, 반응기 함유물을 80℃까지 가열하고, 다시 반응기를 20bar(2,000kPa)까지 가압시켰다. 그 다음, 반응기에 에틸렌 옥사이드를 6.3g/min의 속도로, 상기 일반 반응 조건에서와 같은 농도에 도달할 때까지 펌프주입했다. 이러한 조건은 에틸렌 옥사이드 1mol당 1.3mol의 CO2 흡수와 에틸 렌 옥사이드 1mol당 0.0118mol의 할라이드 농도를 제공한다. 반응기 함유물을 상기 온도와 압력 하에(CO2를 연속 공급하여) 유지시키고, 일정한 시간 간격마다 시료를 취하여 기액 크로마토그래피(GPC)로 분석했다.
상기 절차 후, 다양한 범위의 촉매 조성물을 시험했다(실시예 1 내지 7 및 15 내지 22). 크라운 에테르 대 요오드 비의 변화(실시예 7 내지 9) 및 물 대 에틸렌 옥사이드 비의 변화(실시예 10 내지 14)는 필요에 따라 조정한 동일한 일반 실험 절차에 따라 각각 조사했다. 그 결과는 표 1 내지 4에 제시했다.
Figure 112008014366585-PCT00006
Figure 112008014366585-PCT00008
Figure 112008014366585-PCT00009
표 1의 결과는 선형 킬레이트화 화합물을 함유하거나(실시예 5) 또는 킬레이트화 화합물을 함유하지 않는(실시예 1 내지 4) 촉매 조성물을 수반하는 방법에 비해 본 발명의 방법이 촉매 활성 증가(EO 전환율의 증가로 입증) 및 반응 속도의 증가(TOF의 증가로 입증)를 나타낸다는 것을 입증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장점은 물의 부재 하에 수행된 동일한 방법(실시예 6)에 비해 본 발명의 방법에서 확인되었다.
크라운 에테르:요오드의 일정 범위의 비는 표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의 방법에서 성공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반응 혼합물에서 물의 사용은 표 3의 실시예에서 예증되듯이 수율 및 활성의 큰 향상을 유도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다양한 범위의 물:에틸렌 옥사이드 비를 함유하는 반응 혼합물에 성공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다양한 범위의 촉매 조성물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사용될 수 있다(실시예 15 내지 22).

Claims (10)

  1. 알칼리 금속 할라이드와 거대고리 킬레이트화 화합물을 함유하는 촉매 조성물과 물의 존재 하에 수행되는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알킬렌 옥사이드의 촉매적 카르복시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할라이드가 요오드이고 알칼리 금속이 나트륨, 칼륨, 리튬 및 세슘 중에서 선택되는 것인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알칼리 금속 할라이드가 요오드화칼륨인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거대고리 킬레이트화 화합물이 18-크라운-6, 디벤조-18-크라운-6, 15-크라운-5, 12-크라운-4, 벤조-15-크라운-5 또는 21-크라운-7 중에서 선택되는 크라운 에테르인 방법.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사용된 촉매가 18-크라운-6 또는 디벤조-18-크라운-6과 혼합된 요오드화칼륨인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거대고리 킬레이트화 화합물 대 할라이드의 몰비가 0.25:1 내지 10:1 범위인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거대고리 킬레이트화 화합물 대 할라이드의 몰비가 0.75:1 내지 5:1 범위인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40 내지 200℃ 범위의 온도와 100 내지 5000kPa 범위의 압력에서 수행되는,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물이 반응 혼합물에 존재하는 알킬렌 옥사이드 1mol당 0.05 내지 10mol 범위의 함량으로 존재하는,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알킬렌 옥사이드가 에틸렌 옥사이드인 방법.
KR1020087004679A 2005-08-02 2006-08-02 알킬렌 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 KR1013464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5254835 2005-08-02
EP05254835.1 2005-08-02
PCT/EP2006/064973 WO2007014958A1 (en) 2005-08-02 2006-08-02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lkylene carbonat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3461A true KR20080033461A (ko) 2008-04-16
KR101346434B1 KR101346434B1 (ko) 2014-01-02

Family

ID=37442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4679A KR101346434B1 (ko) 2005-08-02 2006-08-02 알킬렌 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7488835B2 (ko)
EP (1) EP1910327B1 (ko)
JP (1) JP2009503030A (ko)
KR (1) KR101346434B1 (ko)
CN (1) CN101238113B (ko)
AT (1) ATE420872T1 (ko)
BR (1) BRPI0614504A2 (ko)
CA (1) CA2617573A1 (ko)
DE (1) DE602006004877D1 (ko)
ES (1) ES2317580T3 (ko)
MX (1) MX2008001479A (ko)
PE (1) PE20070477A1 (ko)
RU (1) RU2410380C2 (ko)
TW (1) TW200710089A (ko)
WO (1) WO20070149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E20070478A1 (es) * 2005-08-02 2007-05-18 Shell Int Research Proceso de preparacion de alquilenglicoles
FR2972567B1 (fr) 2011-03-09 2013-03-22 Soitec Silicon On Insulator Méthode de formation d'une structure de ge sur iii/v sur isolant
TWI519347B (zh) 2013-10-24 2016-02-0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觸媒系統及以此觸媒系統製備環碳酸酯的方法
TW201827394A (zh) 2016-12-28 2018-08-01 荷蘭商蜆殼國際研究所 處理碳酸酯流之方法
TW201827395A (zh) 2016-12-28 2018-08-01 荷蘭商蜆殼國際研究所 處理碳酸酯流之方法
CN106867490B (zh) * 2017-01-18 2019-11-08 中国石油集团川庆钻探工程有限公司工程技术研究院 一种适用于复杂结垢储层的螯合解堵剂及其制备方法
CN111097517B (zh) * 2018-10-25 2022-11-04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用于制备碳酸亚烷基酯的催化剂、制备及应用
CN109810091B (zh) 2019-02-19 2020-04-17 山东石大胜华化工集团股份有限公司 用于环氧烷烃和二氧化碳制备碳酸亚烷基酯的方法
CN109867654B (zh) 2019-02-19 2021-06-29 胜华新能源科技(东营)有限公司 一种用于环氧烷烃和二氧化碳制备碳酸亚烷基酯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034962B (it) * 1975-04-09 1979-10-10 Snam Progetti Procedimento per la preparazione di glicoli alchilenici
US4314945A (en) * 1977-12-22 1982-02-09 Union Carbide Corporation Alkylene carbonate process
US4160116A (en) * 1978-08-28 1979-07-03 Showa Denko K.K.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lkylene glycols
CA1121389A (en) * 1979-05-24 1982-04-06 Hiroshi Odanaka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lkylene glycols
JPS5692228A (en) 1979-12-27 1981-07-25 Nippon Shokubai Kagaku Kogyo Co Ltd Preparation of high-purity alkylene glycol
JPS56128778A (en) 1980-03-14 1981-10-08 Nippon Shokubai Kagaku Kogyo Co Ltd Preparation of alkylene carbonate
JPS6059218B2 (ja) 1980-12-23 1985-12-24 株式会社日本触媒 アルキレングリコ−ルの製造方法
US4786741A (en) * 1982-11-15 1988-11-22 Scientific Design Company, Inc. Preparation of alkylene carbonates
US5138073A (en) 1981-12-02 1992-08-11 Scientific Design Company, Inc. Preparation of alkylene carbonates
JPS5913741A (ja) 1982-07-14 1984-01-24 Mitsubishi Petrochem Co Ltd 高純度エチレングリコ−ルの製造法
US4560813A (en) 1984-03-28 1985-12-24 Union Carbide Corporation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alkylene glycol in the presence of organometalate
US4982021A (en) * 1984-03-28 1991-01-01 Union Carbide Chemicals And Plastics Company Inc.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lkylene glycols with metalate-containing solid
ES2122540T3 (es) * 1994-01-31 1998-12-16 Shell Int Research Procedimiento para la preparacion de alquilenglicoles.
PE129999A1 (es) 1997-10-30 1999-12-30 Shell Int Research Hidrolisis catalitica de oxidos de alquileno
US6080897A (en) * 1998-03-19 2000-06-27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Method for producing monoethylene glycol
SG77264A1 (en) * 1998-08-10 2000-12-19 Mitsubishi Chem Corp Process for producing an alkylene glycol
US6153801A (en) * 1998-12-14 2000-11-28 Shell Oil Company Carboxylates in catalytic hydrolysis of alkylene oxides
US6124508A (en) * 1998-12-14 2000-09-26 Shell Oil Company Quaternary phosphonium salt catalysts in catalytic hydrolysis of alkylene oxides
JP2001151711A (ja) 1999-11-22 2001-06-05 Mitsubishi Chemicals Corp アルキレングリコール類の製造方法
JP3956555B2 (ja) 1999-11-22 2007-08-08 三菱化学株式会社 アルキレングリコール類の製造方法
US6916963B2 (en) 2003-07-14 2005-07-12 Saudi Basic Industries Corporation Process using water tolerant Lewis acids in catalytic hydration of alkylene oxides to alkylene glycols
PE20070478A1 (es) 2005-08-02 2007-05-18 Shell Int Research Proceso de preparacion de alquilenglico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006004877D1 (de) 2009-03-05
RU2008107999A (ru) 2009-09-10
CA2617573A1 (en) 2007-02-08
ES2317580T3 (es) 2009-04-16
CN101238113A (zh) 2008-08-06
PE20070477A1 (es) 2007-05-16
MX2008001479A (es) 2008-02-15
BRPI0614504A2 (pt) 2016-11-08
US7488835B2 (en) 2009-02-10
RU2410380C2 (ru) 2011-01-27
KR101346434B1 (ko) 2014-01-02
JP2009503030A (ja) 2009-01-29
WO2007014958A1 (en) 2007-02-08
EP1910327A1 (en) 2008-04-16
ATE420872T1 (de) 2009-01-15
TW200710089A (en) 2007-03-16
US20070179303A1 (en) 2007-08-02
EP1910327B1 (en) 2009-01-14
CN101238113B (zh) 2012-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6434B1 (ko) 알킬렌 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
Sakakura et al. The synthesis of organic carbonates from carbon dioxide
US7453015B2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lkylene glycols
North et al. Synthesis of cyclic carbonates from epoxides and CO 2
KR870007151A (ko) 2-옥소-1,3-디옥솔란의 제조방법
KR102013931B1 (ko) 디알킬 카보네이트 및 디올 생성물의 제조 방법
JP5458891B2 (ja) カーボネート化合物の製造方法
JP6269487B2 (ja) カーボネート化合物および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の製造方法
EP2066652B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lkylene carbonate
JP2017507899A (ja) バイオベースのアルキルおよびフラン系ジオールエーテル、アセタート、エーテル−アセタート、ならびにカーボナートの直接合成
US9266854B2 (en) One step process for synthesis of cyclic carbonates
JP3956555B2 (ja) アルキレングリコール類の製造方法
TWI432404B (zh) 製備烷二醇之方法
WO2017051363A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organic carbonate derivates
JPH11335372A (ja) カーボネート化合物の製造方法
US11897860B2 (en) Direct synthesis of cyclic carbonates using choline chloride as catalyst under mild conditions
CN102391242B (zh) 一种司替戊醇的制备方法
US4483994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lkylene carbonates and oxides
CN116462654A (zh) 一种环状碳酸乙烯酯化合物的制备方法
CA1162930A (en) Method of producing 3,3-dimethyl-2-alkoxyoxiran by oxidizing 1-alkoxy-2-methyl-propene
RU2494088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карбонатного соединения
KR101428304B1 (ko) 메틸카바메이트를 이용한 디메틸카보네이트 제조방법
CN103492349A (zh) 保护基所结合的羟基的脱保护方法
王林 et al. Chemical Fixation of CO2 into Cyclic Carbonates Catalyzed by Efficient Organocatalytic Systems under Metal-free and Mild Conditions
KR20020010925A (ko) 디알킬 카보네이트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