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3082A - 촬상 장치 - Google Patents

촬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3082A
KR20080033082A KR1020070101417A KR20070101417A KR20080033082A KR 20080033082 A KR20080033082 A KR 20080033082A KR 1020070101417 A KR1020070101417 A KR 1020070101417A KR 20070101417 A KR20070101417 A KR 20070101417A KR 20080033082 A KR20080033082 A KR 200800330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ing device
operation member
button
assigned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1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까시 오까자끼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33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30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18Signals indicating condition of a camera member or suitability of ligh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1/00Still video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Abstract

보다 조작성이 높은 촬상 장치를 제공한다. 촬상 장치는, 소정의 기능이 고정적으로 할당된 제1 조작 부재(예를 들면, 버튼(84, 85, 86, 87, 88a∼88d 등)과, 할당 기능의 커스터마이즈가 가능한 제2 조작 부재(예를 들면, 커스텀 키 C1, C2, C3 등)를 구비한다. 제2 조작 부재는, 촬상 장치의 표준 자세에서의 배면 우측 영역 내에 배치된다. 또한, 제1 조작 부재에 할당된 소정의 기능은, 제2 조작 부재에도 할당 가능하다.
조작성, 조작 부재, 배면 우측 영역, 커스텀 키, 세로 자세, 압하 상태

Description

촬상 장치{IMAGE PICKUP APPARATUS}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 등의 촬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카메라 등의 촬상 장치에서는, 메뉴 화면을 호출하여 메뉴 내의 항목을 선택함으로써 다양한 기능을 실현하는 조작이 행해지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기술에서는, 어떤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서, 메뉴 화면을 이용한 비교적 복잡한 조작을 행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이용 빈도가 비교적 높은 기능을 이용할 때마다 메뉴 화면을 호출하는 데에서는 매우 조작성이 나쁘다.
따라서, 어떤 유저에게 있어서 이용 빈도가 높은 소정의 기능을 조작 부재(버튼 등)에 할당하고, 그 조작 부재를 조작함으로써, 원하는 기능을 간이하게 실현하는 것이 가능한 기술이 존재한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1] 일본 특허 공개 2002-262152호 공보
그러나, 이 기술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할당 기능의 커스터마이즈가 가능한 조작 부재의 위치에 대해서는 충분한 고려가 이루어져 있다고는 할 수 없다.
예를 들면, 상기의 특허 문헌 1의 기술에서는, 할당 기능의 커스터마이즈가 가능한 조작 부재가 배면 좌측에 설치되어 있다. 촬영자는 주로 오른손을 이용하여 촬상 장치의 본체부 우측을 파지하는 일이 많은데, 이러한 경우에 그 조작 부재를 조작하기 위해서는, 다른 부분(렌즈 부분 등)을 파지하고 있던 왼손(대부분의 경우 능숙하지 않음)을 사용하거나, 혹은 일단 오른손에 의한 파지 상태를 해제한 후에 오른손을 사용하게 되기 때문에, 조작성은 충분한 것이라고는 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보다 조작성이 높은 촬상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촬상 장치로서, 소정의 기능이 고정적으로 할당된 제1 조작 부재와, 할당 기능의 커스터마이즈가 가능한 제2 조작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조작 부재는, 상기 촬상 장치의 표준 자세에서의 배면 우측 영역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조작 부재에 할당된 상기 소정의 기능은, 상기 제2 조작 부재에도 할당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이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촬상 장치로서, 소정의 기능이 고정적으로 할당된 제1 조작 부재와, 할당 기능의 커스터마이즈가 가능한 제2 조작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조작 부재는, 상기 촬상 장치의 표준 자세에서의 촬영에서 조작자가 그 촬상 장치를 오른손을 이용하여 파지할 때, 그 오른손의 오른손 엄지손가락 이외의 부분의 파지 상태를 실질적으로 변경하지 않고 그 오른손 엄지손가락의 관절을 움 직임으로써 그 오른손 엄지손가락에 의한 조작이 가능한 범위인, 제1 영역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조작 부재에 할당된 상기 소정의 기능은, 상기 제2 조작 부재에도 할당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이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르면, 제2 조작 부재는, 촬상 장치의 표준 자세에서의 배면 우측 영역 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높은 조작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제1 조작 부재에 고정적으로 할당되어 있는 소정의 기능은 제2 조작 부재에도 할당 가능하므로, 제2 조작 부재를 반드시 이용하는 일없이 적절히 제1 조작 부재를 이용하여 해당 기능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르면, 제2 조작 부재는, 제1 영역(즉 촬상 장치의 표준 자세에서의 촬영에서 조작자가 그 촬상 장치를 오른손을 이용하여 파지할 때, 그 오른손의 오른손 엄지손가락 이외의 부분의 파지 상태를 실질적으로 변경하지 않고 그 오른손 엄지손가락의 관절을 움직임으로써 그 오른손 엄지손가락에 의한 조작이 가능한 범위) 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높은 조작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제1 조작 부재에 할당되어 있는 소정의 기능은 제2 조작 부재에도 할당 가능하므로, 제2 조작 부재를 반드시 이용하는 일없이 적절히 제1 조작 부재를 이용하여 해당 기능을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1. 제1 실시 형태>
<1-1. 장치 개요>
도 1 및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촬상 장치(1)의 외관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은, 촬상 장치(1)의 배면 외관도이고, 도 2는, 촬상 장치(1)의 상면 외관도이다. 이 촬상 장치(1)는, 렌즈 교환식 일안 리플렉스 타입의 디지털 카메라로서 구성되어 있다.
도 2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상 장치(1)는, 카메라 본체부(카메라 보디)(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카메라 본체부(2)에 대하여, 교환식의 촬영 렌즈 유닛(교환 렌즈)(3)이 착탈 가능하다.
촬영 렌즈 유닛(3)은, 주로, 경동(36), 및, 경동(36)의 내부에 설치되는 렌즈군(37)(도 3 참조) 및 조리개 등에 의해 구성된다. 렌즈군(37)에는, 광축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초점 위치를 변경하는 포커스 렌즈 등이 포함되어 있다.
카메라 본체부(2)는, 촬영 렌즈 유닛(3)이 장착되는 원환 형상의 마운트부 Mt(도시 생략)를 정면 대략 중앙에 구비하고, 촬영 렌즈 유닛(3)을 착탈하기 위한 착탈 버튼(89)을 원환 형상의 마운트부 Mt 부근에 구비하고 있다.
또한, 카메라 본체부(2)는, 정면 좌단부(배면으로부터 보아 우측)에 촬영자가 파지하기 위한 그립부(14)를 구비하고 있다. 그립부(14)의 상면 전측에는 노광 개시 등을 지시하기 위한 셔터 버튼(11)이 설치되어 있다. 그립부(14)의 내부에는 전지 수납실과 카드 수납실이 설치되어 있다. 전지 수납실에는 카메라의 전원으로서, 예를 들면 4개의 단3형 건전지가 수납되어 있고, 카드 수납실에는 촬영 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메모리 카드(90)(도 3 참조)가 착탈 가능하게 수납 되도록 되어 있다.
셔터 버튼(11)은, 반누름 상태(S1 상태)와 완전누름 상태(S2 상태)의 2개의 상태를 검출 가능한 2 단계 검출 버튼이다. 셔터 버튼(11)이 반누름되어 S1 상태로 되면, 피사체에 관한 기록용 정지 화상(본 촬영 화상)을 취득하기 위한 준비 동작(예를 들면, AF 제어 동작 및 AE 제어 동작 등)이 행해진다. 또한, 셔터 버튼(11)이 더 압입되어 S2 상태로 되면, 상기 본 촬영 화상의 촬영 동작(촬상 소자(5)(후술)를 이용하여 피사체상에 관한 노광 동작을 행하고, 그 노광 동작에 의해 얻어진 화상 신호에 소정의 화상 처리를 실시하는 일련의 동작)이 행해진다.
도 1에서, 카메라 본체부(2)의 배면 대략 중앙 상부에는, 광학 파인더(10)가 설치되어 있다. 광학 파인더(10)에는, 촬영 렌즈 유닛(3)으로부터의 피사체상이 유도된다. 촬영자는, 광학 파인더(10)를 들여다봄으로써, 피사체를 시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촬영 렌즈 유닛(3)을 통과해 온 피사체상을, 미러 기구(6)(도 3 참조)에 의해 상방으로 반사시키고, 펜타프리즘을 통과시킨 상을 접안 렌즈를 통하여 봄으로써, 피사체상을 시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광학 파인더(10)를 이용하여 구도 결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촬영 화상의 촬영 시에서는, 미러 기구(6)는 피사체상의 광로로부터 대피하여, 촬영 렌즈 유닛(3)로부터의 광이 셔터(4)(도 3 참조)의 개방 타이밍에 맞추어 촬상 소자(5)에 도달하여, 피사체에 따른 촬영 화상(촬영 화상 데이터)이 얻어진다.
카메라 본체부(2)의 배면의 대략 중앙(보다 상세하게는 약간 왼쪽의 위치)에는, 배면 모니터(12)가 설치되어 있다. 배면 모니터(12)는, 예를 들면 컬러 액정 디스플레이(LCD)로서 구성된다. 배면 모니터(12)는, 촬영 조건 등을 설정하기 위 한 메뉴 화면을 표시하거나, 재생 모드에서 메모리 카드(90)에 기록된 촬영 화상을 재생 표시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한 표시부이다.
카메라 본체부(2)의 배면 우측 하부, 보다 상세하게는 배면 모니터(12)의 우측 하부에는, 메인 스위치(81)가 설치되어 있다. 메인 스위치(81)는 레버식 스위치로서 구성되고, 메인 스위치(81)의 레버부를 좌측의 「OFF」 위치로 설정하면, 전원이 오프로 되고, 그 레버부를 우측의 「ON」 위치로 설정하면, 전원이 온으로 된다.
카메라 본체부(2)의 배면 우측 상부, 보다 상세하게는 배면 모니터(12)의 우측에는, 멀티 셀렉터(83)가 설치되어 있다. 이 멀티 셀렉터(83)는, 조이스틱 타입의 조작 부재로써, 그 스틱부(83e)를 상하 좌우의 4 방향으로 기울이는 조작을 각각 검출하는 것이 가능함과 함께, 그 스틱부(83e)의 압하 조작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카메라 본체부(2)의 배면 우측 상부, 보다 상세하게는 배면 모니터(12)의 우측이면서 또한 멀티 셀렉터(83)의 상측에는, 후측 커맨드 다이얼(82)과, AF/MF 컨트롤 버튼(84)과, AE 록 버튼(85)과, 재생 버튼(86)이 설치되어 있다.
후측 커맨드 다이얼(82)은, 회전식의 조작 부재로써, 그 회전 조작에 따라서 각종의 설정 내용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AF/MF 컨트롤 버튼(84)은, 오토 포커스(AF)와 메뉴얼 포커스(MF)의 절환 지시를 접수하는 버튼이다. 촬영 상태에서, 이 버튼(84)을 압하할 때마다, 오토 포커스(AF)와 메뉴얼 포커스(MF)가 순차적으로 절환된다.
AE 록 버튼(85)은, 촬영 시에서 자동 노광 동작에 의해 조정된 노광 상태를 고정하는 「AE 록」의 지시를 접수하는 버튼이다. AE 록 버튼(85)은, 플래시 촬영 시에는 「슬로우 싱크로 버튼」으로서도 기능한다. 또한, AE 록 버튼(85)은, 재생 시에서는, 재생 대상 화상의 삭제해야 하는 취지의 삭제 지시를 접수하는 「삭제 버튼」으로서도 기능한다.
재생 버튼(86)은, 재생 모드에의 변경 지시를 접수하는 버튼이다. 바꾸어 말하면, 재생 버튼(86)은, 재생 모드에의 변경 지시 기능(재생 모드의 호출 기능)이 할당된 버튼이다. 촬영 상태에서 재생 버튼(86)이 압하되면, 촬영 장치(1)는 재생 모드로 이행하여, 촬영 완료 화상이 배면 모니터(12)에 표시된다.
또한, 카메라 본체부(2)의 배면 우측부, 보다 상세하게는 배면 모니터(12)의 우측에는, 3개의 누름 버튼식의 커스텀 키(커스텀 버튼이라고도 함) C1, C2, C3이 배치되어 있다. 각 커스텀 키 C1, C2, C3은, 유저에 의해 기능을 가변적으로 할당하는 것이 가능한 하드 키이다. 바꾸어 말하면, 각 커스텀 키 C1, C2, C3은, 할당 기능의 커스터마이즈가 가능한 조작 부재이다. 이들 커스텀 키 C1, C2, C3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카메라 본체부(2)의 배면 좌측부, 보다 상세하게는 배면 모니터(12)의 좌측에는, 메뉴 버튼(87)과, 펑션 버튼(88a)과, 메모리 절환 버튼(88b)과, 화질 조정 버튼(88c)과, 화면 절환 버튼(88d)이 설치되어 있다.
메뉴 버튼(87)은, 메뉴 화면의 표시 기능(호출 기능)을 실현하는 버튼이다. 메뉴 버튼(87)이 압하되면, 각종 설정을 행하기 위한 복수의 항목을 갖는 메뉴 화 면이 배면 모니터(12)에 표시된다.
펑션 버튼(88a)은, 상기 메뉴 화면에 포함되는 복수의 항목 중의 일부의 항목에 관한 서브 메뉴 화면을 배면 모니터(12)에 표시시키는 기능(호출 기능)을 실현하는 버튼이다. 예를 들면, 촬영 시에 펑션 버튼(88a)이 압하되면 촬영용의 메뉴 화면이 배면 모니터(12)에 표시되고, 재생 시에 펑션 버튼(88a)이 압하되면 재생용의 메뉴 화면이 배면 모니터(12)에 표시된다.
메모리 절환 버튼(88b)은, 촬영 화상의 기록처의 기록 매체(메모리 카드 등)를 절환하는 버튼이다. 이 촬상 장치(1)에서는, 복수의 종류의 메모리 카드를 촬상 장치(1) 내의 각 소정 위치에 어느 것이나 장전해 두는 것이 가능하다. 메모리 절환 버튼(88b)의 압하 조작 등에 따르면, 복수의 종류의 메모리 카드가 장전된 경우에 어느 종류의 메모리 카드를 기록처로서 선택할지를 미리 설정해 둘 수 있다.
화질 조정 버튼(88c)은, 기록 화상의 화질(스탠다드, 파인, RAW 등)을 선택적으로 설정하기 위한 버튼이다. 기록 화상의 화질은, 압축(JPEG 압축 등)의 유무를 절환하는 것, 혹은 압축 기록 시의 압축율을 절환하는 것에 의해, 변경된다.
화면 절환 버튼(88d)은, 재생 화상에 중첩적으로 촬영 정보를 표시시킬 것인지의 여부, 및 중첩적으로 표시하는 촬영 정보의 내용을 절환하는 버튼이다. 예를 들면, 화면 절환 버튼(88d)의 압하에 의해, 재생 화상만을 표시하는 화면과, 재생 화상 상에 문자 정보를 중첩적으로 표시시키는 화면과, 휘도에 관한 히스토그램을 재생 화상 상에 중첩적으로 표시시키는 화면을, 선택적이면서도 또한 순환적으로 절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 본체부(2)의 상면에는, 모드 설정 버튼(92))과, 라이트 버튼(93)과, 화이트 밸런스 버튼(94a)과, ISO 감도 버튼(94b)과, 노출 보정 버튼(94c)과, 조광 보정 버튼(94d)과, 액정 표시 패널(96)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셔터 버튼(11) 전측에는, 전측 커맨드 다이얼(91)이 설치되어 있다.
전측 커맨드 다이얼(91)은, 회전식의 조작 부재로써, 그 회전 조작에 따라서 각종의 설정 내용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모드 설정 버튼(92)은, 카메라의 각종 모드의 설정 동작(절환 동작)을 행하기 위한 조작 부재이다. 모드 설정 버튼(92)을 압하할 때마다, 설정 내용이 순차적으로(또한 순환적으로) 변경되어, 설정 내용이 결정된다. 이러한 모드 설정 버튼(92)의 압하 조작에 의해, 각종 촬영 모드(구체적으로는, P 모드(프로그램 모드), A 모드(조리개 우선 모드), S 모드(셔터 스피드 우선 모드), M 모드(메뉴얼 모드), 인물 촬영 모드, 풍경 촬영 모드, 및 풀 오토매틱 촬영 모드 등) 중에서, 원하는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화이트 밸런스 버튼(94a)은, 화이트 밸런스의 조정을 행하기 위한 버튼이고, ISO 감도 버튼(94b)은, ISO 감도의 조정을 행하기 위한 버튼이다. 노출 보정 버튼(94c)은, 화상 전체의 밝기를 보정하는 노출 보정을 행하기 위한 버튼이고, 조광 보정 버튼(94d)은, 플래시의 발광량을 조정하는 조광 보정을 행하기 위한 버튼이다.
액정 표시 패널(96)은, 현재의 각종 설정 내용을 표시하는 표시부이다. 액 정 표시 패널(96)의 백라이트의 온 및 오프는, 라이트 버튼(93)의 압하 조작에 따라서 변경된다.
또한, 후측 커맨드 다이얼(82) 혹은 전측 커맨드 다이얼(91)을 조작하는 것에 의하면, 각종 촬영 모드에서의 제어치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S 모드(셔터 스피드 우선 모드)에서는, 전측 커맨드 다이얼(91)의 회전 조작에 의해 복수 단계의 설정 가능치 중에서 원하는 셔터 스피드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ISO 감도 버튼(94b)의 압하 후에, 전측 커맨드 다이얼(91)을 회전시킴으로써, 복수 단계의 설정 가능치 중에서 원하는 값을 선택하여 ISO 감도치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화이트 밸런스 버튼(94a)과 전측 커맨드 다이얼(91)의 조합, 노출 보정 버튼(94c)과 전측 커맨드 다이얼(91)의 조합, 혹은, 조광 보정 버튼(94d)과 전측 커맨드 다이얼(91)의 조합에 의해서도, 마찬가지의 설정 조작으로 각각의 버튼에 대응하는 설정 내용을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전측 커맨드 다이얼(91) 대신에 후측 커맨드 다이얼(82)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서도 마찬가지의 설정 조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각 버튼(84, 85, 86, 87, 88a∼88d, 92, 93, 94a ∼94d) 등의 주변 영역 또는 해당 각 버튼 자체에는, 각각, 해당 각 버튼에 고정적으로 할당되어 있는 기능의 내용이 문자 혹은 도형(마크) 등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들 표시 내용은, 카메라 본체부(2)의 해당 부분에 실크 인쇄 처리 등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예를 들면, 재생 버튼(86)의 중앙부에는, 재생 기능(재생 모드의 호출 기능)을 나타내는 도형이 실크 인쇄되어 있다. 또한, 메뉴 버튼(87)의 중앙부에는, 「 MENU」의 4 문자가 실크 인쇄되어 있다.
<1-2. 기능 블록>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면서, 촬상 장치(1)의 기능 블록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촬상 장치(1)의 기능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상 장치(1)는, 조작부(80), 전체 제어부(101), 포커스 제어부(121), 미러 제어부(122), 셔터 제어부(123), 타이밍 제어 회로(124), 및 디지털 신호 처리 회로(50) 등을 구비한다.
조작부(80)는, 셔터 버튼(11)(도 1 참조)을 포함하는 각종 버튼 및 스위치 등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조작부(80)에 대한 유저의 입력 조작에 응답하여, 전체 제어부(101)가 각종 동작을 실현한다.
전체 제어부(101)는, 마이크로컴퓨터로서 구성되고, 주로 CPU, 메모리, 및 ROM 등을 구비한다. 전체 제어부(101)는, ROM 내에 저장되는 프로그램을 읽어내고, 그 프로그램을 CPU에서 실행함으로써, 각종 기능을 실현한다. 예를 들면, 전체 제어부(101)는, AF 모듈(20) 및 포커스 제어부(121) 등과 협동하여,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제어하는 합초 제어 동작을 행한다. 전체 제어부(101)는, AF 모듈(20)에 의해 검출되는 피사체의 합초 상태에 따라서, 포커스 제어부(121)를 이용하여 AF 동작을 실현한다. 또한, AF 모듈(20)은, 미러 기구(6)를 통하여 진입해 온 광을 이용하여, 위상차 방식 등의 합초 상태 검출 방법에 의해 피사체의 합초 상태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포커스 제어부(121)는, 전체 제어부(101)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모터 M1을 구동함으로써, 촬영 렌즈 유닛(3)의 렌즈군(37)에 포함되는 포커스 렌즈를 이동한다. 또한, 포커스 렌즈의 위치는, 촬영 렌즈 유닛(3)의 렌즈 위치 검출부(39)에 의해 검출되고,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전체 제어부(101)에 보내진다. 이와 같이, 포커스 제어부(121) 및 전체 제어부(101) 등은, 포커스 렌즈의 광축 방향의 움직임을 제어한다.
미러 제어부(122)는, 미러 기구(6)가 광로로부터 퇴피한 상태(미러 업 상태)와 미러 기구(6)가 광로를 차단한 상태(미러 다운 상태)의 상태 절환을 제어한다. 미러 제어부(122)는, 전체 제어부(101)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모터 M2를 구동함으로써, 미러 업 상태와 미러 다운 상태를 절환한다.
셔터 제어부(123)는, 전체 제어부(101)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모터 M3을 구동함으로써, 셔터(4)의 개폐를 제어한다.
타이밍 제어 회로(124)는, 촬상 소자(5) 등에 대한 타이밍 제어를 행한다.
촬상 소자(여기서는 CCD 센서(간단히 CCD라고도 함))(5)는, 광전 변환 작용에 의해 피사체의 광상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촬상 화상에 따른 화상 신호를 생성한다. 촬상 소자(5)는, 타이밍 제어 회로(124)로부터 입력되는 구동 제어 신호(축적 개시 신호 및 축적 종료 신호)에 응답하여, 수광면에 결상된 피사체상의 노광(광전 변환에 의한 전하 축적)을 행하고, 그 피사체상에 따른 화상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촬상 소자(5)는, 타이밍 제어 회로(124)로부터 입력되는 판독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그 화상 신호를 신호 처리부(51)에 출력한다. 또한, 타이밍 제어 회로(124)로부터의 타이밍 신호(동기 신호)는, 신호 처리부(51) 및 A/D(아날로 그/디지털) 변환 회로(52)에도 입력된다.
촬상 소자(5)로 취득된 화상 신호는, 신호 처리부(51)에서 소정의 아날로그 신호 처리가 실시되고, 그 아날로그 신호 처리후의 화상 신호는 A/D 변환 회로(52)에 의해 디지털 화상 데이터(화상 데이터)로 변환된다. 이 화상 데이터는, 디지털 신호 처리 회로(50)에 입력된다.
디지털 신호 처리 회로(50)는, A/D 변환 회로(52)로부터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디지털 신호 처리를 행하고, 촬상 화상에 따른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 회로(50)는, 흑 레벨 보정 회로(53), 화이트 밸런스(WB) 회로(54), γ 보정 회로(55) 및 화상 메모리(56)를 구비한다.
흑 레벨 보정 회로(53)는, A/D 변환 회로(52)가 출력한 화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각 화소 데이터의 흑 레벨을 기준의 흑 레벨로 보정한다. WB 회로(54)는, 화상의 화이트 밸런스 조정을 행한다. γ 보정 회로(55)는, 촬상 화상의 계조 변환을 행한다. 화상 메모리(56)는,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기 위한, 고속 액세스 가능한 화상 메모리로써, 복수 프레임 분의 화상 데이터를 기억 가능한 용량을 갖는다.
본 촬영 시에는, 화상 메모리(56)에 일시 기억되는 화상 데이터는, 전체 제어부(101)에서 적절히 화상 처리가 실시되고, 카드 I/F(132)를 통하여 메모리 카드(90)에 기억된다.
또한, 화상 메모리(56)에 일시 기억되는 화상 데이터는, 전체 제어부(101)에 의해 적절히 VRAM(131)에 전송되고, 배면 모니터(12)에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는 화 상이 표시된다. 이에 의해, 촬영 화상을 확인하기 위한 확인 표시(애프터 뷰), 및 촬영 완료의 화상을 재생하는 재생 표시 등이 실현된다.
또한, 촬상 장치(1)는, 통신용 I/F(133)를 갖고 있으며, 그 인터페이스(133)의 접속처의 기기(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 등)와 데이터 통신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촬상 장치(1)는, 플래시(41), 플래시 제어 회로(42), 및 AF 보조광 발광부(43)를 구비하고 있다. 플래시(41)는, 피사체의 휘도 부족 시 등에 이용되는 광원이다. 플래시의 점등의 유무 및 점등 시간 등은, 플래시 제어 회로(42) 및 전체 제어부(101) 등에 의해 제어된다. AF 보조광 발광부(43)는, AF용의 보조 광원이다. AF 보조광 발광부(43)의 점등의 유무 및 점등 시간 등은, 전체 제어부(101) 등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촬상 장치(1)는, 불휘발성 메모리(135)를 구비하고 있다. 불휘발성 메모리(135)에는, 촬상 장치(1)에서의 각종 설정 내용 등이 기억된다.
<1-3. 커스텀 키>
<배치>
다음으로, 커스텀 키 C1, C2, C3(도 1 참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 커스텀 키 C1∼C3은, 할당 기능의 커스터마이즈가 가능한 조작 부재이다.
도 4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커스텀 키 C1, C2, C3은, 촬상 장치(1)의 배면의 우측 영역 RR 내에 배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각 커스텀 키 C1, C2, C3은, 배면 우측 영역 RR 중, 우측 주연부 RE1(예를 들면 영역 RR의 우단 1/4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각 커스텀 키 C1, C2, C3은, 배면 우측 영역 RR 중, 상측 주연부 RU1(예를 들면 영역 RR의 상단 1/4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각 커스텀 키 C1, C2, C3은, 배면 우측 영역 RR 중 우측 주연부 RE1과 상측 주연부 RU1의 양쪽 영역을 제외한 영역 RB(도면 중에서 사선으로 표시함)에 배치되어 있게 된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커스텀 키 C1, C2, C3은, 배면 모니터(12)보다도 우측에 배치되어 있고, 보다 상세하게는, 배면 모니터(12)의 우측 주변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조작자는, 촬상 장치(1)의 저면이 지면에 대하여 비교적 수평에 가까운 자세(「표준 자세」또는 「가로 자세」라고도 함)로 촬영 동작을 행할 때는, 촬상 장치(1)의 우측에 설치된 셔터 버튼(11)에 오른손의 검지손가락을 닿게 하고, 그 오른손으로 촬상 장치(1)의 본체(상세하게는 우측부(그립부(14) 등))를 파지하여 구도 결정를 행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본원에서는, 원칙적으로, 표준 자세(도 1 참조)를 기준으로 좌우 상하를 규정하는 것으로 한다.
도 1 및 도 2에서는, 오른손의 손가락 FG 등의 위치가 더불어 도시되어 있다. 도 1 등에서는, 촬상 장치(1)의 표준 자세에 의한 촬영에서, 그 도중에 재생 버튼(86)을 압하하고 있는 오른손 엄지손가락의 위치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촬상 장치(1)의 표준 자세에서의 촬영에서, 셔터 버튼(11)을 압하하는 시점에서는, 오른손 엄지손가락은, 도 1에 도시하는 위치에 존재해도 되지만, 오류 조작을 방지 하는 관점으로부터는, 도 1에 도시하는 위치보다도 약간 낮은 위치(예를 들면 커스텀 키 C1의 우측 바로 옆 또한 재생 버튼(86)의 바로 아래 부근)에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표준 자세에 의한 촬영을 행할 때에, 각 커스텀 키 C1, C2, C3은 촬상 장치(1)의 배면 우측 영역 RR(보다 상세하게는 영역 RB) 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각 커스텀 키 C1, C2, C3은 오른손의 손가락(특히 오른손 엄지손가락)에 의해 양호하게 조작된다. 특히, 각 커스텀 키 C1, C2, C3은 배면 모니터(12)의 우측 주변 영역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오른손 엄지손가락에 의한 조작성이 매우 양호하다.
또한, 각 커스텀 키 C1, C2, C3은, 촬상 장치의 표준 자세에서의 촬영에서 조작자가 표준 자세의 촬상 장치를 오른손을 이용하여 파지할 때, 그 오른손의 엄지손가락 이외의 부분의 파지 상태를 실질적으로 변경하지 않고 오른손 엄지손가락의 관절(제1 관절, 제2 관절 및 제3 관절 중 적어도 1개 이상)을 움직임으로써 대상 조작 부재에 대한 그 오른손 엄지손가락에 의한 조작이 가능한 범위(이하, 표준 자세에서의 「우량 조작성 영역」 또는 「1등지」라고도 함)에 배치되어 있다, 라고도 표현된다. 표준 자세에서의 「우량 조작성 영역」은, 예를 들면, 도 1에서 파선으로 둘러싸인 타원 영역 AR1로서 표현된다. 또한, 이 「우량 조작성 영역」의 위치 및 크기는, 예를 들면, 표준적인 성인 남성의 손가락의 크기를 기준으로 하여 결정된다.
따라서, 조작자는, 오른손(상세하게는 손바닥)에 의한 파지 상태를 해제하지 않고 또한 오른손의 파지 부분을 거의 어긋나게도 하지 않고, 오른손 엄지손가락만을 이동함으로써, 각 커스텀 키 C1, C2, C3을 압하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여, 매우 높은 조작성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즉, 조작자는, 오른손에 의한 촬상 장치(1)의 파지 상태를 실질적으로 변경하지 않고, 오른손 엄지손가락을 원하는 커스텀 키의 위치로 이동시켜 그 커스텀 키를 압하할 수 있으므로, 높은 조작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높은 조작성은, 오른손만을 이용하여(즉 한쪽 손으로) 촬상 장치(1)를 파지하고 있는 경우에도 얻을 수 있고, 오른손과 왼손의 양방을 이용하여(즉 양손으로) 촬상 장치(1)를 파지하고 있는 경우에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높은 조작성을 갖는 각 커스텀 키 C1, C2, C3에, 각각, 다른 조작 부재(84, 85, 86, 87, 88a∼88d, 92, 93, 94a∼94d) 등의 어느 한쪽의 기능을 할당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커스텀 키 C1에 펑션 버튼(88a)의 기능을 할당하는 것, 커스텀 키 C2에 ISO 감도 버튼(94b)의 기능을 할당하는 것, 및/또는, 커스텀 키 C3에 재생 버튼(86)의 기능을 할당하는 것 등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매우 조작성이 높은 커스텀 키 C1, C2, C3의 조작에 의해, 해당 커스텀 키에 할당된 기능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조작자는 매우 높은 조작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각 커스텀 키 C1, C2, C3이, 「우량 조작성 영역」 내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커스텀 키 C1, C2, C3을, 다음에 서술하는 「중조작성 영역」 내에 배치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에 의해서도, 높은 조작성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표준 자세에서의 「중조작성 영역」은, 조작자가 표준 자세의 촬상 장치를 오른손을 이용하여 파지할 때, 오른손의 엄지손가락 이외의 파지 부분의 파지 위치 및/또는 파지 각도를 어긋나게 하여 파지 상태를 실질적으로 변경하는 것에 의하면, 대상 조작 부재에 대한 오른손 엄지손가락에 의한 조작이 가능하게 되는 범위(영역)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바꾸어 말하면, 표준 자세에서의 「중조작성 영역」은, 조작자가 표준 자세의 촬상 장치를 오른손을 이용하여 파지할 때, 대상 조작 부재를 오른손 엄지손가락으로 조작하기 위해서는, 오른손 엄지손가락 이외의 오른손에 의한 파지 상태를 실질적으로 변경할 필요가 있는 영역이라고도 표현된다. 또한, 전술한 배면 우측 영역 RR은, 이러한 「중조작성 영역」의 일부 또는 전부와 전술한 「우량 조작성 영역」이라는 양방을 포함하는 영역이라고도 표현된다.
이에 대하여, 커스텀 키 C1, C2, C3을, 표준 자세에서의 「저조작성 영역(다음에 설명)」에 배치하는 것도 생각된다. 예를 들면, 커스텀 키 C1, C2, C3을 배면 모니터(12)의 좌측 주변 영역에 배치하는 것도 생각된다.
여기서, 표준 자세에서의 「저조작성 영역」은, 조작자가 표준 자세의 촬상 장치를 오른손을 이용하여 파지할 때, 대상 조작 부재를 오른손 엄지손가락으로 조작하기 위해서는, 오른손(상세하게는 손바닥의 대부분 이상)을 촬상 장치로부터 떼는 것 등에 의해 그 파지 상태를 실질적으로 해제할 필요가 있는 영역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이 「저조작성 영역」은, 「2등지」라고도 부른다. 또한, 전술한 「중조작성 영역」은, 이 「저조작성 영역(2등지)」과 전술한 「우량 조작성 영 역(1등지)」의 중간의 조작성을 갖는 영역이라는 점에서, 「1.5등지」라고도 한다.
그러나, 보다 높은 조작성을 얻기 위해서는, 이러한 「저조작성 영역(2등지)」에 커스텀 키 C1, C2, C3을 배치하는 것보다도, 「중조작성 영역(1.5등지)」에 커스텀 키 C1, C2, C3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더욱 높은 조작성을 얻기 위해서는, 커스텀 키 C1, C2, C3을 「우량 조작성 영역(1등지)」에 배치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중첩적 기능 할당>
또한, 각 커스텀 키 C1∼C3에는, 그 촬상 장치(1)의 다른 조작 부재에 고정적으로 할당되어 있는 기능을 중첩적으로 할당하는 것이 가능해지도록, 이 촬상 장치(1)는 구성되어 있다. 상기 다른 조작 부재(즉, 기능이 고정적으로 할당되어 있는 조작 부재로써 할당 기능의 커스터마이즈가 불가능한 조작 부재)를, 기능 고정 조작 부재 N1이라고도 칭한다. 기능 고정 조작 부재 N1로서는, 전술한 설정용의 각종 버튼(84, 85, 86, 87, 88a∼88d, 92, 93, 94a∼94d) 등이 예시된다.
예를 들면, 재생 버튼(86)에 할당된 소정의 기능(즉 재생 모드로의 변경 지시 기능)은, 재생 버튼(86)에의 할당이 계속된 채로(환언하면 재생 버튼(86)에의 할당이 무효화되지 않고) 커스텀 키 C3에도 할당 가능하다. 즉, 재생 버튼(86)에 고정적으로 할당되어 있는 소정의 기능은, 커스텀 키 C3에 대하여 중첩적으로 할당 가능하다.
그리고, 재생 버튼(86)의 기능이 커스텀 키 C3에도 할당된 경우에는, 재생 모드에의 변경 지시를 행하기 위한 조작으로서, 재생 버튼(86)의 압하 조작 및 커 스텀 키 C3의 압하 조작의 어느 것이나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재생 모드에의 변경 지시 기능을 간이한 조작으로 실현하기 위해서, 반드시 커스텀 키 C3을 이용하는 것을 요하지는 않고, 적절히 재생 버튼(86)(기능 고정 조작 부재 N1)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조작의 임의성이 높기 때문에, 조작자에게 있어서 편리하다. 예를 들면, 커스텀 키 C3에의 할당 내용에 대한 조작자의 기억이 애매하여 조작자에게 망설임이 생길 때 등에는, 재생 버튼(86)을 이용하여 확실하게 해당 기능을 호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재생 버튼(86)에는 그 버튼의 기능을 나타내는 도형이 첨부되어 있으므로, 시각적으로 알기 쉽다.
또한, 각 커스텀 키 C1, C2, C3에의 할당 대상으로 되는 기능은, 전술한 각 버튼(84, 85, 86, 87, 88a∼88d, 92, 93, 94a∼94d) 등에 할당되어 있는 기능에 한정되지 않는다. 촬상 장치에 설치된 상기 이외의 버튼에 할당되어 있는 기능을, 커스텀 키에 할당하도록 하여도 된다.
혹은, 촬상 장치에 설치된 버튼 이외의 종류의 조작 부재(예를 들면, 슬라이드 스위치, 다이얼 등)에 할당되어 있는 기능을, 커스텀 키에 할당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버튼 이외의 조작 부재의 기능을 커스텀 키(커스텀 버튼)에 할당하는 경우에는, 조작 부재의 상위를 고려하여 상기의 사상을 적용하면 된다. 예를 들면, 어떤 다이얼의 기능을 커스텀 키에 할당하는 경우에는, 회전 조작에 따른 설정 조작을, 커스텀 키의 버튼 압하 조작에 따른 설정 조작으로 치환하도록 구성하면 된다. 즉, 다이얼의 회전 조작이 아니라, 커스텀 키(커스텀 버튼)의 압하 조작에 따라서 설정 내용을 변경하도록 하면 된다.
<1-4. 세로 자세>
상기에서는, 촬상 장치(1)의 저면이 지면에 대하여 비교적 수평에 가까운 자세(「가로 자세」)로, 촬영 동작이 행해질 때의 조작성에 대하여 설명해 왔다.
다음으로, 촬상 장치(1)의 저면이 지면에 대하여 비교적 수직에 가까운 자세(「세로 자세」라고도 함)로, 촬영 동작이 행해질 때의 조작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촬상 장치(1)는, 세로 자세에서의 촬영용(세로 촬영용)의 보조 용품, 구체적으로는, 세로 위치 컨트롤 그립(7)을 착탈 가능하다. 여기에서는, 세로 위치 컨트롤 그립(7)을 장착하여 세로 자세에서의 촬영 및 가로 자세에서의 촬영을 행하는 경우를 상정한다.
도 5 및 도 6은, 세로 위치 컨트롤 그립(7)을 장착한 촬상 장치(1)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5는 가로 자세에서의 촬영 상태를 도시하고, 도 6은 세로 자세에서의 촬영 상태를 도시한다.
세로 위치 컨트롤 그립(7)은, 셔터 버튼(79)(도시 대략 )과 모드 설정 버튼(72)과 멀티 셀렉터(73)와 AF/MF 컨트롤 버튼(74)과 AE 록 버튼(75)을 구비하고 있다.
셔터 버튼(79)은, 셔터 버튼(11)과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고 있으며, 도 6에 도시하는 세로 자세에서 세로 위치 컨트롤 그립(7)의 상면으로부터 약간 내려 간 위치(도 5의 가로 자세에서는 우측면으로부터 약간 좌측으로 들어간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셔터 버튼(79)은, 깊이 방향에서는 전측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도 6에서는, 세로 자세에서의 촬영에서의 오른손의 각 손가락 FG의 위치가 더불어 도시되어 있다. 셔터 버튼(79)은, 촬상 장치(1)의 세로 자세에서(도 6 참조), 셔터 버튼(11)과 마찬가지의 조작감으로 촬영 개시 지시 등을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실시 형태에서의 세로 자세에서의 촬영에서는, 이 셔터 버튼(79)을 오른손의 검지손가락으로 압하하는 상황을 전제로 한다.
또한, 모드 설정 버튼(72), 멀티 셀렉터(73), AF/MF 컨트롤 버튼(74) 및 AE 록 버튼(75)은, 각각, 모드 설정 버튼(92)(도 2 참조), 멀티 셀렉터(83)(도 1 참조), AF/MF 컨트롤 버튼(84) 및 AE 록 버튼(85)과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고 있고, 마찬가지의 기능을 실현한다. 이들 조작 부재(72, 73, 74, 75)는, 세로 자세에서의 배면 우측에 배치되어 있어, 높은 조작성을 갖고 있다.
세로 위치 컨트롤 그립(7)이 카메라 본체부(2)에 장착된 상태에서, 세로 위치 컨트롤 그립(7)과 카메라 본체부(2)의 양자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각종 조작 부재(72∼75)의 압하 상태 등이 전체 제어부(101)에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조작자는, 세로 자세에 의한 촬영 시에, 각 조작 부재(72, 73, 74, 75, 79)를 조작함으로써, 각각 대응하는 조작 부재(92, 83, 84, 85, 11)에 의한 조작으로 실현되는 기능과 마찬가지의 기능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세로 자세에 의한 촬영 시에, 커스텀 키 C2, C3은, 타원 영역 AR2 내에 배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커스텀 키 C2, C3은, 세로 자세에서의 「우량 조작성 영역」(다음에 설명)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세로 자세에서의 촬영에서도, 커스텀 키 C2, C3의 압하 조작에 의한 매우 높은 조작성을 얻을 수 있다. 여기에서, 세로 자세에서의 「우량 조작성 영역」(「1등지」라고도 함)은, 촬상 장치의 세로 자세에서의 촬영에서 조작자가 세로 자세의 촬상 장치를 오른손을 이용하여 파지할 때, 그 오른손의 엄지손가락 이외의 부분의 파지 상태를 실질적으로 변경하지 않고 오른손 엄지손가락의 관절(제1 관절, 제2 관절 및 제3 관절 중 적어도 1개 이상)을 움직임으로써 대상 조작 부재에 대한 그 오른손 엄지손가락에 의한 조작이 가능한 범위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커스텀 키 C2, C3은, 표준 자세(가로 자세)에서의 「우량 조작성 영역」(예를 들면, 도 5의 영역 AR1)과 세로 자세에서의 「우량 조작성 영역」(예를 들면, 도 6의 영역 AR2)의 겹침 영역(AND 영역 또는 중복 영역)에 배치되어 있게 된다. 이 때문에, 어느 자세에서나 그 커스텀 키 C2, C3을 매우 양호한 조작성으로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커스텀 키 C1은, 세로 자세에서의 「중조작성 영역」(「1.5등지」라고도 함)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세로 자세에서의 촬영에서도, 커스텀 키 C1을 이용한 양호한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세로 자세에서의 「중조작성 영역」은, 조작자가 세로 자세의 촬상 장치를 오른손을 이용하여 파지할 때, 오른손의 엄지손가락 이외의 파지 부분의 파지 위치 및/또는 파지 각도를 어긋나게 하여 파지 상태를 실질적으로 변경하는 것에 의하면, 대상 조작 부재에 대한 오른손 엄지손가락에 의한 조작이 가능하게 되는 범위(영역)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바꾸어 말하면, 세로 자세에서의 「중조작성 영역」은, 조작자가 세로 자세의 촬상 장치를 오른손을 이용하여 파지할 때, 대상 조작 부재를 오른손 엄지손가락으로 조작하기 위해서는, 오른손 엄지손가락 이외의 오른손에 의한 파지 상태를 실질적으로 변경할 필요가 있는 영역이라고도 표현된다.
또한, 커스텀 키 C2, C3은, 이러한 세로 자세에 의한 촬영 시에, 도 6의 세로 자세에서의 우측 영역(즉 셔터 버튼(79)에 가까운 측의 우측 반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커스텀 키는, 가로 자세에서의 배면 우측 영역과 세로 자세에서의 배면 우측 영역의 겹침 영역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어느 자세에서도 그 커스텀 키를 양호한 조작성으로 조작할 수 있다.
그런데, 촬상 장치(1)의 가로 자세에서, 재생 버튼(86)은 배면 우측 상부에 설치되어 있고, 재생 버튼(86) 자신도 매우 조작하기 쉬운 부위(상세하게는, 표준 자세(가로 자세)에서의 「우량 조작성 영역(1등지)」 내)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조작자는, 촬상 장치(1)의 가로 자세로 촬영할 때는, 재생 버튼(86)을 이용하여 재생 모드에의 변경 지시 기능을 매우 높은 조작성으로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촬상 장치(1)의 세로 자세에서는, 재생 버튼(86)은 좌단 영역(이 경우에는, 세로 자세에서의 「저조작성 영역」(2등지라고도 함))에 위치하게 되기 때문에(도 6 참조), 재생 버튼(86)을 우측 엄지손가락으로 조작할 때의 조작성은 양호하지는 않다. 또한, 세로 자세에서의 「저조작성 영역」은, 조작자가 세로 자세의 촬상 장치를 오른손을 이용하여 파지할 때, 대상 조작 부재를 오른손 엄지손가락으로 조작하기 위해서는, 오른손(상세하게는 손바닥의 대부분 이상)을 촬상 장치로부터 떼는 것 등에 의해 그 파지 상태를 실질적으로 해제할 필요가 있는 영역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이에 대하여, 커스텀 키 C2, C3은, 세로 자세에서도 오른쪽 엄지손가락에 의한 양호한 조작성을 얻는 것이 가능한 범위(예를 들면 「우량 조작성 영역(1등지)」)에 존재한다.
따라서, 커스텀 키 C2(또는 C3)에 재생 버튼(86)의 기능을 할당해 두면, 조작자는, 촬상 장치(1)의 세로 자세로 촬영할 때는, 커스텀 키 C2(또는 C3)를 이용하여 재생 모드에의 변경 지시 기능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가로 자세에서의 「우량 조작성 영역(1등지)」 내에 존재하는 재생 버튼(86)의 기능을, 세로 자세에서의 「우량 조작성 영역(1등지)」 내에 존재하는 커스텀 키 C2(또는 C3)에 할당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이 경우, 가로 자세에서는 재생 버튼(86)을 이용하고 세로 자세에서는 커스텀 키 C2(또는 C3)를 이용한 조작을 행함으로써, 가로 자세 및 세로 자세의 쌍방에서, 높은 조작성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재생 버튼(86)이 세로 자세에서의 「우량 조작성 영역(1등지)」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라도, 세로 자세에서는 커스텀 키 C2(또는 C3)를 이용한 조작을 행함으로써, 세로 자세에서도 매우 높은 조작성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재생 버튼(86) 및 커스텀 키 C2(또는 C3)의 배치 상황은, 재생 버튼(86)이 촬상 장치(1)의 가로 자세에서의 배면 우측 영역 내에 배치되고, 또한, 커스텀 키 C2(또는 C3)가 세로 자세에서의 배면 우측 영역 내에 배치되어 있는 상황이라고도 표현된다.
또한, 가령, 재생 버튼(86)이 가로 자세에서의 「우량 조작성 영역(1등지)」 이 아니라, 가로 자세에서의 「중조작성 영역(1.5등지)」(예를 들면, 도 5의 AE 록 버튼(85)의 위치)에 존재하는 상황을 상정한다. 이러한 상황이더라도, 가로 자세에서의 배면 우측 영역 내에 존재하는 재생 버튼(86)의 기능을, 세로 자세에서의 배면 우측 영역 내에 존재하는 커스텀 키 C2(또는 C3)에 할당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이 경우, 가로 자세에서는 재생 버튼(86)을 이용하고 세로 자세에서는 커스텀 키 C2(또는 C3)를 이용한 조작을 행함으로써, 가로 자세 및 세로 자세의 쌍방에서, 높은 조작성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1-5. 설정 변경 동작>
도 7은, 커스텀 키 C1, C2, C3의 할당 기능에 관한 설정 변경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고, 도 8∼도 11은, 배면 모니터(12)에 표시되는 각종 화면 G11∼G14를 각각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서, 그 설정 변경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커스텀 키 C1에 재생 버튼(86)의 기능을 할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예시하지만, 다른 할당 동작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우선, 조작자가 메뉴 버튼(87)을 압하하면, 이 압하 조작에 응답하여, 촬상 장치(1)는 배면 모니터(12)에 메뉴 화면 G11(도 8 참조)을 표시한다(스텝 SP11). 메뉴 화면 G11에는, 「커스텀 키 변경」을 포함하는 복수의 선택지가 표시되어 있다.
그 후, 조작자가, 멀티 셀렉터(83)를 조작하여 복수의 선택지 중에서 원하는 선택지 즉 「커스텀 키 변경」을 선택하면, 촬상 장치(1)는, 「커스텀 키 변경」을 행해야 한다는 취지의 지시 입력이 된 것으로 간주한다(스텝 SP12). 또한, 이러한 선택 조작은, 예를 들면, 멀티 셀렉터(83)의 스틱부(83e)에 의한 상하 이동 조작(또는 좌우 이동 조작)을 이용하여 커서(도 8에서는 사선 영역에 상당)를 이동시켜 복수의 선택지 중에서 원하는 선택지(여기서는 「커스텀 키 변경」)에 커서를 맞추고, 스틱부(83e)를 압하함으로써 행해진다.
그리고, 촬상 장치(1)는 배면 모니터(12)에 화면 G12를 표시한다. 화면 G12에는, 복수의 커스텀 키의 명칭이 현시점에서의 각각의 할당 기능과 함께 표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9의 화면 G12에서는, 커스텀 키 C1에는 「화면 사이즈」(화상 사이즈)의 설정 기능이 할당되어 있는 것, 및, 커스텀 키 C2에는 「ISO」(ISO 감도)의 설정 기능이 할당되어 있는 것이 표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조작자는, 화면 G12 내에 표시되는 선택지 중에서, 멀티 셀렉터(83)를 이용하여, 변경 대상(커스터마이즈 대상)의 커스텀 키를 선택한다(스텝 SP13). 그 선택 조작에 응답하여, 촬상 장치(1)는, 변경 대상으로서 선택된 커스텀 키를 특정하고, 그 커스텀 키에 할당 가능한 기능을 리스트 표시하는 화면 G13(도 10)을 배면 모니터(12)에 표시한다.
이번에는, 조작자는, 화면 G13 내에 표시되는 선택지 중에서, 멀티 셀렉터(83)를 이용하여, 할당해야 할 기능을 선택한다(스텝 SP14).
이 선택 조작에 응답하여, 촬상 장치(1)는, 할당 대상으로서 조작자에 의해 선택된 기능을 특정하고, 선택 내용을 확인하는 화면 G14를 표시한다(스텝 SP15). 도 11의 화면 G14에서는, 「커스텀 키1(C1)에 재생 키를 어사인한다((할당한다)」고 하는 설정 내용이면 되는지(「Yes」) 아닌지(「No」)를 확인해야 한다는 취지가 표시되어 있다.
조작자에 의해, 선택지 「No」가 선택되고, 설정 내용이 올바르지 않다는 취지가 입력되면, 스텝 SP14로 되돌아가, 다시 할당 기능의 재선택 동작으로 이행한다. 한편, 조작자에 의해 선택지 「Yes」가 선택되어, 설정 내용이 올바르다는 취지가 입력되면, 스텝 SP16으로 진행한다
스텝 SP16에서는, 촬상 장치(1)는, 스텝 SP13에서 선택된 커스텀 키에 대하여 스텝 SP14에서 선택된 기능을 할당한다는 취지의 새로운 설정 내용(「커스텀 키 C1」에 「재생 키」의 기능을 할당한다」)을 기억한다. 상세하게는, 불휘발성 메모리(135) 내에 기억되어 있던 설정 내용을 새로운 설정 내용으로 덮어써서, 설정 내용을 갱신한다. 그 후, 촬상 장치(1)는, 「커스텀 키 변경」 동작을 종료하고, 배면 모니터(12)는 메뉴 버튼(87) 압하 전의 표시 상태로 되돌아간다(스텝 SP17).
상기와 같은 설정 변경 동작이 종료되면, 변경 대상의 커스텀 키의 할당 내용이 변경되어 있다. 도 12는 설정 변경 전의 설정 내용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3은 설정 변경 후의 설정 내용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와 도 13을 비교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여기에서는 커스텀 키 C1의 할당 기능이 「화면 사이즈 설정」으로부터 「화상 재생」으로 변경되어 있다.
상기 설정 변경 후에는, 새로운 할당 내용(설정 내용)에 의거하여, 각 커스텀 키 C1, C2, C3의 압하에 응답하여, 압하된 키에 대응하는 기능이 실행된다.
<2. 기타>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설명한 내 용의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에서는, 어떤 시점에서는, 각 커스텀 키 C1, C2, C3에 각각 단일의 기능이 선택적으로 할당되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각 커스텀 키 C1, C2, C3에 각각 복수의 기능을 할당하도록 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커스텀 키 C1, C2, C3의 통상 누름와 오래 누름에서 서로 다른 기능을 할당하도록 하여도 된다. 상세하게는, 커스텀 키 C1, C2, C3의 압하 기간의 상위(장단)에 따라서 복수의 압하 상태(여기서는 통상 누름 상태 및 오래 누름 상태)를 구별하여 검출하고, 그 복수의 압하 상태의 각각에 대하여 서로 다른 기능을 할당 가능하게 되도록 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1초보다 긴 기간에 걸친 커스텀 키의 압하 상태를 「오래 누름 상태」라고 판정하고, 1초 이하의 짧은 기간에 걸친 커스텀 키의 압하 상태를 「통상 누름 상태」라고 판정하면 된다.
도 14는, 이러한 변형예에 관한 설정 변경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고, 도 15∼도 19는, 배면 모니터(12)에 표시되는 각종 화면 G22∼G26을 각각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 변형예에 따른 설정 변경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커스텀 키 C3」의 오래 누름 조작에 「재생 키」의 기능을 할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예시하지만, 다른 할당 동작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우선, 조작자가 메뉴 버튼(87)을 압하하면, 촬상 장치(1)는 배면 모니터(12)에 메뉴 화면 G11(도 8 참조)을 표시한다(스텝 SP21).
그 후, 조작자가, 복수의 선택지 중에서 원하는 선택지 즉 「커스텀 키 변경 」을 선택하면(스텝 SP22), 촬상 장치(1)는, 「커스텀 키 변경」을 행해야 한다는 취지의 지시 입력이 된 것으로 간주하고, 배면 모니터(12)에 화면 G22를 표시한다.
화면 G22에는, 현시점에서의 할당 상태가 표시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복수(여기서는 3개)의 커스텀 키 C1∼C3의 각각에 대하여, 통상 누름 상태에 대한 할당 내용과 오래 누름 상태에 대한 할당 내용이 표시되어 있다. 도 15에서는, 커스텀 키 C1의 통상 누름 상태에 대하여 「화면 사이즈」가 할당되어 있고, 커스텀 키 C1의 오래 누름 상태에 대하여 「스트로보」가 할당되어 있다. 또한, 커스텀 키 C2의 통상 누름 상태에 대하여 「WB」가 할당되어 있고, 커스텀 키 C2의 오래 누름 상태에 대하여 「메뉴」가 할당되어 있다. 또한, 커스텀 키 C3의 통상 누름 상태에 대하여 「ISO」가 할당되어 있고, 커스텀 키 C3의 오래 누름 상태에 대해서도 「ISO」가 할당되어 있다.
다음으로, 조작자는, 화면 G22 내에 표시되는 선택지 중에서, 멀티 셀렉터(83)를 이용하여, 변경 대상(커스터마이즈 대상)의 커스텀 키(여기서는 커스텀 키 C3)를 선택한다(스텝 SP23). 상기 선택 조작에 응답하여, 촬상 장치(1)는, 변경 대상으로서 선택된 커스텀 키를 특정하고, 이번에는, 변경 대상으로 되는 「압하 상태」를 선택하기 위한 화면 G23(도 16)을 배면 모니터(12)에 표시한다.
조작자는, 화면 G23에 표시되는 선택지 중에서, 멀티 셀렉터(83)를 이용하여, 변경 대상의 「압하 상태」(여기서는 「오래 누름」)를 선택한다(스텝 SP24). 상기 선택 조작에 응답하여, 촬상 장치(1)는, 변경 대상으로서 선택된 압하 상태를 특정하고, 이번에는, 할당 가능한 기능을 리스트 표시하는 화면 G24(도 17)를 배면 모니터(12)에 표시한다.
조작자는, 화면 G24에 표시되는 선택지 중에서, 멀티 셀렉터(83)를 이용하여, 할당해야 할 기능을 선택한다(스텝 SP25).
이 선택 조작에 응답하여, 촬상 장치(1)는, 할당 대상으로서 조작자에 의해 선택된 기능을 특정하고, 선택 내용을 확인하는 화면 G25(도 18)를 표시한다(스텝 SP26). 도 18의 화면 G25에서는, 「커스텀 키 C3의 오래 누름 조작에 재생 키를 어사인한다」고 하는 설정 내용이면 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는 취지가 표시되어 있다.
조작자에 의해 설정 내용이 올바르지 않다는 취지가 입력되면, 스텝 SP25로 되돌아가, 다시 할당 기능의 재선택 동작으로 이행한다. 한편, 조작자에 의해 설정 내용이 올바르다는 취지가 입력되면, 스텝 SP27로 진행한다
스텝 SP27에서는, 촬상 장치(1)는, 스텝 SP23에서 선택된 커스텀 키의 스텝 SP24에서 선택된 압하 상태에 대하여, 스텝 SP25에서 선택된 기능을 할당하기 위해서, 새로운 설정 내용을 기억한다. 구체적으로는, 불휘발성 메모리(135) 내에 기억되어 있던 설정 내용을 새로운 설정 내용으로 덮어써서, 설정 내용을 갱신한다. 그 후, 스텝 SP23으로 되돌아가면, 촬상 장치(1)는, 설정 변경 전의 설정 내용을 표시하는 화면 G22 대신에, 새로운 설정 내용을 표시하는 화면(설정 내용 확인용 화면) G26을 배면 모니터(12)에 표시한다.
그 후, 이 변형예에서는, 마찬가지로 하여, 각 커스텀 키 C1∼C3의 설정 변경 동작이 계속된다. 또한, 설정 변경 동작이 모두 완료되었을 때 혹은 설정 변경 동작을 중지할 때에는, 적당한 버튼을 압하하면 된다. 예를 들면, 셔터 버튼(11)이 압하되면, 상기 설정 동작은 종료되고, 배면 모니터(12)가 소등되어 촬영 준비 상태로 이행한다. 혹은, 메뉴 버튼(87)의 압하에 의해 메뉴 화면을 표시시켜 다른 설정 조작 등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설정 변경 동작이 종료되면, 각 커스텀 키 C1, C2, C3의 할당 내용이 변경되어 있다. 상기 설정 변경 후에는, 새로운 할당 내용에 의거하여, 각 커스텀 키 C1, C2, C3의 압하에 응답하여, 압하된 키에 대응하는 기능이 실행된다.
이상과 같은 변형예에 따르면, 어떤 시점에서 각 커스텀 키 C1, C2, C3의 각각에 대하여 복수의 기능을 할당할 수 있으므로, 오른손 엄지손가락에 의한 조작 가능 범위 내라고 하는 한정된 스페이스에 배치되는 한정된 수의 커스텀 키 C1, C2, C3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커스텀 키 C1, C2, C3을 배면 모니터(12)의 우측 주변 영역에 배치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학 파인더(10)보다도 우측, 보다 상세하게는 광학 파인더(10)의 우측 주변 영역에, 할당 기능의 커스터마이즈가 가능한 커스텀 키 C4를 배치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본원에서는, 각 조작 부재의 전체가 해당 영역에 존재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각 조작 부재의 중앙 부분 또는 주요 부분이 해당 각 영역에 존재하는 경우에도, 조작 부재가 어떤 영역 내에 배치되어 있다고 간주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어떤 하나의 기능 고정 조작 부재 N1에 복수의 기능이 모드 등에 따라 서 할당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기능 고정 조작 부재 N1에 할당된 복수의 기능의 모두를 모드 등에 따라서 커스텀 키에 할당하도록 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AE 록 버튼(85)에 할당된 3개의 기능, 구체적으로는, (통상 촬영 모드에서의) 「AE 록」 지시 기능과, (플래시 촬영 모드에서의) 「슬로우 싱크로」 절환 기능과, (재생 모드에서의) 「삭제」 지시 기능의 모두를, 각 모드에 따라서 커스텀 키 C3에 할당하도록 하여도 된다. 단,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기능 고정 조작 부재 N 1에 할당된 복수의 기능의 일부를 커스텀 키에 할당하도록 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AE 록 버튼(85)에 할당된 3개의 기능 중 「삭제」 기능만을 커스텀 키 C3에 할당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 등에서는, 할당 기능의 커스터마이즈가 가능한 조작 부재로서, 버튼식의 커스텀 키(커스텀 버튼)를 채용하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슬라이드 스위치 혹은 다이얼 등의 그 밖의 타입의 조작 부재를 채용하여도 된다.
도 1은 촬상 장치의 배면 외관도.
도 2는 촬상 장치의 상면 외관도.
도 3은 촬상 장치의 기능 블록도.
도 4는 촬상 장치의 배면을 도시하는 개념도.
도 5는 세로 위치 컨트롤 그립을 장착한 촬상 장치(가로 자세)를 도시하는 배면도.
도 6은 세로 위치 컨트롤 그립을 장착한 촬상 장치(세로 자세)를 도시하는 배면도.
도 7은 할당 기능의 설정 변경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8은 배면 모니터의 표시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배면 모니터의 표시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배면 모니터의 표시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배면 모니터의 표시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설정 변경 전의 설정 내용을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설정 변경 후의 설정 내용을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변형예에 관한 설정 변경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15는 배면 모니터의 표시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배면 모니터의 표시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17은 배면 모니터의 표시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18은 배면 모니터의 표시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19는 배면 모니터의 표시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20은 별도의 변형예에 따른 촬상 장치를 도시하는 배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촬상 장치
2: 카메라 본체부
3: 촬영 렌즈 유닛
7: 세로 위치 컨트롤 그립
10: 광학 파인더
11: 셔터 버튼
12: 배면 모니터
14: 그립부
72, 92: 모드 설정 버튼
73, 83: 멀티 셀렉터
74, 84: AF/MF 컨트롤 버튼
75, 85: AE 록 버튼
81: 메인 스위치
82, 91: 커맨드 다이얼
86: 재생 버튼
87: 메뉴 버튼
C1∼C4: 커스텀 키(커스텀 버튼)
AR1, AR2: 우량 조작성 영역
RR: 배면 우측 영역

Claims (15)

  1. 촬상 장치로서,
    소정의 기능이 고정적으로 할당된 제1 조작 부재와,
    할당 기능의 커스터마이즈가 가능한 제2 조작 부재
    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조작 부재는, 상기 촬상 장치의 표준 자세에서의 배면 우측 영역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조작 부재에 할당된 상기 소정의 기능은, 상기 제2 조작 부재에도 할당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장치의 배면에 설치된 광학 파인더
    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조작 부재는, 상기 광학 파인더보다도 우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장치의 배면에 설치된 표시부
    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조작 부재는, 상기 표시부보다도 우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작 부재는, 상기 배면 우측 영역 중 우측 주연부를 제외한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작 부재는, 상기 배면 우측 영역 중 상측 주연부를 제외한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작 부재는, 상기 촬상 장치의 표준 자세에서의 배면 우측 영역과 상기 촬상 장치의 세로 자세에서의 배면 우측 영역의 겹침 영역 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작 부재는, 상기 촬상 장치의 표준 자세에서의 배면 우측 영역 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작 부재 자체 혹은 그 주변 영역에는, 그 제1 조작 부재에 고정적으로 할당된 상기 소정의 기능을 나타내는 표시가 첨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작 부재는 버튼식 조작 부재이고,
    상기 버튼식 조작 부재의 압하 기간의 상위에 따라서 복수의 압하 상태가 구별하여 검출되고, 상기 복수의 압하 상태의 각각에 대하여 서로 다른 기능이 할당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0. 촬상 장치로서,
    소정의 기능이 고정적으로 할당된 제1 조작 부재와,
    할당 기능의 커스터마이즈가 가능한 제2 조작 부재
    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조작 부재는, 상기 촬상 장치의 표준 자세에서의 촬영에서 조작자가 그 촬상 장치를 오른손을 이용하여 파지할 때, 그 오른손의 오른손 엄지손가락 이외의 부분의 파지 상태를 실질적으로 변경하지 않고 그 오른손 엄지손가락의 관절을 움직임으로써 그 오른손 엄지손가락에 의한 조작이 가능한 범위인, 제1 영역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조작 부재에 할당된 상기 소정의 기능은, 상기 제2 조작 부재에도 할당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1. 제10에 있어서,
    상기 제2 조작 부재는, 상기 촬상 장치의 세로 자세에서의 촬영에서 조작자가 그 촬상 장치를 오른손을 이용하여 파지하는 파지 상태를 유지한 채 그 오른손의 엄지손가락에 의한 조작이 가능한 범위인 제2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의 겹침 영역 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작 부재는, 상기 제1 영역 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작 부재는, 상기 촬상 장치의 표준 자세에서의 배면 우측 영역 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작 부재 자체 혹은 그 주변 영역에는, 그 제1 조작 부재에 고정적으로 할당된 상기 소정의 기능을 나타내는 표시가 첨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작 부재는 버튼식 조작 부재이고,
    상기 버튼식 조작 부재의 압하 기간의 상위에 따라서 복수의 압하 상태가 구별하여 검출되고, 상기 복수의 압하 상태의 각각에 대하여 서로 다른 기능이 할당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KR1020070101417A 2006-10-10 2007-10-09 촬상 장치 KR200800330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76306A JP4254836B2 (ja) 2006-10-10 2006-10-10 撮像装置
JPJP-P-2006-00276306 2006-10-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3082A true KR20080033082A (ko) 2008-04-16

Family

ID=39298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1417A KR20080033082A (ko) 2006-10-10 2007-10-09 촬상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936396B2 (ko)
JP (1) JP4254836B2 (ko)
KR (1) KR20080033082A (ko)
CN (1) CN101163201A (ko)
TW (1) TW20083308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96257B2 (en) 2011-07-14 2019-12-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thereof
US10627919B2 (en) 2011-07-14 2020-04-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3405A (ja) * 2003-07-10 2005-02-03 Canon Inc 撮像装置
KR20100056265A (ko) * 2008-11-19 2010-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5218388B2 (ja) * 2009-12-25 2013-06-2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1239141A (ja) * 2010-05-10 2011-11-24 Sony Corp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情景メタデータ抽出装置、欠損補完情報生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602524B2 (ja) * 2010-07-13 2014-10-08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KR20130112626A (ko) * 2012-04-04 2013-10-14 삼성전자주식회사 미디어 기기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에 대한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 매체
JP5970937B2 (ja) * 2012-04-25 2016-08-17 ソニー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
USD738382S1 (en) * 2012-08-29 2015-09-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gital camera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39414S1 (en) * 2012-08-29 2015-09-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gital camera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57026S1 (en) * 2012-09-18 2016-05-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gital camera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38385S1 (en) * 2012-09-18 2015-09-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gital camera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JP2015034874A (ja) * 2013-08-08 2015-02-19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撮像装置
JP6188484B2 (ja) * 2013-08-19 2017-08-30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US9001250B2 (en) * 2013-09-11 2015-04-07 Omni Vision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ading image data from an image sensor
JP6381328B2 (ja) * 2014-07-22 2018-08-29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852368B2 (ja) * 2016-11-30 2021-03-31 株式会社リコー 撮影装置
JP2019086701A (ja) 2017-11-08 2019-06-06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20190052615A (ko) * 2017-11-08 2019-05-16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촬상 장치
JP2019106677A (ja) * 2017-12-14 2019-06-27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機器、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7077022B2 (ja) * 2018-01-09 2022-05-30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9193131A (ja) * 2018-04-26 2019-10-31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7026572B2 (ja) * 2018-05-16 2022-02-28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079886B1 (ja) 2021-11-01 2022-06-0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撮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812599C2 (de) * 1977-03-24 1983-09-15 Canon K.K., Tokyo Zubehöreinheit für eine Kamera
JP2547917Y2 (ja) * 1991-01-30 1997-09-17 旭光学工業株式会社 カメラ用グリップ
JPH1184500A (ja) * 1997-09-11 1999-03-26 Canon Inc カメラシステム
US7602424B2 (en) * 1998-07-23 2009-10-13 Scenera Technologi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ategorizing images in a digital camera
JP2002072330A (ja) * 2000-08-24 2002-03-12 Minolta Co Ltd カメラ
JP2002221746A (ja) 2001-01-29 2002-08-09 Seiko Precision Inc カメラ
JP2002262152A (ja) 2001-03-05 2002-09-13 Olympus Optical Co Ltd 電子カメラ
JP2002281373A (ja) 2001-03-15 2002-09-27 Olympus Optical Co Ltd 電子カメラ
JP4367897B2 (ja) * 2003-02-27 2009-11-1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表示制御装置及び方法
GB2409365B (en) * 2003-12-19 2009-07-08 Nokia Corp Image handling
JP2005189654A (ja) * 2003-12-26 2005-07-14 Konica Minolta Photo Imaging Inc 手振れ補正機構を備えたカメラ
KR100604320B1 (ko) * 2004-08-19 2006-07-24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효율적 재생 동작을 위한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JP4403405B2 (ja) 2005-01-13 2010-01-27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
KR100714703B1 (ko) * 2005-07-21 2007-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통합 디지털 장치
JP2007142884A (ja) * 2005-11-18 2007-06-07 Canon Inc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96257B2 (en) 2011-07-14 2019-12-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thereof
US10627919B2 (en) 2011-07-14 2020-04-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thereof
US10895967B2 (en) 2011-07-14 2021-01-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thereof
US11068077B2 (en) 2011-07-14 2021-07-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thereof
US11275487B2 (en) 2011-07-14 2022-03-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thereof
US11841995B2 (en) 2011-07-14 2023-12-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284856A1 (en) 2008-11-20
TW200833087A (en) 2008-08-01
TWI376147B (ko) 2012-11-01
CN101163201A (zh) 2008-04-16
JP2008098819A (ja) 2008-04-24
US7936396B2 (en) 2011-05-03
JP4254836B2 (ja) 2009-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54836B2 (ja) 撮像装置
US7831143B2 (en) Electronic device
JP4140181B2 (ja) 電子カメラ
JP4315214B2 (ja) 撮像装置
US20080062274A1 (en) Photographing Apparatus
CN108886565B (zh) 相机
JP6381328B2 (ja)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8092585A (ja) 電子カメラ
US8194167B2 (en) Imaging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JP2019193131A (ja)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6986918B2 (ja) 電子機器、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5959297B2 (ja) 撮影機器及び撮影支援方法
JP4892125B2 (ja) 電子スチルカメラ
JP6761228B2 (ja) 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JP7433854B2 (ja) 撮像制御装置、撮像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2007110434A (ja) カメラの撮影条件設定装置、カメラ、カメラの撮影条件設定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7134730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1344054A (ja) 表示入力ユニット、入力装置、入力方法、および撮像装置
JP7084769B2 (ja)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4077683B2 (ja) カメラ及び表示制御方法
CN110022436B (zh) 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和计算机可读介质
JP7210158B2 (ja)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7071197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7130900A (ja) 撮像装置
JP4930272B2 (ja) 撮像装置、補助機器および撮像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