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2805A - 산삼 배양근 분말이 함유된 건강보조식품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산삼 배양근 분말이 함유된 건강보조식품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2805A
KR20080032805A KR1020060098774A KR20060098774A KR20080032805A KR 20080032805 A KR20080032805 A KR 20080032805A KR 1020060098774 A KR1020060098774 A KR 1020060098774A KR 20060098774 A KR20060098774 A KR 20060098774A KR 20080032805 A KR20080032805 A KR 200800328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extract
weight
wild ginseng
ginseng ro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8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56567B1 (ko
Inventor
김명선
김태숙
Original Assignee
김명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선 filed Critical 김명선
Priority to KR1020060098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6567B1/ko
Publication of KR20080032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28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6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65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40Complete food formulations for specific consumer groups or specific purposes, e.g. infant formul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1Instant products; Powders; Flakes; Gran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30Dietetic or nutritional methods, e.g. for losing weigh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삼 배양근 분말 40~60 중량%, 천마 분말 8~12 중량%, 발아현미 추출물 6~8 중량%, 백출 추출물 6~8 중량%, 뽕잎 분말 5~8 중량%, 구운 마늘 분말 6~8 중량%, 화분 5~7 중량%, 울금 추출물 2~5 중량%, 석청 2~5 중량%를 함유한 혼합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혼합물 97~99 중량%에 납두균(納豆菌) 배양추출 농축액 분말 1~3 중량%를 첨가하여 환을 제조한 후 그 외부에 얇은 순금박을 입힌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삼 배양근 분말이 함유된 건강보조식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어진 건강보조식품은 산삼 배양근에 의한 효과뿐만 아니라 뽕잎, 화분 등과 같은 각종 첨가 성분들에 의해 강장 보양 효과가 상승될 뿐만 아니라 특히 납두균(納豆菌)을 배양한 추출농축액을 첨가함으로서 납두균에 의해 장내 부패균의 활동을 약화시킬 뿐만 아니라 장내의 유해물질을 흡착하고 배설시키는 작용을 하는 효과가 있고, 납두균이 생산하는 나토키나아제(Nattokinase)에 의한 혈전용해 작용을 하는 효과가 있으며, 그리고 환의 형태로 제조되어지기 때문에 간편하게 휴대하면서도 쉽게 복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장점이다.
산삼 배양근, 천마, 발아현미, 백출, 뽕잎, 구운 마늘, 화분, 납두균

Description

산삼 배양근 분말이 함유된 건강보조식품의 제조 방법{Method for make of Health Supplement Food containing Wild Ginseng root cultivated powder}
본 발명은 산삼 배양근 분말이 함유된 건강보조식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주성분인 산삼 배양근 분말과 천마, 마늘 등의 성분을 혼합시킨 혼합물에 발효균인 납두균(納豆菌)을 배양한 추출 농축액 분말을 함유시킨 후 환(丸)의 형태로 제조하여 그 표면에 순금으로 코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삼 배양근 분말이 함유된 건강보조식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로부터 산삼은 영약으로 알려져 왔으며, 근래에 들어 과학적인 방법에 의해 그 효능들이 밝혀지고 있다. 이러한 산삼은 인삼에는 함유되어 있지 아니한 다양한 종류의 사포닌들이 다량 함유되어 있고, 그 주된 효능으로 항산화활성, 항암작용 및 암예방작용, 기억력 증진작용, 간 보호작용, 항당뇨 효능, 미백활성효과, 성기능 개선효과 등을 들 수 있으나 이 같은 산삼은 그 가격이 고가이고, 대량 보급이 어렵기 때문에 산삼대신 산삼 배양근을 이용하여 오미자, 당귀 등의 약제와 함께 엑기스, 배양액 또는 분말 형태로 가공하여 건강보조식품으로 보급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산삼 배양근이 함유된 식품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472220호(2005. 2. 4 등록)로 자연산 산삼의 뿌리를 메론에서 분리한 아그로박테리움(AGROBACTERIUM)에 감염시켜 뿌리털을 유도한 후 배양한 모상근 또는 자연산 산삼의 뿌리를 조직배양으로 배양한 부정근을 101℃~200℃에서 1~24시간 동안 가압 추출한 산삼 배양근 추출물을 유효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 섬유화 개선용 식품이 등록되어 있으나 상기 특허의 경우에는 일반인들이 강장 보양 효과를 위해 섭취하는 건강보조식품이라기 보다는 간 섬유화 개선과 같은 특정 증상에 대한 회복을 위해 섭취하는 건강보조식품으로 그 섭취 대상이 제한적이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산삼 배양근에 뽕잎, 화분 등과 같은 각종 다양한 기능을 갖는 첨가제들을 혼합한 혼합물에 발효균인 납두균을 배양한 추출 농축액 분말을 첨가하여 일반 성인들의 강장 보양 효과뿐만 아니라 특히 본 식품에 함유된 납두균에 의해 장내 부패균의 활동을 약화시킬 뿐만 아니라 장내의 유해물질을 흡착하고 배설시키는 작용을 하고, 나토키나아제(Nattokinase)에 의한 혈전용해 기능을 가지며, 또한 상기 식품을 환의 형태로 제조하기 때문에 간편하게 휴대하면서도 쉽게 복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삼 배양근 분말이 함유된 건강보조식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주성분인 산삼 배양근 분말과 천마, 마늘 등의 성분을 혼합시킨 혼합물에 발효균인 납두균을 배양한 추출 농축액 분말을 함유시킨 후 그 표면에 순금으로 코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삼 배양근이 함유된 건강보조식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산삼 배양근 분말 40~60 중량%, 천마 분말 8~12 중량%, 발아현미 추출물 6~8 중량%, 백출 추출물 6~8 중량%, 뽕잎 분말 5~8 중량%, 구운 마늘 분말 6~8 중량%, 화분 5~7 중량%, 울금 추출물 2~5 중량%, 석청 2~5 중량%를 함유한 혼합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혼합물 97~99 중량%에 납두균(納豆菌) 배양 추출 농축액 분말 1~3 중량%를 첨가하여 환을 제조한 후 그 외부에 얇은 순금박을 입힌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삼 배양근이 함유된 건강보조식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산삼 배양근 분말은 인삼과는 달리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 Rh2, Rg2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사포닌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 며, 그 효능은 항산화활성, 항암작용 및 암예방 작용, 기억력증진 작용, 간보호 작용, 항당뇨 효능, 미백활성 효과, 성기능 개선 효과 등과 같이 다양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산삼 배양근 분말은 산삼 배양근을 30∼120℃에서 48±2시간 동안 건조시켜 제조한다. 이때 건조조건이 상기에서 정한 건조조건 미만이 될 경우에는 산삼 배양근이 충분히 건조되지 않고, 상기에서 정한 건조조건보다 초과할 경우에는 작업효율 및 경제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그리고 산삼 배양근 분말의 함유량은 40~60 중량%가 바람직한데, 그 사용량이 40 중량% 미만이 될 경우에는 주성분인 산삼 배양근 분말의 함유량 부족으로 인해 상기의 효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6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상기의 효능이 현저히 향상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다른 성분의 첨가제가 인삼 배양근 분말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게 함유될 우려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건강보조식품은 인체에 각종 보양 및 강장 효과를 주기 위해 다음과 같은 성분의 첨가제를 다양하게 혼합한다.
식욕부진이나 정력증강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천마 분말 8~12 중량%, 백미에 비해 식물성 단백질, 지방질, 무기질, 식이섬유, 칼슘, 인, 철, 비타민류 등의 함량이 높으며, 발아할 때 γ-aminobutyric acid(GABA), 비타민, 아미노산, 효소, SOD, arabinoxilan, γ-orizanol 등의 성분이 증가되어 자연치유력을 높아지고 몸 안의 해독역할과 성인병 예방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진 발아현미 추출물 6~8중량%, 위장을 튼튼하게 하고 비장을 안정시키기 때문에 체기를 물리치는 효능이 있다고 알려진 백출 추출물 6~8 중량%, 혈당, 콜레스테롤, 혈압 등을 낮춰주고, 그리고 변비예방, 노화방지, 다이어트 등에 대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뽕잎 분말 5~8 중량%, 매운 맛도 없고 맛이 고소하며, 인체에 필요한 호르몬을 생산하는데 필요한 원료를 보충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구운 마늘 분말 6~8 중량%, 소화가 촉진되고, 변비나 습관적인 설사가 개선되며, 혈중 헤모글로빈이 증가해 빈혈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화분 5~7 중량%, 생강과 식물로서 간장의 해독기능 작용, 이뇨 작용, 콜레스테롤의 억제작용 등이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울금 추출물 2~5 중량%, 일반 토종꿀에 비해 게르마늄, 토코페롤, 칼슘 및 칼륨이 풍부하게 들어 있고, 몸의 허열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며, 암, 아토피성 피부염, 십이지장궤양, 중풍, 간염, 두통, 변비, 만성신경통, 야맹증 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석청 2~5 중량%를 각각 첨가한다. 상기 첨가제들은 각 성분의 첨가제가 적절하게 혼합되어 각각의 효능을 적절히 나타낼 수 있도록 상기의 사용량 범위 내에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화분은 식물의 꽃에서 꽃가루를 수집하여 꿀벌의 어금니에서 분비한 파로틴과 타액을 섞은 입자로서, 유채꽃, 동백꽃, 복숭아꽃, 진달래꽃, 아카시아, 벚꽃, 찔레꽃, 호박꽃, 밤나무 꽃, 싸리나무, 산딸기, 메밀꽃, 해바라기 꽃, 버들, 민들레꽃, 사과 꽃 중에서 1종 또는 그이상의 꽃에서 수집된 화분 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화분은 반드시 상기에서 열거한 종류의 꽃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필요에 따라서는 다른 종류의 꽃에서도 선택되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발아현미, 백출 및 울금의 추출물은 다음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어진다. 발아현미, 백출 및 울금을 각각 1kg씩을 채취하여 물 5ℓ를 부어 달인 후 이 물이 줄어들면 다시 끓인 물을 5ℓ 부으면서 약한 불로 4일 동안 달인 다음 50~100 메시의 체로 걸러내어 그 찌꺼기는 버리고 남은 즙이 다시 반으로 줄어들 때까지 달여서 추출물로 사용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산삼 배양근과 천마, 마늘 등의 성분을 혼합시킨 혼합물 97~99 중량%에 납두균 배양 추출 농축액 분말 1~3 중량%를 첨가하여 환을 제조하여 그 표면에 순금으로 코팅한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은 산삼 배양근과 천마, 마늘 등의 성분을 혼합시킨 혼합물에 납두균을 배양 추출한 농축액을 첨가함으로서, 발효균으로 납두균이라 불리우는 바실루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는 단백질 분해효소의 작용에 의하여 아미노산을 생성하는 역할 뿐만 아니라 장내 부패균의 활동을 약화시키고, 장내의 유해물질을 흡착하고 배설시키는 작용을 하며, 나토키나아제(Nattokinase)에 의한 혈전용해 작용을 한다. 납두균 배양추출 농축액의 사용량은 1~3 중량%가 바람직한데, 그 사용량 이 1 중량% 미만이 될 경우에는 납두균의 부족으로 인해 상기의 효과가 충분히 나타나지 않을 우려가 있고, 3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납두균 배양추출 농축액의 사용량 증가에 비례하여 그 효과가 현저히 상승하지 않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각 성분들을 혼합하여 환(丸)의 형태로 제조하여 그 외부 표면에 얇은 순금박 또는 순금 분말로 코팅을 하는데, 여기서 순금은 환(丸)의 구성성분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신경안정, 해독, 피부정화 등의 역할을 한다. 이때 순금의 코팅양은 특별히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필요에 따라 적절히 조절되어 질 수 있다.
상기에서 사용되는 각종 첨가제의 분말은 입자의 크기가 150~200 메쉬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분말 입자의 크기가 상기에서 정한 입자 크기의 범위보다 작을 경우에는 입자의 크기를 더욱 작게 할 경우에는 제조원가의 상승으로 인해 경제성이 떨어지고, 그리고 분말 입자의 크기가 상기에서 정한 입자 크기의 범위보다 클 경우에는 환(丸)의 형태로 제조하기 위해 상기 각 첨가물의 분말을 혼합시킬 경우 각 첨가제들이 골고루 혼합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순금박을 사용할 경우에는 순금박의 두께가 0.1~03 ㎛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두께가 상기에서 정한 범위의 두께보다 얇을 경우에는 제조원가의 상승으로 인해 경제성이 떨어지고, 상기에서 정한 범위의 두께보 다 두꺼울 경우에도 금박의 함량 과다로 인한 경제성이 저하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순금박은 반드시 상기의 두께에만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필요에 따라 적절한 두께의 것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을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 산삼 배양근 혼합물의 제조
산삼 배양근 분말 500g, 천마 분말 100g, 발아현미 추출물 70g, 백출 추출물 80g, 뽕잎 분말 70g, 구운 마늘 분말 60g, 화분 60g, 울금 추출물 30g, 석청 30g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분말 입자의 크기는±200 메쉬의 크기에 해당되는 입자를 사용하였다.
2. 발아현미 추출물, 백출 추출물, 울금 추출물의 제조
발아현미, 백출 및 울금을 각각 1kg씩을 채취하여 물 5ℓ를 부어 달인 후 이 물이 줄어들면 다시 끓인 물을 5ℓ 부으면서 약한 불로 4일 동안 달인 다음 50~100 메시의 체로 걸러내어 그 찌꺼기는 버리고 남은 즙이 다시 반으로 줄어들 때까지 달여서 추출물로 사용한다.
3. 환(丸)의 제조
상기 혼합물 97g을 채취한 후 여기에 납두균 배양 추출 농축액 분말 1g을 첨가하여 환을 제조한 후 180±200 메쉬 입자 크기의 순금 분말로 코팅한다.
[실시예 2]
실시예 1의 혼합물 98g을 채취한 후 여기에 납두균 배양 추출 농축액 분말 2g을 첨가하여 환을 제조한 후 180±200 메쉬 입자 크기의 순금 분말로 코팅한다.
[실시예 3]
실시예 1의 혼합물 97g을 채취한 후 여기에 납두균 배양 추출 농축액 분말 3g을 첨가하여 환을 제조한 후 180±200 메쉬 입자 크기의 순금 분말로 코팅한다.
[비교예 1]
실시예 1의 혼합물 99.5g을 채취한 후 여기에 납두균 배양 추출 농축액 분말 0.5g을 첨가하여 환을 제조한 후 180±200 메쉬 입자 크기의 순금 분말로 코팅한다.
[비교예 2]
실시예 1의 혼합물 96g을 채취한 후 여기에 납두균 배양 추출 농축액 분말 4g을 첨가하여 환을 제조한 후 180±200 메쉬 입자 크기의 순금 분말로 코팅한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2에 대한 납두균의 생존균수에 대한 시험 결과는 아래 [표 1]과 같다.
[표 1]
성 능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전체 생존균수 (×108 CFU/mL) 18.2 36.9 60.8 7.3 70.6
1. 납두균(Bacillus subtilis)의 생존균수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2의 환(丸)을 5g씩을 무균적으로 취한 후 멸균생리식염수 50 ㎖에 첨가하여 35℃ 에서 24시간 침지시킨 후 시험용액으로 하였다. 이 용액을 단계 희석법으로 멸균수에 희석한 후 0.1ml씩 각각 채취하여 TSA(Trypitic soybean agar)평판배지에서 37℃에서 48시간 배양한 후 생균수를 측정하였다.
납두균인 바실루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의 생존균수를 측정한 결과 실시예 1 내지 3은 18.2~60.8 × 108 CFU/mL인데 반해 비교예 1은 본 발명의 혼합물에 납두균 배양추출 농축액을 적정 첨가량에 비해 소량을 첨가함에 따라 납두균의 생존균수가 7.3 × 108 CFU/mL로 실시예 1 내지 3에 비해 상대적으로 대단히 적게 나타났으며, 비교예 3의 경우에는 본 발명의 혼합물에 납두균 배양추출 농축 액을 적정 첨가량에 비해 과량을 첨가함에도 불구하고 납두균의 생존균수가 70.6 × 108 CFU/mL로서 실시예 1 내지 3에 비해 그다지 높게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상기의 실시예 1~3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어진 산삼 배양근이 함유된 건강보조식품은 식품 자체 내에 다량의 납두균이 함유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뽕잎, 화분 등과 같이 보양 강장 효과가 상승될 수 있는 각종 성분들이 함유되어 있어 다양한 연령층의 소비자들에게 적용될 수 있는 건강보조식품으로 쓰일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 드린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그 물성의 우수성이 입증되었지만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에 의해서만 반드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어진 건강보조식품은 산삼 배양근에 의한 효과뿐만 아니라 뽕잎, 화분 등과 같은 각종 첨가 성분들에 의해 강장 보양 효과가 상승될 뿐만 아니라 특히 납두균(納豆菌)을 배양한 추출 농축액 분말을 첨가함으로서 납두균에 의해 장내 부패균의 활동을 약화시킬 뿐만 아니라 장내의 유해물질을 흡착하고 배설시키는 작용을 하는 효과가 있으며, 그리고 환의 형태로 제조되어지기 때문에 간편하게 휴대하면서도 쉽게 복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장점이다.

Claims (3)

  1. 산삼 배양근 분말 40~60 중량%, 천마 분말 8~12 중량%, 발아현미 추출물 6~8 중량%, 백출 추출물 6~8 중량%, 뽕잎 분말 5~8 중량%, 구운 마늘 분말 6~8 중량%, 화분 5~7 중량%, 울금 추출물 2~5 중량%, 석청 2~5 중량%를 함유한 혼합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혼합물 97~99 중량%에 납두균 배양 추출 농축액 분말 1~3 중량%를 첨가하여 환을 제조한 후 그 외부에 얇은 순금박을 입힌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삼 배양근 분말이 함유된 건강보조식품의 제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아현미 추출물, 백출 추출물, 울금 추출물은 각각 발아현미, 백출 및 울금을 각각 1kg씩을 채취하여 물 5ℓ를 부어 달인 후 이 물이 줄어들면 다시 끓인 물을 5ℓ 부으면서 약한 불로 4일 동안 달인 다음 50~100 메시의 체로 걸러내어 그 찌꺼기는 버리고 남은 즙이 다시 반으로 줄어들 때까지 달여서 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삼 배양근 분말이 함유된 건강보조식품의 제조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은 유채꽃, 동백꽃, 복숭아꽃, 진달래꽃, 아카시아, 벚꽃, 찔레꽃, 호박꽃, 밤나무 꽃, 싸리나무, 산딸기, 메밀꽃, 해바라기 꽃, 버들, 민들레꽃, 사과 꽃 중에서 1종 또는 그이상의 꽃에서 수집된 화분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삼 배양근 분말이 함유된 건강보조식품의 제조 방법.
KR1020060098774A 2006-10-11 2006-10-11 산삼 배양근 분말이 함유된 건강보조식품의 제조 방법 KR1008565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8774A KR100856567B1 (ko) 2006-10-11 2006-10-11 산삼 배양근 분말이 함유된 건강보조식품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8774A KR100856567B1 (ko) 2006-10-11 2006-10-11 산삼 배양근 분말이 함유된 건강보조식품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2805A true KR20080032805A (ko) 2008-04-16
KR100856567B1 KR100856567B1 (ko) 2008-09-04

Family

ID=39573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8774A KR100856567B1 (ko) 2006-10-11 2006-10-11 산삼 배양근 분말이 함유된 건강보조식품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65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30915A (zh) * 2017-12-20 2018-05-15 阮小军 具有抗血栓作用的纳豆激酶组合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85308B (zh) * 2012-10-15 2016-03-09 北京伊甸乐生物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五味养元膏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0017A (ko) * 1996-10-29 1998-07-25 김영한 건강 식품의 제조 방법
KR20040026273A (ko) * 2002-09-23 2004-03-31 김우영 치매에 효과적인 건강보조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485515B1 (ko) * 2002-09-27 2005-04-27 주식회사 지엔에프 뽕잎을 이용한 건강식품 제조방법
KR20040050671A (ko) * 2002-12-10 2004-06-16 권오태 산삼성분이 함유된 기능성식품 제조
KR20040034326A (ko) * 2003-03-03 2004-04-28 (주)바이오피아 산삼 배양근 추출물을 함유한 건강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62692A (ko) * 2004-12-06 2006-06-12 주식회사 씨비엔바이오텍 사포닌 함량이 높은 산삼배양근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그용도
KR20060107485A (ko) * 2006-09-25 2006-10-13 권오태 산삼배양근 청국장, 산삼배양근 가루청국장. 및산삼배양근환 청국장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30915A (zh) * 2017-12-20 2018-05-15 阮小军 具有抗血栓作用的纳豆激酶组合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6567B1 (ko) 2008-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13064B (zh) 乳仔猪用植物提取物饲料添加剂
CN103704623B (zh) 一种玛卡发酵营养食品
KR101860207B1 (ko) 약모밀을 주성분으로 하는 기능성 돼지 사료 첨가제
KR20180137174A (ko) 발모 촉진, 탈모 완화 및 개선용 건강보조식품
KR102042798B1 (ko) 천연 원료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환의 제조방법
KR20160036776A (ko) 생약 및 적색셰일의 혼합건조물을 함유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KR102197395B1 (ko) 황칠나무 발효 추출물과 매생이 발효 추출물이 혼합 조성된 숙취 해소 복합 발효 추출물의 제조방법
KR20080032805A (ko) 산삼 배양근 분말이 함유된 건강보조식품의 제조 방법
KR102376726B1 (ko) 건강기능성 펫푸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12230B1 (ko) 면역력 및 혈액순환 개선 기능을 갖는 관절염 치료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0509983B1 (ko) 성장촉진용 건강보조식품 조성물
KR100538536B1 (ko) 함초가 혼합된 미용팩 제조방법
KR20050115836A (ko) 현미배아,소맥배아, 발아현미등 각종영양재료를 주제로한균형식품
KR101960037B1 (ko) 홍삼 혼합 농축액을 함유하는 스틱 형태의 홍삼 제품의 제조방법
KR102211523B1 (ko) 건강식품용 환 및 그 제조방법
KR102202065B1 (ko) 항균식물 복합 발효액을 이용한 고추장 제조방법
CN113072406A (zh) 一种阻止水稻吸收重金属的植物发酵提取物及其制备方法
CN113040177A (zh) 一种降解农作物农药残留的植物发酵提取物及其制备方法
KR102016609B1 (ko) 커피부산물, 숯분말 및 미생물제제를 포함하는 포도재배용 식물영양제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00382A (ko) 죽력 소금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함유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
RU2452242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биологически активной пищевой добавки
KR101079643B1 (ko) 신장 기능 강화용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1366504B (zh) 一种养生食品及其制作方法
CN105961975B (zh) 一种含有小球藻生长因子的功能饮料及其制备方法
CN108522753A (zh) 一种补肾壮阳保健茶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