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2230B1 - 면역력 및 혈액순환 개선 기능을 갖는 관절염 치료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면역력 및 혈액순환 개선 기능을 갖는 관절염 치료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2230B1
KR101512230B1 KR1020130065759A KR20130065759A KR101512230B1 KR 101512230 B1 KR101512230 B1 KR 101512230B1 KR 1020130065759 A KR1020130065759 A KR 1020130065759A KR 20130065759 A KR20130065759 A KR 20130065759A KR 101512230 B1 KR101512230 B1 KR 1015122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mposition
parts
mixture
hou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5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3952A (ko
Inventor
백일광
Original Assignee
백일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일광 filed Critical 백일광
Priority to KR1020130065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2230B1/ko
Publication of KR20140143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39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2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22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4Acanthopanax or Eleutherococ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1Amaranthaceae (Amaranth family), e.g. pigweed, rockwort or globe amaran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4Atractyl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6Carthamus (distaff thist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4Glycyrrhiza (licor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6Phellodendron, e.g. corktr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9Complex extraction schemes, e.g. fractionation or repeated extraction steps

Abstract

본 발명은 면역력 및 혈액순환 개선 기능을 갖는 관절염 치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가피, 황백, 창출, 골담초, 우슬, 홍화씨, 현삼, 감초를 섞은 혼합물과 상기 혼합물의 중량의 90~100배 중량의 물을 상기 혼합물과 함께 넣어 75~85도에서 12시간 동안 끓여서 발효용 조성액을 추출하는 제1단계와 쌀을 씻어 4시간(하절기) ~ 6시간(동절기) 정도의 시간으로 불려 술밥을 제조한 다음에 상기 술밥에 누룩과 효모를 섞어 발효통에 넣어 쌀과 누룩을 합친 중량의 120 중량부의 상기 제1단계에서 추출된 조성액을 섞어주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조성된 조성물을 23도 ~ 27도에서 30일간 발효시키고 발효가 끝나면 상기 조성물에서 술밥과 누룩을 거름망에 걸러 조성물의 발효액을 완성하는 제3단계와 상기 효소의 알콜 및 수분을 제거하고 홍삼박과 상기 3단계에서 제조된 발효액을 같은 비율로 섞어 건조기에 투입한 후, 35~45도에서 4시간 가량 1차 건조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4단계에서 1차 건조된 조성물과 상기 3단계에서 제조된 발효액을 같은 비율로 섞어 2차 건조하는 제5단계와 상기 5단계를 반복하는 제6단계와 상기 6단계에 의하여 건조된 조성물을 분쇄기로 제분한 후, 상기 분쇄된 조성물의 무게의 절반 무게의 발효액을 추가로 섞어 제환기로 하여금 3mm미터의 크기로 제환하는 제7단계와 상기 제7단계에서 제환된 조성물을 건조기에 넣고 35~45도에서 7시간 가량 건조하는 제8단계와 상기 8단계에서 완성된 환 형태의 조성물을 포장하는 제9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환(丸) 형태로 제조됨으로서 복용의 편의를 가져다 줄수 있고 관절염 개선과 부종으로 인한 부기를 완화시켜줄 뿐만 아니라 류머티스 관절염의 개선과 요통, 협착증, 좌골 신경통을 개선시킬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면역력 및 혈액순환 개선 기능을 갖는 관절염 치료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Arthritis Remedy Composition and manufacture method having immunity and the circulation of the blood improvement fuction}
본 발명은 면역력 및 혈액순환을 개선하고 관절염 치료에 효과가 있는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관절을 건강하게 만드는 관절염 치료에 효과가 있는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절염의 치료에는 코르티손 및 다른 부신피질 호르몬과 같은 스테로이드게, 아스피린, 피록시캄 및 인도메타신과 같은 비스테로이드계 항염증제, 오로타이오능금산과 같은 금작용제, 클로로퀴논제제 및 D-페니실아민과 같은 항류마티스제, 콜치신과 같은 통풍억제제, 및 시클로포스프아미드, 아자티오프린, 메토트렉세이트 및 레바미솔과 같은 면역 억제제를 포함하여 다양한 작용제로 화학요법으로 치료되어 왔다.
그러나, 위에서 언급한 치료제들은 근원적인 치료법이 아니며, 스테로이드 호르몬제가 관절염 치료제로 알려지면서 많이 사용되기도 했으나, 그 부작용이 명백해짐에 따라 그 사용은 어렵게 되었다.
또한, 관절염, 특히 만성 류마티스 관절염은 환자에게 심한 통증을 유발하므로 반드시 항염증제 등을 복용하여야만 하며, 지금까지 이러한 통증을 완화시키거나 관절의 종창을 제거하는 약제로서 아스피린제 및 브타졸린제 등이 오랫동안 널리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아스피린 등은 사람의 위에 치명적인 영향을 주므로 관절염을 치료하는데 필요한 양을 계속적으로 복용하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관절염 치료에 효능이 있는 조성물로 이루어진 환(丸)형식의 약제가 필요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공개특허 제2009-0074475호에서는 자연 그대로의 약재를 사용함으로, 음용자의 정상세포에는 독성을 보이지 않고, 양약 관절치료제의 장기간 복용시 나타나는 속쓰림, 위출혈, 위 천공 등 위장질환에 대한 부작용이 적으며, 면역체계 활성화를 시켜 퇴행성 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갑상선 예방 및 치료에 효과가 있는 한방생약 관절치료제의 제조방법을 선보인 바 있다.
이밖에도, 공개특허공보 제2001-84485호의 신경통, 관절염의 한방치료완화제 제조방법, 공개특허 제2001-67023호의 골다공증, 관절통, 관절염 치료제 및 그 제조방법 등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조성물을 환(丸)형태로 만들어 복용의 간편함과 더불어 골관절염의 개선에 효과가 있으며 류마티스 관절염 뿐만이 아닌 일반적인 관절통의 치료에도 효험이 있는 면역력 및 혈액순환 개선 기능을 갖는 관절염 치료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오가피, 황백, 창출, 골담초, 우슬, 홍화씨, 현삼, 감초를 섞은 전체 중량의 90-100배 중량의 물을 넣고 75~85도에서 12시간 동안 끓여서 발효용 조성액을 추출하는 제1단계와 쌀을 씻어 4시간(하절기) ~ 6시간(동절기) 정도의 시간으로 불려 술밥을 제조한 다음에 상기 술밥에 누룩과 효모를 섞어 발효통에 넣어 쌀과 누룩을 합친 무게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제1단계에서 추출된 조성액 120 중량부를 섞어주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조성된 조성물을 20℃ ~ 30℃에서 30일간 발효시키고 발효가 끝나면 상기 조성물에서 술밥과 누룩을 거름망에 걸러 조성물의 발효액을 완성하는 제3단계와 상기 3단계에서 제조된 발효액과 홍삼박을 같은 비율로 섞어 건조기에 투입한 후, 35~45도에서 4시간 가량 1차 건조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4단계에서 1차 건조된 조성물과 상기 3단계에서 제조된 발효액을 같은 비율로 섞어 2차 건조하는 제5단계와 상기 5단계를 반복하는 제6단계와 상기 6단계에 의하여 건조된 조성물을 분쇄기로 제분한 후, 상기 분쇄된 조성물의 무게의 절반 무게의 발효액을 추가로 섞어 제환기로 하여금 3mm미터의 크기로 제환하는 제7단계와 상기 제7단계에서 제환된 조성물을 건조기에 넣고 35~45도에서 7시간 가량 건조하여 완성하는 제8단계와 상기 8단계에서 완성된 환 형태의 조성물을 포장하는 제9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1단계는 오가피 25-35중량부, 황백 10-14중량부, 창출 10-14중량부, 골담초 10-14중량부, 우슬 10-14중량부, 홍화씨 10-14중량부, 현삼 5-9중량부, 감초 2-4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단계에서 누룩은 쌀 중량의 12 중량부이고, 상기 효모는 쌀 중량의 1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력 및 혈액순환 개선 기능을 갖는 관절염 치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또한, 상기 제3단계에서 조성물의 알콜 도수는 16 ~ 1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6단계에서 반복되는 횟수는 충분히 효소가 농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5 - 7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8단계에서 제환된 조성물은 수분함량이 전체의 10 중량%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조성물은 관절염의 치료 및 예방에 효과가 있으며, 기존의 화학적 치료에 대체하여 부작용이 없으면서, 탁월한 효능의 관절염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환(丸)제로 제조하여 간편한 복용이 가능하며, 건강기능식품 및 의약품으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제조방법의 흐름도.
그러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성으로 사용되는 주요 성분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홍삼박은 홍삼 농축액을 추출, 여과 후 생기는 부산물을 말한다. 통상적으로 상기 홍삼박은 산업적으로 동물 사료 또는 퇴비로 이용되거나 대부분은 폐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홍삼박을 이용함으로써 홍삼 잔여물의 재활용성을 확보하였으며, 원료절감을 할 수 있었고, 또한 홍삼의 효용을 증대시키는 효과도 가질 수 있었다.
상기 홍삼박에는 면역력 강화, 생체리듬 활성화, 스테미너 강화, 사료 섭취율 증진 효능이 있는 홍삼사포닌 및 산성다당체 등의 유효 성분들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첨가제의 원료로 사용되기에 적합하다.
오가피는 학명으로 아칸토파낙스로 아칸토=가시나무, 파낙스=만병을 다스린다 라는 의미로 알려져 있다. 상기 오가피는 혈액순환(청혈작용: 피를 맑고 깨끗하게 해줌)과 염증제거에 탁월(증이염, 비염, 전립선염, 위염, 관절염, 장염, 아토피염등)하며, 생리통, 두통, 편두통, 치통과 같은 진통의 완화를 해줄 수 있고 신경계통에 탁월, 체지방 분해효과가 있으며, 유해 산소를 제거하여 노화 억제에 탁월한 효능이 있다.
황백(黃柏)은 나무껍질을 의미하며 속겁질이 노란색이라 황백이라는 이름을 붙혔으며, 열을 내리고 습을 없애며 해독작용을 하고 혈압과 혈당을 내리며 장관 수축작용을 증강시키고 일정한 근육 이완작용을 나타내며 거담작용을 일으키는 특징이 있다.
창출은 국화과 여러해 살이의 풀로, 한방에서는 뿌리 줄기를 발한(發汗), 진통, 이뇨, 건위 등에 효능이 있으며, 식욕부진, 소화불량, 감기, 위장염 등에 사용되는 한약재이다.
골담초는 뼈를 붙히는 풀이라는 의미로 콩과에 속한 낙옆소관목으로, 한방에서 뿌리를 금작근, 꽃을 금작화라는 약명으로 사용한다. 금작근은 쓰고 매우며 무독하고, 금작화는 달고 조금 따뜻하다. 주로 작용하는 장기는 폐장과 비장이다.
골담초의 효능은 금작근은 기운을 보하고 소변을 잘 나오게 하는 보기이뇨(補氣利尿)작용과 혈액순환을 도와서 통증을 다스리는 활혈지통(活血止痛)작용을 가지고 있으며, 금작화는 음기를 보하는 자음(滋陰)작용과 혈액순환과 소화기능을 도우는 활혈건비(活血健脾)작용이 있다.
우슬은 비름과에 속하는 다년생 풀인 쇠무릎풀(Achyranthes japonica Nakai)의 뿌리를 말린 것이다. 각지의 산기슭과 길섶, 들판에서 자라며 심기도 한다. 가을에 뿌리를 캐서 물에 씻어 햇볕에 말려 사용하며, 맛은 쓰고 시며 성질은 평하다. 간경, 신경에 작용한다. 피를 잘 돌게 하고 어혈을 없애며 월경을 통하게 하고 뼈마디의 운동을 순조롭게 하며, 실험에서 자궁수축작용, 이뇨작용, 항알레르기작용, 억균작용 등이 밝혀졌다.
홍화씨는 홍화의 씨를 일컫는 것으로, 홍화는 국화과에 속하는 일년생 화초이다. 잎이나 꽃받침에 날카로운 가시가 붙어있어 왜종과 외관상 쉽게 구별할 수 있다. 홍화잎은 예로부터 옷감염료나 연지, 입술화장품으로 이용 되었으며, "신약본초"에 의하여 홍화씨가 좋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뼈질환(골다공증)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약재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홍화씨의 성분은 지질, 포화지방산, 콜레스트롤, 전분, 식이섬유, 포도당, 열량, 단백질, 비타민A, 비타민C, 나트륨, 칼슘, 철분 등으로 관절염 개선, 골다공증 개선, 생리불순/생리통, 신경통 치료, 고혈압치료에 효능이 있다.
현삼은 모든 신체의 기를 통솔하여 위 아래로 다니면서 시원하고 깨끗이 하며 신체 전반의 기의 흐름을 돕는다. 청열의 효능으로 열로 인한 질병이나 풍이 신체 안으로 들어와서 생기는 질병에는 그 열은 내려서 질병의 뿌리를 치료한다. 현삼은 차갑고 짠맛의 약이기 때문에 몸의 진액 부족과 이로 인하여 생기는 입이 마르고 목이 타는 증상과 인후가 아프고 통증이 있을 때 이용되며 해독작용이 있으므로 장에 생기는 종기와 림프샘을 따라서 생기는 멍울등을 치료하며 피부질환에도 사용된다. 현삼은 신장에 작용하여 신장의 기능을 도와서 열이 위로 치밀어 오르는 것을 막는 동시에 음기를 보하는 작용이 있어서 신장의 기능 쇠약으로 인한 열증에 많이 이용된다.
감초는 콩과식물로 맛은 달고, 폐를 윤택하게 하며 해독하고 모든 약물들을 조화를 이루게 하며 냄새를 제거하여 몸을 향기롭게 하며, 거의 모든 한약조제에 빼놓지 않고 들어가는 약제이다. 감초의 효능으로는 고급모발용 혹은 피부용화장품, 약초곡물팩에 쓰여 피부를 보호하고 피부에 영양을 공급하는데 그 치료 효능이 뛰어나며 목욕제품에 쓰이는 한방원료 중 그 효능이 가장 뛰어난 약물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관한 실시예를 도면을 첨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원재료인 오가피, 황백, 창출, 골담초, 우슬, 홍화씨, 현삼, 감초를 준비하여 선별한 후, 이물질을 제거하고 세척한다.
상기 준비된 원재료는 오가피 25-35중량부, 황백 10-14중량부, 창출 10-14중량부, 골담초 10-14중량부, 우슬 10-14중량부, 홍화씨 10-14중량부, 현삼 5-9중량부, 감초 2-4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오가피, 황백, 창출, 골담초, 우슬, 홍화씨, 현삼, 감초를 섞은 혼합물과 상기 혼합물의 중량의 90~100배 중량의 물을 상기 혼합물과 함께 넣어 75~85℃에서 12시간 동안 끓여서 발효용 조성액을 추출하는 과정을 거친다. (1단계)
그 다음에, 쌀을 씻어 4시간(하절기) ~ 6시간(동절기) 정도의 시간으로 불려 술밥을 제조한 다음에 상기 술밥에 누룩과 효모를 섞어 발효통에 넣어 쌀과 누룩을 합친 무게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제1단계에서 추출된 조성액 120 중량부를 섞어주는 것이다. (2단계)
여기서, 상기 2단계에서 상기 누룩은 쌀 중량의 12 중량부이고, 상기 효모는 쌀 중량의 1 중량부로 한다.
상기 추출된 조성액을 20℃ ~ 30℃에서 30일간 발효시켜서 술밥과 누룩을 거름망에 걸러내는 작업을 거쳐, 조성물의 발효액을 제조한다. (3단계)
또한, 상기 3단계에서 제조된 조성물의 알콜 도수는 16 ~ 17가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3단계에서 제조된 효소와 홍삼박을 같은 비율인 1:1로 섞어서 건조기에 투입하고 난 후, 35~45℃에서 4시간 가량 1차 건조를 한다. (4단계) 이를 설명하면, 가령 상기 3단계에서 제조된 효소가 50g일 경우, 같은 질량의 홍삼박 50g을 함께 섞어 건조기에 투입하여 건조시키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상기 1차 건조된 조성물과 발효액을 1:1로 섞어 2차 건조한다.(5단계)
상기 1차 건조된 조성물과 효소(3단계에서 제조)를 같은 비율로 섞어 다시 건조하는 상기 5단계를 반복하여 상기 효소가 반복 건조되어 고형화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6단계)
여기서, 상기 6단계에서 반복(1차 건조된 조성물과 발효액을 같은 비율로 섞어 다시 건조)하는 횟수는 충분히 효소가 농축이 되도록 하기 위하여 5-7회 정도의 횟수로 반복을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6단계에 의하여 건조된 조성물을 분쇄기로 제분 한 후, 상기 분쇄된 조성물의 무게의 절반의 추출원액을 추가로 섞어 제환기로 하여금 3mm미터의 크기로 제환(製丸)한다. (제7단계)
상기 제환된 조성물을 건조기에 넣고 35 ~ 45℃에서 7시간 가량 건조하는 것이다. (제8단계) 상기 8단계에서 제환된 조성물은 수분함량이 전체의 10 중량% 미만이 되도록 열풍 건조기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장시간 건조시키는 것이다.
최종적으로, 상기 제환된 환(丸) 형태의 조성물을 포장하여 완성하는 것이다. (제9단계)
상기와 같이 건조된 환약을 PET 폴리에틸렌 위생 용기 등에 진공 포장을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포장은 일일 기준량 7g을 기준으로 1개월분 210g을 하나의 팩으로 포장시켜서 복용시 사용자가 약의 갯수를 확인하지 않고 복용을 할 수 있도록 진공포장이 가능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로 제조된 관절염 치료 조성물을 1일 3회 식후에 섭취하여 골관절염을 비롯하여 퇴행성 관절염 및 류마티스 관절염, 일반적인 관절통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가 있다.
<실시예 1>
전체 100 중량부 중에서 오가피 30 중량부, 황백 12 중량부, 창출 12 중량부, 골담초 12 중량부, 우슬 12 중량부, 홍화씨 12 중량부, 현삼 7 중량부, 감초 3 중량부의 비율로 상기 재료의 총 중량대비 100배의 물을 넣고 80℃에서 12시간동안 끓여서 발효용 조성액을 추출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제조단계를 통하여 제조하였다.
<임상 예 1>
(1) 환자 : 53세 여성
(2) 증상 : 관절염으로 40세 이후부터 아파오면서 병원치료를 하였으나 재발을 함.
(3) 치료 : 1일 복용량 7g을 복용
1개월 복용(총 210g) 후 상태 호전됨.
<임상 예 2>
(1) 환자 : 60세 남성
(2) 증상 : 허리와 무릅의 통증
(3) 치료 : 1일 복용량 7g을 복용
2개월 복용(총 약 420g)후에 일상생활의 불편함이 없어짐.
<임상 예 3>
(1) 환자 : 66세 여성
(2) 증상 : 2-3년 전부터 걸음을 좀 많이 걷거나 굽혔다 일어날 때 허리가 아프면서 몸의 뒤 부분이 당기는 현상이 발생함.
(3) 치료 : 1일 3회 식후 40-50알 복용
1개월 복용(총 210g) 후에 허리 통증이 치료가 됨.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각 관절 치료제의 용량 범위는 본 발명자의 오랜 경험 및 많은 임상예에 기초한 것으로서 대부분의 환자에게 있어서 부작요없이 좋은 치료효과를 나타내느 것으로 확인이 되었다.
그리고, 상기 임상결과에서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한 관절염 치료 조성물은 환자의 상태, 나이, 성별 등을 고려하여 1회 복용량을 조절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만 15세 이상의 청소년 및 성인을 기준으로 하여 볼 때, 7-8세일 경우에는 성인의 1회 복용량의 1/2, 5-6세일 경우에는 1/3 정도가 적합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한 본 발명의 관절염 치료용 조성물은 지속적 작용을 나타내는 장점이 있으며, 독성과 부작용도 없으며 또한, 장기보존이 가능하고 휴대가 간편한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상기 실시예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설명을 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그 요지를 이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이를 테면, 상기 실시예에서 환으로 제조하여 복용하는 경우를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과립제, 시럽제, 엑기스제, 산제(散劑) 드응로 가공하여 복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5)

  1. 오가피, 황백, 창출, 골담초, 우슬, 홍화씨, 현삼, 감초를 섞은 혼합물과 상기 혼합물의 중량의 90~100배 중량의 물을 상기 혼합물과 함께 넣어 75~85℃에서 12시간 동안 끓여서 발효용 조성액을 추출하는 제1단계;와
    쌀을 씻어 4시간(하절기) ~ 6시간(동절기) 정도의 시간으로 불려 술밥을 제조한 다음에 상기 술밥에 누룩과 효모를 섞어 발효통에 넣어 쌀과 누룩을 합친 무게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제1단계에서 추출된 조성액 120 중량부를 섞어주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조성된 조성물을 20℃ ~ 30℃에서 30일간 발효시키고 발효가 끝나면 상기 조성물에서 술밥과 누룩을 거름망에 걸러 조성물의 발효액을 완성하는 제3단계;와
    상기 3단계에서 제조된 발효액과 홍삼박을 같은 비율로 섞어 건조기에 투입한 후, 35~45℃에서 4시간 가량 1차 건조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4단계에서 1차 건조된 조성물과 상기 3단계에서 제조된 발효액을 같은 중량비 비율로 섞어 2차 건조하는 제5단계;와
    상기 5단계를 반복하는 제6단계;와
    상기 6단계에 의하여 건조된 조성물을 분쇄기로 제분한 후, 상기 분쇄된 조성물의 무게의 절반 무게의 발효액을 추가로 섞어 제환기로 하여금 3mm미터의 크기로 제환하는 제7단계;와
    상기 제7단계에서 제환된 조성물을 건조기에 넣고 35~45℃에서 7시간 가량 건조하는 제8단계;와
    상기 제8단계에서 제환된 조성물은 수분 함량이 총 질량의 10 중량% 미만이며,
    상기 8단계에서 완성된 환 형태의 조성물을 포장하는 제9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력 및 혈액순환 개선 기능을 갖는 관절염 치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는 오가피 25-35중량부, 황백 10-14중량부, 창출 10-14중량부, 골담초 10-14중량부, 우슬 10-14중량부, 홍화씨 10-14중량부, 현삼 5-9중량부, 감초 2-4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력 및 혈액순환 개선 기능을 갖는 관절염 치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누룩은 쌀 중량의 12 중량부이고, 상기 효모는 쌀 중량의 1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력 및 혈액순환 개선 기능을 갖는 관절염 치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서 조성물의 알콜 도수는 16 ~ 1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력 및 혈액순환 개선 기능을 갖는 관절염 치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6단계에서 반복되는 횟수는 충분히 효소가 농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5 - 7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력 및 혈액순환 개선 기능을 갖는 관절염 치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30065759A 2013-06-10 2013-06-10 면역력 및 혈액순환 개선 기능을 갖는 관절염 치료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15122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5759A KR101512230B1 (ko) 2013-06-10 2013-06-10 면역력 및 혈액순환 개선 기능을 갖는 관절염 치료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5759A KR101512230B1 (ko) 2013-06-10 2013-06-10 면역력 및 혈액순환 개선 기능을 갖는 관절염 치료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3952A KR20140143952A (ko) 2014-12-18
KR101512230B1 true KR101512230B1 (ko) 2015-04-16

Family

ID=52674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5759A KR101512230B1 (ko) 2013-06-10 2013-06-10 면역력 및 혈액순환 개선 기능을 갖는 관절염 치료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22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9770A (ko) 2020-11-03 2022-05-10 백일광 혈액순환 개선용 식품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17050B (zh) * 2015-05-07 2017-01-25 参仙源酒业有限公司 一种参酒包装工艺
KR102143401B1 (ko) 2020-04-20 2020-08-12 주식회사 메디셀 관절통증치료용 리포좀화된 생약성분 경피약물전달 패치 조성물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한 패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2), 2006, pp.449-454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9770A (ko) 2020-11-03 2022-05-10 백일광 혈액순환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2519887B1 (ko) * 2020-11-03 2023-04-07 백일광 혈액순환 개선용 식품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3952A (ko) 2014-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4762B1 (ko) 기능성 비누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856009A (zh) 一种杜仲雄花保健品
US20200147166A1 (en) Health supplement food for promotion of hair growth, mitigation and alleviation of hair loss, regulation of blood glucose, and alleviation and relief of gastric disorder symptoms
CN104586669A (zh) 一种减肥外用霜
KR101627837B1 (ko) 말뼈 추출물과 해마를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건강보조식품 및 그의 제조방법
CN106937741A (zh) 一种脱脂亚麻籽粉防癌抗癌健康减肥法及其制备方法
KR101512230B1 (ko) 면역력 및 혈액순환 개선 기능을 갖는 관절염 치료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CN104479964A (zh) 一种黄秋葵、菌、藻保健酒及其制备方法
CN110151983A (zh) 一种用于补肾益气的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CN106417817A (zh) 一种袋泡助眠安神茶及其制备方法
CN105194264A (zh) 一种治疗便秘的中药冲剂及其制备方法
CN113925172A (zh) 一种适用于儿童的大鲵肽营养组合物
CN108056461B (zh) 一种黑木耳润肠功能咀嚼片及其制备方法
CN106072584A (zh) 一种叶黄素酯和沙棘油复合型食用保健品
CN105688110A (zh) 一种阿胶补血养颜口服液及其生产方法
KR20050080501A (ko) 고혈압, 비만, 당뇨병환자를 위한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CN104013853B (zh) 一种健肾补肾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3933409A (zh) 复方补骨脂黑发软胶丸
CN107692208A (zh) 一种蜂王玛咖片及制备方法
CN107173659A (zh) 一种辣木固体饮料及其制备方法
CN105687985A (zh) 一种补骨脂暖脾止泻口服液及其生产方法
KR101341989B1 (ko) 산양산삼을 함유하는 어묵 조성물
CN104904948A (zh) 一种苗家保健茶
KR101195455B1 (ko) 멸치환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5062820A (zh) 一种夏季本草健身酒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