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1790A - 평행축 기어 동력전달장치 - Google Patents

평행축 기어 동력전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1790A
KR20080031790A KR1020070099606A KR20070099606A KR20080031790A KR 20080031790 A KR20080031790 A KR 20080031790A KR 1020070099606 A KR1020070099606 A KR 1020070099606A KR 20070099606 A KR20070099606 A KR 20070099606A KR 20080031790 A KR20080031790 A KR 200800317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parallel
casing
power transmission
outpu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9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시 미네시마
Original Assignee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31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17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33Series gearboxes, e.g. gearboxes based on the same design being available in different sizes or gearboxes using a combination of several standardised un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0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parallel a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642Directly cooperating gears
    • Y10T74/19647Parallel axes or shaf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저(低)비용이면서, 컨베이어 등의 메인 머신에 장착하였을 때의 수납성이 좋고, 또한 저(低)소음화에 대하여서도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는 동력전달장치를 얻는다.
케이싱(30) 내에, 입력축(28)의 회전을 감속하여 출력축(32)에 전달하는 감속부(R)를 수용한 평행축 기어 동력전달장치(20)에 있어서, 감속부(R)를, 제1∼제3 평행축 기어기구(Rd1∼Rd3)로 구성하고, 케이싱(30)을, 출력축(32)의 축심(O1)을 중심으로 하는 가상원(圓)(VC1)을 그렸을 때에, 이 가상원(VC1)에 적어도 3면(面)(P1∼P3)이 접하고, 또한, 이 중의 2면(P1, P2)이 나머지 면(P3)으로부터 입력축(28)이 존재하는 측을 향하여 θ1, θ2만큼 확장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였다.
평행축, 기어, 동력전달장치, 컨베이어, 가상원(圓)

Description

평행축 기어 동력전달장치{Power transmission apparatus with parallel shaft gear}
본 발명은, 물류기기 등의 용도, 특히 체인 컨베이어나 벨트 컨베이어, 롤러 컨베이어 등의 컨베이어 용도에 최적인, 다양한 장착이 가능하며, 또한 경량, 콤팩트, 고효율의 평행축 기어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컨베이어 등의 메인 머신을 구동할 경우, 모터 등의 구동원으로부터 해당 메인 머신의 구동축까지의 동력전달장치에, 직교 변환기구가 끼워 넣어지는 경우가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이는, 일반적으로 모터는 그 축방향으로 길기 때문에, 예컨대, 이 모터의 축방향을 직각방향으로 변환함으로써 콤팩트한 장착가 가능하게 된다는 것과 같은 상황이 자주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 종류의 동력전달장치로는, 특히, 출력축의 축심으로부터 이 동력전달장치의 특정한 반경방향에 있어서의 최외주(最外周) 부분까지의 치수를 가능한 한 짧게 하는 설계가 중시된다. 이는, 이 치수를 짧게 함으로써, 예컨대 동력전달장치의 출력축으로부터 컨베이어의 상면(上面)(체인 상면, 롤러 상면, 벨트 상면)까지의 거리를 짧게 할 수 있어, 동력전달장치를 포함한 컨베이어 전체의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됨과 함께, 복수(複數)의 아암의 연동된 움직임이나 컨베이어로부터 컨베이어에의 받아 넘김에 관한 설계 등이 대단히 하기 쉬워지기 때문이다.
상기 특허문헌 1에 있어서는, 케이싱의 형상을 거의 직방체(直方體)로 하여, 출력축의 축심, 장착 볼트구멍의 위치, 및 장착 가능면(面)과의 관계를 연구함으로써 출력축의 축심으로부터 기어박스의 특정 외주면까지의 치수를 특히 짧게 설계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 제2628983호 공보
그러나, 직교축 계열의 감속기구는, 평행축 계열의 감속기구에 비하여, 대체로 비용이 높고, 또한, 동력전달장치 자체의 제조도 반드시 용이하지는 않은 경우도 많다. 특히, 특허문헌 1의 기술과 같이, 저소음이고 비교적 효율이 높은 하이포이드 감속기구 등을 채용하였을 때는, 비용 및 조립의 용이성 등의 면에 있어서 평행축 계열보다 훨씬 불리한 상황이 되지 않을 수 없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행하여진 것으로서, 저비용이면서, 로봇나 컨베이어 등의 메인 머신에 장착하였을 때의 수납성이 좋고, 또한 저소음화에 대하여서도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는 평행축 기어 동력전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케이싱 내에, 입력축의 회전을 감속하여 출력축에 전달하는 감속부를 수용한 동력전달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속부가, 평행축 기어기구로 구성되고, 또한, 상기 케이싱이, 상기 출력축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는 가상원을 그렸을 때에, 이 가상원에 적어도 3면이 접하고, 또한, 이 중의 2면이 나머지의 1면으로부터 상기 입력축이 존재하는 측을 향하여 확장되어 있는 구성으로 됨으로써, 상기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비용면에서 불리하게 되기 쉬운 직교 감속기구를 채용하는 것이 아니라, 비용이 낮고, 조립 작업이 특수하지 않으며, 또한, (필요하다면) 헬리컬 계열의 기어를 사용함으로써 저소음화하는 것도 용이한 평행축 계열의 감속기구를 기본적으로 채용하고 있다. 평행축 계열의 감속기구를 채용하였을 경우, 필연적으로 모터(의 모터축)는, 컨베이어 등의 메인 머신의 구동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케이싱의 형상을 연구함으로써, 그 평행축 기어 동력전달장치의 출력축의 축심과 메인 머신의 구동축의 축심과의 거리가 길어지는 것을 극력 방지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공간성의 문제점에 대하여서도 문제없이 해결할 수 있다(후술).
본 발명에 의하면, 저비용이면서, 로봇이나 컨베이어 등의 메인 머신에 장착하였을 때의 수납성이 좋고, 또한 (필요하다면) 저소음화에 대하여서도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이하, 도면에 근거하여 본 발명에 관련되는 평행축 기어 동력전달장치의 실시예의 일례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이 평행축 기어 동력전달장치의 감속기의 제1 케이싱 블럭(후술)에 평행축 계열의 각 기어가 끼워 넣어지는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도 1의 화살표 Ⅱ―Ⅱ선을 따른 전개 단면도, 도 3은, 평행축 기어 동력전달장치의 배면도 (도 1의 지면 뒤편에서 본 외형도), 도 4는, 출력축 및 모터를 생략한 평행축 기어 동력전달장치를 모터 장착측에서 보았을 때의 정면도이다.
먼저, 주로 도 2를 참조하여 전체구성을 설명한다.
이 평행축 기어 동력전달장치(20)는, 모터(22)와 감속기(24)를 연결한 것이다. 모터(22)는, 모터축(22A)의 선단에 제1 헬리컬 피니언(26)을 구비한다. 이 모터축(22A)은 감속기(24)의 입력축(28)을 겸용하고 있다.
감속기(24)는, 케이싱(30) 내에 감속부(R)를 수용하고 있다. 감속부(R)는, 입력축(28)의 회전을 감속하여 출력축(32)에 전달하는 것으로서, 제1 ∼ 제3의 3단의 평행축 기어기구(Rd1∼Rd3)를 구비한다. 제1 평행축 기어기구(Rd1)는, 입력축(28)에 형성된 상기 제1 헬리컬 피니언(26)과, 제1 중간축(34)에 조립되어 상기 제1 헬리컬 피니언과 맞물리는 제1 헬리컬 기어(36)로 구성된다. 제2 평행축 기어기구(Rd2)는, 제1 중간축(34)과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제2 헬리컬 피니언(38)과, 제2 중간축(40)에 조립되어 이 제2 헬리컬 피니언(38)과 맞물리는 제2 헬리컬 기어(42)로 구성된다. 제3 평행축 기어기구(Rd3)는, 제2 중간축(40)과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제3 헬리컬 피니언(44)과, 출력축(32)에 조립되어 제3 헬리컬 피니언(44)과 맞물리는 출력 기어(제3 헬리컬 기어)(46)로 구성된다. 출력축(32)은, 그 축심(O1)을 따라 형성된 관통구멍(32A)을 가지는 중공축(中空軸; hollow shaft)으로 되어 있다.
입력축(28)의 회전은, 이들 제1 ∼ 제3 평행축 기어기구(Rd1∼Rd3)에 의하여 3단계로 감속되어, 출력축(32)에 전달된다. 도 2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입력 축(28)(모터축(22A)) 및 출력축(32)을 포함하여, 모든 축은 평행하다.
케이싱(30)은, 출력축(32)의 축방향(즉 모든 축의 축방향)에 있어서 제1 케이싱 블럭(30A)과 제2 케이싱 블럭(30B)의 2개로 구성되고 있고, 도 2의 오른쪽 위에 부분적으로 빼내어 나타낸 바와 같이, 볼트구멍(50)에 나사 삽입되는 볼트(52)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도 1, 도 3, 도 4를 모두 참조하여, 이 케이싱(30)은, 출력축(32)의 축심(O1)을 중심으로 하는 가상원(VC1)을 그렸을 때에, 그 중의 3면(제1 면(P1)∼제3 면(P3))이 이 가상원(VC1)에 접하게 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3개의 면(P1∼P3)은, 모두 출력축(32)의 축심(O1)까지의 거리(R1)가 동일하다. 또한, 이 3개의 면(P1∼P3) 중, 2개의 면(제1 면(P1) 및 제2 면(P2))은, 나머지의 1면(제3 면(P3))으로부터 입력축(28)이 존재하는 측을 향하여 각도 θ1, θ2만큼 확장(P1 면과 P3 면 및 P2 면과 P3 면은 둔각(α1, α2)을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다만, 이 실시예에서는, 확장 각도 θ1=θ2이다. 즉, 제1 면(P1)과 제2 면(P2)은, 입력축(28)의 축심(O2)과 출력축(32)의 축심(O1)의 쌍방을 포함하는 중앙면(S1)에 대하여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출력 기어(46)의 이끝(齒先) 원(46A)과 케이싱(30)(의 제1 케이싱 블럭(30A))의 내면(30A1) 사이에는, 부호 Δ1으로 나타내어지는 근소한 틈밖에 마련되어 있지 않아, 제1 면(P1)∼제3 면(P3)으로 형성되는 출력 기어(46) 주변의 케이싱(30)의 크기가 극력 작아지도록 설계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입력축(28) 측의 기어(26, 36 등) 는, 취급하는 토크가 작고, 치수도 작지만, 출력축(32) 측의 기어(특히 출력 기어(46))는, 취급하는 토크가 크기 때문에, 치수도 크게 설계된다. 따라서, 정성적(定性的)으로는, 케이싱(30)에 대하여 공간적으로 출력축 측보다도 입력축 측 쪽에 여유가 있다(케이싱을 보다 작게 설계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굳이 출력 기어(46)를 제1 기어(36)와 거의 같은 크기로 억제하여 그 이끝 원(46A)이 대형화하지 않도록 배려함과 함께, 공간적으로는 오히려 여유가 있는 입력축 측을 향하여 θ1, θ2만큼 확장하는 구성을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여, 제1 면(P1)∼제3 면(P3)은, 교선(56, 58)에 있어서, 서로 둔각(α1, α2)(이 실시예에서는 α1=α2)으로 교차하게 되어, 단순히 케이싱(30)의 출력축(32) 주변의 반경방향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메인 머신에의 수납성이 한층 양호하게 되어, 콤팩트한 장착이 가능하게 된다(후술).
여기서, 이 확장의 정도(확장 각도 θ1, θ2)는, 그 감속기(24)와 조합 가능한 다양한 용량의 모터 중의 최대의 모터가 들어가는 크기, 즉, 모터(22)의 반경방향의 최대 외주부가, 이 제1 면(P1) 및 제2 면(P2)의 내측에 들어가는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도 2, 도 3의 부호 54는, 본 평행축 기어 동력전달장치(20)를 도시하지 않은 메인 머신의 고정부재에 고정하여 회전 방지하는 토크 아암, 54A는 토크 아암(54)에 마련된 장착구멍이다. 또한, 도 4의 부호 22C는 모터 장착용의 구멍이다.
다음으로, 이 평행축 기어 동력전달장치(20)를 메인 머신으로서 체인 컨베이어(60)에 조립할 때의 구성을 설명하면서, 본 평행축 기어 동력전달장치(20)의 작 용을 설명한다.
평행축 기어 동력전달장치(20)를 체인 컨베이어(60)에 조립할 때는, 도 5의 (A)∼(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여 행한다. 도 5의 (A)에 나타낸 장착에서는, 우선, 체인 컨베이어(60)의 폭 내에 넣기 위하여 구동축(62)을 평행축 기어 동력전달장치(20)의 출력축(32)의 관통구멍(32A)에 관통시킨다.
다음으로, 제1 면(P1)이 체인 컨베이어(60)의 체인 상면(컨베이어 상면)(70)과 평행하게 되도록 그 장착 각도를 조정하고, 토크 아암(54)(도 2, 도 3참조)을 이용하여 평행축 기어 동력전달장치(20)를 체인 컨베이어(60)의 도시하지 않은 고정부재에 고정하여 회전 방지한다. 평행축 기어 동력전달장치(20)의 출력축(32)의 회전은, 그 관통구멍(32A)에 삽입되어 있는 체인 컨베이어(60)의 구동축(62), 이 구동축(62)에 조립된 스프로킷(sprocket)(혹은 풀리(pully))(64)을 통하여 체인 컨베이어(60) 측에 전달된다.
그런데, 평행축 기어 동력전달장치(20)는, 그 일부가 체인 면(70)보다 위쪽으로 튀어나오지 않도록 장착하지 않으면 안 되고, 또한, 종단(終端) 부근의 R면(72)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튀어나오지 않도록 장착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것은, 체인 상면(70) 위에서 반송(搬送)되는 피반송물(74)과 평행축 기어 동력전달장치(20)가 서로 간섭하거나, 부딪치거나 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서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체인 상면(70), 혹은 R면(72)의 쌍방에 관하여, 체인 컨베이어(60)에의 콤팩트한 장착이 가능하게 된다. 이는 제1 면(P1)과 제3 면(P3), 및 제2 면(P2)과 제3 면(P3)이 그 교선(56, 58)의 부분에서 서로 둔각(α1, α2)으 로 교차하고 있기 때문에 얻을 수 있는 작용 효과이다. 도 6에 비교예를 나타낸다. 예컨대, 동일한 가상원(VC1)을 가지며, 또한 제2 면(P2)과 제3 면(P3)이 서로 직각으로 교차하고 있는 감속기(24)와 비교하여 보면, 이와 같이 제2 면(P2)과 제3 면(P3)이 서로 직각으로 교차하고 있는 감속기(24)의 경우는, 그 교선(56), (58)과 출력축(32)의 축심(O1)의 거리(L1)가, 가상원(VC1)의 반경(R1)의 √2배의 치수를 가지게 된다. 그로 인하여, 이 축심(O1)은 필연적으로 체인 상면(70), 혹은 R면(72)으로부터 상당히 먼 (L1+Δ2)가 되지 않을 수 없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평행축 기어 동력전달장치(20)는, 출력축(32)의 축심(O1)으로부터 교선(56, 58)까지의 치수를 가상원(VC1)의 반경(R1)보다 약간 큰 정도의 치수(L2+Δ2)에 들도록 할 수 있다. L1>L2는 명백하기 때문에, 체인 상면(70), 혹은 R면(72)까지의 거리를 그만큼(L1-L2) 단축할 수 있다.
도 5로 되돌아가서, 평행축 기어 동력전달장치(20)는, 제1 면(P1) 및 제2 면(P2)이 중앙면(입력축(28)의 축심(O2) 및 출력축(32)의 축심(O1)의 쌍방을 포함하는 면)(S1)에 대하여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 5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제2 면(P2)이 체인 상면(70)과 평행이 되는 것과 같은) 장착에 있어서도 완전히 똑같은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5의 (B)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제3 면(P3)이 체인 상면(70)과 평행하게 되도록 장착함으로써, 평행축 기어 동력전달장치(20)를 체인 상면(70)과 직각의 방향(도 5의 상하 방향)으로 가장 길고 컨베이어(70)와 평행한 방향(컨베이어 진행 방향 : 도 5의 좌우 방향)으로 가장 짧은 치수가 되는 것 같은 장착도 가 능하다. 이 경우도, 출력축(32)의 축심(O1)과 체인 상면(70)과의 거리를 L2+Δ2로 억제할 수 있다. 결과로서 체인 상면(70)에 대하여 3가지의 장착 방식(도 5의 (A)∼(C)에 대하여 모터의 방향이 반대측인 장착을 포함하면 합계 6가지의 방식)으로의 장착이 가능하다.
또한, 이들 장착은, 모두 평행축 기어 동력전달장치(20) 자체가 체인 컨베이어(60)의 구동축(62) 자체에 매달리게 되는 방식으로 행하여지기 때문에, 체인 컨베이어(60)의 컨베이어 폭(도 5의 지면과 직교하는 방향의 치수)으로부터 평행축 기어 동력전달장치(20)가 돌출하지 않으므로, 평행축 기어 동력전달장치(20)를 장착하여도 체인 컨베이어(60)에 대하여 여분으로 폭이 증대하지는 않는다.
또한, 출력 기어(46)의 주변이 3개의 면(제1 면(P1)∼제3 면(P3))으로 둘러 싸여 있으므로, 이 제1 면(P1)∼제3 면(P3)이 교차하는 2개의 교선(56, 58)의 근방에 약간의 스페이스(SP1, SP2)를 확보할 수 있고, 여기에, 이 교선(56, 58)과 평행하게 제1, 제2 케이싱 블럭(30A, 30B)을 연결하기 위한 「상응하는 크기」의 상기 볼트(52)를 합계 2개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볼트(52)에는, 토크 아암(54)을 통하여 제1, 제2 케이싱 블럭(30A, 30B)을 서로 출력축 둘레로 회전시키려고 하는 토크에 대한 전단응력(剪斷應力)이 걸린다. 그러나, 상응하는 크기의 볼트(52)를 2개 배치할 수 있으므로,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평행축 계열의 헬리컬 피니언과 헬리컬 기어의 조합으로 감속부(R)가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저비용이고, 조립이 용이하며, 또한 저소음이다.
도 7, 도 8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일례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는, 기본적인 구성은 앞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른 점은, 제2 평행축 기어기구(Pd102)에서 얻을 수 있는 감속비를 앞의 실시예보다도 약간 작게 하여, 감속기(124) 전체에서의 감속비를 작게 함과 함께, 모터(122)로서 앞의 실시예의 모터(22)보다도 대형이면서 또한 강력한 것을 연결하도록 한 점이다. 그러나, 그 이외의 많은 부재(제2 케이싱 블럭(130B)(특히 그 모터 장착용의 구멍(122C)), 제2 헬리컬 피니언(138), 제2 헬리컬 기어(142), 및 모터(122) 이외의 부재)는 앞의 실시예와 동일하고, 또한, 이 경우도 모터(122)의 반경방향의 최대 외주부가 제1 면(P101) 및 제2 면(P102)의 내측에 수납되어 있기 때문에, (앞의 실시예에 관련되는 모터(22)보다도 큰 모터(122)를 채용하고 있으면서도) 예컨대 앞의 실시예와 동일한 체인 컨베이어(미도시)에 대하여서도, 완전히 똑같은 장착 위치에 똑같이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밖의 구성에 대하여서는, 앞의 실시예와 같기 때문에, 도면 중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 아래 2자리가 동일한 부호를 붙임에 그치고,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으로, 도 9에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일례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평행축 기어 동력전달장치(220)는, 출력축(232)의 축심(O201)을 중심으로 하는 가상원(VC201)에 대하여 4면(제1 면(P201)∼제4 면(P204))이 접하고 있고, 또한, 이 중의 2면(제1 면(P201) 및 제2 면(P202))이 나머지의 2면(제3 면(P203) 및 제4 면(P204))으로부터 입력축(228)이 존재하는 측을 향하여 θ201, θ202만큼 확장되어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θ201=θ202). 이 확장되어 있는 2면(제1면(P201) 및 제2 면(P202))은, 입력축(228)의 축심(O202) 및 출력축(232)의 축심(O201)의 쌍방을 포함하는 면(S201)에 대하여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도시하지 않은 컨베이어 면 등에 대하여 8가지의 방식(면 P201, P202, P203, P204이 각각 컨베이어 상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는 4가지의 방식 및 그들 4 방식과는 모터의 방향이 다른 4 방식)으로의 장착이 가능하다. 또한, 출력축(232)의 축심(O201)로부터 컨베이어 상면(미도시)까지의 거리를, 예컨대 동일한 출력 기어가 탑재되어 있을 경우이더라도(가상원(VC201)의 크기가 동일하여도) 가상원으로부터 돌출하는 부분이 적어지는 만큼, 더욱 단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밖의 구성은, 기본적으로 앞의 실시예와 같기 때문에, 도면 중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 아래 2자리가 동일한 부호를 붙임에 그치고,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상기 실시예는, 모두 출력축 주변의 케이싱을 3면 또는 4면의 「평면」으로 형성하고 있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요컨대, 제1 면과 제2 면이 평면으로 확장되어 있으면 족하고, 예컨대, 상기 실시예의 제3 면, 제4 면 상당 부분이 출력축과 같은(또는 거의 동심(同心))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저비용이면서, 로봇이나 컨베이어 등의 메인 머신에 장착하였을 때의 수납성이 좋고, 또한 저소음화에 대하여서도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는 동력전달장치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례에 관련되는 동력전달장치의 감속기의 제1 케이싱 블럭에 각 기어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도 1의 화살표 Ⅱ―Ⅱ선을 따른 전개 단면도.
도 3은, 상기 동력전달장치의 배면도.
도 4는, 그 정면도.
도 5는, 상기 동력전달장치의 장착 방식의 변형예를 나타낸 모식도.
도 6은, 제1 면과 제2 면이 확장되어 있지 않은 동력전달장치의 장착 방식의 예를 나타낸 비교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일례를 나타낸 도 2 상당의 전개 단면도.
도 8은, 마찬가지로 도 4 상당의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일례를 나타낸 생략 정면도.
*부호의 설명*
20 : 평행축 기어 동력전달장치
22 : 모터
24 : 감속기
28 : 입력축
30 : 케이싱
30A : 제1 케이싱 블럭
30B : 제2 케이싱 블럭
32 : 출력축
32A : 관통구멍
56, 58 : 교선(交線)
60 : 체인 컨베이어(chain conveyor)
R : 감속부
Rd1∼Rd3 : 제1 ∼ 제3 평행축 기어기구
VC1 : 가상원(圓)
P1∼P3 : 제1 면∼제3 면
θ1, θ2 : 확장(擴開) 각도
S1 : 중앙면

Claims (6)

  1. 케이싱 내에, 입력축의 회전을 감속하여 출력축에 전달하는 감속부를 수용한 동력전달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속부가, 평행축 기어기구로 구성되고, 또한,
    상기 케이싱이, 상기 출력축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는 가상원(圓)을 그렸을 때에, 이 가상원에 적어도 3면(面)이 접하고, 또한, 이 중의 2면이 나머지 면으로부터 상기 입력축이 존재하는 측을 향하여 확장되어 있는 구성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행축 기어 동력전달장치.
  2. 케이싱 내에, 입력축의 회전을 감속하여 출력축에 전달하는 감속부를 수용한 동력전달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속부가, 평행축 기어기구로 구성되고, 또한,
    상기 케이싱이, 상기 출력축 축심을 중심으로 하는 가상원을 그렸을 때에, 이 가상원에 적어도 2면이 접하고, 또한, 이 2면이 상기 입력축이 존재하는 측을 향하여 확장되어 있는 구성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행축 기어 동력전달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2면이, 상기 입력축의 축심 및 출력축의 축심의 쌍방을 포함하는 면에 대하여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행축 기어 동력전달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축이, 그 축심을 따라 형성된 관통구멍을 가지는 중공축(中空軸; hollow shaft)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행축 기어 동력전달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이, 상기 출력축의 축방향에 있어서 2 이상의 케이싱 블럭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3면이 교차하는 2개의 교선 근방에 이 교선과 평행하게 상기 케이싱 블럭을 연결하는 볼트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행축 기어 동력전달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입력축에 구동력을 부여하는 모터를 상기 케이싱과 연결함과 함께,
    이 모터의 반경방향의 최대 외주부를, 상기 2면의 내측에 수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행축 기어 동력전달장치.
KR1020070099606A 2006-10-05 2007-10-04 평행축 기어 동력전달장치 KR2008003179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274312 2006-10-05
JP2006274312A JP5196415B2 (ja) 2006-10-05 2006-10-05 平行軸歯車動力伝達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1790A true KR20080031790A (ko) 2008-04-11

Family

ID=39185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9606A KR20080031790A (ko) 2006-10-05 2007-10-04 평행축 기어 동력전달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80127761A1 (ko)
JP (1) JP5196415B2 (ko)
KR (1) KR20080031790A (ko)
CN (1) CN101158385B (ko)
DE (1) DE102007047645A1 (ko)
TW (1) TW20082312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13983B3 (de) * 2008-03-12 2009-08-13 Jahnel-Kestermann Getriebewerke Gmbh & Co. Kg Verfahren zur Einstellung einer Zahnflankenposition eines Zahnrads, das mit einer zweifach schrägverzahnten Ritzelwelle kraftschlüssig verbunden ist
JP5198350B2 (ja) * 2009-04-30 2013-05-15 株式会社ツバキエマソン 平行軸中空出力軸減速機
JP6517049B2 (ja) * 2015-03-03 2019-05-22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トルクアーム構造
JP7204289B2 (ja) 2018-04-18 2023-01-16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歯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16861A (ko) * 1974-03-01 1975-09-12
JPS55145843A (en) * 1979-04-26 1980-11-13 Hitachi Ltd Hoist reduction gear
JPS58196464U (ja) * 1982-06-23 1983-12-27 ヤンマーディーゼル株式会社 減速逆転機の据付足
JPS5942359U (ja) * 1982-09-11 1984-03-19 新明工業株式会社 モ−タ付減速機
JPS60154330U (ja) * 1984-03-27 1985-10-1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原稿送り装置
JPS6152470U (ko) * 1984-09-10 1986-04-09
JP2582189B2 (ja) * 1991-01-31 1997-02-19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モータ付直交歯車装置
US5295413A (en) * 1992-10-14 1994-03-22 General Motors Corporation One-piece power transmission casing and a method of assembling a transmission mechanism therein
DE10130519A1 (de) * 2000-07-06 2002-02-14 Hans Heidolph Gmbh & Co Kg Kleingetriebe
JP3934469B2 (ja) * 2002-04-26 2007-06-20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平行軸減速機
JP2005054950A (ja) * 2003-08-07 2005-03-03 Asmo Co Ltd モータアクチュエータ、及び歯車減速機構
CN2793434Y (zh) * 2005-05-20 2006-07-05 天津减速机股份有限公司 平行轴三级传动圆柱斜齿轮减速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58385A (zh) 2008-04-09
CN101158385B (zh) 2010-06-16
JP2008095705A (ja) 2008-04-24
US20080127761A1 (en) 2008-06-05
JP5196415B2 (ja) 2013-05-15
TWI337163B (ko) 2011-02-11
TW200823125A (en) 2008-06-01
DE102007047645A1 (de) 2008-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41161B2 (en) Electric motor drive device
US6059684A (en) Drive train for electric cars
KR19980074229A (ko) 보조 펌프 구조
CN102248540B (zh) 机器人驱动关节
JP6415735B2 (ja) 動力伝達装置
JPH05240313A (ja) モータ付直交歯車減速機のシリーズ及びシリーズ群
EP3399211A1 (en) Cycloid speed reducer
KR20080031790A (ko) 평행축 기어 동력전달장치
CN109236970B (zh) 一种基于分扭传动机构的直升机主减速器
US20130217533A1 (en) Vehicle-driving system
US20240093768A1 (en) Dual-motor driving system assembly and vehicle
WO2023116766A1 (zh) 用于转动关节的传动机构
CN211117385U (zh) 齿轮箱及电铲
KR100633701B1 (ko) 직교동력전달장치
CN108290491B (zh) 轮内电动机驱动装置
JP4067099B2 (ja) 軸継手
CN109844365B (zh) 用于超高速减速的行星齿轮减速装置
EP3505793B1 (en) Component set for a driving device and assembly method
CN219031439U (zh) 有齿轮曳引机
CN215720558U (zh) 一种转换齿轮箱
WO2023243277A1 (ja) ユニット
CN110901358A (zh) 电桥驱动系统和车辆
CN217271695U (zh) 短轴距大速比齿组结构
CN212360662U (zh) 一种二级减速装置和相应的动力传动组件
CN219312490U (zh) 车辆电驱动桥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618

Effective date: 20110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