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8744A - 주변 장치, 주변 장치 인식 방법 및 주변 장치 인식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주변 장치, 주변 장치 인식 방법 및 주변 장치 인식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8744A
KR20080028744A KR1020070024051A KR20070024051A KR20080028744A KR 20080028744 A KR20080028744 A KR 20080028744A KR 1020070024051 A KR1020070024051 A KR 1020070024051A KR 20070024051 A KR20070024051 A KR 20070024051A KR 20080028744 A KR20080028744 A KR 200800287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ipheral device
computer system
connection
response
periphe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4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62488B1 (ko
Inventor
긴야 사이또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28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87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2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24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0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2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making use of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0662Virtualisation aspects
    • G06F3/0664Virtualisation aspects at device level, e.g. emulation of a storage device or syst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02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0604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storage management
    • G06F3/0607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storage management by facilitating the process of upgrading existing storage systems, e.g. for improving compatibility between host and storage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2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making use of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0629Configuration or reconfiguration of storage systems
    • G06F3/0632Configuration or reconfiguration of storage systems by initialisation or re-initialisation of storage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6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adopting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0671In-line storage system
    • G06F3/0673Single storage device
    • G06F3/0682Tape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6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adopting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0671In-line storage system
    • G06F3/0683Plurality of storag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01Bootstrapping
    • G06F9/4411Configuring for operating with peripheral devices; Loading of device dr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 시스템에의 주변 장치의 신속한 접속을 가능하게 한다. HBA가 주변 장치인 테이프 드라이브 #A∼#E에 대하여 행한 드라이버 스캔에 각 테이프 드라이브가 응답한 것이 HBA에 인식되고, 컴퓨터 시스템의 OS의 배하의 드라이버가, HBA에 대하여, 각 테이프 드라이브의 드라이버 스캔을 행하면, OS에 의해 각 테이프 드라이브 단위로 디바이스 파일이 작성되고, OS 상의 인식 디바이스로서 테이프 드라이브 #A∼#E가 인식된다. OS에 인식되는 테이프 드라이브 #A∼#C는, 컴퓨터 시스템에 실제로 접속되는 실태가 있는 테이프 드라이브 #A∼#C이며, OS에 인식되는 테이프 드라이브 #D 및 #E는, 가상 디바이스 응답 장치가 작동하는 것을 예정되어 있던 가상 테이프 드라이브 #D 및 #E에 응답해서 접속 및 인식된 테이프 드라이브 #D 및 #E이다.
테이프 드라이브, 조작부, 제어부, 인터페이스, OS, 호스트 컴퓨터

Description

주변 장치, 주변 장치 인식 방법 및 주변 장치 인식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PERIPHERAL DEVICE, PERIPHERAL-DEVICE RECOGNIZ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HAVING PERIPHERAL-DEVICE RECOGNIZING PROGRAM RECORDED}
도 1a은 본 발명의 가상 디바이스 응답 장치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1b는 본 발명의 가상 디바이스 응답 장치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1c은 본 발명의 가상 디바이스 응답 장치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2는 가상 디바이스 응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
도 3a은 SCSI용의 가상 디바이스 정의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3b는 FC용의 가상 디바이스 정의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4는 디바이스 동작 관리 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5는 OS의 가상 디바이스 인식 처리 수순을 도시하는 타임차트.
도 6은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의 가상 디바이스 인식 처리 수순을 도시하는 타임차트.
도 7a은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의 실제 디바이스 가동 인식 처리 수순을 도시 하는 타임차트.
도 7b는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의 실제 디바이스 가동 인식 처리 수순을 도시하는 타임차트.
도 8은 가상 디바이스 응답 시스템의 구성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가상 디바이스 응답 장치
101, 201, 301: 제어부
102, 302: 기억부
102a: 디바이스 정의 정보
103: 실제 디바이스 가동 통지 수신 인터페이스
104, 204, 303: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
105: 디바이스 절환 신호 송신 인터페이스
106: 조작부
107: 표시부
200: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
202a, 202b: 테이프 드라이브
203: 실제 디바이스 가동 통지 송신 인터페이스
300: 호스트 컴퓨터
301a: 어플리케이션 실행부
301b: 디바이스 제어부
301c: 디바이스 절환 정보 수신부
304: 디바이스 절환 신호 수신 인터페이스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 2000-173157호 공보
본 발명은, 컴퓨터 시스템에 접속되는, 실제의 주변 장치에 대응하는 가상적인 주변 장치, 주변 장치를 인식하는 주변 장치 인식 방법 및 주변 장치 인식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접속 실태가 없는 주변 장치라도 컴퓨터 시스템에 접속 및 인식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가상적인 주변 장치, 주변 장치를 인식하는 주변 장치 인식 방법 및 주변 장치 인식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시스템에는,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복수의 주변 장치가 접속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컴퓨터 시스템의 OS(Operating System)의 제어 하에 있는, 주변 장치의 제어 프로그램인 드라이버가 행하는 주변 장치에의 접속 상황의 문의 에 대한 응답에 따라서, 컴퓨터 시스템의 OS가 디바이스 파일을 생성함으로써, 주변 장치가 OS에 인식되게 된다.
그런데, 주변 장치가 OS에 인식되는 타이밍은 OS의 기동시뿐이기 때문에, 종래에는, 새롭게 주변 장치를 추가 접속할 때마다 OS를 재기동할 필요가 있었다. OS의 기동 및 재기동에는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새롭게 주변 장치를 추가 접속할 때마다 OS를 재기동하는 것은, 컴퓨터 시스템을 소정 시간 정지시키는 것으로 되어, 컴퓨터 시스템의 운용상 바람직한 것은 아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는, 주변 장치가 추가 접속되면, 소정 기억부에 기억됨으로써 OS에 인식되는 주변 장치의 접속 정보를 그 소정 기억부로부터 퇴피 영역으로 퇴피시키고, 추가 접속된 주변 장치의 접속 정보가 소정 기억부에 설정된 후에, 퇴피 영역으로 퇴피시켜져 있는 접속 정보를 소정 기억부에 복귀시킴으로써, 주변 장치의 추가 접속시에도 OS의 재기동을 필요로 하지 않는 주변 장치 인식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 문헌 1로 대표되는 종래 기술에서는, 주변 장치가 실제로 접속되었을 때에 OS를 재기동하지 않고 상기 주변 장치를 인식할 수 있지만, 주변 장치가 접속될 때마다, 상기 주변 장치를 인식하기 위한 처리가 실행되는 것으로 되어, 이 처리에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주변 장치를 OS에 신속하게 인식시킬 수 없고, 또한, 이 처리의 실행을 위해 컴퓨터 시스템의 처리 능력을 일시적으로 저하시키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주변 장치의 접속시에서, 주변 장치의 드라이버가 컴퓨터 시스템에 인스톨되어 있지 않았던 경우에는, 번거로운 드라이버의 인스톨 작업이 필요해질 뿐만 아니라, 드라이버의 인스톨 처리의 실행을 위해 컴퓨터 시스템의 처리 능력을 일시적으로 저하시키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도 있어, 연속된 안정 운용이 요구되는 컴퓨터 시스템에 있어 결정하기에 바람직한 것은 아니었다.
또한, Windows(등록 상표)의 플러그 앤 플레이 기능도, OS를 재기동하지 않고 추가 접속된 주변 장치를 인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인데, 사전에 주변 장치가 조립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주변 장치를 접속하였을 때에 그 주변 장치를 인식해서 조립하기 때문에, OS에서 여러 가지의 처리가 실행되어, 이 처리에 시간이 걸린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실제로 주변 장치를 접속하였을 때에, 이 주변 장치의 디바이스 드라이버가 컴퓨터 시스템에 인스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이 인스톨이 수작업으로 행해질 때까지 대기 상태가 발생하여, 자동적으로 타임 래그없이 주변 장치를 인식하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과제)을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주변 장치가 실제로 접속되었을 때에 OS를 재기동하지 않고, 또한, 상기 주변 장치를 인식하기 위한 처리의 실행을 위해 컴퓨터 시스템의 처리 능력을 일시적으로 저하시키게 되는 일이 없는 주변 장치, 주변 장치 인식 방법 및 주변 장치 인식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컴퓨터 시스템에 접속되는, 실제의 주변 장치에 대응하는 가상적인 주변 장치로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에 접속 가능한 주변 장치의 속성 정보를 기억하는 속성 정보 기억 수단과, 상기 컴퓨터 시스템이 행하는 주변 장치의 접속 확인 요구에 대하여, 상기 속성 정보 기억 수단에 기억되는 주변 장치의 속성 정보에 따라서, 그 컴퓨터 시스템에 실 제로 접속되어 있는 주변 장치로서 응답하는 접속 응답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서, 상기 접속 응답 수단에 의해 상기 컴퓨터 시스템에 실제로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 응답된 주변 장치가 그 컴퓨터 시스템에 실제로 접속된 것의 통지를 수신하는 접속 통지 수신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서, 상기 접속 통지 수신 수단에 의해 상기 통지가 수신되면, 그 접속을 상기 컴퓨터 시스템에 대하여 다시 통지하는 접속 통지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서, 상기 접속 응답 수단은, 상기 접속 통지 수신 수단에 의해 상기 통지가 수신되면, 상기 컴퓨터 시스템이 행하는 주변 장치의 접속 확인 요구에 대하여 그 컴퓨터 시스템에 실제로 접속되어 있는 주변 장치로서 응답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접속 확인 요구에 대하여, 상기 접속 응답 수단에 의해 상기 컴퓨터 시스템에 실제로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 응답된 주변 장치가 그 컴퓨터 시스템에 대하여 대기 상태인 것으로 응답하는 대기 응답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서, 상기 접속 응답 수단에 의해 상기 컴퓨터 시스템에 실제로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 응답된 주변 장치가 그 컴퓨터 시스템 에 실제로 접속되면, 그 접속을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통지하는 쌍 어플리케이션 접속 통지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서, 상기 접속 응답 수단은, 상기 접속 통지 수신 수단에 의해 상기 통지가 수신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행하는 주변 장치의 접속 확인 요구에 대하여 그 컴퓨터 시스템에 실제로 접속되어 있는 주변 장치로서 응답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컴퓨터 시스템에 접속되는, 실제의 주변 장치에 대응하는 가상적인 주변 장치를 인식하는 주변 장치 인식 방법으로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에 접속 가능한 주변 장치의 속성 정보를 기억하는 속성 정보 기억 공정과, 상기 컴퓨터 시스템이 행하는 주변 장치의 접속 확인 요구에 대하여, 상기 속성 정보 기억 공정에서 기억된 주변 장치의 속성 정보에 따라서, 그 컴퓨터 시스템에 실제로 접속되어 있는 주변 장치로서 응답하는 접속 응답 공정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접속 확인 요구에 대하여, 상기 접속 응답 수단에 의해 상기 컴퓨터 시스템에 실제로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 응답된 주변 장치가 그 컴퓨터 시스템에 대하여 대기 상태인 것으로 응답하는 대기 응답 공정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컴퓨터 시스템에 접속되는, 실제의 주변 장치에 대응하는 가상적인 주변 장치를 인식시키는 주변 장치 인식 처리를 제어 장치에 실행시키는 주변 장치 인식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에 접속 가능한 주변 장치의 속성 정보를 기억하는 속성 정보 기억 수순과, 상기 컴퓨터 시스템이 행하는 주변 장치의 접속 확인 요구에 대하여, 상기 속성 정보 기억 수순에 기억되는 주변 장치의 속성 정보에 따라서, 그 컴퓨터 시스템에 실제로 접속되어 있는 주변 장치로서 응답하는 접속 응답 수순을 제어 장치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주변 장치, 주변 장치 인식 방법 및 주변 장치 인식 프로그램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도시하는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테이프 드라이브 장치가 접속 가능한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에 접속 가능하고, 그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가 접속되는 호스트 컴퓨터에 대하여 마치 실제의 테이프 드라이브로서 작동하는 가상 디바이스 응답 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그러나, 이에 한하지 않고,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호스트 컴퓨터에 외부적으로 접속되는 주변 장치에 널리 적용할 수 있다.
우선, 실시예의 가상 디바이스 응답 장치의 특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a 내지 도 1c은, 실시예의 가상 디바이스 응답 장치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우선, 도 1a을 참조하여, 호스트 컴퓨터의 OS에 의한 테이프 드라이브의 인식에 대해 설명한다. 드라이버를 배하에 포함하는 OS에 의해 제어되고 있는 컴퓨터 시스템에, 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HBA(Host Bus Adaptor)를 통하여 실제로 접속되는 주변 장치로서, 테이프 드라이브 #A∼#C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컴퓨터 시 스템과의 접속에 관하여 실제의 테이프 드라이브처럼 작동하는 가상적인 테이프 드라이브인 가상 디바이스 응답 장치가 접속되어 있다. 가상 디바이스 응답 장치는, 가상 테이프 드라이브로서 테이프 드라이브 #D 및 #E로서 작동하는 것이 예정되어 있다.
우선, HBA가 테이프 드라이브 #A∼#E에 대하여 하드 스캔을 행한다. 다음으로, 이 드라이버 스캔에 대하여 각 테이프 드라이브가 응답한다. 각 테이프 드라이브가 응답한 것이 HBA에 인식된다. 계속해서, 컴퓨터 시스템의 OS의 배하의 드라이버가, HBA에 대하여, 각 테이프 드라이브의 드라이버 스캔을 행한다. 드라이버에 의해 각 테이프 드라이브가 드라이버 스캔되면, OS에 의해 각 테이프 드라이브 단위로 디바이스 파일이 작성되고, OS 상의 인식 디바이스로서 테이프 드라이브 #A∼#E가 인식되게 된다.
또한, OS에 인식되는 테이프 드라이브 #A∼#C는, 컴퓨터 시스템에 실제로 접속되는 실태가 있는 테이프 드라이브 #A∼#C이다. 이에 대하여, OS에 인식되는 테이프 드라이브 #D 및 #E는, 가상 디바이스 응답 장치가 작동하는 것이 예정되어 있던 가상 테이프 드라이브 #D 및 #E에 응답해서 접속 및 인식된 테이프 드라이브 #D 및 #E이다.
다음으로, 도 1b를 참조하여, 호스트 컴퓨터의 OS에 인식된 테이프 드라이브의 실제 디바이스로서의 컴퓨터 시스템에의 접속에 대해 설명한다. 도 1a에 도시한 테이프 드라이브 #A∼#C 및 가상 테이프 드라이브 #D 및 #E의 OS에 의한 인식의 결과, 테이프 드라이브 #A∼#C는, OS 상의 인식 드라이브인 테이프 드라이브 #A∼ #C로서 컴퓨터 시스템에 실제 디바이스로서 인식되어, 데이터 수수 가능한 접속 상태에 있다고 인식되게 된다. 이 한편으로, 가상 테이프 드라이브 #D 및 #E는, OS 상에서 테이프 드라이브 #D 및 #E로서 인식되어 있지만, 컴퓨터 시스템과 데이터 수수 가능한 접속 상태에 있다고는 인식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도 1c을 참조하여, 호스트 컴퓨터의 OS에 인식된 가상 테이프 드라이브에 대응하는 실제의 테이프 드라이브가 접속되었을 때의 실제 디바이스 접속에 대해 설명한다. 도 1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앞서 컴퓨터 시스템에 실제 디바이스로서 테이프 드라이브 #A∼#C가 접속되어 있고, 또한, 가상 테이프 드라이브#D 및 #E에 대응하는 실태의 테이프 드라이브인 테이프 드라이브 #D 및 #E가 컴퓨터 시스템에 접속되면, 컴퓨터 시스템에 실제 디바이스로서 테이프 드라이브 #D 및 #E가 접속되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가상 디바이스 응답 장치는, 테이프 드라이브 #D 및 #E의 컴퓨터 시스템에 대한 실제 디바이스 접속에 관하여 무관계로 된다.
이와 같이, 테이프 드라이브 #D 및 #E가 실제의 호스트 컴퓨터의 OS에 인식되기 이전에, 사전에 가상 디바이스 응답 장치가 실제의 테이프 드라이브 #D 및 #E 와 마찬가지로 작동하여 호스트 컴퓨터의 OS에 가상적인 테이프 드라이브 #D 및 #E로서 인식되도록 해두면, 테이프 드라이브 #D 및 #E가 실제의 호스트 컴퓨터의 OS에 인식될 때에, 신속히 테이프 드라이브 #D 및 #E의 사용의 개시를 가능으로 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면, Windows(등록 상표)의 플러그 앤 플레이 기능도, OS를 재기동하지 않고 추가 접속된 주변 장치를 인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이지만, 사전에 주변 장치가 조립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주변 장치를 접속하였을 때에 그 주변 장치를 인식해서 조립하기 때문에, OS에서 인터럽트에 의해 여러가지 처리가 실행되어, 이 처리에 시간이 걸린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에 비해, 본 발명이 갖는 현저한 특징이다. 특히, Windows(등록 상표)에서는, 실제로 주변 장치를 접속하였을 때에, 이 주변 장치의 디바이스 드라이버가 컴퓨터 시스템에 인스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이 인스톨이 수작업으로 행해질 때까지 대기 상태가 발생하여, 자동적으로 타임 래그없이 주변 장치를 인식하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이와 같은 시간이 걸리는 처리는 이미 가상적으로 인식시킬 때에 실행 완료이기 때문에, 실제로 주변 장치를 접속하였을 때에, 이와 같은 타임 래그를 발생시키는 일은 없다.
다음으로, 호스트 컴퓨터와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에 의해 구성되는 가상 디바이스 응답 시스템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가상 디바이스 응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상 디바이스 응답 시스템은, 가상 디바이스 응답 장치(100)를 포함해서 구성되는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200)와, 호스트 컴퓨터(300)로 이루어진다.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200)는, 제어부(201)와, 테이프 드라이브 #A(202a)와, 테이프 드라이브 #B(202b), …와, 실제 디바이스 가동 통지 송신 인터페이스(203)와,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204)와, 가상 디바이스 응답 장치(100)를 갖는다.
제어부(201)는,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200) 전체의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 부이다. 제어부(201)는, 각 테이프 드라이브의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고, 테이프 드라이브가 실제로 접속되어 가동을 개시한 것을 실제 디바이스 가동 통지 송신 인터페이스(203)를 통하여 가상 디바이스 응답 장치(100)에 통지한다. 또한, 각 테이프 드라이브와 호스트 컴퓨터(300)와의 사이에서 수수되는 데이터를 중계하는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204)와의 사이에서 그 데이터의 수수를 행한다.
가상 디바이스 응답 장치(100)는, 제어부(101)와, 기억부(102)와, 실제 디바이스 가동 통지 수신 인터페이스(103)와,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104)와, 디바이스 절환 신호 송신 인터페이스(105)를 갖는다.
제어부(101)는, 가상 디바이스 응답 장치(100) 전체의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부이다. 제어부(101)는, 기억부(102)에 기억되는 디바이스 정의 정보(102a)로부터 호스트 컴퓨터(300)에 대하여 가상으로 응답을 예정하는 테이프 드라이브 등의 디바이스를 정의하는 속성 정의 정보를 읽어내고, 그 읽어낸 속성 정의 정보에 기초해서, 가상 디바이스로서 응답하는 테이프 드라이브를 판정한다. 또한, 가상 디바이스로서 응답하는 테이프 드라이브의 속성 정의 정보를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104)를 통하여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200)에 송신한다. 또한,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204)를 통하여 속성 정의 정보를 수신한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200)는, 그 속성 정의 정보를 호스트 컴퓨터(300)에 송신한다.
또한, 제어부(101)는,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200)로부터 송신된 테이프 드라이브가 실제로 접속되어 가동을 개시한 정보를, 실제 디바이스 가동 통지 수신 인터페이스(103)를 통하여 수신한다. 제어부(101)는, 테이프 드라이브가 실제로 접속되어 가동을 개시한 정보를 수신하였다면, 상기 테이프 드라이브로서 가상적으로 작동하는 것을 정지한다.
또한, 제어부(101)는, 키보드나 마우스 등의 조작부(106)로부터 입력된 정보에 기초해서 디바이스 정의 정보(102a)의 추가, 수정 및 삭제를 행한다. 또한, 제어부(101)는, 조작부(106)로부터 입력된 지시에 기초해서, 디바이스 정의 정보(102a)의 일부 또는 전부를 디스플레이 장치 등의 표시부(107)에 표시시켜서, 상기 디바이스 정의 정보(102a)의 추가, 수정 및 삭제의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1)는, 실제 디바이스 가동 통지 수신 인터페이스(103)를 통하여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테이프 드라이브가 실제로 접속되어 가동을 개시한 정보에 기초하는 디바이스 절환 신호를, 디바이스 절환 신호 송신 인터페이스(105)를 통하여 호스트 컴퓨터(300)에 송신한다.
호스트 컴퓨터(300)는, 제어부(301)와, 기억부(302)와,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303)와, 디바이스 절환 신호 수신 인터페이스(304)를 갖는다. 제어부(301)는, 호스트 컴퓨터(300) 전체의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부이다. 제어부(301)는, 어플리케이션 실행부(301a)와, 디바이스 제어부(301b)와, 디바이스 절환 정보 수신부(301c)를 갖는다.
어플리케이션 실행부(301a)는,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의 실행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부이다.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는, 실시예에서는, 테이프 백업 소프트웨어이다. 또한, 호스트 컴퓨터(300)에 접속되는 주변 장치가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200)가 아니라, 그 밖의 종류의 주변 장치이면, 이 주변 장치의 이용에 적합한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로 된다.
디바이스 제어부(301b)는, 각종 드라이버 소프트를 제어하는 제어부이다. 디바이스 제어부(301b)는,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303)가 Inquiry 커맨드에 의해 하드 스캔하여 얻은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200)에 접속되는 실제 또는 가상의 테이프 드라이브의 속성 정보에 대하여 다시 Inquiry 커맨드를 발행하고, 디바이스 파일 작성 대상의 디바이스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각 드라이버 소프트가 대상으로 하는 디바이스인지의 여부를 판정해서 디바이스 파일을 작성한다. 또한, 이 디바이스 파일이 OS에 인식되는 디바이스로 된다.
디바이스 절환 정보 수신부(301c)는, 디바이스 절환 신호 수신 인터페이스(304)를 통하여 가상 디바이스 응답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디바이스 절환 신호에 기초해서, 어플리케이션 실행부(301a)에 대하여, 접속된 실제 디바이스와의 데이터의 수수를 개시하도록 지시한다.
기억부(302)는, 어플리케이션 실행부(301a)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의 프로그램 코드를 기억하고 있고, 필요에 따라서 프로그램 코드가 읽어내어져 어플리케이션 실행부(301a)에서 실행되는 것으로 된다. 기억부(302)는, 디바이스가 호스트 컴퓨터(300)의 어플리케이션에 가상적으로 인식되어 있는지, 혹은 실제로 가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인식되어 있는 것인지의 구별을 기억 관리하는 실제 디바이스 동작 관리 테이블을 더 기억한다.
또한,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204) 및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303)는, SCSI(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 규격에 기초하는 인터페이스이어도 되고, FC(Fiber Channel) 규격에 기초하는 인터페이스이어도 된다. 또한, 디바이스 절환 신호 송신 인터페이스(105) 및 디바이스 절환 신호 수신 인터페이스(304) 사이의 통신은, LAN(Local Area Network) 또는 전용 회선에 의한 접속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또한,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303)가 HBA이다.
또한, 디바이스 절환 정보 수신부(301c)는, 가상 디바이스 응답 장치(100)로부터 송신되는,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가 사용 불가능 상태의 하드웨어를 사용 가능하게 하는 정보를 어플리케이션 실행부(301a)에 중계하는 에이전트 프로그램이다.
다음으로, 도 2에 도시한 디바이스 정의 정보(102a)의 내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3a은, 도 2에 도시한 디바이스 정의 정보(102a)으로서,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204) 및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303)가 SCSI인 경우의, SCSI용의 가상 디바이스 정의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SCSI용의 가상 디바이스 정의 정보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SCSI용의 가상 디바이스 정의 정보에서 장치를 일의에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인 장치 번호와, SCSI 상에서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SCSI-ID)인 Target ID와, SCSI 디바이스 중에서, 동일한 Target ID이면서 복수의 논리 장치 구성을 갖는 경우에, 그들의 식별을 행하기 위해 부여되는 어드레스인 LUN(Logical Unit Number) ID와, 장치의 제조자의 식별 정보인 Vender ID와, 제품의 식별 정보인 Product ID와, Inquiry 파라미터 자체를 저장하는 Inquiry 파라미터와, Inquiry 응답에의 대상/비 대상의 구별을 나타내는 Inquiry 응답의 컬럼을 갖는다.
또한, 도 3b는, 도 2에 도시한 디바이스 정의 정보(102a)로서,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204) 및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303)가 FC인 경우의, FC용의 가상 디바이스 정의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FC용의 가상 디바이스 정의 정보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FC용의 가상 디바이스 정의 정보에서 장치를 일의에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인 장치 번호와, FC 상에서의 포트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인 World Wide Port Names를 나타내는 WWPN ID와, FC 상에서의 노드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인 World Wide Node Name을 나타내는 WWNN ID와, FC의 네트워크 구성을 나타내는 mode와, 장치의 제조자의 식별 정보인 Vender ID와, 제품의 식별 정보인 Product ID와, Inquiry 파라미터 자체를 저장하는 Inquiry 파라미터와, Inquiry 응답에의 대상/비대상의 구별을 나타내는 Inquiry 응답의 컬럼을 갖는다.
다음으로, 도 2에 도시한 실제 디바이스 동작 관리 테이블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실제 디바이스 동작 관리 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실제 디바이스 동작 관리 테이블은, 디바이스가 호스트 컴퓨터(300)의 어플리케이션에 가상적으로 인식되어 있는지, 혹은 실제로 가동 가능하게 접속되고 인식되어 있는 것인지의 구별을 기억 관리하는 테이블이다. 실제 디바이스 동작 관리 테이블은, 호스트 컴퓨터(300)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마다 실제 디바이스의 동작 상황을 관리하는 테이블이다.
실제 디바이스 동작 관리 테이블은, 장치 식별 정보와, 실제 동작 플래그의 컬럼을 갖는다. 장치 식별 정보는, 주변 장치를 일의에 식별하는 정보이다. 또한, 실제로 동작 플래그는, "1(온)"이면, 가상적인 접속 인식이 아니라, 실제로 가동 가능하게 접속되고 인식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0(오프)"이면, 실제로 가동 가능하게 접속되고 인식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가상적인 접속 인식인 것을 나타낸다.
다음으로, 도 2에 도시한 가상 디바이스 응답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OS의 가상 디바이스 인식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도 2에 도시한 가상 디바이스 응답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OS의 가상 디바이스 인식 처리 수순을 도시하는 타임차트이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호스트 컴퓨터(300)의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303)는,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200)의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204)에 대하여 하드 스캔을 행하고(스텝 S101), 또한, 이 하드 스캔은, 가상 디바이스 응답 장치(100)의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104)에 대하여 행해진다(스텝 S102).
다음으로, 가상 디바이스 응답 장치(100)에서,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104)로부터 제어부(101)에, 하드웨어 접속 가부 판정 지시가 송신된다(스텝 S103). 계속해서, 제어부(101)로부터 기억부(102)에 가상 디바이스 정의 정보 참조의 지시가 송신되고(스텝 S104), 이 지시에 따라서 기억부(102)로부터 제어부(101)에 가상 디바이스 정의 정보가 읽어내어진다(스텝 S105).
가상 디바이스 정의 정보가 읽어내어지면, 제어부(101)는, 하드 접속 가부 판정 처리를 실행하고(스텝 S106), 이 처리에 의해 접속이 허용되는 하드웨어라고 판정되었다면, 제어부(101)는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104)에 가상 디바이스로서 접속 가능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인 가상 디바이스 접속 가능 정보를 송신한다(스텝 S107). 그리고,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104)는, 가상 디바이스 접속 가능 정보를,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200)의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204)에 송신한다(스텝 S108).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200)는, 가상 디바이스 접속 가능 정보를 수신하였다면, 호스트 컴퓨터(300)의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303)에 대하여, 스텝 S101에서 요구된 하드 스캔에의 응답을 행한다(스텝 S109). 이 응답을 수신한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303)는, 접속 가능한 디바이스(하드웨어)로서 상기 하드웨어를 열거한다(스텝 S110).
계속해서, 호스트 컴퓨터(300)에서, 디바이스 제어부(301b)로부터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303)에 대하여, 드라이버 스캔이 실행된다(스텝 S111). 이 드라이버 스캔을 받고,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303)는, 스텝 S110에서 열거된 디바이스 인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이 확인 결과를 드라이버 스캔 응답으로서 디바이스 제어부(301b)에 송신한다(스텝 S112). 디바이스 제어부(301b)는, 드라이버 스캔 응답을 수신하였다면, 상기 하드웨어에 대응하는 디바이스 파일을 생성한다(스텝 S113). 이 생성된 디바이스 파일에 의해, 상기 하드웨어가 OS에 인식되게 된다.
다음으로,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의 가상 디바이스 인식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호스트 컴퓨터(300)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에 의해 주변 장치로서의 하드웨어가 인식되는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의 가상 디바이스 인식 처리 수순을 도시하는 타임차트이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호 스트 컴퓨터(300)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부(301a)로부터 디바이스 제어부(301b)에, 조립 커맨드 및 실제 동작 커맨드가 송신된다(스텝 S121). 계속해서, 어플리케이션 실행부(301a)로부터의 조립 커맨드 및 실제 동작 커맨드가 디바이스 제어부(301b)에 의해 수신되면, 디바이스 제어부(301b)로부터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303)에, 조립 커맨드 및 실제 동작 커맨드가 송신된다(스텝 S122). 여기에서, 조립 커맨드란, 하드웨어가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에 정상적으로 인식되고 조립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커맨드이다. 또한, 실제 동작 커맨드란, 하드웨어가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에 의해 사용 가능하게 되어 대기 상태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커맨드이다.
계속해서, 호스트 컴퓨터(300)의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303)에 의해 조립 커맨드 및 실제 동작 커맨드가 수신되면,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303)로부터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200)의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204)에, 조립 커맨드 및 실제 동작 커맨드가 송신된다(스텝 S123).
계속해서,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200)의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204)에 의해 조립 커맨드 및 실제 동작 커맨드가 수신되면,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204)로부터 가상 디바이스 응답 장치(100)의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104)에, 조립 커맨드 및 실제 동작 커맨드가 송신된다(스텝 S124).
계속해서, 가상 디바이스 응답 장치(100)의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104)에 의해 조립 커맨드 및 실제 동작 커맨드가 수신되면, 가상 디바이스 응답 장치(100)에서,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104)로부터 제어부(101)에, 조립 커맨드 및 실제 동 작 커맨드가 송신된다(스텝 S125). 제어부(101)에 의해 조립 커맨드 및 실제 동작 커맨드가 수신되면, 제어부(101)는, 기억부(102)에 대하여 가상 디바이스 정의 정보 참조를 행한다(스텝 S126). 이 가상 디바이스 정의 정보 참조에 따라서, 기억부(102)로부터 제어부(101)에, 가상 디바이스 정의 정보가 읽어내어진다(스텝 S127). 제어부(101)는, 이 읽어내어진 가상 디바이스 정의 정보에 기초해서 상기 하드웨어의 사용 가부(가상 디바이스 정의 정보의 등록의 유무)를 판정한다(스텝 S128).
스텝 S128의 처리에 의해, 상기 하드웨어가 사용 가능으로 판정되었다면, 제어부(101)로부터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104)에, 조립 정상 응답 및 Not Ready 응답이 송신된다(스텝 S129). 여기에서, 조립 정상 응답이란, 조립 커맨드에 따라서, 하드웨어가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에 정상적으로 인식되고 조립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응답이다. 또한, Not Ready 응답이란, 실제 동작 커맨드에 따른 응답으로서, 하드웨어가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에 의해 사용 가능하게 되어 대기 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응답이다.
다음으로,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104)에 의해 조립 정상 응답 및 Not Ready 응답이 수신되었다면,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104)로부터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200)의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204)에, 조립 정상 응답 및 Not Ready 응답이 송신된다(스텝 S130).
계속해서,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204)에 의해 조립 정상 응답 및 Not Ready 응답이 수신되었다면,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204)는, 호스트 컴퓨터(300) 의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303)에, 조립 정상 응답 및 Not Ready 응답을 송신한다(스텝 S131).
계속해서, 호스트 컴퓨터(300)의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303)에 의해 조립 정상 응답 및 Not Ready 응답이 수신되었다면, 호스트 컴퓨터(300)에서,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303)는, 디바이스 제어부(301b)에, 조립 정상 응답 및 Not Ready 응답을 송신한다(스텝 S132).
계속해서, 디바이스 제어부(301b)에 의해 조립 정상 응답 및 Not Ready 응답이 수신되었다면, 디바이스 제어부(301b)는, 어플리케이션 실행부(301a)에, 조립 정상 응답 및 Not Ready 응답을 송신한다(스텝 S133). 이와 같이 하여, 호스트 컴퓨터(300)의 어플리케이션 실행부(301a)로부터 가상 디바이스 응답 장치(100)에의 조립 커맨드 및 실제 동작 커맨드의 송신에 대하여, 가상 디바이스 응답 장치(100)로부터 호스트 컴퓨터(300)의 어플리케이션 실행부(301a)에, 조립 정상 응답 및 Not Ready 응답이 송신되고,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에 의한 가상 디바이스 응답 장치(100)의 인식과, 가상 디바이스 응답 장치(100)가 가상적으로 작동하는 것으로 되어 있는 테이프 드라이브와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간의 데이터 통신 대기 상태의 통지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된다.
또한, 스텝 S128의 처리에 의해, 상기 하드웨어가 사용 가능으로 판정되지 않았다면, 스텝 129 내지 스텝 S133의 처리는 실행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의 실제 디바이스 가동 인식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7a 및 도 7b는, 주변 장치로서의 하드웨어가 가상 디바이스 응답 장 치(100)에 의해 호스트 컴퓨터(300)에 가상적으로 인식된 상태로부터, 그 하드웨어가 실제로 접속되어 가동을 개시하였을 때에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의 실제 디바이스 가동 인식 처리 수순을 도시하는 타임차트이다. 또한, 도 7a에 도시하는 처리는, 가상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실제 디바이스가 실제로 접속되어 동작을 개시하였을 때에 행해지는 인터럽트 처리이다. 또한, 도 7b에 도시하는 처리는, 정기적으로 디바이스 동작 관리 테이블(302a)을 참조하여 실제 동작 플래그를 판정하고, 그 판정에 의해 실제 동작 플래그가 "1(온)"이었던 경우에 실제 디바이스의 접속 확인을 행하는 폴링 처리이다.
우선, 도 7a을 참조하여, 우선,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200)에서, 제어부(201)가 가상적으로 접속 및 인식되어 있는 하드웨어의 가동 개시를 검지하였다면, 제어부(201)로부터 실제 디바이스 가동 통지 송신 인터페이스(203)에, 실제 디바이스 가동 통지를 송신한다(스텝 S141).
계속해서, 실제 디바이스 가동 통지를 수신한 실제 디바이스 가동 통지 송신 인터페이스(203)는, 가상 디바이스 응답 장치(100)의 실제 디바이스 가동 통지 수신 인터페이스(103)에, 실제 디바이스 가동 통지를 송신한다(스텝 S142).
계속해서, 가상 디바이스 응답 장치(100)에서, 실제 디바이스 가동 통지를 수신한 실제 디바이스 가동 통지 수신 인터페이스(103)는, 제어부(101)에, 실제 디바이스 가동 통지를 송신한다(스텝 S143). 실제 디바이스 가동 통지를 수신한 제어부(101)는, 실제 디바이스 가동 통지가 특정하는 가동 디바이스의 판정 처리인 가상 디바이스 판정 처리를 행한다(스텝 S144). 계속해서, 제어부(101)는, 스텝 S144에서 판정된 가상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실제 디바이스의 가동 통지인 실제 디바이스 가동 통지를 디바이스 절환 신호 송신 인터페이스(105)에 송신한다(스텝 S145). 실제 디바이스 가동 통지를 수신한 디바이스 절환 신호 송신 인터페이스(105)는, 호스트 컴퓨터(300)의 디바이스 절환 신호 수신 인터페이스(304)에, 실제 디바이스 가동 통지를 송신한다(스텝 S146).
계속해서, 호스트 컴퓨터(300)에서, 실제 디바이스 가동 통지를 수신한 디바이스 절환 신호 수신 인터페이스(304)는, 디바이스 절환 정보 수신부(301c)에 실제 디바이스 가동 통지를 송신한다(스텝 S147). 계속해서, 실제 디바이스 가동 통지를 수신한 디바이스 절환 정보 수신부(301c)는, 어플리케이션 실행부(301a)에 실제 디바이스 가동 통지를 송신한다(스텝 S148). 그리고, 실제 디바이스 가동 통지를 수신한 어플리케이션 실행부(301a)는, 디바이스 동작 관리 테이블(302a)의 상기 실제 디바이스의 실제 동작 플래그를 "1(온)"로 한다(스텝 S149). 이와 같이 하여,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200)로부터 호스트 컴퓨터(300)에, 가상적으로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에 인식되어 있던 하드웨어가 실제로 접속되어 가동을 개시한 것이 통지된다.
또한, 스텝 S149에서는, 어플리케이션 실행부(301a)가 실제 디바이스 가동 통지를 수신해서 디바이스 동작 관리 테이블(302a)의 상기 실제 디바이스의 실제 동작 플래그를 "1(온)"로 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OS 혹은 다른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가 실제 디바이스 가동 통지를 수신해서 디바이스 동작 관리 테이블(302a)의 상기 실제 디바이스의 실제 동작 플래그를 "1(온)"로 하는 것으 로 하여도 된다. 즉, 실제 디바이스 가동에 관하여, OS 혹은 다른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가 실제 디바이스 가동의 통지를 수신하고, 디바이스의 실제 동작을 관리하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계속해서, 도 7b를 참조하면, 우선, 호스트 컴퓨터(300)의 어플리케이션 실행부(301a)는, 디바이스 동작 관리 테이블(302a)의 실제 동작 플래그의 컬럼을 참조하여, 디바이스 동작 상황을 판정한다(스텝 S151). 계속해서, 호스트 컴퓨터(300)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부(301a)로부터 디바이스 제어부(301b)에, 실제 동작 확인 커맨드가 송신된다(스텝 S152). 계속해서, 어플리케이션 실행부(301a)로부터의 실제 동작 확인 커맨드가 디바이스 제어부(301b)에 의해 수신되면, 디바이스 제어부(301b)로부터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303)에, 실제 동작 확인 커맨드가 송신된다(스텝 S153).
계속해서, 호스트 컴퓨터(300)의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303)에 의해 실제 동작 확인 커맨드가 수신되면,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303)로부터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200)의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204)에, 실제 동작 확인 커맨드가 송신된다(스텝 S154).
계속해서,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200)의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204)에 의해 실제 동작 확인 커맨드가 수신되면,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200)에서,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204)로부터 제어부(201)에, 실제 동작 확인 커맨드가 송신된다(스텝 S155). 제어부(201)에 의해 실제 동작 확인 커맨드가 수신되면, 상기 하드웨어의 사용 가부를 판정한다(스텝 S156).
다음으로, 제어부(201)로부터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204)에, 실제 동작 정상 응답이 송신된다(스텝 S157). 또한, 실제 동작 정상 응답이란, 실제 동작 커맨드에 따른 응답으로서, 하드웨어가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에 의해 사용 가능하게 되어 실제로 데이터 통신 가능한 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응답이다.
계속해서,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204)에 의해 실제 동작 정상 응답이 수신되었다면,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204)는, 호스트 컴퓨터(300)의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303)에, 실제 동작 정상 응답을 송신한다(스텝 S158).
계속해서, 호스트 컴퓨터(300)의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303)에 의해 실제 동작 정상 응답이 수신되었다면, 호스트 컴퓨터(300)에서,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303)는, 디바이스 제어부(301b)에, 실제 동작 정상 응답을 송신한다(스텝 S159).
계속해서, 디바이스 제어부(301b)에 의해 조립 정상 응답 및 실제 동작 정상 응답이 수신되었다면, 디바이스 제어부(301b)는, 어플리케이션 실행부(301a)에, 실제 동작 정상 응답을 송신한다(스텝 S160). 이와 같이 하여, 호스트 컴퓨터(300)의 어플리케이션 실행부(301a)로부터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200)에의 실제 동작 확인 커맨드의 송신에 대하여,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200)로부터 호스트 컴퓨터(300)의 어플리케이션 실행부(301a)에, 조립 정상 응답 및 실제 동작 정상 응답이 송신되고,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에 의해 테이프 드라이브가 인식되고, 그 테이프 드라이브와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간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게 되었지만, 실제로는 아직 데이터 통신이 행해져 있지 않은 상태인 것이 통지되는 것으로 된 다.
다음으로, 가상 디바이스 응답 시스템의 구성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가상 디바이스 응답 시스템의 구성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디바이스 절환 정보 수신부(301c)는, 어플리케이션 실행부(301a)에 포함되도록 하여도 된다. 이 경우에, 디바이스 절환 정보 수신부(301c)는, 가상 디바이스 응답 장치(100)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가 사용 불가능 상태의 하드웨어를 사용 가능하게 하는 커맨드를 수신하는 것으로 된다. 이 커맨드를 수신한 디바이스 절환 정보 수신부(301c)는, 기억부(302)의 디바이스 동작 관리 테이블(302a)의 상기 디바이스의 실제 동작 플래그를 "1(온)"로 한다. 그 밖의 구성은, 도 2에 도시한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이상의 실시예에 의하면, 실태가 없는 테이프 드라이브라도, 장래적으로 사용이 예상되는 테이프 드라이브이면, 미리 호스트 컴퓨터(300)의 OS 및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에 가상적으로 인식시켜 두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나중에 상기 테이프 드라이브가 실제로 접속되고, 가동을 개시하였을 때에도, 이미 호스트 컴퓨터(300)의 OS 및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에 인식된 상태에 있기 때문에, OS의 재기동을 필요로 하지 않고, 또한, 인식에 따른 처리를 행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호스트 컴퓨터(300)의 일시적인 처리 능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테이프 드라이브의 호스트 컴퓨터에의 접속에 즈음하여, 신속한 접속 및 가동 개시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한 각 처리는, 미리 준비된 프로그램을, 주변 장 치가 접속 가능한 퍼스널 컴퓨터, 서버 또는 워크스테이션 등의 컴퓨터 시스템에서 실행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실제로 가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는 디바이스 이외에, 장래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디바이스를 가상 디바이스로서 사전에 가상적으로 인식시키고, 이때에 OS의 인식에 따른 처리를 완료해둠으로써, 이 가상적으로 인식시켜 둔 디바이스가 실제로 접속되었을 때에, OS의 인식에 따른 처리를 필요로 하지 않고, 신속하게 디바이스를 사용 개시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을 이용하면, 실제로 가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는 디바이스 이외에 접속을 허용될 수 있는 디바이스를 가상 디바이스로서 사전에 규정해 둠으로써, 이 규정을 초과한 대수의 디바이스가 접속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혹은 규정 이외의 디바이스가 접속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하는 등의 운용 관리 상의 편리성을 생성하는 경우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더 여러가지의 상이한 실시예로 실시되어도 되는 것이다. 또한, 실시예에 기재한 효과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가상 디바이스 응답 장치(100)의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104)가, 데이터 통신 라이브러리 장치(200)의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204)와 접속되고,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204)가 호스트 컴퓨터(300)의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303)와 접속됨으로써, 가상 디바이스 응답 장치(100)가 호스트 컴퓨터(300) 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는 것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한하지 않고, 가상 디바이스 응답 장치(100)의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104)가, 호스트 컴퓨터(300)의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303)와 직접 접속됨으로써, 가상 디바이스 응답 장치(100)가 호스트 컴퓨터(300)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가상 디바이스 응답 장치(100)가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200)의 내부에 조립된 구성을 나타내었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가상 디바이스 응답 장치(100)가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200)의 외부에 있어 그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200)와 접속되어도 된다. 이 경우의 가상 디바이스 응답 장치(100)는, 각 주변 장치를 데이지 체인에 의해 접속하였을 때의 가장 호스트 컴퓨터에 가까운 위치에 접속되는 것이어도 되고, 혹은 상기 데이지 체인 내의 어느 하나의 위치에 접속되는 것이어도 된다.
(부기 1)컴퓨터 시스템에 접속되는, 실제의 주변 장치에 대응하는 가상적인 주변 장치로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에 접속 가능한 주변 장치의 속성 정보를 기억하는 속성 정보 기억 수단과, 상기 컴퓨터 시스템이 행하는 주변 장치의 접속 확인 요구에 대하여, 상기 속성 정보 기억 수단에 기억되는 주변 장치의 속성 정보에 따라서, 그 컴퓨터 시스템에 실제로 접속되어 있는 주변 장치로서 응답하는 접속 응답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 장치.
(부기 2)상기 접속 응답 수단에 의해 상기 컴퓨터 시스템에 실제로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 응답된 주변 장치가 그 컴퓨터 시스템에 실제로 접속된 것의 통지를 수신하는 접속 통지 수신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에 기 재된 주변 장치.
(부기 3)상기 접속 통지 수신 수단에 의해 상기 통지가 수신되면, 그 접속을 상기 컴퓨터 시스템에 대하여 다시 통지하는 접속 통지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2에 기재된 주변 장치.
(부기 4)상기 접속 응답 수단은, 상기 접속 통지 수신 수단에 의해 상기 통지가 수신되면, 상기 컴퓨터 시스템이 행하는 주변 장치의 접속 확인 요구에 대하여 그 컴퓨터 시스템에 실제로 접속되어 있는 주변 장치로서 응답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2 또는 3에 기재된 주변 장치.
(부기 5)상기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접속 확인 요구에 대하여, 상기 접속 응답 수단에 의해 상기 컴퓨터 시스템에 실제로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 응답된 주변 장치가 그 컴퓨터 시스템에 대하여 대기 상태인 것으로 응답하는 대기 응답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주변 장치.
(부기 6)상기 접속 응답 수단에 의해 상기 컴퓨터 시스템에 실제로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 응답된 주변 장치가 그 컴퓨터 시스템에 실제로 접속되면, 그 접속을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통지하는 쌍 어플리케이션 접속 통지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5에 기재된 주변 장치.
(부기 7)상기 접속 응답 수단은, 상기 접속 통지 수신 수단에 의해 상기 통지가 수신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행하는 주변 장치의 접속 확인 요구에 대하여 그 컴퓨터 시스템에 실제로 접속되어 있는 주변 장치로서 응답하지 않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부기 5 또는 6에 기재된 주변 장치.
(부기 8)상기 속성 정보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기 위한 속성 정보의 입력을 접수하는 입력 수단과, 상기 속성 정보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속성 정보를 일람 표시하기 위한 표시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주변 장치.
(부기 9)컴퓨터 시스템에 접속되는, 실제의 주변 장치에 대응하는 가상적인 주변 장치를 인식하는 주변 장치 인식 방법으로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에 접속 가능한 주변 장치의 속성 정보를 기억하는 속성 정보 기억 공정과, 상기 컴퓨터 시스템이 행하는 주변 장치의 접속 확인 요구에 대하여, 상기 속성 정보 기억 공정에서 기억된 주변 장치의 속성 정보에 따라서, 그 컴퓨터 시스템에 실제로 접속되어 있는 주변 장치로서 응답하는 접속 응답 공정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 장치 인식 방법.
(부기 10)상기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접속 확인 요구에 대하여, 상기 접속 응답 수단에 의해 상기 컴퓨터 시스템에 실제로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 응답된 주변 장치가 그 컴퓨터 시스템에 대하여 대기 상태인 것으로 응답하는 대기 응답 공정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9에 기재된 주변 장치 인식 방법.
(부기 11)컴퓨터 시스템에 접속되는, 실제의 주변 장치에 대응하는 가상적인 주변 장치를 인식시키는 주변 장치 인식 처리를 제어 장치에 실행시키는 주변 장치인식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에 접속 가능한 주변 장치의 속성 정보를 기억하는 속성 정보 기억 수순과, 상기 컴퓨터 시스템이 행하는 주변 장치의 접속 확인 요구에 대하여, 상기 속성 정보 기억 수순에 기억되는 주변 장치의 속성 정보 에 따라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에 실제로 접속되어 있는 주변 장치로서 응답하는 접속 응답 수순을 제어 장치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 장치 인식 프로그램.
(부기 12)상기 접속 응답 수순에 의해 상기 컴퓨터 시스템에 실제로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 응답된 주변 장치가 그 컴퓨터 시스템에 실제로 접속된 것의 통지를 수신하는 접속 통지 수신 수순을 다시 제어 장치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1에 기재된 주변 장치 인식 프로그램.
(부기 13)상기 접속 통지 수신 수순에 의해 상기 통지가 수신되면, 그 접속을 상기 컴퓨터 시스템에 대하여 다시 통지하는 접속 통지 수순을 다시 제어 장치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2에 기재된 주변 장치 인식 프로그램.
(부기 14)상기 접속 응답 수순은, 상기 접속 통지 수신 수순에 의해 상기 통지가 수신되면, 상기 컴퓨터 시스템이 행하는 주변 장치의 접속 확인 요구에 대하여 그 컴퓨터 시스템에 실제로 접속되어 있는 주변 장치로서 응답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2 또는 13에 기재된 주변 장치 인식 프로그램.
(부기 15)상기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접속 확인 요구에 대하여, 상기 접속 응답 수순에 의해 상기 컴퓨터 시스템에 실제로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 응답된 주변 장치가 그 컴퓨터 시스템에 대하여 대기 상태인 것으로 응답하는 대기 응답 수순을 다시 제어 장치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부기 11 내지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주변 장치 인식 프로그램.
(부기 16)상기 접속 응답 수순에 의해 상기 컴퓨터 시스템에 실제로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 응답된 주변 장치가 그 컴퓨터 시스템에 실제로 접속되면, 그 접속을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통지하는 쌍 어플리케이션 접속 통지 수순을 다시 제어 회로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5에 기재된 주변 장치 인식 프로그램.
(부기 17)상기 접속 응답 수순은, 상기 접속 통지 수신 수순에 의해 상기 통지가 수신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행하는 주변 장치의 접속 확인 요구에 대하여 그 컴퓨터 시스템에 실제로 접속되어 있는 주변 장치로서 응답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5 또는 16에 기재된 주변 장치 인식 프로그램.
(부기 18)상기 속성 정보 기억 수순에 기억시키기 위한 속성 정보의 입력을 접수하는 입력 수순과, 상기 속성 정보 기억 수순에 기억되어 있는 속성 정보를 일람 표시하기 위한 표시 수순을 다시 제어 회로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1 내지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주변 장치 인식 프로그램.
(부기 19)실제의 주변 장치로서 작동하는 가상적인 주변 장치와의 접속이 확립되어 있는 컴퓨터 시스템과 그 컴퓨터 시스템에 접속되는 주변 장치와의 사이에서의 데이터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제어 장치에 의해 동작시켜지는 에이전트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가상적인 주변 장치로부터, 상기 실제의 주변 장치가 접속된 것을 수신하는 주변 장치 접속 수신 수순과, 상기 주변 장치 접속 수신 수순에 의해 상기 실제의 주변 장치가 접 속된 것이 수신된 것을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통지하는 접속 통지 수순을 제어 장치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전트 프로그램.
(부기 20)실제의 주변 장치로서 작동하는 가상적인 주변 장치와의 접속이 확립되어 있는 컴퓨터 시스템과 그 컴퓨터 시스템에 접속되는 주변 장치와의 사이에서의 데이터의 입출력을 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제어 장치에 실행시키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가상적인 주변 장치로부터, 상기 실제의 주변 장치가 접속된 것을 수신하는 주변 장치 접속 수신 수순과, 상기 주변 장치 접속 수신 수단에 의해 상기 실제의 주변 장치가 접속된 것이 수신되면, 상기 가상적인 주변 장치와의 접속을 해제하고, 상기 실제의 주변 장치와의 접속을 확립하는 접속 확립 수순을 제어 장치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접속 실태가 없는 주변 장치라도 컴퓨터 시스템에 가상적으로 접속 및 인식시키고, 주변 장치가 실제로 접속된 경우에 OS를 재기동하는 것 및 컴퓨터 시스템의 처리 능력의 일시적인 저하를 초래하지 않고 신속하게 데이터의 입출력을 개시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유용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컴퓨터 시스템이 행하는 주변 장치의 접속 확인 요구에 대하여, 속성 정보 기억 수단에 기억되는 주변 장치의 속성 정보에 따라서, 그 컴퓨터 시스템에 실제로 접속되어 있는 주변 장치로서 응답하기 때문에, 접속 실태가 없는 주변 장치라도 컴퓨터 시스템에 가상적으로 접속 및 인식시킬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가상적으로 접속 및 인식되어 있는 주변 장치가 실제로 접속된 것을 인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가상적으로 접속 및 인식되어 있는 주변 장치가 실제로 접속된 것을 컴퓨터 시스템에 인식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가상적으로 접속 및 인식되어 있는 주변 장치가 실제로 접속되면, 상기 컴퓨터 시스템에 실제로 접속되어 있는 주변 장치로서 응답하지 않기 때문에, 처리가 혼란하여 오작동하는 것을 방지한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데이터의 수수 가능한 상태로 이행 가능한 상태인 것을 통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Claims (10)

  1. 컴퓨터 시스템에 접속되는, 실제의 주변 장치에 대응하는 가상적인 주변 장치로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에 접속 가능한 주변 장치의 속성 정보를 기억하는 속성정보 기억 수단과,
    상기 컴퓨터 시스템이 행하는 주변 장치의 접속 확인 요구에 대하여, 상기 속성 정보 기억 수단에 기억되는 주변 장치의 속성 정보에 따라서, 해당 컴퓨터 시스템에 실제로 접속되어 있는 주변 장치로서 응답하는 접속 응답 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응답 수단에 의해 상기 컴퓨터 시스템에 실제로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 응답된 주변 장치가 해당 컴퓨터 시스템에 실제로 접속된 것의 통지를 수신하는 접속 통지 수신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통지 수신 수단에 의해 상기 통지가 수신되면, 그 접속을 상기 컴퓨터 시스템에 대하여 다시 통지하는 접속 통지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응답 수단은, 상기 접속 통지 수신 수단에 의해 상기 통지가 수신되면, 상기 컴퓨터 시스템이 행하는 주변 장치의 접속 확인 요구에 대하여 해당 컴퓨터 시스템에 실제로 접속되어 있는 주변 장치로서 응답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접속 확인 요구에 대하여, 상기 접속 응답 수단에 의해 상기 컴퓨터 시스템에 실제로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서 응답된 주변 장치가 해당 컴퓨터 시스템에 대하여 대기 상태인 것으로 응답하는 대기 응답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응답 수단에 의해 상기 컴퓨터 시스템에 실제로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서 응답된 주변 장치가 해당 컴퓨터 시스템에 실제로 접속되면, 그 접속을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통지하는 대 어플리케이션 접속 통지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응답 수단은, 상기 접속 통지 수신 수단에 의해 상기 통지가 수신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행하는 주변 장치의 접속 확인 요구에 대하여 해당 컴퓨터 시스템에 실제로 접속되어 있는 주변 장치로서 응답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 장치.
  8. 컴퓨터 시스템에 접속되는, 실제의 주변 장치에 대응하는 가상적인 주변 장치를 인식하는 주변 장치 인식 방법으로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에 접속 가능한 주변 장치의 속성 정보를 기억하는 속성 정보 기억 공정과,
    상기 컴퓨터 시스템이 행하는 주변 장치의 접속 확인 요구에 대하여, 상기 속성 정보 기억 공정에서 기억된 주변 장치의 속성 정보에 따라서, 해당 컴퓨터 시스템에 실제로 접속되어 있는 주변 장치로서 응답하는 접속 응답 공정
    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 장치 인식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접속 확인 요구에 대하여, 상기 접속 응답 수단에 의해 상기 컴퓨터 시스템에 실제로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서 응답된 주변 장치가 해당 컴퓨터 시스템에 대하여 대기 상태인 것으로 응답하는 대기 응답 공정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 장치 인식 방법.
  10. 컴퓨터 시스템에 접속되는, 실제의 주변 장치에 대응하는 가상적인 주변 장치를 인식시키는 주변 장치 인식 처리를 제어 장치에 실행시키는 주변 장치 인식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에 접속 가능한 주변 장치의 속성 정보를 기억하는 속성정보 기억 수순과,
    상기 컴퓨터 시스템이 행하는 주변 장치의 접속 확인 요구에 대하여, 상기 속성 정보 기억 수순에 기억되는 주변 장치의 속성 정보에 따라서, 해당 컴퓨터 시스템에 실제로 접속되어 있는 주변 장치로서 응답하는 접속 응답 수순
    을 제어 장치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 장치 인식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20070024051A 2006-09-27 2007-03-12 주변 장치, 주변 장치 인식 방법 및 주변 장치 인식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08624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263022 2006-09-27
JP2006263022A JP4792361B2 (ja) 2006-09-27 2006-09-27 応答装置、応答方法及び応答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8744A true KR20080028744A (ko) 2008-04-01
KR100862488B1 KR100862488B1 (ko) 2008-10-08

Family

ID=39226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4051A KR100862488B1 (ko) 2006-09-27 2007-03-12 주변 장치, 주변 장치 인식 방법 및 주변 장치 인식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80077712A1 (ko)
JP (1) JP4792361B2 (ko)
KR (1) KR100862488B1 (ko)
CN (1) CN10115414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36861B (zh) * 2011-04-08 2016-01-20 群联电子股份有限公司 存储器配置方法、存储器控制器及存储器储存装置
CN106533882B (zh) * 2016-11-18 2019-12-06 杭州迪普科技股份有限公司 报文的处理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9367A (ja) * 1993-03-10 1994-09-16 Nec Eng Ltd 情報処理装置
US5898861A (en) * 1996-10-18 1999-04-27 Compaq Computer Corporation Transparent keyboard hot plug
JPH11194960A (ja) * 1997-12-26 1999-07-21 Toshiba Corp ソフトウェア試験装置
US6272591B2 (en) * 1998-10-19 2001-08-07 Intel Corporation Raid striping using multiple virtual channels
KR20010060982A (ko) * 1999-12-28 2001-07-07 구자홍 다중 직렬통신 장치
JP2001203920A (ja) * 2000-01-17 2001-07-27 Minolta Co Ltd 電子カメラ
JP2002032325A (ja) * 2000-07-14 2002-01-31 Murata Mach Ltd 電子装置及び増設装置の情報伝送方法
US6594677B2 (en) * 2000-12-22 2003-07-15 Simdesk Technologies, Inc. Virtual tape storage system and method
US7039014B1 (en) * 2000-12-26 2006-05-02 Cisco Technology, Inc. Network-wide connection-based debug mechanism
WO2003023597A2 (en) 2001-09-10 2003-03-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ata storage drives in an automated data storage library
JP2004005541A (ja) * 2002-04-16 2004-01-08 Canon Inc データ転送装置、データ転送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04029885A (ja) * 2002-06-21 2004-01-29 Sharp Corp 接続装置
US20040153614A1 (en) * 2003-02-05 2004-08-05 Haim Bitner Tape storage emulation for open systems environments
KR20040074432A (ko) * 2003-02-18 2004-08-25 주식회사 디지탈웨이 이동형 데이터 저장 장치
JP4367003B2 (ja) * 2003-05-23 2009-11-18 ソニー株式会社 インタフェース装置及びインタフェース制御方法、並びにインタフェース制御プログラム
JP2005165744A (ja) * 2003-12-03 2005-06-23 Toshiba Corp 情報処理システム
JP2005310025A (ja) * 2004-04-26 2005-11-04 Hitachi Ltd ストレージ装置、計算機システムおよびイニシエータ認可方法
US7487288B2 (en) * 2004-05-14 2009-02-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ynamic loading of virtual volume data in a virtual tape server
JP4141409B2 (ja) 2004-06-08 2008-08-27 株式会社アイ・オー・データ機器 外付周辺機器
JP4899336B2 (ja) * 2004-09-28 2012-03-2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複合デバイス管理装置及び方法
JP5111754B2 (ja) * 2005-11-14 2013-01-0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記憶制御システム
JP4896500B2 (ja) * 2005-11-14 2012-03-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機器停止を伴う仮想ボリューム制御方法
KR20070121452A (ko) * 2006-06-22 2007-12-2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usb를 이용한 단일 디바이스와 다수의 호스트간의 접속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54144A (zh) 2008-04-02
JP2008083980A (ja) 2008-04-10
KR100862488B1 (ko) 2008-10-08
CN101154144B (zh) 2011-07-20
JP4792361B2 (ja) 2011-10-12
US20080077712A1 (en) 2008-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56994B2 (ja) ネットワークプリントシステム及びネットワーク周辺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とプログラム
JP4852298B2 (ja) 仮想ボリュームを識別する情報を引き継ぐ方法及びその方法を用いたストレージシステム
KR101292936B1 (ko) 원격 시스템을 위한 플러그 앤드 플레이 장치 재지정
KR100438724B1 (ko) 원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동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및 그 운용 방법
US8499104B2 (en) Method for switching working mode, USB device, and host device
US20090019187A1 (en) Peripheral Device Using Method, and Peripheral Device Server
US20070006020A1 (en) Inter-host data transfer method, program, and system
WO2011148672A1 (ja) 業務計算機割当て方法及び装置
US10025742B2 (en) JBOD apparatus having BMC module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US20120047292A1 (en) Monitoring System, Device Server, Host Computer, Monitor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KR100862488B1 (ko) 주변 장치, 주변 장치 인식 방법 및 주변 장치 인식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20130003852A (ko) 원격 디바이스 드라이버 제공 시스템 및 원격 디바이스 드라이버 제공 방법
JP2003044325A (ja) 資産管理装置
US20140040520A1 (en) Method and program for selective suspension of usb device
US9590819B2 (en) Stopping polling of a peripheral device on a network if the peripheral device leaves the network
EP2477120B1 (en) Method for processing device connection, combination device and host device
JP4430456B2 (ja) ネットワークストレージシステム,ユーザ管理サーバおよびユーザ管理サーバ用プログラム
JP2012053648A (ja) 多機能装置および多機能装置の制御方法
US20230128400A1 (en) Management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JP2009032241A (ja) 計算機システム及び計算機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
JP4090216B2 (ja) ディスクボリュームの管理方法及びその装置
JP4871832B2 (ja) 計算機システム
JP2006172385A (ja) 計算機システム、ストレージ管理プログラムの呼出方法及びストレージシステム
JP2848172B2 (ja) 入出力制御装置
JPH06309057A (ja) 遠隔システム装置起動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