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7730A - 코팅필름의 건조방법 및 장치, 그리고 광학필름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코팅필름의 건조방법 및 장치, 그리고 광학필름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7730A
KR20080027730A KR1020070095185A KR20070095185A KR20080027730A KR 20080027730 A KR20080027730 A KR 20080027730A KR 1020070095185 A KR1020070095185 A KR 1020070095185A KR 20070095185 A KR20070095185 A KR 20070095185A KR 20080027730 A KR20080027730 A KR 200800277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coating
drying
heat transfer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5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6626B1 (ko
Inventor
마사키 소노베
타카시 야히로
Original Assignee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27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77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6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6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3/00Machines and apparatus for drying fabrics, fibres, yarns, or other materials in long length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3/10Arrangements for feeding, heating or supporting materials; Controlling movement, tension or position of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9/00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 B05C9/08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nd performing an auxiliary operation
    • B05C9/14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nd performing an auxiliary operation the auxiliary operation involving heating or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05Treatment of dryer exhaust gases
    • F26B25/006Separating volatiles, e.g. recovering solvents from dryer exhaust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2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radiation, e.g. from the sun
    • F26B3/283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radiation, e.g. from the sun in combination with conv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2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radiation, e.g. from the sun
    • F26B3/3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radiation, e.g. from the sun from infrared-emitting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주행하는 밴드형 플렉시블 기판에 도포된 유기용매 함유 코팅액의 코팅필름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코팅필름의 건조방법에 있어서: 코팅 직후 주행 위치에서 상기 밴드형 플렉시블 기판의 반대 위치에 가열기를 구비하는 단계; 및 상기 가열기로 상기 밴드형 플렉시블 기판을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TW(℃)가 상기 밴드형 플렉시블 기판의 표면온도; TH(℃)가 상기 가열기의 표면온도; λ(W/m·K)가 공기의 열전달 계수; d(m)가 상기 가열기와 상기 밴드형 플렉시블 기판(웹) 사이의 거리; η가 열전달 효율; 및 σ가 슈테판-볼츠만 상수(5.670×10-8W/m2K4)를 나타내는 경우, QR/(QR+QC)로 표시되는 복사전열비는 0.25~0.6이고, 여기서 QC 및 QR은 각각 하기 등식으로 표시된다: QC=λ/d·(TH-TW), 단, QC는 공기에 의한 열전달을 나타내고, QR=ησ{(TH+273)4-(TW+273)4}, 단, QR는 복사에 의한 열전달을 나타낸다.
코팅필름의 건조방법, 코팅필름의 건조장치, 광학필름 제조방법

Description

코팅필름의 건조방법 및 장치, 그리고 광학필름의 제조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DRYING COATING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FILM}
본 발명은 코팅필름을 건조하는 방법 및 장치, 특히, 연속적으로 주행하는 밴드형의 플렉시블 기판(이하 "웹(web)"이라 칭함)에 다양한 액체 조성물을 도포하여 형성한 길고 넓은 코팅필름의 표면을 건조하는 방법 및 장치와 광학필름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연속적으로 주행하는 웹에 각종 액체 조성물을 도포하여 형성한 길고 넓은 코팅필름의 표면을 건조하는 방법 및 장치로서, 웹의 비코팅면을 롤로 지지하고, 공기 노즐로부터 코팅면에 공기를 송풍하여 웹을 건조하는 건조방법; 또는 웹을 공기중에 띄운 상태에서 웹의 코팅면과 비코팅면 모두에 공기를 송풍하여 웹을 건조하는 비접촉 공기 부양 건조방법(일본 특허출원 소48-042903호)이 공지되어 있다.
건조를 위해 공기를 불어 넣는 이들 방법(이하 "열풍 건조법"이라 칭함)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건조는 습도가 조절된 공기를 코팅면에 송풍하여 상기 코팅면에 함유된 용매를 증발시킴으로써 수행된다. 이들 열풍 건조법은 건조 효율에 있어서 우수하지만, 공기가 코팅면에 직접 송풍되거나 또는 다공질 판이나 교정판을 통 해 코팅면에 송풍되어서 이러한 코팅면이 코팅층의 두께를 불균일하게 하기 때문에 균일한 코팅층을 제공할 수 없다는 문제를 갖고, 또한 기류에 의해 코팅면에서의 용매의 증발율이 불균일해져서 소위 오렌지필(orange peel) 결함(Yuji Ozaki, "Coating Kogaku(코팅 공학)", Asakura Shoten, 1971, p.293~294 참조) 등이 야기된다.
이러한 불균일의 발생은 코팅 용액이 유기용매를 함유하는 경우에 더욱 현저하다. 이는, 충분한 유기용매를 함유하고 있는 건조의 초기상태에서의 코팅필름에서 유기용매의 증발에 차등이 생기는 경우, 코팅필름의 표면에서의 온도 및 표면 장력에도 차등이 생기게 되고; 그 결과 코팅필름에 있어서 소위 마랑고니(Marangoni) 대류와 같은 평면내 흐름이 야기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불균일은 심각한 코팅 결함을 초래한다. 액정이 코팅필름에 함유된 경우에는, 상기한 것과 같은 건조 불균일 문제뿐만 아니라 송풍에 의해 코팅 필름 표면에서 액정 배향 편차의 발생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이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일본 특허공개 제2001-170547호(p.3~5, 도 1)는 코팅 직후 건조기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시한다. 상기 특허공개에는 건조기의 내부를 수개의 부분으로 구획하고, 각각의 구획된 부분에서 공기의 속도를 조절하면서 기판의 폭 방향으로 한쪽 말단에서 다른 말단으로 공기를 송풍하여 건조를 수행함으로써 불균일의 발생을 방지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같은 목적을 위해, 일본 특허공개 평9-73016호(p.5, 도 5)에는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해 건조기를 구획하는 대신에 금속제 거즈를 배치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코팅 용액의 농도를 증가시키거나 코팅 용액에 증점제를 첨가하여 코팅 용액의 점도를 증가시킴으로써 건조풍에 의한 코팅 직후의 코팅필름 표면의 흐름을 억제하는 방법, 및 고비등점 용액을 사용함으로써 건조풍이 코팅 직후 코팅면에서 흐름을 야기하는 경우에도 고비등점 용액의 레벨링 효과에 의해 불균일의 발생을 방지하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일본 특허공개 제2001-170547호(p.3~5, 도 1)에 개시된, 코팅 용액의 점도를 증가시키거나 고비등점 용액을 사용하는 방법은 고속 코팅에 적합하지 않고, 건조 시간이 증가하며, 생산 효율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일본 특허공개 제2000-157923호(p.2~3, 도 1)에는 코팅 직후 공기의 속도를 작은 값으로 조절하여 건조풍에 의한 코팅면의 불균일한 건조를 방지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영국 특허 제1401041호, 미국 특허 제5168639호, 및 미국 특허 제5694701호에는 각각 공기 송풍 없이 코팅필름을 건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영국 특허 제1401041호에는 공기 송풍 없이 코팅용액에서 용매를 증발시키고 증발된 용매를 회수함으로써 건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방법에 의하면, 케이싱의 내부 및 외부로 기판이 통과하기 위한 입구 및 출구가 케이싱의 상부에 구비되고; 케이싱 내에서 기판의 비코팅면을 가열하여 코팅면으로부터의 용매의 증발을 촉진시킴으로써 상기 기판상의 코팅필름을 건조하고; 상기 코팅면 측에 배치된 응축기 판에서 증발된 용매가 응축되고 응축된 상태로 회수된다. 또한, 미국 특허 제5168639호에는 수평방향으로 주행하는 기판의 상부에 배치된 드럼을 사용하여 용매를 회수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미국 특허 제5694701 호에는 미국 특허 제5168639호에 개시된 방법을 개선하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영국 특허 제1401041호에 개시된 방법에 있어서는, 뜨거운 물과 같이 고온의 재료가 가열을 위해 사용되고, 상기 재료가 건조되는 필름과 접촉하거나, 매우 근접하여 사용되기 때문에, 건조시 필름의 표면온도가 매우 고온으로 상승한다. 이는 건조의 촉진에 있어서는 유리하다. 그러나, 실제로는, 필름의 표면온도가 너무 높은 경우 코팅 필름으로부터 용매가 매우 빠른 속도로 증발하여 건조시 불균일의 발생을 초래하거나, 코팅필름의 점도가 온도 증가에 따라 감소하여 코팅필름에 흐름이 발생함으로써 불균일이 초래된다. 한편, 가열 장치가 사용되지 않는다면, 용매의 증발에 의해 코팅필름의 온도는 감소한다. 이는 건조기의 이후 절반에서의 건조 속도의 현저한 감소, 백화(blushing)현상 발생 등의 문제점을 초래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웹의 비코팅면을 적외선 가열기로 가열하는 각종 방법이 제시되어 있다(일본 특허공개 제2004-290776호, 동 제2003-93953호, 동 평5-8372호, 및 동 평11-254642호 참조).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제2004-290776호에는 코팅 직후의 주행 위치에 케이싱에 의해 둘러싸여 있고 건조를 위한 적외선 가열기를 구비한 건조기와, 상기 건조기의 하류에 열풍 건조장치를 구비하여 건조를 수행하는 건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건조방법은 건조기의 입구에서의 코팅필름의 온도(T1) 및 출구에서의 코팅필름의 온도(T2) 차이가 5℃ 이하가 되도록 가열함으로써 코팅필름의 건조 불균일을 초래하지 않으면서 밴드 형태의 플렉시블 기판상에서 코팅필름을 효율적으 로 건조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종래의 방법은 코팅량이 증가하거나 라인 속도가 증가하는 겨우, 건조 구역에서 건조가 완결되지 않아서 건조 불균일을 초래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건조 구역의 크기를 확장해야만 했기 때문에 장치의 크기가 커지게 되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완성되었고, 코팅량이 증가하거나 라인 속도가 증가하는 경우에도 코팅의 불균일을 초래하지 않고 코팅필름을 건조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 및 광학필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1형태는 주행하는 밴드형 플렉시블 기판에 도포된 유기용매를 함유하는 액의 코팅필름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코팅필름의 건조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건조방법은 코팅 직후 주행 위치에서 밴드형 플렉시블 기판의 반대 위치에 가열기를 구비하고, 상기 가열기로 밴드형 플렉시블 기판을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TW(℃)가 상기 밴드형 플렉시블 기판의 표면온도; TH(℃)가 상기 가열기의 표면온도; λ(W/m·K)가 공기의 열전달 계수; d(m)가 상기 가열기와 상기 밴드형 플렉시블 기판(웹) 사이의 거리; η가 열전달 효율; 및 σ가 슈테판-볼츠만 상수(5.670×10-8W/m2K4)를 나타내는 경우, QR/(QR+QC)로 표시되는 복사전열비는 0.25~0.6이고, 여기서 QC 및 QR은 각각 하기 등식으로 표시된다: QC = λ/d·(TH-TW), 단, QC는 공기에 의한 열전달을 나타내고, QR = ησ{(TH+273)4-(TW+273)4}, 단, QR는 복사에 의한 열전달을 나타낸다.
본 발명자들은 웹에 근접하여 가열기를 도입하는 경우의 공기(전도)열전달에 주목하여 복사열전달과 함께 이러한 공기열전달을 이용하여 단위면적 및 단위시간당 건조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적절한 지식 없이 공기열전달을 이용하는 것은 코팅의 불균일을 초래할 수도 있고, 복사열전달에 대한 공기 열전달의 비를 적절한 값으로 함으로써 코팅 불균일이 발생하지 않고 건조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제 1 형태는 이러한 발견에 기초하여 완성되었다. 즉, 복사전열비를 0.25~0.6으로 함으로써 코팅의 불균일이 발생하지 않고 건조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형태는 상기 제 1 형태에 있어서, 상기 가열기는 파장이 1㎛~15㎛인 적외선을 방사하고, 90% 이상의 적외선 방사율을 갖는 적외선 가열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형태에 의하면, 밴드형 플렉시블 기판상의 코팅필름에 열이 효율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형태는 상기 제 1 형태 또는 제 2 형태에 있어서, 상기 가열기와 상기 밴드형 플렉시블 기판 사이의 거리가 1mm~10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 형태에 의하면, 공기열전달을 실질적으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열이 코팅필름에 효율적으로 공급될 수 있고, 따라서 건조속도가 현저히 증 가한다.
본 발명의 제 4 형태는 상기 제 1 형태 내지 제 3 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가열기의 표면온도가 80℃~13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4 형태에 의하면, 공기열전달을 실질적으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열이 코팅필름에 효율적으로 공급될 수 있고, 따라서 건조속도가 현저히 증가한다.
본 발명의 제 5 형태는 상기 제 1 형태 내지 제 4 형태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건조된 코팅필름을 1층 이상 갖는 광학필름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6 형태는 주행하는 밴드형 플렉시블 기판에 유기용매를 함유하는 코팅액의 코팅필름을 건조하기 위한 코팅필름의 건조장치를 제공하고, 상기 건조장치는 상기 밴드형 플렉시블 기판의 반대 위치에서, 코팅 직후 주행 위치에 배치되는 가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TW(℃)는 상기 밴드형 플렉시블 기판의 표면온도; TH(℃)는 상기 가열기의 표면온도; λ(W/m·K)는 공기의 열전달 계수; d(m)는 상기 가열기와 상기 밴드형 플렉시블 기판(웹) 사이의 거리; η는 열전달 효율; 및 σ는 슈테판-볼츠만 상수(5.670×10-8W/m2K4)를 나타내는 경우, QR/(QR+QC)로 표시되는 복사전열비는 0.25~0.6이고, 여기서 QC 및 QR은 각각 하기 등식으로 표시된다: QC = η/d·(TH-TW), 단, QC는 공기에 의한 열전달을 나타내고, QR = ησ{(TH+273)4-(TW+273)4}, 단, QR는 복사에 의한 열전달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 6 형태에 의하면, 복사열전달에 의해 가열기로부터 공급되는 열량비가 0.25~0.60으로 조절되기 때문에, 코팅의 불균일이 발생하지 않고 건조속도를 현저하게 증가시킬 수 있는 건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7 형태는 상기 제 6 형태에 있어서, 상기 가열기가 파장이 1㎛~15㎛인 적외선을 방사하고, 90% 이상의 적외선 방사율을 갖는 적외선 가열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7 형태에 의하면, 밴드형 플렉시블 기판상의 코팅필름에 열을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8 형태는 상기 제 6 형태 또는 제 7 형태에 있어서, 상기 가열기와 상기 밴드형 플렉시블 기판 사이의 거리가 1mm~10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8 형태에 의하면, 가열기로부터 밴드형 플렉시블 기판상의 코팅필름으로의 열전달에 있어서 공기열전달을 실질적으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코팅필름으로 열을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고, 따라서 건조속도가 현저히 증가한다.
본 발명의 제 9 형태는 상기 제 6 형태 내지 제 8 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가열기의 표면온도가 80℃~13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9 형태에 의하면, 가열기로부터 밴드형 플렉시블 기판상의 코팅필름으로의 열전달에 있어서 공기열전달을 실질적으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코팅필름으로 열을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고, 따라서 건조속도가 현저히 증가한다.
여기서 사용하는 "유기용매"란 물질을 용해하는 특성을 갖는 유기 화합물을 의미한다. 이러한 유기 화합물의 예로는 톨루엔, 크실렌 및 스티렌과 같은 방향족 탄화수소류, 클로로벤젠 및 오르토-디클로로벤젠과 같은 염소처리된 방향족 탄화수소류, 모노클로로메탄을 포함한 메탄 유도체 및 모노클로로에탄을 포함한 에탄 유도체과 같은 염소처리된 지방족 탄화수소류, 메탄올, 이소프로필알콜, 및 이소부틸알콜과 같은 알콜류, 메틸아세테이트 및 에틸아세테이트와 같은 에스테르류, 에틸에테르 및 1,4-디옥산과 같은 에테르류, 아세톤 및 메틸에틸케톤과 같은 케톤류,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와 같은 글리콜에테르류, 시클로헥산과 같은 지환식 탄화수소류, 노르말헥산과 같은 지방족 탄화수소류, 및 지방족 및 방향족 탄화수소류의 혼합물이 열거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사열전달뿐만 아니라 건조기에 구비된 가열기로부터의 공기열전달도 사용할 수 있어서 밴드형 플렉시블 기판상의 코팅필름에 효율적으로 열을 공급하기 때문에 코팅필름의 건조속도를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코팅필름의 건조방법 및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코팅필름의 건조방법 및 장치가 적용된 건조기를 포함한 코팅/건조 라인(10)의 예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상기 코팅/건조 라인(10)은 롤 형태로 감긴 웹(11)을 공급하는 공급기(12), 백업롤(13) 및 코팅액을 웹(11)으로 공급하는 압출다이(14)를 구비한 코팅 어플리케이터(applicator), 웹(11)에 공급되고 형성된 코팅필름(이하 "코팅층"이라고도 칭함)(15)을 건조하는 건조기(건조장치)(16), 웹(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코팅층이 형성된 웹도 의미함)이 주행하는 수송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롤(17, 18, 19), 및 코팅 및 건조에 의해 생산된 제품(20)을 권취하는 권취장치(21)를 포함한다.
가이드롤(22, 23)이 건조기(16)에 구비되고, 코팅된 웹(11)은 이들 가이드롤에 의해 형성된 수송로를 통해 주행하면서 건조된다.
상기 건조기(16)에 구비된 가열기는 하기와 같은 적외선 가열기가 바람직하다.
열풍 건조장치(27)는 상기 건조기(16)에서 건조된 코팅된 웹(11)을 더 건조하기 위해 하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롤(17)로 웹(11)을 지지하면서 열풍 건조장치(27)로 코팅된 웹(11)을 공급함으로써 건조가 더 진행된다. 이어서, 롤(18, 19)로 지지하면서, 상기 코팅된 웹(11)을 권취장치(21)를 이용하여 제품(20)으로서 권취한다. 상기 롤(17, 18, 19)은 각각 프리롤 또는 구동롤 중 어느 것이어도 좋다.
상기 열풍 건조장치(27)로서, 종래 사용된 건조장치 중 어떠한 형태라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웹의 비코팅면을 롤로 지지하면서 공기 노즐로부터 웹의 코팅면으로 공기를 송풍하여 웹을 건조하는 롤러 수송 건조기형 장치; 웹을 띄운 상태, 즉 웹을 롤 등과 접촉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공기 노즐로부터 웹의 코팅면 및 비코팅면 모두에 공기를 송풍하여 웹을 건조하는 비접촉 공기 부양 건조형 장치; 및 비접촉 건조형 장치의 일종으로 효율적으로 공간을 활용하고 웹을 효율적으로 건조할 수 있는 나선 건조형 장치가 열거된다. 이들 건조장치는 코팅층의 표면으로 공급된 건조풍에 의해 코팅층을 건조하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웹(11)에 사용할 수 있는 재료의 예로는 PE(폴리에틸렌),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TAC(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와 같은 수지 필름류, 종이 및 금속박이 열거된다. 코팅액의 예로는 광학 보상 시트의 제조에 사용되는 디스코틱(discotic) 액정을 함유하는 코팅액 및 열현상용 감광성 재료로 사용되는 은염 입자를 함유하는 코팅액이 열거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코팅액은 유기용매를 50질량% 이상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팅 어플리케이터로는, 도 1에 나타낸 압출다이(14)와는 다른 어플리케이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슬롯 다이코터, 와이어 바코터, 롤 코터, 그라비어 코터, 슬라이드 호퍼 코팅 시스템, 커튼 코팅 시스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코팅면이 수평방향에 대해 상향 또는 하향 중 어느 쪽으로든 대향하도록, 또는 수평 방향에 대해 기울어지도록 코팅장치를 배치해도 좋다.
먼지 제거장치(도시하지 않음)를 코팅 어플리케이터 상류에 배치해도 좋고, 또는 웹(11)의 표면을 미리 처리해도 좋다. 먼지가 실질적으로 없는 우수한 품질을 요구하는 광학필름의 제조에 있어서는, 먼지 제거장치 및 예비 처리를 모두 적용함으로써 고품질의 코팅/건조필름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코팅층(15)으로부터 발생하는 유기용매의 증기 회수를 위해, 일반적으로 웹(11)에 평행한 판형 부재를 웹(11)으로부터 소정의 거리에 구비해도 좋다. 상 기 판형 부재를 교정판으로서 사용해도 좋고, 또는 응축기 판(43, 44, 45)을 상기 판형 부재로서 사용해도 좋다. 상기 판형 부재에 사용하는 재료로는 금속, 플라스틱류 및 나무가 열거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유기용매가 코팅액에 함유된 경우에는, 유기용매에 대한 내성이 있는 재료를 사용하거나, 판형 부재의 표면에 코팅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팅의 불균일의 발생없이 코팅층(15)을 건조하기 위해, 건조속도가 조절되도록 코팅층(15) 온도를 조절하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면, 냉각기(46, 47, 48)가 상기 응축기 판(43, 44, 45)에 각각 연결되어 냉각제(49)가 상기 응축기 판(43, 44, 45)을 통해 순환하는 열교환형 장치를 사용해도 좋다. 그러나, 냉각 방법은 열교환형의 방법으로 한정되지 않고, 공기를 이용하는 공기 냉각형 및 펠티에 소자를 사용하는 형태와 같이 전기를 이용하는 형태가 예로서 열거된다.
응축기 판(43, 44, 45)에서 응축된 용매를 회수하는 방법으로는 응축기 판의 응축 표면(43a, 44a, 45a)에 홈을 파는 방법(그루빙)이 바람직하게 열거된다.상기 그루빙에 의해 응축 표면(43a, 44a, 45a)의 웹 운송방향을 따라 오목부와 돌출부가 생긴다. 상기 오목부 또는 돌출부 모두에 용매를 위한 통로가 형성되어서 용매 회수가 용이하게 된다. 도한, 응축된 용매를 회수하기 위한 홈(43b, 44b, 45b)이 응축기 판의 오른쪽 말단의 하부에 구비되어, 용매가 상기 홈(43b, 44b, 45b)을 통해 회수된다. 즉, 코팅층(15)으로부터 증발된 유기용매의 응축 및 회수 능력을 조절함으로써 코팅층(15) 근처의 용매 증기를 고농도로 유지하면서 코팅층(15)을 건조할 수 있다. 그 결과, 유기용매의 빠른 증발로 인한 웹(11)과 코팅층(15)의 변형을 억 제할 수 있다. 응축기 판을 적용하기 위한 상기 형태, 즉 판형 부재 외에도, 예를 들면, 다공질 판, 네트, 드레인보드, 롤 등을 사용하는 형태와 같이 비슷한 기능을 갖는 형태를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미국 특허 제5694701호에 개시된 회수 장치를 상기 응축기 판과 조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웹(11), 코팅층(15), 및 응축기 판의 온도를 결정하기 위해, 응축기 판 이외의 위치, 예컨대 롤의 표면 등에서 증발한 용매가 응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이를 위해, 예를 들면 응축기 판 이외의 부분을 응축기 판보다 높은 온도로 유지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응축을 피할 수 있다.
건조기의 입구 및 출구를 제외하고는 건조기를 밀폐시키는 케이싱(16a)으로 상기 건조기(16)를 감싸줌으로써, 건조기(16) 내로의 공기의 출입을 방지한다. 코팅층(15)의 건조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에 의해 코팅면 근처에서의 공기의 요란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코팅액이 코팅된 직후 자연대류의 발생에 의한 코팅층(15)의 건조 불균일의 발생을 방지하도록 가능한 한 코팅 위치에 근접하여 상기 건조기(16)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건조기(16)를 코팅 위치로부터 건조기(16)의 출구까지의 공간(L1)이 2m 이하가 되도록 배치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0.7m 이하가 되도록 배치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같은 이유에서, 상기 웹(11)의 주행속도는 웹(11)이 코팅 어플리케이터에 의한 코팅 후 3초 이내에 건조기(16)에 도달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코팅액의 양 또는 코팅층의 두께가 증가하는 경우에, 코팅층의 내부에서 흐름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불균일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 명에 의하면, 코팅층의 양 또는 코팅층의 두께가 증가하는 경우에도 건조기(16)에서 코팅층(15)으로 열이 효율적으로 공급될 수 있기 때문에 코팅층(15)의 불균일의 발생없이 빠른 건조속도로 건조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코팅층(15)의 습윤 코팅 두께가 3㎛~50㎛의 범위인 경우, 불균일이 발생하지 않고 고효율의 코팅층 건조가 가능하다. 여기서 "습윤 코팅 두께"란 코팅하는 동안 웹에 부여된 전체 코팅 두께를 의미한다.
또한, 웹(11)의 주행 속도가 너무 빠른 경우, 코팅층 부근의 경계층이 수반된 바람에 의해 교란되어 코팅층에 불리한 영향을 미치고, 또한 코팅층이 건조기(16)내에서 효과적으로 건조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웹(11)의 주행 속도는 10m/mim~100m/min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팅층(15)의 건조 불균일이 건조 초기에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에, 코팅액 내의 유기용매의 70질량% 이상이 건조기(16)에 의해 증발, 응축 및 회수되고, 잔여 코팅액 내의 유기용매는 열풍 건조장치(27)에서 증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증발되는 코팅액 내의 유기용매의 질량%는 코팅층(15)의 건조 불균일, 제조효율 등에 대한 영향을 전체적으로 판단하여 결정할 수 있다.
도 2는 건조기(16)의 주요부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코팅된 웹(11)의 건조방법 및 증발한 유기용매의 회수방법을 이하에 기재한다. 코팅층(15)으로부터 증발된 유기용매의 응축을 촉진하기 위해, 유기용매를 응축 및 회수하도록 응축기 판(43~45)를 냉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팅층(15)의 표면과 응축기 판의 표면(43a) 사이의 거리(공간)(L2)이 소망되는 코팅층(15)의 건도속도를 고려하여 적 절한 거리로 조절될 필요가 있다. 거리가 짧아지면 건조속도가 증가할 수 있지만, 상기 건조속도는 설정된 거리의 정밀도에 의해 쉽게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코팅층(15)의 표면이 응축기 판의 표면(43a)과 접촉할 가능성이 증가할 수도 있다.반면에 거리(L2)가 길어지면 건조속도가 현저히 감소할 뿐만 아니라 열에 의해 자연대류가 발생하여 건조 불균일을 야기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코팅층(15)의 표면과 응축기 판의 표면 사이의 거리(L2)는 5mm~1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응축기 판(44, 45)도 동일하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가열기(40)는 코팅액이 코팅되지 않은 웹(11)의 표면과 마주하도록 건조기(16) 내에 구비된다. 상기 가열기(40)는 건조기(16) 내에서 수송되는 웹(11) 상의 코팅층(15)에 열을 공급하여 코팅층(15) 내에 함유된 용매를 증발시킴으로써 코팅층(15)을 건조한다.
상기 가열기(40)는 파장이 1㎛~15㎛인 적외선을 방사하고, 90% 이상의 적외선 방사율을 갖는 적외선 가열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열기(40)는 판형 가열기의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열기(40)의 표면온도(TH)(℃)는 웹(11) 상의 코팅층(15)의 표면온도(TW)(℃)보다 높기 때문에, 열은 가열기(40)에서 코팅층(15)으로 전달된다.
여기서, 코팅층(15)으로 복사열전달에 의해 전달되는 열량(QR)은 가열기(40)의 표면온도(TH)(℃) 및 웹(11)의 표면온도(TW)(℃)를 이용하는 하기 등식(1)으로 표시된다:
QR = ησ((TH+273)4-(TW+273)4) (등식 1)
여기서, σ는 슈테판-볼츠만 상수(5.670×10-8W/m2K4)를 나타내고; η는 열전달 효율(열복사율)을 나타낸다.
또한, 코팅층(15)으로 공기(전도)열전달에 의해 전달되는 열량(QC)은 가열기(40)의 표면온도(TH)(℃) 및 웹(11)의 표면온도(TW)(℃), 및 웹(11)과 가열기(40) 사이의 거리(d)(m)를 이용하는 하기 등식(2)으로 표시된다.
QC = λ(TH-TW)/d (등식 2)
여기서, λ는 공기의 열전달 계수(W/K)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있어서, 웹(11)과 가열기(40) 사이의 거리(d)(m) 및 가열기(40)의 온도(TH)(℃)를 조절하여 가열기(40)에서 코팅층(15)으로 전달되는 전체 열량(QR+QC)에 대한 가열기(40)에서 코팅층(15)으로 복사열전달에 의해 전달되는 열량(QR)의 비((QR)/(QR+QC))가 0.25~0.60이 되도록 한다. 이에 의해 가열기(40)에서 웹(11) 상의 코팅층(15)으로 열이 효율적으로 전달되고, 코팅층(15)의 건조속도가 현저히 증가한다. 상기 ((QR)/(QR+QC))값은 0.30~0.50인 것이 바람직하고, 0.35~0.45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웹(11)과 가열기(40) 사이의 거리(d)(m)는 1mm~1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이하와 같다: 상기 거리가 1mm 미만인 경우, 가열기(40)에서 코팅층(15)으 로 공급되는 전체 열량에 대한 공기열전달에 의해 공급되는 열량의 비가 너무 커지게 되어 건조 후 코팅층(15) 상에 스트리크(streak)결함이 발생하고, 상기 거리가 10mm를 초과하는 경우, 가열기(40)에서 코팅층(15)으로 공급되는 전체 열량에 대한 공기열전달에 의해 공급되는 열량의 비가 너무 작아져서 코팅층(15)에 효율적으로 열을 공급할 수 없게 됨에 따라 건조 불균일이 야기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열기(40)의 표면온도(TH)(℃)는 80℃~130℃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이하와 같다: 상기 온도가 80℃ 미만인 경우, 가열기(40)에서 코팅층(15)으로 공급되는 전체 열량에 대한 공기열전달에 의해 공급되는 열량의 비가 너무 작아져서 코팅층(15)에 효율적으로 열을 공급할 수 없게 됨에 따라 건조 불균일이 야기되고, 상기 온도가 130℃를 초과하는 경우, 가열기(40)에서 코팅층(15)으로 공급되는 전체 열량에 대한 공기열전달에 의해 공급되는 열량의 비가 너무 커지게 되어 건조 후 코팅층(15) 상에 스트리크 결함이 발생하게 된다.
다른 가열기(41, 42)도 동일한 설정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싱(16a)의 길이는 수송에 대해 아무런 제한없이 건조기(16) 내의 복수개의 가이드롤(22, 23)을 조정함으로써 자유롭게 결정될 수 있다. 가이드롤(22, 23)이 가열기(40~42)에 의해 가열되어 롤의 온도가 극도로 상승하는 경우, 상기 가이드롤(22, 23)을 덮어서 온도를 조절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건조장치인 건조기(16)의 설정은 상술된 설정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코팅필름의 건조 방법 및 장치에 적용된 건조장치가 조합된 코팅/건조 라인에 있어서 사용되는 공급기, 롤, 권취장치 등에 종래의 부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건조방법에 의하면 웹(11)에 도포되는 코팅층(15)의 용매가 건조기(16) 내에 구비된 가열기(40)로부터 공급되는 열에 의해 응축 및 회수될 때 공기열전달과 복사열전달 간의 비를 적절한 값으로 조절함으로써 건조 불균일이 발생없이 건조 속도가 증가한다. 특히, 가열기(40)로부터 공급되는 전체 열량에 대한, 가열기(40)로부터 복사열전달에 의해 공급되는 열량의 비를 0.25~0.60으로 함으로써, 코팅층(15) 내의 용매에 효율적으로 열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즉, 건조속도가 더욱 현저하게 증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코팅필름의 건조방법 및 장치는 코팅액에 폴리머 또는 입자와 같은 고형분을 혼합하여 얻어진 용액 또는 분산물을 도포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효과를 제공한다. 입자 등이 함유된 계에 있어서는, 건조 불균일의 발생이 코팅필름 내의 입자 분산 및 분포에 현저한 영향을 주기 때문에 이러한 시스템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광학 보상 시트, 감광성 재료용 필름의 용매계 언더코트, 열현상 감광성 재료, 나노입자와 같은 미세 구조 입자를 함유하는 기능성 필름, 사진용 필름, 인화지, 자성 기록 테이프, 접착 테이프, 감압기록지, 오프셋 판재료, 전지 등의 제조에 적합하다.
실시예
실시예 1
광학 보상 시트의 제조라인의 코팅층 건조단계에 있어서, 코팅 직후 주행 위치에서 코팅면 부근의 기체 요란을 방지하기 위한 케이싱으로 덮인 건조기(16), 및 광학 보상 시트의 제조에 적합한 건조기(16) 내의 가열 조건을 연구하였다.
상기 제조라인에서, 이하에 예시된 단계에 따라 광학 보상 시트를 제조한다:
1) 투명 필름을 공급하는 단계;
2) 배향필름 형성 수지를 함유하는 코팅액을 투명 필름의 표면에 도포하고 건조하는 배향필름 형성 수지층의 제조 단계;
3) 상기 수지층의 표면에 러빙(rubbing) 처리하여 투명 필름상에 표면에 배향필름 형성 수지층이 형성된 배향필름을 형성하는 러빙 단계;
4) 액정 디스코틱 화합물을 함유하는 코팅액을 상기 배향필름에 코팅하는 액정 디스코틱 화합물의 코팅 단계;
5) 코팅필름 내의 용매를 증발시킴으로써 코팅필름을 건조하는 단계;
6) 디스코틱 네마틱상 형성 온도로 상기 코팅필름을 가열하여 디스코틱 네마틱상의 액정층을 형성하는 액정층 형성단계;
7) 액정층의 응고 단계(구체적으로는, 형성 후의 액정층을 빠르게 냉각시킴으로써 응고시키는 것 또는 가교성 기능기를 갖는 액정 디스코틱 화합물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액정층을 광조사(또는 가열)하여 가교시키는 것); 및
8) 배향필름 및 액정층이 형성된 투명 필름을 권취하는 단계.
상기 얻어진 광학 보상 시트를 권취하는 단계를 통해 긴 투명 필름을 공급하는 단계로부터 계속해서 광학 보상 필름을 제조한다.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의 긴 필름(Fujitac, Fujifilm Corporation 제품, 두께: 100㎛, 폭: 500nm)을 5중량%의 긴 사슬 알킬 변형 poval(MP-203, Kuraray Co,. Ltd. 제품, poval은 등록상표임) 용액으로 한 면을 코팅하고, 90℃에서 4분 동안 건조하고 난 후, 러빙 처리하여 2.0㎛ 두께의 배향필름 형성 수지층을 형성하였다. 필름의 수송 속도는 80m/min이었다.
상기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필름에 있어서, 필름 면에 있어서 2개의 수직 방향에서의 반사율이 nx 및 ny로 정의되고; 두께 방향의 반사율이 nz으로 정의되고; 필름의 두께를 d로 정의하는 경우, 하기 등식을 얻는다: (nx-ny)×d = 16nm, 및 {(nx-ny)/2-nz}×d = 75nm. 또한, 본 발명의 건조기(16)를 구비한 코팅/건조 라인을 통해 상기 배향필름 형성 수지층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표면에 수지층을 갖는 상기 얻어진 필름을 수송 속도 60m/min로 연속적으로 수송하면서 상기 수지층의 표면을 러빙 처리하였다. 상기 러빙 처리는 300rpm의 회전수를 갖는 러빙 롤러로 수행하였고, 이어서 얻어진 배향필름에서 먼지를 제거하였다.
그리고 나서, 표면에 배향필름을 갖는 상기 얻어진 필름을 60m/min의 속도로 연속적으로 수송하면서 화학식 1에 나타낸 디스코틱 화합물 TE-(1)과 TE-(2)를4:1의 질량비로 혼합한 혼합물에 광개시자(Irgacure 907, Ciba Geigy Japan Limited 제품)를 상기 디스코틱 화합물의 혼합물에 대해 1중량%의 양으로 첨가하여 얻어진 혼합물의 10중량% 메틸에틸케톤 용액(코팅액)을 압출 다이코터를 이용하여 60m/min 의 코팅 속도 및 10cc/m2의 코팅량으로 상기 배향필름에 도포하였다.
적외선 가열기(40, 41, 42)를 건조구역을 구성하는 건조기(16) 내에 설치하였고, 상기 적외선 건조기는 1㎛~15㎛의 파장을 갖는 적외선을 방사하고, 90% 이상의 적외선 방사율을 갖는다. 웹(11)의 표면온도를 25℃로 유지하고, 상기 적외선 가열기(40, 41, 42)의 표면온도를 80℃로 설정하였다. 웹(11)과 적외선 가열기(40, 41, 42) 사이의 공간은 1.5mm로 설정하였다. 상기 적외선 가열기(40, 41, 42)에서 웹(11) 상의 도포층으로 전달된 열에 대하여, 공기의 열전달계수(λ)를 0.03(W/m·K)로 한 경우, 공기열전달에 의해 전달된 열량(QC)는 1,000W/m2으로 계산되었다. 그리고, 열전달 효율(η)를 0.78로 한 경우, 복사열전달에 의해 전달된 열량(QR)은 338W/m2으로 계산되었다. 다음으로, 적외선 가열기(40, 41, 42)에서 도포층(15)으로 공급된 총 열량(QR 및 QC의 합)에 대한 복사열전달에 의해 코팅층(15)으로 공급된 열량(QR)의 비는 0.25로 계산되었다.
그리고 나서, 상기 웹(11)을 건조 구역을 통과하고 3초 후에 130℃로 조절된 가열 구역으로 수송하고, 약 3분 내에 가열 구역을 통과하였다.
[화학식 1]
Figure 112007067800204-PAT00001
이어서, 표면에 배향필름 및 액정층이 코팅된 필름을 60m/min의 수송 속도로 연속적으로 수송하면서, 상기 액정층의 표면에 자외선 램프로 자외선 광을 조사하였다. 더욱 구체적으로, 가열 구역을 통과한 필름에 자외선 조사장치(자외선 램프: 출력 160W/cm, 광 방사길이: 1.6m)로 600mW의 조도의 자외선 광을 4초 동안 조사하 여 액정층을 가교시켰다.
그 외의 실시예
실시예 2~10 및 비교예 1~10에서는, 적외선 가열기(40, 41, 42)의 표면온도 및 웹(11)과 적외선 가열기(40, 41, 42) 사이의 공간을 표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설정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광학 보상 시트를 제조하였다.
얻어진 광학 보상 시트를 하기 항목에 의해 평가하였다:
-건조 불균일이 발생하지 않고, 특히 균일하게 코팅됨: 우수,
-건조 불균일이 발생하지 않고, 균일하게 코팅됨: 양호, 및
-건조 불균일이 발생한 코팅면에서 교란의 발생에 의해 균일하게 코팅되지 못함: 열등
표 1은 이러한 광학 보상 시트의 제조 조건 및 평가 결과를 나타낸다.
Figure 112007067800204-PAT00002
(결과)
표 1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건조 불균일에 의해 야기되는 스트리크 결함의 발생이 실시예 1~10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특히, 실시예 2~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적외선 가열기(40, 41, 42)에서 코팅층(15)으로 공급되는 전체 열량에 대한 복사열전달에 의해 코팅층(15)으로 공급되는 열량의 비가 0.30~0.50인 경우에, 건조 불균일의 발생이 관찰되지 않았고, 특히 균일하게 코팅된 필름을 얻을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 1~10에 있어서, 건조 불균일에 의한 스트리크 결함이 얻어진 필름에서 관찰되었고, 열등한 품질의 표면을 갖는 필름만이 얻어짐이 명백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건조장치를 구비한 코팅/건조라인의 개략도; 및
도 2는 도 1에서 표시한 건조장치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Claims (19)

  1. 주행하는 밴드형 플렉시블 기판에 도포된 유기용매 함유 코팅액의 코팅필름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코팅필름의 건조방법에 있어서:
    코팅 직후 주행 위치에서 상기 밴드형 플렉시블 기판의 반대 위치에 가열기를 구비하는 단계; 및
    상기 가열기로 상기 밴드형 플렉시블 기판을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방법.
    (여기서, TW(℃)가 상기 밴드형 플렉시블 기판의 표면온도; TH(℃)가 상기 가열기의 표면온도; λ(W/m·K)가 공기의 열전달 계수; d(m)가 상기 가열기와 상기 밴드형 플렉시블 기판(웹) 사이의 거리; η가 열전달 효율; 및 σ가 슈테판-볼츠만 상수(5.670×10-8W/m2K4)를 나타내는 경우, QR/(QR+QC)로 표시되는 복사전열비는 0.25~0.6이고, 여기서 QC 및 QR은 각각 하기 등식으로 표시된다:
    QC = λ/d·(TH-TW), 단, QC는 공기에 의한 열전달을 나타냄.
    QR = ησ{(TH+273)4-(TW+273)4}, 단, QR는 복사에 의한 열전달을 나타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기는 파장이 1㎛~15㎛인 적외선을 방사하고, 90% 이상의 적외선 방사율을 갖는 적외선 가열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기와 상기 밴드형 플렉시블 기판 사이의 거리가 1mm~1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기와 상기 밴드형 플렉시블 기판 사이의 거리가 1mm~1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기의 표면온도가 80℃~1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기의 표면온도가 80℃~1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방법.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기의 표면온도가 80℃~1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방법.
  8. 제 1 항에 기재된 건조방법에 의해 건조한 코팅필름을 1층 이상 갖는 광학필름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학필름의 제조 방법.
  9. 제 2 항에 기재된 건조방법에 의해 건조한 코팅필름을 1층 이상 갖는 광학필 름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학필름의 제조 방법.
  10. 제 3 항에 기재된 건조방법에 의해 건조한 코팅필름을 1층 이상 갖는 광학필름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학필름의 제조 방법.
  11. 제 5 항에 기재된 건조방법에 의해 건조한 코팅필름을 1층 이상 갖는 광학필름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학필름의 제조 방법.
  12. 주행하는 밴드형 플렉시블 기판에 도포된 유기용매 함유 코팅액의 코팅필름을 건조하기 위한 코팅필름의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밴드형 플렉시블 기판의 반대 위치에서, 코팅 직후 주행 위치에 배치되는 가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
    (여기서, TW(℃)가 상기 밴드형 플렉시블 기판의 표면온도; TH(℃)가 상기 가열기의 표면온도; λ(W/m·K)가 공기의 열전달 계수; d(m)가 상기 가열기와 상기 밴드형 플렉시블 기판(웹) 사이의 거리; η가 열전달 효율; 및 σ가 슈테판-볼츠만 상수(5.670×10-8W/m2K4)를 나타내는 경우, QR/(QR+QC)로 표시되는 복사전열비는 0.25~0.6이고, 여기서 QC 및 QR은 각각 하기 등식으로 표시된다:
    QC = λ/d·(TH-TW), 단, QC는 공기에 의한 열전달을 나타냄.
    QR = ησ{(TH+273)4-(TW+273)4}, 단, QR는 복사에 의한 열전달을 나타냄.)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기는 파장이 1㎛~15㎛인 적외선을 방사하고, 90% 이상의 적외선 방사율을 갖는 적외선 가열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기와 상기 밴드형 플렉시블 기판 사이의 거리가 1mm~1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기와 상기 밴드형 플렉시블 기판 사이의 거리가 1mm~1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기의 표면온도가 80℃~1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기의 표면온도가 80℃~1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기의 표면온도가 80℃~1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기의 표면온도가 80℃~1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KR1020070095185A 2006-09-25 2007-09-19 코팅필름의 건조방법 및 장치, 그리고 광학필름의 제조방법 KR1013666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59659A JP4951301B2 (ja) 2006-09-25 2006-09-25 光学フィルムの乾燥方法及び装置並びに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JP-P-2006-00259659 2006-09-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7730A true KR20080027730A (ko) 2008-03-28
KR101366626B1 KR101366626B1 (ko) 2014-02-24

Family

ID=39254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5185A KR101366626B1 (ko) 2006-09-25 2007-09-19 코팅필름의 건조방법 및 장치, 그리고 광학필름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526878B2 (ko)
JP (1) JP4951301B2 (ko)
KR (1) KR101366626B1 (ko)
CN (1) CN10115264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62746B1 (en) * 2003-03-26 2013-05-08 FUJIFILM Corporation Drying method and drying apparatus for coating layer
DE102004044176A1 (de) * 2004-09-13 2006-03-30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Trocknungsverfahren für ein Haushaltsgerät und Haushaltsgerät zur Durchführung des Trocknungsverfahren
DE102005017152B4 (de) * 2005-04-13 2007-02-08 Lindauer Dornier Gmbh Verfahren zum Trocknen von vorzugsweise plattenförmigen Produkten und Durchlauftrockner in Mehretagenbauweise
US7526879B2 (en) * 2005-11-04 2009-05-05 Lg Electronics Inc. Drum washing machine and clothes dryer using peltier thermoelectric module
US7877895B2 (en) * 2006-06-26 2011-02-01 Tokyo Electron Limited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JP4901395B2 (ja) * 2006-09-26 2012-03-2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塗布膜の乾燥方法
JP5235469B2 (ja) * 2008-03-31 2013-07-1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乾燥装置及び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DE102008029379A1 (de) * 2008-06-23 2009-08-13 Von Ardenne Anlagentechnik Gmbh Anordnung zum Beschichten bandförmiger Foliensubstrate
JP4934111B2 (ja) * 2008-07-10 2012-05-1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塗布膜の乾燥方法
JP5189424B2 (ja) * 2008-07-10 2013-04-2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塗布膜の乾燥方法
WO2012147821A1 (ja) * 2011-04-26 2012-11-01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中空糸膜用乾燥装置
DE102011102608A1 (de) * 2011-05-27 2012-11-29 ThermProTEC Asia UG (haftungsbeschränk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Lösemittelrückgewinnung bei der Metallbandbeschichtung
US20130320605A1 (en) * 2012-05-31 2013-12-05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Device for Manufacturing Alignment Film
KR20150034973A (ko) * 2013-09-27 2015-04-06 제일모직주식회사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
DE102014102833B3 (de) * 2014-03-04 2015-05-21 Solramic Ag Trocknungsvorrichtung
CN112844966A (zh) * 2019-11-27 2021-05-28 杭州纤纳光电科技有限公司 通风装置和涂布装置及使用该涂布装置制备的钙钛矿电池
CN113723018A (zh) * 2021-07-28 2021-11-30 广东省科学院智能制造研究所 一种用于气浮风刀设计的流固耦合计算方法及装置
CN113926630B (zh) * 2021-09-26 2022-06-17 深圳市静宇鑫照明科技有限公司 一种led硅胶共挤防水灯带制作方法及led硅胶共挤防水灯带
KR102561165B1 (ko) * 2021-10-21 2023-07-28 (주) 시온텍 박막 건조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이온 교환막 제조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94889A (en) * 1943-04-22 1946-02-12 Blanchard Walter Joseph Lubricating system
US3157476A (en) * 1961-11-13 1964-11-17 Hupp Corp Radiant energy heat treating improvements
US3231985A (en) * 1962-01-15 1966-02-01 Hupp Corp Heating, drying and curing apparatus and methods
US3271874A (en) * 1965-01-28 1966-09-13 Oppenheimer Suzanne Bohnen Infra-red sublim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freeze drying techniques
US3591767A (en) * 1969-06-23 1971-07-06 David Jeffrey Mudie Radiant shrink tunnel
JPS5017126B1 (ko) * 1970-08-20 1975-06-18
AT321257B (de) 1971-05-26 1975-03-25 Koreska Gmbh W Anlage zur Rückgewinnung flüchtiger Lösungsmittel
DE2149147C3 (de) 1971-10-01 1978-10-12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Verfahren zur Nachbehandlung von Sinterkörpern aus Eisen, Kupfer und Zinn
US4279244A (en) * 1977-12-15 1981-07-21 Mcalister Roy E Radiant energy heat exchanger system
US4924599A (en) * 1985-11-04 1990-05-15 American Screen Printing Equipment Company UV curing apparatus
US5038361A (en) * 1988-11-09 1991-08-06 Wu Ching S Paint drying furnace
JPH03132660A (ja) * 1989-10-19 1991-06-06 Fuji Photo Film Co Ltd 感光材料乾燥装置
DE4105298C2 (de) * 1990-02-21 1996-04-11 Bando Chemical Ind Tauchanlage zur Anbringung von Klebe- oder Haftmitteln an Seilen
DE4009797A1 (de) 1990-03-27 1991-10-02 Pagendarm Gmbh Verfahren und anordnung zum kondensieren von dampffoermigen substanzen
JPH058373A (ja) * 1991-07-03 1993-01-19 Dainippon Printing Co Ltd ウエブの乾燥装置
JPH058372A (ja) 1991-07-03 1993-01-19 Dainippon Printing Co Ltd ウエブの乾燥装置
US5549756A (en) * 1994-02-02 1996-08-27 Applied Materials, Inc. Optical pyrometer for a thin film deposition system
JPH07323257A (ja) * 1994-05-31 1995-12-12 Kishimoto Akira 有機被覆の短時間熱処理法
US5603168A (en) * 1994-11-30 1997-02-18 The Coe Manufacturing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dryer
JP3616171B2 (ja) 1995-09-04 2005-02-02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長尺状光学補償シートの製造方法
US5853801A (en) 1995-09-04 1998-12-29 Fuji Photo Film Co., Lt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continuous optical compensatory sheet
US5694701A (en) 1996-09-04 1997-12-09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Coated substrate drying system
TW333658B (en) * 1996-05-30 1998-06-11 Tokyo Electron Co Ltd The substrate processing method and substrate processing system
US5813133A (en) 1996-09-04 1998-09-29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Coated substrate drying system with magnetic particle orientation
JP3265238B2 (ja) * 1997-08-01 2002-03-11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液膜形成装置及びその方法
US6294219B1 (en) * 1998-03-03 2001-09-25 Applied Komatsu Technology, Inc. Method of annealing large area glass substrates
JPH11254642A (ja) 1998-03-16 1999-09-21 Dainippon Printing Co Ltd 乾燥装置
JPH11325727A (ja) * 1998-05-13 1999-11-26 Sky Alum Co Ltd 遠赤外線乾燥機
JP2000021727A (ja) * 1998-07-01 2000-01-21 Asahi Optical Co Ltd 半導体回路形成装置
US6957690B1 (en) * 1998-09-10 2005-10-25 Asm America, Inc. Apparatus for thermal treatment of substrates
JP2000157923A (ja) 1998-11-26 2000-06-13 Konica Corp 塗布乾燥方法
JP4147370B2 (ja) 1999-12-17 2008-09-1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塗布膜の乾燥方法及び装置
JP3968505B2 (ja) * 2001-09-27 2007-08-2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塗布膜の乾燥方法及び装置
JP4699660B2 (ja) 2001-09-27 2011-06-1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塗布膜の乾燥方法および装置
DE10147952A1 (de) * 2001-09-28 2003-04-17 Patent Treuhand Ges Fuer Elektrische Gluehlampen Mbh Verfahren zur Trocknung von Beschichtungen auf Substraten für Lampen
JP4003163B2 (ja) * 2002-01-15 2007-11-0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多層塗布膜の製造装置
JP4601909B2 (ja) * 2003-03-26 2010-12-2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塗布膜の乾燥方法及び装置
EP1462746B1 (en) 2003-03-26 2013-05-08 FUJIFILM Corporation Drying method and drying apparatus for coating layer
US6883250B1 (en) * 2003-11-04 2005-04-26 Asm America, Inc. Non-contact cool-down station for wafers
JP2008265292A (ja) * 2007-03-29 2008-11-06 Fujifilm Corp フィルム乾燥方法及び装置並びに溶液製膜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206455A1 (en) 2008-08-28
CN101152644B (zh) 2012-08-08
JP4951301B2 (ja) 2012-06-13
JP2008080183A (ja) 2008-04-10
KR101366626B1 (ko) 2014-02-24
CN101152644A (zh) 2008-04-02
US7526878B2 (en) 2009-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6626B1 (ko) 코팅필름의 건조방법 및 장치, 그리고 광학필름의 제조방법
US8828501B1 (en) Drying method and drying apparatus for coating layer
JP5235469B2 (ja) 乾燥装置及び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07175703A (ja) 塗布膜の乾燥方法及び装置
JP5189424B2 (ja) 塗布膜の乾燥方法
JP4193388B2 (ja) 塗布膜の乾燥方法
JPH02131174A (ja) 写真感光性帯状物の乾燥方法
JP4601909B2 (ja) 塗布膜の乾燥方法及び装置
JP2003170102A (ja) 塗布膜の乾燥方法及び装置
JP2010101595A (ja) 乾燥装置および樹脂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5147291B2 (ja) 乾燥装置及び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03093952A (ja) 塗布膜の乾燥方法および装置
JP4513293B2 (ja) 塗布膜の乾燥方法
JP2014159011A (ja) 塗工方法及び塗工装置
JP2009006248A (ja) 塗布膜の乾燥方法及び装置
JP3968505B2 (ja) 塗布膜の乾燥方法及び装置
JP2003093953A (ja) 塗布膜の乾燥方法および装置
JP4934111B2 (ja) 塗布膜の乾燥方法
JP2005224658A (ja) 塗布膜の乾燥方法及び光学機能性フィルム
JP2005270878A (ja) 塗布装置及び塗布方法
JP2008173589A (ja) 塗布膜の形成方法及び形成装置
JP2013057427A (ja) 乾燥装置
JP5774452B2 (ja) 積層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241012A (ja) 乾燥装置及び乾燥方法
JP5419642B2 (ja) 塗布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