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6569A - 시간 의존적 이미지 데이터를 검출하기 위한 광 어레이 - Google Patents

시간 의존적 이미지 데이터를 검출하기 위한 광 어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6569A
KR20080026569A KR1020077031011A KR20077031011A KR20080026569A KR 20080026569 A KR20080026569 A KR 20080026569A KR 1020077031011 A KR1020077031011 A KR 1020077031011A KR 20077031011 A KR20077031011 A KR 20077031011A KR 20080026569 A KR20080026569 A KR 200800265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row
transistor
column
capac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31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1982B1 (ko
Inventor
파트릭 리히트슈타이너
토비 델브룩
Original Assignee
우니페르지타에트 취리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니페르지타에트 취리히 filed Critical 우니페르지타에트 취리히
Publication of KR20080026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65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1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19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70SSIS architectures; Circuits associated therewith
    • H04N25/76Addressed sensors, e.g. MOS or CMOS 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40Extracting pixel data from image sensors by controlling scanning circuits, e.g. by modifying the number of pixels sampled or to be samp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nsforming Light Signals Into Electric Signals (AREA)
  • Photometry And Measurement Of Optical Pulse Characteristics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광 어레이는 일차원 또는 이차원의 셀들(10)의 어레이를 포함하는데, 각각의 셀(10)은 셀(10)에서의 빛 세기에 따라 센서 신호를 생성하는 광센서(D, T1-T4)를 갖고, 제1 커패시터(C1)가 전류의 시간 도함수에 의해 충전되고, 하나 이상의 임계치 검출기(T9-T11; T12-T14)는 상기 제1 커패시터(C1)의 전압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를 검출하고 해당 경우 출력 신호를 생성하고, 방전 장치(T7)는 상기 출력 신호의 발생 이후에 제1 커패시터를 방전시킨다. 이러한 셀은 인입 빛 세기가 변하는 경우에만 이벤트를 생성하고, 이는 광 어레이로부터 처리될 데이터량을 감소시킨다.

Description

시간 의존적 이미지 데이터를 검출하기 위한 광 어레이 {PHOTOARRAY FOR DETECTING TIME­DEPENDENT IMAGE DATA}
본 발명은 시간 의존적 이미지 데이터를 검출하기 위한 광 어레이, 즉 감광 엘리먼트들의 어레이에 관한 것으로, 상기 광 어레이는 셀들의 어레이를 포함하고, 각각의 셀은 상기 셀에서의 빛 세기에 따라 신호를 생성하는 광센서를 갖는다.
US 2003/0015647에 개시된 바와 같이, 광 어레이를 사용하는 실시간 인공 시각은 통상적으로 어레이가 샘플링된 프레임 속도로 제한된다. 다른 한편으로, 이러한 광 어레이들은 강력하면서 값비싼 후속 처리를 필요로 하는 많은 양의 중복 데이터를 생성한다.
본 발명에 의해 해결될 문제는 실시간 인공 시각에 더욱 적합한 광 어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문제는 청구항 1의 광 어레이에 의해 해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광 어레이는 직사각형 경계들을 가질 수도 있고 갖지 않을 수도 있는 위상적으로 일차원이거나 이차원의 셀들의 어레이를 포함하고, 각각의 셀은 각각의 셀에서의 빛 세기에 따라 센서 신호를 생성하는 광센서를 갖고, 제1 커패시터는 상기 센서 신호의 시간 도함수에 비례하는 전류에 의해 충전되고, 하나 이상의 임계치 검출기는 상기 제1 커패시터의 전압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것을 검출하고 만약 초과하면 출력 신호를 생성하고, 방전 장치는 상기 출력 신호의 발생 이후에 제1 커패시터를 방전한다.
즉, 제1 커패시터를 (임계값에 의해 정의된) 소정 충전량으로 충전(또는 방전)하는 것은 출력 신호 형태의 이벤트를 생성한다. 디지털화의 상기 방법은 광 어레이에 특히 적합한데, 그 이유는 매우 단순한 방식으로 각각의 소스, 즉 셀에서의 데이터량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기 때문이다. 어레이 외부로의 데이터 전송은 인입 빛 세기가 변하는 경우에만 발생한다. 따라서, 처리될 데이터량이 급격히 감소하고, 광 어레이는 종래 장치보다 고속으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방전 장치는 이벤트 발생 이후 커패시터를 리셋하기 위해 사용된다.
광 어레이는 모든 셀들로부터 출력 신호들을 수집하는 신호 수집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용하게도, 소정 셀로부터의 출력 신호의 수신에 따라, 신호 수집기는 제1 커패시터를 방전하기 위한 리셋 신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소정 셀의 리셋 신호 생성기를 제어한다. 이는 신호 수집기가 셀들의 파이어링 속도(firing rate)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각각의 셀은 제1 커패시터와 직렬인 제2 커패시터를 더 포함한다. 반전 증폭기의 입출력 및 제2 커패시터 사이에 배열된 제1 커패시터는 광센서 및 증폭기의 입력 사이에 배열된다. 두 개의 커패시터들과 증폭기는 스위칭된 커패시터 증폭기를 형성한다. 유용하게도, 제2 커패시터는 제1 커패시터보다 훨씬 크고(예를 들면, 몇 배 더 크고), 이는 높은 증폭기 이득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커패시터들의 용량 사이의 비율이 증폭기의 폐쇄 루프 이득을 한정하므로 그리고 커패시터들이 칩 상에서 높은 정확도로 제조될 수 있으므로, 상기 기법은 셀들 내 다른 엘리먼트들의 특성들이 제조 과정 중 허용치들로 인해 상이할지라도 광 어레이의 모든 셀들이 매우 유사한 반응을 갖도록 허용한다.
유용하게도, 광센서로부터의 신호는 소정 셀에서의 인입 빛 세기의 로그에 비례적이고, 이는 넓은 동적 범위에 대한 신호들의 검출을 가능하게 하고 절대 조도에 대한 종속성을 제거한다.
본 발명은 더욱 잘 이해될 것이고, 상기 전술된 것 이외의 다른 목적들이 종속항들 및 그에 대한 하기의 상세한 설명을 고려할 때 명백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기술은 개략적인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 어레이의 개별 셀에 대한 회로도,
도 2는 도 1의 광 어레이의 일부에 대한 회로 블록도, 및
도 3은 도 1의 셀에서 신호들 중 일부에 대한 시간에 따른 도면.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광 어레이는 다수의, 유용하게도 동일한 셀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셀은 센서 신호를 생성하는 광센서 및 상기 센서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회로를 갖는다.
이러한 셀의 가능 실시예가 도 1에 도시된다.
셀의 입력 측에서, 셀은 인입 빛 세기(I)에 비례적인 광전류를 생성하는 광다이오드(D)를 포함한다.
광센서는 실질상 로그 응답을 갖는 증폭기를 형성하는 네 개의 트랜지스터들(T1, T2, T3, T4)을 더 포함하고, 지점(P1)에서의 로그(I)에 선형으로 관련된 전압을 갖는 센서 신호를 생성한다, 즉 지점(P1)에서의 전압(V)은 상수 값 k 및 const를 갖는 V = const + kㆍlog(I)이다. 유사한 회로가 예를 들어 US 5 376 813에 공지되어 있는데, 상기 문헌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통합된다.
피드백 장치는 가상 접지에서의 광다이오드 전압을 활성적으로 클램핑함으로써 회로의 응답 시간에 대한 속도를 높여 결과적으로 광전류의 변화가 광다이오드 커패시턴스를 소량으로 충전 또는 방전하는 것만 필요로 하게 되는 추가의 장점을 갖는다.
도 1의 실시예에서, 모든 셀들의 광다이오드들(D)을 통과하는 전류가 전류 합산기(1)에서 합산되고, 상기 합의 로그에 비례적인 전압이 트랜지스터(T3)의 게이트에 공급되는데, 이는 낮은 세기에서의 증폭기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킨다. 상기 기법은 US 2004/0067876에 개시되어 있으며,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통합된다.
지점(P1)으로부터의 전압이 동일한 극성의 트랜지스터(T5b)와 직렬인 트랜지스터(T5a)의 게이트에 공급된다. 트랜지스터(T5b)의 게이트 전압은 고정 전위이다. 트랜지스터들(T5a, T5b)은 근사-단위-이득(near-unity-gain) 소스 추종자 전압 버퍼를 형성한다. 트랜지스터들 사이의 출력(P2)에서의 전압이 다시 로그(I)에 선형으로 관련된다. 전압 버퍼의 목적은 두 개의 단들을 격리함으로써, 피드백 및 가능한 불안정성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출력(P2)으로부터의 전압이 직렬인 두 개의 트랜지스터들(T6, T8), 제1 커패시터(C1), 제2 커패시터(C2) 및 트랜지스터(T7)에 의해 형성된 스위칭된 커패시터 증폭기에 공급된다. 트랜지스터(T7)는 제1 커패시터(C1)를 방전하기 위한 방전 장치로서 동작한다. 트랜지스터(T6)는 트랜지스터들(T6, T8) 사이에 위치된 증폭기 출력(P3)을 갖는 반전 증폭기이다. 제1 커패시터(C1)는 증폭기 출력(P3)과 상기 반전 증폭기의 입력(즉, 트랜지스터(T6)의 게이트) 사이에 배열된다, 즉 증폭기는 제1 커패시터(C1)의 전압을 조정함으로써 트랜지스터(T6)의 게이트에서의 전압이 일정하도록 유지하려고 노력할 것이다. 제2 트랜지스터(T8)의 게이트에서의 전압은 소정의 고정 전위 "diff"이다. 트랜지스터(T8)는 증폭기 입력 트랜지스터(T6)를 위한 바이어스 전류를 싱크한다. 트랜지스터(T8)는 또한 부분적으로 증폭기의 출력 저항을 결정한다. T6 및 T8로부터 형성된 반전 증폭기는 커패시터 값들의 비율 C2/C1보다 실질상 더 큰 전압 이득을 갖도록 설계된다.
스위칭된 커패시터 증폭기의 동작은 하기와 같다 : 트랜지스터 스위치(T7)를 통해 출력 노드(P3)에 대하여 쇼트시켜 커패시터(C1)를 방전시킴으로써 증폭기가 리셋된 이후, 증폭기 출력(P3)에서의 전압은 트랜지스터(T6)의 게이트에서의 전압과 동일하다. 상기 전압은 트랜지스터(T8)에 의해 싱크된 바이어스 전류에 의해 결정된다. 트랜지스터 스위치(T7)를 턴-오프(상기 스위치를 개방)하는 것은 스위칭된 커패시터 증폭기가 활성 증폭 조건에 있도록 한다. T8 및 T9에 의해 형성된 반전 증폭기가 커패시터 비율 C2/C1보다 실질상 더 큰 개방 루프 이득을 가질 경우, 스위칭된 커패시터 증폭기의 폐쇄 루프 이득이 앞서 언급한 이유로 유용하게도 균등하게 높게 설정된 비율 C2/C1(예를 들면, C2/C1 = 10)에 의해 주어진다. 트랜지스터(T6)의 게이트에 대한 P3로부터의 피드백은 T6의 게이트가 상수 전압 - 가상 접지에 근접하도록 유지한다. 그러므로, 커패시터(C2)로 흐르는 전류는 또한 커패시터(C1) 외부로 흘러야 한다. 상기 전류는 P2에서의 전압의 변화 속도에 비례적이다, 즉 d/(log(I))/dt에 비례적이다. 출력(P3)에 나타나는 전압은 입력(P2)에서의 변화 곱하기 폐쇄 루프 이득 C2/C1에 비례적이다.
증폭기 출력(P3)의 전압이 두 개의 임계치 검출기들에 공급된다. 상기 임계치 검출기들 중 제1 검출기는 트랜지스터(T9)로 구성된 제1 트랜지스터 어셈블리와 병렬로 배열된 두 개의 트랜지스터들(T10, T11)로 구성된 제2 트랜지스터 어셈블리로 구성되어 있다. 제1 트랜지스터 어셈블리의 트랜지스터(T9)는 트랜지스터(T6)와 동일한 극성, 기하구조 및 크기를 갖는다. 제2 트랜지스터 어셈블리의 트랜지스터들(T10, T11)은 트랜지스터(T8)와 동일한 극성, 기하구조 및 크기를 갖고, 그들은 병렬로 연결된다, 즉 상기 트랜지스터들(T10, T11)은 그들의 드레인들, 소스들 및 게이트들이 상호 묶여 있다. 트랜지스터(T9)의 드레인-소스 채널은 트랜지스터들(T10, T11)의 드레인-소스 채널들과 직렬이다. 트랜지스터들(T10, T11)의 게이트들은 전위 "diff"와 실질상 동일한 고정 전위 "on"에 연결된다. 제1 임계치 검출기의 출력(ON)은 두 개의 트랜지스터 어셈블리들(T9 및 T10, T11) 사이의 지점(P4)에 의해 형성된다.
설명을 위해, 각자의 상대적 값들이 실제 임계치들을 결정함이 명백하게 될지라도, 전위들 "diff", "on", 및 "off"가 동일한 조건을 고려해보자.
제1 임계치 검출기는 하기와 같이 동작한다 : 제1 커패시터(C1)를 방전시킨 후, 증폭기 출력(P3)과 그에 따라 트랜지스터(T9)의 게이트 전압이 트랜지스터(T6)의 게이트와 동일한 전위가 된다. 병렬 트랜지스터들(T10, T11)이 개별 트랜지스터(T8)의 전류보다 두 배 싱크할 수 있으므로, 전압(ON)은 접지에 근접하고 트랜지스터(T9)가 포화된다.
지점(P2)에서의 전압이 상승하는 경우, 커패시터들(C1, C2)이 충전되고 증폭기 출력(P3)에서의 전압은 떨어진다. 일단 증폭기 출력(P3)에서의 전압이 소정 하부 임계 전압 미만이 되면, 트랜지스터(T9)는 트랜지스터들(T10, T11)보다 더 많은 전류를 소싱할 수 있게 되고, 트랜지스터들(T10, T11)은 포화되고, 지점(P4)에서의 전압이 양의 공급에 근접하게 상응한다, 즉 출력 신호(ON)가 논리 1이 된다. 하기에 기술되는 바와 같이, 출력 신호(ON)는 신호 수집기에 공급되고, 상기 신호 수집기는 제1 커패시터(C1)를 방전하기 위해 트랜지스터(T7)의 게이트에서 최종적으로 리셋 신호를 생성할 것이다. 증폭기 출력(P3)에서의 전압이 자신의 원래 값으로 돌아가고 출력 신호(ON)는 0으로 되돌아간다. 주기가 다시 재시작할 수 있다.
제2 임계치 검출기는 제1 임계치 검출기와 마찬가지로 두 개의 트랜지스터 어셈블리들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 경우, 제1 트랜지스터 어셈블리는 두 개의 병렬 트랜지스터들(T12, T13)로 구성되고, 반면에 제2 트랜지스터 어셈블리는 단일 트랜지스터(T14)로 구성된다. 트랜지스터들(T12, T13)은 트랜지스터(T6)와 동일한 극성, 크기 및 기하구조를 갖고, 반면에 트랜지스터(T14)는 트랜지스터(T8)와 동일한 극성, 크기 및 기하구조를 갖는다. 제2 임계치 검출기의 출력(OFF)은 트랜지스터 어셈블리(T12, T13) 및 트랜지스터 어셈블리(T14) 사이의 지점(P5)에 의해 형성된다.
제2 임계치 검출기의 동작은 제1 임계치 검출기의 하나와 유사하다. 그러나, 커패시터(C1)를 방전시킨 후, 트랜지스터(T14)는 포화될 것이고 신호(OFF)가 논리 1이 될 것이다. 지점(P2)에서의 전압이 떨어지기 시작하면, 증폭기 출력(P3)에서의 전압은 소정 상부 임계치 전압에 도달하기 전까지 커패시터(C1)에 축적된 전하에 따라 상승하기 시작할 것이고, 트랜지스터들(T12, T13)이 포화되기 시작하는 곳에서는 지점(P5)에서의 전압이 떨어지기 시작하고 출력 신호(OFF)는 논리 0이 된다. 출력 신호(OFF)는 다시 신호 수집기에 공급되고, 상기 신호 수집기는 제1 커패시터(C1)를 방전하기 위해 트랜지스터(T7)의 게이트에서 리셋 신호를 최종적으로 생성할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는 병렬로 연결된 두 개의 트랜지스터들로 구성된 트랜지스터 어셈블리들(T10, T11 및 T12, T13)을 사용하는데, 그 이유는 상기 "단위 트랜지스터들"의 사용이 처리 변동들에 대하여 더욱 잘 제어되어 명목상 동일한 제어 신호들 "diff", "on" 및 "off"의 사용을 허용하는 임계치들을 유도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 트랜지스터 어셈블리들이 "on" 및 "off"가 제어될 수 있는 한 단일 트랜지스터들에 의해 각각 교체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상기로부터, 도 1에 도시된 회로가 두 개의 출력 신호들(ON, OFF)을 생성하 는 것이 명백해진다. 신호(ON)는 제1 커패시터(C1)의 전압이 소정의 양의 제1 임계값 위로 상승하는 경우에 발행되고, 반면에 신호(OFF)는 제1 커패시터(C1)의 전압이 소정의 음의 제2 임계값 미만으로 떨어지는 경우에 발행된다. 일단 출력 신호(ON 또는 OFF)가 발행되면, 회로는 리셋 신호를 트랜지스터 스위치(T7)에 공급함으로써 리셋될 수 있다.
하기에서는, 광 어레이에 대한 도 1의 셀의 동작이 도 2를 참조하여 기술된다.
셀들(10)은 일차원 또는 이차원 어레이로 배열될 수 있다. 도 2는 이차원 어레이를 갖는 실시예를 나타내는데, 셀들(10)이 행들 및 열들로 배열된다. 단순화를 위해, 하나의 셀(10)만이 도 2에 도시된다 - 모든 다른 셀들은 동일한 방식으로 배열되며 행 및 열의 교차점에 각각 위치한다.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행(i) 및 열(j)에서의 셀(10)의 ON 및 OFF 출력 신호들은 두 개의 트랜지스터들(T20a, T20b)에 공급되고(인버터를 통한 OFF 출력 신호의 반전 이후에, 그럼으로써 제2 임계치 검출기에 의해 생성된 신호의 음의 극성을 고려하여 공급됨), 그들은 행 신호 라인(i)에 대하여 "연결 논리합(wire-ored)"이다. 실제로, 소정 행(i)의 모든 셀들의 출력 신호들이 동일한 행 신호 라인(i)에 대하여 "연결 논리합(wire-ored)"이다. 각각의 행상의 풀업 장치는 행에 있는 어떠한 셀들도 행 라인을 낮게 풀(pull)하지 않을 경우에 행 라인을 높게 풀(pull)한다. 행 신호 라인들상의 신호들은 "행 신호들"로 불린다.
모든 행 신호 라인들이 행 결정자(row arbiter)(14)에 제공되는데, 상기 행 결정자(14)는 광 어레이의 신호 수집기의 일부를 형성한다. 일단 행 결정자(14)가 소정 행 신호 라인(i)상의 행 신호를 수신하고 다른 행 신호들이 진행중이지 않으면, 상기 행 결정자(14)는 동일한 행(i)에 귀착되는 행 응답 라인(i) 상에서 행 응답 신호를 발행한다. 하기에 기술되는 바와 같이, 행 응답 신호는 일단 행 결정자(14)가 광 어레이가 다음 차례의 이벤트를 처리하도록 준비되는 것을 결정하는 경우에만 발행된다.
행 응답 신호는 소정 행(i)의 각각의 실에 귀착되는 두 개의 AND 게이트들(16, 18)에 공급된다. 제1 AND 게이트 16 AND들은 행 응답 신호와 반전된 OFF 출력 신호이고, 제2 AND 게이트 18 AND들은 행 응답 신호와 ON 출력 신호이다. 따라서, AND 게이트들(16, 18)은 셀이 현재 행 신호를 발행중이고 행 응답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만 신호들을 생성한다. AND 게이트들(16, 18)로부터의 신호들은 트랜지스터들(T21, T22)을 통과해 소정 열의 열 신호들 모두에 "연결 논리합(wire-or)"를 다시 허용하는 열(j)에 귀착되는 열 신호 ON 라인(j) 및 열 신호 OFF 라인(j)에 공급된다.
모든 열 신호 OFF 라인들 및 열 신호 ON 라인들은 열 결정자(column arbiter)(20)에 입력하고, 상기 열 결정자(20)는 광 어레이의 신호 수집기의 일부를 형성한다. 일단 열 결정자(20)가 소정 열 신호 ON 라인(j) 또는 열 신호 OFF 라인(j) 상의 열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열 결정자(20)는 각각 동일한 열(j)에 귀착되는 열 응답 ON 라인(j) 또는 열 응답 OFF 라인(j) 상에서 열 응답 신호를 발행한다. 하기에 기술되는 바와 같이, 열 응답 신호는 일단 열 결정자(20)가 광 어레 이가 다음 차례의 이벤트를 처리하도록 준비되는 것을 인지하는 경우에만 발행된다.
열 응답 OFF 라인 및 열 응답 ON 라인으로부터의 신호들은 공통 열 응답 라인(j) 상에서 열 응답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OR 게이트(22)에 공급된다. 각각의 셀에서, 상응하는 행 및 열의 행 응답 라인 및 열 응답 라인으로부터의 신호들은 AND 게이트(24)에 공급되고, 그곳으로부터 트랜지스터(T7)에 공급될 리셋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펄스 생성기(26)에 공급된다.
따라서, 제1 커패시터(C1)는 행 및 열 결정자들 모두가 상응하는 셀의 행 및 열 응답 라인들 상에서 행 및 열 응답 신호를 생성하자마자 방전된다. 제1 커패시터(C1)를 방전하는 것은 셀(10)의 출력 신호들 ON 및 OFF가 그들의 비활성 상태로 진행하도록 강요할 것이다.
펄스 생성기(26)는 불응기로 불리는 제어 가능 기간의 펄스를 생성한다. 불응기 동안에, 스위칭된 커패시터 증폭기가 리셋으로 유지된다. 불응기의 제어가능성 목적은 각각의 셀의 출력 신호들 ON 및 OFF의 파이어링 속도(firing rate)를 제한함으로써, 고장의 경우이든 또는 매우 신속하게 변하는 입력 신호의 경우이든 단일 셀이 단일 수집기에 과부하를 거는 것을 금지하는 것이다.
광 어레이의 신호 수집기는 광 어레이의 모든 열 응답 OFF 라인들 및 열 응답 ON 라인들뿐만 아니라 모든 행 응답 라인들에 연결된 입력들(r, c)을 갖는 인코더(28)를 더 포함한다. 일단 행 결정자(14) 및 열 결정자(20)가 소정 셀로부터의 이벤트에 응답하면, 인코더(28)는 행 및 열 응답 라인들의 상태로부터 상기 셀의 주소를 결정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소정 셀에 소속된 것만이 각자의 활성 상태일 것이기 때문이다. 인코더(28)는 또한 이벤트를 생성하는 신호가 ON 또는 OFF 신호였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상응하는 주소 및 상태(ON 또는 OFF) 정보가 외부 수신자에 의해 접근될 버퍼(30)에 "이벤트"로서 공급된다. 이벤트가 버퍼(30)로부터 수집된 이후, 버퍼(30)는 행 결정자(14) 및 열 결정자(20)에게 자신이 다음 차례의 이벤트를 저장할 준비가 됨을 알린다. 열 결정자(20)는 자신의 열 응답 신호를 떨어뜨리고 행 결정자(14)는 다음 차례의 행 신호를 응답할 준비를 한다.
상기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광 어레이는 자신의 모든 픽셀들로부터 ON 및 OFF 이벤트들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이벤트들의 속도는 빛 신호의 변화 속도에 종속적이다. 각각의 픽셀을 위한 ON 및 OFF 이벤트들을 이용하여, 소정 픽셀에서의 입력 신호를 재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이 도 3에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서 상부 그래프는 입력 신호(I), 시간 도함수(d/dt), 제1 커패시터(C1)의 전압을 나타내고, ON 및 OFF 이벤트들이 원들로 지시된다. 도 3의 하부 그래프는 입력 신호 및 재구성된 입력 신호를 나타내는데, 상기 재구성된 입력 신호는 각각의 ON 이벤트에서의 소정 세기를 더함으로써 그리고 각각의 OFF 이벤트에서의 소정 세기를 빼기함으로써 계산된다.
지금까지 기술된 실시예에서는, 행당 하나의 행 신호 라인과 열당 두 개의 열 신호 라인들이 존재했다. 두 개의 열 신호 라인들이 신호의 극성(ON 또는 OFF)을 인코딩하기 위해 요구되었다. 대안적으로, 극성을 인코딩하기 위해 두 개의 행 신호 라인들과 단지 하나의 열 신호 라인들이 존재할 수도 있다.
유사하게, 둘 다가 아니라 ON 또는 OFF 출력 신호만이 광 어레이의 신호 수집기에 의해 수집될 경우, 행당 단지 하나의 행 신호 라인과 열당 단지 하나의 열 신호 라인이 요구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경우, 결정자들에 전달되지 않는 신호를 생성한 이후에 커패시터(C1)를 방전하기 위한 리셋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다른 조치들이 취해져야 한다. 예를 들면, ON 출력 신호들만이 결정자들에 공급되는 경우, OFF 출력 신호는 셀을 리셋하기 위해 트랜지스터(T7)에 직접적으로 그리고 국부적으로 다시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현재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 및 기술되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하기의 청구항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되고 구현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Claims (14)

  1. 셀들(10)의 어레이를 포함하는 시간 의존적 이미지 데이터를 검출하기 위한 광 어레이로서,
    상기 각각의 셀(10)은,
    상기 셀(10)에서의 빛 세기에 따른 센서 신호를 생성하는 광센서(D, T1-T4),
    상기 센서 신호의 시간 도함수에 비례하는 전류에 의해 충전되는 제1 커패시터(C1),
    상기 제1 커패시터(C1)의 전압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를 검출하고 만약 초과하면 출력 신호(ON, OFF)를 생성하는 하나 이상의 임계치 검출기(T9-T11, T12-T14), 및
    상기 출력 신호(ON, OFF)의 발생 이후에 상기 제1 커패시터(C1)를 방전하기 위한 방전 장치(T7)를 포함하는,
    광 어레이.
  2.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셀(10)은 상기 제1 커패시터(C1)와 직렬인 제2 커패시터(C2)를 더 포함하고, 반전 증폭기(T6)의 입출력과 상기 제2 커패시터(C2) 사이에 배열된 상기 제1 커패시터(C1)는 상기 광센서(D, T1-T4)와 상기 입력 사이에 배열되는,
    광 어레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패시터(C2)는 상기 제1 커패시터(C1)보다 훨씬 더 커다란,
    광 어레이.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반전 증폭기(T6)는 증폭기 출력(P3)과 제1 트랜지스터(T6)의 게이트 사이에 배열된 상기 제1 커패시터(C)를 갖는 상기 제1 트랜지스터(T6)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1 트랜지스터(T6)의 드레인 소스 채널은 반대 극성의 제2 트랜지스터(T8)와 직렬이고, 상기 제2 트랜지스터(T8)의 게이트가 한정된 전위에 인가되는,
    광 어레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치 검출기(T9-T11, T12-T14)는 제2 트랜지스터 어셈블리(T10, T11; T14)와 직렬인 제1 트랜지스터 어셈블리(T9; T12, T13)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트랜지스터 어셈블리가 하나 이상의 트랜지스터(T9; T12, T13)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트랜지스터 어셈블리가 둘 이상의 트랜지스터들(T10, T11; T14)을 포함하고,
    제1 트랜지스터 어셈블리의 트랜지스터들(T9; T12, T13)은 제1 트랜지스터(T6)와 동일한 극성, 기하구조 및 크기를 갖고, 제2 트랜지스터 어셈블리의 트랜 지스터들(T10, T11; T14)은 제2 트랜지스터(T8)와 동일한 극성, 기하구조 및 크기를 갖고,
    증폭기 출력(P3)은 제1 트랜지스터 어셈블리의 트랜지스터들(T9; T12, T13)의 게이트 또는 게이트들에 연결되고, 및
    상기 출력 신호(ON, OFF)는 상기 제1 어셈블리 및 제2 어셈블리 사이의 지점(P4, P5)에서 생성되는,
    광 어레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어셈블리(10, T11; T14)의 상기 트랜지스터(들)의 게이트 또는 게이트들은 제2 트랜지스터(T8)의 게이트와 실질상 동일한 전압인,
    광 어레이.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셀들(10)의 어레이는 셀들(10)의 2차원 어레이인,
    광 어레이.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신호들(ON, OFF)을 모든 상기 셀들(10)로부터 수집하는 신호 수집기(14, 20, 28, 30)를 더 포함하는,
    광 어레이.
  9. 제 8 항에 있어서,
    리셋 신호 생성기들(24, 26)을 더 포함하고,
    각각의 리셋 신호 생성기(24, 26)는 상기 셀들(10) 중의 하나의 방전 장치(T7)를 트리거링하기 위해 연결되고,
    상기 출력 신호들(ON, OFF)은 상기 신호 수집기에 제공되고, 소정 셀(10)로부터의 출력 신호(ON, OFF)의 수신에 따라 상기 신호 수집기는 상기 소정 셀(10)의 방전 장치(T7)를 트리거링하기 위해 상기 소정 셀(10)의 상기 리셋 신호 생성기(24, 26)를 제어하는,
    광 어레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셀들(10)의 어레이는 셀들(10)의 2차원 어레이이고, 상기 셀들(10)은 행들과 열들로 배열되고,
    상기 광 어레이는,
    행별 하나 또는 두 개의 행 신호 라인들 - 각각의 행의 셀들(10)의 출력 신호들(ON, OFF)은 행 신호들로서 상기 행 신호 라인에 결합됨 -,
    상기 행 신호 라인들에 연결되어 상기 출력 신호들(ON, OFF)을 검출하는 행 결정자(14),
    행별 하나의 행 응답 라인 - 상기 행 결정자(14)는 행의 행 신호 라인 상에서의 출력 신호(ON, OFF)의 수신에 따라 상기 행 응답 라인 상에서 행 응답 신호를 생성함 -,
    열별 하나 또는 두 개의 열 신호 라인들 - 각각의 셀(10)은 각자의 행 신호 라인 상에서 행 신호를 생산하는 경우 각자의 열 신호 라인에서 열 신호를 생성하고 각자의 행 응답 라인 상에서 행 응답 신호를 획득함 -,
    상기 열 신호 라인들에 연결되어 상기 열 신호들을 검출하는 열 결정자(20), 및
    열별 하나의 열 응답 라인 - 상기 열 결정자(20)는 열의 열 신호 라인 상에서의 열 신호의 수신에 따라 열 응답 신호를 생성함 - 을 포함하고,
    각각의 셀(10)의 상기 리셋 신호 생성기(24, 26)는 행 응답 신호 및 열 응답 신호의 존재시 상기 방전 장치(T7)를 트리거링하기 위해 각자의 셀(10)의 상기 행 응답 라인 및 상기 열 응답 라인에 연결되는,
    광 어레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출력 신호(ON; OFF)를 생성하는 셀(10)의 주소를 계산하기 위해 상기 열 응답 신호 라인들 및 행 응답 신호 라인들에 연결된 인코더(28)를 더 포함하는,
    광 어레이.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행 응답 라인들 및 상기 열 응답 라인들은 각각 각자의 행 또는 열로 모든 셀들(10)로부터의 신호들을 운반하는 연결 논리합(wired-or) 라인들인,
    광 어레이.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신호는 상기 셀(10)에서의 빛 세기의 로그에 비례적인,
    광 어레이.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셀(10)은,
    상기 제1 커패시터(C1)의 전압이 제1 상부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를 검출하고 만약 초과하면 제1 출력 신호(ON)를 생성하는 제1 임계치 검출기(T9-T11), 및
    상기 제1 커패시터(C1)의 전압이 제2 하부 임계값 미만으로 떨어지는 경우를 검출하고 만약 미만이면 제2 출력 신호(OFF)를 생성하는 제2 임계치 검출기(T12-T14)를 포함하는,
    광 어레이.
KR1020077031011A 2005-06-03 2006-05-29 시간 의존적 이미지 데이터를 검출하기 위한 광 어레이 KR1013319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5405367. 2005-06-03
EP05405367 2005-06-03
PCT/CH2006/000283 WO2006128315A1 (en) 2005-06-03 2006-05-29 Photoarray for detecting time-dependent image dat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6569A true KR20080026569A (ko) 2008-03-25
KR101331982B1 KR101331982B1 (ko) 2013-11-25

Family

ID=36677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31011A KR101331982B1 (ko) 2005-06-03 2006-05-29 시간 의존적 이미지 데이터를 검출하기 위한 광 어레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728269B2 (ko)
EP (1) EP1958433B1 (ko)
JP (1) JP5244587B2 (ko)
KR (1) KR101331982B1 (ko)
CN (1) CN101204079B (ko)
CA (1) CA2609623C (ko)
SG (1) SG162756A1 (ko)
WO (1) WO2006128315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60622B2 (en) 2015-07-31 2017-05-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reshold voltage
KR20180068720A (ko) * 2016-12-14 2018-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벤트 기반 센서 및 이벤트 기반 센싱 방법
KR20180119578A (ko) * 2016-03-03 2018-11-02 인사이트니스 아게 이벤트 기반의 비전 센서
KR20200106152A (ko) * 2018-01-05 2020-09-11 소니 세미컨덕터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고체 촬상 소자, 촬상 장치 및 고체 촬상 소자의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504582B1 (de) 2006-11-23 2008-12-15 Arc Austrian Res Centers Gmbh Verfahren zur generierung eines bildes in elektronischer form, bildelement für einen bildsensor zur generierung eines bildes sowie bildsensor
US20090326347A1 (en) * 2008-06-30 2009-12-31 Bennett Scharf Synchronous Light Detection Utilizing CMOS/CCD Sensors For Oximetry Sensing
US8698092B2 (en) 2010-09-10 2014-04-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otion recognition
KR101792866B1 (ko) * 2011-04-06 2017-11-2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벤트 센서와 칼라 센서를 이용한 동작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FR2975251B1 (fr) 2011-05-12 2015-12-04 Univ Pierre Et Marie Curie Paris 6 Procede et dispositif de commande d'un dispositif d'aide a la vision
ES2396816B1 (es) 2011-05-26 2014-01-21 Consejo Superior De Investigaciones Científcas (Csic) Circuito de ganancia de transimpedancia de bajo consumo y bajo desapareamiento para sistemas de fotosensado diferenciador temporal en sensores dinámicos de visión
EP2574511B1 (en) 2011-09-30 2016-03-16 Honda Research Institute Europe GmbH Analyzing road surfaces
KR101880998B1 (ko) 2011-10-14 2018-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벤트 기반 비전 센서를 이용한 동작 인식 장치 및 방법
EP2795894B1 (en) 2011-12-19 2020-06-17 Universität Zürich Photoarray, particularly for combining sampled brightness sensing with asynchronous detection of time-dependent image data
FR2985065B1 (fr) 2011-12-21 2014-01-10 Univ Paris Curie Procede d'estimation de flot optique a partir d'un capteur asynchrone de lumiere
EP2677500B1 (en) 2012-06-19 2021-06-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vent-based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US9838618B2 (en) * 2012-07-12 2017-12-05 Nikon Corporation Image processing device configured to correct output data based upon a point spread function
KR102017688B1 (ko) 2012-07-18 2019-09-04 삼성전자주식회사 반사광의 광량 변화를 이용한 근접 센서
KR101978967B1 (ko) 2012-08-01 2019-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제스처의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제스처를 인식하는 제스처 인식 장치와 제스처 인식 방법
KR102074857B1 (ko) 2012-09-26 2020-02-1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벤트 기반 비전 센서를 이용한 근접 센서 및 근접 센싱 방법
ES2476115B1 (es) * 2012-12-11 2015-04-20 Consejo Superior De Investigaciones Científicas (Csic) Metodo y dispositivo para la deteccion de la variacion temporal de la intensidad luminosa en una matriz de fotosensores
KR102009165B1 (ko) 2013-01-24 2019-10-21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미지 센서, 멀티 칩 패키지, 및 전자 장치
US9983779B2 (en) 2013-02-07 2018-05-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displaying menu based on depth information and space gesture of user
KR102057531B1 (ko) 2013-02-20 2020-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제스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모바일 기기들
KR102022970B1 (ko) 2013-04-30 2019-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시각 센서에 기반하여 공간 정보를 감지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40138424A (ko) 2013-05-23 2014-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제스쳐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
KR102117995B1 (ko) 2013-06-07 2020-06-03 삼성전자주식회사 씨모스 이미지 센서
US9767571B2 (en) 2013-07-29 2017-09-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analyzing image including event information
KR102054774B1 (ko) 2013-09-10 2019-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적 비전 센서, 조도 센서, 및 근접 센서 기능을 구비한 이미지 장치
EP3047647B1 (en) 2013-09-16 2020-05-27 Prophesee Dynamic, single photodiode pixel circui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04956654B (zh) * 2013-11-12 2018-09-18 康斯乔最高科学研究公司 用于检测光传感器矩阵中的光强时变的方法和设备
EP2887009A1 (en) * 2013-12-23 2015-06-24 Universität Zürich Method for reconstructing a surface using spatially structured light and a dynamic vision sensor
KR102136055B1 (ko) 2014-01-08 2020-07-21 삼성전자 주식회사 오픈-루프 증폭기를 포함하는 비전 센서 칩, 이의 동작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
KR102224932B1 (ko) * 2014-02-19 2021-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비전 센서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처리 장치 및 사용자 입력 처리 방법
FR3019365A1 (fr) * 2014-03-26 2015-10-02 Centre Nat Rech Scient Procede de commande d'affichage et dispositif pour la mise en oeuvre du procede
FR3019317B1 (fr) 2014-03-26 2016-05-27 Univ Pierre Et Marie Curie (Paris 6) Dispositif de visualisation d'une sequence d'images et systeme de visualisation d'une scene
FR3020699A1 (fr) 2014-04-30 2015-11-06 Centre Nat Rech Scient Procede de suivi de forme dans une scene observee par un capteur asynchrone de lumiere
EP2977931A1 (en) 2014-07-24 2016-01-27 Universität Zürich Method for tracking keypoints in a scene
KR20160014418A (ko) 2014-07-29 2016-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유저 인터페이스 장치 및 유저 인터페이스 방법
US20160093273A1 (en) * 2014-09-30 2016-03-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ynamic vision sensor with shared pixels and time division multiplexing for higher spatial resolution and better linear separable data
KR102357680B1 (ko) 2014-11-17 2022-02-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벤트에 기반하여 객체의 이동을 감지하는 장치 및 방법
FR3031035B1 (fr) 2014-12-24 2019-07-05 Centre National De La Recherche Scientifique - Cnrs - Dispositif d'imagerie et procede d'imagerie
KR102331920B1 (ko) 2014-12-26 2021-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작 정보, 조도 정보 및 근접 정보를 위한 센서 및 그 센서를 이용하는 프로세서의 동작 방법
KR102426677B1 (ko) 2015-03-09 2022-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오프셋 및 잡음이 감소되는 차분 증폭기 및 이벤트에 기반한 비전 센서
KR102402678B1 (ko) 2015-03-18 2022-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벤트 기반 센서 및 프로세서의 동작 방법
KR102307055B1 (ko) 2015-04-28 2021-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벤트 기반 센서의 출력에 기초하여 정적 패턴을 추출하는 방법 및 장치
US10469776B2 (en) 2016-04-04 2019-11-05 Prophesee Sample and hold based temporal contrast vision sensor
TWI614729B (zh) * 2016-05-18 2018-02-11 華冠通訊股份有限公司 虛擬實境顯示裝置的威脅警示系統及其威脅警示方法
KR102538172B1 (ko) 2016-08-30 2023-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출력 장치
KR102500806B1 (ko) 2016-08-30 2023-02-1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류 제어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바이어스 생성기
EP3313064A1 (en) 2016-10-20 2018-04-25 Chronocam Pixel circuit for detecting time-dependent visual data
US20180146149A1 (en) 2016-11-21 2018-05-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vent-based sensor, user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EP3548231B1 (en) * 2016-12-01 2021-01-20 Koninklijke Philips N.V. Hair cutting apparatus comprising a current detector
FR3060297B1 (fr) 2016-12-20 2019-05-10 Universite Pierre Et Marie Curie (Paris 6) Systeme de substitution sensorielle par stimulation tactile asynchrone
KR102467771B1 (ko) 2016-12-30 2022-11-16 소니 어드밴스드 비주얼 센싱 아게 이벤트-기반 비전 센서를 위한 데이터 레이트 제어
US10855927B2 (en) 2017-03-08 2020-12-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vent detecting device including an event signal generator and an output signal generator
US10516841B2 (en) * 2017-03-08 2019-12-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Pixel, pixel driving circuit, and vision sensor including the same
CN108574793B (zh) 2017-03-08 2022-05-10 三星电子株式会社 被配置为重新生成时间戳的图像处理设备及包括其在内的电子设备
CN107147856B (zh) * 2017-03-30 2019-11-22 深圳大学 一种像素单元及其去噪方法、动态视觉传感器、成像装置
US11227397B2 (en) 2017-05-29 2022-01-18 Universität Zürich Block-matching optical flow and stereo vision for dynamic vision sensors
EP3576404B1 (en) * 2017-10-30 2021-11-03 Sony Semiconductor Solutions Corporation Solid-state image pickup element
KR102607759B1 (ko) 2017-12-11 2023-11-29 프로페시 이벤트 기반 이미지 센서 및 그 작동 방법
EP3506622A1 (en) 2017-12-26 2019-07-03 Prophesee Method for outputting a signal from an event based sensor, and event-based sensor using such method
EP3518529A1 (en) 2018-01-26 2019-07-31 Prophesee Method and apparatus of processing a signal from an event-based sensor
WO2019145516A1 (en) 2018-01-26 2019-08-01 Prophesee Method and apparatus of processing a signal from an event-based sensor
WO2019175733A1 (en) 2018-03-14 2019-09-19 Insightness Ag Event-based vision sensor manufactured with 3d-ic technology
KR102578417B1 (ko) 2018-03-14 2023-09-14 소니 어드밴스드 비주얼 센싱 아게 직접 메모리 제어를 갖는 이벤트-기반 비전 센서
JP7148269B2 (ja) * 2018-05-02 2022-10-05 ソニーセミコンダクタ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固体撮像素子および撮像装置
US11416759B2 (en) 2018-05-24 2022-08-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vent-based sensor that filters for flicker
WO2020002562A1 (en) 2018-06-27 2020-01-02 Prophesee Image sensor with a plurality of super-pixels
EP3591440A1 (en) * 2018-07-04 2020-01-08 ETH Zurich Detection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sensor signals in a grid of sensor elements
EP3595295B1 (en) 2018-07-11 2024-04-17 IniVation AG Array of cells for detecting time-dependent image data
EP3627830A1 (en) 2018-09-18 2020-03-25 IniVation AG Image sensor and sensor device for imaging temporal and spatial contrast
JP2020072316A (ja) * 2018-10-30 2020-05-07 ソニーセミコンダクタ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子回路、固体撮像素子、および、電子回路の制御方法
WO2020120782A1 (en) 2018-12-13 2020-06-18 Prophesee Method of tracking objects in a scene
GB2579846A (en) 2018-12-18 2020-07-08 Univ Bristol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actile sensing
EP3690736A1 (en) 2019-01-30 2020-08-05 Prophesee Method of processing information from an event-based sensor
EP3694202A1 (en) 2019-02-11 2020-08-12 Prophesee Method of processing a series of events received asynchronously from an array of pixels of an event-based light sensor
EP3731516B1 (en) 2019-04-25 2024-05-29 Beijing RuisiZhixin Technology Co., Ltd. Delta vision sensor
JP7298277B2 (ja) * 2019-04-25 2023-06-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イベントカメラ
EP3730256A1 (en) 2019-04-26 2020-10-28 Prophesee Servo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movement of a robot
EP3967027B1 (en) 2019-05-10 2023-10-25 Sony Advanced Visual Sensing AG Dynamic vision sensor with in-pixel digital change detection
EP3967029A1 (en) 2019-05-10 2022-03-16 Sony Advanced Visual Sensing AG Nmos comparator for image sensor pixel
EP3967028B1 (en) 2019-05-10 2023-11-01 Sony Advanced Visual Sensing AG Event-based vision sensor using on/off event and grayscale detection ramps
KR20220009953A (ko) 2019-05-16 2022-01-25 프로페시 물체의 움직임을 포착하는 방법 및 모션 캡처 시스템
EP3994876A1 (en) 2019-07-01 2022-05-11 Sony Advanced Visual Sensing AG Dynamic region of interest (roi) for event-based vision sensors
JP7489189B2 (ja) * 2019-08-30 2024-05-23 ソニーセミコンダクタ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固体撮像素子、撮像装置、および、固体撮像素子の制御方法
KR20210028308A (ko) 2019-09-03 2021-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증폭기 및 그것을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 장치
EP4026312A1 (en) 2019-09-04 2022-07-13 Sony Advanced Visual Sensing AG Delay equalization in event-based vision sensors
EP3795428A1 (en) 2019-09-20 2021-03-24 Prophesee Structural deformation detection system and method
EP3806334B1 (en) 2019-10-07 2023-08-30 IniVation AG Switched capacitor circuit
KR20210102511A (ko) 2020-02-10 2021-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버퍼를 포함하는 동적 비전 센서 장치
CN115066885A (zh) 2020-02-14 2022-09-16 普罗费塞公司 从基于事件的图像传感器和像素电路的阵列读出事件
JP2023040318A (ja) * 2020-02-26 2023-03-23 ソニーセミコンダクタ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撮像回路および撮像装置
EP3879816B1 (en) 2020-03-11 2024-02-28 Prophesee Event filtering method for operating an event-based image sensor
CN115349253A (zh) 2020-04-02 2022-11-15 普罗费塞公司 用于视觉传感器的像素电路和方法
JPWO2021261069A1 (ko) 2020-06-26 2021-12-30
JPWO2021261070A1 (ko) 2020-06-26 2021-12-30
PL3955566T3 (pl) 2020-08-14 2023-10-02 Alpsentek Gmbh Czujnik obrazu z konfigurowalnym układem pikseli oraz sposób
EP3962069A1 (en) 2020-08-31 2022-03-02 IniVation AG Event sensor and method for generating a signal stream comprising event data
US20220132078A1 (en) * 2020-10-22 2022-04-28 Bae Systems Information And Electronic Systems Integration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event camera image sensors for optical communications
KR20220096978A (ko) 2020-12-31 2022-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이나믹 비전 센서 및 그 이미지 처리 장치
KR20230131235A (ko) 2021-01-14 2023-09-12 프로페시 이벤트 기반 이미지 센서를 작동시키기 위한 디지털이벤트 인코딩
EP4064686B1 (en) 2021-03-22 2024-05-01 IniVation AG Event sensor and method for producing a signal stream of event data
US20240107187A1 (en) 2021-04-19 2024-03-28 Chengdu SynSense Technology Co., Ltd. Event-driven integrated circuit having interface system
KR20220164354A (ko) 2021-06-04 2022-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비전 센서 및 비전 센서의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26825A (en) * 1970-05-28 1971-12-14 Texas Instruments Inc Radiation-sensitive camera shutter and aperture control systems
JPS63215980A (ja) * 1987-03-04 1988-09-08 Natl Space Dev Agency Japan<Nasda> 赤外信号処理方法
DE4002431A1 (de) * 1990-01-27 1991-08-01 Philips Patentverwaltung Sensormatrix
JPH0339690Y2 (ko) * 1990-05-10 1991-08-21
JP3275579B2 (ja) * 1994-10-24 2002-04-1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イメージセンサ
US6253161B1 (en) * 1997-07-10 2001-06-26 Universite Laval Integrated motion vision sensor
JP4424796B2 (ja) * 1999-11-18 2010-03-03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光検出装置
JP2002131078A (ja) * 2000-10-26 2002-05-09 Mitsubishi Electric Corp スターセンサシステム
US6660989B2 (en) 2001-07-11 2003-12-09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CMOS imager having asynchronous pixel readout in order of pixel illumination
US6815655B2 (en) * 2001-09-24 2004-11-09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equencing power in a photodetector circuit
JP3891270B2 (ja) * 2002-02-07 2007-03-14 日本電気株式会社 自動利得制御装置
JP4144578B2 (ja) * 2003-10-15 2008-09-03 ソニー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画素信号処理方法
JP4212456B2 (ja) * 2003-11-18 2009-01-21 株式会社東芝 光ディスク及び光ディスク装置及び再生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60622B2 (en) 2015-07-31 2017-05-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reshold voltage
KR20180119578A (ko) * 2016-03-03 2018-11-02 인사이트니스 아게 이벤트 기반의 비전 센서
US11363218B2 (en) 2016-03-03 2022-06-14 Sony Advanced Visual Sensing Ag Event-based vision sensor
KR20180068720A (ko) * 2016-12-14 2018-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벤트 기반 센서 및 이벤트 기반 센싱 방법
KR20200106152A (ko) * 2018-01-05 2020-09-11 소니 세미컨덕터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고체 촬상 소자, 촬상 장치 및 고체 촬상 소자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04079B (zh) 2011-07-27
SG162756A1 (en) 2010-07-29
CA2609623C (en) 2015-12-29
US20080135731A1 (en) 2008-06-12
EP1958433A1 (en) 2008-08-20
WO2006128315A1 (en) 2006-12-07
JP5244587B2 (ja) 2013-07-24
US7728269B2 (en) 2010-06-01
JP2009508085A (ja) 2009-02-26
EP1958433B1 (en) 2018-06-27
CN101204079A (zh) 2008-06-18
CA2609623A1 (en) 2006-12-07
KR101331982B1 (ko) 2013-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1982B1 (ko) 시간 의존적 이미지 데이터를 검출하기 위한 광 어레이
US10567682B2 (en) Dynamic, single photodiode pixel circui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6002432A (en) Method for operating an active pixel sensor cell that reduces noise in the photo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cell
Posch et al. A QVGA 143 dB dynamic range frame-free PWM image sensor with lossless pixel-level video compression and time-domain CDS
US7489354B2 (en) CMOS active pixel with hard and soft reset
US7791657B2 (en) Dynamic range enhancement scheme for imagers
EP0777379A1 (en) Adaptive optical sensor
KR101885093B1 (ko) 다이나믹 비전 센서 내의 시간 미분 광-센싱 시스템을 위한 저-부정합-임팩트 및 저-소비성 트랜스임피던스 이득 회로
JP6442115B1 (ja) ゲイン調整可能なユニットセル
CN101650223A (zh) 数字化光电探测器读出电路
US20150281612A1 (en) Integrating pixels and methods of operation
US9621829B1 (en) Imaging system unit cell and methods for dynamic range imaging
US20060170491A1 (en) Optoelectronic sensor
US7253837B2 (en) Active-pixel image sensors
US7518540B2 (en) Multi-mode ADC and its application to CMOS image sensors
US7242789B2 (en) Moving-body detecting image sensor
TWI388126B (zh) 積體電路之時鐘電路(三)
Jaklin et al. CDS Free Frame Differencing Event Vision Pixel with Lateral Overflow Capacitor for Dynamic Range Extension
CN111540759B (zh) 基于复合介质栅双晶体管光敏探测器的积分泄放电路
Trepanier et al. A multiple operation mode CMOS digital pixel sensor dedicated to a visual cortical implant
JP2000101928A (ja) 光センサ回路およびこれを用いたイメージセンサ
Marras et al. Advances in radiation active pixel sensors (RAPS) architectures
Zhang et al. Design of a sensor array circuit for edge detection
JP2007158549A (ja) 光センサ回路およびイメージセ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