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5050A - 혈액 분리 기구 및 혈액 분리 장치 - Google Patents

혈액 분리 기구 및 혈액 분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5050A
KR20080025050A KR1020077028164A KR20077028164A KR20080025050A KR 20080025050 A KR20080025050 A KR 20080025050A KR 1020077028164 A KR1020077028164 A KR 1020077028164A KR 20077028164 A KR20077028164 A KR 20077028164A KR 20080025050 A KR20080025050 A KR 200800250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container
hollow needle
holder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8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0905B1 (ko
Inventor
류스케 오카모토
카쯔야 토가와
Original Assignee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25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50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0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0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6Labware specially adapted for transferring fluids
    • B01L3/563Joints or fittings ; Separable fluid transfer means to transfer fluids between at least two containers, e.g. connectors
    • B01L3/5635Joints or fittings ; Separable fluid transfer means to transfer fluids between at least two containers, e.g. connectors connecting two containers face to face, e.g. comprising a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 G01N33/49Blood
    • G01N33/491Blood by separating the blood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6Auxiliary integrated devices, integrated components
    • B01L2300/0681Fil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혈액 채취 용기에 채취된 혈액을 혈구와 혈장 또는 혈청으로 간편하게, 또한 단시간에 분리할 수 있는 혈액 분리재, 상기 혈액 분리재를 구비하는 혈액 분리 장치를 제공한다. 일단측을 향해서 연장되는 제 1 중공침(3)과 타단측을 향해서 연장되는 제 2 중공침(4)과, 혈액이 흐르는 내부 공간(2A)을 갖는 통 모양의 용기 본체(2), 및 혈액을 혈구와 혈장 또는 혈청으로 분리하기 위한 혈액 분리막(9)을 구비하고, 용기 본체(2)가 제 1 중공침(3)의 침 끝(3a)으로부터 내부 공간(2A)을 향해서 내부 공간(2A)에 혈액이 유입되는 제 1 유로(5)와, 내부 공간(2A)으로부터 제 2 중공침(4)의 침 끝(4a)을 향해서, 내부 공간(2A)으로부터 혈액이 유출되는 제 2 유로(6)와, 또한 외부 공간으로부터 제 1 중공침(3)의 침 끝(3a)을 향해서 대기가 유통할 수 있는 상태로 될 수 있는 제 3 유로(7)를 갖는 혈액 분리 기구(1).
혈액 분리 기구, 혈액 분리 장치

Description

혈액 분리 기구 및 혈액 분리 장치{INSTRUMENT FOR SEPARATING BLOOD AND APPARATUS FOR SEPARTING BLOOD}
본 발명은, 혈액을 혈구와 혈장 또는 혈청으로 분리하기 위한 혈액 분리 기구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혈액 채취 용기에 채취된 혈액을 혈구와 혈장 또는 혈청으로 간편하게, 또한 단시간에 분리할 수 있는 혈액 분리 기구 및 상기 혈액 분리 기구를 구비하는 혈액 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혈액으로부터 혈구를 제거하고, 임상 검사에 필요한 혈장 또는 혈청을 얻기 위해 원심분리법이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원심분리법에서는, 응고 과정이나 분리 후에 위에 고인 혈장 또는 혈청을 옮기는 과정 등의 작업이 번잡했다. 또한, 검사 결과를 얻기까지 시간을 필요로 하고, 또한 대형이며 고가인 원심분리기가 필요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원심분리기를 사용하지 않고 혈액으로부터 혈구를 제거하여 임상 검사에 필요한 혈장 또는 혈청을 얻을 수 있게 하는 여러 가지 분리 방법·분리 기구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하기의 특허문헌 1에는, 채혈과 동시 또는 직후에 채취한 혈액으로부터 혈청·혈장 성분을 분리 회수할 수 있는 혈청·혈장 분리 기구가 나타내어 져 있다. 도 11을 참조하여, 특허문헌 1에 나타내어져 있는 혈청·혈장 분리 기구를 설명한다.
도 11에 종단면도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혈청·혈장 분리 기구(101)는 외관(102)과, 채혈관(103)과, 연결구(104)와, 분리액 채취관(105)을 갖는다.
외관(102)은 원통 모양의 형상을 갖고, 하단(102a)이 개구되어 있다. 외관(102)은 상단면(102b)의 중앙으로부터 외측과 내측으로 연장되는 채혈침(105)을 갖는다. 채혈관(103)은 원통 모양의 용기(106)와, 통 모양 용기(106)의 상단(106a)과 하단(106b)에 부착된 마개체(107,108)를 갖는다. 마개체(107,108)는 침에 의해 관통될 수 있는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채혈관(103) 내에는 마개체(107)측에 혈구 분리 섬유재층(109)과, 마개체(108)측에 혈구 응집재층(110)이 배치되어 있다. 채혈관(103) 안은 감압되어 있다. 도 11에서는 외관(102)의 하단(102a) 개구로부터 채혈관(103)이 외관(102) 내에 삽입되어 있다.
분리액 채취관(105)은 일단측에 개구(105a)를 갖는다. 개구(105a)에는 침에 의해 관통될 수 있는 마개체(111)가 설치되어 있다. 분리액 채취관(105) 안은 감압되어 있다. 연결구(104)는 원통 모양의 형상을 갖고, 중앙에 칸막이벽(104a)을 갖는다. 연결구(104)는 칸막이벽(104a)의 중앙으로부터 상하로 연장되는 중공침(112)을 갖는다.
상술한 혈청·혈장 분리 기구(101)의 사용시에는, 외관(102)의 외측에 위치하는 채혈침(105)의 일단(105a)을 혈관에 삽입한다. 그것과 동시에, 외관(102) 내에 채혈관(103)을 더욱 밀어넣고, 채혈침(105)의 일단(105a)과는 반대측인 타 단(105b)을 마개체(107)에 관통시킨다. 이 결과, 내부가 감압되어 있는 채혈관(103) 내에 혈액이 유입된다. 필요량의 혈액이 유입된 후, 채혈침(105)의 일단(105a)을 혈관으로부터 제거한다.
다음에, 연결구(104)의 중공침(112)의 일단(112a)을 채혈관(103)의 마개체(108)에 관통시킨다. 이것과 동시에, 연결구(104)의 중공침(111)의 일단(112a)과는 반대측인 타단(112b)을 분리액 채취관(105)의 마개체(111)에 관통시킨다. 이 결과, 채혈관(103) 내에 유입되어 있는 혈액이 분리액 채취관(105)에 진공 흡인된다. 이때, 혈구 분리 섬유재층(109) 및 혈구 응집재층(110)을 혈액이 통과하고, 혈액으로부터 혈청·혈장 성분이 분리된다. 분리된 혈청·혈장 성분은 중공침(112)을 통해서 분리액 채취관(105) 내에 유입된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공개 평05-93721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혈청·혈장 분리기구(101)에서는, 채혈관(103) 내의 감압에 의해 채혈관(103) 내에 혈액을 유입시키고 있다. 그러나, 채혈관(103)의 감압도가 낮으면 채혈관(103) 내에 필요량의 혈액이 신속하게 유입되지 않는 일이 있었다. 또한, 혈청·혈장 분리기구(101)에서는, 채혈침(105)의 일단(105a)을 혈관에 삽입해 혈액을 채취하고 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일단 채취된 혈액이 혈관 내에 역류하여, 채혈관(103) 내의 혈구 분리 섬유재층(108)의 섬유 성분 등이 혈관 내에 유입될 우려가 있었다.
한편, 혈액의 채취 용기를 별도로 준비하고, 이 용기에 혈액을 채취한 후, 용기 내에 채취된 혈액을 채혈관(103) 내에 유입시키는 방법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채혈관(103)의 감압도가 낮으면 채혈관(103) 내에 필요량의 혈액이 신속하게 유입되지 않는 일이 있었다. 또한, 예를 들면, 채혈관(103) 내에 혈액이 유입됨에 따라서 혈액의 채취 용기와 채혈관(103) 내의 압력차가 없어져서 채혈관(103) 내로의 혈액의 유입이 정지되는 일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현상을 감안하여, 혈액 채취 용기에 채취된 혈액을 혈구와 혈장 또는 혈청으로 간편하게, 또한 단시간에 분리할 수 있는 혈액 분리재, 상기 혈액 분리재를 구비하는 혈액 분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혈액을 혈구와 혈장 또는 혈청으로 분리하고, 상기 혈장 또는 혈청 중의 성분을 검사하는 것에 사용되는 혈액 분리 기구로서, 일단측을 향해서 연장되는 제 1 중공침과, 일단측과는 반대측인 타단측을 향해서 연장되는 제 2 중공침과, 제 1, 제 2 중공침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혈액이 흐르는 내부 공간을 갖는 통 모양의 용기 본체, 및 용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있고 혈액을 혈구와 혈장 또는 혈청으로 분리하기 위한 혈액 분리재를 구비하며, 용기 본체가 제 1 중공침의 침 끝으로부터 내부 공간을 향해서 내부 공간에 혈액이 유입되는 제 1 유로와, 내부 공간으로부터 제 2 중공침의 침 끝을 향해서 내부 공간으로부터 혈액이 유출되는 제 2 유로와, 또한 외부 공간으로부터 제 1 중공침의 침 끝을 향해서 대기가 유통할 수 있는 상태로 될 수 있는 제 3 유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혈액 분리 기구의 어느 특정 국면에서는, 제 3 유로에 밸브 부재가 액밀적으로 배치되어 있고, 밸브 부재를 사이에 둔 외부 공간측과 제 1 중공침의 침 끝측의 압력차에 의해, 외부 공간으로부터 제 1 중공침의 침 끝을 향해서 대기가 유통할 수 있는 상태로 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혈액 분리 기구의 다른 특정 국면에서는, 밸브 부재가 절개부를 갖고, 압력차의 유무에 의해 절개부가 개폐하도록 구성되고 있고, 또한 절개부가 개구함으로써 외부 공간으로부터 제 1 중공침의 침 끝을 향해서 대기가 유통할 수 있는 상태로 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혈액 분리 기구의 또 다른 특정 국면에서는, 제 3 유로에 액밀적으로 연속 발포체가 배치되어 있고, 연속 발포체가 액밀성 및 통기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혈액 분리 장치는, 적어도 일단측에 개구를 갖고, 상기 개구에 마개체가 압입되어 있고, 혈액이 채취되는 혈액 채취 용기와,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혈액 분리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혈액 분리 장치의 어느 특정 국면에서는, 적어도 일단측에 개구를 갖고, 상기 개구에 마개체가 압입되어서 내부의 감압이 유지되어 있고, 분리된 혈장 또는 혈청이 수납되는 검체 수납 용기를 더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혈액 분리 장치의 다른 특정 국면에서는, 혈액 분리 기구는 용기 본체로부터 용기 본체의 일단측을 향해서 연장되는 통 모양의 제 1 홀더를 갖고, 제 1 중공침에 혈액 채취 용기의 마개체가 관통되었을 때에 마개체가 맞물리도록 제 1 홀더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된 제 1 맞물림부를 제 1 홀더가 갖고 있다.
본 발명의 혈액 분리 장치의 또 다른 특정 국면에서는, 제 1 중공침에 혈액 채취 용기의 마개체가 관통되는 바로 앞의 위치에서 마개체가 맞물리도록, 제 1 홀더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된 제 2 맞물림부를 제 1 홀더가 갖고 있다.
본 발명의 혈액 분리 장치의 또 다른 특정 국면에서는, 혈액 분리 기구가 용기 본체로부터 용기 본체의 타단측을 향해서 연장되는 통 모양의 제 2 홀더를 갖고, 제 2 중공침에 검체 수납 용기의 마개체가 관통되었을 때에 마개체가 맞물리도록 제 2 홀더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된 제 1 맞물림부를 제 2 홀더가 갖고 있다.
본 발명의 혈액 분리 장치의 또 다른 특정 국면에서는, 제 2 중공침에 검체 수납 용기의 마개체가 관통되는 바로 앞의 위치에서 마개체가 맞물리도록, 제 2 홀더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된 제 2 맞물림부를 제 2 홀더가 갖고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혈액 분리 기구는 혈액을 혈구와 혈장 또는 혈청으로 분리하고, 상기 혈장 또는 혈청 중의 성분을 검사하는 것에 사용되는 혈액 분리 기구로서, 일단측을 향해서 연장되는 제 1 중공침과, 일단측과는 반대측인 타단측을 향해서 연장되는 제 2 중공침과, 제 1, 제 2 중공침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혈액이 흐르는 내부 공간을 갖는 통 모양의 용기 본체, 및 용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있으며 혈액을 혈구와 혈장 또는 혈청으로 분리하기 위한 혈액 분리재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용기 본체가 제 1 중공침의 침 끝으로부터 내부 공간을 향해서 내부 공간에 혈액이 유입되는 제 1 유로와, 내부 공간으로부터 제 2 중공침의 침 끝을 향해서 내부 공간으로부터 혈액이 유출되는 제 2 유로와, 또한 외부 공간으로부터 제 1 중공침의 침 끝을 향해서 대기가 유통할 수 있는 상태로 될 수 있는 제 3 유로를 갖기 때문에, 예를 들면 혈액이 채취되어 있고, 또한 내부가 감압되어 있는 혈액 채취 용기 내에 제 1 중공침의 침 끝을 삽입하면, 제 3 유로를 통해서 외부 공간측으로부터 침 끝측으로 대기가 이동하여 침 끝으로부터 혈액 채취 용기 내에 대기를 유입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 1 유로를 통해서 혈액이 내부 공간에 유입되어, 혈액 채취 용기의 빈 공간이 증가해도 혈액 채취 용기 내에 대기가 유입되기 때문에, 혈액 채취 용기 내의 압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제 2 중공침을 통해서 혈액 채취 용기 내의 혈액을 제 2 중공침의 침 끝으로부터 유출시킬 수 있다.
제 3 유로에 밸브 부재가 액밀적으로 배치되어 있고, 밸브 부재를 사이에 둔 외부 공간측과 제 1 중공침의 침 끝측의 압력차에 의해 외부 공간으로부터 제 1 중공침의 침 끝을 향해서 대기가 유통할 수 있는 상태로 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혈액이 채취되어 있고, 또한 내부가 감압되어 있는 혈액 채취 용기 내에 제 1 중공침의 침 끝을 삽입하면, 제 3 유로를 통해서 외부 공간측으로부터 침 끝측으로 대기가 이동하여 침 끝으로부터 혈액 채취 용기 내에 대기를 유입시킬 수 있다. 또한, 제 3 유로를 통해서 제 1 중공침의 침 끝측으로부터 외부 공간측에 혈액이 이동해도 밸브 부재에 의해 그 이동이 정지된다. 따라서, 제 3 유로를 통해서 혈액의 외부 공간으로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밸브 부재가 절개부를 갖고, 압력차의 유무에 의해 절개부가 개폐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절개부가 개구함으로써 외부 공간으로부터 제 1 중공침의 침 끝을 향해서 대기가 유통할 수 있는 상태로 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밸브 부재를 사이에 둔 외부 공간측과 제 1 중공침의 침 끝측과의 압력차가 없을 때에 절개부가 개구하기 때문에 혈액의 외부 공간으로의 유출을 보다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제 3 유로에 액밀적으로 연속 발포체가 배치되어 있고, 연속 발포체가 액밀성 및 통기성을 갖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혈액이 채취되어 있고, 또한 내부가 감압되어 있는 혈액 채취 용기 내에 제 1 중공침의 침 끝을 삽입하면, 제 3 유로를 통해서 외부 공간측으로부터 침 끝측으로 대기가 이동하여 침 끝으로부터 혈액 채취 용기 내에 대기를 확실하게 유입시킬 수 있다. 따라서, 혈액 채취 용기 내의 압력의 저하를 보다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혈액 분리 장치는, 적어도 일단에 개구를 갖고, 상기 개구에 마개체가 압입되어 있고, 혈액이 채취되는 혈액 채취 용기와,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혈액 분리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혈액 채취 용기의 마개체에 제 1 중공침의 침 끝을 관통시키면, 제 3 유로를 통해서 외부 공간측으로부터 침 끝측으로 대기가 이동하여 침 끝으로부터 혈액 채취 용기 내에 대기를 유입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 1 유로를 통해서 혈액이 내부 공간에 유입되어 혈액 채취 용기의 빈 공간이 증가해도, 혈액 채취 용기 내의 압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유로로부터 내부 공간에 효과적으로 혈액이 유입되고, 또한 제 2 유로를 경유해서 제 2 중공침의 침 끝으로부터 혈장 또는 혈청을 단시간에 분리 채취할 수 있다.
적어도 일단측에 개구를 갖고, 상기 개구에 마개체가 압입되어 내부의 감압이 유지되어 있고, 분리된 혈장 또는 혈청이 수납되는 검체 수납 용기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는, 혈액 채취 용기의 마개체에 제 1 중공침의 침 끝을 관통시키고, 또한 검체 수납 용기의 마개체에 제 2 중공침의 침 끝을 관통시키면, 혈액 채취 용기 내의 혈액이 검체 수납 용기에 진공 흡인된다. 또한, 제 1 유로를 통해서 혈액이 내부 공간에 유입되어 혈액 채취 용기의 빈 공간이 증가해도, 제 3 유로로부터 대기가 혈액 채취 용기 내에 유입되기 때문에 혈액 채취 용기 내의 압력의 저하가 방지되고 있다. 따라서, 혈액 채취 용기와 검체 수납 용기의 압력차가 작아지기 어렵기 때문에 혈액을 혈구와 혈장 또는 혈청으로 단시간에 분리할 수 있다.
혈액 분리 기구가 용기 본체로부터 용기 본체의 일단측을 향해서 연장되는 통 모양의 제 1 홀더를 갖고, 제 1 중공침에 혈액 채취 용기의 마개체가 관통되었을 때에 마개체가 맞물리도록 제 1 홀더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된 제 1 맞물림부를 제 1 홀더가 갖는 경우에는, 혈액 채취 용기의 마개체를 제 1 중공침에 용이하게 관통시킬 수 있다. 또한, 혈액의 분리시에는 혈액 분리 기구에 혈액 채취 용기가 파지되기 때문에 혈액의 분리를 안전하게 행할 수 있다.
제 1 중공침에 혈액 채취 용기의 마개체가 관통되는 바로 앞의 위치에서 마개체가 맞물리도록, 제 1 홀더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된 제 2 맞물림부를 제 1 홀더가 갖는 경우에는, 혈액의 분리 전에 혈액 분리 기구에 혈액 채취 용기를 미리 파지시킬 수 있고, 또한 제 1 중공침에 혈액 채취 용기의 마개체를 보다 더 용이하게 관통시킬 수 있다.
혈액 분리 기구가 용기 본체로부터 용기 본체의 타단측을 향해서 연장되는 통 모양의 제 2 홀더를 갖고, 제 2 중공침에 검체 수납 용기의 마개체가 관통되었을 때에 마개체가 맞물리도록 제 2 홀더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된 제 1 맞물림부를 제 2 홀더가 갖는 경우에는, 검체 수납 용기의 마개체를 제 2 중공침에 용이하게 관통시킬 수 있다. 또한, 혈액의 분리시에는 혈액 분리 기구에 검체 수납 용기가 파지되기 때문에 혈액의 분리를 안전하게 행할 수 있다.
제 2 중공침에 검체 수납 용기의 마개체가 관통되는 바로 앞의 위치에서 마개체가 맞물리도록, 제 2 홀더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된 제 2 맞물림부를 제 2 홀더가 갖는 경우에는, 혈액의 분리 전에 혈액 분리 기구에 검체 수납 용기를 미리 파지시킬 수 있고, 또한 제 2 중공침에 검체 수납 용기의 마개체를 보다 더 용이하게 관통시킬 수 있다.
도 1의 (a)∼(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혈액 분리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정면도 및 정면단면도이다.
도 2의 (a),(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혈액 분리 기구의 밸브 부재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정면도, 및 정면단면도이고, (c)는 밸브 부재의 절개부가 개구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혈액 분리 기구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용기 본체 내에 혈액이 유입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혈액 분리 기구의 사용 방법을 설명 하기 위한 도면이고, 용기 본체 내에 유입된 혈액이 분리되는 도중 단계의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혈액 분리 기구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분리된 혈장 또는 혈청을 꺼낼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혈액 분리 기구를 나타내는 정면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혈액 분리 기구를 나타내는 정면단면도이다.
도 8의 (a),(b)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혈액 분리 기구에 혈액 채취 용기가 파지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혈액 분리 기구를 나타내는 정면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따른 혈액 분리 기구를 나타내는 정면단면도이다.
도 11은 종래의 혈액 분리 기구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혈액 분리 기구 2 : 용기 본체
2a : 측면 2b : 개구
2c : 상단면 2d : 하단면
2A : 내부 공간 3 : 제 1 중공침
3a : 침 끝 4 : 제 2 중공침
4a : 침 끝 5 : 제 1 유로
6 : 제 2 유로 7 : 제 3 유로
8 : 밸브 부재 8a : 육후부
8b : 본체부 8c : 절개부
9 : 혈액 분리재 10 : 제 1 홀더
1Oa : 상단 1Ob : 제 1 맞물림부
11 : 제 2 홀더 11a : 하단
11b : 제 2 맞물림부 21 : 혈액 채취 용기
22 : 관 모양 용기 22a : 개구
23 : 마개체 23a : 대경부
23b : 소경부 23c, 23d : 오목부
31 : 검체 수납 용기 41 : 혈액 분리 기구
42 : 연속 발포체 51 : 혈액 분리 기구
52 : 제 1 홀더 52a : 상단
52b : 제 2 맞물림부 52c : 제 1 맞물림부
52d : 파지부 55 : 혈액 채취 용기
56 : 통 모양 용기 56a, 56b : 양단
61 : 혈액 분리 기구 62 : 용기 본체
62a : 하단면 62b : 단차
62A : 내부 공간 63 : 혈액 분리재
64 : 혈구 정지막 64a : 구멍
71 : 혈액 분리 기구 72 : 용기 본체
72A : 내부 공간 72a : 하단면
72b : 고리 모양 돌부 73 : 혈액 분리재
74 : 유로 폐색 부재 74a : 구멍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명확히 한다.
도 1(a)~(c)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혈액 분리 기구를 설명한다. 도 1(a)는 혈액 분리 기구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b)는 혈액 분리 기구의 정면도이며, 도 1(c)는 혈액 분리 기구의 정면단면도이다.
도 1(a)∼(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혈액 분리 장치(1)는 원통 모양의 용기 본체(2)를 갖는다. 용기 본체(2)는 원통 모양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각통 모양 등의 형상을 갖고 있어도 좋다. 용기 본체(2)의 형상은 후술하는 혈액 채취 용기, 검체 수납 용기의 형상에 대응시켜서 적당하게 변경될 수 있다.
용기 본체(2)의 재질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사출성형이 가능한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진다. 용기 본체(2)의 재질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스티 렌,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나일론, 또는 아크릴 등으로 이루어진 수지를 예로 들 수 있다.
도 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2)는 일단측인 상방을 향해서 연장되는 제 1 중공침(3)과, 일단측과는 반대측의 타단측인 하방을 향해서 연장되는 제 2 중공침(4)을 갖는다. 제 1 중공침(3)과 제 2 중공침(4)의 사이에 용기 본체(2)는 내부 공간(2A)을 갖는다.
용기 본체(2)는 제 1 중공침(3)의 침 끝(3a)으로부터 내부 공간(2A)을 향해서 내부 공간(2A)에 혈액이 유입되는 제 1 유로(5)를 갖는다. 용기 본체(2)는 내부 공간(2A)으로부터 제 2 중공침(4)의 침 끝(4a)을 향해서 내부 공간(2A)으로부터 혈액이 유출되는 제 2 유로(6)를 갖는다. 또한, 용기 본체(2)는 외부 공간으로부터 제 1 중공침(3)의 침 끝(3a)을 향해서 대기가 유통할 수 있는 상태로 될 수 있는 제 3 유로(7)를 갖는다.
제 3 유로(7)는 제 1 중공침(3)의 침 끝(3a)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또한 내부 공간(2A)에 이르는 바로 앞에서 측방으로 연장되어서 용기 본체(2)의 측면(2a)의 개구(2b)에 이르고 있다. 따라서, 제 3 유로(7)에 의해 침 끝(3a)과 용기 본체(2)의 외부 공간이 접속되어 있다.
용기 본체(2)의 개구(2b)에는 밸브 부재(8)가 삽입되어 있다. 즉, 밸브 부재(8)를 사이에 둔 외부 공간측과 제 1 중공침(3)의 침 끝(3a)측의 압력차에 의해, 외부 공간으로부터 제 1 중공침(3)의 침 끝(3a)을 향해서 대기가 유통할 수 있는 상태로 될 수 있도록 밸브 부재(8)가 배치되어 있다. 밸브 부재(8)는, 예를 들면 고무탄성을 갖는 재료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유연성을 갖는다.
도 2(a)에 밸브 부재(8)를 확대해서 정면도로 나타내고, 도 2(b)에 밸브 부재(8)를 확대해서 정면단면도로 나타낸다.
도 2(a),(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 부재(8)는 대략 원통 모양의 형상을 갖고, 일단측에 육후부(8a)를 갖는다. 육후부(8a)의 외주지름은 제 3 유로(7)에 압입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되어 있고, 개구(2b)의 내주지름과 거의 같거나, 또는 조금 크게 되어 있다. 그리고, 육후부(8a)로부터 본체부(8b)가 연결되어 있고, 본체부(8b)의 지름이 육후부(8a)의 지름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되어 있다. 본체부(8b)에는 절개부(8c)가 형성되어 있다. 절개부(8c)는, 예를 들면 고무탄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밸브 부재(8)를 커터 등을 사용하여 절단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절개부(8c)는 밸브 부재(8)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압력차의 유무에 의해 절개부(8c)가 개폐하도록 밸브 부재(8)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절개부(8c)가 개구함으로써 외부 공간으로부터 제 1 중공침(3)의 침 끝(3a)을 향해서 대기가 유통할 수 있는 상태로 될 수 있도록 밸브 부재(8)가 구성되어 있다.
밸브 부재(8)는 상온에서 고무탄성을 갖는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밸브 부재(8)를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천연 고무, 이소프렌고무, 부틸고무, 우레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을 들 수 있다.
도 1(c)로 돌아가, 밸브 부재(8)는 육후부(8a)측이 측면(2a)측에 위치하도록 삽입되어 있다. 밸브 부재(8)는 육후부(8a)와는 반대측, 즉 본체부(8b)의 폐쇄되어 있는 부분으로부터 개구(2b)에 삽입되어, 압입되어 있다. 육후부(8a)의 외주면이 제 3 유로(7)의 내주면에 액밀적으로 밀착되어 있다.
한편, 절개부(8c)는 밸브 부재(8)의 제 3 유로(7)에 고정되어 있는 부분, 즉 상기 육후부(8a)보다 제 1 중공침의 침 끝(3a)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제 3 유로(7)는 개구(2b)로부터 내측을 향해서 연장되어 있지만, 이 내측을 향해서 연장되어 있는 제 3 유로(7)부분에 있어서, 절개부(8c)는 제 3 유로(7)가 형성되어 있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연장되어 있다.
용기 본체(2)의 내부 공간(2A)에는 혈액 분리재(9)가 배치되어 있다.
혈액 분리재(9)를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스티렌, 폴리초산비닐, 우레탄, 아크릴, 레이온, 유리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혈액 분리재로서는, 예를 들면 극세 섬유의 집적체, 연속된 기포를 갖는 발포체 또는 소결체, 중공사막, 다공질막, 다공성 입자, 복수 홈 및/또는 구멍을 갖는 필름 등을 들 수 있지만, 실질적으로 혈액을 혈구와 혈장 또는 혈청으로 분리할 수 있는 것이면, 상기의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혈구 성분을 필터의 내부에서 포착함으로써 분리해도 좋고, 혈구 성분과 혈장 또는 혈청 성분의 이동 속도차에 의해 분리해도 좋다.
또한 혈액 분리재는 비대칭 필터와 대칭 필터로 나눌 수 있다. 비대칭 필터는 여기에서는 혈액의 유입측으로부터 유출측에 걸쳐서 구멍 지름이 작아지는 구조 를 갖는 필터를 총칭한다. 그 이외의 혈액 분리재를 대칭 필터라 총칭한다.
이들 혈액 분리재 중 대칭 필터로서는, 평균 구멍 지름은 1㎛ 이상, 10㎛ 이하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 이상, 8㎛ 이하의 범위이다. 평균 구멍 지름이 1㎛보다 작으면 적혈구가 용혈되는 일이 있고, 10㎛보다 커지면 혈구와 혈장 또는 혈청의 분리가 현저하게 나빠져 버리기 때문이다.
또한, 혈액 분리재 중 비대칭 필터로서는 평균 구멍 지름이 0.01㎛ 이상, 10㎛ 이하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이상, 6㎛ 이하이다. 평균 구멍 지름이 0.01㎛보다 작으면 혈구 성분이 막힘을 일으켜 분리할 수 없게 되거나, 또는 용혈되는 일이 있으며, 평균 구멍 지름이 10㎛보다 커지면 혈구와 혈장 또는 혈청의 분리가 현저하게 나빠져 버리기 때문이다.
혈액 분리재가 극세 섬유의 집적체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평균 섬유 지름이 0.5~3.0㎛의 범위에 있는 섬유체가 집적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평균 섬유 지름이 0.5㎛보다 작으면 혈액을 분리할 때에 용혈을 일으키기 쉬워진다. 평균 섬유 지름이 3.0㎛보다 크면 혈구와 혈장 또는 혈청을 분리하기 위해서 혈액 분리재를 고밀도로 형성할 필요가 있고, 또 사용하는 섬유의 양도 많아져 비용이 높아진다. 혈액의 분리 효과를 보다 더 높이기 위해서는, 평균 섬유 지름은 0.5~2.5㎛의 범위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용기 본체 내에 설치되었을 때의 혈액 분리재의 평균 밀도는, 0.1~0.5g/㎤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평균 밀도가 0.1g/㎤보다 낮은 경우에는 혈액의 분리를 효과적으로 행할 수 없는 일이 있고, 얻어지는 혈장 또는 혈청의 양이 적어지는 일 이 있다. 평균 밀도가, O.5g/㎤보다 높은 경우에는 적혈구에의 부하가 커지고, 용혈을 일으키기 쉬워진다. 혈액을 보다 더 효율적으로 분리하기 위해서는 평균 밀도는 0.15∼O.4Og/㎤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혈액 분리재로서 상기 대칭 필터, 비대칭 필터를 조합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혈액 분리재는 혈액 중의 성분을 흡착하는 성질을 갖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혈액 중의 성분의 흡착을 억제 또는 제어하기 위해서 혈액 분리재에 표면처리가 시행되어 있어도 좋다. 표면 처리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폴리에테르계, 실리콘계 등의 윤활제, 폴리비닐알콜 또는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친수성고분자류, 또한 천연의 친수성 고분자류, 고분자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혈액 분리재의 표면은 산화제에 의한 화학 처리, 플라즈마 처리 등에 의해 친수화 처리가 되어 있어도 좋다. 또 반대로, 소수 실리콘, 불소계 표면 처리제에 의해 발수 처리가 되어 있어도 좋다.
혈액 분리 기구(1)는 용기 본체(2)의 상단면(2c)으로부터 상방을 향해서 연장되는 원통 모양의 제 1 홀더(10)를 갖는다. 제 1 홀더(10)의 상단(10a) 근방의 내주면에는, 제 1 홀더(10)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해서 연장되는 고리 모양의 제 1 맞물림부(10b)가 형성되어 있다. 혈액 분리 기구(1)는 용기 본체(2)의 하단면(2d)으로부터 하방을 향해서 연장되는 원통 모양의 제 2 홀더(11)를 갖는다. 제 2 홀더(11)의 하단(11a) 근방의 내주면에는 제 2 홀더(11)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해서 연장되는 고리 모양의 제 1 맞물림부(11b)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용기 본체(2)와, 제 1, 제 2 홀더(10, 11)가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다른 부재를 사용하여 구성되어도 좋다. 제 1 맞물림부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상술한 고리 모양의 형상 외, 예를 들면 도트 모양 등의 형상이어도 좋다. 제 1, 제 2 홀더(10, 11)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상술한 용기 본체와 같은 재질에 의해 구성된다.
도 3~도 5를 이용하여, 상술한 혈액 분리 기구(1)의 사용 방법을 설명한다.
도 3에, 용기 본체(2) 내에 혈액이 유입되기 직전의 상태를 종단면도로 나타낸다. 도 4에, 용기 본체(2) 내에 유입된 혈액이 분리되는 도중 단계의 상태를 종단면도로 나타낸다. 도 5에, 분리된 혈장 또는 혈청을 꺼낼 때의 상태를 종단면도로 나타낸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혈액이 채취되는 혈액 채취 용기(21)와, 분리된 혈장 또는 혈청이 수납되는 검체 수납 용기(31)를 준비한다.
혈액 채취 용기(21)는, 예를 들면 유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바닥이 있는 관 모양 용기(22)를 갖는다. 관 모양 용기(22)는 일단측에 개구(22a)를 갖는다. 개구(22a)에는 내부를 기밀 밀봉하도록 마개체(23)가 압입되어 있다. 마개체(23)는 대경부(23a)와 대경부(23a)보다 지름이 작은 소경부(23b)를 갖는다. 채혈침 또는 시린지에 의한 관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마개체(23)의 외측 및 내측 표면의 중앙에는 오목부(23c,23d)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소경부(23b)가 개구(22a)에 압입되어 있고, 마개체(23)에 의해 개구(22a)가 기밀 밀봉되어 있다. 사용 전은, 혈액채취 용기(21) 안은 감압되어 있다. 또, 예를 들면 마개체(23)를 일단 떼서 혈액 채 취 용기(21) 내에 혈액을 채취하는 경우에는, 혈액 채취 용기(21) 안은 감압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검체 수납 용기(31)는, 상술한 혈액 채취 용기(21)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동일 부호를 첨부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검체 수납 용기(31) 안은 감압되어 있다. 검체 수납 용기(31) 안이 감압되어 있는 것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혈액을 진공 흡인하고, 또한 여과하기 위해서이다.
마개체(23)는 기밀성을 갖고, 또한 제 1, 제 2 중공침(3, 4)에 의해 관통 가능한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마개체(23)는, 예를 들면 고무탄성 재료에 의해 구성된다. 이와 같은 고무탄성 재료로서는, 천연 고무, 부틸 고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을 들 수 있다.
검체 수납 용기(31) 내의 감압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2~90kPa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20~60kPa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감압도가 너무 낮으면 혈액의 분리를 신속히 행할 수 없는 일이 있고, 감압도가 너무 높으면 적혈구에 압력이 가해져 용혈을 야기할 우려가 있다.
혈액의 분리시에는, 우선 상술한 혈액 채취 용기(21)에 혈액을 채취한다. 채혈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채혈침 등을 이용하여, 채혈침의 일단을 혈관에 관통시키고, 타단을 마개체(23)에 관통시킴으로써 혈액 채취 용기(21) 내에 혈액을 유입시킨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혈액 채취 용기(21)에 혈액이 채취된 후, 제 1 홀더(10)의 상단(10a)으로부터 혈액 채취 용기(21)를 마개체(23)측에서 삽입한다. 즉, 제 1 중공침(3)의 침 끝(3a)이 혈액 채취 용기(21)의 마개체(23)에 관통된다. 침 끝(3a)이 마개체(23)에 관통되어서 혈액 채취 용기(21)의 내부 공간에 이르면, 마개체(23)의 외표면이 상단면(2c)에 접촉된다. 이때, 마개체(23)의 대경부(23a)와 소경부(23b)의 단차면이 제 1 맞물림부(10b)에 의해 맞물려져, 혈액 채취 용기(21)가 혈액 분리 기구(1)에 파지된다.
다음에,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홀더(11)의 하단(11a)으로부터 검체 수납 용기(31)를 마개체(23)측에서 삽입한다. 즉, 제 2 중공침(4)의 침 끝(4a)이 검체 수납 용기(31)의 마개체(23)에 관통된다. 침 끝(4a)이 마개체(23)에 관통되어서 검체 수납 용기(31)의 내부 공간에 이르면, 마개체(23)의 외표면이 하단면(2d)에 접촉된다. 이때, 마개체(23)의 대경부(23a)와 소경부(23b)의 단차면이 제 1 맞물림부(11b)에 의해 맞물려서, 검체 수납 용기(31)가 혈액 분리 기구(1)에 파지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혈액 채취 용기(21) 내의 압력을 P1, 검체 수납 용기(31) 내의 압력을 P2, 외부 공간의 압력, 즉 대기압을 P3라고 했을 때에, 분리 개시시의 압력의 관계가 P3>P1>P2 또는 P3≒P1>P2로 되어 있다. 따라서, 침 끝(4a)이 마개체(23)에 관통되면, 내부가 감압되어 있는 검체 수납 용기(31)에 의해 혈액이 진공 흡인된다. 검체 수납 용기(31) 내의 혈액은 제 1 유로(5)를 통과하여 혈액 분리재(9)에 도달한다. 혈액 분리재(9)에서는 혈액이 통과할 때에 혈구보다 혈장 또는 혈청이 상대적으로 빨리 이동한다. 상대적으로 빨리 이동한 혈장 또는 혈청은 제 2 유로(6)를 통과하여 검체 수납 용기(31)에 유출된다.
상술한 압력의 관계가 P3>P1>P2인 경우에는, 밸브 부재(8)를 사이에 둔 외부 공간측과 제 1 중공침(3)의 침 끝(3a)측의 압력차에 의해 밸브 부재(8)의 절개부(8c)가 개구되어, 제 3 유로(7)를 통해서 대기가 혈액 채취 용기(21) 안으로 흘러 들어간다. 이 결과, 압력의 관계가 P3≒P1>P2로 된다.
즉, 도 2(c)에 정면단면도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 부재를 사이에 둔 외부 공간측과 제 1 중공침(3)의 침 끝(3a)측의 압력차에 의해 밸브 부재(8)의 절개부(8c)가 개구된다. 절개부(8c)가 개구되면 제 3 유로(7)를 통과해서 대기가 혈액 채취 용기(21) 내에 유입된다. 또한, 혈액 채취 용기(21) 안과 외부 공간의 압력차가 거의 같게 되면, 고무탄성을 갖는 밸브 부재(8)의 절개부(8c)가 폐구되고, 도 2(b)에 나타내는 상태로 돌아온다. 따라서, 혈액 채취 용기(21) 안과 외부 공간의 압력차가 거의 같게 되고, 침 끝(3a)으로부터 제 3 유로(7)에 혈액이 흘러 들어간 경우에도, 밸브 부재(8)의 절개부(8c)로부터 외부 공간에 혈액이 유출되는 일이 없다.
한편, 상술한 압력의 관계가 P3≒P1>P2인 경우에는, 제 1, 제 2 유로(5, 6)를 혈액이 통과해 제 2 중공침(4)의 바늘 끝(4a)으로부터 혈액이 유출된다. 그러나, 혈액이 분리됨에 따라서 혈액 채취 용기(21) 내의 빈 용적이 커진다. 빈 용적이 커지면 혈액 채취 용기(21) 내의 압력이 저하되어 압력의 관계가 P3>P1>P2로 된다. 이 경우에도, 제 3 유로(7)를 통해서 대기가 혈액 채취 용기(21) 안으로 흘러 들어가고, 압력의 관계가 P3≒P1>P2로 된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혈액 채취 용기(21) 내의 빈 용적이 커져 혈액 채취 용기(21) 내의 압력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즉, 혈액이 분리되고 있는 사이에 혈액 채취 용기(21) 내의 압력(P1)과, 검체 수납 용기(31)의 압력(P2)이 거의 같게 되어 혈액의 분리 속도가 저하되거나, 혈액의 분리가 정지되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따라서, 혈액 분리 기구(1)에서는 혈액을 혈구와 혈장 또는 혈청으로 간편하게, 또한 단시간에 분리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혈액의 분리가 종료된 후, 검체 수납 용기(31)로부터 혈액 분리 기구(1)을 뗀다. 이때, 마개체(23)의 대경부(23a)와 소경부(23b)의 단차면이 제 2 홀더(11)의 제 1 맞물림부(11b)에 의해 맞물려 있기 때문에, 마개체(23)와 함께 혈액 분리 기구(1)를 용이하게 뗄 수 있다.
분리된 혈장 또는 혈청은 검체 수납 용기(31)의 개구(22a)로부터 스포이트를 사용해서, 또는 검체 수납 용기(31)를 기울여서 혈장 또는 혈청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도 6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혈액 분리 기구를 정면단면도로 나타낸다.
제 1 실시형태의 혈액 분리 기구(1)에서는, 제 3 유로(7)에 밸브 부재(8)가 삽입되어 있었지만, 도 6에 나타내는 혈액 분리 기구(41)에서는 밸브 부재(8) 대신에 연속 발포체(42)가 삽입되어 있다.
연속 발포체(42)의 외주지름은 제 3 유로(7)에 압입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되어 있고, 개구(2b)의 내지름과 거의 같거나, 또는 조금 크게 되어 있다. 연속 발포체(42)는 개구(2b)에 삽입되서 압입되어 있다. 연속 발포체(42)의 외주면이 제 3 유로(7)의 내주면에 액밀적으로 밀착되어 있다. 연속 발포체(42)는 액밀성 및 통기성을 갖는다.
혈액 분리 기구(41)에서는 외부 공간으로부터 제 1 중공침(3)의 침 끝(3a)을 향해서 대기가 제 3 유로(7)를 통과해, 혈액 채취 용기(21) 내에 대기가 유통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혈액 분리 기구(41)에서는 혈액 채취 용기(21) 내의 압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혈액을 혈구와 혈장 또는 혈청으로 간편하게, 또는 단시간에 분리할 수 있다.
연속 발포체(42)는 액밀성 및 통기성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연속 발포체(42)를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우레탄, 폴리비닐알코올(PVA), 폴리에틸렌(PE) 등을 들 수 있다. 연속 발포체(42)에는 부직포 등의 다공질체도 포함된다.
도 7에,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혈액 분리 기구를 정면단면도로 나타낸다.
제 1 실시형태의 혈액 분리 기구(1)와, 도 7에 나타내는 혈액 분리 기구(51)는 제 1 홀더의 구조가 다르다. 혈액 분리 기구(51)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혈액 채취 용기(21)의 마개체(23)가 제 1 중공침(3)에 관통되는 바로 앞의 위치, 및 마개체(23)가 제 1 중공침(3)에 관통되었을 때에 혈액 채취 용기(21)가 혈액 분리 기구(1)에 파지될 수 있다.
혈액 분리 기구(51)는 용기 본체(2)의 상단면(2c)으로부터 상방을 향해서 연장되는 원통 모양의 제 1 홀더(52)를 갖는다. 제 1 홀더(52)의 상단(52a) 근방의 내주면에는 제 2 맞물림부(52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홀더(52)의 중앙 근방의 내주면에는 제 1 맞물림부(52c)가 형성되어 있다. 즉, 제 1 홀더(52)는 제 1, 제 2 맞물림부(52b, 52c) 사이에 혈액 채취 용기를 파지하는 파지부(52d)를 갖는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용기 본체(2)와, 제 1 홀더(52)가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8(a)에, 혈액 채취 용기의 마개체(23)가 제 1 중공침(3)에 관통되는 바로 앞의 위치에서, 혈액 분리 기구(51)에 혈액 채취 용기가 파지되어 있는 상태를 정면단면도로 나타낸다. 도 8(b)에, 혈액 채취 용기의 마개체(23)가 제 1 중공침(3)에 관통되었을 때에, 혈액 채취 용기가 혈액 분리 기구(51)에 파지되어 있는 상태를 정면단면도로 나타낸다.
도 8에 나타내는 혈액 채취 용기(55)는, 상술한 혈액 채취 용기(21)와 관 모양 용기(22)의 형상이 다르다. 혈액 채취 용기(55)는, 양단(56a, 56b)이 개구된 통 모양 용기(56)를 갖는다. 그리고, 양단(56a, 56b)의 개구에 상술한 마개체(23)가 압입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혈액 채취 용기 및 검체 수납 용기는 양단이 개구되고, 상기 개구에 마개체가 압입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혈액 채취 용기 및 검체 수납 용기의 형상도, 예를 들면 각통 모양 등의 형상으로 적당히 변경할 수 있다.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혈액 분리 기구(51)에서는 침 끝(3a)이 마개체(23)에 관통되는 바로 앞의 위치에서, 마개체(23)의 대경부(23a)가 제 2, 제 1 맞물림부(52b,52c) 사이에 배치되고, 또한 대경부(23a)와 소경부(23b)의 단차면이 제 2 맞물림부(52b)에 의해 맞물려 있다. 따라서, 혈액 분리 기구(51)가 검체 채취 용기(55)을 파지할 수 있다.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혈액 분리 기구(51)에서는 제 1 홀더(52)의 상단(52a)으로부터 혈액 채취 용기(55)를 더욱 삽입하면, 침 끝(3a)이 마개체(23)에 관통된다. 침 끝(3a)이 혈액 채취 용기(55)의 내부 공간에 이르면 마개체(23)의 외표면이 상단면(2c)에 접촉된다. 이때, 마개체(23)의 대경부(23a)와 소경부의 단차면이 제 1 맞물림부(52c)에 의해 맞물리고, 혈액 분리 기구(51)에 검체 채취 용기(55)가 파지된다.
혈액 분리 기구(51)는 제 2 홀더(11)도 상술한 제 1 홀더(52)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즉, 검체 수납 용기(31)의 마개체(23)가 제 2 중공침(4)에 관통되는 바로 앞의 위치, 및 마개체(23)가 제 2 중공침(4)에 관통되었을 때에, 검체 수납 용기(31)가 혈액 분리 기구(1)에 파지될 수 있도록 제 2 홀더가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도 9에,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혈액 분리 기구를 정면단면도로 나타낸다.
도 9에 나타내는 혈액 분리 기구(61)에서는, 혈액 분리 기구(1)와 용기 본체(2)의 형상이 다르고, 특히 내부 공간(2A)의 형상이 다르다. 혈액 분리 기구(61)에서는, 용기 본체(62)의 내부 공간(62A)에 혈액 분리재(63)와 혈구 정지막(64)이 배치되어 있다.
혈액 분리 기구(61)는 원통 모양의 용기 본체(62)를 갖는다. 용기 본체(62)는 제 1 중공침(3)과 제 2 중공침(4)을 갖고, 또한 제 1 중공침(3)과 제 2 중공 침(4)의 사이에 내부 공간(62A)을 갖는다. 용기 본체(62)는 제 1~제 3 유로(5~7)를 갖는다.
용기 본체(62)의 하단면(62a)보다 상측의 내주측면, 즉 내부 공간(62A)으로부터 제 2 유로(6)로 연결되는 부분의 내주측면에 있어서, 내측을 향해서 연장되는 원 고리 모양의 단차(62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단차(62b)에 지지되도록 내부 공간(62A)에 혈구 정지막(64)이 배치되어 있다. 혈구 정지막(64)보다 상방의 내부 공간(62A)에는 혈액 분리재(63)가 배치되어 있고, 혈구 정지막(64)의 상면이 혈액 분리재(63)의 하면과 접하고 있다.
혈구 정지막(64)은 혈구는 통과하지 않지만, 혈장 또는 혈청은 통과할 수 있도록 다수의 구멍(64a)이 형성된 막으로 이루어진다. 당연히 막 이외의 필터 부재라도 좋다.
혈액 분리 기구(61)에서는 혈액 분리재(63)에 의해 혈구보다 혈장 또는 혈청이 빠르게 이동한다. 상대적으로 빠르게 이동한 혈장 또는 혈청은 혈구 정지막(64)의 구멍(64a)을 통과한다. 혈장 또는 혈청보다 저속으로 이동한 혈구는, 혈구 정지막(64)에 도달해도 혈구 정지막(64)을 통과하지 않는다. 따라서, 검체 수납 용기(31) 등에 수용된 혈장 또는 혈청에 혈구는 혼입되지 않는다. 따라서, 얻어진 혈장 또는 혈청을 검사하면 신뢰성이 높은 검사 결과를 얻을 수 있다.
혈구 정지막(64)을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폴리비닐리덴디플루오라이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초산셀룰로오스, 니트로셀룰로오스,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 렌, 유리섬유, 폴리실리케이트, 염화비닐 또는 은 등을 들 수 있다. 혈구 정지 필터는 적혈구의 통과를 방지할 수 있는 성질을 갖고 있으면 좋고, 그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성질을 갖는 재질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비닐리덴디플루오라이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초산셀룰로오스, 니트로셀룰로오스,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유리섬유, 폴리실리케이트, 염화비닐 또는 은 등을 들 수 있다.
혈구 정지막이 다공질 물질을 사용하여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혈장 또는 혈청의 통과가 가능하다. 혈구 정지막을 구성하는 다공질 물질로서는, 적혈구의 통과를 방지할 수 있는 범위의 구멍 지름을 갖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적혈구의 통과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구멍 지름은 1㎛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멍 지름이 작으면 혈액 중의 단백질 성분 등에 의해 막힘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구멍 지름은 0.0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적혈구의 통과를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해서는, 구멍 지름은 0.05㎛ 이상, 1㎛ 이하의 범위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여과의 유속을 높이기 위해서 혈구 정지막의 표면은 친수처리되어 있어도 좋다. 친수처리의 방법으로서는 플라즈마처리, 친수성 고분자에 의한 코팅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 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방법을 사용해도 좋다.
도 10에,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따른 혈액 분리 기구를 정면단면도로 나타낸다.
도 10에 나타내는 혈액 분리 기구(71)에서는, 혈액 분리 기구(1)와 용기 본 체(2)의 형상이 다르고, 특히 내부 공간(2A)의 형상이 다르다. 또한, 혈액 분리 기구(71)에서는 용기 본체(72)의 내부 공간(72A)에 혈액 분리재(73), 혈구 정지막(64) 및 유로 폐색 부재(74)가 배치되어 있다.
혈액 분리 기구(71)는 원통 모양의 용기 본체(72)를 갖는다. 용기 본체(72)는 제 1 중공침(3)과 제 2 중공침(4)을 갖고, 또한 제 1 중공침(3)과 제 2 중공침(4) 사이에 내부 공간(72A)을 갖는다. 용기 본체(72)는 제 1~제 3 유로(5~7)를 갖는다.
용기 본체(72)는 하단면(72a)보다 조금 상방에 있어서, 내주측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해서 연장되는 고리 모양 돌출부(72b)를 갖는다.
고리 모양 돌부(72b)에 지지되도록 내부 공간(72A)에 혈구 정지막(64)이 배치되어 있다. 혈구 정지막(64)보다 상방의 내부 공간(72A)에는 혈액 분리재(73)가 배치되어 있고, 혈구 정지막(64)의 상면이 혈액 분리재(73)의 하면과 접하고 있다.
용기 본체(72) 하단면(72a)과 고리 모양 돌출부(72b)에 끼워지도록, 유로 폐색 부재(74)가 배치되어 있다. 유로 폐색 부재(74)는 중앙에 구멍(74a)을 갖고, 구멍(74a)은 제 2 유로(6)에 연결되어 있다.
유로 폐색 부재(74)는 수분 등의 액상 성분에 접촉하면 팽윤하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유로 폐색 부재(74)는 혈장 또는 혈청에 접촉됨으로써 점차 팽윤하고, 수용되어야 할 혈장 또는 혈청이 통과한 후에 유로를 폐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혈액 분리재(73)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빠르게 이동한 혈장 또는 혈청이 유로 폐색 부재(74)가 배치되어 있는 유로 부분을 통과한 후, 유로 폐색 부재(74)가 팽 윤한다. 즉, 유로 폐색 부재(74)의 구멍(74a)이 막히도록 팽창하여 유로가 폐색된다.
검체 수납 용기(31) 등에 혈장 또는 혈청이 수용된 후, 장시간 방치된 경우에도 유로가 폐색되기 때문에 용혈에 의해 생긴 적혈구 내 성분은 하방으로 적하하지 않는다. 또한, 유로가 폐색되면 유로 폐색 부재(74)의 하방에 있어서 압력차를 구동력으로 한 혈액 성분의 이동도 정지된다. 따라서 적혈구 내 성분은 혈장 또는 혈청에 혼입되지 않는다. 따라서, 얻어진 혈장 또는 혈청을 검사하면 신뢰성이 높은 검사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유로 폐색 부재(74)를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분자골격에 친수성의 관능기를 갖고, 자중에 대하여 동량 이상의 물을 흡수할 수 있는 성질을 갖는 수지를 들 수 있다. 유로 폐색 부재(74)를 구성하는 재료의 구체예로서는, 폴리아크릴산 알칼리금속염계 수지 또는 그 공중합체 및 그들의 가교체, 폴리아크릴아미드계 수지 또는 그 공중합체 및 그들의 가교체, 폴리N-비닐아세트아미드계 수지 또는 그 공중합체 및 그들의 가교체, 실리콘계 수지 또는 그 공중합체 및 그들의 가교체, 폴리비닐에테르계 수지 및 그 공중합체 및 그들 가교체, 폴리알킬렌옥사이드계 수지 또는 그 공중합체 및 그들의 가교체,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피롤리돈 또는 그 공중합체 및 그들의 가교체 등을 들 수 있다.
유로 폐색 부재로서는, 분말상, 입상으로 된 것을 사용하여도 좋고, 필름이나 시트상으로 성형한 것을 사용하여도 좋으며, 페이스트상, 슬러리상 또는 용액 등으로 해서 첨가해 건조시키거나 하여도 좋다.
유로 폐색 부재(74)는 혈장 또는 혈청에 접촉됨으로써 그것 자신이 팽윤하여 유로를 폐색시킨다. 그 때문에, 유로 폐색 부재의 필요량은 폐색시키는 유로 체적, 유로 폐색 부재의 팽윤율 및 팽윤 속도에 따라 다르다. 따라서, 폐색시키는 유로 체적, 유로 폐색 부재의 팽윤율 및 팽윤 속도로부터 유로 폐색 부재의 최적량이 계산된다.
폐색시키는 유로 체적은 혈액 중의 수분이 흡수되고 또한 검체의 회수량이 저하하지 않는 범위에서 설정된다. 유로 체적이 커지면 폐색시키기 위한 유로 폐색 부재의 양도 많아지기 때문에, 검체의 회수량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폐색시키는 유로 체적은 0.005~1.0㎤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로 폐색 부재의 체적은 폐색시키는 유로 체적에 대하여 5~95%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로 폐색 부재의 체적이 폐색되는 유로 체적에 대하여 5%보다 작으면 유로를 폐색하기까지의 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용혈에 의해 적혈구로부터 누설되어 온 성분이 분리된 혈장 또는 혈청에 혼입될 우려가 있다. 유로 폐색 부재의 체적이 폐색시키는 유로 체적에 대하여 95%보다 크면, 혈장 또는 혈청이 전부 회수되기 전에 유로가 폐색되어버리는 일이 있고, 혈장 또는 혈청의 회수 효율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

Claims (10)

  1. 혈액을 혈구와 혈장 또는 혈청으로 분리하고, 상기 혈장 또는 혈청 중의 성분을 검사하는 것에 사용되는 혈액 분리 기구로서:
    일단측을 향해 연장되는 제 1 중공침과, 일단측과는 반대측인 타단측을 향해 연장되는 제 2 중공침과, 상기 제 1, 제 2 중공침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혈액이 흐르는 내부 공간을 갖는 통 모양의 용기 본체, 및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있고 혈액을 혈구와 혈장 또는 혈청으로 분리하기 위한 혈액 분리재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 본체가 제 1 중공침의 침 끝으로부터 내부 공간을 향해서 내부 공간에 혈액이 유입되는 제 1 유로와, 내부 공간으로부터 제 2 중공침의 침 끝을 향해서 내부 공간으로부터 혈액이 유출되는 제 2 유로와, 또한 외부 공간으로부터 제 1 중공침의 침 끝을 향해서 대기가 유통할 수 있는 상태로 될 수 있는 제 3 유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분리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유로에 밸브 부재가 액밀적으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밸브 부재를 사이에 둔 외부 공간측과 제 1 중공침의 침 끝측의 압력차에 의해, 외부 공간으로부터 제 1 중공침의 침 끝을 향해서 대기가 유통할 수 있는 상태로 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분리 기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부재는 절개부를 갖고, 상기 압력차의 유무에 따라 상기 절개부가 개폐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절개부가 개구함으로써 외부 공간으로부터 제 1 중공침의 침 끝을 향해서 대기가 유통할 수 있는 상태로 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분리 기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유로에 액밀적으로 연속 발포체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연속 발포체가 액밀성 및 통기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분리 기구.
  5. 적어도 일단측에 개구를 갖고, 상기 개구에 마개체가 압입되어 있으며, 혈액이 채취되는 혈액 채취 용기와,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혈액 분리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분리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적어도 일단측에 개구를 갖고, 상기 개구에 마개체가 압입되어서 내부의 감압이 유지되어 있으며, 분리된 혈장 또는 혈청이 수납되는 검체 수납 용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분리 장치.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혈액 분리 기구는 상기 용기 본체로부터 상기 용기 본체의 일단측을 향해서 연장되는 통 모양의 제 1 홀더를 갖고, 상기 제 1 중공침에 상기 혈액 채취 용기의 마개체가 관통되었을 때에 마개체가 맞물리 도록 상기 제 1 홀더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된 제 1 맞물림부를 상기 제 1 홀더가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분리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중공침에 상기 혈액 채취 용기의 마개체가 관통되는 바로 앞의 위치에서 마개체가 맞물리도록, 상기 제 1 홀더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된 제 2 맞물림부를 상기 제 1 홀더가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분리 장치.
  9. 제 5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혈액 분리 기구는 상기 용기 본체로부터 상기 용기 본체의 타단측을 향해서 연장되는 통 모양의 제 2 홀더를 갖고, 상기 제 2 중공침에 상기 검체 수납 용기의 마개체가 관통되었을 때에 마개체가 맞물리도록 상기 제 2 홀더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된 제 1 맞물림부를 상기 제 2 홀더가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분리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중공침에 상기 검체 수납 용기의 마개체가 관통되는 바로 앞의 위치에서 마개체가 맞물리도록, 상기 제 2 홀더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된 제 2 맞물림부를 상기 제 2 홀더가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분리 장치.
KR1020077028164A 2005-06-27 2006-06-26 혈액 분리 기구 및 혈액 분리 장치 KR1012509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87119A JP3890066B2 (ja) 2005-06-27 2005-06-27 血液分離器具及び血液分離装置
JPJP-P-2005-00187119 2005-06-27
PCT/JP2006/312705 WO2007000965A1 (ja) 2005-06-27 2006-06-26 血液分離器具及び血液分離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5050A true KR20080025050A (ko) 2008-03-19
KR101250905B1 KR101250905B1 (ko) 2013-04-04

Family

ID=37595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8164A KR101250905B1 (ko) 2005-06-27 2006-06-26 혈액 분리 기구 및 혈액 분리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028688B2 (ko)
EP (1) EP1909101B1 (ko)
JP (1) JP3890066B2 (ko)
KR (1) KR101250905B1 (ko)
CN (1) CN101189515B (ko)
WO (1) WO2007000965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9773B1 (ko) * 2008-06-12 2009-10-07 (주)에스피엠 진공 채혈관
WO2011052927A3 (ko) * 2009-10-29 2011-11-03 토자이홀딩스 주식회사 말초혈액 내의 조혈 줄기세포 및 중간엽 줄기세포의 추출을 위한 바이오 디바이스
WO2013045695A2 (en) 2011-09-30 2013-04-04 Pz Cormay S.A. Method for delivering a sample of body fluid to an analysing system, a syringe designed for use therein and a kit comprising such a syringe
WO2014049116A1 (en) 2012-09-27 2014-04-03 Pz Cormay S.A. Microfluidic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y of sample of a body fluid to an analysing system with the use of the microfluidic system
EP2902486A1 (en) 2011-02-09 2015-08-05 Bioneer Corporation Reverse transcriptase having improved thermostability
WO2018178895A1 (en) 2017-03-31 2018-10-04 Pz Cormay S.A. Microfluidic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32785A (ja) * 2007-03-20 2008-10-02 Fujifilm Corp 血液濾過器
JP2008232876A (ja) * 2007-03-22 2008-10-02 Sekisui Chem Co Ltd 血球停止膜、血液分離フィルタ、血液分離装置及び検体採取容器
JP2009039350A (ja) * 2007-08-09 2009-02-26 Hitachi Chem Co Ltd 血球分離材及び血球分離材の製造方法
DK2477742T3 (da) 2009-09-17 2013-08-05 Hoffmann La Roche Prøvetilføringsapparat til tilføring af væskeprøver (apparat til gribning af klumper)
TWI395612B (zh) * 2010-12-24 2013-05-11 Univ Nat Cheng Kung 血液分離方法
TWI395610B (zh) * 2010-12-24 2013-05-11 Univ Nat Cheng Kung 液體過濾裝置及其過濾方法
CN103293049A (zh) * 2013-05-27 2013-09-11 苏州扬清芯片科技有限公司 一种血清分离方法及装置
CN105664537B (zh) * 2014-11-18 2017-08-25 四川南格尔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血液成份分离杯组装方法
CN108136395B (zh) * 2015-09-01 2022-05-13 贝克顿·迪金森公司 用于分离样本相的深度过滤装置
CN105675379B (zh) * 2015-12-30 2018-11-13 南京工业大学 一种血液同步分离检验装置
CN110132705A (zh) * 2018-02-02 2019-08-16 戚本昊 血液成分分类保留装置和血液传递检测装置
MX2020013202A (es) * 2018-06-07 2021-02-26 Becton Dickinson Co Dispositivo de separacion de liquidos biologicos.
US11534533B2 (en) * 2018-07-09 2022-12-27 Hanuman Pelican,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cessing blood
CN109549834B (zh) * 2019-01-14 2023-12-19 温州医科大学附属第二医院、温州医科大学附属育英儿童医院 一种用于人或动物患处浸泡的浸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26558A (en) * 1975-01-31 1978-11-21 Johnson & Johnson Blood filtration unit with manual vent means
US4244379A (en) * 1979-08-02 1981-01-13 Quest Medical, Inc. Check valve for blood drawing apparatus
US4253501A (en) * 1979-11-09 1981-03-03 Ims Limited Transfer system
JPH0593721A (ja) 1990-12-03 1993-04-16 Sanwa Kagaku Kenkyusho Co Ltd 血清・血漿分離器具
JPH08320317A (ja) * 1995-05-26 1996-12-03 Aloka Co Ltd 血液試料採取装置
JP3641509B2 (ja) * 1995-05-26 2005-04-20 アロカ株式会社 血液試料採取装置
US6132353A (en) * 1996-10-21 2000-10-17 Winkelman; James W.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plasma or serum from the red cells of a blood sample
CN1116919C (zh) * 1998-04-07 2003-08-06 成都迪康血液科技有限公司 小面积中空纤维膜血浆分离滤器
JP4372310B2 (ja) * 2000-04-10 2009-11-25 ニプロ株式会社 混注用アダプター
US6659288B2 (en) * 2000-05-16 2003-12-09 Fuji Photo Film Co., Ltd. Plasma- or serum-collecting device
JP3815976B2 (ja) * 2001-03-16 2006-08-30 株式会社アイ・デザイン 血液ろ過器及び採血器
US20030013205A1 (en) * 2001-07-06 2003-01-16 Franz Konrad Separating device
WO2003019131A2 (de) * 2001-08-29 2003-03-06 Hexal Pharma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vorbereitung einer biologischen urprobe für die bestimmung zumindest einer darin enthaltenen komponente
CN1215898C (zh) * 2003-03-21 2005-08-24 陈彬 一种膜过滤浓缩动物血浆的方法
JP2006522658A (ja) * 2003-04-08 2006-10-05 メドラッド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流体運搬システム、流体運搬装置、及び危険性流体を搬送する方法
BRPI0418114A (pt) * 2003-12-24 2007-04-17 Becton Dickinson Co plasma em tubo de vazão
FR2876923B1 (fr) * 2004-10-26 2007-03-30 Millipore Corp Aiguille de prelevement double et procede pour sa realisatio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9773B1 (ko) * 2008-06-12 2009-10-07 (주)에스피엠 진공 채혈관
WO2011052927A3 (ko) * 2009-10-29 2011-11-03 토자이홀딩스 주식회사 말초혈액 내의 조혈 줄기세포 및 중간엽 줄기세포의 추출을 위한 바이오 디바이스
EP2902486A1 (en) 2011-02-09 2015-08-05 Bioneer Corporation Reverse transcriptase having improved thermostability
WO2013045695A2 (en) 2011-09-30 2013-04-04 Pz Cormay S.A. Method for delivering a sample of body fluid to an analysing system, a syringe designed for use therein and a kit comprising such a syringe
WO2014049116A1 (en) 2012-09-27 2014-04-03 Pz Cormay S.A. Microfluidic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y of sample of a body fluid to an analysing system with the use of the microfluidic system
WO2018178895A1 (en) 2017-03-31 2018-10-04 Pz Cormay S.A. Microfluidic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89515B (zh) 2012-07-18
JP3890066B2 (ja) 2007-03-07
CN101189515A (zh) 2008-05-28
EP1909101A4 (en) 2010-09-08
JP2007003480A (ja) 2007-01-11
EP1909101B1 (en) 2011-10-19
US9028688B2 (en) 2015-05-12
US20090050553A1 (en) 2009-02-26
KR101250905B1 (ko) 2013-04-04
WO2007000965A1 (ja) 2007-01-04
EP1909101A1 (en) 2008-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0905B1 (ko) 혈액 분리 기구 및 혈액 분리 장치
KR900008693B1 (ko) 혈액 분리 장치
CA2658503C (en) Membrane-based double-layer tube for sample collections
EP1580551A1 (en) Plasma or serum separation membrane and filter apparatus including the plasma or serum separation membrane
JP2007518978A (ja) 血漿用オンデマンドチューブ
JP2007000536A (ja) 真空検体採取容器
JP2007304016A (ja) 血液分離装置
US20150090674A1 (en) Blood filter apparatus for separating plasma or serum from blood and use of the blood filter apparatus
JP2007003478A (ja) 血液分離材、血液分離装置および真空検体採取容器
JP2007010468A (ja) 真空検体採取容器及び血液分離装置
JP2007003479A (ja) 血液分離装置
WO2007000966A1 (ja) 検体採取容器
JP2008232876A (ja) 血球停止膜、血液分離フィルタ、血液分離装置及び検体採取容器
JP3890068B2 (ja) 検体採取容器
JP2007003481A (ja) 血液分離装置
JP2004325412A (ja) 血液検査用容器
JP2007000537A (ja) 真空検体採取器具
JP3890067B2 (ja) 検体採取容器
JP4021796B2 (ja) 検体採取用容器
AU2019261961B2 (en) Cap with venting plug for biological fluid collection device
JP2007003482A (ja) 臨床検査キット
JP2008076158A (ja) 血液分離装置
JP2007330757A (ja) 血液分離装置
JP2008256551A (ja) 血液分離フィル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