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3248A - 복실 포장체 - Google Patents

복실 포장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3248A
KR20080023248A KR1020087000211A KR20087000211A KR20080023248A KR 20080023248 A KR20080023248 A KR 20080023248A KR 1020087000211 A KR1020087000211 A KR 1020087000211A KR 20087000211 A KR20087000211 A KR 20087000211A KR 20080023248 A KR20080023248 A KR 200800232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ackage
sheet
interlayer
transfer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0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7732B1 (ko
Inventor
토요아키 스즈키
코이치 미우라
Original Assignee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23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32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7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77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93Containers having several compartments for products to be mix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28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composite wrappers, i.e. wrappers formed by associa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sheets or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28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composite wrappers, i.e. wrappers formed by associa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sheets or blanks
    • B65D75/30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 B65D75/32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 B65D75/3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and having several recesses to accommodate a series of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61Spouts
    • B65D75/5872Non-integral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61Flexible containers having several compartments
    • B65D81/3266Flexible containers having several compartments separated by a common rupturable seal, a clip or other removable fastening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10Bag-type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03Accessories used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transfer or mixing of fluids, e.g. for activating fluid flow, separating fluids, filtering fluid or venting
    • A61J1/202Separating means
    • A61J1/2024Separating means having peelable se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Package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Wrapper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수증기 배리어성이 높고, 밀폐 상태에서 복수의 내용물을 혼합하는 것이 가능하며, 복실 포장체 재료에 포함되는 층간 이동 물질이 포장체의 내용물에 용출할 우려를 저감시킨 복실 포장체를 제공한다. 하나의 시트와 다른 시트를 서로 중첩하고 주변부를 밀봉하여 이루어지는 포장체의 일부에 포장체 내부를 복실로 구획하는 약밀봉부를 설치한 복실 포장체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시트가 (Ⅰ)열밀봉층과 층간 이동 물질 함유층과 층간 이동 물질 이행 차단층을 가지며, 상기 열밀봉층과 상기 층간 이동 물질 함유층 사이에 상기 층간 이동 물질 이행 차단층을 개재시킨 적층 시트이고, 상기 다른 시트가 (Ⅱ)열밀봉층과 층간 이동 물질 함유층과 층간 이동 물질 이행 차단층과 습기 차단층을 가지며, 상기 열밀봉층과 상기 층간 이동 물질 함유층 사이에 상기 층간 이동 물질 이행 차단층을 개재시킨 적층 시트인 복실 포장체.
Figure 112008000648156-PCT00002
복실 포장체, 열밀봉층, 층간 이동 물질 함유층, 층간 이동 물질 이행 차단층, 환상 폴리올레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적층 시트, 습기 차단층

Description

복실 포장체{DUPLEX-CHAMBER PACKAGE}
본 발명은 내부에 복수의 수용물이 서로 격리되어 수용되고, 사용시에 이 격리를 해소하여 복수의 수용물을 서로 혼합 가능하게 한 복실 포장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포장체에 사용되는 산화 방지제, 윤활제, 안정제, 자외선 방지제, 안티블록킹제 등의 각종 첨가제나 포장체를 구성하는 플라스틱 재료에 잔류되는 모노머 성분, 인쇄 잉크, 접착제, 앵커 코팅제 등으로부터의 이행 물질과 수용물과의 상호 작용이 문제시되고 있다. 포장체 자체에서 내용물로 이행하는 물질은 포장체를 안정적으로 장기간 유지할 목적으로 사용하거나 보존·유통 시의 강도를 유지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고, 또한 각종 필름을 제조하는 공정에서의 제막성의 안정화를 위해서는 필요한 것이며, 이들을 완전히 제거한 포장체를 구성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포장체로부터 이행되는 물질이 내용물에 미치는 영향을 억제하기 위하여, 일본 특허 공개 평 08-258211호 공보나 일본 특허 공개 평 08-252298호 공보에 따른 발명이 본 발명자들에 의해 제안된 바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 08-258211호 공보에서는,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연신 나일론,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연신 폴리프로필렌 등에 미량의 앵커 코팅제와 접착성 수지를 병용함으로써 내열성을 부여한 안전 위생성이 뛰어난 의료용 액체 용기용 플라스틱 필름이 제안되어 있으며, 일본 약국방에 정해진 용기로부터의 용출 시험 등에서는 뛰어난 효과가 확인되어 실질적으로 의료용 액체 용기용 플라스틱 필름으로서 만족할만한 것이었다. 그러나 조금 사용하는 앵커 코팅제 중의 모노머 성분이나 이량체 이상의 다량체나, 나일론이나 폴리프로필렌에 사용되는 첨가제나 잔류 모노머 성분 등이 용출되는 것을 완전히 방지하지는 못하였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평 08-252298호 공보에서는, 무연신 나일론 또는 무연신 폴리프로필렌의 플라스틱 표면층과 접착성 수지와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층과의 무연신 다층 구성체 필름을 인플레이션법 또는 T다이법에 의해 성막하여 이 무연신 다층 구성체 필름을 연신 배율이 1.5∼20배가 되도록 연신한 후에 연신 필름의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층 측의 면에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을 더 압출 용융 접착하여 의료용 액체 용기용 플라스틱 필름을 제조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이 방법에서는 완전히 접착제나 앵커 코팅제를 사용하지 않고 안전 위생성이 매우 뛰어난 저용출성의 용기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들 포장체에는 실질적으로 인쇄를 실시할 필요가 있으며, 이 인쇄 잉크로부터의 내용물에의 용출을 완전히 억제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어려웠다. 또한 사용되는 나일론이나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에 사용되는 각종 첨가제나 잔류 모노머 성분 등의 내용물 중에의 이행을 억제하고, 내용물과의 상호 작용을 일으키지 않는 포장체로 하지는 못하였다. 또한, 이와 같이 형성된 포장체에는 매우 높은 레벨(0.5g/m2·24hr(90% RH) 이하)에서의 수증기 배리어성을 부여할 수 없다는 문제도 있었다.
국제 공개 제99/39679호 팜플렛에서는 용기의 내면으로부터 폴리올레핀, 환상 올레핀 코폴리머, 폴리올레핀의 순서로 층 구성을 행함으로써 내용액 중의 비타민 D의 함량 저하를 억제하는 구성이 제안되어 있는데, 용기에 인쇄 잉크, 접착제, 앵커 코팅제 등이 사용되는 것이 고려된 용기가 아니라, 실질적으로 다층 공압출 성형된 의료용 용기이며, 인쇄 잉크, 접착제, 앵커 코팅제 등으로부터 모노머 성분이나 이량체 이상의 다량체 등이 용출되는 것을 방지할 목적으로 환상 올레핀 코폴리머를 사용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또한, 사용되는 폴리에틸렌 중에 사용되는 첨가제로부터의 영향이나 폴리에틸렌 등의 잔류 모노머의 영향은 전혀 고려되어 있지 않으며, 또한 연신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이나 연신된 폴리아미드 필름 등을 사용한 구성이 아니기 때문에 기계적 강도도 약하고, 더욱이 0.5g/m2·24hr(90% RH) 이하의 매우 높은 수증기 배리어성을 부여시킬 수 없다.
일본 특허 공개 평 2000-70331호 공보에서는, 환상 폴리올레핀과 선형 폴리올레핀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내벽면에 사용하는 용기의 제안이 이루어져 있는데, 이 제안은 상기와 마찬가지로 용기에 인쇄 잉크, 접착제, 앵커 코팅제 등이 사용되는 것이 고려된 용기가 아니라, 실질적으로 다층 공압출 성형된 의료용 용기이며, 인쇄 잉크, 접착제, 앵커 코팅제 등으로부터 모노머 성분이나 이량체 이상의 다량체 등이 용출되는 것을 방지할 목적으로 환상 폴리올레핀을 사용하고 있는 것은 아 니다. 또한, 연신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이나 연신된 폴리아미드 필름 등을 사용한 구성이 아니라 기계적 강도도 약하고, 0.5g/m2·24hr(90% RH) 이하의 매우 높은 수증기 배리어성을 부여시킬 수 없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약밀봉부를 설치한 복실 용기로 하기 위하여 최내층을 환상 폴리올레핀에 선형 폴리올레핀을 함유시킨 것으로 형성하였는데, 이 선형 폴리올레핀으로부터의 잔류 저분자량 모노머와 내용물과의 상호 작용에 관해서는 전혀 고려되어 있지 않다.
일본 특허 공개 평 2001-157704호 공보에서는 사용되는 접착제의 모노머 성분이 레토르트 멸균시에 내용물 중에 용출하는 문제를 지적하고, 개선하는 방법으로서 환상 올레핀의 폴리머 블렌드를 용기에 사용하는 구성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 용기는 용기의 일부에 약밀봉부를 설치하는 등의 복실 용기로서의 기능은 전혀 제안되어 있지 않다. 또한 높은 수증기 배리어성을 유리 증착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부여하고 있는데, 레토르트 멸균시나 수송·보관시에 증착막에 크랙이 발생하고, 배리어성이 저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없으며, 목적으로 하는 매우 높은 수증기 배리어성을 부여, 유지할 수 없다.
즉, 종래의 포장체에서는 포장체에 사용되는 산화 방지제, 윤활제, 안정제, 자외선 방지제, 안티 블록킹제 등의 각종 첨가제나 용기를 구성하는 플라스틱 재료에 잔류되는 모노머 성분, 인쇄 잉크, 접착제, 앵커 코팅제 등으로부터 이행하며, 내용물과의 상호 작용이 문제시되어 왔다. 이들 문제를 해결하여, 사용시에 내용물을 시인하는 것이 가능한 포장체에 있어서, 높은 수증기 배리어성을 부여할 수는 없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복실 포장체의 일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복실 포장체의 X-X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복실 포장체의 다른 예를 도시한 복실 포장체(1')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복실 포장체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복실 포장체(1")에 대한 단면도이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수증기 배리어성이 높고, 밀폐 상태에서 복수의 내용물을 혼합하는 것이 가능하며, 특히 의료용으로서 적합한 복실 포장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자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약밀봉부에 의해 내부가 복실로 구획된 복실 포장체를 제작함에 있어, 특정한 층구성을 갖는 하나의 시트와 다른 시트를 서로 중첩하여 복실 포장체를 제조함으로써 특히 의료용 복실 용기로서 적합한 복실 포장체로 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이루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복실 포장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Ⅰ]
하나의 시트와 다른 시트를 서로 중첩하고 주변부를 밀봉하여 이루어지는 포장체의 대향하는 내벽면의 일부에 설치한 약밀봉부에 의해 포장체 내부가 복실로 구획된 복실 포장체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시트와 다른 시트가 각각 이하의 (Ⅰ)의 적층 시트와 (Ⅱ)의 적층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실 포장체.
(Ⅰ)포장체의 내벽면을 형성하는 열밀봉층과, 층간 이동 물질 함유층과 층간 이동 물질 이행 차단층을 가짐과 아울러, 상기 열밀봉층과 상기 층간 이동 물질 함유층 사이에 상기 층간 이동 물질 이행 차단층이 개재하는 적층 시트.
(Ⅱ)포장체의 내벽면을 형성하는 열밀봉층과, 층간 이동 물질 함유층과, 층간 이동 물질 이행 차단층과 금속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습기 차단층을 가짐과 아울러, 상기 열밀봉층과 상기 층간 이동 물질 함유층 사이에 상기 층간 이동 물질 이행 차단층이 개재하는 적층 시트.
[Ⅱ]
하나의 시트와 다른 시트를 서로 중첩하고 주변부에 밀봉부가 형성되며, 대향하는 내벽면의 일부에 약밀봉부가 형성된 용기(X) 및 용기(Y)가 각각의 약밀봉부가 각각 박리됨으로써 양 용기 내부가 연통 가능해지도록 접속되어 형성된 복실 포장체에 있어서,
상기 접속이 일측의 용기(X)의 내벽면과 타측의 용기(Y)의 외벽면과의 밀봉에 의해 형성됨과 아울러,
적어도 상기 용기(X)를 구성하는 상기 하나의 시트와 다른 시트가 각각 이하의 (Ⅰ)의 적층 시트 및 (Ⅱ)의 적층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실 포장체.
(Ⅰ)포장체의 내벽면을 형성하는 열밀봉층과, 층간 이동 물질 함유층과 층간 이동 물질 이행 차단층을 가짐과 아울러, 상기 열밀봉층과 상기 층간 이동 물질 함유층 사이에 상기 층간 이동 물질 이행 차단층이 개재하는 적층 시트.
(Ⅱ)포장체의 내벽면을 형성하는 열밀봉층과, 층간 이동 물질 함유층과, 층간 이동 물질 이행 차단층과 금속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습기 차단층을 가짐과 아울러, 상기 열밀봉층과 상기 층간 이동 물질 함유층 사이에 상기 층간 이동 물질 이행 차단층이 개재하는 적층 시트.
[Ⅲ]
상기 (Ⅰ)의 적층 시트가 습기 차단층을 더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Ⅰ] 또는 [Ⅱ]에 기재된 복실 포장체.
[Ⅳ]
상기 (Ⅰ)의 적층 시트의 시트 표면의 법선 방향에 대한 전광선 투과율이 7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Ⅰ], [Ⅱ] 또는 [Ⅲ]에 기재된 복실 포장체.
[Ⅴ]
상기 층간 이동 물질 함유층과 상기 층간 이동 물질 이행 차단층이 접착성 수지에 의해 접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Ⅰ] 내지 [Ⅳ]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복실 포장체.
[Ⅵ]
상기 층간 이동 물질 이행 차단층 및/또는 열밀봉층이 환상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Ⅰ] 내지 [Ⅴ]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복실 포장체.
[Ⅶ]
상기 층간 이동 물질 이행 차단층 및/또는 열밀봉층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및/또는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을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Ⅰ] 내지 [Ⅵ]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복실 포장체.
[Ⅷ]
상기 환상 폴리올레핀 조성물이 이하의 (A)성분 및 (B)성분,
(A)유리 전이 온도가 100℃ 미만인 환상 폴리올레핀,
(B)유리 전이 온도가 100℃ 이상인 환상 폴리올레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Ⅵ] 또는 [Ⅶ]에 기재된 복실 포장체.
[Ⅸ]
상기 약밀봉부가 상기 포장체의 대향하는 내벽면끼리를 포장체의 외부로부터 열압착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Ⅰ] 내지 [Ⅷ]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복실 포장체.
[Ⅹ]
상기 약밀봉부가 이하의 (A)성분 및/또는 (B)성분,
(A)유리 전이 온도가 100℃ 미만인 환상 폴리올레핀,
(B)유리 전이 온도가 100℃ 이상인 환상 폴리올레핀,
을 포함하는 층을 적어도 표면층으로 포함하는 테이프를 상기 포장체의 대향하는 내벽면 사이에 삽입한 상태에서 해당 위치를 포장체 외부로부터 열압착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Ⅰ] 내지 [Ⅸ]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복실 포장체.
[XI]
의료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Ⅰ] 내지 [Ⅹ]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복실 포장체.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복실 포장체는 수증기 배리어성이 높고, 기계적 강도가 강하고, 밀폐 상태에서 복수의 내용물을 혼합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Ⅳ]의 구성을 채용하면 내용물의 시인성이 뛰어나고, 복실 포장체의 구성 재료에 포함되는 저분자량 성분 등의 층간 이동 물질이 포장체의 내용물에 용출되어 버릴 우려를 가급적 저감한 복실 포장체이며, 특히 의료용 복실 용기로서 적합하게 사용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복실 포장체의 실시 형태의 일례를 도시한 복실 포장체(1)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복실 포장체(1)의 X-X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복실 포장체의 다른 예를 도시한 복실 포장체(1')에 대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복실 포장체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복실 포장체(1")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 2에 도시한 복실 포장체(1)는, 포장체(2)와, 포장체(2)의 주변의 일부에 배설된 포트부(3)에 의해 구성되고, 포장체(2)의 주변부는 강밀봉부(4)에 의해 밀봉되어 있다. 포장 백(2)의 내부는 약밀봉부(5)에 의해 복수의 실(6a, 6b)(2실)로 구획되어 있다.
포장체(2)는, 열밀봉층(211)과 이 열밀봉층(211)에 적층되는 층간 이동 물질 함유층(212)에 의해 구성되는 하나의 적층 시트(21)와, 포장체(2)의 내벽면을 형성하는 열밀봉층(221)과 이 열밀봉층(221)에 적층되는 층간 이동 물질 함유층(222)과 이 층간 이동 물질 함유층(222)에 적층되며 금속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습기 차단층(223)에 의해 구성되는 다른 적층 시트(22)를, 열밀봉층(211, 221)이 인접하도록 중첩하고, 주변부에 강밀봉부(4)를 설치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강밀봉부(4)를 설치할 때, 필요에 따라 적당히 포트부(3)를 주변부에 삽입해 둠으로써 포트부(3)를 포장체(2)에 배설할 수 있다.
이러한 포장체(2)의 외부에서 소정의 위치를 가열하여 열밀봉층(211 및 221)을 열용착하여 상기 약밀봉부(5)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복실 포장체(1)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강밀봉부 및 약밀봉부의 형성 조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포장체(2)에 있어서 사용되는 열밀봉층(211, 221)으로는 층간 이동 물질 이행 차단층으로서의 기능도 겸한 재료를 채용할 수 있다.
이 복실 포장체(1)에 있어서, 포장체(2)의 내외는 포트부(3)에 의해 연통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이 포트부(3)를 통하여 내용물의 복실 포장체(1)에의 주입, 복실 포장체(1)로부터의 내용물의 토출이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포트부로는 내용물을 각 실 내에 채운 후에 폐쇄하는 것, 또는 개폐하는 것이 가능한 포트부를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또한, 복실 포장체(1)에 있어서 각 실(6a, 6b)의 격리는 대향하는 열밀봉층(211, 221)의 일부를 약밀봉하여 형성된 약밀봉부(5)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사용시의 각 실(6a, 6b)의 연통은 내용물을 충전한 실(6a) 또는 실(6b)을 외부에서 눌러 약밀봉부(5)를 파괴(박리)함으로써 실현된다.
게다가, 복실 포장체(1)는 특정한 구성을 갖는 시트(21, 22)에 의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시트 중의 층간 이동 물질이 내용물에 혼입할 우려가 가급적 저감되어 있다.
약밀봉부(5)를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상기 복실 포장체(1)의 경우와 같이 용기 외부에서 소정의 위치를 그대로 가열하여 내벽면끼리를 열압착하여 형성할 수도 있으나, 약밀봉용 테이프를 대향하는 내벽면 사이에 삽입하여 용기 외부에서 열압착함으로써 형성할 수도 있다. 약밀봉용 테이프(7)를 대향하는 내벽면 사이에 삽입하여 용기 외부에서 열압착하여 약밀봉부를 형성한 복실 포장체(1')를 도 3에 도시하였다. 또한, 약밀봉용 테이프를 이용하여 약밀봉부를 형성하는 경우의 열압착 조건으로는 강밀봉부의 형성 조건과 동일한 조건을 채용할 수 있다.
약밀봉용 테이프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층간 이동 물질 이행 차단층으로서의 기능도 겸한 상기 재료 열밀봉층(211) 대신 열밀봉층(211a) 및 층간 이동 물질 이행 차단층(211b)(모두 도시하지 않음)을 채용하고, 상기 재료 열밀봉층(221) 대신 열밀봉층(221a) 및 층간 이동 물질 이행 차단층(221b)(모두 도시하지 않음)을 채용하는 것이 포장체(2)의 주변부의 열밀봉 강도를 보다 높이는 관점에서 적합하다.
본 발명의 복실 포장체를 형성함에 있어서는, 약밀봉부를 갖는 복수의 부분 용기를 접속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약밀봉부를 각각 갖는 부분 용기(X)와 부분 용기(Y)를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복실 포장체(1")의 단면도를 도 4에 도시하였다.
부분 용기(X)는 열밀봉층(211)과 이 열밀봉층(211)에 적층되는 층간 이동 물질 함유층(212)에 의해 구성되는 하나의 적층 시트(21)와, 열밀봉층(221)과 이 열밀봉층(221)에 적층되는 층간 이동 물질 함유층(222)과 이 층간 이동 물질 함유층(222)에 적층되며 금속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습기 차단층(223)에 의해 구성되는 다른 적층 시트(22)를, 열밀봉층(211, 221)이 인접하도록 중첩하고, 주변부에 강밀봉부를 형성하고, 대향하는 내벽면의 일부에 약밀봉부(5)를 설치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부분 용기(X)의 약밀봉부(5)는 약밀봉 테이프(7)를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한편, 부분 용기(Y)는 상기 적층 시트(22) 2장을 열밀봉층(221, 221)이 인접하도록 중첩하고, 주변부에 강밀봉부를 형성하고, 대향하는 내벽면의 일부에 약밀봉부(5)를 설치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부분 용기(X)의 내벽면과 상기 부분 용기(Y)의 외벽면을 소정의 위치에서 접속함으로써 각각의 약밀봉부가 각각 박리됨으로써 양 용기 내부가 연통 가능해지는 복실 포장체(1")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복실 포장체(1")는 부분 용기(X)와 부분 용기(Y)를 접속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미리 부분 용기 내에 내용물을 충전한 상태에서 양 용기를 접속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하나의 부분 용기 또는 그 내용물이 열에 의해 열화나 변질을 일으키는 경우라 하더라도 다른 하나의 부분 용기에 대해서는 내용물을 충전한 상태에서의 가열 멸균이 가능하기 때문에, 멸균 공정의 배리에이션을 넓힐 수 있고, 복실 용기의 형성시에 용기 또는 내용물에 부하가 잘 걸리지 않는 최적의 멸균 조건의 선정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의 복실 포장체(1, 1', 1")를 구성하는 적층 시트(21, 22)의 층구성으로는 상기 2층 또는 3층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실 포장체의 요구 특성 등을 감안하여 4층 구성 이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포트부(3)의 형상에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또한 포트부(3)는 없을 수도 있고 복수개 설치할 수도 있다. 더욱이, 상기 부분 용기(Y)의 형성시에는 동일한 적층 시트 2장을 이용하여 형성하고 있는데, 다른 2종의 적층 시트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그 구성도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복실 포장체는, 하나의 시트와 다른 시트를 중첩하여 주변부를 밀봉하여 이루어지는 포장체의 대향하는 내벽면의 일부에 설치한 약밀봉부에 의해 포장체 내부가 복실로 구획된 복실 포장체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시트와 다른 시트가 각각이하의 (Ⅰ)의 적층 시트 및 (Ⅱ)의 적층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실 포장체,
하나의 시트와 다른 시트를 중첩하여 주변부에 밀봉부가 형성되며, 대향하는 내벽면의 일부에 약밀봉부가 형성된 용기(X) 및 (Y)가 각각의 약밀봉부가 각각 박리됨으로써 양 용기 내부가 연통 가능해지도록 접속되어 형성된 복실 포장체에 있어서, 상기 접속이 하나의 용기(X)의 내벽면과 다른 하나의 용기(Y)의 외벽면과의 밀봉에 의해 형성됨과 아울러, 적어도 상기 용기(X)를 구성하는 상기 하나의 시트와 다른 시트가 각각 이하의 (Ⅰ)의 적층 시트 및 (Ⅱ)의 적층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실 포장체이다.
(Ⅰ)포장체의 내벽면을 형성하는 열밀봉층과, 층간 이동 물질 함유층과 층간 이동 물질 이행 차단층을 가짐과 아울러, 상기 열밀봉층과 상기 층간 이동 물질 함유층 사이에 상기 층간 이동 물질 이행 차단층이 개재하는 적층 시트.
(Ⅱ)포장체의 내벽면을 형성하는 열밀봉층과, 층간 이동 물질 함유층과, 층간 이동 물질 이행 차단층과 금속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습기 차단층을 가짐과 아울러, 상기 열밀봉층과 상기 층간 이동 물질 함유층 사이에 상기 층간 이동 물질 이행 차단층이 개재하는 적층 시트.
본 발명에 있어서 층간 이동 물질 함유층이란 층간을 확산 이동할 수 있는 성분(예컨대 저분자량 성분)을 포함하는 층을 의미하는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산화 방지제, 윤활제, 안정제, 자외선 방지제, 안티 블록킹제 등과 같이 층간을 확산 이동할 수 있는 첨가제를 포함하는 층; 미반응 모노머 성분이 잔류하는 수지 재료층; 인쇄 잉크를 포함하는 층; 접착제층; 앵커 코팅제층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열밀봉층으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통상의 포장체를 형성하는 열밀봉층을 채용할 수 있는데, 접착성의 관점에서는 LLDPE층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상기 층간을 확산 이동할 수 있는 성분의 함유량을 저감하는 관점에서는 메타로센 촉매를 사용하여 제조된 밀도가 0.925g/cm3 이상인 LLDPE층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상기 금속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습기 차단층으로는 금속 성분을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가스 배리어 재료이면 특별히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고, 예컨대 알루미늄박, 알루미늄 증착 PET, 산화알루미늄 증착 PET, 실리카 증착 PET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금속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습기 차단층의 수증기 투과도로는 단위 면적 당 수증기 투과율(JIS Z0208(컵법)에 준하여 포장체와 동일 구조의 평판을 이용하여, 온도 40℃, 상대 습도 90%의 조건으로 측정한 값)로서 통상 1g/m2·24hr 이하, 바람직하게는 0.5g/m2·24hr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3g/m2·24hr 이하이다. 상기 금속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습기 차단층의 수증기 투과율이 1g/m2·24hr 이상이면 내용물이 흡습에 의해 활성을 잃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층간 이동 물질 이행 차단층이란 상기 층간을 확산 이동할 수 있는 성분의 확산을 방지하는 기능(인접하는 층으로부터 확산되어 온, 예컨대 저분자량 성분이 자신의 층 중에 용해되는 것을 억제하는 기능)을 갖는 층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러한 층간 이동 물질 이행 차단층으로는, 예컨대 환상 폴리올레핀 조성물이나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테플론),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등을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층, 알루미늄박 등의 금속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층, PET 필름이나 나일론 필름 등의 층을 들 수 있는데, 그 중에서도 투명성이나 가공성, 또는 복실 용기로 하기 위한 약밀봉부 제조 상의 관점에서 환상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층이 특히 적합하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주성분으로 포함한다"란 층을 구성하는 각 성분의 총량 중에 상기 환상 폴리올레핀 조성물,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테플론, 또는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이 차지하는 비율이 통상 50%(질량%. 이하 동일) 이상, 바람직하게는 6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인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환상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층은 수지로서는 비교적 양호한 수증기 배리어성을 발현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복실 포장체 전체의 수증기 투과율의 저감에도 양호하게 기여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습기 차단성층으로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환상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층은, 수지로서는 비교적 저분자량 성분과의 상호 작용이 낮기 때문에 내용물의 유효 성분을 흡착하는 것이 적고, 따라서 본 발명의 복실 포장체에 있어서 최내층으로서 사용한 경우에는 내용물의 조성을 변화시키지 않기 때문에 적합하다.
상기 환상 폴리올레핀 조성물로는 이하의 (A)성분 및 (B)성분,
(A)유리 전이 온도가 100℃ 미만인 환상 폴리올레핀,
(B)유리 전이 온도가 100℃ 이상인 환상 폴리올레핀,
을 포함하는 조성물인 것이 적합하다. 이러한 (A)성분 및 (B)성분을 포함하는 환상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양호한 열밀봉성(열밀봉 가능한 온도폭이 넓은 것을 의미함)을 발현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열밀봉층을 구성하는 주성분으로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A)성분과 (B)성분과의 배합비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A)성분/(B)성분의 배합비(질량비)로서 통상 2/98∼70/30, 바람직하게는 5/95∼65/35이다. (A)성분의 배합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멸균시에 충분한 내열성을 유지할 수 없고, 용기가 변형하는 경우가 있으며, 한편, 지나치게 적으면, 약밀봉으로 할 수 있는 온도 범위가 충분히 확보되지 않을 경우가 있다.
상기 (A)성분의 유리 전이 온도로는 통상 100℃ 미만, 바람직하게는 9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이하이다. 또한, 상기 (B)성분의 유리 전이 온도로는 통상 100℃ 이상, 바람직하게는 11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 이상이다.
또한, 상기 (A)성분의 유리 전이 온도와 (B)성분의 유리 전이 온도와의 유리 전이 온도의 온도차로서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통상 20℃ 이상, 바람직하게는 2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이상이다. 상기 (A)성분의 유리 전이 온도와 (B)성분의 유리 전이 온도와의 유리 전이 온도의 온도차가 20℃ 미만이면 충분한 약밀봉 온도 범위를 얻을 수 없고, 또한 밀봉 온도도 220℃ 이상의 고온이 되어 안정적인 약밀봉을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상기 (A)성분 및 (B)성분은 환상 올레핀 모노머를 포함하는 모노머 조성물을 중합하여 얻어진 것이다.
환상 올레핀 모노머로는 노보넨환을 갖는 환상 올레핀을 사용할 수 있고, 이러한 환상 올레핀으로는 노보넨환을 갖는 치환 및 비치환의 2환 또는 3환 이상의 다환 환상 올레핀(이하, 노보넨계 모노머라고 기재할 수 있음)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노보넨, 노보나디엔, 메틸노보넨, 디메틸노보넨, 에틸노보넨, 염소화노보넨, 클로로메틸노보넨, 트리메틸실릴노보넨, 페닐노보넨, 시아노노보넨, 디시아노노보넨, 메톡시카보닐노보넨, 피리딜노보넨, 나딕산 무수물, 나딕산 이미드 등의 2환 시클로올레핀; 디시클로펜타디엔, 디히드로디시클로펜타디엔이나 그 알킬, 알케닐, 알킬리덴, 아릴 치환체 등의 3환 시클로올레핀; 디메타노헥사히드로나프탈렌, 디메타노옥타히드로나프탈렌이나 그 알킬, 알케닐, 알킬리덴, 아릴 치환체 등의 4환 시클로올레핀, 트리시클로펜타디엔 등의 5환 시클로올레핀, 헥사시클로헵타데센 등의 6환 시클로올레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디노보넨, 2개의 노보넨환을 탄화수소쇄 또는 에스테르기 등으로 결합한 화합물, 이들 알킬, 아릴 치환체 등의 노보넨환을 포함하는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노보넨계 모노머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2종 이상을 병용하는 경우에는, 열가소성 수지를 발생시키는 모노머와 열경화성 수지를 발생시키는 모노머를 적당히 조합함으로써 다양한 물성을 갖는 환상 폴리올레핀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노머를 병용하는 경우에는, 응고점 강하에 의해 모노머를 액상으로서 취급할 수 있는 범위가 넓어지기 때문에 적합하다. 이들 노보넨계 모노머에 시클로부텐, 시클레펜텐, 시클로옥텐, 시클로도데센 등의 단환 시클로올레핀 및 치환기를 갖는 그들의 유도체를 공중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A)성분 및 (B)성분을 발생시키는 노보넨계 모노머로는 저분자량 성분과의 상호 작용을 저감하는 관점 및 수증기 투과도를 보다 저감시키는 관점에서는, 극성기를 포함하지 않는 모노머만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의 목적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일부 극성 모노머를 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극성 모노머로는 상기 노보넨계 모노머에 염소나 브로민 등의 할로겐기나 에스테르기를 도입한 치환체를 들 수 있다. 단, 상기 극성 모노머가 상기 (A)성분 및 (B)성분을 발생시키는 노보넨계 모노머의 총량에 차지하는 비율로는 통상 30몰% 이하이다. 30몰%를 초과하면 얻어지는 폴리머의 수증기 투과도가 저하하거나 층간 이동 물질의 이행을 차단하는 기능이 손상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A)성분 및 (B)성분의 원료로는, 본 발명의 목적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또 다른 모노머를 병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다른 모노머로는 탄소수 2이상의 α-올레핀 등을 들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1-헥센, 3-메틸-1-부텐, 3-메틸-1-펜텐, 3-에틸-1-펜텐, 4-메틸―1-펜텐, 4-메틸-1-헥센, 4,4-디메틸-1-헥센, 4,4-디메틸-1-펜텐, 4-에틸-1-헥센, 3-에틸-1-헥센, 1-옥텐, 1-데센, 1-도데센, 1-테트라데센, 1-헥사데센, 1-옥타데센 및 1-에이코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이 바람직하고, 특히 에틸렌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노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환상 올레핀 모노머와 상기 다른 모노머의 배합비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환상 올레핀모노머)/(다른 모노머)(질량비)로서 통상 98/2∼30/70, 바람직하게는 95/5∼40/60이다. 환상 올레핀모노머의 배합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충분한 밀봉성이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고, 한편, 지나치게 적으면 내용 성분의 비흡착성이 손상되는 경우가 있다.
한편, 복수종의 모노머를 병용하는 경우의 중합 방법이나 중합 기구로는 공지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고, 모노머 시에 배합하여 공중합을 행할 수도 있고, 어느 정도 중합한 후에 배합하여 블록 공중합할 수도 있다. 또한, 개환 중합일 수도 부가 중합일 수도 있다.
상기 환상 폴리올레핀의 구체적인 구조로는 하기 구조식 (1), (2)로 표시되는 구조 단위를 갖는 중합체를 들 수 있다.
Figure 112008000648156-PCT00001
(식중, R1, R2, R3, R4는 서로 동일 또는 이종의 탄소수 1∼20의 유기기를 나타내고, 또한 R1, R2, R3, R4는 서로 환을 형성하고 있을 수도 있다. m 또는 p는 0 또는 1이상의 정수를 나타내고, l 및 n은 1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
상기 탄소수 1∼20의 유기기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메틸, 에틸, n-프로필, i-프로필, n-부틸, i-부틸, sec-부틸, t-부틸, i-펜틸, t-펜틸, n-헥실, n-헵틸, n-옥틸, t-옥틸(1,1-디메틸-3,3-디메틸부틸), 2-에틸헥실, 노닐, 데실, 운데실, 도데실, 트리데실, 테트라데실, 펜타데실, 헥사데실, 헵타데실, 옥타데실, 노나데실, 이코실 등의 알킬기;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시클로헵틸, 시클로옥틸 등의 시클로알킬기; 1-메틸시클로펜틸, 1-메틸시클로헥실, 1-메틸-4-i-프로필시클로헥실 등의 알킬시클로알킬기; 알릴, 프로페닐, 부테닐, 2-부테닐, 헥세닐, 시클로헥세닐 등의 알케닐기; 페닐기, 나프틸기, 메틸페닐기, 메톡시페닐기, 비페닐기, 페녹시페닐기, 클로로페닐기, 술포페닐기 등의 아릴기; 벤질기, 2-페닐에틸기(페네틸기), α-메틸벤질기, α,α-디메틸벤질기 등의 아랄킬기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이들 환상 폴리올레핀은 상기 화학식 (1)∼(2) 중의 l, m, n, p의 값, 또는 이들 화학식 (1)∼(2)로 표시되는 환상 폴리올레핀의 분자량, 환상 올레핀 모노머의 조합에 의해 적절한 유리 전이 온도를 갖도록 적당히 조정된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환상 폴리올레핀으로는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고, 예컨대 닛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Zeon Corporation) 제조의 제오넥스, 제오노아를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환상 폴리올레핀으로는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고, 예컨대 미쓰이 가카구 가부시키가이샤(Mitsui Chemicals, Inc.) 제조의 아펠, TICONA사 제조의 TOPAS를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복수종의 환상 폴리올레핀을 병용하는 경우, 그 배합 방법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 공지의 단축 또는 2축의 용융 혼합 압출기나 정적 용융 혼합기를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상 폴리올레핀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목적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더욱이 필요에 따라 다양한 첨가제, 예컨대 안료, 분산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제, 무기 충전제 등을 첨가할 수도 있다.
상기 (Ⅰ)의 적층 시트로는 내용물의 시인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JIS-K7105에 준거하여 측정한, 시트 표면의 법선 방향에 대한 전광선 투과율로는 통상 70%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Ⅰ)의 적층 시트는 내용물의 보존성과 후공정에서의 이물질 검사 등의 관점에서 투명한 습기 차단층을 더 구비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러한 투명한 습기 차단층으로는 예컨대 PET, PEN 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나 나일론 6,6 등의 폴리아미드 수지,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폴리비닐알코올 공중합체,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시트 상에 실리카 증착을 한 것, 산화알루미늄 증착을 한 것, 카본 증착한 것, 폴리염화비닐리덴 코팅(사란 코팅)한 것 등이나, 사란 수지나 폴리비닐알코올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층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Ⅰ)의 적층 시트 전체의 수증기 투과도로는, 단위 면적 당 수증기 투과율(JIS Z0208(컵법)에 준하여 포장체와 동일 구조의 평판을 이용하여, 온도 40℃, 상대 습도 90%의 조건으로 측정한 값)로서 통상 1.0g/m2·24hr 이하, 바람직하게는 0.8g/m2·24hr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5g/m2·24hr 이하이다. (I)의 적층 시트 전체의 수증기 투과율이 1.0g/m2·24hr 이상이면 내용물의 활성이나 역가가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Ⅰ) 및 (Ⅱ)의 적층 시트는 각각 복수의 층이 적층된 시트이며, 상기 열밀봉층과 상기 층간 이동 물질 함유층 사이에 상기 층간 이동 물질 이행 차단층을 개재시킨 시트이다. 적층함에 있어서는 공지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고, 드라이 라미네이션이나 용융 라미네이션(샌드 라미네이션) 등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층간 이동 물질 함유층과 상기 층간 이동 물질 이행 차단층을 적층함에 있어서는, 성분의 이행을 보다 저감하는 관점에서 상기 층간 이동 물질 함유층과 상기 층간 이동 물질 이행 차단층은 접착성 수지에 의해 적층되는 것이 적합하다.
본 발명의 복실 포장체에 있어서, 잔술한 열밀봉층, 층간 이동 물질 함유층, 층간 이동 물질 이행 차단층, 금속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습기 차단층 이외의 부분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공지의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금속, 세라믹 등의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층을 적당히 채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가공성의 관점에서는 열가소성 수지가 적합하게 사용되고, 특히 생산 비용이나 내용물의 시인성의 관점, 내용물의 열화를 막는 관점에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등의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비닐알코올 그리고 이들의 일단 또는 다단 중합에 의해 얻어지는 엘라스토머 등에 의해 형성되는 층을 적당히 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실 포장체를 제조함에 있어서는 공지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고, 예컨대 단층용 또는 다층용의 T다이 또는 서큘러 다이를 통하여 압출하고, 얻어진 플랫형의 시트, 튜브형의 시트, 패리슨 등에 대하여 서모 포밍, 블로우, 연신, 재단, 융착 등의 방법을 적당히 활용하여 소정의 형상·형태로 가공하면 된다.
본 발명의 복실 포장체는 약밀봉부에 의해 포장체의 내부가 구획되는 것이다. 이러한 밀봉부를 형성할 때에는 밀봉 강도로서 제조시 또는 수송시에는 파단이 잘 일어나지 않고, 사용시(혼합시)에는 손, 지그 등으로 용이하게 파단할 수 있을 정도의 밀봉 강도(JIS Z0238에 준거한 MD 방향 샘플의 밀봉 강도(180° 박리 강도)로서, 통상 0.5N/15mm 이상, 바람직하게는 0.8N/15mm 이상, 상한으로서 통상 8N/15mm 이하, 바람직하게는 5N/15m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복실 포장체에 있어서 이 약밀봉부는 대향하는 내벽면의 일부를 용기 외부에서 열압착함으로써 설치되는 것인데, 이러한 밀봉 강도가 달성되도록 열압착 시의 온도, 압력, 시간 조건이 적당히 설정되게 된다.
상기 약밀봉부를 형성할 때 그 구체적인 밀봉 조건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열압착 온도로는 통상 120∼220℃, 바람직하게는 140∼200℃, 열압착시의 압력으로는 통상 1∼4kg/cm2, 바람직하게는 2∼3kg/cm2, 열압착시의 시간으로는 통상 1∼6초, 바람직하게는 2∼4초이다. 밀봉 조건이 상기 범위에서 벗어나면 적절한 약밀봉부가 형성되지 않는 경우나, 밀봉부의 외관이 떨어지는 경우나, 생산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약밀봉부를 형성할 때의 밀봉 폭으로는 통상 2∼10mm이다.
또한, 본 발명의 복실 포장체가 갖는 수용실의 수는 상기 약밀봉부가 몇 개 설치되는가에 따라 결정되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통상 2∼5개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약밀봉부를 형성할 때에는 열융착 가능한 층을 적어도 표면층으로 포함하는 테이프를 대향하는 내벽면 사이에 삽입한 상태에서 해당 위치를 용기 외부에서 열압착함으로써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하게 행해진다. 이러한 테이프의 층구성으로는 1층일 수도 복수층일 수도 있다.
여기서 말하는 열융착 가능한 층을 구성하는 성분으로는 상기 환상 폴리올레핀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고, 기타 열가소성 수지, 예컨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을 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테이프의 열융착 가능한 층을 구성하는 성분으로는 적어도 한쪽 면이 상기 (Ⅰ) 및/또는 (Ⅱ)의 열밀봉층과 공통되는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약밀봉부를 형성함으로써 보다 확실하게 안정적인 이지 필(easy peel) 강도를 유지한 약밀봉부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약밀봉부를 설치할 때의 밀봉 온도 범위도 충분히 넓게 하는 것이 가능하며, 복실 포장체를 제조하는 데 있어 유리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테이프를 이용한 약밀봉부 형성 조건으로 이하의 강밀봉부 형성 조건과 동일한 조건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실 포장체에 있어서, 강밀봉부(주변 밀봉부)의 형성 조건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상기와 마찬가지로 열압착에 의해 밀봉을 행하는 경우, 용이하게는 파단할 수 없을 정도의 밀봉 강도(JIS Z 0238)에 준거한 MD 방향 샘플의 밀봉 강도(180° 박리 강도)로서 통상 15N/15m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N/15mm 이상)로 하기 위하여 적당히 밀봉 조건이 설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열압착 온도로서 통상 150∼260℃, 바람직하게는 180∼230℃, 열압착시의 압력으로는 통상 1∼6kg/cm2, 바람직하게는 2∼5kg/cm2, 열압착시의 시간으로는 통상 1∼6초, 바람직하게는 2∼4초이다. 밀봉 조건이 상기 범위에서 벗어나면 적절한 주변 밀봉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나, 밀봉부의 외관이 떨어지는 경우나, 생산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주변 밀봉부를 형성할 때의 밀봉 폭으로는 통상 2∼30mm이다.
여기서, 강밀봉부 형성 온도로는 상기 약밀봉부 형성 온도에 비하여 높은 온도 조건을, 강밀봉부 형성 압력으로는 상기 약밀봉부 형성 압력에 비하여 높은 압력 조건을, 강밀봉부 형성시간으로는 상기 약밀봉부 형성시간에 비하여 긴 시간 조건을 적당히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복실 포장체를 제조할 때의 용착 방법으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열압착 이외에 고주파 밀봉, 초음파 밀봉을 단독으로 또는 병용함으로써 보다 적합하게 밀봉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고주파 밀봉은 1회의 밀봉 동작에 있어서 용착과 냉각을 동시에 행하는 것이 가능하며, 200℃ 이상의 고온에서 밀봉하는 경우나 포트부와 밀봉하는 경우나 안정적인 약밀봉부를 형성하는 경우 등에는 특히 유리하다.
본 발명의 복실 포장체의 내용물로서 멸균이 필요한 것을 수용할 때, 내용물을 수용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열에 의한 멸균, 특히 고압 증기 멸균 처리를 행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복실 포장체의 내열성으로는 제14 개정 일본 약국방에 준거하여 시험한 용기 내열성이 1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특성을 본 발명의 복실 포장체가 발현하도록 상기 열압착 조건이나 외벽면 또는 중간층의 소재 등이 적당히 선정된다.
본 발명의 복실 포장체를 구성함에 있어서 내벽면을 상기 환상 폴리올레핀에 의해 형성한 경우에는, 통상의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선형 폴리올레핀을 내벽면으로 사용한 경우에는 내벽면에 흡착되어 버리는 망간, 철, 아연, 구리 및 아이오딘 등의 미량 원소나 그 이온, 비타민 A, 비타민 B류, 비타민 C, 비타민 D, 비타민 E 등의 각종 비타민, 질산 이소솔비트, 니트로글리세린 등을 내용물로서 사용한 경우에도 그들의 각 성분은 내벽면에 흡착되지 않기 때문에 이들 성분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각종 영양 제제, 예컨대 아미노산 제제, 당류 제제, 단백 아미노산 제제, 비타민 제제, 무기질 제제, 이들 각종 영양 성분(영양소)의 적당한 혼합 제제 등을 보존·사용할 때 특히 적합하며, 의료용 복실 용기로서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의 복실 포장체에 충전되는 내용물로는 이들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이 복실 포장체는 물이나 수용액, 분체 등을 충전할 때에도 적합하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복실 포장체는 수증기 투과도가 낮으며, 바람직하게는 내용물의 시인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특히 건조 상태를 유지하여야 하는 경우나 복수의 성분을 완전히 혼합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 혼합의 상태를 확인하면서 작업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복실 용기에 비하여 이점을 갖는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 은 하기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 1〕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도요보(Toyobo Co., Ltd.) 제조 에스테르) 12μm에 2액 경화형의 접착제(미쓰이 다케다 케미칼 제조: 폴리에스테르-우레탄/이소시아네이트계)를 사용하여 알루미나 증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돗판 인사쓰(Toppan Printing Co., Ltd.) 제조 GL 필름) 12μm와 드라이 라미네이트한 후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도요보 제조 에스테르)의 나머지 한쪽 면에 접착 수지로서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닛폰 폴리에틸렌 제조 하모렉스) 20μm를 용융 압출함과 동시에 미리 성막한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닛폰 폴리에틸렌 제조 하모렉스) 20μm와 환상 폴리올레핀(닛폰 제온 제조 ZENOR) 20μm와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닛폰 폴리에틸렌 제조 하모렉스) 30μm의 3층 시트를 삽입하여 샌드 라미네이트를 행함으로써 다층 시트(Ⅰ-1)를 제작하였다.
이 다층 시트(Ⅰ-1)는 최내층이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닛폰 폴리에틸렌 제조 하모렉스) 30μm, 인접하는 제2층이 환상 폴리올레핀(닛폰 제온 제조 ZENOR) 20μm, 제3층이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닛폰 폴리에틸렌 제조 하모렉스) 20μm, 제4층이 접착성 수지로서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닛폰 폴리에틸렌 제조 하모렉스) 20μm, 제5층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도요보 제조 에스테르) 12μm, 제6층이 알루미나 증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돗판 인사쓰 제조 GL 필름) 12μm로 구성되는 다층 시트이다.
또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도요보 제조 에스테르) 12μm에 2액 경화형의 접착제(미쓰이 다케다 케미칼 제조: 폴리에스테르-우레탄/이소시아네이트계)를 사용하여 알루미늄박(닛폰 세이하쿠(Nippon Foil Mfg. Co., Ltd.) 제조) 9μm와 드라이 라미네이트한 후에, 이 알루미늄박의 나머지 한쪽 면에 접착 수지로서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닛폰 폴리에틸렌 제조 하모렉스) 20μm를 용융 압출함과 동시에 미리 성막한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닛폰 폴리에틸렌 제조 하모렉스) 20μm와 환상 폴리올레핀(닛폰 제온 제조 ZENOR) 20μm와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닛폰 폴리에틸렌 제조 하모렉스) 30μm의 3층 시트를 삽입하여 샌드 라미네이트를 행함으로써 다층 시트(Ⅱ-1)를 제작하였다.
이 다층 시트(Ⅱ-1)는 최내층이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닛폰 폴리에틸렌 제조 하모렉스) 30μm, 인접하는 제2층이 환상 폴리올레핀(닛폰 제온 제조 ZENOR) 20μm, 제3층이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닛폰 폴리에틸렌 제조 하모렉스) 20μm, 제4층이 접착성 수지로서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닛폰 폴리에틸렌 제조 하모렉스) 20μm, 제5층이 알루미늄박(닛폰 세이하쿠 제조) 9μm, 제6층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12μm로 구성되는 다층 시트이다.
이와 같이 제작한 다층 시트(Ⅰ-1)와 다층 시트(Ⅱ-1)를 각각의 최내층을 내측으로 하여 대항시켜 열밀봉함으로써 3방 백을 제작한 후, 증류수 100ml를 넣고, 70℃에서 24시간 후의 보존 시험을 실시하였더니, 내용액 중에의 접착제 유래 성분(폴리에스테르 성분 유래의 산, 알코올류 등의 단량체 또는 이량체 이상의 다량체)의 이행은 거의 확인되지 않았다. 접착제 유래 물질의 분석은 추출수 100ml를 농축 건고한 후 디클로로메탄으로 용해 후에 수소 불꽃 이온화 검출기가 있는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분석하였다.(칼럼: 캐필러리 칼럼)
또한, 다층 시트(Ⅰ-1), 다층 시트(Ⅱ-1)의 대향하는 최내층 사이에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닛폰 폴리에틸렌 제조 하모렉스)과 폴리프로필렌(닛폰 폴리켐 제조)을 70:30의 비율로 용융 혼합한 필름 70μm를 삽입하여 밀봉함으로써 용기의 일부에 약밀봉부(박리 강도 2N/15mm 폭)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실시예 2〕
다층 시트(Ⅰ-2)는 실시예 1의 (I-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작하고, 나머지 한쪽의 다층 시트(Ⅱ-2)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도요보 제조 에스테르) 12μm에 2액 경화형의 접착제(미쓰이 다케다 케미칼 제조: 폴리에스테르-우레탄/이소시아네이트계)를 사용하여 알루미늄박(닛폰 세이하쿠 제조) 9μm와 드라이 라미네이트한 후에, 이 알루미늄박의 나머지 한쪽 면에 접착 수지로서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닛폰 폴리에틸렌 제조 하모렉스) 20μm를 용융 압출함과 동시에 미리 성막한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닛폰 폴리에틸렌 제조 하모렉스) 필름 40μm를 삽입하여 샌드 라미네이트를 행하여 제작하였다.
이 다층 시트(Ⅱ-2)는 최내층이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닛폰 폴리에틸렌 제조 하모렉스) 40μm, 인접하는 제2층이 접착성 수지로서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닛폰 폴리에틸렌 제조 하모렉스) 20μm, 제3층이 알루미늄박(닛폰 세이하쿠 제조) 9μm, 제4층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12μm로 구성되는 다층 시트이다.
이와 같이 제작한 다층 시트(Ⅰ-2)와 다층 시트(Ⅱ-2)를 최내층을 내측으로 하여 대향시켜 열밀봉함으로써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용기를 제작한 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을 실시한 결과, 내용액 중에의 접착제 유래 성분(폴리에스테르 성분 유래의 단량체, 이량체 이상의 다량체)의 이행은 거의 확인되지 않았다.
〔실시예 3〕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도요보 제조 에스테르) 12μm에 2액 경화형의 접착제(미쓰이 다케다 케미칼 제조: 폴리에스테르-우레탄/이소시아네이트계)를 사용하여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닛폰 폴리에틸렌 제조 하모렉스) 필름 60μm와 드라이 라미네이트한 후, 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나머지 한쪽 면에 접착 수지로서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닛폰 폴리에틸렌 제조 하모렉스) 20μm를 용융 압출함과 동시에 미리 성막한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닛폰 폴리에틸렌 제조 하모렉스) 20μm와 환상 폴리올레핀(닛폰 제온 제조 ZENOR) 30μm의 2층 시트를 삽입하여 샌드 라미네이트를 행함으로써 다층 시트(Ⅰ-3)를 제작하였다.
이 다층 시트(Ⅰ-3)는 최내층이 환상 폴리올레핀(닛폰 제온 제조 ZENOR) 30μm, 인접하는 제2층이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닛폰 폴리에틸렌 제조 하모렉스) 20μm, 제3층이 접착성 수지로서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닛폰 폴리에틸렌 제조 하모렉스) 20μm, 제4층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도요보 제조 에스테르) 12μm, 제5층이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닛폰 폴리에틸렌 제조 하모렉스) 60μm로 구 성되는 다층 시트이다.
또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도요보 제조 에스테르) 12μm에 2액 경화형의 접착제(미쓰이 다케다 케미칼 제조: 폴리에스테르-우레탄/이소시아네이트계)를 사용하여 알루미늄박(닛폰 세이하쿠 제조) 9μm와 드라이 라미네이트한 후에, 이 알루미늄박의 나머지 한쪽 면에 접착 수지로서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닛폰 폴리에틸렌 제조 하모렉스) 20μm를 용융 압출함과 동시에 미리 성막한 환상 폴리올레핀(닛폰 제온 제조 ZENOR) 30μm와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닛폰 폴리에틸렌 제조 하모렉스) 20μm의 2층 시트를 삽입하여 샌드 라미네이트를 행함으로써 다층 시트(Ⅱ-3)를 제작하였다.
이 다층 시트(Ⅱ-3)는 최내층이 환상 폴리올레핀(닛폰 제온 제조 ZENOR) 30μm, 인접하는 제2층이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닛폰 폴리에틸렌 제조 하모렉스) 20μm, 제3층이 접착성 수지로서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닛폰 폴리에틸렌 제조 하모렉스) 20μm, 제4층이 알루미늄박(닛폰 세이하쿠 제조) 9μm, 제5층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12μm로 구성되는 다층 시트이다.
이와 같이 제작한 다층 시트(Ⅰ-3)와 다층 시트(Ⅱ-3)를 최내층을 내측으로 하여 대향시켜 열밀봉함으로써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용기를 제작한 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을 실시한 결과, 내용액 중에의 접착제 유래 성분(폴리에스테르 성분 유래의 단량체, 이량체 이상의 다량체)의 이행은 거의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다층 시트(Ⅰ-3), 다층 시트(Ⅱ-3)의 대향하는 최내층 사이에 환상 폴 리올레핀(닛폰 제온 제조 ZENOR)과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이데미쓰 세키유 가카구(Idemitsu Petrochemical Co., Ltd.) 제조 모어텍)을 70:30의 비율로 용융 혼합한 필름 70μm를 삽입하고 밀봉함으로써 용기의 일부에 약밀봉부(박리 강도 2.2N/15mm 폭)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실시예 4〕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도요보 제조 에스테르) 12μm에 인쇄(다이니치세이카(Dainichiseika Color & Chemicals Mfg. Co., Ltd.) 제조 2액 경화 잉크) 가공을 행한 후에 이 인쇄면에 접착 수지로서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닛폰 폴리에틸렌 제조 하모렉스) 20μm를 용융 압출함과 동시에 미리 성막한 환상 폴리올레핀(닛폰 제온 제조 ZENOR) 30μm와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닛폰 폴리에틸렌 제조 하모렉스) 40μm의 2층 시트를 삽입하여 샌드 라미네이트를 행함으로써 다층 시트(Ⅰ-4)를 제작하였다.
이 다층 시트(Ⅰ-4)는 최내층이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닛폰 폴리에틸렌 제조 하모렉스) 40μm, 인접하는 제2층이 환상 폴리올레핀(닛폰 제온 제조 ZENOR) 30μm, 제3층이 접착성 수지로서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닛폰 폴리에틸렌 제조 하모렉스) 20μm, 제4층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12μm로 구성되는 다층 시트이다.
또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도요보 제조 에스테르) 12μm에 2액 경화형의 접착제(미쓰이 다케다 케미칼 제조: 폴리에스테르-우레탄/이소시아네이트계)를 사용하여 알루미늄박(닛폰 세이하쿠 제조) 9μm와 드라이 라미네이트한 후에 이 알루미늄박의 나머지 한쪽 면에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닛폰 폴리에틸렌 제조 하모렉스) 60μm를 용융 압출을 행함으로써 다층 시트(Ⅱ-4)를 제작하였다.
이 다층 시트(Ⅱ-4)는 최내층이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닛폰 폴리에틸렌 제조 하모렉스) 60μm, 인접하는 제2층이 알루미늄박(닛폰 세이하쿠 제조) 9μm, 제3층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12μm로 구성되는 다층 시트이다.
이와 같이 제작한 다층 시트(Ⅰ-4)와 다층 시트(Ⅱ-4)를 최내층을 내측으로 하여 대향시켜 열밀봉함으로써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용기를 제작한 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을 실시한 결과, 내용액 중에의 접착제 유래 성분(폴리에스테르 성분 유래의 단량체, 이량체 이상의 다량체)의 이행은 거의 확인되지 않았다.
〔실시예 5〕
어느 하나의 다층 시트(Ⅰ-5)를, 실시예 4의 (Ⅰ-4)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작하고, 나머지 하나의 다층 시트(Ⅱ-5)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도요보 제조 에스테르) 12μm에 2액 경화형의 접착제(미쓰이 다케다 케미칼 제조: 폴리에스테르-우레탄/이소시아네이트계)를 사용하여 알루미늄 증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12μm와 드라이 라미네이트한 후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도요보 제조 에스테르)의 나머지 한쪽 면에 접착 수지로서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닛폰 폴리에틸렌 제조 하모렉스) 20μm를 용융 압출함과 동시에 미리 성막한 환상 폴리올레 핀(닛폰 제온 제조 ZENOR)과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이데미쓰 세키유 가카구 제조 모어텍)을 70:30의 비율로 용융 혼합한 시트 50μm를 삽입하여 샌드 라미네이트를 행하여 제작하였다.
이 다층 시트(Ⅱ-5)는 최내층이 환상 폴리올레핀(닛폰 제온 제조 ZENOR)과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이데미쓰 세키유 가카구 제조 모어텍)을 70:30의 비율로 함유하는 시트 50μm, 인접하는 제2층이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닛폰 폴리에틸렌 제조 하모렉스) 20μm, 제3층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도요보 제조 에스테르) 12μm, 제4층이 알루미나 증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돗판 인사쓰 제조 GL 필름) 12μm로 구성되는 다층 시트이다.
이와 같이 제작한 다층 시트(Ⅰ-5)와 다층 시트(Ⅱ-5)를 최내층을 내측으로 하여 대향시켜 열밀봉함으로써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용기를 제작한 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을 실시한 결과, 내용액 중에의 접착제 유래 성분(폴리에스테르 성분 유래의 단량체, 이량체 이상의 다량체)의 이행은 거의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용기의 일부에 약밀봉부(박리 강도 3.5N/15mm 폭)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실시예 6〕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도요보 제조 에스테르) 12μm에 2액 경화형의 접착제(미쓰이 다케다 케미칼 제조: 폴리에스테르-우레탄/이소시아네이트계)를 사용하여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닛폰 폴리에틸렌 제조 하모렉스) 필름 60μm와 드 라이 라미네이트한 후, 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나머지 한쪽 면에 접착 수지로서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닛폰 폴리에틸렌 제조 하모렉스) 20μm를 용융 압출함과 동시에 미리 성막한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닛폰 폴리에틸렌 제조 하모렉스) 20μm와 환상 폴리올레핀(닛폰 제온 제조 Tg 136℃의 ZENOR와 Tg 75℃의 ZENOR를 9:1의 비율로 용융 혼합) 30μm의 2층 시트를 삽입하여 샌드 라미네이트를 행함으로써 다층 시트(Ⅰ-6)를 제작하였다.
이 다층 시트(Ⅰ-6)는 최내층이 환상 폴리올레핀(닛폰 제온 제조 Tg 136℃의 ZENOR와 Tg 75℃의 ZENOR를 9:1의 비율로 용융 혼합) 30μm, 인접하는 제2층이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닛폰 폴리에틸렌 제조 하모렉스) 20μm, 제3층이 접착성 수지로서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닛폰 폴리에틸렌 제조 하모렉스) 20μm, 제4층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도요보 제조 에스테르) 12μm, 제5층이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닛폰 폴리에틸렌 제조 하모렉스) 60μm로 구성되는 다층 시트이다.
나머지 하나의 다층 시트(Ⅱ-6)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도요보 제조 에스테르) 12μm에 2액 경화형의 접착제(미쓰이 다케다 케미칼 제조: 폴리에스테르-우레탄/이소시아네이트계)를 사용하여 알루미늄박(닛폰 세이하쿠 제조) 9μm와 드라이 라미네이트한 후에, 이 알루미늄박의 나머지 한쪽 면에 접착 수지로서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닛폰 폴리에틸렌 제조 하모렉스) 20μm를 용융 압출함과 동시에 미리 성막한 환상 폴리올레핀(닛폰 제온 제조 Tg 136℃의 ZENOR와 Tg 75℃의 ZENOR를 9:1의 비율로 용융 혼합) 30μm와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닛폰 폴리에틸렌 제조 하모렉스) 20μm의 2층 시트를 삽입하여 샌드 라미네이트를 행하여 제작하였 다.
이 다층 시트(Ⅱ-6)는 최내층이 환상 폴리올레핀(닛폰 제온 제조 Tg 136℃의 ZENOR와 Tg 75℃의 ZENOR를 9:1의 비율로 용융 혼합) 30μm, 인접하는 제2층이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닛폰 폴리에틸렌 제조 하모렉스) 20μm, 제3층이 접착성 수지로서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닛폰 폴리에틸렌 제조 하모렉스) 20μm, 제4층이 알루미늄박(닛폰 세이하쿠 제조) 9μm, 제5층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12μm로 구성되는 다층 시트이다.
이와 같이 제작한 다층 시트(Ⅰ-6)와 다층 시트(Ⅱ-6)를 최내층을 내측으로 하여 대향시켜 열밀봉함으로써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용기를 제작한 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을 실시한 결과, 내용액 중에의 접착제 유래 성분(폴리에스테르 성분 유래의 단량체, 이량체 이상의 다량체)의 이행은 거의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용기의 일부에 약밀봉부(박리 강도 3.0N/15mm 폭)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Claims (11)

  1. 하나의 시트와 다른 시트를 서로 중첩하고 주변부를 밀봉하여 이루어지는 포장체의 대향하는 내벽면의 일부에 설치한 약밀봉부에 의해 포장체 내부가 복실로 구획된 복실 포장체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시트와 다른 시트가 각각 이하의 (Ⅰ)의 적층 시트와 (Ⅱ)의 적층 시트,
    (Ⅰ)포장체의 내벽면을 형성하는 열밀봉층과, 층간 이동 물질 함유층과 층간 이동 물질 이행 차단층을 가짐과 아울러, 상기 열밀봉층과 상기 층간 이동 물질 함유층 사이에 상기 층간 이동 물질 이행 차단층이 개재하는 적층 시트,
    (Ⅱ)포장체의 내벽면을 형성하는 열밀봉층과, 층간 이동 물질 함유층과, 층간 이동 물질 이행 차단층과 금속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습기 차단층을 가짐과 아울러, 상기 열밀봉층과 상기 층간 이동 물질 함유층 사이에 상기 층간 이동 물질 이행 차단층이 개재하는 적층 시트,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실 포장체.
  2. 하나의 시트와 다른 시트를 서로 중첩하고 주변부에 밀봉부가 형성되며, 대향하는 내벽면의 일부에 약밀봉부가 형성된 용기(X) 및 용기(Y)가, 각각의 약밀봉부가 각각 박리됨으로써 양 용기 내부가 연통 가능해지도록 접속되어 형성된 복실 포장체에 있어서,
    상기 접속이 일측 용기(X)의 내벽면과 타측 용기(Y)의 외벽면과의 밀봉에 의해 형성됨과 아울러,
    적어도 상기 용기(X)를 구성하는 상기 하나의 시트와 다른 시트가 각각 이하의 (Ⅰ)의 적층 시트와 (Ⅱ)의 적층 시트,
    (Ⅰ)포장체의 내벽면을 형성하는 열밀봉층과, 층간 이동 물질 함유층과 층간 이동 물질 이행 차단층을 가짐과 아울러, 상기 열밀봉층과 상기 층간 이동 물질 함유층 사이에 상기 층간 이동 물질 이행 차단층이 개재하는 적층 시트,
    (Ⅱ)포장체의 내벽면을 형성하는 열밀봉층과, 층간 이동 물질 함유층과, 층간 이동 물질 이행 차단층과 금속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습기 차단층을 가짐과 아울러, 상기 열밀봉층과 상기 층간 이동 물질 함유층 사이에 상기 층간 이동 물질 이행 차단층이 개재하는 적층 시트,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실 포장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Ⅰ)의 적층 시트가 습기 차단층을 더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실 포장체.
  4.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Ⅰ)의 적층 시트의 시트 표면의 법선 방향에 대한 전광선 투과율이 7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실 포장체.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층간 이동 물질 함유층과 상기 층간 이동 물질 이행 차단층이 접착성 수지에 의해 접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실 포장체.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층간 이동 물질 이행 차단층 및/또는 열밀봉층이 환상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실 포장체.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층간 이동 물질 이행 차단층 및/또는 열밀봉층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및/또는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을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실 포장체.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 폴리올레핀 조성물이 이하의 (A)성분 및 (B)성분,
    (A)유리 전이 온도가 100℃ 미만인 환상 폴리올레핀,
    (B)유리 전이 온도가 100℃ 이상인 환상 폴리올레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실 포장체.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약밀봉부가 상기 포장체의 대향하는 내벽면끼리를 포장체의 외부로부터 열압착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실 포장체.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약밀봉부가 이하의 (A)성분 및/또는 (B)성분,
    (A)유리 전이 온도가 100℃ 미만인 환상 폴리올레핀,
    (B)유리 전이 온도가 100℃ 이상인 환상 폴리올레핀,
    을 포함하는 층을 적어도 표면층으로 포함하는 테이프를 상기 포장체의 대향하는 내벽면 사이에 삽입한 상태에서 해당 위치를 포장체 외부로부터 열압착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실 포장체.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의료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실 포장체.
KR1020087000211A 2005-06-15 2005-06-15 복실 포장체 KR1011377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5/010918 WO2006134645A1 (ja) 2005-06-15 2005-06-15 複室包装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3248A true KR20080023248A (ko) 2008-03-12
KR101137732B1 KR101137732B1 (ko) 2012-04-24

Family

ID=37532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0211A KR101137732B1 (ko) 2005-06-15 2005-06-15 복실 포장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90310890A1 (ko)
EP (1) EP1894851B1 (ko)
KR (1) KR101137732B1 (ko)
CN (1) CN101238046B (ko)
AT (1) ATE543748T1 (ko)
WO (1) WO20061346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38272B8 (en) * 2004-11-26 2013-09-25 Hosokawa Yoko Co., Ltd. Medical liquid container and preparation-containing medical liquid container
DE102007028733A1 (de) 2007-06-21 2008-12-24 Fresenius Kabi Deutschland Gmbh Behältnis zur Verwendung in der enteralen Ernährung
DE102007041231A1 (de) * 2007-08-30 2009-03-05 Noack, Andreas, Dr. Verfahren zur Herstellung schneller mineralischen Agglomerate
NL1037405C2 (en) * 2009-10-16 2011-04-19 Ppg Industries Inc Pouch for paint colourant.
JP2011110369A (ja) * 2009-11-30 2011-06-09 Kyoraku Co Ltd 医療用容器
KR101226739B1 (ko) * 2010-01-22 2013-02-27 씨앤텍 주식회사 가압 개방되는 비접합선을 가진 2중 파우치와 그 제조에 적합한 열봉합 금형
JP5699325B2 (ja) * 2010-11-26 2015-04-0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低吸着性スタンディングパウチ
WO2012118060A1 (ja) * 2011-03-03 2012-09-07 ニプロ株式会社 複室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2150632A1 (ja) * 2011-05-02 2012-11-08 株式会社モリモト医薬 投薬用容器
JP5810641B2 (ja) * 2011-06-06 2015-11-1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包装材料及びそれよりなる紙容器
JP5810640B2 (ja) * 2011-06-06 2015-11-1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包装材料及びそれよりなる紙容器
WO2014088585A1 (en) 2012-12-07 2014-06-12 Perfecseal, Inc. Multilayer film
JP2015006896A (ja) * 2013-06-25 2015-01-15 株式会社パックプラス 包装袋
CN104443822A (zh) * 2013-09-23 2015-03-25 李和伟 一种冻干赋型制剂及配套溶剂包装用双腔袋
CN104803082A (zh) * 2014-01-24 2015-07-29 李和伟 一种含有冻干赋型制剂的新型面膜包装用三室袋及其制备方法
US20150225151A1 (en) 2014-02-11 2015-08-13 Christopher L. Osborn Anti-Scalping Transdermal Patch Packaging Film
US9468584B2 (en) 2014-04-02 2016-10-18 Bemis Company, Inc. Child-resistant packaging
JP2016022092A (ja) * 2014-07-18 2016-02-08 ニプロ株式会社 エダラボン含有プラスチック容器
CN105883218A (zh) * 2014-10-29 2016-08-24 李和伟 一种固液分离即配即用的包装装置及其制备方法
DE102015200663B4 (de) 2015-01-16 2021-12-16 B. Braun Melsungen Aktiengesellschaft Geschlossenes Mehrkammerbehältnis und diätetisches Kit zur Anwendung bei der enteralen Ernährung
EP3195845A1 (en) * 2016-01-21 2017-07-26 B. Braun Melsungen AG Pharmacy bag with integrated flush option
JP6659442B2 (ja) * 2016-04-27 2020-03-04 株式会社トクヤマ 結晶性l−カルノシン亜鉛錯体の保存容器
ES2602162B1 (es) 2016-09-16 2017-06-20 Grifols, S.A. Contenedor para una solución de proteínas plasmáticas humanas y procedimiento de preparación del mismo
CN106742704B (zh) * 2017-01-23 2019-12-10 嘉兴市明跃包装材料有限公司 一种可对多种食品/化妆品进行调和的包装膜
MX2020001186A (es) * 2017-08-02 2021-09-07 Schur Star Systems Inc Bolsa de múltiples cámaras.
KR20240005154A (ko) 2017-12-08 2024-01-11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포장체
USD900311S1 (en) 2018-05-18 2020-10-27 Baxter International Inc. Dual chamber flexible container
JP2022158659A (ja) * 2021-04-02 2022-10-17 三井化学株式会社 多層フィルムおよび液剤容器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75075B2 (ja) * 1988-06-10 1997-11-12 株式会社新素材総合研究所 内容物入り容器
CA2072594C (en) * 1990-11-07 1998-06-02 Fujio Inoue Containers having plurality of chambers
US5423421A (en) * 1992-05-03 1995-06-13 Otsuka Pharmaceutical Factory, Inc. Containers having plurality of chambers
JP3570441B2 (ja) 1995-03-17 2004-09-29 藤森工業株式会社 医療用液体容器用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3578177B2 (ja) 1995-03-17 2004-10-20 藤森工業株式会社 医療用液体容器用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3016348B2 (ja) * 1995-03-23 2000-03-06 株式会社ニッショー 複室容器
JP3419139B2 (ja) * 1995-04-11 2003-06-23 ニプロ株式会社 可撓性複室容器
DE19548789A1 (de) * 1995-12-27 1997-07-03 Hoechst Trespaphan Gmbh Peelfähige, siegelbare polyolefinische Mehrschichtfoli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JPH11128315A (ja) * 1997-11-04 1999-05-18 Material Eng Tech Lab Inc 医療用容器
TW367247B (en) * 1998-02-03 1999-08-21 Otsuka Pharma Co Ltd Storage container for Vitamin D solution and transfusion container
GB2360038A (en) * 2000-03-08 2001-09-12 Rexam Med Packaging Ltd Heat sealable polymeric films
JP4916609B2 (ja) * 2000-06-28 2012-04-18 藤森工業株式会社 医療用液体容器用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
JP2002219786A (ja) 2000-11-01 2002-08-06 Mitsubishi Engineering Plastics Corp 多層フィルム製の医療用液体収納袋
JP2002274578A (ja) 2001-03-19 2002-09-25 Kao Corp 容 器
KR20040068150A (ko) * 2001-11-22 2004-07-30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포장 봉지 및 그 제조 방법
KR100850828B1 (ko) * 2002-01-29 2008-08-06 다이요 잉키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래디컬 중합성 조성물의 포장 형태
TWI252203B (en) * 2002-03-28 2006-04-01 Showa Denko Plastic Product Co Infusion container with multiple chambers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SE526013C2 (sv) * 2002-11-08 2005-06-14 Gambro Lundia Ab Behållare med syrabarriär och användning därav
KR101009600B1 (ko) * 2003-03-12 2011-01-20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복실용기
US7243787B2 (en) * 2003-03-26 2007-07-17 Nipro Corporation Medicine bag
JP2004359293A (ja) * 2003-06-04 2004-12-24 Fujimori Kogyo Co Ltd 易開封性包装袋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412463B2 (ja) * 2003-12-11 2010-02-10 藤森工業株式会社 複室容器
KR101211552B1 (ko) * 2004-08-16 2012-12-12 니프로 가부시키가이샤 의료용 다층 용기 및 의료용 다층 복실용기
TWI409057B (zh) * 2004-09-27 2013-09-21 Nipro Corp 醫療用容器
EP1838272B8 (en) * 2004-11-26 2013-09-25 Hosokawa Yoko Co., Ltd. Medical liquid container and preparation-containing medical liquid container
KR101310177B1 (ko) * 2005-09-12 2013-09-23 니프로 가부시키가이샤 복실 용기
JP5493115B2 (ja) * 2006-06-28 2014-05-14 藤森工業株式会社 液体収納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38046B (zh) 2012-05-23
ATE543748T1 (de) 2012-02-15
EP1894851A1 (en) 2008-03-05
WO2006134645A1 (ja) 2006-12-21
EP1894851B1 (en) 2012-02-01
US20090310890A1 (en) 2009-12-17
KR101137732B1 (ko) 2012-04-24
CN101238046A (zh) 2008-08-06
EP1894851A4 (en) 2009-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7732B1 (ko) 복실 포장체
KR101009600B1 (ko) 복실용기
KR101977599B1 (ko) 실란트용 수지 조성물, 적층 필름 및 포장백
KR102157522B1 (ko) 광선 차단 시트 및 용기
AU691261B2 (en) Contamination-proof sealant film and product fabricated therefrom
JP6093716B2 (ja) シーラント用樹脂組成物、積層フィルムおよび包装袋
KR101211552B1 (ko) 의료용 다층 용기 및 의료용 다층 복실용기
KR102567417B1 (ko) 튜브 용기
JP5587597B2 (ja) 包装体
JP4488166B2 (ja) 複室包装体及び医療用複室容器
JP2014057723A (ja) ポート付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9155868A (ja) 積層フィルム及び包装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