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2536A - 시트 적재 장치와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시트 적재 장치와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2536A
KR20080022536A KR1020070090638A KR20070090638A KR20080022536A KR 20080022536 A KR20080022536 A KR 20080022536A KR 1020070090638 A KR1020070090638 A KR 1020070090638A KR 20070090638 A KR20070090638 A KR 20070090638A KR 20080022536 A KR20080022536 A KR 200800225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stacking
unit
stacker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0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3964B1 (ko
Inventor
유스께 오부찌
겐이찌 하야시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22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25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3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39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02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mechanical grippers engaging the leading edge only of the articles
    • B65H29/04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mechanical grippers engaging the leading edge only of the articles the grippers being carried by endless chains or bands
    • B65H29/041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mechanical grippers engaging the leading edge only of the articles the grippers being carried by endless chains or bands and introducing into a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24Pile receivers multiple or compartmented, e.d. for alternate, programmed, or selective fill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38Devices for collating sheet copy material, e.g. sorters, control, copies in staples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20Belts
    • B65H2404/23Belts with auxiliary handling means
    • B65H2404/231Belts with auxiliary handling means pocket or gripper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70Other elements in edge contact with handled material, e.g. registering, orientating, guiding devices
    • B65H2404/72Stops, gauge pins, e.g. stationary
    • B65H2404/722Stops, gauge pins, e.g. stationary movable in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30Other features of supports for sheets
    • B65H2405/33Compartmented support
    • B65H2405/331Juxtaposed compartments
    • B65H2405/3311Juxtaposed compartments for storing articles horizontally or slightly incl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6/00Means using fluid
    • B65H2406/30Suction means
    • B65H2406/32Suction belts
    • B65H2406/323Overhead suction belt, i.e. holding material against gra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20Location in sp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ile Receivers (AREA)
  • Paper Feed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 Discharge By Other Means (AREA)

Abstract

시트 적재 장치는 시트를 배출하도록 구성된 그리퍼와, 일렬로 배열되어 배출된 시트를 적재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스태커 트레이와, 배출된 시트를 소정 위치에 안내하도록 구성된 안내 유닛을 포함한다. 복수의 스태커 트레이는 시트 적재 장치의 사이즈를 증가시키는 일없이 대용량의 시트를 적재할 수 있도록 수평 방향으로 배열된다.
시트 적재 장치, 그리퍼, 스태커 트레이, 화상 형성 장치

Description

시트 적재 장치와 화상 형성 장치{SHEET STACK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시트 배출 방향의 정합성을 높여서 시트를 적재하도록 구성된 시트 적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간을 최대한으로 활용하여 대용량의 시트를 적재할 수 있도록 구성된 시트 적재 장치와, 이 시트 적재 장치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화상 형성 기술의 진보 향상에 따라 화상 형성 속도의 고속화가 이루어져, 시트에 화상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화상 형성 장치는 그것의 본체로부터 시트를 고속이면서도 대량으로 배출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접속되어 장치의 본체로부터 배출되는 시트를 적재하는 시트 적재 장치에 있어서도, 정확한 적재 정합성을 유지하면서 대용량으로 시트를 적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키는 시트 적재 장치(이하, "스태커"라고 함)가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6-124052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 종래의 스태커를 도 16에 도시한다. 스태커(500)는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로부터 배출된 시트를 입구 롤러(501)에서 수취한 후, 반송 롤러쌍(502)을 이용하여 그리퍼(gripper)(503)에 인도한다. 그리퍼(503)는 시트를 파지(把持)하여 반송하여, 시트의 선단을 선단 스토퍼(504)에 맞닿게 한다. 그 선단 스토퍼(504)에서, 시트는 그리퍼(503)로부터 놓아져 스태커 트레이(505) 위에 낙하한다. 이 때, 시트는 선단 스토퍼(504)와 후단 스토퍼(508) 사이에 낙하하여, 스태커 트레이(505) 위에서 시트의 선단과 후단이 정합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시트는 폭 정합 장치(도시 생략)에 의해 폭 방향(즉, 시트 반송 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 정합되어 시트의 단부(측단부)가 정합된다. 또한, 시트는 소정의 매수마다 선단 가압 부재(506)와 후단 가압 부재(507)에 의해 스태커 트레이(505)에 압박되어, 적재된 시트가 다음의 배출 시트를 방해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스태커(500)에서는, 스태커 트레이(505) 상의 적재 공간이 최대 사이즈의 시트로 맞추어져 있어서,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 사이즈의 시트를 적재하는 경우, 파선으로 나타낸 X 영역은 미사용 공간으로 남게 된다. 그 결과로서, 종래의 스태커(500)에는 죽은 공간이 생기게 된다.
또한, 종래의 스태커(500)에서는, 선단 스토퍼(504)와 후단 스토퍼(508)의 간격을 그 양단의 스토퍼 사이에 시트가 낙하하기 쉽도록 시트의 반송(배출) 방향의 시트 길이보다도 몇 mm 길게 설정되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스태커(500)는 시트가 양단의 스토퍼 사이에 몇 mm의 변동을 가지고 적재되기 때문에 시트의 정합성이 나빴다.
따라서, 정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상기한 간격을 시트의 길이에 맞도록 정확하게 설정하면, 시트는 양단의 스토퍼에 접촉하기 때문에 그 사이에 낙하하는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스태커(500)는, 시트의 낙하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서, 히팅(hitting) 부재에 의해 시트를 스태커 트레이(505)에 압박하고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스태커(500)는 시트의 선단과 후단 중 적어도 한 단이 스토퍼에 마찰됨으로써, 스태커 트레이(505)에 적재되는 동안 시트가 손상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스태커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는, 스태커에 의해 손상된 시트에 화상을 재형성해야 하므로, 그 생산성이 나빴다.
본 발명은 공간을 최대한으로 활용하여 대용량의 시트를 적재할 수 있는 시트 적재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출되어 적재되는 시트에의 손상을 적게 하여 시트의 정합성을 높인 시트 적재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대용량의 시트를 적재할 수 있는 시트 적재 장치를 구비하여, 화상 형성 능률을 높인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본 시트 적재 장치는, 시트를 적재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적재부와, 선택적으로 상기 복수의 적재부 중 하나에 시트를 배출하도록 구성된 배출부와, 상기 배출부로부터 배출된 시트를 상기 복수의 적재부로부터 선 택된 적재부 상의 소정의 위치로 안내하도록 구성된 안내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안내 유닛은 상기 선택된 적재부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시트 적재 장치는, 복수의 적재부를 일렬로 배열함으로써, 장치를 크게 하는 일없이 대용량의 시트를 적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본 시트 적재 장치는, 안내 유닛으로 하여금 적재부에 배출된 시트를 시트 배출 방향의 하류측으로 안내하게 함으로써, 시트의 선단을 소정의 위치에서 정합하게 하여, 시트의 정합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본 시트 적재 장치 상의 시트는 그 선단이나 후단이 마찰되는 일없이 정합됨으로써, 시트의 손상이 줄어든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본 시트 적재 장치는, 배출부로부터 시트를 순차적으로 배출하여, 그 시트를 소정의 위치에서 정지시킴으로써, 대용량의 시트를 고속으로 적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그 밖의 특징 및 형태는 첨부한 도면과 함께 이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 의해 밝혀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각종 예시적인 실시예, 특징 및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화상 형성 장치)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의 화상 형성 장치의 시트 반송 방향을 따른 단면도이다. 화상 형성 장치(900)는 시트 적재 장치(이하, "스태커"라고 함)(100)를 구비한 장치 본체(900A)를 포함한다. 스태커(100)는 장치 본체(900A)에 선택적으로 접속 가능하지만, 장치 본체(900A)에 내장될 수도 있다.
장치 본체(900A)의 상부에는 이미지 리더(951)와 자동 원고 급지 장치(950)가 설치되어 있다. 시트 카세트(902a 내지 902e)에 세트된 시트(S)는 급지 롤러(903a 내지 903e)와 반송 롤러쌍(904)에 의해 레지스트레이션 롤러쌍(910)까지 반송된다.
한편, 감광체 드럼(906)은 후술하는 전사부(905) 및 현상부(909)와 함께 화상 형성부를 구성한다. 감광체 드럼(906)은 일차 대전부(907)에 의해 대전되어 있는 상태에서 노광부(908)에 의해 노광되어서, 이미지 리더(951)에 의해 스캔된 원고의 디지털 데이터가 정전 잠상으로서 형성된다. 그리고, 현상부(909)는 감광체 드럼(906)을 토너 현상하여, 정전 잠상을 토너 화상으로 한다.
이어서, 토너 화상의 위치에 맞추어, 시트가 레지스트레이션 롤러쌍(910)에 의해 감광체 드럼(906)과 전사부(905) 사이의 공간으로 반송된다. 그러면, 전사부(905)는 토너 화상을 감광체 드럼(906)로부터 시트에 전사한다. 시트에 전사되지 않고 감광체 드럼(906)에 남아 있는 토너 등의 이물은 클리닝 장치(913)의 블레이드에 의해 긁어 내어진다. 그 결과, 감광체 드럼(906)의 표면은 청소되어서 다음 화상 형성을 위한 준비가 된다.
토너 화상이 전사된 시트는 반송 벨트(911)에 의해 정착부(912)에 반송되고, 여기서 토너 화상은 정착부(912)의 가열 롤러와 가압 롤러 사이에 협지된 상태에서 가열 가압되어 정착된다. 토너 화상이 정착된 시트는 배지 롤러쌍(914)에 의해 스태커(100)에 반송되거나, 플래퍼(915)에 의해 양면 반전 장치(901)에 반송되어서, 시트의 다른 면에도 토너 화상이 형성된다.
(제어 블록도)
도 2는 화상 형성 장치 전체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CPU 회로부(206)는 CPU(도시 생략), ROM(207) 및 RAM(208)을 포함한다. ROM(207)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은 각 블록(201, 202, 203, 204, 205, 209, 210)을 총괄적으로 제어한다. 제어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유지하는 RAM(208)은 또한 제어 연산 처리를 위한 작업 영역으로서 이용된다.
원고 급지(DF) 제어부(202)는 CPU 회로부(206)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자동 원고 급지 장치(950)의 구동을 제어한다. 이미지 리더 제어부(203)는 전술한 이미지 리더(951)의 스캐너 유닛 및 이미지 센서의 구동을 제어한다. 이미지 리더 제어부(203)는 이미지 센서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 화상 신호를 화상 신호 제어부(204)에 전송한다.
화상 신호 제어부(204)는 이미지 센서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 화상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각 처리를 행한 후 비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프린터 제어부(205)(즉, 장치 본체의 제어부)에 출력한다. 또한, 화상 신호 제어부(204)는 컴퓨터(200)로부터 외부 I/F(201)를 통해서 입력된 디지털 화상 신호에 각종 처리를 행한 후 비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프린터 제어부(205)에 출력한다. 화상 신호 제어부(204)에 의한 처리는 CPU 회로부(206)에 의해 제어된다.
프린터 제어부(205)는 입력된 비디오 신호에 기초하여 전술한 노광부(908)를 구동한다.
조작부(209)는 화상 형성에 관한 각종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복수의 키와, 설정 상태를 보여주는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포함한다. 조작부(209)는 각 키의 조작에 대응하는 키 신호를 CPU 회로부(206)에 출력한다. 또한, 조작부(209)는 CPU 회로부(206)로부터의 신호에 대응하는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한다.
스태커 제어부(210)는 스태커(100)에 설치되어, CPU 회로부(206)와의 정보 교환을 통해서 스태커 전체의 구동 제어를 행한다. 스태커 제어부(210)에 의한 제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스태커 장치의 기본 동작)
스태커 장치의 기본 동작을 도 3의 플로우차트와 도 4의 스태커의 단면도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화상 형성 장치(900)(도 1)의 장치 본체(900A)로부터 배출된 시트는 스태커(100)의 입구 롤러쌍(101)에 의해 스태커(100)에 반송되고, 반송 롤러쌍(102)에 의해 스위칭 플래퍼(103)까지 반송된다. 시트가 반송되기 전에, 화상 형성 장치(900)의 CPU 회로부(206)로부터는 미리 스태커 제어부(210)(도 2)에 시트 정보가 보내진다(S301). 시트 정보에는 시트 사이즈, 시트 타입 및 시트의 배출처가 포함된다.
시트의 배출처가 톱 트레이(106)인 경우(S302), 스위칭 플래퍼(103)는 그 에지가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하측으로 향하도록 솔레노이드(도시 생략)에 의해 스위칭되어(S303), 시트를 반송 롤러쌍(104)으로 안내한다. 이와 같이 반송된 시트는 배지 롤러쌍(105)에 의해 톱 트레이(106)에 배출되어 적재된다(S304).
시트의 배출처가 스태커 트레이(112a 또는 112b)인 경우(S305), 반송 롤러쌍(102)에 의해 반송된 시트는 에지가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으로 향하도록 솔레노이드(도시 생략)에 의해 스위칭된 스위칭 플래퍼(103)에 의해 안내되어서, 반송 롤러쌍(107)에 반송된다. 이어서, 시트는 출구 스위칭 플래퍼(108)와 함께 배출부를 구성하는 배출 롤러쌍(110)으로 안내된다. 출구 스위칭 플래퍼(108)는 그 상단이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좌측으로 향하도록 스위칭된다. 배출 롤러쌍(110)은 배출부를 구성하는 그리퍼(114a ,114b)에 시트를 전달한다. 이어서, 시트는 적재부로서의 스태커 트레이(112a 또는 112b)에 선택적으로 배출되어 적재된다(S306). 이 배출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시트의 배출처가 더 하류에 위치한 스태커(도시 생략)인 경우(S307), 출구 스위칭 플래퍼(108)는 그 상단이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우측으로 향하도록 스위칭된다(S308). 이어서, 반송 롤러쌍(102)에 의해 반송된 시트는 반송 롤러쌍(107)에 의해 반송되어서, 출구 롤러쌍(109)에 의해 안내된 후, 상기 하류의 스태커 장치에 반송된다.
(시트를 스태커 트레이에 배출하는 동작)
이하, 시트를 스태커 트레이에 배출하는 스태커의 동작을 도 4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스태커 트레이(112a, 112b)는 구동 장치(도시 생략)에 의해 승강하는 지지 부재(131a, 131b)에 지지된다. 스태커 트레이(112a, 112b)는 도 4 의 화살표 C, D, E, F 방향으로 개별적으로 승강 가능하게 배치된다.
안내 유닛(115)은 슬라이드 축(118)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안내 유닛(115)의 프레임(127)은 구동 장치(도시 생략)에 의해 화살표 A, B 방향으로 이동한다. 안내 유닛(115)의 프레임(127)은 스토퍼(121), 테이퍼부(122) 및 널링 벨트(knurled belt)(116)를 구비한다. 시트는 테이퍼부(122)에 의해 스토퍼(121)로 안내되어서, 시트 배출 방향의 시트의 선단이 스토퍼(121)에 부딪치게 된다. 널링 벨트(116)는 탄성을 가지고 있어 시트를 스토퍼(121)로 끌어당긴다.
안내 부재로서의 테이퍼부(122)와 회전 부재로서의 널링 벨트(116)는 안내 유닛을 구성한다. 테이퍼부(122)와 널링 벨트(116)에 의해 안내된 시트는 시트 배출 방향의 선단이 스토퍼(121)에 부딪치면서 소정의 위치에서 정합된다.
널링 벨트(116)는 구동 장치(도시 생략)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널링 벨트(116)와 스태커 트레이(112a)(또는 스태커 트레이(112b)) 사이에 시트를 끌어당겨서, 시트의 선단을 스토퍼(121)에 부딪치게 한다. 지면(sheet surface) 검지 센서(117)는 안내 유닛(115)에 설치되어, 안내 유닛(115)과 시트 적재의 상면 간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시트의 선단을 파지하여 시트를 반송하는 그리퍼(114a, 114b)는 토션 코일 스프링(도시 생략)에 의해 파지 방향으로 힘을 더한 상태에서 구동 벨트(130)에 부착되어 있다. 배출 롤러쌍(110)에 의해 배출된 시트는 그리퍼(114a 또는 114b)에 압입되어 유지된다. 또한, 그리퍼는 V 형상의 개구 부재의 상하에 스폰지 등의 탄성체를 설치하여, 그 상하의 탄성체 사이에 압입된 시트를 유지한다.
적재부로서의 스태커 트레이(112a, 112b)는 배출된 시트가 적재되는 트레이이다. 이들 트레이는 홈(home) 위치 검출 센서(113a, 113b)에 의해 시트를 적재하기 위한 홈 위치에 대기하고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900)의 장치 본체(900A)(도 1)로부터 배출된 시트(S)는 배출 롤러쌍(110)까지 반송된다. 그리고, 배출 롤러쌍(110)의 상류에 위치한 타이밍 센서(111)에 의해, 시트의 선단의 통과 타이밍이 검지된다. 이 타이밍에서, 대기 상태에 있는 그리퍼(114a)가 시트(S)의 선단을 파지하면서 시트를 반송하도록 구동 벨트(130)가 순환을 개시한다. 그 후, 그리퍼(114a)가 시트를 파지한 상태에서 안내 유닛(115)으로 이동한다(도 6). 구동 벨트(130)와 그리퍼(114a, 114b)는 배출부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리퍼(114a)가 안내 유닛(115)의 테이퍼부(122)를 통과하면, 시트(S)는 그리퍼(114a)로부터 놓아지고 반송되어 온 여세로 테이퍼부(122)에 의해 스태커 트레이(112a)로 안내된다. 그리고, 시트는 널링 벨트(116)와 스태커 트레이(112a)(또는 시트가 적재되어 있다면, 최상위의 시트) 사이에 진입한다. 그 후, 시트는 널링 벨트(116)에 의해 시트 배출 방향의 선단이 스토퍼(121)에 부딪칠 때까지 반송된다(도 8). 그 결과, 시트는 선단이 소정의 위치에서 정합되어서 스태커 트레이(112a) 또는 최상위의 시트 상에 적재되게 된다.
그 후, 정합판(119)은 시트 반송 방향(시트 배출 방향)과 직각인 방향(시트의 폭 방향)으로 조깅 동작을 행하여, 시트의 측단을 정합한다(폭 정합).
지면 검지 센서(117)는 스태커 트레이(112a)에 적재된 시트의 상면을 항상 감시한다. 안내 유닛(115)의 널링 벨트(116)와 시트의 간격이 소정치보다도 좁아진 경우, 구동 장치(도시 생략)가 스태커 트레이(112a)를 소정치만큼 하강시킨다. 이로써, 널링 벨트(116)와 시트의 간격이 소정치로 유지된다.
스태커(100)는 구동 벨트(130)가 순환하면서 교대로 시트를 반송 배출하는 그리퍼(114a, 114b)를 이용하여 스태커 트레이(112a)에 순차적으로 시트를 적재한다.
스태커 트레이(112a) 상에 적재된 시트가 소정의 적재 높이에 도달한 것을 검지하면, 스태커 트레이(112a)가 완전히 적재된 것으로 판정한다. 그 소정의 적재 높이에 도달한 것은, 통상적으로, 타이밍 센서(111)에 의해 배출 롤러쌍(110)으로부터 배출되는 시트(S)를 검지하고, 스태커 제어부(210)(도 2)에 의해 카운트하여 판정한다. 그 소정의 적재 높이에 도달한 것은 또한 스태커 트레이(112a)의 위치와 최상위의 적재 시트의 위치를 검지하여 판정할 수도 있다.
스태커 트레이(112a) 상의 시트가 소정의 적재 높이에 도달한 경우,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태커 제어부 210(도 2)는 스태커 트레이(112a)를 하강 제어하여, 적재된 시트와 함께 스태커 트레이를 대차로서의 돌리(dolly)(120) 상에 탑재시킨다. 그 후, 안내 유닛(115)은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스태커 트레이(112b)는 시트가 적재될 때까지 대기한다.
안내 유닛(115)의 대기 위치는 스태커 트레이(112a 또는 112b)에 적재되는 시트의 대략 중앙인 것이 적재 상태가 안정되어서 바람직하다. 그러나, 적재된 시트가 스태커 트레이(112a, 112b)의 영역 내에 있다면 대기 위치를 그 중앙으로 한 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의 장치 본체로부터 배출된 시트는 타이밍 센서(111)를 통과한 후 배출 롤러쌍(110)으로부터 배출되어서 그 시트의 선단이 그리퍼(114a)에 의해 파지된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리퍼(114a)가 안내 유닛(115)의 테이퍼부(122)를 통과하면, 시트(S)의 선단은 테이퍼부(122)에 의해 스태커 트레이(112b) 쪽으로 밀리게 된다. 그 후, 시트는 테이퍼부(122)를 따라 반송되어 널링 벨트(116)에 유도된다.
그 후, 시트(S)의 선단은 널링 벨트(116)에 의해 스토퍼(121)에 부딪치게 된다. 시트(S)는, 시트 배출 방향의 선단이 소정의 위치에서 정합되어서, 스태커 트레이(112b)에 적재된다. 또한, 정합판(119)에 의해 시트(S)의 측단이 정합된다.
지면 검지 센서(117)는 스태커 트레이(112b)에 적재된 시트의 상면을 항상 감시한다. 안내 유닛(115)의 널링 벨트(116)와 시트의 간격이 소정치보다도 좁아진 경우, 구동 장치(도시 생략)가 스태커 트레이(112b)를 소정치만큼 하강시킨다. 이로써, 널링 벨트(116)와 시트의 간격이 소정치로 유지된다.
스태커(100)는 구동 벨트(130)가 순환하면서 교대로 시트를 반송 배출하는 그리퍼(114a, 114b)를 이용하여 스태커 트레이(112b)에 순차적으로 시트를 적재한다.
스태커 트레이(112b) 상에 적재된 시트가 소정의 적재 높이에 도달한 것을 검지하면, 스태커 트레이(112b)가 완전히 적재된 것으로 판정한다. 그 소정의 적재 높이에 도달한 것은, 통상적으로, 타이밍 센서(111)에 의해 배출 롤러쌍(110)으 로부터 배출되는 시트(S)를 검지하고, 스태커 제어부(210)(도 2)에 의해 카운트하여 판정한다. 그 소정의 적재 높이에 도달한 것은 또한 스태커 트레이(112b)의 위치와 최상위의 적재 시트의 위치를 검지하여 판정할 수도 있다.
스태커 트레이(112b) 상의 시트가 소정의 적재 높이에 도달한 경우,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태커 제어부 210(도 2)는 스태커 트레이(112b)를 하강 제어하여, 스태커 트레이를 돌리(120) 상에 탑재시킨다.
안내 유닛(115)은 화살표 B 방향으로 이동하여, 좌측(즉, 최상류측의 적재부)의 스태커 트레이(112a) 상에 대기한다.
스태커 트레이(112a, 112b)는 구동 장치(도시 생략)에 의해 승강하는 한 쌍의 지지 부재(131a, 131b)에 의해 지지된다. 지지 부재(131a, 131b)가 돌리(120)의 지지면(120a, 120b) 아래로 하강하면, 스태커 트레이(112a, 112b)는 돌리(120)에 옮겨진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용량의 시트가 적재된 스태커 트레이(112a, 112b)는 돌리(120)의 상면에 설치된 핀과 같은 고정 부재(도시 생략)에 의해 돌리(120)에 장착되어, 시트가 돌리(120)로부터 흘러내리지 않게 된다. 돌리(120)는 캐스터(125)와 핸들(126)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핸들(126)을 잡고 이동시킴으로써, 대용량의 시트를 한번에 간단히 이동시킬 수 있다.
스태커(100)로부터 돌리(120)가 반출된 후, 돌리(120) 상의 스태커 트레이(112a, 112b)에 적재된 시트는 유저에 의해 분리된다. 다시 스태커(100)의 하부에 돌리(120)가 세트될 때까지 스태커(100)는 정지시켜 둔다. 이와 달리, 예비의 돌리(120) 및 스태커 트레이(112a, 112b)를 준비해 놓고 스태커(100)에 세트할 수 있다. 예비의 스태커 트레이(112a, 112b)를 한 쌍의 지지 부재(131)에 지지시켜서 스태커(100)를 가동시킬 수 있다.
전술한 스태커는 그리퍼를 이용하여 복수의 스태커 트레이에 시트를 반송한다. 그러나,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스태커 트레이에 배출부로서의 배출 롤러쌍(110, 124)을 설치하고, 이 롤러쌍으로부터 각 스태커 트레이에 시트를 배출 하여도 된다.
즉, 스태커 트레이(112a)에 시트를 적재하는 경우, 안내 유닛(115)을 스태커 트레이(112a) 위에 대기시킨다. 배출 롤러쌍(110)에 의해 반송된 시트는 안내 유닛(115)으로 배출된다. 스태커 트레이(112b)에 시트를 적재하는 경우, 안내 유닛(115)을 스태커 트레이(112b) 위에 대기시킨다. 배출 롤러쌍(124)에 의해 반송된 시트는 안내 유닛(115)으로 배출된다. 배출 롤러쌍(110) 또는 배출 롤러쌍(124)을 이용하는 것에 대한 선택은 플래퍼(123)를 스위칭하여 행한다.
스태커는 2개의 스태커 트레이를 가지고 있지만, 3개 이상의 스태커 트레이를 가질 수도 있다.
시트는 그 선단을 파지하는 그리퍼에 의해 반송되고 있다. 그러나, 공기 흡인 장치를 구동 벨트(130)에 설치하여 시트를 반송할 수도 있다. 공기 흡인 유닛으로서의 공기 흡인 장치는 시트의 선단을 흡착한다. 또한, 정전 흡착 장치를 구동 벨트(130)에 설치할 수도 있다. 정전 흡착 유닛으로서의 정전 흡착 장치는 정전기를 이용하여 시트의 선단을 흡착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태커(100)가 2개의 스태커 트레이(112a, 112b)에 시트 를 적재하게 되므로, 그것의 공간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태커(100)에서는, 스태커 트레이(112a, 112b)에 낙하한 시트의 선단을 선단 스토퍼(121)가 정지시키므로, 시트의 정합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태커(100)에서는, 배출부가 시트를 순차적으로 배출하고, 스토퍼가 그 시트를 정지시키므로, 대용량의 시트를 고속으로 적재부에 적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태커(100)에서는, 시트의 선단을 선단 스토퍼(121)에 부딪치게 하여 정합시키므로, 시트의 선단에 손상을 입힐 위험이 줄어든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900)는 대용량의 시트를 적재할 수 있는 시트 적재 장치를 구비하므로, 동작 정지 횟수를 적게 하여, 화상 형성 능률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900)는 시트의 선단에 손상을 덜 입히는 스태커(100)을 구비하므로, 화상을 재형성할 필요가 적어져, 화상 형성 능률을 높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가지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의 특허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모든 변형예 및 균등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가장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의 화상 형성 장치의 시트 반송 방향을 따른 단면도.
도 2는 시트 적재 장치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전체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스태커의 기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의 시트 적재 장치의 시트 반송 방향을 따른 단면도.
도 5는 좌측의 스태커 트레이에 시트를 적재하는 경우의 시트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시트가 그리퍼에 유지되어 있는 도면.
도 6은 도 5로부터 계속되는 시트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시트가 안내 유닛에 반송되어 배출되어 있는 도면.
도 7은 도 6으로부터 계속되는 시트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안내 유닛의 테이퍼부에 의해 안내된 시트가 이미 적재된 시트 상에 적재되는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7로부터 계속되는 시트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시트가 이미 적재된 시트 상에 적재되어 있는 도면.
도 9는 도 8로부터 계속되는 시트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시트가 소정의 적재 높이에 도달하기까지 스태커 트레이 상에 적재되어 있는 도면.
도 10은 우측의 스태커 트레이에 시트를 적재하는 경우의 시트의 동작을 설 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시트가 그리퍼에 유지되어 있는 도면.
도 11은 도 10으로부터 계속되는 시트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시트가 안내 유닛에 반송되어 배출되어 있는 도면.
도 12는 도 11로부터 계속되는 시트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시트가 안내 유닛의 테이퍼부에 의해 안내된 후 스태커 트레이 상에 적재되어 있는 도면.
도 13은 도 12로부터 계속되는 시트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시트가 소정의 적재 높이에 도달하기까지 양단의 스태커 트레이 상에 적재되어 있는 도면.
도 14는 시트를 돌리(dolly)로 반송하는 사시도.
도 15는 스태커 트레이마다 시트 배출 부분을 설치한 시트 적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은 종래의 시트 적재 장치의 시트 반송 방향을 따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컴퓨터
201 : 외부 I/F
202 : DF 제어부
203 : 이미지 리더 제어부
204 : 화상 신호 제어부
205 : 프린터 제어부
206 : CPU 회로부
209 : 조작부
210 : 스태커 제어부

Claims (11)

  1. 시트를 적재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적재부와,
    선택적으로 상기 복수의 적재부 중 하나에 시트를 배출하도록 구성된 배출부와,
    상기 배출부로부터 배출된 시트를 상기 복수의 적재부로부터 선택된 적재부 상의 소정의 위치로 안내하도록 구성된 안내 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안내 유닛은 상기 선택된 적재부를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시트 적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소정의 대기 위치로부터 시트를 유지하면서 이동하여 상기 선택된 적재부에 시트를 배출하는 시트 적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적재부들의 각각에 구비되는 시트 적재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유닛은 상기 선택된 적재부 상의 소정의 위치로 시트를 이동시키 도록 구성된 회전 부재와, 상기 회전 부재로 시트를 안내하도록 구성된 안내 부재를 포함하는 시트 적재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유닛은 상기 소정의 위치에서 상기 배출부의 시트 배출 방향에서의 시트의 일단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된 스토퍼를 포함하는 시트 적재 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는 상기 적재부에 적재된 시트의 상면이 소정의 높이에 위치하도록 승강할 수 있는 시트 적재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시트를 파지(把持)하여 상기 안내 유닛으로 반송하도록 구성된 그리퍼를 포함하는 시트 적재 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공기를 흡인하여 상기 안내 유닛에 시트를 흡착 반송하도록 구성된 공기 흡인 유닛을 포함하는 시트 적재 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정전기를 이용하여 상기 안내 유닛에 시트를 흡착 반송하도록 구성된 정전 흡착 유닛을 포함하는 시트 적재 장치.
  10. 시트에 화상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화상 형성부와,
    화상이 형성된 시트를 적재하도록 구성된,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시트 적재 장치
    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11. 시트를 적재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적재부와,
    선택적으로 상기 복수의 적재부 중 하나에 시트를 배출하도록 구성된 배출부와,
    상기 배출부로부터 배출된 시트를 상기 복수의 적재부로부터 선택된 적재부 상의 소정의 위치로 안내하도록 구성된 안내 유닛
    을 포함하는 시트 적재 장치.
KR1020070090638A 2006-09-06 2007-09-06 시트 적재 장치와 화상 형성 장치 KR1008939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242075 2006-09-06
JP2006242075 2006-09-06
JPJP-P-2007-00214885 2007-08-21
JP2007214885A JP4311756B2 (ja) 2006-09-06 2007-08-21 シート積載装置と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2536A true KR20080022536A (ko) 2008-03-11
KR100893964B1 KR100893964B1 (ko) 2009-04-20

Family

ID=38803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0638A KR100893964B1 (ko) 2006-09-06 2007-09-06 시트 적재 장치와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8096553B2 (ko)
EP (1) EP1898270B1 (ko)
JP (1) JP4311756B2 (ko)
KR (1) KR1008939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67044B2 (ja) * 2006-09-06 2009-05-27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積載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N101139053B (zh) * 2006-09-06 2010-12-08 佳能株式会社 纸张堆叠装置和成像装置
US8393608B2 (en) * 2011-04-26 2013-03-12 Xerox Corporation Sheet finishing system including dual sheet stacking
US20140210158A1 (en) * 2013-01-25 2014-07-31 Xerox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stacker capacity
JP2015212203A (ja) * 2014-04-16 2015-11-2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5764706B1 (ja) * 2014-11-10 2015-08-19 株式会社ジェイエスオフセット 片面印刷機に使用する未印刷用紙の供給装置
US9821978B2 (en) * 2016-03-23 2017-11-21 Xerox Corporation Sheet stacking system for flimsy sheets
JP7069978B2 (ja) * 2018-03-30 2022-05-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媒体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06393A (en) * 1960-11-19 1963-10-08 Roland Offsetmaschf Stacking device for printing machines
DE1511266A1 (de) * 1966-07-22 1969-07-24 Paul Lippk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Foerdern und Ablegen bzw. zum Foerdern und Sortieren von Bogen aus Papier,Karton,Metallfolien od.dgl.
US3682469A (en) * 1970-03-14 1972-08-08 Nippon Yakin Kogyo Co Ltd Device for handling plates with smooth surface
US3690646A (en) * 1970-07-08 1972-09-12 Addressograph Multigraph Electrostatic conveyor
DE2720030C3 (de) * 1977-05-04 1979-11-29 Zarges Leichtbau Gmbh, 8120 Weilheim Vorrichtung zum Transport und Ablegen bzw. Stapeln von Platten
JPH0674108B2 (ja) 1983-04-28 1994-09-21 キヤノン株式会社 収納装置
JPH0712366Y2 (ja) 1987-09-09 1995-03-22 株式会社アマダメトレックス 板材集積装置
JPH01132648U (ko) 1988-03-04 1989-09-08
JP2902529B2 (ja) 1992-11-04 1999-06-0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枚葉印刷機の排紙装置
JP2588807Y2 (ja) 1992-11-10 1999-01-20 株式会社小森コーポレーション 枚葉印刷機の排紙装置
US5671920A (en) * 1995-06-01 1997-09-30 Xerox Corporation High speed printed sheet stacking and registration system
JPH09216761A (ja) 1996-02-09 1997-08-19 Fuji Xerox Co Ltd 用紙収容装置
JPH09315656A (ja) * 1996-05-31 1997-12-09 Canon Inc シート材処理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DE19653248A1 (de) * 1996-10-21 1998-04-30 Koenig & Bauer Albert Ag Bogenbearbeitungsmaschine
JPH10236719A (ja) 1997-02-24 1998-09-08 Canon Inc シート処理装置
JP4096624B2 (ja) * 2002-05-23 2008-06-04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用紙スタッカー
JP4228682B2 (ja) 2002-12-13 2009-02-25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用紙積載装置を備える画像記録装置
JP4495413B2 (ja) * 2003-06-19 2010-07-07 株式会社小森コーポレーション シート状物の案内装置
JP2005059993A (ja) 2003-08-08 2005-03-10 Ricoh Printing Systems Ltd 画像形成装置の排紙装置
JP4603333B2 (ja) 2004-10-26 2010-12-22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用紙積載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087964A (ja) 2008-04-17
US20080054556A1 (en) 2008-03-06
EP1898270A2 (en) 2008-03-12
EP1898270B1 (en) 2018-08-22
KR100893964B1 (ko) 2009-04-20
EP1898270A3 (en) 2012-08-15
US8096553B2 (en) 2012-01-17
US20120013069A1 (en) 2012-01-19
JP4311756B2 (ja) 2009-08-12
US8454016B2 (en) 2013-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67045B2 (ja) シート積載装置と画像形成装置
KR100893964B1 (ko) 시트 적재 장치와 화상 형성 장치
JP4267044B2 (ja) シート積載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8152162B2 (en) Sheet stack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7954818B2 (en) Sheet stack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886413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JP4748820B2 (ja) シート積載装置と画像形成装置
JP4818211B2 (ja) シート積載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4311757B2 (ja) シート積載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8114938A (ja) シート積載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8162753A (ja) シート積載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188166B2 (ja) シート積載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9120330A (ja) シート積載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435972B2 (ja) シート積載装置と画像形成装置
JP2010076397A (ja) 画像形成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