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1488A - 차량용 미러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미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1488A
KR20080021488A KR1020070068643A KR20070068643A KR20080021488A KR 20080021488 A KR20080021488 A KR 20080021488A KR 1020070068643 A KR1020070068643 A KR 1020070068643A KR 20070068643 A KR20070068643 A KR 20070068643A KR 20080021488 A KR20080021488 A KR 200800214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circuit
current
mirror
current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8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1898B1 (ko
Inventor
유지 쇼
다카시 오가와
Original Assignee
이치코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치코 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치코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21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14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1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18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60R1/07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 B60R1/074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for retracting the mirror arrangements to a non-use position along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60R1/07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미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에 고정되는 베이스부와, 미러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를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회전시키는 구동 유닛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본체부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전류 변동 성분을 검출하는 전류 검출 회로와, 상기 모터의 통전의 ON/OFF 상태를 전환하는 스위칭 회로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전류 검출 회로에 의해 전류 변동 성분이 검출되고 있을 때에는 상기 스위칭 회로가 ON 상태인 채로 유지되고, 이 전류 변동 성분이 검출되지 않게 되었을 때에는 상기 스위칭 회로가 OFF 상태로 된다.
차량용 미러 장치, 구동 유닛, 미러 하우징, 제어 회로, 구동 기구, 구동 회로, 스위칭 회로, 타이머 회로, 전류 검출 회로, 증폭 회로

Description

차량용 미러 장치{MIRROR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미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동용 모터의 로크 시에 모터의 통전을 적정하게 차단시킬 수 있는 차량용 미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전동 격납식 도어 미러 등으로서 사용되는 차량용 미러 장치에서는 미러의 세트시(격납시)에 미러가 소정의 세트 위치(격납 위치)까지 변위하였을 때 그 구동용 모터가 로크 상태로 되어 파손되는 등의 과제가 있다. 따라서, 구동용 모터가 로크된 경우에는 재빨리 모터의 통전을 차단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과제에 관한 종래의 차량용 미러 장치에는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기술이 알려져 있다. 종래의 차량용 미러 장치(미러 장치용 모터 제어 회로)는 차량에 부착된 미러를 구동력으로 변위시키는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미러 장치용 모터 제어 회로로서, 상기 모터의 회전자의 회전 수에 상응한 소정 간격마다 상기 모터의 구동 전류 중에서 발생하는 리플 전류를 검출하는 리플 검출 수단과, 상기 리플 검출 수단에서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회전자가 회전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과, 상기 판정 수단에서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회전자가 회전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모터에 대하여 공급하는 전류를 차단하는 스위치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5-306277호 공보
본 발명은 구동용 모터의 로크 시에 모터의 통전을 적정하게 차단할 수 있는 차량용 미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미러 장치는, 차량에 고정되는 베이스부와, 미러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를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회전시키는 구동 유닛을 포함하는 차량용 미러 장치로서, 상기 구동 유닛이, 상기 본체부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전류 변동 성분을 검출하는 전류 검출 회로와, 상기 모터의 통전의 0N/OFF 상태를 전환하는 스위칭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전류 검출 회로에 의해 전류 변동 성분이 검출되고 있을 때에는 상기 스위칭 회로가 ON 상태인 채로 유지되고, 이 전류 변동 성분이 검출되지 않게 되었을 때에는 상기 스위칭 회로가 OFF 상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차량용 미러 장치에서는 모터의 회전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전류 변동 성분을 검출함으로써 모터의 회전 상태(모터가 로크 상태에 있는지 여부)가 판단되어 스위칭 회로(모터의 통전)의 ON/OFF 상태가 전환된다. 이에 따라, 모터의 로크 시에 모터의 통전이 적정하게 차단되어 모터가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미러 장치에서는 상기 스위칭 회로를 0FF 상태로 하기 위한 소정의 설정 시간을 규정하는 타이머 회로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전 류 검출 회로에 의해 전류 변동 성분이 검출되고 있을 때에는 상기 타이머 회로가 리셋된다.
이 차량용 미러 장치에서는 전류 검출 회로에 의해 전류 변동 성분이 검출되고 있을 때에는 타이머 회로가 계속적으로 리셋되어 모터의 통전이 유지된다. 따라서, 예컨대 모터의 회전시의 전류와 로크 시의 전류와의 전류차에 의해 모터의 회전 상태가 판단되는 구성과 비교하여 모터로의 부하가 순간적으로 변동한 경우의 모터의 회전 상태의 오판단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미러 장치에서는 상기 전류 검출 회로가 상기 전류 변동 성분을 검출하기 위한 분로 저항(shunt resistor)을 구비하고, 상기 분로 저항이 정특성 서미스트에 의해 구성된다.
이 차량용 미러 장치에서는 전류 변동 성분을 검출하기 위한 분로 저항이 정특성 서미스터에 의해 구성되므로, 분로 저항과 정특성 서미스트가 별개로 배치되어 있는 구성과 비교하여 정특성 서미스트의 작용에 의해 모터로의 인가 전압이 저하하여도 제어 회로로의 인가 전압이 잘 변동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제어 회로의 안정적인 동작이 확보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미러 장치에서는 미러 격납시용 상기 전류 검출 회로와 미러 세트시용 상기 전류 검출 회로가 각각 배치되고, 미러 격납시용 상기 전류 검출 회로가 상기 전류 변동 성분을 검출하기 위한 분로 저항을 가지고 있으며, 미러 세트시용 상기 전류 검출 회로가 상기 전류 변동 성분을 검출하기 위한 분로 저항을 갖는 구성에 있어서, 미러 격납시용 상기 전류 검출 회로의 분로 저항 에 병렬로 접속되는 다이오드와 미러 세트시용 상기 전류 검출 회로의 분로 저항에 병렬로 접속되는 다이오드를 가지고 있으며, 하나의 상기 분로 저항의 통전시에서 나머지 하나의 상기 분로 저항으로의 통전이 해당 분로 저항에 접속된 상기 다이오드에 의해 차단된다.
이 차량용 미러 장치에서는 미러 격납시(미러 세트시)에 하나의 분로 저항에만 전류가 흐르므로, 쌍방의 분로 저항에 전류가 흐르는 구성과 비교하여 분로 저항에 의한 전압 강하가 저감된다. 이에 따라 모터로의 전압 공급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미러 장치에서는 모터의 회전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전류 변동 성분을 검출함으로써 모터의 회전 상태(모터가 로크 상태에 있는지 여부)가 판단되어 스위칭 회로(모터의 통전)의 ON/0FF 상태가 전환된다. 이에 따라, 모터의 로크 시에 모터의 통전이 적정하게 차단되어 모터가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구성 요소에는 당업자가 치환 가능하며 용이한 것,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포함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기재된 복수의 변형예는 당업자 자명한 범위 내에서 임의로 조합이 가능하다.
[실시예]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미러 장치을 나타내는 구성도(도 1) 및 작용 설명도(도 2)이다. 도 3은 도 1에 기재한 차량용 미러 장치의 구동 유닛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는 도 3에 기재한 구동 유닛의 제어 회로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5는 모터의 검출 전류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도 1에 기재한 차량용 미러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차량용 미러 장치]
이 차량용 미러 장치(1)는 예컨대 차량의 전동 격납식 도어 미러(아웃사이드 미러)로서 사용된다(도 1 참조). 차량용 미러 장치(1)는 베이스부(2)와 본체부(3) 및 구동 유닛(4)을 갖는다. 베이스부(2)는 차량 도어(도시 생략)에 고정되는 부품이다. 본체부(3)는 미러 하우징(31)과 이 미러 하우징(31)에 끼워져들어가는 미러(32)를 가지고 있으며, 베이스부(2)에 대하여 회전 변위 가능하게 부착된다(도 2 참조). 구동 유닛(4)은 본체부(3)를 베이스부(2)에 대하여 회전 변위시키기 위한 유닛이며, 본체부(3)의 미러 하우징(31) 내에 수용되어 배치된다. 이 구동 유닛(4)은 제어 회로(41) 및 구동 기구(42)로 이루어진다. 제어 회로(41)는 구동 기구(42)를 제어하기 위한 회로이며, 차량의 전원(직류 전원)(10)에 접속된다. 이 제어 회로(41)에 대해서는 나중에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구동 기구(42)는 모터(421)와 이 모터(421)에 연결된 복수의 기어(도시 생략)를 갖는다. 이 구동 기구(42)는 기어를 통하여 모터(421)의 회전을 본체부(3)에 전달하고, 본체부(3)를 베이스부(2)에 대하여 회전 변위시킨다.
미러 사용시(세트시)에는 차량의 드라이버가 본체부(3)의 미러(32)를 시인할 수 있도록 본체부(3)가 소정의 각도 위치에 세트되어 있다(도 2 참조). 그리고, 미러 격납시에는 차량 측의 스위치 조작에 의해 구동 유닛(4)이 구동되며, 본체부(3)가 꺾여져들어가도록 회전 변위하여 소정의 격납 위치에 격납된다. 또한 미러의 재사용시에는 차량 측의 스위치 조작에 의해 구동 유닛(4)이 구동되며, 본체부(3)가 격납 위치로부터 펼쳐져서 소정의 각도 위치에 세트된다.
[구동 유닛의 제어 회로]
구동 유닛(4)의 제어 회로(41)는 구동 회로(411)와, 스위칭 회로(412)와, 타이머 회로(413)와, 전류 검출 회로(414) 및 증폭 회로(415)를 갖는다(도 3 참조). 구동 회로(411)는 스위칭 회로(412)가 ON 상태로 되도록 구동시키는 회로이다. 스위칭 회로(412)는 모터(421)의 통전의 0N/0FF 상태를 전환하는 회로이다. 구체적으로는, 스위칭 회로(412)가 ON 상태일 때 모터(421)가 통전하여 회전하고(ON 상태로 되고), 스위칭 회로(412)가 OFF 상태일 때 모터(421)의 통전이 차단되어 모터(421)의 회전이 정지한다(0FF 상태로 된다). 타이머 회로(413)는 스위칭 회로(412)를 OFF 상태로 하기 위한 소정의 설정 시간을 규정하는 회로이다. 전류 검출 회로(414)는 모터(421)의 회전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전류 변동 성분(모터 전류 의 맥동 성분)을 검출하는 회로이다. 증폭 회로(415)는 전류 검출 회로(414)에 의 해 검출된 전류 변동 성분을 증폭하여 타이머 회로(413)에 입력하는 회로이다. 한편, 제어 회로(41)의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여기서, 모터(421)의 회전시에는(미러의 격납시 또는 세트시에서 모터(421)가 로크 상태로 되기 전까지는) 모터(421)의 회전에 수반하여 전류 변동 성분이 발생하고 있다. 한편, 미러가 소정의 격납 위치 또는 세트 위치까지 변위하여 모터(421)가 로크 상태로 되면 이 전류 변동 성분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에 대하여, 이 차량용 미러 장치(1)에서는 제어 회로(41)의 전류 검출 회로(414)가 모터(421)의 통전시(미러의 격납시 또는 세트시)에서 발생한 전류 변동 성분을 항상 검출하고 있다. 그리고, 전류 변동 성분이 검출되고 있을 때에는 그 신호가 증폭 회로(415)에 의해 증폭되어 ON/OFF 신호로서 타이머 회로(413)에 입력되고, 타이머 회로(413)(스위칭 회로(412)를 OFF 상태로 하기 위한 소정의 설정 시간)가 계속적으로 리셋된다. 또한, 이 타이머 회로(413)의 리셋은 타이머 회로(413)의 설정 시간보다 짧은 시간 간격으로 행해진다. 이에 따라, 스위칭 회로(412)가 ON 상태인 채로 유지되어 모터(421)가 계속 회전한다.
한편, 모터(421)가 로크 상태로 되어 전류 변동 성분이 검출되지 않게 되면, 타이머 회로(413)가 리셋되지 않게 된다. 그러면, 그 설정 시간의 경과에 따라 스위칭 회로(412)가 OFF 상태로 되고, 모터(421)의 통전이 차단되어 모터(421)의 회전이 정지한다. 이에 따라 모터(421)가 로크 상태인 채로 통전되고 있는 상태가 해소되어, 모터(421)의 파손(예컨대 모터(421)의 감김선에 커다란 열 스트레스가 발생하는 사태)이 억제된다.
이 차량용 미러 장치(1)에서는 상기와 같이 모터(421)의 회전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전류 변동 성분을 검출함으로써 모터(421)의 회전 상태(모터(421)가 로크 상태에 있는지 여부)가 판단되어 스위칭 회로(412)(모터(421)의 통전)의 ON/0FF 상태가 전환된다. 이에 따라 모터(421)의 로크 시에 모터(421)의 통전이 적정하게 차단되어 모터(421)가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예컨대 종래의 차량용 미러 장치에는 모터의 회전시의 전류와 로크 시의 전류와의 전류차에 의해 모터의 회전 상태를 판단하여 스위칭 회로(모터의 통전)의 ON/OFF 상태가 전환되는 구성도 있다(도시 생략). 그러나, 상기 구성에서는 모터의 사양에 따라 상기한 전류차가 작은 경우에 모터의 회전 상태가 적정하게 판단되지 않는다는 과제가 있다. 이 점에 있어서, 이 차량용 미러 장치(1)는 모터(421)의 전류값의 크기에 관계없이 모터(421)의 회전 상태가 적정하게 판단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이 차량용 미러 장치(1)는 예컨대 단순히 타이머 회로의 설정 시간에 의해서만 모터의 통전 시간이 규정되어 있는 구성(도시 생략)과 비교하여 모터가 로크 상태로 된 후에 필요 이상으로 통전이 이루어지는 사태가 저감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이 차량용 미러 장치(1)에서는 상기와 같이 전류 검출 회로(414)에 의해 전류 변동 성분이 검출되고 있을 때에는 타이머 회로(413)가 계속적으로 리셋 되어 모터(421)의 통전이 유지된다. 따라서, 예컨대 모터의 회전시의 전류와 로크 시의 전류와의 전류차에 의해 모터의 회전 상태가 판단되는 구성(도시 생략)과 비 교하여 모터로의 부하가 순간적으로 변동된 경우의 모터의 회전 상태의 오판단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제어 회로의 구체예]
도 4에 구동 유닛(4)의 제어 회로(41)를 도시하였으며,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 한편, 도 4에 있어서 미러의 격납시(세트시)에는 제어 회로(41)의 상측 라인(도 4에서 상측의 라인)이 전원(10)의 +극에 접속되고, 하측 라인(도 4에서 하측의 라인)이 전원(10)의 -극에 접속된다. 한편, 미러의 세트시(격납시)에는 이와 반대의 접속이 된다. 여기서는 제어 회로(41)의 상측 라인이 전원(10)의 +극에 접속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어 회로(41)의 구동 회로(411)는 지너 다이오드(ZD1) 및 저항(R3)(지너 다이오드(ZD2) 및 저항(R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미러의 격납시(세트시)에는 이 구동 회로(411)를 통하여 스위칭 회로(412)가 ON되고, 모터(421)가 통전되어 구동된다. 또한, 이 구동 회로(411)의 지너 다이오드(ZD)에 의해 스위칭 소자(FET)가 ON된다.
또한, 제어 회로(41)의 스위칭 회로(412)는 스위칭 소자(FET1)(스위칭 소자(FET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스위칭 회로(412)에서는 스위칭 소자(FET1)가 ON 상태일 때 모터(421)가 통전하여 회전하고, 스위칭 소자(FET1)가 OFF 상태일 때 모터(421)의 통전이 차단되어 모터(421)의 회전이 정지한다. 이에 따라, 모터(421)의 통전의 ON/OFF가 전환된다.
또한 제어 회로(41)의 타이머 회로(413)는 저항(R4), 콘덴서(C1), 지너 다이오드(ZD3) 및 트랜지스터(Tr1)(저항(R5), 콘덴서(C2), 지너 다이오드(ZD4) 및 트랜지스터(Tr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타이머 회로(413)에서는 콘덴서(C1)가 지너 다이오드(ZD3)에 의한 설정 전압까지 충전되면, 트랜지스터(Tr1)가 ON 상태로 된다. 그러면, 스위칭 회로(412)의 스위칭 소자(FET1)가 OFF 상태로 되고, 모터(421)의 통전이 정지되어 모터(421)의 회전이 정지한다. 한편, 후술하는 바와 같이 타이머 회로(413)가 리셋되어 콘덴서(C1)가 설정 전압까지 충전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트랜지스터(Tr1)의 0FF 상태가 유지되고, 모터(421)가 통전되어 계속 회전한다.
또한 제어 회로(41)의 전류 검출 회로(414)는 분로 저항(R1) 및 콘덴서(C3)(분로 저항(R2) 및 콘덴서(C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전류 검출 회로(414)는 모터(421)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전류 변동 성분(도 5 참조)을 분로 저항(R1) 및 콘덴서(C3)를 통하여 취득하여 증폭 회로(415)로 입력한다.
또한 제어 회로(41)의 증폭 회로(415)는 저항(R10), 저항(R11) 및 트랜지스터(Tr7)(저항(R12), 저항(R13) 및 트랜지스터(Tr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증폭 회로(415)는 전류 검출 회로(414)에서 취득된 모터(421)의 전류 변동 성분을 증폭한다. 또한, 증폭된 전류 변동 성분은 트랜지스터(TR3(TR4))에서 ON/OFF 신호로 변환되어 타이머 회로(413)에 입력된다.
미러의 격납시(세트시)에서 제어 회로(41)가 전원(10)에 접속되면, 구동 회로(411)를 통하여 모터(421)가 통전되어 회전한다. 이 때, 도 4에 도시한 상측 라 인이 +극인 경우에는 스위칭 소자(FET2)의 내부 다이오드, 분로 저항(R2), 모터(421), 분로 저항(R1) 및 스위칭 소자(FET1)의 순서대로 전류가 흐르고, 모터(421)가 통전되어 회전한다. 이러한 모터(421)의 통전시에는 저항(R3)을 통하여 지너 다이오드(ZD1)에 전류가 흐르고 있어 스위칭 소자(FET1)가 0N 상태에 있다.
모터(421)의 회전시에는 그 검출 전류의 파형에 전류 변동 성분(예컨대 고정자 자석과 회전자 코일의 상대 위치의 변화에 따른 전류 변화나 통전 위상 전환에 따른 전류 변화)이 발생하고 있으며(도 5 참조), 이 전류 변동 성분을 제어 회로(41)의 전류 검출 회로(414)가 검출하고 있다. 그리고, 검출된 전류 변동 성분이 증폭 회로(415)에서 증폭되고, 트랜지스터(TR3(TR4))에서 ON/OFF 신호로 변환되어 타이머 회로(413)에 입력된다. 그리고, 이 0N/0FF 신호가 0N 상태일 때 타이머 회로(413)의 콘덴서(C1(C2))가 방전되어 타이머 회로(413)가 리셋된다. 그리고, 타이머 회로(413)가 계속 리셋되어 콘덴서(C1)가 소정의 설정 전압까지 충전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트랜지스터(Tr1)의 OFF 상태가 유지되고, 스위칭 회로(412)의 스위칭 소자(FET1)가 ON 상태인 채로 계속되어 모터(421)가 계속 회전한다.
한편, 모터(421)의 로크 시(본체부(3)가 소정의 세트 위치 또는 격납 위치까지 변위하여 모터(421)가 로크되어 있는 상태)에는 모터(421)의 회전에 수반한 전류 변동 성분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그 검출 전류의 파형이 일정(정전류)해진다. 그러면, 전류 검출 회로(414)로부터 트랜지스터(TR3(TR4))를 통하여 타이머 회로(413)에 입력되는 신호는 OFF 신호만이 된다. 그러면, 콘덴서(C1(C2))가 방전되지 않고 소정의 설정 전압까지 충전된다. 그리고, 콘덴서(C1)가 지너 다이오 드(ZD3)에 의한 설정 전압까지 충전되면, 트랜지스터(Tr1)가 0N 상태로 된다. 이에 따라 스위칭 회로(412)의 스위칭 소자(FET1)가 OFF 상태로 되고, 모터(421)의 통전이 차단되어 모터(421)의 회전이 정지한다.
또한, 스위칭 회로(412)의 스위칭 소자(FET1)가 OFF 상태로 되면, 구동 회로(411)의 분로 저항(R1(R2))의 전위가 급상승하여 트랜지스터(Tr5(Tr6))가 ON 상태로 되고, 트랜지스터(Tr3(Tr4))가 0FF 상태로 래치된다.
[변형예 1]
이 차량용 미러 장치(1)에서는 상기와 같이 모터(421)의 회전에 수반한 전류 변동 성분(도 5 참조)을 제어 회로(41)(전류 검출 회로(414))가 검출하고 있으며, 이 전류 변동 성분이 검출되지 않게 되었을 때 모터(421)가 로크되었다고 판단되어, 스위칭 회로(412)가 OFF 상태로 된다. 이에 따라 모터(421)의 통전이 차단되어 모터(421)가 과전류로부터 보호된다.
그러나, (1)이 전류 변동 성분은 모터의 회전수가 낮은 경우라도 모터가 회전하고 있는 한 발생한다. 그러면, 모터의 부하가 매우 높아져 과전류가 발생하고 있을 때에 스위칭 회로가 ON 상태인 채로 유지되어 모터의 회전이 계속될 우려가 있다. 또한 (2)스위칭 회로가 어떠한 이상으로 인해 고장난 경우에도 모터의 회전이 계속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 차량용 미러 장치(1)에서는 모터(421)를 과전류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정특성 서미스터(PTC)가 배치되어 있다(도 4 참조). 이 정특성 서미스 터(PTC)는 제어 회로(41)에 대하여 직렬로 접속되어 있으며, 과전류의 발생시에서 그 저항을 증가시켜 발열한다. 이에 따라 과전류에 의한 모터(421)의 부하가 경감되어 모터(421)가 보호된다.
그런데, 상기한 구성에서는 정특성 서미스터(PTC)가 기능하였을 때 그 과도기에서 제어 회로로의 인가 전압이 저하하여 제어 회로의 동작이 불안정해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 차량용 미러 장치(1)에서는 제어 회로(41)(전류 검출 회로(414))가 모터(421)의 전류 변동 성분을 검출하기 위한 분로 저항(R1(R2))을 가질 때 이 분로 저항(R1(R2))이 정특성 서미스터(PTC1(PTC2))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6 참조). 예컨대 도 4에 도시한 구성에서는 정특성 서미스터(PTC)가 제어 회로(41)에 대하여 직렬로 접속되어 있는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정특성 서미스터(PTC)가 생략되고 분로 저항(R1(R2))이 정특성 서미스터(PTC1(PTC2))로 치환되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모터의 가동시에는 모터(421)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전류 변동 성분이 분로 저항(R1(R2))을 통하여 검출된다. 그리고, 이 전류 변동 성분이 검출되고 있을 때에는 스위칭 회로(412)(스위칭 소자(FET1))가 ON 상태인 채로 유지되어 모터(421)가 계속 회전한다. 한편, 이 전류 변동 성분이 검출되지 않게 되었을 때에는 스위칭 회로(412)가 OFF 상태로 되어 모터(421)의 통전이 차단되어, 모터(421)의 회전이 정지한다. 이에 따라 모터(421)가 과전류로부터 보호된다.
또한 모터(421)로의 부하가 증가하는 등으로 인해 모터(421)의 회전수가 저 하하면, 모터(421)의 전류값이 증가한다. 그러면, 제어 회로(41)의 분로 저항(R1(R2))이 정특성 서미스터(PTC1(PTC2))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 분로 저항(R1(R2))이 발열하고 그 저항값이 증가한다. 그러면, 모터(421)로의 인가 전압이 저하하고, 모터(421)가 정지한다. 그러면, 모터(421)의 회전에 수반한 전류 변동 성분이 발생하지 않게 되고, 스위칭 회로(412)가 0FF 상태로 되어 모터(421)의 통전이 차단된다. 이에 따라 모터(421)가 과전류로부터 보호된다.
상기한 구성에서는 전류 변동 성분을 검출하기 위한 분로 저항(R1(R2))이 정특성 서미스터(PTC1(PTC2))에 의해 구성되므로, 분로 저항(R1(R2))과 정특성 서미스터(PTC)가 별개로 배치되어 있는 구성(도 4 참조)과 비교하여 정특성 서미스터(PTC1(PTC2))(분로 저항(R1(R2))의 작용에 의해 모터(421)로의 인가 전압이 저하하여도 제어 회로(41)로의 인가 전압이 잘 변동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제어 회로(41)의 안정적인 동작이 확보되는 이점이 있다.
[변형예 2]
또한, 변형예 1의 차량용 미러 장치(1)에서는 제어 회로(41)가 미러 격납시용 전류 검출 회로(414)와 미러 세트시용 전류 검출 회로(414)를 가지고, 이들 전류 검출 회로(414, 414)가 대칭으로 배치되어 모터(421)에 접속되어 있다(도 6 참조). 그리고, 각 전류 검출 회로(414)의 분로 저항(R1, R2)이 각각 정특성 서미스터(PTC1, PTC2)에 의해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모터(421)의 통전시에서 이들 정특성 서미스터(PTC1, PTC2)(분로 저항(R1, R2))의 쌍방에 전류가 흐른다. 그러면, 모터(421)의 회전수가 저하하여 모터(421)의 전류값이 증가하였을 때 보다 빨리 발열한 쪽의 정특성 서미스터(PTC1, PTC2)가 작용한다. 이와 같이 대칭인 전류 검출 회로(414, 414)의 쌍방에 정특성 서미스터(PTC1, PTC2)(분로 저항(R1, R2))가 배치되는 구성에서는 제어 회로(41)의 설계가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대칭인 전류 검출 회로(414, 414) 중 어느 하나의 분로 저항(R1(R2))만이 정특성 서미스터(PTC1(PTC2))에 의해 구성될 수도 있다(도 7 참조). 이러한 구성으로 하여도 정특성 서미스터(PTC1(PTC2))가 적정하게 기능하여 제어 회로(41)의 안정적인 동작이 확보된다.
[변형예 3]
또한, 상기한 차량용 미러 장치(1)에서는 미러 격납시용 전류 검출 회로(414)와 미러 세트시용 전류 검출 회로(414)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도 6 참조). 또한, 미러 격납시용 전류 검출 회로(414)가 전류 변동 성분을 검출하기 위한 분로 저항(R1)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미러 세트시용 전류 검출 회로(414)가 전류 변동 성분을 검출하기 위한 분로 저항(R2)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이러한 구성에서는 차량용 미러 장치(1)의 가동시에서 제어 회로(41)의 각 분로 저항(R1, R2)에 각각 전류가 흐른다. 따라서, 각 분로 저항(R1, R2)에서 전압 강하가 발생하기 때문에 모터(421)로의 공급 전압에 손실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 변형예 3의 차량용 미러 장치(1)에서는 미러 격납시용 전류 검출 회로(414)의 분로 저항(R1)에 대하여 다이오드(D3)가 병렬로 접속된다(도 8 참조). 또한, 미러 세트시용 전류 검출 회로(414)의 분로 저항(R2)에 대하여 다이오드(D4)가 병렬로 접속된다. 이들 다이오드(D3, D4)는 하나의 분로 저항(R1)의 통전시에서 나머지 하나의 분로 저항(R2)으로의 통전이 차단되도록 배치된다.
예컨대, 도 8에 도시한 제어 회로(41)에서는 미러 격납시용 회로에서 전류 검출 회로(414)의 분로 저항(R1)과 스위칭 회로(412)의 스위칭 소자(FET1)가 직렬로 접속되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분로 저항(R1) 및 스위칭 소자(FET1)에 대하여 다이오드(D3)가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미러 세트시용 회로에서 전류 검출 회로(414)의 분로 저항(R2)과 스위칭 회로(412)의 스위칭 소자(FET2)가 직렬로 접속되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분로 저항(R2) 및 스위칭 소자(FET2)에 대하여 다이오드(D4)가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각 다이오드(D3, D4)는 하나의 분로 저항(R1(R2)) 및 스위칭 소자(FET1(FET2))의 통전시에서 나머지 하나의 분로 저항(R2(R1)) 및 스위칭 소자(FET2(FET1))로의 통전이 차단되도록 그 배치 방향이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미러 격납시 또는 미러 세트시에서 쌍방의 분로 저항(R1, R2)에 전류가 흐르는 일은 없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미러 격납시(미러 세트시)에서 하나의 분로 저항(R1(R2)에만 전류가 흐르므로, 쌍방의 분로 저항(R1, R2)에 전류가 흐르는 구성(도 6 참조)과 비교하여 분로 저항(R1, R2)에 의한 전압 강하가 저감된다. 이에 따라 모 터(421)로의 전압 공급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구성에서는 전류 검출 회로(414)의 분로 저항(R1(R2))이 정특성서미스터(PTC1(PTC2))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8 참조).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정특성 서미스터(PTC1(PTC2))의 기능에 의해 제어 회로(41)의 안정적인 동작이 확보되는 이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미러 장치는 구동용 모터의 로크 시에 모터의 통전을 적정하게 차단시킬 수 있는 점에서 유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미러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미러 장치를 나타내는 작용 설명도이다.
도 3은 도 1에 기재한 차량용 미러 장치의 구동 유닛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는 도 3에 기재한 구동 유닛의 제어 회로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5는 모터의 검출 전류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도 1에 기재한 차량용 미러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은 도 1에 기재한 차량용 미러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은 도 1에 기재한 차량용 미러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부호의 설명>
1 : 차량용 미러 장치 2 : 베이스부
3 : 본체부 4 : 구동 유닛
10 : 전원 31 : 미러 하우징
32 : 미러 41 : 제어 회로
42 : 구동 기구 411 : 구동 회로
412 : 스위칭 회로 413 : 타이머 회로
414 : 전류 검출 회로 415 : 증폭 회로
421 : 모터

Claims (4)

  1. 차량에 고정되는 베이스부와, 미러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를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회전시키는 구동 유닛을 포함하는 차량용 미러 장치로서,
    상기 구동 유닛이, 상기 본체부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전류 변동 성분을 검출하는 전류 검출 회로와, 상기 모터의 통전의 ON/OFF 상태를 전환하는 스위칭 회로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전류 검출 회로에 의해 전류 변동 성분이 검출되고 있을 때에는 상기 스위칭 회로가 ON 상태인 채로 유지되고, 이 전류 변동 성분이 검출되지 않게 되었을 때에는 상기 스위칭 회로가 OFF 상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미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회로를 OFF 상태로 하기 위한 소정의 설정 시간을 규정하는 타이머 회로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전류 검출 회로에 의해 전류 변동 성분이 검출되고 있을 때에는 상기 타이머 회로가 리셋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미러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검출 회로가 상기 전류 변동 성분을 검출하기 위한 분로 저항을 구비하고, 상기 분로 저항이 정특성 서미스터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미러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미러 격납시용 상기 전류 검출 회로와 미러 세트시용 상기 전류 검출 회로가 각각 배치되고, 미러 격납시용 상기 전류 검출 회로가 상기 전류 변동 성분을 검출하기 위한 분로 저항을 가지고 있으며, 미러 세트시용 상기 전류 검출 회로가 상기 전류 변동 성분을 검출하기 위한 분로 저항을 갖는 구성에 있어서,
    미러 격납시용 상기 전류 검출 회로의 분로 저항에 병렬로 접속되는 다이오드와 미러 세트시용 상기 전류 검출 회로의 분로 저항에 병렬로 접속되는 다이오드를 가지고 있으며, 하나의 상기 분로 저항의 통전시에서 나머지 하나의 상기 분로 저항으로의 통전이 해당 분로 저항에 접속된 상기 다이오드에 의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미러 장치.
KR1020070068643A 2006-09-04 2007-07-09 차량용 미러 장치 KR1008918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239035 2006-09-04
JP2006239035 2006-09-04
JP2007111885A JP2008087754A (ja) 2006-09-04 2007-04-20 車両用ミラー装置
JPJP-P-2007-00111885 2007-04-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1488A true KR20080021488A (ko) 2008-03-07
KR100891898B1 KR100891898B1 (ko) 2009-04-03

Family

ID=38626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8643A KR100891898B1 (ko) 2006-09-04 2007-07-09 차량용 미러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759892B2 (ko)
EP (1) EP1897752B1 (ko)
JP (1) JP2008087754A (ko)
KR (1) KR100891898B1 (ko)
DE (1) DE602007006732D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1521A (ko) * 2017-12-14 2019-06-24 주식회사 에스엘미러텍 차량용 미러 구동 제어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032235C2 (nl) * 2006-07-26 2008-01-29 Eaton Automotive Bv Spiegelverstelmechanisme, buitenspiegeleenheid en werkwijze.
JP5262690B2 (ja) * 2008-12-25 2013-08-14 市光工業株式会社 ドアミラー制御装置
JP5522959B2 (ja) * 2009-03-13 2014-06-18 株式会社ミツバ 車両用ドアミラーのモータ駆動回路
DE102010044292B4 (de) 2010-09-03 2021-10-14 Audi Ag Verfahren und Bewegungseinrichtung zum elektromotorischen Bewegen eines Außenspiegels eines Kraftfahrzeugs
US9449390B1 (en) * 2015-05-19 2016-09-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etecting an extended side view mirror
US11279286B2 (en) * 2020-04-15 2022-03-22 Motherson Innovations Company Limited Actuator assembly for mirror
CN111949051B (zh) * 2020-07-27 2023-03-14 江西久盛国际电力工程有限公司 一种槽式定日镜场自动追日控制系统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63536A (en) * 1978-08-07 1981-04-21 Clopay Corporation Control circuit for a motor-driven door operator
DE3226614A1 (de) * 1982-07-16 1984-01-19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Schaltungsanordnung zum ein- und ausfahren einer motorgetriebenen antenne
DE3527906A1 (de) 1985-08-03 1987-02-12 Keiper Recaro Gmbh Co Schaltungsanordnung zur positionierung eines mittels einer verstellvorrichtung verstellbaren gegenstandes
JPH03193012A (ja) * 1989-12-24 1991-08-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コーヒ豆等の粉砕装置
JPH0767385A (ja) * 1993-08-25 1995-03-10 Tokai Rika Co Ltd モータ駆動制御装置
JP3200278B2 (ja) * 1994-03-16 2001-08-20 マイクロン株式会社 モータコントローラ
JP3043961B2 (ja) * 1994-09-19 2000-05-22 株式会社村上開明堂 電動格納式ドアミラーの制御装置
CA2143711A1 (en) * 1994-12-30 1996-07-01 Craig A. Miller High voltage d-c current limiter
JPH0974780A (ja) * 1995-07-05 1997-03-18 Tokai Rika Co Ltd 駆動装置の定位置停止装置
JP2001287592A (ja) * 2000-04-06 2001-10-16 Ichikoh Ind Ltd 電動格納式ドアミラーの制御回路
US6960895B2 (en) * 2003-03-20 2005-11-01 Siemens Vdo Automotive Inc. Coupled RFI choke as stall detection means for brush type DC motor
TWI232187B (en) * 2003-06-28 2005-05-11 Chaw Khong Co Ltd Electrical operable pivoting back-mirror device
JP2005193889A (ja) * 2003-12-12 2005-07-21 Tokai Rika Co Ltd ミラー装置用モータ制御回路
JP4199695B2 (ja) * 2004-04-23 2008-12-17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ミラー装置用モータ制御回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1521A (ko) * 2017-12-14 2019-06-24 주식회사 에스엘미러텍 차량용 미러 구동 제어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759892B2 (en) 2010-07-20
JP2008087754A (ja) 2008-04-17
EP1897752B1 (en) 2010-05-26
KR100891898B1 (ko) 2009-04-03
US20080218888A1 (en) 2008-09-11
DE602007006732D1 (de) 2010-07-08
EP1897752A1 (en) 2008-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1898B1 (ko) 차량용 미러 장치
JP3914004B2 (ja) 半導体素子の過電流検出・保護装置
KR100923270B1 (ko) 차량용 미러 장치
EP1974459B1 (en) Systems and methods of monitoring a motor load
EP2006998A2 (en) Load drive control circuit
US5093891A (en) Brushless motor and an axial flow fan with the brushless motor
KR101909068B1 (ko) 차량용 모터의 단락 보호 장치
JP2010104079A (ja) 負荷駆動装置
JP4349120B2 (ja) 伝達比可変操舵装置
JP2007228704A (ja) モータ駆動装置
KR101899950B1 (ko) 차량용 모터의 단락 보호 장치
JP4776251B2 (ja) ブラシレスモータ駆動回路
JP5446249B2 (ja) ドアミラー制御装置
JP2006199160A (ja) ミラー装置用モータ制御回路
KR100484025B1 (ko) 자동차용 사이드미러의 모터구동 제어회로
KR20080021487A (ko) 차량용 미러 장치
JP3490334B2 (ja) 直流ブラシモータの回転制御装置
JP5262690B2 (ja) ドアミラー制御装置
JP2000217383A (ja) モ―タの間欠動作制御回路
JP4279100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6014493A (ja) 直流電動機駆動装置
JP5535803B2 (ja) モータ制御回路
JP2010149656A (ja) ドアミラー制御装置
JP2010149655A (ja) ドアミラー制御装置
JP2000161189A (ja) 始動電動機制御回路保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