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7296A - 면역 조절제 활성을 갖는 화합물 - Google Patents

면역 조절제 활성을 갖는 화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7296A
KR20080017296A KR1020077023450A KR20077023450A KR20080017296A KR 20080017296 A KR20080017296 A KR 20080017296A KR 1020077023450 A KR1020077023450 A KR 1020077023450A KR 20077023450 A KR20077023450 A KR 20077023450A KR 20080017296 A KR20080017296 A KR 200800172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t27
phenyl
hydrogen
disease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3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4451B1 (ko
Inventor
페르디난도 니콜레티
Original Assignee
가니얼 이뮤노테라퓨틱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니얼 이뮤노테라퓨틱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가니얼 이뮤노테라퓨틱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80017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72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4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44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2Ox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6Antipsori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2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peripheral neuropath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61P31/18Antivirals for RNA viruses for HIV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6Immunosuppressants, e.g. drugs for graft rej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Diabetes (AREA)
  • Dermat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Onc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Vir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IDS & HIV (AREA)
  • Transplantation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docri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양 괴사 인자에 의해 매개되는 면역 병리학적 증상 및 인터루킨-10(IL-10)의 억제에 의해 치료 또는 완화될 수 있는 질병의 치료에 유용한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
Figure 112007073292048-PCT00003
상기 식에서, R1 -5는 수소, 니트로, 시아노, C1-C3-알킬, 할로겐, 카르복시, 아미노, 트리플루오로메틸, 히드록시, C1-C3-알콕시기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내지 5개의 치환체를 나타내고,
X는 수소, 할로, N3, SH, =O, =CH2, 상기 정의된 R1 -5로 임의로 치환된 방향족, 바람직하게는 페닐 고리, 아미노, 일- 또는 이치환된 아미노기이며, 여기서 치환체는 상기 정의된 R1 -5로 임의로 치환된 C1-C4 알킬, 페닐 또는 벤질기로부터 선택되고,
Y는 수소, 알킬 C1-C4, 아미노, 또는 화학식 -(CH2)0-1A 기이며, 여기서 A는 상기 정의된 R1 -5로 임의로 치환된 방향족, 바람직하게는 페닐 고리이고,
단, X 및 Y가 수소인 경우, R1 -5는 4-히드록시 또는 4-알콕시기를 나타낼 수 없다.
이속사졸린, 종양 괴사 인자, 인터루킨, 자가면역 질병

Description

면역 조절제 활성을 갖는 화합물{COMPOUNDS HAVING IMMUNOMODULATOR ACTIVITY}
본 발명은 자가면역 질병, 만성 염증, 면역-매개 질병, NFkB의 과활성화와 관련되거나 또는 그렇지 않은 종양 괴사 인자(TNF)알파, 인터루킨(IL) 1 베타, IL-10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시토카인에 의해 매개되는 병리학적 증상, 및 TNF-알파, TNF-베타, IL-1 베타, 및 IL-10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시토카인, 및/또는 NFkB 활성의 억제에 의해 치료 또는 완화될 수 있는 병리학적 증상의 치료를 위한 화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자가면역 질병, 만성 염증 또는 다른 면역-매개 질병의 발병과 연관된 면역병리학적 경로를 보다 잘 이해하여, TNF-알파, TNF-베타, IL-1 베타, IL-12, IL-18 및 IFN-감마 등의 시토카인이 T-세포 매개 자가면역 질병에서 담당하는 중요한 역할을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구체적으로, 류머티스성 관절염의 발병 기전에 있어 TNF-알파의 중요한 병인적 역할을 예견한 실험적 증명으로 인해 특정 억제제로서의 임상 단계에 성공적으로 진입하게 되었는데, 다시 말하자면 중화 단클론 항체[인플릭시맵(infliximab), 휴마나(humana)] 및 TNF 수용체 융합 단백질 [엠브렐(Embrel)]이 현재 RA 환자의 치료용으로 승인되었다.
이중 맹검 임상 연구는 TNF의 중화가 염증의 초기 단계를 완전히 소멸시킬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염증을 완화하는 아세틸살리실산과는 대조적으로, TNF-알파의 특정 억제제는 염증을 예방할 수 있다. 먼저, 진전된 질병을 가진 환자에게 치료제가 투여되었다. 약물 치료의 큰 성공을 기반으로, 내과 의사들은 질병의 초기 단계에서 환자를 치료하기 시작하였다. 항-TNF 알파 약물을 이용한 치료는 이제 크론씨 병 및 건선을 비롯한 다른 자가면역 질병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특정 TNF-억제제의 제조는 복잡하고 값비싼 것이며, 또한 항-TNF 억제제는 비경구적으로만 주어질 수 있고, 그의 만성적 사용은 결핵의 발병에 대한 보다 큰 위험을 수반할 수도 있다.
특정한 TNF-억제제가 류머티스성 관절염, 크론씨 병 및 건선에 대해 유리한 효과가 있음이 증명됨으로써, 내생적 TNF 및 혹은 IFN-감마, IL-1, IL-12, IL-18 또는 다른 시토카인을 비롯한 다른 시토카인의 합성 및/또는 활성을 억제하는 경구용으로 사용 가능한 작은 화합물을 개발하려고 노력하게 되었다.
자가면역 질병은 공격 메커니즘에 따라 공격되는 기관에 의해 정의될 수 있는 면역 매개 질병이며, 자가항체 또는 T-세포, 및 종종 시토카인에 의해 매개되는 만성 염증 과정의 진행에 의해 매개된다. 아테롬성 동맥 경화증, 정신과적 질병, 정신분열증, 간질, 대머리, 소화성 궤양병 및 다른 질병들에 대한 자가면역 현상의 중요한 병리학적 기여를 제시한 증거가 늘어나고 있다.
자가면역 질병은 모든 기관 또는 조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신경계에 영향을 미치는 자가면역 질병으로, 예를 들면 다발성 경화증이 있다. 이 위험한 질 병은 뇌에 손상을 입혀 마비를 유발한다. 신경계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자가면역 질병으로는 중증 근무력증 및 귈레인-바레(Guillain-Barre) 증후군이 있다. 증증 근무력증은 신경으로부터 근육에 전기적 충격을 전달하는 수용체가 파괴되어 근육이 극도로 약화되는 것이 특징인 질병이다. 이 전달 없이는 근육 수축이 이루어질 수 없어, 근육 약화가 발생하는 것이다. 귈레인-바레 증후군은 감염 또는 백신 접종 후에 발병될 수 있다.
루푸스 및 류머티스성 관절염 등 관절에 작용하여 관절의 변형을 유발하는 자가면역 질병이 있다. 마지막으로, 심장, 신장 및 폐를 손상시키는 자가면역 질병이 있다.
이속사졸린 화합물은 포스포디에스터라제 유형 IV의 억제제 (US 5716967), 피브리노겐 수용체 길항제 (US 5849736), TNF 배출 억제제 (US 6114367) 및 매크로파지 이동 억제 인자 (MIF) 길항제 (WO 02/100332)로서 개시되어 있다.
페닐 고리의 파라 위치에 히드록실 또는 알콕시기가 없다는 점에서 US 5716967, US 5849736 및 WO 02/100332에 개시된 화합물과는 상이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이 IL-1β, TNF-α 및 IL-10 합성을 억제하고 NFkB 활성을 막는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Figure 112007073292048-PCT00001
상기 화학식 I에서, R1 -5는 수소, 니트로, 시아노, C1-C3-알킬, 할로겐, 카르복시, 아미노, 트리플루오로메틸, 히드록시, C1-C3-알콕시기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내지 5개의 치환체를 나타내고,
X는 수소, 할로, N3, SH, =O, =CH2, 상기 정의된 R1 -5로 임의로 치환된 방향족, 바람직하게는 페닐 고리, 아미노, 일- 또는 이치환된 아미노기이며, 여기서 치환체는 상기 정의된 R1 -5로 임의로 치환된 C1-C4 알킬, 페닐 또는 벤질기로부터 선택되고,
Y는 수소, 알킬 C1-C4, 아미노, 또는 화학식 -(CH2)0-1A 기이며, 여기서 A는 상기 정의된 R1 -5로 임의로 치환된 방향족, 바람직하게는 페닐 고리이고,
단, X 및 Y가 수소인 경우, R1 -5는 4-히드록시 또는 4-알콕시기를 나타낼 수 없다.
화학식 I의 화합물 중 일부는 공지되어 있고,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R 및 R'가 모두 수소인 4,5-디히드로 이속사졸린 고리계 화합물이 문헌 [Synth. Comm., 1998, 28(13), 2457-2466] 및 문헌 [Synth. Comm., 1997, 27(16), 2733-2742]에 보고되어 있다.
그러므로, 본원에 기재된 발명은 NFkB의 조절되지 못한 활성화와 관련되거나 또는 그렇지 않은 TNF-알파, TNF-베타, IL-1 베타, 및/또는 IL-10의 억제에 의해 완화될 수 있는 질병 치료용의 약제의 제조를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3-페닐-4,5-디히드로-5-이속사졸아세트산 (이하, GIT27이라 칭항) 및 3-페닐-5-이속사졸아세트산 및 그의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예컨대 나트륨, 칼륨, 칼슘염 등이다. GIT27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NFkB의 활성화와 관련되거나 또는 그렇지 않은 TNF-알파, TNF-베타, IL-1 베타, 및/또는 IL-10에 의해 매개되는 인간 병상(pathology)의 치료에 특히 유용하다. 상기 병상은 류머티스성 관절염, 크론씨 병, 건선 및 염증성 피부병, 유형 1 당뇨병, HIV 감염, 암, 허혈성 재관류, 간염, 다발성 경화증, 귈레인-바레 증후군 및 급성 이식 거부 방지를 비롯한 면역 염증성, 자가면역 및 감염성 질병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또한, 적합한 담체 또는 부형제와 혼합된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활성 성분으로 포함한 제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GIT-27의 약리학적 활성은 시험관내 및 생체내 모두에 대해 광범위하게 연구되어 왔다. 구체적으로, 공지되어 잘 수립된 방법에 따라 하기 실험이 수행되어 왔다.
- 림프구 증식, TNF-알파, 인터페론(IFN)-감마, IL-1 베타, IL-10 및 MIF 합성/분비;
- 인간 매크로파지 내에서의 NF-kB 활성화
- 쥐의 LPS-유도 치명도;
- 쥐의 카라기난-유도 늑막염;
- 쥐의 유형 II 콜라겐-유도 관절염;
- 쥐의 옥사졸론-유도 과민증;
- 스트렙토조토신 저용량을 다수 투여하여 유도된 쥐의 면역 염증성 당뇨병
- 화학적으로 유도된 쥐의 대장염;
상기 수록된 실험을 실행하여 얻은 결과를 이하에 요약한다.
GIT27 가 림프구 증식, 및 매크로파지 및 림프구에 의한 TNF , IFN -감마, IL -10 및 MIF 합성 및 분비에 미치는 시험관내 영향
복막 매크로파지(PM) 및 비장 단핵 세포(SMNC)를 정상의 생쥐로부터 단리하고, 영양 배지에서 배양한 뒤, GIT27의 부재 또는 존재 하에서 LPS 및/또는 ConA로 각각 자극하였다. 그 결과는 GIT27이 PM 및 SMNC 모두에 의해 TNF α의 생성을 괄목할 만큼 억제하였으며, PM에 의해 IL-1β, IL-10의 생성을 억제하였음을 명백하게 나타낸다. GIT27은 두 세포 유형에 있어서의 MIF 발현, SMNC의 증식, 및 SMNC에 의한 IL-10 및 인터페론(IFN) 감마의 생성에는 아무런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GIT27 으로 치료한 생쥐로부터 단리된 림프구 및 매크로파지의 증식 및 시토카인 합성 능력
이 실험은 생쥐를 GIT27로 복막내(i.p.) 또는 경구 투여 (per os) (p.o.) 치료하면 단리된 PM 및 SMNC로부터 SMNC의 증식성 반응 및 IL-1β, IL-10, TNF-α, IFN-γ 및 MIF의 생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여부를 조사하기 위하여 실행하였다. PM 및 SMNC를 생체 내에서 7일 연속 i.p. (0.5 mg/쥐) 또는 p.o. (2.5 mg/쥐)로서 GIT27으로 치료한 생쥐로부터 단리하고, GIT27 비히클(Na2HPO4/H2O)을 투여한 대조군 동물로부터 단리하고, 또는 아무런 처리 없이 단리하였다. 최후 GIT27 처리한 지 24시간 후, PM 및 SMNC를 추가의 시험관내 자극 및 분석을 위해 수집하였다.
이 생체외 실험은 GIT27 처리된 생쥐로부터 단리된 PM은 IL-1β, TNF α 및 IL-10의 손상된 합성을 나타낸 반면, 분열 촉진 자극시에는 MIF 발현의 정상 패턴을 나타내었다. 한편, GIT27로 치료한 생쥐로부터 단리된 SMNC는 증식에 대한 정상 능력, 자극시의 TNF-α, IL-1β, IL-10, 및 IFN-γ 생성에 대한 정상 능력, 및 MIF 발현의 정상 발현 패턴을 나타내었다.
"시험관내" 및 "생체외" 실험으로부터의 발견들은 GIT27가 SMNC의 IFN-γ 생성 능력을 변화시키지 않고도, PM에 의한 IL-1β, TNF-α 및 IL-10의 생성을 하향 조절하며, PM 및 SMNC에 의한 MIF의 발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일관되게 보여준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생체내" 실험은 GIT27이 SMNC에 의한 TNF-α 생성을 감소시킴을 보여주는 반면, "생체외" 실험은 이에 대한 증거를 지지하지 않는다.
GIT27 이 인간 매크로파지 내에서의 NF - kB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이 시험관내 시험으로부터의 결과는 GIT27이 투여량-의존 방식으로 단핵 세 포 유래의 인간 매크로파지 내에서 LPS 유도된 NF-kB의 DNA 결합을 강력하게 억제함을 나타낸다. 이러한 결과는 GIT27의 작용 메커니즘을 위한 증거를 제공하며, GIT27이 IL-1β, TNF-α 및 IL-10의 매크로파지 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억제 효과가 NF-kB의 DNA에의 결합의 억제에 비해 2차적일 수 있음을 제안한다.
GIT27 생체내 LPS -유도 치명도에 미치는 영향
이 생체내 연구는 GIT27의 치료학적 투여가 생쥐의 LPS-유도 치명도를 강력하게 길항함을 나타낸다.
예견되었듯이, 치료받지 않았거나 GIT27 비히클을 투여받은 대조군 생쥐의 대부분이 3일 내에 LPS 공격으로 죽었다. 이 기간의 관찰 후, 생존한 생쥐를 1주간 검사하여 임상적으로 완전히 회복시켰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p.o. 또는 i.p.로 GIT27을 투여 치료하면, 투여량-의존 방식으로 생쥐를 LPS의 치명적 효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p.o.로 투여한 경우, GIT27은 2.5mg/쥐의 투여량에서 효과적이었으며, 1.5 및 3 mg/쥐 모두로서 투여하였다. i.p.로 투여한 경우, GIT27은 LPS-유도 치명도에 대해 0.25 내지 0.5 mg/쥐 사이에서 투여량-의존성 보호를 수반하는, 보다 넓은 치료학적 영역을 나타내었다. GIT27은 또한, 예방적 방식 (예를 들면 LPS 이전 -24 및 -1 시간) 하에서 유사한 투여량으로서 p.o. 및 i.p.로 주어진 경우, LPS-유도 치명도를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었다.
GIT27 카라기난 ( CAR ) 유도 늑막염에 미치는 영향
GIT27은 생쥐에서의 CAR-유도 늑막염을 강력하게 억제한다. CAR의 공격을 받고 치료받지 않았거나 GIT27 비히클로 치료받은 모든 생쥐에서 탁한 삼출물 생 성, PMN의 침투 및 폐에서의 미엘로퍼옥시다제(MPO) 활성 축적을 수반한 급성 늑막염이 발병되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GIT27를 이용한 예방 치료는 삼출물 생성, PMN 침투 및 폐에서의 미엘로퍼옥시다제(MPO) 활성 축적을 감소시켰고, 양성 대조군 약물로 사용된 마우스 TNF-알파에 대한 항체로 치료하여 달성된 것에 상당하는 강력한 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
GIT27 이 유형 II 콜라겐-유도 관절염( CIA )에 미치는 영향
GIT27이 관절염에 미치는 치료학적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유형 II CIA가 발병한 생쥐를 10일 연속으로 치료하였다. 치료는 생쥐가 임상 스코어 1 이상을 보였을 때 시작하였다. 대조군 생쥐는 GIT27 비히클을 이용하여, 동일한 실험 방식 하에서 치료하였다.
비히클로 치료한 대조군 생쥐는 관절염 임상 스코어가 점진적으로 증가하였고, 뒷발에 극심한 부종을 수반한 유형 II CIA의 완전한 임상 징후를 급속도로 나타내었다. 이러한 임상적 상황은 극심한 염증성 관절염을 반영하는 것이며, 이는 조직해부학적 평가를 통해 결정되는 관절염 조직해부학상 스코어의 높은 점진적 증가로 표시되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GIT27로 치료한 생쥐는 비히클로 치료한 생쥐보다 낮은 임상 및 조직해부학상 관절염 스코어를 수반하며, 현저하게 더욱 낮은 관절염 질병의 진전을 나타내었다. GIT27을 이용한 치료적 처리는 쥐의 유형 II CIA에 괄목할 만한 항-염증성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질병의 발병과 관련된 임상 및 조직해부학상 매개변수 모두의 현저한 감소를 유발하였다. GIT27의 치료학적 잠재력은 양성 대조 약물인 덱사메타손의 것에 상당할 만하였다.
GIT27 옥사졸론 -유도 피부염에 미치는 영향
옥사졸론-유도 과민증은 옥사졸론에 대한 2번의 경피성 노출에 의해 유도될 수 있는 면역 매개성 피부염이다. 옥사졸론의 첫번째 적용은 생쥐를 감작시키데 반해, 두번째는 과민감성 반응을 도출한다. 피부염의 조짐은 옥사졸론에 대한 두번째 경피성 노출 18 시간 후에 나타나며, 귀 두께 및 중량 모두가 현저하고도 점진적으로 증가하였다. GIT27의 약리학적 활성을 평가하기 위한 생체내 연구는 두 세트의 실험으로 계획되었다. 제1 세트에서, 생쥐를 감작기 중 또는 그 전에 치료하였다. 이 실험은 GIT27의 비히클로 치료하였거나 치료하지 않고 방치한 생쥐의 귀 두께 및 중량 모두가 현저하고도 점진적으로 증가함을 나타내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귀 두께 및 중량의 증가로 측정한 귀의 염증성 팽창은 GIT27에 의해 현저하게 억제되었다. 유사한 조건에서, 덱사메타손은 귀의 두께를 감소시켰으나, 귀의 중량을 감소시키지는 않았다.
GIT27가 옥사졸론-유도 피부염의 도출기(elicitation phase)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면역 염증성 반응의 진행이 시작되는, 옥사졸론에 대한 두번째 경피성 노출 1시간 후에 GIT27로 치료하였다. 이 실험 방식 하에서, GIT27은 알레르기성 피부염의 발병에 부분적인 영향만을 미쳤다. 대조군 동물과 비교할 때, GIT27로 치료한 생쥐는 현저한 귀 두께 감소를 나타내었으나, 귀 중량은 감소하지 않았다. 이 실험 방식에서, 덱사메타손은 귀 두께 및 중량의 증가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 실험 결과는, GIT27을 이용한 치료는, GIT27이 프로필랙틱(profilactic) 방식에 따라, 즉 질병의 감작기 이전에 투여된 경우, 옥사졸론에 대한 반복된 경피성 노출에 의해 유도되는 피부염을 성공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GIT27은 옥사졸론에 두번째 노출된 지 한 시간 후 (도출기)에 생쥐에 투여되는 경우에는, 옥사졸론-유도 피부염의 발병을 예방 또는 방지하는 데 있어 효능이 덜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효과는 덱사메타손을 동일한 실험 방식 하에 투여한 경우에 효과가 없었음에 비추어, 약리학적 연관성을 제공한다. 덱사메타손은 인간 염증성 피부병의 국소적 치료에 광범위하고 효과적으로 사용되는 강력한 면역 억제제이므로, GIT27은 면역-매개 또는 유형 1 시토카인 의존성 피부병, 예컨대 건선, 심상성 천포창의 일부 형태 및 이식편대 숙주병 중 경피성 맥관염의 치료에서, 침투성 또는 국소적 사용에의 약리학적 잠재성을 나타내었다.
GIT27 스트렙토조토신 유도 당뇨병에 미치는 영향
스트렙트조토신 저용량의 다수 투여에 의해, GIT27을 이용한 i.p. 및 p.o. 치료 모두가 CBA/H 생쥐에서 유도되는 당뇨병의 임상적 발병을 억제하였다. CBA/H 생쥐는 MLD-STZ 주사에 의해 2주 기간에 걸쳐 지속적인 고혈당을 나타내었다. 예견되었듯이, GIT27의 비히클로 i.p. 또는 p.o.로 치료한 CBA/H 대조군 생쥐는 MLD-STZ 주사에 의해 2주 기간에 걸쳐 지속적인 고혈당을 수반하는 당뇨병을 발병하였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MLD-STZ의 당뇨병 발생 효과는 생쥐를 GIT27을 이용하여 i.p.로 치료한 경우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이 약물은 또한 p.o.로 투여한 경우 고혈당 발병 역시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었다.
i.p. 또는 p.o.로 투여되는 GIT27을 이용한 예방 치료법은 STZ의 5연속 주사 후 베타 세포의 세포-매개 면역 파괴에 부차하는 고혈당 발병을 성공적으로 길항하였다. 이 약물은 i.p. 및 p.o.로 투여된 모두에서 효과적이었다. 이 결과는, GIT27이 인간 유형 1 당뇨병(T1D) 발병의 고위험과 관련된 물질대사적 (인슐린 분비 결함) 및 면역학적 매개변수 (항-베타 세포 자가항체, HLA 일배체형)을 보이는 T1D 환자의 일등친(first degree relatives)과 같은 발병의 위험에 있는 사람들에 대한 질병의 예방과 함께, T1D의 조기 치료에 있어 임상적 용도로 추가로 고려될 만한 가치가 있는 약리학적 특성을 갖는다는 것을 제시한다.
GIT27 DNB -유도 대장염에 미치는 영향
디니트로벤젠 술폰산(DNB)의 공격을 받은 지 5일 내로, 생쥐에 대장염이 발병하였다. 질병의 격렬도는 거시적 스코어에 기해 평가하였다. 비히클로 치료한 대조군 생쥐 및 치료받지 않은 생쥐는 염증의 예측 가능하고도 점진적인 증가를 수반하는 대장염과 체중 손실을 나타내었다. 염증성 대장염의 진전은 GIT27 로 치료한 동물에게서는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p<0.001). 대조군과 비교하면, GIT27로 치료한 동물은 체중 손실이 현저하게 감소함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데이터와 일치하여, DNB-유도 대장염의 발병을 수반하는 결장의 중량 증가는 대조군과 비교할 때 GIT27으로 치료한 생쥐에서 현저하게 더 낮았다.
대조군 생쥐와 GIT27로 치료한 생쥐의 결장을 제거하고, 분절하고, 고정한 뒤, 헤마톡실린 및 에오신으로 착색하였다. DNB-유도 결장염 전에 GIT27으로 치료한 동물에게서 염증성 세포 침투, 점막 및 근육 손상, 및 벽의 두꺼워짐의 감소가 관찰되었다. 이 조직학은 대조군 생쥐와 비교할 때 GIT27로 치료한 생쥐에서 조직 손상이 현저하게 감소하였음을 명백히 나타낸다. 이들 데이터는 결장염에 대한 GIT27의 항-염증성 효능을 확인하여 준다. 조직 미엘로퍼옥시다제 활성은 염증성 세포 (주로 중성구) 침투를 평가하기 위해 잘 수립된 표지이다. GIT27으로 치료한 생쥐 및 대조군 생쥐로부터 수집한 결장 조직에서 측정된 미엘로퍼옥시다제 활성은 GIT27으로 치료한 생쥐가 대조군과 비교할 때 결장염 유도 5일 후 염증성 세포 침투의 현저한 감소를 나타낸다 (p<0.0001). 이 결과는 동일한 조직학 시료를 침투시킨 중성구의 감소와 유사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DNB-유도 동물에서 평균 8.9±1.2 (평균 ± SD) 세포/하이파워필드(high power field)을 계수한 반면, GIT27로 전처리한 DNB-유도 동물에서는 단지 3.37±0.8 세포/하이파워필드가 존재하였다 (p<0.0001). 이 데이터는 GIT27을 이용한 치료가 DNB 투여에 의해 유도된 결장염으로부터 시험 동물을 강력하게 보호하였음을 증명한 것이다. 이 데이터는 이 약물이 인간 IBD 치료에 사용 가능하다는 사실을 나타내고 있다..
GIT27 이 자가면역 질병 및 만성 염증 등의 면역-매개 질병에 미치는 영향
GIT27을 사용하여 얻은 시험관내 및 생체내 결과는 이 분자가 자가면역 질병 및 만성 염증, 및 일부 피부병 및 내분비 질병 등 면역 메커니즘에 의해 매개되는 질병의 치료를 위한 흥미로운 약물이 될 약리학적 잠재성을 가진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일반적으로, GIT27은 IL-1β, TNF 또는 다른 시토카인에 의해 매개되는 질병 치료에 대한 잠재성을 가진다.
IL-10의 항염증성 성질(문헌 [World J. Gastroenterol., 10: 620, 2004]) 때문에, GIT27이 이 시토카인의 매크로파지 합성에 미치는 억제성 효과는 면역 염증 성 질병에서의 이 약물의 사용과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보일 수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IL-10은 엔도톡신 유도 포도막염 (문헌 [J. Immunol., 1995, 155: 4090-4]), 유형 1 당뇨병 (문헌 [J. Immunol. 2000, 165:2841-9]), 전신 홍반 루푸스 (문헌 [Arthritis Rheum. 2000, 43:1790-800]) 및 실험적 자가면역 고환염 [문헌 (Cytokine. 2003, 22:50-3)] 등과 같이, 상이한 설치류 모델에서 염증 유발성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특정 환경 하에서는 IL-10 합성의 감소가 약물의 항염증성 효능을 사실상 강화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는 자가면역 질병 치료를 위한 임상 세팅에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시클로스포린 A 역시 시험관내 IL-10 합성을 하향 조절한다는 사실과도 일치하는 것이다 (문헌 [J. Exp Med. 1993, 17:551-5]). 또한, IL-10의 과다 생성이 특정 암 (문헌 ([Immunol Rev. 2004 Dec; 202:223-36]; [Br J Haematol. 2003, 122:927-33])) 및 HIV 감염 (문헌 [Blood. 2003, 101:2514-20])에 있어 병원성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되어 왔으므로, GIT27이 이 시토카인의 합성을 하향 조절하는 능력은 이들 질병에 있어서의 이 약물의 잠재적인 조사를 위한 잠재적 근거를 나타낸다.
상기 고려된 치료학적 용도를 위해, 화학식 I의 화합물은 공지된 방법에 따라 제조된, 통상의 담체 또는 부형제와 혼합된 적합한 조성물 형태로, 경구적, 비경구적, 경피성 또는 점막 관통적 경로에 의해 투여될 것이다. 투여량은 병상의 진전도, 환자의 종류 (연령, 성 및 체중)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좌우될 것이며, 약물의 독성학적 및 약물동역학적 성질에 근거하여 당업자에 의해 어떻게든 용이하게 결정될 것이다.
GIT27 의 제조
벤즈알데히드 (1, 32.8 mmol) 및 히드록실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33 mmol)를 메탄올 (100 ml)에 용해하고, 탄산나트륨 (65 mmol)을 첨가하였다. 밤새 반응시켜 옥심 유도체를 95%로 얻었다 (2, 30.4 mmol). DMF (100 ml) 중의 N-클로로숙신이미드 (31.6 mmol)을 이용한 옥심의 염소화 반응으로 클로로옥심 (3)을 정량적으로 얻었다. 그 후 화합물 3을 THF/H2O (80/20)에 용해하고, 3-부테노에이트 (24.5 mmol) 및 탄산나트륨 (73.6 mmol)과 함께 반응시켰다. 종료 후 (12 h), 생성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유기 추출물을 소금물로 세척한 뒤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였다. GIT27을 에틸 아세테이트/헵탄 혼합물로 결정화하였다. 구조는 1H-NMR, 13C-NMR 및 질량 분광법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일일 투여 방식은 생각건대 넓은 범위 내에서 다양할 것이며, 예컨대 0.1 내지 10 mg/kg 체중이 될 것이다.

Claims (6)

  1. 종양 괴사 인자에 의해 매개되는 면역 병리학적 증상 및 인터루킨-10(IL-10)의 억제에 의해 치료 또는 완화될 수 있는 질병의 치료를 위한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용도.
    <화학식 I>
    Figure 112007073292048-PCT00002
    상기 식에서, R1 -5는 수소, 니트로, 시아노, C1-C3-알킬, 할로겐, 카르복시, 아미노, 트리플루오로메틸, 히드록시, C1-C3-알콕시기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내지 5개의 치환체를 나타내고,
    X는 수소, 할로, N3, SH, =O, =CH2, 상기 정의된 R1 -5로 임의로 치환된 방향족, 바람직하게는 페닐 고리, 아미노, 일- 또는 이치환된 아미노기이며, 여기서 치환체는 상기 정의된 R1 -5로 임의로 치환된 C1-C4 알킬, 페닐 또는 벤질기로부터 선택되고,
    Y는 수소, 알킬 C1-C4, 아미노, 또는 화학식 -(CH2)0-1A 기이며, 여기서 A는 상기 정의된 R1 -5로 임의로 치환된 방향족, 바람직하게는 페닐 고리이고,
    단, X 및 Y가 수소인 경우, R1 -5는 4-히드록시 또는 4-알콕시기를 나타낼 수 없다.
  2. 제1항에 있어서, 3-페닐-4,5-디히드로-5-이속사졸아세트산 및 3-페닐-5-이속사졸아세트산 또는 그의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용도.
  3. 제1항에 있어서, 3-페닐-4,5-디히드로-5-이속사졸아세트산 또는 그의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용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질병이 류머티스성 관절염, 크론씨 병, 건선 및 염증성 피부병, 유형 1 당뇨병, HIV 감염, 암, 허혈성 재관류, 간염, 다발성 경화증, 귈레인-바레 증후군 및 급성 이식 거부 방지를 비롯한 면역 염증성, 자가면역 및 감염성 질병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용도.
  5.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비독성 염을 활성 성분으로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활성 성분이 3-페닐-4,5-디히드로-5-이속사졸아세트산인 제약 조성물.
KR1020077023450A 2005-03-15 2006-03-14 면역 조절제 활성을 갖는 화합물 KR1013244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6150005P 2005-03-15 2005-03-15
US60/661,500 2005-03-15
PCT/EP2006/002319 WO2006097273A1 (en) 2005-03-15 2006-03-14 Compounds having immunomodulator activit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7296A true KR20080017296A (ko) 2008-02-26
KR101324451B1 KR101324451B1 (ko) 2013-10-31

Family

ID=36384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3450A KR101324451B1 (ko) 2005-03-15 2006-03-14 면역 조절제 활성을 갖는 화합물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304442B2 (ko)
EP (1) EP1863480B1 (ko)
JP (1) JP5336175B2 (ko)
KR (1) KR101324451B1 (ko)
CN (2) CN101217953A (ko)
AU (1) AU2006224777B2 (ko)
CA (1) CA2601515C (ko)
HK (1) HK1111107A1 (ko)
WO (1) WO2006097273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6317A (ko) 2019-12-15 2021-06-24 주식회사 코마스텍 사육 케이지 내부의 공기 정보 맞춤형 공조 제어방법
KR20220058787A (ko) 2020-10-30 2022-05-10 주식회사 코마스텍 실험동물 사육 케이지의 배기 오염원 멸균 정화 방법
KR20230075838A (ko) 2021-11-23 2023-05-31 (주)엘앤지 실험동물 사육 케이지의 안정적 동작을 위한 무정전전원장치
KR20230076942A (ko) 2021-11-23 2023-06-01 주식회사 코마스텍 IoT 기반의 실험동물 사육 케이지 원격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501139T1 (de) * 2007-05-09 2011-03-15 Ganial Immunotherapeutics Inc (s,r)-3-phenyl-4,5 dihydro-5-isoxazolessigsäure- stickoxid und verwendung als krebsmittel und viruzid
EP2854805B1 (en) * 2012-04-17 2019-06-12 GeneOne Life Science Inc. Compounds having immunomodulator activity
EP2986306A4 (en) * 2013-04-18 2016-12-07 Armo Biosciences Inc METHOD FOR USE OF INTERLEUKIN-10 FOR THE TREATMENT OF ILLNESSES AND SUFFERING
US20240092886A1 (en) * 2019-10-09 2024-03-21 Rush University Medical Center Modulating interleukin-10 signaling to boost healing in diabetic wounds
GB2609003A (en) * 2021-07-15 2023-01-25 Univ Nottingham Trent Compound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metabolic disorder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49736A (en) 1993-11-24 1998-12-15 The Dupont Merck Pharmaceutical Company Isoxazoline and isoxazole fibrinogen receptor antagonists
DK0730588T3 (da) 1993-11-26 1997-12-08 Pfizer Isoxazolinforbindelser som antiinflammatoriske midler
ES2139754T3 (es) * 1993-11-26 2000-02-16 Pfizer 3-fenil-2-isoxazolinas como agentes antiinflamatorios.
JPH09505082A (ja) * 1994-03-09 1997-05-20 ファイザー・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Tnf放出の阻害剤としてのイソオキサゾリン
JPH10168095A (ja) * 1996-12-10 1998-06-23 Cci Corp 炎症性腸疾患予防および治療剤
CA2450589C (en) 2001-06-08 2011-12-20 Cytokine Pharmasciences, Inc. Isoxazoline compounds having mif antagonist activity
CN101623030A (zh) * 2008-07-11 2010-01-13 上海尚龙乳业有限公司 一种乳制品脱糖加工设备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6317A (ko) 2019-12-15 2021-06-24 주식회사 코마스텍 사육 케이지 내부의 공기 정보 맞춤형 공조 제어방법
KR20220058787A (ko) 2020-10-30 2022-05-10 주식회사 코마스텍 실험동물 사육 케이지의 배기 오염원 멸균 정화 방법
KR20230075838A (ko) 2021-11-23 2023-05-31 (주)엘앤지 실험동물 사육 케이지의 안정적 동작을 위한 무정전전원장치
KR20230076942A (ko) 2021-11-23 2023-06-01 주식회사 코마스텍 IoT 기반의 실험동물 사육 케이지 원격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156845B (zh) 2015-11-18
AU2006224777A1 (en) 2006-09-21
CN103156845A (zh) 2013-06-19
US20090042959A1 (en) 2009-02-12
EP1863480A1 (en) 2007-12-12
JP5336175B2 (ja) 2013-11-06
AU2006224777B2 (en) 2012-08-30
WO2006097273A1 (en) 2006-09-21
HK1111107A1 (en) 2008-08-01
US8304442B2 (en) 2012-11-06
CA2601515C (en) 2011-02-22
EP1863480B1 (en) 2013-09-25
CN101217953A (zh) 2008-07-09
CA2601515A1 (en) 2006-09-21
KR101324451B1 (ko) 2013-10-31
JP2008533077A (ja) 2008-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4451B1 (ko) 면역 조절제 활성을 갖는 화합물
EP2538978B1 (en) Use of an ep4 receptor antagonist in the treatment of allergic contact dermatitis and psoriasis
EP2085085B1 (en) The uses of the carboxy-amido-triazole compounds and salts thereof
TW200523250A (en) Compounds for inflammation and immune-related uses
US9169268B2 (en) Use of 7-alkoxy fangchinoline compounds in preventing, alleviating and/or treating depression
JP2022116304A (ja) 血液がんの治療のためのPPARγアゴニスト
JP6289659B2 (ja) 五環トリテルペン構造修飾化合物とその調製方法及び応用
KR101695801B1 (ko) 운동 뉴런의 자가 포식 작용 억제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용도
JP2005514352A6 (ja) 自己免疫疾患の治療法
WO2010110428A1 (ja) 掻痒の予防及び/または治療剤
WO2020004404A1 (ja) IL-1β阻害薬
CZ20021435A3 (cs) Pro-léčiva 6-methoxy-2-naftyloctové kyseliny
JP2013503908A5 (ko)
CA2717495C (en) Fullerene therapies for inflammation
WO2007077893A1 (ja) 肝臓疾患治療剤及び肝機能改善剤
KR102561856B1 (ko) 염증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6188784B2 (ja) 炎症性および免疫性疾患の治療のための組成物
WO2023024425A1 (zh) 三氮唑酮类化合物及其医药用途
JP2017114816A (ja) 止痒剤
EP2854805B1 (en) Compounds having immunomodulator activity
CN116712420A (zh) 一种花椒酰胺在制备治疗多发性硬化症的药物中的应用
CN115645385A (zh) 甘草查尔酮b在制备治疗和/或预防ⅰ型干扰素病药物中的应用
CN115300511A (zh) 一种组合物的医药用途
RU2010110560A (ru) Лечение нарушений сна
GB2484977A (en) Treatment of a Th-1 mediated dise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2

Year of fee payment: 6